KR100279816B1 - 이중화 전력증폭기의 선형동작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이중화 전력증폭기의 선형동작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9816B1
KR100279816B1 KR1019980056480A KR19980056480A KR100279816B1 KR 100279816 B1 KR100279816 B1 KR 100279816B1 KR 1019980056480 A KR1019980056480 A KR 1019980056480A KR 19980056480 A KR19980056480 A KR 19980056480A KR 100279816 B1 KR100279816 B1 KR 100279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output
amplifier
circuit
h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6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0756A (ko
Inventor
정선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56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9816B1/ko
Publication of KR20000040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0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9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98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1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휴대폰내의 이중화 전력 증폭기의 동작을 선형적으로 제어하도록 개량된 전력 자동 조절 회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전력 자동 조절 회로는 서로 다른 선형 영역을 가지며 동작 전압의 입력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선형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1 및 제2전력 증폭기와, 수신된 신호의 세기에 대응하는 송신출력을 발생하기 위한 직류 전압을 발생하여 버퍼링하는 송신 제어 전압 발생기와, 상기 송신 제어 전압 발생기의 출력을 전압 증폭하여 출력하는 전압 증폭기와, 상기 전압 버퍼의 출력을 상기 제1전력증폭기로 공급하고 상기 버퍼링된 전압이 미리 설정된 문턱전압을 초과할 때 응답하여 상기 제1전력증폭기로 공급되는 전압을 미리 설정된 홀드 레벨로 유지하는 업-홀드 회로와, 상기 전압 증폭기의 출력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홀드 전압을 상기 제2전력증폭기로 공급하고 상기 전압 증폭기의 출력이 미리 설정된 문턱전압을 초과시에 응답하여 상기 제2전력 증폭기로 공급하는 전압을 입력에 선형적으로 증가시키는 홀드-업 회로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이중화 전력 증폭기의 선형 동작 제어 회로
본 발명은 전력 증폭기의 제어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폰(portable telephone)내의 이중화 전력 증폭기(dual power amplifier)의 동작을 선형적으로 제어하도록 개량된 전력 자동 조절(Automatic Power control: 이하 "APC"라 칭함) 회로에 관한 것이다.
전기적인 신호를 무선 채널을 통해 상대방으로 송수신하는 무선 단말기 등에는 안테나를 통해 송신될 신호를 전력 증폭하는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이하 "PA"라 칭함)를 거의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무선 단말기 등은 송수신되는 신호의 전계 강도에 따라 PA의 송신전력(transmission power)을 조절하는 회로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회로는 통상 APC회로로 불린다.
휴대폰등과 같은 무선 단말기 제품에 적용되는 APC회로는 종단의 높은 전력(power)을 얻기 위해 연산증폭기(operational amplifier: 이하 "OP-AMP"라 칭함)등으로 구성된 전압 제어기 등에서 제어전압을 증폭하고, 상기 증폭된 제어전압으로서 PA를 구동하여 최적 상태의 송신전력으로 상대방과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더 양호한 송신출력을 얻기 위하여 전력 증폭기를 둘 이상 사용하는 이중화 전력 증폭 모듈을 가지는 시스템도 개발되고 있다.
현재,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휴대폰내에 실장된 PA들의 송신전력의 제어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어 휴대폰으로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에 대응하여 상기 PA들의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통상 상기와 같은 제어 신호는 펄스 형태로서 APC로 제공되며, 상기 APC는 상기 펄스 형태를 가지는 제어 신호의 듀티비(duty rate) 혹은 밀도(density)에 따라 PA로 공급되는 전압을 제어하여 송신 출력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미국에 소재 하는 "QUALCOMM"사에서 제안한 CDMA방식의 휴대폰은, 디지탈 프로세싱 유니트(digital processing unit)에서 수신신호의 전계강도(field strength)에 대응하는 PDM(pulse density modulated)펄스를 APC의 제어 신호로 출력하고 있다. 이러한 내용은 "QUALCOMM"사에서 발행한 MSM2300 사용자 매뉴얼 7-11면 내지 7-16면에 걸쳐 매우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상기 간행물의 기재를 살피면, 디지탈 프로세싱 유니트로부터 출력되는 PDM펄스를 저항과 캐패시터 등의 수동소자(passive element)로 구성된 저역 통과 필터(low pass filter: 이하 "LPF"라 칭함)로서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PA의 동작 전압을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PA들의 제어 기술을 응용한 예시가 도 1에 도시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해 구현된 휴대폰의 이중화 전력 증폭기(dual PA) 제어용 파워 자동 조절 회로의 블럭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전력 증폭기 제어용 전력 자동 조절 회로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서 참조번호 100과 140은 도 1에 도시된 1차 PA(이하 "PA1"이라 칭함)(10) 및 2차 PA(이하 "PA2"라 칭함)(14)의 동작 특성을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횡축은 PDM직류 전압으로서 PDM펄스를 직류 전압으로 변환한 상태를 의미하며, 종축은 상기 PA1(10) 및 PA2(14)의 동작 전압이다.
도 1에서, 참조번호 10은 동작 제어전압에 대응하여 RF파트(도시하지 않았음)로부터 출력되는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를 전력 증폭하여 출력하는 1차 PA1이다. 상기 PA1(10)과 PA1(14)들 각각은 입력되는 동작 전압에 비례하여 출력전력을 선형적으로 증가시키는 선형 전력 증폭기들이다. 상기와 같이 1차로 전력 증폭된 중간 주파수 IF는 소정의 반송파주파수를 입력하는 믹서(12)로 공급되어 RF신호로 변조된다. 상기 믹서(12)의 출력에는 안테나(도시하지 않았음)에 접속된 듀플렉서(duplexer)에 접속된 PA2(14)의 입력이 접속되며, 상기 PA2(14)는 입력되는 제어전압에 대응하는 레벨로 상기 믹서(12)의 출력을 증폭하여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PA1(10) 및 PA2(14)의 전력 증폭은 전력 증폭 모듈(power amplifier module: 이하 "PAM"이라 칭함) 제어부(16)로부터 출력되는 PDM펄스에 의해 동시에 제어된다.
상기 PAM제어부(16)는 상기 RF파트를 통해 수신되어 아나로그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analog baseband processor: BBA)(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신호처리된 수신신호의 세기(전계강도)에 대응하는 밀도(density)를 갖는 PDM펄스를 출력한다. 즉, 상기 PAM제어부(16)는 기지국(base station)과 이동국(mobile station)간의 파일럿신호(pilot signal)의 송수신 혹은 호 절차 메세지(call proceser message)를 송수신시 수신 전계강도에 따라 PDM펄스의 듀티비를 가변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수신신호의 세기가 작은 경우에는 PDM펄스의 듀티비를 높게하고 상기 수신신호의 세기가 높은 경우에는 PDM펄스의 듀티비를 낮게 한다. 이러한 PAM제어부(16)의 일예로서는 "QUALCOMM"사에서 생산하고 있는 MSM2300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PAM제어부(16)의 출력 노드에 접속된 LPF(18)는 소정의 밀도(density)(혹은 듀티)를 가지는 PDM펄스를 저역 필터링하여 직류로 변환된 제어전압 Vo를 출력하며, 상기 필터링된 제어전압 Vo는 전압 증폭기(20)에서 더 높은 1차제어전압 Voc1으로 증폭되어 상기 PA1(10)의 동작 전압으로 입력된다. 또한, 상기 전압 증폭기(20)에서 증폭된 1차제어전압 Voc1은 전압 제어기(voltage contrller)(22)로 입력된다. 이때, 상기 PA1(10)은 상기 전압 증폭기(2)로부터 출력되는 1차제어전압의 증가에 따라 입력되는 중간 주파수 IF를 도 2의 100과 같은 특성으로 선형 증폭하여 믹서(12)로 공급하게 된다.
한편, 전압 제어기(22)는 상기 1차제어전압 Voc1의 레벨이 미리 설정된 문턱 전압(threshold voltage)될 때 까지는 미리 설정된 홀드 전압 레벨을 가지는 2차제어전압 Voc2(도 2에서는 2.0볼트로 표기됨)를 출력하고, 상기 1차제어전압 Voc1이 문턱 전압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1차제어전압 Voc1의 증가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되는 2차제어전압 Voc2를 상기 PA2(14)의 동작 제어전압으로 공급한다. 즉, 상기 전압 제어기(22)는 상기 1차제어전압 Voc1이 미리 설정된 특정 전압의 레벨로 이하로 입력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전압을 유지하여 출력하며, 상기 1차제어전압 Voc1이 특정전압 레벨 이상으로 증가되는 경우에는 출력을 선형적으로 증가시키는 홀드-업(hold-up) 회로이다.
그러나, 상기 도 1과 같은 회로는 PAM제어부(16)로부터 출력되는 하나의 PDM펄스열을 저역 필터링한 하나의 직류 전압으로서 선형 동작 영역이 다른 두 개의 전력 증폭기 PA1(10) 및 PA2(14)를 동시에 제어하므로써 불요파(spurious)를 발생시키고, 전력 증폭기의 선형 제어에 문제를 야기시켜 무선 단말기의 특성을 저하시켰다.
즉, 예를 들어, PA1(10)의 선형 동작 전압 영역은 0.1볼트로부터 특정 전압 VPA1레벨까지 이고 PA2(14)의 선형 동작 전압 영역은 상기 특정 전압 레벨 VPA1보다 높은 전압 VPA2으로부터 선형 증폭한다고 가정하면, 도 1에 도시된 전압 제어기(22)의 출력에 의해 PA2(14)가 입력되는 신호를 선형 증폭하여 출력할 때 PA1(10)은 동작 범위를 벗어나는 직류 전압을 공급 받아 동작하므로서 RF성능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PA들에 의한 전력 소모도 증가되며, 입/출력 대역(In/out band)에서 불요파가 크게 발생하여 PA들의 선형 제어에 어려움을 주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직류 제어전압으로 선형 동작 영역이 상이한 전력 증폭기들을 동시에 제어하지 않고 각각의 선형 동작 영역에서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이중화 전력 증폭기의 선형 동작 제어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선형 영역을 갖는 이중화 전력 증폭기(dual power amplifier)를 구비한 무선 시스템에서 다이나믹 송신 레이지(dynamic transmission range)를 갖도록 하나의 직류 전압원으로 상기 전력 증폭기들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이중화 전력 증폭기의 선형 동작 제어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선형 영역을 가지며 동작 전압의 입력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선형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1 및 제2전력 증폭기와, 무선 단말기의 RF파트을 통해 수신된 신호의 세기에 대응하는 송신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듀티비를 가지는 전력 증폭 제어펄스를 발생하는 전력 증폭 모듈 제어부와, 상기 전력 증폭 제어펄스를 저역 통과 필터링하여 직류화하는 저역 통과 필터와, 상기 저역 통과 필터의 출력을 버퍼링하여 출력하는 전압 버퍼와, 상기 전압 버퍼의 출력을 전압 증폭하여 출력하는 전압 증폭기와, 상기 전압 버퍼의 출력을 상기 제1전력증폭기로 공급하고 상기 버퍼링된 전압이 미리 설정된 문턱전압을 초과할 때 응답하여 상기 제1전력증폭기로 공급되는 전압을 미리 설정된 홀드 레벨로 유지하하는 업-홀드 회로와, 상기 전압 증폭기의 출력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홀드 전압을 상기 제2전력증폭기로 공급하고 상기 전압 증폭기의 출력이 미리 설정된 문턱전압을 초과시에 응답하여 상기 제2전력 증폭기로 공급하는 전압을 입력에 선형적으로 증가시키는 홀드-업 회로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원리에 의한 업-홀드 회로와 홀드-업 회로내에 각각 설정된 문턱전압을 거의 동일한 전압 레벨로 설정되며, 상기 업-홀드 회로 및 홀드-업 회로들 각각은 상대 출력을 검출하여 미리 설정된 문턱전압의 레벨일 때 각각 출력 전압의 홀드 및 업 동작을 수행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이중화 전력 증폭기 제어 회로는 하나의 직류전원으로서 선형 동작 영역이 상이한 두 개의 전력증폭기를 제어하더라도 두 전력 증폭기의 다이나믹 레인지를 확보하면서 이중 전력 증폭기의 선형 동작을 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해 구현된 휴대폰의 전력 증폭기 제어용 전력 자동 조절 회로의 블럭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전력 증폭기 제어용 전력 자동 조절 회로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휴대폰의 전력 증폭기 제어용 전력 자동 조절 회로의 블럭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전력 증폭기 제어용 전력 자동 조절 회로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전술한 도 1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동작을 하는 구성 요소에는 가능한 동일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이중화 전력 증폭기 제어용 전력 자동 조절 회로의 블럭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증폭기의 전력 자동 조절회로는 도 1에 도시된 전압 증폭기(20)가 전압 버퍼로 변경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연산 증폭기 등과 같은 고입력/저출력 임피던스를 가지는 회로를 이용하여 단위 이득 플로워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비교적 입출력 아이솔레이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전압 버퍼(20)의 출력단자와 PA1(10)의 전압 입력단자 사이에는 업-홀드 회로(24)가 접속되며, 전압 증폭기(22)의 출력단자와 PA2(14)의 입력단자 사이에는 홀드-업 회로(26)가 접속 더 접속되어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업-홀드 회로(24)는 전압 버퍼(2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이 증가되더라도 그 증가되는 전압 레벨이 미리 설정된 문턱전압 보다 낮은 경우에는 입력 전압을 그대로 출력단자로 패스하고, 증가되는 전압 레벨이 상기 문턱전압 보다 높은 경우에는 입력을 문턱전압의 레벨로 홀드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홀드-업 회로(26)은 상기 업-홀드 회로(24)의 동작과는 반대로 설계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전압 증폭기(22)로부터 출력되는 2차제어전압 Voc2가 미리 설정된 문턱전압 보다 낮은 경우에는 PA2(14)로 문턱전압의 레벨로 홀드된 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전압 증폭기(22)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이 문턱전압 보다 높은 상태로 입력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PA2(14)로 공급하는 전압을 입력 전압에 비례하여 선형적으로 증가시켜 출력한다.
상기 업-홀드 회로(24) 및 홀드-업 회로(26)들 각각은 업-홀드되는 출력전압과 홀드-업되는 출력전압을 모니터링하여 상대방의 출력이 증가 혹은 유지될 때 자신을 출력을 문턱전압의 레벨로 유지 혹은 문턱전압으로부터 증가시키는 동작을 각각 수행한다. 이때, 상기 두 회로의 문턱전압의 레벨은 거의 동일하다.
도 4는 도 3의 전력 증폭기 제어용 전력 자동 조절 회로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서 참조번호 100과 140은 도 1에 도시된 1차 PA(이하 "PA1"이라 칭함)(10) 및 2차 PA(이하 "PA2"라 칭함)(14)의 동작 특성을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횡축은 PDM직류 전압으로서 전압 버퍼(20) 및 전압 증폭기(22)의 출력전압을 의미하며, 종축은 상기 PA1(10) 및 PA2(14)의 동작 전압이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동작을 매우 상세하게 설명한다.
지금,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어 무선 단말기의 RF수신단파트로 RF신호가 수신되면, PAM제어부(16)로부터는 전술한 바와 같은 PDM펄스열이 출력된다. 상기 PDM펄스열은 LPF(18)에 입력된다. 상기 LPF(18)은 상기 PDM펄스열를 저역 통과 필터링하여 미리 설정된 차단 주파수 보다 낮은 주파수 성분의 신호만을 통과시켜 PDM펄스의 듀티비에 대응하는 직류 전압을 전압 버퍼(20)로 공급한다. 이때, 상기 LPF(18)는 저항 및 캐패시터등과 같은 수동 소자의 조합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며, 상기 전압 버퍼(26)는 고입력 임피던스 및 저출력 임피던스 특성을 갖는 OP-AMP로 구성되며 그 이득은 거의 "1"이다.
따라서, PAM제어부(16)로부터 수신신호의 세기에 대응하여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해 소정의 듀티비(혹은 밀도)를 갖는 PDM펄스가 출력되면, 상기 전압 버퍼(20)로부터는 PA1(10)를 구동하기 위한 1차제어전압 Voc1이 출력된다. 상기 1차제어전압 Voc1은 업-홀드 회로(24) 및 전압 증폭기(22)로 제공된다. 상기 전압 증폭기(22)는 입력되는 1차제어전압 Voc1를 소정레벨의 전압으로 증폭하여 2차제어전압 Voc2를 홀드-업 회로(26)로 제공한다.
상기 업-홀드 회로(2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 버퍼(20)로부터 출력되는 1차제어전압 Voc1이 미리 설정된 문턱전압(도 4에서는 2볼트의 직류전압으로 표시됨) 이하의 레벨까지 증가되면 이를 그대로 PA1(10)의 동작전압 입력단자로 공급한다. 그러나, 상기 전압 버퍼(20)로부터 출력되는 1차제어전압 Voc1의 레벨이 미리 설정된 문턱전압의 레벨까지 증가되면, 이를 도 4의 100과 같이 홀딩하여 PA1(10)으로 공급되는 PA동작전압이 문턱전압 이상으로 증가되지 못하도록 한다. 이러한 홀드-업 회로(24)는 트랜지스터, 저항 및 캐패시터 등의 디스크리트한 소자와 OP-AMP 등을 이용하여 구현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전압 증폭기(22)에 의해 전압증폭된 2차제어전압 Voc2를 입력하는 홀드-업 회로(2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전압을 미리 설정된 문턱 전압(도 4에서는 2볼트의 직류전압으로 설정된 예시들 나타냄)으로 홀딩하여 출력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전압 증폭기(22)의 출력이 문턱전압을 초과하는 경우 PA2(14)로 공급되는 동작 전압을 도 4의 140과 같이 문턱전압의 레벨로 홀딩하여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홀딩 전압의 출력은 업-홀드 회로(24)의 출력이 홀드모드 일 때 릴리즈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홀드-업 회로(22)는 상기 업-홀드 회로(22)의 출력을 모니터링하는 전압 모니터를 내장하고 있다.
따라서, PAM제어부(16)로부터 PDM펄스열이 출력되어 전압 버퍼(20) 및 전압 증폭기(22)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1차제어전압 Voc1 및 2차제어전압 Voc2가 도 4의 종축과 같이 증가되면, 업-홀드 회로(20)는 입력전압이 문턱전압에 도달할 때까지 도 4의 100과 같이 PA1(10)으로 선형적으로 증가되는 동작제어전압을 공급하고, 홀드-업 회로(26)는 도 4의 140과 같이 PA2(14)로 공급되는 동작제어전압을 문턱전압의 레벨로 홀딩한다. 이후, 전압 버퍼(20)의 출력이 증가되어 업-홀드 회로(24)의 출력이 도 4의 100과 같이 문턱전압의 레벨로 홀딩되어 출력되면, 이를 모니터링하는 홀드-업 회로(26)가 PA2(14)로 공급하는 홀딩 전압을 릴리즈하여 도 4의 140과 같이 문턱전압의 레벨로부터 선형적으로 증가되는 동작 전압을 PA2(14)로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PA1(10), PA2(14)로 이중화된 전력증폭기의 선형 증폭의 다이나믹 레인지가 도 4와 같이 확장되므로써 PA의 비선형 증폭에 의해 발생되는 불요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직류전원을 이용하여 선형 증폭 영역이 상이한 두 개의 전력증폭기를 동작시킴에 있어서, 상기 직류전원을 두 개의 전력 증폭기들 각각의 선형 영역의 동작 전원 레벨로 제어하여 공급하므로써 APC회로의 제어에 의한 소비 전류의 감소 및 불요파의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송신 효율을 최적 상태로 하므로써 RF회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서로 다른 선형 영역을 가지며 동작 전압의 입력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선형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1 및 제2전력 증폭기를 가지는 이중화 전력 증폭기의 선형 동작 제어 회로에 있어서,
    수신된 신호의 세기에 대응하는 송신출력을 발생하기 위한 직류 전압을 발생하여 버퍼링하는 송신 제어 전압 발생기와,
    상기 송신 제어 전압 발생기의 출력을 전압 증폭하여 출력하는 전압 증폭기와,
    상기 전압 버퍼의 출력을 상기 제1전력증폭기로 공급하고 상기 버퍼링된 전압이 미리 설정된 문턱전압을 초과할 때 응답하여 상기 제1전력증폭기로 공급되는 전압을 미리 설정된 홀드 레벨로 유지하하는 업-홀드 회로와,
    상기 전압 증폭기의 출력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홀드 전압을 상기 제2전력증폭기로 공급하고 상기 전압 증폭기의 출력이 미리 설정된 문턱전압을 초과시에 응답하여 상기 제2전력 증폭기로 공급하는 전압을 입력에 선형적으로 증가시키는 홀드-업 회로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 전력 증폭기의 선형 동작 제어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홀드 회로와 홀드-업 회로내에 각각 설정된 문턱전압을 거의 동일한 전압 레벨로 설정되며, 상기 업-홀드 회로 및 홀드-업 회로들 각각은 상대 출력을 검출하여 그 출력이 미리 설정된 문턱전압의 레벨일 때 각각 출력 전압의 홀드 및 업 동작을 수행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이중화 전력 증폭기의 선형 동작 제어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제어 전압 발생기는 무선 단말기의 RF파트을 통해 수신된 신호의 세기에 대응하는 송신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듀티비를 가지는 전력 증폭 제어펄스를 발생하는 전력 증폭 모듈 제어부와, 상기 전력 증폭 제어펄스를 저역 통과 필터링하여 직류화하는 저역 통과 필터와, 상기 저역 통과 필터의 출력을 버퍼링하여 출력하는 전압 버퍼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 전력 증폭기의 선형 동작 제어 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버퍼는 고입력/저출력 임피던스를 가지는 연산증폭기로 구성된 전압 플로워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증폭기 제어회로.
KR1019980056480A 1998-12-19 1998-12-19 이중화 전력증폭기의 선형동작 제어회로 KR100279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6480A KR100279816B1 (ko) 1998-12-19 1998-12-19 이중화 전력증폭기의 선형동작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6480A KR100279816B1 (ko) 1998-12-19 1998-12-19 이중화 전력증폭기의 선형동작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0756A KR20000040756A (ko) 2000-07-05
KR100279816B1 true KR100279816B1 (ko) 2001-02-01

Family

ID=19563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6480A KR100279816B1 (ko) 1998-12-19 1998-12-19 이중화 전력증폭기의 선형동작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98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03226B2 (en) * 2008-10-28 2012-01-24 Skyworks Solutions, Inc. Power amplifier saturation det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0756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4924A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in which output power is controlled by pulse width modulation using a mobile attenuation code
CN102217138B (zh) 具有阻抗调制的rf功率放大器***
KR100359601B1 (ko) 부하 엔벨로프 폴로우잉 증폭기 시스템
KR102521718B1 (ko)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기를 포함하는 전원 변조기 및 그것을 포함하는 송신 장치
CN1864325B (zh) 发送装置、发送输出控制方法和无线通信装置
KR101800728B1 (ko) 전력 증폭기의 동작 영역을 확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7688156B2 (en) Polar modulation transmission circuit and communication device
US8351873B2 (en) Low noise RF driver
KR20020081069A (ko) 고주파 증폭 회로 및 이것을 사용한 무선 통신 장치
JPWO2005011109A1 (ja) 増幅装置
KR101746107B1 (ko) 적응형 전력증폭기 및 이를 포함하는 rf 송신기
US9379604B2 (en) Low noise radio frequency switching circuitry
EP1858161A1 (en) Dual power mode transmitter
WO2006082894A1 (ja) 送信装置及び無線通信装置
WO2005088842A1 (ja) 送信装置及び無線通信装置
US6122491A (en) Communications system using power amplifier with dynamic biasing
JP4540510B2 (ja) 送信装置及び無線通信装置
KR100508355B1 (ko) 오디오 및 rf 증폭기용 공유 전원을 구비하는 휴대용무선 송수신기
KR100279816B1 (ko) 이중화 전력증폭기의 선형동작 제어회로
US7336934B2 (en) Transmission modulation apparatus
US20090011723A1 (en) Transmitting apparatus
KR100279815B1 (ko) 전력 증폭기 제어 회로
GB2362523A (en) A transceiver with the bias of an amplifier in the receiver controlled by a baseband processor
KR10071321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증폭기 구동전압 가변장치 및 방법
KR100256972B1 (ko) 전력 증폭 모듈의 효율 개선 방법 및 그에 따른 효율 개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