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6340B1 - 목금형 칼 용접용 자동용접장치 - Google Patents

목금형 칼 용접용 자동용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6340B1
KR101616340B1 KR1020150146202A KR20150146202A KR101616340B1 KR 101616340 B1 KR101616340 B1 KR 101616340B1 KR 1020150146202 A KR1020150146202 A KR 1020150146202A KR 20150146202 A KR20150146202 A KR 20150146202A KR 101616340 B1 KR101616340 B1 KR 101616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jig
stand
unit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6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근
Original Assignee
박선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선근 filed Critical 박선근
Priority to KR1020150146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63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340B1/ko
Priority to PCT/KR2016/010388 priority patent/WO2017069409A1/ko
Priority to JP2016202492A priority patent/JP2017077585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5/00Gas flame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61Welding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5/00Gas flame welding
    • B23K5/006Gas flame weld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5/00Gas flame welding
    • B23K5/22Auxiliary equipment, e.g. backings,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5/00Gas flame welding
    • B23K5/22Auxiliary equipment, e.g. backings, guides
    • B23K5/24Arrangements for supporting tor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목금형 칼 용접용 자동용접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목금형 칼 용접용 자동용접장치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사각의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의 일부 영역에 구비되는 제1 스탠드부, 상기 제1 스탠드부와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의 다른 일부 영역에 구비되는 제2 스탠드부 및 상기 제1 스탠드부 및 제2 스탠드부의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을 포함하는 테이블; 상기 제1 스탠드부 및 제2 스탠드부 상에 설치되고, 상기 이격공간의 위로 용접대상물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용접대상물을 파지하여 파지된 용접대상물을 상기 이격공간의 위로 위치시키도록 구성된 용접대상물 지그부; 상기 제2 스탠드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용접대상물의 서로 대응된 두 단부를 용접하도록 구성된 용접부; 상기 용접부에 용접가스를 공급하는 용접가스공급부; 및 상기 용접가스공급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목금형 칼 용접용 자동용접장치{AUTOMATIC WELDING EQUIPMENT STEEL CUTTING RULES WELDING}
본 발명은 자동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금형에 이용되는 목금형 칼의 용접을 위한 목금형 칼 용접용 자동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용접은 맞대어진 두 판재 또는 두 강관 등의 부재의 연결을 위해 각 부재의 맞대어진 부분을 접합하기 위한 작업이다.
이러한 용접 작업은 작업시에 많은 열과 빛이 발생되고 유해한 가스 성분이 생기고 안전사고의 위험이 따른다. 따라서 용접을 전문으로 하는 기능공들의 수가 점차 감소하고 있고, 이에 따라 최근에는 자동용접장치의 사용이 일반화되고 있다.
한편, 용접 작업이 실시되는 분야는, 선박 제조, 자동차 제조, 목금형 제조 등 그 분야가 매우 다양하다. 이러한 용접 작업이 실시되는 다양한 분야 중 본 발명은 목금형 제조 분야에 이용되는 자동용접장치와 관련된다.
이러한 목금형은 과거에는 주로 각종 박스(BOX) 등의 가공 분야에서 이용되어 왔지만 최근에는 첨단장비와 전문인력이 구축되면서 대형금형으로 제작하여 작업하던 분야에까지 접목되면서 산업전분야에 까지 빠르게 확산되어 가고 있다.
또한 이러한 목금형은 프레스 기계 등에 장착되어 수평 수직 운동방식으로 절단할 수 있는 소재를 규격대로 생산할 수 있다.
목금형은 나무합판 또는 PVC판에 홈을 가공하여 그 사이 공간에 목금형 칼, 일명 '톰슨 칼(steel cutting rules)'을 각종 절단기, 절곡기 등의 기기를 이용하여 홈의 형상대로 구부리거나 절단하여 끼워 넣는 과정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목금형에서 사용되는 톰슨 칼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을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각종 절단기, 절곡기 등의 기기를 이용하여 홈의 형상대로 구부리거나 절단하게 되는데, 이때 소정의 형상으로 절곡된 플레이트의 양단을 서로 맞대어 고정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플레이트의 양단을 맞댄 후 용접하여 고정한다.
목금형에 사용되는 톰슨 칼의 용접 작업은 용접을 전문으로 하는 기능공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인력이 점차 감소하고 있어 자동용접장치의 사용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자동용접장치는 선박, 차량 등의 차체 생산시 이용되는 형태이거나, 대형의 금속패널 또는 배관 등의 자재의 생산시 이용되는 형태의 것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목금형에 사용되는 목금형 칼의 제작을 위한 자동용접장치의 개발 및 사용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0350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목금형에 사용되는 목금형 칼의 제작시 사용될 수 있고, 용접대상물의 크기에 제한 없이 용접대상물을 간단히 고정하여 용접 작업을 실시할 수 있고, 용접대상물의 간단하고 신속한 용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목금형 칼 용접용 자동용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금형 칼 용접용 자동용접장치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사각의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의 일부 영역에 구비되는 제1 스탠드부, 상기 제1 스탠드부와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의 다른 일부 영역에 구비되는 제2 스탠드부 및 상기 제1 스탠드부 및 제2 스탠드부의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을 포함하는 테이블; 상기 제1 스탠드부 및 제2 스탠드부 상에 설치되고, 상기 이격공간의 위로 용접대상물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용접대상물을 파지하여 파지된 용접대상물을 상기 이격공간의 위로 위치시키도록 구성된 용접대상물 지그부; 상기 제2 스탠드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용접대상물의 서로 대응된 두 단부를 용접하도록 구성된 용접부; 상기 용접부에 용접가스를 공급하는 용접가스공급부; 및 상기 용접가스공급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그부는, 제1 지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그부재가 상기 이격공간의 위로 위치하도록 상기 제1 스탠드부의 상단부에 설치된 제1 지그; 제2 지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그부재가 상기 이격공간의 위로 위치하고 상기 제1 지그부재와 마주하도록 상기 제2 스탠드부의 상단부에 설치된 제2 지그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용접장치는, 상기 제1 스탠드부의 상단부에서 상기 제1 지그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지그를 상기 제2 지그를 향해 수평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지그이동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용접장치는, 상기 제2 스탠드부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용접부를 상기 제1 지그 및 제2 지그가 마주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1 수평이동장치; 상기 용접부와 연결되어 상기 용접부를 하강 및 상승시키도록 구성된 승하강장치; 및 상기 용접부와 연결되어 상기 용접부를 상기 제1 지그 및 제2 지그가 마주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2 수평이동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용접장치는 상기 이격공간 내에 설치되고 상기 용접부에 의한 용접이 완료된 후 상기 제1 지그 및 제2 지그를 통한 고정이 해제되면 상기 용접대상물을 아래에서 받치도록 구성된 용접대상물 받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용접대상물 받침부는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목금형 칼 용접용 자동용접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첫째, 용접대상물이 고정되는 위치에 이격공간 즉, 빈 공간이 형성되므로 다양한 크기의 용접대상물을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용접대상물의 크기에 제한 없이 용접대상물을 간단히 고정하여 용접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둘째, 용접기를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승하강장치를 제2 스탠드부 즉, 제2 스탠드부의 제2 상판 상에 배치되도록 설치된 제2 실린더장착대에 장착되므로 용접기를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승하강장치의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고, 이에 의해 승하강장치의 설치를 위한 공간 확보가 용이해질 수 있다.
셋째, 제2 수평이동장치를 통해 토치의 위치를 제1 지그 및 제2 지그가 마주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토치가 용접대상물의 용접부위에 정확히 위치하도록 할 수 있고, 제1 수평이동장치를 통해 토치를 제1 지그 및 제2 지그가 마주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용접부위 전체를 스폿 용접할 수 있으므로 간단하고 신속한 용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금형 칼 용접용 자동용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목금형 칼 용접용 자동용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금형 칼 용접용 자동용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금형 칼 용접용 자동용접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금형 칼 용접용 자동용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목금형 칼 용접용 자동용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금형 칼 용접용 자동용접장치는, 테이블(100), 지그부(200), 지그이동장치(300), 용접부(500), 승하강장치(600), 제1 수평이동장치(700), 제2 수평이동장치(800), 용접가스공급부(900) 및 제어부(1000)를 포함한다.
테이블(100)은 지그부(200), 용접부(500), 용접가스공급부(900) 및 제어부(1000)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테이블(100)은 소정의 면적을 갖는 사각의 베이스판(110), 상기 베이스판(110)의 상면의 일부 영역에 구비되는 제1 스탠드부(120), 상기 제1 스탠드부(120)와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베이스판(110)의 상면의 다른 일부 영역에 구비되는 제2 스탠드부(130) 및 상기 제1 스탠드부(120) 및 제2 스탠드부(130)의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1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탠드부(120)는 베이스판(110)의 상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세워져 있는 다수의 제1 수직프레임(121) 및 다수의 제1 수직프레임(121)의 상단부에 설치된 제1 상판(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탠드부(130)는 베이스판(110)의 상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세워져 있는 다수의 제2 수직프레임(131)의 상단부에 설치된 제2 상판(1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격공간(140)은 빈 공간이고, 이격공간(140)의 길이는 제1 스탠드부(120) 및 제2 스탠드부(130)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일 수 있다.
지그부(200)는 이격공간(140)의 위로 용접대상물(10)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용접대상물(10)을 파지하여 파지된 용접대상물(10)을 상기 이격공간(140)의 위로 위치시킨다. 이를 위해, 지그부(200)는 제1 지그(210), 제2 지그(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그(210)는 일측면에 제1 결합홈(211a)을 형성한 제1 결합블록(211) 및 제1 결합홈(211a)에 삽입되어 제1 결합블록(211)과 결합하는 제1 지그부재(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홈(211a)의 단면 형상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제1 지그부재(212)의 일측면에는 제1 결합홈(211a)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이루어 제1 결합홈(211a) 내에 삽입되는 제1 결합돌기(212b)가 형성되고, 제1 결합돌기(212b)가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는 용접대상물(10)의 단부를 파지하기 위한 제1 파지홈(212a)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지그(210)는 제1 스탠드부(120)에 설치되어 제1 지그부재(212)가 이격공간(140)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그(210)는 지그이동장치(300)에 의해 수평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지그(210)가 수평 이동하는 구조는 지그이동장치(300)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지그(220)는 일측면에 제2 결합홈(221a)을 형성한 제2 결합블록(221) 및 제2 결합홈(221a)에 삽입되어 제2 결합블록(221)과 결합하는 제2 지그부재(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합홈(221a)의 단면 형상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제2 지그부재(222)의 일측면에는 제2 결합홈(221a)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이루어 제2 결합홈(221a) 내에 삽입되는 제2 결합돌기(222b)가 형성되고, 제2 결합돌기(222b)가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는 용접대상물(10)의 단부를 파지하기 위한 제2 파지홈(222a)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2 지그(220)는 제2 스탠드부(13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지그(220)는 제2 지그부재(222)가 제1 지그(210)의 제1 지그부재(212)와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지그이동장치(300)는 제1 스탠드부(120)의 상단부에서 제1 지그(210)의 후방에 위치하여 제1 지그(210)에 연결되고, 제1 지그(210)를 제2 지그(220)를 향해 수평 이동시킨다. 일 예로, 지그이동장치(300)는 제1 레일부(310), 제1 실린더장착대(320), 제1 실린더장치(330) 및 지그연결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일부(310)는 제1 스탠드부(120)의 제1 상판(122)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레일부(310)는 제1 상판(122)에 고정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레일장착부재(311) 및 레일장착부재(311)에 장착되는 한 쌍의 봉으로 이루어지는 제1 레일(312)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실린더장착대(320)는 제1 레일(312)에 결합되는 제1 레일결합블록들(321) 및 제1 레일결합블록들(321) 위에 장착된 제1 실린더받침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실린더장착대(320)는 제1 레일(312)을 따라 수평이동 할 수 있다. 제1 레일결합블록들(321) 중 어느 하나에는 제1 레일결합블록들(321) 및 제1 실린더받침대(322)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핀(323)이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위치고정핀(323)을 조이면 위치고정핀(323)의 단부가 제1 레일(312)에 밀착되어 제1 레일결합블록들(321) 및 제1 실린더받침대(322)의 위치는 고정될 수 있고, 위치고정핀(323)을 풀면 위치고정핀(323)의 단부가 제1 레일(312)과 이격되어 제1 레일결합블록들(321) 및 제1 실린더받침대(322)를 수동으로 제1 레일(312)을 따라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실린더장치(330)는 실린더로드(331) 및 실린더로드(331)의 단부에 고정된 연결플레이트(332)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실린더장착대(320)의 제1 실린더받침대(322)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연결플레이트(332)는 실린더로드(331)가 전진 및 후진할 때 실린더로드(331)와 함께 이동하고 지그연결부(340)와 연결될 수 있다.
지그연결부(340)는 실린더장치(330)의 연결플레이트(332)와 연결되어 연결플레이트(332)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341) 및 고정플레이트(341)와 결합되어 있는 지그장착플레이트(342)를 포함할 수 있다. 지그장착플레이트(342)의 상면에는 제1 지그(210)의 제1 결합블록(211)이 결합되어 지그연결부(340)에 제1 지그(210)가 장착될 수 있다.
용접부(500)는 제2 스탠드부(130) 상에 설치되어 용접대상물(10)의 서로 대응된 두 단부를 용접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용접부(500)는 토치(510), 토치(510)를 파지하여 제1 지그(210) 및 제2 지그(220)의 위로 배치시키기 위한 토치장착부(520) 및 시야보호기구(530)를 포함할 수 있다.
토치(510)는 호스 또는 배관을 통해 용접가스공급부(900)와 연결되어 용접가스공급부(900)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서 용접대상물(10)을 용접하는데 사용된다.
토치장착부(520)의 구조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다수의 판상의 부재들이 서로 결합 및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고, 또한 토치(510)의 토출단이 용접대상물(10)에 대향되는 각도의 조절을 위해 각각의 연결된 판상의 부재들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시야보호기구(530)는 토치(510)를 사용하여 용접대상물(10)을 용접할 때 발생되는 자외선이 작업자의 눈에 손상을 입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일 예로, 시야보호기구(530)는 투명창(532) 및 투명창프레임(531)으로 구성될 수 있다. 투명창프레임(531)은 사각의 개구(531a)가 형성된 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고, 투명창(532)은 투명창프레임(531)의 사각의 개구(531a) 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투명창프레임(531)은 토치장착부(5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토치(510)를 통한 용접 작업시에는 하강하여 토치(510)의 앞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고, 용접 작업이 끝난 경우 및 평상시에는 토치(510)의 위로 위치할 수 있다.
승하강장치(600)는 용접부(500)와 연결되어 용접부(500)를 하강 및 상승시키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승하강장치(600)는 공압실린더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공압실린더의 실린더로드는 토치장착부(520)의 일부분에 연결될 수 있고, 공압이 공급되는 실린더는 제2 스탠드부(130)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수평이동장치(700)는 제2 스탠드부(13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용접부(500)를 상기 제1 지그(210) 및 제2 지그(220)가 마주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제1 수평이동장치(700)는 제2 레일부(710) 및 승하강장치 위치조작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레일부(710)는 제1 레일장착블록(711), 제2 레일장착블록(712) 및 제2 레일(7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일장착블록(711)은 제2 스탠드부(130)의 제2 상판(132)에서 이격공간(140)에 근접하게 위치하여 제2 상판(132)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레일장착블록(711)의 상면에 제2 지그(220)의 제2 결합블록(221)이 결합될 수 있다.
제2 레일장착블록(712)은 제1 레일장착블록(711)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제1 레일장착블록(711)과 대향하도록 제2 상판(132)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레일(713)은 한 쌍의 봉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각각의 봉의 단부는 제1 레일장착블록(711) 및 제2 레일장착블록(712)의 서로 대향하는 각각의 측면부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승하강장치 위치조작부(720)는 이동부(721), 스크류장착대(722), 스크류(723) 및 핸들(72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721)는 제2 레일결합블록들(721a) 및 이동플레이트(72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레일결합블록들(721a)은 제2 레일(713)에 결합될 수 있고, 이동플레이트(721b)는 제2 레일결합블록들(721a)의 위로 위치하도록 제2 레일결합블록들(721a)과 결합될 수 있고 장축변이 제1 지그(210) 및 제2 지그(220)가 마주하는 방향에 수직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스크류장착대(722)는 제1 스탠드부(120)의 제1 상판(122)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스크류장착대(722)는 단면 형상이 'ㄴ'자 형상일 수 있다.
스크류(723)는 회전하여 이동부(721)의 이동플레이트(721b)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크류(723)는 스크류장착대(722) 및 이동플레이트(721b)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스크류(723)는 축방향이 제1 지그(210) 및 제2 지그(220)가 마주하는 방향에 평행하도록 결합된다. 스크류(723)와의 결합 및 스크류(723)의 회전에 의한 이동플레이트(721b)의 이동을 위해 스크류장착대(722) 및 이동플레이트(721b)는 나사구멍(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플레이트(721b)에 형성되는 나사구멍은 이동플레이트(721b)의 측면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핸들(724)은 스크류(723)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 스크류(723)를 회전시키도록 조작될 수 있다. 일 예로, 핸들(724)은 스크류(723)의 양측 단부 중 스크류장착대(722)에 결합된 일측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수평이동장치(800)는 제2 실린더장착대(810) 및 위치조절스크류(8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린더장착대(810)는 이동부(721)의 이동플레이트(721b)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실린더장착대(810)는 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실린더장착대(810)의 상면에는 승하강장치(600)가 장착될 수 있고, 이동플레이트(721b)의 상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실린더장착대(810)는 이동플레이트(721b)의 상면에 놓인 상태일 수도 있고, 별도의 가이드장치(미도시)를 통해 이동플레이트(721b)의 상면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일 예로, 가이드장치는 LM가이드일 수 있다.
위치조절스크류(820)는 제2 실린더장착대(810)가 이동플레이트(721b)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이동플레이트(721b)의 제2 레일(713)에 인접한 단축변 측에는 위치조절스크류(820)의 결합을 위한 스크류결합편(830)이 설치되고, 상기 스크류결합편(830)에 위치조절스크류(820)가 결합된 상태로 위치조절스크류(820)의 단부는 제2 실린더장착대(810)의 플레이트의 측면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조절스크류(820)를 좌, 우로 회전시키면 제2 실린더장착대(810)는 이동플레이트(721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용접가스공급부(900)는 용접부(500)의 토치(510)로 용접가스를 공급한다. 일 예로, 용접가스공급부(900)는 가스탱크(910), 밸브부(920) 및 압력게이지(93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탱크(910)는 토출단(911)을 포함하고, 토출단(911)에 밸브부(920)가 연결되어 밸브부(920)가 개방되면 토출단(911) 및 토치(510)와 연결된 배관 또는 호스를 통해 용접가스를 토치(510)로 공급할 수 있다.
밸브부(920)는 가스탱크(910)의 토출단(911)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밸브부(920)는 가스배관(921) 및 밸브(92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배관(921)은 가스탱크(910)의 토출단(911)에 연결될 수 있고, 밸브(922)는 가스배관(921) 상에 설치되어 가스배관(921)의 내부를 개폐할 수 있다. 일 예로, 밸브(922)는 전자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압력게이지(930)는 밸브부(920)의 가스배관(921) 상에 설치되어 가스배관(921)을 통해 토출되는 용접가스의 토출압력을 측정 및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000)는 자동용접기의 전원의 온(ON)/오프(OF)를 제어할 수 있고, 지그이동장치(300)의 실린더장치(330) 및 승하강장치(600), 용접가스공급부(900)의 밸브(922)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000)는 밸브(922)의 구동을 위해 구동스위치(1010)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구동스위치(1010)는 풋 스위치일 수 있다. 풋 스위치는 지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용접장치를 이용하여 용접대상물을 용접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용접대상물(10)은 포장지, 리사이클 제품, 필름시트 등 다양한 타발에 이용되는 목금형용 톰슨 칼(steel cutting rules)일 수 있다. 이러한 톰슨 칼은 스틸(steel) 재질의 재료를 절곡 형성하여 소정 형상을 갖도록 제작되는데, 이때 톰슨 칼의 양측 단부를 맞대어 용접하게 되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자동용접장치가 이용된다. 이하에서는 용접대상물(10)이 톰슨 칼인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용접대상물(10) 예를 들면, 톰슨 칼의 양측 단부를 맞대어 용접하기 위해 톰슨 칼의 양측 단부에 수직한 변을 제1 지그(210) 및 제2 지그(220)에 고정한다. 이때, 톰슨 칼의 양측 단부에 수직한 일측의 단부를 제2 지그(220)의 제2 지그부재(222)의 제2 파지홈(222a)에 밀착시키고, 지그이동장치(300)의 실린더장치(330)를 구동시켜서 제1 지그(210)의 제1 지그부재(212)의 제1 파지홈(212a)이 톰슨 칼의 다른 일측의 단부에 밀착되어, 톰슨 칼은 제1 지그(210) 및 제2 지그(220) 사이에 고정된다.
이때, 용접대상물(10)은 제1 스탠드부(120) 및 제2 스탠드부(130) 사이의 이격공간(140)의 위 또는 내측으로 위치할 수 있다. 즉, 용접대상물(10)이 제1 지그(210) 및 제2 지그(220)의 위치로부터 제1 상판(122) 및 제2 상판(132)의 높이 사이에 수용되는 크기이면 이격공간(140)의 위로 위치할 수 있고, 용접대상물(10)의 크기가 제1 스탠드부(120) 및 제2 스탠드부(130)의 높이 방향으로 길거나 큰 경우이면 이격공간(14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용접부위 즉, 톰슨 칼의 양측 단부가 맞대어진 부분을 용접부(500)를 이용하여 용접한다. 이를 위해, 먼저 용접부(500)의 토치(510)의 끝단이 용접부위를 향하도록 위치 조정한다. 이 과정에서 제2 수평이동장치(800)의 위치조절스크류(820)를 회전시켜서 제2 실린더장착대(810)가 이동하도록 하고 이에 의해 승하강장치(600) 및 토치(510)를 이동시켜서 토치(510)의 단부가 용접부위의 위로 위치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한편 평상시 승하강장치(600)는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여 토치(510)가 제1 지그(210) 및 제2 지그(220)의 위로 멀게 위치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톰슨 칼의 용접부위를 용접하고자 할 때 승하강장치(600)는 토치(510)를 하강시켜서 토치(510)가 톰슨 칼의 용접부위를 용접할 수 있는 거리로 위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토치(510)가 톰슨 칼의 용접부위를 용접할 수 있는 거리로 위치되면, 시야보호기구(530)를 토치(510)의 앞을 향해 하강시키고, 제어부(1000)의 구동스위치(1010)를 누르면 가스공급부(900)의 밸브(922)가 개방되고, 이에 의해 가스공급부(900)로부터 용접가스가 토치(510)로 공급되어 토치(510)에 의한 톰슨 칼의 용접부위의 용접이 이루어진다.
또한, 토치(510)를 통해 톰슨 칼의 용접부위를 용접할 때 토치(510)는 제1 수평이동장치(700)를 통해 제1 지그(210) 및 제2 지그(220)가 마주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제1 수평이동장치(700)의 핸들(724)을 잡고 일방향, 예를 들면 핸들(724)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크류(723)가 회전함에 따라 스크류(723)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이동플레이트(721b)가 스크류(723)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토치(510)를 제1 지그(210)의 위치로부터 제2 지그(220)의 위치로 또는 제2 지그(220)의 위치로부터 제1 지그(210)의 위치로 이동하면서 톰슨 칼의 용접부위를 스폿 용접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용접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첫째, 용접대상물(10)이 고정되는 위치에 이격공간(140) 즉, 빈 공간이 형성되므로 다양한 크기의 용접대상물(10)을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용접대상물(10)의 크기에 제한 없이 용접대상물(10)을 간단히 고정하여 용접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둘째, 용접부(500)를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승하강장치(600)를 제2 스탠드부(130) 즉, 제2 스탠드부(130)의 제2 상판(132) 상에 배치되도록 설치된 제2 실린더장착대(810)에 장착되므로 용접부(500)를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승하강장치(600)의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고, 이에 의해 승하강장치(600)의 설치를 위한 공간 확보가 용이해질 수 있다.
셋째, 제2 수평이동장치(800)를 통해 토치(510)의 위치를 제1 지그(210) 및 제2 지그(220)가 마주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토치(510)가 용접대상물(10)의 용접부위에 정확히 위치하도록 할 수 있고, 제1 수평이동장치(700)를 통해 토치(510)를 제1 지그(210) 및 제2 지그(220)가 마주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용접부위 전체를 스폿 용접할 수 있으므로 간단하고 신속한 용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용접장치를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용접장치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금형 칼 용접용 자동용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금형 칼 용접용 자동용접장치는 용접대상물 받침부(11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용접장치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용접대상물 받침부(110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용접대상물 받침부(1100)는 용접대상물(10)에 대해 용접부(500)에 의한 용접이 완료된 후 제1 지그(210) 및 제2 지그(220)를 통한 고정이 해제되면 용접대상물(10)을 아래에서 받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용접대상물 받침부(1100)는 제2 실린더장치(1110) 및 용접대상물 받침대(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린더장치(1110)는 테이블(100)의 베이스판(110) 상에 고정되어 이격공간(14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실린더장치(1110)는 실린더로드(1111)를 포함할 수 있고, 실린더로드(1111)는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다.
용접대상물 받침대(1120)는 제2 실린더장치(1110)의 실린더로드(1111)의 상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용접대상물 받침대(1120)는 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사각의 플레이트의 크기는, 예를 들면 이격공간(140)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 및 이격공간(140)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금형 칼 용접용 자동용접장치는 제1 지그(210) 및 제2 지그(220)에 용접대상물(10)이 고정되면, 용접대상물 받침대(1120)가 제2 실린더장치(1110)에 의해 상승하여 용접대상물(10)의 아래에 근접하게 위치하고, 용접작업이 완료된 후 제1 지그(210) 및 제2 지그(220)로부터 용접대상물(10)의 고정이 해제되면 용접대상물(10)은 용접대상물 받침대(1120)의 상면에 놓이게 된다.
이에 의해, 제1 지그(210) 및 제2 지그(220)가 용접대상물(10)의 고정을 해제할 때 작업자는 용접대상물(10)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용접대상물(10)을 손으로 잡아야 하는 번거러움이 해소되고, 작업자는 용접대상물 받침대(1120)에 놓인 용접이 완료된 용접대상물(10)을 간단히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제1 상판(122) 및 제2 상판(132)의 저면에는 흡음층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흡음층을 구성하는 부직포로는 니들펀치 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다.
니들펀치 부직포로 이루어진 흡음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종류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나일론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아크릴 섬유, 천연 섬유 등이 있다.
상기 흡음층의 두께는, 0.3 ~ 1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음층의 두께가 0.3㎜ 미만에서는 충분한 흡음 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15㎜를 초과하면 제1 상판(122) 및 제2 상판(132) 내부공간이 저감되어 내부공간의 스페이스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 단점이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흡음층의 단위 무게는 10 ~ 1000g/m2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g/m2 미만에서는 충분한 흡음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또한 1000g/m2 을 넘으면 제1 상판(122) 및 제2 상판(132)의 경량성을 확보할 수 없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흡음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는 0.1 ~ 30데시텍스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0.1데시텍스 미만에서는 저주파 소음의 흡수가 어렵고, 쿠션성도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30데시텍스를 넘으면 고주파 소음의 흡수가 어려우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 중에서도 흡음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는 0.1 ~ 15데시텍스의 범위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흡음층이 제1 상판(122) 및 제2 상판(132)의 저면에 구비되므로 용접작업시 제1 상판(122) 및 제2 상판(132)에 전달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지그(210) 및 제2 지그(220)는 FCD주철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FCD주철을 1600∼1650℃로 가열시켜서 용탕으로 만든 다음 탈황처리를 하며, 마그네슘이 0.3∼0.7중량% 정도 포함된 구상화 처리제를 넣고 1500∼1550℃에서 구상화 처리를 실시한 후 열처리하여 이루어진다.
FCD주철은, 일반 회주철의 용탕에 마그네슘 등을 첨가하여 응고과정에서 흑연이 구상으로 정출된 주철이므로 회주철에 비하여 흑연의 형태가 구상이다. 이러한 FCD주철은 노치효과가 적기 때문에 응력 집중 현상이 감소되어 강도와 인성이 크게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1 지그(210) 및 제2 지그(220)는 FCD주철을 1600∼1650℃로 가열시켜서 용탕으로 만든 다음 탈황처리를 하며, 마그네슘이 0.3∼0.7중량% 정도 포함된 구상화 처리제를 넣고 1500∼1550℃에서 구상화 처리를 실시한 후 열처리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FCD주철을 1600℃ 미만으로 가열하면 전체 조직이 충분히 용융되지 못하며, 1650℃를 초과하여 가열시키면 불필요하게 에너지가 낭비된다. 그러므로 FCD주철을 1600∼1650℃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융된 FCD주철에는 마그네슘이 0.3∼0.7중량% 정도 포함된 구상화 처리제를 넣는 바, 마그네슘이 0.3중량% 미만이면 구상화 처리제를 투입효과가 극히 미미해 지며, 0.7중량%를 초과하면 구상화 처리제의 투입효과가 크게 향상되지 않는 반면에, 고가의 재료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구상화 처리제의 마그네슘 혼합비율은 0.3∼0.7중량% 정도가 적합하다.
용융된 FCD주철에 구상화 처리제가 투입되면 이를 1500∼1550℃에서 구상화 처리를 실시한다. 구상화 처리 온도가 1500℃ 미만이면 구상화 처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1550℃를 초과하면 구상화 처리 효과가 크게 개선되지 않는 반면에 불필요하게 에너지가 낭비된다. 그러므로 구상화 처리 온도는 1500∼1550℃가 적합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지그(210) 및 제2 지그(220)가 FCD주철로 이루어지므로 노치효과가 적기 때문에 응력 집중 현상이 감소되어 강도와 인성이 크게 향상된다.
그리고, 제1 파지홈(212a) 및 제2 파지홈(222a)에는 강화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강화도포층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 및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분말이 제1 파지홈(212a) 및 제2 파지홈(222a)에 용사되어서 이루어지고, 50∼600㎛의 두께로 이루어지며, 경도는 900∼1000HV를 유지하도록 플라즈마 도포된다.
제1 파지홈(212a) 및 제2 파지홈(222a)의 외주면에 세라믹 도포를 하는 이유는 마모 방지 및 부식 방지가 주목적이다. 세라믹 도포는 크롬도금 또는 니켈크롬도금에 비해 내부식성, 내스크래치성, 내마모성, 내충격성 및 내구성이 뛰어나다.
산화크롬(Cr2O3)은, 금속 내부로 침입하는 산소를 차단시키는 부동태피막(Passivity Layer)의 역할을 함으로써 녹이 잘 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산화티타늄(TiO2)은, 물리화학적으로 매우 안정적이고 은폐력이 높아서 백색안료로 많이 된다. 또한 굴절율이 높아서 고굴절율의 세라믹스에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광촉매적 특성과 초친수성의 특성을 갖는다. 이산화티타늄(TiO2)은, 공기정화 작용, 항균작용, 유해물질 분해작용, 오염방지 기능, 변색 방지기능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산화티타늄(TiO2)은, 강화도포층이 제1 파지홈(212a) 및 제2 파지홈(222a)의 외주면에 확실하게 피복되도록 하며, 강화도포층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해, 제거하여 강화도포층의 손상을 방지시킨다.
여기서, 산화크롬(Cr2O3)과 이산화티타늄(TiO2)을 혼합하여서 사용할 경우, 이들의 혼합 비율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에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크롬(Cr2O3)의 혼합비율이 96∼98%보다 적을 경우, 고온 등의 환경에서 산화크롬(Cr2O3)의 피복이 파괴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었으며, 이에 따라 제1 파지홈(212a) 및 제2 파지홈(222a)의 녹방지 효과가 급격이 저하되었다.
이산화티타늄(TiO2)의 혼합비율이 2∼4중량%보다 적을 경우, 이를 산화크롬(Cr2O3)에 혼합하는 목적이 퇴색될 정도로 이산화티타늄(TiO2)의 효과가 미미하였다. 즉, 이산화티타늄(TiO2)은 제1 파지홈(212a) 및 제2 파지홈(222a)의 외주면 둘레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분해, 제거하여서 제1 파지홈(212a) 및 제2 파지홈(222a)의 외주면이 부식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시키는데, 그 혼합비율이 2∼4중량%보다 작을 경우, 부착된 이물질을 분해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재료들로 이루어진 강화도포층은, 제1 파지홈(212a) 및 제2 파지홈(222a)의 둘레에 50∼600㎛의 두께로 이루어지고, 경도는 900∼1000HV, 표면조도는 0.1∼0.3㎛를 유지하도록 플라즈마 도포된다.
이러한 강화도포층은, 상기의 분말가루와 1400℃의 가스를 마하 2정도의 속도로 제1 파지홈(212a) 및 제2 파지홈(222a)의 둘레에 제트분사하여서 50∼600㎛으로 용사한다.
강화도포층의 두께가 50㎛ 미만일 경우, 상술한 세라믹 도포층에 의한 효과가 보장되지 못하게 되며, 강화도포층의 두께가 600㎛을 초과할 경우, 상술한 효과의 증대는 미미한 반면 과다한 세라믹도포에 의해 작업시간 및 재료비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제1 파지홈(212a) 및 제2 파지홈(222a)에 강화도포층이 도포되는 동안 커팅날(12)의 외주면의 온도는 상승되는데, 가열된 제1 파지홈(212a) 및 제2 파지홈(222a)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제1 파지홈(212a) 및 제2 파지홈(222a)이 냉각장치(미도시)로 냉각되어서 150∼200℃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된다.
강화도포층의 둘레에는 금속계 유리 석영 계통으로 이루어진 무수크롬산(CrO3)으로 이루어진 실링재가 더 도포될 수 있다. 무수크롬산은 무기실링재로써 크롬니켈 분말로 이루어진 도포층 둘레에 도포된다.
무수크롬산(CrO3)은, 높은 내마모, 윤활성, 내열성, 내식성, 이형성을 필요로 하는 곳에 사용되며, 대기중에서 변색이 안되고, 내구성이 크며, 내마모성과 내식성이 좋다. 실링재의 도포 두께는 0.3∼0.5㎛ 정도가 바람직하다. 실링재의 도포두께가 0.3㎛ 미만이면 약간의 스크래치홈에도 실링재가 쉽게 파이면서 벗겨지게 되므로 상술한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실링재의 도포두께가 0.5㎛를 초과할 정도로 두껍게 하면 도금면에 핀홀(pin hole), 균열 등이 많게 된다. 따라서 실링재의 도포두께는 0.3∼0.5㎛ 정도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파지홈(212a) 및 제2 파지홈(222a)의 둘레에 내마모성 및 내산화성이 뛰어난 도포층이 형성되므로 제1 파지홈(212a) 및 제2 파지홈(222a)이 마모되거나 산화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제품의 수명이 연장된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테이블 200 : 지그부
300 : 지그이동장치 500 : 용접부
600 : 승하강장치 700 : 제1 수평이동장치
800 : 제2 수평이동장치 900 : 용접가스공급부
1000 : 제어부 1100 : 용접대상물 받침부

Claims (4)

  1. 소정의 면적을 갖는 사각의 베이스판(110), 상기 베이스판(110)의 상면의 일부 영역에 구비되는 제1 스탠드부(120), 상기 제1 스탠드부(120)와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베이스판(110)의 상면의 다른 일부 영역에 구비되는 제2 스탠드부(130) 및 상기 제1 스탠드부(120) 및 제2 스탠드부(130)의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140)을 포함하는 테이블(100);
    상기 제1 스탠드부(120) 및 제2 스탠드부(130) 상에 설치되고, 상기 이격공간(140)의 위로 용접대상물(10)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용접대상물(10)을 파지하여 파지된 용접대상물(10)을 상기 이격공간(140)의 위로 위치시키도록 구성된 용접대상물 지그부(200);
    상기 제2 스탠드부(130) 상에 설치되어 상기 용접대상물(10)의 서로 대응된 두 단부를 용접하도록 구성된 용접부(500);
    상기 용접부(500)에 용접가스를 공급하는 용접가스공급부(900); 및
    상기 용접가스공급부(900)를 구동시키는 제어부(1000)를 포함하며;
    제1 상판(122) 및 제2 상판(132)의 저면에는 흡음층이 도포되되, 상기 흡음층을 구성하는 부직포로는 니들펀치 부직포가 사용되고, 상기 니들펀치 부직포로 이루어진 흡음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종류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나일론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아크릴 섬유, 천연 섬유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음층의 두께는, 0.3 ~ 15㎜이며, 상기 흡음층의 단위 무게는 10 ~ 1000g/m2 이고, 상기 흡음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는 0.1 ~ 30데시텍스의 범위이며;
    제1 지그(210) 및 제2 지그(220)는 FCD주철로 이루어지되, 상기 FCD주철을 1600∼1650℃로 가열시켜서 용탕으로 만든 다음 탈황처리를 하며, 마그네슘이 0.3∼0.7중량% 정도 포함된 구상화 처리제를 넣고 1500∼1550℃에서 구상화 처리를 실시한 후 열처리하여 이루어지고;
    제1 파지홈(212a) 및 제2 파지홈(222a)에는 강화도포층이 도포되되, 상기 강화도포층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 및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분말이 제1 파지홈(212a) 및 제2 파지홈(222a)에 용사되어서 이루어지고, 50∼600㎛의 두께로 이루어지며, 경도는 900∼1000HV를 유지하도록 플라즈마 도포되고, 상기 강화도포층은, 제1 파지홈(212a) 및 제2 파지홈(222a)의 둘레에 50∼600㎛의 두께로 구비되며, 상기 강화도포층의 둘레에는 금속계 유리 석영 계통으로 이루어진 무수크롬산(CrO3)으로 이루어진 실링재가 도포되고, 상기 실링재의 도포 두께는 0.3∼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금형 칼 용접용 자동용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부(200)는,
    제1 지그부재(21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그부재(212)가 상기 이격공간(140)의 위로 위치하도록 상기 제1 스탠드부(120)의 상단부에 설치된 제1 지그(210);
    제2 지그부재(222)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그부재(222)가 상기 이격공간(140)의 위로 위치하고 상기 제1 지그부재(212)와 마주하도록 상기 제2 스탠드부(130)의 상단부에 설치된 제2 지그(220)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용접장치는,
    상기 제1 스탠드부(120)의 상단부에서 상기 제1 지그(210)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지그(210)를 상기 제2 지그(220)를 향해 수평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지그이동장치(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금형 칼 용접용 자동용접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용접장치는,
    상기 제2 스탠드부(13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용접부(500)를 상기 제1 지그(210) 및 제2 지그(220)가 마주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1 수평이동장치(700);
    상기 용접부(500)와 연결되어 상기 용접부(500)를 하강 및 상승시키도록 구성된 승하강장치(600); 및
    상기 용접부(500)와 연결되어 상기 용접부(500)를 상기 제1 지그(210) 및 제2 지그(220)가 마주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2 수평이동장치(8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금형 칼 용접용 자동용접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용접장치는 상기 이격공간(140) 내에 설치되고 상기 용접부(500)에 의한 용접이 완료된 후 상기 제1 지그(210) 및 제2 지그(220)를 통한 고정이 해제되면 상기 용접대상물(10)을 아래에서 받치도록 구성된 용접대상물 받침부(11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용접대상물 받침부(1100)는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금형 칼 용접용 자동용접장치.
KR1020150146202A 2015-10-20 2015-10-20 목금형 칼 용접용 자동용접장치 KR101616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202A KR101616340B1 (ko) 2015-10-20 2015-10-20 목금형 칼 용접용 자동용접장치
PCT/KR2016/010388 WO2017069409A1 (ko) 2015-10-20 2016-09-13 목금형 칼 용접용 자동용접장치
JP2016202492A JP2017077585A (ja) 2015-10-20 2016-10-14 抜き型刃溶接用自動溶接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202A KR101616340B1 (ko) 2015-10-20 2015-10-20 목금형 칼 용접용 자동용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6340B1 true KR101616340B1 (ko) 2016-04-28

Family

ID=55915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6202A KR101616340B1 (ko) 2015-10-20 2015-10-20 목금형 칼 용접용 자동용접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7077585A (ko)
KR (1) KR101616340B1 (ko)
WO (1) WO2017069409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2339B1 (ko) * 2017-08-23 2018-01-25 박선근 자동용접장치
CN107671400A (zh) * 2017-09-27 2018-02-09 阳江市五金刀剪产业技术研究院 一种刀柄焊接夹具
WO2019172540A1 (ko) * 2018-03-08 2019-09-12 박선근 자동 및 수동 겸용의 용접장치
KR20190141859A (ko) * 2018-06-15 2019-12-26 박선근 목금형 칼 자동용접장치용 지그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17171B (zh) * 2017-10-12 2019-09-06 新昌县科创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直线火焰焊机及其焊接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5322B1 (ko) * 1994-07-06 1999-06-15 아다찌 마사루 가스 실드 아크 용접기
JP2004230396A (ja) * 2003-01-28 2004-08-19 Toyota Motor Corp 薄肉溶接管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KR100777049B1 (ko) * 2006-11-10 2007-11-20 (주)청송산업기계 멤브레인 시공용 판재를 용접하기 위한 로봇
KR100880350B1 (ko) 2004-10-15 2009-01-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주름판재 자동용접장치의 용접토치 회전기구 구조체
KR101275251B1 (ko) * 2012-10-26 2013-06-17 송용열 압력탱크 용접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85A (ja) * 1982-06-25 1984-01-06 Dengensha Mfg Co Ltd コイル接続用溶接機
JPH0669617B2 (ja) * 1986-02-12 1994-09-07 眞實 田中 ダイカツタ用打抜刃の溶接方法
FR2715092B1 (fr) * 1994-01-20 1996-04-05 Lorraine Laminage Dispositif de mise en référence bord à bord d'au moins deux flans de tôle dans une installation de soudage au moyen d'un faisceau à haute densité d'énergie.
JP3073038U (ja) * 2000-05-08 2000-11-14 剛二 勝島 極薄板突き合わせ溶接装置
KR101554090B1 (ko) * 2014-01-17 2015-09-1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용접 로봇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5322B1 (ko) * 1994-07-06 1999-06-15 아다찌 마사루 가스 실드 아크 용접기
JP2004230396A (ja) * 2003-01-28 2004-08-19 Toyota Motor Corp 薄肉溶接管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KR100880350B1 (ko) 2004-10-15 2009-01-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주름판재 자동용접장치의 용접토치 회전기구 구조체
KR100777049B1 (ko) * 2006-11-10 2007-11-20 (주)청송산업기계 멤브레인 시공용 판재를 용접하기 위한 로봇
KR101275251B1 (ko) * 2012-10-26 2013-06-17 송용열 압력탱크 용접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2339B1 (ko) * 2017-08-23 2018-01-25 박선근 자동용접장치
CN107671400A (zh) * 2017-09-27 2018-02-09 阳江市五金刀剪产业技术研究院 一种刀柄焊接夹具
WO2019172540A1 (ko) * 2018-03-08 2019-09-12 박선근 자동 및 수동 겸용의 용접장치
US11027375B2 (en) 2018-03-08 2021-06-08 Seon Geun PARK Automatic and manual welding apparatus
KR20190141859A (ko) * 2018-06-15 2019-12-26 박선근 목금형 칼 자동용접장치용 지그조립체
KR102069149B1 (ko) * 2018-06-15 2020-02-11 박선근 목금형 칼 자동용접장치용 지그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077585A (ja) 2017-04-27
WO2017069409A1 (ko) 201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6340B1 (ko) 목금형 칼 용접용 자동용접장치
EP0828581A2 (de) Laserstrahlgerät und verfahren zur bearbeitung von werkstücken
CN112958881A (zh) 一种悬挂式齿轮减速机箱体开裂手工焊接装置及焊接工艺
KR101363584B1 (ko) Fpcb 불량 피스 천공기
DE19535557A1 (de) Vorrichtung zum Reinigen einer Innenwandung einer Form mittels Trockeneis
CN107309221A (zh) 一种双波长复合光束整形的手持式自适应激光清洗装置
JP2011088183A (ja) 棒鋼材の識別表示装置
ATE353720T1 (de) Anpassbarer dorn zum fliessdrücken, vorrichtung zum fliessdrücken mit einem solchen dorn, sowie verfahren zum fliessdrücken
CN105779995B (zh) 扁司轴套的激光修复工艺
KR20090113504A (ko) 선체블록 하부 자동 도장장치
KR101711727B1 (ko) 공작기계용 팔레트 클램핑 시스템
RU2381096C2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струйно-абразивной обработкой поверхности изделий из титановых сплавов
EP0415570A2 (en) Corrosion resistant stainless steel
AT401246B (de) Vorrichtung zum bearbeiten eines werkstückes mit einem laserstrahl
CN211638975U (zh) 一种降噪地铁车轮消音环简易下料切割装置
JP2009068091A (ja) 金属製品加熱用台車
DE19809982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parieren von Lackfehlerstellen einer Lackbeschichtung
CN106378271A (zh) 一种高效的球墨铸铁管管身喷印方法
KR101563879B1 (ko) 기계동기식 스크랩 커터구조
EP3122511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laserstrahlschneiden
US780675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utting using a liquid fluid jet
CN107443027A (zh) 一种提高集装箱焊接平整度的焊接方法
JP3642864B2 (ja) 合成樹脂製部品の製造方法
CN116060816B (zh) 一种超长堆垛机立柱箱体及其制造方法
CN114227148A (zh) 用于液压支架结构件的特种钢板的加工装置及加工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