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6999B1 - 축열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축열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6999B1
KR101606999B1 KR1020140096530A KR20140096530A KR101606999B1 KR 101606999 B1 KR101606999 B1 KR 101606999B1 KR 1020140096530 A KR1020140096530 A KR 1020140096530A KR 20140096530 A KR20140096530 A KR 20140096530A KR 101606999 B1 KR101606999 B1 KR 101606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ion plate
baffle
inlet
heat accumulator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6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4380A (ko
Inventor
박병철
김인수
오창용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6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6999B1/ko
Publication of KR20160014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4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20/006Heat stora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20/0065Details, e.g. particular heat storage tanks, auxiliary members within tan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축열 컨테이너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 측에는 제1 유입구가, 타 측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용기부; 상기 제1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분리 플레이트; 상기 제1 분리 플레이트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설치되는 타공성의 제2 분리 플레이트; 상기 제2 분리 플레이트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설치되는 타공성의 제3 분리 플레이트; 상기 제2 분리 플레이트와 상기 제3 분리 플레이트 사이에 수용되는 고체 축열체; 상기 제1 분리 플레이트에서 상기 제3 분리 플레이트까지 연장됨으로써 상기 고체 축열체의 수용 공간을 복수의 수용 공간으로 분리하는 축열 플레이트; 상기 고체 축열체의 복수의 수용 공간 각각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1 분리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복수의 유입 홀을 각각 개폐하는 복수의 댐퍼; 및 상기 고체 축열체의 복수의 수용 공간 각각에 대응하도록 상기 용기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 유입구에 설치되어 외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복수의 배플을 포함하는 축열 컨테이너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축열 컨테이너{THERMAL STORAGE CONTAINERS}
본 발명은 축열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열 택배 기술은 축열체를 이용하여 공장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축열한 후 열 수요처로 이송하여 방열하는 것을 의미한다. 종래 열 택배 기술에서, 축열체로 열매유와 상변화물질(PCM, Phase Change Material)을 사용하여 200℃ 이하의 중 저온 폐열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열매유는 200℃ 이하의 배기가스와 열 교환을 한 후 축열 컨테이너에 수용된 상 변화물질과 열 교환을 함으로써 폐열이 상 변화물질의 잠열로 축열될 수 있다. 즉, 상 변화물질이 고체에서 액체로 상 변화를 일으키면서 폐열은 잠열 형태로 축열될 수 있다. 열 수요처에서는 상 변화물질이 액체에서 고체로 상 변화를 일으키면서 잠열 형태로 축열된 폐열이 방열될 수 있다. 즉, 축열체는 공장에서 열 수요처로 이송되는 과정에 액체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32771호(2008. 05. 27, 축열컨테이너)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유체의 배출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축열 컨테이너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 측에는 제1 유입구가, 타 측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용기부; 상기 제1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분리 플레이트; 상기 제1 분리 플레이트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설치되는 타공성의 제2 분리 플레이트; 상기 제2 분리 플레이트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설치되는 타공성의 제3 분리 플레이트; 상기 제2 분리 플레이트와 상기 제3 분리 플레이트 사이에 수용되는 고체 축열체; 상기 제1 분리 플레이트에서 상기 제3 분리 플레이트까지 연장됨으로써 상기 고체 축열체의 수용 공간을 복수의 수용 공간으로 분리하는 축열 플레이트; 상기 고체 축열체의 복수의 수용 공간 각각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1 분리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복수의 유입 홀을 각각 개폐하는 복수의 댐퍼; 및 상기 고체 축열체의 복수의 수용 공간 각각에 대응하도록 상기 용기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 유입구에 설치되어 외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복수의 배플을 포함하는 축열 컨테이너가 제공된다.
상기 배플의 저면에는 복수의 반구형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플은 상기 제2 유입구에서 상기 제1 유입구 측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회동 각도에 의해 외기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배플을 구동하는 배플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플 구동부는, 상기 용기부의 상면에 탑재되는 윈치; 단부가 상기 배플의 상면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윈치에 감기는 쇠사슬; 상기 배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유체 온도를 기 설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윈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체 축열체는 강철 볼 또는 알루미나 세라믹 볼일 수 있다.
상기 배출구에 설치되는 임펠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부에는 상기 제3 분리 플레이트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구 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테이퍼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고체 축열체의 수용 공간을 복수의 수용 공간으로 분리하여 순차적으로 방열하고 외기의 유입량을 조절함으로써, 축열 컨테이너에서 배출되는 유체의 온도를 열 수요처에서 요구하는 온도와 거의 유사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열 컨테이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열 컨테이너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열 컨테이너를 도 1의 I - I´에서 절단하여 댐퍼 및 배플이 개방된 상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제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열 컨테이너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의 온도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축열 컨테이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열 컨테이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열 컨테이너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열 컨테이너를 도 1의 I - I´에서 절단하여 댐퍼 및 배플이 개방된 상태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제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열 컨테이너(10)는 용기부(100), 제1 분리 플레이트(200), 제2 분리 플레이트(210), 제3 분리 플레이트(220), 축열 플레이트(230), 고체 축열체(300), 댐퍼(400), 배플(500), 배플 구동부(600) 및 임펠러(700)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부(100)에는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용기부(100)의 일 측에는 제1 유입구(110)가 형성될 수 있고, 상부에는 제2 유입구(120)가 형성될 수 있고, 타 측에는 배출구(13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유입구(110)는 배출구(130)가 형성되는 용기부(100)의 일 측면과 마주보는 타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용기부(100)의 내부 공간은 제1 유입구(110), 제2 유입구(120) 또는 배출구(130)를 통해 외부와 연결될 수 있다.
용기부(100)의 내부 공간, 구체적으로는 용기부(1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고체 축열체(300)에 폐열을 축열하거나 고체 축열체(300)에서 방열되는 열을 회수하는 열 매체는 제1 유입구(110)를 통해 용기부(1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어 배출구(130)를 통해 용기부(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고체 축열체(300)에서 방열되는 열을 회수하는 열 매체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열 매체에 혼합되는 외기는 제2 유입구(120)를 통해 용기부(1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유입구(110)와 배출구(130)에는, 열 택배, 즉 축열 컨테이너(10)의 이송 중에 외기가 제1 유입구(110) 또는 배출구(130)를 통해 용기부(100)의 내부 공간에 출입하지 못하도록, 제1 유입구(110)와 배출구(130)를 폐쇄하는 마개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용기부(100)는 단열성이 우수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분리 플레이트(200), 제2 분리 플레이트(210) 및 제3 분리 플레이트(220)는 용기부(100)의 내부 공간을 분리할 수 있다.
제1 분리 플레이트(200), 제2 분리 플레이트(210) 및 제3 분리 플레이트(220)는 용기부(10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분리 플레이트(200), 제2 분리 플레이트(210) 및 제3 분리 플레이트(220)는 제1 유입구(110) 측에서 배출구(130) 측으로 차례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분리 플레이트(200)는 제1 유입구(110)와 제2 분리 플레이트(210) 사이의 공간을 2개의 공간으로 분리할 수 있고, 제2 분리 플레이트(210)는 제1 분리 플레이트(200)와 제3 분리 플레이트(220) 사이의 공간을 2개의 공간으로 분리할 수 있고, 제3 분리 플레이트(220)는 제2 분리 플레이트(210)와 배출구(130) 사이의 공간을 2개의 공간으로 분리할 수 있다.
제1 분리 플레이트(200)에는 유입 홀(201)이 형성될 수 있다.
유입 홀(201)은, 후술하는 것처럼 고체 축열체(300)의 수용 공간이 축열 플레이트(230)에 의해 복수의 수용 공간으로 분리되는 경우, 고체 축열체(300)의 복수의 수용 공간 각각에 대응하도록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유입 홀(201)은 고체 축열체(300)의 수용 공간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분리 플레이트(210) 및 제3 분리 플레이트(220)는 타공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2 분리 플레이트(210) 및 제3 분리 플레이트(220)에는 복수의 관통 홀(211, 221)이 형성될 수 있다.
고체 축열체(300)는 제2 분리 플레이트(210)와 제3 분리 플레이트(220) 사이에 수용될 수 있다.
즉, 고체 축열체(300)의 수용 공간은 제2 분리 플레이트(210)와 제3 분리 플레이트(2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입구(120)는 고체 축열체(300)의 수용 공간 상부에 1개 또는 2개 이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유입구(120)는, 후술하는 것처럼 고체 축열체(300)의 수용 공간이 축열 플레이트(230)에 의해 복수의 수용 공간으로 분리되는 경우, 고체 축열체(300)의 복수의 수용 공간 각각에 대응하도록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유입구(120)는 고체 축열체(300)의 수용 공간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고체 축열체(300)는 관통 홀(211, 221)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고체 축열체(300)는 강철 볼 또는 알루미나 세라믹 볼일 수 있다. 종래의 축열 컨테이너에서는 축열체로 상 변화물질(PCM, Phase Change Material)을 사용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고체 축열체(300)를 사용함으로써, 축열 또는 방열 온도 범위가 넓어질 수 있고, 축열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차량의 전도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열 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 변화 물질은 200℃ 이상에서는 증발하므로 폐열 회수 열원의 온도가 200℃ 이하로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서의 고체 축열체(300)는 상대적으로 녹는점 및 끓는점이 높기 때문에, 예를 들어 350℃의 배기가스에서도 폐열을 회수할 수 있다.
고체 축열체(300)는 고체 축열체(300)의 수용 공간에서 소정의 높이까지만 채워질 수 있다.
축열 플레이트(230)는 제1 분리 플레이트(200)에서 제3 분리 플레이트(220)까지 연장됨으로써, 고체 축열체(300)의 수용 공간을 복수의 수용 공간으로 분리할 수 있다.
축열 플레이트(230)에 의해, 고체 축열체(300)의 수용 공간은 도 2에 3개의 수용 공간으로 분리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2개 또는 4개 이상의 수용 공간으로도 분리될 수 있다.
축열 플레이트(230)는 고체 축열체(300)와 함께 축열 및 방열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댐퍼(400)는 유입 홀(201)을 개폐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댐퍼(400)는 유입 홀(201), 즉 제1 분리 플레이트(20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유입 홀(201)을 개폐할 수 있다.
댐퍼(400)는, 고체 축열체(300)의 수용 공간이 축열 플레이트(230)에 의해 복수의 수용 공간으로 분리됨으로써 유입 홀(201)이 복수로 형성되는 경우, 복수의 유입 홀(201)에 대응하도록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즉, 댐퍼(400)는 유입 홀(201)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설치될 수 있다.
배플(500)은 제2 유입구(120)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배플(500)은 제2 유입구(120), 즉 용기부(100)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배플(500)의 회동 각도에 따라 제2 유입구(120)를 통해 용기부(1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외기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배플(500)은 제2 유입구(120)에서 제1 유입구(110) 측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제2 유입구(120)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는 배플(500)에 의해 안내되어 고체 축열체(300)를 거치지 않고 배출구(130)로 유동할 수 있다. 그 결과, 제2 유입구(120)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가 고체 축열체(300)에 의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고체 축열체(300)는 고체 축열체(300)의 수용 공간에서 소정의 높이까지만 채워지기 때문에, 고체 축열체(300)의 수용 공간 상부에는 배플(500)이 하향 회동할 수 있는 공간 및 제2 유입구(120)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가 배출구(130)로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고체 축열체(300)의 수용 공간이 확장됨에 따라, 열 매체가 고체 축열체(300)의 수용 공간에 체류하는 시간, 즉 수리학적 체류시간이 증가할 수 있다.
배플(500)의 저면에는 복수의 반구형 함몰부(501)가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501)는 고체 축열체(300)의 수용 공간에서 유동하는 열 매체에 와류를 발생시킴으로써 열 매체가 고체 축열체(300)의 수용 공간에 체류하는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열 매체와 고체 축열체(300) 사이의 열 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배플(500)은, 고체 축열체(300)의 수용 공간이 축열 플레이트(230)에 의해 복수의 수용 공간으로 분리됨으로써 제2 유입구(120)가 복수로 형성되는 경우, 복수의 제2 유입구(120)에 대응하도록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즉, 배플(500)은 제2 유입구(12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설치될 수 있다.
배플 구동부(600)는 배플(500)을 구동할 수 있다.
배플 구동부(600)는 윈치(610), 쇠사슬(620), 온도 센서(630) 및 제어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윈치(610)는 용기부(100)의 상면에 탑재될 수 있다.
쇠사슬(620)은 쇠사슬(620)의 단부가 배플(500)의 상면에 결합된 상태로 윈치(610)에 감길 수 있다.
그 결과, 윈치(610)가 회전하면, 쇠사슬(620)은 윈치(610)에 감기거나 윈치(610)로부터 풀려 나올 수 있고, 쇠사슬(620)에 의해 배플(500)은 상향 또는 하향 회동할 수 있으며, 배플(500)의 회동 방향에 따라 제2 유입구(120)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의 유입량이 감소하거나 증가할 수 있다.
윈치(61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케이스에 의해 외부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이 경우, 쇠사슬(620)은 케이스에 형성된 인출공을 통해 케이스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온도 센서(630)는 배출구(130)에 설치될 수 있다.
온도 센서(630)는 배출구(130)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 즉 열 매체 또는 열 매체와 외기의 혼합 유체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640)는 온도 센서(630)에서 감지된 유체 온도를 기 설정값과 비교하여 윈치(61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640)는 윈치(610) 제어를 통해 배플(500)의 회동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값은 열 수요처에서 요구하는 온도일 수 있다.
제어부(640)는, 온도 센서(630)에서 감지된 유체 온도가 기 설정값보다 높은 경우에, 윈치(610)를 제어하여 온도 센서(630)에서 감지된 유체 온도가 기 설정값과 비슷해질 때까지 제2 유입구(120)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의 유입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고체 축열체(300)의 수용 공간을 지나면서 가열된 열 매체에 혼합되는 차가운 외기의 양이 늘어나 혼합 유체의 온도는 기 설정값과 비슷한 수치로 낮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수요처에서 요구하는 온도가 100℃로 설정된 경우, 온도 센서(630)에서 감지된 유체 온도가 150℃ 이상이면 배플(500)의 회동 각도를 최대 수치로 조절하고, 120℃ 이상이면 배플(500)의 회동 각도를 최대 수치의 2/3로 조절하고, 110℃ 이상이면 배플(500)의 회동 각도를 최대 수치의 1/3로 조절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어부(640)는, 온도 센서(630)에서 감지된 유체 온도가 기 설정값보다 낮은 경우에, 윈치(610)를 제어하여 온도 센서(630)에서 감지된 유체 온도가 기 설정값과 비슷해질 때까지 제2 유입구(120)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의 유입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고체 축열체(300)의 수용 공간을 지나면서 가열된 열 매체에 혼합되는 차가운 외기의 양이 줄어들어 혼합 유체의 온도는 기 설정값과 비슷한 수치로 높아질 수 있다.
임펠러(700)는 배출구(130)에 설치될 수 있다.
임펠러(700)는 배출구(130)로 배출되는 열 매체와 외기를 혼합할 수 있다.
임펠러(700)는 별도 구동장치가 없이 배출구(130)로 배출되는 열 매체와 외기의 유동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용기부(100)에는 테이퍼 영역(140)이 형성될 수 있다.
테이퍼 영역(140)은 제3 분리 플레이트(220)와 배출구(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테이퍼 영역(140)의 단면적은 배출구(130) 측으로 갈수록 감소될 수 있다.
테이퍼 영역(140)은 임펠러(700)로 유입되는 열 매체와 외기의 유속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임펠러(700)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켜 열 매체와 외기의 혼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열 컨테이너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의 온도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열 컨테이너(10)에서와 달리 고체 축열체(300)의 수용 공간이 하나로 이루어져 있고 배플(500)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A), 열 매체의 온도는 상하 변동폭이 크고 시간에 따라 점차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열 컨테이너(10)에서와 같이 고체 축열체(300)의 수용 공간이 3개로 분리되었지만 배플(500)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B), 열 매체의 온도는 상하 변동폭이 A 사례와 비교하여 소폭 감소하였고 시간에 따라 점차 감소되다가 다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열 컨테이너(10)에서와 같이 고체 축열체(300)의 수용 공간이 3개로 분리되고 배플(500)이 설치된 경우(C), 열 매체와 외기의 혼합 유체의 온도는 상하 변동폭이 A 및 B 사례와 비교하여 추가적으로 감소하였고 시간에 따라 점차 감소되다가 다시 증가하는 횟수가 빈번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혼합 유체의 온도는 열 수요처에서 요구하는 온도가 거의 유사하게 제어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축열 컨테이너
100: 용기부
110: 제1 유입구
120: 제2 유입구
130: 배출구
140: 테이퍼 영역
200: 제1 분리 플레이트
201: 유입 홀
210: 제2 분리 플레이트
211: 관통 홀
220: 제3 분리 플레이트
221: 관통 홀
230: 축열 플레이트
300: 고체 축열체
400: 댐퍼
500: 배플
501: 함몰부
600: 배플 구동부
610: 윈치
620: 쇠사슬
630: 온도 센서
650: 제어부
700: 임펠러

Claims (7)

  1. 일 측에는 제1 유입구가, 타 측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용기부;
    상기 제1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분리 플레이트;
    상기 제1 분리 플레이트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설치되는 타공성의 제2 분리 플레이트;
    상기 제2 분리 플레이트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설치되는 타공성의 제3 분리 플레이트;
    상기 제2 분리 플레이트와 상기 제3 분리 플레이트 사이에 수용되는 고체 축열체;
    상기 제1 분리 플레이트에서 상기 제3 분리 플레이트까지 연장됨으로써 상기 고체 축열체의 수용 공간을 복수의 수용 공간으로 분리하는 축열 플레이트;
    상기 고체 축열체의 복수의 수용 공간 각각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1 분리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복수의 유입 홀을 각각 개폐하는 복수의 댐퍼; 및
    상기 고체 축열체의 복수의 수용 공간 각각에 대응하도록 상기 용기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 유입구에 설치되어 외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복수의 배플을 포함하고,
    상기 배플은 상기 제2 유입구에서 상기 제1 유입구 측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회동 각도에 의해 외기의 유입량을 조절하고,
    상기 배플은 상기 축열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에 따라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배플은 상기 제2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가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외기를 안내하고,
    상기 배출구에 설치되는 임펠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용기부에는 상기 임펠러로 유입되는 열 매체와 외기의 유속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제3 분리 플레이트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구 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테이퍼 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 컨테이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의 저면에는 복수의 반구형 함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 컨테이너.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을 구동하는 배플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플 구동부는,
    상기 용기부의 상면에 탑재되는 윈치;
    단부가 상기 배플의 상면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윈치에 감기는 쇠사슬;
    상기 배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유체 온도를 기 설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윈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축열 컨테이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축열체는 강철 볼 또는 알루미나 세라믹 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 컨테이너.
  6. 삭제
  7. 삭제
KR1020140096530A 2014-07-29 2014-07-29 축열 컨테이너 KR101606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530A KR101606999B1 (ko) 2014-07-29 2014-07-29 축열 컨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530A KR101606999B1 (ko) 2014-07-29 2014-07-29 축열 컨테이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4380A KR20160014380A (ko) 2016-02-11
KR101606999B1 true KR101606999B1 (ko) 2016-03-28

Family

ID=55351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6530A KR101606999B1 (ko) 2014-07-29 2014-07-29 축열 컨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69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026B1 (ko) * 2018-10-10 2020-03-06 주식회사 디케이이엔지 타워크레인용 윈치의 감속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02995A (zh) * 2016-12-02 2017-02-15 唐山铸锐科技有限公司 固体蓄热单元及电蓄能加热设备
CN114576684A (zh) * 2022-02-25 2022-06-03 安徽安泽电工有限公司 一种调解式蓄能供热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496Y1 (ko) * 2000-04-06 2000-09-01 주식회사신성이엔지 빙축열 탱크를 일체로 갖는 냉방장치
JP3383522B2 (ja) * 1996-09-11 2003-03-04 株式会社久米設計 コールドドラフト防止用の暖房ユニット及びコールドドラフト防止方法
JP2004069123A (ja) * 2002-08-05 2004-03-04 Hitachi Industries Co Ltd 砕石型蓄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5700B2 (ja) * 1994-12-09 2001-12-04 川崎製鉄株式会社 蓄熱式バーナ装置の廃ガス温度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83522B2 (ja) * 1996-09-11 2003-03-04 株式会社久米設計 コールドドラフト防止用の暖房ユニット及びコールドドラフト防止方法
KR200195496Y1 (ko) * 2000-04-06 2000-09-01 주식회사신성이엔지 빙축열 탱크를 일체로 갖는 냉방장치
JP2004069123A (ja) * 2002-08-05 2004-03-04 Hitachi Industries Co Ltd 砕石型蓄熱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026B1 (ko) * 2018-10-10 2020-03-06 주식회사 디케이이엔지 타워크레인용 윈치의 감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4380A (ko) 2016-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6999B1 (ko) 축열 컨테이너
CN203258933U (zh) 冷凝单元
CN104870709B (zh) 家用器具吸收装置和配备有吸收装置的家用器具
JP6742884B2 (ja) 電源装置
AU2013206978B2 (en) Dynamic particle separator
WO2004098783A1 (en) An inlet devic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introduction of a fluid into a separator
WO2011106978A1 (zh) 用于发动机冷却***的副水箱
JP5911728B2 (ja) 気液分離器及び車両用空気調和装置
EP2553360B1 (en) Cold water tank
KR102447439B1 (ko) 수처리 장치용 온수생성모듈
CN109519523A (zh) 具有油冷却装置的传动装置
KR101344860B1 (ko) 바이오매스 반탄화 장치
WO2018207274A1 (ja) 油分離装置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CN103221664A (zh) 发动机控制装置
CN205747684U (zh) 一种中药炮制喷动床干燥装置
KR20130067935A (ko) 공기조화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N101303151B (zh) 沸腾冷却装置
CN204699433U (zh) 凝华装置
WO2004076022A1 (en) Arrangement for the separation of gas from a fluid
CN207050214U (zh) 一种能够控温的天然气加热装置
JP4664002B2 (ja) マルチサイクロン式集塵装置及び粉塵の分離方法
CN207030969U (zh) 电石液造粒装置
CN105543083B (zh) 一种用于生化检测的便携式快速可控冷却装置
CN106178577A (zh) 凝华装置及其工作方法
KR101847018B1 (ko) 열교환기능을 갖는 생산수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