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6842B1 - 보강 구조를 갖는 차량 창문 리프터용 지지 요소 - Google Patents

보강 구조를 갖는 차량 창문 리프터용 지지 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6842B1
KR101566842B1 KR1020147015849A KR20147015849A KR101566842B1 KR 101566842 B1 KR101566842 B1 KR 101566842B1 KR 1020147015849 A KR1020147015849 A KR 1020147015849A KR 20147015849 A KR20147015849 A KR 20147015849A KR 101566842 B1 KR101566842 B1 KR 101566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structure
respect
extension
plan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5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1589A (ko
Inventor
홀스트 베버
하이케 울프
카이 뮐러
에베르하르트 플레스
Original Assignee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게엠바하 운트 콤파니 케이지, 할스타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게엠바하 운트 콤파니 케이지, 할스타드 filed Critical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게엠바하 운트 콤파니 케이지, 할스타드
Publication of KR20140091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1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6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6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특히 차량 문을 위한 지지 요소(AGT)에 관한 것으로, 이 지지 요소는 지지면(xz 면)을 규정하며 또한 차량 창문 리프터의 기능 요소들의 배치를 위한 2개의 상호 반대쪽 측면(A1, A2)을 규정하고, 지지 요소(AGT)는 이 지지 요소(AGT)를 보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보강 구조(V1 - V5)를 포함하고, 이 보강 구조는 양 측면(A1, A2)에서 지지면(xz 면) 및 연장 방향(L)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지지 요소(AGT)는 적어도 2개의 표면 세그먼트(F1 - F5)를 형성하며, 이들 표면 세그먼트는 양 측면(A1, A2)에서 상기 지지면(xz 면)을 따라 연장 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보강 구조(V1)는, 일 측면(A1)에서 지지면(xz-면)에 대해 횡으로 양 표면 세그먼트(F1, F3; F2, F3; F2, F4; F3, F4)에 대해 돌출되어 연장되어 있고 다른 측면(A2)에서는 두 표면 세그먼트의 표면 세그먼트(F1; F2; F3)에 대해 뒤로 물러나서 그리고 두 표면 세그먼트의 다른 표면 세그먼트(F3; F4)에 대해서는 돌출되어 연장되어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보강 구조를 갖는 차량 창문 리프터용 지지 요소{SUPPORT COMPONENT FOR A MOTOR VEHICLE WINDOW LIFTER HAVING A REINFORCING STRUCTURE}
본 발명은 청구항 1 에 따른 차량용 지지 요소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지지 요소는 지지면을 따라 평면적으로 연장되어 있고, 예컨대 창문 유리를 조정하기 위한 안내 레일 및/또는 구동 모터와 같은 차량 창문 리프터의 기능 요소들을 유지하기 위해 형성 및 제공된다. 예컨대, 이는 차량 문에 삽입되는 소위 어셈블리 캐리어이다. 평면형 지지 요소는 기능 요소의 배치를 위한 서로 반대쪽의 두 측면을 갖는데, 어셈블리 캐리어의 경우, 이 어셈블리 캐리어가 차량 문에 적절히 장착되면, 상기 두 측면들 중의 일 측면은 문 외측 표피부를 향하고 다른 측면은 차량 내부 공간을 향하게 된다.
그러한 평면형 지지 요소는 일반적으로 지지면을 따르는 그의 확장에 비해 비교적 작은 두께를 가지며, 따라서, 지지 요소를 보강하고 특히 더 큰 굽힘 및 비틀림 강성을 갖는 지지 요소를 설계하기 위해, 지지 요소는 보통 하나의 보강 구조 또는 여러개의 보강 구조를 포함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지지 요소에 있는 보강 구조로서 예컨대 리브 또는 비드를 제공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큰 표면의 보강을 위해서는, 바람직하게는 비드가 사용되는데, 왜냐햐면 그 비드는 형성된 프로파일 때문에 저항 모멘트를 더 크게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국부적인 보강을 위해서는 바람직하게는 리브가 사용되는데, 왜냐하면 그 리브는 저항 모멘트를 상기 비드에 비해 더 작게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설치 공간상의 이유로, 현재 일 측면에는 높이에 있어 서로 차이가 나는 표면 세그먼트가 종종 제공되어야 하는데, 그들 표면 세그먼트는 측면을 형성한다. 그러한 표면 세그먼트는 국부적으로 한정되며 지지 요소의 선택적인 보강에는 적합하지 않다. 하지만, 높이에 있어 서로 차이가 나는 표면 세그먼트 위로 보강 구조가 연장되어 있을 때는, 일 측면에서 비드로 나타나 있고 다른 측면에서는 양각(relief) 형태로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융기부로 나타나 있는 보강 구조는 요망되는 보강 효과를 갖지 못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표면 세그먼트는 각각의 측면에서 지지 요소에 의해 규정되는 지지면에 대해 다른 높이로 있는 다른 표면 세그먼트까지 연장되어 있다. 보강 구조가 그의 길이 연장 방향을 따라 한 (예컨대, 하측) 표면 세그먼트에서부터 다른 (더 높은) 표면 세그먼트로 변하기 때문에, 예컨대 비드의 경우, 그 비드는 더 높은 표면 세그먼트에서 연속되지 못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두 표면 세그먼트의 천이부에서의 강성이 추가로 감소된다. 그러므로, 높이 차이가 나는 표면 세그먼트에서는 지지 요소의 벽 두께만 보통 이용가능하게 된다.
예컨대, 제 1 측면에서 제 1 표면 세그먼트는 인접한 제 2 표면 세그먼트 보다 지지면에 대해 더 많이 융기되어 돌출될 수 있으며, 이때 릴리프 형태로 돌출되어 있는 보강 구조가 양 표면 세그먼트 위로 연장되어 있다. 반대쪽의 제 2 측면에서 이 보강 구조는, 여기서는, 즉 제 2 측면에서는 그 제 2 측면에서 (더 많이) 융기되어 있는 제 2 표면 세그먼트 보다 낮게 또는 그에 대해 뒤로 물러나 위치되는 제 1 표면 세그먼트로부터 채널형 오목부로서 연장되어 있는 비드로 나타나 있다. 그러나, 제 2 측면에서는, 이제 제 2 표면 세그먼트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오목부가 얕아져 직접 제 2 표면 세그먼트에 열려 있을 정도로 제 1 표면 세그먼트에 대해 융기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표면 세그먼트의 영역에는 보강 구조에 의한 유효한 보강이 더 이상 없다.
상기한 문제를 감안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창문 리프터용 지지 요소를 더 개량하고 또한 특히 상기한 단점들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 의 지지 요소로 달성된다.
상기 지지 요소는, 평면형 지지 요소의 양 상호 반대쪽 측면에서 서로 앞뒤로 또한 서로 오프셋되어 배치될 수 있는 두 표면 세그먼트 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어 있고 일 측면에서 상기 지지면에 대해 횡으로 양 표면 세그먼트에 대해 돌출되어 연장되어 있고 다른 측면에서는 한 표면 세그먼트에 대해 뒤로 물러나서 그리고 다른 표면 세그먼트에 대해서는 돌출되어 연장되어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보강 요소를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해서, 표면 세그먼트들이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어 배치되는 경우에도 보강 구조는 보강 효과를 갖고 연속되며 뒤로 물러나 다른 측면에서 예컨대 비드로서 형성되어 있는 보강 구조는 대체 없이 더 높은 표면 세그먼트 또는 다른 표면 세그먼트에 대해 상승된 표면 세그먼트에 열려 있지 않게 된다. 예컨대 비드와 적어도 하나의 보강 리브의 조합으로 된 보강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보강 리브는 길이 연장 방향을 따라 비드의 측벽의 연장부로서 그 비드에 인접할 수 있고 각각의 측면에서 지지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얇은 벽의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지지 요소에 의해 규정되는 지지면에 대해 횡으로 서로 오프셋되어 배치되는 표면 세그먼트의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 1) 표면 세그먼트는 지지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제 2) 표면 세그먼트에 대해 뒤로 물러나 있는데, 즉 일 측면에서 다른 (제 2) 표면 세그먼트는 한 (제 1) 표면 세그먼트 보다 낮게 위치하거나 또는 한 (제 1) 표면 세그먼트는 다른 (제 2) 표면 세그먼트에 대해 적어도 약간 융기되어 또는 연장되어 있거나 상승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해결 방안의 이점의 혜택을 얻는데 있어, 양 측면의 보강 구조가 보강 구조의 연장 방향으로 서로 앞뒤로 또한 오프셋되어 배치되는 두 표면 세그먼트 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오히려, 두 표면 세그먼트는 실질적으로 공통 면, 예컨대 지지면에서 연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바람직한 설계 변형예에서, 상기 보강 구조의 확장은 그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바람직하게는 지지 요소에 의해 규정되는 상기 지지면에 대해 횡으로 연속적으로 변한다. 상기 보강 구조는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서 적어도 일 부분에서 경사로(ramp) 형태로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유리한 개량예에서, 양 측면에서 상기 지지면에 대해 횡으로의 그리고 상기 연장 방향을 따른 보강 구조의 확장은 대응하는 정도로 변하며, 따라서 일 측면에서 상기 지지면에 대해 횡으로의 보강 구조의 확장은, 다른 측면에서 상기 지지면에 대해 횡으로의 확장이 감소 또는 증가하는 정도로 감소 또는 증가한다. 이에 기초한 일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예컨대 일 측면에 있는 보강 구조는 채널형 또는 경사로형 오목부, 즉 예컨대 깊이가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비드로서 연장되어 있고, 반대쪽 측면에 있는 보강 구조는 길이 연장 방향을 따라 릴리프(relief) 형태 및/또는 쐐기 형태로 (연속적으로) 돌출되어 있고, 따라서 보강 구조는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경사로 형태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을 갖는다.
동일 측면에서, 보강 구조에 있어서 예컨대 비드로 형성된 부분은 보강 구조의 길이 연장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보강 리브 또는 한쌍의 보강 리브와 인접한다. 길이 연장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 2) 표면 세그먼트(한 측면에 있는 (제 1) 표면 세그먼트에 대해 상승 또는 융기되어 잇음)에서, 보강 구조는 돌출되어 연장되어 있고 또한 지지 요소의 이 영역에서 보강부로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측면의 서로 오프셋되어 있는 표면 세그먼트에서도 지지 요소를 효과적으로 보강하기 위해, 한 측면에서 보강 구조는 오목부로 형성된 일 부분으로부터 돌출부로 병합된다.
예컨대, 일 측면에서 지지면에 대해 횡으로의 감소하는 확장은 다른 측면에서의 지지면에 대해 횡으로의 그리고/또는 연장 방향에 대한 횡으로의 증가하는 확장에 의해 보상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보강 구조는 그의 연장 방향을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지지면에 대한 수직 방향의 전체 높이를 가지며 또한 그의 연장 방향을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한 보강 효과를 얻기 위해 연장 방향을 따라 두 측면으로부터 다른 정도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한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보강 구조에 있어서 다른 측면에서 돌출되어 있고 보강 리브의 반대쪽에 위치되는 부분의 높이가 감소되어 있으면, 예컨대 보강 구조의 높이 및/또는 폭은 한 측면에서 증가될 수 있다. 연장 방향을 따라 보강 구조의 실질적으로 일정한 보강 효과를 얻기 위해, 한 측면에서 연장 방향을 따른 보강 리브의 폭 및/또는 높이의 증가는, 다른 측면에서의 확장이 연장 방향을 따라 감소하는 정도로 되어 있다.
지지 요소에 의해 규정되는 양 측면에서 바람직하게는 보강 구조는 지지 요소의 가장자리 영역으로부터 그 지지 요소의 중간부 또는 중심부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예컨대 지지 요소의 중간부 도는 중심부는 그 지지 요소의 지탱 표면일 수 있는데, 이 지탱 표면은 구동 모터를 갖는 차량 창문 리프터의 구동부를 그에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 및 제공되는 것이다.
일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지지 요소의 두 상호 반대 측면에서 하나의 동일한 보강 구조로 보강되는 두 표면 세그먼트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제 3 표면 세그먼트로 보강되고, 보강 구조는 그 표면 세그먼트를 가로질러 연장되어 있다. 이 제 3 표면 세그먼트는 지지면에 대해 횡으로 서로 오프셋되어 있을 수 있는 2개의 제 1 및 2 표면 세그먼트를 서로 연결하고 또한 예컨대 그에 의해 연결된 두 표면 세그먼트 및/또는 지지 요소의 지지면에 대해 경사져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연장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서로 오프셋되어 있는 두 표면 세그먼트 상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보강 구조 때문에, 서로 인접하거나 또는 적어도 보강 구조의 길이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앞뒤로 위치되는 두 표면 세그먼트가 서로 다른 정도로 지지 요소의 일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거나 또는 뒤로 물러나 형성되어 잇더라도, 연속적인 보강 효과가 얻어진다. 보강 구조는 그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연속되어 있으므로, 일 표면 세그먼트로부터 다른 더 높거나 더 낮은 표면 세그먼트로 천이되는 영역에서 소정의 굽힘점이 또한 회피된다.
추가로, 일 측면에 있는 협소부에서의 가능한 보강 조치는 그 협소부로부터 먼쪽을 향하는 다른 측면에 있는 동일한 표면 세그먼트에 있는 보강 구조로 실현되므로, 설치 공간에 있어서의 이득도 얻을 수 있다. 예컨대, 상승된 돌출 보강 구조를 위한 충분한 설치 공간이 한 표면 세그먼트의 일 측면에서 이용가능하지 않을 때,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요소의 형성으로, 보강 구조는 반대쪽 측면에서 연속되며 다른 코스에 있는 보강 구조는 보강 효과를 얻기 위해 이제 반대쪽의 다른 측면에서 상승되어 돌출되며 또한 예컨대 보강 리브로서 연속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도면을 참조하는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및 1b 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요소의 일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상이한 측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a ∼ 2c 는 지지 요소의 제 1 측면에 있는 보강 구조를 본 지지 요소의 상이한 사시 확대도이다.
도 3, 4 및 5 는 도 2a 에 나타나 있는 단면선 Ⅲ, Ⅳ 및 Ⅴ을 따른 지지 요소의 상이한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a ∼ 6c 는 도 2a ∼ 2c 의 보강 구조를 갖는 지지 요소의 상이한 사시 확대도로, 제 1 측면의 반대쪽에 있는 지지 요소의 제 2 측면을 본 것이다.
도 1a 는 어셈블리 캐리어(AGT)의 형태로 되어 있는 평면형 지지 요소를 나타내는데, 그 어셈블리 캐리어의 제 1 측면(1A)을 본 측면도이다. 어셈블리 캐리어에는, 차량 창문 리프터의 기능 요소들이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목적으로 제공되어 있는 지탱 표면(L1 ∼ L4)에 고정된다(또한 도 1b 참조).
어셈블리 캐리어(AGT)는 또한 차량 문 내부를 시일링가능하게 폐쇄하는 역할을 하며, 따라서 차량 문에서 문 외측과 어셈블리 캐리어(AGT) 사이에 존재하는 습식 공간이 차량 내부 공간의 방향에 위치하는 차량 문의 건식 공간에 대해 시일링된다. 그러므로, 차량 문 내부의 건식 공간으로부터 습식 공간을 분리시키기 위해 어셈블리 캐리어(AGT)는 그의 가장자리에서 둘레 시일(D)을 갖고 있는데, 이 시일을 통해 어셈블리 캐리어(AGT)가 문 내측 표피부에 시일링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어셈블리 캐리어(AGT)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에 가까운 영역에는 복수의 고정점(B)이 제공되어 있는데, 이 고정점에서 어셈블리 캐리어(AGT)가 문 내측 표피부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어셈블리 캐리어(AGT)는 공간(x, z) 내의 방향으로 어셈블리 캐리어(AGT)에 의해 규정되는 지지면을 실질적으로 따라 평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xz-면에 대응하는 지지면은 기준면이 되며, 어셈블리 캐리어(AGT)에 형성되어 있는 영역들은 그 기준면에 대해 돌출되거나 뒤로 물러나 있을 수 있다.
어셈블리 캐리어(AGT)는 비교적 얇은 벽의 재료로 만들어지며, 또한 보강을 위해 복수의 보강 구조(V1 ∼ V5)가 제공되어 있다. 도 1a 에 나타나 있는 어셈블리 캐리어(AGT)의 제 1 측면(A1)(어셈블리 캐리어(AGT)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에서 차량 내부 공간을 향하게 됨)에서, 상기 개별적인 보강 구조(V1 ∼ V5)는 어셈블리 캐리어(AGT)에 의해 규정되는 지지면(xz-면)에 대해 양각(relief) 처럼 상승하여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별적인 보강 구조(V1 ∼ V5)는 길이 방향으로 뻗어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또한 어셈블리 캐리어(AGT)의 일 가장자리 영역에서부터 그 어셈블리 캐리어(AGT)의 중앙 지탱 표면(LZ) 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 중앙 지탱 표면(LZ)에는, 차량 창문 리프터를 위한 구동 모터를 갖는 구동부가 적절히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보강 구조(V1 ∼ V5)는 어셈블리 캐리어(AGT)의 일 가장자리 영역에서부터 반경 방향으로 그 중앙 지탱 표면(LZ) 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경우, 길이 방향으로 뻗어 있는 상기 보강 구조(V1 ∼ V5)의 개별적인 구조는 제 1 측면(A1)에 있는 여러 인접한 표면 세그먼트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가로질러 있는데, 따라서 어셈블리 캐리어(AGT)의 이들 표면 세그먼트의 영역에서 보강 구조(V1 ∼ V5)는 굽힘 및 비틀림에 대한 어셈블리 캐리어(AGT)의 저항 모멘트를 증가시켜 준다. 제 1 측면(A1)에 있는 인접한 표면 세그먼트는 지지면에 대해 다른 높이에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어셈블리 캐리어(AGT)의 개별적인 인접한 표면 세그먼트는 제 1 측면(A1)에서 더 높거나 더 낮게 존재하거나 또는 인접한 표면 세그먼트에 대해 뒤로 물러나 있거나 상승되어 있다.
예컨대, 어셈블리 캐리어(AGT)의 표면 세그먼트(F1 ∼ F4)는 지지면(xz-면) 내에서 일 방향을 따라 서로 앞뒤로 위치되어 있고 지지면에 대한 횡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오프셋되어 있다. 본 경우에, 예컨대 표면 세그먼트(F3)는 제 1 측면(A1)에 있는 평평한 표면 세그먼트(F1)에 대해 뒤로 물러나 있거나 오목하게 되어 있으며, U-형으로 (제 1) 표면 세그먼트(F1)를 둘러싸고 있다. 두 표면 세그먼트(F1, F3)는 제 2 표면 세그먼트(F2)를 통해 부분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 제 2 부분 세그먼트는 두 표면 세그먼트(F1, F3)에 대해 경사져 있고 또한 지지면에 대해서도 경사져 있다.
제 1 측면(A1)에서, 한 고정 구조(V1)는 3개의 모든 표면 세그먼트(F1, F2, F3)의 일 부분을 가로질러 고정점(B)으로부터 중앙 지탱 표면(LZ)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보강 구조(V1)는 어셈블리 캐리어(AGT)의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점(B)에서부터 경사로(ramp) 형태로 연장되어 있으며, 따라서 보강 구조(V1)는 그의 (길이) 연장 방향(L)을 따라 지지면에 대해 횡으로 중앙 지탱 표면(LZ) 쪽으로 주로 테이퍼져 있다. 따라서, 제 1 측면(A1) 상에서 돌출되어 있는 보강 구조(V1)의 확장은 그의 길이 연장 방향을 따라 감소한다. 이에 따라, 높이(h1, h2, h3)(h1 > h2 > h3)가 나타나 있는 확대도인 도 2a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 측면(A1)에서 각각 인접한 표면 세그먼트(F1, F2 또는 F3)에 대한 보강 구조(V1)의 높이가 그이 길이 연장 방향(L)을 따라 연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도 1b 는 어셈블리 캐리어(AGT)의 제 2 측면(A2)을 본 것인데, 제 2 측면은 도 1a의 제 1 측면(A1)의 반대쪽에 있고, 어셈블리 캐리어(AGT)의 장착 상태에서 차량 외측 표피부 및 습식 공간을 향하게 된다. 그 제 2 측면(A2)에서, 차량 창문 리프터의 안내 레일 각각은 한쌍의 지탱 표면(L1, L2 또는 L3, L4)의 영역에 고정될 수 있다.
제 2 측면(A2)에서, 보강 구조(V1)는 3개의 모든 표면 세그먼트(F1 ∼ F3)의 일 부분을 가로질러 고정점(B)으로부터 채널형 오목부 형태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측면(A2)에서, 보강 구조(V1)는 어셈블리 캐리어(AGT)에서 비드로 나타나게 되는데, 이 비드는 제 1 표면 세그먼트(F1)로부터 길이 연장 방향(L)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제 2 측면(A2)에 있는 보강 구조(V1)의 비드 역시 마찬가지로 그의 길이 연장 방향(L)을 따라 경사로 형태로 연장되어 있고, 따라서 보강 구조(V1)에서 비드의 깊이는 중앙 지탱 표면(LZ) 쪽으로 가면서 감소되어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알려져 있는 보강 구조에서는, 비드가 끝나는 제 3 표면 세그먼트(F3)의 영역에서 보강 구조(V1) 역시 끝나게 될 것인데, 제 2 측면(A2)에서는, 비드가 (어셈블리 캐리어(AGT)를 보강하기 위해) 계속되는 것이 더 이상 가능하지 않을 정도로 표면 세그먼트(A3)가 제 1 표면 세그먼트(F1)에 대해 융기 또는 상승되어 있기 때문이다. 표면 세그먼트(F3) 및 보강 구조(V1)의 길이 연장 방향(L)으로 그 표면 세그먼트와 인접하는 표면 세그먼트(F4)는 그에 따라 보강 구조에 의한 보강을 더 이상 받지 못할 것이다. 오히려, 바람직하지 않은 굽힘점이 표면 세그먼트(F3, F4) 사이의 천이 영역(여기서 보강 구조가 끝남)에서 어셈블리 캐리어(AGT)에 생기게 될 것이다. 따라서, 얇은 벽의 어셈블리 캐리어(AGT)는 정확히 그 천이 영역에서 굽힘 및/또는 비틀림 하중을 받으면 파손될 수 있다.
보강 구조의 그러한 불리한 설계에 대처하기 위해, 제 2 측면(A2)에 있는 보강 구조(V1)는 본 발명에 따라 계속되어 있는데, 즉 그 보강 구조는 그의 길이 연장 방향(L)을 따라 계속해서 제 2 측면(A2)으로부터 돌출된 방식으로(여기서는 서로 평행한 한쌍의 보강 리브(23, 24)의 형태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측면(A2)에서, 보강 구조(V1)는 뒤로 물러나 있는 부분으로부터 길이 연장 방향(L)을 따라 상승된 돌출부 안으로 병합된다.
이는 특히 도 2a ∼ 2c, 3 ∼ 5 및 6a ∼ 6c 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a, 2b 및 2c 는 양각(relief)형의 상승된 돌출 보강 구조(V1)를 갖는 어셈블리 캐리어(AGT)의 제 1 측면(A1)의 확대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3, 4 및 5 는 도 2a 에 나타나 있는 단면선 Ⅲ, Ⅳ 및 Ⅴ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a, 6b 및 6c 는 어셈블리 캐리어(AGT)의 제 2 측면(A2)를 나타내는데, 이 제 2 측면에서 보강 구조(V1)는 처음에 비드(S)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가 길이 연장 방향(L)을 더 따라서는 서로 평행한 그리고 제 2 측면(A2)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두 보강 리브(23, 24)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보강 구조(V1)는 고정점(B)을 갖는 어셈블리 캐리어(AGT)의 가장자리 영역에서부터 길이 연장 방향(L)을 따라 중앙 지탱 표면(LZ)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점(B)은 고정 돔(1; dome)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 고정 돔은 어셈블리 캐리어(AGT)를 문 내측 표피부에 고성시키기 위한 보어(10)를 포함한다. 지지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제 1 측면(A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돔 벽(11)에서 보강 구조(V1)의 제 1 부분이 시작되며, 이는 제 1 측면(A1)에 있는 그 돔벽(11)에 있는 부분 단부(2A)에서부터 쐐기 형태로 3개의 표면 세그먼트(F1, F2, F3)를 가로질러 다른 표면 세그먼트(F4)의 영역에 있는 부분 단부(2B)까지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측면(A1)에서 보강 구조(V1)는 경사로형 표면 또는 기부(20)를 형성하는데, 이 기부는, 그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고 서로 평행하게 정렬되어 있는 2개의 측벽(21, 22)을 통해 표면 세그먼트(F1 ∼ F3)와 연결되어 있다. 제 1 측면(A1)에 있는 보강 구조(V1)의 길이 연장 방향(L)을 따라 테이퍼져 있는 상기 두 측벽(21, 22)을 통해 보강 구조(V1) 및 특히 기부(20)는 상승된 방식으로 돌출되어 있고 따라서 제 1 측면(A1)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되어 있고, 그래서 그 보강 구조는 표면 세그먼트(F1 ∼ F3)의 영역에서 어셈블리 캐리어(AGT)를 보강하게 된다.
제 1 측면(A1)에 있는 보강 구조(V1)의 확장이 그의 길이 연장 방향(L)을 따라 감소하는 정도로, 반대쪽의 제 2 측면(A2)에 있는 보강 구조(V1)의 팽창도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고정 돔(1)에 있는 부분 단부(2A)의 영역에 있는 비드(S)는, 제 1 측면(A1)의 보강 구조(V1)가 고정 돔(1)의 영역에서 표면 세그먼트(F1)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높이(h1)에 상당하는 깊이(h1)로 존재하게 된다.
제 1 측면(A1)에 있는 보강 구조(V1)의 다른 부분 단부(2B)(여기서 제 1 측면(A1)에 있는 보강 구조(V1)는 표면 세그먼트(F4)에 열려 있음)의 영역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소정의 굽힘점의 형성을 방지하되 표면 세그먼트(F4)의 영역에서 또한 어셈블리 캐리어(AGT)의 보강을 이루기 위해, 제 2 측면(A2)에 있는 보강 구조(V1)는 비드(S)에 추가하여 길이 연장 방향(L)으로 직접 인접하는 2개의 보강 리브(23, 24)를 포함한다. 따라서, 보강 구조(V1)의 비드(S)는 연속적인 보강을 달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돌출 보강 리브(여기서는 한쌍의 보강 리브(23, 24))와 조합된다. 이에 따라, 제 2 측면(A2)에서 비드(S)의 하측벽을 형성하는 보강 구조(V1)의 두 측벽(21, 22) 각각은, 표면 세그먼트(F3, F4)의 영역에서 어셈블리 캐리어(AGT)의 제 2 측면(A2)으로부터 상승되어 돌출되어 있는 보강 리브(23, 24)와 결합된다.
연장 방향(L)으로 보강 리브(23, 24)는 표면 세그먼트(F5)에 있는 (제 3) 부분 단부(2C)에서 끝나며, 그 표면 세그먼트는 상승된 방식으로 제 2 측면(A2)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중앙 지탱 표면(LZ)의 일 부분이다. 이 표면 세그먼트(F5)는 벽(W) 영역에 위치하는데, 그 벽은 반대쪽의 제 1 측면(A1)에서 지지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고 창문 리프터의 구동부를 위해 중앙 지탱 표면(LZ)을 둘러싼다.
도 3, 4 및 5 의 단면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보강 구조(V1)는, 서로 오프셋되어 있고 길이 연장 방향(L)을 따라 서로 앞뒤로 배치되거나 또는 서로 연이어 있는 표면 세그먼트(F1 ∼ F4)의 영역에서 어셈블리 캐리어(AGT)를 보강하기 위해 길이 연장 방향(L)을 따라 서로 다른 정도로 양 측면(A1, A2)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부분을 형성한다. 제 1 부분에서, 도 3 에 대응하는 보강 구조(V1)는 제 1 측면(A1)으로부터만 상승된 방식으로 돌출되어 있고 반대쪽의 제 2 측면(A2)에서는 채널형 오목부 또는 비드(S)로만 나타나 있다. 길이 연장 방향(L)의 추가 코스에서(여기서는, 제 1 측면(A1)이 있는 지지면에 대해 두 표면 세그먼트(F1, F2) 보다 더 낮게 위치하며 그리고 제 2 측면에서는 두 표면 세그먼트(F1, F2) 보다 더 높게 위치하는 표면 세그먼트(F3)의 영역), 제 2 측면(A2) 상의 보강 구조(V1)는 보강 리브(23, 24)의 형태로 된 상승된 돌출부를 추가적으로 형성한다. 추가적인 보강을 위해, 보강 리브(23, 24)는 비드(S)의 감소하는 깊이로 인해 감소된 보강을 보상기 위해 제 2 측면(A2)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는 본질적으로 도 4 의 단면도에 나타나 있다. 특히 도 5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길이 연장 방향(L)으로 더 인접하는 보강 구조(V1)의 영역에서 그 보강 구조는 연속된 돌출 보강 리브(23, 24)의 형태로 제 2 측면(A2)에서만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보강 리브(23, 24)를 통해 표면 세그먼트(F4)가 보강되며, 보강 구조(V1)에 있어서 제 1 측면(A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부분은 그 표면 세그먼트에 열려 있다.
본 경우에, 지지면(xz-면)에 대해 횡인 또한 길이 연장 방향(L)을 따르는 보강 구조(V1)의 확장은 양 측면(A1, A2)에서 대응하는 정도로 변하는데, 따라서 길이 연장 방향(L)을 따라서는 지지면(xz-면)에 대해 횡으로의 보강 구조(V1)의 확장은 일 측면(A1)에서, 지지면(xz-면)에 대해 횡으로의 보강 구조(V1)의 확장이 다른 측면(A2)에서 증가하는 정도로 감소된다. 길이 연장 방향(L)을 따라 보강 구조(V1)는 지지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일정하게 유지되는 전체 높이(H)를 가지며, 또한 길이 연장 방향(L)을 따라 두 측면(A1, A2)으로부터 다른 정도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보강 구조의 길이 연장 방향(L)을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한 보강 효과가 얻어지며, 일 측면(A1)에 있는 지지면(xz-면)에 대해 횡으로의 감소하는 확장은 다른 측면(A2)에서 지지면(xz-면)에 대해 횡으로의 증가하는 확장에 의해 보상된다.
이렇게 해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보강 구조(V1)를 통해, 어셈블리 캐리어(AGT)에서의 연속적인 보강이 또한 보강 구조(V1)의 길이 연장 방향(L)을 따라 서로 연이어 있는 복수의 표면 세그먼트(F1 ∼ F5)를 통해 이루어지게 되며, 그들 복수의 표면 세그먼트는 어셈블리 캐리어(AGT)에 의해 규정되는 지지면에 대해 횡으로 서로 오프셋되어 있고 따라서 서로 다른 가상의 면을 따라 또는 지지면에 대한 서로 다른 높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것이다. 측면(A2)에서, 보강 구조(V1)는 면이 변하는 지점에서 연속적인 보강을 이루기 위해 비드(S)와 적어도 하나의 보강 리브(23, 24)의 조합으로 나타난다.
일 개량예에서, 지지면에 대한 횡으로의 제 2 측면(A2) 상의 보강 구조(V1)의 증가에 대한 대안으로 또는 그에 추가적으로, 보강 구조(V1)의 확장이 다른 제 1 측면(A1)에서 증가할 때 또는 증가해야 할 때, (길이) 연장 방향(L)에 대한 횡으로의 그리고 지지면을 따르는 제 2 측면(A2)의 치수 및 확장을 증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보강 구조(V1)에 있어서 제 1 측면(A1)에서 돌출되어 있는 부분의 높이가 감소될 때, 예컨대 제 2 측면(A2) 상의 보강 리브(23, 24)의 폭은 증가된다. 길이 연장 방향(L)을 따라 보강 구조(V1)의 실질적으로 일정한 보강 효과를 얻기 위해, 제 2 측면(A2)에서, 보강 리브(23, 24)의 폭의 증가(따라서, 길이 방향 연장(L)에 대해 횡으로의 보강 구조(V1)의 학장의 증가)는 다른 제 1 측면(A1)에 있는 보강 구조(V1)의 상승된 돌출부의 확장이 지지면에 대해 횡으로 감소하는 정도로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일 측면(A1)에서 지지면(xz-면)에 대해 횡으로의 감소하는 확장은 다른 측면(A2)에서 길이 연장 방향(L)에 대해 횡으로의 증가하는 확장에 의해 보상된다.
1 고정 돔
10 보어
11 돔 벽
20 기부
21 측벽
22 측벽
23, 24 보강 리브
2A, 2B, 2C 부분 단부
AGT 어셈블리 캐리어(지지 요소)
B 고정점
D 시일
F1, F2, F3, F4 표면 세그먼트
F5
H 전체 높이
h1, h2, h3 높이
L 길이 연장 방향
L1, L2, L3, L4 지탱 표면
LZ (중앙) 지탱 표면
S 비드
V1, V2, V3, V4 보강 구조
V5
W 벽

Claims (13)

  1. 차량을 위한 지지 요소로서, 이 지지 요소는 지지면을 규정하며 또한 차량 창문 리프터의 기능 요소들의 배치를 위한 2개의 상호 반대쪽 측면을 규정하고, 상기 지지 요소는 이 지지 요소를 보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보강 구조를 포함하고, 이 보강 구조는 양 측면에서 상기 지지면 및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상기 지지 요소는 적어도 2개의 표면 세그먼트를 형성하며, 이들 표면 세그먼트는 양 측면에서 상기 지지면을 따라 상기 연장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보강 구조(V1)는, 일 측면(A1)에서 상기 지지면(xz-면)에 대해 횡으로 양 표면 세그먼트(F1, F3; F2, F3; F2, F4; F3, F4)에 대해 돌출되어 연장되어 있고 다른 측면(A2)에서는 두 표면 세그먼트의 표면 세그먼트(F1; F2; F3)에 대해 뒤로 물러나서 그리고 두 표면 세그먼트의 다른 표면 세그먼트(F3; F4)에 대해서는 돌출되어 연장되어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지지 요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구조(V1)의 확장은 상기 지지 요소(AGT)에 의해 규정되는 상기 지지면(xz-면)에 대해 횡으로 연장 방향(L)을 따라 변하는 지지 요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은 상기 연장 방향(L)을 따라 연속적으로 변하는 지지 요소.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구조(V1)는 적어도 일 부분에서 경사로(ramp) 형태로 연장되어 있는 지지 요소.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양 측면(A1, A2)에서의 보강 구조(V1)의 확장은 상기 연장 방향(L)을 따라 변하는 지지 요소.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구조(V1)의 확장은 일 측면(A1)에서 상기 지지면(xz-면)에 대해 횡으로 변하고 다른 측면(A2)에서는 상기 지지면(xz-면)에 대해 횡으로 그리고/또는 상기 연장 방향(L)에 대해 횡으로 변하는 지지 요소.
  7. 제 6 항에 있어서,
    양 측면(A1, A2)에서, 상기 지지면(xz-면)에 대해 횡으로의 그리고 상기 연장 방향(L)을 따른 보강 구조(V1)의 확장은 대응하는 정도로 변하며, 따라서 일 측면(A1)에서 상기 지지면(xz-면)에 대해 횡으로의 보강 구조(V1)의 확장은, 다른 측면(A2)에서 상기 지지면(xz-면)에 대해 횡으로의 확장이 감소 또는 증가하는 정도로 감소 또는 증가하는 지지 요소.
  8. 제 6 항에 있어서,
    일 측면(A1)에서 보강 구조(V1)의 확장은 상기 지지면(xz-면)에 대해 횡으로 변하고 다른 측면(A2)에서는 보강 구조(V1)의 연장 방향(L)에 대해 횡으로 변하며, 따라서 일 측면(A1)에서 지지면(xz-면)에 대해 횡으로의 감소하는 확장은 다른 측면(A2)에서의 연장 방향(L)에 대한 횡으로의 증가하는 확장에 의해 보상되는 지지 요소.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측면(A2)에 있는 보강 구조(V1)는 비드(S) 및 연장 방향(L)으로 그 비드와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23, 24)로 형성되어 있는 지지 요소.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방향(L)을 따라 보강 구조(V1)는 양각(relief) 형태로 일 측면(A1)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돌출되어 있는 지지 요소.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표면 세그먼트(F1, F3; F2; F4)는 다른 제 3 표면 세그먼트(F2; F3)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보강 구조(V1)는 그 표면 세그먼트를 가로질러 연장되어 있는 지지 요소.
  12.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표면 세그먼트(F1, F3; F2, F3; F2, F4; F3, F4)는 지지면(xz-면)을 따라 연장 방향(L)으로 서로 앞뒤로 또한 서로 오프셋되어 배치되며, 양 측면(A1, A2)에서 보강 구조(V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두 표면 세그먼트(F1, F3; F2, F3; F2, F4; F3, F4) 위로 연장되어 지지 요소.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표면 세그먼트(F2; F3)는 두 다른 표면 세그먼트(F1, F3; F2; F4)및/또는 지지면(xz-면)에 대해 경사져 연장되어 있는 지지 요소.
KR1020147015849A 2011-12-09 2012-12-04 보강 구조를 갖는 차량 창문 리프터용 지지 요소 KR1015668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56233A DE102011056233A1 (de) 2011-12-09 2011-12-09 Trägerbauteil für einen Kraftfahrzeug-Fensterheber mit Versteifungsstruktur
DE102011056233.8 2011-12-09
PCT/EP2012/005000 WO2013083265A1 (de) 2011-12-09 2012-12-04 Trägerbauteil für einen kraftfahrzeug-fensterheber mit versteifungsstrukt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589A KR20140091589A (ko) 2014-07-21
KR101566842B1 true KR101566842B1 (ko) 2015-11-06

Family

ID=47471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5849A KR101566842B1 (ko) 2011-12-09 2012-12-04 보강 구조를 갖는 차량 창문 리프터용 지지 요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68815B2 (ko)
EP (1) EP2788210B1 (ko)
KR (1) KR101566842B1 (ko)
CN (1) CN103987551B (ko)
DE (1) DE102011056233A1 (ko)
WO (1) WO20130832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84292B2 (ja) * 2014-11-26 2018-09-0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ドアモジュール
DE102015217349A1 (de) * 2015-05-05 2016-11-10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Türmodul für eine Kraftfahrzeugtür
US10350973B2 (en) * 2017-07-17 2019-07-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racket to connect interior door trim grab handle with integrated window regulator carri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03383A (ja) 2004-06-23 2008-02-07 インティアー オートモーティヴ クロージャ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構造的ドアモジュール
KR100864507B1 (ko) 2007-08-07 2008-10-20 평화정공 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모듈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23986A (ja) * 1982-01-19 1983-07-23 株式会社城南製作所 自動車用ウインドレギユレ−タの窓ガラス案内装置
US5535553A (en) * 1994-11-16 1996-07-16 General Motors Corporation Superplug vehicle door module
DE19838347C2 (de) * 1998-08-14 2000-05-31 Brose Fahrzeugteile Führungsschien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Führungsschiene für einen Seil- oder Bowdenrohr-Fensterheber
AU3138400A (en) * 1999-03-11 2000-09-28 Atoma International Corp. Door module having structural carrier
DE19944916A1 (de) * 1999-09-14 2001-03-15 Brose Fahrzeugteile Seil- oder Bowdenfensterheber
FR2815662B1 (fr) * 2000-10-24 2003-06-27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Leve-vitre, notamment de custode de vehicule
WO2002088502A1 (en) * 2001-04-26 2002-11-07 Intier Automotive Closures Inc. Universal cable window regulator assembly for vehicles
US6502821B2 (en) * 2001-05-16 2003-01-07 L&L Products, Inc. Automotive body panel damping system
DE10128198C2 (de) * 2001-06-11 2003-12-24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Seitenaufprallträger für ein Kraftfahrzeug und Platine als Halbzeug für einen Seitenaufprallträger
DE10256137B3 (de) * 2002-11-29 2004-01-22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Seitenaufprallträger
FR2855206B1 (fr) * 2003-05-20 2006-05-26 Arvinmeritor Light Vehicle Sys Leve-vitre et un vehicule avec leve-vitre
DE20309170U1 (de) * 2003-06-06 2004-10-28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Multifunktionsträger für ein Kraftfahrzeug
US7591104B2 (en) * 2003-07-23 2009-09-22 Ohi Seisakusho Co., Ltd. Mounting structure of a power window apparatus
US8132368B2 (en) * 2005-12-19 2012-03-13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Window lift apparatus, door module, motor vehicle door and method for installation of a window lift apparatus
KR20070084672A (ko) * 2006-02-21 2007-08-2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도어구조
CN201013164Y (zh) * 2006-03-15 2008-01-30 法国阿文美驰轻型车***有限公司 车门内饰层部件和相应的车门
DE202006005797U1 (de) * 2006-04-04 2006-07-06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Türmodulträger für eine Kraftfahrzeugtür
US7610720B2 (en) * 2006-04-26 2009-11-03 Magna Closures Inc Railless window regulator
JP5148870B2 (ja) * 2006-12-15 2013-02-20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自動車のドア構造
CN106014069B (zh) * 2007-05-09 2017-11-17 马格纳·克劳祖雷斯有限公司 用于车辆的车窗调节器组件
DE102008024742A1 (de) * 2008-05-21 2009-11-26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Lagerstelle für ein Umlenkelement
US9511652B2 (en) * 2009-05-20 2016-12-06 Inteva Products Llc Integrated module carrier plate
US8844198B2 (en) * 2009-08-28 2014-09-30 Inteva Products, Llc Multilayer window lift rail,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8851553B2 (en) * 2009-11-25 2014-10-07 Magna Automotive Services Gmbh Vehicle door reinforcing beam
FR2964347B1 (fr) * 2010-09-02 2012-09-28 Faurecia Interieur Ind Module de porte de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 systeme leve-vitre
WO2012162810A1 (en) * 2011-05-30 2012-12-06 Magna Closures Inc. Vehicle door and door module
CN103764935A (zh) * 2011-08-15 2014-04-30 麦格纳覆盖件有限公司 具有迫使弧形轨道获得螺旋扭曲的承载板的窗调节器模块
UA112663C2 (uk) * 2011-09-30 2016-10-10 Арселормітталь Інвестігасіон І Десаррольо, С.Л. Легкі сталеві двері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засобу і спосіб для їх виготовлення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03383A (ja) 2004-06-23 2008-02-07 インティアー オートモーティヴ クロージャ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構造的ドアモジュール
KR100864507B1 (ko) 2007-08-07 2008-10-20 평화정공 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88210B1 (de) 2016-03-23
CN103987551A (zh) 2014-08-13
US9168815B2 (en) 2015-10-27
US20140361575A1 (en) 2014-12-11
EP2788210A1 (de) 2014-10-15
KR20140091589A (ko) 2014-07-21
CN103987551B (zh) 2016-01-13
DE102011056233A1 (de) 2013-06-13
WO2013083265A1 (de) 201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137360B (zh) 车辆车身的车门槛和车辆车架以及用于制造车门槛的方法
KR102547269B1 (ko) 차량용 캐리어 장치
RU2727226C1 (ru) Конструкция профильной планки
KR100762725B1 (ko) 윈드스크린 와이퍼용 와이퍼 스트립
JP6634097B2 (ja) 異形帯材、異形帯材を製造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566842B1 (ko) 보강 구조를 갖는 차량 창문 리프터용 지지 요소
JP3306045B2 (ja) 車両のシートのための案内レール
EP1145889A2 (en) Sealing a moveable and an abutting fixed window pane of a motor vehicle
US20090283352A1 (en) Assembly support for a motor vehicle transmission
JP2002067749A (ja) 乗物用シートのスライドレール
CN1986290B (zh) 保险杠安装用托架
US7281354B2 (en) Weather strip
JP6336740B2 (ja) サッシュ部材
JPS63255119A (ja) ガラスをシール及びガイドするための装置
CN102985618A (zh) 用于道路区间车辆的约束***
CN211622028U (zh) 一种装配式建筑用的泛水件和装配式建筑
US6478364B2 (en) Motor vehicle door
KR100566141B1 (ko) 자동차 좌석용 트랙 조립체 및 그 트랙 조립체가 장착된좌석
KR20050031924A (ko) 차량 도어 프레임 및 상기 차량 도어 프레임을 구비한차량 도어
US7648079B2 (en) Grooved rail
KR101991779B1 (ko) 캐리어 플레이트 조립체
JP2020200008A (ja) 樹脂製ディビジョンバーの固定構造
KR0143513B1 (ko) 차량용 도어유리 승강장치
KR20200009307A (ko) 타일 결합체
JP2014213751A (ja) 車体側部の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