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6987B1 -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6987B1
KR101536987B1 KR1020140032533A KR20140032533A KR101536987B1 KR 101536987 B1 KR101536987 B1 KR 101536987B1 KR 1020140032533 A KR1020140032533 A KR 1020140032533A KR 20140032533 A KR20140032533 A KR 20140032533A KR 101536987 B1 KR101536987 B1 KR 101536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rod
stage
vehicle
fixing
fix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2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원
Original Assignee
경창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창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창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2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6987B1/ko
Priority to DE102015103998.2A priority patent/DE102015103998A1/de
Priority to CN201610347321.8A priority patent/CN105864413B/zh
Priority to US14/663,712 priority patent/US10088039B2/en
Priority to CN201510125564.2A priority patent/CN104930179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6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6987B1/ko
Priority to US15/166,958 priority patent/US2016027365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2Locking of the control input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4Ratio selector apparatus
    • F16H59/044Ratio selector apparatu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04Selector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s with means for range selection and manual shifting, e.g. range selector with tiptron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16H59/105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4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comprising signals other than signals for actuating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42Ratio indicator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F16H2059/0282Lever handles with lock mechanisms, e.g. for allowing selection of reverse gear or releasing lever from park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4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comprising signals other than signals for actuating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42Ratio indicator devices
    • F16H2063/423Range indicators for automatic transmissions, e.g. showing selected range or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16H59/44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dependent on machine speed of the machine, e.g. the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50Inputs being a function of the status of the machine, e.g. position of doors or safety belts
    • F16H59/54Inputs being a function of the status of the machine, e.g. position of doors or safety belts dependent on signals from the brakes, e.g. parking brak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018Transmission control
    • Y10T74/20085Restriction of shift, gear selection, or gear eng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018Transmission control
    • Y10T74/20085Restriction of shift, gear selection, or gear engagement
    • Y10T74/20098Separate actuator to disengage restri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는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10); 제3 후방걸림면(352)을 포함하는 판부(300);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배치된 제2 고정부(200); 변속기 로드(600), 상기 변속기 로드의 하방에 상하 진퇴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디텐트 핀(30) 및 상기 디텐트 핀(30)이 안내되는 그루브가 형성된 그루브 부재(40)를 포함하고, 상기 그루브 부재(40)는 R단, D단, M단 및 N단에서 상기 디텐트 핀(30)이 위치하는 제1 안정 위치(a) 및 P단에서 상기 디텐트 핀(30)이 위치하는 제2 안정 위치(b)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부(200)는 상기 제3 후방걸림면(352)에 걸림되어 상기 디텐트 핀(30)이 상기 제2 안정 위치(b)에 위치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LEVER DEVICE FOR TRANSMISSION CONTROL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변속기가 장착된 자동차의 경우 운전석 옆에 변속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레버 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레버 장치 중에는 변속기 제어 장치에 레버의 조작 신호를 전자적으로 전달하는 전자식 변속제어 레버 장치가 있었다.
종래의 전자식 변속제어 레버 장치 중에는 레버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 R, N 및 D단의 변속단을 선택할 수 있게 하고, 레버를 우측 방향 또는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 M단의 변속단을 선택할 수 있는 전자식 변속제어 레버 장치가 있었다.
이러한, 전자식 변속제어 레버 장치는 별도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곧바로 P단이 선택되기 때문에 조작 중에 부주의로 인해서 별도의 버튼이 눌러질 수 있는 문제가 상존했다. 또한, 전자식 변속제어 레버 장치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기 때문에 기존 기계식으로 구현된 변속단에 따른 시프트 락이 아니므로 운전자가 레버 작동시 안전하게 느낄 수 없었다.
따라서, P단을 선택하기 위한 별도의 버튼이 이용되지 않고, 기계적으로 변속단의 시프트 락을 구현할 수 있는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의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전자식 변속제어 레버 장치임에도 불구하고 별도의 버튼을 이용하지 않고도 P단을 선택할 수 있는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식 변속제어 레버 장치임에도 불구하고 기계적으로 변속단의 시프트 락을 구현할 수 있는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는,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10); 제3 후방걸림면(352)을 포함하는 판부(300);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배치된 제2 고정부(200); 변속기 로드(600), 상기 변속기 로드의 하방에 상하 진퇴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디텐트 핀(30) 및 상기 디텐트 핀(30)이 안내되는 그루브가 형성된 그루브 부재(40)를 포함하고, 상기 그루브 부재(40)는 R단, D단, M단 및 N단에서 상기 디텐트 핀(30)이 위치하는 제1 안정 위치(a) 및 P단에서 상기 디텐트 핀(30)이 위치하는 제2 안정 위치(b)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부(200)는 상기 제3 후방걸림면(352)에 걸림되어 상기 디텐트 핀(30)이 상기 제2 안정 위치(b)에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변속기 로드(600)는, 시프트 방향 회전축(610) 및 셀렉트 방향 회전축(620)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는, 상기 변속기 로드의 시프트 방향 또는 셀렉트 방향의 회동을 검지하는 단일 센서(73);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여기서, 상기 판부(300)는 상기 제3 후방걸림면(352)이 형성된 판부 홈(350)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부(200)는 상기 판부 홈(350)에 일단이 삽입되는 제2 고정핀(21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는 누름부(400); 및 릴리즈 버튼(release button)(500);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누름부(400)는 소정 조건을 만족하거나, 상기 릴리즈 버튼(500)을 누르면 상기 제2 고정핀(21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변속기 로드(600)의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를 우측 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전방으로 회동시킨 후, 상기 소정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상기 제2 고정핀(210)이 상기 제3 후방걸림면(352)에 걸림되어 상기 디텐트 핀(30)이 상기 제2 안정 위치(b)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 조건은 브레이크 및 언락 버튼(unlock button)이 온(on) 상태이며, 차량 속도가 안전변속가능속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는 현재 변속단을 표시하는 표시장치(9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용 전자식 변속제어 레버 장치는 별도의 버튼을 이용하지 않고도 P단을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기계적으로 변속단의 시프트 락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파킹 해제 장치(PRD: Parking Release Device)를 사용하지 않아 파킹 해제 장치를 이용할 때보다 원가가 절감되고, 중량이 줄어 연비가 향상되고, 레이아웃 자유도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1)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기 위하여 외측 구성물을 제거한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기 위하여 외측 구성물을 제거한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변속기 로드(600), 디텐트 핀(30) 및 그루브 부재(40)를 후방에서 바라본 일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그루브 부재(40)의 상면도이다.
도 6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변속기 로드(600) 및 디텐트 핀(30)의 우측면도이다.
도 7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변속기 로드(600) 및 디텐트 핀(30)의 좌측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변속기 로드(600)의 우측면도이다.
도 9는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1)의 가이드(60) 및 단일 센서(73)를 상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1)의 제1 고정부(100)를 도시한다.
도 11a 및 도 11b는 제1 고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제1 고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이다.
도 13 내지 15는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변속기 로드(600)와 제1 고정핀(110)을 후방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1)의 제2 고정부(2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판부(300)의 좌측면도이다.
도 19 내지 도 21은 도 7 및 도 17에 도시된 변속기 로드(600)와 제2 고정핀(210)의 정면도이다.
도 22는 디텐트 핀(30)이 도 5에 도시된 제1 안정 위치(a)에 있는 상태의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1)의 우측면도이다.
도 23은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를 우측 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의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1)의 우측면도이다.
도 24는 변속기 디텐트 핀(30)이 도 5에 도시된 제2 안정 위치(b)에 있는 상태의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1)의 우측면도이다.
도 25는 디텐트 핀(30)이 도 5에 도시된 제1 안정 위치(a)에 있는 상태의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1)의 좌측면도이다.
도 26은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를 우측 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의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1)의 좌측면도이다.
도 27은 변속기 디텐트 핀(30)이 도 5에 도시된 제2 안정 위치(b)에 있는 상태의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1)의 좌측면도이다.
도 28은 P단에서 브레이크, 언락 버튼 및 주행 여부에 따른 제1 고정핀(110) 위치 및 제2 고정핀(210)의 위치와 변속기 로드(600)의 회동 방향에 따른 회동 가능여부를 도시한 표이다.
도 29는 R단에서 브레이크, 언락 버튼 및 주행 여부에 따른 제1 고정핀(110) 위치 및 제2 고정핀(210)의 위치와 변속기 로드(600)의 회동 방향에 따른 회동 가능여부를 도시한 표이다.
도 30a 및 도 30b는 N단에서 브레이크, 언락 버튼 및 주행 여부에 따른 제1 고정핀(110) 위치 및 제2 고정핀(210)의 위치와 변속기 로드(600)의 회동 방향에 따른 회동 가능여부를 도시한 표이다.
도 31은 D단에서 브레이크, 언락 버튼 및 주행 여부에 따른 제1 고정핀(110) 위치 및 제2 고정핀(210)의 위치와 변속기 로드(600)의 회동 방향에 따른 회동 가능여부를 도시한 표이다.
도 32는 M단에서 브레이크, 언락 버튼 및 주행 여부에 따른 제1 고정핀(110) 위치 및 제2 고정핀(210)의 위치와 변속기 로드(600)의 회동 방향에 따른 회동 가능여부를 도시한 표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종래기술에 의하여 당업자가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용이하게 재현할 수 있는 것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하여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1)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기 위하여 외측 구성물을 제거한 우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기 위하여 외측 구성물을 제거한 좌측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변속기 로드(600), 디텐트 핀(30) 및 그루브 부재(40)를 후방에서 바라본 일부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그루브 부재(40)의 상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변속기 로드(600) 및 디텐트 핀(30)의 우측면도이고, 도 7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변속기 로드(600) 및 디텐트 핀(30)의 좌측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변속기 로드(600)의 우측면도이다. 여기서, 상기 외측 구성물은 하우징(10)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1)는 하우징(10), 변속기 로드(600), 디텐트 핀(30) 및 그루브 부재(4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변속기 로드(600), 디텐트 핀(30) 및 그루브 부재(40)를 수용할 수 있으며, 베이스브라켓(11), 사이드커버(70) 및 상측 커버(2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브라켓(11)은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1)를 차체 내에 장착할 수 있는 부재이다.
사이드커버(70)는 베이스 브라켓(11) 상에 배치된다. 사이드커버(70)는 변속기 로드(600), 디텐트 핀(30) 및 그루브 부재(40)를 측면에서 감싸는 부재이다.
상측 커버(20)는 사이드커버(70) 상에 배치되고, 후술하게 될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변속기 로드(600)는 시프트 방향 회전축(610), 셀렉트 방향 회전축(620), 연장부(630) 및 스핀들 베어링(640)을 포함할 수 있다.
변속기 로드(600)는 변속단을 선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변속기 로드(600)는 시프트 방향 회전축(610)을 중심으로 시프트 방향(차량의 전방 및 후방) 또는 셀렉트 방향 회전축(620)을 중심으로 셀렉트 방향(차량의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으로 일정 범위 회동할 수 있다.
변속기 로드(600)는 시프트 방향 회전축(610) 또는 셀렉트 방향 회전축(620)의 상부에 위치하는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 및 하부에 위치하는 변속기 로드 하단부(680)를 포함할 수 있다.
변속기 로드 하단부(680)는 좌측면에서 좌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부(630)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630)는 후술하게 될 스핀들 베어링(640)의 개구(64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변속기 로드 하단부(680)는 스핀들 베어링(64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스핀들 베어링(640)의 좌측면에는 개구(641)가 형성되고, 스핀들 베어링(640)의 우측면에는 스핀들 베어링 홈(642)이 형성될 수 있다.
변속기 로드 하단부(680)의 우측면에는 후술하게 될 제1 고정부(100)의 제1 고정핀(110)이 삽입되는 제1 홈(661) 및 후술하게 될 제1 고정부(100)의 제1 고정핀(110)이 걸림되는 제1 걸림면(65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홈(661)은 스핀들 베어링 홈(642)에 노출되도록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걸림면(650)은 전방걸림면(651), 제1 후방걸림면(652) 및 좌측걸림면(6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걸림면(650)은 제1 고정핀(110)의 제1 내지 제6 위치에 따라 변속기 로드(600)의 시프트 ?향 또는 셀렉트 방향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게 될 제1 고정부(100)의 제1 고정핀(110)의 제1 내지 제6 위치에 따라 변속기 로드(600)의 쉬프트 방향 회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스핀들 베어링 홈(642)의 테두리에 전방걸림면(651) 및 제1 후방걸림면(65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부(100)의 제1 고정핀(110)의 제1 내지 제6 위치에 따라 변속기 로드(600)의 셀렉트 방향 회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변속기 로드 하단부(680)의 우측면에 좌측걸림면(653)이 형성될 수 있다.
변속기 로드 하단부(680)의 좌측면에는 후술하게 될 제2 고정부(200)의 제2 고정핀(210)이 삽입되는 제2 홈(662) 및 후술하게 될 제2 고정부(200)의 제2 고정핀(210)이 걸림되는 제2 걸림면(654)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걸림면(654)은 제2 고정핀(210)의 제1 내지 제4 위치에 따라 변속기 로드(600)의 셀렉트 방향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다.
디텐트 핀(30)은 변속기 로드(600)의 하방에 디텐트 핀 탄성 부재(35)에 의해 상하 진퇴(進退)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디텐트 핀(30)의 하단부는 그루브 부재(40)와 접촉하여 안내된다.
그루브 부재(40)의 상면에는 디텐트 핀(30)이 안내되는 그루브가 형성된다. 디텐트 핀(30)이 안내되는 상기 그루브는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그루브 부재(40)의 그루브 중앙에는 제1 안정 위치(a)가 형성된다.
제1 안정 위치(a)의 주위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디텐트 핀 탄성 부재(35)에 의해 디텐트 핀(30)이 상기 경사면을 따라 제1 안정 위치(a)로 복귀할 수 있다.
또한, 그루브 부재(40)의 상기 그루브에는 제1 안정 위치(a)에서 좌측 방향 및 후방에 형성된 제2 안정 위치(b)가 위치할 수 있다.
도 9는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1)의 가이드(60) 및 단일 센서(73)를 상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도 3,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1)는 가이드(60), 가이드 커버(65) 및 단일 센서(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60)는 연결부(61) 및 이동자(63)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61)는 변속기 로드(600)에 형성된 연장부(630)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가이드(60)는 변속기 로드(600)의 시프트 방향 및 셀렉트 방향의 회동에 연동하여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60)는 변속기 로드(600)의 시프트 방향의 회동에 연동하여 후방 또는 전방으로 이동하고, 변속기 로드(600)의 셀렉트 방향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동자(63)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이동자(63)의 이동을 검지하는 단일 센서(73)가 사이드커버(70)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때, 가이드(60)는 가이드 커버(65)에 형성된 홈에 의해 고정된 방향성을 갖는다. 즉, 가이드(60)는 가이드 커버(65)에 형성된 홈의 경로에 따라서 고정된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이동자(63)는 고정된 방향으로만 이동하기 때문에 이동자(63)의 위치는 단일 센서(73)에 의해 쉽게 검지될 수 있다.
이동자(63)는 자석 또는 전도체일 수 있다. 여기서, 이동자(63)가 자석인 경우, 단일 센서(73)는 2D 홀 센서(hall sensor) 또는 3D 홀 센서일 수 있다. 또한, 이동자(63)가 전도체인 경우, 단일 센서(73)는 인덕티브 센서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1)는 표시장치(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장치(90)는 현재 변속단을 표시한다. 표시장치(90)는 운전자가 현재 변속단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1)의 외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표시장치(90)는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1)의 상측 커버(20) 외면에 위치할 수 있고,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의 외면에 위치할 수 있다.
표시장치(90)는 문자 또는 색상 등의 시각적인 방법으로 운전자에게 현재 변속단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운전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현재 변속단을 액정과 같은 표시수단에 P, R, N, D 및 M등의 알파벳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액정과 같은 표시수단에 다양한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장치(90)는 P단을 하얀색으로 표시하고, R단을 빨간색으로 표시하고, N단을 초록색으로 표시하고, D단을 노란색으로 표시하고, M단을 파란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장치(90)는 시각적인 방법으로 표시하는 것으로만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1)의 제1 고정부(100)를 도시한다.
도 2, 도 6, 도 8 및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면,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1)는 제1 고정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100)는 하우징(10)에 설치되며, 스핀들 베어링(640)에 형성된 스핀들 베어링 홈(642)에 일단이 삽입된 제1 고정핀(110), 상기 제1 고정핀(110)의 타단과 연결되고, 홈(125)이 형성된 제1 이동부재(120), 상기 제1 이동부재(120)의 홈(125)에 관통된 웜쉐프트(worm-shaft)(130), 상기 웜쉐프트(130)를 회전 시키는 구동부재(140) 및 상기 제1 이동부재(120)의 움직임을 검지하는 홀 센서(hall sensor)(1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고정핀(110)은 스핀들 베어링(640)에 형성된 스핀들 베어링 홈(642)에 삽입되어 변속단에 따라 변속기 로드(600)의 시프트 방향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제1 이동부재(120)는 차량의 전방, 후방, 우측 방향 및 좌측 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없도록 고정되어 설치되고, 상방 및 하방으로만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이동부재(120)에 연결된 제1 고정핀(110)도 상방 및 하방으로만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제1 이동부재(120)은 자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는다. 구체적으로, 제1 이동부재(120)는 홀 센서(150)가 위치한 방향의 일단에 자성을 갖는 자석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재(140)는 변속단이 변경됨에 따라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웜쉐프트(130)는 구동부재(140)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전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웜쉐프트(130)는 구동부재(140)의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의 회전 운동을 이용하여 제1 이동부재(120) 및 제1 고정핀(110)을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제1 이동부재(120) 및 제1 고정핀(110)을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홀 센서(150)는 제1 이동부재(120)의 자석부(121)의 자기력선을 이용하여 제1 이동부재(120)의 위치를 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자석의 특징은 자기력선의 평형을 이루려고 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 자기력선의 평형을 이루려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자석이 이동하는 쪽의 자기력이 강해지고 나머지 부분의 자기력이 약해진다. 따라서, 자기력선은 자기력이 약한 쪽에서 자기력이 강한쪽으로 이동하려는 성질을 가진다.
홀 센서(150)는 자기력선이 이동하는 곳을 검지하여 자기력을 측정함으로써 제1 이동부재(12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홀 센서(150)가 검지한 제1 이동부재(120)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위치가 아니라면, 구동부재(140)를 이용하여 제1 이동부재(120)의 위치를 재설정한다.
이하에서는, 제1 고정부(100)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a 및 도 11b는 제1 고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이고, 도 12a 및 도 12b는 제1 고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이다. 구체적으로, 도 11 및 도 12는 도 6에 도시된 변속기 로드(600)의 우측면도이다.
도 8, 도 9,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1 고정부(100)는 변속단에 따라 변속기 로드(600)의 시프트 방향 회동을 제한할 수 있다.
변속기 로드(600)를 조작함에 따라 가이드(60)가 이동하고, 상기 이동을 단일 센서(73)가 검지하여 메인PCB로 변속기 로드(600)의 조작 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조작 정보를 송신한 메인PCB에서는 이전 변속단과 상기 조작 정보를 이용하여 새로운 변속단을 설정할 수 있다. 이후, 구동부재(140)는 상기 메인PCB로부터 수신한 새로운 변속단 정보에 따라 시계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고정핀(110)을 새로운 변속단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제1 고정핀(110)은 현재 변속단이 R단이면,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가 시프트 방향 회전축(610)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동하지 못하도록 제한한다. 구체적으로,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단을 R단으로 변속하면, 제1 고정부(100)의 제1 고정핀(110)이 제2 위치로 이동된다. 제1 고정핀(110)이 제2 위치로 이동되면, 제1 고정핀(110)의 전방측면이 스핀들 베어링 홈(642)의 전방걸림면(651)과 접하기 때문에 변속기 로드 하단부(680)의 후방으로의 회동, 즉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의 전방으로의 회동이 제한되고,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의 후방으로의 회동이 가능하여 R단으로부터 N단으로 변속이 가능하다.
이 때, 변속단이 R단인 상태에서 소정 조건을 만족하면, 제1 고정부(100)의 제1 고정핀(110)이 제1 위치로 이동된다. 제1 고정핀(110)이 제1 위치로 이동되면,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의 전방으로의 회동이 제한되고, 제2 위치에서보다 더 많은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의 후방으로의 회동이 가능하게 되어 한번에 R단으로부터 D단으로 변속이 가능하다. 따라서,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R단으로부터 D단으로 한 번에 변속이 가능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1 고정핀(110)은 현재 변속단이 N단이면,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가 시프트 방향 회전축(610)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동하지 못하도록 제한한다. 구체적으로, 변속단을 N단으로 변속하면, 제1 고정부(100)의 제1 고정핀(110)이 제2 위치로 이동된다. 제1 고정핀(110)이 제2 위치로 이동되면,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의 전방으로의 회동이 제한되어 N단으로부터 R단으로의 변속이 불가능하고,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의 후방으로의 회동이 가능하여 N단으로부터 D단으로 변속이 가능하다.
이 때, 변속단이 N단인 상태에서 소정 조건을 만족하면, 제1 고정부(100)의 제1 고정핀(110)이 제3 위치로 이동된다. 제1 고정핀(110)이 제3 위치로 이동되면,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의 회동이 모두 가능하여 N단으로부터 R단 또는 D단으로 모두 변속이 가능하다. 따라서,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N단으로부터 R단으로 변속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N단에서는 항상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의 후방으로의 회동이 가능하지만, 차량이 후방으로 후술하게될 안전변속가능속도를 초과하여 주행하는 상태에서 N단으로부터 D단으로 변속하게 되면 안전한 변속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이 후방으로 안전변속가능속도를 초과하여 주행하는 경우에는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이 후방으로 회동이 되더라도,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N단으로부터 D단으로 변속이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핀(110)은 현재 변속단이 D단이면,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가 시프트 방향 회전축(610)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동하지 못하도록 제한한다. 구체적으로,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단을 D단으로 변속하면, 제1 고정부(100)의 제1 고정핀(110)이 제4 위치로 이동된다. 제1 고정핀(110)이 제4 위치로 이동되면, 제1 고정핀(110)의 전방측면이 스핀들 베어링 홈(642)의 제1 후방걸림면(652)과 접하기 때문에 변속기 로드 하단부(680)의 전방으로의 회동, 즉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의 후방으로의 회동이 제한되고,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의 전방으로의 회동이 가능하여 D 단으로부터 N단으로 변속이 가능하다.
이 때, 변속단이 D단인 상태에서 소정 조건을 만족하면, 제1 고정부(100)의 제1 고정핀(110)이 제5 위치로 이동된다. 제1 고정핀(110)이 제5 위치로 이동되면,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의 후방으로의 회동이 제한되고, 제4 위치에서보다 더 많은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의 전방으로의 회동이 가능하게 되어 한번에 D단으로부터 R단으로 변속이 가능하다. 따라서,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D단으로부터 R단으로 한 번에 변속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변속단이 R단, D단 또는 N단인 상태에서 변속단을 P단으로 변속하기 위하여 소정 조건을 만족한 상태에서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를 우측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제1 고정부(100)의 제1 고정핀(110)이 제5 위치로 이동된다. 제1 고정핀(110)이 제5 위치로 이동되면,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의 후방으로의 회동이 제한되고,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의 전방으로의 회동이 가능하여 P단으로 변속이 가능하다.
또한, 변속단을 M단으로 변속하면, 제1 고정부(100)의 제1 고정핀(110)이 제6 위치로 이동된다. 제1 고정핀(110)이 제6 위치로 이동되면,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의 회동이 모두 가능하여 수동으로 상단 또는 하단으로 변속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소정 조건은 R단 또는 P단으로 변속하거나 R단에서 D단으로, 또는 D단에서 R단으로 변속이 가능한 조건이며, 운전자가 의도하지 않은 변속 및 안전한 변속이 불가능한 빠른 속도로 주행중에서의 변속을 방지하고, 의도한 경우 및 안전하게 변속이 가능한 경우에서만 변속이 가능하도록, 상기 소정 조건은 브레이크 및 언락 버튼(unlock button)이 온(on) 상태이며, 차량 속도가 안전변속가능속도일 수 있다. 안전변속가능속도는 차량이 정지한 상태 또는 차량 속도가 매우 낮아 차량이 주행중인 상태에서 변속을 하더라도 안전하게 변속이 가능한 속도를 말한다. 이러한 안전변속가능속도는, 전방주행 및 후방주행 포함 6km/h 이하일 수 있다.
도 13 내지 15는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변속기 로드(600)와 제1 고정핀(110)을 후방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3은 제1 고정핀(110)이 제3 위치에 있을 때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제1 고정핀(110)이 제4 위치에 있을 때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에서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를 좌측 방향으로 회동시켰을 때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 고정부(100)는 변속단에 따라 변속기 로드(600)의 셀렉트 방향 회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고정부(100)는 변속단을 R단 또는 N단으로 변속하면, 제1 고정부(100)의 제1 고정핀(110)이 제1 내지 제3 위치 중 하나로 이동됨으로써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의 좌측방향회동을 제한한다.
반면, 제1 고정부(100)는 변속단에 따라 변속기 로드(600)가 셀렉트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변속단을 D단 또는 M단으로 변속하면, 제1 고정부(100)의 제1 고정핀(110)이 제4 내지 제6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가 좌측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핀(110)이 제3 위치에 있을 때는 제1 고정핀(110)의 끝단이 변속기 로드(600)의 좌측걸림면(653)에 걸리기 때문에 제1 고정부(100)는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의 좌측 방향 회동을 제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고정핀(110)이 제1 또는 제2 위치에 있을 경우에도, 제1 고정핀(110)의 끝단이 변속기 로드(600)의 좌측걸림면(653)에 걸리기 때문에 제1 고정부(100)는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의 좌측 방향 회동을 제한하여, R단 또는 N단으로부터 M단으로 변속이 불가능하다.
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핀(110)이 제4 위치에 있을 때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를 좌측 방향으로 회동시키더라도 제1 고정핀(110)의 끝단이 변속기 로드(600)의 좌측걸림면(653)에 걸리지 않고 제1 홈(661)에 삽입되기 때문에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를 좌측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고정핀(110)이 제5 또는 제6 위치에 있을 경우에도, 제1 고정핀(110)의 끝단이 변속기 로드(600)의 좌측걸림면(653)에 걸리지 않고 제1 홈(661)에 삽입되기 때문에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의 좌측 방향으로의 회동이 가능하여, D단으로부터 M단으로, 또는 M단으로부터 D단으로 변속이 가능하다.
도 16 및 도 17은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1)의 제2 고정부(2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8은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판부(300)의 좌측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1)는 제2 고정부(200), 판부(300) 및 누름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판부(300)는 일면에 형성된 판부 홈(350)을 포함할 수 있다.
판부 홈(350)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게 될 제2 고정부(200)의 제2 고정핀(210)이 제1 내지 제4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위치는 제2 고정핀(210)이 판부 홈(350)의 우측 위에 위치할 때이고, 제2 위치는 판부 홈(350)의 우측 아래에 위치할 때, 제3위치는 판부 홈(350)의 좌측 아래에 위치할 때이고, 제4 위치는 판부 홈(350)의 좌측 위에 위치할 때일 수 있다.
후술하게 될 제2 고정부(200)의 제2 고정핀(210)의 제1 내지 제4 위치에 따라 변속기 로드(600)의 쉬프트 방향으로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판부 홈(350)의 테두리에는 제2 후방걸림면(351) 및 제3 후방걸림면(35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정부(200)는 판부(300)에 형성된 판부 홈(350)에 일단이 삽입된 제2 고정핀(210), 상기 제2 고정핀(210)의 타단과 연결된 제2 이동부재(220), 상기 제2 이동부재(220)와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베이스 브라켓(11)에 배치된 고정부재(230) 및 상기 제2 이동부재(220)와 고정부재(230) 사이에 배치된 탄성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이동부재(220)는 차량의 전방, 후방, 우측 방향 및 좌측 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없도록 고정되어 설치되고, 상방 및 하방으로만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이동부재(220)에 연결된 제2 고정핀(210)도 상방 및 하방으로만 이동이 가능하다.
제2 이동부재(220)는 누름부(400)에 의해 고정부재(23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상기 소정 조건을 만족하면, 누름부(400)가 하방으로 회동하여 제2 이동부재(220)를 하방으로 눌러 제2 이동부재(220)가 고정부재(230)와 가까워지게 되어, 누름부(400)에 의해 제2 고정핀(210)이 이동된다. 이 때, 상기 소정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누름부(400)가 상방으로 회동하여 탄성부재(240)에 의해 제2 고정핀(210)이 원래 있었던 위치로 이동하게 한다.
도 19 내지 도 21은 도 7 및 도 17에 도시된 변속기 로드(600)와 제2 고정핀(210)의 정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9는 제2 고정핀(210)이 판부 홈(350)의 제1 위치에 있을 때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0은 제2 고정핀(210)이 판부 홈(350)의 제2 위치에 있을 때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1은 도 20에서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를 우측 방향으로 회동시켰을 때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2 고정부(200)는 변속기 로드(600)의 셀렉트 방향 회동을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고정부(200)는 소정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제2 고정부(200)의 제2 고정핀(210)을 제1 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의 우측방향회동을 제한할 수 있다.
반면, 제2 고정부(200)는 소정 조건을 만족하면, 제2 고정부(200)의 제2 고정핀(210)을 제2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가 우측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핀(210)이 제1 위치에 있을 때는, 제2 고정핀(210)의 끝단이 변속기 로드(600)의 제2 걸림면(654)에 걸리기 때문에 제2 고정부(200)는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의 우측 방향 회동을 제한할 수 있다.
반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핀(210)이 제2 위치에 있을 때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를 우측 방향으로 회동시키더라도 제2 고정핀(210)의 끝단이 변속기 로드(600)의 제2 걸림면(654)에 걸리지 않고 제2 홈(662)에 삽입되기 때문에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를 우측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 때,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가 우측 방향으로 회동하면, 변속기 로드 하단부(680)가 판부(300)에 끼워져, 변속기 로드(600)가 시프트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판부(300)도 변속기 로드(600)와 연동하여 시프트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가 우측 방향으로 회동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변속기 로드 하단부(680)가 판부(300)에 끼워지지 않기 때문에, 변속기 로드(600)가 시프트 방향으로 회동하더라도 판부(300)는 변속기 로드(600)와 연동하지 않으므로 시프트 방향으로 회동하지 않게 된다.
이하에서는, P단으로 변속하는 일 예를 도 22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2는 디텐트 핀(30)이 도 5에 도시된 제1 안정 위치(a)에 있는 상태의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1)의 우측면도이고, 도 23은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를 우측 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의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1)의 우측면도이고, 도 24는 변속기 디텐트 핀(30)이 도 5에 도시된 제2 안정 위치(b)에 있는 상태의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1)의 우측면도이다.
또한, 도 25는 디텐트 핀(30)이 도 5에 도시된 제1 안정 위치(a)에 있는 상태의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1)의 좌측면도이고, 도 26은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를 우측 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의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1)의 좌측면도이고, 도 27은 변속기 디텐트 핀(30)이 도 5에 도시된 제2 안정 위치(b)에 있는 상태의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1)의 좌측면도이다.
도 22 및 도 25를 참조하면, 변속단이 R단, N단, M단 또는 D단인 경우, 디텐트 핀(30)이 도 5에 도시된 제1 안정 위치(a)에 위치하고, 제2 고정부(200)의 제2 고정핀(210)은 제1 위치에 위치한다.
이 때, 제2 고정부(200)의 제2 고정핀(210)의 후방측면이 판부 홈(350)의 제2 후방걸림면(351)과 접하게 된다. 하지만,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가 우측 방향으로 회동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변속기 로드 하단부(680)가 판부(300)에 끼워지지 않기 때문에, 변속기 로드(600)가 시프트 방향으로 회동하더라도 판부(300)는 변속기 로드(600)와 연동하지 않아 시프트 방향으로 회동하지 않게 되므로, 제2 고정핀(220)에 의하여 변속기 로드(600)의 시프트 방향의 회동이 제한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는 변속기 로드(600)를 시프트 방향 또는 셀렉트 방향으로 회동시키더라도, 디텐트 핀 탄성 부재(35)에 의해 디텐트 핀(30)이 제1 안정 위치(a)의 주위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제1 안정 위치(a)로 복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변속단을 P단으로 변속하기 위하여 상기 소정 조건을 만족하면,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부(200)의 제2 고정핀(210)이 제2 위치로 이동된다. 제2 고정핀(210)이 제2 위치로 이동되면, 제2 고정핀(210)의 후방측면이 판부 홈(350)의 제2 후방걸림면(351)과 접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를 우측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부(100)의 제1 고정핀(110)이 제5 위치로 이동된다. 또한,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가 우측 방향으로 회동하면, 변속기 로드 하단부(680)가 판부(300)에 끼워져, 변속기 로드(600)가 시프트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부(300)가 변속기 로드(600)와 연동하여 시프트 방향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변속기 로드 하단부(680)의 전방으로의 회동, 즉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의 후방으로의 회동이 제한되고,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의 전방으로의 회동이 가능하여 P단으로 변속이 가능하다.
이 후,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를 전방으로 회동시키면, 판부(300)가 연동하여 후방으로 회동되므로, 제2 고정부(200)의 제2 고정핀(210)이 제3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제2 고정핀(210)이 제3 위치로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소정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부(200)의 제2 고정핀(210)이 제4 위치로 이동된다. 제2 고정부(200)의 제2 고정핀(210)이 제4 위치로 이동되면, 제2 고정핀(210)의 후방측면이 판부 홈(350)의 제3 후방걸림면(352)와 접하게 되고, 판부(300)가 변속기 로드(600)와 함께 시프트 방향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변속기 로드 하단부(680)의 전방으로의 회동, 즉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의 후방으로의 회동이 제한된다. 또한, 디텐트 핀(30)이 도 5에 도시된 제2 안정 위치(b)에 위치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제2 고정부(200)의 제2 고정핀(210)과 판부 홈(350)의 제3 후방걸림면(352)에 의하여 변속기 로드 상단부(600)의 후방으로의 회동이 제한되므로 디텐트 핀(30)이 제2 안정 위치(b)에 고정되어,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1)는 P단으로의 변속을 완료하게 된다.
이 후, P단에서 다른 단으로 변속하기 위하여, 상기 소정 조건을 만족하면, 제2 고정부(200)의 제2 고정핀(210)이 제3 위치로 이동된다. 제2 고정핀(210)이 제3 위치로 이동되면, 제3 위치에서는 제2 고정핀(210)이 제3 후방걸림면(352)에 접하지 않으므로,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를 후방으로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 후,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를 후방으로 회동시키면, 판부(300)가 연동하여 전방으로 회동되므로, 제2 고정부(200)의 제2 고정핀(210)이 제2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제2 고정핀(210)이 제2 위치에 위치하면, 디텐트 핀 탄성 부재(35)에 의해 디텐트 핀(30)이 그루브 부재(40)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제1 안정 위치(a)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를 좌측 방향으로 회동시키지 않아도 P단에서 다른 단으로 변속이 가능하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1)는 릴리즈 버튼(release button)(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릴리즈 버튼(500)의 일단은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1)의 외면에 배치되고, 릴리즈 버튼(500)의 타단은 누름부(400) 상에 배치된다. 이때, 릴리즈 버튼(500)의 일단을 하방으로 누르면, 릴리즈 버튼(500)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릴리즈 버튼(500)의 타단은 누름부(400)를 하방으로 회동시킨다.
릴리즈 버튼(500)은 차량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기타 전자식 제어 장치에 문제가 발생하여 상기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제대로 판단하지 못하는 경우, P단에서 다른 단으로 변속이 불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 릴리즈 버튼(500)을 사용하여, 상기 소정 조건이 만족하지 않더라도 기계식으로 누름부(400)를 하방으로 회동시켜 P단에서 다른단으로 변속이 가능하게 한다.
도 28은 P단에서 브레이크, 언락 버튼 및 주행 여부에 따른 제1 고정핀(110) 및 제2 고정핀(210)의 위치와 변속기 로드(600)의 회동 방향에 따른 변속기 로드(600)의 회동 가능여부를 도시한 표이다.
도 29는 R단에서 브레이크, 언락 버튼 및 주행 여부에 따른 제1 고정핀(110) 및 제2 고정핀(210)의 위치와 변속기 로드(600)의 회동 방향에 따른 변속기 로드(600)의 회동 가능여부를 도시한 표이다.
도 30a 및 도 30b는 N단에서 브레이크, 언락 버튼 및 주행 여부에 따른 제1 고정핀(110) 및 제2 고정핀(210)의 위치와 변속기 로드(600)의 회동 방향에 따른 변속기 로드(600)의 회동 가능여부를 도시한 표이다.
도 31은 D단에서 브레이크, 언락 버튼 및 주행 여부에 따른 제1 고정핀(110) 및 제2 고정핀(210)의 위치와 변속기 로드(600)의 회동 방향에 따른 변속기 로드(600)의 회동 가능여부를 도시한 표이다.
도 32는 M단에서 브레이크, 언락 버튼 및 주행 여부에 따른 제1 고정핀(110) 및 제2 고정핀(210)의 위치와 변속기 로드(600)의 회동 방향에 따른 변속기 로드(600)의 회동 가능여부를 도시한 표이다.
구체적으로, 도 28 내지 도 32에 도시된, ∧는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를 한 단계 전방으로 회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는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를 두 단계 전방으로 회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는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를 한 단계 후방으로 회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는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를 두 단계 후방으로 회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는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를 좌측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는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를 우측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는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를 우측 방향으로 회동한 후, 전방으로 한 단계 회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는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를 후방으로 한 단계 회동한 후, 좌측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는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를 후방으로 한 단계 회동한 후, 좌측 방향으로 회동한 후, 전방으로 한 단계 회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는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를 후방으로 한 단계 회동한 후, 좌측 방향으로 회동한 후, 전방으로 두 단계 회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는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를 후방으로 한 단계 회동한 후, 좌측 방향으로 회동한 후, 후방으로 한 단계 회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는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를 후방으로 한 단계 회동한 후, 좌측 방향으로 회동한 후, 후방으로 두 단계 회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는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를 후방으로 한 단계 회동한 후, 좌측 방향으로 회동한 후, 다시 좌측 방향으로 한 단계 회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1)는 도 28 내지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에서 변속기 로드(600)의 회동 방향을 제한하기 위하여, 브레이크, 언락 버튼 및 주행 여부에 따라 제1 고정핀(110) 위치 및 제2 고정핀(210)의 위치를 이동시킨다.
이상에서 실시 형태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형태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형태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형태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형태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 형태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형태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실시 형태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
10: 하우징 30: 디텐트 핀
40: 그루브 부재 60: 가이드
65: 가이드 커버 73: 단일 센서
90: 표시장치 100: 제1 고정부
200: 제2 고정부 300: 판부
400: 누름부 500: 릴리즈 버튼

Claims (16)

  1.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10);
    제3 후방걸림면(352)을 포함하는 판부(300);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배치된 제2 고정부(200);
    변속기 로드(600),
    상기 변속기 로드의 하방에 상하 진퇴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디텐트 핀(30) 및
    상기 디텐트 핀(30)이 안내되는 그루브가 형성된 그루브 부재(40)를 포함하고,
    상기 그루브 부재(40)는 R단, D단, M단 및 N단에서 상기 디텐트 핀(30)이 위치하는 제1 안정 위치(a) 및 P단에서 상기 디텐트 핀(30)이 위치하는 제2 안정 위치(b)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부(200)는 상기 제3 후방걸림면(352)에 걸림되어 상기 디텐트 핀(30)이 상기 제2 안정 위치(b)에 위치하
    는,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 로드(600)는,
    시프트 방향 회전축(610) 및 셀렉트 방향 회전축(620)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는,
    상기 변속기 로드의 시프트 방향 또는 셀렉트 방향의 회동을 검지하는 단일 센서(73);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부(300)는 상기 제3 후방걸림면(352)이 형성된 판부 홈(350)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부(200)는 상기 판부 홈(350)에 일단이 삽입되는 제2 고정핀(210)을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는 누름부(400); 및
    릴리즈 버튼(release button)(500);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누름부(400)는 소정 조건을 만족하거나, 상기 릴리즈 버튼(500)을 누르면 상기 제2 고정핀(210)을 이동시키는,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 로드(600)의 변속기 로드 상단부(670)를 우측 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전방으로 회동시킨 후, 상기 소정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상기 제2 고정핀(210)이 상기 제3 후방걸림면(352)에 걸림되어 상기 디텐트 핀(30)이 상기 제2 안정 위치(b)에 위치하는,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조건은 브레이크 및 언락 버튼(unlock button)이 온(on) 상태이며, 차량 속도가 안전변속가능속도인,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
  8. 제1항,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는
    현재 변속단을 표시하는 표시장치(90);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40032533A 2014-03-20 2014-03-20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 KR101536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533A KR101536987B1 (ko) 2014-03-20 2014-03-20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
DE102015103998.2A DE102015103998A1 (de) 2014-03-20 2015-03-18 Fahrzeugschaltsteuerungshebelvorrichtung
CN201610347321.8A CN105864413B (zh) 2014-03-20 2015-03-20 车辆换挡控制操纵杆装置
US14/663,712 US10088039B2 (en) 2014-03-20 2015-03-20 Vehicle shift control lever device
CN201510125564.2A CN104930179B (zh) 2014-03-20 2015-03-20 车辆换挡控制操纵杆装置
US15/166,958 US20160273651A1 (en) 2014-03-20 2016-05-27 Vehicle shift control leve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533A KR101536987B1 (ko) 2014-03-20 2014-03-20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1854A Division KR101555608B1 (ko) 2015-04-13 2015-04-13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6987B1 true KR101536987B1 (ko) 2015-07-15

Family

ID=53793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2533A KR101536987B1 (ko) 2014-03-20 2014-03-20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088039B2 (ko)
KR (1) KR101536987B1 (ko)
CN (2) CN104930179B (ko)
DE (1) DE10201510399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4235A (ko) 2019-01-29 2020-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레버의 디텐트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679B1 (ko) * 2013-12-19 2015-01-02 에스엘 주식회사 변속 레버 이동 장치 및 방법
US10107388B2 (en) * 2015-12-16 2018-10-23 Dura Operating, Llc Vehicle shifter assembly
DE102015226321A1 (de) * 2015-12-21 2017-06-22 Zf Friedrichshafen Ag Gangwahlschalter für ein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Erfassen einer Betätigung eines Gangwahlschalters für ein Kraftfahrzeug
TWD184250S (zh) * 2016-03-17 2017-07-11 吉利中歐汽車技術公司 方向盤
DE102016219925A1 (de) * 2016-10-13 2018-04-19 Zf Friedrichshafen Ag Schaltungsgehäuse zum Aufnehmen eines Abschnitts eines Wählhebels für ein Fahrzeug und Schaltungsbaugruppe
DE102017202833A1 (de) 2017-02-22 2018-08-23 Zf Friedrichshafen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stimmen einer Position eines Betätigungselements für ein Getriebe eines Fahrzeugs und System zum Bewirken von Schaltvorgängen eines Getriebes eines Fahrzeugs
EP3680746B1 (en) * 2017-09-08 2022-06-22 Alps Alpine Co., Ltd. Operating device
CN208399941U (zh) * 2017-12-15 2019-01-18 蔚来汽车有限公司 车载智能控制器的防过损装置
EP3502520B1 (en) * 2017-12-20 2021-03-31 FCA Italy S.p.A. Modular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gearbox
US11073205B2 (en) 2019-03-29 2021-07-27 Dus Operating Inc. Shift lever assembly with position sensing
JP1651722S (ko) * 2019-05-13 2020-01-27
JP1692916S (ko) * 2019-12-26 2021-08-16
CN111216550A (zh) * 2020-01-08 2020-06-02 江铃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单稳态换挡器换挡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8780A (ja) * 2005-12-24 2007-07-05 Dr Ing H C F Porsche Ag トランスミッションシフト装置
KR20110006923A (ko) * 2009-07-15 2011-01-21 에스엘 주식회사 전자식 변속기의 시프트 록 장치
KR101295007B1 (ko) * 2012-05-09 2013-08-09 경창산업주식회사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시프트 레버 조립체
KR101341128B1 (ko) * 2013-01-16 2013-12-13 경창산업주식회사 전자식 자동변속기 레버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41706C1 (de) * 1996-10-10 1998-03-26 Daimler Benz Ag Anordnung zum Sperren einer Wähleinrichtung eines selbsttätig schaltenden Wechselgetriebes sowie ein Verfahren zum Steuern des Stellmotores in dieser Anordnung
JP3558111B2 (ja) * 1997-08-29 2004-08-25 富士機工株式会社 自動変速機操作装置
JP2000043601A (ja) * 1998-07-30 2000-02-15 Tokai Rika Co Ltd シフトレバー装置
JP2005119394A (ja) * 2003-10-15 2005-05-12 Atsumi Tec:Kk 車両用自動変速操作装置
DE102007015375B4 (de) * 2007-03-28 2010-09-09 Zf Friedrichshafen Ag Betätigungseinrichtung zur Auswahl von Schaltstufen eines shift-by-wire Gangwechselgetriebes
JP5086130B2 (ja) * 2008-02-28 2012-11-28 デルタ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変速機のシフト装置
US9656546B2 (en) * 2010-02-12 2017-05-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hifter fluid diverter system
CN101825167B (zh) * 2010-04-22 2012-06-27 安徽江淮汽车股份有限公司 手自一体式变速箱用具有磁栅的换挡操纵机构
US8485941B2 (en) * 2011-03-08 2013-07-16 Chrysler Group Llc Driver selectable low speed mode for disabling stop/start technology
US9140355B2 (en) * 2012-07-02 2015-09-22 Kyung Chang Industrial Co., Ltd. Automatic transmission lever assembly having shift-lock cam using electromagnet
CN103625290B (zh) * 2012-08-23 2016-08-24 环达电脑(上海)有限公司 档位提示***及其档位提示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8780A (ja) * 2005-12-24 2007-07-05 Dr Ing H C F Porsche Ag トランスミッションシフト装置
KR20110006923A (ko) * 2009-07-15 2011-01-21 에스엘 주식회사 전자식 변속기의 시프트 록 장치
KR101295007B1 (ko) * 2012-05-09 2013-08-09 경창산업주식회사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시프트 레버 조립체
KR101341128B1 (ko) * 2013-01-16 2013-12-13 경창산업주식회사 전자식 자동변속기 레버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4235A (ko) 2019-01-29 2020-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레버의 디텐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88039B2 (en) 2018-10-02
CN104930179B (zh) 2018-01-02
DE102015103998A1 (de) 2015-09-24
CN104930179A (zh) 2015-09-23
US20150267806A1 (en) 2015-09-24
CN105864413A (zh) 2016-08-17
CN105864413B (zh) 2018-05-01
US20160273651A1 (en) 2016-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6987B1 (ko)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
KR101637949B1 (ko)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
KR101575414B1 (ko) 차량의 변속 장치
JP5264880B2 (ja) セレクトレバー戻り部を備える作動装置
EP2783137B1 (en) Shifter assembly
KR101655624B1 (ko) 차량의 통합형 전자식 변속레버 어셈블리
US10634242B2 (en) Vehicular shifter device
KR101755854B1 (ko) 전자식 변속시스템
CN102486232B (zh) 换档档域感测设备及具有该感测设备的换档操作设备
KR20100138521A (ko) 전자식 변속 장치
KR101555608B1 (ko)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
CN105650261A (zh) 用于车辆的换挡杆位置判定装置
KR101312178B1 (ko) 칼럼 타입 변속 레버 장치
KR101341128B1 (ko) 전자식 자동변속기 레버 조립체
JP2014094695A (ja) 車両のシフト装置
JP6641153B2 (ja) スマートキーを用いた車両用電子式変速システム
JP2015006864A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装置
CN104842786A (zh) 机动车显示装置
KR101336612B1 (ko) 비접촉식 변속제어모듈 및 이것이 적용된 변속시스템
US10641387B2 (en) Vehicle shift-by-wire device
KR20100029113A (ko) 전자식 변속 장치
KR101432993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 시프트 레버 장치
KR101519242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장치
JP2012061995A (ja) チェンジレバーユニット
KR102039890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