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9872B1 - 각도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 - Google Patents

각도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9872B1
KR101489872B1 KR20140100984A KR20140100984A KR101489872B1 KR 101489872 B1 KR101489872 B1 KR 101489872B1 KR 20140100984 A KR20140100984 A KR 20140100984A KR 20140100984 A KR20140100984 A KR 20140100984A KR 101489872 B1 KR101489872 B1 KR 101489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 member
boss
plat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00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세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원
Priority to KR20140100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98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9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9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025/003Supports therefor, e.g. trip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 대상물을 지지하는 건축용 지지대가 설치되는 바닥면의 경사도와 관계 없이 설치 각도가 자유롭게 가변되어 지지대가 수직 방향으로 반듯하게 세워져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지대가 설치되는 바닥면 상에 안착되는 제1플레이트부(110)와, 상기 제1플레이트부(110)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된 제1보스부(120), 및 상기 제1보스부(120)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오목한 구의 일부분 형상으로 형성된 회전지지부(130)를 포함하는 제1지지부재(100); 상기 지지대의 하단이 안착되는 제2플레이트부(210)와, 상기 제2플레이트부(210)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된 제2보스부(220), 및 상기 제2보스부(220)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볼록한 구의 일부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지지부(130)의 상면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안착되는 회전볼부(230)를 포함하는 제2지지부재(200); 및 상기 제1지지부재(100)와 제2지지부재(200)에 걸쳐 연결되어, 상기 제1지지부재(100)와 제2지지부재(200)가 상하로 이격되어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각도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Angle adjustable supporter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각도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용 지지대가 설치되는 바닥면의 경사도와 관계 없이 설치 각도가 자유롭게 가변되어 건축용 지지대가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지지 대상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건축구조물의 슬라브 축조를 위해서는 콘크리트의 타설을 위한 슬라브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의 양생에 의해 콘크리트가 일정한 강성을 갖기 전까지 슬라브의 하부를 바닥면 상에 지지하기 위한 건축용 지지대가 설치된다.
이러한 건축용 지지대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일례로 건축물의 천장 구조를 이루며 수평 상태로 시공되는 슬라브의 수직 하중을 지지하는 잭 서포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잭 서포터는 하부 지지판과, 상기 하부 지지판 상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하부 지지대와, 상기 하부 지지대의 상단과 상부 지지대의 하단을 연결하는 길이 조절부와, 상부 지지대의 상단이 결합되며 슬라브의 저면에 밀착되는 상부 지지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콘크리트 슬라브의 하단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건축용 지지대가 연직 방향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서는 지지대가 설치되는 바닥면 상에 지지대가 수직으로 세워져 슬라브의 하단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그러나, 지지대가 설치되는 바닥면이 수평 상태가 아닌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에는 경사면의 경사각을 보상하여 지지대가 수직 상태로 세워질 수 있도록 지지대의 하단부와 바닥면 사이에 지지대의 각도 조절을 위한 별도의 건축용 지지구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건축용 지지구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등록특허 제10-0773774호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동바리장치’는, 지면과 고정되는 외부지지관과, 상기 외부지지관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내부지지관, 및 상기 내부지지관의 상부에 설치되어 그 각도가 조절된 상태로 거푸집을 지지하는 각도조절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 브라켓은, 양 측벽의 내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고정돌기가 형성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돌기와 치합될 수 있도록 회전판의 하단부가 라운딩처리된 상태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톱니가 형성된 회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 제10-0773774호의‘각도조절이 가능한 동바리장치’는, 회전부재의 각도 조절이 고정돌기가 형성된 각도 간격 단위로만 가능하게 되므로 지지 대상물의 기울기에 대응하여 회전부재의 미세한 각도 조절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한편, 건축용 지지구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 등록특허 제10-1260272호의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는, 양 끝단의 하부에 각각 빔홀이 구비되고, 빔홀과 빔홀 사이의 하부는 ‘ㄷ’자 형태로 구성된 빔과, 고정판구멍이 구비되며 상기 빔홀의 가운데 부분에서 격벽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구비된 고정판구멍에 대향되게 ‘U’자형의 측벽에 각각 핀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핀구멍과 고정판구멍을 관통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결합부재가 구비되는 핀이 상부에 구비된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핀은 핀구멍과 고정판구멍을 관통하는 결합부재에 의해 고정판과 결합되며, 상기 핀이 빔홀의 여유공간 내에서 좌우로 유동할 수 있어 지지대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 제10-1260272호의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는, 지지대의 각도 조절이 좌우 방향으로만 가능하도록 제한되어 있어, 지지대가 설치되는 바닥면이 좌우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경사진 경우에는 빔을 수평 상태로 지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지 대상물을 지지하는 건축용 지지대가 설치되는 바닥면의 경사도와 관계 없이 설치 각도가 자유롭게 가변되어 지지대가 수직 방향으로 반듯하게 세워져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닥면의 경사도와 관계 없이 건축용 지지대를 수직방향으로 세워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의 구성 부품 수를 줄여 구조를 간소화하는 동시에 부품의 중량을 감소시켜 지지구의 이동과 설치 및 해체 작업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축용 지지대가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현장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는, 지지대가 설치되는 바닥면 상에 안착되는 제1플레이트부(110)와, 상기 제1플레이트부(110)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된 제1보스부(120), 및 상기 제1보스부(120)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오목한 구의 일부분 형상으로 형성된 회전지지부(130)를 포함하는 제1지지부재(100); 상기 지지대의 하단이 안착되는 제2플레이트부(210)와, 상기 제2플레이트부(210)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된 제2보스부(220), 및 상기 제2보스부(220)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볼록한 구의 일부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지지부(130)의 상면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안착되는 회전볼부(230)를 포함하는 제2지지부재(200); 및 상기 제1지지부재(100)와 제2지지부재(200)에 걸쳐 연결되어, 상기 제1지지부재(100)와 제2지지부재(200)가 상하로 이격되어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3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플레이트부(110)는 상기 바닥면과 평행하게 안착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부(210)는, 상기 바닥면과 가상의 수평면 간의 구배에 대응하는 상기 회전지지부(130)와 회전볼부(230) 간의 상대 회전 운동에 의해 수평 상태로 위치되어, 상기 제2플레이트부(210) 상에 안착되는 상기 지지대는 수직 상태로 위치되어 지지 대상물의 수직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보스부(120)의 상단 테두리에는 제1걸림턱(121)이 형성되고, 상기 제2보스부(220)의 하단 테두리에는 상기 제1걸림턱(121)과 상하로 대응되는 위치에 제2걸림턱(221)이 형성되어, 상기 제1지지부재(100)와 제2지지부재(200) 간의 상대 회전 범위는, 상기 제1걸림턱(121)과 제2걸림턱(221)이 걸림되는 위치까지의 일정 각도 범위 내로 제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200)에는, 상기 제2플레이트부(210)의 상면(211) 중앙부에서 상기 제2보스부(220)와 회전볼부(230)의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의 함몰부(260)가 형성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100)에는 상기 회전지지부(130)의 중앙을 상하로 관통하는 제1관통홀(140)이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부재(200)에는 상기 회전볼부(230)의 중앙을 상하로 관통하는 제2관통홀(240)이 형성되며, 상기 이탈방지부재(300)는, 상기 제1관통홀(140)과 제2관통홀(240)을 관통하여 상기 함몰부(260)의 내측으로 몸체부(311)가 돌출됨과 아울러 상기 제1지지부재(100)에 머리부(312)가 걸림되는 볼트(310)와, 상기 볼트(310)의 몸체부(311)가 관통되는 관통홀(331)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제2관통홀(240)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관통홀(240)의 상측에 위치하는 이탈방지판(330)과, 상기 이탈방지판(330)의 하측과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볼트(310)의 몸체부(311)에 상하로 이격되어 나사결합됨으로써 이탈방지판(330)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1너트(320)와 제2너트(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관통홀(140)의 내경은 상기 볼트(310)의 몸체부(311)의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홀(140)의 하부에는 상기 볼트(310)의 머리부(312)에 대응되는 형상의 볼트 머리부 안착부(16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100)의 상면(111)에는 상기 제1보스부(120)의 외측면을 따라 소정 각도 간격으로 복수개의 제1보강리브(150)가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부재(200)의 저면(212)에는 상기 제2보스부(220)의 외측면을 따라 소정 각도 간격으로 복수개의 제2보강리브(250)가 형성되되, 상기 제1보강리브(150)는 상기 제1보스부(120)의 외측면 상단으로부터 상기 제1플레이트부(110)의 가장자리부를 향하여 하향의 구배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보강리브(250)는 상기 제2보스부(220)의 외측면 하단으로부터 상기 제2플레이트부(210)의 가장자리부를 향하여 상향의 구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부(110)의 저면(112)에는 중앙부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구획된 복수개의 제1요홈부(114)가 형성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부(210)의 상면(211)에는 중앙부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구획된 복수개의 제2요홈부(214)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에 의하면, 건축용 지지대가 설치되는 바닥면 상에 안착되는 제1지지부재에 회전지지부를 구비하고, 건축용 지지대의 하단이 안착되는 제2지지부재에는 상기 회전지지부의 상면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안착되는 회전볼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회전지지부와 회전볼부 간의 상대회전에 의해 건축용 지지대가 설치되는 바닥면의 경사도와 관계 없이 설치 각도가 자유롭게 가변되어 지지대가 수직 방향으로 반듯하게 세워져 지지 대상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는 각각 일체형으로 금형 제작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가 상하로 분리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재는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에 걸쳐 연결되는 볼트와 이탈방지판 및 이중의 너트로 구성함으로써, 건축용 지지구의 부품수를 줄여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1지지부재에는 제1요홈부를 형성하고, 제2지지부재에는 함몰부와 제2요홈부를 형성함으로써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의 중량을 감소시켜 건축용 지지구의 이동과 설치 및 해체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어 작업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지지부재의 제1보스부의 상단 테두리에는 제1걸림턱을 형성하고, 제2지지부재의 제2보스부의 하단 테두리에는 제2걸림턱을 형성하여,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 간의 상대회전 가능한 범위를 일정 각도 범위 내로 제한함으로써, 건축용 지지대가 일측으로 기울어져 쓰러지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지지부재의 제1보스부와 제2지지부재의 제2보스부에는 각각 그 외측면을 따라 소정 각도 간격으로 복수개의 제1보강리브와 제2보강리브를 구비하여 강도를 강화하는 동시에 제1보강리브와 제2보강리브는 각각 제1플레이트부의 중앙부와 제2플레이트부의 중앙부에서 가장자리 방향을 따라 하향과 상향의 구배를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 간의 상대회전 시 간섭없이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가 경사진 바닥면 상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의 저면도,
도 8은 도 6의 A-A' 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9는 제2지지부재가 제1지지부재에 대하여 상대 회전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10)는, 건축용 지지대(20)가 설치되는 바닥면(B)의 경사도와 관계없이 바닥면(B) 상에 건축용 지지대(20)를 수직 방향으로 세워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의 기능을 한다.
상기 건축용 지지대(20)는, 지지 대상물,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천장 구조를 이루며 수평 상태로 시공되는 슬라브(30)를 지지하는 잭 서포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건축용 지지대(20)는 건축용 지지구(10) 상에 안착되는 하부 지지판(21)과, 하부 지지판(21) 상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하부 지지대(22)와, 하부 지지대(22)의 상단과 상부 지지대(24)의 하단을 연결하는 길이 조절부(23)와, 상부 지지대(24)의 상단이 결합되며 슬라브(30)의 저면에 밀착되는 상부 지지판(25)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축용 지지구(10)는, 바닥면(B)이 가상의 수평면(H)을 기준으로 경사진 장소에서도 건축용 지지대(20)가 수평면(H)과 직교하는 수직 방향을 향하도록 자동으로 위치되어 지지 대상물인 슬라브(30)를 수직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바닥면(B)의 경사도 및 경사방향에 관계없이 지지대(20)의 각도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지지구(10)는, 상기 바닥면(B) 상에 안착되는 제1지지부재(100)와, 상기 제1지지부재(100) 상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안착되는 제2지지부재(200), 및 상기 제1지지부재(100)와 제2지지부재(200)에 걸쳐 연결되어 상기 제1지지부재(100)와 제2지지부재(200)가 상하로 이격되어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300)로 구성된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지지부재(100)는, 바닥면(B) 상에 안착되는 제1플레이트부(110)와, 상기 제1플레이트부(110)의 상면(111) 중앙부에서 상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된 제1보스부(120), 및 상기 제1보스부(120)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오목한 구(救)의 일부분 형상, 예컨대 반구(半球) 형상으로 형성된 회전지지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플레이트부(110)는, 대략 사각형의 판상 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플레이트부(110)의 모서리부에는 상면(111)과 저면(112)을 상하로 관통하는 제1체결홀(1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홀(113)에는 제1지지부재(100)를 바닥면(B)에 체결하기 위한 볼트 등의 체결수단(미도시됨)이 체결될 수 있으며, 시공 장소의 바닥면(B)의 상황에 따라서는 체결수단의 체결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플레이트부(110)의 저면(112)에는 중앙부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구획된 복수개, 일례로 4개로 구획된 제1요홈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요홈부(114)를 형성함에 따라 제1지지부재(100)의 전체 중량을 감소하는 동시에 제1플레이트부(110)의 저면(112)이 바닥면(B) 상에 안착된 경우에 제1플레이트부(110)의 저면(112)과 제1요홈부(114)의 경계부에 형성되는 단턱에 의해 바닥면(B)과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제1플레이트부(11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제1보스부(120)는, 제1플레이트부(110)의 상면(111) 중앙부에서 상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1보스부(120)의 상단 테두리에는 반경방향으로 소정의 폭를 갖는 원형테 형상의 제1걸림턱(1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플레이트부(110)의 상면(111)에는 제1보스부(120)의 외측면을 따라 소정 각도 간격으로 복수개의 제1보강리브(15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보강리브(150)는 제1보스부(120)의 외측면 상단으로부터 제1플레이트부(110)의 가장자리부를 향하여 하향의 구배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는 제1지지부재(100)와 제2지지부재(200) 간의 상대 회전 운동 시 제1지지부재(100)와 제1보스부(120) 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보강리브(150)가 제1보스부(120)의 외측면을 따라 90°간격으로 4개소에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그 각도 간격과 설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달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지지부(130)는, 제2지지부재(200)가 제1지지부재(100) 상에서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회전지지부(130)의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된 제1관통홀(140)이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홀(140)의 하부에는 볼트 머리 안착부(16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200)는, 상기 건축용 지지대(20)의 하단이 안착되는 제2플레이트부(210)와, 상기 제2플레이트부(210)의 저면 중앙부에서 하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된 제2보스부(220), 및 상기 제2보스부(220)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볼록한 구(救)의 일부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지지부(130)의 상면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안착되는 회전볼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플레이트부(210)는, 대략 사각형의 판상 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2플레이트부(210)의 모서리부에는 상면(211)과 저면(212)을 상하로 관통하는 제2체결홀(2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홀(213)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플레이트부(210)를 지지대(20)의 하부 지지판(21)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수단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플레이트부(210)의 상면(211)에는 중앙부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구획된 복수개, 일례로 4개로 구획된 제2요홈부(2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요홈부(214)를 형성함에 따라 제2지지부재(200)의 전체 중량을 감소시키고 성형 작업 시 주물의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제2보스부(220)는, 제2플레이트부(210)의 저면(212) 중앙부에서 하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2보스부(220)의 하단 테두리에는 반경방향으로 소정의 폭를 갖는 원형테 형상의 제2걸림턱(2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걸림턱(221)은 전술한 제1보스부(120)에 형성된 제1걸림턱(121)과 상하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제1지지부재(100)와 제2지지부재(200) 간의 상대 회전 범위는,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걸림턱(121)과 제2걸림턱(221)이 걸림되는 위치까지의 범위 내로 제한된다. 이와 같이 제1지지부재(100)와 제2지지부재(200)의 상대 회전 가능한 범위가 일정 각도 범위 내로 제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지지대(20)를 슬라브(30)의 하측에 수직으로 세우는 과정에서 제2지지부재(200) 상에 결합되는 지지대(20)가 일측으로 기울어져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 현장의 안전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작업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지지부재(210)의 저면(212)에는 제2보스부(220)의 외측면을 따라 소정 각도 간격으로 복수개의 제2보강리브(25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보강리브(250)는 제2보스부(220)의 외측면 하단으로부터 제2플레이트부(210)의 가장자리부를 향하여 상향의 구배를 갖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보강리브(250)가 제2보스부(220)의 외측면을 따라 90°간격으로 4개소에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그 각도 간격과 설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달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보스부(120)의 둘레에 제1보강리브(150)를 형성하고, 제2보스부(220)의 둘레에 제2보강리브(250)를 형성함으로써, 제1보스부(120)와 제2보스부(220)의 강성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제1보강리브(150)와 제2보강리브(250)는 각각 제1플레이트부(110)의 중앙부와 제2플레이트부(210)의 중앙부에서 가장자리 방향을 따라 하향과 상향의 구배를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제1지지부재(100)와 제2지지부재(200) 간의 상대회전 시 간섭없이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회전볼부(230)는, 전술한 회전지지부(13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회전지지부(130) 상에서 전후, 좌우 방향 뿐만 아니라 모든 방향으로 유동 가능한 상태로 안착된다.
한편, 상기 회전볼부(230)의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된 제2관통홀(240)이 형성된다. 상기 제2관통홀(240)은 전술한 제1지지부재(100)에 형성되는 제1관통홀(140)의 상측에 위치되며, 제2지지부재(200)의 회전 범위 내에서 후술되는 이탈방지부재(300)의 볼트(310)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지지부재(200)에는 제2플레이트부(210)의 상면(211) 중앙부에서 제2보스브(220)와 회전볼부(230)의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의 함몰부(26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2지지부재(200)에 함몰부(260)가 형성됨에 따라, 함몰부(260)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할 때, 회전볼부(250)는 저면이 볼록한 형상을 유지하면서 그 두께를 줄일 수 있게 되어 제2지지부재(200)의 중량을 대폭 감량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제2지지부재(200)의 내측에 후술되는 이탈방지부재(30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게 된다.
상기 이탈방지부재(300)는, 상기 제1지지부재(100)에 형성된 제1관통홀(140)과 제2지지부재(200)에 형성된 제2관통홀(240)을 관통하여 상기 함몰부(260)의 내측으로 몸체부(311)가 돌출됨과 아울러 상기 제1지지부재(100)에 머리부(312)가 걸림되는 볼트(310)와, 상기 볼트(310)의 몸체부(311)가 관통되는 관통홀(331)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제2관통홀(240)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관통홀(240)의 상측에 위치하는 이탈방지판(330)과, 상기 이탈방지판(330)의 하측과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볼트(310)의 몸체부(311)에 상하로 이격되어 나사결합됨으로써 이탈방지판(330)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1너트(320)와 제2너트(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탈방지판(330)의 직경을 제2관통홀(24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제2지지부재(200)가 제1지지부재(100)의 상측으로 들어 올려질 경우 제2관통홀(240)의 가장자리부가 위치하는 회전볼부(230)가 이탈방지판(330)에 걸림되어 제2지지부재(2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로써 건축용 지지구(10)를 이동시킬 때 제1지지부재(100)와 제2지지부재(200)가 서로 분리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과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관통홀(140)의 내경은 상기 볼트(310)의 몸체부(311)의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홀(140)의 하부에는 상기 볼트(310)의 머리부(312)에 대응되는 형상의 볼트 머리부 안착부(16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볼트(310)의 몸체부(311)가 제1관통홀(140)과 제2관통홀(240)을 관통하고 볼트(310)의 머리부(312)가 볼트 머리부 안착부(160)에 삽입되면, 볼트(310)의 머리부(312)는 회전이 방지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볼트(310)가 회전될 경우에 초래될 수 있는 제1너트(320)와 제2너트(340)의 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건축용 지지구(10)는, 제1지지부재(100)와 제2지지부재(200)가 회전지지부(130)와 회전볼부(230) 간의 상대 회전에 의해 각도가 자유롭게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바닥면(B)이 수평면(H)을 기준으로 어느 방향으로 경사지게 위치하는 경우라도 상기 제2지지부재(200)는 수평한 상태가 되도록 상대 회전하게 되어 제2지지부재(200) 상에 안착되는 지지대(20)가 수직 상태로 세워져 그 상단에 위치하는 슬라브(30)를 수직방향으로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건축용 지지구(10)가 바닥면(B)과 지지대(20)의 하단 사이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닥면(B)이 평탄하고 슬라브(30)가 수평면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건축용 지지구(10)가 슬라브(30)의 저면과 지지대(20)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도록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지지대(20)가 수직으로 세워져 지지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슬라브(30)가 수평 상태가 아닌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제1지지부재(100)와 제2지지부재(200) 간의 상대 회전 운동을 이용하여 지지 대상물의 기울어진 방향에 대응하여 지지 대상물을 경사진 방향으로 지지하는 경우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건축용 지지구 20 : 지지대
21 : 하부 지지판 22 : 하부 지지대
23 : 길이 조절부 24 : 상부 지지대
25 : 상부 지지판 30 : 슬라브
100 : 제1지지부재 110 : 제1플레이트부
111 : 제1플레이트부의 상면 112 : 제1플레이트부의 저면
113 : 제1체결홀 114 : 제1요홈부
120 : 제1보스부 121 : 제1걸림턱
130 : 회전지지부 140 : 제1관통홀
150 : 제1보강리브 160 : 볼트 머리부 안착홈
200 : 제2지지부재 210 : 제2플레이트부
211 : 제2플레이트부의 상면 212 : 제2플레이트부의 저면
213 : 제2체결홀 214 : 제2요홈부
220 : 제2보스부 221 : 제2걸림턱
230 : 회전볼부 240 : 제2관통홀
250 : 제2보강리브 260 : 함몰부
300 : 이탈방지부재 310 : 볼트
311 : 몸체부 312 : 머리부
320 : 제1너트 330 : 이탈방지판
331 : 관통홀 340 : 제2너트

Claims (8)

  1. 건축용 지지대를 지지하기 위한 건축용 지지구에 있어서,
    지지대가 설치되는 바닥면 상에 안착되는 제1플레이트부(110)와, 상기 제1플레이트부(110)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된 제1보스부(120), 및 상기 제1보스부(120)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오목한 구의 일부분 형상으로 형성된 회전지지부(130)를 포함하는 제1지지부재(100);
    상기 지지대의 하단이 안착되는 제2플레이트부(210)와, 상기 제2플레이트부(210)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된 제2보스부(220), 및 상기 제2보스부(220)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볼록한 구의 일부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지지부(130)의 상면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안착되는 회전볼부(230)를 포함하는 제2지지부재(200); 및
    상기 제1지지부재(100)와 제2지지부재(200)에 걸쳐 연결되어, 상기 제1지지부재(100)와 제2지지부재(200)가 상하로 이격되어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300);를 포함하되,
    상기 제2지지부재(200)에는, 상기 제2플레이트부(210)의 상면(211) 중앙부에서 상기 제2보스부(220)와 회전볼부(230)의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의 함몰부(260)가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100)에는 상기 회전지지부(130)의 중앙을 상하로 관통하는 제1관통홀(140)이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부재(200)에는 상기 회전볼부(230)의 중앙을 상하로 관통하는 제2관통홀(240)이 형성되며,
    상기 이탈방지부재(300)는, 상기 제1관통홀(140)과 제2관통홀(240)을 관통하여 상기 함몰부(260)의 내측으로 몸체부(311)가 돌출됨과 아울러 상기 제1지지부재(100)에 머리부(312)가 걸림되는 볼트(310)와, 상기 볼트(310)의 몸체부(311)가 관통되는 관통홀(331)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제2관통홀(240)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관통홀(240)의 상측에 위치하는 이탈방지판(330)과, 상기 이탈방지판(330)의 하측과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볼트(310)의 몸체부(311)에 상하로 이격되어 나사결합됨으로써 이탈방지판(330)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1너트(320)와 제2너트(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부(110)는 상기 바닥면과 평행하게 안착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부(210)는, 상기 바닥면과 가상의 수평면 간의 구배에 대응하는 상기 회전지지부(130)와 회전볼부(230) 간의 상대 회전 운동에 의해 수평 상태로 위치되어, 상기 제2플레이트부(210) 상에 안착되는 상기 지지대는 수직 상태로 위치되어 지지 대상물의 수직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스부(120)의 상단 테두리에는 제1걸림턱(121)이 형성되고,
    상기 제2보스부(220)의 하단 테두리에는 상기 제1걸림턱(121)과 상하로 대응되는 위치에 제2걸림턱(221)이 형성되어,
    상기 제1지지부재(100)와 제2지지부재(200) 간의 상대 회전 범위는, 상기 제1걸림턱(121)과 제2걸림턱(221)이 걸림되는 위치까지의 일정 각도 범위 내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홀(140)의 내경은 상기 볼트(310)의 몸체부(311)의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홀(140)의 하부에는 상기 볼트(310)의 머리부(312)에 대응되는 형상의 볼트 머리부 안착부(16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100)의 상면(111)에는 상기 제1보스부(120)의 외측면을 따라 소정 각도 간격으로 복수개의 제1보강리브(150)가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부재(200)의 저면(212)에는 상기 제2보스부(220)의 외측면을 따라 소정 각도 간격으로 복수개의 제2보강리브(250)가 형성되되,
    상기 제1보강리브(150)는 상기 제1보스부(120)의 외측면 상단으로부터 상기 제1플레이트부(110)의 가장자리부를 향하여 하향의 구배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보강리브(250)는 상기 제2보스부(220)의 외측면 하단으로부터 상기 제2플레이트부(210)의 가장자리부를 향하여 상향의 구배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부(110)의 저면(112)에는 중앙부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구획된 복수개의 제1요홈부(114)가 형성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부(210)의 상면(211)에는 중앙부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구획된 복수개의 제2요홈부(21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




KR20140100984A 2014-08-06 2014-08-06 각도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 KR101489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00984A KR101489872B1 (ko) 2014-08-06 2014-08-06 각도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00984A KR101489872B1 (ko) 2014-08-06 2014-08-06 각도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9872B1 true KR101489872B1 (ko) 2015-02-06

Family

ID=52591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00984A KR101489872B1 (ko) 2014-08-06 2014-08-06 각도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987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5883B1 (ko) * 2016-01-19 2016-04-27 유큐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유무선통신기기 설치용 고정형 브라켓
KR101896534B1 (ko) * 2018-01-25 2018-09-07 이봉찬 상부가 하부보다 넓은 비정형 주택의 골조 연결 구조체
KR102016341B1 (ko) * 2018-11-14 2019-08-30 주식회사 아키페이스 충격저항성과 강도가 강화된 디자인형 울타리
CN113482316A (zh) * 2021-06-23 2021-10-08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邢台供电分公司 土木工程建筑用施工支架及方法
CN114197637A (zh) * 2021-12-15 2022-03-18 中建八局新型建造工程有限公司 用于网壳结构拼装的辅助装置及其施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7309U (ja) * 1992-03-31 1993-10-22 ヒロセ技研株式会社 仮設支柱用傾斜受台
JP2005113490A (ja) 2003-10-07 2005-04-28 Maruesu:Kk
KR100773774B1 (ko) 2006-09-15 2007-11-12 박영식 각도조절이 가능한 동바리장치
KR101260272B1 (ko) 2011-08-22 2013-05-03 차광찬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7309U (ja) * 1992-03-31 1993-10-22 ヒロセ技研株式会社 仮設支柱用傾斜受台
JP2005113490A (ja) 2003-10-07 2005-04-28 Maruesu:Kk
KR100773774B1 (ko) 2006-09-15 2007-11-12 박영식 각도조절이 가능한 동바리장치
KR101260272B1 (ko) 2011-08-22 2013-05-03 차광찬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5883B1 (ko) * 2016-01-19 2016-04-27 유큐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유무선통신기기 설치용 고정형 브라켓
KR101896534B1 (ko) * 2018-01-25 2018-09-07 이봉찬 상부가 하부보다 넓은 비정형 주택의 골조 연결 구조체
KR102016341B1 (ko) * 2018-11-14 2019-08-30 주식회사 아키페이스 충격저항성과 강도가 강화된 디자인형 울타리
CN113482316A (zh) * 2021-06-23 2021-10-08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邢台供电分公司 土木工程建筑用施工支架及方法
CN114197637A (zh) * 2021-12-15 2022-03-18 中建八局新型建造工程有限公司 用于网壳结构拼装的辅助装置及其施工方法
CN114197637B (zh) * 2021-12-15 2023-05-09 中建八局新型建造工程有限公司 用于网壳结构拼装的辅助装置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9872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
KR100773774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동바리장치
KR101926109B1 (ko) 기울기 조정이 용이한 안테나 거치대
SE1200350A1 (sv) Anordning för montering av en riktantenn i inställbart lutningsläge
US9493326B2 (en) Clasp-and-lug system
KR102107671B1 (ko) 높이 및 경사 조절식 맨홀
KR101655786B1 (ko) 거푸집 간격 유지장치 해제용 서포트
KR20090089514A (ko) 전도방지 기능이 구비된 사다리
KR20140125910A (ko) 건축용 동바리 구조물
JP6459111B2 (ja) 支持脚
JP6361066B2 (ja) 支持脚
KR20060037137A (ko) 건축용 서포트의 간격유지장치
JP3564411B2 (ja) Pc階段からなる傾斜構造物の設置工法
KR102219814B1 (ko) 수직벽면 앙카볼트를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 곤도라 지지대
JP6537753B2 (ja) 仮設手すり
JP3215705U (ja) 飛散防止体支持具
KR102102440B1 (ko) 서포트를 이용한 잭서포트의 인양과 해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잭서포트의 설치와 해체 방법
NO343916B1 (en) Releasable locking device for locking the position of a tilted, tiltable foot plate, and the use of such a releasable locking device with a liberating device
KR20170124363A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
CN208347173U (zh) 一种可调式柱体固定装置
KR20160039721A (ko) 각도조절기능을 갖는 가설빔용 지지대
CN220434444U (zh) 一种道路施工安全围挡
KR200397231Y1 (ko) 건물 벽체 형성용 거푸집판의 수평 조절 장치
KR20150077173A (ko) 물탱크 받침 장치
JP3214674U (ja) 仮設手す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