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0272B1 -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 - Google Patents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0272B1
KR101260272B1 KR1020110083284A KR20110083284A KR101260272B1 KR 101260272 B1 KR101260272 B1 KR 101260272B1 KR 1020110083284 A KR1020110083284 A KR 1020110083284A KR 20110083284 A KR20110083284 A KR 20110083284A KR 101260272 B1 KR101260272 B1 KR 101260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ole
fixing plate
pin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3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1017A (ko
Inventor
차광찬
Original Assignee
차광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광찬 filed Critical 차광찬
Priority to KR1020110083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0272B1/ko
Publication of KR20130021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1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04G25/065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by a threaded nu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바리의 지지대 하단을 건물 기둥이나 벽체의 하부에 밀착시킴으로써 무거운 작업 장비로 인하여 전해지는 연직방향의 수직하중을 하부 바닥구조에 전달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양 끝단의 하부에 각각 빔홀이 구비되고, 빔홀과 빔홀 사이의 하부는 ㄷ자 형태로 구성되데 상부에는 셋앵카 고정용구멍이 2개 구비되는 빔과; 고정판구멍이 구비되며 상기 빔홀의 가운데 부분에서 격벽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판과; 상부에는 상기 고정판에 구비된 고정판구멍에 대향되게 U자형의 측벽에 각각 핀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핀구멍과 고정판구멍을 관통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결합부재가 구비되는 핀과, 하부에는 하단에 구비되는 너트와, 상기 너트와 체결되며 바닥을 지지하는 지지공과도 체결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볼트손잡이가 일체로 구비되는 지지대로 형성되되,
상기 핀은 핀구멍과 고정판구멍을 관통하는 결합부재에 의해 고정판과 결합되고, 상기 핀이 빔홀의 여유공간 내에서 좌우로 유동할 수 있어 상기 지지대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A shore system of the variable support angle}
본 발명은 노후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등 낡은 고층 건물을 철거 또는 리모델링할 때 구조물을 안전하게 받침은 물론 철거 작업시 사용되는 중장비의 하중을 하부 슬라브에 직접 전달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전하게 구조물 해체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에 관한 것으로서, 동바리의 지지대 하단을 건물 기둥이나 벽체의 하부에 밀착시킴으로써 무거운 작업 장비로 인하여 전해지는 연직방향의 수직하중을 수평부재에 전가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에 관한 것이다.
동바리는 건설업에서 쓰는 용어로 건축 구조물을 지지하는 받침대로서, 건축공사 뿐 아니라 노후된 건축물을 철거 또는 리모델링하는 공사에도 광범위하게 쓰여지며 주로 슬라브 구조를 받쳐주는 작업에 쓰인다.
즉 동바리는 슬라브 형틀 설치시 형틀을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하거나 구조물 철거시 하부 슬라브 구조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가설재이며, 보통은 철제로 만들어져 있고 슬라브의 높이에 따라 동바리의 길이는 달라진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 건축시 거푸집을 지지하거나 구조물 철거해제시 슬라브를 지지하는 종래의 동바리(1)는 외부지지관(5)의 슬라이드공(7)을 통하여 내부지지관(4)에 형성한 통공(8)에 멈춤핀(미도시)을 결합하되, 상기 멈춤핀이 외부지지관(5)의 나사산에 결합 설치한 조절너트(6)의 상부로 접하도록 결합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동바리(1)는 하단에 일정 넓이의 하부받침판(3)이 형성되고, 이 하부받침판(3)의 상부쪽에 외부지지관(5)이 형성되데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이 나사산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공(7)이 관통 형성되며, 상단에 일정 넓이의 상부받침판(2)이 형성되고, 이 상부받침판(2)의 하부에 내부지지관(2)이 형성되데 그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결합공(8)이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어 상기 외부지지관(5)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너트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외부지지관(5)의 나사산에 결합되는 조절너트(6)와, 상기 슬라이드공(7)과 통공(8)을 동일축선상에 결합하여 상기 조절너트(6)의 상단에 걸린 상태로 설치됨으로써 상기 내부지지관(4)의 높이를 고정하기 위한 멈춤핀(미도시)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동바리(1)는 상기 외부지지관(5)의 슬라이드공(7)을 통하여 내부지지관(4)에 형성된 통공(8)에 멈춤핀을 결합 설치하고, 상기 멈춤핀의 양단은 상기 외부지지관(5)의 나사산에 결합된 조절너트(6)의 상단에 접하여 걸림으로써 상기 내부지지관(4)의 상단에 있는 상부받침판(2)이 콘크리트 거푸집을 지지한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즉 일반적으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슬라브 축조를 위해서는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슬라브 거푸집 설치가 선행되어야 하며, 콘크리트 양생에 의해 강성이 발현되기 전까지는 바로 상기 동바리로 슬래브 거푸집을 지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동바리는 콘크리트 구조물 건축시에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콘크리트 구조물 철거해체시에도 사용된다.
즉 일반적으로 도심의 노후 고층 건축물 철거 또는 리모델링 공사시에는 구조물의 높이가 높아 포크레인 등이 직접 파쇄를 할려고 해도 높은 부분에 있는 구조물의 철거 작업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고, 이런 경우 옥상에서부터 파쇄장비를 옥상으로 올려 상층에서부터 브레이카 또는 집게로 파쇄하여 철거물을 아래층으로 내리는 방법으로 철거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실정으로 인해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층의 노후 콘크리트 건출물을 철거 또는 리모델링하고자 하는 경우 종래에는 복수개의 동바리를 일일이 바닥에 세워 천정 슬라브와 밀착되도록 고정 설치한 다음 크레인으로 옥상에 파쇄장비를 올려 옥상에서부터 구조물을 파쇄하고 있는데, 철거 또는 리모델링 작업 중 중량이 매우 무거운 중장비를 상층에 올려 작업하게 되면 연직방향으로 향하는 수직하중인 건축물의 자중 및 작업하중을 동바리와 하부 슬라브 구조가 이기지 못하고 구조물이 무너져 내려 붕괴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기본의 동바리는 수직방향으로만 바닥에 지지시킬 수 있고, 그럼으로 인하여 중장비가 올려진 상부 하중을 하부층 바닥구조에 그대로 전달시켜 하부층 바닥구조에 힘을 가하여 균열 또는 붕괴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아파트 등의 리모델링의 내부 벽체 철거공사시 바닥구조를 보호하기 위하여 기존의 동바리로 보강한 후 철거작업을 하게 되면, 수직하중에 의해 리모델링 완료 후 다시 수십년간 사용하게 될 바닥구조에 과하중을 적재시켜 바닥 구조체에 균열이 가는 등 나쁜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 동바리 보강방식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동바리의 지지대 하단을 건물 기둥이나 벽체 등 수직부재의 하부에 밀착시킴으로써 무거운 작업 장비로 인하여 전해지는 연직방향의 상부 하중을 하부층 바닥구조에 전달시키지 않고 고층 노후 콘크리트 건축물의 철거 및 리모델링 작업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하는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고층 노후 건축물의 철거시 그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지지대의 각도를 벌릴 수 있는 점을 이용하여 하부층의 작업 공간을 넓게 사용하게 하는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지지대의 길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여 층고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인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는, 양 끝단의 하부에 각각 빔홀(22)이 구비되고, 빔홀과 빔홀 사이의 하부는 ㄷ자 형태로 구성되데 상부에는 셋앵카 고정용구멍(28)이 2개 구비되는 빔(20)과; 고정판구멍(26)이 구비되며 상기 빔홀(22)의 가운데 부분에서 격벽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판(24)과; 상부에는 상기 고정판(24)에 구비된 고정판구멍(26)에 대향되게 U자형의 측벽에 각각 핀구멍(34)이 구비되고 상기 핀구멍(34)과 고정판구멍(26)을 관통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결합부재(36)가 구비되는 핀(32)과, 하부에는 하단에 구비되는 너트(44)와, 상기 너트(44)와 체결되며 바닥을 지지하는 지지공(40)과도 체결되는 볼트(42)와, 상기 볼트(42)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볼트손잡이(48)가 일체로 구비되는 지지대(30)로 형성되되, 상기 핀(32)은 핀구멍(34)과 고정판구멍(26)을 관통하는 결합부재(36)에 의해 고정판(24)과 결합되고, 상기 핀(32)이 빔홀(22)의 여유공간 내에서 좌우로 유동할 수 있어 상기 지지대(30)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한편 상기 지지대(30)의 길이는 상기 볼트(42)의 풀림과 조임에 의하여 연장되고 단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볼트(42)의 상단에는 볼트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걸림너트(46)가 구비되어 있어 볼트를 최대한 풀더라도 걸림너트(46)가 너트(44)에 걸리게 되어 볼트(42)가 지지대를 이탈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지지대(30)를 벌려 지지공(40)을 지지부분에 밀착시킬 때 그 밀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ㄱ자 형태의 앵글(5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빔(20) 양 끝단의 하부에 형성되는 빔홀(22)에 구비되는 고정판(24)은 빔홀(22) 각각에 2개씩 형성하여 지지대(30)가 4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지지대(30)는 상부지지대(60)와 하부지지대(70)로 구성되고, 상부지지대(60)에는 결합공(66)이 형성되고 하부지지대(70)에는 고정공(72)이 형성되어, 하부지지대(70)가 상부지지대(60)에 삽입될 때 결합공(66)과 고정공(72)이 동일축선상에서 고정핀(68)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빔(20)은 정사각형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빔홀(22)은 빔(20)의 4각 모서리 각각의 하부에 형성되며, 빔홀(22)에 구비되는 고정판(24)은 사선 방향으로 빔홀(22) 각각에 형성되어 지지대(30)가 4개 구비되데, 각각의 지지대(30)가 방사형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는 지지대 하단을 건물 기둥이나 벽체 등 수직부재의 하부에 밀착시킴으로써 무거운 작업 장비로 인하여 전해지는 연직방향의 수직하중을 수직부재에 전달시킴으로써, 중장비를 사용하더라도 상부 하중을 하부층 바닥구조에 전달시키지 않고 고층 노후 콘크리트 건축물의 철거 및 리모델링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는 그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건축물의 철거 및 리모델링시 그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는 그 구조적 특성인 지지각도를 벌릴 수 있는 점을 이용하여 하부층의 작업 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는 지지대의 길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여 층고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건축용 동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동바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동바리가 설치된 상태에서의 철거작업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의 구성 중 빔의 하부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의 설치상태 및 작동상태의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의 또 다른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의 또 다른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의 구성 중 지지대의 또 다른 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가 설치된 상태에서의 철거작업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건축용 동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동바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동바리가 설치된 상태에서의 철거작업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의 구성 중 빔의 하부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의 설치상태 및 작동상태의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의 또 다른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의 또 다른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의 구성 중 지지대의 또 다른 상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가 설치된 상태에서의 철거작업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노후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등 낡은 고층 건물을 철거 또는 리모델링할 때 구조물을 안전하게 받치는 것은 물론 철거 또는 리모델링 작업시 사용되는 중장비의 하중을 하부 슬라브에 직접 전달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전하게 구조물 철거 또는 리모델링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에 관한 것으로서, 양 끝단의 하부에 각각 빔홀(22)이 구비되고, 빔홀과 빔홀 사이의 하부는 ㄷ자 형태로 구성되데 상부에는 셋앵카 고정용구멍(28)이 2개 구비되는 빔(20)과; 고정판구멍(26)이 구비되며 상기 빔홀(22)의 가운데 부분에서 격벽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판(24)과; 상부에는 상기 고정판(24)에 구비된 고정판구멍(26)에 대향되게 U자형의 측벽에 각각 핀구멍(34)이 구비되고 상기 핀구멍(34)과 고정판구멍(26)을 관통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결합부재(36)가 구비되는 핀(32)과, 하부에는 하단에 구비되는 너트(44)와, 상기 너트(44)와 체결되며 바닥을 지지하는 지지공(40)과도 체결되는 볼트(42)와, 상기 볼트(42)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볼트손잡이(48)가 일체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각 구성을 조립하여 사용한다. 즉 각각의 구성은 분리된 상태에서 작업장으로 운반된 후, 작업장에서 각 구성을 조립하게 된다.
도 4 내지 도7을 참조하여 구성의 결합을 설명하면, 본 발명은 먼저 빔(20)과 지지대(30)로 구성된다. 빔(20)은 구조물 철거 및 리모델링시 천정 슬라브를 받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빔(20)의 양 끝단 하부에 각각 빔홀(22)이 구성된다. 빔홀(22)에는 고정판(24)이 구비되는데 지지대(3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빔(20)은 상단에 셋앵카 고정용구멍(28)이 2개 형성되고, 하부는 빔홀과 빔홀 사이가 ㄷ자 형태로 구성되는데, 빔(20)이 천정 슬라브를 받칠 때 셋앵카 고정용구멍(28)을 통하여 셋앵카(미도시)를 천정 슬라브에 박아 넣어서 빔(20)과 천정 슬라브가 밀착되어 본 발명인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셋앵카 고정용구멍(28)의 갯수는 줄이거나 늘릴 수도 있다.
한편 지지대(30)에는 상부에 핀(32)이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판(24)이 핀(32)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어 빔(20)과 지지대(30)가 결합하게 된다.
상기 핀(32)은 지지대(30)가 빔(20)과 결합되면서도 좌우로 유동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U자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며, 핀(32)의 양 측벽에는 빔홀(22)의 고정판(24)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판구멍(26)과 대향되게 핀구멍(34)이 형성되어 있어 고정판구멍(26)과 핀구멍(34)을 동일축선상에 맞춘 후 결합부재(36)를 관통시켜 빔(20)과 지지대(30)가 결합하게 된다.
이 경우 고정판(24)은 핀(32)의 측벽사에에 끼워질 수 있는 두께이며, 고정판(24)과 핀(32)의 측벽사이의 간격은 고정부재(36)가 핀구멍(34)과 고정판구멍(26)을 관통하여 빔(20)과 지지대(30)가 결합된 후에도 지지대(30)가 유동될 수 있을 정도가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36)는 핀구멍(34)과 고정판구멍(26)을 관통하여 빔(20)과 지지대(30)를 결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황에 따라 테이퍼핀이나 볼트와 너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빔(20)에 결합된 지지대(30)는 빔홀(22) 내의 여유공간에서 좌우로 유동이 가능하며, 지지대(30)를 바깥쪽으로 벌릴 때 핀(32)의 상단부가 빔홀(22)의 내측 측벽에 부딪혀 걸릴 때까지 유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대(30)의 하부에는 하단에 지지대(30)와 일체로 형성된 너트(44)가 구비되며, 일단이 지지공(40)과 체결되어 있는 볼트(42)의 타단이 상기 너트(44)와 결합됨으로써 지지대가 완성된다.
상기 지지공(40)은 철거 또는 리모델링의 대상인 구조물의 기둥이나 벽체의 하부에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구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건축물의 구조는 바닥과 벽 천정이 모두 직각으로 형성되는 것이 보통이므로 상부하중을 바닥구조에 전달시키지 않고 수직부재에 전달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상 지지공(40)은 구형인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일단이 지지공(40)과 체결되어 있는 볼트(42)는 지지대(30) 하단의 너트(44)와 체결되어 지지대(30) 하부로 끼워져 들어간다. 이 경우 볼트(42)가 조여질수록 지지대(30)의 길이는 짧아지고 볼트(42)가 풀려질수록 지지대(30)의 길이가 길어진다.
볼트(42)에는 볼트손잡이(48)가 형성되는데 지지대(30)를 세워 구조물의 기둥이나 벽체에 지지한 상태에서 볼트(42)를 체결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지지대(30)가 세워진 상태에서 볼트(42) 체결이 어려운 점을 감안하여 볼트(42)에 볼트손잡이(48)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볼트손잡이(48)는 볼트(42)가 너트(44)와 체결된 상태에서 지지대(30) 내부로 들어갈 수 있는 길이의 한계가 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볼트(42)는 너트(44)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지지대(30) 하부에 결합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대(30) 내부에 들어가는 볼트(42)의 끝단에는 걸림너트(46)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너트(46)는 볼트(42)를 풀어 지지대(30)의 길이를 늘릴 때 지지대(30)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너트(44)에 걸리게 됨으로써 볼트(42)가 지지대(30) 하단의 너트(44)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는 ㄱ자 형태의 앵글(50)을 구비할 수 있는데, 철거 및 리모델링의 대상인 구조물의 기둥이나 벽체가 직각인 점을 감안할 때 본 발명의 지지대(30)가 안전하면서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구조물의 기둥이나 벽체의 직각면에 앵글(50)을 설치하고 지지대(30)의 지지공(40)을 밀착시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이 되는 각 부분의 재질은 금속재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크기나 길이는 작업장의 특성에 맞게 제작할 수 있다. 즉 건축물의 각 층고나 넓이, 길이를 감안하여 제작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빔(20)은 그 크기가 1,000mmx150mmx50mm로 하고, 지지대(30)는 그 지름이 100mmm, 그 길이가 3,000mm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상술한 재질이나 크기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는 전체를 하나의 일체형으로 할 수 있다.
즉 빔(20)과 지지대(30)가 조립된 상태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각의 구성은 조립형과 동일하며, 다만 상기 고정부재(36)는 핀구멍(34)과 고정판구멍(26)을 관통한 후 앞 끝을 둘로 벌려 놓을 수 있는 분할핀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노후된 고층 콘크리트 건축물의 철거 또는 리모델링 작업시 철거에 사용되는 중장비를 건축물의 옥상이나 상층에 올려 놓기 전에 건축물의 하부 층에 본 발명을 설치한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빔(20)의 양측에 결합된 지지대(30)를 세운 후, 빔(20)을 구조물의 천정 슬라브에 밀착시키고 셋앵카 고정용구멍(28)에 셋앵카(미도시)를 박아 빔(20)을 천정 슬라브에 고정시키고, 양측의 지지대(30)를 구조물의 기둥이나 벽의 하단부까지 벌리고, 기둥이나 벽의 하단부에 지지대(30)에 결합되어 있는 지지공(40)이 밀착될 수 있도록 볼트손잡이(48)를 사용하여 볼트(42)를 풀어 지지대(30)를 밀착시킨다.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건축물의 철거 하부층에 필요한 만큼 설치한 후, 철거 또는 리모델링 작업에 사용되는 중장비를 옥상이나 상층에 올려 놓고 철거 또는 리모델링 작업을 실시하게 되면 순차적으로 가장 아래층까지 작업을 하는 동안에도 본 발명의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무거운 작업 장비로 인하여 전해지는 연직방향의 수직하중을 수직부재인 기둥이나 벽으로 분산시킬 수 있어 상부 하중을 하부층 바닥구조에 전달시키지 않고 고층 노후 콘크리트 건축물의 철거 또는 리모델링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그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건축물의 철거 및 리모델링시 그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지지대가 기둥이나 벽쪽으로 벌어져 빔(20) 하부의 공간이 넓어 하부층에서 작업하기가 편하고, 지지대(3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층고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노후된 고층 콘크리트 건출물 전체를 철거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아파트 등의 리모델링의 내부 벽체 철거공사시에도 사용가능하며, 아파트 등의 리모델링 작업에 본 발명이 사용됨으로써 연직방향의 수직하중이 내부 기둥이나 벽에 분산되어 바닥구조에 과하중을 적재시키지 않게 되어 리모델링 완료 후에도 바닥구조에 금이 가는 등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지지대(30)의 수를 늘려 사용할 수도 있다. 즉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빔(20)의 양 끝단의 하부에 형성되는 빔홀(22)에 구비되는 고정판(24)을 빔홀(22)의 양측 가장가리에 각각 2개씩 형성하여 각각의 고정판(24)에 지지대(30)를 고정시켜 지지대(30)의 수를 4개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지지대의 구성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지지대(30)의 수를 늘려 사용하는 경우에 그 활용의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빔(20)을 정사각형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빔홀(22)은 각각의 4각 모서리 하부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빔홀(22)에 구비되는 고정판(24)은 사선 방향으로 빔홀(22) 각각에 형성함으로써 고정판(24)에 결합되는 지지대(30) 4개가 방사형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인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의 빔(20)을 작업 공간의 천정 슬라브 중앙에 고정시키고, 4개의 지지대(30)를 각각 작업 공간의 벽체 모서리 하부에 지지함으로써 본 발명의 활용을 다양화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대(30)는 그 구성을 2단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즉 지지대(30)를 하부와 상부로 구성하여 각각의 구성이 삽탈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지지대를 결합공(66)이 구비된 상부지지대(60)와 고정공(72)이 구비된 하부지지대(70)로 구성하여, 하부지지대(70)가 상부지지대(60)에 삽입될 때 결합공(66)과 고정공(72)이 동일축선상에서 고정핀(68)의 관통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하고, 고정핀(68)을 제거하여 상부지지대(60)와 하부지지대(70)를 분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지만,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동바리 2 : 상부받침판
3 : 하부받침판 4 : 내부지지관
5 : 외부지지관 6 : 조절너트
7 : 슬라이드공 8 : 통공
10 :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 20 : 빔
22 : 빔홀 24 : 고정판
26 : 고정판구멍 28 : 셋앵카 고정용구멍
30 : 지지대 32,62 : 핀
34,64 : 핀구멍 36 : 결합부재
40,80 : 지지공 42,82 : 볼트
44,84 : 너트 46,86 : 걸림너트
48,88 : 볼트손잡이 50 : 앵글
60: 상부지지대 66 : 결합공
68 : 고정핀 70 : 하부지지대
72 : 고정공

Claims (8)

  1. 양 끝단의 하부에 각각 빔홀(22)이 구비되고, 빔홀과 빔홀 사이의 하부는 ㄷ자 형태로 구성되데 상부에는 셋앵카 고정용구멍(28)이 2개 구비되는 빔(20)과;
    고정판구멍(26)이 구비되며 상기 빔홀(22)의 가운데 부분에서 격벽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판(24)과;
    상부에는 상기 고정판(24)에 구비된 고정판구멍(26)에 대향되게 U자형의 측벽에 각각 핀구멍(34)이 구비되고 상기 핀구멍(34)과 고정판구멍(26)을 관통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결합부재(36)가 구비되는 핀(32)과, 하부에는 하단에 구비되는 너트(44)와, 상기 너트(44)와 체결되며 바닥을 지지하는 지지공(40)과도 체결되는 볼트(42)와, 상기 볼트(42)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볼트손잡이(48)가 일체로 구비되는 지지대(30)로 형성되되,
    상기 핀(32)은 핀구멍(34)과 고정판구멍(26)을 관통하는 결합부재(36)에 의해 고정판(24)과 결합되고, 상기 핀(32)이 빔홀(22)의 여유공간 내에서 좌우로 유동할 수 있어 상기 지지대(30)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30)의 길이는 상기 볼트(42)의 풀림과 조임에 의하여 연장되고 단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42)의 상단에는 볼트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걸림너트(46)가 구비되어 있어 볼트를 최대한 풀더라도 걸림너트(46)가 너트(44)에 걸리게 되어 볼트(42)가 지지대를 이탈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30)를 벌려 지지공(40)을 지지부분에 밀착시킬 때 그 밀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ㄱ자 형태의 앵글(5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빔(20) 양 끝단의 하부에 형성되는 빔홀(22)에 구비되는 고정판(24)은 빔홀(22) 각각에 2개씩 형성하여 지지대(30)가 4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30)는 상부지지대(60)와 하부지지대(70)로 구성되고, 상부지지대(60)에는 결합공(66)이 형성되고 하부지지대(70)에는 고정공(72)이 형성되어, 하부지지대(70)가 상부지지대(60)에 삽입될 때 결합공(66)과 고정공(72)이 동일축선상에서 고정핀(68)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빔(20)은 정사각형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빔홀(22)은 빔(20)의 4각 모서리 각각의 하부에 형성되며, 빔홀(22)에 구비되는 고정판(24)은 사선 방향으로 빔홀(22) 각각에 형성되어 지지대(30)가 4개 구비되데, 각각의 지지대(30)가 방사형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
KR1020110083284A 2011-08-22 2011-08-22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 KR101260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284A KR101260272B1 (ko) 2011-08-22 2011-08-22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284A KR101260272B1 (ko) 2011-08-22 2011-08-22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017A KR20130021017A (ko) 2013-03-05
KR101260272B1 true KR101260272B1 (ko) 2013-05-03

Family

ID=48174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3284A KR101260272B1 (ko) 2011-08-22 2011-08-22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02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872B1 (ko) 2014-08-06 2015-02-06 주식회사 세원 각도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
CN114922423A (zh) * 2022-04-22 2022-08-19 山东省水利工程局有限公司 一种可周转使用现浇混凝土模板支撑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55720A (zh) * 2017-06-09 2017-09-15 合肥市川丘生态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农用大棚
CN114108489B (zh) * 2021-12-20 2024-06-04 安徽省公路桥梁工程有限公司 一种钢梁顶推施工顶推支架安装用辅助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116Y1 (ko) * 2003-10-24 2004-01-13 (주)에스아이테크놀로지 조립식 대형 천막의 절첩식 지지프레임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116Y1 (ko) * 2003-10-24 2004-01-13 (주)에스아이테크놀로지 조립식 대형 천막의 절첩식 지지프레임 결합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872B1 (ko) 2014-08-06 2015-02-06 주식회사 세원 각도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
CN114922423A (zh) * 2022-04-22 2022-08-19 山东省水利工程局有限公司 一种可周转使用现浇混凝土模板支撑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017A (ko) 2013-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1190B2 (en) Wood gang for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 using same
KR102243984B1 (ko) 자립형 거푸집을 이용한 합벽 순타 시공용 무지주 거푸집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260272B1 (ko)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
KR100765090B1 (ko) 건축용 동바리
CN105569242A (zh) 一种叠合楼板的装配方法
WO2015184476A1 (en) Precast concrete falsework bubbledeck element and process of manufacturing thereof
KR101076562B1 (ko) 슬래브거푸집의 지지구조
KR20120085641A (ko) 보 및 슬래브 거푸집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 및 슬래브 구조물 시공 방법
JPH08284439A (ja) 重荷重形型枠支保工ならびにその部材
KR200412991Y1 (ko)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
US20090165408A1 (en) Construction elements and methods of construction
CN111561071A (zh) 一种装配式剪力墙连接装置及安装方法
KR102011988B1 (ko) 트러스 거더 탈착식 데크플레이트
KR100769318B1 (ko) 철구조물 연결형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거푸집설치구조
KR20060037137A (ko) 건축용 서포트의 간격유지장치
KR100812262B1 (ko)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시공방법
CN209907886U (zh) 一种可调节的装配式楼梯施工平台
KR102437398B1 (ko) 시공성이 용이한 일체형 슬라브 유로폼 시스템
KR100653226B1 (ko) 슬래브 거푸집용 가설빔
KR102249476B1 (ko) 거푸집 동바리에 연결되는 지지프레임
KR101576224B1 (ko) 건축물 시공용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
KR200375139Y1 (ko) 갱폼의 하부 체결구조
KR200394923Y1 (ko) 타워크레인의 고정장치
CN220100742U (zh) 一种预制剪力墙施工用斜撑的连接组件
KR102242175B1 (ko) 조립식 더블 월 pc 제조 금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