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8603B1 - 휠체어용 접이식 이동 발판 - Google Patents

휠체어용 접이식 이동 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8603B1
KR101478603B1 KR1020140133148A KR20140133148A KR101478603B1 KR 101478603 B1 KR101478603 B1 KR 101478603B1 KR 1020140133148 A KR1020140133148 A KR 1020140133148A KR 20140133148 A KR20140133148 A KR 20140133148A KR 101478603 B1 KR101478603 B1 KR 101478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wheelchair
fastening
footrest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3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재
김동규
주기열
박진성
오영진
이진희
정용우
임승원
유제현
Original Assignee
김성재
김동규
주기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재, 김동규, 주기열 filed Critical 김성재
Priority to KR1020140133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86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8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체어의 뒷쪽에 장착하여 보호자가 편리하게 타고 다닐 수 있는 접이식 이동 발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좌우 폭 조절은 물론 회전 장착 등이 가능한 구조의 체결용 작동 브라켓과 취부용 고정 브라켓의 조합형으로 이루어진 새로운 형태의 다기능 연결 브라켓을 구현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모든 전동 휠체어에 폭넓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휠체어용 접이식 이동 발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휠체어용 접이식 이동 발판{Folding board for wheelchair}
본 발명은 휠체어용 접이식 이동 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 휠체어나 전동 스쿠터 등의 뒷쪽에 장착하여 보호자가 편리하게 타고 다닐 수 있는 접이식 이동 발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약 및 생명공학기술의 발달로 인간의 평균 연령이 증가하면서 고령화 인구 및 장애인 인구가 날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고령자와 장애인에게 필요한 다양한 기구들이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특히, 고령자의 경우 근력 감퇴, 반응성 저하 등으로 인해 생활 반경이 축소될 수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이동기기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그 중 하나로서 고령자를 위한 보행보조기 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보행보조기는 보행에 어려움을 겪는 고령자가 차량에 몸을 지지하면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장치이다.
하지만, 보행보조기는 고령자의 하지 근력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어 있을 경우에만 사용이 가능하며, 하지의 근력이 미약하여 거동이 불편한 경우에는 휠체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보통 휠체어는 구동 방식에 따라 수동 휠체어와 전동 휠체어로 구분되며, 사용 방식에 따라 자기 스스로 휠체어를 이동하는 방식과 보호자의 도움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최근에는 충전배터리의 전원을 사용하여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이동되는 전동 휠체어가 널리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전동 휠체어는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이 사용하는 것으로서, 주로 장애가 심한 경우에는 보호자를 대동하여 휠체어를 탑승 및 하차할 때 도움을 받거나 운행 중에도 필요한 경우에는 보호자의 도움을 받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전동 휠체어의 배터리는 한 번의 충전에 약 20Km 정도 운행이 가능하므로, 탑승자가 장거리를 운행할 때에는 보호자가 전동 휠체어를 따라 다니는 것이 매우 힘든 실정이다.
이러한 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한국공개특허 10-2007-0115191호에서는 전동 휠체어의 후방에 보조바퀴를 갖는 받침판을 장착하여 탑승자의 보호자가 함께 주행을 할 수 있도록 한『전동 휠체어』를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전동 휠체어』는 양측에 보조바퀴가 있는 받침판의 지지프레임을 휠체어 새시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는 브래킷에 축으로 결합시킨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동 휠체어에 적용되는 브래킷과 축의 결합을 통한 받침판 장착구조는 다양한 종류와 여러 사양을 가지는 휠체어에 적용하기 어려운 구조로서, 호환성 측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다.
또한, 보통 전동 휠체어나 전동 스쿠터의 경우 앞바퀴와 뒷바퀴가 회전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회전 운전이 가능하지만, 종래의 받침판에 부착되어 있는 보조바퀴의 경우 회전이 불가하여 회전 운전 시 불편한 점이 많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좌우 폭 조절은 물론 회전 장착 등이 가능한 구조의 체결용 작동 브라켓, 취부용 고정 브라켓의 조합형으로 이루어진 새로운 형태의 다기능 연결 브라켓을 구현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모든 전동 휠체어에 폭넓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휠체어용 접이식 이동 발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휠체어용 접이식 이동 발판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휠체어용 접이식 이동 발판은 휠체어의 뒷쪽에 장착하여 보호자가 타고 다닐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휠체어 프레임측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체결용 작동 브라켓과, 후부에 발판의 연결을 위한 연결 젠더를 가지면서 체결용 작동 브라켓과 결합되는 취부 고정 브라켓과, 이동을 위한 바퀴를 가지면서 취부 고정 브라켓의 연결 젠더에 고정핀을 통해 힌지구조로 결합되는 발판 등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휠체어용 접이식 이동 발판의 복수 개의 체결용 작동 브라켓은 취부 고정 브라켓에 형성되는 슬롯을 통해 체결되면서 브라켓 길이방향 이동을 통해 서로 간의 좌우 폭 조절은 물론 자체적으로 자세 회전이 가능한 구조, 예를 들면 90°각도로 자세를 회전시키면서 4가지 타입으로 자세를 취할 수 있는 구조로 취부 고정 브라켓측에 결합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취부 고정 브라켓의 연결 젠더와 발판 간의 힌지 연결부위에는 양쪽 단부가 연결 젠더측에 지지됨과 더불어 길이 중간부분이 발판의 저면에 지지되면서 발판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이 장착될 수 있다.
이때의 상기 스프링은 양쪽 단부가 연결 젠더에 있는 다수 개의 스프링 고정홈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면서 스프링 압력이 조절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용 작동 브라켓과 취부 고정 브라켓은 양쪽에서 휠체어측의 원형 프레임을 감싸듯이 잡아줄 수 있는 요부 형상의 벤딩부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체결용 작동 브라켓의 경우 휠체어 프레임측에 연결 시 길이를 늘려서 체결가능한 연장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취부 고정 브라켓의 연결 젠더에는 발판의 선단부와 접촉하면서 발판이 세워진 상태에서 더 이상 젖혀지지 않도록 구속하는 스톱퍼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휠체어용 접이식 이동 발판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양쪽에 있는 체결용 작동 브라켓의 폭 조절 및 회전 조작, 그리고 추가적인 연장 브라켓의 적용 등을 통해 휠체어의 각각의 프레임 사양에 맞게 이동 발판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종류의 모든 전동 휠체어에 폭넓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연결 젠더와 발판의 회전가능한 조합 구조 및 스프링 힘을 이용한 접이식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미 사용 시 발판을 안전하게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연결 젠더와 발판 간의 힌지부위에 장착되는 스프링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 및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 접이식 이동 발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 접이식 이동 발판에서 스프링 압력조절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 접이식 이동 발판에서 스톱퍼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 접이식 이동 발판에서 커버 고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면도
도 7a 내지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 접이식 이동 발판에서 브라켓의 여러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 접이식 이동 발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휠체어용 접이식 이동 발판은 휠체어의 뒷쪽에 장착하여 보호자가 타고 다닐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보호자가 직접 올라탈 수 있는 발판(11)은 물론 휠체어측에 발판(11)을 연결하기 위한 체결용 작동 브라켓(10) 및 취부 고정 브라켓(13) 등을 포함한다.
상기 발판(11)은 저면 뒷쪽으로 양편에 2개의 바퀴(21)를 가지는 플레이트 구조로서, 앞쪽에 있는 발판 브라켓(22)을 이용하여 취부 고정 브라켓(13)에 있는 연결 젠더(12)에 고정핀(14)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바퀴(21)는 바퀴 브라켓(26)을 통해 발판(11)의 저면에 체결되는 구조로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이때의 바퀴(21)는 360°회전이 가능한 구조로서, 전동 휠체어나 전동 스쿠터 등의 선회 운전 시에도 원활하게 회전 궤적을 따라 굴러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발판(11)은 고정핀(14)을 축으로 하여 위아래로 회전되면서 사용 시에는 아래로 젖혀 내려서 펼칠 수 있게 되고, 미 사용 시에는 위로 젖혀 올려서 세워놓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발판(11)의 저면에는 발판 폭 중심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스프링 케이스(23)가 부착되며, 이때의 스프링 케이스(23)는 그 내측으로 위치되는 스프링(16)을 보호하는 역할 이외에도 발판(11)의 변형을 방지하고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체결용 작동 브라켓(10)은 휠체어의 프레임측에 연결되는 부품으로서, "ㄱ"자 형상의 절곡된 판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며, 브라켓의 각 판에는 볼트 체결을 위한 다수 개의 홀이 갖추어지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체결용 작동 브라켓(10)의 휠체어 프레임측(또는 후술하는 연장 브라켓측)과 연결되는 쪽의 판에는 2개 정도의 홀이 형성될 수 있게 되고, 취부 고정 브라켓(13)측과 연결되는 쪽의 판에는 격자형으로 배치되는 4개 정도의 홀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체결용 작동 브라켓(10)은 취부 고정 브라켓(13)에 형성되어 있는 슬롯(15)에 볼트 체결구조를 통해 결합되면서 취부 고정 브라켓(13)의 양단측으로 각각 배치되며, 이때의 슬롯(15)을 따라 체결위치를 옮겨가면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양쪽 2개의 체결용 작동 브라켓(10)은 취부 고정 브라켓(13)의 슬롯(15)을 따라 체결위치를 옮겨 고정될 수 있게 되고, 결국 양쪽의 체결용 작동 브라켓(10) 간의 폭이 조절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체결용 작동 브라켓(10)의 한 쪽 판, 즉 취부 고정 브라켓(13)측과 접하는 쪽의 판에는 판 폭 중심에서 판 길이방향으로 나란한 요부 형상의 벤딩부(18a), 예를 들면 V형 단면 또는 U형 단면을 가지는 벤딩부(18a)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용 작동 브라켓(10)은 벤딩부(18a)를 이용하여 취부 고정 브라켓(13)에 있는 벤딩부(18b)와 함께 휠체어측의 원형 프레임을 양쪽에서 감싸듯이 잡아줄 수 있게 된다.
즉, 휠체어측 프레임이 원형의 봉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 봉을 사이에 두고 양편에서 벤딩부(18a,18b)가 감싸면서 체결되므로서, 휠체어측과 발판측이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취부 고정 브라켓(13)은 전체적으로 바 형태로서, 후부에는 발판(11)의 발판 브라켓(22)과 결합되는 양쪽 2개의 연결 젠더(12)가 형성되고, 양쪽 단부에는 위아래 2열의 나란한 슬롯(15)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의 슬롯(15)은 브라켓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체결용 작동 브라켓(10)은 슬롯(15)을 따라 위치를 옮겨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취부 고정 브라켓(13)의 후부에 있는 양쪽 연결 젠더(12) 사이에 발판(11)의 발판 브라켓(22)이 삽입 위치되고, 이렇게 위치된 상태에서 연결 젠더(12)와 발판 브라켓(22)이 수평으로 체결되는 고정핀(14)에 의해 함께 결합되므로서, 발판(11)은 취부 고정 브라켓(13)측에 지지되면서 고정핀(14)을 힌지부로 하여 위아래로 젖혀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취부 고정 브라켓(13)에는 폭 중심에서 길이방향으로 나란한 요부 형상의 벤딩부(18b)가 형성되어 있어서, 체결용 작동 브라켓(10)과 함께 휠체어측의 원형 프레임을 양쪽에서 감싸듯이 잡아줄 수 있게 된다.
이때의 상기 벤딩부(18b)는 체결용 작동 브라켓(10)에 있는 벤딩부(18a)와 마찬가지로 V형 단면 또는 U형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발판(11)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수단, 예를 들면 발판(11)을 항상 윗쪽으로 젖혀 올리려는 스프링 힘을 발휘하는 수단으로 스프링(16)이 마련된다.
이러한 스프링(16)은 양쪽의 둥글게 말린 부분과 중간의 "ㄷ"자 모양으로 절곡 형성된 부분으로 된 일체형 스프링으로서, 취부 고정 브라켓(13)의 연결 젠더(12)와 발판(11) 간의 힌지 연결부위에 장착된다.
예를 들면, 상기 스프링(16)은 양쪽 단부가 취부 고정 브라켓(13)의 연결 젠더(12)에 있는 스프링 고정홈(17)에 걸려져 고정되고, 계속해서 고정핀(14)의 양쪽 단부에 일정길이 감긴 다음에 그 길이 중간 부분이 "ㄷ"자 모양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면서 발판(11)의 저면에 밀착되는 구조로 장착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16)의 "ㄷ"자 모양 연장부는 발판 좌우 폭 중간쯤되는 위치에서 발판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발판(11)의 저면에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프링(16)은 발판(11)을 아래로 젖힌 상태에서는 팽창된 상태로 있다가 발판(11)을 밟고 있던 외력이 제거되면, 복원력을 발휘하여 발판(11)을 위로 젖혀주려는 힘을 발휘할 수 있게 되고, 결국 사용자는 중량물인 발판(11)을 스프링 힘을 이용하여 힘들이지 않고 쉽게 젖혀 올릴 수 있게 된다.
이때의 발판이 위로 젖혀지는 속도는 천천히, 빠르게 등으로 조절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 접이식 이동 발판에서 스프링 압력조절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연결 젠더측 스프링 걸림 위치를 조절하여 스프링 압력을 조절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연결 젠더(12)의 선단부 저면에는 젠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다수 개의 스프링 고정홈(17), 예를 들면 3개의 스프링 고정홈(17)이 구비되고, 이렇게 구비되는 각 스프링 고정홈(17)에 스프링(16)의 한쪽 단부가 선택적으로 걸려져 고정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각 스프링 고정홈(17)에 걸려지는 스프링 단부의 고정위치에 따라 스프링 압력이 조절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발판(11)의 작동력, 즉 발판(11)이 들려 올려지는 힘이 달라질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스프링(16)의 단부를 가장 안쪽에 있는 스프링 고정홈(17)에 고정시키는 경우(a) 스프링 힘이 가장 적고, 중간의 스프링 고정홈(17)에 고정시키는 경우(b) 및 가장 바깥쪽에 있는 스프링 고정홈(17)에 고정시키는 경우(c)로 갈수록 점차 상대적으로 스프링 힘이 커지게 된다.
즉, 스프링 힘은 (a) 위치<(b) 위치<(c) 위치의 순서대로 커지게 되며, 이에 따라 발판 중량 등을 고려하여 스프링 압력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스프링 압력은 사용자의 감성 품질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발판 폴딩이 빠르게, 천천히 또는 강하게, 약하게 등의 상태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 접이식 이동 발판에서 스톱퍼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발판(11)의 세워진 자세의 위치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스톱퍼(20)를 보여준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연결 젠더(12)의 저면 일측, 예를 들면 가장 안쪽에 위치하고 있는 스프링 고정홈(17)과 인접한 안쪽에는 사각판 형태의 스톱퍼(20)가 수직 부착되고, 이렇게 부착되어 있는 스톱퍼(20)에 세워진 상태의 발판(11)의 선단부 안쪽면이 접촉되면서 스톱퍼(20)의 세워진 자세를 잡아줄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발판(11)을 위로 젖혀 올려서 세우게 되면, 발판(11)의 선단부 안쪽면이 스톱퍼(20)에 닿게 되고, 따라서 발판(11)이 더 이상 세우는 방향쪽으로 젖혀지지 않게 구속되므로서, 발판(11)은 거의 수직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 접이식 이동 발판에서 커버 고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밴드 고리(24)와 밴드(25)를 사용하여 세워진 상태의 발판(11)을 고정시키는 방법을 보여준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발판(11)의 후단부 저면에는 발판 미 사용 시 초기 위치를 고정시켜주고 또 험로 주행 시 이탈 방지를 위한 역할을 하는 훅 모양의 밴드 고리(24)가 부착된다.
따라서, 발판 미 사용 시 발판(11)을 세워서 휠체어 후부에 나란히 위치시킨 상태에서 휠체어측에 있는 밴드(25)를 밴드 고리(25)에 걸어주게 되면, 발판(11)이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되고, 결국 험로 주행 시 등과 같은 상황에서 발판(11)이 흔들리거나 재차 아래로 젖혀져 떨어지는 등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휠체어용 접이식 이동 발판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a 내지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 접이식 이동 발판에서 브라켓의 여러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휠체어측 프레임의 사양에 맞게 양쪽의 체결용 작동 브라켓(10)의 폭을 조절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이를 위하여, 취부 고정 브라켓(13)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체결용 작동 브라켓(10)의 볼트 체결부위를 푼 다음, 취부 고정 브라켓(13)의 슬롯(15)을 따라 체결용 작동 브라켓(10)을 이동시켜 휠체어측 프레임(100a)의 간격에 맞춘다.
계속해서, 폭 조절을 마친 양쪽의 체결용 작동 브라켓(10)을 볼트로 체결하여 취부 고정 브라켓(13)에 고정시킨 다음, 휠체어측 프레임(100a)과 체결용 작동 브라켓(10)을 체결하면, 발판(11)을 휠체어측에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체결용 작동 브라켓(10)를 회전시켜서 다양한 자세로 고정시킬 수 있는 방법을 보여준다.
예를 들면, 상기 체결용 작동 브라켓(10)은 90°각도로 자세가 회전되면서 4가지 타입으로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체결용 작동 브라켓(10)의 자세 전환은 다양한 휠체어측 프레임(100a)과의 연결 조건에 맞게 그때 그때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체결용 작동 브라켓(10)에 연장 브라켓(19)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준다.
예를 들면, 휠체어측 프레임(100a)의 폭이 체결용 작동 브라켓(10)의 폭(너비)보다 큰 경우, 다시 말해 프레임측으로 연결되는 브라켓 한쪽 판의 길이가 짧을 경우, 체결용 작동 브라켓(10)을 직접 휠체어측 프레임(100a)에 연결할 수 없으므로, 이때에는 체결용 작동 브라켓(10)에 연장 브라켓(19)을 이어 붙혀서 간섭이 없는 공간을 확보한 다음, 연장 브라켓(19)을 휠체어측 프레임(100a)에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도 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휠체어측 프레임(100b)이 원형의 파이프 형태로 되어 있는 경우의 연결방법을 보여준다.
즉, 발판(11)측의 취부 고정 브라켓(13)의 밴딩부(18b)를 휠체어측 프레임(100b)의 한쪽에 갖다 대어 프레임 둘레를 일부 수용한 다음, 취부 고정 브라켓(13)의 맞은편에는 체결용 작동 브라켓(10)의 밴딩부(18a)를 휠체어측 프레임(100b)의 반대쪽에 갖다 대어 프레임 둘레를 일부 수용한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고 있는 양쪽의 체결용 작동 브라켓(10)과 취부 고정 브라켓(13)을 볼트로 체결하면, 발판(11)을 휠체어측에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체결용 작동 브라켓과 취부 고정 브라켓의 조합형으로 이루어진 새로운 다기능 연결 브라켓으로 발판을 휠체어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휠체어용 접이식 이동 발판을 제공함으로써, 보호자가 편리하게 발판을 타고 다닐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할 수 있고, 특히 다양한 종류의 모든 전동 휠체어에 폭넓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 체결용 작동 브라켓
11 : 발판
12 : 연결 젠더
13 : 취부 고정 브라켓
14 : 고정핀
15 : 슬롯
16 : 스프링
17 : 스프링 고정홈
18a,18b : 벤딩부
19 : 연장 브라켓
20 : 스톱퍼
21 : 바퀴
22 : 발판 브라켓
23 : 스프링 케이스
24 : 밴드 걸이
25 : 밴드
26 : 바퀴 브라켓

Claims (7)

  1. 휠체어의 뒷쪽에 장착하여 보호자가 타고 다닐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휠체어 프레임측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체결용 작동 브라켓(10)과, 후부에 발판(11)의 연결을 위한 연결 젠더(12)를 가지면서 체결용 작동 브라켓(10)과 결합되는 취부 고정 브라켓(13)과, 이동을 위한 바퀴(21)를 가지면서 취부 고정 브라켓(13)의 연결 젠더(12)에 고정핀(14)을 통해 힌지구조로 결합되는 발판(11)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체결용 작동 브라켓(10)은 취부 고정 브라켓(13)에 형성되는 슬롯(15)을 통해 체결되면서 서로 간의 좌우 폭 조절은 물론 자체적으로 자세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취부 고정 브라켓(13)측에 결합되고,
    상기 취부 고정 브라켓(13)의 연결 젠더(12)와 발판(11) 간의 힌지 연결부위에는 양쪽 단부가 연결 젠더(12)측에 지지됨과 더불어 길이 중간부분이 발판(11)의 저면에 지지되면서 발판(11)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16)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접이식 이동 발판.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16)은 양쪽 단부가 연결 젠더(12)에 있는 다수 개의 스프링 고정홈(17)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면서 스프링 압력이 조절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접이식 이동 발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용 작동 브라켓(10)과 취부 고정 브라켓(13)은 양쪽에서 휠체어측의 원형 프레임을 감싸듯이 잡아줄 수 있는 요부 형상의 벤딩부(18a,18b)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접이식 이동 발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용 작동 브라켓(10)은 휠체어 프레임측에 연결 시 길이를 늘려서 체결가능한 연장 브라켓(19)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접이식 이동 발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취부 고정 브라켓(13)의 연결 젠더(12)에는 발판(11)의 선단부와 접촉하면서 발판(11)이 세워진 상태에서 더 이상 젖혀지지 않도록 구속하는 스톱퍼(2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접이식 이동 발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용 작동 브라켓(10)은 90°각도로 자세를 회전시키면서 4가지 타입으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접이식 이동 발판.
KR1020140133148A 2014-10-02 2014-10-02 휠체어용 접이식 이동 발판 KR101478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3148A KR101478603B1 (ko) 2014-10-02 2014-10-02 휠체어용 접이식 이동 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3148A KR101478603B1 (ko) 2014-10-02 2014-10-02 휠체어용 접이식 이동 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8603B1 true KR101478603B1 (ko) 2015-01-02

Family

ID=52587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3148A KR101478603B1 (ko) 2014-10-02 2014-10-02 휠체어용 접이식 이동 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86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02424A (zh) * 2017-11-17 2018-03-16 南京康尼机电股份有限公司 一种轮椅踏板装置及用于轮椅踏板上的型材
CN113081584A (zh) * 2021-04-14 2021-07-09 苗春霖 失能者多功能可拆卸电动移位车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1381B2 (ja) * 1997-12-19 2000-11-20 裕二 橋本 チャイルドステップカー及びこれを用いたベビーカー
KR20070115191A (ko) * 2006-06-01 2007-12-05 이은희 전동휠체어
KR100945574B1 (ko) * 2008-10-15 2010-03-08 대원강업주식회사 철도 차량용 풋레스트
KR200456777Y1 (ko) * 2010-05-27 2011-11-21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풋레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1381B2 (ja) * 1997-12-19 2000-11-20 裕二 橋本 チャイルドステップカー及びこれを用いたベビーカー
KR20070115191A (ko) * 2006-06-01 2007-12-05 이은희 전동휠체어
KR100945574B1 (ko) * 2008-10-15 2010-03-08 대원강업주식회사 철도 차량용 풋레스트
KR200456777Y1 (ko) * 2010-05-27 2011-11-21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풋레스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02424A (zh) * 2017-11-17 2018-03-16 南京康尼机电股份有限公司 一种轮椅踏板装置及用于轮椅踏板上的型材
CN107802424B (zh) * 2017-11-17 2024-06-04 南京康尼机电股份有限公司 一种轮椅踏板装置及用于轮椅踏板上的型材
CN113081584A (zh) * 2021-04-14 2021-07-09 苗春霖 失能者多功能可拆卸电动移位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5806B2 (en) Multiple use ambulatory device
EP3459515B1 (en) Assisting device
US20090278325A1 (en) Walking Aid Adapted For Mounting A Height Obstacle
KR20090103357A (ko) 계단 주행이 가능한 휠체어 및 그 바퀴
JP2001008991A (ja) 歩行補助器
US20050057021A1 (en) Wheelchair useable as walking stick
KR101478603B1 (ko) 휠체어용 접이식 이동 발판
JP2019030629A (ja) 歩行車
JP2004223151A (ja) 移乗補助機器
JP2016093221A (ja) 歩行器
JP2002178930A (ja) 階段走行可能な運搬車
JP2014050663A (ja) 杖のユニバーサルジョイントを用いた転倒抑止方法及び装置
US8733379B2 (en) Walking supporter
JP6114535B2 (ja) 点滴スタンド
JPH07236670A (ja) 歩行器
JP3124735U (ja) 肘掛つき歩行補助器
JP2004089340A (ja) 車椅子の転倒防止機構
KR101605362B1 (ko) 휠체어 전륜의 리프팅 기능을 가지는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KR101598478B1 (ko) 별도의 장착프레임을 가지는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KR100796781B1 (ko) 보행보조기
CN214713357U (zh) 一种帕金森病用的行走辅助装置
KR200390058Y1 (ko) 노약자 및 장애인의 활동 보조차
KR200378016Y1 (ko) 휠체어
JP2007111501A (ja) 歩行器機能付き車いす
CN217162579U (zh) 一种高度可调节的助行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