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7271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7271B1
KR101467271B1 KR1020130014790A KR20130014790A KR101467271B1 KR 101467271 B1 KR101467271 B1 KR 101467271B1 KR 1020130014790 A KR1020130014790 A KR 1020130014790A KR 20130014790 A KR20130014790 A KR 20130014790A KR 101467271 B1 KR101467271 B1 KR 101467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container
storage
compartment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4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0604A (ko
Inventor
미키오 야마다
신스케 구즈시마
도루 에비하라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40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0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7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7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83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sing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 A47B88/487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sing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with rollers, ball bearings, wheel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7Suppor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출 구조의 수납 용기의 지지 강도를 향상하고, 수납 용기를 대형화해도 인출 동작이 원활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냉장고 본체(1)에 형성된 저장실(3)과, 저장실(3)을 개폐하는 문(2a, 2b)과, 저장실(3) 내에 배치된 수납 용기(50)와, 수납 용기(50)를 재치하는 베이스(60)와, 베이스(60)의 전부의 손잡이부(51)와, 저장실(3) 내면에 설치된 레일(70)과, 베이스(60)의 후부에 설치되어서 레일(70) 위를 이동하는 이동체(67a(67))와, 저장실(3) 내의 하부 전방에 설치되어서 베이스(6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지지체(71)를 구비하고, 제 1 지지체(71), 레일(70), 및 이동체(67a(67))의 각각의 슬라이딩부의 높이 위치와, 손잡이부(51)의 적어도 일부의 높이 위치가, 베이스(60) 저면의 높이 위치와 근접 또는 같아지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 분야의 배경 기술로서, 일본국 특개2001-280830호 공보(특허문헌 1), 특허 제3378187호 공보(특허문헌 2)가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전면(前面) 개구의 식품 저장실 내에 수납된 식품 저장 용기가 상기 전면 개구를 개폐하는 문과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지지된 종래의 냉장실은, 수납 케이스를 지지하는 프레임체가, 좌우의 지지체와 이 지지체의 후단부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의 결합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구성, 및 「문으로부터 식품 저장실 내로 연장되어, 식품 저장 용기의 하부를 수납 재치(載置)하는, 상면 개구의 용기 형상 지지체를 설치하고, 용기 형상 지지체는 합성 수지 또는 금속의 성형으로 그 측벽 및 저벽을 일체로 형성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요약, 도 2).
특허문헌 2에는, 「냉장고 본체에 설치되어, 식품 등을 수납하는 케이스를 재치한 프레임이 부착된 인출 문과, 상기 프레임의 후부에 설치된 이동 롤러와, 상기 본체의 내쪽 케이스의 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 롤러가 수납되어서 슬라이딩하고, 단열재의 발포 압력에 견디도록 측벽면이 외측으로 만곡한 레일부와, 상기 본체의 하측 중 칸막이 벽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이 슬라이딩하는 본체측 고정 롤러를 구비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청구항 1).
일본국 특개2001-280830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3378187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의 구성, 즉 문에 고정한 지지체에 수납 케이스를 지지하는 구성에서는, 지지체의 문에 대한 부착 위치(특히, 높이 방향)가 중요해진다.
일반적인 냉장고에서는, 인출식의 저장실(냉동실이나 야채실)이 냉장고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지만, 사용자가 몸을 굽히지 않아도 문을 개폐하기 쉽도록, 문의 상부에 손잡이부가 설치되어 있다.
최근, 야채실이나 냉동실의 수납 케이스는, 약 30~50kg의 식품이 수납 가능하다. 이러한 수납 케이스를 구비한 냉장고의 경우, 문의 손잡이부의 위치와 수납 케이스를 지지하는 프레임체의 위치의 높이 방향의 거리가 길어지면, 손잡이부를 잡고 문을 인출했을 경우, 문과 지지체의 접속부에 큰 부하가 가해져, 이 접속부를 기점으로 변형할 우려가 있다.
또한, 문을 인출했을 때에 지지체의 앞쪽 측이 내려감으로써, 지지체의 슬라이딩성이 나빠져, 원활하게 인출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1과 같이, 금속에 의해 용기 형상 지지체를 구성했을 경우, 중량이 증가해서 취급성 및 휴대성이 저하한다. 또한, 비용이 높아진다. 한편, 용기 형상 지지체를 합성 수지로 구성했을 경우, 수용물을 포함하는 수납 케이스의 중량이 커지면, 용기 형상 지지체가 휘어져, 변형할 우려가 있다.
다음으로, 특허문헌 2에서는, 냉동실이나 야채실에 비해서 수납량이 적은 문(일례로서, 제빙실 문과 같이 수납량이 10kg 이하의 문)에 있어서, 문 상부의 손잡이부에서 떨어진 하방 위치, 즉 문의 내측 하방에 프레임의 접속부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에서는, 문 측에서만 프레임 및 케이스를 고정 지지하는 외팔보 구조이기 때문에, 큰 부하가 가해진 때에 케이스를 지지하는 프레임이 휘어져, 프레임의 슬라이딩성이 저하한다.
또한, 프레임의 휨 치수만큼을 고려하여, 케이스 저면과 저장실 저면 사이에 극간 치수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케이스의 대형화에는 한계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인출 구조의 수납 용기의 지지 강도를 향상하고, 수납 용기를 대형화해도 인출 동작이 원활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구성을 채용한다. 본원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을 복수 포함하고 있지만, 그 일례를 들면, 냉장고 본체에 형성된 저장실과, 당해 저장실을 개폐하는 문과, 상기 저장실 내에 배치된 수납 용기와, 상기 수납 용기를 재치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전부(前部)의 손잡이부와, 상기 저장실 내면에 설치된 레일과, 상기 베이스의 후부(後部)에 설치되어서 상기 레일 위를 이동하는 이동체와, 상기 저장실 내의 하부 전방에 설치되어서 상기 베이스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지지체, 상기 레일, 및 상기 이동체의 각각의 슬라이딩부의 높이 위치와, 상기 손잡이부의 적어도 일부의 높이 위치가, 상기 베이스 저면의 높이 위치와 근접 또는 같아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출 구조의 수납 용기의 지지 강도가 향상해서, 수납 용기를 대형화해도 인출 동작이 원활한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냉장고의 전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냉장고의 냉장실 문을 연 상태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냉장고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냉장고의 우측벽과 배면벽을 생략한 후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냉장고의 야채실 주변의 종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냉장고의 수납 용기의 정면도.
도 6b는 도 6a의 수납 용기의 우측면도.
도 6c는 도 6a의 수납 용기의 후방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냉장고의 베이스의 전방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냉장고의 베이스에 수납 용기를 재치한 상태의 부분 단면도.
도 9는 도 8과 상이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베이스에 수납 용기를 재치한 상태의 부분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냉장고의 레일 주변의 정면 부분 단면도.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냉장고의 수납 용기를 인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냉장고의 수납 용기를 넣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것이며, (a)는 냉장실 문을 힌지와 반대의 측부에서 본 사시도이고, (b)는 냉장실 문을 힌지 측의 측부에서 본 사시도.
도 13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것이며, 냉장실 문을 90도 연 상태에서 야채실의 수납 용기를 인출한 상태의 전방 사시도.
도 13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것이며, 냉장실 문을 90도 연 상태에서 야채실의 수납 용기를 넣은 상태의 전방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것이며, (a)는 수납 용기를 야채실에 수납한 상태, (b)는 수납 용기를 인출하는 과도 상태, (c)는 수납 용기를 인출한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제 2 지지부의 위치를 설명하는 부분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수납 용기를 제거한 상태의 부분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베이스의 요부(要部) 확대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제 2 지지부를 설명하는 부분 종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제 1 지지부의 부착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실시예 1)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냉장고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도면에 있어서 마찬가지인 부위나 화살표 등은 동일 부호를 갖고 나타내며,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냉장고(1)의 전체 구성>
우선, 도 1,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냉장고의 전체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냉장고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냉장고의 냉장실 문을 연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냉장고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냉장고의 우측벽과 배면벽을 생략한 후방 사시도이다.
냉장고(1)는, 그 본체를 구성하는 냉장고 본체(1H)에, 냉장실(3)과 냉동실(6)이 상하에 설치되어 있다. 냉장실(3)과 냉동실(6) 사이는, 칸막이 벽(5a)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한편, 칸막이 벽(5a)은 내부에 단열재를 구비하고 있어, 단열 칸막이 벽으로서 기능한다.
냉장고 본체(1H)의 전방 상부에는, 좌우로 병설되어, 각각 일단이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된 회동 문(2a, 2b)을 구비하고 있으며, 소위 프렌치도어를 구성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대로, 이 회동 문(2a, 2b)은 냉장실 문이며, 냉장실 문(2a, 2b)의 개폐에 의해, 냉장실(3) 내의 저장물을 수납, 취출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 본체(1H)의 전방 하부에는, 인출 문(2c)이 설치되어 있다. 이 인출 문(2c)은 냉동실 문이며, 냉동실 문(2c)의 개폐에 의해, 냉동실(5) 내의 저장물을 수납, 취출할 수 있다.
냉장실(2)에는, 냉장고 본체(1H)의 내측의 좌우의 양 측벽에 설치한 돌출부에 지지된, 저장물을 재치하는 선반(3a)이 상하 방향에 복수 설치되어 있다. 또한, 냉장실(3)과 칠드실(4)의 칸막이도 겸한 수용 선반(3b)이, 선반(3a)보다 낮은 위치에 배설되어 있다. 또한, 도어 포켓(8)이 냉장실 문(2a, 2b)의 냉장실(2)에 대향하는 면(냉장실 문(2a, 2b)의 배면 측)에 설치되어 있다.
냉장실(3) 내의 일부에는 칠드실(4), 야채실(5)이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냉동실(6)보다 상방에서, 칸막이 벽(5a)의 상방이며, 냉장실 문(2a, 2b)의 후방 공간을, 칠드실(4), 야채실(4)로서 형성하고 있다. 냉장실(3) 및 야채실(5)은, 일례로서 약 3~5℃의 냉장 온도대의 저장실이다. 칠드실(4)은, 일례로서 0℃정도의 온도대의 저장실이다.
칠드실(4)에는 칠드실 용기(4a)가 배치되어 있고, 야채실(5)에는 야채실 용기인 수납 용기(50)가 배치되어 있다. 냉장실 문(2a, 2b)을 연 경우, 칠드실 용기(4a) 및 야채실 용기(50)는, 칠드실(4) 및 야채실(5)에 각각 수납된 상태이다. 그리고, 칠드실 용기(4a) 및 야채실 용기(50)를 인출함으로써 각각의 용기 내부에 저장물을 수납, 취출할 수 있다. 또한, 인출한 상태의 칠드실 용기(4a) 및 야채실 용기(50)를 소정 위치에 수납해서, 냉장실 문(2a, 2b)을 닫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의 냉장고(1)에 있어서는, 냉장 공간을 구성하는 냉장실(3), 칠드실(4), 야채실(5)이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고, 야채실 용기(50)는 선반(3a, 3b), 칠드실 용기(4)에 비해서 전방으로 돌출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렇게, 야채실 용기(50)가 전방으로 돌출한 공간을 가짐으로써, 야채실(5)의 수납 공간의 대용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 한편, 야채실(5)에 대향하는 높이 위치에 있어서는, 야채실 용기(50)의 돌출 부분과 간섭하지 않도록, 도어 포켓(8)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렇게, 야채실 용기(50)가 전방에 돌출 부분을 가짐으로써, 큰 외형의 야채 등을 대량으로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냉장실 문(2a, 2b) 배면의 냉장실(3)과 칠드실(4)에 대향하는 위치에 도어 포켓(8)을 가짐으로써, 페트병이나 종이팩 등의 음료, 병이나 튜브형 조미료 등, 냉장 보존이 필요한 식품을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고, 냉장실 문(2a, 2b) 중 어느 하나를 여는 것 만으로 이들 식품의 출입이 용이하다.
후술하는 냉각기(12)에 의해 냉각된 냉기는, 냉기 송풍팬(11)(냉장실 송풍팬(11a), 냉동실 송풍팬(11b))을 구동함으로써, 냉장실 냉기 송풍 덕트(18R)로부터 냉장실(3), 칠드실(4), 야채실(5)에 냉기가 흐르고, 냉동실 냉기 송풍 덕트(18F)로부터 냉동실(6)에 냉기가 흐르게 된다.
냉장실(3), 칠드실(4), 야채실(5)에 송풍된 후의 냉기는, 냉각기(12)에 배치된 냉각기실(10)의 후방에 설치한 냉장실 냉기 귀환 덕트(17R)를 통과하여, 냉각기실(10)로 돌아간다. 또한, 냉동실(6)에 송풍된 후의 냉기는, 냉동실(6)의 후부에 설치한 냉동실 냉기 귀환 덕트(17F)를 통과하여, 냉각기실(10)로 돌아간다.
다음으로, 칠드실(4) 내에는, 인출함으로써 취출 가능한 칠드실 용기(4a)가 배치되어 있다. 칠드실 용기(4a)의 상부에는 선반(3b)이 배설(配設)되어 있으므로, 칠드실(4) 내의 냉기는 선반(3b)에 의해 가로막혀, 용기 밖으로 새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대로, 칠드실(4) 상부의 냉장실(3)의 고내(庫內)의 배면에, 전환 레버(4b)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환 레버(4b)를 좌우로 전환함으로써, 칠드실(4) 내의 도시하지 않은 냉기구의 개폐를 조작할 수 있다. 냉기구를 엶으로써, 칠드실(4) 내에 냉기가 유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칠드실(3)의 실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있어 적절한 온도 관리가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할 때의 사용하기 쉬운 높이 위치를 고려하여, 냉장실(2)의 최하단의 배면에 전환 레버(4b)를 설치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냉장고 본체(1H) 내의 다른 개소여도 되고, 냉장실 문(2a, 2b)을 닫은 상태에서 외부의 컨트롤 패널로부터 조작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정보 수신 수단을 냉장고(1)에 구비하고, 모바일 단말이나 원격 조작 수단으로부터 원격으로 전환 입력 조작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다음으로, 냉동실(6)은 일례로서 약 -18℃의 냉동 온도대의 저장실이다. 냉동실(6) 내에는, 인출식의 상단 냉동실 용기(6a)와, 하단 냉동실 용기(6b)가 배치되어 있다. 하단 냉동실 용기(6b)는, 인출식의 냉동실 문(2c)에 연결한 도시하지 않은 지지 프레임에 현가 지지되어 있고, 냉동실 문(2c)의 인출 동작과 함께 인출된다. 상단 냉동실 용기(6a)는, 하단 냉동실 용기(6b)와 함께 인출되는 구성으로 해도 되고, 냉동실 문(2c)의 인출 시에는 상단 냉동실 용기(6a)가 냉동실(6) 내에 남는 구성으로 하여, 냉동실 문(2c) 개방 후, 상단 냉동실 용기(6a)를 단독으로 인출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냉각기실(10)은 냉동실(6)의 후방 상부로부터 야채실(5)의 후방부에 돌출해서 형성한 공간이다. 냉각기실(10) 내에는, 냉동 사이클의 일부를 구성하는 냉각기(10)와, 냉각기(10) 상방의 냉기 송풍팬(11)(냉장실 송풍팬(11a), 냉동실 송풍팬(11b))과, 냉각기(10) 하방의 제상(除霜) 히터(15)가 배치되어 있다. 냉각기(10)는, 냉동실(6)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은, 냉각기(10)는 냉동 온도대의 저온도이기 때문에, 온도대가 가까운 냉동실(6)에 인접시킴으로써 저온도의 영향이 인접하는 저장실에 미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동시에, 냉장 온도대의 저장실과 인접시키면, 냉각기(10)의 온도가 상승할 뿐만 아니라, 성에가 부착되기 쉬워져, 열교환 효율이 저하하므로, 이것을 피하기 위해서이기도 하다.
냉기 송풍팬(11)은, 야채실(5)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냉각기(12)는 냉동실(6) 후방의 높이 방향에 가능한 크게 배치하고, 냉기 송풍팬(11)은 냉동실(6)보다 상방의 야채실(5)의 후방에 배치하고 있다. 이것은, 냉각기(12)를 되도록이면 대형화하여, 냉각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이다. 특히, 저장 공간이 대형인 본 실시예와 같은 냉장고에서는, 냉각 성능을 향상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기서, 가령 냉각기(12)가 야채실(5)의 후방까지 위치하면, 야채실(5)이 냉각기(12)의 영향으로 저온이 되고, 수납한 야채 등이 동결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냉각기(12)는 냉동실(6)의 후방 위치(칸막이 벽(5a)의 높이 위치)에 고정하고, 냉기 송풍팬(11)을 야채실(5)의 후방에 배치하고 있다. 또한, 냉기 송풍팬(11)의 전방에서 야채실(5)의 후방에는, 단열 칸막이부(5b)가 배치되어 있다. 즉, 냉기 송풍팬(11)의 높이 위치인 냉각기실(10)과 야채실(5)은, 단열 칸막이부(5b)로 단열적으로 구획되어 있다. 따라서, 냉각기실(10)의 저온도에 의한 영향이 야채실(5)에 미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냉장고 본체(1H)의 배면 하부에는, 배면 측으로부터 냉동실(6) 측에 기계실(13)이 형성되어 있다. 이 기계실(13)에는, 압축기(14)가 설치되어 있다. 냉각기(12)에 부착된 성에는 제상 히터(15)에 의해 녹아서, 드레인 파이프(16)에 의해 기계실(13)로 유도되어 배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냉기 송풍팬(11)으로서, 냉장실 송풍팬(11a), 냉동실 송풍팬(11b)의 두개를 구비하고 있다. 냉장실 송풍팬(11a)을 구동하면, 냉장실 냉기 송풍 덕트(18R)를 냉기가 통과하여, 냉장실(3), 칠드실(4), 야채실(5)을 냉각한다. 냉동실 송풍팬(11b)을 구동하면, 냉동실 냉기 송풍 덕트(18F)를 냉기가 통과하여, 냉동실(6)을 냉각한다.
<야채실(5)의 구성>
다음으로, 도 4, 도 5를 참조하여, 야채실(5)의 구체적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냉장고의 야채실 주변의 종단면도이다.
야채실(5)에는, 수납 용기인 야채실 용기(50)가 설치되어 있다. 야채실(5)은, 이하의 공간에서 구획되어, 야채실(5)에 야채실 용기(50)가 배치된다. 즉, 도어 포켓(8)이 배설되어 있지 않은 냉장실 문(2a, 2b)의 후면과, 칸막이 벽(5a)의 상면과, 칠드실(4)과의 칸막이부(4c, 4d)의 하면과, 단열 칸막이부(5b)와, 야채실(5) 내의 좌우의 저장실 측벽(5c)(도 10 참조)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야채실(5)로 하고 있다.
야채실 용기(50)는, 후술하는 베이스(60)에 재치되어서 유지된다. 사용자는, 베이스(60)의 손잡이부(51)를 잡고, 베이스(60)와 함께 야채실 용기(50)를 인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대로, 냉장실(3)과 칠드실(4)의 칸막이를 겸한 선반(3b)은, 냉장실 문(2a, 2b)을 닫은 상태에 있어서, 칠드실(4) 전방의 도어 포켓(8)을 향해 가까워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칠드실(4)과 야채실(5) 사이에는, 칠드실 용기(4a)의 하방에서 칠드실(4)의 저면인 칸막이부(4c)와, 칸막이부(4c)의 전방 단부로부터 후술하는 야채실 용기(50)의 전방 상부까지 성형된 칸막이부(4d)가 연속해서 설치되어 있다. 즉, 야채실(5) 및 야채실 용기(50)는, 상방의 칠드실(4) 및 칠드 용기(4a)보다 돌출한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
냉장실(3) 내의 냉기는, 선반(3d)과 도어 포켓(8)에 의해, 칠드실 용기(4a) 내에 유입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칸막이부(4d)와 도어 포켓(8)의 저면에 의해, 야채실 용기(50)에 냉기가 유입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즉, 다른 실내의 냉기가 칠드실 용기(4a)나 야채실 용기(50) 내에 들어가기 어렵게 함으로써, 실온의 저하나 상승을 방지할 수 있고, 온도를 적절히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칠드실(4)로는, 전환 레버(4b)의 설정에 의해, 냉장실 냉기 송풍 덕트(18R)의 일부에 설치한 토출구로부터 직접 냉기가 유입한다.
냉장실(3) 및 칠드실(4)에 배출된 냉기는, 칠드실 용기(4a)의 저면과, 칸막이부(4c, 4d) 상면 사이를 통과하여, 칠드실(4) 및 야채실(5) 후부의 냉장실 냉기 귀환 덕트(17R)로부터 냉각기실(10)로 돌아온다.
야채실(5)은, 칠드실 용기(4a)의 저면과, 칸막이부(4c, 4d) 상면 사이를 통과하는 귀환 냉기에 의해, 상부로부터 간접적으로 냉각되는 구성이다.
<야채실 용기(50)(수납 용기)와 베이스(60)의 구성>
다음으로, 도 6a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야채실 용기(50)(수납 용기)와 베이스(60)의 형상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냉장고의 수납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수납 용기의 우측면도이다. 도 6c는, 도 6a의 수납 용기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냉장고의 베이스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냉장고의 베이스에 수납 용기를 재치한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과 상이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베이스에 수납 용기를 재치한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수납 용기(50)는, 베이스(60)의 손잡이부(51)를 따르도록 손잡이용의 오목부(50b)가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수납 용기(50a)를 베이스(60)에 재치했을 경우에, 오목부(50b)와 손잡이부(51) 측의 볼록부(60b)가 끼워맞춰지므로, 수납 용기(50)의 재치 위치가 정해지고, 오목부(50b)는 수납 용기(50)의 위치 결정 수단으로서도 작용하게 된다. 이렇게, 베이스(60)에 손잡이부(51)를 구비함으로써, 수납 용기(50)의 좌우 전후의 이동이 억제되어서, 수납 용기(50)의 안정 유지가 가능해진다.
또한,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 용기(50)의 오목부(50b)의 상면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클로(claw)부(50C)가 좌우로 한쌍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60)의 볼록부(60b)의 상면에는, 오목한 형상의 걸림부(60C)가 좌우에 한쌍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수납 용기(50)의 클로부(50C)가, 베이스(60)의 걸림부(60C)에 걸림으로써, 수납 용기(50)의 베이스(60)에 대한 위치가 규제되어서, 베이스(60)의 조작에 따라 수납 용기(50)도 일체로 동작한다.
또한, 도 6c에 나타내는 대로, 수납 용기(50)의 저면에는 볼록부(52)가 설치되어, 요철 형상을 갖는다. 이에 따라, 수납 용기(50)가 베이스(60) 위에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이 볼록부(52)가 수납 용기(50) 저면과 베이스(60) 상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 공간에 공기 단열층이 형성됨으로써, 수납 용기(50) 내의 단열 효과를 높여, 수납 용기(50)와 베이스(60)가 서로 열을 전달하기 어렵게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야채실(4) 내의 안정된 보냉 특성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의 수납 용기(50)는, 가로 폭 치수(A)가 안쪽 폭 치수(B)보다 큰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다종류의 저장물이 저장되는 수납 용기에 있어서는, 안쪽보다 가로 폭이 긴 쪽이, 안쪽까지의 시인성이 향상하므로 편리성이 향상한다. 또한,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야채실(5) 후방의 공간을 유효 활용할 수 있고,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야채실(5)의 후방 공간에 냉기 송풍팬(11)을 배치하고, 또한 야채실(5)과 냉기 송풍팬(11) 사이에 단열 칸막이부(5b)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단열 칸막이부(5b)의 단열 두께를 크게 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각기실(10)로부터의 야채실(5)로의 열영향을 저감할 수 있어, 야채실(5)의 온도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베이스(60)의 구성, 특히 형상과 소재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7, 도 8에 있어서, 베이스(60)는, 글래스 소재로 형성된 글래스 부재(61)와, 수지 소재(예를 들면, 폴리아세탈)로 형성되어 글래스 부재(61) 단부를 둘러싸도록 조합된 수지 부재(62)로 구성되어 있다.
수지 부재(62)는, 글래스 부재(61) 단부 상면의 소정 폭을 덮도록 고리 형상으로 배치된 유지부(63)와, 유지부(63)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져서 수납 용기(50)의 전후 좌우의 이동을 억제하는 측벽(64)과, 측벽(64) 외측의 전후 방향에 설치되어서 냉장고 본체(1H) 측에 설치된 레일(70)(상세한 것은 후술) 내를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부(65)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부(65)는, 측벽(64)보다 냉장고(1)의 측벽(5c)의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8, 도 10 참조).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대로, 베이스(60)는, 수지 부재(62)의 유지부(63)와 슬라이드부(65)의 단부로 상하에 끼우도록 글래스 부재(61)의 단부가 덮여, 유지부(63)와 함께 수납 용기(50a)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수지 부재(62)의 양측 후단(슬라이드부(65)의 후방)에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체인 베이스측 롤러(가동 롤러)(67)를 갖고 있다. 한편, 이 이동체(67)는 롤러에 한하지 않고, 슬라이더(도 14의 베이스측 슬라이더(67a) 참조)여도 된다.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야채실 용기(50)는, 가로 폭 치수(A)가 안쪽 폭 치수(B)보다 큰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야채실 용기(50)의 치수 비율에 맞추도록, 베이스(60)에 대해서도 가로 폭 치수(C)가 안쪽 치수(D)보다 큰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치수 비율로 할 경우, 베이스(60)의 양단에 설치된 슬라이드부(65)와 냉장고 본체(1H) 측의 레일(70)을 접촉시켰을 때에, 베이스(60) 중앙을 향해 휨력이 생긴다. 이때, 베이스(60)의 중앙 근방을 포함하는 일부를 수지에 비해서 굽힘 강성이 높은 글래스 소재로 형성함으로써, 이 휨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베이스(60)의 프레임의 소재를 수지로 형성하고, 그 저면의 일부를 글래스 소재로 함으로써, 수지나 금속으로 성형한 베이스와 비교하여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베이스(60)를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하중 부하가 큰 수납 용기(50)에 있어서, 수지로만 성형했을 경우에는, 토대가 휨에 의해 변형할 우려가 있었지만, 이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글래스 소재는 수지나 금속과 비교해서 염가이므로, 제조 코스트를 내릴 수 있다.
더불어서, 본 실시예와 같은 바텀 프리저(bottom freezer) 타입의 냉장고에 있어서, 야채실의 배면에는 냉기 송풍팬이 배치되고, 베이스(60)에 글래스재보다 연질의 수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팬의 소음이나 모터에 의한 진동을 흡수할 수 있어, 정음(靜音) 효과나 방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60)가 냉장고(1)의 구조물(수납 용기(50), 레일(70) 등)과 접하는 부분을 수지 부재(62)로 구성하고, 그 외의 부분을 글래스 부재(61)로 구성함으로써 글래스 부재(61)가 직접 그 외의 구조물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글래스 부재(61)의 파손을 방지하여 베이스(60) 그 자체의 강도가 확보되어서, 인출식의 수납 용기(50)의 대형화가 도모된다.
또한, 글래스 부재(61)는 가시광선에 대하여 투명한 소재여도 되고, 반투명, 불투명한 소재여도 된다.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를 이용한 경우에는, 수납 용기(50a)의 공간을 구획하는 저면이 투과해서 시인 가능해지기 때문에, 사용자에 대하여 용기 공간을 크게 보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수지 부재(62)의 유지부(63)와 레일부(65)의 단부로 상하에 끼우도록 글래스 부재(61)의 외(外)프레임이 덮이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대로, 베이스(60)로부터 유지부(63)를 삭제하고, 글래스 부재(61)를 레일부(65)의 단부에 재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글래스 부재(61)는 수지 부재(62)에 재치되어 있을 뿐이므로,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글래스 부재(61)를 분리해서 통째로 세척할 수 있으므로, 청소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청소할 때, 베이스(60)를 수지 부재(62)와 글래스 부재(61)로 나누어서 운반 가능해지므로,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베이스(60)에 쥬스나 국물 등의 액상물이 부착된 경우에도, 글래스 부재(61)가 액상물의 성분에 의해 열화하기 어렵기 때문에, 장기간, 베이스(60)의 강도 저하에 의한 휨 및 변형하기 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납 용기(50)에 수용물이 많이 수용되어서 베이스(60)에 큰 하중이 가해져도, 원활한 인출 조작이 가능하다.
<레일의 구성>
다음으로 도 10, 도 11a, 도 11b를 이용하여, 레일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냉장고의 레일 주변의 정면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냉장고의 수납 용기를 인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냉장고의 수납 용기를 넣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슬라이드부(65)는, 후술하는 제 1 지지체인 저장실측 롤러(71)(고정 롤러)를 받치는, 대략 コ자 형상의 받침부(66)를 갖고 있다. 한편, 저장실 측벽(5c) 하부에는, 레일(70)이 설치되어 있고, 베이스(60)의 슬라이드부(65)에 부착된 가동 롤러(67)를 안내한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베이스(60)의 후방 양 측면에 고착된 베이스측 롤러(67)(가동 롤러)가, 야채실 용기(50)의 출입에 수반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전 이동한다.
레일(70)의 전방의 단부에는, 저장실측 롤러(71)(고정 롤러)가 고정되어 있고, 슬라이드부(65)의 하면인 받침부(66)를 전후로 회전 이동시킨다. 한편, 베이스(60)의 후방 양 측면에는, 베이스측 롤러(67)(가동 롤러)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동 롤러(67)는, 레일(70)의 저면을 도 10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로 회전 이동한다. 이에 의해, 베이스(60)를 인출 가능하게 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베이스(60)에 손잡이부(60a)를 설치하고, 그 손잡이부(60a)의 적어도 일부의 높이 위치와, 제 1 지지체(71)(저장실측 롤러(고정 롤러))와, 레일(70)과, 이동체(67)(베이스측 롤러(가동 롤러))의 각각의 슬라이딩부의 높이 위치가, 베이스(60) 저면의 높이 위치와 근접 또는 같아지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야채실 용기(50)를 수평 방향으로 인출하는 힘을 야채실 용기(50)의 슬라이딩부에 직접 전달할 수 있어, 작은 힘으로 야채실 용기(50)를 인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60)의 슬라이드부(65)에 대향하는 레일(70)은, 냉장고(1)의 좌우 방향에 대하여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야채실(5)의 측벽(5c)의 전후 방향에 오목 형상의 레일(70)을 형성하고, 이 안에 베이스(60)의 슬라이드부(65)가 위치하는 구성으로 했다. 따라서, 야채실 용기(50)와, 야채실(5)의 좌우 양 측벽(5c)의 극간(클리어런스)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를 작게 할 수 있고, 수납 용기(50)의 용적을 확대할 수 있다.
<냉장실 문의 구성>
다음으로, 야채실 용기(50)를 인출했을 때의, 야채실 용기(50)와 냉장실 문(2a, 2b)의 관계를, 도 12, 도 13a, 도 13b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것이며, (a)는 냉장실 문을 힌지와 반대의 측부에서 본 사시도이며, (b)는 냉장실 문을 힌지 측의 측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것이며, 냉장실 문을 90도 연 상태에서 야채실의 수납 용기를 인출한 상태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3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것이며, 냉장실 문을 90도 연 상태에서 야채실의 수납 용기를 넣은 상태의 전방 사시도이다.
냉장실 문(2b)의 저장실 측에 위치하는 후면에는, 음료수나 작은 물건을 수용할 수 있는 도어 포켓(8)을 갖는다. 또한, 냉장실 문(2b)의 후면에는, 저장실 측으로 돌출해서 돌출부(101, 102)를 후면의 좌우에 설치하고 있다. 돌출부(101, 102)는 도어 라이너로서 기능해서, 돌출부(101, 102)에 설치한 도시하지 않은 걸림부에 도어 포켓(8)이 걸림으로써, 도어 포켓(8)의 위치가 규정된다.
한편, 돌출부(101)가, 냉장실 문(2b)을 개방했을 때에 앞쪽으로 회동해 오는 측의 상하 방향에 설치되어 있고, 돌출부(102)가, 힌지부(104) 측의 상하 방향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1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어도 인출되는 야채실 용기(50)에 대향하는 위치의 문 배면 부분(103)의 높이 위치에는, 돌출부(102)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또한, 도어 포켓(8)의 위치는, 문 배면 부분(103)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야채실 용기(50)를 인출할 때에, 도어 포켓(8)이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냉장실 문(2a)에 대해서도, 냉장실 문(2b)과 마찬가지로, 문 배면 부분(103)의 높이 위치에는 돌출부(102) 및 도어 포켓(8)을 설치하지 않은 구성으로 한다.
야채실 용기(50)에 대향하는 문 배면 부분(103)에 돌출부(102)를 설치하지 않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도 13a, 도 13b에 나타내는 대로, 냉장실 문(2a, 2b)을 90도 연 상태에 있어서, 야채실 용기(50)의 전방에 접촉하는 것이 없어, 야채실 용기(50)의 인출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냉장고(1)의 투영 면적을 초과하는 범위에까지 냉장실 문(2a, 2b)을 열지 않더라도(냉장실 문(2a, 2b)을 냉장고 본체(1H)의 가로 치수를 초과해서 열지 않은 상태이더라도), 야채실 용기(50)를 인출할 수 있다.
또한, 힌지부(104) 측의 문 배면 부분(103)의 위치에 돌출부(102)를 설치하지 않은 구성으로 했지만, 돌출부(101) 측도 마찬가지로, 야채실 용기(50)에 대향하는 위치에 돌출부(101)를 설치하지 않은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에 따라, 야채실 용기(50)를 인출할 때에 돌출부(101)의 간섭이 없어지므로, 보다 앞쪽으로 야채실 용기(50)를 인출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대로, 냉장실 문(2a, 2b) 배면의 돌출부(101, 102)에 부분적으로 볼록부를 설치하지 않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냉장실 문(2a, 2b)의 좌우에 벽이나 가구 등의 장해물이 있었던 경우에도 냉장실 문(2a, 2b)의 개방 동작이 가능하며, 사용자 각각의 거주 환경의 레이아웃에 따른 배치가 가능해진다. 또한, 냉장실 문(2a, 2b)을 크게 열 필요가 없으므로, 냉기가 새기 어려워, 에너지 절약 효과가 있다.
또한, 힌지부(104) 측의 문 배면 부분(103)의 위치에 돌출부(102)를 설치하지 않은 구성의 경우는, 야채실 용기(50)를 인출할 때에, 힌지부(104)와 반대 측의 돌출부(101)가 스토퍼의 역할을 하여, 야채실 용기(50)가 전방으로 지나치게 나오지 않도록 멈출 수 있다. 따라서, 불시에 야채실 용기(50)를 지나치게 인출함으로써, 야채실 용기(50)가 낙하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야채실 용기(50)를 인출했을 경우에, 적어도 인출되는 야채실 용기(50)에 대향하는 위치의 문 배면에는, 부분적으로 볼록부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부분적으로 볼록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야채실 용기(50)에 간섭하지 않는 높이의 볼록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야채실 용기(50)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인출식의 수납 용기(50)라면, 그에 대향하는 위치의 문 배면에, 볼록부를 부분적으로 구비하지 않는, 또는 수납 용기(50)에 간섭하지 않는 높이의 볼록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한편, 냉장실 문(2a)에 관하여는 설명을 생략했지만, 냉장실 문(2b)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냉장실 문(2a, 2b)을 90도 여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야채실 용기(50)를 인출하기 위한 손잡이부(51)에 손이 잡히는 정도로 냉장실 문(2a, 2b)을 연 상태(예를 들면, 30도 정도)이더라도, 냉장실 문(2a, 2b) 배면 측에 설치된 도어 라이너 등의 볼록부와 간섭하지 않도록, 야채실 용기(50)를 인출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냉장실 문(2a, 2b) 후방의 가장 하부에 위치하는 야채실 용기(50)에 대향하는 부분의 힌지부(104) 측에, 돌출부(102)를 구비하지 않는, 또는 야채실 용기(50)에 간섭하지 않는 높이의 돌출부(102)를 설치하는 구성을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양쪽 열림식(프렌치도어) 또는 한쪽 열림식(싱글 도어) 문에 있어서, 인출 구조를 갖는 수납 용기(50)를 설치한 구성이라면, 그 수납 용기(50)의 위치에 대향해서 볼록부를 설치하지 않는, 또는 수납 용기(50)에 간섭하지 않는 높이의 볼록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또한, 수납 용기(50)에 간섭하지 않는 정도의 오목부나 노치를 설치해도 된다.
(실시예 2)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하여, 도 14 내지 도 19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것이며, (a)는 수납 용기를 야채실에 수납한 상태, (b)는 수납 용기를 인출하는 과도 상태, (c)는 수납 용기를 인출한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제 2 지지부의 위치를 설명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수납 용기를 제거한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베이스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제 2 지지부를 설명하는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제 1 지지부의 부착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실시예 1과 상이한 점은, 베이스측 롤러(67)를 슬라이더(이동체(67a))로 한 점이다. 또한, 제 1 지지체(71)보다 전방에 제 2 지지체(72)를 설치한 점이다. 한편,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해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에 있어서, 베이스(6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글래스 부재(61)와 수지 부재(62)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베이스(60)의 저면은 글래스 부재(61)로 강성이 있으며, 수지와 같이 휘지 않는다. 그리고, 베이스(60)의 손잡이부(51)를 잡고 전방향의 힘을 가하면, 베이스(60)와 함께 수납 용기(50)가 인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수납 용기(50a)는 합성 수지로 일체 성형되어, 가로 폭 치수(A)가 안쪽 치수(B)보다 큰 구성으로 되어 있다(도 6c 참조). 이 때문에, 수납 용기(50) 내에 야채 등의 수납물을 대량으로 넣으면, 수납 용기(50) 저부는 폭방향에서 40~50㎜ 하방으로 휜다. 이 휨을 서포트하는 것이, 베이스(60) 측의 글래스 부재(61)이다. 즉, 글래스 부재(61)는 휜 상태의 수납 용기(50) 저부를 지지함으로써, 수납 용기(50)가 40~50㎜ 외측으로 휘는 것을 5㎜ 이하(글래스 부재(61)의 휨량에 상당)로 억제하고 있다.
이동체(67a)(베이스측 슬라이더)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방으로 돌출하는 원호 형상이다. 또한, 제 2 지지체(72)(저장실측 슬라이더)는, 제 1 지지체(71)(고정 롤러)와 마찬가지로, 야채실 용기(50) 및 베이스(60)를 야채실(5) 밖으로 인출할 때에,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앞이 처지는 것을 방지한다. 제 2 지지체(72)의 상단 위치는, 제 1 지지체(71)와 거의 동일하다.
또한, 제 2 지지체(72)를 설치하는 위치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칸막이 벽(5a)(저장실의 저벽) 위이며, 제 1 지지체(71)보다 전방, 또한 저장실 개구 가장자리(73)에 가까운 전방 쪽으로 한다(예를 들면, 저장실 개구 가장자리(73)로부터 20~40㎜ 후방). 제 2 지지체(72)를 설치하는 칸막이 벽(5a) 내에는 발포 단열재가 충전되어 있고, 제 2 지지체(72)의 칸막이 벽(5a)에 대한 부착 강도를 확보하고 있다. 즉, 제 2 지지체(72) 및 제 1 지지체(71)에 야채실 용기(50) 및 수납물의 하중이 가해졌을 때, 제 2 지지체(72) 및 제 1 지지체(71)의 위치에 있어서의 높이가 변화하지 않도록 강도를 확보시켜 둔다.
<야채실 용기(50)의 인출 동작>
다음으로, 야채실(5)로부터 야채실 용기(50)를, 인출할 때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도 14의 (a)에 있어서, 수납 용기(50) 내에는 약 20~40kg의 야채 등을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수납 용기(50)와 베이스(60)는, 수납 용기(50) 측으로 돌출하는 베이스(60) 측의 볼록부(60b)(도 7 참조)가 수납 용기(50) 측의 오목부(50b)(도 6c 참조)에 착탈 가능하게 걸어맞춰짐으로써, 일체화하도록 조합시켜져 있다.
또한, 손잡이부(51)는 사용자의 손이 잡히는 범위에서, 베이스(60)의 하면 쪽에 설치한다. 즉, 베이스(60)에 손잡이부(51)의 적어도 일부와, 야채실(5) 측의 제 1 지지체(71)(고정 롤러) 및 레일(70), 베이스(60) 측의 이동체(67a)(베이스측 슬라이더)를, 베이스(60) 저면의 높이 위치와 근접 또는 같아지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수납 용기(50)의 수납 용적을 확대할 수 있음과 함께, 인출력이 슬라이딩부에 효율적으로 전해져서, 인출에 필요한 힘을 경감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의 (b), 도 15에 있어서, 제 2 지지체(72)(저장실측 슬라이더)는 칸막이 벽(5a)의 저장실 개구 가장자리(73) 쪽(일례로서, 저장실 개구 가장자리(73)로부터 20~40㎜)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제 2 지지체(72)는, 야채실 용기(50)가 야채실(5)의 후방에 수납된 상태(도 14의 (a)의 상태 )에서는 야채실 용기(50)에 접촉하지 않고, 야채실 용기(50)가 전방으로 소정 거리 인출되고 나서 베이스(60)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야채실 용기(50)가 인출된 상태에서도 수평으로 유지하도록, 야채실 용기(50)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한다.
다음으로, 도 14의 (c)에 있어서, 도 14의 (b)의 상태로부터 야채실 용기(50)를 가장 전방까지 인출하면, 야채실 용기(50)는 레일(70)보다 앞쪽에 대부분이 위치하고, 베이스(60) 측의 슬라이드부(65)의 후부(後部)만이 레일(70) 내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는, 야채실 용기(50) 전단에 하향의 하중(F1)이 가해져, 제 2 지지체(72)(저장실측 슬라이더)를 지지점으로 하여, 레일(70)과 베이스(60) 측의 이동체(67a)(베이스측 슬라이더)의 접촉점(P)에서 상향의 힘이 작용한다. 한편, 제 2 지지체(72)가 지지점이 되는 이유는, 레일(70) 내에 이동체(67a)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약간의 극간이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종래의 일반적인 냉장고의 경우, 제 1 지지체(71)가 지지점이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지지체(72)를 제 1 지지체(71)보다 전방에 설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동체(67a)와 레일(70)의 접촉부(P부)로부터, 제 2 지지체(72)와 베이스(60)의 접촉부까지의 거리(L1), P부로부터 제 1 지지체(71)와 베이스(60)의 접촉부까지의 거리(L2)로 했을 경우, 작용점(P)에 걸리는 힘은, L2/L1분 작게 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제 1 지지체(71), 이동체(67a), 레일(70)의 강도를 필요 이상으로 올릴 필요성을 경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칸막이 벽(5a)의 저장실 개구 가장자리(73) 가까이에 설치한 제 2 지지체(72)로 베이스(60) 저면을 지지함으로써, 야채실 용기(50)의 앞 처짐 방지를 보조하고 있다.
<제 1 지지체(71)와 레일(70)의 구성>
다음으로, 도 16, 도 17, 도 18, 도 19에 있어서, 제 1 지지체(71)(고정 롤러)와 레일(70)의 관계, 및 제 1 지지체(71)의 부착, 분리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6에 있어서, 제 1 지지체(71)(고정 롤러)는, 저장실 측벽(5c)에 설치한 레일(70) 전단의 개방부(70a) 부근에 설치되어 있다.
도 17, 도 18에 있어서, 74는 슬라이드부(65)의 전방 하면에 설치한 경사부이다. 경사부(74)는, 후방 측이 낮아지는 경사를 갖고 있다. 야채실 용기(50)를 도 14의 (b) 또는 도 14의 (c)의 상태로부터 도 14의 (a)의 상태로 수납할 때, 고정 롤러(71) 위에 위치하는 경사부(74)를 맞춰넣기부로서 기능시킨다. 즉, 경사부(74)와 고정 롤러(71) 위의 접점 위치에서, 야채실 용기(50)의 자중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서, 자동적으로 폐(閉)동작시키는 클로저의 기능을 한다. 이에 따라, 야채실 용기(50)가 수납 도중에 멈추지 않도록 수납 동작을 보조하고 있다.
다음으로, 75는 칸막이 벽(5a)에 설치된 오목부이다. 이 오목부(75)는, 저장실 측벽(5c)에 설치한 고정 롤러(71)의 직경의 약 1/2이 상하 방향에서 칸막이 벽(5a) 내에 위치하는 깊이로 형성하고 있다. 고정 롤러(71)의 직경의 전체가 칸막이 벽(5a)의 상방에 위치하는 구성인 경우, 그 치수만큼, 야채실 용기(50)의 저면 위치가 상방으로 되어, 야채실 용기(50)의 수납 용적이 감소하게 된다. 그래서, 적어도 고정 롤러(71)가 베이스(60)의 저면에 접하는 상단 부분이, 칸막이 벽(5a)의 상방에 노출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고정 롤러(71)가 베이스(60)와 접촉해서 전후의 이동을 보조함과 함께, 야채실 용기(50)의 저면 위치를 보다 하방으로 할 수 있어, 수납 용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9에 있어서, 고정 롤러(71)의 탈착에 관하여 설명한다. 야채실(5)의 측벽에 고정된 고정 롤러(71)의 부착, 분리는, 야채실 용기(50)를 야채실(5)로부터 분리하거나, 또는 야채실 용기(50)를 고정 롤러(71)보다 후방(냉각기실(10) 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행한다. 고정 롤러(71)는, 나사(76)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저장실 측벽(5c)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고정 롤러(71)는, 직경의 1/2정도가 상하 방향에서 칸막이 벽(5a) 내에 위치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이 구성상, 도 19에 나타내는 공구(예를 들면, 드라이버(77))로 나사(76)를 돌리는 작업이 곤란해진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오목부(75)를 이용하여 공구에 의한 조작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즉, 오목부(75)는 고정 롤러(71)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에 더하여, 고정 롤러(71)를 저장실 측벽(5c)에 고정하는 나사(76) 등의 체결 수단의 탈착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오목부(75)를 형성함으로써 공구(77)를 도 19와 같이 칸막이 벽(5a)을 따르도록 옆으로 기울여도, 공구의 선단이 나사(76)에 닿아, 돌릴 수 있다.
오목부(75)는, 칸막이 벽(5a)의 폭방향(좌우 방향)으로 확대해서 형성되고, 저장실 측벽(5c)으로부터 소정 거리의 위치에 점차 높아지는 경사면(75a)을 갖고 있다. 이 경사면(75a)은, 공구(77)의 손잡이 부분을 수평 방향으로부터 소정 각도 위로 기울인 상태에서, 나사(76) 두부(頭部)의 나사 구멍에 공구(77) 선단을 삽입해서 조작 가능한 만큼의 충분한 각도로 형성한다. 힌편, 오목부(75) 위에는 항상 야채실 용기(50)가 위치하고 있으므로, 사용자로부터 시인되기 어려워, 외관 의장성을 손상시킬 일이 없다.
본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을 갖는 것이기 때문에, 다음의 효과가 얻어진다.
우선, 냉장고 본체(1)에 형성된 저장실(3)과, 저장실(3)을 개폐하는 문(2a, 2b)과, 저장실(3) 내에 배치된 수납 용기(50)와, 수납 용기(50)를 재치하는 베이스(60)와, 베이스(60)의 전부의 손잡이부(51)와, 저장실(3) 내면에 설치된 레일(70)과, 베이스(60)의 후부에 설치되어서 레일(70) 위를 이동하는 이동체(67a(67))와, 저장실(3) 내의 하부 전방에 설치되어서 베이스(6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지지체(71)를 구비하고, 제 1 지지체(71), 레일(70), 및 이동체(67a(67))의 각각의 슬라이딩부의 높이 위치와, 손잡이부(51)의 적어도 일부의 높이 위치가, 베이스(60) 저면의 높이 위치와 근접 또는 같아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수납 용기 치수를 확대할 수 있고, 수납 용기의 인출시는, 슬라이딩부와 손잡이부가 대략 동일선상에 위치해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힘이 슬라이딩부에 직접 전해지기 쉬워, 작은 힘으로 수납 용기의 인출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1 지지체(71)보다 전방에 설치된 제 2 지지체(72)를 구비하고, 제 2 지지체(72)는, 이동체(67)가 레일(70)의 후단 측에 위치할 경우, 베이스(60)의 전단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손잡이부(51)가 조작되어서 이동체(67)가 레일(70)의 후단 측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거리 이동했을 경우, 베이스(60)를 지지함으로써 수납 용기(50)는 전부와 후부의 높이 위치가 변화하지 않도록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수납 용기(50)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그 대부분이 레일(70)보다 전방에 위치한 경우에도, 제 2 지지체(72)가 베이스(60)를 지지함으로써 수납 용기(50)가 전방으로 기우는 것을 경감하여, 원활한 인출 조작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60)는, 글래스 부재(61)와, 글래스 부재(61)의 단부의 수지 부재(62)로 구성되어서, 이동체(67a)는 수지 부재(62)에 형성되고, 제 1 지지체(71) 및 제 2 지지체(72)는 수지 부재(62)를 지지한다.
이에 따라, 수납 용기가 수지 성형품이어도, 저부에는 강성이 있는 베이스가 있음으로써, 휨이 경감된다.
또한 이동체(67a(67))는 롤러 또는 슬라이더이며, 제 1 지지체(71)는 롤러이다. 이에 따라, 수납 용기의 슬라이드 이동이 원활해진다.
또한, 제 2 지지체(72)는 슬라이더이며, 내부에 발포 단열재를 갖는 저장실(3)의 저벽(칸막이 벽(5a))에 설치한다.
이에 따라, 제 2 지지체(72)에 작용하는 하중을 저장실(3)의 저벽에 분산함으로써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저장실 측벽(5c)과 인접하는 저벽(칸막이 벽(5a))은 좌우 방향으로 소정 폭을 갖는 오목부(75)가 형성되고, 오목부(75)의 저장실 측벽(5c) 쪽에 제 1 지지체(71)를 구성하는 롤러가 배치되며, 롤러의 높이 치수의 반분(半分)이 오목부(75)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베이스(60)와 칸막이 벽(5a)간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음과 함께, 특별한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제 1 지지체(71)의 탈착이 용이해진다.
또한, 수납 용기(50) 측으로 돌출하는 베이스(60)의 손잡이부(51)가, 수납 용기(50) 측의 오목부(50b)에 착탈 가능하게 걸어맞춰진다. 이에 따라, 수납 용기(50)와 베이스(60)를 일체화시키는 특별한 부품을 요하는 일 없이, 손잡이부(51)는 이중 구조가 됨으로써 강도를 향상할 수 있다.
1 냉장고
1H 냉장고 본체
2a, 2b 냉장실 문(회동 문)
3 냉장실(저장실)
4 칠드실
4a 칠드실 용기
3a, 3b 선반
4b 전환 레버
5 야채실
5a 칸막이 벽(냉장실-냉동실 단열 칸막이 벽)
5b 단열 칸막이부(야채실-냉각기실 단열 칸막이 벽)
8 도어 포켓
17R 냉장실 냉기 귀환 덕트
17F 냉동실 냉기 귀환 덕트
18F 냉동실 냉기 송풍 덕트
18R 냉장실 냉기 송풍 덕트
4c, 4d 칸막이부(칠드실-야채실 칸막이부)
5c 저장실 측벽
50 수납 용기(야채실 용기)
50b 오목부
50c 클로부
51 손잡이부
60 베이스
60b 볼록부
60c 걸림부
61 글래스 부재
62 수지 부재
63 유지부
64 측벽
65 슬라이드부
66 받침부
67 이동체(베이스측 롤러, 가동 롤러)
67a 이동체(베이스측 슬라이더)
70 레일
70a 개방부
71 제 1 지지체(저장실측 롤러, 고정 롤러)
72 제 2 지지체(저장실측 제 2 슬라이더)
73 저장실 개구 가장자리
74 경사부
75 오목부
75a 경사면
76 나사
77 공구(드라이버)
101 돌출부(도어 라이너)
102 돌출부(도어 라이너)

Claims (6)

  1. 냉장고 본체에 형성된 저장실과,
    당해 저장실을 개폐하는 문과,
    상기 저장실 내에 배치된 수납 용기와,
    상기 수납 용기를 재치(載置)해서 당해 수납 용기와 함께 이동가능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전부(前部)의 손잡이부와,
    상기 저장실 내면의 하부에 설치된 레일과,
    상기 베이스의 후부(後部)에 설치되어서 상기 레일 위를 이동하는 이동체와,
    상기 저장실 내의 하부 전방에 설치되어서 상기 베이스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지지체, 상기 레일, 및 상기 이동체의 각각의 슬라이딩부의 높이 위치와, 상기 손잡이부의 적어도 일부의 높이 위치가, 상기 베이스 저면의 높이 위치와 근접 또는 같아지도록 하고,
    상기 제 1 지지체보다 전방에 설치된 제 2 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지지체는, 상기 이동체가 상기 레일의 후단 측에 위치할 경우, 상기 베이스의 전단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손잡이부가 조작되어서 상기 이동체가 상기 레일의 후단 측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거리 이동했을 경우, 상기 베이스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수납 용기는 전부와 후부의 높이 위치가 변화하지 않도록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글래스 부재와, 당해 글래스 부재의 단부의 수지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체는 상기 수지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지지체 및 상기 제 2 지지체는 상기 수지 부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롤러 또는 슬라이더이며, 상기 제 1 지지체는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체는 슬라이더이며, 내부에 발포 단열재를 갖는 상기 저장실의 저벽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의 측벽과 인접하는 저벽은 좌우 방향으로 소정 폭을 갖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당해 오목부의 상기 측벽 쪽에 상기 제 1 지지체를 구성하는 상기 롤러가 배치되며, 당해 롤러의 높이 치수의 반분(半分)이 상기 오목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30014790A 2012-09-26 2013-02-12 냉장고 KR1014672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11652 2012-09-26
JP2012211652A JP5783983B2 (ja) 2012-09-26 2012-09-26 冷蔵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604A KR20140040604A (ko) 2014-04-03
KR101467271B1 true KR101467271B1 (ko) 2014-12-01

Family

ID=50311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4790A KR101467271B1 (ko) 2012-09-26 2013-02-12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783983B2 (ko)
KR (1) KR101467271B1 (ko)
CN (1) CN10367345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58442B (zh) * 2014-05-30 2017-08-29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滑轨***及具有该滑轨***的冰箱搁物盒组件和冰箱
JP6554660B2 (ja) * 2015-06-18 2019-08-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蔵庫
CN109556340B (zh) * 2019-01-21 2024-03-12 冰山松洋冷链(大连)股份有限公司 制冷设备及其导轨和具有抽拉式制冷单元的智能制冷货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0336A (ja) * 1997-04-23 1998-11-13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
KR20110005520U (ko) * 2009-11-27 2011-06-02 이영철 서랍의 출입시 레일의 느낌을 갖도록 한 서랍식 수납함
JP2011185463A (ja) * 2010-03-05 2011-09-22 Hitachi Appliances Inc 冷蔵庫
KR20120013904A (ko) * 2010-08-06 2012-02-15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6593U (ko) * 1979-10-08 1981-05-16
JPH10339569A (ja) * 1997-06-03 1998-12-22 Sanyo Electric Co Ltd 冷蔵庫の棚装置
JP3378187B2 (ja) * 1998-01-08 2003-02-17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の引出し扉装置
JP2004257616A (ja) * 2003-02-25 2004-09-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蔵庫
JP2006336976A (ja) * 2005-06-03 2006-12-14 Daiwa Industries Ltd 冷蔵庫
CN101210762A (zh) * 2006-12-27 2008-07-02 泰州乐金电子冷机有限公司 抽屉式电冰箱的滑轨组合件
JP2009036442A (ja) * 2007-08-02 2009-02-19 Hitachi Appliances Inc 冷蔵庫
JP2009121795A (ja) * 2007-11-19 2009-06-04 Toshiba Corp 冷蔵庫
JP5119081B2 (ja) * 2008-08-08 2013-01-16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EP2320180A4 (en) * 2008-08-19 2014-05-14 Panasonic Corp FRIDGE
JP5443721B2 (ja) * 2008-09-16 2014-03-19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0336A (ja) * 1997-04-23 1998-11-13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
KR20110005520U (ko) * 2009-11-27 2011-06-02 이영철 서랍의 출입시 레일의 느낌을 갖도록 한 서랍식 수납함
JP2011185463A (ja) * 2010-03-05 2011-09-22 Hitachi Appliances Inc 冷蔵庫
KR20120013904A (ko) * 2010-08-06 2012-02-15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604A (ko) 2014-04-03
JP2014066419A (ja) 2014-04-17
CN103673458B (zh) 2016-01-27
CN103673458A (zh) 2014-03-26
JP5783983B2 (ja) 2015-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18137A1 (ja) 冷蔵庫
KR101294519B1 (ko) 냉장고
US20090167130A1 (en) A dual drawer bottom mount freezer and mullion
JP5172407B2 (ja) 冷蔵庫
JP5117142B2 (ja) 冷蔵庫
KR101467271B1 (ko) 냉장고
JP5246193B2 (ja) 冷蔵庫
JP2013083365A (ja) 冷蔵庫の収納室
JP5246192B2 (ja) 冷蔵庫
KR101486347B1 (ko) 냉장고
JP2010060187A (ja) 冷蔵庫
CN104677024B (zh) 冰箱
CN103026157B (zh) 冷藏库
KR101641403B1 (ko) 냉장고
JP7390178B2 (ja) 冷蔵庫
JPH10253247A (ja) 冷蔵庫
JP2013057472A (ja) 冷蔵庫
JP2022032329A (ja) 冷蔵庫
JP6039924B2 (ja) 冷蔵庫
JP2009228967A (ja) 冷蔵庫
JP2003166781A (ja) 冷蔵庫
JP6186115B2 (ja) 冷蔵庫
JP7456854B2 (ja) 冷蔵庫
JP2003166775A (ja) 冷蔵庫
JP7430524B2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