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3689B1 - 면상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면상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3689B1
KR101463689B1 KR1020130066994A KR20130066994A KR101463689B1 KR 101463689 B1 KR101463689 B1 KR 101463689B1 KR 1020130066994 A KR1020130066994 A KR 1020130066994A KR 20130066994 A KR20130066994 A KR 20130066994A KR 101463689 B1 KR101463689 B1 KR 101463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nclined surface
incident
illumination device
surfac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6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6354A (ko
Inventor
도루 구니모치
Original Assignee
미네베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네베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네베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06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6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3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3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1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2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by sha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guide, e.g. with collimating, focussing or diverging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박형이면서도 휘도 특성이 우수한 면상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면상 조명 장치(10)에 있어서, 도광판(20)은, 경사면(25)을 포함하여 입광면(21) 측으로부터 출사면(22) 측으로 향하는 만큼 두께가 얇아지도록 설치된 입광쐐기부(31)을 가지고 있다. 이 경사면(25)은, 입광면(21)측으로부터 제1의 경사면부(25a)와 제2의 경사면부(25b), 제3의 경사면부(25c)를 가지고 있고, 제2의 경사면부(25b)의 평균 경사각(θ1, θ3)보다 큰 것으로 인하여, 경사면(25) 및 출사면(22)의 입광쐐기부(31) 근방으로부터의 누광을 저감하고, 조명광의 휘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면상 조명 장치{Spread Illumin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입광(入光) 종단면에 광원을 배치하고 출사부로부터 면상(面狀)의 조명광을 출사하는 도광판을 구비한 사이드 라이트 방식의 면상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패널의 조명 수단으로써, 소형이고 환경 적합성에 뛰어난 LED를 도광판의 측단면을 따라 배치하여 이루어진 사이드 라이트 방식의 면상 조명 장치(백라이트)가, 휴대 전화 등의 소형 휴대정보기기의 분야를 중심으로 널리 채용되고 있다. 요즘에는, 소형 휴대정보기기의 거듭된 박형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LED가 배치된 측단면(이하, 입광면이라고도 한다)으로부터 떨어질 만큼 두께가 점점 줄어드는 입광쐐기부가 입광면과 출사부 사이에 형성된 도광판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도광판을 사용함에 따라, LED의 두께에 의하지 않고 도광판의 출사부를 얇게 할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2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 2007-287550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 2008-170739호 공보
그러나, 액정 표시 장치의 박형화에 대한 요구는 엄격함이 늘어갈 뿐이고,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로써 사용되는 면상 조명 장치에도, 더욱 박형화가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사용하는 LED의 두께 및 입광쐐기부의 도광 방향의 길이를 주어진 조건으로써, 출사부를 박형화하기 위해서는, 입광쐐기부를 구성하는 경사면의 경사각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경사면의 경사각을 크게 하면, 입광쐐기부 및 출사부의 입광쐐기부 근방으로부터의 누광(Leak Light)이 증대하여, 조명광으로써 이용되는 출사부로부터의 출사광의 휘도가 저하하는 동시에, 조명광의 휘도 분포가 열화한다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써, 휘도의 저하 및 휘도 분포의 열화 등을 생기게 하는 일 없이, 출사부를 박형화하는 것이 가능한 면상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발명의 태양(態樣)은, 본 발명의 구성을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구성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항별로 설명하는 것이다. 각 항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가장 좋은 형태를 참작하면서, 각 항의 구성 요소의 일부를 치환 및 삭제하고, 또는, 다른 구성 요소를 더욱 부가한 것에 대해서도, 본원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될 수 있는 것이다.
(1) 광원과, 이 광원이 배치되는 입광면 및 이 입광면으로부터 입사한 빛을 출사시키는 출사면을 가진 도광판을 구비한 면상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경사면을 포함하여 상기 입광면측으로부터 상기 출사면측으로 향하는 만큼 두께가 얇아지도록 설치된 입광쐐기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입광면측으로부터 제1의 경사면부, 제2의 경사면부, 제3의 경사면부를 가지고, 상기 제2의 경사면부의, 상기 입광면의 길이 방향의 임의의 위치에서 상기 입광면 및 상기 출사면에 직교하는 단면 내의 평균 경사각은, 동일한 상기 단면 내의 상기 제1의 경사면부 및 상기 제3의 경사면부의 평균 경사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 조명 장치(청구항 1).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할 연구를 예의 거듭한 결과, 근년 박형화 및 협베젤화(slim bezel)가 진행된 도광판의 입광쐐기부에 있어서, 그 입광면 근처의 영역과 출사면 근처의 영역이, 중앙의 영역보다 누광이 발생할 위험성이 높다는 지견을 얻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새로운 지견에 근거하여 완성된 것이다.
그리고, 본항에 기재된 면상 조명 장치에 의하면, 입광면측으로부터 상기 출사면측으로 향하는 만큼 두께가 얇아지도록 설치된 입광쐐기부의 경사면이, 입광면측으로부터 제1의 경사면부, 제2의 경사면부, 제3의 경사면부를 가지고 있으며, 제2의 경사면부(중앙의 영역)의, 입광면의 길이 방향의 임의의 위치에서 입광면 및 출사면에 직교하는 단면 내의 평균 경사각은, 동일한 단면 내의 제1의 경사면부(입광면 근처의 영역) 및 제3의 경사면부(출사부 근처의 영역)의 평균 경사각보다 큰 것에 따라, 입광쐐기부 중, 누광이 발생할 위험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입광면 근처의 영역 및 출사면 근처의 영역으로부터의 누광을 효과적으로 저감하는 동시에, 출사면의 입광쐐기부 근처의 영역으로부터 출사하는 빛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2) (1)항에 기재된 면상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경사면부와 상기 제2의 경사면부의 연결부, 및 상기 제2의 경사면부와 상기 제3의 경사면부의 연결부가, 곡면으로써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 조명 장치(청구항 2).
본항에 기재된 면상 조명 장치에 의하면, 입광쐐기부의, 입광면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누광 발생 위험성의 변화의 태양에 근거하여 경사면의 형상을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누광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3) (1) 또는 (2)항에 기재된 면상 조명 장치에 의하면, 상기 경사면이, 전체적으로 하나의 연속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 조명 장치(청구항 3).
본항에 기재된 면상 조명 장치에 의하면, 경사면이 전체적으로 하나의 연속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경사면의 경사각은, 임의의 측단면 내에 있어서, 입광면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공간적으로 변동함으로써, 입광쐐기부의, 입광면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누광 발생 위험성의 변화의 태양에 근거하여, 경사면의 형상을 보다 높은 자유도를 가지고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더욱 효과적으로 누광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4) (3)항에 기재된 면상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속 곡면이, 상기 입광면측이 볼록 형상이고 상기 출사면측이 오목 형상의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 조명 장치(청구항 4).
본항에 기재된 면상 조명 장치에 의하면, 박형화 및 협베젤화가 진행된 도광판의 입광쐐기부에 있어서, 그 입광면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누광 발생 위험성의 변화의 전형적인 태양에 대하여, 경사면의 형상을 가장 적절한 형상으로 하고, 더욱 효과적으로 누광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5) (4)항에 기재된 면상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속 곡면은, 측면에서 볼 때 S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의 경사면부 내에 변곡점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 조명 장치(청구항 5).
본항에 기재된 면상 조명 장치에 의하면, 상기 가장 적절한 형상의 경사면을, 용이하면서 효과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6) (1) 또는 (2)항에 기재된 면상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경사면부, 상기 제2의 경사면부, 및 상기 제3의 경사면부 중 적어도 하나가, 복수의 평면으로부터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 조명 장치(청구항 6).
본항에 기재된 면상 조명 장치에 의하면, 입광쐐기부의, 입광면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누광 발생 위험성의 변화의 태양에 근거한 경사면의 형상을 용이하게 형성하고, 효과적으로 누광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7) (1) 내지 (6)항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면상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이, 상기 출사면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 조명 장치(청구항 7).
(8) (1) 내지 (7)항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면상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광면과 상기 입광쐐기부 사이에, 두께가 일정한 평단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 조명 장치(청구항 8).
본 발명에 의하면, 휘도의 저하 및 휘도 분포의 열화 등을 생기게 하는 일 없이, 출사부를 박형화 하는 일이 가능한 면상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면상 조명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b)는, (a)에 나타내는 면상 조명 장치의 특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a), (b), (c)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누광 위험도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경사면에 대한 첫번째 입사광의 광량(光量), 입사 각도, 누광 위험도를, 각각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누광 위험도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하여, 경사면에 입사하는 빛이 광축(光軸)과 이루는 각도와, 일정한 각도 폭에 대응하는 경사면상의 거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b), (c)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누광 위험도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경사면에 대한 두번째 입사광의 광량, 입사 각도, 누광 위험도를, 각각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전체의 누광 위험도의 분포를, 입사쐐기부의 형상과 대응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종래의 면상 조명 장치를, 입사 각도가 다른 복수의 입사광의 광로(光路)와 함께 나타내는 측면도, (b)는, 도 1(a)에 나타내는 면상 조명 장치에 대하여, 입사 각도가 다른 복수의 입사광의 광로와 함께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의사백색(擬似白色) LED의 전형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면상 조명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면상 조명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면상 조명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입면도, (b)는, (a)의 A-A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면상 조명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첨부의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치수 등은,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적당히 과장하여 나타내고 있다. 또한, 첨부의 각 도면에 있어서, 2개의 구성 요소가 공간을 두고 인접하도록 도시되어 있는 경우, 그 공간은,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삽입 또는 과장하여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인접한 구성 요소 간의 공간의 유무, 또는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치수에 따른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인 면상 조명 장치(10)는,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원(光源)으로서의 LED(11)와, LED(11)가 발광한 빛을 면상에 출사시키기 위한 도광판(20)을 구비하고 있다. 도광판(20)은, 투명 재료(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수지)를 사용하여 상면(上面)에서 볼 때 구형상(矩形狀)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외표면에, LED(11)가 배치되는 종단면인 입광면(21)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광판(20)에 있어서, 입광면(21)의 길이 방향(도 1(a)에 있어서, 지면(紙面)에 직교하는 방향)의 이단변(二端面)(21c, 21d) 중 한쪽의 단변(端邊)(21c)에 연접하는 면에는, 출사면(22)과, 후술하는 경사면(25)이 포함되어 있다. 이하, 도광판(20)의 출사면(22)을 포함하는 쪽의 면을 표면(23), 표면(23)에 대향하는 면을 뒷면(24)이라고도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있어서, 입광면(21)으로부터, 입광면(21)과 대향하는 종단면(도시는 생략함)으로 향한 방향(도1(a)의 지면 오른쪽 방향)을 「전방」(그 반대 방향을 「후방」)이라고 한다. 이렇게 정의된 「전방」은, 입광면(21)으로부터 도광판(20)에 입광한 빛이, 전체적으로, 도광판(2) 내를 도광하는 방향에도 있고, 이 의미로, 상기 정의에 따른 전후 방향을 「도광 방향」이라고도 한다.
또한, 뒷면(24)이 표면(23)을 향하는 방향(도1(a)의 지면 상방향)을 「상방」(그 반대 방향을 「하방」으로 정의하고, 이 정의에 따른 상하 방향을 「두께 방향」이라고도 한다. 더욱이,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도1(a)의 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을 (필요한 경우, 전방을 향해 「오른쪽」 및 「왼쪽」을 정의하고) 좌우 방향이라고도 한다. 좌우 방향은, 바꿔 말하면, 입광면(21)의 길이 방향이다. 또한, 특히 명시하여 거절되지 않는 한 「길이」, 「두께」 및 「폭」은, 각각 전후 방향,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치수를 말한다.
도광판(20)은, 입광면(21)측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경사면(25)을 포함한 입광쐐기부(31)와, 출사면(22)을 포함한 출사부(3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도광판(20)의 뒷면(24)은, 입광쐐기부(31)와 출사부(32)를 통해 하나의 평단면이 되도록 형성되고, 한편, 입광쐐기부(31)의 경사면(25)은, 입광면(21)측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로써, 입광쐐기부(31)는, 입광면(21)측으로부터 출사면(22)측을 향하는 만큼 두께가 얇아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출사면(22)은, 입광면(21)에 대략 직교하는 평단면으로써, 경사면(25)의 전방의 단변(26)과 연접하여 형성되고, 뒷면(24)은, 출사면(22)과 대략 평행하게 대향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1(a)와 함께 도 1(b)를 참조하여, 면상 조명 장치(10)의 주요한 특징인 입광쐐기부(31)의 경사면(25)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1(b)는, 도 1(a)에 나타내는 면상 조명 장치(10)의 도광판(20)의 입광쐐기부(31)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또한, 면상 조명 장치(10)에서는, 입광쐐기부(31)의, 입광면(2) 및 출사면(22)에 직교하는 단면(斷面)(도 1(a)에 있어서 지면에 평행한 절단면에 의한 단면)의 단면 형상은, 입광면(21)의 길이 방향의 임의의 위치에서, 도 1(a)에 나타내는 측면 형상과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러한 임의의 단면에 공통된 특징을, 도 1(a), (b)에 나타내는 측면도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입광쐐기부(31)의 경사면(25) 상의 임의의 위치(예를 들면, 위치(P))에 있어서의 경사면(25)의 경사각(θp)은, 위치(P)를 통해 입광면(21) 및 출사면(22)에 직교하는 단면(도 1(a)에 있어서 지면에 평행한 절단면에 따른 단면. 이하, 단순히 측단면이라고도 한다.) 내에 있어서, 위치(P)로부터 입광면(21)측에 출사면(22)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반직선(半直線)(K)과, 위치(P)로부터 입광면(21)측에 경사면(25)에 접하여 연장된 반직선(L)이 이루는 각(바꿔 말하면, 경사면(25)의 위치(P)에 있어서의, 위치(P)를 통하는 측단면 내에서의 상승 기울기에 상당하는 각도)이다.
도광판(20)에서는, 경사면(25)은, 전체적으로 하나의 연속 곡면으로써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경사면(25)의 경사각은, 임의의 측단면 내에 있어서, 전후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공간적으로 변동한다.
다만, 도광판(20)의 경사면(25)은, 그 경사각이,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경사면(25)은, 입광면(21)측으로부터 차례로, 제1의 경사면부(25a)(도 1(a)에 「I」로 나타내는 범위)와, 제2의 경사면부(25b)(도 1(a)에 「Ⅱ」로 나타내는 범위)와, 제3의 경사면부(25c)(도 1(a)에 「Ⅲ」으로 나타내는 범위)를 가지고 있고, 제2의 경사면부(25b)의 평균 경사각(θ2)이, 제1의 경사면부(25a)의 평균 경사각(θ1)보다 크고, 또한, 제3의 경사면부(25c)의 평균 경사각(θ3)보다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경사면(25)의 특정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경사각은, 그 범위 내의 각 위치에 있어서의 경사각을, 그 범위 전체에 걸쳐서 평균하여 얻을 수 있는 각도이다.
더욱이, 도시의 예에서는, 제1 및 제3의 경사면부(25a, 25c)의 평균 경사각(θ1, θ3)은, 경사면(25)의 입광쐐기부(31)의 전장에 걸친 평균 경사각(θ)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b)에는, 제1, 제2, 제3의 경사면부(25a, 25b, 25c)의 각각의 평균 경사각(θ1, θ2, θ3) 및 경사면(25)의 입광쐐기부(31)의 전장(全長)에 걸친 평균 경사각(θ)의 일례가, 각각 평균 경사각(θ1, θ2, θ3, θ)을 경사각으로 하는 가상 평면(35a, 35b, 35c, 36)과 함께 나타나 있다. 도 1(b)에 있어서, 가상 평면(36)은, 종래의 면상 조명 장치에 있어서의 일반적인 입광쐐기부의 경사면 형상에 상당한다.
또한, 도광판(20)에서는, 제1, 제2, 제3의 경사면부(25a, 25b, 25c)를 가진 경사면(25)을, 전체적으로 하나의 연속 곡면으로써 실현하는 것이고, 더욱이, 이 연속 곡면은, 입광면(21)측으로부터 전방으로 향하는 만큼 뒷면(24)측에 가까우면서도, 입광면(21)측이 볼록 형상의 곡면에 형성되고, 출사면(22)측이 오목 형상의 곡면에 형성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도 1(a)에 나타내는 측면 형상(임의의 측단면 형상)에 있어서, 경사면(25)을 나타내는 S자 형상의 곡선은, 제2의 경사면부(25b) 내에 변곡점(A)를 가지고 있고, 제1의 경사면부(25a)와, 제2의 경사면부(25b)의 변곡점(A)으로부터 제1의 경사면부(25a)측이 볼록 형상, 제2의 경사면부(25b)의 변곡점(A)으로부터 제2의 경사면부(25c)측과, 제3의 경사면부(25c)가 오목 형상을 이루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2 ~ 도 6을 참조하여, 면상 조명 장치(10)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입광쐐기부의 경사면이, 도 1(b)에 나타내는 가상 평면(36)과 같은 단일한 경사각(θ)을 가진 경사면으로 구성된 종래의 면상 조명 장치에 있어서, 경사면으로부터 발생하는 누광의 특성의 경사면상의 위치 의존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종래의 면상 조명 장치에 있어서의 경사면에는 부호(36)를 붙여서 참조하고, 그 외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면상 조명 장치(10)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참조한다.
경사면(36)에 입사한 빛 중, 입광쐐기부(31) 및 경사면(36)에 기인하여 출사면(22)의 입광쐐기부(31)의 근방으로부터 누광의 상대적인 양(이하에서는, 이것을 「누광 위험도」 혹은 단순히 「위험도」라고 한다)은, 경사면(36)에 입사하는 빛의 양(광량)과 경사면(36)에 입사할 때의 광축에 대한 각도(본 발명에서는, 이 각도를 「입사 각도」라고 한다)에 다음 식과 같이 의존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광량」 × 「입사각도」 = 「누광 위험도」
여기서, 본 발명에 있어서, 「광축」은, LED(11)의 발광면(11a)의 중심으로부터, 발광면(11a)(따라서, 입광면(21))에 직교하여 연장되는 중심축을 말한다.
누광 위험도가 입사 각도에 의존하는 이유는, 경사면(36)에 있어서 도광판(20) 내부로부터 외부로 투과하는 빛의 투과율이 입사 각도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들 광량과 입사 각도는, LED(11)의 발광면(11a)(도광판(20)의 입광면(21)과 대략 일치)으로부터 광축 방향의 거리에 의존한다.
또한, 최근의 박형화 및 협베젤화가 진행한 도광판(20)에 있어서는, 경사면(36)에 입사하는 빛에는, 주로 입광면(21)으로부터 도광판(20) 내에 입사한 후에 처음으로 경사면(36)에 입사하는 빛(이하, 「첫번째 입사광」이라고 한다)과, 첫번째 입사광이 경사면(36), 이어서 뒷면(24)에서 반사하여 다시 경사면(36)에 입사하는 빛(이하, 「두번째 입사광」이라고 한다)이 있다. 다만, 첫번째 입사광에는, 입광면(21)으로부터 도광판(20) 내에 입사한 후에 뒷면(24)에서 반사하여 경사면(36)에 처음으로 입사하는 빛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2회 이상 뒷면(24)에서 반사한 후에 다시 경사면(36)에 입사하는 빛도 존재하지만, 첫번째 입사광이나 두번째 입사광에 비해 광량이 적고, 누광에 점하는 비율은 적다.
여기서, 도 2(a), (b), (c)는, 첫번째 입사광에 대하여, 각각 경사면(36)에 입사하는 빛의 광량, 입사 각도, 위험도의 분포를, LED(11)로부터의 광축 방향의 거리에 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2(a), (b), (c)는, 위험도의 특징을 알기 쉽게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우선, 광량에 대하여 검토한다. LED(11)로부터 전체적으로 방사상으로 출사되어 도광판(20) 내에 입사한 빛의 배향 분포는, 광축 방향이 최대의 광량이 되고, 광축과 이루는 각도가 커지는 만큼 광량이 저하하는 분포가 된다. 다만, LED(11)의 발광면(11a)의 중심을 기점으로 한 단위 각도에 대응하는 경사면(36)의 폭(광축 방향의 폭(D)에 상당)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선이 광축 방향으로 향하는 만큼 길어지고, 광축과 이루는 각도가 커지는 만큼 짧아진다(D1<D2<D3). 따라서, 경사면(36)에 입사하는 단위 거리(단위 면적)상당의 광량은,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광면(21)에 가까운 영역에 있어서는 LED(11)로부터의 거리가 커짐에 따라서 커지지만, 피크(극대 영역)에 달한 후에는 반전하여, LED(11)로부터의 거리가 커짐에 따라서 감소하게 된다.
다음으로, 입사 각도에 대하여 검토한다.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면(36)에 입사하는 빛의 입사 각도는, LED(11)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폭(범위)이 있지만, 이 범위의 상한치는, LED(11)로부터의 거리가 커지는 만큼 작아지고, 이로써, LED(11)로부터의 거리가 커지는 만큼, 경사면(36)에서의 투과율은 작아진다.
따라서, 도 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광 위험도(광량과 입사 각도의 상한치를 곱한 값)는, LED(11)로부터의 거리가 제로(0) 근방에서 최대가 되고, 그 점보다 전방에서는 LED로부터의 거리가 커지는 만큼 저하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두번째 입사광에 대하여 검토한다. 도 4(a), (b), (c)는, 두번째 입사광에 대하여, 각각 경사면(36)에 입사하는 빛의 광량, 입사 각도, 위험도의 분포를, LED(11)로부터의 거리에 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4(a), (b), (c)는, 위험도의 특징을 알기 쉽게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우선, 광량에 대하여 검토한다. 두번째 입사광의 광량의 분포는,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첫번째 입사광보다 전방에 피크(극대 영역)를 가진 분포가 된다. 다음으로, 도 4(b)를 참조하여, 두번째 입사광의 입사 각도에 대하여 검토한다. 입사 각도의 상한치는 첫번째의 경사면(36)에서의 반사 시에 각도가 변화(경사면(36)의 경사각(θ2)의 2배만큼 입사 각도가 커진다)하기 때문에, 첫번째 입사광의 분포를 전방으로 이동시킨 후에, 그 각도 변화분을 중첩시킨 분포가 된다. 또한, 입사 각도의 하한치는, LED(11)로부터의 거리에 대응한 양수(positive number)가 되고, 이 하한치는, 상한치와 마찬가지로, LED로부터의 거리가 커지는 만큼 작아지는 경향을 가진다.
따라서, 두번째 입사광의 누광 위험도는,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는, 첫번째 입사광의 누광 위험도의 분포를 전방으로 이동시킨 분포가 된다. 다만, 첫번째의 경사면(36)에서의 반사 시의 각도 변화량에 따라서는, 두번째 입사광의 누광 위험도가, 첫번째 입사광의 누광 위험도보다 커질 가능성이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을 수 있는 첫번째 입사광의 누광 위험도와 두번째 입사광의 누광 위험도를 계산한 위험도가, 경사면(36)에 있어서의 전체적인 누광 위험도(도 5 참조)가 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ED(11)로부터의 거리가 작은 위치(입광면(21) 근처의 위치)에 누광 위험도가 큰 부분(극대치를 나타내는 부분)이 있고, 그 위치보다 LED(11)로부터의 거리가 커지는 만큼 누광 위험도가 서서히 저하한다. 더욱이 LED(11)로부터의 거리가 커지면, 누광 위험도는 반전하여 서서히 커지고, 다시 극대치를 나타낸다. 전체적으로는, 중심부가 움푹 패인 곡선의 오목 형상이 된다.
본원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체적인 누광 위험도가, 극대를 포함한 2개의 영역(입광면(21)측의 극대 영역과 출사면(22)측의 극대 영역)과, 극소를 포함한 1개의 영역(중앙의 극소 영역)으로 나뉘는 것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입광쐐기부(31)의 경사면(25)의, 각각 입사면(21)측과 출사면(22)측의 극대 영역에 상당하는 범위에, 각각 제1의 경사면부(25a)와 제3의 경사면부(25c)를 설치하고, 중앙의 극소 영역에 상당하는 범위에 제2의 경사면부(25b)를 설치하여, 제1의 경사면부(25a) 및 제3의 경사면부(25c)의 평균 경사각(θ1 및 θ3)을, 제2의 경사면부(25b)의 평균 경사각(θ2)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함으로써, 경사면(25)에서 발생하는 누광을 효과적으로 저감하는 것이다.
면상 조명 장치(10)에서는, 이로써, 출사면(22)으로부터 출사되는 조명광의 휘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면상 조명 장치(10)에서는, 경사면(25)의 형상을, 입광면(21) 근처의 영역이 볼록하게 되고, 출사면(22) 근처의 영역이 오목하게 되는 측면에서 볼 때 S자 형상의 연속 곡면으로 함으로써, 전체적인 누광의 위험도 분포에 따라, 경사면(25)으로부터의 누광을 저감하기 위해 최적인 경사면 형상을 실현할 수 있다.
더욱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각이 입광쐐기부(31)의 전영역에 걸쳐서 일정한 경사면(36)을 구비한 종래의 면상 조명 장치(도 6(a) 참조)에서는, LED(11)로부터, 그 광축과 이루는 각도가 큰 방향으로 출사되고, 그 결과, 비교적 큰 입사 각도로 경사면(36)의 입광면(21) 근처의 영역(I)에 입사하는 빛(L1)은, 두번째 입사광으로써 경사면(36)의 출사면(22) 근처의 영역(Ⅲ)에 입사하고, 거기서 누광을 발생시키는 위험성이 높은 것에 더해, 그 반사광 성분이, 조건에 따라서는 경사면(36)과 뒷면(24) 사이에 반사를 반복하여, 출사면(22)의 입광쐐기부(31) 근방으로부터 출사되기 쉬워진다. 종래의 면상 조명 장치에서는, 이런 종류의 누광에 의해, 출사면(22)으로부터 출사되는 조명광의 휘도 분포의 균일성이 열화한다는 문제도 생겼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면상 조명 장치(10)에서는, 제1의 경사면부(25a) 및 제3의 경사면부(25c)의 평균 경사각(θ1 및 θ3)을 상대적으로 작게 함으로써,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L1과 마찬가지의 조건으로 경사면(25)에 입사하는 빛(마찬가지로, 부호 L1을 붙인다)으로도, 출사면(22)의 입광쐐기부(31) 근방으로부터 출사시키는 일 없이, 출사부(32) 내에 도광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면상 조명 장치(10)에서는, 이렇게, 출사면(22)으로부터 출사되는 조명광의 휘도 분포의 균일성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면상 조명 장치(10)의 이 특징은, LED(11)가 소위 의사백색LED의 경우, 다음과 같은 효과도 나타내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사백색LED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청색 발광칩(41)을 황색 형광체가 분산된 투명 수지(42)로 밀봉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고, 청색 발광칩(41)이 발광하는 청색광과, 그 청색광을 흡수한 황색 형광체가 발광하는 황색광과의 혼색에 의해, 백색으로 보이는 발광 스펙트럼을 실현하는 것이다. 그 때, LED(11)로부터, 그 광축과 이루는 각도가 큰 방향으로 출사되는 빛(L1)은, 광축과 이루는 각도가 작은 방향으로 출사되는 빛(L2, L3)과 비교하여 투명 수지(42) 내를 통과하는 거리가 길기 때문에, 황색미를 띤 백색광이 되는 경향이 있다. 이로써, 도 6(a)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빛(L1)에 유래하는 누광이 출사면(22)의 입광쐐기부(31) 근방으로부터 출사하기 쉬운 것은, 그 누광에 의해, 조명광이 부분적으로 황색미를 띤다고 하는 문제의 요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면상 조명 장치(10)에 있어서, 출사면(22)의 입광쐐기부(31) 근방으로부터 누광이 저감하는 것은, 이러한 문제를 경감 또는 해소하고, 조명광의 색도 분포를 개선했다고 한 효과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자의 조사, 검토에 의하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면상 조명 장치(10)에서는, 입광쐐기부(31)에 경사각이 일정한 경사면(36)을 구비한 종래의 면상 조명 장치와 비교하여, 경사면(25)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누광을 25% 정도 저감할 수 있는 것이 명확해졌다. 또한, 실기 시작 검증에 따라, 출사면(22)으로부터의 출사되는 조명광의 휘도가 4.5% 향상하는 것을 확인했다.
더욱이, 면상 조명 장치(10)에서는, 경사면(25)의 출사면(22)과 연접하는 부분인 제3의 경사면부(25c)의 평균 경사각(θ3)이, 종래의 경사면(36)의 일정한 경사각(θ)보다 작음으로써, 경사면(25)과 출사면(22)이, 일정한 교차 각도를 가지고 불연속으로 연접하는 것으로부터 발생하는 휘도 불균질(luminance unevenness)(휘도의 급격한 변화)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억제 효과는, 면상 조명 장치(10)의 경사면(25)이, 제3의 경사면부(25c)에 있어서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고, 출사면(22)과 연접하는 부분의 경사각이 평균 경사각(θ3)보다 더욱 작음으로써 한층 현저한 것이 된다.
또한, 면상 조명 장치(10)에서는, 경사면(25)의 입광면(21) 근처의 부분인 제1의 경사면부(25a)의 평균 경사각(θ1)이, 종래의 경사면(36)의 일정한 경사각(θ)보다 작음으로써, LED(11)가 실장된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FPC)(도시는 생략함)을, 도광판(20)의 경사면(25) 상에 직접 고정하는 경우에는, LED(11)의 발광면(11a)이 도광판(20)의 입광면(21)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등의, LED(11) 실장상의 부적합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3개의 경사면부 중 가장 평균 경사각이 큰 제2의 경사면부(25b)를, 도광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한 것으로부터, 가령, 제2의 경사면부(25b)로부터 누광이 발생했다 하더라도, 통상, 경사면(25)의 상부에 배치된 차광 부재에 의해 그 누광을 확실하게 흡수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a)에 나타낸 예에서는, 경사면(25)은, 그 입광쐐기부(31)의 길이 방향(전후 방향)을 따라서 거의 중앙에 변곡점(A)을 가지고, 볼록 부분의 형상과 오목 부분의 형상이 거의 합동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써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경사면(25)의 형상은, 이러한 대칭성을 가진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면상 조명 장치(10)에 있어서, 입광쐐기부(31)의 전장에 대한 제1의 경사면부(25a), 제2의 경사면부(25b) 및 제3의 경사면부(25c)의 길이의 비율 및 제1의 경사면부(25a), 제2의 경사면부(25b), 및 제3의 경사면부(25c)의 각각의 평균 경사각(θ1, θ2, θ3)은, 누광 위험도의 실제의 분포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변곡점(A)의 위치를, 입광쐐기부(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거의 중앙이 아니라, 출사면(22) 근처로 해도 좋고, 볼록부의 면적이 오목부의 면적보다 커지게 해도 된다. 더욱이, 입광면(21)으로부터 변곡점(A)까지의 길이 방향의 거리는, 입광면(21)의 두께의 1.4배 정도(1.1배 이상이면서 1.7배 이하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곡점(A)의 위치를 출사면(22) 근처로 하는 경우의 경사면(25)의 구성에 대하여, 바람직한 일례를 들자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면, 입광면(21)의 두께가 0.58㎜, 출사부(23)의 두께가 0.4㎜, 입광쐐기부(31)의 길이가 1.1㎜의 도광판(20)의 경우, 제1, 제2 및 제3의 경사면부(25a, 25b, 25c)의 길이를, 각각 0.4㎜, 0.4㎜ 및 0.3㎜로 하고, 또한, 제1, 제2 및 제3의 경사면부(25a, 25b, 25c)의 평균 경사각(θ1, θ2, θ3)을, 각각 6.4°, 13°및 8.2°로 한 구성(경사면(25)의 전장에 걸친 평균 경사각(θ)은 9.3°가, 바람직한 일례로서 들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관한 면상 조명 장치는, 도 8에 나타낸 면상 조명 장치(50)와 같이, 도광판(51)의 입광면(21)과 입광쐐기부(31) 사이에, 평단부(33)(도 8에 「Ⅳ」로 나타내는 범위)를 설치하는 것이어도 좋다. 평단부(33)는, 입광면(21c)으로부터 연장되어 제1의 경사면부(25a)에 연접하고, 출사면(22)에 평행한 상면(52)을 가지고 있으며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면상 조명 장치는, 도 9에 나타내는 면상 조명 장치(60)와 같이, 경사면(65)의 제1의 경사면부(65a), 제2의 경사면부(65b) 및 제3의 경사면부(65c)를, 각각 일정한 경사각(θ1, θ2, θ3)을 가진 경사면으로써 구성하는 것이어도 좋다. 바꿔 말하면, 면상 조명 장치(60)는, 도 1(b)에 나타내는 가상 평면(35a, 35b, 35c)을, 각각 실제의 경사면으로써 실현한 구성을 구비한 것이다. 면상 조명 장치(60)는, 본 발명에 관한 경사면(65)을, 비교적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한 것이다.
또한, 면상 조명 장치(60)는, 제1의 경사면부(65a)와 제2의 경사면부(65b)의 연결부(66) 및 제2의 경사면부(65b)와 제3의 경사면부(65c)의 연결부(67)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곡선으로써 구성하는 것이어도 좋다. 더욱이, 면상 조명 장치(60)에 있어서, 제1, 제2, 제3의 경사면부(65a, 65b, 65c) 중의 1 이상의 경사면부를, 각각 다른 경사각을 가진 복수의 경사면으로부터 구성하는 것이어도 좋고, 그 때, 각 경사면끼리 연결부 중의 1 이상의 연결부를, 곡면으로써 구성하는 것이어도 좋다.
여기서,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어느 쪽의 실시형태에 대해서도, 그 입광쐐기부(31)의 입광면(21) 및 출사면(22)에 직교하는 단면(측단면)의 단면 형상은, 입광면(21)의 길이 방향의 임의의 위치에서 측면 형상과 동일하고, 따라서, 경사면(25, 65)은, 입광면(21)의 길이 방향에 따른 경사는 아닌 것으로 했다. 다만, 본 발명에 관한 면상 조명 장치에 있어서, 입광쐐기부의 경사면의 형상은, 입광면(21)의 길이 방향에 따른 경사를 가진 것이어도 좋다.
도 10은, 이러한 면상 조명 장치(70)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면상 조명 장치(70)를 입광면(21)측에서 본 정면도(입면도), (b)는, (a)의 A-A단면도이다. 면상 조명 장치(70)에 있어서, 도광판(71)의 입광면(21)은, 그 두께가 입광면(2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공간적으로 변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입광면(21)의 두께는, 각 LED(11)의 배치 위치에 있어서의 두께를 LED(11)의 두께와 같은 정도의 두께로 하고, 각 LED(11)의 배치 위치의 양측 두께가, LED(11)의 배치 위치에 있어서의 두께보다 두꺼워지도록 구성되는 동시에, 경사면(75)은, 입광면(21)의 길이 방향에 따른 전폭에 걸쳐서, 입광면(21)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고, 경사면(75)의 전방단에 있어서, 출사면(22)에 연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경사면(75)은, 전후 방향(도광 방향)에 따른 경사만이 아니라, 좌우 방향(입광면(21)의 길이 방향)에 따른 경사도 가지게 된다. 이 구성에 의하여, 경사면(75)의 입광쐐기부(31)의 전장에 걸친 평균 경사각도, 각 LED의 배치 위치에서 가장 작고, 각 LED(11)의 배치 위치의 양측에서 가장 커지도록, 입광면(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공간적으로 변동하게 된다. 다만, 면상 조명 장치(70)에 있어서, 입광면(21)의 길이 방향에 따른 임의의 위치에 있어서의 측단면 내에서, 제2의 경사면부(75b)의 그 측단면 내에 있어서의 평균 경사각이, 제1의 경사면부(75a) 및 제3의 경사면부(75c)의 동일한 측단면 내에 있어서의 평균 경사각보다 큰 것은, 면상 조명 장치(10)와 마찬가지이다. 나아가서는, 면상 조명 장치(70)도, 입광면(21)의 길이 방향에 따른 임의의 위치에 있어서의 측단면 내에서, 제1의 경사면부(75a) 및 제3의 경사면부(75c)의 임의의 측단면 내에 있어서의 평균 경사각은, 동일한 측단면 내에 있어서의 입광쐐기부(31)의 전장에 걸친 평균 경사각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라, 면상 조명 장치(70)는, 면상 조명 장치(10)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것에 더해, 경사면(75)이 입광면(21)의 길이 방향에 따른 경사도 가지고 있으므로, 경사면(75)에 두께 방향의 입사 각도 폭을 가지고 입사하는 빛을, 출사면(22)과 평행한 방향으로도 확대되도록 반사하고, 그 경과, 그 경사면(75)으로부터의 반사광이, 뒷면(24)에서 반사하여 다시 경사면(75)(전형적으로는 제3의 경사면부(75c))에 입사할 때의 입사 각도를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경사면(75) 및 출사면(22)의 입광쐐기부(31) 근방으로부터의 누광을, 더욱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면상 조명 장치(70)에서는, 입광쐐기부(31)의 길이는, 입광면(2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것으로 했지만, 본 발명에 관한 면상 조명 장치에 있어서, 입광쐐기부(31)의 길이를 입광면(2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공간적으로 변동하게 함으로써, 입광쐐기부(31)의 경사면에 입광면(21)의 길이 방향에 따른 경사를 설치하는 것도 좋다. 이 경우에는, 도 10에 나타내는 면상 조명 장치(70)와 비교하여, 경사면의 입광쐐기부(31)의 전장에 걸친 평균 경사각의, 입광면(21)의 길이 방향에 따른 공간적인 변동을 비교적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입광쐐기부(31)의 경사면(25, 65, 75)은, 모두 도광판(20, 51, 61, 71)의 표면(23)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했지만, 본 발명에 관한 면상 조명 장치에 있어서, 경사면(25, 65, 75)은, 도광판(20, 51, 61, 71)의 뒷면(24)측에 형성되는 것이어도 좋다. 혹은, 본 발명에 관한 면상 조명 장치는, 도광판(20, 51, 61, 71)의 표면(23)측과 뒷면(24)측의 양쪽에, 입광쐐기부(31)의 경사면을 가지고 있고, 2개의 경사면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본 발명에 관한 경사면(25, 65, 75)으로써 구성되는 것이어도 좋다. 그 때, 2개의 경사면 중 한쪽만을, 본 발명에 관한 경사면(20, 65, 75)으로써 구성하는 경우에는, 다른 쪽의 경사면을, 종래와 마찬가지의 일정한 경사각을 가진 경사면으로 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도광판(20, 51, 61, 71)의 표면(23) 및 뒷면(24) 중 경사면(본 발명에 관한 경사면(25, 65, 75) 또는 종래의 경사면)이 설치되어 있는 면측에, LED(11)가 실장된 FPC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그 면측에 설치된 경사면과 일체로 FPC를 배치하기 위한 깔판을 설치해도 된다. 이 깔판은, 예를 들면, 입광면(21)의 각 LED(11)의 배치 위치의 좌우측쪽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소정의 범위(바람직하게는, 빛이 거의 입사하지 않는 범위)에 설치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면상 조명 장치가, 상술한 개별의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설명된 각각의 특징을, 임의로 조합한 구성을 구비한 면상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예를 들면, 면상 조명 장치(10, 60, 70)는, 면상 조명 장치(50)와 관련하여 설명된 평단부(33)를 구비하는 것이어도 된다.
10, 50, 60, 70 : 면상 조명 장치
11 : LED
20, 50, 61, 71 : 도광판
21 : 입광면
21c : 입광면의 표면(출사면을 포함하는 면)측의 단변
21d : 입광면의 뒷면(반대면을 포함하는 면)측의 단변
22 : 출사면
23 : 표면
24 : 뒷면
25, 65, 75 : 경사면
25a, 65a, 75a : 제1의 경사면부
θ1 : 제1의 경사면부의 평균 경사각
θ2 : 제2의 경사면부의 평균 경사각
θ3 : 제3의 경사면부의 평균 경사각

Claims (8)

  1. 광원과, 이 광원이 배치되는 입광면 및 이 입광면으로부터 입사한 빛을 출사시키는 출사면을 가진 도광판을 구비한 면상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경사면을 포함하여 상기 입광면측으로부터 상기 출사면측으로 향하는 만큼 두께가 얇아지도록 설치된 입광쐐기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입광면측으로부터 제1의 경사면부와 제2의 경사면부, 제3의 경사면부를 가지며, 상기 제2의 경사면부의, 상기 입광면의 길이 방향의 임의의 위치에서 상기 입광면 및 상기 출사면에 직교하는 단면 내의 평균 경사각은, 동일한 상기 단면 내의 상기 제1의 경사면부 및 상기 제3의 경사면부의 평균 경사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 조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경사면부와 상기 제2의 경사면부의 연결부 및 상기 제2의 경사면부와 상기 제3의 경사면부의 연결부가, 곡면으로써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 조명 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이, 전체적으로 하나의 연속 곡면으로써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 조명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속 곡면이, 상기 입광면측이 볼록 형상이고 상기 출사면측이 오목 형상의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 조명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속 곡면은, 측면에서 볼 때 S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의 경사면부 내에 변곡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 조명 장치.
  6.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경사면부, 상기 제2의 경사면부 및 상기 제3의 경사면부 중 적어도 하나가, 복수의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 조명 장치.
  7.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이, 상기 출사면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 조명 장치.
  8.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입광면과 상기 입광쐐기부의 사이에, 두께가 일정한 평단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 조명 장치.

KR1020130066994A 2013-02-25 2013-06-12 면상 조명 장치 KR1014636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34620 2013-02-25
JP2013034620A JP5440989B1 (ja) 2013-02-25 2013-02-25 面状照明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354A KR20140106354A (ko) 2014-09-03
KR101463689B1 true KR101463689B1 (ko) 2014-11-19

Family

ID=48747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6994A KR101463689B1 (ko) 2013-02-25 2013-06-12 면상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51885B2 (ko)
EP (1) EP2770250A1 (ko)
JP (1) JP5440989B1 (ko)
KR (1) KR101463689B1 (ko)
CN (1) CN107037525A (ko)
TW (1) TWI4946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32661A1 (ja) * 2012-03-09 2013-09-12 オムロン株式会社 面光源装置
JP6220765B2 (ja) 2014-11-25 2017-10-25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面状照明装置
JP6590275B2 (ja) 2015-06-25 2019-10-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器具
CN105403949B (zh) * 2015-12-22 2018-10-19 翰博高新材料(合肥)股份有限公司 一种薄型化导光板及其制备方法
JP6725281B2 (ja) * 2016-03-24 2020-07-15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
CN107807472B (zh) * 2016-09-08 2020-06-16 台湾扬昕股份有限公司 光源模组以及显示装置
US10809436B2 (en) * 2017-05-31 2020-10-20 Lumileds Llc Shaping input surfaces of LED light-guides for increased light extraction efficiency
CN107703581A (zh) * 2017-09-30 2018-02-16 长沙市宇顺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导光板及背光模组
CN110208898B (zh) * 2019-05-31 2020-11-20 内蒙古中森智能终端技术研发有限公司 背光模组用高光效端面导光板及其制备工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5015A (ja) * 2005-06-21 2007-01-11 Nichia Chem Ind Ltd 面状光源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2829A (en) 1992-03-23 1999-12-1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Luminaire device
JPH11306830A (ja) 1998-04-20 1999-11-05 Mitsubishi Chemical Corp 面照明装置
JP2005199824A (ja) * 2004-01-14 2005-07-28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ドア近傍照明装置
JP2005331565A (ja) * 2004-05-18 2005-12-02 Seiko Epson Corp 照明装置、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7287550A (ja) 2006-04-19 2007-11-01 Hitachi Chem Co Ltd 面光源装置
JP2008170739A (ja) 2007-01-12 2008-07-24 Hitachi Displays Ltd 液晶表示装置
JP2009081014A (ja) 2007-09-26 2009-04-16 Epson Imaging Devices Corp 照明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5027036B2 (ja) 2008-03-29 2012-09-19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導光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5018692B2 (ja) 2008-08-18 2012-09-05 オムロン株式会社 面光源装置
US20110222311A1 (en) 2008-11-24 2011-09-15 Kinder Brian A Web Converting Methods for Forming Light Guides and the Light Guides Formed Therefrom
US8882323B2 (en) 2009-08-12 2014-11-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ghtguide
JP2012022863A (ja) 2010-07-14 2012-02-02 Casio Computer Co Ltd 導光板及び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5015A (ja) * 2005-06-21 2007-01-11 Nichia Chem Ind Ltd 面状光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354A (ko) 2014-09-03
US9151885B2 (en) 2015-10-06
JP5440989B1 (ja) 2014-03-12
CN107037525A (zh) 2017-08-11
TW201433837A (zh) 2014-09-01
EP2770250A1 (en) 2014-08-27
TWI494623B (zh) 2015-08-01
JP2014164995A (ja) 2014-09-08
CN104007578A (zh) 2014-08-27
US20140241009A1 (en) 2014-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3689B1 (ko) 면상 조명 장치
KR101309393B1 (ko) 면광원 장치
KR100823802B1 (ko) 면광원 장치 및 해당 장치를 이용한 기기
JP6237998B2 (ja) 導光板及び面光源装置
JP6403756B2 (ja) 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JP5784769B2 (ja) 面状照明装置
JP2006093104A (ja) 照明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US9261637B2 (e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its light guide plate
WO2005080862A1 (ja) 面光源装置
US7815359B2 (en) Spread illuminating apparatus
US20130039036A1 (en)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160245976A1 (en) Backlight modul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JP6585892B2 (ja) 液晶表示装置
CN108885302B (zh) 照明装置和显示装置
US9182630B2 (en)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JP2004070169A (ja) 導光板およびそれが用いられるバックライト装置
JP2008027649A (ja) 光源装置およびバックライト装置
CN108490531B (zh) 背光源装置、导光板以及显示装置
JP6061396B2 (ja) 導光板及び面状照明装置
JP5514009B2 (ja) 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JP4671342B2 (ja) バックライト
JP6177514B2 (ja) 面状照明装置
JP2008270113A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