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7828B1 -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7828B1
KR101457828B1 KR1020137011365A KR20137011365A KR101457828B1 KR 101457828 B1 KR101457828 B1 KR 101457828B1 KR 1020137011365 A KR1020137011365 A KR 1020137011365A KR 20137011365 A KR20137011365 A KR 20137011365A KR 101457828 B1 KR101457828 B1 KR 101457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door
usb memory
port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1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0647A (ko
Inventor
나오토 무네히로
하지메 우에스기
미치노리 구스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카와덴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카와덴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카와덴키
Publication of KR20130070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0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3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having a housing or construction similar to well-known portable memory devices, such as SD cards, USB or memory sti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01R13/6395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for wall or panel outle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56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 H05K5/0286Receptacles therefor, e.g. card slots, module sockets, card ground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62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for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PLC] for automation or industrial process control
    • H05K7/1481User interface, e.g. status displays; Programming interface, e.g. connector for computer programming;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21Employing a record carrier using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06F2212/214Solid state disk
    • G06F2212/2146Solid state disk being detachable, e.g.. USB mem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다종 다양한 USB 디바이스에 대해 높은 보지력으로 장착 상태를 보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어 장치(1)의 포트(3) 근방에는 개폐 도어(4)가 마련되어 있으며, USB 메모리(50)의 비장착 시에는 폐쇄되어 있을 때는 포트(3)를 차폐하고 있고, USB 메모리(50)의 장착 시에는 개방되어 포트(3)를 노출한다. 개폐 도어(4)에는 파지 기구(100)가 마련되어 있다. 이 파지 기구(100)의 슬라이드 플레이트(101)가, 장착된 USB 메모리(50)의 하우징부(52)를 끼워 지지한다.

Description

제어 장치{CONTROL DEVICE}
개시된 실시형태는 USB 디바이스가 착탈되는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USB(Universal Serial Bus) 디바이스가 장착되고, 해당 USB 디바이스와의 사이에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제어 장치가 알려져 있다. USB 디바이스로서는 다종 다양한 기기가 존재하지만, 그 사용시에, 착탈이 빈번히 실행되며 장착 시간이 비교적 짧은 경우와, 장착 시간이 비교적 긴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USB 디바이스 중 하나인 USB 메모리가 사용되는 경우, 작업시마다 장착 시간이 비교적 짧은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예를 들면 작업 관리 등을 위해서 작업 상황을 기억하는 용도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USB 메모리를 장시간 장착한 상태로 보지할 필요가 있다.
종래, USB 메모리를 보지하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2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USB 메모리를 포트에 삽입 후, 회전함으로써 고정된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는, USB 메모리를 판재와 함께 포트에 압입함으로써, 빠짐을 방지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06-294260 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 2010-21070 호 공보
상기 종래 기술에는, 이하와 같은 문제가 존재한다. 즉,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 기술에서는, USB 메모리 자체가 제어 장치측과 대응한 형상으로 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다앙하게 존재하는 USB 메모리에 적용하지 못하여, 범용성이 부족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종래 기술에서는, USB 메모리가 커넥터에 압입될 뿐이며, 보지하는 기구로는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진동·충격 등에 대한 내력(耐力)이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다종 다양한 USB 디바이스에 대하여 높은 보지력으로 장착 상태를 보지할 수 있는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1 관점에 의하면, USB 디바이스가 착탈되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USB 디바이스의 커넥터부가 삽입되는 포트와, 상기 포트의 근방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며, 개방 시에는 상기 포트를 노출하고, 폐쇄 시에는 상기 포트를 차폐하는 개폐 도어와, 상기 개폐 도어에 마련되며, 상기 개폐 도어의 개방 시에 상기 USB 디바이스의 하우징부를 파지하는 파지 기구를 구비하는 제어 장치가 적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종 다양한 USB 디바이스에 대해 높은 보지력으로 장착 상태를 보지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장치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파지 기구의 상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폐 도어를 개방한 상태의 제어 장치의 포트 부분을 확대한 전면도 및 측면도,
도 3은 조작 부재의 조작과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동작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4는 조작 부재 및 기어 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개폐 도어의 내면 구조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내는 개폐 도어의 내면도,
도 6은 브레이크 기능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서 일부 단면으로 나타낸, 개폐 도어를 개방한 상태의 제어 장치의 포트 부분을 확대한 전면도,
도 7은 슬라이드 플레이트 및 지지 부재의 전체 구조를 추출하여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브레이크 해제 기능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서 일부 단면으로 나타낸, 개폐 도어의 조작 부재 부분을 확대한 측면도,
도 9는 도금 처리를 실시한 범위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0은 USB 메모리의 하우징부의 폭이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기준 폭보다 작은 경우의 조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1은 USB 메모리의 하우징부의 폭이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기준 폭보다 큰 경우의 조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2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장치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파지 기구의 상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 13의 (b)에 있어서의 XIIIA-XIIIA 에 의한 파지 기구의 단면도 및 하우징의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파지 기구의 측면도,
도 14는 개폐 도어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5는 푸쉬 버튼의 조작에 의한 아암 부재의 회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지 기구의 단면도,
도 16은 USB 메모리를 착탈할 때의 조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7은 파지 기구에 의해 상하 비대칭 형상의 USB 메모리를 파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파지 기구의 단면도,
도 18은 USB 케이블을 장착한 상태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장치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9는 USB 케이블을 장착한 상태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장치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0은 대략 L자 형상으로 한 개폐 도어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이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우선, 도 1을 참조하면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장치의 외관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 장치(1)는, 도시하지 않는 제어 대상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서, 예를 들면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등의 FA(Factory Automation) 기기이다. 제어 장치(1)에는 USB(Universal Serial Bus) 디바이스가 착탈 가능하며, 장착된 USB 디바이스와의 사이에 USB 규격에 근거하는 데이터 전송이 실행된다. 이하에서는, USB 디바이스 중 하나인 USB 메모리(50)를 장착하는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1)의 하우징(2)의 한쪽편(도 1 중 좌하측)의 면에는, USB 메모리(50)의 커넥터부(51)가 삽입되는 포트(3)가 마련되어 있다. 이하, 이 포트(3)의 설치측을 제어 장치(1)의 전방측으로서 설명 한다. 포트(3)의 전방측 근방에는, 한쪽 편을 힌지 구조로 한 개폐 도어(4)가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개폐 도어(4)는, 개방 시에는 도 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트(3)를 노출하고, 폐쇄 시에는 도 1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트(3)를 차폐한다. 통상, PC 등의 OA(Office Automation) 기기에 배치되어 있는 USB 포트는 노출 상태가 되어 있지만, 특히 FA기기 등의 설치 환경 하에서는, 분진이나 오일 미스트 등이 포트에 부착하여 전기적인 단락이나 통신 장애 등의 요인이 되는 것이 염려된다. 이 때문에, 제어 장치(1)에서는 개폐 도어(4)를 마련함으로써, 방진 대책을 실시하고 있다.
개폐 도어(4)에는, 도 1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폐 도어(4)의 개방 시에 USB 메모리(50)의 하우징부(52)를 파지하는 파지 기구(100)가 마련되어 있다. 이 파지 기구(100)는, 도 1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101)의 이동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 부재(120)를 개폐 도어(4)의 외면에 갖고 있다.
다음에, 도 2를 참조하면서, 파지 기구(100)의 상세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지 기구(100)는, USB 메모리(50)의 하우징부(52)를 양측으로부터 끼워 지지하기 위한 2개의 슬라이드 플레이트(101, 101)를 갖고 있다. 2개의 슬라이드 플레이트(101, 101)는, 개폐 도어(4)의 내면에 있어서의 한쪽편 및 다른쪽편(도 2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상측 및 하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슬라이드 플레이트(101)끼리가 서로 원근하는 방향(도 2 중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플레이트(101)가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협지 부재의 일예에 상당한다.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드 플레이트(101)는 지지 부재(102)의 한쪽편 단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지지 부재(102)가 개폐 도어(4)의 내면에 고정된 가이드(103)에 대해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지지 부재(102)의 다른쪽편에는 랙 기어부(104)가 마련되어 있으며, 조작 부재(120)와 개폐 도어(4)를 사이에 두고 일체적으로 구성된 기어 부재(121)(도 3 참조)와 맞물려 있다. 또 한 지지 부재(102)의 다른쪽편 단부에는, 슬라이드측 스프링 고정부(105)가 마련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측 스프링 고정부(105)와, 개폐 도어(4)의 내면에 마련된 도어측 스프링 고정부(106) 사이에는, 스프링(107)이 마련되어 있다. 이 스프링(107)에 의해, 슬라이드 플레이트(101)는 기준 위치[도 2의 (a) 및 도 2의 (b)에 나타내는 위치]로 되돌아오도록 상시 부세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107)이,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제 1 부세 수단의 일예에 상당한다.
또한, 상기 기준 위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101)가 해당 기준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로 개폐 도어(4)가 개폐 가능하도록, 양쪽 슬라이드 플레이트(101)가 개폐 도어(4)의 내면의 면적 내에 드는 범위에서 미리 적절한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또한, 포트(3)는 하우징(2)의 표면보다 안쪽 위치에 마련되어 있으며, 개폐 도어(4)를 닫을 때에 개폐 도어(4)의 내면과 포트(3) 사이의 공간에 슬라이드 플레이트(101)를 포함한 파지 기구(100)[단 조작 부재(120)를 제외함]가 수납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슬라이드 플레이트(101)에는, USB 메모리(50)의 하우징부(52)와 접촉하는 부분에, 고무나 엘라스토머(elastomer) 등으로 구성된 탄성 부재(108)가 마련되어 있다. 이 탄성 부재(108)는, 슬라이드 플레이트(101)와 하우징부(52)의 미끄럼을 방지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USB 메모리(50)의 하우징부(52)는 슬라이드 플레이트(101)와 평행으로 접촉하는 형상이지만, 예를 들면 하우징부의 형상이, 슬라이드 플레이트(101)에 대해 경사져 있거나 혹은 요철이 있는 경우에도, 탄성 부재(108)가 탄성 변형함으로써 하우징부를 확실히 협지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부재(108)에 의해, 다종 다양한 형상을 갖는 USB 디바이스를 협지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범용성이 향상된다.
또한 개폐 도어(4)의 내면에는, 기어 부재(121)를 후방측[도 2의 (a) 중 우측, 도 2의 (b) 중 지면 바로 앞측)]으로부터 덮도록 가압판(109)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가압판(109)과 기어 부재(121) 사이에 가압 스프링(110)이 마련되어있다. 가압 스프링(110)은, 일체적으로 구성된 조작 부재(120) 및 기어 부재(121)를, 개폐 도어(4)의 외면측에 상시 부세하고 있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면서, 조작 부재(120)의 조작과 슬라이드 플레이트(101)의 동작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압판(109) 및 가압 스프링(110)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3의 (a)는, 슬라이드 플레이트(101)가 기준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조작자가[개폐 도어(4)를 외측에서 봄] 조작 부재(120)를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3의 (b)의 화살표(A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개폐 도어(4)를 내측에서 봄] 기어 부재(121)는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도 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 부재(102)가 스프링(107)의 압축하려고 하는 힘에 저항하여 가이드(103)를 따라서 미끄럼 운동하고, 슬라이드 플레이트(101, 101)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슬라이드 플레이트(101) 사이의 간격이 좁아진다. 한편, 조작자가[개폐 도어(4)를 외측에서 봄] 조작 부재(120)를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3의 (c)의 화살표(A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개폐 도어(4)를 내측에서 봄] 기어 부재(121)는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도 3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 부재(102)가 스프링(107)의 신장하려고 하는 힘에 저항하여 가이드(103)를 따라서 미끄럼 운동하고, 슬라이드 플레이트(101, 101)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슬라이드 플레이트(101) 사이의 간격이 넓어진다.
도 3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플레이트(101, 101)는 개폐 도어(4)의 내면의 면적 범위를 초과하여 광범위한 범위에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파지 기구(100)를 개폐 도어(4)에 마련하고 있으므로, 개폐 도어(4)의 개방에 의해 파지 기구(100)가 제어 장치(1)의 하우징 외부로 이동하여, 슬라이드 플레이트(101)의 동작이 제어 장치(1)의 하우징 형상 등에 의해서 제약되지 않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동일한 구조의 파지 기구를 하우징의 포트가 형성된 오목부 내에 마련하는 구성을 고려했을 경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동작 범위는 오목부의 크기에 한정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는 이와 같은 구성에 비하여 슬라이드 플레이트(101)의 동작 범위를 크게 확장할 수 있으며, 큰 이점을 갖는다. 그 결과, 다종 다양한 크기, 형상을 갖는 USB 디바이스를 파지할 수 있어서, 범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다음에,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파지 기구(100)의 브레이크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말하는 브레이크 기능이란,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플레이트(101)는 스프링(107)에 의해 상시 기준 위치로 되돌아오도록 부세 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부세력에 저항하여, 슬라이드 플레이트(101)가 USB 메모리(50)의 하우징부(52)를 협지했을 때에 해당 협지 위치에 정지시키는 기능이다. 또한,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압판(109), 가압 스프링(110) 및 기어 부재(121)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4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어 부재(121)는, 외주에 랙 기어부(104)와 맞물리는 치가 형성된 기어부(122), 기어부(122)와 조작 부재(120)를 일정 거리를 확보하면서 접속하는 몸통부(123), 및 축부(124)를 갖고 있다. 기어부(122) 및 몸통부(123)는, 축부(124)에 대하여 동축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어 부재(121)의 축부(124)가 조작 부재(120)에 삽입됨으로써, 조작 부재(120)와 기어 부재(121)는 연결되어 일체적으로 구성 되어 있다. 기어부(122)의 조작 부재(120)측의 단면(125)에는, 반구 형상의 돌기(12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어 부재(121)의 기어부(122), 몸통부(123) 및 축부(124)를 일체 성형으로 하고 있지만, 이들을 별도 부품으로 하여 연결해도 좋다.
한편,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폐 도어(4)에는, 기어 부재(121)의 몸통부(123)가 관통하는 관통 구멍(127)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127)의 내경은, 기어 부재(121)의 몸통부(123)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관통 구멍(127)의 직경 방향 주위 부분은, 개폐 도어(4)의 다른 부분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으며, 해당 부분이 기어 부재(121)의 몸통부(123)를 회전 또는 직선 운동 가능하게 미끄럼 운동 지지하는 베어링(128)으로서 기능한다. 베어링(128)의 도어 내면측의 단부면(129)에는, 기어 부재(121)의 돌기(126)가 결합 가능한 복수의 둥근 구멍(130)이 형성되어 있다. 이 둥근 구멍(130)은, 소정의 피치로 원주 상에 배치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체적으로 구성된 조작 부재(120) 및 기어 부재(121)는, 가압 스프링(110)에 의해 개폐 도어(4)의 외면측(도 6 중 좌측)에 상시 부세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기어 부재(121)의 단면(125)과 베어링(128)의 단부면(129)이 접촉하고, 돌기(126)가 어느 하나의 둥근 구멍(130)에 결합한다. 기어 부재(121)는 돌기(126)의 결합에 의해 회전이 규제되므로, 기어 부재(121)의 기어부(122)와 랙 기어부(104)가 맞물린 지지 부재(102)의 이동도 규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슬라이드 플레이트(101)에 브레이크가 작용한다.
조작 부재(120)가 회전 조작되면, 기어 부재(121)의 돌기(126)가 둥근 구멍(130)을 넘어 단부면(129) 상을 이동한다. 즉, 조작 부재(120)는, 돌기(126)와 둥근 구멍(130)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보다 큰 조작력으로 회전 조작된다. 이 때, 돌기(126)가 서로 이웃하는 둥근 구멍(130, 130)의 사이에 정지하지 않도록, 둥근 구멍(130)의 피치는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조작 부재(120)가 조작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기어 부재(121)의 돌기(126)는 어느 하나의 둥근 구멍(130)에 결합하게 되어 있으며, 그 결과, 조작 부재(120)가 조작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후술하는 브레이크의 해제 조작을 하지 않는 이상 슬라이드 플레이트(101)에는 항상 브레이크가 작용된 상태가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의해, 슬라이드 플레이트(101)의 최소 이동량은, 원주 상에 형성된 둥근 구멍(130)의 피치만큼이 된다. 이 때문에, 협지 위치[상기 최소 이동량 단위로 이동하면서, USB 메모리(50)의 하우징부(52)의 폭에 가장 대응한 위치]에 위치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101)끼리의 간격과, USB 메모리(50)의 하우징부(52)의 폭 사이에 치수 차이가 생길 가능성이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플레이트(101)에는 탄성 부재(108)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탄성 부재(108)가 탄성 변형하는 것에 의해 해당 치수 차이를 허용할 수 있으므로, 슬라이드 플레이트(101)로 하우징부(52)에 접촉하면서 확실히 협지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가압 스프링(110), 돌기(126), 둥근 구멍(130), 기어부(122) 및 랙 기어부(104)가,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위치 고정 수단의 일예에 상당한다.
다음에,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서, 파지 기구(100)의 브레이크 해제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8의 (a)는 브레이크가 작용하고 있는 상태, 도 8의 (b)는 브레이크를 해제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플레이트(101) 및 탄성 부재(108)를 한쪽편 단부(도 7 중 상단부)에 고정한 지지 부재(102)의 다른쪽편(도 7 중 하방측)에는, 랙 기어부(104)가 마련되어 있다. 이 랙 기어부(104)는, 지지 부재(102)의 두께 방향(도 7 중 좌우 방향)의 전역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두께 방향의 대략 반만큼의 영역에 대해 마련되어 있으며, 나머지의 영역은 치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평탄부(131)로 되어 있다.
도 8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상 상태에서는, 기어 부재(121)가 가압 스프링(110)에 의해 개폐 도어(4)의 외면측(도 8 중 좌측)에 부세되며, 기어 부재(121)의 돌기(126)가 개폐 도어(4)의 둥근 구멍(130)에 결합한다. 기어 부재(121)는 돌기(126)의 결합에 의해 회전이 규제되므로, 기어 부재(121)의 기어부(122)와 랙 기어부(104)로 맞물린 지지 부재(102)의 이동도 규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슬라이드 플레이트(101)에는 브레이크가 작용된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도 8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120)가 개폐 도어(4)의 내면측(도 8 중 우측)에 압입되면, 기어 부재(121)의 기어부(122)가 평탄부(131)의 영역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랙 기어부(104)와 기어부(122)와의 맞물림이 해제되기 때문에, 지지 부재(102)가 스프링(107)의 부세력에 의해 이동하여, 슬라이드 플레이트(101)가 기준 위치로 되돌아온다. 이와 같이 하여, 슬라이드 플레이트(101)의 브레이크가 해제된다.
또한, 이와 같은 브레이크의 해제는, 예를 들면 하우징부(52)의 폭이 슬라이드 플레이트(101)의 기준 폭보다 작은 USB 메모리(50)를 분리할 때에 실행되지만(후술의 도 10 참조), 이와 같이 브레이크를 해제하고 실행하는 것 이외에, 조작 부재(12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여 슬라이드 플레이트(101, 101)의 간격을 넓히는 것에 의해, USB 메모리(50)를 분리하여도 좋다.
또한, 개폐 도어(4)에 있어서의 베어링(128)의 도어 외면측(도 8 중 좌측)에는, 상기 조작 부재(120)의 압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압입 공간(132)이 확보되어 있다. 또한, 전술의 가압판(109)의 중앙부에는, 조작 부재(120)를 압입했을 때에 기어 부재(121)의 축부(124)를 받기 위한 개구(1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 있어서, 조작 부재(120), 압입 공간(132) 및 평탄부(131)가,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고정 해제 수단의 일예에 상당한다.
다음에, 도 9를 참조하면서, 도금 처리를 실시한 범위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 장치(1)에 있어서는, 포트(3)가 발신원이 되어 장치 외부에 노이즈를 방사 하거나 혹은 포트(3)가 노이즈의 수신원이 되어 오동작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9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트(3)를 둘러싸도록 그 주위에 도금 처리가 실시된 도금부(5)가 형성되는 동시에[도면 중에 도금부(5)의 범위를 사선으로 나타냄], 도 9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폐 도어(4)의 내면의 거의 전역에 도금 처리가 실시된 도금부(6)가 형성되어 있다[도면 중에 도금부(6)의 범위를 사선으로 나타냄].
도금재로서는, 동이나 니켈 등의 도전재가 이용된다. 도금부(5, 6)는, 모두 하우징(2)의 프레임 그랜드(도시 생략)와 접지되어 있다. 또한, 개폐 도어(4)의 내면에 있어서는, 도금부(6) 상에 슬라이드 플레이트(101) 등으로 이루어지는 파지 기구(100)가 마련되어 있다.
개폐 도어(4)가 개방되고 USB 메모리(50)가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는, 주로 포트(3)의 주위에 형성된 도금부(5)에 의해서 상기 노이즈의 발신·수신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USB 메모리(50)가 분리되어 개폐 도어(4)가 폐쇄된 상태에 있어서는, 주로 개폐 도어(4)의 내면에 형성된 도금부(6)에 의해서 상기 노이즈의 발신·수신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서, USB 메모리(50)를 착탈할 때의 조작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슬라이드 플레이트(101)가 전술한 기준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탄성 부재(108)끼리의 간격을 「기준 폭」이라 호칭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0을 참조하여, USB 메모리의 하우징부의 폭이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기준 폭보다 작은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USB 메모리(50)의 하우징부(52)의 폭(WS)이 슬라이드 플레이트(101)의 기준 폭(Wo)보다 작은 경우에는, 조작자는 개폐 도어(4)를 개방하고, 그대로 USB 메모리(50)의 커넥터부(51)를 포트(3)에 삽입하고, USB 메모리(50)를 제어 장치(1)에 장착한다. 이것에 의해, USB 메모리(50)는 하우징부(52)를 슬라이드 플레이트(101, 101) 사이에 관통 삽입하면서, 외팔보 비임 형상으로 지지된 상태가 된다.
다음에 도 10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자가 조작 부재(120)를 화살표(A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 조작시키면, 전술의 도 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어 부재(121)가[개폐 도어(4)를 내측에서 봄]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고, 지지 부재(102)가 스프링(107)의 압축하려고 하는 힘에 저항하고 가이드(103)를 따라서 미끄럼 운동하여, 슬라이드 플레이트(101, 101)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탄성 부재(108)가 하우징(52)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이동하면, 도 10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USB 메모리(50)의 하우징부(52)가 슬라이드 플레이트(101)에 의해 협지된다. 이것에 의해, USB 메모리(50)의 장착이 완료되고, 장착된 상태가 높은 보지력으로 보지된다.
USB 메모리(50)를 분리할 때는, 조작자는 조작 부재(120)를 상기와 반대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 조작함으로써 슬라이드 플레이트(101, 101)를 넓혀도 좋지만, 간단하게 실행하려면, 조작 부재(120)를 압입하면 좋다. 이것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플레이트(101)의 브레이크가 해제되고, 슬라이드 플레이트(101)는 자동적으로 기준 위치로 되돌아온다. 그 후, USB 메모리(50)의 커넥터부(51)를 포트(3)로부터 인발함으로써, USB 메모리(50)를 제어 장치(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1을 참조하여, USB 메모리의 하우징부의 폭이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기준 폭보다 큰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USB 메모리(50)의 하우징부(52)의 폭(WL)이 슬라이드 플레이트(101)의 기준 폭(Wo)보다 큰 경우에는, 그대로 USB 메모리(50)를 제어 장치(1)에 장착할 수 없다.
그래서, 도 1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자는 개폐 도어(4)를 개방한 상태로, 조작 부재(120)를 화살표(A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 조작시킨다. 이것에 의해, 전술의 도 3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어 부재(121)가[개폐 도어(4)를 내측에서 봄]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고, 지지 부재(102)가 스프링(107)의 신장하려고 하는 힘에 저항하고 가이드(103)를 따라서 미끄럼 운동하여, 슬라이드 플레이트(101, 101)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11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플레이트(101, 101)의 폭(W)[정확하게는 탄성 부재(108, 108)의 간격]이 하우징(52)의 폭(WL)보다 커지는 위치까지 이동하면, 조작자는 USB 메모리(50)의 커넥터부(51)를 포트(3)에 삽입하고, USB 메모리(50)를 제어 장치(1)에 장착한다. 이것에 의해, USB 메모리(50)는 하우징부(52)를 슬라이드 플레이트(101, 101) 사이에 관통 삽입하면서, 외팔보 비임 형상으로 지지된 상태가 된다.
다음에 도 11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자가 조작 부재(120)를 화살표(A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 조작시키면, 전술의 도 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어 부재(121)가 [개폐 도어(4)를 내측에서 봄]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고, 지지 부재(102)가 스프링(107)의 압축하려고 하는 힘에 저항하고 가이드(103)를 따라서 미끄럼 운동하여, 슬라이드 플레이트(101, 101)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탄성 부재(108)가 하우징(52)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이동하면, 도 11의 (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USB 메모리(50)의 하우징부(52)가 슬라이드 플레이트(101)에 의해 협지된다. 이것에 의해, USB 메모리(50)의 장착이 완료되고, 장착된 상태가 높은 보지력으로 보지된다.
USB 메모리(50)를 분리할 때는, 조작자는 조작 부재(120)를 상기와 반대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 조작함으로써 슬라이드 플레이트(101, 101)를 넓힌다. 그 후, USB 메모리(50)의 커넥터부(51)를 포트(3)로부터 인발함으로써, USB 메모리(50)를 제어 장치(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도 11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플레이트(101)가 개폐 도어(4)로부터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개폐 도어(4)를 폐쇄할 수 없지만, 조작 부재(120)를 압입함으로써, 슬라이드 플레이트(101)는 자동적으로 기준 위치로 되돌아오므로, 그 후 개폐 도어(4)를 폐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의 제어 장치(1)에 있어서는, USB 메모리(50)의 커넥터부(51)를 포트(3)에 삽입함으로써 USB 메모리(50)가 제어 장치(1)에 장착되고, 커넥터부(51)를 포트(3)로부터 인발함으로써 USB 메모리(50)가 제어 장치(1)로부터 분리된다. 제어 장치(1)의 포트(3) 근방에는 개폐 도어(4)가 마련되어 있으며, USB 메모리(50)의 비장착시에는 폐쇄되어 포트(3)를 차폐하고 있고, USB 메모리(50)의 장착 시에는 개방되어 포트(3)를 노출한다.
그리고, 개폐 도어(4)에는 파지 기구(100)가 마련되어 있다. 이 파지 기구(100)가, 장착된 USB 메모리(50)의 하우징부(52)를 파지함으로써, USB 메모리(50)의 커넥터부(51)가 포트(3)로부터 인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USB 메모리(50)의 장착 상태를 높은 보지력으로 보지할 수 있다. 또한, 파지 기구(100)를 개폐 도어(4)에 마련하고 있으므로, 개폐 도어(4)의 개방에 의해 파지 기구(100)가 제어 장치(1)의 하우징(2)의 외부로 이동하여, 파지 기구(100)에 의한 파지 동작이 제어 장치(1)의 하우징 형상 등에 의해서 제약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다종 다양한 크기, 형상을 갖는 USB 메모리(50)의 하우징부(52)를 파지하는 것이 가능해져,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USB 메모리(50)의 비장착시에 개폐 도어(4)를 폐쇄하여 포트(3)를 차폐하는 것에 의해서, 포트(3)의 전기적인 단락이나 통신 장애 등의 요인이 되는 분진 등이 포트(3)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히, 파지 기구(100)가 USB 메모리(50)의 하우징부(52)을 끼워 넣는 2개의 슬라이드 플레이트(101)를 개폐 도어(4)의 내면에 갖고 있다. 이 슬라이드 플레이트(101)는, 개폐 도어(4)의 한쪽편 및 다른쪽편에 배치된 슬라이드 플레이트(101)끼리가, 서로 원근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하우징부(52)가 폭이 넓은 USB 메모리(50)가 장착되었을 경우에는, 슬라이드 플레이트(101)끼리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하여 간격을 넓힘으로써, 하우징부(52)를 끼워 넣을 수 있다. 한편, 하우징부(52)가 폭이 좁은 USB 메모리(50)가 장착되었을 경우에는, 슬라이드 플레이트(101)끼리가 서로 근접하도록 이동하여 간격을 좁힘으로써, 하우징부(52)를 끼워 넣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다종 다양한 크기, 형상을 갖는 USB 메모리(50)의 하우징부(52)를 협지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플레이트(101)를 개폐 도어(4)의 내면에 마련하고 있으므로, USB 메모리(50)의 비장착시에 개폐 도어(4)를 폐쇄하면 슬라이드 플레이트(101)가 외부에 노출하는 일이 없어, 제어 장치(1)의 외관성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없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히, 파지 기구(100)가, 슬라이드 플레이트(101)끼리의 원근 방향의 이동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 부재(120)를 개폐 도어(4)의 외면에 갖고 있다. 이것에 의해, 조작자는 조작 부재(120)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슬라이드 플레이트(101)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USB 메모리(50)를 착탈할 때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히, 슬라이드 플레이트(101, 101)는, 원근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간격을 조정하여 USB 메모리(50)의 하우징부(52)의 크기에 대응한 협지 위치에, 하우징부(52)를 끼워 지지한다. 이 때, 기어 부재(121)의 돌기(126)와 개폐 도어(4)의 둥근 구멍(130)이 결합하는 것에 의한 브레이크 기능에 의해서, 슬라이드 플레이트(101)의 위치가 협지 위치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서 슬라이드 플레이트(101)가 협지 위치로부터 이동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USB 메모리(50)의 보지 기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플레이트(101)는 스프링(107)에 의해 상시 기준 위치로 되돌아오도록 부세되어 있지만, 브레이크 기능에 의해 슬라이드 플레이트(101)를 협지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히, 조작자가 조작 부재(120)를 압입함으로써, 지지 부재(102)의 랙 기어부(104)와 기어 부재(121)의 기어부(122)와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슬라이드 플레이트(101)의 브레이크가 해제된다. 브레이크가 해제되면, 슬라이드 플레이트(101)는 스프링(107)의 부세력에 의해 기준 위치로 되돌려진다. 이것에 의해, USB 메모리(50)가 분리되어 개폐 도어(4)를 폐쇄할 때, 이동된 슬라이드 플레이트(101)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기준 위치로 되돌릴 수 있다. 따라서, 개폐 도어(4)의 폐쇄 시에 슬라이드 플레이트(101)를 기준 위치로 되돌리는 수고를 대폭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히, 슬라이드 플레이트(101)에 있어서의 USB 메모리(50)의 하우징부(52)과의 접촉부에 탄성 부재(108)를 마련한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드 플레이트(101)와 하우징부(52)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USB 메모리(50)의 보지 기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USB 메모리(50)의 하우징부(52)의 형상이, 예를 들면 슬라이드 플레이트(101)에 대해 경사져 있거나 혹은 요철이 있는 경우에도, 탄성 부재(108)가 탄성 변형함으로써 하우징부(52)를 확실히 협지할 수 있다. 따라서, 다종 다양한 형상을 갖는 USB 메모리(50)의 하우징부(52)를 협지하는 것이 가능해져, 범용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드 플레이트(101)가 둥근 구멍(130)의 피치만큼을 따라 단계적으로 이동하므로, 협지 위치로 한 슬라이드 플레이트(101)끼리의 간격과 USB 메모리(50)의 하우징부의 폭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고려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슬라이드 플레이트(101)에 마련한 탄성 부재(108)가 하우징부(52)와 접촉하여 탄성 변형하는 것에 의해, 치수 차이를 허용하여, 하우징부(52)를 확실히 협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히, 개폐 도어(4)의 내면에 도전재로 도금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USB 메모리(50)의 비장착시에 개폐 도어(4)가 폐쇄된 상태에 있어서, 포트(3)가 발신원이 되어 제어 장치(1)의 외부에 노이즈를 방사하거나, 혹은 포트(3)가 노이즈의 수신원이 되어 제어 장치(1)에 오동작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포트(3)의 주위에도 도금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개폐 도어(4)가 개방되어 USB 메모리(50)가 장착된 상태에서도, 상기 노이즈의 발신·수신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에, 도 12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서,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는, 전술의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장착된 USB 메모리(50)의 하우징부(52)를 파지함으로써 높은 보지력으로 장착 상태를 보지하는 것이지만, 제 1 실시형태와는 파지 기구의 구성이 다른 것이다.
우선, 도 12를 참조하면서,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장치의 외관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11)의 하우징(12)의 한쪽편(도 12 중 좌하측)의 면에는, USB 메모리(50)의 커넥터부(51)가 삽입 되는 포트(13)가 마련되어 있다. 이하, 이 포트(13)의 설치측을 제어 장치(11)의 전방측으로 하여 설명한다. 포트(13)의 전방측 근방에는, 편측을 힌지 구조로 한 개폐 도어(14)가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개폐 도어(14)는, 개방 시에는 도 1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트(13)를 노출하고, 폐쇄 시에는 도 1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트(13)를 차폐한다. 개폐 도어(14)에는, 도 12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방 시에 USB 메모리(50)의 하우징부(52)를 파지하는 파지 기구(200)가 마련되어 있다. 이 파지 기구(200)는, 도 1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협지 부재(201)의 이동을 조작하기 위한 푸쉬 버튼(220)을 개폐 도어(14)의 외면에 갖고 있다.
다음에,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서, 파지 기구(200)의 상세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지 기구(200)는, USB 메모리(50)의 하우징부(52)를 양측으로부터 끼워 지지하기 위한 2개의 협지 부재(201, 201)를 갖고 있다. 2개의 협지 부재(201, 201)는, 개폐 도어(14)의 내면에 있어서의 한쪽편 및 다른쪽편(이 예에서는 상측 및 하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협지 부재(201)끼리가 서로 원근하는 방향(도 15 중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협지 부재(201)는 아암 부재(202)의 선단에 마련되어 있다. 각 아암 부재(202)는, 대략 "<" 형상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협지 부재(201)가 USB 메모리(50)의 하우징부(52)를 협지했을 때에 해당 하우징부(52)의 코너부에 접촉하지 않도록 도모되어 있다. 각 아암 부재(202)는, 개폐 도어(14)의 내면의 상측 및 하측에 마련된 축(203) 주위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축(203)은, 해당 축(203)보다 큰 직경의 축 지지부(204)를 거쳐서 개폐 도어(14)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폐 도어(14)가 측벽부(14a, 14b)를 갖는 상면에서 보아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축(203)의 양단이 축 지지부(204)를 거쳐서 측벽부(14a, 14b)에 지지되어 있다.
도 1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203)에는, 일단측이 아암 부재(202)에 고정되며, 타단측이 축(203)에 고정된 비틀림 코일 스프링(205)이 마련되어 있다. 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205)은, 협지 부재(201)끼리가 근접하는 방향(도 15 중 화살표 X 방향)으로 아암 부재(202)를 회동시키도록, 해당 아암 부재(202)를 상시 부세한다. 이 코일 스프링(205)의 부세력에 의해, 푸쉬 버튼(220)이 가압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암 부재(202) 및 협지 부재(201)는, 개폐 도어(14) 내[측벽부(14a, 14b)의 사이의 공간 내]에 수납되어 있다. 또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205)이,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제 2 부세 수단의 일예에 상당한다. 또한, 도 14에서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205)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14에, 개폐 도어(14)의 개폐 동작을 도시한다. 개폐 도어(14)는, 측벽부(14a)의 후방측(도 14 중 상측)에 마련한 축(14c)을 회전축으로 하고 하우징(1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도 1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폐 도어(14)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측벽부(14a, 14b)를 포함한 개폐 도어(14) 전체가 파지 기구(200)와 함께 하우징(12)의 오목부(12a) 내에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도 1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폐 도어(14)를 회전시켜, 도 14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폐 도어(14)를 축(14c)의 주위에 대략 90도 회전시키면, 개방 도어(14)는 개방된 상태가 되고, 포트(13)가 노출된다. 도 14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방 도어(14)의 개방 시에는, 측벽부(14b)가 파지 기구(200)의 전방측을 덮는 커버로서 기능한다. 이것에 의해, USB 메모리(50)나 조작자의 손가락이 파지 기구(200)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파지 기구(200)를 보호할 수 있는 동시에, 도어 개방 시의 제어 장치(11)의 외관성을 해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3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폐 도어(14)의 외측에 마련된 푸쉬 버튼(220)은, 개폐 도어(14)를 관통하여 마련된 축(221)을 거쳐서, 개폐 도어(14)의 내측에 마련된 장방형 상태의 가압판(222)과 연결되어 있다. 가압판(222)의 장변 방향 양단부는, 개폐 도어(14)의 상측 및 하측에 마련된 아암 부재(202)의 돌기(202a)에 각각 접촉하고 있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푸쉬 버튼(220)이 개폐 도어(14)측에 압입되면, 축(221) 및 가압판(222)이 이동하여 돌기(202a)가 가압되고, 각 아암 부재(202)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205)에 의한 부세력에 저항하여, 협지 부재(201)끼리가 멀어지는 방향(도 15 중 화살표 Y 방향)으로 회동한다.
한편, 도 13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221)에는 푸쉬 버튼(220)을 개폐 도어(14)와는 반대측으로 가압하여 되돌리도록 상시 부세하는 코일 스프링(223)이 마련되어 있다. 푸쉬 버튼(220)의 압입이 정지되면, 코일 스프링(223)의 부세력에 의해서 푸쉬 버튼(220), 축(221) 및 가압판(222)이 압입 전의 위치로 되돌아온다. 그 결과,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아암 부재(202)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205)에 의한 부세력에 의해, 협지 부재(201)끼리 근접하는 방향(도 15 중 화살표 X 방향)으로 회동한다. 또한 푸쉬 버튼(220)이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의 조작 부재의 일예에 상당한다. 또한, 도 14 및 도 15에서는, 코일 스프링(223)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파지 기구(200)의 구성에 의해,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푸쉬 버튼(220)의 조작(압입 및 압입 정지)에 의해, 각 아암 부재(202)가 Y 방향 및 X 방향으로 회동하고, 협지 부재(201, 201)의 간격이 G1~G2가 되는 범위에서 협지 부재(201)끼리가 서로 원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협지 부재(201)는, 대략 원주 형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협지 부재(201) 전체가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협지 부재(201)의 원주 형상의 외주면을 USB 메모리(50)의 하우징부(52)에 접촉시키는 구성으로함으로써, 아암 부재(202)의 회동에 의해 협지 부재(201)의 각도가 바뀌어도, 협지 부재(201)를 하우징부(52)에 동일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협지 부재(201) 전체를 탄성 재료로 구성함으로써, 외주면의 어느 부분이 하우징부(52)와 접촉하는 경우라도 탄성 재료를 접촉시킬 수 있어서, 협지 부재(201)와 하우징부(52)와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하우징부(52)의 형상이, 협지 부재(201)에 대해 경사져 있거나 혹은 요철이 있는 경우에서도, 협지 부재(201)가 탄성 변형함으로써 하우징부를 확실히 협지할 수 있다. 따라서, 협지 부재(201)에 의해, 다종 다양한 형상을 갖는 USB 디바이스를 협지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범용성이 향상된다.
또한, 협지 부재(201) 전체를 탄성 재료로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협지 부재(201)의 일부(예를 들면 외주면만)를 탄성 재료로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특별히 도시는 하지 않지만, 본 실시형태의 제어 장치(11)에 있어서도, 전술의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포트(13)를 둘러싸도록 그 주위에 도금 처리가 실시되어 있으며, 개폐 도어(14)의 내면의 거의 전역에 도금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다음에, 도 16을 참조하면서, USB 메모리(50)를 착탈할 때의 조작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푸쉬 버튼(220)이 압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아암 부재(202) 및 협지 부재(201)는, 개폐 도어(14) 내에 수납되어 있다[도 13의 (a)에 도시하는 상태]. 이 상태로부터, 도 16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자가 푸쉬 버튼(220)을 개폐 도어(14)측에 압입하는 것에 의해, 각 아암부재(202)가 회동하여, 협지 부재(201)끼리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협지 부재(201, 201)의 간격이 USB 메모리(50)의 하우징(52)보다 커지도록, 푸쉬 버튼(220)을 압입한다.
다음에, 도 1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자는 USB 메모리(50)의 커넥터부(51)를 포트(3)에 삽입하고, USB 메모리(50)를 제어 장치(1)에 장착한다. 이것에 의해, USB 메모리(50)는 하우징부(52)를 협지 부재(201, 201) 사이에 관통 삽입하면서, 외팔보 비임 형상으로 지지된 상태가 된다.
다음에 도 16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자가 푸쉬 버튼(220)의 가압을 멈추면, 푸쉬 버튼(220), 축(221) 및 가압판(222)이 코일 스프링(223)에 의해 가압 전의 위치로 되돌아오고, 각 아암 부재(202)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205)에 의해 협지 부재(201)끼리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것에 의해, 협지 부재(201)가 하우징(52)에 접촉하면, USB 메모리(50)의 하우징부(52)가 협지 부재(201)에 의해 협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USB 메모리(50)의 장착이 완료되고, 장착한 상태가 높은 보지력으로 보지된다.
또한, USB 메모리(50)를 분리할 때는, 상술과 반대의 순서로 조작을 수행하면 된다. 즉, 조작자는 푸쉬 버튼(220)을 재차 압입함으로써 협지 부재(201)를 이격시킨다. 그 후, USB 메모리(50)의 커넥터부(51)를 포트(3)로부터 인발함으로써, USB 메모리(50)를 제어 장치(1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의 제어 장치(11)에 있어서는, 전술의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파지 기구(200)가, 장착된 USB 메모리(50)의 하우징부(52)를 파지함으로써, USB 메모리(50)의 커넥터부(51)가 포트(3)로부터 인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USB 메모리(50)의 장착 상태를 높은 보지력으로 보지할 수 있다. 또한, 파지 기구(200)가 기어 구조 등을 갖지 않기 때문에,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어서, 부품 점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조작자는 푸쉬 버튼(220)의 압입 조작만을 실행하면 되기 때문에, USB 메모리(50)의 착탈 조작이 극히 용이하다.
또한, 각 아암 부재(202)가 각각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205)의 부세력에 의해 회동되는 구조상, 각 아암 부재(202)는 독립하여 회동한다. 그 결과,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USB 메모리(50)의 커넥터부(51)의 중심선[포트(3)의 중심선(Lo)]을 중심으로 하는 하우징부(52)의 상하 방향 치수(h1, h2)가 서로 다른 USB 메모리(50)라도, 협지 부재(201, 201)로 협지하여 보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협지 부재(201)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비대칭 형상을 갖는 USB 디바이스에 대해서도 협지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범용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변형 예>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취지 및 기술 목표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USB 디바이스의 일예로서 USB 메모리를 착탈하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그 이외의 USB 디바이스를 장착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외부 기억 장치,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입력 디바이스, 허브 등의 통신 디바이스, 그 이외의 USB로 케이블 접속하는 디바이스, 또는,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등의 통신 디바이스, 무선 마우스의 인터페이스, 그 이외의 케이블이 없는 디바이스 등, 다종 다양한 USB 디바이스를 장착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에 USB 케이블(7)을 장착했을 경우의 제어 장치(1, 11)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장치(1)가 PLC 등의 FA 기기인 경우를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으며, 제어 장치는 PC 등의 OA 기기라도 좋다. 또한, 반드시 어떠한 제어 대상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가 아니라도 좋으며, 상술한 바와 같은 USB 디바이스가 장착되는 기기이면,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개폐 도어(4, 14)가 장치의 측방에 개방하고, USB 메모리(50)의 하우징(52)을 상하 방향으로부터 끼우는 경우를 설명 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개폐 도어가 장치의 상하 방향으로 개방하며, 하우징(52)을 좌우 방향으로부터 끼우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부재(120) 또는 푸쉬 버튼(220)을 이용하여 조작자가 수동으로 슬라이드 플레이트(101) 또는 협지 부재(201)의 이동을 조작하도록 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으며, 모터를 이용하여 슬라이드 플레이트(101) 또는 협지 부재(201)가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는, 푸쉬 버튼(220)이 가압되는 것에 의해서 아암 부재(202, 202)가 넓어지는 방향[협지 부재(201)끼리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조작 부재를 푸쉬 버튼으로써 구성했을 경우를 일예로 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버튼이 당겨지는 것에 의해서 아암 부재(202, 202)가 넓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조작 부재를 당김 버튼으로서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조작자가 버튼의 인입을 멈추면 스프링력에 의해 버튼이 되돌려져 아암 부재(202) 및 협지 부재(201)가 개폐 도어(14) 내에 수납되도록 하면 좋다.
또한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는, 개폐 도어(14)가 측벽부(14a, 14b)를 갖는 대략 ㄷ자 형상인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했지만,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개폐 도어(14)를 대략 L자 형상[측벽부(14b)를 갖지 않는 구조]으로 하고, 축(203)의 일단만을 외팔보 비임 형상으로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축(14c)을, 측벽부(14a)의 전방측(도 20 중 하측)에 마련하는 것에 의해, 도 20의 (a) 내지 도 20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방 시에 개폐 도어(14)가 하우징(12)의 측방(도 20 중 좌측)에 돌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만일 대략 ㄷ자 형상의 개폐 도어(14)에 있어서 축(14c)을 측벽부(14a)의 전방측에 마련했을 경우, 도어 개폐 시의 측벽부(14b)와 오목부(12a)의 내벽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 오목부(12a)를 크게 할 필요가 있어, 하우징(12)의 대형화를 초래한다. 따라서, 본 변형 예와 같이 개폐 도어(14)를 대략 L자 형상으로 한 후에 축(14c)을 측벽부(14a)의 전방측에 마련함으로써, 하우징(12)의 대형화를 초래하는 일 없이 개폐 도어(14)의 돌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이미 설명한 이외에도, 상기 각 실시형태나 각 변형예에 의한 수법을 적절히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그 이외, 일일이 예시는 하지 않지만,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추가되어 실시되는 것이다.
1 : 제어 장치
3 : 포트
4 : 개폐 도어
11 : 제어 장치
14 : 개폐 도어
50 : USB 메모리(USB 디바이스)
51 : 커넥터부
52 : 하우징부
100 : 파지 기구
101 : 슬라이드 플레이트(협지 부재)
104 : 랙 기어부(위치 고정 수단)
107 : 스프링(제 1 부세 수단)
108 ; 탄성 부재
110 : 가압 스프링(위치 고정 수단)
120 : 조작 부재(고정 해제 수단)
122 : 기어부(위치 고정 수단)
126 : 돌기(위치 고정 수단)
130 ; 둥근 구멍(위치 고정 수단)
131 : 평탄부
132 : 압입 공간(고정 해제 수단)
200 : 파지 기구
201 : 협지 부재
203 : 축
205 : 비틀림 코일 스프링(제 2 부세 수단)
220 : 가압 버튼(조작 부재)

Claims (12)

  1. USB 디바이스가 착탈되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USB 디바이스의 커넥터부가 삽입되는 포트와,
    상기 포트의 근방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며, 개방 시에는 상기 포트를 노출하고, 폐쇄 시에는 상기 포트를 차폐하는 개폐 도어와,
    상기 개폐 도어에 마련되며, 상기 개폐 도어의 개방 시에 상기 USB 디바이스의 하우징부를 파지하는 파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파지 기구는, 상기 USB 디바이스의 상기 하우징부를 끼워 지지하는 적어도 2개의 협지 부재를 갖고 있으며,
    상기 협지 부재는,
    대향하여 배치된 상기 협지 부재끼리가 서로 원근 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상기 파지 기구는,
    상기 협지 부재끼리의 원근 방향의 이동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 부재를 상기 개폐 도어의 외면에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기구는,
    상기 협지 부재의 위치를, 상기 USB 디바이스의 상기 하우징부의 크기에 대응한 협지 위치에 고정하는 위치 고정 수단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기구는,
    상기 협지 부재를, 상기 개폐 도어가 폐쇄 가능한 미리 정해진 기준 위치로 되돌아오도록 부세하는 제 1 부세 수단과,
    상기 제 1 부세 수단의 부세력에 의해 상기 협지 부재를 상기 기준 위치로 되돌리기 위해서, 상기 위치 고정 수단에 의한 고정을 해제하는 고정 해제 수단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 부재는,
    상기 USB 디바이스의 상기 하우징부와의 접촉부에 탄성 부재를 마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기구는,
    상기 협지 부재를 선단에 구비하고,
    상기 개폐 도어에 마련된 축 주위에 회동 가능한 적어도 2개의 아암 부재를 갖고 있으며,
    상기 협지 부재끼리는,
    상기 아암 부재의 회동 동작에 의해, 서로 원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기구는,
    상기 축에 마련되며, 상기 협지 부재끼리가 근접하는 방향으로 상기 아암 부재를 회동시키는 제 2 부세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제 2 부세 수단에 의한 부세력에 저항하여, 상기 협지 부재 끼리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아암 부재를 회동시키는 푸쉬 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 부재는, 탄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1. 제 1 항 및 제 4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도어는,
    내면의 적어도 일부가 도금 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2. 제 1 항 및 제 4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SB 디바이스는,
    USB 메모리 또는 USB 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KR1020137011365A 2010-11-05 2011-08-19 제어 장치 KR1014578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48739 2010-11-05
JPJP-P-2010-248739 2010-11-05
PCT/JP2011/068788 WO2012060143A1 (ja) 2010-11-05 2011-08-19 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0647A KR20130070647A (ko) 2013-06-27
KR101457828B1 true KR101457828B1 (ko) 2014-11-04

Family

ID=46024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1365A KR101457828B1 (ko) 2010-11-05 2011-08-19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33718B2 (ko)
EP (1) EP2637259A4 (ko)
JP (1) JP5578339B2 (ko)
KR (1) KR101457828B1 (ko)
CN (1) CN103190039B (ko)
WO (1) WO20120601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828B1 (ko) * 2010-11-05 2014-11-04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카와덴키 제어 장치
TWI462025B (zh) * 2011-11-30 2014-11-21 Wistron Corp 具有可動式插卡結構之卡讀取器及電子裝置
KR101388893B1 (ko) 2013-03-22 2014-04-23 (주)테크베이스 Usb 호스트 기기와 주변기기 간의 보안 장치
CN104111706B (zh) * 2013-04-16 2018-03-20 鸿富锦精密电子(天津)有限公司 机箱
CN107681345B (zh) * 2016-08-01 2021-03-23 东莞莫仕连接器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
CN106627235B (zh) * 2017-01-04 2020-05-15 上海蔚来汽车有限公司 用于电动汽车快换接头的全自动防尘***
CN108777393B (zh) * 2018-05-29 2020-01-07 安徽天斯努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防护型云打印终端设备用连接接口
CN110212364B (zh) * 2019-04-17 2020-12-08 重庆彤星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电控***信息传输接口
JP7409891B2 (ja) * 2020-01-31 2024-01-09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CN112510438A (zh) * 2020-12-16 2021-03-16 杭州箬逸机器人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制造的高效防尘计算机usb连接固定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7980A (ja) * 1995-11-20 1997-06-06 Hitachi Ltd プラグの抜け止めカバー構造
JP2005108597A (ja) * 2003-09-30 2005-04-21 Hosiden Corp コネクタ
JP2007220506A (ja) * 2006-02-17 2007-08-30 Kenwood Corp 電子機器のコネクタ抜け止め構造。
KR20100008168A (ko) * 2008-07-15 2010-01-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유에스비 포트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27087C1 (de) * 1983-07-27 1984-08-16 Franz 8018 Grafing Lechner Zwischenstück zum Sichern von Netzsteckern gegen unbefugten Gerätegebrauch
US5483419A (en) * 1991-09-24 1996-01-09 Teac Corporation Hot-swappable multi-cartridge docking module
JPH0714575U (ja) * 1991-12-27 1995-03-10 センチュリーメディカル株式会社 コネクターのロック機構
US5288945A (en) * 1992-06-30 1994-02-22 Bruce Wayne K Electric outlet safety plate
US5735701A (en) * 1995-12-11 1998-04-07 Intel Corporation Locking power cable interface guard
JP2001118618A (ja) * 1999-10-18 2001-04-27 Jst Mfg Co Ltd コネクタ
JP3453131B2 (ja) 2001-11-15 2003-10-06 モルデック株式会社 集積回路用コネクタと、集積回路装着用組立体
US7264489B2 (en) * 2004-10-27 2007-09-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ual connector assembly with pivoting keep-out member
CN101091292B (zh) * 2005-01-07 2011-11-23 苹果公司 通用串行总线连接器和插座联接结构
JP2006294260A (ja) 2005-04-05 2006-10-26 Sharp Corp プラグ接続装置及びプラグ接続方法
US7364458B1 (en) * 2006-12-20 2008-04-29 Lotes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7374454B1 (en) * 2007-06-05 2008-05-20 Sure-Fire Electrical Corporation Wall plate assembly
JP2009135034A (ja) * 2007-11-30 2009-06-18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接続プラグおよび測定コード
JP2010021070A (ja) 2008-07-11 2010-01-28 Toshiba Corp Usbプラブ抜け防止装置
JP5547898B2 (ja) * 2009-03-04 2014-07-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蓋開閉装置
KR101457828B1 (ko) * 2010-11-05 2014-11-04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카와덴키 제어 장치
CN103594869A (zh) * 2012-08-15 2014-02-1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源插座
US8926358B2 (en) * 2013-04-15 2015-01-06 Adlink Technology Inc. USB connector positioning struct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7980A (ja) * 1995-11-20 1997-06-06 Hitachi Ltd プラグの抜け止めカバー構造
JP2005108597A (ja) * 2003-09-30 2005-04-21 Hosiden Corp コネクタ
JP2007220506A (ja) * 2006-02-17 2007-08-30 Kenwood Corp 電子機器のコネクタ抜け止め構造。
KR20100008168A (ko) * 2008-07-15 2010-01-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유에스비 포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190039B (zh) 2015-09-09
US9033718B2 (en) 2015-05-19
WO2012060143A1 (ja) 2012-05-10
US20130244461A1 (en) 2013-09-19
CN103190039A (zh) 2013-07-03
JPWO2012060143A1 (ja) 2014-05-12
EP2637259A1 (en) 2013-09-11
EP2637259A4 (en) 2015-01-07
KR20130070647A (ko) 2013-06-27
JP5578339B2 (ja) 2014-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7828B1 (ko) 제어 장치
US770400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9170160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US20130115794A1 (en) Small form factor plugable connector having a low profile releasing mechanism
JP4066951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GB2446716A (en) Connector with lockable lever
US10359811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detachable parts and a dust discharge mechanism
CN110161635B (zh) 光收发器
JP2013016297A (ja) コネクタ装置
JP5235815B2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JP2009275382A (ja) フューエルリッドロック構造
US7950949B2 (en)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system
JP2014173287A (ja) ロック装置
JP5830405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10281910A (ja) 光コネクタ装置
JP2002359037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WO2013161034A1 (ja) 制御装置
KR20180058201A (ko)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
JP6104091B2 (ja) ベルトサンダ
KR101779002B1 (ko) 인렛커넥터용 커버장치
JP2006221267A (ja) 記録媒体用開閉機構
JP3168566U (ja) ヒンジ用ピン
JP2019035246A (ja) 車両用ハンドル装置
JP5066620B2 (ja) 光コネクタ装置
JP5752914B2 (ja) 車両のドアインサイドハンド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