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2398B1 - 상단 일면에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가 제공된 봉합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상단 일면에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가 제공된 봉합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2398B1
KR101442398B1 KR1020130021895A KR20130021895A KR101442398B1 KR 101442398 B1 KR101442398 B1 KR 101442398B1 KR 1020130021895 A KR1020130021895 A KR 1020130021895A KR 20130021895 A KR20130021895 A KR 20130021895A KR 101442398 B1 KR101442398 B1 KR 101442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uture
adhesive
container
aluminum f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1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7832A (ko
Inventor
위세만
Original Assignee
위세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세만 filed Critical 위세만
Priority to KR1020130021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2398B1/ko
Priority to US14/385,203 priority patent/US9833979B2/en
Priority to AU2013232978A priority patent/AU2013232978B2/en
Priority to PCT/KR2013/001854 priority patent/WO2013137590A1/ko
Priority to CN201380014517.XA priority patent/CN104203765B/zh
Publication of KR20140107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7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398B1/ko
Priority to HK15100470.2A priority patent/HK1200155A1/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10Caps or cap-like covers adapted to be secured in position by permanent deformation of the wall-engaging parts
    • B65D41/14Caps or cap-like covers adapted to be secured in position by permanent deformation of the wall-engaging parts made of metallic foil or like thin flexi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1/00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 B32B2311/24Alumi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단 일면에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가 제공된 봉합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한 본 발명의 상단 일면에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가 제공된 봉합체는 개봉이 용이하도록 봉합체의 상단에 접착 면과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Tap Line)를 형성시켜 상기 파지부를 잡고 손쉽게 용기로부터 봉합체를 떼어낼 수 있도록 된 용기의 봉합체에 있어서, 상기 봉합체는 상기 용기의 봉합체 상단부에 위치하여 열접착성이 없는 재료로 된 표면층; 상기 표면층 아래에 적절한 두께를 가지고 위치된 탄성층; 상기 탄성층 하단에 라미네이트 되는 플라스틱 필름층; 및 상기 필름층 하단에 라미네이트된 열가소성 수지층으로 구성된 상층과; 상기 상층 아래에 위치된 알루미늄 호일층으로 구성된 중간층과; 상기 중간층 하단에 접착되어 열접착성 가소성 수지 또는 점착제로 된 용기와 접착이 되는 봉합 접착층으로 구성하고, 상기 상층의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된 상층 하단면과 중간층인 알루미늄 호일층 상단면에는 접착부 및 비접착부를 함께 형성함에 의해 파지부가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상단 일면에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가 제공된 봉합체 및 그 제조방법은 봉합체 상단에 접착 면과 접착되지 않은 면인 파지부를 보다 용이한 방법으로 형성하여 봉합체의 박리를 손쉽게 함으로서 보다 간편하게 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꺼내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용기의 입구와 손이 접촉되지 않게 함으로써 상기 용기의 입구에 이물질이 묻지 않아 위생상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특정한 층 구조를 가지는 봉합체를 제공하므로 제품의 불량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보다 용이한 작업성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또한 완제품의 컬링(curling)이 방지될 수 있는 우수한 작용효과를 가지는 봉합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상단 일면에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가 제공된 봉합체 및 그 제조방법{Container sealing product having the opening tap on the one sid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상단 일면에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가 제공된 봉합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개봉이 용이하도록 봉합체의 상단에 접착 면과 접착되지 않은 면(Tap Line)인 파지부를 형성시켜 손쉽게 용기로부터 봉합체를 떼어낼 수 있는 구조를, 제품의 불량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보다 용이한 작업성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또한 완제품의 컬링(curling)이 방지될 수 있는, 상단 일면에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가 제공된 봉합체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인 음료수나 의약품 등과 같이 기밀성을 요하는 제품은 용기에 포장되어 기밀성을 보장하기 위해 용기의 입구를 합성수지로 제조된 필름지의 형상으로 된 봉합체(이하, "봉합체"라 칭함)로 밀봉을 하는데, 이러한 봉합체는 음료수나 약품 등이 포장되는 플라스틱이나 유리병과 같은 여러 종류의 재질로 된 용기의 입구를 봉합하여 액상이나 습기가 많은 물질 또는 건조한 분말가루 같은 제품이 용기 밖으로 새어 나오거나 외부의 공기가 흡수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하지만 용기의 입구와 봉합체가 접합되는 부분이 전면적으로 접착되어 있어 밀봉에는 효과적이지만 내용물을 취출하고자 할 때에 상기 봉합체를 박리하여야 하는데, 이때 용기와 봉합체 사이에 틈이 없어 박리가 어렵고, 때에 따라서는 틈을 만들기 위해 손이나 가위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용기의 입구와 접촉되어 위생상의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몇 가지 방안들이 제시되었는데, 그 일예로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체의 테두리 부에 파지부를 형성하는 구성이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구성은 그 제조공정 및 비용상의 문제점과 파지부가 작아 봉합체를 개봉하기가 힘들다는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체에 손잡부를 작게 달아서 사용을 하는 것이 제안되어 졌다. 이러한 도 6b에 제시된 구조로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11073호에서는, "개봉이 용이하도록 봉합체의 상단면에 개봉꼭지(Tap)을 형성시켜 상기 개봉꼭지(Tap)를 잡고 손쉽게 용기로부터 봉합체를 떼어 낼 수 있도록 된 용기의 봉합체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봉합체 상단부에 위치하여 열 접착성이 없는 재료로 된 표면층; 상기 표면층에 적절한 두께로 얇은 열가소성 수지가 라미네이트 된 열접착 수지층; 상기 열접착 수지층 하단에 접착되어 있는 열가소성 수지 또는 접착제로 된 접착층; 상기 접착층과 접착되어 알루미늄 호일이나 플라스틱 필름 등으로 된 중간기재층; 상기 중간기재층 하단에 접착되어 열접착성 가소성 수지 또는 점착제로 된 용기와 접착이 되는 봉합접착층; 으로 구성되어 있는 개봉꼭지가 부착된 용기 봉합체"를 개시하였으며,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10-0040286호에서, "식료품의 용기용 밀봉재에 있어서, a) 플라스틱 상층; b) 플라스틱/발포제 접착층; c) 발포층; d) 발포제/호일 접착층; e) 금속 호일; 및 f) 열 밀봉층;을 동일영역(coextensive)에 걸쳐 포함하는 라미네이트로 형성되며, 상기 플라스틱/발포제 접착제는 상기 발포제를 상기 플라스틱 상층에, 이들이 마주하는 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접착하고, 상기 발포제/호일 접착층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란에서 설명된 180° 필 테스트(peel test)에 의하여 측정된, 적어도 8N/12.5mm 의 결합력으로, 상기 발포제를 상기 호일에 이들이 마주하는 면의 실질적인 전체 영역에 걸쳐 접착시키며, 여기에서 설명된 밀도 측정 방법에 의하여 계측됐을 때 0.6 내지 0.95 gml-1 범위 내에 있는 측정 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밀봉재"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에 제시된 방법들에 의한 봉합체는 그 제조공정이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높고 그리고 작업이 불편하여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단점이 여전히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었고, 이에 부응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6147호에서, "개봉이 용이하도록 봉합체의 상단에 접착 면과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을 형성시켜 상기 파지부를 잡고 손쉽게 용기로부터 봉합체를 떼어낼 수 있도록 된 용기의 봉합체에 있어서, 상기 봉합체는; 상기 용기의 봉합체 상단부에 위치하여 열접착성이 없는 재료로 된 표면층; 상기 표면층에 적절한 두께의 플라스틱필름으로 라미네이트 된 상층; 알루미늄 호일층과 플라스틱필름이나 폴리올레핀 발포제로 라미네이트된 중간층; 상기 중간층 하단에 접착되어 열접착성 가소성 수지 또는 점착제로 된 용기와 접착이 되는 봉합 접착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층의 플라스틱필름으로 구성된 상층 하단면과 알루미늄 호일층에 플라스틱필름 이나 폴리올레핀 발포제로 라미네이트 되어 있는 중간층의 상단면 알루미늄 호일층에 파지부가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단 일면에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가 제공된 봉합체"를 제안하였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봉합체는 중간층에 위치되는 발포제에 의해서 용기와의 봉합시 고주파를 높여야할 뿐 아니라 봉합 불량이 발생하고 또한 봉합체 완제품에서 컬링(curling) 현상이 발생하여 봉합작업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11073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10-0040286호 특허문헌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614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기술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 본 발명의 주목적은 개봉이 용이하도록 봉합체의 상단에 접착 면과 접착되지 않은 면(Tap Line)인 파지부를 형성시켜 손쉽게 용기로부터 봉합체를 떼어낼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봉합체를 보다 용이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방법에 의해 개봉이 용이하도록 봉합체의 상단에 접착 면과 접착되지 않은 면(Tap Line)인 파지부가 형성되어 손쉽게 이를 잡고 용기로부터 봉합체를 떼어내도록 할 수 있는, 그 특성이 우수한 봉합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방법에 의해 개봉이 용이하도록 하는 봉합체가 봉합 불량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보다 용이한 작업성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또한 완제품의 컬링(curling)이 방지될 수 있는 봉합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명확한 목적 이외에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통상인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다른 목적을 달성함을 그 목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상단 일면에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가 제공된 봉합체는;
개봉이 용이하도록 봉합체의 상단에 접착 면과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Tap Line)를 형성시켜 상기 파지부를 잡고 손쉽게 용기로부터 봉합체를 떼어낼 수 있도록 된 용기의 봉합체에 있어서, 상기 봉합체는;
상기 용기의 봉합체 상단부에 위치하여 열접착성이 없는 재료로 된 표면층;
상기 표면층 아래에 적절한 두께를 가지고 위치된 탄성층;
상기 탄성층 하단에 라미네이트 되는 플라스틱 필름층; 및
상기 필름층 하단에 라미네이트된 열가소성 수지층으로 구성된 상층과;
상기 상층 아래에 위치된 알루미늄 호일층으로 구성된 중간층과;
상기 중간층 하단에 접착되어 열접착성 가소성 수지 또는 점착제로 된 용기와 접착이 되는 봉합 접착층으로 구성하고,
상기 상층의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된 상층 하단면과 중간층인 알루미늄 호일층 상단면에는 접착부 및 비접착부를 함께 형성함에 의해 파지부가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탄성층은 열가소성 수지 또는 폴리올레핀 발포제가 라미네이트 되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접착층은 용제형 이액형 폴리우레탄 혼합물의 접착제에 의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접착층을 형성하는 접착제의 고형분은 60 내지 70%이고, 점도는 2,500 내지 3,500(25℃, mPa-s)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접착제는 소정의 접착력을 가지도록 도포량을 4 내지 6g/㎡으로 하고, 접착 면의 넓이는 10 내지 80mm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중간층인 알루미늄 호일층의 두께는 12㎛ 내지 50㎛의 범위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상단 일면에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가 제공된 봉합체의 제조방법은;
파지부(Tap Line)를 형성시키기 위한 봉합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열접착성이 없는 재료로 된 표면층에 열가소성 수지 또는 폴리올레핀 발포제를 발포하여 적절한 두께로 라미네이트하는 1단계;
상기 탄성층 하단에 플라스틱 필름층과 열가소성 수지층을 순차적으로 라미네이트하여 상층을 형성하는 2단계;
알루미늄 호일로 되는 중간층을 준비하는 3단계;
상기 중간층 하단에 열접착성 가소성 수지 또는 점착제로 되어 용기와 접착이 되는 봉합 접착층을 라미네이트하는 4단계;
상기 2단계에서 형성된 상층 하단의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된 면과 상기 3단계 알루미늄 호일 하단에 봉합 접착층이 라미네이트된 중간층의 알루미늄 호일 상면에 접착된 면과 접착되지 않는 파지부(Tap Line)를 형성하는 5단계; 및
상기 5단계에서 일체형으로 형성시킨 후 용기의 입구 사이즈에 맞게 절단 또는 천공하여 재단하는 제6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5단계의 파지부(Tap Line)를 형성하는 것은 일정한 간격으로 요홈이 형성된 롤을 이단으로 사용하여 일단에서 파지부(Tap Line)가 되는 부분에 일차로 이형 코팅(Release coating)제가 도포되도록 하고 이어서 이단에서 상기 파지부 외의 부분에 접착제가 도포되도록 하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6단계는 그 재단방식에 따라 파지부(Tap Line)를 봉합체의 봉합지 상단 중간에 위치한 형태와 봉합지 상단 끝에 위치한 형태로 제조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5단계의 접착면과 접착되지 않은 면인 파지부(Tap Line)를 형성하는 접착 면의 합지 작업 시의 속도는 분당 50 내지 70m로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만일, 상기 속도를 분당 70m 이상으로 하면 접착제의 과소한 도포 및 번짐이 발생하고, 반대로 50m 이하로 하면 작업속도의 저하뿐 아니라 과잉 접착 및 접착제의 번짐으로 접합력이 열악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이형(Release) 코팅제 작업 시 동판의 목수는 200~250목(目)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접착되지 않은 면인 파지부(Tap Line)의 작업 시 이형 코팅제의 도포량은 3 내지 4g/㎡을 하여 고주파 유도 가열 시 상층과 알루미늄 호일층 간의 열로 인한 접착성을 없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플라스틱필름 층은 천공 또는 재단 시 상층의 파지부가 휘어지는 것을 없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플라스틱 필름 층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상단 일면에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가 제공된 봉합체 및 그 제조방법은 봉합체 상단에 접착 면과 접착되지 않은 면인 파지부를 보다 용이한 방법으로 형성하여 봉합체의 박리를 손쉽게 함으로서 보다 간편하게 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꺼내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용기의 입구와 손이 접촉되지 않게 함으로써 상기 용기의 입구에 이물질이 묻지 않아 위생상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특정한 층 구조를 가지는 봉합체를 제공하므로 제품의 불량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보다 용이한 작업성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또한 완제품의 컬링(curling)이 방지될 수 있는 우수한 작용효과를 가지는 봉합체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파지부(Tap Line)가 형성된 봉합체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봉합체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공정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 파지부를 형성하기 위한 도포공정에 사용되는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봉합체를 사용되는 크기에 따라 절단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 형성된 파지부(Tap Line)를 세운 상태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6은 종래의 봉합체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들 봉합체가 용기의 입구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파지부(Tap Line)가 형성된 봉합체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봉합체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공정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 파지부를 형성하기 위한 도포공정에 사용되는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단 일면에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가 제공된 봉합체(1c)는 개봉이 용이하도록 봉합체의 상단에 접착 면과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Tap Line)를 형성시켜 상기 파지부를 잡고 손쉽게 용기로부터 봉합체를 떼어낼 수 있도록 된 용기의 봉합체로서, 상기 봉합체는 봉합체 상단부에 위치하여 열접착성이 없는 재료로 된 표면층(1), 상기 표면층 아래에 적절한 두께를 가지고 위치된 탄성층(2); 상기 탄성층(2) 하단에 라미네이트 되는 플라스틱 필름층(3); 및 상기 필름층(3) 하단에 라미네이트된 열가소성 수지층(4)으로 구성된 상층(1b)과; 상기 상층 아래에 위치된 알루미늄 호일층으로 구성된 중간층(6)과; 상기 중간층(6) 하단에 접착되어 열접착성 가소성 수지 또는 점착제로 된 용기와 접착이 되는 봉합 접착층(7)으로 구성하고, 상기 상층(1b)의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된 상층 하단면과 중간층(6)인 알루미늄 호일층 상단면에는 접착부(5b) 및 비접착부(5)를 함께 형성함에 의해, 상기 중간층과 접착되지 않은 상층(1b)의 부분이 파지부로 된다. 또한, 상기 탄성층은 열가소성 수지 또는 폴리올레핀 발포제가 라미네이트 되어 형성되어 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봉합체는 표면층(1)과 플라스틱 필름층(3) 사이에 열가소성 수지 또는 폴리올레핀 발포제가 라미네이트 되어 형성되는 중간층(2)을 형성하므로 봉합체의 제조 작업성을 용이하게 하면서 봉합체와 용기와의 실링 불량의 발생을 완전하게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특정한 층 구조를 제공함에 의해 완제품인 봉합체의 컬링을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접착부(5b)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기로는 용제형 이액형 폴리우레탄 혼합물의 접착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을 형성하는 접착제의 고형분은 바람직하기로는 60 내지 70%이고, 점도는 2,500 내지 3,500(25℃, mPa-s)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범위를 벗어난 접착제는 접착강도가 너무 높거나 또는 반대로 너무 낮아 본 발명에 따른 파지부에 의한 용이한 박리를 방해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더욱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에 따라 형성된 파지부에 의한 용이한 박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접착제의 도포량은 4 내지 6g/㎡으로 하고, 접착 면의 넓이는 10 내지 80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중간층(6)을 구성하는 알루미늄 호일은 그 두께를 12㎛ 내지 50㎛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2㎛ 미만에서는 강도가 약하여 바람직하지 않고, 50㎛를 초과하면 제조단가가 상승할 뿐 아니라 작업성이 열악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적절한 강도의 제공과 컬링의 방지 등의 측면에서 상기 범위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봉합체를 사용되는 크기에 따라 절단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 형성된 파지부(Tap Line)를 세운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용기를 봉하기 위해 용기의 입구에 매치되도록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여 용기를 봉합하고, 이러하게 봉합이 된 용기의 입구에 있는 봉합체를 손쉽게 떼어내기 위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봉합체의 상단 부위의 적절한 위치에 접착 면과 접착되지 않은 면으로 파지부가 되는 상층의 일 부분(도 5의 1b)을 형성시켜, 상기 파지부(1b)를 잡고 잡아당기어 용기의 입구 봉합면으로부터 봉합체의 봉합면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봉합체를 구성하는 부분은 상기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층(1b)의 하단 면과 중간층(6)인 알루미늄 호일층 사이에 접착면(5b)과 비접착면(5)으로 되는 파지부(Tap Line)를 형성시키는 형성층(5b, 5)과 용기의 입구와 실제 접착이 이루어지는 봉합 접착층(7)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봉합체의 구조를 형성시키기 위한 제조공정에 대해 자세하게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파지부가 형성된 봉합체의 파지부의 형성을 위해서는, 도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파지부(Tap Line)는 열접착성이 없는 표면층(1)에 열가소성 수지 또는 폴리올레핀 발포제를 발포하여 적절한 두께로 라미네이트하는 1단계; 상기 탄성층(2) 하단에 플라스틱 필름층(3)과 열가소성 수지층(4)을 순차적으로 라미네이트하여 상층(1b)을 형성하는 2단계; 알루미늄 호일로 되는 중간층(6)을 준비하는 3단계; 상기 중간층(6) 하단에 열접착성 가소성 수지 또는 점착제로 되어 용기와 접착이 되는 봉합 접착층(7)을 라미네이트하는 4단계; 상기 2단계에서 형성된 상층(1b) 하단의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된 면과 상기 3단계 알루미늄 호일 하단에 봉합 접착층이 라미네이트된 중간층(6)의 알루미늄 호일 상면에 접착부(5b)와 접착되지 않는 비접착부(5)에 의해 파지부(Tap Line)를 형성하는 5단계; 및 상기 5단계에서 일체형으로 형성시킨 후 용기의 입구 사이즈에 맞게 절단 또는 천공하여 재단하는 제6단계로 구성되어 진다. 이때, 상기 비접찹부(5)의 형성은 이것이 형성되는 면에 이형코팅을 하여 고주파 유도 가열 시 이 부분(5)이 알루미늄 호일로 된 중간층(6)과의 열로 인한 접착성을 없게 하는 것이다. 중간층(6)에는 그 하단에 라미네이트되는 봉합 접착층(7)이 형성되어 봉합층(1a)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2 및 3을 참고로 하면, 열접착성이 없는 표면층과 라미네이트 된 열가소성 수지 또는 폴리올레핀 발포제로 구성된 탄성층과 플라스틱 필름층 및 열가소성 수지층으로 구성된 상층(1b)이 도 3a와 같이 코팅되는 면과 코팅되지 않는 면을 형성하는 요홈을 가지는 롤러를 사용하여 이형코팅(5)을 하고, 이형코팅된 상층(2b)은 챔버(chamber; 10)을 통과 후 도면 3b의 접착되는 접착부(5b)과 접착되지 않는 비접착부(5)가 형성된 롤러를 사용하여 접착제에 의한 도포가 이루어지고 도포가 이루어진 원단(2c)은 챔버(10)을 통과하면서 건조가 이루어지고 건조된 원단(2c)은 압동 롤을 이용하여 봉합층(1a)과 합지가 된다. 합지되는 과정에서 접합되지 않은 비접합부(5)와 합지되는 접합부(5b)로 나뉘어져서 파지부(Tap Line)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용기와 접착이 이루어지는 봉합층(1a)은, 도 5에서 구조에 따라 실제 용기에 접착이 되는 열접착성 가소성 수지 또는 점착제로 이루어진 봉합 접착층(7)과 알루미늄 호일로 된 중간층(6)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들 층 사이에, 또는 중간층(6)의 위에 봉합체의 강도 향상, 차단성 증가 또는 내용물의 특정한 성질, 예를 들어 강산 등에 대한 내성의 증가를 목적으로 특정한 재질의 층이 부가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이들 부가 층은 상기한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절단 후의 강직성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다른 위치에 부가되어 질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접착부와 비접착부로 되는 파지부(Tap Line)를 형성하는 합지 작업의 속도는 분당 50 내지 70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속도를 분당 70m 이상으로 하면 접착제의 과소한 도포 및 번짐이 발생하고, 반대로 50m 이하로 하면 작업속도의 저하뿐 아니라 과잉 접착 및 접착제의 번짐으로 접합력이 열악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접착되지 않은 면인 파지부(Tap Line)의 작업 시 이형코팅제 동판의 목수는 200 내지 250목으로 하고, 이형 코팅제의 도포량은 3 내지 4g/㎡을 하여 고주파 유도가열 시 상층과 알루미늄 호일층 간의 열로 인한 접착성을 없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공정에 의해 일체형으로 형성시킨 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하는 용기의 입구에 맞게 절단 또는 천공하여 재단하는 단계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파지부가 형성된 용기 봉합체가 제조되어 진다. 이때, 바람직하기로는 그 재단방식에 따라 파지부를 봉합체의 봉합지 상단 중간에 위치한 형태와 봉합지 상단 끝에 위치한 형태로 조절하여 제조되도록 한다.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파지부가 형성된 용기 봉합체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기술하였지만, 그 내용은 하기 청구범위에 기술된 본 발명의 분야에만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발명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 표면층 2 --- 탄성층
3 --- 플라스틱 필름층 4 --- 열가소성 수지층
5 --- 비접착부 5b --- 접착부
6 --- 중간층 7 --- 봉합 접착층
1a --- 봉합층
1b --- 상층
1c --- 봉합체

Claims (13)

  1. 개봉이 용이하도록 봉합체의 상단에 접착 면과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Tap Line)를 형성시켜 상기 파지부를 잡고 손쉽게 용기로부터 봉합체를 떼어낼 수 있도록 된 용기의 봉합체로서, 표면층, 탄성층, 필름층, 알루미늄 호일층 및 접착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용기의 봉합체에 있어서, 상기 봉합체는;
    상기 용기의 봉합체 상단부에 위치하여 열접착성이 없는 재료로 된 표면층(1);
    상기 표면층(1) 아래에 위치된 탄성층(2);
    상기 탄성층(2) 하단에 라미네이트 되는 플라스틱 필름층(3); 및
    상기 필름층(3) 하단에 라미네이트된 열가소성 수지층(4)으로 구성된 상층(1b)과;
    상기 상층(1b) 아래에 위치된 알루미늄 호일층으로 구성된 중간층(6)과;
    상기 중간층(6) 하단에 접착되어 열접착성 가소성 수지 또는 점착제로 된 용기와 접착이 되는 봉합 접착층(7)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되고,
    상기 상층(1b)의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된 상층 하단면과 중간층(6)인 알루미늄 호일층 상단면에는 접착부(5b) 및 비접착부(5)를 함께 형성함에 의해 파지부가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단 일면에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가 제공된 봉합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층(2)은 열가소성 수지 또는 폴리올레핀 발포제가 라미네이트 되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단 일면에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가 제공된 봉합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 접착층(7)은 용제형 이액형 폴리우레탄 혼합물의 접착제에 의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단 일면에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가 제공된 봉합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 접착층(7)을 형성하는 접착제의 고형분은 60 내지 70%이고, 점도는 2,500 내지 3,500(25℃, mPa-s)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단 일면에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가 제공된 봉합체.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소정의 접착력을 가지도록 도포량을 4 내지 6g/㎡으로 하고, 접착 면의 넓이는 10 내지 80mm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단 일면에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가 제공된 봉합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6)인 알루미늄 호일층의 두께는 12㎛ 내지 50㎛의 범위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단 일면에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가 제공된 봉합체.
  7. 표면층, 탄성층, 필름층, 알루미늄 호일층 및 접착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용기의 봉합체에 파지부(Tap Line)를 형성시키기 위한 봉합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열접착성이 없는 재료로 된 표면층(1)에 열가소성 수지 또는 폴리올레핀 발포제를 발포하여 라미네이트하므로 탄성층(2)을 형성하는 1단계;
    상기 탄성층(2) 하단에 플라스틱 필름층(3)과 열가소성 수지층(4)을 순차적으로 라미네이트하여 상층(1b)을 형성하는 2단계;
    알루미늄 호일로 되는 중간층(6)을 준비하는 3단계;
    상기 중간층(6) 하단에 열접착성 가소성 수지 또는 점착제로 되어 용기와 접착이 되는 봉합 접착층(7)을 라미네이트하는 4단계;
    상기 2단계에서 형성된 상층 하단의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된 면과 상기 3단계 알루미늄 호일 하단에 봉합 접착층이 라미네이트된 중간층의 알루미늄 호일 상면에 접착된 면과 접착되지 않는 파지부(Tap Line)를 형성하는 5단계; 및
    상기 5단계에서 일체형으로 형성시킨 후 용기의 입구 사이즈에 맞게 절단 또는 천공하여 재단하는 제6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단 일면에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가 제공된 봉합체의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5단계의 파지부(Tap Line)를 형성하는 것은 일정한 간격으로 요홈이 형성된 롤을 이단으로 사용하여 일단에서 파지부(Tap Line)가 되는 부분에 일차로 이형 코팅(Release coating)제가 도포되도록 하고 이어서 이단에서 상기 파지부 외의 부분에 접착제가 도포되도록 하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단 일면에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가 제공된 봉합체의 제조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6단계는 그 재단방식에 따라 파지부(Tap Line)를 봉합체의 봉합지 상단 중간에 위치한 형태와 봉합지 상단 끝에 위치한 형태로 제조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단 일면에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가 제공된 봉합체의 제조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5단계의 접착면과 접착되지 않은 면인 파지부(Tap Line)를 형성하는 접착 면의 합지 작업 시의 속도는 분당 50 내지 70m로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단 일면에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가 제공된 봉합체의 제조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Release) 코팅제 작업 시 동판의 목수는 200 내지 250목(目)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단 일면에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가 제공된 봉합체의 제조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되지 않은 면인 파지부(Tap Line)의 작업 시 이형 코팅제의 도포량은 3 내지 4g/㎡을 하여 고주파 유도 가열 시 상층과 알루미늄 호일층 간의 열로 인한 접착성을 없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단 일면에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가 제공된 봉합체의 제조방법.
  13.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필름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단 일면에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가 제공된 봉합체의 제조방법.
KR1020130021895A 2012-03-15 2013-02-28 상단 일면에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가 제공된 봉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442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895A KR101442398B1 (ko) 2013-02-28 2013-02-28 상단 일면에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가 제공된 봉합체 및 그 제조방법
US14/385,203 US9833979B2 (en) 2012-03-15 2013-03-07 Seal provided with non-adhesive holding part on top surface thereof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U2013232978A AU2013232978B2 (en) 2012-03-15 2013-03-07 Seal provided with holding part not adhered to part of top surface thereof,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PCT/KR2013/001854 WO2013137590A1 (ko) 2012-03-15 2013-03-07 상단 일면에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가 제공된 봉합체 및 그 제조방법
CN201380014517.XA CN104203765B (zh) 2012-03-15 2013-03-07 在上端的一面设有未粘结的把持部的封装体及其制备方法
HK15100470.2A HK1200155A1 (zh) 2012-03-15 2015-01-15 在上端的面設有未粘結的把持部的封裝體及其製備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895A KR101442398B1 (ko) 2013-02-28 2013-02-28 상단 일면에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가 제공된 봉합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7832A KR20140107832A (ko) 2014-09-05
KR101442398B1 true KR101442398B1 (ko) 2014-09-22

Family

ID=51755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1895A KR101442398B1 (ko) 2012-03-15 2013-02-28 상단 일면에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가 제공된 봉합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23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7647B1 (ko) 2017-04-17 2017-12-11 주식회사 씰앤팩 양면접착이 가능한 고주파 유도가열 용기봉합체를 적용한 탬퍼기능을 갖는 콤팩트화장품용기
KR101879659B1 (ko) * 2017-04-17 2018-08-17 주식회사 씰앤팩 양면접착이 가능한 고주파 유도가열 용기봉합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147B1 (ko) * 2012-03-15 2012-10-30 위세만 상단 일면에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가 제공된 봉합체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147B1 (ko) * 2012-03-15 2012-10-30 위세만 상단 일면에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가 제공된 봉합체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7647B1 (ko) 2017-04-17 2017-12-11 주식회사 씰앤팩 양면접착이 가능한 고주파 유도가열 용기봉합체를 적용한 탬퍼기능을 갖는 콤팩트화장품용기
KR101879659B1 (ko) * 2017-04-17 2018-08-17 주식회사 씰앤팩 양면접착이 가능한 고주파 유도가열 용기봉합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7832A (ko) 2014-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53602B2 (ja) 容器口部密封用インナーシール材
AU2019283781B2 (en) Multi-layer film and reclosable film package
JP6749921B2 (ja) 多層フィルム及び再封可能なフィルムパッケージ
WO2013146978A1 (ja) レトルト殺菌包装容器用の蓋材
US11123963B2 (en) Multi-layer film and reclosable film package
JP2020528031A (ja) 縁部が密閉されたパウチを製造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20170152068A1 (en) Bag Sealing Tape, and Banding Device and Banding Method Using the Bag Sealing Tape
KR101442398B1 (ko) 상단 일면에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가 제공된 봉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196147B1 (ko) 상단 일면에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가 제공된 봉합체 및 그 제조방법
US9833979B2 (en) Seal provided with non-adhesive holding part on top surface thereof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1762378B8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Laminates für einen Verpackungsbehälter
US20200277121A1 (en) Sealing cover having opening tap for container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20148306A1 (en) A label laminate web with open-closure type clean peel removabl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JP4935016B2 (ja) 再封性包装袋
JP4478232B2 (ja) 胴貼りスリーブの製造装置
JP2014069883A (ja) 包装袋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81010A (ja) 包装用フイルム
JP6103581B2 (ja) 包材および包装体
JP5243393B2 (ja) 包装開封用シート
JP3083025U (ja) 粘着用テープ体
KR200412984Y1 (ko) 개봉꼭지가 부착된 용기 봉합체
JP4765299B2 (ja) 高周波シール用インナーシール材
JP2019199268A (ja) 包装体
JP2004123191A (ja) 密封フィルム材
JP2014237452A (ja) 紙製液体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