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3896B1 - 설비 상태 검지 장치, 설비 상태 검지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설비 상태 검지 장치, 설비 상태 검지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3896B1
KR101413896B1 KR1020127004041A KR20127004041A KR101413896B1 KR 101413896 B1 KR101413896 B1 KR 101413896B1 KR 1020127004041 A KR1020127004041 A KR 1020127004041A KR 20127004041 A KR20127004041 A KR 20127004041A KR 101413896 B1 KR101413896 B1 KR 101413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state
detecting
operation stat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4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2569A (ko
Inventor
히데아키 타키구치
슈이치 미스미
켄지 야마무라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32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2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3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3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4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fault tolerance, reliability of production syste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6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monitoring or safet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3/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r the working of machines or other apparatus, other than vehicles
    • G07C3/02Registering or indicating working or idle time onl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7Measurements
    • G05B2219/37348Power, wattmeter voltage times curr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판재가 지지부에 도달하면, 프레스 가공기는 시작 신호를 출력하여 가압부를 하방향으로 움직인다. 입력 접수부는, 시작 신호의 입력을 접수한다(S11). 검지부는, 프레스 가공기는, 가동 상태라고 검지한다(S12). 가압부를 상방향으로 움직여서, 판재의 가공이 종료되면, 프레스 가공기는, 대기 신호를 출력한다. 입력 접수부는, 대기 신호의 입력을 접수한다(S11에서 NO, S13에서 YES). 검지부는, 프레스 가공기는, 대기 상태라고 검지한다(S14). 그리고, 판재가, 지지부로부터 재차 롤러 컨베이어상에 운반되면, 프레스 가공기는, 정지 신호를 출력한다. 입력 접수부는, 정지 신호의 입력을 접수한다(S11에서 NO, S13에서 NO). 검지부는, 프레스 가공기는, 정지 상태라고 검지한다(S15).

Description

설비 상태 검지 장치, 설비 상태 검지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EQUIPMENT STATE DETECTION APPARATUS, EQUIPMENT STATE DETEC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설비 상태 검지 장치, 설비 상태 검지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운전 상태를 유지하는 설비에 이용되는 설비 상태 검지 장치, 설비 상태 검지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프레스 가공기 등으로 구성되는 설비의 운전 상태에는, 복수의 상태가 있다. 예를 들면, 피가공 부재에 대해 가공을 행하고 있는 가동 상태나, 피가공 부재가 준비 완료로 될 때까지 피가공 부재를 기다리는 대기 상태이다. 이와 같은 설비의 운전 상태를, 설비의 운전 상태에 대한 물리량을 계측함에 의해, 검지하는 장치가, 예를 들면, 일본 특개2001-52221호 공보(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의하면, 장치는, 적산전력계를 구비하는 구성이고, 물리량으로서 설비가 소비한 전력 적산치를, 예를 들면 10분마다 계측한다. 그리고, 계측한 2개의 전력 적산치의 차분을 프로세서에서 연산하여, 평균 전력량을 구한다. 이에 의해, 구한 평균 전력량이, 어느 운전 상태의 검출 허용폭 내에 들어가는지를 판단하여, 설비의 운전 상태를 검지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1-52221호 공보(단락 번호 0021 내지 0023 등)
여기서,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장치에서는, 평균 전력량을 구함에 의해, 설비의 운전 상태를 검지한다. 따라서 설비의 운전 상태를 검지하기 위해, 프로세서에서 계측한 2개의 전력 적산치의 차분의 연산 등을 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장치에서는, 계측한 전력 적산치를 보조 기억 장치에 기억하고, 일보나 월보로서, 설비 관리자에게 보고하고 있다. 여기서, 설비를 둘러싸는 상황은, 가끔 시시각각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보고로는, 변화에 대응하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이한 방법으로, 설비의 운전 상태를 정확하게 검지 가능한 설비 상태 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이한 방법으로, 설비의 운전 상태를 정확하게 검지 가능한 설비 상태 검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간이한 방법으로, 설비의 운전 상태를 정확하게 검지 가능한 설비 상태 검지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비 상태 검지 장치는, 설비의 운전 상태를 검지 가능한 설비 상태 검지 장치로서, 설비의 운전 상태는, 작업을 행하고 있는 가동 상태와, 작업을 행하지 않는 비가동 상태를 가지며, 설비의 운전 상태에 관한 리얼타임의 상태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한 상태 데이터에 의해, 설비가 가동 상태인 것을 검지하는 제 1의 검지 수단과,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한 상태 데이터에 의해, 설비가 비가동 상태인 것을 검지하는 제 2의 검지 수단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설비 상태 검지 장치는, 설비의 운전 상태에 관한 리얼타임의 상태 데이터를 취득하여, 취득한 상태 데이터에 의해, 설비의 운전 상태를 검지한다. 따라서 설비의 운전 상태의 검지를 리얼타임의 상태 데이터에 의거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태 데이터의 차분을 연산 등을 할 필요는 없다. 그 결과, 간이한 방법으로, 설비의 운전 상태를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설비의 운전 상태를 보고하는 경우에도, 리얼타임의 상태 데이터에 의거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설비 상태 검지 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에 접속되어 있고, 설비의 운전 상태를 서버에 통지하는 경우에도, 리얼타임의 상태 데이터에 의거한 데이터를 통지할 수 있다.
취득 수단은, 설비에 의해, 작업을 시작할 때에 출력되는 시작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는 시작 신호 접수 수단과, 설비에 의해, 작업을 종료할 때에 출력되는 종료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는 종료 신호 접수 수단을 포함하고, 제 1의 검지 수단은, 시작 신호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한 시작 신호에 의해, 설비가 가동 상태인 것을 검지하고, 제 2의 검지 수단은, 종료 신호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한 종료 신호에 의해, 설비가 비가동 상태인 것을 검지한다. 이렇게 함에 의해, 설비가 작업시에 출력하는 신호를 판단할 뿐으로, 정확하게 운전 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비가동 상태는, 작업을 대기하는 대기 상태와, 작업을 정지하는 정지 상태를 포함하고, 종료 신호 접수 수단은, 설비에 의해, 작업을 대기할 때에 출력되는 대기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는 대기 신호 접수 수단과, 설비에 의해, 작업을 정지할 때에 출력되는 정지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는 정지 신호 접수 수단을 포함하고, 제 2의 검지 수단은, 대기 신호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한 대기 신호에 의해, 설비가 대기 상태인 것을 검지하고, 정지 신호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한 정지 신호에 의해, 설비가 정지 상태인 것을 검지한다. 이렇게 함에 의해, 설비의 운전 상태를 상세히 분류하여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취득 수단은, 설비의 운전 상태에 응하여 변화하는 물리량을 계측하는 계측 수단과, 소정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포함하고, 검지 수단은, 시작 신호 및 종료 신호중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취득할 수가 없으면, 계측 수단에 의해 계측한 물리량을,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한 소정의 임계치와 비교함에 의해, 설비의 운전 상태를 검지한다. 이렇게 함에 의해, 신호의 취득을 할 수가 없더라도, 계측한 물리량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설비의 운전 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취득 수단은, 설비의 운전 상태에 응하여 변화하는 물리량을 계측하는 계측 수단과, 소정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포함하고, 검지 수단은, 계측 수단에 의해 계측한 물리량을,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한 소정의 임계치와 비교함에 의해, 설비의 운전 상태를 검지한다. 이렇게 함에 의해, 소정의 임계치와 비교할 뿐으로, 용이하게 설비의 운전 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물리량은, 물리량에 의거하여 변환된 통계량을 포함한다. 이렇게 함에 의해, 다양한 데이터에 의거하여, 설비의 운전 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물리량은, 주기적으로 변화하고, 검지 수단은, 제 1의 주기의 파형과, 제 1의 주기와는 다른 제 2의 주기의 파형을 비교하여, 파형의 차가 소정의 범위 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을 포함한다. 이렇게 함에 의해, 설비의 운전 상태에 맞추어서, 설비의 이상(異常) 등을 검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검지 수단은, 제 1의 주기의 파형 중의 가동 상태에서의 파형과, 제 2의 주기의 파형 중의 가동 상태에서의 파형을 비교한다. 이렇게 함에 의해, 설비가 가동 상태일 때의 설비의 손모(損耗)나, 설비를 사용하는 유저가 의도하지 않은 설비에 대한 상황 변화 등을 용이하게 검지할 수 있다.
설비 상태 검지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에 접속 가능하고,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한 설비의 운전 상태를 집약하는 집약 수단과, 집약 수단에 의해 집약한 설비의 운전 상태를, 소정의 타이밍에서 서버에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구비한다.
여기서, 종래에는, 기계 설비용의 적산전력계로서, 상세히 데이터를 취득하려고 하면, 1wh(와트시) 등의 단위 적산전력치마다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설정으로 되기 때문에, 샘플링 주기가 짧아지고, 서버에의 통신 빈도가 올라가 버린다. 그러면, 통신 회선의 이상(異常) 등을 일으켜 버릴 우려가 있다.
한편, 종래에는, 계측한 적산전력치를 보조 기억 장치에 기억함에 의해, 일보나 월보로서, 데이터를 집약하여 설비 관리자에게 보고하고 있다. 여기서, 설비를 둘러싸는 상황은, 시시각각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보고로는 충분하지가 않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에 의해, 설비의 운전 상태의 통지를 소정의 타이밍에서 행할 수 있다. 소정의 타이밍이란, 예를 들면, 소정의 시간 간격이나, 설비의 운전 사이클 등이고, 설비 관리자 등의 유저의 사정에 응한 임의의 타이밍이다. 이에 의해, 유저의 사정에 응하여, 설비의 운전 상태를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단순한 펄스 신호의 출력이 아니라, 설비의 운전 상태를 나타내는 운전 데이터를 집약하여 통지하기 때문에, 샘플링 주기가 짧게 된 경우라도, 서버에 통신하는 데이터의 양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설비가 설치되는 공장 등에 있어서, 검지 대상이 되는 설비의 설치 대수 등이 많고, 규모가 큰 경우에도, 안정하게 서버에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에너지 절약의 관점에서도 유효하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서는, 설비의 운전 상태를 검지 가능한 설비 상태 검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설비의 운전 상태는, 작업을 행하고 있는 가동 상태와, 작업을 행하지 않는 비가동 상태를 가지며, 설비의 운전 상태에 관한 리얼타임의 상태 데이터를 취득하는 과정과, 취득한 상태 데이터에 의해, 설비가 가동 상태인 것을 검지하는 과정과, 취득한 상태 데이터에 의해, 설비가 비가동 상태인 것을 검지하는 과정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설비 상태 검지 방법은, 설비의 운전 상태에 관한 리얼타임의 상태 데이터를 취득하여, 취득한 상태 데이터에 의해, 설비의 운전 상태를 검지한다. 따라서 설비의 운전 상태의 검지를 리얼타임의 상태 데이터에 의거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태 데이터의 차분을 연산 등을 할 필요는 없다. 그 결과, 간이한 방법으로, 설비의 운전 상태를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서는, 컴퓨터를, 설비의 운전 상태를 검지 가능한 설비 상태 검지 장치로서 작동시키는 설비 상태 검지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설비 상태 검지용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작업을 행하고 있는 가동 상태와, 작업을 행하지 않는 비가동 상태를 포함하는 설비의 운전 상태에 관한 리얼타임의 상태 데이터를 취득하는 스텝과, 취득한 상태 데이터에 의해, 설비가 가동 상태인 것을 검지하는 스텝과, 취득한 상태 데이터에 의해, 설비가 비가동 상태인 것을 검지하는 스텝을 실행시킨다.
이와 같은 설비 상태 검지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에 의해, 컴퓨터를 설비 상태 검지 장치로서 작동시켜서, 설비의 운전 상태에 관한 리얼타임의 상태 데이터를 취득하여, 취득한 상태 데이터에 의해, 설비의 운전 상태를 검지시킨다. 따라서 설비의 운전 상태의 검지를 리얼타임의 상태 데이터에 의거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태 데이터의 차분을 연산 등을 할 필요는 없다. 그 결과, 간이한 방법으로, 설비의 운전 상태를 정확하게 검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설비 상태 검지 장치는, 설비의 운전 상태에 관한 리얼타임의 상태 데이터를 취득하여, 취득한 상태 데이터에 의해, 설비의 운전 상태를 검지한다. 따라서 설비의 운전 상태의 검지를 리얼타임의 상태 데이터에 의거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태 데이터의 차분을 연산 등을 할 필요는 없다. 그 결과, 간이한 방법으로, 설비의 운전 상태를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설비의 운전 상태를 보고하는 경우에도, 리얼타임의 상태 데이터에 의거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설비 상태 검지 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에 접속되어 있고, 설비의 운전 상태를 서버에 통지하는 경우에도, 리얼타임의 상태 데이터에 의거한 데이터를 통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설비 상태 검지 방법은, 설비의 운전 상태에 관한 리얼타임의 상태 데이터를 취득하여, 취득한 상태 데이터에 의해, 설비의 운전 상태를 검지한다. 따라서 설비의 운전 상태의 검지를 리얼타임의 상태 데이터에 의거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태 데이터의 차분을 연산 등을 할 필요는 없다. 그 결과, 간이한 방법으로, 설비의 운전 상태를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설비 상태 검지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에 의해, 컴퓨터를 설비 상태 검지 장치로서 작동시키고, 설비의 운전 상태에 관한 리얼타임의 상태 데이터를 취득하여, 취득한 상태 데이터에 의해, 설비의 운전 상태를 검지시킨다. 따라서 설비의 운전 상태의 검지를 리얼타임의 상태 데이터에 의거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태 데이터의 차분을 연산 등을 할 필요는 없다. 그 결과, 간이한 방법으로, 설비의 운전 상태를 정확하게 검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설비 상태 검지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설비 상태 검지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설비 상태 검지 장치를 프레스 가공기에 부착한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설비 상태 검지 장치를 이용하여, 프레스 가공기의 운전 상태를 검지하는 경우에 관해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5는 프레스 가공기의 운전 상태의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설비 상태 검지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7은 설비 상태 검지 장치를 전력계에 부착한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설비 상태 검지 장치를 이용하여, 프레스 가공기의 운전 상태를 검지하는 경우에 관해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9는 프레스 가공기의 소비 전력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10은 도 6의 실시 형태에 도시하는 설비 상태 검지 장치에 있어서, 파형 판단부를 제어부에 추가한 경우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1은 도 6의 실시 형태에 도시하는 설비 상태 검지 장치에 있어서, 통지부 및 집약부를 제어부에 추가한 경우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2는 신호를 이용함과 함께, 전력량을 계측하는 설비 상태 검지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3은 설비로부터의 신호의 취득을 할 수가 없는 경우에, 전력량을 계측하여, 설비의 운전 상태를 검지하는 경우에 관해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설비 상태 검지 장치에 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설비 상태 검지 장치(1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설비 상태 검지 장치(1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설비 상태 검지 장치(10)는, 가공기 등의 설비에 부착되고, 설비의 운전 상태를 검지한다. 운전 상태란, 작업을 행하고 있는 가동 상태와, 작업을 행하지 않는 비가동 상태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또한, 비가동 상태란, 작업을 정지하는 정지 상태와, 작업을 대기하는 대기 상태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설비 상태 검지 장치(10)는, 사각 기둥형상으로서, 설비 상태 검지 장치(10)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11)와, 외부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부(16)와, 취득부(16)에 의해 취득한 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기억부(13)와, 기억부(13)에 기억한 데이터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18)를 구비한다.
제어부(11)는, 취득부(16)에 의해 취득한 데이터에 의거하여, 설비의 운전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부(17)를 포함한다. 취득부(16)는, 설비가 논리적 단자와 접속되어, 설비로부터의 상태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 접수부(12)와, 조작 버튼 등을 가지며, 유저로부터 설비 상태 검지 장치(10)에 대한 조작의 입력을 접수하는 설정부(15)를 포함한다. 표시부(18)는, 숫자나 알파벳을 포함하는 문자를 표시 가능하다. 또한, 표시부(18)는, 동그라미나 삼각 등의 기호를 표시 가능하다. 그리고, 설비의 각 운전 상태를 각 색으로 나누어서 표시하거나, 설비의 각 운전 상태의 적산 시간 등을 표시하거나, 설정부(15)를 통하여 유저로부터 조작된 내용을 표시하거나, 설비 상태 검지 장치(10)를 설비에 부착할 때의 에러 등을 표시한다. 이에 의해, 설비 상태 검지 장치(10)가 보존하는 정보를 유저에게 용이하게 시인(視認)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2중의 점선의 화살표는, 상태 신호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고, 1점 쇄선의 화살표는, 유저로부터 접수한 조작에 있어서의 신호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설비 상태 검지 장치(10)를 프레스 가공기에 부착한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도 3은, 설비 상태 검지 장치(10)를 프레스 가공기(9)에 마련한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프레스 가공기(9)에 관해 설명한다.
프레스 가공기(9)는, 예를 들면 롤러 컨베이어(26) 등과 접속되어 있고, 롤러 컨베이어(26)에 의해 운반되어 온 판재(20) 등을 가공한다. 그리고, 가공이 종료되면, 판재(20)를 재차 롤러 컨베이어(26)상에 운반한다. 또한, 도 3에서, 판재(20)의 운반 방향은, 왼쪽부터 오른쪽을 향하는 방향이다. 프레스 가공기(9)는, 그 위에 판재(20)를 재치하여 판재(20)를 지지하는 지지부(23)와, 지지부(23)에 지지된 판재(20)의 소정의 개소를 가압하는 가압부(21)와, 지지부(23)로부터 판재(20)가 제거된 것을 검지하는 센서(24)와, 프레스 가공기(9)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력의 공급원이 되는 전원, 가압부(21)의 구동원이 되는 모터나, 외부와의 인터페이스가 되는 입력단자를 갖는 컨트롤부(25)를 구비한다. 설비 상태 검지 장치(10)는, 컨트롤부(25)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프레스 가공기(9)의 운전 상태를 검지한다.
지지부(23)는, 소정 형상의 오목부(23a)가 마련되어 있고, 오목부(23a)를 덮도록 하여 판재(20)를 재치한다.
가압부(21)는, 입력단자를 통하여, 컨트롤부(25)와 접속하고 있고, 컨트롤부(25)의 모터의 회전에 의해, 도 3중의 화살표(Ⅲ)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운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하방향으로 움직인 때에, 판재(20)의 오목부(23a)에 해당한 개소를 가압한다. 이에 의해, 프레스 가공기(9)는, 판재(20)를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한다.
센서(24)는, 예를 들면 광전 센서로서, 입력단자를 통하여, 컨트롤부(25)와 접속하고 있고, 검지 결과를 통지한다. 구체적으로는, 판재(20)가 지지부(23)로부터 롤러 컨베이어(26)상에 운반된 것을 검지하고, 컨트롤부(25)에 그 취지를 통지한다.
컨트롤부(25)는, 프레스 가공기(9) 전체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거나, 프레스 가공기(9)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의 투입 및 절단 등을 제어한다. 또한, 전원이 투입되면, 모터의 회전이 시작되고, 전원이 절단되면, 모터의 회전이 정지한다.
또한, 컨트롤부(25)는, 설비 상태 검지 장치(10)에 대해, 상태 신호를 출력한다. 상태 신호로서는, 시작 신호와 종료 신호를 출력한다. 시작 신호는, 프레스 가공기(9)가 작업을 시작할 때에 출력하는 신호로서, 구체적으로는, 가압부(21)가 하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시작할 때에 출력하는 신호이다. 종료 신호는, 프레스 가공기(9)가 작업을 종료할 때에 출력하는 신호로서, 종료 신호는, 대기 신호와 정지 신호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대기 신호는, 가압부(21)가 상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종료할 때에 출력하는 신호이다. 정지 신호는, 센서(24)로부터 통지된 때에 출력하는 신호로서, 즉, 판재(20)가 지지부(23)로부터 롤러 컨베이어(26)상에 운반된 때에 출력하는 신호이다.
여기서, 설비 상태 검지 장치(10)를 이용하여, 프레스 가공기(9)의 운전 상태를 검지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도 4는, 설비 상태 검지 장치(10)를 이용하여, 프레스 가공기(9)의 운전 상태를 검지하는 경우에 관해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5는, 프레스 가공기(9)의 운전 상태의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5중의 P0의 시점에서, 프레스 가공기(9)의 전원이 투입되고, 도 5중의 P1의 시점에서, 프레스 가공기(9)에, 롤러 컨베이어(26)에 의해 판재(20)가 운반된다.
그리고, 판재(20)가 지지부(23)에 도달하면, 프레스 가공기(9)는, 시작 신호를 출력하여, 가압부(21)를 하방향으로 움직인다. 여기서, 입력 접수부(12)는, 시작 신호의 입력을 접수한다(도 4의 스텝 S11에서 YES, 이하, 스텝을 생략한다). 이에 의해, 설비 상태 검지 장치(10)는, 프레스 가공기(9)의 운전 상태에 관한 리얼타임의 상태 데이터를 취득한다. 즉, 프레스 가공기(9)로부터의 상태 신호가, 프레스 가공기(9)의 운전 상태에 관한 상태 데이터이다. 여기서, 입력 접수부(12)는, 시작 신호 접수 수단으로서 작동한다. 검지부(17)는, 시작 신호의 접수에 의해, 프레스 가공기(9)의 운전 상태는, 가동 상태라고 검지한다(S12). 가동 상태란, 가압부(21)를 움직여서, 판재(20)의 가공을 행하고 있는 상태이다. 여기서, 검지부(17)는, 제 1의 검지 수단으로서 작동한다. 이 때, 도 5중의 P2의 시점이 된다.
그리고, 가압부(21)를 상방향으로 움직여서, 판재(20)의 가공이 종료되면, 프레스 가공기(9)는, 대기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입력 접수부(12)는, 대기 신호의 입력을 접수한다(S11에서 NO, S13에서 YES). 여기서, 입력 접수부(12)는, 종료 신호 접수 수단 중, 대기 신호 접수 수단으로서 작동한다. 그러면, 검지부(17)는, 프레스 가공기(9)의 운전 상태는, 대기 상태라고 검지한다(S14). 대기 상태란, 예를 들면, 지지부(23)에 판재(20)는 재치되어 있지만, 가압부(21)의 동작은 종료하고 있는 상태이고, 판재(20)의 가공을 행하지 않는 상태이다. 여기서, 검지부(17)는, 제 2의 검지 수단으로서 작동한다. 이 때, 도 5중의 P3의 시점이 된다.
그리고, 판재(20)가, 지지부(23)로부터 재차 롤러 컨베이어(26)상에 운반되면, 프레스 가공기(9)는, 정지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입력 접수부(12)는, 정지 신호의 입력을 접수한다(S11에서 NO, S13에서 NO). 여기서, 입력 접수부(12)는, 종료 신호 접수 수단 중, 정지 신호 접수 수단으로서 작동한다. 그러면, 검지부(17)는, 프레스 가공기(9)의 운전 상태는, 정지 상태라고 검지한다(S15). 정지 상태란, 예를 들면, 지지부(23)에 판재(20)가 재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고, 판재(20)의 가공을 행하지 않는 상태이다. 여기서, 검지부(17)는, 제 2의 검지 수단으로서 작동한다. 이 때, 도 5중의 P4의 시점이 된다.
프레스 가공기(9)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복수의 판재(20)가 운반된다. 그러면, 시작 신호, 대기 신호 및 정지 신호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재(20)의 가공마다 출력되고, 가동 상태, 대기 상태 및 정지 상태가 주기적으로 추이(推移)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설비 상태 검지 장치(10)는, 설비의 운전 상태에 관한 리얼타임의 상태 데이터를 취득하여, 취득한 상태 데이터에 의해, 설비의 운전 상태를 검지한다. 따라서 설비의 운전 상태의 검지를 리얼타임의 상태 데이터에 의거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태 데이터의 차분(差分)을 연산 등을 할 필요는 없다. 그 결과, 간이한 방법으로, 설비의 운전 상태를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다.
즉, 이 실시 형태에서, 설비 상태 검지 장치(10)는, 일단 설비로부터 상태 신호가 출력되면, 다음의 상태 신호가 출력될 때까지는, 같은 운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설비의 운전 상태의 검지는, 신호의 변화만에 응한 것이고, 리얼타임의 상태 데이터란, 신호의 변화만의 데이터이다. 즉, 이 실시 형태에서, 리얼타임이란, 설비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변화만에 의거한 시간이고, 설비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만으로, 가동 상태, 대기 상태, 및 정지 상태를 구별 가능한 시간이다. 그리고, 리얼타임의 상태 데이터란, 현재의 설비의 상태 데이터가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설비 상태 검지 방법은, 설비의 운전 상태에 관한 리얼타임의 상태 데이터를 취득하여, 취득한 상태 데이터에 의해, 설비의 운전 상태를 검지한다. 따라서 설비의 운전 상태의 검지를 리얼타임의 상태 데이터에 의거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태 데이터의 차분을 연산 등을 할 필요는 없다. 그 결과, 간이한 방법으로, 설비의 운전 상태를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설비 상태 검지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에 의해, 컴퓨터를 설비 상태 검지 장치로서 작동시켜, 설비의 운전 상태에 관한 리얼타임의 상태 데이터를 취득하여, 취득한 상태 데이터에 의해, 설비의 운전 상태를 검지시킨다. 따라서 설비의 운전 상태의 검지를 리얼타임의 상태 데이터에 의거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태 데이터의 차분을 연산 등을 할 필요는 없다. 그 결과, 간이한 방법으로, 설비의 운전 상태를 정확하게 검지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프레스 가공기(9)가 작업할 때에 출력하는 신호를 판단할 뿐으로, 정확하게 운전 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후술하는 실시 형태인 계측부(51)에서 계측한 소비 전력의 변화가 작은 경우 등에, 특히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비가동 상태로서의 대기 상태 및 정지 상태를 검지할 수 있고, 설비의 운전 상태를 상세히 분류하여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시작 신호, 대기 신호 및 정지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는 예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으로 한하는 일 없이, 프레스 가공기(9)가 출력하는 신호에 응하여, 입력을 접수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롤러 컨베이어(26)가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하고, 롤러 컨베이어(26)가 가동할 때에 가동 신호를 출력함에 의해, 그 입력을 접수하여도 좋고, 롤러 컨베이어(26)가 정지할 때에 정지 신호를 출력함에 의해, 그 입력을 접수하여도 좋다. 또한, 프레스 가공기(9)에서, 지지부(23)에 판재(20)가 재치된 것을 검지하는 센서를 마련하고, 센서가 검지 결과를 컨트롤부(25)에 통지함에 의해, 그 입력을 접수하여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설비 상태 검지 장치(5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설비 상태 검지 장치(50)는, 상기한 실시 형태와 다른 점으로서, 취득부(55)에서, 계측부(51)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계측부(51)는, 설비 상태 검지 장치(50)가 부착된 설비의 소비 전력을 계측한다. 구체적으로는, 소정의 간격으로서, 예를 들면 1초 간격으로, 설비의 소비 전력을 계측한다. 이렇게 함에 의해, 상세히 설비의 소비 전력을 계측할 수 있다. 여기서, 계측부(51)는, 계측 수단으로서 작동한다. 또한, 입력 접수부(52)는, 계측부(51)에 의해 계측한 소비 전력의 데이터의 입력을 접수한다. 또한, 설정부(54)는, 유저로부터 제 1의 임계치 및 제 2의 임계치의 설정을 접수한다. 여기서, 설정부(54)는, 설정 수단으로서 작동한다. 기억부(53)는, 계측부(51)에 의해 계측한 소비 전력의 데이터를 기억한다. 또한, 기억부(53)는, 소정의 임계치로서, 설정부(54)를 통하여 설정된 제 1의 임계치 및 제 2의 임계치를 기억한다. 제 1의 임계치 및 제 2의 임계치는, 소정의 전력치를 나타내고 있고, 설비의 운전 상태를 검지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값이다. 또한, 표시부(58)는, 제어부(56)를 통하여, 소비 전력의 데이터를 표시하거나, 임계치를 표시한다.
그리고, 다른 구성에 관해서는, 상기한 실시 형태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6중의 실선의 화살표는, 소비 전력의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고, 1점 쇄선의 화살표는, 유저로부터 접수한 조작에 있어서 신호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설비 상태 검지 장치(50)를 전력계에 부착한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도 7은, 설비 상태 검지 장치(50)를 전력계(37)에 마련한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우선, 전력계(37)에 관해 설명한다.
전력계(37)는, 예를 들면, 상기한 프레스 가공기(9)의 컨트롤부(25)에 부착되어 있고, 프레스 가공기(9)의 소비 전력을 계측한다. 구체적으로는, 전력계(37)는, 외부와의 인터페이스가 되는 단자 등을 가지며, 프레스 가공기(9)의 소비 전력을 계측한다. 전력계(37)는, 예를 들면 RS-485 등의 통신 회선 경유로 허브(35)와 복수 접속되어 있다. 또한, 설비 상태 검지 장치(50)는, 전력계(37)마다 부착되어 있고, 복수의 프레스 가공기(9)의 운전 상태를 각각 검지한다. 허브(35)는, 예를 들면 이서넷(등록상표) 등의 통신 회선 경유로 서버(36)와 접속되어 있다. 서버(36)는, 예를 들면, 설비 상태 검지 장치(50)를 이용하는 유저에 의해 관리된다.
또한, 계측부(51)는, 소비 전력을 계측하고, 전력계(37)의 일부를 구성한다.
여기서, 설비 상태 검지 장치(50)를 이용하여, 프레스 가공기(9)의 운전 상태를 검지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도 8은, 설비 상태 검지 장치(50)를 이용하여, 프레스 가공기(9)의 운전 상태를 검지하는 경우에 관해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9는, 프레스 가공기(9)의 소비 전력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또한, 그래프중에서, 제 1의 임계치(w0)를 1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제 2의 임계치(w1)를 2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 1의 임계치(w0)는 0.4㎾이고, 제 2의 임계치(w1)는, 0.7㎾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프레스 가공기(9)의 전원이 투입된다. 그러면, 계측부(51)는, 소정의 간격으로서, 예를 들면 1초 간격으로 소비 전력의 계측을 시작하고(S21), 입력 접수부(52)는, 계측한 소비 전력의 데이터의 입력을 접수한다. 이에 의해, 설비 상태 검지 장치(50)는, 프레스 가공기(9)의 운전 상태에 관한 리얼타임의 상태 데이터를 취득한다. 즉, 프레스 가공기(9)의 소비 전력의 데이터가, 프레스 가공기(9)의 운전 상태에 관한 상태 데이터이다. 여기서, 계측부(51)는, 취득 수단으로서 작동한다. 계측한 소비 전력의 데이터의 하나는, 도 9의 t0에서 나타나고, 0.3㎾이다.
그러면, 검지부(57)는, 소비 전력의 데이터와 제 1의 임계치(w0)를 비교한다. 그리고, 소비 전력의 데이터가 제 1의 임계치(w0)보다 작다고 판단하면(S22에서 YES), 프레스 가공기(9)의 운전 상태는, 정지 상태라고 검지한다(S23). 여기서, 정지 상태란, 예를 들면 프레스 가공기(9)의 전원을 투입한 직후의 상태로서, 롤러 컨베이어(26)에 의해, 판재(20)가 운반되지 않은 상태이다.
다음에, 프레스 가공기(9)에는, 롤러 컨베이어(26)에 의해 판재(20)가 운반된다. 이 때, 계측부(51)가 계측한 소비 전력의 데이터의 하나는, 도 9의 t1에서 나타나고, 0.6㎾이다.
그러면, 검지부(57)는, 소비 전력의 데이터와 제 1의 임계치(w0)를 비교한다. 그리고, 소비 전력의 데이터가 제 1의 임계치(w0)보다 크다고 판단하면(S22에서 NO), 검지부(57)는, 소비 전력의 데이터와 제 2의 임계치(w1)를 비교한다. 그리고, 소비 전력의 데이터가 제 2의 임계치(w1)보다 작다고 판단하면(S24에서 YES), 프레스 가공기(9)의 운전 상태는, 대기 상태라고 검지한다(S25). 여기서, 대기 상태란, 예를 들면 롤러 컨베이어(26)에 의해 판재(20)가 운반되고 있지만, 지지부(23)까지 도달하고 있지 않고, 판재(20)의 가공은 행하지 않는 상태이다. 여기서, 검지부(57)는, 제 2의 검지 수단으로서 작동한다.
그리고, 판재(20)가 지지부(23)에 도달하면, 프레스 가공기(9)는, 가압부(21)를 하방향으로 움직인다. 이 때, 계측부(51)가 계측한 소비 전력의 데이터의 하나는, 도 9의 t2에서 나타나고, 0.8㎾이다.
그러면, 검지부(57)는, 소비 전력의 데이터와 제 1의 임계치(w0)를 비교한다. 그리고, 소비 전력의 데이터가 제 1의 임계치(w0)보다 크다고 판단하면(S22에서 NO), 검지부(57)는, 소비 전력의 데이터와 제 2의 임계치(w1)를 비교한다. 그리고, 소비 전력의 데이터가 제 2의 임계치(w1)보다 크다고 판단하면(S24에서 NO), 프레스 가공기(9)의 운전 상태는, 가동 상태라고 검지한다(S26). 여기서, 가동 상태란, 가압부(21)를 움직여서, 판재(20)의 가공을 행하고 있는 상태이다. 여기서, 검지부(57)는, 제 1의 검지 수단으로서 작동한다.
그리고, 프레스 가공기(9)는, 가압부(21)를 상방향으로 움직여서, 판재(20)의 가공을 종료한다. 이 때, 계측부(51)가 계측한 소비 전력의 데이터의 하나는, 도 9의 t3에서 나타나고, 0.6㎾이다.
그러면, 검지부(57)는, 소비 전력의 데이터와 제 1의 임계치(w0)를 비교한다. 그리고, 소비 전력의 데이터가 제 1의 임계치(w0)보다 크다고 판단하면(S22에서 NO), 검지부(57)는, 소비 전력의 데이터와 제 2의 임계치(w1)를 비교한다. 그리고, 소비 전력의 데이터가 제 2의 임계치(w1)보다 작다고 판단하면(S24에서 YES), 프레스 가공기(9)는, 대기 상태라고 검지한다(S25).
이와 같이, 설비 상태 검지 장치(50)는, 설비의 운전 상태에 관한 리얼타임의 상태 데이터를 취득하여, 취득한 상태 데이터에 의해, 설비의 운전 상태를 검지한다. 즉, 이 실시 형태에서는, 계측부(51)에 의해 계측한 소비 전력의 데이터에 의해, 설비의 운전 상태를 검지한다. 따라서 소정의 임계치와 비교할 뿐이면 좋기 때문에, 용이하게 설비의 운전 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즉, 이 실시 형태에서, 설비 상태 검지 장치(50)는, 1초 간격으로 계측한 소비 전력의 데이터와 임계치를 그때마다 비교하여, 설비의 운전 상태를 검지한다. 따라서 설비의 운전 상태의 검지는, 운전 상태의 변화의 유무에 관계없이 행하는 것이 되고, 리얼타임의 상태 데이터란, 운전 상태의 변화의 유무에 관계없이 각 운전 상태의 계속 시간보다 짧은 일정한 시간에 통지되는 데이터이다. 즉, 이 실시 형태에서, 리얼타임란, 설비의 각 운전 상태의 계속 시간보다도 짧은 간격으로, 가동 상태, 대기 상태, 및 정지 상태를 구별 가능한 시간이다.
또한, 복수의 전력계(37)에 부착한 경우라도, 설비마다의 운전 상태의 검지를 리얼타임의 상태 데이터에 의거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프레스 가공기(9)에는, 소정의 간격을 띠우고, 순차적으로, 복수의 판재(20)가 운반된다. 그러면, 소비 전력의 데이터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판재(20)의 가공마다, 대기 상태 및 가동 상태가 주기적으로 추이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소비 전력의 변화를 비교하여, 프레스 가공기(9)의 운전 상태를 검지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제 1의 판재의 가공시에 있어서의 소비 전력의 변화, 즉, 도 9중의 대기(a) 및 가동(a)에서의 제 1의 주기의 파형과, 제 2의 판재의 가공시에 있어서의 소비 전력의 변화, 즉, 도 9중의 대기(b) 및 가동(b)에서의 제 2의 주기의 파형을 비교한다. 그리고, 파형이 같은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파형이 같으면, 예를 들면, 프레스 가공기(9)에 의해 가공된 가공품의 질이 안정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고, 파형이 다르면, 품질에 흐트러짐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 결과, 프레스 가공기(9)의 피로(疲勞) 상태, 부하 상태 등의 이상(異常)을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제 1의 주기에서의 파형과 제 2의 주기에서의 파형에 관해, 파형의 차(差)를 구함에 의해, 파형의 차가 소정의 범위 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도 좋다. 도 10은, 도 6의 실시 형태에 도시하는 설비 상태 검지 장치(50)에서, 파형 판단부(59)를 제어부(56)에 추가한 경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그리고, 파형 판단부(59) 이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도 6과 같기 때문에, 같은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파형 판단부(59)는, 파형의 차가 소정의 범위 내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파형 판단부(59)는, 판단 수단으로서 작동한다. 예를 들면, 파형 판단부(59)는, 하나의 주기에 관해, 소비 전력의 최대치 및 최소치를 산출함에 의해, 소비 전력의 최대치 및 최소치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값이, 소정의 전력량을 초과하였지의 여부를 판단하여도 좋다. 또한, 하나의 주기에 관해, 소비 전력의 평균치를 산출함에 의해, 제 1의 주기의 평균치와, 제 2의 주기의 평균치를 비교하여, 같은 값으로 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도 좋다. 또한, 하나의 주기에 관해, 가동 상태와 대기 상태의 비율을 산출하여, 비율이 일정한 값으로 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도 9중의 대기(a)와 가동(a)의 경과 시간을 산출하고, 대기(a)의 시간과 가동(a)의 시간의 비율(A)을 산출한다. 또한, 도 9중의 대기(b)와 가동(b)의 경과 시간을 산출하고, 대기(b)의 시간과 가동(b)의 시간의 비율(B)을 산출한다. 그리고, 비율(A)과 비율(B)이 일정한 값으로 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도 좋다.
또한, 파형 중, 가동 상태만을 판단하여도 좋다. 즉, 도 9중의 제 1의 주기의 가동(a)에서의 파형과, 도 9중의 제 2의 주기의 가동(b)에서의 파형을 비교하여, 파형이 같은지의 여부를 판단하여도 좋다. 이렇게 함에 의해, 프레스 가공기(9)가 가동 상태일 때의 프레스 가공기(9)의 손모나, 프레스 가공기(9)를 사용하는 유저가 의도하지 않는 프레스 가공기(9)에 대한 상황 변화 등을 용이하게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주기는, 제 1의 임계치 및 제 2의 임계치를 기준으로 하여, 대기 상태 및 가동 상태가 주기적으로 추이하는 예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면 소비 전력의 최대치를 기준으로 하여 추이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 1의 임계치(w0)는 0.4㎾이고, 제 2의 임계치(w1)는, 0.7㎾인 예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으로 한하는 일 없이, 예를 들면, 설비 상태 검지 장치(50)를 프레스 가공기(9)에 적용할 때에, 미리 테스트 등을 행함에 의해, 프레스 가공기(9)에 응한 값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임계치는, 제 1의 임계치 및 제 2의 임계치의 2종류 마련한 예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으로 한하는 일 없이, 예를 들면, 프레스 가공기(9)의 운전 상태에 맞추어서, 3종류나 4종류 등의 복수의 임계치를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임계치로 한하는 일 없이, RMS(Root Mean Square)치, 스키니스(Skewness), 플래트니스(Flatness) 등의 파형 패턴의 통계량을 활용하여도 좋고, 특정한 파워 스펙트럼을 활용하여 검지하여도 좋다.
또한, 가압부(21)에 의해 판재(20)의 가공을 시작할 때에는, 돌입(突入) 전력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노이즈를 제거하여, 운전 상태의 검지를 행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계측한 소비 전력이 돌입 전력이라면, 돌입 전력이 발생하고 있는 동안의 소비 전력의 데이터는 이용하는 일 없이, 경과 후의 소비 전력의 데이터를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소비 전력의 계측을 시작하는 타이밍을, 프레스 가공기(9)의 전원이 투입된 타이밍으로 하는 예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으로 한하는 일 없이, 예를 들면, 프레스 가공기(9)의 전원이 투입되기 전부터, 계측을 시작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소비 전력의 계측을 1초 간격으로 행하는 예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으로 한하는 일 없이, 1초보다 작은 간격으로 행하여도 좋고, 임의로 설정 가능하여도 좋다. 그리고, 운전 상태에 응하여, 간격을 변화시켜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프레스 가공기(9)의 소비 전력을 계측하는 예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으로 한하는 일 없이, 프레스 가공기(9)의 운전 상태에 응하여 변화하는 물리량을 계측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전류치라도 좋다.
또한, 물리량에 의거하여 변환된 통계량을 이용하여, 프레스 가공기(9)의 운전 상태를 검지하여도 좋다. 이렇게 함에 의해, 다양한 데이터에 의거하여, 설비의 운전 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통계량으로서는, 예를 들면, 시간평균치, RMS값, 단시간 파워 스펙트럼값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프레스 가공기(9)의 리얼타임의 소비 전력을 계측하는 예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으로 한하는 일 없이, 계측한 소비 전력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5분간 등의 소정의 시간 내에 소비한 적산전력치를 구함에 의해, 적산전력치를 소정의 임계치와 비교하여, 프레스 가공기(9)의 운전 상태를 검지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표시부(58)는, 제어부(56)를 통하여, 소비 전력의 데이터를 표시하는 예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으로 한하는 일 없이, 계측부(51)로부터 표시부(58)에 대해 직접 계측한 데이터를 통지함에 의해, 표시하여도 좋다. 또한, 유저에게 있어서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표시부(58)에 표시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 1의 임계치 및 제 2의 임계치를 설정할 때에, 설정부(54)로부터 기억부(53)에 데이터가 직접 통지되는 예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으로 한하는 일 없이, 예를 들면, 제어부(56)를 통하여 통지되어도 좋다.
또한, 설비 상태 검지 장치(50)는, 설비의 운전 상태를 집약하고, 집약한 운전 상태를 소정의 타이밍에서, 허브(35)를 통하여 서버(36)에 통지하여도 좋다. 소정의 타이밍이란, 예를 들면, 소정의 시간 간격이나, 설비의 운전 사이클 등으로서, 설비 관리자 등의 유저의 사정에 응한 임의의 타이밍이다. 이에 의해, 유저의 사정에 응하여, 설비의 운전 상태를 통지할 수 있다. 도 11은, 도 6의 실시 형태에 도시하는 설비 상태 검지 장치(50)에서, 통지부(49) 및 집약부(48)를 제어부(56)에 추가한 경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그리고, 통지부(49) 및 집약부(48) 이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도 6과 같기 때문에, 같은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통지부(49)는, 네트워크 등에 접속되어 있고, 외부에 설비 상태 검지 장치(50)가 검지한 설비의 운전 상태를 통지한다. 집약부(48)는, 설비의 운전 상태의 데이터를 집약한다.
구체적으로는, 가동 상태가 10분간 연속한 후에 비가동 상태가 된 경우에는, 가동 상태인 것을 1분마다 통지하는 것이 아니라, 가동 상태가 종료된 타이밍에서, 10분간의 가동 상태가 종료된 취지를 통지한다. 즉, 설비의 운전 상태의 집약이란, 가동 상태가 10분간 연속한 경우에는, 가동 상태인 것을 1분마다 통지하는 것이 아니라, 10분간을 정리하여 1회로 통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집약부(48)는, 복수회의 통지를 1회로 집약한다. 이에 의해, 서버(36)에 통신하는 데이터의 양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집약부(48)는, 집약 수단으로서 작동하고, 통지부(49)는, 통지 수단으로서 작동한다.
또한, 설비의 운전 상태의 서버(36)에의 통지는, 소비 전력에 의거한 데이터로 한하는 일 없이, 시작 신호나 종료 신호 등의 신호에 의거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설비 상태 검지 장치(50)는, 허브(35)를 통하여, 서버(36)와 접속되어 있는 예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이, 설비 상태 검지 장치와 서버를 구비하는 구성의 설비 상태 검지 시스템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서버에 통지하는 데이터로서, 운전 상태를 통지하여도 좋고, 통신 상태 등에 응하여, 상기한 적산전력치를 통지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한 2개의 실시 형태, 즉,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호를 이용하는 실시 형태와, 도 6 내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력량을 계측하는 실시 형태는, 각각을 개별로 실시하여도 좋고, 2개를 조합하여 실시하여도 좋다. 즉, 설비로부터 출력되는 상태 신호의 변화만에 응한 것이 아니라도 좋고, 소비 전력의 데이터만에 의거한 것이 아니라도 좋다. 도 12는, 신호를 이용함과 함께, 전력량을 계측하는 설비 상태 검지 장치(6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즉, 도 2에 도시하는 설비 상태 검지 장치(10)의 구성과, 도 6에 도시하는 설비 상태 검지 장치(50)의 구성을 조합한 것이다. 또한, 도 12중의 점선의 화살표는, 상태 신호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고, 실선의 화살표는, 소비 전력의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고, 1점 쇄선의 화살표는, 유저로부터 접수한 조작에서의 신호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조합하여 실시하는 경우에 있어서, 운전 상태의 검지 결과가 다른 경우에는, 우선도를 미리 부여하여 둠에 의해, 우선도가 높은 결과를 채용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고, 각각의 결과에 대해, 현장 등에 응한 무게 부여를 행함에 의해, 채용하는 결과를 선택 가능하게 하여도 좋다. 또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호를 이용한 실시 형태에서, 설비로부터의 신호의 취득의 실패 등, 설비로부터의 신호의 취득을 할 수가 없으면, 도 6 내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력량을 계측하여, 설비의 운전 상태를 검지하여도 좋다.
도 13은, 설비로부터의 신호의 취득을 할 수가 없는 경우에, 전력량을 계측하여, 설비의 운전 상태를 검지하는 경우에 관해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S31 내지 S34까지는, 도 4의 S11 내지 S14와 같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입력 접수부(62)는, 예를 들면, 설비의 전원 투입 후, 설비로부터 시작 신호 및 대기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는 것이 없으면(S31에서 NO, S33에서 NO), 소비 전력을 계측한다(S35).
그러면, 입력 접수부(62)는, 계측한 소비 전력의 데이터의 입력을 접수한다. 검지부(67)는, 소비 전력의 데이터와 제 1의 임계치를 비교하여, 소비 전력의 데이터가 제 1의 임계치보다 작다고 판단하면(S36에서 YES), 설비의 운전 상태는, 정지 상태라고 검지한다(S37).
검지부(67)는, S36에서, 소비 전력의 데이터가 제 1의 임계치보다 크다고 판단하면(S36에서 NO), 소비 전력의 데이터와 제 2의 임계치를 비교한다. 그리고, 소비 전력의 데이터가 제 2의 임계치보다 작다고 판단하면(S38에서 YES), 설비의 운전 상태는, 대기 상태라고 검지한다(S39).
검지부(67)는, S38에서, 소비 전력의 데이터가 제 2의 임계치보다 크다고 판단하면(S38에서 NO), 설비의 운전 상태는, 가동 상태라고 검지한다(S40).
이렇게 함에 의해, 신호의 취득을 할 수가 없더라도, 계측한 물리량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설비의 운전 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운전 상태의 검지 결과가 다른 경우에는, 임계치의 조정 등을 행하여도 좋다.
또한, 설비로부터의 신호가 취득할 수 없는 경우만으로 한하는 일 없이, 예를 들면, 1초 간격 등의 소정의 간격으로, 설비로부터의 신호를 취득함과 함께, 소비 전력의 계측을 행하여도 좋다.
또한, 이와 같은 설비 상태 검지 장치(10, 50, 60)는, 설비의 운전 상태를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비가동 상태에서 소비하는 전력의 삭감 등을 행하고, 설비의 가동률을 개선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대기 상태의 소비 전력이 큰 경우에는, 프레스 가공기(9)의 앞의 롤러 컨베이어(26)상에서, 가공 대기의 판재(20)가 많다고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소정의 대책을 시행할 수가 있고, 필요없는 소비 전력을 삭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설비의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설비 상태 검지 장치(10, 50, 60)를, 기존의 설비에 마련한 경우라도, 설비의 운전 상태를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고, 설비의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설비 상태 검지 장치(10, 50, 60)를 프레스 가공기(9)에 적용한 예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으로 한하는 일 없이, 예를 들면 심전도, 에어 유량, 온도나 습도 등의 파형을 갖는 모든 것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설비 상태 검지 장치(10, 50, 60)는, 기억부(13, 53, 63)를 구비하는 구성인 예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으로 한하는 일 없이, 취득한 상태 데이터를 기억할 필요가 없는 경우 등에는, 특히 없어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설비 상태 검지 장치(10, 50, 60)는, 입력 접수부(12, 52, 62)를 구비하는 구성인 예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으로 한하는 일 없이, 도 6 내지 도 12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와 같이, 설비의 소비 전력으로 검지하는 등의 계측부(51, 61)로부터 직접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는 경우 등에는, 특히 없어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비가동 상태로서, 정지 상태와 대기 상태를 포함하는 예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으로 한하는 일 없이, 정지 상태뿐이라도 좋고, 대기 상태뿐이라도 좋다.
또한, 설비 상태 검지 장치(10, 50, 60)는, 버저 등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대기 상태가 계속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용이하게 경고할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도시한 실시 형태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 대해, 본 발명과 동일한 범위 내에서, 또는 균등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수정이나 변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설비의 운전 상태를 검지할 때에 유효하게 이용된다.
9 : 프레스 가공기 10, 50, 60 : 설비 상태 검지 장치
11, 56, 66 : 제어부 12, 52, 62 : 입력 접수부
13, 53, 63 : 기억부 15, 54, 64 : 설정부
16, 55, 65 : 취득부 17, 57, 67 : 검지부
18, 58, 68 : 표시부 51, 61 : 계측부
20 : 판재 21 : 가압부
23 : 지지부 23a : 오목부
24 : 센서 25 : 컨트롤부
26 : 롤러 컨베이어 35 : 허브
36 : 서버 37 : 전력계
48 : 집약부 49 : 통지부
59 : 파형 판단부

Claims (11)

  1. 설비의 운전 상태를 검지 가능한 설비 상태 검지 장치로서,
    상기 설비의 운전 상태는, 작업을 행하고 있는 가동 상태와, 작업을 행하지 않는 비가동 상태를 가지며,
    상기 설비의 운전 상태에 관한 리얼타임의 상태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한 상기 상태 데이터에 의해, 상기 설비가 상기 가동 상태인 것을 검지하는 제 1의 검지 수단과,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한 상기 상태 데이터에 의해, 상기 설비가 상기 비가동 상태인 것을 검지하는 제 2의 검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취득 수단은, 상기 설비에 의해, 상기 작업을 시작할 때에 출력되는 시작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는 시작 신호 접수 수단과, 상기 설비에 의해, 상기 작업을 종료할 때에 출력되는 종료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는 종료 신호 접수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의 검지 수단은, 상기 시작 신호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한 상기 시작 신호에 의해, 상기 설비가 상기 가동 상태인 것을 검지하고,
    상기 제 2의 검지 수단은, 상기 종료 신호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한 상기 종료 신호에 의해, 상기 설비가 상기 비가동 상태인 것을 검지하고,
    상기 취득 수단은, 상기 설비의 운전 상태에 응하여 변화하는 물리량을 계측하는 계측 수단과, 상기 계측 수단에 의한 계측 결과에 근거하여 설비의 운전 상태를 나타내는 수치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의 검지 수단은, 상기 시작 신호 및 상기 종료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취득할 수가 없으면, 상기 계측 수단에 의해 계측한 상기 물리량을,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한 소정의 수치와 비교함에 의해, 상기 설비의 운전 상태를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상태 검지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동 상태는, 상기 작업을 대기하는 대기 상태와, 상기 작업을 정지하는 정지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종료 신호 접수 수단은, 상기 설비에 의해, 상기 작업을 대기할 때에 출력되는 대기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는 대기 신호 접수 수단과, 상기 설비에 의해, 상기 작업을 정지할 때에 출력되는 정지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는 정지 신호 접수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2의 검지 수단은, 상기 대기 신호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한 상기 대기 신호에 의해, 상기 설비가 상기 대기 상태인 것을 검지하고, 상기 정지 신호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한 상기 정지 신호에 의해, 상기 설비가 상기 정지 상태인 것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상태 검지 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 수단은, 상기 설비의 운전 상태에 응하여 변화하는 물리량을 계측하는 계측 수단과, 소정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검지 수단은, 상기 계측 수단에 의해 계측한 상기 물리량을,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한 상기 소정의 임계치와 비교함에 의해, 상기 설비의 운전 상태를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상태 검지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량은, 상기 물리량에 의거하여 변환된 통계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상태 검지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량은, 주기적으로 변화하고,
    상기 검지 수단은, 제 1의 주기의 파형과, 상기 제 1의 주기와는 다른 제 2의 주기의 파형을 비교하여, 파형의 차가 소정의 범위 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상태 검지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 수단은, 상기 제 1의 주기의 파형 중의 상기 가동 상태에서의 파형과, 상기 제 2의 주기의 파형 중의 상기 가동 상태에서의 파형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상태 검지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 상태 검지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에 접속 가능하고,
    상기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한 상기 설비의 운전 상태를 집약하는 집약 수단과,
    상기 집약 수단에 의해 집약한 상기 설비의 운전 상태를, 소정의 타이밍에서 상기 서버에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상태 검지 장치.
  10. 설비의 운전 상태를 검지 가능한 설비 상태 검지 방법으로서,
    상기 설비의 운전 상태는, 작업을 행하고 있는 가동 상태와, 작업을 행하지 않는 비가동 상태를 가지며,
    상기 설비의 운전 상태에 관한 리얼타임의 상태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 과정과,
    취득한 상기 상태 데이터에 의해, 상기 설비가 상기 가동 상태인 것을 검지하는 제 1의 검지 과정과,
    취득한 상기 상태 데이터에 의해, 상기 설비가 상기 비가동 상태인 것을 검지하는 제 2의 검지 과정을 구비하고,
    상기 취득 과정은, 상기 설비에 의해, 상기 작업을 시작할 때에 출력되는 시작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는 시작 신호 접수 수단과, 상기 설비에 의해, 상기 작업을 종료할 때에 출력되는 종료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는 종료 신호 접수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의 검지 과정은, 상기 시작 신호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한 상기 시작 신호에 의해, 상기 설비가 상기 가동 상태인 것을 검지하는 검지 과정과,
    상기 제 2의 검지 과정은, 상기 종료 신호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한 상기 종료 신호에 의해, 상기 설비가 상기 비가동 상태인 것을 검지하는 검지 과정과,
    상기 취득 과정은, 상기 설비의 운전 상태에 응하여 변화하는 물리량을 계측하는 계측 수단과, 상기 계측 수단에 의한 계측 결과에 근거하여 설비의 운전 상태를 나타내는 수치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의 검지 과정은, 상기 시작 신호 및 상기 종료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취득할 수가 없으면, 상기 계측 수단에 의해 계측한 상기 물리량을,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한 소정의 수치와 비교함에 의해, 상기 설비의 운전 상태를 검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상태 검지 방법.
  11. 컴퓨터를, 설비의 운전 상태를 검지 가능한 설비 상태 검지 장치로서 작동시키는 설비 상태 검지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설비 상태 검지용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작업을 행하고 있는 가동 상태와, 작업을 행하지 않는 비가동 상태를 포함하는 설비의 운전 상태에 관한 리얼타임의 상태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 스텝과,
    취득한 상태 데이터에 의해, 설비가 가동 상태인 것을 검지하는 제 1의 검지 스텝과,
    취득한 상태 데이터에 의해, 설비가 비가동 상태인 것을 검지하는 제 2의 검지 스텝과,
    상기 취득 스텝은, 상기 설비에 의해, 상기 작업을 시작할 때에 출력되는 시작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는 시작 신호 접수 수단과, 상기 설비에 의해, 상기 작업을 종료할 때에 출력되는 종료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는 종료 신호 접수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의 검지 스텝은 상기 시작 신호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한 상기 시작 신호에 의해, 상기 설비가 상기 가동 상태인 것을 검지하는 스텝과,
    상기 제 2의 검지 스텝은 상기 종료 신호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한 상기 종료 신호에 의해, 상기 설비가 상기 비가동 상태인 것을 검지하는 스텝과,
    상기 취득 스텝은, 상기 설비의 운전 상태에 응하여 변화하는 물리량을 계측하는 계측 수단과, 상기 계측 수단에 의한 계측 결과에 근거하여 설비의 운전 상태를 나타내는 수치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의 검지 스텝은, 상기 시작 신호 및 상기 종료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취득할 수가 없으면, 상기 계측 수단에 의해 계측한 상기 물리량을,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한 소정의 수치와 비교함에 의해, 상기 설비의 운전 상태를 검지하는 스텝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27004041A 2009-10-30 2010-10-25 설비 상태 검지 장치, 설비 상태 검지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4138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50491 2009-10-30
JP2009250491 2009-10-30
JP2010215109A JP5402896B2 (ja) 2009-10-30 2010-09-27 設備状態検知装置および設備状態検知方法
JPJP-P-2010-215109 2010-09-27
PCT/JP2010/068842 WO2011052534A1 (ja) 2009-10-30 2010-10-25 設備状態検知装置、設備状態検知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2569A KR20120032569A (ko) 2012-04-05
KR101413896B1 true KR101413896B1 (ko) 2014-06-30

Family

ID=43921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4041A KR101413896B1 (ko) 2009-10-30 2010-10-25 설비 상태 검지 장치, 설비 상태 검지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191414A1 (ko)
EP (1) EP2495629A4 (ko)
JP (1) JP5402896B2 (ko)
KR (1) KR101413896B1 (ko)
CN (1) CN102483623A (ko)
WO (1) WO20110525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91704B2 (en) * 2012-03-23 2016-11-08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in an electronic device with a communication subsystem
JP2013208644A (ja) * 2012-03-30 2013-10-10 National Maritime Research Institute プレス管理装置、プレス管理方法、及びプレス管理プログラム
JP6413262B2 (ja) * 2014-03-05 2018-10-31 オムロン株式会社 電力デマンド制御装置、電力デマンド制御方法、電力デマンド制御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6574558B2 (ja) * 2014-10-14 2019-09-1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86488B2 (ja) * 2016-03-17 2018-09-05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工作機械の稼働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DE102017219549A1 (de) * 2017-11-03 2019-05-0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Zustandsüberwachung einer Fertigungsanlage
JP7189499B2 (ja) * 2018-05-07 2022-12-14 オムロン株式会社 センサシステム
JP7249902B2 (ja) * 2019-07-17 2023-03-31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状態管理システム及び状態管理方法
JP7312636B2 (ja) * 2019-07-24 2023-07-21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経過時間表示システム、電動機械、及びその経過時間算出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0424A (ja) * 2002-08-01 2004-03-04 Cimx Kk 工作機械の稼働情報収集システム
WO2005045713A1 (en) * 2003-11-05 2005-05-19 Shoplogix, Inc. Self-contained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monitoring machine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8866A (en) * 1986-01-13 1989-04-04 Data Instruments, Inc. Intrusion detection system for operating industrial machines with variable sensitivity
JP2546159B2 (ja) * 1993-08-05 1996-10-23 日本電気株式会社 生産管理システム
JPH09218707A (ja) * 1996-02-08 1997-08-19 Nissan Motor Co Ltd 設備の異常状態監視方法および装置
JPH09218990A (ja) * 1996-02-08 1997-08-19 Sogo Keibi Hosho Co Ltd 火災検出方法及び火災検出器
JP3769420B2 (ja) 1999-08-05 2006-04-26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設備稼働状態計測装置
US6481295B1 (en) * 1999-10-19 2002-11-19 The Minster Machine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peak compressive and tensile process severity levels of a press machine using acceleration data
JP2001236115A (ja) * 2000-02-24 2001-08-31 Fanuc Ltd リモート診断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3050624A (ja) * 2001-08-08 2003-02-21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設備稼働状態の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JP4670455B2 (ja) * 2005-04-22 2011-04-13 オムロン株式会社 工程異常検知システム
JP4617234B2 (ja) * 2005-09-29 2011-01-19 富士通オプティカル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光送信器、光送信方法および光送信プログラム
JP4692342B2 (ja) * 2006-03-16 2011-06-01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機器の消費電力制御システム、電子機器の消費電力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8097128A (ja) * 2006-10-06 2008-04-24 Cimx Kk 管理装置、解析装置、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0424A (ja) * 2002-08-01 2004-03-04 Cimx Kk 工作機械の稼働情報収集システム
WO2005045713A1 (en) * 2003-11-05 2005-05-19 Shoplogix, Inc. Self-contained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monitoring machi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118874A (ja) 2011-06-16
EP2495629A4 (en) 2013-04-10
US20120191414A1 (en) 2012-07-26
CN102483623A (zh) 2012-05-30
JP5402896B2 (ja) 2014-01-29
KR20120032569A (ko) 2012-04-05
EP2495629A1 (en) 2012-09-05
WO2011052534A1 (ja) 2011-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3896B1 (ko) 설비 상태 검지 장치, 설비 상태 검지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8977509B2 (en) Operation information output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information output device, monitoring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monitoring device, and control program
US20120084031A1 (en) Equipment operation state measurement device, equipment operation state measurement method, and control program
CN101470025B (zh) 称重机
US688870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and detection in resistance grounded electrical systems
KR20080000603A (ko) 예측 유지 관리 방법
KR20120068328A (ko) 소비 전력 감시 장치 및 감시 방법
JP2004070424A (ja) 工作機械の稼働情報収集システム
KR101879385B1 (ko) 진동 감시 설비용 신호 처리 장치
CN108562357B (zh) 一种自动检测固有频率的振机检测装置及其控制方法
CN115499458A (zh) 基于物联网的振动监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WO2019146114A1 (ja) 絶縁劣化監視装置及び絶縁劣化監視方法
US11306714B2 (en) Liquid feeding pump operation monitor
US9891141B2 (en) Measuring device of process automation technology
JPH09264913A (ja) 直流安定化電源の連続診断装置
CN117850317B (zh) 一种折弯设备运行状态监控***
JPH04152241A (ja) 設備または製品の異常監視装置
JP2002011665A (ja) ショットブラスト装置モニタシステム
KR101302160B1 (ko) 소비 전력 감시 장치 및 감시 방법
JP3521656B2 (ja) 稼働状況監視装置
JP2009250662A (ja) 計量機器
JPS63114852A (ja) 負荷監視による工具寿命監視装置
CN117719837A (zh) 一种刮板输送机链条运行状态在线检测方法及装置
RU40112U1 (ru) Контроллер контактной сварки
JP4344503B2 (ja) ビル管理システムの計量パルスカウンタ値異常判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