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3118B1 - 격판식 착유기 - Google Patents

격판식 착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3118B1
KR101393118B1 KR1020130034326A KR20130034326A KR101393118B1 KR 101393118 B1 KR101393118 B1 KR 101393118B1 KR 1020130034326 A KR1020130034326 A KR 1020130034326A KR 20130034326 A KR20130034326 A KR 20130034326A KR 101393118 B1 KR101393118 B1 KR 101393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king
diaphragm
main body
hole
suppor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4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도재
Original Assignee
내쇼날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내쇼날이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내쇼날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4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31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3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3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2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ion or working-u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격판을 상호 밀착되게 설치하여 착유부의 제작이 용이하면서 착유부의 분해 및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격판식 착유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착유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부와; 상기 본체의 상부로 후단이 상기 구동부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이송 스크류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 스크류의 선단이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호퍼가 연통되게 연결되는 선단지지부와; 상기 선단지지부와 상기 구동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 스크류를 둘러싸는 착유부를; 포함하며, 상기 착유부는, 상기 이송 스크류가 관통되는 제1 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선단지지부에 장착되는 선단지지블록과, 상기 선단지지블록에 대응하여 상기 이송 스크류의 후단이 관통되는 제2 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구동부에 대응되는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후단지지블록과, 상기 선단지지블록의 양측에 각각 선단이 분해 가능하게 수평으로 장착되고 후단이 상기 후단지지블록의 양측에 각각 분해 가능하게 수평으로 장착되는 한 쌍의 수평지지봉과, 상기 이송 스크류가 관통되는 착유통공을 가지고 상기 선단지지블록의 내측면과 상기 후단지지블록의 내측면 사이로 상호 밀착되게 상기 수평지지봉에 끼워져 고정되는 다수의 격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격판식 착유기{PLATE TYPE OIL PRESS}
본 발명은 착유물로부터 기름을 짜는데 사용되는 착유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격판을 상호 밀착되게 설치하여 착유부의 제작이 용이하면서 착유부의 분해 및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격판식 착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착유기는 곡물의 씨나 과일 열매에 함유된 기름을 짜내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대체로 딱딱한 껍질을 갖는 열매나 씨(이하 착유물이라 칭함)를 분쇄하고 분쇄된 착유물을 압착하여 착유물로부터 기름을 추출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착유기의 일예를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하여 그 구성과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착유기(1)는 내부에 들깨나 참깨 등과 같은 착유물을 이송시키는 이송 스크류(23)와 상기 이송 스크류(23)를 감싸도록 설치된 살대 조립체(30)를 갖는 착유부(20)와, 상기 착유부(2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10)와, 상기 착유부(20)에서 착유된 기름을 배출하는 기름 배출부(6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10)는 상기 착유부(20)를 구동시키는 것으로서, 일측에 상기 구동부(1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1)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부(10)는 모터와 연결된 모터축의 구동에 의해 이에 연결된 구동축(15)이 회전되고, 상기 구동축(15)에 연결된 상기 이송 스크류(23)가 상기 살대 조립체(30)의 내측에서 회전된다.
상기 살대 조립체(30)는 다수의 살대(41)가 원통형으로 조립되어 형성되는 관 형상의 살대 구조물(40)과, 상기 살대 구조물(40)을 상기 구동부(10)에 고정하는 고정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체는 상기 살대 구조물(40)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살대 구조물(40)의 양측에 개재되는 장축(33,33')과, 상기 장축(33,33')을 관통시킨 상태로 상기 살대 구조물(40)의 일측을 고정하도록 설치캡(36)을 갖는 살대 구조물 설치구(35)와, 상기 장축(33,33')과 구동부(10)에 형성된 체결홀(37,37') 사이에 설치되는 부싱(39,39')을 포함한다.
상기 살대 구조물(40)은 상기 살대 구조물 설치구(35)의 설치캡(36) 내부에 살대홈(43)이 형성된 다수의 살대(41)가 관 형상을 이루도록 상호 밀착되게 배열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착유기는 호퍼(51)에 투입된 착유물이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이송 스크류(23)로 투입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1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이송 스크류(23)가 회전되면서 투입된 착유물을 일측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착유물은 상기 이송 스크류(23)에 의해 이송되는 중에 상기 살대 구조물(40)을 통과하면서 압착되어 상기 살대(41)와 살대(41)의 미세한 틈 사이로 기름을 배출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착유기와 같이 살대와 살대의 사이에 착유가 이루어짐으로써, 살대와 살대를 정밀하게 조립해야 함으로, 제작 및 조립 상의 어려움이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살대와 살대 사이에 이물질이 끼이는 경우에, 이를 청소하기 위해서는 살대 구조물을 분해해야 하고 살대 구조물을 분해한 후에는 다시 조립해야 함으로, 살대의 사이에 끼인 이물질의 제거를 위해 살대 구조물의 분해 및 조립에 상당한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2011-0027135호 "착유기의 격자조립체"(2001. 11. 05)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격판을 상호 밀착되게 설치하여 착유부의 제작이 용이하면서 착유부의 분해 및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격판식 착유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격판의 사이로 기름의 배출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격판의 내측으로 이송 스크류에 의한 착유물의 압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착유물이 격판의 내에서 이송 스크류와 함께 헛도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격판식 착유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송 스크류의 중간에 착유물의 수평 가압이 이루어져 착유물에 대한 압착이 보다 원활하면서 정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격판식 착유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격판의 조임과 조임의 해제가 원활히 이루어져 착유물이나 기름의 품질이나 입자 크기에 따른 선택적인 착유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송 스크류의 선단에 착유물의 초기 압착이 이루어져 착유물에 대한 기름의 배출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격판식 착유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송 스크류의 후단에 착유물의 최종 압착이 이루어져 착유물에 대한 기름의 배출이 보다 완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수평지지봉에 열선을 설치하여 동절기에 기름이 굳는 것이 원활히 방지되도록 하는 격판식 착유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격판식 착유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부와; 상기 본체의 상부로 후단이 상기 구동부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이송 스크류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 스크류의 선단이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호퍼가 연통되게 연결되는 선단지지부와; 상기 선단지지부와 상기 구동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 스크류를 둘러싸는 착유부를; 포함하며, 상기 착유부는, 상기 이송 스크류가 관통되는 제1 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선단지지부에 장착되는 선단지지블록과, 상기 선단지지블록에 대응하여 상기 이송 스크류의 후단이 관통되는 제2 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구동부에 대응되는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후단지지블록과, 상기 선단지지블록의 양측을 관통하여 상기 선단지지부에 각각 선단이 분해 가능하게 수평으로 장착되고 후단이 상기 후단지지블록의 양측에 각각 분해 가능하게 수평으로 장착되는 한 쌍의 수평지지봉과, 상기 이송 스크류가 관통되는 착유통공을 가지고 상기 선단지지블록의 내측면과 상기 후단지지블록의 내측면 사이로 상호 밀착되게 상기 수평지지봉에 끼워져 고정되는 다수의 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격판식 착유기"의 상기 격판은, 상기 착유통공의 일측 둘레로 상기 격판의 일측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배출홈과, 상기 착유통공의 내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단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격판식 착유기"의 상기 착유부는, 상기 이송 스크류가 관통되는 상태로 상기 격판과 격판의 사이에 수평으로 끼워져 분해 가능하게 고정되고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내외로 관통되게 다수의 제1 슬롯이 형성되는 관형의 중앙착유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 스크류는, 상기 중앙착유관에 대응되는 부위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기 중앙착유관의 내주면에 근접하게 형성되는 제1 경사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격판식 착유기"의 상기 착유부는, 상기 선단지지부와 상기 선단지지블록이 상호 이격되도록 상기 수평지지봉이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선단지지블록에 대응하여 상기 수평지지봉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선단지지블록을 일측으로 조이거나 그 조임을 해제하여 상기 격판을 가압하거나 그 가압을 해제시키는 한 쌍의 조임너트와, 상기 이송 스크류가 관통되는 상태로 상기 선단지지부의 내측과 상기 선단지지블록의 외측면 사이에 수평으로 끼워져 분해 가능하게 고정되고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내외로 관통되게 다수의 제2 슬롯이 형성되는 관형의 선단착유관과, 상기 본체와 상기 후단지지블록이 상호 이격되게 구비되고 그 사이에 분해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제2 수평로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격판식 착유기"의 상기 제2 관통공은, 그 내경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이송 스크류는, 상기 제2 관통공에 대응하여 외경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제2 경사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평지지봉은, 그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열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수의 격판을 상호 밀착되게 설치하여 착유부의 제작이 용이하고, 착유부의 분해 및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며, 그에 따라 착유부의 청소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착유부의 수명이 현저히 연장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격판의 사이로 기름의 배출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격판의 내측으로 이송 스크류에 의한 착유물의 압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착유물이 격판의 내에서 이송 스크류와 함께 헛도는 것이 방지되고, 그에 따라 착유물에 대한 압착과 착유가 보다 안정적이면서 정밀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 스크류의 중간에 착유물의 수평 가압이 이루어져 착유물에 대한 압착이 보다 원활하면서 정밀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격판의 조임과 조임의 해제가 원활히 이루어져 착유물이나 기름의 품질이나 입자 크기에 따른 선택적인 착유가 원활히 이루어지고, 이송 스크류의 선단에 착유물의 초기 압착이 이루어져 착유물에 대한 기름의 배출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 스크류의 후단에 착유물의 최종 압착이 이루어져 착유물에 대한 기름의 배출이 보다 완전하게 이루어지고, 수평지지봉에 열선을 설치하여 동절기에 기름이 굳는 것이 원활히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격판식 착유기의 개략적인 전체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격판식 착유기의 개략적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격판식 착유기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격판식 착유기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종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요부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격판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A-A 선의 단면도,
도 10은 종래의 착유기의 일예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종래의 착유기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12는 종래의 착유기의 요부 종단면도,
도 13은 종래의 착유기의 요부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격판식 착유기의 개략적인 전체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격판식 착유기의 개략적인 요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격판식 착유기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평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격판식 착유기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에 설치되는 구동부(200)와,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이송 스크류(300)와,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 설치되는 선단지지부(400)와, 상기 이송 스크류(300)를 둘러싸는 착유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는 상기 구동부(200)를 수용하는 역할을 하면서 상기 선단지지부(400)를 포함하는 제반 부품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전원의 공급에 의해 구동되면서 상기 이송 스크류(30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구동부(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에 내장되는 모터(201)와, 상기 모터(201)에 연결되는 감속기(202)와, 상기 감속기(202)와 상기 이송 스크류(300)의 끝단 사이에 연결되는 구동축(203)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모터(201)의 구동력이 상기 감속기(202)에 전달되어 감속된 상태로 상기 구동축(203)을 회전시키고, 상기 구동축(203)의 회전에 따라 이에 연결된 상기 이송 스크류(300)가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이송 스크류(300)는 상기 본체(100)의 상부로 후단이 상기 구동부(200)에 수평으로 연결되고 외주면에 나선형의 날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선단지지부(400)에서 투입되는 착유물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수평 이송하면서 압착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이송 스크류(300)는 상기 구동부(200)에 의해 회전되면서 착유물을 상기 선단지지부(400)측에서 상기 구동부(200)측으로 이송시키면서 압착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이송 스크류(300)는 그 중앙부위와 끝단에 제1 경사면부(301)와 제2 경사면부(302)가 형성되는데, 이들은 아래에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상기 선단지지부(400)는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 스크류(300)의 선단이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호퍼(401)가 연통되게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이송 스크류(300)의 선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하면서 상기 호퍼(401)를 통해 깨와 같은 착유물이 상기 이송 스크류(300)로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착유부(500)는 상기 선단지지부(400)와 상기 구동부(20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 스크류(300)를 둘러싸는 것으로, 상기 이송 스크류(300)의 회전에 따라 착유물이 이송되면서 압착되어 착유물에서 기름을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착유부(500)는 상기 이송 스크류(300)가 관통되는 제1 관통공(501a)을 가지고 상기 선단지지부(400)에 장착되는 선단지지블록(501)과, 상기 선단지지블록(501)에 대응하여 상기 이송 스크류(300)의 후단이 관통되는 제2 관통공(502a)을 가지고 상기 구동부(200)에 대응되는 상기 본체(100)에 장착되는 후단지지블록(502)과, 상기 선단지지블록(501)의 양측을 관통하여 상기 선단지지부(400)에 각각 선단이 분해 가능하게 수평으로 장착되고 후단이 상기 후단지지블록(502)의 양측에 각각 분해 가능하게 수평으로 장착되는 한 쌍의 수평지지봉(503)과, 상기 이송 스크류(300)가 관통되는 착유통공(504a)을 가지고 상기 선단지지블록(501)의 내측면과 상기 후단지지블록(502)의 내측면 사이로 상호 밀착되게 상기 수평지지봉(503)에 끼워져 고정되는 다수의 격판(504)을 포함한다.
상기 선단지지블록(501)은 상호 밀착되는 다수의 상기 격판(504)의 일측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관통공(501a)은 상기 이송 스크류(300)가 상기 선단지지블록(501)을 관통하는 통로이다.
상기 후단지지블록(502)은 상기 선단지지블록(501)에 대응하여 상호 밀착되는 다수의 상기 격판(504)의 타측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관통공(502a)은 상기 이송 스크류(300)가 상기 후단지지블록(502)을 관통하는 통로이다.
상기 제2 관통공(502a)은 그 내경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이송 스크류(300)는 상기 제2 관통공(502a)에 대응하여 외경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제2 경사면부(30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관통공(502a)과 제2 경사면부(302)는 상기 이송 스크류(300)의 회전에 따라 착유물이 이송되면서 상기 착유부(500)를 통과하기 직전에 착유물을 수평으로 압착하여 착유물에서 기름이 완전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수평지지봉(503)은 다수의 상기 격판(504)이 분해 가능하게 끼워진 상태로 상기 선단지지블록(501)과 후단지지블록(502) 사이에 분해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격판(504)이 일렬로 정렬된 상태로 상호 밀착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평지지봉(503)은 상기 선단지지블록(501)을 상기 선단지지부(400)에 고정시키는 역할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선단지지블록(501)과 후단지지블록(502)의 사이에서 상기 수평지지봉(503)에 의해 다수의 상기 격판(504)이 분해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격판(504)의 사이에 이물질이 끼이는 경우에 상기 수평지지봉(503)을 상기 선단지지블록(501)과 후단지지블록(502)에서 분해하여 상기 격판(504)을 상호 이격시킨 상태로 공기의 분사 등을 통해 손쉽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수평지지봉(503)은 그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열선(503a)을 포함한다. 상기 열선(503a)은 전원의 공급에 의해 가열되면서 상기 수평지지봉(503)을 가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수평지지봉(503)이 가열되면서 상기 격판(504)을 가열시켜 상기 격판(504)에 있으며 동절기의 저온에 의해 굳은 기름을 녹여서 기름이 상기 격판(504)의 사이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도 4 참조).
상기 격판(504)은 다수개가 상호 밀착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착유통공(504a)의 내주면에 상기 이송 스크류(300)의 날이 거의 밀착되게 회전되면서 착유물을 가압하여 상기 격판(504)의 상호 밀착된 틈 사이로 기름을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격판(504)은 양측에 상기 수평지지봉(50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구멍이 형성되는 판형의 구조를 가지는데, 이와 같은 상기 격판(504)의 상세한 구조는 도 8 및 도 9를 통해 여기 이후에 상세히 설명된다.
상기 착유부(500)는 상기 이송 스크류(300)가 관통되는 상태로 상기 격판(504)과 격판(504)의 사이에 수평으로 끼워져 분해 가능하게 고정되고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내외로 관통되게 다수의 제1 슬롯(505a)이 형성되는 관형의 중앙착유관(50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 스크류(300)는 상기 중앙착유관(505)에 대응되는 부위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기 중앙착유관(505)의 내주면에 근접하게 형성되는 제1 경사면부(301)를 더 포함한다.
상기 중앙착유관(505)은 상기 이송 스크류(300)의 회전에 따라 착유물이 이송되면서 상기 제1 경사면부(301)에 의해 착유물이 상기 중앙착유관(505)의 내주면에서 압착되어 상기 제1 슬롯(505a)을 통해 기름을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중앙착유관(505)은 상기 제1 경사면부(301)에 의해 착유물을 이송 중에 직접 압착하여 기름을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슬롯(505a)은 기름이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면에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착유물의 입자보다 훨씬 더 작은 폭으로 형성된다.
상기 착유부(500)는 상기 선단지지부(400)와 상기 선단지지블록(501)이 상호 이격되도록 상기 수평지지봉(503)이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선단지지블록(501)에 대응하여 상기 수평지지봉(503)에 나사결합되는 한 쌍의 조임너트(506)와, 상기 이송 스크류(300)가 관통되는 상태로 상기 선단지지부(400)의 내측과 상기 선단지지블록(501)의 외측면 사이에 수평으로 끼워져 분해 가능하게 고정되고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내외로 관통되게 다수의 제2 슬롯(507a)이 형성되는 관형의 선단착유관(507)과, 상기 본체(100)와 상기 후단지지블록(502)이 상호 이격되게 구비되고 그 사이에 분해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제2 수평로드(508)를 더 포함한다.
상기 조임너트(506)는 나사산이 형성된 상기 수평지지봉(503)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수평지지봉(503)을 따라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선단지지블록(501)의 일측면을 조여 상기 선단지지블록(501)과 함께 다수의 상기 격판(504)이 상기 후단지지블록(502)에 대응하여 가압되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조임너트(506)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수평지지봉(503)에서 풀리면 상기 선단지지블록(501)과 격판(504)의 가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조임너트(506)에 의한 상기 격판(504)의 가압은 착유물이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를 가지거나 기름의 순도를 높여야 하는 경우에 상기 격판(504)과 격판(504) 사이의 틈을 미세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조임너트(506)에 의한 상기 격판(504)의 가압의 해제는 착유물이 상대적으로 큰 입자를 가지거나 기름의 순도를 필요에 따라 낮춰야 하는 경우에 상기 격판(504)과 격판(504) 사이의 틈을 상대적으로 넓게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조임너트(506)에 의해 사용자는 착유물의 입자 크기나 기름의 순도에 맞추어 상기 격판(504)의 상호 이격 거리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선단착유관(507)은 상기 이송 스크류(300)의 회전에 따라 착유물이 이송되면서 상기 이송 스크류(300)의 날에 의해 바로 압착되어 상기 제2 슬롯(507a)을 통해 기름을 1차적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선단착유관(507)은 상기 이송 스크류(300)에 의해 이송되는 착유물이 상기 이송 스크류(300) 자체를 통해 직접 압착되어 착유물에서 1차적으로 기름을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슬롯(507a)은 기름이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면에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착유물의 입자보다 훨씬 더 작은 폭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 수평로드(508)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너트로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100)에 상기 후단지지블록(502)이 분해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격판식 착유기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종단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요부 확대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착유기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가 상기 호퍼(401)에 착유물(예를 들면, 깨)을 투입한 후에 상기 구동축(203)을 구동시키면 상기 이송 스크류(300)가 회전되면서 상기 호퍼(401)의 착유물이 상기 선단지지부(400)의 내측에서 일측으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착유물은 상기 이송 스크류(300)에 의해 이송되는 중에 상기 선단착유관(507)을 통과하면서 상기 이송 스크류(300)의 날과 상기 선단착유관(507)의 내주면에 압착되어 상기 제2 슬롯(507a)을 통해 1차적으로 기름을 배출하게 된다.
1차적으로 기름이 배출된 착유물은 상기 이송 스크류(300)에 의해 계속 수평으로 이송되면서 다수의 상기 격판(504)을 통과하게 되고, 상기 격판(504)에서 상기 이송 스크류(300)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격판(504)의 사이로 기름을 배출하게 된다.
상기 격판(504)을 통과한 착유물은 상기 중앙착유관(505)을 통과하면서 상기 이송 스크류(300)의 제1 경사면부(301)와 상기 중앙착유관(505)의 내주면의 사이에서 압착되어 상기 제1 슬롯(505a)을 통해 한 번 더 기름을 배출하게 된다.
상기 중앙착유관(505)을 통과한 착유물은 다시 다수의 상기 격판(504)을 통과하면서 상기 격판(504)의 내주면과 상기 이송 스크류(300)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격판(504)의 사이로 기름을 배출하게 된다.
상기 격판(504)을 통과한 착유물은 상기 후단지지블록(502)을 통과하면서 상기 이송 스크류(300)의 제2 경사면부(302)와 상기 후단지지블록(502)의 제2 관통공(502a)의 내주면의 사이에서 완전히 압착되어 상기 격판(504)측으로 기름을 배출시키게 되고, 상기 제2 관통공(502a)은 통과한 착유물은 기름이 완전히 배출된 상태의 고형물(예를 들면, 깻묵)로 상기 후단지지블록(502)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착유기는 착유물을 다단계로 압착하여 다수번 착유를 함으로써, 착유물에 함유된 기름을 완전히 배출시킨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격판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A-A 선의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격판(504)은 상기 착유통공(504a)의 일측 둘레로 상기 격판(504)의 일측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배출홈(504b)과, 상기 착유통공(504a)의 내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단턱(504c)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배출홈(504b)은 상기 격판(504)과 격판(504)이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 이를 통해 상기 착유통공(504a)에서 압착되어 생성된 기름이 외부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배출홈(504b)은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도면에 확대하여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보다 촘촘하면서 착유물의 입자보다 훨씬 더 작은 미세한 폭을 가진다.
상기 단턱(504c)은 상기 착유통공(504a)의 내주면에 톱니의 형태로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착유통공(504a)에서 상기 이송 스크류(300)에 의해 착유물이 압착될 때 착유물이 헛돌지 않도록 착유물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100 : 본체
200 : 구동부
201 : 모터 202 : 감속기
203 : 구동축
300 : 이송 스크류
301 : 제1 경사면부 302 : 제2 경사면부
400 : 선단지지부
401 : 호퍼
500 : 착유부
501 : 선단지지블록
501a : 제1 관통공
502 : 후단지지블록
502a : 제2 관통공
503 : 수평지지봉 503a : 열선
504 : 격판
504a : 착유통공 504b : 배출홈
504c : 단턱
505 : 중앙착유관
505a : 제1 슬롯
506 : 조임너트
507 : 선단착유관
507a : 제2 슬롯
508 : 제2 수평로드

Claims (5)

  1.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부(200)와;
    상기 본체(100)의 상부로 후단이 상기 구동부(200)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이송 스크류(300)와;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 스크류(300)의 선단이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호퍼(401)가 연통되게 연결되는 선단지지부(400)와;
    상기 선단지지부(400)와 상기 구동부(20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 스크류(300)를 둘러싸는 착유부(500)를; 포함하며,
    상기 착유부(500)는,
    상기 이송 스크류(300)가 관통되는 제1 관통공(501a)을 가지고 상기 선단지지부(400)에 장착되는 선단지지블록(501)과,
    상기 선단지지블록(501)에 대응하여 상기 이송 스크류(300)의 후단이 관통되는 제2 관통공(502a)을 가지고 상기 구동부(200)에 대응되는 상기 본체(100)에 장착되는 후단지지블록(502)과,
    상기 선단지지블록(501)의 양측을 관통하여 상기 선단지지부(400)에 각각 선단이 분해 가능하게 수평으로 장착되고 후단이 상기 후단지지블록(502)의 양측에 각각 분해 가능하게 수평으로 장착되는 한 쌍의 수평지지봉(503)과,
    상기 이송 스크류(300)가 관통되는 착유통공(504a)을 가지고 상기 선단지지블록(501)의 내측면과 상기 후단지지블록(502)의 내측면 사이로 상호 밀착되게 상기 수평지지봉(503)에 끼워져 고정되는 다수의 격판(50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판식 착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504)은,
    상기 착유통공(504a)의 일측 둘레로 상기 격판(504)의 일측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배출홈(504b)과,
    상기 착유통공(504a)의 내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단턱(504c)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판식 착유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유부(500)는,
    상기 이송 스크류(300)가 관통되는 상태로 상기 격판(504)과 격판(504)의 사이에 수평으로 끼워져 분해 가능하게 고정되고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내외로 관통되게 다수의 제1 슬롯(505a)이 형성되는 관형의 중앙착유관(50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 스크류(300)는,
    상기 중앙착유관(505)에 대응되는 부위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기 중앙착유관(505)의 내주면에 근접하게 형성되는 제1 경사면부(30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판식 착유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유부(500)는,
    상기 선단지지부(400)와 상기 선단지지블록(501)이 상호 이격되도록 상기 수평지지봉(503)이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선단지지블록(501)에 대응하여 상기 수평지지봉(503)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선단지지블록(501)을 일측으로 조이거나 그 조임을 해제하여 상기 격판(504)을 가압하거나 그 가압을 해제시키는 한 쌍의 조임너트(506)와,
    상기 이송 스크류(300)가 관통되는 상태로 상기 선단지지부(400)의 내측과 상기 선단지지블록(501)의 외측면 사이에 수평으로 끼워져 분해 가능하게 고정되고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내외로 관통되게 다수의 제2 슬롯(507a)이 형성되는 관형의 선단착유관(507)과,
    상기 본체(100)와 상기 후단지지블록(502)이 상호 이격되게 구비되고 그 사이에 분해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제2 수평로드(50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판식 착유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통공(502a)은,
    그 내경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이송 스크류(300)는,
    상기 제2 관통공(502a)에 대응하여 외경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제2 경사면부(30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평지지봉(503)은,
    그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열선(503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판식 착유기.
KR1020130034326A 2013-03-29 2013-03-29 격판식 착유기 KR101393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4326A KR101393118B1 (ko) 2013-03-29 2013-03-29 격판식 착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4326A KR101393118B1 (ko) 2013-03-29 2013-03-29 격판식 착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3118B1 true KR101393118B1 (ko) 2014-05-09

Family

ID=50893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4326A KR101393118B1 (ko) 2013-03-29 2013-03-29 격판식 착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311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097B1 (ko) 2014-10-20 2015-04-08 내쇼날이엔지 주식회사 압착관식 착유기
KR102058446B1 (ko) * 2017-09-25 2019-12-23 손명진 곡물 착유기
KR102449471B1 (ko) 2022-05-30 2022-09-30 내쇼날엔지니어링(주) 콜드 프레스 착유기
KR20230016964A (ko) 2021-07-27 2023-02-03 이영진 익스펠러 프레스 자동 세척장치
KR102504026B1 (ko) * 2022-11-08 2023-02-27 프롬마미 주식회사 진공 착유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562Y1 (ko) 2000-07-03 2000-12-01 권세환 일체형 착유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562Y1 (ko) 2000-07-03 2000-12-01 권세환 일체형 착유봉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097B1 (ko) 2014-10-20 2015-04-08 내쇼날이엔지 주식회사 압착관식 착유기
KR102058446B1 (ko) * 2017-09-25 2019-12-23 손명진 곡물 착유기
KR20230016964A (ko) 2021-07-27 2023-02-03 이영진 익스펠러 프레스 자동 세척장치
KR102449471B1 (ko) 2022-05-30 2022-09-30 내쇼날엔지니어링(주) 콜드 프레스 착유기
KR102504026B1 (ko) * 2022-11-08 2023-02-27 프롬마미 주식회사 진공 착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3118B1 (ko) 격판식 착유기
KR101510097B1 (ko) 압착관식 착유기
CN209109135U (zh) 双轴对辊式挤压造粒机
CN110150700A (zh) 一种小型饲料制粒机
CN106857424B (zh) 蚕用消毒喷粉撒粉机
KR101916566B1 (ko) 압출 성형기, 건조 펠렛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압출 성형 방법 및 건조 펠렛 제조 방법
CN205082637U (zh) 一种饲料制粒装置
CN107094718A (zh) 自动化家蚕人工饲料挤出给料机
US4696634A (en) Apparatus for particulating an oleaginous product
CN207574487U (zh) 饲料高效辊压式造粒机
US20160114515A1 (en) Kneading and granulating apparatus
US20020037337A1 (en) Dividing apparatus
CN203470340U (zh) 一种玉米颗粒除杂机
CN104369284B (zh) 一种橡胶颗粒细碎机
CN209435840U (zh) 一种葵花脱粒筛选机
CN209955274U (zh) 一种吸管的冷却干燥装置
CN112220091A (zh) 一种米粉成型装置
CN219296478U (zh) 一种具备双振动盘带自动分离的连续供料装置
CN207913723U (zh) 一种造粒机
CN213797556U (zh) 一种树脂加工用粉碎烘干装置
CN111011731A (zh) 一种食品加工生产线的挤压成型装置
US3765319A (en) Machine for treating soybeans
CN216220136U (zh) 鸡精造粒装置
KR20190087725A (ko) 착유기용 착유부재
RU2288571C1 (ru) Измельчитель сочных корм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