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4729B1 - 소형 청소차 - Google Patents

소형 청소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4729B1
KR101384729B1 KR1020130158361A KR20130158361A KR101384729B1 KR 101384729 B1 KR101384729 B1 KR 101384729B1 KR 1020130158361 A KR1020130158361 A KR 1020130158361A KR 20130158361 A KR20130158361 A KR 20130158361A KR 101384729 B1 KR101384729 B1 KR 101384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mall
unit
vehicle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8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섭
Original Assignee
케이에이치특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에이치특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에이치특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8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47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4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4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08Pneumatically dislodging or taking-up undesirable matter or small objects; Drying by heat only or by streams of gas; Cleaning by projecting abrasive particles
    • E01H1/0827Dislodging by suction; Mechanical dislodging-cleaning apparatus with independent or dependent exhaust, e.g. dislodging-sweeping machines with independent suction nozzles ; Mechanical loosening devices working under vacuum
    • E01H1/0836Apparatus dislodging all of the dirt by suction ; Suction nozzles
    • E01H1/0845Apparatus dislodging all of the dirt by suction ; Suction nozzles with mechanical loosening or feeding instruments for the dirt to be sucked- up, e.g. brushes,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9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liquid proces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10Hydraulically loosening or dislodging undesirable matter; Raking or scraping apparatus ; Removing liquids or semi-liquids e.g., absorbing water, sliding-off mud
    • E01H1/101Hydraulic loosening or dislodging, combined or not with mechanical loosening or dislodging, e.g. road washing machines with brushes or wi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 청소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넓은 도로는 물론 이면도로, 골목길 등과 같은 폭이 좁은 도로를 용이하게 운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소형 청소차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적재함이 구비된 소형 차량과, 상기 소형차량의 적재함에 설치되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에 의해 흡인된 공기와 이물질을 분리하는 분리부와, 상기 분리부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형 청소차{Mini-Cleaning car}
본 발명은 소형 청소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넓은 도로는 물론 이면도로, 골목길 등과 같은 폭이 좁은 도로를 용이하게 운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소형 청소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지방자치단체 또는 도로를 관리하는 기관에서는 이미 건설되어 사용하고 있는 도로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노면에 쌓인 이물질 및 미세먼지를 제거하여 노면을 청결한 상태로 유지 및 관리하고 있다.
특히, 도시 미관과 관련하여 폐기물의 처리는 매우 중요시되고 있는데, 그중에서도 도로 및 도로 주변에 대한 청소는 높은 인구가 밀집되어 생활하고 있는 도시 특성상 중요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이에 따라, 노면의 유지 및 관리가 적은 인력으로도 어렵지 않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면의 이물질을 빨아들여 청소하는 노면 청소차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노면청소차량으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453208호 "유압구동식 노면청소차량", 특허등록 제10-70013호 "도로시설물 청소차량", 특허등록 제10-810152호 "미세먼지 청소차" 등 다양한 기능을 갖는 청소차량이 제시된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노면 청소차량은 주로 대형 차량으로 구성된 것으로, 대형 차량이 진입할 수 있는 큰 도로에서만 노면의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청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면 도로와 같이 폭이 좁은 골목길 등은 종래의 노면 청소차량의 진입이 어려워 환경미화원들이 직접 쓰레기 등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를 수행함으로써, 과다한 인력 투입에 비해 청소 능력의 한계를 나타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대형 청소차량이 진입하기 어려운 장소를 청소하는 소형 청소차량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대부분 수입품에 의존하여 사용되어 지고 있으며, 장비구매 비용과 유지관리 비용이 크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 사용되는 진공청소차량의 경우 진공탱크 내부로 종이나 혹은 천 등이 흡입되어 필터에 달라붙어 진공흡입 효과를 떨어뜨리는 현상이 빈번하게 일어나 청소 효과가 낮아지는 경향이 많으며, 이러한 현상은 대형 청소차량보다는 소형 청소차량에서 더욱 자주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청소차량을 소형화하여 넓은 도로는 물론 대형 차량이 진입하지 못하는 이면도로, 골목길 등과 같은 폭이 좁은 도로를 용이하게 운행하면서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통은 분리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포집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포집통의 내측에 포집포대를 구비하여 포집포대에 이물질이 찬 경우에는 포집포대를 교체함과 동시에 포집통으로부터 분리된 포집포대의 입구를 밀봉하여 도로 가장자리에 하역시켜 별도로 수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시로 포집통에 수거된 이물질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더욱 많은 구역을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물질과 함께 흡입된 공기는 필터를 통하여 이물질과 미세먼지 등을 분리된 상태로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공기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필터부로 에어를 분사하는 공기 충격포를 더 구비하여 필터에 달라붙은 먼지 등 이물질을 주기적으로 제거함으로써, 필터의 막힘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필터의 수명 및 성능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흡입부로부터 흡입된 이물질이 분리부의 필터로 이동하는 메쉬망을 더 구비함으로써, 필터로 이물질이 달라붙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흡입부에 의해 흡입된 공기는 분리부에서 일부는 필터를 통하여 정화된 상태로 외부로 배출되고, 일부는 흡입부재로 공급되어 노면으로 분사함으로써, 이물질은 물론 노면의 미세먼지까지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물분사부를 구비함으로써, 노면의 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물청소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소형 차량의 하부에 브러쉬부를 구비함으로써, 이 브러쉬부에 의해 노면의 미세먼지 등을 비산시켜 용이하게 흡입부로 흡입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적재함이 구비된 소형 차량과, 상기 소형차량의 적재함에 설치되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에 의해 흡인된 공기와 이물질을 분리하는 분리부와, 상기 분리부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소형 차량의 적재함에는 보조엔진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소형 차량의 적재함에 설치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부 상단에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설치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소형차량의 적재함 하부에는 브러쉬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브러쉬부는 소형차량의 적재함에 설치된 메인프레임 하부 양측부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모터에 의해 작동하는 한 쌍의 브러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부는 적재함 하부에 설치되어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부재와, 상기 흡입부재와 흡입관에 의해 서로 연결된 흡입팬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흡입부재에는 한 쌍의 보조바퀴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분리부는 소형차량의 설치프레임에 설치되되, 상, 하부가 개방되고, 일측부에는 흡입부의 흡입팬과 연통되게 설치되는 분리함체와, 상기 분리함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필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분리함체의 내측 상단부에는 메쉬망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부는 분리함체의 상부를 커버하되, 내측에는 공기포집실이 형성되도록 분리판이 설치되고, 이 공기포집실과 연통되게 공기배출공이 형성된 상부커버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분리판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필터봉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커버부재의 외측부에는 배출공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안내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상부커버부재는 고정레버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레버는 소형차량의 설치프레임에 구비된 고정구에 고정축에 의해 일측부가 결합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분리부에는 공기를 노면으로 분사하는 공기분사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공기분사부는 흡입부의 흡입부재에 공기분사구가 형성되고, 상기 분리부의 분리함체의 전면 상부에 내측과 연통되게 공기공급구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분사구에 일측부가 결합되고, 타측부는 분리함체의 공기공급구에 결합되는 공기안내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집부는 분리부의 분리함체 하부에 위치되되, 소형차량의 적재함에 고정바에 의해 지지되는 안착프레임과, 상기 안착프레임의 상부에 안착되는 포집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포집통에는 포집포대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포집부를 회동시키는 회동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회동부는 일측부는 포집부의 안착프레임 상부에 결합 고정되고, 타측부는 소형차량의 설치프레임에 구비된 고정구에 결합 고정되는 작동레버가 구비되며, 상기 설치프레임에 일측부가 결합 고정되고, 실린더로드는 작동레버에 결합 고정되는 실린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필터봉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충격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에어 충격포는 다수개의 필터봉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관이 구비되고, 상기 에어분사관의 일측부에 설치되는 압력용기가 구비되며, 상기 압력용기의 내측을 통하여 에어를 에어분사관으로 공급하는 에어유입관이 구비되며, 압력용기에 결속되는 에어분사관의 사이에는 에어를 제어하는 제어실린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제어실린더는 에어유입관이 결속되되,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에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어실린더의 일측부를 커버하되, 외측에 유압밸브가 설치된 고정체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실린더의 내측에는 작동체가 구비되되, 통공을 막아주는 작동체의 하부에는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에어분사관이 결합되는 방향의 제어실린더 내측에는 시트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소형차량에 설치되어 노면으로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부가 더 구비된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물분사부는 소형차량의 적재함에 물탱크가 구비되고, 상기 적재함의 하부에는 노면으로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리부가 돌출되게 소형차량의 잭재함을 커버하는 케이스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의 양측부 또는 어느 일측부에는 출입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청소차량을 소형화하여 큰 도로는 물론 대형 차량이 진입하지 못하는 이면도로, 좁은 골목길 등과 같은 폭이 좁은 도로를 용이하게 운행하면서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통은 분리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포집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포집통의 내측에 포집포대를 구비하여 포집포대에 이물질이 찬 경우에는 포집포대를 교체함과 동시에 포집통으로부터 분리된 포집포대의 입구를 밀봉하여 도로 가장자리에 하역시켜 별도로 수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시로 포집통에 수거된 이물질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더욱 많은 구역을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물질과 함께 흡입된 공기는 필터를 통하여 이물질과 미세먼지 등을 분리된 상태로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공기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필터부로 에어를 분사하는 공기 충격포를 더 구비하여 필터에 달라붙은 먼지 등 이물질을 주기적으로 제거함으로써, 필터의 막힘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필터의 수명 및 성능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흡입부로부터 흡입된 이물질이 분리부의 필터로 이동하는 메쉬망을 더 구비함으로써, 필터로 이물질이 달라붙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흡입부에 의해 흡입된 공기는 분리부에서 일부는 필터를 통하여 정화된 상태로 외부로 배출되고, 일부는 흡입부재로 공급되어 노면으로 분사함으로써, 이물질은 물론 노면의 미세먼지까지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분사부를 구비함으로써, 노면의 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물청소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소형 차량의 하부에 브러쉬부를 구비함으로써, 이 브러쉬부에 의해 노면의 미세먼지 등을 비산시켜 용이하게 흡입부로 흡입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청소차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청소차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흡입부를 보인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분리부와 필터부를 보인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에어 충격포를 보인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포집부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물분사부를 보인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청소차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청소차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청소차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청소차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흡입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분리부와 필터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에어 충격포를 보인 도면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포집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물분사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청소차(100)는 적재함(112)이 구비된 소형차량(110)과, 이 소형차량(110)의 적재함(112)에 설치되는 보조엔진(210)과, 상기 소형차량(110)에 설치되어 노면에 달라붙은 미세먼지 등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브러쉬부(310)와, 상기 소형차량(110)의 적재함(112)에 설치되어 노면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부(410)와, 상기 흡입부(410)로부터 흡입된 이물질과 공기를 분리하는 분리부(510)와, 상기 분리부(510)에서 분리된 공기를 정화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필터부(610)와, 상기 분리부(510)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부(71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소형차량(110)은 적재함(112)에 안착 설치되는 메인프레임(120)이 구비되고, 이 메인프레임(120)의 후부 상단부에는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프레임(122)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브러쉬부(310)는 소형차량(110)의 적재함(112) 하부 양측에 설치되되, 메인프레임(120)의 전면 하부에 지지프레임(312)이 구비되고, 이 지지프레임(312)의 하부에는 모터(314)에 의해 회전하는 브러쉬(31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브러쉬부(310)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브러쉬(316)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수단이 구비되어 사용시에는 하강시켜 브러쉬(316)가 노면에 접촉되도록 하고, 브러쉬부(31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브러쉬(316)를 상부로 상승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소형차량(110)이 운행하면서 브러쉬부(310)에 의해 노면에 달라붙은 미세먼지 등 이물질을 분리시켜 용이하게 흡입부(410)로 흡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흡입부(410)는 적재함(112) 하부 중앙부에 위치되게 설치되되, 흡입구(414)가 형성된 흡입부재(41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흡입부재(412)의 후부에는 노면에 밀착되어 흡입부재(412)를 지지하는 보조바퀴(412a)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흡입부재(412)의 흡입구(414)에 일측부가 결합 고정되는 흡입관(416)에 의해 서로 연결되되, 분리부(510)에 설치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팬(418)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팬(418)의 작동에 의해 흡입부재(412)의 흡입구(414)를 통하여 노면으로부터 이물질이 흡입되고, 흡입된 이물질은 흡입관(416)을 통하여 이동하여 분리부(510)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분리부(510)는 소형차량(110)의 설치프레임(122) 상부에 설치되되, 상, 하부가 개방되게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분리함체(51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분리함체(512)의 내측 공간과 흡입부(410)의 흡입팬(418)은 서로 연통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팬(418)에 의해 흡입된 이물질은 공기와 함께 분리함체(512)의 내측으로 공급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분리함체(512)의 내측 상단부, 즉 흡입팬(418)이 결합 고정된 상단부에 위치되도록 메쉬망(514)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팬(418)에 의해 흡입되어 공급되는 이물질은 이 메쉬망(514)에 의해 분리되어 하부로 떨어지고, 공기만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분리부(510)에 설치되어 노면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노면에 잔류하는 먼지나 이물질 등을 비산시켜 흡입부(410)로 용이하게 흡입될 수 있도록 공기분사부(5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분사부(530)는 흡입부(410)의 흡입부재(412)에 다수개의 공기분사구(532)가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분리부(510)의 분리함체(512)의 상부에는 내측과 연통되게 공기공급구(53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공기공급구(534)는 메쉬망(514)이 구비된 상단부에 위치되도록 분리함체(512)의 내측과 연통되게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공기분사구(532)에 일측부가 결합 고정되고, 타측부는 공기공급구(534)에 결합 고정되는 공기안내관(536)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부(410)에서 흡입된 공기와 이물질은 분리부(510)로 공급되고, 분리부(510)로 공급된 이물질로부터 분리된 공기의 일부는 공기공급구(534)와 공기안내관(536)을 통하여 공기분사구(532)로 공급되어 노면으로 공기를 분사시켜 노면의 이물질을 비산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필터부(610)는 분리부(510)의 분리함체(512)의 상부에 설치되어 메쉬망(514)에 의해 이물질이 분리된 공기로부터 미세먼지 등을 정화하여 깨끗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필터부(610)는 분리함체(512)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설치되고, 후부에는 공기배출공(614)이 형성된 상부커버부재(612)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상부커버부재(612)의 내측에는 분리판(616)이 구비되어 상부커버부재(612)의 내측 상부에 공기포집실(618)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커버부재(612)에 형성된 공기배출공(614)은 상부커버부재(612)의 내측에 형성된 공기포집실(618)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분리판(616)에는 일정 간격으로 종과 횡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다수개의 필터봉(62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필터봉(620)은 상부가 분리판(616)에 결합되어 공기포집실(618)과 연통되게 결합 고정되고, 하부는 분리함체(512)의 내측에 위치되게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분리함체(512)의 내측으로 공급된 공기와 이물질 중 이물질은 분리함체(512)의 하부로 배출되고, 공기는 필터봉(620)을 통하여 미세먼지 등이 정화된 공기만 공기포집실(618)로 이동하게 되고, 공기포집실(618)에 포집된 공기는 공기배출공(61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커버부재(612)의 상단부와 후부에 위치되게 한 쌍의 고정레버(630)가 구비되고, 이 고정레버(630)의 하부는 설치프레임(122)에 고정구(632)를 구비하고, 이 고정구(632)와 고정축(634)에 의해 회동되도록 결합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커버부재(612)는 고정축(634)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개폐함으로써, 분리함체(512) 및 필터부(610)의 유지 및 관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커버부재(612)에 구비된 한 쌍의 고정레버(630) 사이에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 안내부재(64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커버부재(612)의 공기배출공(61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는 이 안내부재(640)에 의해 하부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필터부(610)의 필터봉(620)으로 에어를 분사하여 필터봉(620)에 달라붙은 미세먼지 등 이물질을 제거하는 에어 충격포(65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 충격포(650)는 다수개의 필터봉(620) 상부에 위치되게 상부커버부재(612)의 내측에 설치되는 에어분사관(652)이 구비되고, 이 에어분사관(652)의 일측부에 설치되는 압력용기(654)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에어분사관(652)과 압력용기(654)의 사이에는 제어실린더(656)가 구비되되, 이 제어실린더(656)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압력용기(654)의 내측에 일측이 위치되고, 타측부에는 에어분사관(652)이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어실린더(656)는 하부에 통공(657)이 형성되고, 에어분사관(652)이 결속되는 타측부를 커버하되, 유압밸브(659)가 마련된 고정체(658)가 구비되며, 내측에는 슬라이드 이동하여 선택적으로 통공(657)을 개폐시키는 작동체(660)가 구비되고, 고정체(658)가 구비된 타측부에는 작동체(660)의 슬라이드 동작을 제어하는 시트링(662)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체(660)의 하부, 즉 통공(657)을 밀폐시 통공(657)에 위치하는 하부에는 단턱(660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작동체(660)의 하부에 형성된 단턱(660a)은 제어실린더(656)의 통공(657)으로 에어가 공급될 때 단턱(660a)으로 에어가 공급되어 용이하게 작동체(660)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통공(657)을 개방시키게 된다.
아울러, 상기 압력용기(654)를 관통하여 일측 끝단부가 고정체(658)에 결속되되, 제어실린더(656)의 내측과 연통되게 고정체(658)에 결합 고정되는 에어유입관(664)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유입관(664)으로 외부의 에어를 공급하게 되면 제어실린더(656) 내측에 구비된 작동체(660)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시트링(662)에 밀착되어 에어가 에어분사관(652)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제어실린더(656)의 내측에 압력이 발생함과 동시에 고정체(658)의 유압밸브(659)가 개방되면서 에어가 압력용기(654)의 내측으로 배출되며, 이때 압력용기(654)에는 압력이 발생하게 되어 에어는 제어실린더(656)의 통공(657)을 통하여 내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작동체(660)를 고정체(658)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에어분사관(652)이 개방되면서 에어분사관(652)을 통하여 에어가 이동하여 필터봉(620)으로 에어가 분사되어 이물질 등을 제거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포집부(710)는 소형차량(110)의 적재함(112) 후부에 안착프레임(712)이 설치되되, 이 안착프레임(712)은 분리부(510)의 분리함체(512) 하부에 위치되게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안착프레임(712)의 양측 하부에 일측부가 회동되게 결합 고정되고, 타측부는 적재함(112)에 결합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바(714)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안착프레임(712)의 상부에 안착되되, 분리함체(512)의 하부와 연통되게 포집통(716)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분리함체(512)의 내측에서 공기와 분리된 이물질이 하부로 배출되어 포집통(716)으로 투입되어 쌓이게 된다.
아울러, 상기 포집통(716)의 내측에는 포집통(716)을 분리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이물질을 처리할 수 있도록 포집포대(718)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포집통(716)에 수용되는 포집포대(718)는 선택적으로 수용할 수도 있고, 포집포대(718)를 구비하지 않고, 포집통(716)에 직접 이물질이 쌓이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포집통(716)으로 투입되는 이물질은 포집포대(718)에 쌓이게 되고, 이물질이 투입되어 쌓인 포집포대(718)는 포집통(716)으로부터 분리 후 입구를 밀폐시켜 별도의 수거 수단에 의해 수거되게 된다.
또한, 상기 포집부(710)의 안착프레임(712)을 회동시켜 포집통(716)을 용이하게 설치 및 인출 또는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회동부(8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회동부(810)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부가 포집부(710)의 안착프레임(712)에 힌지 등 고정수단에 의해 회동되도록 고정되고, 타측부는 설치프레임(122)에 구비된 고정구(632)와 고정축(634)에 의해 고정되는 작동레버(812)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작동레버(812)의 중간부에 실린더로드가 힌지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타측부는 설치프레임(122)에 힌지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실린더(814)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814)를 작동시키게 되면 실린더로드가 인출되면서 작동레버(812)를 회동시키게 되고, 이 작동레버(812)의 회동시 고정바(714)에 의해 고정된 안착프레임(712)이 고정바(714)가 고정된 위치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후부로 인출되면서 안착프레임(712)이 수평을 유지하는 상태로 차량 뒤쪽으로 이동하면서 지면에 안착되게 되어 포집통(716)을 용이하게 분리 또는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소형차량(110)의 적재함(112)에 설치되어 노면에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부(9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물분사부(910)는 적개함(112)에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912)가 구비되고, 이 물탱크(912)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노면으로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구(91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물분사구(914)는 적재함(112)의 하부 폭 방향으로 설치되어 노면으로 물을 분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물분사부(910)를 구비함으로써, 노면의 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물청소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소형차량(110)의 적재함(112) 상부를 커버하는 케이스(130)가 구비되되, 이 케이스(130)는 양측부에 도어(미도시)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30)는 소형차량(110)의 적재함(112)에 설치되되, 분리부(510)외 필터부(610) 및 포집부(710)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청소차에 대한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청소차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청소차(100)는 소형화하여 넓은 도로는 물론 종래의 노면 청소차가 진입하지 못하는 이면도로나 골목길 등 좁은 도로를 운행하면서 노면의 미세먼지나 이물질 등을 제거하게 된다.
즉, 상기 소형 청소차(100)가 넓고 좁은 도로나 골목길 등을 운행하면서 브러쉬부(310)를 작동시켜 노면의 미세먼지 등 이물질을 분리?킴과 동시에 비산시키고, 노면으로부터 떨어진 이물질은 흡입팬(418)의 작동에 의해 흡입부재(412)에 구비된 흡입구(414)로 흡입되어 분리함체(512)로 공급된다.
이렇게, 상기 분리함체(512)의 내측으로 공급된 이물질은 하부로 떨어져 포집통(716)에 모이게 되고, 공기는 필터봉(620)을 통하여 공기포집실(618)로 공급되어 공기배출공(614)을 통해 외부로 정화된 깨끗한 공기가 배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분리함체(512)의 내측에 구비된 메쉬망(514)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진 공기만 통과하여 상부로 이동하고, 메쉬망(514)을 통과한 공기는 필터봉(620)을 통하여 공기포집실(618)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필터봉(620)에 의해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등을 걸러주게 되어 정화된 깨끗한 공기만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상기 흡입부(410)에 의해 분리함체(512)의 내측으로 이물질과 함께 공급된 공기의 일부는 공기분사부(530)를 통하여 노면으로 공기가 분사되게 된다.
즉, 상기 분리함체(512)에서 필터부(610)로 이동하는 공기의 일부는 공기공급구(534)를 통하여 배출되어 공기안내관(536)을 통하여 공기분사구(532)로 공급되어 노면으로 분사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분사부(530)에 의해 노면으로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노면의 이물질이 비산되어 더욱 용이하게 흡입부(410)로 이물질 등을 흡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리부(510)에서 분리되어 하부로 배출되는 이물질은 포집통(716)에 모이게 된다.
이렇게, 상기 포집통(716)에 이물질이 가득 차게 되면 소형 청소차(100)의 운행을 정지 후 회동부(810)를 작동시켜 안착프레임(712)을 후부로 인출 하강하여 지면에 안착시킨 후 포집통(716)을 비우고 다시 안착프레임(712)에 포집통(716)을 안착시킨 후 회동부(810)를 작동시켜 포집통(716)이 분리함체(512)의 하부에 위치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소형 청소차(100)가 운행을 하면서 이물질을 흡입하여 포집통(716)에 이물질이 가득 차게 되면 포집통(716)으로부터 이물질을 비우고 다시 분리함체(512)의 하부에 위치되게 포집통(716)을 설치함으로써, 소형 청소차(100)가 운행을 하면서 청소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포집통(716)에 포집포대(718)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포집포대(718)에 이물질이 가득 차게 되면 실린더(814)를 작동시켜 안착프레임(712)이 후부로 인출됨과 동시에 하부로 하강하여 지면에 안착프레임(712)이 안착하여 포집통(716)으로부터 포집포대(718)를 인출 후 입구를 밀봉하여 별도의 수거수단을 이용하여 처리하게 된다.
즉, 상기 포집포대(718)를 포집통(716)으로부터 분리 후 입구를 밀봉한 후 도로의 가장자리에 두게 되면 별도로 수거하는 차량이 이를 수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소형 청소차(100)가 종래의 노면 청소차가 진입하지 못하는 좁은 골목까지 청소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상기 소형 청소차(100)가 노면을 운행하면서 이물질을 포집하여 이물질과 공기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메쉬망(514)을 통과한 미세먼지 등에 의해 필터봉(620)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에어 충격포(650)를 이용하여 필터봉(620)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즉, 상기 에어유입관(664)으로 외부의 에어를 공급하게 되면 제어실린더(656) 내측에 구비된 작동체(660)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시트링(662)에 밀착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시트링(662)에 작동체(660)가 밀착되게 되면 제어실린더(656)의 통공(657)이 커버됨과 동시에 제어실린더(656)의 내측에 압력이 발생하게 되며, 이 압력에 의해 유압밸브(659)가 개방되면서 제어실린더(656) 내측의 에어가 압력용기(654)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유압밸브(659)를 통하여 배출되는 에어에 의해 압력용기(654)의 내측에 압력이 제어실린더(656)의 내측 압력보다 상승하게 되면 압력용기(654) 내측의 에어가 제어실린더(656)의 통공(657)으로 유입되고, 통공(657)으로 유입되는 에어에 의해 작동체(660)가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에어분사관(652)이 개방됨과 동시에 이 에어분사관(652)을 통하여 에어가 이동하여 필터봉(620)으로 에어를 분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분사관(652)을 통하여 필터봉(620)으로 에어가 분사되어 필터봉(620)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필터봉(620)의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 충격포(650)는 제동 제어 방식에 의해 주기적으로 작동하여 필터봉(620)으로 에어를 분사시킬 수도 있고, 작업자가 직접 수동으로 에어를 분사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610)의 상부커버부재(612)는 고정축(634)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되어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상부커버부재(612)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상기 상부커버부재(612)를 개방시킴으로써, 메쉬망(514)을 분리하여 청소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필터봉(620)을 교체 등 유지 및 관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소형 청소차(100)가 노면을 운행하면서 물분사부(910)의 물탱크(912)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아 노면으로 물분사구(914)를 통하여 분사함으로써, 노면의 이물질을 흡입 제거함과 동시에 물청소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는, 상기 흡입부(410)와 물분사부(910)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노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도 있고, 노면의 물청소만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청소차(100)는 넓은 도로는 물론 종래의 노면 청소차가 진입하지 못하는 폭이 좁은 골목길 등 도로를 운행하면서 노면을 청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소형 청소차(100)가 운행하면서 노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를 수행함과 동시에 노면의 물청소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포집부(710)의 포집통(716)을 분리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수시로 포집통(716)을 교체할 수 있음은 물론 포집통(716)의 내측에 포집포대(718)를 구비하여 포집통(716)을 분리하지 않고 포집포대(718)만 일출시켜 포집부(710)에 포집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청소차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 소형 청소차 110 : 소형차량
112 : 적재함 120 : 메인프레임
122 : 설치프레임 130 : 케이스
210 : 보조엔지
310 : 브러쉬부 312 : 지지프레임
314 : 모터 316 : 브러쉬
410 : 흡입부 412 : 흡입부재
412a : 보조바퀴 414 : 흡입구
416 : 흡입관 418 : 흡입팬
510 : 분리부 512 : 분리함체
514 : 메쉬망 530 : 공기분사부
532 : 공기분사구 534 : 공기공급구
536 : 공기안내관 610 : 필터부
612 : 상부커버부재 614 : 공기배출공
616 : 분리판 618 : 공기포집실
620 : 필터봉 630 : 고정레버
632 : 고정구 634 : 고정축
640 : 안내부재 650 : 에어 총격포
652 : 에어분사관 654 : 압력용기
656 : 제어실린더 657 : 통공
658 : 고정체 659 : 유압밸브
660 : 작동체 660a : 단턱
662 : 시트링 664 : 에어유입관
710 : 포집부 712 : 안착프레임
714 : 고정바 716 : 포집통
718 : 포집포대 810 : 회동부
812 : 작동레버 814 : 실린더
910 : 물분사부 912 : 물탱크
914 : 물분사구

Claims (25)

  1. 적재함이 구비된 소형 차량과,
    상기 소형차량의 적재함에 설치되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에 의해 흡인된 공기와 이물질을 분리하는 분리부와,
    상기 분리부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분리부는 소형차량의 설치프레임에 설치되되, 상, 하부가 개방되고, 일측부에는 흡입부의 흡입팬과 연통되게 설치되는 분리함체와, 상기 분리함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필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부는 분리함체의 상부를 커버하되, 내측에는 공기포집실이 형성되도록 분리판이 설치되고, 이 공기포집실과 연통되게 공기배출공이 형성된 상부커버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분리판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필터봉이 구비되고,
    상기 필터봉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충격포가 구비되고, 상기 에어 충격포는 다수개의 필터봉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관이 구비되고, 상기 에어분사관의 일측부에 설치되는 압력용기가 구비되며, 상기 압력용기의 내측을 통하여 에어를 에어분사관으로 공급하는 에어유입관이 구비되며, 압력용기에 결속되는 에어분사관의 사이에는 에어를 제어하는 제어실린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청소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 차량의 적재함에는 보조엔진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청소차.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 차량의 적재함에 설치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부 상단에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설치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청소차.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차량의 적재함 하부에는 브러쉬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청소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부는 소형차량의 적재함에 설치된 메인프레임 하부 양측부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모터에 의해 작동하는 한 쌍의 브러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청소차.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적재함 하부에 설치되어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부재와,
    상기 흡입부재와 흡입관에 의해 서로 연결된 흡입팬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청소차.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재에는 한 쌍의 보조바퀴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청소차.
  8. 삭제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함체의 내측 상단부에는 메쉬망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청소차.
  10. 삭제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부재의 외측부에는 배출공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안내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청소차.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부재는 고정레버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레버는 소형차량의 설치프레임에 구비된 고정구에 고정축에 의해 일측부가 결합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청소차.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에는 공기를 노면으로 분사하는 공기분사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청소차.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사부는 흡입부의 흡입부재에 공기분사구가 형성되고,
    상기 분리부의 분리함체의 전면 상부에 내측과 연통되게 공기공급구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분사구에 일측부가 결합되고, 타측부는 분리함체의 공기공급구에 결합되는 공기안내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청소차.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는 분리부의 분리함체 하부에 위치되되, 소형차량의 적재함에 고정바에 의해 지지되는 안착프레임과,
    상기 안착프레임의 상부에 안착되는 포집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청소차.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통에는 포집포대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청소차.
  1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를 회동시키는 회동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청소차.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일측부는 포집부의 안착프레임 상부에 결합 고정되고, 타측부는 소형차량의 설치프레임에 구비된 고정구에 결합 고정되는 작동레버가 구비되며,
    상기 설치프레임에 일측부가 결합 고정되고, 실린더로드는 작동레버에 결합 고정되는 실린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청소차.
  19. 삭제
  20. 삭제
  2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실린더는 에어유입관이 결속되되,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에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어실린더의 일측부를 커버하되, 외측에 유압밸브가 설치된 고정체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실린더의 내측에는 작동체가 구비되되, 통공을 막아주는 작동체의 하부에는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에어분사관이 결합되는 방향의 제어실린더 내측에는 시트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청소차.
  2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차량에 설치되어 노면으로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부가 더 구비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청소차.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물분사부는 소형차량의 적재함에 물탱크가 구비되고,
    상기 적재함의 하부에는 노면으로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청소차.
  2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가 돌출되게 소형차량의 적재함을 커버하는 케이스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청소차.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양측부 또는 어느 일측부에는 출입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청소차.

KR1020130158361A 2013-12-18 2013-12-18 소형 청소차 KR101384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361A KR101384729B1 (ko) 2013-12-18 2013-12-18 소형 청소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361A KR101384729B1 (ko) 2013-12-18 2013-12-18 소형 청소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4729B1 true KR101384729B1 (ko) 2014-04-14

Family

ID=50657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8361A KR101384729B1 (ko) 2013-12-18 2013-12-18 소형 청소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472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31661A (zh) * 2015-05-27 2015-08-12 苏州科锐恒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环卫手推式清扫车
KR101663788B1 (ko) * 2016-06-27 2016-10-11 케이에이치특장 주식회사 진공흡입 청소장치
KR101669932B1 (ko) * 2016-09-06 2016-10-27 이텍산업 주식회사 수거통의 호환 장착이 가능한 친환경 전기 노면청소차
KR101708410B1 (ko) * 2016-09-06 2017-03-02 이텍산업 주식회사 친환경 전기 노면청소차의 일체형 전륜 서스펜션장치
CN108149616A (zh) * 2017-12-25 2018-06-12 郑州源冉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便于收集废水的市政环保用洒水装置
KR20200061051A (ko) 2018-11-23 2020-06-02 주식회사 에이엠 특장 굴절식 전기 청소차
CN114960511A (zh) * 2022-01-24 2022-08-30 淮阴师范学院 人行道清扫车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419Y1 (ko) * 2000-06-22 2000-12-01 광림특장차주식회사 건식 노면청소차량
KR100858685B1 (ko) * 2008-03-21 2008-09-16 부커셰링코리아(주) 저소음용 노면 청소차
KR100959401B1 (ko) * 2009-08-21 2010-05-24 대경건설산업(주) 도로면의 비점오염을 제거하기 위한 고압살수장치가 구비된 진공흡입 청소차량
KR101037340B1 (ko) * 2011-03-21 2011-05-26 알엔씨클린 주식회사 분진 진공 흡입 청소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419Y1 (ko) * 2000-06-22 2000-12-01 광림특장차주식회사 건식 노면청소차량
KR100858685B1 (ko) * 2008-03-21 2008-09-16 부커셰링코리아(주) 저소음용 노면 청소차
KR100959401B1 (ko) * 2009-08-21 2010-05-24 대경건설산업(주) 도로면의 비점오염을 제거하기 위한 고압살수장치가 구비된 진공흡입 청소차량
KR101037340B1 (ko) * 2011-03-21 2011-05-26 알엔씨클린 주식회사 분진 진공 흡입 청소차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31661A (zh) * 2015-05-27 2015-08-12 苏州科锐恒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环卫手推式清扫车
KR101663788B1 (ko) * 2016-06-27 2016-10-11 케이에이치특장 주식회사 진공흡입 청소장치
KR101669932B1 (ko) * 2016-09-06 2016-10-27 이텍산업 주식회사 수거통의 호환 장착이 가능한 친환경 전기 노면청소차
KR101708410B1 (ko) * 2016-09-06 2017-03-02 이텍산업 주식회사 친환경 전기 노면청소차의 일체형 전륜 서스펜션장치
CN108149616A (zh) * 2017-12-25 2018-06-12 郑州源冉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便于收集废水的市政环保用洒水装置
KR20200061051A (ko) 2018-11-23 2020-06-02 주식회사 에이엠 특장 굴절식 전기 청소차
CN114960511A (zh) * 2022-01-24 2022-08-30 淮阴师范学院 人行道清扫车
CN114960511B (zh) * 2022-01-24 2024-05-17 淮阴师范学院 人行道清扫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4729B1 (ko) 소형 청소차
US4348783A (en) Scrubbing machine with selective recycle
KR101654866B1 (ko) 교체형 봉투가 장착된 노면 청소장치
CA2475362C (en) Debris collection systems, vehicles, and methods
US4062085A (en) Suction cleaning apparatus
KR100868487B1 (ko) 도로 분진 청소차
US6948213B2 (en) Vehicle for sweeping streets
KR101898100B1 (ko) 건식 청소차
KR102069546B1 (ko) 노면의 비점오염 물질 제거용 청소차량
KR100858685B1 (ko) 저소음용 노면 청소차
KR101552163B1 (ko) 고효율 건식 노면 청소차
CN110258409B (zh) 人行道清扫车
KR20180075392A (ko) 바닥 스크러버 건조 스윕 장치
CN101255680A (zh) 一种清扫车
KR20150144465A (ko) 건식 청소차의 공기정화 시스템
KR101052760B1 (ko) 화물차량을 이용한 도로청소차
US2004000348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on of debris
US3222706A (en) Sweeping machine
CN211815905U (zh) 一种多功能道路污染清除车
KR100506546B1 (ko) 탈수장치가 구비된 노면청소차
CN206887851U (zh) 带洒水功能的手推式扫地车
CN109457647A (zh) 一种吸尘***及环卫车
WO2005024138A1 (en) A sweeper cleaner machine and method therefor
CN211922439U (zh) 一种小区物业用道路垃圾收集装置
CN211773230U (zh) 一种道路保洁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