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3711B1 - 표시 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3711B1
KR101383711B1 KR1020070079513A KR20070079513A KR101383711B1 KR 101383711 B1 KR101383711 B1 KR 101383711B1 KR 1020070079513 A KR1020070079513 A KR 1020070079513A KR 20070079513 A KR20070079513 A KR 20070079513A KR 101383711 B1 KR101383711 B1 KR 101383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film
cover substrate
sealing material
substrate
insulating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9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5293A (ko
Inventor
김훈
구원회
최정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9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3711B1/ko
Priority to US12/012,240 priority patent/US7999467B2/en
Publication of KR20090015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5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3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3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05B33/04Sealing arrangements, e.g. against humid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6Sealing together parts of vessels
    • H01J9/261Sealing together parts of vessels the vessel being for a flat panel displa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2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 장치와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소자가 마련되어 있는 절연기판과; 절연기판에 대향 접합되는 커버기판과; 양 기판 사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밀봉재; 및 양 기판 사이에 개재되어 표시 소자를 덮고 있으며, 양 기판을 상호 접합시키는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 및 산소를 최소화할 수 있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유기발광표시장치, 밀봉재, 흡습제

Description

표시 장치와 이의 제조방법{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표시 장치와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평판표시 장치(flat panel display) 중 저전압 구동, 경량 박형, 광시야각 그리고 고속응답 등의 장점으로 인하여, 유기 발광 표시 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가 각광 받고 있다. 이러한 OLED는 게이트 전극,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 박막트랜지스터와 연결되어 있는 화소전극, 화소전극 간을 구분하고 있는 격벽, 격벽 사이 영역의 화소전극 상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발광층 및 유기발광층 상에 형성되어 있는 공통전극을 포함한다.
여기서, 유기발광층의 성능과 수명은 수분 및/또는 산소에 민감하여, 외부로부터 수분 또는 산소가 유입되면 유기발광층이 쉽게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유기발광층이 마련된 절연기판과 수분 및 산소의 유입을 방지하는 커버기판을 상호 대향 접합시키는 밀봉공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양 기판 사이에 유기물질을 개재하여 양 기판을 상호 접합한다.
그러나, 유기물질은 수분 및 산소 투과율이 상대적으로 커서, 양 기판의 사이 영역으로 유입되는 수분 및 산소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산소 및 수분을 최소화할 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산소 및 수분을 최소화할 할 수 있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소자가 마련되어 있는 절연기판, 상기 절연기판에 대향 접합되는 커버기판, 상기 절연기판과 상기 커버기판 사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밀봉재 및 상기 절연기판과 상기 커버기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표시 소자를 덮고 있으며, 상기 절연기판과 상기 커버기판을 상호 접합하는 보호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보호필름은 이오노머(Ionomer)와 금속 또는 금속 수소화물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보호필름은 라미네이션 방법에 의해 부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밀봉재는 프릿(frit)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기판과 상기 커버기판 사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연기판과 상기 커버기판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밀봉재보다 멀리 떨어진 위치에 존재하는 보조 실런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봉재와 상기 보호 필름 사이의 이격공간에 마련되어 있는 흡습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흡습제는 Ca 및 Ba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소자는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표시 소자는 탑 에미션(Top Emission) 방식의 유기 발광 소자일 수 있다.
이러한 표시 장치는 표시 소자가 형성된 절연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커버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커버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밀봉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커버기판 상에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커버기판과 상기 절연기판을 상호 정렬하는 단계, 상호 정렬된 상기 커버기판과 상기 절연기판을 가접합하는 단계, 상기 밀봉재를 가열하여 가접합된 상기 커버기판과 상기 절연기판을 접합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필름을 가열하여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제조 방법을 통하여 제조된다.
상기 보호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는 필름 라미네이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커버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보조 실런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보조 실런트는 디스펜서(dispenser)법,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법, 슬릿 코팅(slit coating)법 및 롤 프린팅(roll printing)법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봉재와 상기 보호 필름 사이의 이격공간에 흡습제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봉재를 가열하는 단계는 레이저를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밀봉재와 상기 보호필름 사이의 이격공간에 흡습제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커버기판을 예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산소 및 수분을 최소화할 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산소 및 수분을 최소화할 할 수 있는 평판표시 장치의 제조방법도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어떤 막(층)이 다른 막(층)의 '상에' 형성되어(위치하고) 있다는 것은, 두 막(층)이 접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두 막(층) 사이에 다른 막(층)이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여러 가지 실런트 중에서 프릿을 이용한 경우로 한정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열에 의하여 경화되며, 수분 투과율 또는 산소 투과율이 매우 낮은 실런트는 모두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OLED)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Ⅱ-Ⅱ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1)는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 발광하는 유기물을 이용한 자발광형 소자이다. 그런데 유기 발광 표시 장치(1)에 사용되는 유기 발광 물질은 습기(수분)와 산소에 취약하여 그 성능이나 수명이 습기나 산소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유기물(유기발광층)로 침투되는 산소와 수분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밀봉방법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소자(110)가 마련되어 있는 절연기판(100), 절연기판(100)과 대향 접합되어 표시 소자(110)로의 산소 또는/및 수분의 유입을 방지하는 커버기판(120), 절연기판(100)과 커버기판(120) 사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밀봉재(130) 및 상기 양 기판(100, 120) 사이에 개재되어 표시 소자(110)를 덮고 있는 보호 필름(140)을 포함한다.
절연기판(100)은 투명한 기판으로 유기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절연기판(100)의 위쪽 표면, 즉 표시 소자(110)와 절연기판(100) 사이에는 차단층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차단층은 절연기판(100)을 통하여 표시 소자(110)로 유입될 수 있는 산소 또는 수분을 차단하며, SiON, SiO2, SiNx, Al2O3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차단층은 스퍼터링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소자(110)는 공지의 방법에 의하여 마련되며, 게이트 전극,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 박막트랜지스터와 연결되어 있는 화소전극, 화소전극 간을 구분하고 있는 격벽, 격벽 사이영역의 화소전극 상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발광층 및 유기발광층 상에 형성되어 있는 공통전극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표시 소자(110)는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한다.
커버기판(120)은 절연기판(100)과 동일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또는 소다라임 유리기판(soda-lime glass substrate), 보로 실리케이트 유리기판(boro-silicate glass substrate), 실리케이트 유리기판(silicate glass substrate) 및 납 유리기판(lead glass substrat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커버기판(120)의 두께는 수분 또는 산소가 커버기판(120)을 통하여 표시 소자(110)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0.1mm 내지 10mm의 두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mm 내지 10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절연기판(100)과 커버기판(120) 사이의 가장자리를 따라 밀봉재(130)가 형성되어 있다. 밀봉재(130)는 절연기판(100)과 커버기판(120)에 의하여 형성된 사이공간을 통하여 산소 또는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런트의 일종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밀봉재(130)로서, 주로 프릿 실런트를 이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열에 의하여 경화되며 수분 투과율 또는 산소 투과율이 매우 낮은 재료라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밀봉재(130)는 화상이 형성되지 않는, 표시 소자(110)의 외곽영역에 마련된다. 밀봉재(130)의 폭(d1)은 0.1mm 내지 5mm일 수 있으며, 밀봉재(130)의 두께(d2)는 1㎛ 내지 200㎛ 일 수 있다. 밀봉재(130)의 폭(d1)이 0.1mm보다 작으면 d양 기판(100, 120) 간의 결합력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으며, 또는 디스펜싱(dispensing)법, 스크린 프린팅(screen-printing)법, 슬릿코팅(slit coating)법 또는 롤코팅(roll coating)법에 의하여 형성되기 어렵다. 그리고, 밀봉재(130)의 폭(d1)이 5mm보다 크면 외곽영역의 마진(margin)이 커지며, 제품으로서의 단점을 상회할만한 효과도 나타나지 않는다. 한편, 밀봉재(130)의 두께(d2)가 1㎛보다 작으면 디스펜싱(dispensing)법, 스크린 프린팅(screen-printing)법, 슬릿코팅(slit coating)법 또는 롤코팅(roll coating)법에 의하여 형성되기 어렵다. 그리고, 밀봉재(130)의 두께(d2)가 200㎛보다 크면 박형의 표시 장치의 제조에 부합하지 못한다. 일 실시예로, 밀봉재(130)의 폭(d1)은 1mm 내지 2mm일 수 있고, 두께(d2)는 100㎛ 내지 600㎛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밀봉재(130)의 폭(d1)과 두께(d2)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절연기판(100)의 사이즈에 따라 비례하여 더 커지거나 더 작게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절연기판(100)의 밀봉재(130)와 접하는 부분은 폴리싱(polishing) 공정에 의하여 평탄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절연기판(100)과 접하는 밀봉재(130) 바닥면을 평탄하게 하여 밀봉재(130) 상부면의 평탄도 및 균일성을 향상하기 위한 것으로, 양 기판(100, 120)의 접합 균일성 및 접합성능을 향상하는데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밀봉재(130)는 접착용 분말유리로서, SiO2, TiO2, PbO, PbTiO3, Al2O3 등으로 이루어진 프릿을 포함한다. 이러한 밀봉재(130)는 수분 투과율과 산소 투과율이 대략 1g/㎡day 내지 10g/㎡day 정도로 매우 낮아 유기발광층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진공 실장이 가능할 정도의 내구성을 지니고 있어 진공 챔버 내에서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의 산소 및 수분의 침투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커버기판(120) 상에 밀봉재(130)를 형성한 후에 밀봉재(130)를 경화시킨 후에 절연기판(100)과 접합시키므로, 밀봉재(130)를 경화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고온에 표시 소자(110)가 노출되는 것을 피할 수 있어서 표시 소자(110)에 발생 가능한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표시 장치의 수명이 늘어나고 성능이 개선된다.
절연기판(100)과 커버기판(120) 사이에는 보호 필름(140)이 형성되어 있다. 보호 필름(140)은 라미네이션(lamination) 공정으로 부착된다. 보호 필름(140)은 양 기판(100, 120)을 상호 접합시키며, 수분 또는 산소로부터 유기발광층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보호 필름(140)은 접착성이 있는 물질로, 표시 소자(110)를 덮고 있다.
보호 필름(140)은 이오노머(Ionomer)와 금속 또는 금속 수소화물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기판(12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밀봉재(130)를 형성한다. 밀봉재(130)는 디스펜서(dispenser)법,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법, 슬릿코팅(slit coating)법 및 롤 프린팅(roll printing)법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밀봉재(130)의 재질 및 기능은 상술한 바와 같다. 밀봉재(130)가 도포되면, 커버기판(120)에 고온을 가하여 밀봉재(130)를 경화시킨다. 즉, 밀봉재(130) 내에 포함된 용매 등을 증발시킨다.
다음,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기판(120) 상에 보호 필름(140)를 형성한다. 보호 필름(140)은 50um이하의 두께로, 바람직하게는 10-30um두께로 필름 라미네이션에 의하여 도포된다. 도포의 용이성을 위하여 도포 전 기판 또는 필름을 100℃이하의 온도로 가열하는 공정을 수반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달리, 절연기판(100) 쪽에 보호 필름(14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기판(100)과 커버기판(120)을 상호 정렬한 후 가압한다. 이 때, 보호 필름(140)이 표시 소자(110)를 균일하게 덮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후, 레이저를 이용하여 밀봉재(130)를 국부 가열함으로써 밀봉재(130)가 용융 상태가 되며 응고 시 양 기판(100, 120)이 대향 접합된다.
이 후,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기판(100, 120)이 접합된 상태에서 기판을 150℃ 이하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보호 필름(140)이 투명해지고 넓게 퍼지는 특징을 갖게 되며 유기 발광 표시 장치(1)가 완성된다. 이에 따라 보호 필름(140)의 투과성이 증대되기 때문에 본 발명은 소위 탑 에미션 구조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적용하기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따르면, 필름 라미네이션 공정을 적용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산소 및 수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표시 소자(110)을 보호하는 구조로서 에폭시 등의 유기막을 스크린 프린팅 방법 등으로 도포하는 경우, 스크린 마스크 등 부자재를 이용하여 공정을 진행하는 반면, 필름 라미네이션 공정의 경우, 미리 정의된 크기의 필름을 이용하므로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특히 라미네이션 필름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모델 변경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이하, 도 4a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및 제3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특징적인 부분만 발췌하여 설명하며, 설명이 생략된 부분은 상기 제1 실시예 또는 공지의 기술에 따른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 실시예의 구조적 특징은 밀봉재(130) 외곽에 위치하는 보조 실런트(150)에 있다. 나머지 구조는 제1 실시예의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3b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커버기판(120) 상에 밀봉재(130) 및 보호 필름(140)을 형성한 후, 밀봉재(130) 외곽에 에폭시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보조 실런트(150)를 형성한다.
이 후,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이 유지된 상태에서 양 기판(100, 120)을 가접착한다. 본 진공 가접착 공정은 두 기판을 진공 챔버 안에 분리되게 준비한 후 300torr 이하의 진공상태에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후, UV 경화를 통하여 보조 실런트(150)를 1차 경화시킨다. 그 다음, 가접착 상태의 양 기판(100, 120)이 있는 진공 챔버의 압력을 대기압과 동일하게 회복시켜면 양 기판(100, 120)에 대기압이 가해지면서 양 기판(100, 120)은 합착된다.
이 후, 레이저를 이용하여 밀봉재(130)를 국부 가열함으로써 밀봉재(130)가 용융 상태가 되며 응고 시 양 기판(100, 120)이 대향 접합된다.
이 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기판(100, 120)이 접합된 상태에서 기판을 150℃ 이하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보호 필름(140)이 투명해지고 넓게 퍼지는 특징을 갖게 되며 유기 발광 표시 장치(1)가 완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레이저 공정에 의한 밀봉재(130) 형성 이전에, 외곽의 보조 실런트(150)에 의한 합착이 먼저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정 자유도가 증가되는 이점이 있다. 즉, 일단 보조 실런트(150)에 의한 합착이 이루어지면, 내부의 소자가 어느 정도 외부의 수분 등으로부터 일정 시간 보호가 되기 때문에, 이후의 밀봉재(130) 형성을 위한 레이저 공정 등을 진공 챔버가 아닌 대기압 중에서 실시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장비 구성면에서 훨씬 제약이 줄어들게 된다.
다음으로, 도 5a및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 실시예의 구조적 특징은 밀봉재(130) 외곽에 위치하는 보조 실런트(150) 외에 밀봉재(130) 내부에 위치하는 흡습제(160)에 있다. 나머지 구조는 제1 및 제2 실시예의 구조 및 제조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밀봉재(130)의 내부에는 흡습제(160)가 형성되어 있다. 흡습제(160)는 절연기판(100)과 커버기판(120)에 의하여 형성된 사이공간을 통하여 산소 또는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흡습제(160)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흡습제(160)는 보호 필름(140) 및 밀봉재(130) 중 적어도 하나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흡습제(160)의 활성화에 필요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흡습제(160)는 열에 의해 경화되는 액상의 물질로 열가소성일 수 있으며, 수분 투과율과 산소 투과율이 매우 낮아 유기발광층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표시 장치의 수명이 늘어나고 성능이 개선된다. 흡습제(160)는 디스펜싱(dispensing)법 또는 스크린 프린팅(screen-printing)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흡습제(160)는 Ba 및 Ca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보호 필름(140)의 형성 전에 흡습제(160)를 커버기판(120) 상에 먼저 형성할 수 있다. 그 후, 밀봉재(130)와 동시에 흡습제(160)를 경화시키거나, 밀봉재(130)의 경화 후에 흡습제(160)를 별도로 경화시킬 수도 있다.
이에 의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산소 및 수분을 최소화할 할 수 있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조 및 그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조 및 그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
1 : 유기 발광 표시 장치(OLED) 100 : 절연기판
110 : 표시 소자 120 : 커버기판
130 : 밀봉재 140 : 보호 필름
150 : 보조 실런트 160 : 흡습제

Claims (18)

  1. 표시 소자가 마련되어 있는 절연기판,
    상기 절연기판에 대향 접합되는 커버기판,
    상기 절연기판과 상기 커버기판 사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밀봉재,
    상기 절연기판과 상기 커버기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표시 소자를 덮고 있으며, 상기 절연기판과 상기 커버기판을 상호 접합하는 보호필름 그리고
    상기 밀봉재 외곽에 위치하는 보조 실런트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 필름은 상기 표시 소자의 상부면과 측면에 접촉하며,
    상기 보조 실런트는 상기 밀봉재가 접촉하는 상기 커버기판의 면과 동일 면에 접촉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은 이오노머(Ionomer)와 금속 또는 금속 수소화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은 라미네이션 방법에 의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는 프릿(fr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와 상기 보호 필름 사이의 이격공간에 마련되어 있는 흡습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와 상기 보호 필름 사이의 이격공간에 마련되어 있는 흡습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제는 Ca 및 Ba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소자는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 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소자는 탑 에미션(Top Emission) 방식의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표시 소자가 형성된 절연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커버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커버기판 위에 보조 실런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커버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밀봉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커버기판 상에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커버기판과 상기 절연기판을 상호 정렬하는 단계,
    상호 정렬된 상기 커버기판과 상기 절연기판을 가압하는 단계,
    상기 보조 실런트를 경화하고, 상기 밀봉재를 가열하여 상기 커버기판과 상기 절연기판을 접합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필름을 가열하여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실런트를 경화하는 단계는 상기 밀봉재를 가열하기 전에 수행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는 필름 라미네이션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실런트는 상기 커버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실런트는 디스펜서(dispenser)법,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법, 슬릿 코팅(slit coating)법, 및 롤 프린팅(roll printing)법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와 상기 보호 필름 사이의 이격공간에 흡습제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를 가열하는 단계는 레이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와 상기 보호필름 사이의 이격공간에 흡습제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커버기판을 예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070079513A 2007-08-08 2007-08-08 표시 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KR101383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9513A KR101383711B1 (ko) 2007-08-08 2007-08-08 표시 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US12/012,240 US7999467B2 (en) 2007-08-08 2008-01-31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or minimizing inflow of oxygen and moisture from the outsi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9513A KR101383711B1 (ko) 2007-08-08 2007-08-08 표시 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5293A KR20090015293A (ko) 2009-02-12
KR101383711B1 true KR101383711B1 (ko) 2014-04-09

Family

ID=40345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9513A KR101383711B1 (ko) 2007-08-08 2007-08-08 표시 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999467B2 (ko)
KR (1) KR1013837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9010A (ko) * 2008-02-18 2009-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9259572A (ja) * 2008-04-16 2009-11-05 Seiko Epson Corp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の製造方法
KR20100000402A (ko) * 2008-06-24 2010-01-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1574125B1 (ko) 2008-07-16 2015-12-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5329147B2 (ja) * 2008-08-08 2013-10-3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有機el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110110595A (ko) * 2010-04-01 2011-10-0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평판 표시 장치 및 그 평판 표시 장치용 봉지기판
EP2579353B1 (en) * 2010-07-07 2018-09-05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comprising an encapsulation structure
US9188323B2 (en) * 2010-10-20 2015-11-1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ing device
KR101754916B1 (ko) * 2010-11-08 2017-07-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8883527B2 (en) * 2012-09-06 2014-11-11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20140071552A (ko) 2012-11-23 2014-06-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084229B1 (ko) 2013-04-02 2020-03-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JP6452678B2 (ja) * 2013-05-31 2019-01-16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有機発光素子及びこの製造方法
JP2015128033A (ja) * 2013-12-27 2015-07-0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20150108463A (ko) * 2014-03-17 2015-09-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US10283730B2 (en) * 2017-02-21 2019-05-07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OLED encapsulation method and OLED encapsulation structure
JP6817145B2 (ja) * 2017-05-29 2021-01-20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有機電界発光装置および有機電界発光装置の製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3763A (ja) * 2001-12-28 2003-07-18 Delta Optoelectronics Inc 多層封止層を有するハウジング構造
KR20040044251A (ko) * 2002-11-20 2004-05-28 삼성오엘이디 주식회사 전계발광소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전계발광소자
KR20050066970A (ko) * 2003-12-26 2005-06-30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전자발광 장치, 이를 사용하는 면광원 및 디스플레이
KR20070078502A (ko) * 2006-01-27 2007-08-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2805B2 (ja) * 1995-02-14 2005-02-23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液晶表示装置用接着剤組成物
US6368730B1 (en) * 1997-10-13 2002-04-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lectroluminescent device
JPH11176571A (ja) 1997-12-12 1999-07-02 Tdk Corp 有機el素子の製造方法
JP4059968B2 (ja) 1997-12-18 2008-03-12 Tdk株式会社 有機el素子の製造方法
JP2000003783A (ja) * 1998-06-12 2000-01-07 Tdk Corp 有機el表示装置
JP2000123971A (ja) 1998-10-15 2000-04-28 Futaba Corp 有機elの製造方法
JP4306977B2 (ja) 2001-04-10 2009-08-05 三星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 粉体保持シート、粉体保持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該粉体保持シートを備えた有機el表示装置
JP4801278B2 (ja) * 2001-04-23 2011-10-2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及びその作製方法
JP2004087357A (ja) 2002-08-28 2004-03-18 Toray Ind Inc 封止方法および有機電界発光素子の製造方法
JP3650101B2 (ja) * 2003-02-04 2005-05-18 三洋電機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011794A (ja) * 2003-05-22 2005-01-13 Tohoku Pioneer Corp 有機el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60284556A1 (en) * 2003-11-12 2006-12-21 Tremel James D Electronic devices and a method for encapsulating electronic devices
KR100552973B1 (ko) 2003-11-17 2006-02-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KR20050090543A (ko) 2004-03-09 2005-09-14 이병철 필름형 수분제거제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의수분제거방법
KR100634680B1 (ko) 2004-02-24 2006-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내부에 지지부가 형성된 캡을 갖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US20050248270A1 (en) * 2004-05-05 2005-11-10 Eastman Kodak Company Encapsulating OLED devices
KR100634960B1 (ko) 2004-06-24 2006-10-17 (주)모디스텍 유기 발광소자 봉지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봉지방법
US20060087230A1 (en) * 2004-10-22 2006-04-27 Eastman Kodak Company Desiccant film in top-emitting OLED
KR100670328B1 (ko) * 2005-03-30 2007-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07018900A (ja) 2005-07-08 2007-01-25 Dainippon Kaken:Kk 封止装置および封止方法
JP2007059311A (ja) 2005-08-26 2007-03-08 Konica Minolta Holdings Inc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3763A (ja) * 2001-12-28 2003-07-18 Delta Optoelectronics Inc 多層封止層を有するハウジング構造
KR20040044251A (ko) * 2002-11-20 2004-05-28 삼성오엘이디 주식회사 전계발광소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전계발광소자
KR20050066970A (ko) * 2003-12-26 2005-06-30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전자발광 장치, 이를 사용하는 면광원 및 디스플레이
KR20070078502A (ko) * 2006-01-27 2007-08-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39780A1 (en) 2009-02-12
KR20090015293A (ko) 2009-02-12
US7999467B2 (en) 2011-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3711B1 (ko) 표시 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JP4943921B2 (ja) 表示装置
US8674596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for the same
EP3488478B1 (en) Method of fabricating display panel
EP1450334B1 (en) Display device
JP4181495B2 (ja) 液晶表示パネル
JP4960762B2 (ja) 表示装置とその製造方法
CN101728338B (zh) 发光显示器及其制造方法
US9820340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CN105470406A (zh) 有机发光显示装置
JP6463876B1 (ja) 基板の封止構造体、及び表示装置とその製造方法
US7872255B2 (e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JP2015125295A (ja) 表示装置
JP2010243930A (ja) 電気光学装置、そ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WO2019123649A1 (ja) 封止構造体、有機el表示装置、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07141685A (ja) 封止構造体及び封止構造体の製造方法
US20210343975A1 (en)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7634150B (zh) 一种显示面板、显示装置和显示面板的封装方法
KR100671197B1 (ko) 평판표시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US7744719B2 (en) Manufacturing method for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apparatus for the same and display device made by the same
JP2008134670A (ja) 液晶表示パネル
JP2010107935A (ja) 平板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60140074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US9653704B2 (en) Display panel
JP3817103B2 (ja) 表示パネル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