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3580B1 - 페닐 함유 아실 아민 및 아미노산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및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페닐 함유 아실 아민 및 아미노산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및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3580B1
KR101383580B1 KR1020077024641A KR20077024641A KR101383580B1 KR 101383580 B1 KR101383580 B1 KR 101383580B1 KR 1020077024641 A KR1020077024641 A KR 1020077024641A KR 20077024641 A KR20077024641 A KR 20077024641A KR 101383580 B1 KR101383580 B1 KR 101383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compound
hydrogen
compounds
analge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4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8345A (ko
Inventor
블라디미르 에브제니에비치 네볼씬
타티아나 알렉산드로브나 크로모바
가리나 알렉산드로브나 제헬투크히나
비오레타 레오니도브나 코바레바
Original Assignee
오브셰스트보 에스 오그라니첸노이 오트베트스트벤노스티주 “파름엔터프라지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브셰스트보 에스 오그라니첸노이 오트베트스트벤노스티주 “파름엔터프라지즈” filed Critical 오브셰스트보 에스 오그라니첸노이 오트베트스트벤노스티주 “파름엔터프라지즈”
Publication of KR20080008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8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3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35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1/02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amides from carboxylic acids or from esters, anhydrides, or halides thereof by reaction with ammonia or 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01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33/12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halogen atoms or by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33/13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halogen atoms or by nitro or nitroso groups with the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 bound to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y an acyclic carbon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4Centrally acting analgesics, e.g. opi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8Antiepileptics; Anticonvul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4Antidepres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1/14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amides by formation of carboxamide groups together with reactions not involving the carboxamid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01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33/02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nitroge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carbon atoms of un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 C07C233/11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nitroge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carbon atoms of un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with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an unsaturated carbon skeleton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01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33/16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atoms
    • C07C233/17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atoms with the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 bound to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y an acyclic carbon atom
    • C07C233/22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atoms with the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 bound to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y an acyclic carbon atom having the carbo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of a carbon skeleton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01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33/45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carboxyl groups
    • C07C233/46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carboxyl groups with the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 bound to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y an acyclic carbon atom
    • C07C233/51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carboxyl groups with the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 bound to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y an acyclic carbon atom having the carbo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of a carbon skeleton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5/00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oxygen atoms
    • C07C235/02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oxygen atom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sing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35/32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oxygen atom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sing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235/34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oxygen atom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sing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having the nitrogen atoms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7/00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 C07C237/02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having the carbon atoms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 C07C237/20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having the carbon atoms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7/00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 C07C237/02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having the carbon atoms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 C07C237/22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having the carbon atoms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having nitrogen atoms of amino groups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further acylated

Abstract

본 발명은 부작용, 특히 궤양유발성 및 전구 경련 작용이 없는 진통 및 소염성 사이클로옥시게나제 억제제 형태로 사용되고, 다른 진통제의 작용을 증가시키는 능력 및 저산소 억제, 항우울 및 항파킨슨 활성을 나타내는, 화학식 I로 표시되는 신규 페닐 함유 N-아실 생체 아민 및 아미노산 유도체; 신규 및 공지된 페닐 함유 N-아실 생체 아민 유도체의 제조방법,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및 약물, 뿐만 아니라 이의 용도 및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페닐 함유 N-아실 아민 및 아미노산 유도체, 진통제, 소염제, 사이클로옥시게나제 억제제

Description

페닐 함유 아실 아민 및 아미노산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용도{PHENY-CONTAINING-ACYL AMINE AND AMINOACID DERIVATIVES, METHODS FOR THE PRODUCTIN THERE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THE USE THEREOF}
본 발명은 생물유기화학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신규 화합물인 생체 아민의 페닐-N-아실 유도체, 및 이 신규 및 공지 화합물의 합성 방법, 의약에서 강력한 진통제, 소염제, 진경제 및 저산소억제제, 뿐만 아니라 항우울, 항파킨슨 효과 및 다른 진통제 효과를 증가시키는 능력을 보유한 제제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국제출원 공개번호 WO 97/23202는 하기 화학식 (XV)로 표시되는 아민의 페닐-N-아실 유도체를 개시하며, 특히 3-(p-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 페닐에틸아민, 3-(p-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티라민 및 3-페닐프로피오닐 페닐에틸아민(각각, 본 발명의 화합물 IX, X, XI)을 포함한다.
Figure 112007076652366-pct00001
이 공보는 화학식 (XV)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합성 및 만성 통증, 편두통의 치료뿐만 아니라 마취제로서 유용한 NMDA 수용체 아형의 선택적 리간드로서의 용도 를 개시한다. 하지만, 이 공보는 본 발명의 화합물 X 및 XI에 해당하는 특정 구조를 개시하거나 특성도 나타내고 있지 않으며, 주장하는 활성을 지지할 어떠한 데이터도 없으며, 중간 화합물로서 화합물 IX와 이의 합성이 오로지 다른 아민 유도체의 제조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 IX, X 및 XI는 전술한 국제출원 WO 97/23202의 우선일 전에 대중에게 널리 이용가능해진 선출원 공보에도 다른 목적용으로 개시되어 있다.
3-(p-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 페닐에틸아민(IX)은 문헌[Jacobson K.A., Kirk K.L. New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procedure for the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of β-phenylethylamine.// J. Chromatography. 1987. V. 415. P. 124-128]에 개시되어 있고; 3-(p-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 티라민(X)은 문헌[R.B. Herbert, A.E.Kattah. The biosynthesis of Sceletium alkaloids in Sceletium subvelutinum L. Bolus. // Tetrahedron. 1990. V.46. No 20. P.7105-7118]에 개시되어 있으며, 3-페닐프로피오닐 페닐에틸아민(XI)은 문헌[Maldonado E., Hernandez E., Ortega A. Amides, coumarine and other constituents from Simsia cronquistii.// Phytochem. 1992. P.1413-1414]에 개시되어 있다.
국제출원 공보 WO 97/23202는 편두통, 만성 통증과 같은 일부 특정 종류의 통증을 예방하는데 있어서 화학식 (XV)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이용 가능성뿐만 아니라 NMDA 수용체 아형의 선택적 리간드로서 작용하는 상기 화합물의 능력으로 인한 마취 시의 용도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하지만, WO 97/23202에는 상기 화합물 그룹의 주장된 활성을 지지할 어떠한 데이터도 없으며, 따라서 제시된 목적에 대한 특정 생체내 동물 모델에서의 상기 화합물의 사용 가능성 및 이에 따른 가능한 약리 효과에 대한 결론은, 상기 국제출원에 개시된 모든 화합물이 NMDA 수용체 아형의 선택적 리간드라는 주장에만 오로지 근거를 두고 있다.
국제출원 공보 WO 97/23202는 N,N'-디사이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DCC)의 존재 하에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을 이용한 3-(p-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 페닐에틸아민(IX)의 합성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화합물의 분리 및 정제 방법은 개시하고 있지 않으며, 이화학적 상수 중에서 융점과 H-NMR 분광 결과만이 제시되어 있다.
논문[Jackson K.A., Kirk K.L. New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procedure for the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of β-phenylethylamine.// J. Chromatography. 1987. V.415. P.124-128]은 3-(p-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변형된 N-옥시숙신이미드 에스테르를 이용한 3-(p-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 페닐에틸아민(IX)의 합성을 개시한다. 이 반응은 메탄올-1M Na2HPO4, pH 8(1:1) 혼합물에서 설포숙신이미딜-3-(p-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황산화된 볼튼-헌티(Bolton-Hunte) 시약)를 이용하여 수행한다. 제조된 산물은 융점만이 특정 규명되어 있다. 이 논문에 따르면, 제조된 3-(p-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 페닐에틸아민은 체액내 고유 페닐에틸아민 수준을 HPLC법을 이용하여 정 량 측정하는데 있어서 전기화학적 검출기의 내부 표준물로서 사용된다.
논문[Herbert R.B., Kattah A.E. The biosynthesis of Sceletium alkaloids in Sceletium subvlutinum L. Bolus.// Tetrahedron. 1990. V.46. No 20. P.7105-7118]은 실레티움 서브불루티넘(Sceletium subvlutinum) 알카로이드 합성의 중간체로서 3-(p-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 티라민(X)의 용도 및 DCC 방법을 이용한 합성 방법을 개시한다. 이 방법의 단점은 표적 산물을 비교적 낮은 수율(약 48%로 정제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야 한다는 점이다.
논문[Maldonado E., Hernandez E., Ortega A. Amides, coumarine and other constituents from Simsia cronquistii. // Phytochem. 1992. P.1413-1414]은 심시아 크론퀴스티(Simsia cronquistii) 식물의 육상 부분으로부터의 3-페닐 프로피오닐 페닐에틸아민(XI)의 분리를 개시하며, 질량 분광분석법, 1H-NMR 분광학 데이터뿐만 아니라 융점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생물학적 활성 데이터는 제시되어 있지 않다.
축합제 4-(4,6-디메톡시-1.3.5-트리아신-2-일)-4-메틸모르폴린 클로라이드(DMT-MM)를 이용한 화합물 XI의 합성은 논문[Kumishima M., Kawachi C., Hioki K. et al. Formation of carboxamides by direct condensation of carboxylic acids and amines in alcohols using a new alcohol- and water-soluble condensing agent: DMT-MM. // Tetrahedron. 2001. V.57. No 8. P.1551-1558.]에 개시되어 있다. 제시된 합성법의 단점은 부산물이 형성되고 표적 산물의 정제에 정 제용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해야 하는 바, 공정이 복잡하고 낮은 수율을 피할 수 없다는 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99%에 이르는 산물의 높은 수율이 제시되어 있다. 화합물 XI는 신규 축합제 DMT-MM의 이용가능성을 연구하기 위해 합성되었다.
티로신 및 페닐알라닌 아미노산 유도체, 예컨대 3-(p-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티로신, 페닐프로피오닐티로신, 페닐아세틸티로신, 페닐프로피오닐알라닌 및 페닐프로피오닐티로신 메틸 에스테르(각각 본 발명의 화합물 XIV, XV, XVI, XVIII 및 XX1)의 합성 및 이들의 아카티나 풀리카 파루사(Achatina fulica farussae) 달팽이의 신경절에서 동정된 TAN 신경세포에 미치는 억제 효과에 대한 연구는 논문[Takeuchi H., Ariyoshi Y., Effects of N-beta-phenyl propionyl-L-tyrosine and its derivatives on the excitability of an identifiable giant neuron of Achatina fulica ferussac.// Comparative biochemistry and physiology. C: Comparative pharmacology. 1982. V.72. No 2.P. 225-229 and Y. Ariyoshi, H. Takeuchi.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s of N-ㅲ-phenylpropionyl-L-tyrosine and its derivatives on the inhibition of an identifiable giant neuron of an African giant snail. // Br. J. Pharmacol. 1982. V.77. P.631-639. In the article Y. Ariyoshi, H. Takeuchi.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s of N-ㅲ-phenylpropionyl-L-tyrosine and its derivatives on the inhibition of an identifiable giant neuron of an African giant snail. // Br. J. Pharmacol. 1982. V.77. P.631-639]에 개시되어 있다. 아민 유도체 티로신 메틸 에스테르로서 활성화된 N-옥시숙신이미드 에스테르를 이용하는 방법과 이의 후속 비누화(화합물 XIV, XV, XVI, XVIII에 대해)에 의한 화합물 XIV, XV, XVI, XVIII 및 XX1의 전형적인 합성 기술은 기술되었으나, 상기 화합물의 이화학적 상수 및 수율은 제시되지 않았다. 더욱이, 출발 화합물로서 티로신 에틸 에스테르와 페닐프로피온산을 이용하고 에틸에스테르를 후속 비누화하여,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과 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에 의한 페닐아세틸티로신(XV)의 고수율(94%) 합성법은 문헌[Tangpasuthadol V., Pendharkar S.M., Kohn J. Hydrolytic degradation of tyrosine-derived polycarbonates, a class of new biomaterials. Part I: Study of model compounds. // Biomaterials. 2000. V. 21. No 23. P. 2371-2378]에 개시되어 있다. 1H-NMR 분광학 결과와 융점이 제시되어 있다.
KOH 존재 하에 클로로안하이드라이드 방법에 의한 페닐프로피오닐 페닐알라닌(XVIII)의 합성은 문헌[Lustig N., Spiegelstain-Klarfeld H., Scheider E., Lichtenstein N. Phenylacetyl and phenylpropionyl amino acids. Their inhibitory effect on glutamine synthetase and their resistance to acylase. I.// Israel Journal of Chemistry. 1974. V.12. No 3. P.757-763.]에 개시되어 있다. 융점 및 원소 분석도 제시되어 있다. 합성은 화합물 XVIII에 의한 글루타민 합성효소의 억제도를 연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페닐프로피오닐티로신 메틸 에스테르(XXI)는 JP 특허 57193437(실시예 4)에 언급되어 있으며, 이의 합성은 활성화된 N-옥시숙신이미드 에스테르 방법에 의해 수행되고 있다.
페닐아세트산의 클로로안하이드라이드를 이용한 화합물 XVIII의 합성과 유사한 페닐아세틸페닐알라닌(XIX)의 합성은 문헌[Chen H.M., Hsu M.S., Huang L.J., et al. Effect of N-phenylacetyl L-amino acids on the differentiation of HL-60 cells.// Chinese Pharmaceutical Journal. 2001. V.53. No 3. P.157-167.]에 개시되어 있다. 표적 화합물의 이화학적 특징(융점, 1H-NMR 및 IR 분광분석, 질량 분광분석)이 제시되었다. 페닐아세틸페닐알라닌(XIX)는 세포 분화의 유도인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3-(p-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티로신 메틸 에스테르(XX)는 국제출원 공보 WO 97/23202에 언급되어 있으나, 이의 합성 및 이화학적 특징은 제시되지 않았다. 화합물(XX)은 조직과 비슷한 생체분해성 중합체 제조의 단량체로서 사용하기 위해 합성되었다.
공생 세균인 제노라브더스 네마토필러스(Xenorhabdus nematophilus)에서 분리한 천연 화합물인 페닐아세틸에틸아민(XXIII)은 국제출원 WO 01/49656의 공보에서 클로로안하이드라이드 방법으로 합성하고, 1H-NMR, 13C-NMR 및 IR 분광분석, 질량분광분석, 융점의 이화학적 데이터를 통해 특성이 규명되어 있다. 화합물 XXIII의 항암 활성도 시험관내에서 조사되어 있다.
국제출원 WO 01/49656의 공보에 개시된 화합물의 화학식은 본 발명의 다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p-하이드록시페닐아세틸티라민, p-하이드록시페닐아세틸페닐에틸아민, 및 페닐아세틸티라민(각각, 본 발명의 화합물 VII, VIII 및 VI). 하지만, 상기 공보에는 제시된 화합물의 구체적인 구조식이나 이의 합성법, 이화학적 상수 또는 생물학적 활성 데이터가 전혀 개시된 바가 없다.
페닐프로피오닐티라민(XII)은 논문[Takeuchi Hiroshi, Tamura Hiroko. The effects of aromatic amino acid derivatives on the excitability of an identifiable giant neuron of an African giant snail (Achatina fulica ferussac). // British Journal of Pharmacology. 1980. V. 69. No 1. P.29-34]에 언급되어 있지만, 이의 합성법 및 이화학적 특징 및 이의 용도에 대해서는 개시된 바가 없다.
논문[Garrett C.E., Jiang X., Prasad K, Pepic O. New observations on peptide bond formation using CDMT. // Tetrahedron Letters. 2002. V.43, No 23. p,4161-4165]에는, 페닐프로피오닐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XXIV) 및 이의 합성을 위해 N-메틸모르폴린의 존재 하에 축합제 2-클로로-4,6-디메톡시-1,3,5-트리아신(CDMT)을 이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화합물의 이화학적 특징 및 활성 데이터는 전혀 제시되어 있지 않다. 제시된 유일한 고지(告知)는 이 방법이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는 점이다: 물을 이용한 침전에 의한 1단계 합성 및 분리가 산물을 크로마토그래피적으로 순수한 산물로서 90%의 높은 수율로 제공한다.
논문[Peric M., Vercek B., Petric A. ㆉ-Diazoacetophenones as reagents for a mild and selective protection of an amino group. // Acta Chimica Slovenica. 1996. V.43. No 2. P.163-173]은 펩타이드 합성의 중간체인 페닐아세틸 리토신 메틸 에스테르(XXII) 합성법으로서, 디아소케톤의 형성을 통해 티로신 메틸 에스테르와 페닐아세트산을 축합시키는 방법을 개시한다. 화합물 XXII의 정제에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융점, 1H-NMR 분광분석 및 원소분석 데이터가 제시되었다.
문헌[Votano J.R., Altman J., Wilchek M., Potential use of biaromatic L-phenylalanyl derivatives as therapeutic agents in the treatment of sickle cell disease.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984. V.81. No 10. P.3190-3194]에 따른 페닐아세틸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XXV)는 활성화된 N-옥시숙신이미드 에스테르 방법과 후속되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정제를 통해 합성했다. 상기 화합물의 이화학적 상수는 제시되지 않았다. 이 논문에서, 화합물 XXV는 겸상세포 질환 치료의 후보 약물로서 연구 중인 화합물 XIX의 합성에 중간체이다.
더욱이, 화합물 XXV의 효소적 합성 방법은 논문[Didziapetris R., Drabnig B., Schellenberger V., Jakubke H.D., Svedas V. Penicillin acylase-catalyzed protection and deprotection of amino groups as a promising approach in enzymatic peptide synthesis.// FEBS Letters. 1991. V.287. No 1-2. P.31-33]에 공지되어 있다.
미국 특허 2003199566(Bok S., Lee S., Jeong T., Phenolic acid derivatives an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blood lipid level- related diseases comprising the same)은 3-(p-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페닐알라닌(XVII) 및 3-(p-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XIII)의 합성법으로서, 트리에틸아민의 존재 하에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 및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3-(p-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페닐알라닌(XVII)의 제조 시에는 화합물(XIII)의 비누화가 추가 수행되어 표적 산물의 수율은 78%였다. 두 화합물의 1H-NMR 및 13C-NMR 분광분석 데이터가 제시되었다. 화합물 XVII 및 XIII은 지질의 혈액 수준과 관련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되는 것으로 제안되었다.
국제출원 공개 WO 9952962는 3-(p-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티로신 벤질 에스테르(XXXIV)를 개시한다. 융점, 1H-NMR 및 13C-NMR 분광분석 데이터도 제시되었다.
진통 효과는 여러 기작에 따라 수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아라키돈산 캐스캐이드 중의 사이클로옥시게나제 효소를 억제하는 방법이 있다[Mashkovsky PPM Lekarstvennye sredstva (Medicaments).// Moscow. Novaya volna publishers. 2005. P.163-164].
비마약성 진통제 및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는 통증발생의 합성을 저하시키는 약물 중에서 가장 분명한 진통 효과를 갖고 있다. 비마약성 진통제에는 살리실레이트(아스피린), 피라졸론 유도체(아미도피린, 아날진) 및 파라-아미노페놀(파라세타몰)이 있다.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에는 살리실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및 안트 라닐산의 유도체가 있다. 비마약성 진통제 및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는 진통 효과와 함께 소염 작용과 해열 작용이 있다[Kukushkin M.L., Khitrov N.K. Obshchaya patologiya boli (General pathology of pain) / Moscow. Meditsina publishers. 2004. 142 pages]. 궤양유발성은 비스테로이드 소염제의 주요 부작용이다. 전구경련성 부작용은 종종 여러 작용 기작을 가진 진통제에서 관찰된다[Mashkovsky PPM Lekarstvennye sredstva (Medicaments).// Moscow. Novaya volna publishers. 2005. P.154].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인 살리실산나트륨, 인도메타신 및 피록시캄의 항파킨슨 성질은 공지되어 있다 [M.G. Kadieva, E.T. Oganesyan, S.Kh. Matsueva. Nejrotoxiny I sredstva dlya lecheniya bolezni Parkinsona. III. Sredstva, oposredovanno vlijaushchiye na dofaminergicheskuyu sistemu. (Neurotoxines and agents for treating Parkinsons disease. III. Agents with mediated effect on the dopaminergic system). Khimiko-pharmacevticheskij zhurnal. 2005. T.39. No 11. S.3-11]. 이러한 활성은 도파민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프로스타글리딘을 통해 매개되어 부분적으로 실행된다고 제안되어 있다.
항세로토닌 약물은 또한 도파민 길항물질에 대한 수용체 결합을 촉진하여, 파킨슨병에서 도파민계에 양성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M.G. Kadieva, E.T. Oganesyan, S.Kh. Matsueva. Nejrotoxiny I sredstva dlya lechenija bolezni Parkinsona (Neurotoxines and agents for treating Parkinsons disease) Khimiko-pharmacevticheskij zhurnal. 2005. T.39. No 11. S.3-11]. 또 한, 항파킨슨 약물은 다른 작용 기작도 알려져 있다[Mashkovsky PPM Lekarstvennye sredstva (Medicaments).// Moscow. Novaya volna publishers. 2005. P.138].
작용 기작에 따라 항우울제는 여러 그룹으로 나뉘며, 구체적으로 모노아민 옥시다제 억제제, 트리시클릭 항산화제, 히스타민, 세로토닌, 콜레시스토키닌 α-아드레노리셉터의 차단제가 있다[Mashkovsky PPM Lekarstvennye sredstva (Medicaments).// Moscow. Novaya volna publishers. 2005. P.109].
공지된 항우울제와 구조적 관련 화합물의 사용은 수많은 심각한 부작용을 동반하기 때문에, 이러한 작용을 가진 새로운 안전하고 효과적인 약물 연구가 진행중이다. 우울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사용은 알려져 있지 않다.
저산소증은 뇌기능 장애를 비롯한 수많은 병리학적 상태에서 관찰된다. 항산화제는 신체에 의한 혈행 산소의 이용성을 향상시켜 산소 결핍에 대한 신체 저항을 증강시킨다. 이러한 작용을 가진 약물은 많지 않다[Mashkovsky PPM Lekarstvennye sredstva (Medicaments).// Moscow. Novaya volna publishers. 2005. P.729]. CNS의 활성을 조절하는 약물을 비롯한 많은 약물은 또한 약물 작용의 효능을 증강시키는 저산소 억제성을 보유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 그룹에 대한 저산소 억제 효과는 종래 개시된 바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작용, 특히 궤양 유발성 및 전구 경련 작용 없이 비독성의 더욱 효과적인 진통 및 소염제로서, 저산소 억제 작용, 항우울 작용 및 항파킨슨 작용뿐만 아니라 다른 진통제의 효과를 증가시키는 능력을 보유하는 신규 및 공 지의 생체 아민 및 아미노산의 페닐-N-아실 유도체의 합성 및 사용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사이클로옥시게나제 억제 활성, 소염 작용 및 진통 작용, 진경성, 저산소억제성, 항파킨슨 및 항우울 작용뿐만 아니라 다른 진통제들의 효과를 증가시키는 능력을 보유하는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신규 아민의 페닐-N-아실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성 염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7076652366-pct00002
이 식에서, R1
Figure 112007076652366-pct00003
또는
Figure 112007076652366-pct00004
이고, 여기서 R5는 수소 또는 하이드록시 기이며;
R2는 수소 또는 경우에 따라 CH3(CH2)mCO-로 치환된 아미노 기이며, 여기서 m은 0 내지 4이고;
R3은 수소, -COOH, -COOR6이고, 여기서 R6은 C1-C6 알킬 또는
Figure 112007076652366-pct00005
이고, 여기서 R7은 수소 또는 하이드록시 기이며;
R4는 수소 또는 하이드록시 기이지만,
단, 화학식 I의 화합물에서 다음 화합물은 제외된다:
페닐아세틸티라민,
3-(p-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페닐에틸아민,
3-(p-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티라민,
3-페닐프로피오닐페닐에틸아민,
3-페닐프로피오닐티라민,
3-(p-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3-(p-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티로신,
3-페닐프로피오닐티로신,
페닐아세틸티로신,
3-(p-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페닐알라닌,
3-페닐프로피오닐페닐알라닌,
페닐아세틸페닐알라닌,
3-(p-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티로신 메틸 에스테르,
3-페닐프로피오닐티로신 메틸 에스테르,
페닐아세틸티로신 메틸 에스테르,
페닐아세틸페닐에틸아민,
3-페닐프로피오닐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페닐아세틸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3-(p-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티로신 벤질 에스테르.
또한, 본 발명은 사이클로옥시게나제 억제제, 소염 작용 및 진통 작용, 진경성, 저산소억제성, 항파킨슨 및 항우울 작용 약물뿐만 아니라 다른 진통제들의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약물로서 사용되는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성 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Figure 112007076652366-pct00006
이 식에서, R1
Figure 112007076652366-pct00007
또는
Figure 112007076652366-pct00008
이고, 여기서 R5는 수소 또는 하이드록시 기이며;
R2는 수소 또는 경우에 따라 CH3(CH2)mCO-로 치환된 아미노 기이며, 여기서 m은 0 내지 4이고;
R3은 수소, -COOH, -COOR6이고, 여기서 R6은 C1-C6 알킬 또는
Figure 112007076652366-pct00009
이고, 여기서 R7은 수소 또는 하이드록시 기이며;
R4는 수소 또는 하이드록시 기, 또는 사이클로옥시게나제 억제제, 소염 진통제, 진경제, 저산소 억제제, 항파킨슨제, 및 항우울제는 물론 기타의 진통제 약효 를 증가시킬 수 있는 제제들과 같은 그의 약학적 허용성 염들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성 염의 유효량과 경우에 따라 약학적 허용성 담체를 함유하는, 사이클로옥시게나제 억제 활성, 소염 작용 및 진통 작용, 뿐만 아니라 항우울, 진경성, 저산소억제성, 항파킨슨 작용을 보유하는 약학 조성물 및 약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성 염의 유효량을 경우에 따라 다른 진통제와 함께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여러 기원의 통증 증후군뿐만 아니라 염증, 경련, 저산소증, 우울 및 파킨슨 징후를 수반하는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신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화학식 I의 바람직한 화합물은 R3이 -COOH, -COOCH3인 화합물이다.
화학식 I의 바람직한 신규 화합물은 표 1에 제시했다.
표 1
Figure 112007076652366-pct00010
Figure 112007076652366-pct00011
Figure 112007076652366-pct00012
화학식 I의 공지된 바람직한 화합물은 표 2에 제시했다.
표 2
Figure 112007076652366-pct00013
Figure 112007076652366-pct00014
Figure 112007076652366-pct00015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유기 용매, 바람직하게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 에틸아세테이트 중에서 디페닐포스포릴아지드(DPPA) 및 트리에틸아민(TEA)와 냉각 하에,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0℃ 범위의 온도에서 반응시킨 다음, 아미노 유도체와 반응시켜 p-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산 또는 페닐아세트산의 카르복시 기의 카르복시 기를 활성화시켜 제조한다. 카르복시 기의 활성화는 1 내지 1.2 당량의 DPPA 및 TEA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미노 유도체로서, 티로신 및 페닐알라닌 에스테르가 사용될 수 있다. 화합물 II 및 III의 제조 시에는, 출발 아미노 유도체로서, 각각 티로신과 페닐알라닌 벤질 에스테르가 사용되고, 그 다음 촉매적 가수소분해 반응에 의해 벤질 기를 제거한다. 화학식 I의 공지 화합물에 대한 종래 사용된 합성법과 달리, 디페닐포스포릴아지드법의 사용은 단계의 수를 줄이고, 즉 카르복실 성분의 활성화된 유도체의 분리 단계를 없애며 표적 물질의 분리를 위한 추출만을 사용하여 수율을 증가시킨다(≥90%).
디페닐포스포릴라제 방법에 의한 합성의 전반적인 도식은 도식 1과 같다.
도식 1
Figure 112007076652366-pct00016
또한, 페닐 기에 하이드록시 치환체를 함유하는 것을 비롯한 신규 화합물 II, III, IV, V, VII, VIII은 활성화된 N-옥시숙신이미드 에스테르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이 방법의 장점은 시약의 입수용이성, 방출된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의 수용성, 아실화제의 N-옥시숙신이미드 에스테르 제조 반응 및 아미드 결합 형성 반응의 신속 진행성, 및 페닐 기에 하이드록시 치환체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표적 산물의 높은 수율(70 내지 80%)의 달성 가능성이다. 제안된 방법에 따르면, N,N'-디사이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방법(DCC 방법)을 이용하여 p-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산 또는 페닐아세트산을 활성화된 N-옥시숙신이미드 에스테르로 변환시켜 아실화제의 N-옥시숙신이미드 에스테르 합성이 높은 수율(약 90%)로 실현되고, 이어서 N-옥시숙신이미드 에스테르와 아미노 유도체 사이의 반응에 의해 아미드 결합이 역시 높은 수율(70 내지 80%)로 단시간(1 내지 2시간)에 표적 산물의 크로마토그래피 정제 없이도 형성된다. 아미노 유도체로서, 티로신 및 페닐알라닌 에스테르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유사하게, 공지된 화합물인 X, XI, XII, XIII, XV, XVII, XIX, XX, XXII, XXIII, XXIV도 제조할 수 있으며, 활성화된 N-옥시숙신이미드 에스테르의 방법을 이용하는 합성법은 종래 기술에 개시된 적이 없다.
활성화된 N-옥시숙신이미드 에스테르의 방법을 이용한 화학식 I 화합물의 일반적인 합성 도식은 다음 도식 2와 같다.
도식 2
Figure 112007076652366-pct00017
또한, 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티로신(XIV)의 합성은 활성화된 N-옥시숙신이미드 에스테르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단계 수를 줄이기 위해 비보 호된 C-말단 티로신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 방법은 표적 화합물의 광학적 순도에 불리하게 생각될 수 있는 티로신 메틸 에스테르의 비누화에 필수적인 단계일 수 있는 알칼리에 대한 장기적인 노출을 필요 없게 한다[Schreder E., Lubke K. // Peptidy (Peptides). / Moscow. "Mir" publishers. 1967. 2 volumes; Gross E., Meienhoffer I. // Peptidy. Osnovniye metody obrazovanija peptidnoj svyazi (Peptides. Main formation methods of peptide bond)/Moscow. 'Mir' publishers. 1983. p. 422]. 비보호된 티로신의 유기 용매와 물에 대한 낮은 용해도 문제는 DMF 중의 티로신 현탁액에 1N NaOH 용액 2 당량의 첨가 시에 수득되는 가용성 나트륨 염으로의 전이에 의해 해소되며, 결과적으로 아미노산의 완전한 용해가 관찰되었다. 이와 같이 수득된 아민 유도체 용액과 3-(p-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N-옥시숙신이미드 에스테르 사이의 반응은 실질상 완전하고 빠르게(2시간 동안) 일어난다. 크로마토그래피 정제 없이 추출에 의한 분리 후, 표적 산물(XIV)의 수율은 약 63%에 이르렀다.
또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푸마르산, 말레산, 숙신산, 아세트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등과 같은 비독성 산과의 약학적 허용성 부가 염의 형태 및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나트륨 등과 같은 염기와의 염 형태로도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사이클로옥시게나제 억제 활성이 있어, 여러 기원의 통증 증후군, 관절 및 결합 조직뿐만 아니라 골격-근육계의 염증 질환 및 염증 퇴행성 질환, 염증, 경련, 저산소증이 동반되는 여러 질환, 뿐만 아니라 우울증 및 파킨슨병이 원인인 장애를 치료하고 다른 진통제의 효과를 증가시키는데 유용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수술후 통증, 외상후 통증뿐만 아니라 부인과적, 신경학적, 암성, 치아 기원의 통증 증후군, 류마티스성 관절염, 관절병증, 베크테레브 질환, 비특이 척추관절염, 통풍 관절염, 골관절염, 관절외 류마티스 열 및 혈전정맥염, 염증, 경련, 저산소증이 동반되는 여타 질환뿐만 아니라 파킨슨병, 정서적 스트레스 상태가 원인인 장애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바람직한 치료 결과를 제공하는 유효량으로 투여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비독성 약학적 허용성 담체를 함유하는 단위 투약형의 형태로 경구, 국소, 피경구, 흡입 및 직장을 통해 투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비경구 투여"란 피하, 정맥내, 근육내 또는 복강내 주사 또는 주입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매일 0.1 내지 10mg/kg(체중)의 용량, 바람직하게는 매일 1회 또는 그 이상 0.5 내지 5mg/kg의 용량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모든 각 환자에게 특별한 용량은 사용된 소정 화합물의 활성, 연령, 체중, 성별,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 환자의 영양 섭생, 약제 투여 방식, 제거율, 사용된 약제의 특정 조합뿐만 아니라 치료되는 질환의 병도를 비롯한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바람직한 결과를 달성하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함유하며, 근육내, 정맥내, 경구, 설하, 흡입 및 직장내 투여하기에 적합한 담체 또는 부형제와의 혼합물에 활성 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단위 투약형(예컨대, 고형, 반고형 또는 액형)으로서 투여될 수 있다. 활성 성분은 용액, 정제, 환약, 캡슐, 당의정, 좌약, 유제, 현탁제, 연고, 젤 및 임의의 다른 투약형의 제조에 적당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비독성 약학적 허용성 담체와 함께 조성분에 포함될 수 있다.
부형제로서, 글루코스, 락토스 또는 슈크로스와 같은 당류, 만니톨 또는 소르비톨, 셀룰로스 유도체 및/또는 인산칼슘, 예컨대 인산3칼슘 또는 산성 인산칼슘과 같은 다른 물질이 사용될 수 있고; 결합제로서, 전분 페이스트, 예컨대 옥수수, 밀, 쌀, 감자 전분, 젤라틴, 트라가칸트, 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소듐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과 같은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전술한 전분 및 카르복시메틸전분, 가교 폴리비닐피롤리돈, 아가 또는 알긴산 또는 이의 염, 예컨대 알긴산나트륨 등과 같은 붕해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선택적 첨가제, 예컨대 유동성 조절제 및 윤활제, 예컨대 실리카 디옥사이드, 탈크, 스테아르산 및 이의 염, 예컨대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또는 스테아르산칼슘 및/또는 프로필렌글리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당의정 코어는 보통 위액 작용에 내성인 층으로 코팅된다. 이를 위해, 당류의 농축 용액이 사용될 수 있고, 이 용액은 경우에 따라 아라비아검, 탈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글리콜 및/또는 이산화티탄 및 적당한 유기 용매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로서, 안정제, 증점제, 염료 및 향미료가 사용될 수도 있다.
연고 기제로서, 탄수화물 연고 기제, 예컨대 백색 및 황색 바셀린(Vaselinum album, Vaselinum flavum), 바셀린 연고(Oleum Vaselini), 백색 및 황색 연고(Unguentum album, Unguentum flavum), 및 더욱 치밀한 일관성을 부여하기 위한 첨가제로서, 경질 파라핀 및 왁스와 같은 첨가제가 사용될 수 있고; 흡수성 연고 기제, 예컨대 친수성 바셀린(Vaselinum hydrophylicum), 라놀린(Lanolinum), 콜드크림(Unguentum leniens)이 사용될 수 있으며; 물로 세척가능한 연고 기제, 예컨대 친수성 연고(Unguentum hydrophylicum)가 사용될 수 있고; 수용성 연고 기제, 예컨대 폴리에틸렌글리콜 연고(Unguentum Glycolis Polyethyleni), 벤토나이트 기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젤용 기제로서, 메틸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나트륨 염, 옥시프로필셀룰로스,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카르보폴이 사용될 수 있다.
좌약용 기제로서, 물에 불용성인 기재, 예컨대 코코아 버터; 물에 용해성이거나 물과 혼합가능한 기제, 예컨대 젤라틴-글리세롤 또는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혼합 기제, 예컨대 비누질-글리세린계 기제가 사용될 수 있다.
단위 투약형의 제조 시에, 담체와 함께 사용되는 활성 성분의 양은 치료 받는 수용체, 약제의 특정 투여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주사용 용액 형태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사용할 때, 용액 내 활성제의 함량은 0.01 내지 5%이다. 희석제로서, 0.9% 염화나트륨 용액, 증류수, 주사용 노보카인 용액, 링거액, 글루코스액, 용해를 위한 특정 첨가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정제 및 좌약 형태로 체내에 투여하는 경우에, 그 함량 은 단위 투약형당 5.0 내지 500mg 범위이다.
본 발명의 투약형은 표준 기술, 예컨대 혼합, 과립화, 당의정 형성, 용해 및 동결건조 방법들에 따라 제조한다.
주지해야 할 사항은 본 발명의 화합물이 비교용으로 사용된 공지 약물에 비해 2 내지 3 등급(order) 정도 낮은 용량에서 실질적으로 유사한 효능으로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내고, 본 발명의 화합물에 대한 어떠한 유해한 부작용도 밝혀지지 않았고 그 화합물 사용의 금기 사항이 발견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와 동시에, 본 발명의 화합물을 1000㎍/kg의 경구 용량으로 사용한 독성 연구에서, 실험 동물의 치사는 기록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화합물, 이의 제조 및 약리학적 활성 조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바람직한 변형을 예시하기 위해 설계된 실시예를 통해 기술될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합성 실시예
제조된 화합물의 특성은 다음과 같은 용매계를 이용하여 "Kiesegel 60 F254"("Merck", 독일) 평판에서의 TLC법으로 검사했다: 클로로포름-메탄올 9:1(1), 클로로포름-메탄올-에틸아세테이트 6:1:3(2), 클로로포름-메탄올-암모니아 6:3:0.5(3).
크로마토그램은 클로로-톨리딘 시약, 닌하이드린, 요오드로 발색시켜, 자외 선 발광으로 검사했다.
1H-NMR은 "AMX-400 Bruker"(독일) 장치를 이용하여 기록했다.
IR-푸리에 스펙트럼은 "Maga 750"("Nicolet" USA) 장치 상에서 KBr 정제법으로 수득했다.
융점은 "Boetius"(독일) 장치에서 측정했다.
고해상도 질량 스펙트럼은 REFLEX™III(Bruker, 독일) 장치 상에서 매트릭스로서 2,5-디하이드로벤조산을 이용하여 매트릭스 레이저-탈착 이온화 방법에 의해 통과시간 질량 분광기로부터 수득했다.
분석용 역상 HPLC는 다음과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했다:
- 크로마토그래프 "Breeze". 검출기 "Waters"(USA), 214nm에서 검출, 다음과 같은 조건 (1) 하에서 용출 속도 1ml/min: 컬럼 Symmetry 300 C18, 3.8 x 150mm, 5㎛, 0% 내지 60%의 아세토니트릴 구배가 이루어지는 0.1% TFA 수용액으로 18분 동안 용출.
- 크로마토그래피 "System Gold" ("Beckman", USA), 용출 속도 0.25ml/min, 다음과 같은 조건 (2) 하에서 220nm에서 검출: 컬럼 "Phenomenex"(USA) C18, 2 x 250mm, 5㎛, 100% MeCN 중의 0.08% TFA 구배가 0%에서 100%로 이루어지는 0.1% TFA 수용액으로 50분 동안 용출.
- 크로마토그래피 "Breeze", 검출기 "Waters"(USA), 214nm에서 검출, 다음과 같은 조건(3) 하에서 용출 속도 1ml/min: 컬럼 Symmetry 300 C18, 4.6 x 250mm, 20 ㎛, 60:40 아세토니트릴-물 혼합물에 0.09% TFA 구배가 0%에서 100%로 이루어지는 0.1% TFA로 15분 동안 용출.
실시예 1
p-하이드록시페닐아세틸티라민(VII)
방법 A
p-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산 0.40g(2.63mmol)을 3.5ml DMF에 용해한 용액에 교반 중에 0.35g(2.63mmol)을 첨가했다. 이 용액을 -10℃까지 냉각시키고, 디페닐포스포릴아지드 0.68ml(3.16mmol) 및 트리에틸아민 0.44ml(3.16mmol)를 첨가했다. 이 용액을 -1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20℃에서 15시간 동안 방치했다. 반응물에 물 35ml를 첨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 20ml로 추출했다.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10ml 5% Na2CO3 용액, pH 7까지의 물, 및 10ml 5% HCl 용액, pH 7까지의 물로 세척했다.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Na2SO4를 여과 제거한 뒤, 에틸아세테이트를 진공 제거했다. 오일성 잔류물은 에스테르-헥산 혼합물(1:1)로 분말화했다. 형성된 백색 침전물을 여과 분리하고 CaCl2 상에서 진공 건조했다. 수율 0.68g(95%).
Rf 0.7(1).
Tm = 147-149℃.
[M]+ 271.6.
1H-NMR, CD3OD, δ, ppm: 2.65 (t, J=7 Hz, 2H, α-CH2-TA), 3.29-3.32 (m, 4H, β-CH2-TA, CH2-(OH-PhAc)), 6.63-6.75 (m, 4H, o-CH-arom.), 6.90-7.06 (m, 4H, m-CH-arom.).
IR-Fourier, cm-1: 3276 (val. OH); 3108 (val., =C-H, arom.); 1612 (아미드 I); 1591 (아미드 II); 1515 (arom. C-C-); 1226 (val., -C-O, 페놀계).
실측치, %: C 70.57; H 6.43; N 5.50 C16H17NO3.
이론치, %: C 70.83; H 6.32; N 5.16.
조건 (1) 하에서의 HPLC: 각 피크, 체류시간 8.71분.
방법 B
p-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산 0.70g(4.60mmol)을 에틸아세테이트 17ml에 용해한 용액에 교반 중에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 0.53g(4.60mmol)을 첨가하고, 이 용액을 0℃까지 냉각한 뒤, N,N'-디사이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DCC) 0.95g(4.60mmol)을 첨가했다. 이 용액을 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4℃에서 20시간 동안 방치했다. N,N'-디사이클로헥실우레아(DCU) 침전물을 여과 제거했다. 용매는 진공 하에 제거했다. 오일성 잔류물을 헥산을 분말화했다. 형성된 백색 고체 침전물을 여과 분리하여, 헥산으로 세척하고, CaCl2 상에서 진공 건조했다. 수율은 1.08g(94.6%)이었다. Rf 0.58(1).
p-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산의 N-옥시숙신이미드 에스테르 0.30g(1.2mmol)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8ml에 용해한 용액에 교반 중에 티라민 0.16g(1.2mmol)을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2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4℃에서 20시간 동안 방치했다. DMF는 진공 제거했다. 오일성 잔류물은 물로 분말화했다. 형성된 백색 침전물은 여과 분리하여 물로 세척했다. 수율 0.26g (80%).
Rf 0.68 (1).
Tm = 146-148℃
[M+H]+ 272.3.
실측치, %: C 71.05; H 6.10; N 5.25 C16H17NO3.
이론치, %: C 70.83; H 6.32; N 5.16.
실시예 2
p-하이드록시페닐아세틸페닐에틸아민(VIII)
합성은 화합물 VII에서 제시된 방법 A에 따라 수행했다.
수율 0.57g(90.5%)
Rf 0.82(1).
[M]+ 255.5.
1NMR DMSO-d6, δ, ppm: 2.68 (t, J=8Hz, 2H, β-CH2-PEA), 3.22-3.26(m, α-CH2-PEA), 3.36(s, 2H, CH2-(OH-PhAc)), 6.66 (d, J=4 Hz, 2H, m-CH-arom. OH- PhAc), 7.00 (d, J=4 Hz, 2H, m-CH-arom. OH-PhAc), 7.14-7.28 (m, 5H, arom. CH-PEA), 8.0 (br. s, 1H, NH-PEA), 9.20 (s, 1H, OH-(OH-PhAc)).
IR-Fourier, cm-1: 3332 (val. OH); 3087 (val., =C-H, arom.); 1626 (아미드 I); 1558 (아미드 II); 1515 (arom. C-C-); 1249 (val., -C-O, 페놀계).
실측치, %: C 75. 57; H 6.80; N 5.77 C16H17NO2.
이론치, %: C 75.27; H 6.71; N 5.49.
조건 (1) 하에서의 HPLC: 각 피크, 체류 시간 11.17분.
또한, 화합물 VII에서 제시된 방법 B에 따라 합성을 수행했다.
수율 0.50g (79.4%).
Rf 0.85 (1).
Tm = 68-70℃
[M]+ 255.7.
실측치, %: C 75. 17; H 6.87; N 5.75 C16H17NO2. 이론치, %: C 75.27; H 6.71; N 5.49.
실시예 3
3-(p-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티라민(X)
합성은 화합물 VII에서 제시된 방법 A에 따라 수행했다.
수율 0.41 g (95%).
Rf 0.38 (1).
Tm = 174-176℃.
1NMR DMSO-d6, δ, ppm: 2.26 (t, J=8Hz, 2H, α-CH2-(HO-PhPr)), 2.53 (t, J=6 Hz, 2H, β-CH2-Tyra), 2.67 (t, J=8 Hz, 2H, β-CH2-(HO-PhPr)). 3.16 (t, J=6 Hz, 2H, α-CH2-Tyra), 6.62 (d, J=7Hz, 2H, m-CH-Bzl-Tyra), 6.65 (d, J=7 Hz, m-CH-Bzl-(HO-PhPr)), 6.92-6.96 (m, 4H, o-CH-Bzl-Tyra 및 o-CH-Bzl-(HO-PhPr)), 7.79 (s, 1H, NH-Tyra), 9.09 (br. s, 2H, OH-Tyra 및 OH-(HO-PhPr)).
IR-Fourier, cm-1: 3249(val. OH); 1621(아미드 I); 1515(arom.); 1541(아미드 II).
실측치, %: C 71.56; H 6.78; N 4.97 C16H17NO2. 이론치, %: C 71.56; H 6.71; N 4.91, C17H19NO3.
조건 (2) 하에서의 HPLC: 각 피크, 체류 시간 25.62분.
합성은 화합물 VII에서 제시된 방법 B에 따라 수행했다.
수율 0.37 g (85%).
Rf 0.35(1).
Tm = 172-174℃.
[M]+ 285.3.
실시예 4
3-페닐프로피오닐페닐에틸아민(XI)
합성은 화합물 VII에서 제시된 방법 A에 따라 수행했다.
수율 0.26 g (97%).
Rf 0.78 (1).
Tm = 94-96℃.
1NMR DMSO-d6, δ, ppm: 2.34 (t, J=8Hz, 2H, α-CH2-(HO-PhPr)), 2.66 (t, J=6 Hz, 2H, α-CH2-PEA), 2.79 (t, J=8 Hz, 2H, β-CH2-PhPro)), 3.24 (t, J=6 Hz, 2H, α-CH2-PEA), 7.25-7.30 (m, 10H, CH-arom.), 7.89 (br. s, 1H, NH-PEA).
IR-Fourier, cm-1: 1637 (아미드 I); 1546 (아미드 II).
실측치, %: C 80.24; H 7.61; N 5.54. 이론치, %: C 80.60; H 7.56; N 5.53, C17H19NO3.
조건 (2) 하에서의 HPLC : 각 피크. 체류 시간 37.86분.
합성은 화합물 VII에서 제시된 방법 B에 따라 수행했다.
수율 0.20g(77%).
Rf 0.80(1).
실측치, %: C 80.39; H 7.53; N 5.30. 이론치, %: C 80.60; H 7.56; N 5.53, C17H19NO3.
실시예 5
3-(p-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페닐에틸아민(IX)
합성은 화합물 VII에서 제시된 방법 A에 따라 수행했다.
수율 0.20g(90%).
Rf(II) 0.4.
Tm = 102-104℃, Cast.[84] 102-104℃.
[M]+ 269.6.
1NMR CDCl3, δ, ppm: 2.39 (t, J=7Hz, 2H, α-CH2-(HO-PhPr)), 2.73 (m, 2H, β-CH2-PEA), 2.86 (t, J=7 Hz, 2H, β-CH2-(HO-PhPr)), 3.48 (m, 2H, α-CH2-PEA), 6.75 (m, 2H, m-CH-arom. HO-PhPr), 7.03 (m, 2H o-CH-arom. HO-PhPr), 7.09 (m, 2H, o-CH-arom. PEA), 7.3 (m, 3H, m,p-CH-arom. PEA).
IR-Fourier, cm-1: 3263 (val. OH); 1618 (아미드 I); 1537 (아미드 II).
실측치, %: C 75.57; H 6.93; N 5.09. C17H19NO2. 이론치, %: C 75.81; H 7.11; N 5.20.
조건 (3) 하에서의 HPLC: 각 피크, 체류 시간 14.77분.
실시예 6
p-하이드록시페닐아세틸티로신 메틸 에스테르(IV)
합성은 화합물 VII에서의 방법 A에 따라 수행했다.
수율 0.17 g (39%).
Rf 0.56(2).
[M]+ 329.85.
[α]D25+12.22° (C 0.36; MeOH).
1NMR DMSO-d6, δ, ppm: 2.78 (dd, 1H, CH2-Tyr), 2.9 (dd, 1H, CH2-Tyr), 3.25-3.45 (m, 2H, CH2-HOPhAc), 4.3-4.4 (m, 1H, α-CH-Tyr), 3.6 (s, 3H, OCH3 Tyr), 6.55-7.1 (m, 8H, arom. H), 8.25 (d, 1H, NH-Tyr).
IR-Fourier, δ, cm-1: 1649 (아미드 I); 1515 (아미드 II); 1263 (아미드 III).
실측치, %: C 65.75; H 5.75; N 4.23. 이론치, %: C 65.64; H 5.81; N 4.25.
조건 (3) 하에서의 HPLC: 각 피크, 체류 시간 7.25분.
실시예 7
p-하이드록시페닐아세틸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V)
합성은 화합물 VII에서의 방법 A에 따라 수행했다.
수율 0.40 g (39%), 오일.
Rf 0.70 (2).
[M]+ 313.83.
[α]D20+35.05° (C 0.19; 에틸 아세테이트).
1NMR DMSO-d6, δ, ppm: 2.9 (dd, 1H, CH2-Phe), 3.05 (dd, 1H, CH2-Phe), 3.25-3.4 (m, 2H, CH2-HOPhAc), 3.6 (s, 3H, OCH3 Phe), 4.4-4.5 (m, 1H, α-CH-Phe), 6.55-6.95(m, 4H, arom. H HOPhAc), 7.1-7.3 (m, 5H, arom. H Phe), 8.3 (d, 1H, NH-Phe), 9.2 (s, 1H, OH-Ar HOPhAc).
IR-Fourier, δ, cm-1: 1663 (아미드 I); 1515 (아미드 II); 1263 (아미드 III).
실측치, %: C 69.08; H 6.05; N 4.45. 이론치, %: C 68.99; H 6.11; N 4.47.
조건 (3) 하에서의 HPLC: 각 피크, 체류 시간 8.57분.
실시예 8
페닐아세틸티라민 (VI)
합성은 화합물 VII에서의 방법 A에 따라 수행했다.
수율 0.35g(37.6%)
Rf 0.85(2).
Tm 105-108℃.
[M+1]+ 256.2.
1NMR DMSO-d6, δ, ppm: 2.6 (t, 2H, α-CH2-TA), 3.2 (q, 2H, β-CH2-TA), 3.4 (s, 2H, CH2-PhAc), 6.6-7.0 (m, 4H, arom. H TA), 7.15-7.3 (m, 5H, arom. H PhAc), 8.0 (t, 1H, NH-TA), 9.1 (s, 1H, OH-TA).
IR-Fourier, δ, cm-1: 1646(아미드 I); 1516(아미드 II); 1264(아미드 III).
실측치, %: C 75.37; H 6.69; N 5.45. 이론치, %: C 75.27; H 6.71; N 5.49.
조건 (3) 하에서의 HPLC: 각 피크, 체류 시간 8.06분.
실시예 9
3-(p-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XIII)
합성은 화합물 VII에서의 방법 A에 따라 수행했다.
수율 0.37g(38%), 오일.
Rf 0.73 (2).
[M+1]+ 328.21.
[α]D25-6.95° (C 0.46; MeOH).
1NMR DMSO-d6, δ, ppm: 2.3 (t, 2H, 1-CH2 HOPhPr), 2.6 (t, 2H, 2-CH2 HOPhPr), 2.85 (dd, 1H, CH2-Phe), 3.0 (dd, 1H, CH2-Phe), 3.6 (s, 3H, OCH3 Phe), 4.4-4.5 (m, 1H, α-CH-Phe), 6.6-6.95 (m, 4H, arom. H HOPhPr), 7.15-7.3 (m, 5H, arom. H Phe), 8.22 (d, 1H, NH-Phe), 9.1 (s, 1H, OH-Ar HOPhAc).
IR-Fourier, δ, cm-1: 1651(아미드 I); 1516(아미드 II); 1266(아미드 III).
실측치, %: C 69.61; H 6.49; N 4.29. 이론치, %: C 69.71; H 6.47; N 4.28.
조건 (3) 하에서의 HPLC: 각 피크, 체류 시간 8.9분.
실시예 10
p-하이드록시페닐아세틸티로신 벤질 에스테르(XIII)
합성은 화합물 VII에서의 방법 A에 따라 수행했다.
수율 0.59g(55.7%), 오일.
Rf 0.57(2).
[M+1]+ 406.0.
[α]D20-9.18° (C 0.20; MeOH).
IR-Fourier, δ, cm-1: 1649(아미드 I); 1515(아미드 II); 1737(val C=O 에스테르).
실측치, %: C 71.05; H 5.70; N 3.43. 이론치, %: C 71.10; H 5.72; N 3.45.
실시예 11
p-하이드록시페닐아세틸티로신(II)
p-하이드록시페닐아세틸티로신 벤질 에스테르 0.59g(1.47mol)을 메탄올 10ml에 용해한 용액에 석탄 상의 10% 팔라듐 0.20g을 첨가하고, 강력히 교반하면서 수소류 중에서 1.5시간 동안 수화를 수행했다. 촉매를 여과 제거했다. 여과액의 용매는 진공하에 제거했다. 오일성 잔류물은 에스테르-헥산 혼합물(1:1)로 분말화했다. 형성된 백색 침전물은 여과 분리하여 CaCl2 및 P2O5 상에서 진공 하에 건조했다. 0.32g이 수득되었다(68%).
수율 37%.
Rf 0.28 (3).
[M+1]+ 316.07.
[α]D25+28.03° (C 0.31; MeOH).
1NMR DMSO-d6, δ, ppm: 2.75 (dd, 1H, CH2-Tyr), 2.9 (dd, 1H, CH2-Tyr), 3.2-3.4 (m, 2H, CH2-HOPhAc), 4.3-4.4 (m, 1H, α-CH-Tyr), 6.55-7.1 (m, 8H, arom.), 8.05 (d, 1H, NH-Tyr).
IR-Fourier, δ, cm-1: 1614(아미드 I); 1516(아미드 II); 1254(아미드 III).
실측치, %: C 64.65; H 5.41; N 4.37. C17H17NO5; 이론치, %: C 64.75; H 5.43; N 4.44.
조건 (1) 하에서의 HPLC: 각 피크, 체류 시간 6.33분.
실시예 12
p-하이드록시페닐아세틸페닐알라닌 벤질 에스테르(XXVII)
합성은 화합물 VII에서의 방법 A에 따라 수행했다.
수율 0.76g(74%).
Rf 0.87 (2).
[M+1]+ 390.1.
[α]D20-19.47° (C 0.19; MeOH).
IR-Fourier, δ, cm-1: 1649(아미드 I); 1515(아미드 II); 1737 (val C=O 에스테르).
실측치, %: C 74.12; H 5.92; N 3.57. 이론치, %: C 74.02; H 5.95; N 3.60.
실시예 13
p-하이드록시페닐아세틸페닐알라닌(III)
p-하이드록시페닐아세틸페닐알라닌 벤질 에스테르 0.65g(1.67mol)을 메탄올 10ml에 용해시킨 용액에 석탄 상의 10% 팔라듐 0.30g을 첨가하고, 강력히 교반하면 서 수소류 중에서 1.5시간 동안 수화를 수행했다. 촉매를 여과 분리했다. 용매는 진공 하에 여과액으로부터 제거했다. 오일성 잔류물은 에스테르-헥산 혼합물(1:1)로부터 분말화했다. 형성된 백색 침전물은 여과 분리하고, CaCl2 및 P2O5 상에서 진공 하에 건조했다. 0.27g(53%)이 수득되었다.
수율 39.2%
Rf 0.42(3).
[M+1]+ 300.09.
[α]D25+18.57° (C 0.44; MeOH).
1NMR DMSO-d6, δ, ppm: 2.85 (dd, 1H, CH2-Phe), 3.1 (dd, 1H, CH2-Phe), 3.2-3.35 (m, 2H, CH2-HOPhAc), 4.4-4.5 (m, 1H, α-CH-Phe), 6.55-6.95 (m, 4H, arom. H HOPhAc), 7.1-7.3 (m, 5H, arom. H Phe), 8.15 (d, 1H, NH-Phe).
IR-Fourier, δ, cm-1: 1611(아미드 I); 1512(아미드 II). 실측치, %: C 68.30; H 5.68; N 4.65.
이론치, %: C 68.21; H 5.72; N 4.68.
조건 (3) 하에서의 HPLC: 각 피크, 체류 시간 7.59분.
실시예 14
3-페닐프로피오닐티로신 벤질 에스테르(XXX)
합성은 화합물 VII에서의 방법 A에 따라 수행했다.
수율 0.94g(70%).
Rf 0.72 (1).
[M]+ 403.5.
[α]D20-11.93°(C 0.18; MeOH).
실측치, %: C 74.22; H 6.92; N 3.57. 이론치, %: C 74.42; H 6.25; N 3.47.
실시예 15
아세틸티로실페닐에틸아민( XXVIII )
수율 0.36g(50%).
Rf 0.57 (1).
[M]+ 326.9.
[α]D20-9.06°(C 0.30; MeOH).
IR-Fourier, δ, cm-1: 1651(아미드 I); 1616(아미드 II).
실측치, %: C 69.22; H 6.52; N 8.27. C24H23NO4; 이론치, %: C 69.92; H 6.79; N 8.58
실시예 16
아세틸티로실티라민(XXIX)
합성은 화합물 VII에서의 방법 A에 따라 수행했다.
수율 0.77g(65%).
Rf 0.41 (1).
[M]+ 342.7.
실측치, %: C 66.25; H 6.32; N 8.25. C24H23NO4; 이론치, %: C 66.65; H 6.48; N 8.18.
생물학적 활성 검사
실시예 17
뮤린 폐 조직의 무세포 파쇄액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이 [ 14 C]아라키돈산 대사에 미치는 시험관내 효과 연구
아라키돈산 대사 연구는 표준 사육장 사료를 공급한 CBA 마우스 암컷에 대해 수행했다. 동물(마우스)을 살처분하여, 폐를 꺼낸 후, 유리 균질기("Wheaton"사(USA) 제품)에 넣고 4℃, 0.05M 트리스-HCl 완충액 10부피 중에서 파쇄했다. 상청액 일정량(0.5ml)을 0.5μCi [1-C14]-아라키돈산[C14]-AA["Amersham"(영국)] 중에서 37℃ 하에 30분 동안 항온처리했다. 대사되지 않은 [C14]-AA 및 이의 대사 산물은 클로로포름 및 메탄올 혼합물(1:1) 20부피로 추출했고, 추출 효율은 [C14]-PGF를 사용하여 평가했을 때 90% 이상이었다. [C14]-AA 및 이의 대사산물은 유기상으로 서 용매계(에틸아세테이트, 이소옥탄, 아세트산, 물 - 110:50:20:100)와 표지된 표준물을 이용하는 TLC(독일 "Merck"사 제품인 Kieselgel 60 평판)로 분리 및 동정했다. Xtjs 필름 X-Omat AR("Kodak", USA) 및 HS11("ORWO", 독일) 상에서 수득된 오토라디오크로모그램의 농도계측은 덴시스캔 KS3("Kipp and Zonnen", 네덜란드)으로 수행했다. 각 에이코사노이드의 정량 분석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프랑스 "Gilson" 사의 HPLC 시스템; 컬럼 미국 "DuPont" 사의 ZORBAX C8) 및 TLC 평판 상의 반점들의 용출로부터 수득된 분획들의 방사분석을 이용하여 수행했다. 검사된 화합물들은 10-4M의 농도로 투여했다.
수득된 데이터는 표 3에 제시했다.
표 3
뮤린 폐 조직의 무세포 파쇄액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이 [14C]아라키돈산 대사에 미치는 시험관내 효과
Figure 112007076652366-pct00018
PG- 프로스타글란딘
TX- 트롬복산
AA- 아라키돈산
수득된 에이코사노이드 프로필에 대한 데이터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이 사이클로옥시게나제를 억제하는 능력이 22 내지 44% 정도임을 입증하고, 따라서 강력한 진통제 및 소염제로서 유망할 것임을 암시했다.
실시예 18
화학식 I 화합물의 진통 및 소염 활성
"아세트산 뒤틀림" 모델에서의 진통 활성 연구
검사는 22 내지 24g 중량의 백색 잡종 마우스 수컷에 대하여 수행했다. 특이적인 통증 반응("뒤틀림")은 0.75% 아세트산 용액을 마우스에게 복강내 투여하여 유도했다. 다음과 같은 징후를 고려했다: 뒷다리를 뻗고 등을 구부리면서 복부 근육의 압박 수축의 횟수. 진통 효과는 아세트산 투여 후 15분 동안 대조군에 대한 동물 뒤틀림 횟수 감소의 백분율로 평가했다. 검사 기술은 문헌[Koster R., Anderson M., de Beer B.//Fed.Proc. 1959. V.18. P.412]에 개시되어 있다. 검사 화합물은 산을 주사하기 60분 전에 10㎍/kg의 용량으로 복강내 투여했다(프로브 사용). 디클로페낙(10mg/kg)은 대조 약물로서 사용했다. 진통 효과는 다음과 같은 수학식에 따라 계산했다:
Figure 112007076652366-pct00019
여기서, Ck는 대조군의 뒤틀림 횟수이고,
Co는 검사군의 뒤틀림 횟수이다.
수득된 데이터는 표 4에 제시했다.
표 4
"아세트산 뒤틀림" 검사에서 10mg/kg 용량의 화학식 I 검사 화합물의 진통 활성(15분 동안 뒤틀림 횟수)
Figure 112007076652366-pct00020
Figure 112007076652366-pct00021
* P<0.05 vs. 대조군
** P<0.01 vs. 대조군
화학식 I에 해당하는 화합물은 대조 약물인 디클로페낙 및 볼타렌에 가까운 "뒤틀림" 진통 활성을 보였고(표 4 참조), 그 화합물 대부분의 진통 효과는 38 내지 68% 범위였다.
실시예 19
"아세트산 뒤틀림" 모델에서 트라말 및 아날긴의 진통 작용에 미치는 화학식 I 화합물의 효과
본 연구는 실시예 18에 제시된 방법에 따라 수행했다.
표 5
트라말(10mg/kg)의 진통 작용에 미치는 용량 10mg/kg의 화학식 I 화합물의 효과
Figure 112007076652366-pct00022
* - 대조군에 대한 통계적 유의값, p<0.05
^^ - Tramal에 대한 통계적 유의값, p<0.05
표 5의 데이터에 따르면, 트라말과 화학식 IX 화합물의 혼합물의 진통 효과는 화학식 IX 화합물 및 트라말 단독물의 각 효과보다 유의적으로 더 강력했다(6.4±2.0 vs. 각각 24.0±3.4 및 17.5±2.3).
표 6
"아세트산 뒤틀림" 검사에서 아날긴(50mg/kg)의 진통 작용에 미치는 10mg/kg 용량의 화학식 I 화합물의 효과
Figure 112007076652366-pct00023
* - 대조군에 대한 통계적 유의값, p<0.05
^^ - Tramal에 대한 통계적 유의값, p<0.05
화합물 IX 역시 아날긴의 진통 작용을 증가시킨다(표 6).
따라서, 10mg/kg 용량의 화합물 IX는 뇌실내 투여 시, 트라말의 진통 작용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키고, 아날긴의 진통 효과를 강화시킨다.
실시예 20
"핫 플레이트" 모델에서의 진통 활성 연구
화학식 I에 해당하는 화합물의 진통 작용은 논문[Woolfe G., McDonald A.D. // The evaluation of the analgetic action of pethidine hydrochloride (Demerol). // Pharmacol. Exp. Ther. 1944. V.80. P. 300-307]에 제시된 방법에 따라 "핫플레이트" 모델을 이용하여 조사했다. 검사는 22 내지 24g 중량의 백색 잡종 마우스 수컷에 대해 수행했다. 동물을 온도가 55℃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핫플레이트("Ugo Basile"사 제품)에 각각 놓았다. 다음과 같은 통증 반응의 1차 소견이 기록되었다: 발 핥기, 약물의 투여전 뛰는 횟수 및 약물 투여 후 0.5시간, 1시간, 2시간, 3시간 및 4시간동안 뛰는 횟수. 약물은 뇌실내로 투여했다(프로브 사용). 일정 약물을 0.1ml Tween 80에 넣고 용액이 수득될 때까지 충분히 혼합한 다음, 일 반 식염수를 0.5ml의 부피까지 첨가했다. 통각 역치(NT)의 평균 잠복 시간을 모든 그룹마다 계산했다. 수득된 결과는 배경값의 백분율로서 나타냈다. 진통 효과(%)는 다음과 같은 식에 따라 계산했다:
A-100% = X, 여기서 A는 배경 변수이고; X는 진통 효과(%)이다.
A는 (투여 후 0.5 내지 4시간 x 100%):배경 시간
대조 약물로서, 아날긴(150mg/kg), 파라세타몰(200mg/kg), 케토롤(10mg/kg)을 사용했다.
수득된 데이터는 표 7에 제시했다.
표 7
마우스 "핫플레이트" 검사에서 통각 역치 잠복 시간 값(NT 초)을 통한, 대조 약물 아날긴 및 파라세타몰과 용량 10mg/kg의 화학식 I 화합물의 진통 작용의 비교 평가
Figure 112007076652366-pct00024
Figure 112007076652366-pct00025
Figure 112007076652366-pct00026
Figure 112007076652366-pct00027
* - P<0.05; ** - 0.01 vs. 배경 변수
수득된 데이터는 "핫플레이트" 검사에서 화학식 I 화합물이 통각 역치값을 상당히 상승시키는 유의적인 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와 동시에, 진통 및 해열 작용이 있는 참조 약물인 파라세타몰의 용량보다 1 내지 2 등급 낮은 용량인 0.1 내지 10mg/kg, 유리하게는 1 내지 10mg/kg을 사용할 때 참고 약물과 비슷한 진통 효과가 수득되었다. 또한, 표 7에 제시된 데이터는 화학식 I 화합물의 진통 효과가 평균 50 내지 최대 150%로서, 대부분의 경우에 4시간보다 긴 장시간 동안 보존적인 장기적 효과로 간주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진통 효과의 정도 면에서 공지된 비마약성 진통제(아날긴, 파라세타몰)와 비슷하고, 진통 효과의 지속 면에서 대조 약물을 능가하는 것을 볼 때, 그 작용 용량은 비마약성 대조 진통제보다 낮은 용량일 수 있음을 입증한다.
실시예 21
래트 발의 카라기난 부종에 미치는 화학식 I 화합물의 효과 연구
검사는 250 내지 270g 체중의 이계교배된 백색 래트 수컷에 대해 수행했다. 카라기난 부종 모델은 논문[Winter et al. In: DeRosa M., Giroud J.P. Willoughby D.A. Studies of the mediators of acute inflammatory response induced in rats in different sites by carrageenan and turpentine.// J. Pharmacol. 1971. V.104.P.15-29]에 기술된 모델을 사용했다.
1% 카라기닌 용액(SERVA) 0.1ml를 래트의 오른쪽 발에 발바닥 속으로 주사했다. 동물을 각 방에 넣어두었다. 1% 연고를 카라기난 투여 후 즉시 및 카라기난 투여 후 1시간 및 2시간 후에 발에 적용했다. 발 부피는 카라기난 투여 후 4시간째 플레티스모미터(Ugo Besile)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연고의 치료 효과는 염증 반응의 억제 정도를 소정 동물의 본래 좌측 발 및 대조군(미처리) 래트의 발 반응과 비교하여 평가했다. 염증 반응의 억제율(%)은 다음과 같은 식에 따라 계산했다:
부피 증가 = (차이 x 100) / 좌측 발 부피
부종 억제율 = 100 - [부피 증가 (검사군) x 100] / 부피 증가 (대조군)
수득된 데이터는 표 8에 제시했다.
표 8
래트 발의 카라기난 부종 발생에 미치는 화학식 I 화합물(1% 연고)의 효과(M±m)
래트 수 n=8 발 부피 증가(%) 부종 억제율(%)
대조군 70.2 -
화합물 IX(1% 연고) 32.9 53.1
인도메타신(10% 연고) 45.0 50.0
표 8에 제시된 결과는 NSAID 그룹의 대조 약물인 인도메타신의 활성과 비슷한 화학식 I 화합물의 현저한 소염 활성과, 그 화합물의 유효 용량이 대조 약물의 용량보다 1 등급 낮은 것임을 증명하고 있다.
실시예 22
화학식 I 화합물의 궤양유발 효과 연구
검사는 300 내지 320g 중량의 이계교배된 래트 암컷에 대해 수행했다. 검사 화합물은 검사 전 24시간 동안 금식시킨 래트에게 30mg/kg의 용량으로 위내로 한번에 투여했다. 대조군의 동물에게는 동일한 부피의 증류수를 투여했다. 24시간째, 동물을 살처분하고 위를 분리했다. 텅빈 위에 2% 포르말린 용액을 채우고, 포르말린이 담긴 비이커에 넣어 두었다. 30분 후, 위를 큰 만곡을 따라 개열하고, 슬라이드 위에 펼친 뒤, 고정시키고 증류수로 세척했다. 확대경 MBS-8(8배 배율)을 이용하여, 위점막 결손의 길이와 폭을 측정하고, 면적(㎟)을 계산했다(확대경 자의 1 눈금 = 0.1mm). 약물의 궤양유발 효과는 논문[Rukovodstvo po experimentalnomu (doklinicheskomu) izucheniju novykh pharmacologicheskikh veshchestv {the Guide on Experimental (pre-clinical) Study of Novel Pharmacological Substances}. / Moscow. 'Remedium' publishers. 2000, 398pages]에 제시된 방법에 따라 위점막의 궤양성 환부 면적으로 평가했다.
수득된 데이터는 표 9에 제시했다.
표 9
래트의 위 점막에 미치는 30mg/kg 용량의 화학식 I 화합물 및 인도메타신 효과의 비교 연구(M±m)
래트 수, n=5 궤양성 환부 면적, ㎟
대조군 0
화합물 IX 0
인도메타신 7.3±1.75
수득된 데이터는 화학식 I 화합물 30mg/kg 용량의 위내 투여 시에 위점막에 궤양성 환부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23
화학식 I 화합물의 진경 작용 연구
300 내지 350g 중량의 비스타 래트 암컷을 가지고 세로토닌에 의해 유도된 자궁각의 연성 근구축 모델[Blattner H.G., Dehnert H. et al. Experiments on isolated smooth muscle preparation. Ed. J.M. Barnden and R. Colson, 1980]을 제조했다. 준비한 평활근 표본(SMP)을 자발적 평활근 표본의 수축 활성을 억제하기 위해 칼슘 함량을 줄인 티로드(Tirode) 용액을 함유한 온도조절 챔버(37℃)에 넣어두었다. 자궁각의 수축은 메카노트론 6M x 2B와 여기에 연결된 폴리그래프 KPS-4를 이용하여 기록하고, 대상물의 초기 부하는 0.5 내지 0.7g이었다.
SMP의 구축은 항온처리액에 10-5M 농도의 세로토닌(Sigma) 0.1ml를 첨가하여 유도했다. 매개물질의 투여 후 30 내지 60초 후에, 자궁각의 최고 수축 거리를 기록했다. 화합물 IX는 최고 수축 거리일 때 또는 15분 동안 항온처리 조건 하에(동일한 농도 범위 안에서) 챔버에 첨가했다.
검사되는 화합물 IX의 효과는 수축 횟수 및 구축 거리의 저하율로 평가했다.
결과는 표 10에 제시했다.
표 10
래트 자궁각 SMP의 세로토닌 유도 구축에 미치는 화학식 I 화합물의 효과
5분 동안 래트 자궁각 SMP의 수축률 래트 자궁각 SMP 수축 억제율, %
대조군(세로토닌 유도 구축) 9 0
최고 세로토닌 유도 구축에서의 화합물 IX 5 44.4
화합물 IX의 예비항온처리 4
(이후 차단됨)
55.6
자궁각 SMP의 최고 세로토닌 유도 구축 시에 화합물 IX를 첨가하면, 래트 자궁각 평활근 표본의 수축 저하율(5분 동안)은 대조군의 9회 수축에서부터 검사군의 5회 수축으로 감소되었다(표 10 참조).
화합물 IX의 예비항온 조건 하에서는 세로토닌에 대한 수축 반응의 저하율이 관찰되었고(5분 동안 4회 수축), 이후 SMP 구축이 완전 차단되었다(표 10).
따라서, 시험관내 조건 하에서의 화합물 IX는 진경 작용을 보이지만(최고 세로토닌 유도 SMP 수축 시에), 예방적 투여 시에는 SMP 구축 발생을 억제한다.
실시예 24
화학식 I 화합물의 저산소 억제 작용 연구
급성 산소 부족을 모방하기 위해, 밀봉된 부피 중에서 과탄산혈증을 갖는 저산소증 모델을 이용했다(LukyanovaL.D., Gatsura V.V., Pastushenkov L.V. Metodicheskiye recomendatsii po experimentalnomu izucheniju preparatov, predlagajemykh dlya klinicheskogo isuchenija v kachestve antihypoxicheskikh sredsyv (Methodological recommendations on experimental study of preparations proposed for clinical examination as anti-hypoxic agents). Moscow. 1960. P.1-19). 27 내지 29g 중량의 래트 수컷을 밀봉된 260ml 유리 병에 각각 넣었다. 동물이 산소를 소비함에 따라 용기의 산소 농도는 줄어들고, 동물은 사망에 이른다. 마우스의 수명(분)을 기록했다.
수득된 데이터는 표 11에 제시했다.
표 11
과탄산혈증이 있는 저산소성 저산소증 모델에서 화학식 I 화합물이 마우스의 수명에 미치는 효과
마우스 수
n=10
저산소증 기간, 분
대조군 화합물 IX, 10mg/kg 화합물 IX, 50mg/kg
M±m 25.6±0.6 25.3±0.8 32.6±2.6*
대조군으로부터의 변화율% 0 +27
* - P<0.05 ; 대조군에 대한 통계학상 유의적 차이
50mg/kg 용량의 화합물 IX는 저산소성 저산소증 조건 하에서 마우스의 수명을 27.3% 정도로 유의적으로 연장시킨다.
실험 결과는 화합물 IX가 저산소 억제 작용이 있음을 암시한다.
실시예 25
"행동 절망" 검사에서의 화학식 I 화합물의 항우울 작용 연구(부동 기간에 대한 효과)
포솔트[R.D. Porsolt, A. Bertin and M. Jalfre. // in mice: A primary Screening Test for Antidepressants. Arch. Int. Pharmacodyn., 1977, 229, p. 327-336]에 따른 "행동 절망" 검사는 항우울제 작용이 있는 약물에 대한 효과예측 검사다.
마우스(27 내지 30g 중량)의 스트레스 상태는 강제 수영으로 유도했다. 21 내지 23℃의 물이 1/3까지 채워진 실린더(높이 25cm, 직경 10cm)에 동물을 넣었다. 동물은 스스로 실린더로부터 탈출할 수 없다. 짧은 활동 시간 후, 동물은 배회를 특징으로 하는 소위 "행동 절망"이 발병되고, 그 부동 기간은 고정될 수 있다. 이실험은 2일 동안 수행한다. 1일째에는, 동물을 실린더에 15분 동안 넣는다(예비검사). 물을 제거한 다음, 동물을 말리고, 검사 제제를 투여한다. 24시간째, 제제를 다시 투여하고 1시간 후 동물을 실린더에 6분 동안 넣는다. 처음 2분 동안 동물은 활발하게 수영하고, 다음 4분 동안에는 행동 절망이 발병하여, 4분 동안 고정된 부동(배회) 기간이 나타났고, 초 단위까지 측정했다. 화합물 IX와 대조 항우울제 약물인 플루옥세틴은 50mg/kg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했다.
수득된 데이터는 표 12에 제시했다.
표 12
"행동 절망" 검사에서 부동 시간에 미치는 화합물 IX 및 플루옥세틴의 효과
저산소증 기간, 분
대조군 화합물 IX, 50mg/kg 플루옥세틴, 50mg/kg
M±m 195.0±10.3 154.0±11.7* 131.0±16.5**
대조군으로부터의 변화율% -21 -33
* - P<0.05, ** - P<0.01 - 대조군에 대한 통계학상 유의적 차이
"행동 절망" 검사에서, 화합물 IX는 물론 항우울제 플루옥세틴은 마우스의 부동 시간을 통계학상 유의적으로 단축시켰다.
즉, 화합물 IX의 작용 스펙트럼에 따르면, 항우울제 그룹에 속하는 제제에 특징적인 약리학적 효과가 관찰되었다(포솔트에 따른 "행동 절망" 검사에서 부동 시간의 단축).
단위 투약 형태의 실시예
실시예 26
A. 정제형
정제형은 이하에 제시된 성분을 이용하여 제조한다: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5 내지 100mg
감자 전분 20 내지 50mg
스테아르산마그네슘 3mg
아에로실 1mg
락토스 300mg 이하
성분들을 혼합 및 압축하여 각각 300mg 중량의 정제를 만들었다.
B. 좌약
좌약 조성물의 예;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5 내지 100mg
코코아 버터 좌약 제조에 필요한 양
직장 좌약, 질 좌약 및 요도 좌약은 필요하다면 각 부형제로 제조 가능하다.
C. 연고
연고 조성물의 예: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0.05 내지 0.5g
페트롤라텀 10g
연고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제조한다.
D. 젤
젤 조성물의 예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100mg
카르보폴 200mg
벤질 알콜 20mg
에틸 알콜 300mg
물 10g 이하
즉,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신규 화합물, 신규 및 공지 화합물을 합성하기 위한 간단한 제조 방법, 소염 작용과 유리한 진통 작용을 보유하고 유해한 궤양유발 효가가 전혀 없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사이클로옥시게나제 억제제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약리학적 연구 결과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 다음과 같은 극한 요인, 즉 정서적 스트레스, 통증 증후군, 저산소증, 염증, 경련에 노출될 때 치료적 효과를 발휘 할 뿐만 아니라 파킨슨병이 원인인 장애 처치, 및 다른 진통제의 효능 증가에도 특별한 능력을 갖고 있음을 암시한다.

Claims (21)

  1. 진통 및 소염 효능을 보유하는,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생체 아민의 페닐-N-아실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성 염:
    화학식 I
    Figure 712013004965985-pct00041
    이 식에서, R1, R2, R3, 및 R4은 하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됨:
    1) R1
    Figure 712013004965985-pct00042
    이고, R2는 수소, R3은 -COOH, R4는 하이드록시 기;
    2) R1
    Figure 712013004965985-pct00043
    이고, R2는 수소, R3은 -COOH, R4는 수소;
    5) R1
    Figure 712013004965985-pct00046
    이고, R2는 수소, R3
    Figure 712013004965985-pct00047
    , R4는 하이드록시 기;
    6) R1
    Figure 712013004965985-pct00048
    이고, R2는 수소, R3
    Figure 712013004965985-pct00049
    , R4는 하이드록시 기;
    7) R1
    Figure 712013004965985-pct00050
    이고, R2는 수소, R3
    Figure 712013004965985-pct00051
    , R4는 수소;
    8) R1
    Figure 712013004965985-pct00052
    이고, R2
    Figure 712013004965985-pct00053
    , R3은 수소, R4는 수소; 및
    9) R1
    Figure 712013004965985-pct00054
    이고, R2
    Figure 712013004965985-pct00055
    , R3은 수소, R4는 하이드록시 기.
  2. 제1항에 있어서,
    p-하이드록시페닐아세틸티로신,
    p-하이드록시페닐아세틸페닐알라닌,
    3-페닐프로피오닐티로신 벤질 에스테르,
    p-하이드록시페닐아세틸티로신 벤질 에스테르,
    p-하이드록시페닐아세틸페닐알라닌 벤질 에스테르,
    N-아세틸티로실페닐에틸아민, 및
    N-아세틸티로실티라민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생체 아민의 페닐-N-아실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성 염.
  3. 삭제
  4. 유기 용매 중의 디페닐포스포릴아지드 및 트리에틸아민과 냉각 하에 반응시킨 다음, 화학식
    Figure 112013026474607-pct00058
    의 아미노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Figure 112013026474607-pct00059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카르복시 기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
    화학식 I
    Figure 112013026474607-pct00060
    상기 식들에서, R1 내지 R4는 제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5. 제4항에 있어서, 디페닐포스포릴아지드 및 트리에틸아민이 1 내지 1.2 당량으로 사용되는 제조방법.
  6. 제4항 있어서, 아미노 유도체로서 티로신 또는 페닐알라닌 에스테르가 사용되는 제조방법.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기 용매로서 N,N-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에틸아세테이트가 사용되는 제조방법.
  8.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5℃ 내지 0℃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제조방법.
  9. N,N'-디사이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방법을 이용하여 화학식
    Figure 112013026474607-pct00038
    로 표시되는 p-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산, 페닐아세트산 또는 N-치환된 티로신을 화학식
    Figure 112013026474607-pct00039
    로 표시되는 활성화된 N-옥시숙신이미드 에스테르로 변환시키는 단계, 그 다음 활성화된 N-옥시숙신이미드 에스테르를 화학식
    Figure 112013026474607-pct00040
    로 표시되는 아미노 유도체와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에 기재된 생체 아민의 페닐-N-아실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성 염의 제조방법:
    상기 식들에서, R1 내지 R4는 제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10. 제9항에 있어서, 아미노 유도체로서 티로신 또는 페닐알라닌 에스테르가 사용되는 제조방법.
  11. 활성제로서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성 염의 유효량을 함유하는, 진통 및 소염 효능을 가지는 약학 조성물:
    화학식 I
    Figure 712013004965985-pct00061
    상기 식에서, R1 내지 R4는 제1항에 기재된 화학식 I 화합물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12. 제11항에 있어서, 약학적 허용성 담체를 추가로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13.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성 염을 함유하는, 진통 및 소염 효능을 보유하는 약물:
    화학식 I
    Figure 712013004965985-pct00062
    상기 식에서, R1 내지 R4는 제1항에 기재된 화학식 I 화합물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077024641A 2005-03-25 2006-03-24 페닐 함유 아실 아민 및 아미노산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및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3835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RU2005108492/04A RU2309144C2 (ru) 2005-03-25 2005-03-25 Фенилсодержащие n-ацильные производные аминов, способ их получения,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в качестве противовоспалительных и анальгетических средств
RU2005108492 2005-03-25
PCT/RU2006/000139 WO2006101422A1 (fr) 2005-03-25 2006-03-24 Derives n-acyles d'amines et d'acides amines amines contenant des phenyles, procede de fabrication, composition pharmaceutique et son utilis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8345A KR20080008345A (ko) 2008-01-23
KR101383580B1 true KR101383580B1 (ko) 2014-04-09

Family

ID=37024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4641A KR101383580B1 (ko) 2005-03-25 2006-03-24 페닐 함유 아실 아민 및 아미노산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및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2) US8309766B2 (ko)
EP (1) EP1876169B1 (ko)
JP (1) JP5384096B2 (ko)
KR (1) KR101383580B1 (ko)
CN (1) CN101180267B (ko)
CA (1) CA2602545C (ko)
CY (1) CY1117449T1 (ko)
DK (1) DK1876169T3 (ko)
EA (1) EA013644B1 (ko)
ES (1) ES2564238T3 (ko)
HK (1) HK1118798A1 (ko)
HU (1) HUE027009T2 (ko)
MX (1) MX2007011852A (ko)
PL (1) PL1876169T3 (ko)
PT (1) PT1876169E (ko)
RU (1) RU2309144C2 (ko)
SI (1) SI1876169T1 (ko)
UA (1) UA88688C2 (ko)
WO (1) WO20061014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T1546088E (pt) 2002-10-03 2015-03-16 Novaremed Ltd Compostos para utilização no tratamento de doenças auto-imunes, de doenças imuno-alérgicas e de rejeição de órgãos ou tecidos transplantados
US7674829B2 (en) 2004-03-26 2010-03-09 Novaremed Limited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AIDS and other viral diseases
GB0804213D0 (en) * 2008-03-06 2008-04-16 New Era Biotech Ltd A method of printing or preventing pain
JP5474047B2 (ja) * 2008-04-29 2014-04-16 エフ.ホフマン−ラ ロシュ アーゲー 4−ジメチルアミノ酪酸誘導体
US8802734B2 (en) 2009-09-09 2014-08-12 Novaremed Limited Method of treating or preventing pain
CN102821761B (zh) * 2009-09-09 2015-06-10 诺瓦麦有限公司 用于治疗疼痛和炎症的n-取代的苯丙酰胺或苯丙烯酰胺
PL2617707T3 (pl) * 2010-08-27 2017-04-28 Neopharm Co., Ltd. Nowy związek przyspieszający wydzielanie peptydu przeciwdrobnoustrojowego pochodzenia ludzkiego, sposób jego wytwarzania i kompozycja zawierająca go jako składnik aktywny
GB201116335D0 (en) * 2011-09-21 2011-11-02 Novaremed Ltd A method of treating or preventing affective disorders
ES2578377B1 (es) * 2014-12-22 2017-05-04 Consejo Superior De Investigaciones Científicas (Csic) Compuestos moduladores del sensor neuronal de calcio dream y sus usos terapéuticos.
RU2690188C2 (ru) * 2017-05-26 2019-05-31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Фарминтерпрайсез" Новый мультитаргетный препарат для лечения заболеваний у млекопитающих
US20200399219A1 (en) * 2017-08-21 2020-12-24 Plex Pharmaceuticals, Inc. Dual acting fkbp12 and fkbp52 inhibitors
RU2678563C1 (ru) * 2017-10-27 2019-01-30 Михаил Владимирович Овчинников Водорастворимые производные тирозина, обладающие анальгетическим, противовоспалительным и противоотечным действием
RU2697414C1 (ru) * 2018-05-11 2019-08-14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Й БИ ДИ Терапевтикс" Новый антагонист тахикининовых рецепторов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RU2727703C2 (ru) * 2018-10-29 2020-07-23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Фарминтерпрайсез" Новый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S)-2-(2-(4-гидроксифенил)ацетамидо)-3-фенилпропановой кислоты
RU2716258C1 (ru) * 2019-07-30 2020-03-11 Автономная некоммерческая образовательная организация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колковский институт науки и технологий Пептидный антагонист нмда-рецептор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23202A1 (en) * 1995-12-22 1997-07-03 STATE OF OREGON, acting by and through THE OREGON STATE BOARD OF HIGHER EDUCATION, acting for and on behalf of THE OREGON HEALTH SCIENCES UNIVERSITYA ND THE UNIVERSITY OF OREGON, EUGENE OREGON Subtype-selective nmda receptor ligands and the use thereof
JP2004509974A (ja) * 2000-09-27 2004-04-02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メラノコルチンの受容体リガンド
WO2004031129A2 (en) * 2002-10-03 2004-04-15 New Era Biotech, Ltd. Compound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autoimmune diseases, immuno-allergical diseases and organ or tissue transplantation rejectio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00252B1 (en) * 1977-06-29 1982-02-03 Beecham Group Plc Peptide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peptides and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the peptides
JPS57145891A (en) * 1981-03-05 1982-09-09 Sagami Chem Res Center Optically active diphosphine ligand
JPS57193437A (en) * 1981-05-21 1982-11-27 Ajinomoto Co Inc Amino acid derivative
ES8607214A1 (es) * 1985-10-16 1986-06-01 Gema Sa Procedimiento enzimatico de resolucion de n-fenilacetil-ami-nocompuestos y purificacion de sus isomeros opticamente ac- tivos
USRE37160E1 (en) * 1990-06-12 2001-05-01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Synthesis of tyrosine derived diphenol monomers
US5403851A (en) * 1994-04-05 1995-04-04 Interneuron Pharmaceuticals, Inc. Substituted tryptamines, phenalkylamines and related compounds
US6319492B1 (en) * 1996-11-27 2001-11-20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Copolymers of tyrosine-based polyarylates and poly(alkylene oxides)
US5912225A (en) * 1997-04-14 1999-06-15 Johns Hopkins Univ. School Of Medicine Biodegradable poly (phosphoester-co-desaminotyrosyl L-tyrosine ester) compounds, compositions, article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JPH11127894A (ja) * 1997-10-30 1999-05-18 Ono Pharmaceut Co Ltd カルボキシペプチダーゼa活性測定方法および測定用キット
CN1196686C (zh) * 2000-03-09 2005-04-13 株式会社德山 保存季铵盐的方法
RU2233289C2 (ru) * 2002-11-04 2004-07-27 Институт органического синтеза Уральского отделения РАН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дипептидов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23202A1 (en) * 1995-12-22 1997-07-03 STATE OF OREGON, acting by and through THE OREGON STATE BOARD OF HIGHER EDUCATION, acting for and on behalf of THE OREGON HEALTH SCIENCES UNIVERSITYA ND THE UNIVERSITY OF OREGON, EUGENE OREGON Subtype-selective nmda receptor ligands and the use thereof
JP2004509974A (ja) * 2000-09-27 2004-04-02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メラノコルチンの受容体リガンド
WO2004031129A2 (en) * 2002-10-03 2004-04-15 New Era Biotech, Ltd. Compound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autoimmune diseases, immuno-allergical diseases and organ or tissue transplantation rejection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ogr. Med. Chem. Lett. (Vol. 11, 2001) *
Bioogr. Med. Chem. Lett. (Vol. 11, 200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A88688C2 (ru) 2009-11-10
DK1876169T3 (en) 2016-03-07
RU2005108492A (ru) 2006-10-10
SI1876169T1 (sl) 2016-05-31
US8546612B2 (en) 2013-10-01
HK1118798A1 (en) 2009-02-20
US8309766B2 (en) 2012-11-13
CY1117449T1 (el) 2017-04-26
MX2007011852A (es) 2008-02-21
KR20080008345A (ko) 2008-01-23
WO2006101422A1 (fr) 2006-09-28
EP1876169B1 (en) 2015-12-30
EA200702072A1 (ru) 2008-02-28
HUE027009T2 (en) 2016-10-28
PL1876169T3 (pl) 2016-06-30
CN101180267A (zh) 2008-05-14
US20130109880A1 (en) 2013-05-02
EP1876169A4 (en) 2009-11-04
US20090111874A1 (en) 2009-04-30
ES2564238T3 (es) 2016-03-21
EP1876169A1 (en) 2008-01-09
CA2602545A1 (en) 2006-09-28
PT1876169E (pt) 2016-03-21
RU2309144C2 (ru) 2007-10-27
EA013644B1 (ru) 2010-06-30
JP2008534495A (ja) 2008-08-28
CN101180267B (zh) 2015-06-17
JP5384096B2 (ja) 2014-01-08
CA2602545C (en) 2014-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3580B1 (ko) 페닐 함유 아실 아민 및 아미노산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및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N110511213A (zh) 一种免疫调节剂
US20140039060A1 (en) Treatment of cell proliferative disorders
KR20190072665A (ko) 오피오이드 수용체 리간드와 그 용도 및 제조방법
JP2013523599A (ja) 新規なオピオイドのジカルボン酸結合アミノ酸及びペプチドプロドラッグ並びにその用途
EP2297088A2 (fr) Nouveaux composés ayant une activite protectrice vis-a-vis de l&#39;action de toxines et de virus au mode d&#39;action intracellulaire
CN1361763A (zh) 作为IL-1β和TNF-α的抑制剂的氨基二苯酮
EP1899298B1 (fr) Derives de 4,5-diarylpyrrole, leur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en therapeutique
Radix et al. N, N′-disubstituted cinnamamide derivatives potentiate ciprofloxacin activity against overexpressing NorA efflux pump Staphylococcus aureus 1199B strains
US5449692A (en) Substituted (arylalkylaminobenzyl) aminopropionamide derivatives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Varnavas et al. Anthranilic acid derivatives: a new class of non-peptide CCK1 receptor antagonists
US20030199453A1 (en) Small molecule inhibitors of secretion of proteins encoded by ARE-mRNAs
JP2000516634A (ja) カッパアゴニストとしてのピロリジニルおよびピロリニルエチルアミン化合物
EP2880029B1 (en) Inhibitors of peptidyl arginine deiminase (pad) enzymes and uses thereof
KR100517056B1 (ko) 하이드록실 페닐 유도체,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약학적 조성물
EP2623098B1 (en) Amide Amino Acid Esters of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 as Potent Inhibitors of Tumor Cell Growth
KR102558444B1 (ko) 디아미노페나진 기반의 신규 화합물 및 그의 용도
TW541295B (en) A novel substituted alkylteraamine derivative for use as tachykinin antagonist
JPH06501701A (ja) 神経保護特性を有するピペリジン誘導体
JPS62120370A (ja) 新規なアミノ酸誘導体
WO2005005390A1 (ja) 新規酵素阻害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