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1748B1 -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1748B1
KR101371748B1 KR1020120120182A KR20120120182A KR101371748B1 KR 101371748 B1 KR101371748 B1 KR 101371748B1 KR 1020120120182 A KR1020120120182 A KR 1020120120182A KR 20120120182 A KR20120120182 A KR 20120120182A KR 101371748 B1 KR101371748 B1 KR 101371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rpm
engine
clutch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0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상필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
현대자동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 현대자동차(주)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
Priority to KR1020120120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1748B1/ko
Priority to US13/713,981 priority patent/US9014892B2/en
Priority to DE102012223672.4A priority patent/DE102012223672A1/de
Priority to CN201210566352.4A priority patent/CN103786718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10Controlling the power contribution of each of the prime movers to meet required power dem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2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driveline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electric propulsion units, e.g. motors or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40Controlling the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prime movers, e.g. for transition between prime m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8Electric propulsion units
    • B60W2510/081Speed
    • B60W2510/082Speed change 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EV주행 중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많이 밟아 모터최대토크보다 더 큰 토크가 필요하고, 모터RPM의 증가속도가 엔진RPM을 증가시킬 수 있는 속도보다 빠른 상황에서도, 가급적 배터리 SOC의 소모 및 연비 악화를 방지하면서 신속히 엔진클러치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차량의 가속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FOR HYBRID VEHICLE}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가 변속기 쪽에 장착된 병렬형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을 탑재한 차량의 제어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병렬형 하이브리드 차량으로서 TMED(Transmission Mounted Electric Device)타입은 엔진과 엔진클러치, 모터 및 변속기가 차례로 연결되어, 상기 엔진클러치의 제어에 의해 모터만에 의한 EV모드 주행 및 엔진과 모터에 의한 HEV 주행이 모두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을 탑재한 차량은 운전자의 가속페달 조작량이 작을 때는 엔진클러치 해제하여 모터로만 차량을 구동하고 운전자의 가속페달 조작량이 높을 때는 엔진클러치를 접합하여 엔진+모터의 구동력으로 차량을 구동한다.
만일 운전자가 초기 출발시 가속페달을 조금 밟아 모터로 일정속도까지 주행하다 가속을 위해 가속페달을 많이 밟을 경우, 엔진클러치 접합으로 인한 차량 충격을 해소하기 위해 엔진RPM을 모터RPM과 동기시킨 후 엔진클러치 접합을 하여 엔진의 토크를 엔진클러치를 통하여 전달한다.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많이 밟으면 엔진RPM과 모터RPM을 동기시키는 동안에도 차량은 가속되어야 하므로 모터를 최대토크로 구동한다. 그러나 엔진-모터 동기시간이 오래 걸리면 동기 전까지 엔진클러치가 접합되지 않아 엔진의 동력은 구동에 전달되지 않고 모터만 구동하여 배터리 SOC(STATE OF CHARGE)만 많이 소진하고 결과적으로 연비가 나빠지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방법으로서, EV주행 중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많이 밟아 모터최대토크보다 더 큰 토크가 필요할 때, 모터RPM이 엔진RPM보다 크면, 엔진을 스피드제어하여 모터RPM과 동기시켜 엔진클러치 접합을 수행하는 싱크클러치접합(S510)을 수행하고, 모터RPM이 엔진 RPM보다 크지 않으면, 엔진클러치를 슬립시키면서 동기시킨 후 엔진클러치를 완전히 결합하게 되는 슬립클러치접합(S520)을 수행한다.
그런데, 상기 싱크클러치접합(S510)의 수행시에, 모터RPM이 빠르게 증가하여 엔진RPM이 빨리 추종하지 못할 경우 모터로만 최대출력으로 차량을 구동하여 SOC를 과다하게 소비하고 엔진은 불필요한 스피드제어로 연료를 소비하여 연비가 나빠지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은 화석연료를 쓰는 엔진은 스피드제어를 최대로 하더라도 모터의 스피드증가를 추종하지 못하는 RPM 변화량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상기의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EV주행 중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많이 밟아 모터최대토크보다 더 큰 토크가 필요하고, 모터RPM의 증가속도가 엔진RPM을 증가시킬 수 있는 속도보다 빠른 상황에서도, 가급적 배터리 SOC의 소모 및 연비 악화를 방지하면서 신속히 엔진클러치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차량의 가속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방법은
모터RPM과 엔진RPM의 동기화 후 클러치를 접합하는 싱크클러치접합이 필요한 상황인지를 판단하는 접합형식판단단계와;
상기 접합형식판단단계 수행결과, 싱크클러치접합이 필요한 경우, 모터RPM 증가율을 소정의 기준율과 비교하는 모터증가율판단단계와;
상기 모터증가율판단단계 수행결과, 모터RPM 증가율이 상기 기준율보다 큰 경우에는 싱크클러치접합을 보류하는 싱크보류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EV주행 중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많이 밟아 모터최대토크보다 더 큰 토크가 필요하고, 모터RPM의 증가속도가 엔진RPM을 증가시킬 수 있는 속도보다 빠른 상황에서도, 가급적 배터리 SOC의 소모 및 연비 악화를 방지하면서 신속히 엔진클러치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차량의 가속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방법을 설명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방법의 실시예는 모터RPM과 엔진RPM의 동기화 후 클러치를 접합하는 싱크클러치접합이 필요한 상황인지를 판단하는 접합형식판단단계(S20)와; 상기 접합형식판단단계(S20) 수행결과, 싱크클러치접합이 필요한 경우, 모터RPM 증가율을 소정의 기준율과 비교하는 모터증가율판단단계(S30)와; 상기 모터증가율판단단계(S30) 수행결과, 모터RPM 증가율이 상기 기준율보다 큰 경우에는 싱크클러치접합을 보류하는 싱크보류단계(S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접합형식판단단계(S20)에 의해 모터RPM과 엔진RPM의 동기화 후 클러치를 접합하는 싱크클러치접합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모터증가율판단단계(S30)를 통해 현재 모터RPM 증가율이 엔진의 스피드제어를 통해 짧은 시간 내에 엔진RPM을 모터RPM에 동기화시킬 수 있는 수준인지를 판단하여, 조속한 동기화가 어렵다고 판단되는 상황에서는 상기 싱크보류단계(S40)를 통해 싱크클러치접합을 보류하고 기존의 EV주행을 지속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와 같이 EV주행이 지속되게 되면, 차량은 모터로만 계속 주행하게 되고 모터RPM만 증가하여 EV변속을 하게 되며, 이에 의해 상위 변속단의 기어가 치합되면 변속비가 작아져서 차량 부하가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효과가 발생되고, 이는 모터RPM의 감소를 가져오게 되는 바, 다음 사이클의 상기 모터증가율판단단계(S30) 수행시에는 상기 싱크보류단계(S40)를 수행하지 않게 되고, 싱크클러치접합(S60)을 수행하여 HEV주행으로 전환을 완료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비하여 볼 때, 엔진 스피드 제어로 엔진RPM을 모터RPM에 동기화시키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계속해서 엔진 스피드 제어를 시도함에 따른 무효한 연료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어서 연비 향상을 꾀할 수 있고, 상기와 같이 EV변속에 의한 변속비 감소와 그에 따른 모터RPM 증가량 감소는 상대적으로 신속한 싱크클러치접합(S60)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가속감 및 응답성이 빨라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증가율판단단계(S30)에서 모터RPM 증가율을 비교하는 소정의 기준율은 엔진의 스피드제어로 증가시킬 수 있는 엔진RPM의 최대 변화율로 하거나, 이에 따라 정해지도록 하여, 엔진의 스피드제어로 도달할 수 없는 수준의 모터RPM 증가율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상기 싱크보류단계(S40)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접합형식판단단계(S20)에서는 모터RPM과 엔진RPM을 비교하여, 모터RPM이 엔진RPM보다 큰 경우에 상기 싱크클러치접합(S60)이 필요한 상황으로 판단한다.
상기 접합형식판단단계(S20) 수행결과, 모터RPM이 엔진RPM 이하인 경우에는 엔진클러치를 슬립제어하여 접합시키는 슬립클러치접합(S50)을 수행하고, 상기 모터증가율판단단계(S30) 수행결과, 모터RPM 증가율이 상기 기준율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모터RPM과 엔진RPM의 동기화 후 엔진클러치를 접합하는 싱크클러치접합(S60)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접합형식판단단계(S20) 이전에는, EV주행 중 운전자의 가속페달 조작량에 상당하는 요구토크가 모터의 최대토크를 초과하는 경우에 HEV주행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판단하는 모드전환판단단계(S10)를 더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모드전환판단단계(S10)에서 HEV 주행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접합형식판단단계(S20)를 수행하여 상기 슬립클러치접합(S50)을 수행하거나, 상기 모터증가율판단단계(S30)를 통해 상기 싱크클러치접합(S60)을 수행하고, 상기 모터증가율판단단계(S30)에서 엔진의 스피드제어로는 엔진RPM을 모터RPM에 동기시키기 어렵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싱크보류단계(S40)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상기 싱크클러치접합(S60)이 조속한 시간 내에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S10; 모드전환판단단계
S20; 접합형식판단단계
S30; 모터증가율판단단계
S40; 싱크보류단계
S50; 슬립클러치접합
S60; 싱크클러치접합

Claims (5)

  1. 모터RPM과 엔진RPM의 동기화 후 클러치를 접합하는 싱크클러치접합(S60)이 필요한 상황인지를 판단하는 접합형식판단단계(S20);
    상기 접합형식판단단계(S20) 수행결과, 싱크클러치접합(S60)이 필요한 경우, 모터RPM 증가율을 소정의 기준율과 비교하는 모터증가율판단단계(S30); 및
    상기 모터증가율판단단계(S30) 수행결과, 모터RPM 증가율이 상기 기준율보다 큰 경우에는 싱크클러치접합(S60)을 보류하는 싱크보류단계(S40)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증가율판단단계(S30)에서 모터RPM 증가율을 비교하는 소정의 기준율은 엔진의 스피드제어로 증가시킬 수 있는 엔진RPM의 최대 변화율에 따라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합형식판단단계(S20)에서는 모터RPM과 엔진RPM을 비교하여, 모터RPM이 엔진RPM보다 큰 경우에 상기 싱크클러치접합(S60)이 필요한 상황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접합형식판단단계(S20) 이전에는, EV주행 중 운전자의 가속페달 조작량에 상당하는 요구토크가 모터의 최대토크를 초과하는 경우에 HEV주행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판단하는 모드전환판단단계(S10)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접합형식판단단계(S20) 수행결과, 모터RPM이 엔진RPM 이하인 경우에는 엔진클러치를 슬립제어하여 접합시키는 슬립클러치접합(S50)을 수행하고;
    상기 모터증가율판단단계(S30) 수행결과, 모터RPM 증가율이 상기 기준율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모터RPM과 엔진RPM의 동기화 후 엔진클러치를 접합하는 싱크클러치접합(S60)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방법.
KR1020120120182A 2012-10-29 2012-10-29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방법 KR101371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182A KR101371748B1 (ko) 2012-10-29 2012-10-29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방법
US13/713,981 US9014892B2 (en) 2012-10-29 2012-12-13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hybrid vehicle
DE102012223672.4A DE102012223672A1 (de) 2012-10-29 2012-12-19 Steuersystem und steuerverfahren für ein hybridfahrzeug
CN201210566352.4A CN103786718B (zh) 2012-10-29 2012-12-24 用于混合动力车的控制***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182A KR101371748B1 (ko) 2012-10-29 2012-10-29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1748B1 true KR101371748B1 (ko) 2014-03-07

Family

ID=50479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0182A KR101371748B1 (ko) 2012-10-29 2012-10-29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014892B2 (ko)
KR (1) KR101371748B1 (ko)
CN (1) CN103786718B (ko)
DE (1) DE102012223672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8769B1 (ko) * 2014-05-12 2015-10-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주행 모드 변환방법
CN105043756A (zh) * 2014-04-24 2015-11-1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确定混合动力车辆的干式离合器劣化的方法
KR101619259B1 (ko) * 2014-08-25 2016-05-1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45010A (ko) * 2015-10-16 2017-04-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클러치 슬립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755975B1 (ko) 2016-01-04 2017-07-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엔진 클러치 결합 제어방법
US10343676B2 (en) 2014-10-29 2019-07-09 Hyundai Motor Company Synchronization control method for engine clutch lock-up in hybrid electric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8808B1 (ko) * 2014-09-18 2015-10-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용 주행 제어방법 및 장치
KR101619707B1 (ko) * 2015-06-17 2016-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전달장치
KR102570749B1 (ko) * 2019-04-11 2023-08-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5285A (ja) 1999-03-09 2000-09-19 Mitsubishi Motors Corp ハイブリッド車両
JP2007126082A (ja) 2005-11-07 2007-05-24 Nissan Motor Co Ltd ハイブリッド車両のエンジン始動制御装置
KR100957331B1 (ko) 2008-06-11 2010-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드 변환 제어 방법
JP2011073483A (ja) * 2009-09-29 2011-04-14 Aisin Seiki Co Ltd 動力伝達装置および動力伝達装置の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1407A (ja) * 2000-08-03 2002-02-15 Toyota Motor Corp パワートレーンの制御装置
JP4122142B2 (ja) 2001-05-18 2008-07-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の駆動制御装置
JP4265567B2 (ja) 2005-04-27 2009-05-2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駆動装置のエンジン始動方法
EP2125413B1 (en) * 2007-02-22 2012-06-13 Mack Trucks, Inc. Hybrid vehicle energy management methods and apparatus
JP5007579B2 (ja) 2007-02-26 2012-08-2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エンジン始動制御装置
JP2008230409A (ja) 2007-03-20 2008-10-02 Toyota Motor Corp ハイブリッド車両および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方法
DE102007045365A1 (de) * 2007-09-22 2009-04-02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Antriebsstrangs
JP5680279B2 (ja) * 2008-03-06 2015-03-0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エンジン停止制御装置
US8566013B2 (en) * 2008-05-15 2013-10-22 Eaton Corporation Electric vehicle (EV) driving mode optimization for a parallel hybrid electric vehicle
AU2011318920B2 (en) * 2010-10-22 2015-12-17 Hino Motors, Ltd. Vehicle,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5693151B2 (ja) * 2010-11-01 2015-04-01 ジヤトコ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
JP5899666B2 (ja) * 2011-06-07 2016-04-0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エンジン始動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5285A (ja) 1999-03-09 2000-09-19 Mitsubishi Motors Corp ハイブリッド車両
JP2007126082A (ja) 2005-11-07 2007-05-24 Nissan Motor Co Ltd ハイブリッド車両のエンジン始動制御装置
KR100957331B1 (ko) 2008-06-11 2010-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드 변환 제어 방법
JP2011073483A (ja) * 2009-09-29 2011-04-14 Aisin Seiki Co Ltd 動力伝達装置および動力伝達装置の制御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43756A (zh) * 2014-04-24 2015-11-1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确定混合动力车辆的干式离合器劣化的方法
CN105043756B (zh) * 2014-04-24 2019-03-26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确定混合动力车辆的干式离合器劣化的方法
KR101558769B1 (ko) * 2014-05-12 2015-10-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주행 모드 변환방법
KR101619259B1 (ko) * 2014-08-25 2016-05-1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10343676B2 (en) 2014-10-29 2019-07-09 Hyundai Motor Company Synchronization control method for engine clutch lock-up in hybrid electric vehicle
KR20170045010A (ko) * 2015-10-16 2017-04-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클러치 슬립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161505B1 (ko) 2015-10-16 2020-10-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클러치 슬립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755975B1 (ko) 2016-01-04 2017-07-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엔진 클러치 결합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21875A1 (en) 2014-05-01
CN103786718A (zh) 2014-05-14
CN103786718B (zh) 2017-07-25
US9014892B2 (en) 2015-04-21
DE102012223672A1 (de) 201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1748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방법
KR101459437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클러치 결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491250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주행모드 변환 및 변속 제어 방법
EP2671751B1 (en) Kick-down control device for electric vehicle
US10392005B2 (en) Hybrid electric vehiclecapable of switching driving modes based on gradient
KR101393562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주행 모드 변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583976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클러치 해제 방법
KR101500374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시프트 다운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519263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주행 제어방법
KR101584002B1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엔진 클러치 접합을 위한 동기화 제어 방법
EP2636566A8 (en) Hybrid drive device for vehicle
JP2012041038A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US9776617B2 (en) Hybrid vehicle
CN107923324B (zh) 控制装置
US9156461B2 (en) Vehicle control unit
KR20120021094A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변속 제어장치 및 방법
JP2013112265A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エンジン停止制御装置
CN104842997A (zh) 一种混合动力车辆动力***的发动机启动方法
KR20200117113A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파워-오프 다운시프트를 위한 능동 변속 제어 방법
JP2019027530A (ja) 車両の制御装置
JP5716914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KR20170066817A (ko) 하이브리드 dct 차량의 변속제어방법
KR20110048690A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
JP2012166614A (ja) 車両用駆動システム
KR101766092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연비 향상을 위한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