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3154B1 - Battery pack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ontacting structure - Google Patents

Battery pack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ontacting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3154B1
KR101303154B1 KR1020070003996A KR20070003996A KR101303154B1 KR 101303154 B1 KR101303154 B1 KR 101303154B1 KR 1020070003996 A KR1020070003996 A KR 1020070003996A KR 20070003996 A KR20070003996 A KR 20070003996A KR 101303154 B1 KR101303154 B1 KR 101303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se
battery pack
battery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39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66494A (en
Inventor
하태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3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3154B1/en
Publication of KR20080066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64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3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31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속구조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용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배터리 팩은 수용부가 구비되는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1 케이스와 결합되는 제 2 케이스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며, 배터리 회로기판이 구비되는 배터리 셀과; 상기 배터리 회로기판과 연결되는 단자를 구비하며, 단자가 상기 어느 일 케이스의 단부 테두리 영역까지 연장되는 상태로 노출되게 장착되는 단자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pack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onnection structure, the battery pack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ase having a receiving portion; A second case coupled to the first case; A battery cell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part and provided with a battery circuit board; The terminal may include a terminal connected to the battery circuit board, and the terminal may be mounted to be exposed in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extends to an end edge region of the case.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은 배터리 팩의 일 면으로 노출되게 구비되는 단자의 영역이 더 넓은 영역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배터리 팩이 유동되는 경우에도 휴대 단말기의 단자가 배터리 팩의 단자와 접속 상태가 오프(off)되지 않으며, 휴대 단말기의 단자와 배터리 팩의 단자 간의 접속 상태가 더 안정적인 접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휴대 단말기의 단자 위치에 대한 설계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고, 휴대 단말기의 두께를 증가시킴이 없이 접속의 안정을 유지할 수 있다. Through such a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der area of a terminal provided to be exposed to one surface of the battery pack, so that the terminal of the mobile terminal is a terminal of the battery pack even when the battery pack is flowed due to an external impact. And the connection state is not turned off,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terminal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terminal of the battery pack can maintain a more stable connection state, and it becomes easier to design the terminal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refore, the stability of the connection can be maintained without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portable terminal.

배터리 팩, 단자부, 용착부, 배터리 셀 Battery pack, terminal part, welding part, battery cell

Description

접속구조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용 배터리 팩{BATTERY PACK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ONTACTING STRUCTURE} Battery pack for mobile terminal having connection structure {BATTERY PACK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ONTACTING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구조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용 배터리 팩의 결합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structure of a battery pack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속구조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용 배터리 팩의 분리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parated structure of a battery pack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connection structure shown in FIG. 1.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단자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3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terminal unit constituting the battery pack illustrated in FIG. 1.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단자부의 정면도이다. 3B is a front view of the terminal portion shown in FIG. 3A.

도 3c는 도 3a에 도시된 단자부의 저면도이다. 3C is a bottom view of the terminal portion shown in FIG. 3A.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접속구조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용 배터리 팩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battery pack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connection structure shown in FIG. 1.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이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ttery pack is mounted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휴대 단말기 11 ... 배터리 수용부10 ... mobile terminal 11 ... battery compartment

12 ... 접속단자 100 ... 배터리 팩12 ... terminal 100 ... battery pack

110 ... 제 1 케이스 111 ... 수용부110 ... first case 111 ... receptacle

112 ... 수용홈 113,114,153 ... 걸림턱112 ... accommodation groove 113,114,153 ...

120 ... 제 2 케이스 121 ... 수용홈120 ... second case 121 ... receiving groove

122,154 ... 용착부 130 ... 배터리 셀122,154 ... weld 130 ... battery cell

140 ... 배터리 회로기판 150 ... 단자부140 ... battery circuit board 150 ... terminals

151 ... 단자부 바디 152 ... 단자151 ... terminal body 152 ... terminal

본 발명은 접속구조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용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pack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onnection structure.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등과 같이 무선 통신과 정보 처리 기능을 결합한 차세대 개인 휴대 기기를 일컫는 통칭이다.In general, a portable terminal is a general term for a next-generation personal portable device that combines wireless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processing functions such as a mobile phone, personal digital assistance (PDA) and the like.

이는 기본적으로 각종 데이터의 입력, 저장, 처리 및 출력 등 기존의 개인용 컴퓨터의 기능을 수행하며, 무선 인터넷 통신, 전화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어, 이동 중에도 각종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래의 산업사회의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가장 큰 기술적 요인 중의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It basically performs functions of existing personal computer such as input, storage, processing and output of various data, and various functions such as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and telephone function are added, so that it can perform various tasks while on the move, Has become one of the greatest technological factors that can bring about radical changes in industrial society.

최근의 정보통신 기술과 메모리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휴대 단말기는 통화 기능 외에 멀티 미디어를 직접 생산하거나 이를 송수신하는 단계에 이르고 있다. 디지털 카메라를 탑재하여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거나 전송 또는 감상하기도 하 고, 음악이나 영화 또는 게임과 같은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기도 하며, 더 나아가 위성통신이나 지상파를 이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예를 들어 DMB 등)을 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기도 한다.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memory technology, portable terminals are in the stage of producing or transmitting / receiving multimedia directly in addition to a call function. Equipped with a digital camera, it can record, transmit or watch photos or videos, play multimedia files such as music, movies or games, and furthermor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using satellite communication or terrestrial waves (e.g. DMB) It also has the ability to receive.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휴대의 편의를 위하여 충전 방식의 배터리가 장착되는데, 이러한 배터리는 일반적으로 패키지 형태의 구조로 장착되고 있다. Such a mobile terminal is equipped with a battery of a charging method for convenience of carrying, such a battery is generally mounted in a package structure.

일반적으로 배터리 팩은 전원 공급을 위하여 배터리 셀이 케이스에 의해 수용되고, 상기 배터리 셀과 연결되는 단자부가 케이스의 일 측 단부면으로 노출되게 구성되고 있다. 이러한 캐터리 팩의 경우 단자부의 고정력을 충분히 부여하기 위하여 단자의 둘레에는 케이스가 위치하여 단자를 고정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In general, a battery pack is configured such that a battery cell is accommodated by a case for power supply, and a terminal portion connected to the battery cell is exposed to one end surface of the case. In the case of such a battery pack, a case is positioned around the terminal to secure the terminal part sufficiently to fix the terminal.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배터리 팩의 경우 케이스의 일 측면에 노출되도록 장착되는 단자가 케이스에 의해 둘러싸이게 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의 단자와 접촉되는 영역이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접촉영역의 제한은 휴대 단말기에 구비되는 단자의 위치에 대한 제약을 주게 되어 휴대 단말기에 구비되는 단자의 구성을 어렵게 하고 있다. In the conventional battery pack having such a configuration, since the terminal mounted so as to be exposed to one side of the case is surrounded by the case,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of the portable terminal is inevitably limited. Such a limitation of the contact area imposes a restriction on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making it difficult to configure the terminal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이러한 종래의 배터리 팩의 구조로 인하여 휴대 단말기에 구비되는 단자가 배터리 팩에 구비되는 단자와 접속되는 위치가 배터리 팩에 구비되는 단자의 일 단부에 근접한 위치에 접속을 하게 되는데, 만일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배터리 팩의 단자와 휴대 단말기의 단자 간의 접속영역이 충분히 확보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수용부에 장착된 배터리 팩에 유동이 발생되어 배터리 팩의 단자가 휴대 단말기의 단자가 위치된 영역으로부 터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즉, 사용 중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어 휴대 단말기의 작동이 오프(off)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Due to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battery pack, a position where a terminal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a terminal provided in the battery pack is connected to a position near one end of the terminal provided in the battery pack. When an impact is applied from the outside, since the connection area between the terminal of the battery pack and the terminal of the portable terminal is not sufficiently secured, a flow occurs in the battery pack mounted in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of the portable terminal, so that the terminal of the battery pack Occasional departures occur from the area where the terminal is located. That i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turned off because the supply of power is cut off during use.

또한, 휴대 단말기에 구비되는 단자의 접속 위치가 배터리 팩에 구비되는 단자의 중앙부 영역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만큼의 충분한 높이를 갖도록 설계되어야 하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데에 제약을 주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terminal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can be locat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terminal provided in the battery pack, it must be designed to have a sufficient height so that it is restricted in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mobile terminal. do.

상기와 같은 요구를 해결하고자 하는 한편, 본 발명이 의도하는 일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단자와 배터리 팩의 단자 간의 접속 상태가 더 안정적인 접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Meanwhil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ion state between a terminal of a portable terminal and a terminal of a battery pack to maintain a more stable connection state.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배터리 팩의 일 면으로 노출되게 구비되는 단자의 영역이 더 넓은 영역으로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배터리 팩이 유동되는 경우에도 휴대 단말기의 단자가 배터리 팩의 단자와 접속 상태가 오프(off)되지 않도록 하는 데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wider area of the terminal that is exposed to one surface of the battery pack, even when the battery pack is flowed due to an external impact, the terminal of the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of the battery pack The purpose is not to turn off the stat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배터리 팩에 구비되는 단자의 영역이 더 넓은 영역으로 구비되도록 하여 휴대 단말기의 단자 위치에 대한 설계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der area of the terminal provided in the battery pack to facilitate the design of the terminal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배터리 팩에 구비되는 단자의 영역이 더 넓은 영역으로 구비되도록 하여 휴대 단말기의 두께를 증가시킴이 없이 접속의 안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der area of the terminal provided in the battery pack to maintain the stability of the connection without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들을 해결하고, 본 발명에 따른 목적들을 이루기 위하여 유동 방지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above demands and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low preventing structure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접속구조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용 배터리 팩은 수용부가 구비되는 제 1 케이스와; 제 1 케이스와 결합되는 제 2 케이스와; 수용부에 삽입되며, 배터리 회로기판이 구비되는 배터리 셀과; 배터리 회로기판과 연결되는 단자를 구비하며, 단자가 어느 일 케이스의 단부 테두리 영역까지 연장되는 상태로 노출되게 장착되는 단자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A battery pack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ase having a receiving portion; A second case coupled with the first case; A battery cell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part and provided with a battery circuit board; A terminal may be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battery circuit board, and the terminal may be mounted to be exposed in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extends to an end edge region of one case.

여기서, 단자부는 단자부 바디와; 적어도 일 이상의 둘레 영역에 걸림턱이 형성되도록 단자부 바디의 어느 일면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Here, the terminal portion and the terminal portion body;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one or more terminals provided to protrude to any one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so that the locking step is formed in at least one peripheral area.

그리고, 제 1 케이스는 단자부의 단자가 노출되는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수용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단자부는 장착된 상태에서 수용홈의 전, 후 방향으로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제 1 케이스이 수용홈과 수용부에 각각 걸림턱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case may be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to be fixed in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of the terminal portion is exposed. In addition, the first case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latching jaw respectively in the accommodating groove and the accommodating portion so that flow does not occur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accommodating groove in the terminal unit.

그리고, 단자부는 제 2 케이스에 용착되어 결합되도록 저면 위치에 용착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 케이스는 단자부의 단자가 노출되는 일 측면과 접하는 다른 일 측면 방향으로 더 노출될 수 있도록 단부에 수용홈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 welding part may be provided at a bottom position to be welded and coupled to the second case. In addition, the second case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groove at the end so that the second case can be further exposed in the other side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where the terminal is exposed.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 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s most suitable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It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follows. 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these modified embodiments ar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는 배터리 팩이 장착되는 휴대 단말기를 기초로 하여 설명된다. Incidentally,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portable terminal on which the battery pack is mounted.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배터리 팩(100)이 도시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1, a battery pack 100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상기 휴대 단말기용 배터리 팩(100)은 배터리 셀(130)이 수용되는 제 1 케이스(110)와 제 2 케이스(120),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휴대 단말기(10)의 단자(12)와 접속하게 되는 단자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battery pack 100 for the portab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irst case 110 and the second case 120 in which the battery cells 130 are accommodated, and the terminals 12 of the portable terminal 10 described below.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terminal portion 150.

상기 제 1 케이스(110)와 제 2 케이스(120)는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단자부(150)를 구성하는 단자(152)가 노출되어 휴대 단말기(10)의 단자(12)와 접속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케이스(110) 또는 제 2 케이스(1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일 측면 방향으로 상기 단자부(150)의 단자(152)가 상기 측면 방향의 일 단부 테두리 영역까지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휴대 단말기(10)의 단자(12)와 배터리 팩(100)의 단자(152)가 접속될 수 있는 영역이 충분한 영역으로 구비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As described below, the first case 110 and the second case 120 may expose the terminal 152 constituting the terminal unit 150 to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12 of the portable terminal 10. Can be configured. In this case, the terminal 152 of the terminal unit 150 in one side direc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case 110 or the second case 120 are coupled so as to be located up to one end edge region of the side direction Thus, the terminal 12 of the portable terminal 10 and the terminal 152 of the battery pack 100 may be provided with a sufficient area.

이 경우 상기 어느 일 케이스(110,120)의 테두리 영역까지 연장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단자(152)의 연장 방향은 이하 설명되는 휴대 단말기(10)에 구비되는 단자(12)의 배치방향에 따라 달리 구비될 수 있다. In this case,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terminal 152 configured to extend to the edge regions of the case 110 or 120 may be differently provid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terminal 12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 described below. Can be.

이에 대한 좀더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팩(100)이 분해된 상태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예에서 제 1 케이스(110)는 일 방향의 면이 개구된 상태로 이하 설명되는 배터리 셀(130)이 장착되는 수용부(1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110)의 어느 일 측면에는 이하 설명되는 단자부(150)의 단자(152)가 노출되는 상태로 상기 단자부(150)가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용홈(112)이 구비될 수 있다. A more specific embodiment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2 illustrate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battery pack 100 shown in FIG. 1 is disassembled. In the example of such a configuration, the first case 110 may be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part 111 in which the battery cell 130 described below is mounted with the surface in one direction being opened. One side of the first case 110 may be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groove 112 in which the terminal unit 150 is removably provided in a state where the terminal 152 of the terminal unit 150 to be described below is exposed. .

상기 제 1 케이스(110)의 수용부(111)에 수용되는 배터리 셀(130)은 일반적인 배터리 셀과 같이 배터리 회로기판(140)이 결합될 수 있다. The battery cell 130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11 of the first case 110 may be coupled to the battery circuit board 140 like a general battery cell.

그리고, 상기 배터리 회로기판(140)에는 상기 배터리 셀(130)의 충전 및 방전을 위한 단자부(150)가 결합된다. 상기 단자부(150)는 휴대 단말기(10)의 단자(12)와 접속하게 되는 다수개의 단자(152)와 상기 다수개의 단자(152)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단자부 바디(151)로 구성될 수 있다. The battery circuit board 140 is coupled to a terminal unit 150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the battery cell 130. The terminal unit 150 may include a plurality of terminals 152 connected to the terminals 12 of the portable terminal 10, and a terminal unit body 151 to maintain the fixed states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152. Can be.

여기서, 상기 단자(152)는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 1 케이스(110)의 일 측면에 구비되는 수용홈(11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단자부 바디(151)의 일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 단자(152)가 구비되는 상기 단자부 바디(151)는 상기 단자(152)의 둘레 위치에 걸림턱(153)이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걸림 턱(153)은 맞은 편 면의 단자부 바디(151)의 면과 함께 상기 제 1 케이스(110)의 수용홈(112)에 상기 단자부(150)가 결합될 때, 수용홈(112)의 전, 후 방향으로 상기 단자부(150)가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수용홈(112)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Here, the terminal 152 is the terminal body 151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receiving groove 112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case 110, as shown in Figure 3a to 3c. It may be provided in a state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In such a configuration, the terminal body 151 having the terminal 152 may be provided with a locking step 153 at the circumferential position of the terminal 152. At this time, the locking jaw 153 is a receiving groove 112 when the terminal portion 150 is coupled to the receiving groove 112 of the first case 110 together with the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151 of the opposite side. In order to be fixed to the position of the receiving groove 112 so that the terminal portion 150 in the front, rear direction of the flow does not occur.

따라서, 상기 제 1 케이스(110)에는 상기 단자부(150)의 바디(151)가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케이스(110)에 구비되는 걸림턱은 제 1 케이스(110)에 구비되는 수용홈(112)의 단부가 하나의 걸림턱(114)이 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홈(112)을 형성시키고, 상기 수용홈(112)의 걸림턱(112)과 대응하는 위치(수용부(111)의 내부 위치)에 또 다른 걸림턱(113)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Therefore, the locking jaw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first case 110 to fix the body 151 of the terminal unit 150. In this case, the catching jaw provided in the first case 110 may include the accommodating groove 112 so that an end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groove 112 provided in the first case 110 becomes one catching jaw 114.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nother locking jaw 113 in a position (inner posi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111)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jaw 112 of the receiving groove 112.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 단자부 바디(151)는 상기 수용홈(112)에 구비되는 걸림턱(114)과 수용부(111)에 구비되는 걸림턱(113) 사이에 끼워져 휴대 단말기(10)의 단자(12)와 접속되는 경우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게 된다. Through such a configuration, the terminal unit body 151 is sandwiched between the engaging jaw 114 provided in the receiving groove 112 and the engaging jaw 113 provid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11, thereby providing a terminal of the portable terminal 10. 12) can be fixed so that no flow occurs.

상기 제 1 케이스(110)의 개구된 면에는 제 2 케이스(120)가 결합된다. 상기 제 2 케이스(120)는 상기 단자부(150)가 접하게 되는 단부 영역에는 단자(152)의 일면(도시상에서는 돌출된 부분의 하부면)이 노출될 수 있도록 수용홈(121)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단자부(150)에 구비되는 단자(152)의 일면(도시상에서는 전면) 전체가 노출될 때, 상기 단자(152)의 일 단부(도시상에서는 하단부)가 상기 제 2 케이스(120)의 테두리 영역 위치까지 연장된 상태로 노출되어 단자(152)의 노출되는 영역을 더 넓은 영역을 가질 수 있게 된다. The second case 120 is coupled to the opened surface of the first case 110. The second case 120 may further include a receiving groove 121 in the end region where the terminal portion 150 is in contact so that one surface of the terminal 152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in the drawing) is exposed. have. By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entirety of one surface (front surface in the figure) of the terminal 152 provided in the terminal portion 150 is exposed, one end (lower portion in the figure) of the terminal 152 is the second case 120. The exposed area of the terminal 152 may be extended to have a wider area.

이때, 상기 단자부(150)의 하부 영역에는 상기 제 2 케이스의 수용홈(121) 주위에 형성되는 용착부(122)와 접하여 용착되는 용착부(154)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lower portion of the terminal portion 15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welding portion 154 welded in contact with the welding portion 122 formed around the receiving groove 121 of the second case.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단자부 바디(151)의 상부는 제 1 케이스(110)의 수용홈(112)과 수용부(111)에 구비되는 각 걸림턱(113,114)에 의해 고정되고, 단자부 바디(151)의 하부는 제 2 케이스(120)의 수용홈(121) 주위에 용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In the abov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4, an upper portion of the terminal body 151 is provided at each of the locking jaws 113 and 114 provided in the accommodation groove 112 and the accommodation portion 111 of the first case 110. The lower portion of the terminal body 151 may be welded and coupled around the receiving groove 121 of the second case 120.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단자부(150)의 단자(152)는 제 1 케이스(110)와 제 2 케이스(120)의 단부 테두리 영역까지 연장되어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돌출되는 단자(152)가 단자부 바디(151)의 일면 위치에서 양측으로 대칭되도록 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케이스(110)의 수용홈(112)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지 않고 인접한 면이 완전히 개방되는 수용홈으로 형성되어 제 2 케이스(120)와 같이 수용홈 주위에 용착부를 구비하여 단자부 바디가 용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terminal 152 of the terminal unit 150 may be configured to extend to the end edge region of the first case 110 and the second case 120 to be exposed. Such a configura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protruding terminal 152 is symmetrical to both sides at one surface position of the terminal body 151. At this time, the receiving groove 112 of the first case 110 is formed as a receiving groove that is not formed with a locking jaw and the adjacent surface is completely opened, and has a welded portion around the receiving groove as in the second case 120, the terminal body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be welded and combined.

이와 같이 단자(152)가 어느 일 케이스(110,120)의 테두리 위치까지 확장되어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 팩(100)은 도 5와 같이 휴대 단말기(10)의 배터리 수용부(11)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기(10)에 구비되는 단자(12)의 접속위치에 따라 배터리 팩(100)의 단자(152)의 연장된 영역이 이에 상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면, 휴대 단말기(10)에 구비되는 단자(12)의 접속위치가 하부로 향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 팩(100)에 구 비되는 단자(152)의 연장된 영역이 하부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battery pack 100 configured to extend the terminal 152 to the edge positions of one case 110 or 120 may be mounted in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11 of the portable terminal 10 as shown in FIG. 5. . In this case, an extended area of the terminal 152 of the battery pack 100 may be correspondingly arranged according to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terminal 12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 Referring to the illustrated state, when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terminal 12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 is disposed to face downward, the terminal 152 provided in the battery pack 100 is extended. The area may be configured to be disposed below.

따라서, 휴대 단말기(10)에 구비되는 단자(12)가 배터리 팩(100)의 장착시 탄성 변형에 의해 접속 위치가 하부로 이동되는 경우에도 배터리 팩(100)에 구비되는 단자(152)의 연장된 영역이 하부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충분한 접속 위치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even when the terminal 12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10 is moved downward due to elastic deformation when the battery pack 100 is mounted, the terminal 152 provided in the battery pack 100 is extended. Since the area | region which was provided is arrange | positioned below, sufficient connection position can be ensured.

상기와 같이 설명된 접속구조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용 배터리 팩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고, 또한 다양한 변형을 포함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혼용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The battery pack for a mobile terminal having the above described connection structur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the embodiments may be independently applie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optionally mixed to perform a variety of modifications.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 팩의 일 면으로 노출되게 구비되는 단자의 영역이 더 넓은 영역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배터리 팩이 유동되는 경우에도 휴대 단말기의 단자가 배터리 팩의 단자와 접속 상태가 오프(off)되지 않으며, 휴대 단말기의 단자와 배터리 팩의 단자 간의 접속 상태가 더 안정적인 접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rea of the terminal provided to be exposed to one surface of the battery pack is formed in a wider area, the terminal of the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battery pack even when the battery pack is moved due to an external impact. The terminal and the connection state are not turned off, and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terminal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terminal of the battery pack can maintain a more stable connection stat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 팩에 구비되는 단자의 영역이 더 넓은 영역으로 구비되므로 휴대 단말기의 단자 위치에 대한 설계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rea of the terminal provided in the battery pack is provided in a wider area, the terminal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more easily designed.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 팩에 구비되는 단자의 영역이 더 넓은 영역으로 구비되므로 휴대 단말기의 두께를 증가시킴이 없이 접속의 안정을 유 지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rea of the terminal provided in the battery pack is provided in a wider area,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tability of the connection without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portable terminal.

Claims (5)

수용부(111)가 구비되는 제1케이스(110)와; A first case 110 having a receiving portion 111; 상기 제1케이스와 결합되는 제2케이스(120)와; A second case 120 coupled to the first case; 수용부(111)에 삽입되며, 배터리 회로기판이 구비되는 배터리 셀(130)과; A battery cell 130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part 111 and provided with a battery circuit board; 상기 배터리 회로기판과 연결되는 단자(152)를 구비하며, 단자(152)가 상기 어느 일 케이스의 단부 테두리 영역까지 연장되는 상태로 노출되게 장착되는 단자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And a terminal unit 152 connected to the battery circuit board, the terminal unit 152 being mounted to be exposed in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152 extends to an end edge region of the case. 상기 단자부(150)는 단자부 바디(151) 및 적어도 일 이상의 둘레 영역에 걸림턱(153)이 형성되도록 상기 단자부 바디(151)의 어느 일면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단자(152)로 구성되고,The terminal unit 150 includes a terminal unit body 151 and one or more terminals 152 provided to protrude to any one surface of the terminal unit body 151 so that the locking step 153 is formed in at least one circumferential region. 상기 제1케이스는 단자부(150)의 단자(152)를 수용하고 단부가 하나의 걸림턱(114)이 될 수 있도록 형성된 수용홈(112)과 상기 걸림턱(114)과 대응하는 수용부(111)의 위치에 걸림턱(113)을 형성하여, The first case accommodates the terminal 152 of the terminal unit 150 and has an accommodating groove 112 and an accommodating portion 111 corresponding to the catching jaw 114 so that an end thereof becomes a catching jaw 114. By forming the locking step 113 at the position of, 상기 제1케이스(110)의 수용홈(112)에 상기 단자부(150)가 결합될 때 단자부 (150)의 걸림턱(153)은 수용홈의 걸림턱(114)에 걸리고, 상기 단자부의 바디(151)는 상기 걸림턱(113)에 걸리도록 하여 단자부 바디(151)가 수용홈(112)에 구비되는 걸림턱(114)과 수용부(111)에 구비되는 걸림턱(113)사이에 끼워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배터리 팩. When the terminal portion 150 is coupled to the accommodation groove 112 of the first case 110, the locking jaw 153 of the terminal portion 150 is caught by the locking jaw 114 of the accommodation groove, and the body of the terminal portion ( 151 to be caught by the locking step 113 so that the terminal body 151 is fitted between the locking step 114 provided in the receiving groove 112 and the locking step 113 provided in the receiving portion 111. Battery pack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150)는 제2케이스(120)에 용착되어 결합되도록 저면 위치에 용착부(1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배터리 팩. The battery pack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terminal part (150) has a welding part (122) at a bottom position to be welded to and coupled to the second case (1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120)는 상기 단자부(150)의 단자(152)가 노출되는 일 측면과 접하는 다른 일 측면 방향으로 더 노출될 수 있도록 단부에 수용홈(121)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배터리 팩.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case 120 is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groove 121 at the end so that the second case 120 can be further exposed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side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terminal 152 of the terminal portion 150 is exposed. Battery pack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KR1020070003996A 2007-01-12 2007-01-12 Battery pack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ontacting structure KR1013031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3996A KR101303154B1 (en) 2007-01-12 2007-01-12 Battery pack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ontacting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3996A KR101303154B1 (en) 2007-01-12 2007-01-12 Battery pack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ontacting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6494A KR20080066494A (en) 2008-07-16
KR101303154B1 true KR101303154B1 (en) 2013-09-09

Family

ID=39821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3996A KR101303154B1 (en) 2007-01-12 2007-01-12 Battery pack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ontacting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315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6824A (en) 2000-03-24 2001-09-28 Sanyo Electric Co Ltd Battery pack
JP2002124234A (en) 2000-10-18 2002-04-26 Sony Corp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battery with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with battery
JP2005116224A (en) 2003-10-03 2005-04-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Battery pack
JP2006107922A (en) 2004-10-05 2006-04-20 Sanyo Electric Co Ltd Battery pac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6824A (en) 2000-03-24 2001-09-28 Sanyo Electric Co Ltd Battery pack
JP2002124234A (en) 2000-10-18 2002-04-26 Sony Corp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battery with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with battery
JP2005116224A (en) 2003-10-03 2005-04-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Battery pack
JP2006107922A (en) 2004-10-05 2006-04-20 Sanyo Electric Co Ltd Battery p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6494A (en) 2008-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41968B (en) Mobile terminal having a plurality of displays
US7348762B2 (en) Battery pack and method for producing battery pack
JP4436774B2 (en) Battery connection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US7642005B2 (en) Battery pack
US8851907B2 (en) Contact node of portable terminal
US20060244418A1 (en) Battery modul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40192462A1 (en) Portable terminal with stylus pen
US6424842B1 (en) Dual function connector for cellular phones
JP4350699B2 (en) Mobile phone charger and electronic device charger
CN108832336B (en) Card holder, card seat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JP3258972B2 (en)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2008112654A (en) Secondary battery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KR101303154B1 (en) Battery pack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ontacting structure
CN218513631U (en) Battery and electronic equipment
JP3122429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battery pack and connector
CN201749937U (en) Multifunctional antenna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with multifunctional antenna device
KR20140001056U (en) Auxiliary power providing device
CN100429873C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usb interface unit therein
JP3530007B2 (en) Battery storage structure
KR100608832B1 (en) Multi socket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130004179U (en) A cellular phone battery and a cellula phone including the same
JP2002152354A (en) Portable terminal using sim card
JP2008300334A (en) Battery pack
KR101376610B1 (en) Portable terminal
KR101076510B1 (en)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