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6610B1 -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6610B1
KR101376610B1 KR1020070056903A KR20070056903A KR101376610B1 KR 101376610 B1 KR101376610 B1 KR 101376610B1 KR 1020070056903 A KR1020070056903 A KR 1020070056903A KR 20070056903 A KR20070056903 A KR 20070056903A KR 101376610 B1 KR101376610 B1 KR 101376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socket
terminal
insertion hol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69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108838A (en
Inventor
정준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6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6610B1/en
Publication of KR20080108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88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6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66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16Mechanical arrangements for accommodating identification devices, e.g. cards or chips; with connectors for programming identification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surface conta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card read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 바디의 내부에 장착되어 카드가 수용되는 카드 소켓에 관련된 것으로, 카드 소켓의 양방향으로 카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카드 소켓의 양쪽 측면에 카드가 삽입되는 카드 삽입구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d socket mounted inside the terminal body to accommodate a card, and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card insertion hole into which cards are inserted at both sides of the card socket so that the card can be inserted in both directions of the card socket. do.

Description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0001] PORTABLE TERMINAL [0002]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련된 카드 소켓의 사시도.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rd sock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련된 카드 소켓의 단면도. Fig. 4 is a sectional view of the card sock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련된 카드 소켓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rd sock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련된 카드 소켓의 단면도.6 is a sectional view of a card sock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련된 카드 소켓의 장착 위치를 다양하게 나타낸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 7 and 8 are front views of a portable terminal showing various mounting positions of a card sock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카드를 양방향으로 삽입할 수 있는 카드 소켓을 갖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ard socket capable of inserting a card in both directions.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 다. A portable terminal is a portable device that is portable and has one or more functions such as voice and video calling, information input and output, and data storage.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As the functions are diversified,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has complex functions such as taking a picture or video, playing a music or video file, playing a game, and receiving a broadcast, and is realized in the form of a comprehensive multimedia player. It is becoming.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In order to implement complex functions in multimedia devices, various new attempts have been made in terms of hardware or software. For example, a user interface environment is provided for a user to easily and conveniently search for or select a function.

또한, 휴대 단말기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다양한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다.In addition, while the portable terminal is regarded as a personal portable product for expressing one's personality, various designs are required.

현재 휴대 단말기는 사진 파일 또는 동영상 등의 영상 파일, MP3 .등의 음악 파일이 대용량 파일이므로 휴대 단말기의 내장 메모리 용량이 부족하여 별도의 외장 메모리 카드를 필요로 하고, 이를 휴대 단말기에 착탈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Currently, the mobile terminal has a large file such as a video file such as a photo file or a video, and a music file such as an MP3. Therefore, the internal memory capacity of the portable terminal is insufficient and a separate external memory card is required. A structure is required.

또한, 사용자의 개인 금융 결제정보 등을 저장하고 비접촉식 전자 신용카드 및 교통카드, 선불카드 등으로 사용됨과 아울러 이용자 전화번호를 비롯한 이용자 정보가 수록된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의 이용이 늘어가고 있다. In addition, the use of SIM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cards, which store user's personal financial payment information, are used as contactless electronic credit cards, transportation cards, prepaid cards, and the like, and user information including user telephone numbers.

본 발명의 목적은 카드가 양방향으로 삽입되도록 한 카드 소켓을 갖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ard socket for allowing a card to be inserted in both directions.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드소켓의 장착 위치를 단말기의 디자인에 따라 변경할 수 있어 단말기의 디자인을 다양화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change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card socket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terminal to diversify the design of the terminal.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드가 양방향으로 삽입되도록 한 카드 소켓을 갖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ard socket for allowing at least one card to be inserted in both directions.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드소켓의 장착 위치를 단말기의 디자인에 따라 변경할 수 있어 단말기의 디자인을 다양화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change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card socket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terminal to diversify the design of the terminal.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단말기 바디에 장착되어 카드를 수납하는 카드 소켓을 제공하고, 카드 소켓은 카드가 양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카드 삽입구가 카드 소켓의 양쪽 측면에 각각 형성된다.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 card socket mounted to the terminal body to accommodate the card, the card socket is provided with both sides of the card socket so that the card can be inserted in both directions It is formed on each side.

그리고, 카드 소켓은 단말기 바디의 내부에 장착되는 소켓 베이스와, 소켓 베이스에 장착되어 카드가 수납되는 카드 수납부를 형성하고 상기 카드가 양방향으로 삽입되도록 그 양쪽 측면에 제1 및 제2카드 삽입구를 형성하는 소켓 커버와, 상기 소켓 베이스에 장착되어 카드와 접속되는 접속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card socket forms a socket base mounted inside the terminal body, and a card accommodating portion mounted on the socket base to accommodate the card, and first and second card insertion holes formed at both sides thereof so that the card is inserted in both directions. And a connection terminal mounted on the socket base and connected to the car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제1바디(10)와, 상기 제1바디(10)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20)를 포함한다.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10 and a second body 20 that is slidable along at least one direction on the first body 10.

제1바디(10)가 제2바디(20)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10)가 제2바디(20)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body 10 is disposed in a state of being overlapped with the second body 20 may be referred to as a closed configuration and the first body 10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body 20 ) May be referred to as an open configuration.

상기 휴대 단말기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The portable terminal operates mainly in the standby mode in the closed state, but the standby mode is also released by the operation of the user.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operates mainly in a communication mode in an open state, but may be switched to a standby mode by a user's operation 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상기 제1바디(1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A casing (a casing, a housing, a cover, etc.) constituting an outer appearance of the first body 10 is formed by a front case 11 and a rear case 12.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embedd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front case 11 and the rear case 12. [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he front case 11 and the rear case 12. [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ng a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제1 바디(1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1)에는 디스플레이부(13), 음향출력부(14), 제1 영상입력부(15) 또는 제1 조작부(16)가 배치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3, the sound output unit 14, the first image input unit 15, or the first operation unit 16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body 10, specifically, the front case 11.

상기 디스플레이부(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을 포함한다. The display unit 13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module, an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module, and the like that visually express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3)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The display unit 13 may further include a touch screen to enable information input by a user's touch.

상기 음향출력부(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sound output unit 14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eiver or a speaker.

상기 제1영상입력부(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image input unit 15 may be implemented as a camera module for capturing an image or a moving image of a user.

상기 제1조작부(16)는 본 발명의 일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는다.The first operation unit 16 receives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바디(10)와 마찬가지로, 프론트 케이스(21)와 리어 케이스(22)가 제2바디(20)의 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The front case 21 and the rear case 22 can form the case of the second body 20 as in the case of the first body 10.

제2바디(2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2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조작부(23)가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manipulator 23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body 20, specifically, on the front face of the front case 21.

프론트 케이스(21) 또는 리어 케이스(2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조작부(24), 제1 음향입력부(25), 인터페이스(26)가 배치될 수 있다. The third operating unit 24, the first sound input unit 25, and the interface 26 may be disposed in at least one of the front case 21 and the rear case 22. [

제1 내지 제3 조작부(16,23,24)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 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The first to third manipulators 16, 23, and 24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manipulating portions, and may be employed in any manner as long as the user is tactile in a tactile manner.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operation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dome switch or a touch screen or a touch pad capable of receiving commands or information by a push or touch operation of a user, or may be a wheel, a jog type, a joystick, Or the like.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조작부(16)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조작부(23)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In terms of functions, the first operation unit 16 is for inputting commands such as start, end, and scroll, and the second operation unit 23 is for inputting numbers, letters, symbols, and the like.

또한, 제3 조작부(24)는 제1 영상입력부(15)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The third operation unit 24 may operate as a hot-key for performing a special function such as activation of the first image input unit 15. [

제1음향 입력부(25)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sound input unit 25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icrophone, for example, to receive a user's voice, other sounds, and the like.

인터페이스(26)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26)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The interface 26 serves as a passage for allowing a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o exchange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interface 26 may be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to an earphone, a port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for example, an IrDA port, a Bluetooth port, a wireless LAN port a wireless Lan port), or power supply terminals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인터페이스(26)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 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The interface 26 may be a card socket for receiving an external card such as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or a user identity module (UIM) and a memory card for storing information.

리어 케이스(22) 측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27)가 장착된다. 상기 전원공급부(27)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 power supply unit 27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rear case 22 side. The power supply unit 27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a rechargeable battery for charging or the like.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도 2를 참조하면, 제2바디(20)의 리어 케이스(22)의 후면에는 제2 영상입력부(28)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영상입력부(28)는 제1영상입력부(15,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영상입력부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a second image input unit 28 may be additionally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case 22 of the second body 20. The second image input unit 28 may be a camera having a photographing direction substantiall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image input unit 15 (see FIG. 1) and having different pixels from the first image input unit.

예를 들어, 제1 영상입력부(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영상입력부(28)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first image input unit 15 has a low pixel so that it is easy to take a picture of a user and transmit it to a counterpart in a video call, and the second image input unit 28 immediately photographs a general subject. It is preferable to have a high pixel because it is not transmitted in many cases.

제2영상입력부(28)에 인접하게는 플래쉬(29)와 거울부(30)가 추가로 배치된다. 상기 플래쉬(29)는 제2영상입력부(28)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30)는 사용자가 제2영상입력부(28)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A flash 29 and a mirror 30 are further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image input unit 28. The flash 29 shines light toward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the second image input unit 28. The mirror unit 30 allows the user to illuminate the user's own face or the like when the user intends to take a picture of himself / herself (self-photographing) using the second image input unit 28.

하부 커버(22)에는 제2 음향출력부(31)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The lower cover 22 may further be provided with a second sound output section 31. [

상기 제2 음향출력부(31)는 제1 음향출력부(14, 도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31 may implement a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4 (see FIG. 1), and may be used for a call in a speakerphone mode.

또한, 하부 커버(2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3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32)는 제2바디(20)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n antenna 32 for receiving broadcasting signals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ower cover 22, in addition to an antenna for communication. The antenna 32 may be installed to be detachable from the second body 20.

제1바디(10)의 리어 케이스(12) 측에는 제1바디(10)와 제2바디(2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33)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A portion of the slide module 33 that slidably couples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is disposed on the rear case 12 side of the first body 10. [

슬라이드 모듈(33)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20)의 프론트 케이스(21)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The other part of the slide module 33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front case 21 of the second body 20 and may be in a form tha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s in this figure.

이상에서는 제2 영상입력부(28) 등이 제2바디(20)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영상입력부(28) 등과 같이 하부 커버(2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28 내지 3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바디(10), 주로는 하부 커버(1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하부 커버(1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바디(20)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 영상입력부(28)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영상입력부(15)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영상입력부(28)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econd image input unit 28 and the like are disposed in the second body 2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t least one of the configurations 28 to 32 described as being arranged in the lower cover 22, such as the second image input unit 28, may be mounted on the first body 10, mainly the lower cover 12, It is also possible to mount it. In such a c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figuration (s) arranged in the lower cover 12 in the closed state is protected by the second body 20. In addition, even if the second image input unit 28 is not separately provided, the first image input unit 15 may be rotatably formed so that photography can be taken up to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second image input unit 28.

상기 제2바디(20)의 후면에는 배터리(27)가 장착되는 배터리 장착부(40)가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 장착부(40)의 일측에는 카드(42)가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는 카드 소켓(50)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2바디(20)의 후면에는 배터리(27)와 카드 소켓(50)을 덮어주는 덮개(47)가 개폐 가능하게 장착된다. A battery mounting portion 40 in which a battery 27 is mounted is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second body 20, and a card socket 50 in which a card 42 is detachably received at one side of the battery mounting portion 40. Is fitted. In addition, a cover 47 covering the battery 27 and the card socket 50 is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body 20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카드 소켓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카드 소켓의 구조를 나타낸 도 3의 A-A 라인의 단면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rd so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ne A-A of Figure 3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ard so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카드 소켓(50)은 카드(42)가 양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양쪽 측면에 카드 삽입구(52,54)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card socket 5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card insertion holes 52 and 54 are formed at both sides thereof so that the card 42 may be inserted in both directions.

상기 카드 소켓(50)은 소켓 베이스(56)와, 소켓 베이스(56)에 장착되어 카드(42)가 수용되는 카드 수용부(64)를 형성하는 소켓 커버(64)와, 카드 수용부(64)에 설치되어 카드(42)와 접속되는 접속단자들(60,62)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card socket 50 includes a socket base 56, a socket cover 64 mounted to the socket base 56 to form a card receiving portion 64 in which the card 42 is accommodated, and the card receiving portion 64. It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60, 62) and the like installed on the card 42.

상기 소켓 베이스(56)는 그 하면이 단말기 바디(20)의 후면에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고, 그 양쪽 측면에 접속단자(60,62)가 장착된다. 이러한 소켓 베이스(56)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그 길이가 카드(42)의 길이에 비해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드(42)의 일부만 카드 수용부(64)에 수납된다. 이와 같이, 소켓 베이스(56)는 길이를 짧게 하면 인쇄회로기판에 카드 소켓(50)의 장착 면적을 줄일 수 있게 되어 인쇄회로기판의 크기를 줄일 수 있거나, 인쇄회로기판의 집적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The socket base 56 is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whose lower surface is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20, and connection terminals 60 and 62 are mounted on both sides thereof. The socket base 56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the length of the socket base 56 may be shorter than that of the card 42. As a result, only a part of the card 42 is stored in the card accommodating portion 64. As such, when the length of the socket base 56 is shor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ounting area of the card socket 50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reby reducing the siz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or enabling the integrat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have.

상기 소켓 커버(58)는 소켓 베이스(56)의 상면에 배치되고 그 좌우 방향 양쪽 측면이 각각 소켓 베이스(56)에 고정되고, 전후 방향 양쪽 측면은 카드(42)가 양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제1카드 삽입구(52)와 제2카드 삽입구(54)를 형성한다. The socket cover 58 is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ocket base 56, and both sides of the socket cover 58 are fixed to the socket base 56, respectively, and both sides of the socket cover 58 are formed so that the card 42 can be inserted in both directions. The first card insertion hole 52 and the second card insertion hole 54 are formed.

이러한 소켓 커버(58)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그 좌우방향 양쪽 측면 에는 각각 걸림홈(66)이 형성되어 소켓 베이스(56)의 양쪽 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돌기(68)에 끼움 결합된다. 이때, 소켓 커버(58)의 좌우방향 양쪽 측면은 소켓 베이스(56)의 측면에서 연장되어 소켓 베이스(56)의 후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소켓 베이스(56)와의 체결 강도를 강화시킨다. The socket cover 58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the engaging cover 66 may b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socket cover 58 to be fitted to the engaging protrusion 68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socket base 56. Combined. At this time, both sides of the socket cover 58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re formed to extend from the side of the socket base 56 to surround the rear surface of the socket base 56 to enhance the fastening strength with the socket base 56.

상기 접속단자(60,62)는 카드 수용부(64)의 내부에 설치되어 카드(42)가 제1카드 삽입구(52)로 삽입될 때 카드(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제1접속단자들(60)과, 제1접속단자들(60)과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카드(42)가 제2카드 삽입구(54)로 삽입될 때 카드(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제2접속단자들(62)로 구성된다. The connection terminals 60 and 62 are installed inside the card receiving unit 64 so that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rd 42 when the card 42 is inserted into the first card insertion hole 52.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disposed opposite to the terminals 60 and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s 6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rd 42 when the card 42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ard insertion hole 54. It consists of connection terminals 62.

상기 제1접속단자(60)는 소켓 베이스(56)의 전후 방향 측면 중 한 측면에 장착되는 장착부(70)와, 장착부(70)에서 연장되고 카드 수용부(64)의 내부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위치되어 카드(42)의 접점들과 접촉되는 탄성 접촉부(72)로 구성된다.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60 is a mounting portion 70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ocket base 56, and extends from the mounting portion 70 so as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inside the card receiving portion 64. And an elastic contact 72 which is positioned and in contact with the contacts of the card 42.

상기 제2접속단자(62)는 소켓 베이스의 전후 방향 측면 중 다른 측면에 장착되고 제1접속단자(60)와 동일한 구조인 장착부(74)와 탄성 접촉부(76)로 구성된다.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62 is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front and rear side surfaces of the socket base and includes a mounting portion 74 and an elastic contact portion 76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60.

여기에서, 상기 제1접속단자(60)와 제2접속단자(62)의 탄성 접촉부(72,76)는 볼록한 형태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카드(42)와 접속단자(60,62) 간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일 예로, 카드(42)가 제1카드 삽입구(52)로 삽입될 때 카드(42)가 먼저, 제1접속단자(60)와 접속된 후 제2접속단자(62)와 접촉되는 데, 이때 제2접속단자(62)의 탄성 접촉부(76)가 볼록한 형태이므로 카드와 제2접속단자(62) 사이가 간섭되지 않고 카드(4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Here, the elastic contact portions 72 and 76 of the first connecting terminal 60 and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62 are formed to protrude in a convex shape so that interference between the card 42 and the connecting terminals 60 and 62 is prevented. It helps to reduce the occurrence. For example, when the card 42 is inserted into the first card insertion hole 52, the card 42 is first contacted with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60 and then contacted with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62. Since the elastic contact portion 76 of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62 is convex, the card 42 can be inserted without interfering between the card and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62.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소켓은 그 전후방향 양쪽 측면에 각각 카드(42)가 삽입되는 제1카드 삽입구(52)와 제2카드 삽입구(54)가 형성되어 카드(42)를 양방향으로 삽입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기 디자인을 다양화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ard socket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card insertion hole 52 and a second card insertion hole 54 into which the card 42 is inserted at both sides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ereof, respectively, to form the card 42. Can be inserted in both directions, allowing for a variety of terminal designs.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련된 카드 소켓이 장착된 단말기 바디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련된 카드 소켓의 단면도이다. 5 is a front view of a terminal body equipped with a card sock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rd socke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련된 카드소켓(80)은 소켓 베이스(82)와, 상기 소켓 베이스(82)의 상면에 장착되어 제1카드(84)가 수용되는 제1카드 수용부(88)를 형성하고 제1카드(84)가 양방향으로 삽입되는 제1소켓 커버(86)와, 상기 소켓 베이스(82)의 하면에 장착되어 제2카드(90)가 수용되는 제2카드 수용부(92)를 형성하는 제2소켓 커버(9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card socket 8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cket base 82 and a first card accommodating part 88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ocket base 82 to accommodate the first card 84. A first socket cover 86 into which the first card 84 is inserted in both directions, and a second card receiving unit 92 moun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ocket base 82 to accommodate the second card 9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socket cover 94 to form a).

이와 같은 제2실시예에 관련된 카드 소켓(80)은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카드 소켓구조에 제2카드(90)를 수용하기 위한 제2카드 수용부(92)가 더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The card socket 8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a second card accommodating part 92 for accommodating the second card 90 is further formed in the card socket structure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상기 소켓 베이스(82)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소켓 베이스(56)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고, 그 하면에 제2카드 수용부(92)를 구비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The socket base 82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socket base 56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and a space for providing the second card receiving portion 92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상기 제1카드(84)는 일예로 심카드(SIM CARD)가 적용되고, 제2카드(90)는 일예로 SD 카드(SECURE DIGITAL CARD)가 적용된다. As an example, a SIM card is applied to the first card 84, and an SD card is applied to the second card 90 as an example.

상기 제1소켓커버(86)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소켓커버(58)의 구조와 동일하고 소켓 베이스(82)의 전후방향 한 측면에 제1카드 삽입구(100)를 형성하고, 소 켓 베이스(82)의 전후방향 다른 측면에 제2카드 삽입구(102)를 형성한다.The first socket cover 86 has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socket cover 58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and forms the first card insertion hole 100 at one side of the socket base 82 in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the socket base. The second card insertion hole 102 is formed on the other side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82.

상기 제1카드 수용부(88)의 내부에는 제1카드(84)가 제1카드 삽입구(100)로 삽입될 때 제1카드(8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다수의 제1접속단자들(104)과, 제1접속단자들(104)과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제1카드(84)가 제2카드 삽입구(102)로 삽입될 때 제1카드(8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다수의 제2접속단자들(106)이 장착된다. The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terminals 104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ard 84 when the first card 84 is inserted into the first card insertion hole 100 in the first card receiving unit 88. ) And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disposed opposite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s 104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ard 84 when the first card 84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ard insertion hole 102. Connection terminals 106 are mounted.

상기 제2소켓커버(94)는 소켓 베이스(82)의 하면에 장착되고 소켓 베이스(82)의 좌우 측면 중 어느 일측면에 제2카드(90)가 삽입되는 제3카드 삽입구(108)를 형성한다. The second socket cover 94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ocket base 82 and forms a third card insertion hole 108 into which the second card 90 is inserted on either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ocket base 82. do.

상기 제2카드 수용부(92)의 내부에는 제2카드(90)와 접속되는 다수의 제3접속단자들(96)이 장착된다. A plurality of third connection terminals 96 connected to the second card 90 is mounted in the second card receiving unit 92.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련된 카드 소켓(80)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card socket 8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elow.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련된 카드 소켓의 장착구조를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평면도들이다. 7 and 8 are plan views of a portable terminal showing a mounting structure of a card sock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 소켓(80)이 단말기 바디(20)의 우측에 치우치게 배치될 경우 단말기 바디(20)의 하측 방향으로 제1카드(84)가 삽입되는 제1카드 삽입구(100)가 위치되고 단말기 바디(20)의 상측방향으로 제2카드 삽입구(102)가 각각 위치되고, 단말기 바디(20)의 우측 방향으로 제2카드(90)가 삽입되는 제3카드 삽입구(108)가 위치된다. First, as shown in FIG. 7, when the card socket 80 is disposed to the right side of the terminal body 20, the first card insertion slot into which the first card 84 is insert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terminal body 20 is inserted. The third card insertion hole (100) is positioned and the second card insertion hole 102 is position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terminal body 20, respectively, and the second card 90 is inserted in the right direction of the terminal body 20 ( 108 is located.

따라서, 단말기 바디의 제1카드 삽입구(100)를 통해 제1카드(84)를 삽입하고, 제3카드 삽입구(108)를 통해 제2카드(90)를 삽입한다.Therefore, the first card 84 is inserted through the first card insertion hole 100 of the terminal body, and the second card 90 is inserted through the third card insertion hole 108.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 커버(80)가 단말기 바디(20)의 좌측에 치우치게 배치될 경우 단말기 바디(20)의 상방향으로 제1카드 삽입구(100)가 위치되고, 그 하방향으로 제2카드 삽입구(102)가 위치되고 단말기 바디(20)의 좌측방향으로 제2카드(90)가 삽입되는 제3카드 삽입구(108)가 위치된다.As shown in FIG. 8, when the socket cover 80 is disposed to the left side of the terminal body 20, the first card insertion hole 100 is positioned in the upward direction of the terminal body 20. The second card insertion hole 102 is positioned in the direction, and the third card insertion hole 108 is positioned in which the second card 90 is inserted in the left direction of the terminal body 20.

따라서, 제2카드 삽입구(102)를 통해 제1카드(84)를 삽입하고, 제3카드 삽입구(108)를 통해 제2카드(90)를 삽입한다.Therefore, the first card 84 is inserted through the second card insertion hole 102, and the second card 90 is inserted through the third card insertion hole 108.

이와 같이, 제1카드(84)를 삽입하기 위한 카드 삽입구(100,102)가 소켓 베이스(82)의 전후방향 양쪽 측면에 각각 형성되기 때문에 단말기 디자인에 따라 단말기 바디(20)의 좌측과 우측 중 어느 한 곳에 카드 소켓(80)을 설치할 수 있어 단말기의 디자인을 다양화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ard insertion holes 100 and 102 for inserting the first card 84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socket base 82, any one of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terminal body 20 according to the terminal design. Since the card socket 80 can be installed there, it is possible to diversify the design of the terminal.

이상에서 설명한 카드 소켓은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드 타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바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등 다양한 구조의 휴대 단말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The card socket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slide type illustrated in FIG. 1, but may be applied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bar type, a folder type, and a swing typ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바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In the above described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belong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described in the claims It can be changed accordingly by the one who has.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카드 베이스의 양쪽 측면에 제1 및 제2카드 삽입구를 형성하여 카드를 제1카드 삽입구와 제2카드 삽입구 중 어느 하나로 삽입할 수 있도록 하여 단말기의 디자인에 따라 카드소켓의 설치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orms the first and second card insertion holes on both sides of the card base so that the card can be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first card insertion hole and the second card insertion hole. Depending on the desig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ard socket can be easily changed.

따라서, 단말기의 디자인을 다양화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iversify the design of the terminal.

Claims (5)

단말기 바디; 및Terminal body; And 상기 단말기 바디의 내부에 장착되고 복수의 카드가 수납되도록 형성되는 카드 소켓을 포함하고,A card socket mounted inside the terminal body and configured to receive a plurality of cards; 상기 카드 소켓은,The card socket, 상측, 하측, 그리고 제1 내지 제4측을 구비하는 소켓 베이스;A socket base having an upper side, a lower side, and first to fourth sides; 상기 소켓 베이스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1소켓 커버와 제2소켓 커버;A first socket cover and a second socket cover respectively coupled to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socket base; 상기 제1소켓 커버와 상기 소켓 베이스 사이에 형성되며, 마주보는 상기 제1측과 상기 제2측 중 어느 하나에 제1카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카드 소켓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1카드 삽입구와 제2카드 삽입구; 및A first card insertion hole formed between the first socket cover and the socket base and formed at both sides of the card socket so that a first card can be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facing each other; A second card insertion hole; And 상기 제1소켓 커버와 상기 소켓 베이스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3측으로 제2카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카드 소켓에 형성되는 제3카드 삽입구를 포함하고,A third card insertion hole formed between the first socket cover and the socket base and formed in the card socket to allow the second card to be inserted into the third side; 상기 제1소켓 커버와 상기 소켓 베이스 사이에 형성되는 제1카드 수납부는 상기 제1카드와 접속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접속단자를 구비하고, A first card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between the first socket cover and the socket base includes first and second connection terminal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card, 상기 제1 및 제2접속단자는 일측이 상기 소켓 베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제1카드가 삽입될 때, 상기 제1카드를 상기 제1소켓 커버를 향하여 밀어내도록 형성되며,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terminals are fixed at one side to the socket base, and are formed to push the first card toward the first socket cover when the first card is inserted. 상기 제2소켓 커버와 상기 소켓 베이스 사이에 형성되는 제2카드 수납부는 상기 제2카드와 접속되도록 형성되는 제3접속단자를 구비하고, A second card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between the second socket cover and the socket base includes a third connection terminal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card; 상기 제3접속단자는 일측이 상기 소켓 베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제2카드가 삽입될 때, 상기 제2카드를 상기 제2소켓 커버를 향하여 밀어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is fixed at the one side to the socket base so that the second card is pushed toward the second socket cover when the second card is inserted.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카드는 심카드(SIM CARD)이고, 상기 제2카드는 SD 카드(SECURE DIGITAL CAR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first card is a SIM card, and the second card is a SD card (SECURE DIGITAL CAR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70056903A 2007-06-11 2007-06-11 Portable terminal KR1013766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6903A KR101376610B1 (en) 2007-06-11 2007-06-11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6903A KR101376610B1 (en) 2007-06-11 2007-06-11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8838A KR20080108838A (en) 2008-12-16
KR101376610B1 true KR101376610B1 (en) 2014-03-20

Family

ID=40368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6903A KR101376610B1 (en) 2007-06-11 2007-06-11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661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603B1 (en) * 2008-12-31 2015-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140065881A1 (en) * 2012-09-04 2014-03-06 S. Vinay Multi-socket memory module t-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8838A (en) 2008-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8880B1 (en) Portable terminal having camera
US8903459B2 (en) Connecting terminal for a battery of a mobile terminal
KR101677617B1 (en) Portable terminal
KR101371033B1 (en) Portable terminal
KR101376610B1 (en) Portable terminal
KR20100030166A (en) Portable terminal
KR20140051720A (en) Mobile terminal and a cover of the mobile terminal
KR101386471B1 (en) Portable terminal
KR101418284B1 (en) Terminal unit for sim-card socket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090000533A (en) Portable terminal
KR101474446B1 (en) Portable terminal and battery used for the same
KR101918989B1 (en) Mobile terminal
KR20090017908A (en) Portable terminal
KR101604753B1 (en) Portable terminal
KR101463816B1 (en) Battery pack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604749B1 (en) Portable termina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ortable terminal case
KR101123747B1 (en) Portable phone having memory card slot
KR101789536B1 (en) Mobile terminal
KR101659004B1 (en) Portable terminal
KR101442543B1 (en) Portable terminal
KR101570378B1 (en) Portable terminal
KR101587136B1 (en) Portable terminal
KR101517239B1 (en) Connector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KR101484537B1 (en) Portable terminal
KR101513618B1 (en) Portab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