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9784B1 - 에지 커넥터 - Google Patents

에지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9784B1
KR101269784B1 KR1020127002307A KR20127002307A KR101269784B1 KR 101269784 B1 KR101269784 B1 KR 101269784B1 KR 1020127002307 A KR1020127002307 A KR 1020127002307A KR 20127002307 A KR20127002307 A KR 20127002307A KR 101269784 B1 KR101269784 B1 KR 101269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cover member
housing
contac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2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1505A (ko
Inventor
마사또 오까노
신 사키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어드밴티스트
몰렉스 재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어드밴티스트, 몰렉스 재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어드밴티스트
Publication of KR20120031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1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9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9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directly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82Coupling device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기판의 양단과 접촉하는 단자의 기판 접촉부가 변위되고, 기판 접촉부에 편향력을 가하는 단자의 스프링부 전체가 변위되고, 스프링부를 변위시킨 커버 부재의 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구성을 가지는 에지 커넥터가 개시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단자의 소성 변형 없이, 안정한 편향력을 기판 접촉부에 부가할 수 있고, 기판 두께의 가변성이 커도 단자의 기판 접촉부를 확실하게 기판에 접촉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에지 커넥터{EDGE CONNECTOR}
본 발명은 에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상대방 커넥터를 인쇄회로기판 등의 기판의 측단에 연결하기 위한 에지 커넥터가 제안되어 있다(예를들면, 일본실용신안출원공개번호 05-057788 참조).
도 4는 종래 에지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4에서, 도면부호 801은, 인쇄회로기판 등의 기판 (891)의 에지에 연결되는 에지 커넥터를 나타내고, 절연성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 (811) 및 금속으로 형성되는 단자 (861a, 861b)를 포함한다. 하우징 (811)은 기판 (891)과 반대측에 개방되는 개구부 (813)를 가지고, 개구부 (813)에는 상대방 커넥터 (미도시)의 삽입부가 삽입된다. 개구부 (813)내에는, 단자 (861a, 861b)의 제1 접촉부 (866a, 866b)가 상대방 커넥터의 삽입부에 배치되는 상대방 단자 (미도시)와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하우징 (811)의 개구부 (813)과 반대측에는, 단자 (861a, 861b)의 제2 접촉부 (864a, 864b)가 외향 돌출되도록 노출된다. 기판 (891)을 제2 접촉부 (864a, 864b) 사이 공간으로 삽입한 뒤, 절연성 재료로 형성되는 가압 부재 (812)로 상측의 제2 접촉부 (864b)를 기판 (891)을 향하여 가압한다. 이 경우, 볼트 (843) 및 너트 (844)를 조여 가압 부재 (812)를 편향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접촉부 (864a, 864b)는 기판 (891)의 양면에 노출하는 연결 패드 (미도시)로 압박되어, 제2 접촉부 (864a, 864b) 및 연결 패드와의 확실한 접촉이 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에지 커넥터에 있어서는, 가압 부재 (812)에 의해 상측의 제2 접촉부 (864b)만을 변위시키게 되므로, 하측의 제2 접촉부 (864a) 및 상측의 제2 접촉부 (864b) 사이 간격의 조정 범위를 충분히 크게 할 수 없다. 그럼에도, 상측의 제2 접촉부 (864b)의 변위량을 크게 하여 하측의 제2 접촉부 (864a) 및 상측의 제2 접촉부 (864b) 사이 간격의 조정 범위를 크게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상측의 제2 접촉부 (864b)의 변위량을 크게 한다면, 접촉부 (864)에 의하여 기판 (891)의 연결 패드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거나, 상측의 제2 접촉부 (864b)가 소성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기판 (891)의 연결 패드에 안정적인 가압력을 부가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의 에지 커넥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기판의 양측과 접촉하는 단자의 기판 접촉부 자유단을 커버 부재로 지지하여, 그 기판 접촉부에 편향력 (biasing force)을 부여하는 단자의 스프링부 전체를 변위 가능하게 하고, 스프링부를 변위시키는 커버 부재의 면을 경사면으로 구성하여, 커버 부재의 변위량이 커도, 단자를 소성 변형시키지 않고 충분히 안정적인 편향력을 기판 접촉부에 부여할 수 있는 에지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기판의 두께의 가변성이 커도, 단자의 기판 접촉부를 확실하게 기판에 접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저비용으로, 내구성이 높고, 신뢰성이 크고 구성이 간단한 에지 커넥터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에지 커넥터는, 일단이 상대방 커넥터 몸체와 끼워져 체결되는 하우징; 상대방 커넥터 몸체의 상대방 연결부와 접촉하는 커넥터 접촉부, 하우징의 타단으로부터 상대방 커넥터 몸체에 반대방향으로 돌출하고, 기판의 연결부와 접촉하는 기판 접촉부를 포함하고, 하우징에 끼워지는 단자; 및 기판의 양면에 대향 배치되는 제1 커버 부재 및 제2 커버 부재를 포함하고, 하우징의 타단에 제공되고, 단자의 기판 접촉부를 수용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한다. 제1 커버 부재는 하우징에 고정되고, 제2 커버 부재는 고정수단에 의해 제1 커버 부재에 결합되고, 고정수단이 제1 커버 부재 및 제2 커버 부재를 서로 고정시켜 에지 커넥터가 기판에 연결된다.
또한, 커버 부재는 단자의 기판 접촉부를 수용하는 단자 수용구를 가지고, 기판 접촉부는, 일단이 고정되고, 하우징의 두께방향 중심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캔틸레버형 접촉상박부, 상박부의 자유단에 형성되고, 연결부와 접촉하는 벤트 돌출부, 벤트 돌출부로부터 비스듬하게 하우징의 두께방향 중심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프링부, 및 스프링부의 자유단에 형성되고, 단자 수용구의 내벽에 접하는는 접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지 커넥터는, 단자 수용구의 내벽이 스프링부와 거의 평행한 압박 경사면을 포함하고, 접합부는 압박 경사면에 접합하는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의하면, 에지 커넥터는, 기판의 양측에 접촉하는 단자의 기판 접촉부가 변위되고, 기판 접촉부에 편향력을 가하는 단자의 스프링부 전체가 변위되고, 스프링부를 변위시킨 커버 부재의 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단자의 소성 변형 없이, 안정한 편향력을 기판 접촉부에 부가할 수 있고, 기판 두께의 가변성이 커도 단자의 기판 접촉부를 확실하게 기판에 접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저비용으로, 내구성이 높고, 신뢰성이 높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에지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지 커넥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지 커넥터의 일부 파단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지 커넥터에 케이블 커넥터를 끼운 체결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에지 커넥터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지 커넥터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지 커넥터의 일부를 파단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지 커넥터에 케이블 커넥터를 끼워 체결한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본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로서의 에지 커넥터는 참조부호 1로 표시되고, 기판 (91)의 일단 (구체적으로 도 1 및 2에서 경사진 우측 하단, 및 도 3에서 우측단), 즉 에지부에 연결된다. 에지 커넥터 (1)에는, 상대방 커넥터로서의 기판 (191)이 끼워져 체결된다. 상대방 커넥터 몸체로서는, 이와 더불어, 메모리 카드, 커넥터 등 다양한 커넥터 몸체가 적용될 수 있다.
기판 (91) 및 상대방 기판 (191)은, 예를들면 컴퓨터 등의 전가기기 또는 장치, 가전제품 등의 전기기기 또는 장치에 사용되는 인쇄회로기판, 연성인쇄회로 (FPC), 또는 연성 평면 케이블 (FFC)로 칭하는 평판형 케이블이고, 평판형 케이블이라면 임의 유형의 기판일 수 있다. 기판 (91)의 에지부의 부근 양면에는, 기판 (91)의 도전성 트레이스(trace)에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부로서의 연결 전극 (92)이 노출된다. 연결 전극 (9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지부를 따라 배치된다. 유사하게, 상대방 기판 (191)의 에지부의 부근서 양면에는, 상대방 기판 (191)의 도전성 트레이스에 연결되는 복수의 상대방 연결부로서의 연결 전극이 노출되지만, 도면에서 도시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에지 커넥터 (1) 및 기타 요소 각 부분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상, 하, 좌, 우, 전, 후 등의 방향을 나타내는 표현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상대적이다. 이러한 표현들은 에지 커넥터 (1) 또는 기타 요소 각 부분이 도면에 나타나는 위치에서 적절하다. 에지 커넥터 (1) 또는 기타 요소 각 부분의 위치가 변경되면, 에지 커넥터 (1) 또는 기타 요소 각 부분의 위치 변화에 따라 이러한 표현도 변경되는 것으로 가정하여야 한다.
에지 커넥터 (1)는,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으로서의 제1 하우징 (11),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 재료로 형성되는 커버 부재 (31), 및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되고, 제1 하우징 (11)에 끼워진 복수의 단자 (61)를 포함한다.
제1 하우징 (11)은 상대방 기판 (191)과 끼워져 체결되는 일단 (도 3에서 우측단), 및 기판 (91)의 에지부에 연결되는 타단 (도 3에 좌측단)을 포함한다.
커버 부재 (31)는 에지부의 부근 기판 (91)의 상면의 일부를 덮는 제2 커버 부재로서의 상부 커버 부재 (31U) 및 에지부의 부근 기판 (91)의 하면의 일부를 덮는 제1 커버 부재로서의 하부 커버 부재 (31L)를 포함한다. 상부 및 하부 커버 부재 (31U, 31L)는 제1 하우징 (11)의 접합면 (도 3에서 우측면)과 반대측에 배치된다. 하측 커버 부재 (31L)는 제1 하우징 (11)에 고정된다. 하측 커버 부재 (31L)를 제1 하우징 (11)에 고정하는 수단은 임의의 수단일 수 있고, 예로써 나사 고정, 접착, 용접, 및 일체화 성형을 포함한다. 상부 커버 부재 (31U)는 고정수단으로서 볼트 (41) 및 너트 (42)에 의해 하부 커버 부재 (31L)에 결합된다.
상부 커버 부재 (31U) 및 하부 커버 부재 (31L)를 통합적으로 설명하는 경우에는, 커버 부재 (31)로 설명한다. 또한, 상부 커버 부재 (31U) 및 하부 커버 부재 (31L)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그 각 부분을 설명하는 경우,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지정하며, 상부 커버 부재 (31U)에 속하는 것에는 U을 부가하고, 하부 커버 부재 (31L)에 속하는 것에는 L을 부가한다.
상부 커버 부재 (31U)에는 결합용 관통공으로 볼트 구멍 (32U)이 형성되고, 하부 커버 부재 (31L)에는 결합용 관통공으로 볼트 구멍 (32L)이 형성된다. 볼트 (41)가 볼트 구멍 (32U, 32L)에 삽입 관통되어, 상부 커버 부재 (31U)는 하부 커버 부재 (31L)에 결합된다.
또한, 기판 (91)에도, 볼트 구멍 (32U, 32L)과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공으로 볼트 구멍 (91a)이 형성된다. 볼트 (41)는 볼트 구멍 (32U, 32L, 91a)에 삽입 관통되고, 너트 (42)와 나사 체결하여, 에지부 부근 기판 (91) 일부는 상부 커버 부재 (31U) 및 하부 커버 부재 (31L)에 의해 수직하게 끼워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판 (91), 제1 하우징 (11) 및 커버 부재 (31)가 서로 결합되고, 에지 커넥터 (1)는 기판 (91)에 연결된다.
제1 하우징 (11)은 상대방 기판 (191)이 끼워져 체결되는 볼록 체결부 (13)을 구비한다. 볼록 체결부 (13)는 접합 면 측에 개방되는 상대방 수용 개구부 (13a)를 구비하고, 상대방 기판 (191)의 선단으로부터 소정 범위가 상대방 수용 개구부 (13a)내에 진입한다. 소정 범위는 연결 전극의 적어도 일부가 존재하는 범위이다.
단자 (61)는 제1 하우징 (11)의 상하 내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단자 수용구 (14)에 끼워진다. 단자 수용구 (14)는 볼록 체결부 (13) 내부로 연장된다.
단자 (61)는 금속판에 펀칭 및 벤딩 가공 등을 가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부재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단자 (61)는 단자 수용구 (14)에 부착되는 몸체부 (62), 해당 몸체부 (62)로부터 전방, 즉 접합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캔틸레버(cantilever)형 접촉 하박부 (fore-arm portion, 63), 접촉 하박부 (63)의 선단 부근에서 제1 하우징 (11)의 두께 방향 (도 3에서 수직방향) 중심으로 돌출하는 접촉 팽윤부 (64)를 포함한다. 또한, 각각의 단자 (61)는 몸체부 (62)로부터 후방, 즉, 접합면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하우징 (11)의 두께 방향의 중심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연장하는 캔틸레버형 접촉 상박부 (65), 상박부 (65)의 자유단을 벤딩하여 형성되고, 제1 하우징 (11)의 두께 방향 중심으로 돌출하는 벤트 돌출부 (66), 벤트 돌출부 (66)로부터 후방에, 또한, 제1 하우징 (11)의 두께 방향 중심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스프링부로서의 지지 스프링부 (67), 지지 스프링부 (67)의 자유단, 즉, 후단에서 제1 하우징 (11)의 두께 방향 중심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접합부로서의 지지 팽윤부 (68)를 포함한다.
접촉 하박부 (63) 및 접촉 팽윤부 (64)는 상대방 기판 (191)의 연결전극과 접촉하는 상대방 접촉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상박부 (65), 벤트 돌출부 (66), 지지 스프링부 (67) 및 지지 팽윤부 (68)는 제1 하우징 (11)의 타단으로부터 돌출하고, 기판 (91)의 연결전극 (92)과 접촉하는 기판 접촉부로서 기능한다.
상박부 (65), 벤트 돌출부 (66), 지지 스프링부 (67) 및 지지 팽윤부 (68)의 적어도 일부는 상부 커버 부재 (31U)의 하면에 형성되는 단자 수용구 (34U) 및 하부 커버 부재 (31L)의 상면에 형성되는 단자 수용구 (34L)내에 수용된다. 단자 수용구 (34U) 및 단자 수용구 (34L)는 에지 커넥터 (1)의 폭방향으로, 제1 하우징 (11)의 단자 수용구 (14)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에지 커넥터 (1)에 상대방 기판 (191)이 끼워져 체결된 상태에서, 접촉 팽윤부 (64)는 상대방 기판 (191)의 양면에 배열되는 각각의 연결전극과 접촉한다. 이 경우, 탄성을 가지는 접촉 하박부 (63)가 판스프링으로 기능하기 때문에, 접촉 팽윤부 (64)는 접촉 하박부 (63)에 의한 편향력에 따라 연결전극의 표면으로 편향되고, 연결전극과의 접촉이 확실하게 유지된다.
또한, 기판 (91), 에지 커넥터 (1) 및 커버 부재 (31)가 서로 결합되는 상태에서, 벤트 돌출부 (66)는 기판 (91)의 양면에 노출되는 연결전극 (92)과 접촉한다.
지지 스프링부 (67)의 일단에 위치하는 지지 팽윤부 (68)가 단자 수용구 (34)의 내벽의 일부에 형성되는 압박 경사면 (35)에 접합하고, 그 압박 경사면 (35)에 의해 제1 하우징 (11)의 두께 방향 중심으로 압박된다. 따라서 지지 스프링부 (67)의 타단에 위치하는 벤트 돌출부 (66)는 기판 (91)의 표면의 연결 전극 (92)를 압박한다. 이때, 탄성을 가지는 지지 스프링부 (67)이 판스프링으로 기능하기 때문에, 벤트 돌출부 (66)은 지지 스프링부 (67)에 의한 편향력에 의해 연결 전극 (92)의 표면으로 더욱 편향되고, 그 연결 전극 (92)과의 접촉을 더욱 확실하게 유지한다.
상기된 바와 같이, 기판 (91)에 결합되는 에지 커넥터 (1)에 상대방 기판 (191)이 끼워져 체결될 때, 상대방 기판 (191)의 연결 전극이 단자 (61)를 통하여 기판 (91)의 대응 연결 전극 (9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대방 기판 (191)의 도전성 트레이스는 기판 (91)의 대응 도전성 트레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단자 (61)의 피치 및 개수는 상대방 기판 (191)의 연결 전극의 피치 및 개수와 기판 (91)의 연결 전극 (92)의 피치 및 개수에 적합하도록 적절하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된 바와 같이, 하부 커버 부재 (31L)는 제1 하우징 (11)에 고정된다. 따라서 하부 커버 부재 (31L) 및 제1 하우징 (11)과의 위치 관계는 불변이다. 이와는 반대로, 상부 커버 부재 (31U) 및 제1 하우징 (11)과의 위치 관계는 가변이고, 상부 커버 부재 (31U)는 제1 하우징 (11)에 대하여 제1 하우징 (11)의 두께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등의 전자기기 또는 장치 및 가전제품 등의 전기기기 또는 장치에 사용되는 인쇄 회로 기판 또는 평면 케이블의 경우, 그 두께 방향의 치수 정밀도는 비교적 낮고 두께 분포 차이가 크다. 예를들면, 시판 인쇄회로기판의 경우, 사양 두께의 약 ±10[%]의 가변성이 있다고 한다. 또한, 양면 역시 반드시 평탄하지 않고, 두께 방향으로 부분적인 가변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에지 커넥터 (1)에서 기판 (91)을 상하로 끼우는 커버 부재 (31) 중 상부 커버 부재 (31U)가 제1 하우징 (11)에 대하여 두께 방향으로 변위하기 때문에, 기판 (91) 두께의 가변성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하부 커버 부재 (31L)는 제1 하우징 (11)에 대하여 변위되지 못하므로 기판 (91)의 하면과 접하는 하부 커버 부재 (31L)의 상면이 기판 (91)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위치 결정 기준면으로 기능한다. 따라서 상부 커버 부재 (31U)가 상방에서 기판 (91)의 상면을 압박하고, 이에 따라 기준면에 대하여 기판 (91)을 두께 방향에서 위치 결정한다.
이 경우, 상기된 바와 같이, 볼트 구멍 (32U, 32L, 91a)에 볼트 (41)를 삽입 관통시키고 너트 (42)로 조여서, 상부 커버 부재 (31U)를 기판 (91)의 상면에 압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판 (91) 두께의 가변성을 흡수하고, 기준면에 대하여 기판 (91)을 두께 방향에서 위치 결정하고, 기판 (91)을 상하로 물려 고정할 수 있다.
이때, 각 단자 (61)의 상박부 (65)의 자유단에 위치하는 벤트 돌출부 (66)는, 탄성을 가지는 상박부 (65) 및 지지 스프링부 (67)가 판스프링으로 기능하기 때문에, 기판 (91)의 양면에 있는 각 연결전극 (92)의 두께 방향 차이에 부합되도록 변위하여, 연결전극 (92)과의 접촉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 스프링부 (67)의 일단에 위치하는 지지 팽윤부 (68)가 단자 수용구 (34)의 내벽 일부에 형성되는 압박 경사면 (35)에 접하고, 그 압박 경사면 (35)에 의해 제1 하우징 (11)의 두께방향 중심으로 압박된다. 압박 경사면 (35)은, 바람직하게는 기판 (91) 평면방향에 대하여 지지 스프링부 (67)와 거의 평행하게 경사를 이룬다. 이로써 상부 커버 부재 (31U)가 압박 경사면 (35)을 기판 (91)의 두께 방향으로 변위시키도록 상승 또는 하강되면, 압박 경사면 (35)에 수직한 변위 성분은 상기 변위보다 작다. 따라서 압박 경사면 (35)에 의해 변위되는 지지 팽윤부 (68)의 압박 경사면 (35)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 변위는, 기판 (91)의 평면방향에 연장되는 평면에 의해 기판 (91)의 두께 방향으로 변위시킨 경우와 비교하면 작아질 것이다.
상기된 바와 같이, 상부 커버 부재 (31U)가 기판 (91)의 두께방향으로 크게 변위되어도, 연결전극 (92)과 접촉하는 벤트 돌출부 (66)에 고정점을 가지는 지지 스프링부 (67)의 일단에 위치하는 지지 팽윤부 (68)는 비교적 작게 변위된다. 따라서 스프링으로 기능하는 지지 스프링부 (67) 전체 변위량이 감소하고, 지지 스프링부 (67)의 소성변형이 방지된다. 따라서 벤트 돌출부 (66)가, 기판 (91)의 양면에 있는 각 연결 전극 (92)의 두께방향의 부분적인 차이에 부합되도록 변위하여도, 안정된 편향력에 의해 연결전극 (92)에 대하여 편향되므로 연결전극 (92)과의 접촉을 더욱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에지 커넥터 (1)는, 일단이 상대방 기판 (191)과 끼워 체결되는 제1 하우징 (11); 상대방 기판 (191)의 연결 전극과 접촉하는 커넥터 접촉부, 제1 하우징 (11)의 타단에서 상대방 기판 (191)과 반대방향으로 돌출하고, 기판 (91)의 연결 전극 (92)과 접촉하는 기판 접촉부를 포함하고, 제1 하우징 (11)에 끼워지는 단자 (61); 및 기판 (91)의 양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하부 커버 부재 (31L) 및 상부 커버 부재 (31U)를 포함하고, 제1 하우징 (11)의 타단에 제공되고, 단자 (61)의 기판 접촉부를 수용하는 커버 부재 (31)를 포함한다. 하부 커버 부재 (31L)는 제1 하우징 (11)의 타면에 고정되고, 상부 커버 부재 (31U)는 볼트 (41) 및 너트 (42)에 의해 하부 커버 부재 (31L)에 결합되고, 볼트 (41) 및 너트 (42)가 하부 커버 부재 (31L) 및 상부 커버 부재 (31U)를 체결하여 에지 커넥터 (1)는 기판 (91)에 연결된다.
또한, 커버 부재 (31)는 각 단자 (61)의 기판 접촉부를 수용하는 단자 수용구 (34)를 포함한다. 기판 접촉부는, 일단이 제1 하우징 (11)에 고정되고, 제1 하우징 (11)의 두께방향 중심으로 비스듬하게 연장하는 캔틸레버형 상박부 (65), 상박부 (65)의 자유단에 형성되고, 연결 전극 (92)과 접촉하는 벤트 돌출부 (66), 벤트 돌출부 (66)로부터 제1 하우징 (11)의 두께 방향 중심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에 비스듬하게 연장하는 지지 스프링부 (67), 및 지지 스프링부 (67)의 자유단에 형성되고, 단자 수용구 (34)의 내벽에 접합하는 지지 팽윤부 (68)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벤트 돌출부 (66)를 연결 전극 (92)과 접촉시키도록, 상박부 (65) 및 지지 스프링부 (67)를 판스프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기판 (91)의 양면에 있는 각 연결 전극 (92)의 두께 방향의 차이에 부합되도록 벤트 돌출부 (66)가 유연하게 변위하고, 연결 전극 (92)과의 안정된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단자 수용구 (34)의 내벽은, 지지 스프링부 (67)와 거의 평행한 압박 경사면 (35)을 포함하고, 지지 팽윤부 (68)는 압박 경사면 (35)에 접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커버 부재 (31)의 변위량이 커도 벤트 돌출부 (66)에 고정점을 가지는 스프링으로 기능하는 지지 스프링부 (67)의 전체의 변위량을 작게 할 수 있어, 연결 전극 (92)과의 접촉을 더욱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청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배제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2)

  1. 일단이 상대방 커넥터와 끼워져 체결되는 하우징; 상대방 커넥터의 상대방 연결부와 접촉하는 커넥터 접촉부, 하우징의 타단에서 상대방 커넥터와 반대방향으로 돌출하고, 기판의 연결부와 접촉하는 기판 접촉부를 포함하고, 하우징에 끼워지는 단자; 및 기판의 양면에 대향 배치되는 제1 커버 부재 및 제2 커버 부재를 포함하고, 하우징의 타단에 제공되고, 단자의 기판 접촉부를 수용하는 커버 부재로 구성되는 에지 커넥터에 있어서,
    제1 커버 부재는 하우징에 고정되고, 제2 커버 부재는 고정수단에 의해 제1 커버 부재에 결합되고; 고정수단은 제1 커버 부재 및 제2 커버 부재를 고정하여 에지 커넥터가 기판에 연결되고; 커버 부재는 단자의 기판 접촉부를 수용하는 단자 수용구를 가지고; 기판 접촉부는, 일단이 고정되고, 하우징의 두께방향 중심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캔틸레버형 접촉상박부, 상박부의 자유단에 형성되고, 연결부와 접촉하는 벤트 돌출부, 벤트 돌출부로부터 비스듬하게 하우징의 두께방향 중심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프링부, 및 스프링부의 자유단에 형성되고, 단자 수용구의 내벽에 접합하는 접합부를 포함하는, 에지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단자 수용구의 내벽은 스프링부와 평행한 압박 경사면을 포함하고, 접합부는 압박 경사면에 접합하는, 에지 커넥터.
KR1020127002307A 2009-06-30 2010-06-30 에지 커넥터 KR1012697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54787A JP5565790B2 (ja) 2009-06-30 2009-06-30 エッジコネクタ
JPJP-P-2009-154787 2009-06-30
PCT/US2010/040594 WO2011002880A1 (en) 2009-06-30 2010-06-30 Edge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1505A KR20120031505A (ko) 2012-04-03
KR101269784B1 true KR101269784B1 (ko) 2013-05-30

Family

ID=43411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2307A KR101269784B1 (ko) 2009-06-30 2010-06-30 에지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50854B2 (ko)
JP (1) JP5565790B2 (ko)
KR (1) KR101269784B1 (ko)
TW (1) TWI547027B (ko)
WO (1) WO201100288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1183A3 (en) * 2018-09-04 2020-04-16 Samtec, Inc. Ultra-dense, low-profile edge card connector
US11495899B2 (en) 2017-11-14 2022-11-08 Samtec, Inc. Data communicat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44183B2 (en) 2013-03-15 2020-08-18 Elixirgen Therapeutics, Inc. Methods of using ZSCAN4 for rejuvenating human cells
WO2015041513A1 (en) * 2013-09-20 2015-03-26 Mimos Berhad A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US9397444B1 (en) * 2015-06-01 2016-07-19 Dinkle Enterprise Co., Ltd. Terminal block wiring device
US9515402B1 (en) * 2015-09-25 2016-12-06 Intel Corporation Structures for edge-to-edge coupling with flexible circuitry
US10630012B2 (en) 2016-11-10 2020-04-21 Qingdao Bright Medical Manufacturing Co., Ltd. Semi-automatic connector for flexible circuit
CN207338716U (zh) * 2017-07-05 2018-05-08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器
US11811157B2 (en) * 2022-03-03 2023-11-07 Dell Products L.P. Printed circuit board edge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3364A (en) * 1973-12-06 1975-12-02 Executone Inf Sys Inc Shielded flexible conductor cable and assembly thereof
JP2584917B2 (ja) 1991-09-05 1997-02-2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成樹脂管の受口加工方法
JP3006206B2 (ja) * 1991-09-18 2000-02-07 富士通株式会社 表面実装型コネクタ
JP2566808Y2 (ja) * 1992-01-07 1998-03-30 日本電気株式会社 表面実装用コネクタ
JPH10321319A (ja) * 1997-05-21 1998-12-04 Dai Ichi Denshi Kogyo Kk 電気コネクタ
DE19725966C1 (de) * 1997-06-19 1998-12-17 Harting Kgaa Steckverbinder für Kartenrandmontage
JP3381059B2 (ja) * 1998-06-29 2003-02-2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ソケットコネクタ
JP2000208183A (ja) * 1998-07-27 2000-07-28 Tyco Electronics Amp Kk カ―ドエッジコネクタ
DE10037744A1 (de) * 2000-08-02 2002-02-14 Siemens Ag Gerät mit Chipkarte
US8057263B1 (en) * 2010-07-12 2011-11-15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dge connectors having stamped signal contac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95899B2 (en) 2017-11-14 2022-11-08 Samtec, Inc. Data communication system
WO2020051183A3 (en) * 2018-09-04 2020-04-16 Samtec, Inc. Ultra-dense, low-profile edge card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014253A (ja) 2011-01-20
US20120088388A1 (en) 2012-04-12
TW201112521A (en) 2011-04-01
WO2011002880A1 (en) 2011-01-06
US8550854B2 (en) 2013-10-08
KR20120031505A (ko) 2012-04-03
JP5565790B2 (ja) 2014-08-06
TWI547027B (zh) 2016-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9784B1 (ko) 에지 커넥터
US9065228B2 (en) Connector
JP4098290B2 (ja) Ffc用コネクタ
US7238032B2 (en) Connector arrangement between a flat flex cable and a component
KR100776894B1 (ko)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안정된 접속이 가능한 전기접속 부재및 그것을 사용하는 커넥터
US7374429B2 (en) Connector assembly
US11233346B2 (en) Board-to-board connector
US20130330970A1 (en) Board-to-board connector
US8113887B2 (en) Card connector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01584086A (zh) 具有预载荷盖的边缘连接器
US20080108237A1 (en) Ball grid array socket having a positioning device
US8942007B2 (en) Electrical component
JP2018206624A (ja) 多接点コネクタ
US5588846A (en) Right angle electrical connector
US20220344846A1 (en) Board mounted connector
JP6473435B2 (ja) コネクタ
US6899565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holddown for ground connection
JP4748674B2 (ja) コネクタ
JP2011243462A (ja) コネクタ
JP2021064470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JP5776894B2 (ja) コネクタ装置
US20240106141A1 (en)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and Battery Pack Signal Acquisition Device
JP4845116B2 (ja) コネクタ装置
JPH08203624A (ja) 電気コネクタ
JP4462635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