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4137B1 - 분기관의 제조 방법 및 분기관의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분기관의 제조 방법 및 분기관의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4137B1
KR101264137B1 KR1020127023842A KR20127023842A KR101264137B1 KR 101264137 B1 KR101264137 B1 KR 101264137B1 KR 1020127023842 A KR1020127023842 A KR 1020127023842A KR 20127023842 A KR20127023842 A KR 20127023842A KR 101264137 B1 KR101264137 B1 KR 101264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opening
hole
branch
branch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3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8066A (ko
Inventor
다이키 오구라
다쓰시 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20118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8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4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4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6/00Shaping without cutting otherwise than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or yieldable or resilient pads, i.e. applying fluid pressure or magnetic forces
    • B21D26/02Shaping without cutting otherwise than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or yieldable or resilient pads, i.e. applying fluid pressure or magnetic forces by applying fluid pressure
    • B21D26/033Deforming tubular bodies
    • B21D26/037Forming branched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10Stamping using yieldable or resilient pads
    • B21D22/12Stamping using yieldable or resilient pads using enclosed flexible chambers
    • B21D22/125Stamping using yieldable or resilient pads using enclosed flexible chambers of tubular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15Making tubes of special shape; Making tube fittings
    • B21C37/28Making tube fittings for connecting pipes, e.g. U-pieces
    • B21C37/29Making branched pieces, e.g. T-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15Making tubes of special shape; Making tube fittings
    • B21C37/28Making tube fittings for connecting pipes, e.g. U-pieces
    • B21C37/29Making branched pieces, e.g. T-pieces
    • B21C37/294Forming collars by compressing a fluid or a yieldable or resilient mass in the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08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single or successive action of pressing tools, e.g. vice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10Stamping using yieldable or resilient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28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tubes or other hollow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5/00Combined processes according to or processes combined with methods covered by groups B21D1/00 - B21D31/00
    • B21D35/001Shaping combined with punching, e.g. stamping and perfo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분기관(分岐管)의 제조 방법은, 탄성체(81)에 의해 소재관(素材管)(200)의 내면을 가압함으로써 소재관(200)의 본체부(250)로부터 팽출부(膨出部)(300)를 팽출시키면서, 팽출부(300)의 선단(先端) 부분에 주위 방향 C를 따른 개구를 형성하는 제1 팽출 공정과, 탄성체(81)에 의해 소재관(200)의 내면을 가압함으로써 본체부(250)로부터 팽출부(300)를 팽출시키는 제2 팽출 공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분기관의 제조 방법 및 분기관의 제조 장치{METHOD FOR MANUFACTURING BRANCHED PIPE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RANCHED PIPE}
본 발명은, 소재관(素材管)의 분기관(分岐管)의 제조 방법 및 분기관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소재관의 내면을 가압함으로써, 소재관의 일부를 팽출(膨出)시키는 분기관의 제조 방법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제조 방법에 의하면, 소재관의 본체부로부터 팽출부를 팽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팽출부의 두께의 균일화를 목적으로 하여, 팽출부의 선단(先端) 부분을 오목하게 하면서 팽출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 참조).
일본공개특허 2000―117341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소55―144334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방법에서는, 팽출부의 선단 부분에 형성되는 오목부에 있어서 재료의 유동성(流動性)이 제한된다. 그러므로, 팽출부의 성장이 억제되어 버린다.
한편, 팽출부의 성장을 강제적으로 촉진시키기 위해 소재관의 내면에 인가되는 압력을 크게 하면, 오목부의 주변만이 급격하게 박형화(薄型化)되는 것에 의해, 팽출부에 균열이 생기기 쉽게 되어 버린다.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서는, 팽출부가 본체부로부터 팽출하는 방향에 있어서 팽출부가 본체부로부터 팽출하는 폭(이하, 「팽출폭」이라고 함)을 증대시키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팽출부의 팽출폭을 증대시킬 수 있는 분기관의 제조 방법 및 분기관의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발명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방법은, 소재관의 내부에 탄성체를 장전(裝塡)하는 탄성체 장전 공정과, 탄성체에 의해 소재관의 내면을 가압함으로써 소재관의 본체부의 일부를 팽출시킴으로써 형성되는 팽출부를 팽출시키면서, 팽출부의 선단 부분에 소정의 방향을 따른 개구를 형성하는 제1 팽출 공정과, 상기 제1 팽출 공정 후, 탄성체에 의해 소재관의 내면을 가압함으로써 본체부로부터 팽출부를 팽출시키는 제2 팽출 공정을 포함한다.
제1 발명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개구가 형성된 후에, 팽출부가 더욱 팽출된다. 따라서, 개구를 기점(基点)으로 하여 재료의 유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팽출부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팽출부의 본체부로부터의 팽출폭을 증대시킬 수 있다.
제2 발명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방법은, 제1 발명에 관한 것이며, 제1 팽출 공정에 있어서, 소정의 방향을 따른 슬릿을 개구로서 형성한다.
제2 발명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가늘고 긴 개구를 간단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3 발명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방법은, 제1 발명에 관한 것이며, 제1 팽출 공정에 있어서, 소정의 방향을 따른 복수의 구멍을 개구로서 형성한다.
제3 발명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작은 압력에 의해 간단하고 용이하게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제4 발명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방법은, 제1 내지 제3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관한 것이며, 제1 팽출 공정에 있어서, 개구를 원환형(圓環形)으로 형성한다.
제4 발명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팽출부의 선단으로부터 원판부가 잘라내어지므로, 팽출부의 선단에서의 구속을 효율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그 결과, 재료의 유동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5 발명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방법은, 제1 내지 제4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관한 것이며, 탄성체는, 탄성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원기둥체이며, 제1 팽출 공정 및 제2 팽출 공정에 있어서, 원기둥체를 축 방향으로 압축함으로써, 소재관의 내면을 가압한다.
제5 발명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원기둥체의 기둥면으로부터 소재관의 내면에 대하여 균등하게 가압할 수 있다.
제6 발명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방법은, 제1 내지 제4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관한 것이며, 탄성체는, 탄성 부재에 의해 구성되며, 액체를 주입 가능한 포장체이며, 제1 팽출 공정 및 제2 팽출 공정에 있어서, 포장체에 액체를 주입함으로써, 소재관의 내면을 가압한다.
제6 발명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탄성체 자체를 압축하기 위한 설비를 설치할 필요를 없게 할 수 있다.
제7 발명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장치는, 소재관을 수용하는 파이프공과, 파이프공으로부터 파이프공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분기공을 가지는 성형형(成形型; forming mold)과, 파이프공 내로부터 분기공 내를 본 경우에 소정의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파이프공 측을 향해 예리하게 돌출하는 개구 형성부를 가지는 개구 형성형과, 성형형에 압력을 가하기 위한 가압부를 구비한다.
제7 발명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장치에 의하면, 개구 형성부에 의해, 분기공 내로 팽출하는 팽출부에 대하여, 소정의 방향을 따른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개구가 형성된 후에, 가압부에 의해 팽출부를 더욱 팽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개구를 기점으로 하여 재료의 유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팽출부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팽출부의 본체부로부터의 팽출폭을 증대시킬 수 있다.
제8 발명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장치는, 제7 발명에 관한 것이며, 개구 형성부는, 분기공의 주위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절단날이다.
제8 발명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장치에 의하면, 가늘고 긴 개구를 간단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9 발명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장치는, 제8 발명에 관한 것이며, 개구 형성부는, 외주면과 외주면에 대하여 예각(銳角)을 이루는 내주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10 발명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장치는, 제7 발명에 관한 것이며, 개구 형성부는, 분기공의 주위 방향을 따라 정렬되는 복수의 뿔체이다.
제10 발명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장치에 의하면, 작은 압력에 의해 간단하고 용이하게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제11 발명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장치는, 제7 내지 제9 어느 하나의 발명에 관한 것이며, 개구 형성형은, 파이프공 내로부터 본 경우에 개구 형성부를 따르는 홈부를 가진다.
제11 발명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장치에 의하면, 팽출부 중 개구 형성부와 맞닿은 개소(箇所)에 인접하는 부분을 홈부 내로 국부적으로 팽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팽출부를 핀 포인트로 박형화 가능하므로, 효율적으로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제12 발명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장치는, 제10 발명에 관한 것이며, 홈부는, 분기공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개구 형성부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고, 홈부는, 바닥면과 바닥면으로부터 개구 형성부의 선단을 향해 경사지는 측면을 가진다.
제12 발명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장치에 의하면, 팽출부에 개구가 형성되었을 때, 팽출부 중 개구의 외측 에지가 홈부의 측면으로 신속하게 가압된다. 따라서, 개구의 외측 에지와 측면과의 사이에 간극(間隙)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개구로부터 탄성체를 구성하는 탄성 부재가 누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13 발명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장치는, 제10 또는 제11의 발명에 관한 것이며, 개구 형성형은, 홈부를 사이에 두고 개구 형성부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돌기부를 가진다.
제13 발명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장치에 의하면, 팽출부의 선단 부분에 있어서, 개구 형성부와 돌기부와의 사이로의 재료의 유동(流動)을 제한할 수 있다. 그 결과, 팽출부의 소정 개소를 신속하게 박형화 가능하므로, 효율적으로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제14 발명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장치는, 제7 또는 제13의 발명에 관한 것이며, 개구 형성형은, 개구 형성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맞닿음부를 가지고 있고, 맞닿음부는, 분기공의 중심선과 직교하는 평탄한 맞닿은 면을 포함하고 있다.
제14 발명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장치에 의하면, 팽출부의 선단 부분을 맞닿은 면에 접촉시킴으로써, 팽출부 내에서의 재료의 유동성을 더욱 향상시키고, 개구 형성부에 의한 효율적인 개구의 형성을 도모할 수 있다.
제15 발명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장치는, 제7 내지 제12 어느 하나의 발명에 관한 것이며, 개구 형성형은, 성형형에 고정되어 있다.
제16 발명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장치는, 제13의 발명에 관한 것이며, 개구 형성형은, 성형형에 대하여 착탈(着脫)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팽출부의 팽출폭을 증대시킬 수 있는 분기관의 제조 방법 및 분기관의 제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관한 성형형(40)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파이프공 H1 내로부터 분기공 H2 내를 본 평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관한 개구 형성형(60)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제1 실시예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제1 실시예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1 실시예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제1 실시예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제1 실시예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제1 실시예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제1 실시예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제1 실시예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제1 실시예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제2 실시예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9는 제2 실시예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제2 실시예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실시예에 관한 개구 형성형(260)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2는 실시예에 관한 개구 형성형(260)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3은 실시예에 관한 개구 형성형(360)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상이하게 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한다. 또한, 도면 상호 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다.
{제1 실시예}
[분기관의 제조 장치(100)의 구성]
제1 실시예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장치(100)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은, 분기관의 제조 장치(100)에 소재관(200)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제1 실시예에서는, 소재관(200)으로서 환형(環形)의 스트레이트관을 사용하는 것으로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소재관(200)으로서는, 각형(角型)의 스트레이트관이나 환형 또는 각형의 휨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분기관의 제조 장치(100)는, 베이스(10), 지지부(20), 쿠션 핀(30), 성형형(40), 기부(基部)(50), 개구 형성형(60), 피스톤(70), 압력 전달부(80), 관 가압부(85), 플레이트(90) 및 유압 실린더(95)를 구비한다.
베이스(10)는, 분기관의 제조 장치(100)의 최하부를 구성한다.
지지부(20)는, 베이스(10) 상에 고정된다. 지지부(20)는, 쿠션 핀(30)을 지지하는 리턴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을 내장한다.
쿠션 핀(30)은, 지지부(20)에 의해, 연직(鉛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쿠션 핀(30)은, 리턴 스프링에 의해 연직 방향 상방향으로 가압된다. 쿠션 핀(30)은, 성형형(40)의 상하 운동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킨다.
성형형(40)은, 쿠션 핀(30)에 의해, 연직 방향을 따라 상하 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성형형(40)은, 하형(41)과 상형(42)에 의해 구성된다.
여기서, 도 2는 제1 실시예에 관한 성형형(40)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성형형(40)은, 파이프공 H1, 분기공 H2, 끼워맞춤 홈 M, 및 볼트공 N을 가진다.
파이프공 H1은, 소재관(200)을 수용한다. 파이프공 H1은, 성형형(40)의 하면으로부터 상면까지 관통한다. 그리고, 제1 실시예에 있어서, 파이프공 H1의 중심선 A는, 연직 방향을 따른다(도 1 참조).
분기공 H2는, 파이프공 H1의 내면으로부터 파이프공 H1의 외측을 향해 연장된다. 분기공 H2는, 파이프공 H1의 내면으로부터 성형형(40)의 측면까지 관통한다. 그리고, 제1 실시예에 있어서, 분기공 H2의 중심선 B는, 파이프공 H1의 중심선 A에 대하여 수직이다. 따라서, 분기공 H2의 중심선 B는, 수평 방향을 따른다(도 1 참조).
끼워맞춤 홈 M은, 분기공 H2의 내면에 형성된다. 끼워맞춤 홈 M은, 분기공 H2의 중심선 B를 중심으로 하여 환형으로 형성된다. 도시하지 않지만, 끼워맞춤 홈 M의 하반분은 하형(41)에 형성되어 있고, 끼워맞춤 홈 M의 상측 절반은 상형(42)에 형성되어 있다.
볼트공 N은, 끼워맞춤 홈 M의 내면으로부터 성형형(40)의 측면까지 관통한다.
기부(50)는, 끼워맞춤 홈 M에 끼워맞추어진다. 기부(50)는, 볼트공 N에 나사결합되는 볼트(55)에 의해 성형형(4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 기부(50)는, 분기공 H2를 도중에서 막고 있다.
개구 형성형(60)은, 분기공 H2 내에 배치된다. 개구 형성형(60)은, 기부(50)의 파이프공 H1 측에 고정된다. 따라서, 개구 형성형(60)은, 기부(50)와 함께 성형형(4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개구 형성형(60)은, 소재관(200)의 팽출부(300)(도 9 참조)에 개구를 형성한다. 개구 형성형(60)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피스톤(70)은, 베이스(10) 상에 고정된다. 피스톤(70)은, 압력 전달부(80)를 지지한다. 피스톤(70)은, 성형형(40)의 상하 운동에 따라 파이프공 H1에 삽입 및 인출된다.
압력 전달부(80)는, 탄성체(81), 지지축(82), 및 탄성체 가압부(83)에 의해 구성된다. 압력 전달부(80)는, 플레이트(90)를 통하여 유압 실린더(95)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소재관(200)의 내면으로 전달한다.
탄성체(81)는, 탄성 부재(예를 들면, 고무 등)에 의해 구성되는 원기둥체이다. 탄성체(81)는, 파이프공 H1의 중심선 A를 따라 배치된다. 탄성체(81)는, 중심선 A를 따라 인가되는 압력에 대하여 탄성 변형된다.
지지축(82)은, 파이프공 H1의 중심선 A를 따라 배치된다. 지지축(82)의 하단부는, 피스톤(70)에 고정된다. 지지축(82)은, 탄성체(81)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탄성체 가압부(83)는, 탄성체(81) 상에 배치된다. 탄성체 가압부(83)는, 예를 들면, 금속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판형 부재이다. 탄성체 가압부(83)는, 지지축(82)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탄성체 가압부(83)는, 플레이트(90)로부터 받는 연직 방향 하방향의 힘을 탄성체(81)에 전달한다.
관 가압부(85)는, 소재관(200)과 플레이트(90)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관 가압부(85)는, 예를 들면, 금속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환형 부재이다.
플레이트(90)는, 성형형(40) 상에 배치된다. 플레이트(90)는, 도시하지 않은 액추에이터로부터 받는 연직 방향 하방향의 힘을, 성형형(40), 탄성체 가압부(83), 및 관 가압부(85)로 전달한다.
유압 실린더(95)(가압부의 일례)는, 플레이트(90) 상에 배치된다. 유압 실린더(95)는, 도시하지 않은 유압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압유(壓油)에 의해 구동되고, 플레이트(90)를 통하여 성형형(40)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개구 형성형(60)의 구성]
다음에, 제1 실시예에 관한 개구 형성형(60)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파이프공 H1 내로부터 분기공 H2 내를 본 평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관한 개구 형성형(60)의 사시도이다.
개구 형성형(60)은, 개구 형성부(61), 맞닿음부(62), 및 홈부(63)를 가진다.
개구 형성부(61)는, 파이프공 H1 내로부터 분기공 H2 내를 본 경우에, 분기공 H2의 중심선 B를 중심으로 하는 주위 방향 C(도 4 참조)를 따라 형성되는 절단날이다. 구체적으로, 개구 형성부(61)는, 외주면 S1과, 외주면 S1에 대하여 예각 D(도 3 참조)를 이루는 내주면 S2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외주면 S1은, 분기공 H2의 내주면에 평행하며, 내주면 S2는, 분기공 H2의 내주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개구 형성부(61)는, 파이프공 H1 측을 향해 예리하게 돌출되어 있다.
맞닿음부(62)는, 분기공 H2의 중심선 B를 기준으로 하여, 개구 형성부(61)의 내측에 형성된다. 맞닿음부(62)는, 파이프공 H1 측으로 돌출한다. 맞닿음부(62)는, 개구 형성부(61)에 둘러싸진 섬과 같이 배치된다. 맞닿음부(62)는, 분기공 H2의 중심선 B와 직교하는 맞닿은 면(62S)을 가지고 있다. 맞닿은 면(62S)은, 중심선 B와 직교하도록 넓어지는 평탄한 면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분기관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맞닿은 면(62S)에 팽출부(300)의 선단이 맞닿는 것에 의해, 팽출부(300)의 중앙 선단의 성장이 억제된다.
홈부(63)는, 분기공 H2의 중심선 B를 기준으로 하여, 개구 형성부(61)의 내측에 형성된다. 홈부(63)는, 개구 형성부(61)와 맞닿음부(62)와의 사이에 있어서, 주위 방향 C를 따라 원환형으로 형성된다.
(분기관의 제조 방법)
다음에, 제1 실시예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도 6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스톤(70) 상에 압력 전달부(80)를 배치한다. 구체적으로는, 피스톤(70) 상에 배치된 탄성체(81) 및 탄성체 가압부(83)의 위쪽으로부터 지지축(82)을 꽂는다.
다음에,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체(81)의 위쪽으로부터 소재관(200)을 장착함으로써, 소재관(200)의 내부에 탄성체(81)를 장전한다. 이어서, 소재관(200) 상에 관 가압부(85)를 배치한다.
다음에,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형(42)을 하형(41) 상에 고정시킴으로써 성형형(40)을 조립한다. 이어서, 플레이트(90)와 유압 실린더(95)를 성형형(40)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한다. 이로써, 분기관의 제조 장치(100)가 완성된다.
다음에,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체(81)에 의해 소재관(200)의 내면을 가압함으로써, 소재관(200)의 본체부(250)의 일부를 팽출시킴으로써 팽출부(300)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도시하지 않은 액추에이터에 의해 플레이트(90)를 연직 방향 하방향으로 누름으로써, 탄성체(81) 및 관 가압부(85)를 축 방향(즉, 파이프공 H1의 중심선 A 방향)으로 압축한다. 이로써, 탄성체(81)로부터 소재관(200)의 내면에 압력이 인가되고, 또한 소재관(200) 자체가 축 방향(즉, 파이프공 H1의 중심선 A 방향)으로 압축된다.
여기서, 도 10은, 도 9의 부분 확대도이다. 팽출부(300)는, 본체부(250)로부터 분기공 H2 내로 팽출하기 시작한다. 팽출부(300)의 선단 부분은, 개구 형성형(60)에 도달한다.
다음에, 탄성체(81)에 의해 소재관(200)의 내면을 다시 가압함으로써, 팽출부(300)를 더욱 팽출시킨다.
여기서, 도 11은, 도 10의 시점의 후, 탄성체(81)에 의해 소재관(200)의 내면을 더욱 가압한 상태를 나타낸다. 팽출부(300) 중 개구 형성부(61)와의 접촉 개소로부터 맞닿음부(62)와의 접촉 개소까지의 부분(이하, 「환형 부분 P」라고 함)은, 홈부(63) 내로 팽출하기 시작한다. 동시에, 환형 부분 P의 외측 에지가 개구 형성부(61)에 가압되는 것에 의해, 환형 오목부 Q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환형 부분 P의 변형대(變形代)가 홈부(63) 내에 설치되어 있는 한편, 환형 부분 P로의 재료의 유동은 환형 오목부 Q에 있어서 제한되어 있다. 그러므로, 팽출부(300)는, 환형 오목부 Q에 있어서 핀 포인트로 박형화된다.
다음에,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체(81)에 의해 소재관(200)의 내면을 더욱 가압함으로써, 팽출부(300)의 선단 부분에 환형 오목부 Q(도 11 참조)에 따른 개구를 형성한다(이하, 「제1 팽출 공정」이라고 한다.
여기서, 도 13은, 도 12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팽출부(300)를 개구 형성부(61) 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환형 부분 P의 외측 에지는, 절단날인 개구 형성부(61)에 가압되는 것에 의해 절단된다. 이로써, 팽출부(300)의 선단 부분에는, 주위 방향 C를 따른 슬릿 R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는, 주위 방향 C를 따른 슬릿 R이 개구로서 형성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개구 형성부(61)는 원환형의 절단날이므로, 슬릿 R은 원환형으로 형성된다. 그 결과, 원판부 S가, 팽출부(300)의 선단 부분으로부터 잘라 떼어내진다.
다음에,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체(81)에 의해 소재관(200)의 내면을 더욱 가압함으로써, 팽출부(300)를 더욱 팽출시킨다(이하, 「제2 팽출 공정」이라고 한다.
여기서, 도 16은, 도 15의 부분 확대도이다. 팽출부(300)의 선단 부분은, 원판부 S의 구속을 받지 않고 성장한다. 이로써, 팽출부(300)가 본체부(250)로부터 팽출하는 방향(즉, 중심선 B를 따른 방향)에 있어서 팽출부(300)가 본체부(250)로부터 팽출하는 폭(이하, 「팽출폭 W」라고 함)이 증대된다. 그리고, 원판부 S는, 개구 형성형(60)에 들러 붙은 채로 잔류한다.
다음에, 액추에이터에 의한 가압을 해제한다. 이 때, 탄성체(81)는, 탄성 변형에 의해 원형(原形)으로 복귀한다.
다음에, 성형형(40)을 해체한 후에, 팽출부(300)가 형성된 소재관(200)을 인출한다.
(작용 및 효과)
(1) 제1 실시예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방법은, 탄성체(81)에 의해 소재관(200)의 내면을 가압함으로써 소재관(200)의 본체부(250)로부터 팽출부(300)를 팽출시키면서, 팽출부(300)의 선단 부분에 주위 방향 C를 따른 개구(슬릿 R)를 형성하는 제1 팽출 공정과, 탄성체(81)에 의해 소재관(200)의 내면을 가압함으로써 본체부(250)로부터 팽출부(300)를 팽출시키는 제2 팽출 공정을 포함한다.
제1 실시예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개구가 형성된 후에, 팽출부(300)가 더욱 팽출된다. 따라서, 개구를 기점으로 하여, 구속을 받지 않고 재료를 유동시킬 수 있으므로, 팽출부(300)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팽출부(300)의 본체부(250)로부터의 팽출폭 W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개구는, 주위 방향 C를 따라 가늘고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개구가 작은 환공(丸孔)인 경우 등과 비교하여, 재료의 유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소재관(200)의 내면을 가압하는 매체로서, 탄성체(81)가 사용된다. 따라서, 매체로서 액체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개구로부터 매체가 누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탄성체(81)는, 가압의 해제에 따라 원형으로 복귀한다. 따라서, 탄성체(81)를 매체로서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2) 제1 실시예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방법에서는, 제1 팽출 공정에 있어서, 주위 방향 C를 따른 슬릿 R이 개구로서 형성된다. 따라서, 가늘고 긴 개구를 간단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방법에서는, 개구가 원환형으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팽출부(300)의 선단으로부터 원판부 S가 잘라내어지므로, 팽출부(300)의 선단에서의 구속을 효율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그 결과, 재료의 유동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3) 제1 실시예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방법에서는, 탄성체(81)로서 탄성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원기둥체가 사용되고 있고, 제1 팽출 공정 및 제2 팽출 공정에 있어서, 원기둥체를 축 방향(파이프공 H1의 중심선 A 방향)으로 압축함으로써, 소재관(200)의 내면을 가압한다.
따라서, 원기둥체의 기둥면으로부터 소재관(200)의 내면에 대하여 균등하게 가압할 수 있다.
(4) 제1 실시예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장치(100)는, 개구 형성부(61)를 가지는 개구 형성형(60)과, 탄성체(81)를 가지는 압력 전달부(80)를 구비한다. 개구 형성부(61)는, 파이프공 H1 내로부터 분기공 H2 내를 본 경우에 주위 방향 C를 따라 설치된다. 개구 형성부(61)는, 파이프공 H1 측을 향해 예리하게 돌출한다.
제1 실시예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장치(100)에 의하면, 개구 형성부(61)에 의해, 분기공 H2 내로 팽출하는 팽출부(300)에 대하여, 주위 방향 C를 따른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개구가 형성된 후에, 압력 전달부(80)에 의해 팽출부(300)를 더욱 팽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개구를 기점으로 하여 재료의 유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팽출부(300)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팽출부(300)의 본체부(250)로부터의 팽출폭 W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개구 형성부(61)가 주위 방향 C를 따라 설치되므로, 개구는, 주위 방향 C를 따라 가늘고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개구가 작은 환공인 경우 등과 비교하여, 재료의 유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압력 전달부(80)는, 소재관(200)의 내면을 가압하는 매체로서, 탄성체(81)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매체로서 액체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개구로부터 매체가 누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탄성체(81)는, 가압의 해제에 따라 원형으로 복귀한다. 따라서, 탄성체(81)를 매체로서 반복 이용할 수 있다.
(5) 제1 실시예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장치(100)에 있어서, 개구 형성부(61)는, 주위 방향 C를 따라 설치되는 절단날이다.
그러므로, 주위 방향 C를 따른 슬릿 R을 개구로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가늘고 긴 개구를 간단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6) 제1 실시예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장치(100)에 있어서, 개구 형성형(60)은, 파이프공 H1 내로부터 본 경우에 개구 형성부(61)를 따르는 홈부(63)를 가진다.
그러므로, 환형 부분 P를 홈부(63) 내에 국부적으로 팽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팽출부(300)를 환형 오목부 Q에 있어서 핀 포인트로 박형화 가능하므로, 효율적으로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7) 제1 실시예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장치(100)에 있어서, 탄성체(81)는, 탄성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원기둥체이다. 압력 전달부(80)는, 원기둥체를 축 방향으로 압축함으로써, 소재관(200)의 내면을 가압한다.
따라서, 원기둥체의 기둥면으로부터 소재관(200)의 내면에 대하여 균등하게 가압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의 구성]
이하에 있어서, 제2 실시예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장치(100)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7은, 제2 실시예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분기관의 제조 장치(100)는, 개구 형성형(160)의 구성에 있어서 제1 실시예와 상위하다. 이하에 있어서는, 제1 실시예와의 상위점에 대하여 주로 설명한다.
[개구 형성형(160)의 구성]
도 18은, 도 17의 부분 확대도이다.
개구 형성형(160)은, 개구 형성부(161), 돌기부(162), 홈부(163), 및 맞닿음부(164)를 가진다.
개구 형성부(161)는, 상기 제1 실시예에 관한 개구 형성부(61)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즉, 개구 형성부(161)는, 파이프공 H1 내로부터 분기공 H2 내를 본 경우에, 분기공 H2의 중심선 B를 중심으로 하는 주위 방향 C(도 4 참조)를 따라 형성되는 절단날이다. 구체적으로, 개구 형성부(161)는, 외주면 S1과, 외주면 S1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는 내주면 S2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162)는, 홈부(163)를 사이에 두고 개구 형성부(161)의 반대측에 있어서, 홈부(163)를 따른다. 돌기부(162)는, 파이프공 H1 측으로 돌출한다. 돌기부(162)는, 개구 형성부(161)의 외측을 에워싸도록 원환형으로 형성된다.
홈부(163)는, 분기공 H2의 중심선 B를 기준으로 하여, 개구 형성부(161)의 외측에 설치된다. 즉, 홈부(163)는, 개구 형성부(161)와 돌기부(162)와의 사이에 있어서, 주위 방향 C를 따라 원환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홈부(163)는, 바닥면(163S1)과 측면(163S2)을 가진다. 측면(163S2)은 바닥면(163S1)으로부터 개구 형성부(161)의 선단을 향해 형성되는 경사면이다. 즉, 측면(163S2)은, 파이프공 H1 측을 향해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파이프공 H1 측을 향할수록 중심선 B에 가까워진다.
맞닿음부(164)는, 개구 형성부(161)의 내측에 설치된다. 맞닿음부(164)는, 분기공 H2의 중심선 B와 직교하는 맞닿은 면(164S)을 가지고 있다. 맞닿은 면(164S)은, 중심선 B와 직교하도록 넓어지는 평탄한 면이며, 개구 형성부(161)의 내주면 S2에 연속되어 있다.
(분기관의 제조 방법)
다음에, 제2 실시예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제1 실시예와의 상위점에 대하여 주로 설명한다.
먼저, 탄성체(81)에 의해 소재관(200)의 내면을 가압함으로써, 소재관(200)의 본체부(250)로부터 팽출부(300)를 팽출시킨다.
여기서, 도 19는, 팽출부(300)의 선단 부분이 개구 형성형(160)에 가압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팽출부(300) 중 개구 형성부(161)와의 접촉 개소로부터 돌기부(162)와의 접촉 개소까지의 부분(이하, 「환형 부분 P'」라고 함)은, 홈부(163) 내로 팽출하기 시작한다. 동시에, 환형 부분 P'의 내측 에지가 개구 형성부(161)에 가압되는 것에 의해, 환형 오목부 Q1이 형성된다. 또한, 환형 부분 P'의 외측 에지가 돌기부(162)에 가압되는 것에 의해, 환형 오목부 Q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환형 부분 P'의 변형대가 홈부(163) 내에 설치되어 있는 한편, 환형 부분 P'로의 재료의 유동은 환형 오목부 Q1뿐아니라 환형 오목부 Q2에 있어서도 제한되어 있다. 그러므로, 팽출부(300)는, 환형 오목부 Q1에 있어서 핀 포인트로 박형화된다.
다음에, 탄성체(81)에 의해 소재관(200)의 내면을 더욱 가압함으로써, 팽출부(300)의 선단 부분에 환형 오목부 Q1을 따른 개구를 형성한다(이하, 「제1 팽출 공정」이라고 한다). 이어서, 탄성체(81)에 의해 소재관(200)의 내면을 더욱 가압함으로써, 팽출부(300)를 더욱 팽출시킨다(이하, 「제2 팽출 공정」이라고 한다).
여기서, 도 20은 팽출부(300)의 선단 부분에 개구가 형성된 후에 팽출부(300)가 팽출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환형 부분 P'의 내측 에지는, 개구 형성부(61)에 가압되는 것에 의해 절단된다. 이로써, 팽출부(300)의 선단 부분에는, 주위 방향 C를 따른 슬릿 R'가 형성된다. 이 때, 환형 부분 P'의 내측 에지는, 홈부(163)의 측면(163S2)으로 가압된다.
또한, 환형 부분 P'의 내측 에지가 원판부 S'로부터 잘라 떼어내지므로, 팽출부(300)는 원판부 S'의 구속을 받지 않고 성장한다. 이 때, 환형 부분 P'는, 분기공 H2의 중심선 B를 중심으로 하여 외측 방향으로 인장된다. 그러므로, 본체부(250)로부터의 재료의 유동(화살표 방향 X로 도시)뿐아니라, 환형 부분 P'로부터의 재료의 유동(화살표 방향 Y로 도시)이 발생한다.
(작용 및 효과)
(1) 제2 실시예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장치(100)에 있어서, 홈부(163)는, 분기공 H2의 중심선 B를 기준으로 하여, 개구 형성부(161)의 외측에 설치된다. 홈부(163)는, 바닥면(163S1)으로부터 개구 형성부(161)의 선단을 향해 경사지는 측면(163S2)을 가진다.
그러므로, 팽출부(300)에 개구(슬릿 R')가 형성되었을 때, 환형 부분 P'의 내측 에지는, 홈부(163)의 측면(163S2)에 신속하게 가압된다. 따라서, 측면(163S2)이 바닥면(163S1)에 대하여 수직인 경우와 비교하여, 환형 부분 P'의 내측 에지와 측면(163S2)과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개구로부터 탄성체(81)를 구성하는 탄성 부재가 누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2) 제2 실시예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장치(100)에 있어서, 개구 형성형(160)은, 돌기부(162)를 가진다. 돌기부(162)는, 홈부(163)를 사이에 두고 개구 형성부(161)의 반대측에 설치된다.
그러므로, 환형 부분 P'의 내측 에지에 환형 오목부 Q1이 형성되고, 또한 환형 부분 P'의 외측 에지에 환형 오목부 Q2가 형성된다. 따라서, 환형 부분 P'로의 재료의 유동은, 환형 오목부 Q1뿐아니라 환형 오목부 Q2에 있어서도 제한할 수 있다. 그 결과, 환형 오목부 Q1을 따른 개구를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3) 제2 실시예에 관한 분기관의 제조 장치(100)에 있어서, 개구 형성부(161)는, 돌기부(162) 및 홈부(163)의 내측에 설치된다.
그러므로, 환형 부분 P'의 내측 에지를 따라 개구가 형성된다. 따라서, 환형 부분 P'의 내측 에지를 따라 개구가 형성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2 팽출 공정에서의 재료의 유동(특히, 도 20의 화살표 방향 Y를 참조)을 촉진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팽출부(300)의 본체부(250)로부터의 팽출폭 W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그 외의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의해 기재했지만, 이 개시된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다양한 대체 실시예,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명백해 질 것이다.
(A)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개구 형성형(60, 160)은 주위 방향 C를 따라 원환형으로 형성되는 개구 형성부(61, 161)를 가지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개구 형성부(61, 161) 중 적어도 일부가, 파이프공 H1 내로부터 본 경우에 소정의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도 21은 개구 형성형(260)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 형성형(260)은, 개구 형성부(261)와 베이스(262)를 가진다. 개구 형성부(261)는, 분기공 H2의 중심선 B와 직교하는 직경 방향 D를 따라 형성된다.
도 22는 개구 형성형(260)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 형성형(260)은, 개구 형성부(261)와 베이스(262)를 가진다. 개구 형성부(261)는, 제1 개구 형성부(261a) 및 제2 개구 형성부(261b)에 의해 구성된다. 제1 개구 형성부(261a) 및 제2 개구 형성부(261b) 각각은, 분기공 H2의 중심선 B와 직교하는 직경 방향 D를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지만, 개구 형성부(61, 161, 261)는, 기부(50) 상에 직접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B)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개구 형성부(61, 161)는, 절단날인 것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개구 형성부(61, 161)는, 상기 소정의 방향을 따라 정렬되는 복수의 뿔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23은 개구 형성형(360)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 형성형(360)은, 개구 형성부(361)와 베이스(362)를 가진다. 개구 형성부(361)는, 복수의 뿔체(361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뿔체(361a)는, 주위 방향 C를 따라 정렬된다. 복수의 뿔체(361a) 각각은, 파이프공 H1 측을 향해 예리하게 돌출하는 원뿔체이다.
이와 같은 개구 형성형(360)에 의하면, 제1 팽출 공정에 있어서, 주위 방향 C를 따른 복수의 구멍을 개구로서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제2 팽출 공정에서는, 개구[즉, 단속적(斷續的)으로 형성된 복수의 구멍 각각]가 넓어져, 인접하는 개구와 일체로 되어 슬릿을 형성한다.
따라서, 개구를 기점으로 하여 재료를 유동시킬 수 있으므로, 팽출부(300)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팽출부(300)의 팽출폭 W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구멍이 개구로서 형성되므로, 한번에 슬릿을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작은 압력에 의해 간단하고 용이하게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C)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개구 형성형(60)은, 홈부(63)를 가지는 것으로 하였으나, 홈부(63)를 가지고 있지 않아도 된다(도 21 및 도 22 참조).
(D)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개구 형성형(60, 160)은, 기부(50)에 고정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성형형(40)에 직접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E)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개구 형성부(61)의 내각 D는 예각인 것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개구 형성부(61)의 에지가 예리하면 되고, 내각 D가 90° 또는 둔각(鈍角)이라도, 소기(所期)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F)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특히 접촉되어 있지 않지만, 분기공 H2의 중심선 B를 따른 방향에 있어서, 개구 형성부(61)의 높이는, 맞닿음부(62)의 높이와 같은 정도라도 된다. 마찬가지로, 분기공 H2의 중심선 B를 따른 방향에 있어서, 개구 형성부(161)의 높이는, 돌기부(162)의 높이와 같은 정도라도 된다.
(G)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체(81)는, 탄성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원기둥체인 것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탄성체(81)는, 탄성 부재에 의해 구성되며, 내부에 액체를 주입 가능한 포장체라도 된다. 압력 전달부(80)는, 포장체에 액체를 주입함으로써, 소재관(200)의 내면을 가압하면 된다. 따라서, 이 경우, 분기관의 제조 장치(100)는, 액추에이터나 피스톤(70) 등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탄성체(81)는, 탄성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다각(多角) 기둥체 등이라도 된다.
(H)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분기관의 제조 장치(100)는, 탄성체(81)의 일단과 맞닿은 1개의 피스톤(70)을 구비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분기관의 제조 장치(100)는, 탄성체(81)의 양단과 맞닿은 한쌍의 피스톤(70)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I)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체(81)에 의해 소재관(200)의 내면을 가압할 때, 소재관(200) 자체가 축 방향으로 압축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소재관(200) 자체의 압축을 따르지 않고 팽출부(300)가 형성되어도 된다.
(J)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성형형(40)은, 하형(41)과 상형(42)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팽출부(300)가 형성된 소재관(200)을 꺼낼 수 있으면 되고, 성형형(40)은, 어떻게든 분해 가능한 구성이라도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여기서는 기재하고 있지 않은 다양한 실시예 등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한 설명으로부터 타당한 특허 청구의 범위에 관한 발명 특정 사항에 의해서만 정해지는 것이다.
[산업 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분기관의 제조 분야에 있어서 이용 가능하다.
100: 분기관의 제조 장치, 10: 베이스, 20: 지지부, 30: 쿠션 핀, 40: 성형형, 41: 하형, 42: 상형, 50: 기부, 55: 볼트, 60, 160, 260, 360: 개구 형성형, 61, 161, 261, 361: 개구 형성부, 262: 베이스, 62, 164: 맞닿음부, 162: 돌기부, 63, 163: 홈부, 70: 피스톤, 80: 압력 전달부, 81: 탄성체, 82: 지지축, 83: 탄성체 가압부, 85: 관 가압부, 90: 플레이트, 200: 소재관, 250: 본체부, 300: 팽출부, H1: 파이프공, H2: 분기공, M: 끼워맞춤 홈, N: 볼트공, P, P′: 환형 부분, Q, Q1, Q2: 환형 오목부, R, R′: 슬릿, S, S′: 원판부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소재관을 수용하는 파이프공과, 상기 파이프공으로부터 상기 파이프공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분기공을 가지는 성형형(成形型; forming mold);
    상기 분기공 내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공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離隔)된 위치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파이프공 내로부터 상기 분기공 내를 본 경우에 소정의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파이프공 측을 향해 예리하게 돌출하는 개구 형성부를 가지는 개구 형성형;
    상기 성형형에 압력을 가하기 위한 가압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 형성부는, 상기 분기공의 주위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절단날이고,
    상기 개구 형성부는, 외주면과 상기 외주면에 대하여 예각(銳角)을 이루는 내주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분기관의 제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형성부는, 상기 분기공의 주위 방향을 따라 정렬되는 복수의 뿔체인, 분기관의 제조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형성형은, 상기 파이프공 내로부터 본 경우에 상기 개구 형성부를 따르는 홈부를 가지는, 분기관의 제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분기공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개구 형성부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부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개구 형성부의 선단을 향하여 경사지는 측면을 가지는, 분기관의 제조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형성형은, 상기 홈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개구 형성부의 반대측에 설치되는 돌기부를 가지는, 분기관의 제조 장치.
  11.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형성형은, 상기 개구 형성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맞닿음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맞닿음부는, 상기 분기공의 중심선과 직교하는 평탄한 맞닿은 면을 포함하고 있는, 분기관의 제조 장치.
  12.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형성형은, 상기 성형형에 고정되어 있는, 분기관의 제조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형성형은, 상기 성형형에 대하여 착탈(着脫) 가능한, 분기관의 제조 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27023842A 2010-07-30 2011-07-28 분기관의 제조 방법 및 분기관의 제조 장치 KR1012641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71971 2010-07-30
JP2010171971 2010-07-30
PCT/JP2011/067357 WO2012015007A1 (ja) 2010-07-30 2011-07-28 分岐管の製造方法及び分岐管製造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066A KR20120118066A (ko) 2012-10-25
KR101264137B1 true KR101264137B1 (ko) 2013-05-14

Family

ID=45530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3842A KR101264137B1 (ko) 2010-07-30 2011-07-28 분기관의 제조 방법 및 분기관의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33123B2 (ko)
JP (1) JP5095879B2 (ko)
KR (1) KR101264137B1 (ko)
CN (1) CN102905812B (ko)
DE (1) DE112011100899B4 (ko)
WO (1) WO20120150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71511B2 (en) 2002-01-03 2009-08-11 Irobot Corporation Autonomous floor-cleaning robot
US6690134B1 (en) 2001-01-24 2004-02-10 Irobo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obot localization and confinement
US8428778B2 (en) 2002-09-13 2013-04-23 Irobot Corporation Navigational control system for a robotic device
ATE536577T1 (de) 2004-06-24 2011-12-15 Irobot Corp Fernbediente ablaufsteuerung und verfahren für eine autonome robotervorrichtung
ES2706729T3 (es) 2005-12-02 2019-04-01 Irobot Corp Sistema de robot
ATE442619T1 (de) 2005-12-02 2009-09-15 Irobot Corp Modularer roboter
US20090044370A1 (en) 2006-05-19 2009-02-19 Irobot Corporation Removing debris from cleaning robots
KR101529848B1 (ko) 2007-05-09 2015-06-17 아이로보트 코퍼레이션 표면 처리 로봇
TWI504451B (zh) * 2012-09-14 2015-10-21 Ind Tech Res Inst 管件的製法及其液壓成型模具
CN104070101B (zh) * 2014-06-25 2016-03-02 郑州万达重工股份有限公司 厚壁双金属三通管冷压成型工艺
CN106270100B (zh) * 2015-06-23 2018-09-04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液压冲孔翻边方法及分块式冲孔翻边装置
DE102017218420A1 (de) * 2017-10-16 2019-04-1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Bauteils
CN114309229B (zh) * 2021-12-27 2022-12-02 中国科学院金属研究所 一种成形-冲孔-翻边一体化的冲击液压成形模具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6944A (ja) 2000-03-31 2001-10-16 Kawasaki Hydromechanics Corp チューブハイドロフォーミングの成形方法および成形機
JP2007105788A (ja) 2005-10-17 2007-04-26 Nisshin Steel Co Ltd ピアシング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カウンターパンチ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47626Y1 (ko) * 1965-02-20 1969-03-24
US3495486A (en) * 1967-06-09 1970-02-17 Western Electric Co Methods of simultaneously cutting portions of a member having differing resistances to cutting action
US3451113A (en) * 1967-07-27 1969-06-24 Robert Stuart Holden T-fitting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3815394A (en) * 1971-09-15 1974-06-11 Elbows Automatic Inc Machine and method for forming tubular adjustable elbows
JPS5154135U (ko) * 1974-10-24 1976-04-24
JPS55144334A (en) 1979-04-27 1980-11-11 Nippon Baruji Kogyo Kk Liquid pressure bulging method
US4513497A (en) * 1980-06-05 1985-04-30 The Babcock & Wilcox Company Tube expanding system
JPH07275973A (ja) * 1994-04-05 1995-10-24 Toyo Fuitsutengu Kk 複数の分岐管を有する金属管の製造方法および該金属管を使用した配管ヘッダー
JP2000117341A (ja) 1998-10-15 2000-04-25 Calsonic Corp パイプのバルジ成形方法
US6497128B1 (en) * 2001-03-16 2002-12-24 Dana Corporation Method of hydroforming a fuel rail for a vehicular fuel delivery system
SE525494C2 (sv) * 2002-05-15 2005-03-01 Flow Holdings Sagl Formningsverktyg samt membranpress innefattande sådant formningsverktyg
JP2004001022A (ja) * 2002-05-30 2004-01-08 Bridgestone Corp ランフラットタイヤ用支持体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DE102007017190A1 (de) * 2007-04-12 2008-04-30 Daimler Ag Verfahren zum Verbinden eines Innenhochdruckumformteils mit einem Anschlussbauteil sowie Innenhochdruckumformwerkzeu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6944A (ja) 2000-03-31 2001-10-16 Kawasaki Hydromechanics Corp チューブハイドロフォーミングの成形方法および成形機
JP2007105788A (ja) 2005-10-17 2007-04-26 Nisshin Steel Co Ltd ピアシング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カウンターパン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066A (ko) 2012-10-25
JPWO2012015007A1 (ja) 2013-09-12
DE112011100899B4 (de) 2014-08-21
WO2012015007A1 (ja) 2012-02-02
JP5095879B2 (ja) 2012-12-12
US8833123B2 (en) 2014-09-16
US20130000373A1 (en) 2013-01-03
CN102905812B (zh) 2014-04-09
DE112011100899T5 (de) 2012-12-27
CN102905812A (zh) 201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4137B1 (ko) 분기관의 제조 방법 및 분기관의 제조 장치
JP2006263752A (ja) 液圧成形方法と装置
JP5231671B1 (ja) 継手およびそのフェルール製造方法
JP5876224B2 (ja) アッパーサポートの製造方法
JP2012519257A (ja) 自動車のタイミングチェーンシステム構成要素およびその方法
KR101776096B1 (ko) 파이프 확관장치 및 그 확관장치를 이용한 파이프 확관방법
KR100988139B1 (ko) 스러스트축의 형단조 금형장치
KR20110107921A (ko) 하이드로포밍 튜브의 펀치장치
JP2007105788A (ja) ピアシング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カウンターパンチ
JP2008221261A (ja) 金属製板状体と柱状体とのカシメ組付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製造装置。
JP2010247199A (ja) プレス製ワークの部分増肉方法及びその増肉装置
JP5358323B2 (ja) 防振装置の製造方法
JP5194854B2 (ja) 金属製部品の破断方法及び金属製部品の破断装置
CN107600053B (zh) 车辆手刹用的手刹压杆及加工方法
JP5672692B2 (ja) ナット部品の製造方法
JP2011161446A (ja) 楕円筒状部材の製造方法、及びプレス装置。
JP2011177730A (ja) バルジ加工を用いた金属管の成形方法および成形装置
EP3988226A1 (en) Joined body and production method for same
CN201795169U (zh) 油管压板结构
JP2023131188A (ja) 繊維強化樹脂製筋金棒体の定着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212281A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成形型
JP2006198696A (ja) 支持脚片並びに支持脚片を備える射出成形金型装置並びに支持脚片の製造方法。
JP5364028B2 (ja) 防振装置の製造方法
RU53600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штамповки поперечных рифтов на трубах
RU51541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штамповки поперечных рифтов на труба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