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8333B1 -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8333B1
KR101258333B1 KR1020107026874A KR20107026874A KR101258333B1 KR 101258333 B1 KR101258333 B1 KR 101258333B1 KR 1020107026874 A KR1020107026874 A KR 1020107026874A KR 20107026874 A KR20107026874 A KR 20107026874A KR 101258333 B1 KR101258333 B1 KR 101258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spunbond nonwoven
thermoplastic
weight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6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3436A (ko
Inventor
나오스케 구니모토
Original Assignee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13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3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8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8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filaments produced in association with filament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2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82Melt spinning methods of mixed yarn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98Melt spinning methods with simultaneous stretching
    • D01D5/0985Melt spinning methods with simultaneous stretching by means of a flowing gas (e.g. melt-blow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0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1F6/0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polyolefi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7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uretha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yarns or filaments produced by wel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81Spun-bonded nonwoven fab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벌키성, 초기 친수성 및 내구 친수성, 유연성, 내보풀성, 신축성 및 촉감이 우수하고, 끈적거림이 적은 생리용 냅킨, 팬티라이너, 실금 패드, 종이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로서 적합한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A) 장섬유 90 내지 10중량%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B) 장섬유 10 내지 90중량%를 포함하는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열가소성 수지(A) 장섬유가 친수화 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 상기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 및 세컨드 시트 및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의 용도{FILAMENT-MIXED SPUN-BONDED NONWOVEN FABRIC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벌키성(bulkiness), 초기 친수성 및 내구 친수성, 유연성, 내보풀성, 신축성 및 촉감이 우수하고, 끈적거림이 적은 생리용 냅킨, 팬티라이너, 실금 패드, 종이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 및/또는 세컨드 시트 또는 흡수체를 싸는 시트(코어 랩)로서 적합한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부직포는 통기성, 유연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배출 또는 배설된 경혈이나 소변 등의 액체를 빠르게 흡수체에 이행시키는 흡수 성능이나, 착용자의 피부에 맞닿는 면이 유연하고, 피부에 주는 자극이 적다고 하는 표면 특성이 요구되는 종이 기저귀,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용 표면 시트로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표면 시트의 표면 감촉성, 웨트백성(wet backing properties)을 개량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고수축성 섬유 시트와 저수축성 또는 비수축성 부직포를 적층 일체화한 후, 열처리하는 것에 의해 고수축성 섬유 시트를 수축시켜 표면에 주름을 형성시키는 방법이, 특허문헌 2에는, 열풍 처리하여 벌키성을 부여하여 이루어지는 벌키한 부직포와 열처리에 의해 권축(捲縮)하는 잠재 권축성 섬유 부직포를 적층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배설된 소변 등의 액체의 흡수, 이행 속도를 개량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3에는, 소수성 섬유층과 친수성 섬유층이 층상으로 겹쳐진 벌키한 물 난투과성부와 소수성 섬유와 친수성 섬유가 혼재하여 이루어지는 물 투과성부를 갖춘 복합상 구조를 갖는 부직포로 하는 방법이, 특허문헌 4에는, 친수성 섬유와 발수성(撥水性) 섬유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부직포로 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부직포를 열처리하여 벌키성을 부여하는 방법은, 공정이 번잡해지고, 또한 열처리에 의해 부직포를 형성하는 섬유가 가늘어지는 경우는 없고, 경우에 따라서는 열수축하여 섬유 직경이 굵어지는 경우도 있어, 결국 열처리하는 것에 의해 유연성, 촉감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친수성 섬유와 발수성 섬유를 혼합한 부직포는 벌키성이 불충분하여, 유연성, 벌키성을 모두 갖는 표면 시트는 얻어지고 있지 않다.
한편, 특허문헌 5에는, 프로필렌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스펀본드 부직포 등의 부직포를 친수화하는 수단으로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터 등의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를 첨가하는 방법이 다수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계면 활성제를 첨가함으로써, 초기의 친수성(일반적인 광의의 친수성을 나타냄. 본 명세서에서는, 내구 친수성과 구별하기 위해, 초기 친수성이라고 표기하는 경우도 있음)은 개량되는 것도, 내구 친수성[보통의 실온보다 약간 높은 정도의 온도(약 40℃ 정도) 이상의 환경에 일정 시간 노출된 후의 친수성을 말하고, 본 명세서에서 이하 동일함]이 뒤떨어지는 것이 밝혀졌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제1994-128853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제2003-250836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공개 제2002-20957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 특허공개 제2004-73759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 특허공개 제2006-188804호 공보
본 발명의 과제는 벌키성, 내구 친수성 및 초기 친수성, 유연성, 내보풀성, 신축성 및 촉감이 우수하고, 끈적거림이 적은 생리용 냅킨, 팬티라이너, 실금 패드, 종이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 및/또는 세컨드 시트 또는 흡수체를 싸는 시트(코어 랩)로서 적합한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가지 검토한 결과, 친수화 처리된 열가소성 수지 장섬유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장섬유를 혼섬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A) 장섬유 90 내지 10중량%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B) 장섬유 10 내지 90중량%를 포함하는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열가소성 수지(A) 장섬유가 친수화 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 상기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 및 세컨드 시트 및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는 벌키성, 초기 친수성 및 내구 친수성, 유연성, 내보풀성, 신축성 및 촉감이 우수하고, 끈적거림이 적다고 하는 특징을 겸비하고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 또는 세컨드 시트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의 섬유 직경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편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접혀진 부분의 40배 및 200배 현미경 사진이다.
<열가소성 수지(A)>
본 발명의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를 형성하는 성분 중 하나인 열가소성 수지 장섬유의 원료가 되는 열가소성 수지(A)로서는, 여러가지 공지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A)는, 후술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B)와는 다른 수지상 중합체로서, 보통 융점(Tm)이 100℃ 이상인 결정성 중합체 또는 유리전이온도가 100℃ 이상인 비결정성 중합체이다. 이들 열가소성 수지(A) 중에서도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A) 중에서도,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여 공지된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하여 얻을 수 있는 부직포의 최대점 신도가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이고, 또한 탄성 회복이 거의 없는 성질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신장성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신장성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B) 장섬유와 혼섬하여 얻어지는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를 예를 들면 표면 시트로서 사용할 때에,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를 연신 가공하여 신장성 열가소성 수지 장섬유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B) 장섬유가 연신된 후, 응력이 해방되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B) 장섬유만이 탄성 회복하고, 늘어난(신장된) 신장성 열가소성 수지 장섬유는 탄성 회복하지 않고 습곡(褶曲)하여,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에 벌키감이 발현하고, 게다가 신장되는 것에 의해 신장성 열가소성 수지 장섬유는 가늘어져서, 유연성, 촉감이 좋아짐과 함께, 신장 정지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열가소성 수지(A)로 이루어지는 스펀본드 부직포의 최대점 신도의 상한은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보통 300% 이하이다.
열가소성 수지(A)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에틸렌, 프로필렌, 1-뷰텐, 1-헥센, 4-메틸-1-펜텐 및 1-옥텐 등의 α-올레핀의 단독 또는 공중합체인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이른바, L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이른바, HDPE), 폴리프로필렌(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폴리1-뷰텐, 폴리4-메틸-1-펜텐,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에틸렌·1-뷰텐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1-뷰텐 랜덤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터(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뷰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등), 폴리아마이드(나일론-6, 나일론-66, 폴리메타자일렌 아디프아마이드 등), 폴리염화바이닐, 폴리이미드, 에틸렌·아세트산바이닐 공중합체, 에틸렌·바이닐알코올 공중합체, 에틸렌·(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에스터-일산화탄소 공중합체,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타이렌, 아이오노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등의 프로필렌계 중합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마이드 등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열가소성 수지(A) 중에서도, 성형시의 방사 안정성이나 부직포의 연신 가공성의 관점에서 프로필렌계 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프로필렌계 중합체로서는, 융점(Tm)이 135℃ 이상인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 또는 프로필렌과 10몰% 이하의 에틸렌, 1-뷰텐, 1-펜텐, 1-헥센, 1-옥텐, 4-메틸-1-펜텐 등의 탄소수 2 이상(단, 탄소수 3을 제외함),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단, 탄소수 3을 제외함)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이들 프로필렌계 중합체 중에서도, 융점이 135 내지 155℃인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는, 신축성, 초기 친수성 및 내구 친수성, 유연성, 촉감 등이 우수한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프로필렌계 중합체는, 용융 방사할 수 있는 한, 용융 유량(MFR: ASTM D-1238, 230℃, 하중 2160g)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보통 1 내지 1000g/10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0g/10분,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g/10분의 범위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Mw)과 수평균 분자량(Mn)의 비 Mw/Mn은 보통 1.5 내지 5.0이다. 방사성이 양호하고, 또한 섬유 강도가 특별히 우수한 섬유를 얻을 수 있는 점에서, 1.5 내지 3.0의 범위가 더 바람직하다. Mw 및 Mn은 GPC(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공지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프로필렌계 중합체에, 방사성, 연신 가공성의 관점에서, 소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0중량% 범위의 양으로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을 첨가한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단, 프로필렌계 중합체 + HDPE = 100중량%)은, 얻어지는 부직포 적층체의 연신 가공 적성을 더 향상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프로필렌계 중합체에 첨가되는 HDPE는 특별히 제한이 없지만, 보통 밀도 0.94 내지 0.97g/cm3, 바람직하게는 0.95 내지 0.97g/cm3, 더 바람직하게는 0.96 내지 0.97g/cm3의 범위에 있다. 또한, 방사성을 갖는 한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신장성을 발현시키는 관점에서, HDPE의 용융 유량(MFR: ASTM D-1238, 190℃, 하중 2160g)은, 보통 0.1 내지 100g/10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0g/10분,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g/10분의 범위에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양호한 방사성이란, 방사 노즐로부터의 토출 시 및 연신 중에 실 절단이 생기지 않고, 필라멘트의 융착이 생기지 않는 것을 말한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B)>
본 발명의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를 형성하는 성분 중 하나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B)로서는, 여러가지 공지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사용할 수 있고, 2종류 이상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병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폴리스타이렌-폴리뷰타다이엔-폴리스타이렌 블록 코폴리머(SBS라고 호칭), 폴리스타이렌-폴리아이소프렌-폴리스타이렌 블록 코폴리머(SIS라고 호칭), 그들의 수소 첨가물인 폴리스타이렌-폴리·에틸렌·뷰틸렌-폴리스타이렌 블록 코폴리머(SEBS라고 호칭) 및 폴리스타이렌-폴리·에틸렌·프로필렌-폴리스타이렌 블록 코폴리머(SEPS라고 호칭)로 대표되는 적어도 1개의 스타이렌 등의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로 구성되는 중합체 블록과 적어도 1개의 뷰타다이엔 또는 아이소프렌 등의 공액 다이엔 화합물로 구성되는 중합체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블록 공중합체 또는 그의 수소 첨가물인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 고결정성 방향족 폴리에스터와 비결정성 지방족 폴리에터로 구성되는 블록 공중합체로 대표되는 폴리에스터계 엘라스토머; 결정성이고 고융점인 폴리아마이드와 비결정성이고 유리전이온도(Tg)가 낮은 폴리에터 또는 폴리에스터로 구성되는 블록 공중합체로 대표되는 폴리아마이드계 엘라스토머; 하드 세그먼트가 폴리우레탄이고 소프트 세그먼트가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올, 에터계 폴리올, 카프로락톤계 폴리에스터 또는 아디페이트계 폴리에스터 등으로 구성되는 블록 공중합체로 대표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 비결정성 또는 저결정성의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등의 단독, 또는 상기 비결정성 또는 저결정성 랜덤 공중합체와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또는 프로필렌과 소량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결정성 폴리올레핀을 혼합한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염화바이닐계 엘라스토머; 불소계 엘라스토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로서는, 폴리스타이렌 블록과 뷰타다이엔 고무 블록 또는 아이소프렌 고무 블록을 베이스로 한, 다이블록 및 트라이블록 코폴리머를 들 수 있다. 상기 고무 블록은 불포화 또는 완전히 수소 첨가된 것일 수도 있다.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KRATON 폴리머(상품명, 쉘케미컬(주)제), SEPTON(상품명, 쿠라레이(주)제), TUFTEC(상품명, 아사히화성공업(주)제), 레오스토머(상품명, 리켄테크노스(주)제) 등의 상품명으로 제조·판매되고 있다.
폴리에스터계 엘라스토머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HYTREL(상품명, E.I.듀퐁(주)제), 펠프렌(상품명, 도요보(주)제) 등의 상품명으로 제조·판매되고 있다.
아마이드계 엘라스토머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PEBAX(상품명, 아토피나·재팬(주)제)의 상품명으로 제조·판매되고 있다.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로서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TAFMER(상품명, 미쓰이화학(주)제), VISTAMAXX(상품명, Exxon Mobil사제), 에틸렌-옥텐 공중합체인 Engage(상품명, 듀퐁다우엘라스토머사제), 결정성 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CATALLOY(상품명, 몬텔(주)제) 등의 상품명으로 제조·판매되고 있다.
염화바이닐계 엘라스토머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레오닐(상품명, 리켄테크노스(주)제), 포스밀(상품명, 신에츠폴리머(주)제) 등의 상품명으로 제조·판매되고 있다.
이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B) 중에서도,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가 바람직하고, 특히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는 신축성, 가공성을 갖고, 게다가 초기 친수성 및 내구 친수성이 우수한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 중에서도, 응고 개시 온도가 65℃ 이상, 바람직하게는 75℃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85℃ 이상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가 바람직하다. 응고 개시 온도의 상한값은 195℃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응고 개시 온도는 시차주사열량계(DSC)를 사용하여 측정되는 값으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를 10℃/분으로 230℃까지 승온시켜, 230℃에서 5분간 유지한 후, 10℃/분으로 강온시킬 때에 생기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의 응고에서 유래하는 발열 피크의 개시 온도이다. 응고 개시 온도가 65℃ 이상이면,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를 얻을 때에 섬유끼리의 융착, 실 절단, 수지 덩어리 등의 성형 불량을 억제할 수 있음과 더불어, 열 엠보싱 가공시에는 성형된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가 엠보싱 롤러에 감겨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얻어지는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도 끈적거림이 적어, 예를 들면 의료(衣料), 위생 재료, 스포츠 재료 등의 피부와 접촉하는 재료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한편, 응고 개시 온도를 195℃ 이하로 함으로써, 성형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성형된 섬유의 응고 개시 온도는 이것에 사용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의 응고 개시 온도보다도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의 응고 개시 온도를 65℃ 이상으로 조정하기 위해서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의 원료로서 사용하는 폴리올,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 및 쇄 연장제에 대하여, 각각 최적의 화학 구조를 갖는 것을 선택함과 함께, 하드 세그먼트의 양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하드 세그먼트 양이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의 제조에 사용한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과 쇄 연장제의 합계 중량을 폴리올,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 및 쇄 연장제의 총량으로 나누어 100을 곱한 중량 퍼센트(중량%) 값이다. 하드 세그먼트 양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중량%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50중량%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8중량%이다.
또한, 이러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는, 바람직하게는 극성 용매 불용분의 입자수가 300만개/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만개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00만개 이하이다. 여기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 중의 극성 용매 불용분이란, 주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의 제조 중에 발생하는 피쉬 아이(fish eye)나 겔 등의 괴상물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의 하드 세그먼트 응집물에서 유래하는 성분, 및 하드 세그먼트 및/또는 소프트 세그먼트가 알로파네이트 결합, 뷰렛 결합 등에 의해 가교된 성분 등,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를 구성하는 원료 및 이 원료간의 화학 반응에 의해 생기는 성분이다.
극성 용매 불용분의 입자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를 다이메틸아세토아마이드 용매(이하, 「DMAC」라고 약칭함)에 용해시켰을 때의 불용분을, 세공 전기 저항법을 이용한 입도 분포 측정 장치에 100㎛의 개구(aperture)를 장착하여 측정한 값이다. 100㎛의 개구를 장착하면, 미가교 폴리스타이렌 환산으로 2 내지 60㎛인 입자의 수를 측정할 수 있다.
극성 용매 불용분의 입자수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 1g에 대하여 300만개 이하이도록 함으로써,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의 응고 개시 온도 범위 내에서, 섬유 직경 분포의 증대, 방사시의 실 절단 등의 문제를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대형 스펀본드 성형 기계에서의 부직포의 성형에 있어서 스트랜드 중에의 기포의 혼입, 또는 실 절단의 발생을 억제한다는 관점에서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의 수분값이 350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ppm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50ppm 이하인 것이다.
또한 신축성의 관점에서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가, 시차주사열량계(DSC)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온도가 90 내지 140℃의 범위에 있는 흡열 피크로부터 구해지는 융해 열량의 총합(a)과, 피크 온도가 140℃ 초과 220℃ 이하의 범위에 있는 흡열 피크로부터 구해지는 융해 열량의 총합(b)이, 하기 수학식 I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기 수학식 II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하기 수학식 III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수학식 I]
a / (a+b) ≤ 0.8
[수학식 II]
a / (a+b) ≤ 0.7
[수학식 III]
a / (a+b) ≤ 0.55
여기서, 「a / (a+b)」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의 하드 도메인의 융해 열량비(단위:%)를 의미한다.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의 하드 도메인의 융해 열량비가 80% 이하로 되면, 섬유, 특히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에 있어서의 섬유 및 부직포의 강도 및 신축성이 향상한다. 본 발명에서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 하드 도메인의 융해 열량비 하한값은 0.1%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는, 온도 200℃, 전단 속도 100sec-1의 조건에서의 용융 점도가 100 내지 3000Pa·s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2000Pa·s,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1500Pa·s이다. 여기서, 용융 점도는 캐피로그래프(도요정기(주)제, 노즐 길이 30mm, 직경 1mm인 것을 사용)로 측정한 값이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제2004-244791호 공보에 기재된 제조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극성 용매 불용분이 적은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폴리올,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 및 쇄 연장제의 중합 반응을 행한 후 여과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친수화 처리제>
본 발명의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에 초기 친수성 및 내구 친수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열가소성 수지(A) 장섬유에 친수성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 친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친수화 처리제로서는,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가 바람직하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터, 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터,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터, 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페닐에터 등의 에터형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 알킬글리코시드 등의 다가 알코올에터형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프로필렌 지방산 에스터 등의 에스터형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 수크로스 지방산 에스터, 솔비탄 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프로필렌 지방산 에스터 등의 다가 알코올 에스터형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 지방산 알칸올 아마이드, 탄소수 8 내지 18의 아실기를 갖는 지방족 아마이드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등의 아마이드계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단독일 수도, 2종 이상의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혼합물일 수도 있다.
에터형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탄소수가 8 내지 50인 알킬기 또는 탄소수가 8 내지 18인 알킬기를 갖는 알킬페닐기를 갖는 계면 활성제가 바람직하다.
이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중에서도, 지방족 알코올의 탄소수가 10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4, 보다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22인 지방족 알코올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로 이루어지는 에터형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AE형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 및 탄소수 8 내지 18의 지방산과의 에스터를 갖는 에스터형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가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A) 장섬유를 친수화 처리하는 방법으로서는, 계면 활성제를 첨가하는 방법, 보다 구체적으로는, 계면 활성제로 장섬유를 도포하는 방법이나, 미리 열가소성 수지(A)에 계면 활성제를 첨가한 후에 섬유화하는(반죽해 넣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를 열가소성 수지(A)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중량부의 비율로, 열가소성 수지(A) 장섬유 표면에 도포 또는 열가소성 수지(A)에 반죽해 넣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친수성 지속성의 관점에서는, 첨가 방법으로서, 미리 열가소성 수지(A)에 계면 활성제를 첨가한 후에 섬유화하는(반죽해 넣는) 방법이 보다 바람직하다.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의 첨가량이 0.1중량부 미만이면, 얻어지는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의 초기 친수성 및 내구 친수성의 개량 효과가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한편, 10중량부를 초과하면, 가공성이 저하될 우려나, 섬유 표면에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가 배어 나오는 양이 많아져, 얻어지는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가 끈적거릴 우려도 있다.
한편, 내구 친수성이 우수한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는, 고온하에서의 보관 후 또는 흡수성 물품 제조를 위한 열 가공 후에 있어서도 양호한 친수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생리용 냅킨, 팬티라이너, 실금 패드, 종이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 및/또는 세컨드 시트 또는 흡수체를 싸는 시트(코어 랩) 등에 적합하게 사용되지만,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5) 내구 친수성이 10[sec] 이하, 특히 5[sec] 이하인 것이 그 효과가 현저하다.
<기타 첨가제>
본 발명에 있어서,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에는 임의 성분으로서, 내열 안정제, 내후 안정제 등의 각종 안정제; 슬립제, 방담제, 윤활제, 염료, 안료, 천연유, 합성유, 왁스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안정제로서는, 예를 들면 2,6-다이-t-뷰틸-4-메틸페놀(BHT) 등의 노화 방지제; 테트라키스[메틸렌-3-(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테인, 6-(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알킬에스터, 2,2'-옥사마이도비스[에틸-3-(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Irganox 1010(힌더드페놀계 산화 방지제: 상품명) 등의 페놀계 산화 방지제; 스테아르산 아연, 스테아르산 칼슘, 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칼슘 등의 지방산 금속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2종 이상을 조합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
본 발명의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는, 열가소성 수지(A) 장섬유 90 내지 10중량%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B) 장섬유 10 내지 90중량%를 포함하는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열가소성 수지(A) 장섬유가 친수화 처리되어 있다.
본 발명의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는, 친수화 처리되어 있는 열가소성 수지(A) 장섬유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B) 장섬유를 10 내지 90중량%의 범위로 혼섬함으로써, 초기 친수성 및 내구 친수성이 우수한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가 된다.
본 발명의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A) 장섬유는 친수화 처리되어 있는 것이 필수적이지만, 열가소성 엘라스토머(B) 장섬유는 반드시 친수화 처리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로서는, 벌키성, 신축성이나 유연성 및 초기 친수성 및 내구 친수성의 관점에서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B) 장섬유가 20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중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가공성(내끈적거림성)의 관점에서는, 70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60중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A) 장섬유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B) 장섬유의 섬유 직경(평균값)은, 각각 보통 50㎛ 이하, 바람직하게는 4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하의 범위에 있다. 열가소성 수지(A) 장섬유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B) 장섬유의 섬유 직경은 같을 수도 다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는, 그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생리용 냅킨의 표면재 시트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유연성의 관점에서, 보통 평량이 120g/m2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80g/m2,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60g/m2의 범위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A) 및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B)를 사용하여, 공지된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제2004-244791호 공보 등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열가소성 수지(A)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B)를 각각 별개의 압출기에서 용융한 후, 용융한 중합체를 각각 개별적으로 다수의 방사공(노즐)을 구비한 구금(다이)에 도입하여, 열가소성 수지(A)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B)를 다른 방사공으로부터 독립적으로 동시에 토출시킨 후, 용융 방사된 열가소성 수지(A)의 장섬유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B)의 장섬유를 냉각실에 도입하여, 냉각풍에 의해 냉각한 후, 연신 에어에 의해 장섬유를 연신(견인)하고, 이동 포집면 상에 퇴적시키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중합체의 용융 온도는 각각 중합체의 연화 온도 또는 융해 온도 이상이고, 또한 열분해 온도 미만이면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고, 사용하는 중합체 등에 의해 정할 수 있다. 구금 온도는 사용하는 중합체에도 의존하지만, 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A)로서 프로필렌계 중합체 또는 프로필렌계 중합체와 HDPE와의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B)로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 또는 올레핀계 공중합체 엘라스토머를 사용하는 경우는, 보통 180 내지 240℃, 바람직하게는 190 내지 23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225℃의 온도로 설정할 수 있다.
냉각풍의 온도는 중합체가 고화하는 온도이면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보통 5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의 범위에 있다. 연신 에어의 풍속은 보통 100 내지 10,000m/분,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10,000m/분의 범위에 있다.
퇴적된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는, 연신 가공하기 전에 닙 롤로 눌러 고화하는 방법이 예시되고, 그때는 롤이 가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니들 펀치, 워터 제트, 초음파 등의 수단을 사용하는 방법, 또는 엠보싱 롤을 사용하는 열 엠보싱 가공 또는 핫 에어 쓰루(hot air through)를 사용하는 것을 프리 본딩으로서 예시할 수 있지만, 어느 것이나 보통보다 가볍게 교락(交絡)하는 것이 얻어지는 표면 시트의 감촉, 신축성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열 엠보싱 가공에 의해 열 융착하는 경우는, 보통 엠보싱 면적율이 5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비엠보싱 단위 면적이 0.5mm2 이상, 바람직하게는 4 내지 40mm2의 범위에 있다. 비엠보싱 단위 면적이란, 사방을 엠보싱부로 둘러싼 최소 단위의 비엠보싱부에 있어서, 엠보싱에 내접하는 사각형의 최대 면적이다. 또한, 각인(刻印) 형상은, 원, 타원(oval), 장원(ellipse), 정사각형, 마름모, 직사각형, 사각형이나 그들 형상을 기본으로 하는 연속한 모양이 예시된다. 이러한 범위의 엠보싱을 가짐으로써,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A) 장섬유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B) 장섬유의 섬유 사이를 실질적으로 결합하는 엠보싱부에 결속점을 형성하고, 또한 엠보싱 사이에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 층에는 탄성을 갖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B) 장섬유 및 실질적으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B) 장섬유보다 탄성이 낮은 (신장 섬유) 열가소성 수지(A) 장섬유가 자유도가 큰 상태로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에 의해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는, 잔류 변형이 저감되고 양호한 신축성이 부여된다.
또, 엠보싱 면적율이 큰 경우, 연신 가능한 범위는 작아지지만 응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엠보싱 면적율이 작은 경우, 연신 가능한 범위를 크게 할 수 있지만, 엠보싱 피치가 커지게 되면 약간 잔류 변형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는, 연신 가공하는 것에 의해 연신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B) 장섬유는 탄성 회복하여 연신 전의 길이 가까이로 복귀하지만, 열가소성 수지(A) 장섬유는 연신된 상태에 가까운 길이에 멈추기 때문에, 열가소성 수지(A) 장섬유는 습곡하고,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의 표면에도 습곡한 섬유가 튀어나온 상태가 되어 보다 벌키성이 있고, 또한 유연성이 풍부한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가 된다. 또한, 신축성도 우수하기 때문에, 피트감이 풍부한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는 여러가지 용도에 따라, 다른 층을 적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에 적층하는 다른 층은,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고 용도에 따라 여러가지 층을 적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편포(編布), 직포, 부직포,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에 다른 층을 더 적층하는(접합시키는) 경우는, 열 엠보싱 가공, 초음파 융착 등의 열 융착법, 니들 펀치, 워터 제트 등의 기계적 교락법, 가열 용융 접착제, 우레탄계 접착제 등의 접착제에 의한 방법, 압출 라미네이팅 등을 비롯하여, 여러가지 공지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에 적층되는 부직포로서는, 스펀본드 부직포, 멜트블로운 부직포, 습식 부직포, 건식 부직포, 건식 펄프 부직포, 플래시 방사 부직포, 개섬 부직포 등, 여러가지 공지된 부직포를 들 수 있고, 이들 부직포는 비신축성 부직포일 수도 있다. 여기서 비신축성 부직포란, MD 또는 CD의 파단점 신도가 50% 정도이고 또한 신장 후에 회복 응력을 발생시키지 않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에 적층되는 필름으로서는, 본 발명의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의 특징인 통기성, 친수성을 살린 통기성(투습성) 필름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통기성 필름으로서는, 여러가지 공지된 통기성 필름, 예를 들면 투습성을 갖는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터계 엘라스토머, 폴리아마이드계 엘라스토머 등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필름, 무기 또는 유기 미립자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연신하고 다공화하여 이루어지는 다공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다공 필름에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또는 그들의 조성물 등의 폴리올레핀이 바람직하다.
<흡수성 물품>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상기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를 포함하는 생리용 냅킨, 팬티라이너, 실금 패드, 종이 기저귀 등이다. 흡수성 물품은, 보통, 이면 시트, 액 투과성 표면 시트와의 사이에 흡수체로 이루어지는 중간층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는, 초기 친수성 및 내구 친수성이 우수하고, 게다가 유연하고 벌키성을 갖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 및/또는 세컨드 시트 또는 흡수체를 싸는 시트(코어 랩)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의 물성값 등은 이하의 방법에 따라 측정했다.
(1) 평량[g/m2]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로부터 200mm(MD)×50mm(CD)의 시험편을 6점 채취했다. 한편, 채취 장소는 MD, CD 모두 임의의 3군데로 했다(합계 6군데). 이어서, 채취한 각 시험편을 윗접시 전자 천칭(겐세이공업사제)을 사용하여, 각각 질량(g)을 측정했다. 각 시험편의 질량의 평균값을 구했다. 구한 평균값으로부터 1m2당 질량(g)으로 환산하고, 소수점 둘째 자리를 반올림하여 각 부직포 샘플의 평량[g/m2]으로 했다.
(2) 두께[㎛]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로부터 100mm(MD)×100mm(CD)의 시험편을 3점 채취했다. 한편, 채취 장소는 임의의 3군데로 했다. 이어서, 채취한 각 시험편을 하중형 두께계를 사용하여, JIS L1096에 기재한 방법으로 두께[㎛]를 측정했다. 각 시험편 두께의 평균값을 구하고, 소수점 둘째 자리를 반올림하여 각 부직포 샘플의 두께[㎛]로 했다.
(3) 섬유 직경[㎛]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로부터 100mm(MD)×50 mm(CD)의 시험편을 채취했다.
열가소성 수지(A) 장섬유의 섬유 직경은, 채취한 각 시험편을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고, 접혀진 부분으로부터 시험편 표면의 섬유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율 200배로 촬영하여, 그 화상을 화상 치수 계측 소프트웨어(이노테크사제: Pixs2000 Version 2.0)에 의해 해석했다. 각 시험편에 대하여 10개의 섬유 직경을 측정하고, 각 시험편의 섬유 직경의 평균값을 구하고, 소수점 둘째 자리를 반올림하여 각 부직포 샘플의 열가소성 수지(A) 장섬유의 섬유 직경[㎛]으로 했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B) 장섬유의 섬유 직경은, 채취한 각 시험편을 접지 않고 배율 200배로 촬영하여, 섬유 직경이 굵은 섬유를 선택하고, 그 화상을 화상 치수 계측 소프트웨어(이노테크사제: Pixs2000 Version 2.0)에 의해 해석했다. 각 시험편에 대하여 10개의 섬유 직경을 측정하고, 각 시험편의 섬유 직경의 평균값을 구하고, 소수점 둘째 자리를 반올림하여 각 부직포 샘플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B) 장섬유의 섬유 직경[㎛]으로 했다.
(4) 초기 친수성[sec]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로부터 125mm(MD)×125mm(CD)의 시험편을 3점 채취했다. 한편, 채취 장소는 임의의 3군데로 했다. 이어서, 채취한 각 시험편을 Lister(Lenzing Instruments사제)를 사용하여 EDANA 150. 2-93에 기재된 방법에 준거하여 액 투과 시간[sec]을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여과지로서 EPT EF3 필터 페이퍼(Hollingsworth&Vose Company Ltd.사제, 세로 100mm, 가로 100mm)를 10장 사용했다. 또한, 액으로서 염화나트륨 수용액(9g/ℓ)을 사용했다. 한편, 액의 표면 장력은 70+/-2mN/m이다. 각 시험편과 여과지를 온도 20℃ 및 습도 65%의 분위기에 24시간 방치했다. Lister의 깔때기(마그넷 밸브(magnet valve)부가 탑재되고, (3.5+/-0.25)초로 25㎖의 액을 통과시키는 것)를 지탱하는 링 스탠드를 셋팅하여, 유리관(용량 50㎖)을 깔때기의 속에 들어가도록 준비했다. 장치의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10장의 여과지를 놓고, 그 위에 각 시험편을, 탑 측(피부와 접촉하는 측)이 상측이 되도록 두었다. 그 때, 플레이트 내의 전극이 청정(淸淨)인 것을 확인함과 함께, 깔때기가 플레이트의 중심이 되도록 위치를 조절했다. 깔때기가 캐비티 플레이트의 위 5mm(샘플 위 30mm)가 되도록 높이를 조절했다. 전극과 타이머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고, 타이머를 기동시켜 제로 맞춤을 행했다. 다음으로, 유리관에 인공 소변 5㎖를 주입했다.
그 후, 인공 소변을 깔때기로부터 캐비티 플레이트로 배출하여, 전극부에서 액이 통하기 시작할 때부터 끝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했다(타이머가 자동적으로 측정함).
각 시험편의 액 투과 시간의 평균값을 구하고, 소수점 둘째 자리를 반올림하여 각 부직포 샘플의 초기 친수성[sec]으로 했다.
(5) 내구 친수성[sec]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로부터 125mm(MD)×125mm(CD)의 시험편을 3점 채취했다. 한편, 채취 장소는 임의의 3군데로 했다. 채취한 각 시험편을, 건조기(「타바이세이프티 오븐 STS222」, 세로 600mm, 가로 600mm, 깊이 600mm, 에스펙사제)의 중앙부 부근에, 건조기의 순환풍이 시험편에 수직으로 닿는 방향으로 매달고, 기내를 40℃의 상태로 셋팅하여 1시간 방치했다. 이어서, 각 시험편을 취출하여 1시간 실온에서 방치한 후, (4) 초기 친수성의 측정과 마찬가지로 액 투과 시간[sec]을 측정했다. 각 시험편의 액 투과 시간의 평균값을 구하고, 소수점 둘째 자리를 반올림하여 각 부직포 샘플의 내구 친수성[sec]으로 했다.
이하의 (6) 반복 흡수율, (7) 액 유동 거리의 측정에서는, 인공 소변으로서, 표면 장력이 70+/-2mN/m인 염화나트륨 수용액(9g/ℓ)을 사용했다.
또한, (6) 반복 흡수율, (7)액 유동 거리의 측정은,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하고 나서 24시간 경과 후 48시간 이내(가열 처리 없음), 및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하고 나서 24시간 이상 경과한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를 설정 온도 80℃에서 2시간 가열 처리한 후 취출하여 2시간 이내(가열처리 있음)의 2조건으로 측정했다.
(6) 반복 흡수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로부터 시료(50mm×200mm)를 채취했다. 어드벤텍사제 No.2 여과지를 10장 겹치고, 그 위에 시료를 수평으로 놓았다. 시료면에서 약 10mm의 높이로부터 스포이드로 인공 소변을 1방울(약 0.3㎖)씩, 20mm 간격으로 10군데에 정치하고, 2초 이내에 흡수되는 액적 수를 측정했다. 이것을 3분 걸러서 3회 반복하여, 반복 흡수(회)로 했다. 이 수치가 클수록, 친수성이 우수하다고 평가했다.
(7) 액 유동 거리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로부터 시료(50mm×200mm)를 채취했다. 45도로 경사지어 고정한 판 상에, 어드벤텍사제 No.2 여과지를 5장 겹쳐 놓고, 그 위에 시료를 놓고, 시료의 길이 방향의 양단을 상기 여과지와 함께 판 상에 고정했다. 시료 면보다 약 10mm의 높이로부터 스포이드로 인공 소변을 1방울(약 0.3㎖) 낙하시켜, 액적의 낙하점으로부터 액적이 완전히 흡수된 점까지의 거리를 계측하여, 액 유동 거리(mm)로 했다. 이 수치가 작을수록, 친수성이 우수하다고 평가했다.
(8) 잔류 변형[%]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로부터 200mm(MD)×50mm(CD)의 시험편을 6점 채취했다. 한편, 채취 장소는 MD, CD 모두 임의의 3군데로 했다(합계 6군데). 이어서, 채취한 각 시험편을 만능 인장 시험기(인테스코사제, IM-201형)를 사용하여, 척간 100mm, 인장 속도 100mm/분, 연신 배율 100%의 조건으로 연신한 후, 즉시 같은 속도로 원래 길이까지 회복시켜, 회복시의 변형을 측정하여 잔류 변형[%]으로 했다. 한편, 잔류 변형은 상기 6점(MD, CD 각 3점)에 대하여 평균값을 구하고,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각 부직포 샘플의 잔류 변형[%]으로 했다.
(9) 촉감
패널리스트 10명이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의 손 감촉을 확인하여, 하기 기준으로 평가했다.
A: 10명 중 10명이 끈적거림이 없고 손 감촉이 좋다고 느낀 경우.
B: 10명 중 9 내지 7명이 끈적거림이 없고 손 감촉이 좋다고 느낀 경우.
C: 10명 중 6 내지 3명이 끈적거림이 없고 손 감촉이 좋다고 느낀 경우.
D: 10명 중 2 내지 0명이 끈적거림이 없고 손 감촉이 좋다고 느낀 경우.
또한, 실시예, 비교예에 사용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TPU)의 분석 및 평가는 하기의 방법에 따라 행했다.
(10) 응고 개시 온도[℃]
세이코전자공업(주)제 SSC 5200H 디스크 스테이션에 접속한 시차주사열량계(DSC 220C)에 의해 측정했다. 샘플로서, 분쇄한 TPU를 알루미늄제 팬에 약 8mg 채취하고, 커버를 씌워 크림프(crimp)했다. 참조로서, 마찬가지로 알루미나를 참조로서 채취했다. 샘플 및 참조를 셀 내의 소정의 위치에 셋팅한 후, 유량 40N㎖/분의 질소 기류하에서 측정했다. 승온 속도 10℃/분으로 실온으로부터 230℃까지 승온시키고, 이 온도에서 5분간 유지한 후, 10℃/분의 강온 속도로 -75℃까지 강온시켰다. 이때에 기록된 TPU의 응고에서 유래하는 발열 피크의 개시 온도를 측정하여 응고 개시 온도(단위:℃)로 했다.
(11) 극성 용매 불용분의 입자수[개/g]
세공 전기 저항법에 기초하는 입도 분포 측정 장치로서 베크맨쿨터(beckman coulter)사제 멀티사이저(Multisizer) II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5ℓ의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다이메틸아세토아마이드(와코쥰야쿠공업(주)제 특급품) 3500g과 싸이오사이안산암모늄(준세이화학(주)제 특급품) 145.83g을 칭량하여, 실온에서 24시간에 걸쳐 용해시켰다.
이어서, 1㎛의 멤브레인 필터를 사용하여 감압 여과를 행하여 시약 A를 얻었다. 200cc의 유리병에 시약 A 180g과 TPU 펠렛 2.37g을 정칭(精秤)하고, 3시간에 걸쳐서 TPU 중의 가용분을 용해시켜서, 이것을 측정용 시료로 했다. 멀티사이저 II에 100㎛의 개구 튜브(aperture tube)를 부착하여, 장치 내의 용매를 시약 A로 치환한 후, 감압도를 약 3000mmAq로 조절했다. 충분히 세정한 시료 투입용 비이커에 시약 A를 120g 칭량하고, 블랭크 측정에 의해 발생한 펄스량이 50개/분 이하인 것을 확인했다. 최적의 커런트(Current)값과 게인(Gain)을 메뉴얼에 따라 설정한 후, 10㎛의 미가교 폴리스타이렌 표준 입자를 사용하여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을 실시했다. 측정은, 충분히 세정한 시료 투입용 비이커에 시약 A를 120g, 측정용 시료를 약 10g 칭량하여 210초간 실시했다. 이 측정에 의해 카운트된 입자수를 개구 튜브에 흡인된 TPU 중량으로 나눈 값을 TPU 중의 극성 용매 불용분의 입자수(단위: 개/g)로 했다. 한편, TPU 중량은 다음 수학식에 의해 산출했다.
TPU 중량 = {(A/100)×B/(B+C)}×D
상기 식에서, A: 측정용 시료의 TPU 농도(중량%), B: 비이커에 칭량한 측정용 시료의 중량(g), C: 비이커에 칭량한 시약 A의 중량(g), D: 측정 중(210초간)에 개구 튜브에 흡인된 용액량(g)이다.
(12) 하드 도메인의 융해 열량비
세이코전자공업(주)제 SSC 5200H 디스크 스테이션에 접속한 시차주사열량계(DSC 220C)에 의해 측정했다. 샘플로서, 분쇄한 TPU를 알루미늄제 팬에 약 8mg 채취하고, 커버를 씌워 크림프했다. 참조로서, 마찬가지로 알루미나를 채취했다. 샘플 및 참조를 셀 내의 소정의 위치에 셋팅한 후, 유량 40N㎖/분의 질소 기류하에서 측정했다. 승온 속도 10℃/분으로 실온으로부터 230℃까지 승온시켰다. 이때, 피크 온도가 90℃ 이상 140℃ 이하의 범위에 있는 흡열 피크로부터 구해지는 융해 열량의 총합(a)과, 피크 온도가 140℃ 초과 220℃ 이하의 범위에 있는 흡열 피크로부터 구해지는 융해 열량의 총합(b)을 구하여, 다음 수학식에 의해 하드 도메인의 융해 열량비(단위:%)를 구했다.
하드 도메인의 융해 열량비(%) = a/(a+b)×100
(13) 200℃에서의 용융 점도(이하, 간단히 「용융 점도」라고 함)
캐피로그래프(Capilograph)(도요정기(주)제 모델 1C)를 사용하여, TPU의 200℃에 있어서의 전단 속도 100sec-1일 때의 용융 점도(단위: 단위: Pa·s)를 측정했다. 길이 30mm, 직경 1mm의 노즐을 사용했다.
(14) TPU의 수분값
수분량 측정 장치(히라누마산업사제 AVQ-5S)와 수분 기화 장치(히라누마산업사제 EV-6)를 조합하여 TPU의 수분량(단위: ppm)을 측정했다. 가열 시료 접시에 칭량한 약 2g의 TPU 펠렛을 250℃의 가열로에 투입하고, 기화한 수분을 미리 잔존 수분을 제거한 수분량 측정 장치의 적정 셀에 도입하여, 칼 피셔(karl Fisher) 시약으로 적정했다. 셀 중의 수분량 변화에 따르는 적정 전극의 전위 변화가 20초간 생기지 않은 것을 적정 종료로 했다.
(15) 쇼아 A 경도
TPU의 경도는 23℃, 50% 상대습도 하에서 JIS K-731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측정했다. 듀로미터는 타입 A를 사용했다.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의 제조예 1>
다이페닐메테인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이하, MDI라고 기재함)를 탱크에 질소 분위기 하에서 장입하여, 기포가 혼입하지 않을 정도로 교반하면서 45℃로 조정했다.
수평균 분자량 2000의 폴리에스터폴리올(미쓰이다케다케미컬(주)제, 상품명: 다켈락 U2024) 628.6중량부와, 일가녹스 1010 2.21중량부와, 1,4-뷰테인다이올 77.5중량부를 탱크 B에 질소 분위기 하에서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95℃로 조정했다. 이 혼합물을 폴리올 용액 1이라고 한다.
이들의 반응 원료로부터 계산되는 하드 세그먼트량은 37.1중량%였다.
다음으로, 기어 펌프, 유량계를 중간에 갖는 송액 라인에서, MDI를 17.6kg/h의 유속으로, 폴리올 용액 1을 42.4kg/h의 유속으로, 120℃로 조정한 고속 교반기(SM40)에 정량적으로 통액하여, 2000rpm으로 2분간 교반 혼합한 후, 스태틱 믹서(Static mixer)에 통액했다. 스태틱 믹서부는, 관 길이 0.5m, 내경 20mmø의 스태틱 믹서를 3개 접속한 제 1 내지 제 3 스태틱 믹서(온도 230℃)와, 관 길이 0.5m, 내경 20mmØ의 스태틱 믹서를 3개 접속한 제 4 내지 제 6 스태틱 믹서(온도 220℃)와, 관 길이 1.0m, 내경 34mmø의 스태틱 믹서를 6개 접속한 제 7 내지 제 12 스태틱 믹서(온도 210℃)와, 관 길이 0.5m, 내경 38mmø의 스태틱 믹서를 3개 접속한 제 13 내지 제 15 스태틱 믹서(온도 200℃)를 직렬로 접속한 것이었다.
제 15 스태틱 믹서로부터 유출된 반응 생성물을, 기어 펌프를 통해, 폴리머 필터(나가세산업(주)제, 상품명: 디나필터)를 선단에 부속시킨 단축 압출기(직경 65mmø, 온도 180 내지 210℃)에 압입하여, 스트랜드 다이로부터 압출했다. 수냉 후, 펠렛타이저(pelletizer)로 연속적으로 펠렛화했다. 이어서, 얻어진 펠렛을 건조기에 장입하고, 100℃에서 8시간 건조하여, 수분값 40ppm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를 얻었다. 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를 단축 압출기(직경 50mmø, 온도 180 내지 210℃)로 연속적으로 압출하여 펠렛화했다. 다시, 100℃에서 7시간 건조하여, 수분값 57ppm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TPU-1)를 얻었다.
TPU-1의 응고 개시 온도는 103.7℃, 극성 용매 불용분의 입자수는 150만개/g, 사출 성형에 의해 조정한 시험편에 의한 경도는 86A, 200℃에서의 용융 점도는 1900Pa·s, 하드 도메인의 융해 열량비는 35.2%였다.
[실시예 1]
<스펀본드 부직포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조제>
MFR(ASTM D1238에 준거하여, 온도 230℃, 하중 2.16kg에서 측정) 60g/10분, 밀도 0.91g/cm3, 융점 160℃의 프로필렌 호모폴리머(이하, 「PP-1」이라고 약칭함) 96중량부와 MFR(ASTM D1238에 준거하여, 온도 190℃, 하중 2.16 kg에서 측정) 5g/10분, 밀도 0.97g/cm3, 융점 134℃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이하, 「HDPE」라고 약칭함) 4중량부를 혼합한 후, 친수화 처리 마스터 배치[Ciba사제, 상품명: IRGASURF HL560(이하, 「친수화제 A」라고 약칭함). 한편, 친수화제 A는 에터형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친수화 처리제 성분)인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터: CH3(CH2)17-O-(CH2CH2)2.5-H]를 60중량% 함유함]를 PP-1/HDPE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부(친수화 처리제 성분 환산으로 3중량부) 혼합하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A-1)을 조제했다.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TPU-1)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A-1)을 각각 독립적으로 75mmø의 압출기 및 50mmø의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한 후, 방사 구금을 갖는 스펀본드 부직포 성형기(포집면 상의 기계 흐름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길이: 800mm)를 사용하여, 수지 온도와 다이 온도가 모두 210℃, 냉각풍 온도 20℃, 연신 에어 풍속 3750m/분의 조건으로 스펀본드법에 의해 용융 방사하여, TPU-1로 이루어지는 장섬유 B와 A-1로 이루어지는 장섬유 A를 포함하는 혼합 장섬유로 이루어지는 웹을 포집면 상에 퇴적시켜, 섬유 B:섬유 A가 40:60(중량%)인 혼합 섬유로 이루어지는 웹을 얻었다. 상기 방사 구금은 TPU-1의 토출공과 A-1의 토출공이 교대로 배열된 노즐 패턴을 갖고, TPU-1(섬유 B)의 노즐 직경 0.75mmø 및 A-1(섬유 A)의 노즐 직경 0.6mmø이고, 노즐의 피치가 세로 방향 8mm, 가로 방향 11mm이며, 노즐수의 비는 섬유 B용 노즐:섬유 A용 노즐 = 1:1.45였다. 섬유 B의 단공 토출량은 0.60g/(분·공), 섬유 A의 단공 토출량은 0.61g/(분·공)으로 했다.
퇴적된 혼합 장섬유로 이루어지는 웹은 벨트 상에 설치된, 비점착 소재로 코팅된 닙 롤(선압 10kg/cm)로 니핑 후 이동 벨트로부터 박리되고, 엠보싱 패턴은 면적율 18%, 엠보싱 면적 0.41mm2이며, 가열 온도 105℃, 선압 70kg/cm 조건의 가열 엠보싱으로 열접착하여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의 평량은 30g/m2였다. 얻어진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를 상기 기재된 방법으로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한편, (9) 촉감은 「B」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로부터 250mm(MD)×200mm(CD)를 잘라내어, 만능 인장 시험기(인테스코사제, IM-201형)를 사용하여, 척간 200mm, 인장 속도 200mm/분, 연신 배율 100%의 조건으로 MD 방향으로 연신했다. 연신 후의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의 평량은 33g/m2였다. 연신 후의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를 상기 기재된 방법으로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한편, (9) 촉감은 「A」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의 평량을 60g/m2로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를 상기 기재된 방법으로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한편, (9) 촉감은 「B」였다.
[실시예 4]
<스펀본드 부직포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조제>
에터형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로서, 에이코사놀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CH3(CH2)19-O-(CH2CH2O)2.5-H]: 60중량% 및 MFR: 30g/10분의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40중량%에, 산화 방지제(Ciba사제, 상품명 Irgafos 168)를 0.05중량부 가하고, 230℃에서 용융 혼련하고 압출하여, 펠렛상의 마스터 배치(친수화제 B)를 준비했다.
이어서, 실시예 1에서 사용한 PP-1 96중량부와 HDPE 4중량부를 혼합한 후, 친수화제 B를 PP-1/HDPE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부(친수화 처리제 성분 환산으로 3중량부) 혼합하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A-2)을 조제했다.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
실시예 3에서 사용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A-1) 대신에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A-2)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하여,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의 평량은 60g/m2였다. 얻어진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를 상기 기재된 방법으로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한편, (9) 촉감은 「B」였다.
[실시예 5]
<스펀본드 부직포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조제>
MFR(ASTM D1238에 준거하여, 온도 230℃, 하중 2.16kg에서 측정) 60g/10분, 밀도 0.91g/cm3, 융점 142℃의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이하, 「PP-2」라고 약칭함) 96중량부와 HDPE 4중량부를 혼합한 후,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친수화제 A를 PP-2/HDPE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부(친수화 처리제 성분 환산으로 3중량부) 혼합하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A-3)을 조제했다.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A-1) 대신에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A-3)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의 평량은 30g/m2였다. 얻어진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를 상기 기재된 방법으로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한편, (9) 촉감은 「B」였다.
[실시예 6]
<스펀본드 부직포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조제>
실시예 5에서 사용한 PP-2 96중량부와 HDPE 4중량부를 혼합한 후, 실시예 4에서 사용한 친수화제 B를 PP-2/HDPE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부(친수화 처리제 성분 환산으로 3중량부) 혼합하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A-4)을 조제했다.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A-1) 대신에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A-4)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의 평량은 30g/m2였다. 얻어진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를 상기 기재된 방법으로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한편, (9) 촉감은 「B」였다.
Figure 112010078667010-pct00001
[실시예 7]
실시예 5에서 사용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TPU-1) 대신에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ExxonMobil사제, 상품명: VISTAMAXX VM2125, 이하 「TPO-1」이라고 약칭함)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하여,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의 평량은 30g/m2였다. 얻어진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를 상기 기재된 방법으로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한편, (9) 촉감은 「B」였다.
[실시예 8]
실시예 6에서 사용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TPU-1) 대신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 실시예 7에서 사용한 TPO-1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마찬가지로 하여,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의 평량은 30g/m2였다. 얻어진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를 상기 기재된 방법으로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한편, (9) 촉감은 「B」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사용한 PP-1 100중량부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친수제 A를 5중량부 혼합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A-2)을 조제했다. 이어서, A-2를 단독으로 사용하여,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으로 스펀본드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스펀본드 부직포의 평량은 30g/m2였다. 얻어진 스펀본드 부직포를 상기 기재된 방법으로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한편, (8) 잔류 변형의 측정은 연신 배율이 100% 미만인 상태에서 파단했기 때문에, 측정할 수 없었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사용한 A-1를 단독으로 사용하여,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으로 스펀본드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스펀본드 부직포의 평량은 30g/m2였다. 얻어진 스펀본드 부직포를 상기 기재된 방법으로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친수제 A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의 평량은 30g/m2였다. 얻어진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를 상기 기재된 방법으로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10078667010-pct00002
표 1 및 표 2로부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장섬유를 포함하지 않은 프로필렌계 중합체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소량 포함하는 프로필렌계 중합체만으로 이루어지는 스펀본드 부직포(비교예 1 및 비교예 2)는, 친수화제를 첨가하는 것에 의해 초기 친수성은 2.1초로 개량되지만 내구 친수성은 전혀 없는 것이 분명하다. 그에 비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장섬유를 혼섬한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실시예 1 내지 6) 및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장섬유를 혼섬한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실시예 7 및 실시예 8)는 열가소성 수지 장섬유가 친수화 처리될 뿐이고,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장섬유 및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장섬유가 친수화 처리되어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초기 친수성이 1.1초 내지 2.2초로 우수하고, 게다가 내구 친수성에 관해서는 각각 1.7초 내지 3.3초로 매우 우수한 것이 분명하다.
또한, 연신 처리하여 이루어지는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실시예 2)는, 연신 처리되지 않은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실시예 1)에 비해 벌키해져서 두께가 증가하고, 잔류 변형이 적고, 촉감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는, 벌키성, 초기 친수성 및 내구 친수성, 유연성, 내보풀성, 신축성 및 촉감이 우수하고, 끈적거림이 적기 때문에, 이러한 특징을 살려, 위생재용을 비롯하여 의료재용, 위생재용, 산업자재용 등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6)

  1. 열가소성 수지(A) 장섬유 90 내지 10중량%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B) 장섬유 10 내지 90중량%를 포함하는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열가소성 수지(A) 장섬유가 친수화 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
  2. 제 1 항에 있어서,
    친수화 처리가, 열가소성 수지(A) 장섬유에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를 열가소성 수지(A)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하는 것에 의해 처리되어 이루어지는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B)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가, 시차주사열량계(DSC)에 의해 측정되는 응고 개시 온도가 65℃ 이상이고, 또한 세공 전기 저항법에 근거하여 100㎛의 개구를 장착한 입도 분포 측정 장치로 측정되는 극성 용매 불용분의 입자수가 300만개/g 이하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인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가 하기 수학식 I을 만족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인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
    [수학식 I]
    a/(a+ b) ≤ 0.8
    (상기 수학식 I에서, a는 DSC에 의해 측정되는 90℃ 내지 140℃의 범위에 존재하는 흡열 피크로부터 구해지는 융해 열량의 총합을 나타내고, b는 DSC에 의해 측정되는 140℃ 초과 220℃ 이하의 범위에 있는 흡열 피크로부터 산출되는 융해열의 총합을 나타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B)가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A)가 폴리올레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
  8. 제 7 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이 프로필렌계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
  9. 제 7 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이 프로필렌계 중합체 99 내지 80중량%와 고밀도 폴리에틸렌 1 내지 20중량%로 이루어지는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
  10. 제 8 항에 있어서,
    프로필렌계 중합체가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인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
  11. 제 1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A) 장섬유가 습곡하여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의 표면에 나와 이루어지는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
  13.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흡수성 물품의 세컨드 시트.
  14.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흡수성 물품의 흡수체를 싸는 시트.
  15.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 세컨드 시트 또는 이들 모두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흡수성 물품.
  16.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흡수성 물품.
KR1020107026874A 2008-05-29 2009-05-21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의 용도 KR1012583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41461 2008-05-29
JPJP-P-2008-141461 2008-05-29
JP2009014661 2009-01-26
JPJP-P-2009-014661 2009-01-26
PCT/JP2009/059346 WO2009145105A1 (ja) 2008-05-29 2009-05-21 混繊スパンボンド不織布及びその用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436A KR20110013436A (ko) 2011-02-09
KR101258333B1 true KR101258333B1 (ko) 2013-04-25

Family

ID=41376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6874A KR101258333B1 (ko) 2008-05-29 2009-05-21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092936A1 (ko)
EP (1) EP2292822B1 (ko)
JP (1) JP5606310B2 (ko)
KR (1) KR101258333B1 (ko)
CN (2) CN102046870A (ko)
WO (1) WO20091451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63428B1 (en) 2009-08-05 2016-07-06 Mitsui Chemicals, Inc. Mixed fiber spunbond non-woven fabric and method for production and application of the same
CA2832178C (en) * 2011-04-15 2019-05-14 Lubrizol Advanced Materials, Inc. Elastomer fiber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reof
JP5530023B1 (ja) * 2012-12-19 2014-06-25 花王株式会社 不織布
KR101682869B1 (ko) * 2013-11-20 2016-12-05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유연성 및 내구성 배면시트를 함유한 흡수 용품
US10835216B2 (en) * 2014-12-24 2020-11-17 Covidien Lp Spinneret for manufacture of melt blown nonwoven fabric
KR101603604B1 (ko) 2014-12-31 2016-03-16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일회용 흡수제품용 탄성부직포 및 이를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제품
US10729600B2 (en) 2015-06-30 2020-08-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structure
MY181711A (en) * 2015-07-06 2021-01-04 Mitsui Chemicals Inc Spunbond nonwoven fabric and hygienic material
WO2017079599A1 (en) * 2015-11-04 2017-05-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structure
PL3370664T3 (pl) 2015-11-04 2022-03-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yrób chłonny zawierający strukturę chłonną
CN105332278B (zh) * 2015-11-26 2017-12-05 常州市灵达化学品有限公司 环境友好型聚烯烃非织造布多次亲水整理剂
CN110167500B (zh) 2017-01-13 2022-07-08 宝洁公司 非织造材料和具有所述非织造材料的吸收制品
CN107217329A (zh) * 2017-06-28 2017-09-29 滁州市三和纤维制造有限公司 一种采用原位沉析法合成改性腈纶浆粕纤维的制备方法
JP7048150B2 (ja) * 2018-03-29 2022-04-05 三井化学株式会社 不織布
CZ2018647A3 (cs) 2018-11-23 2020-06-03 Reifenhäuser GmbH & Co. KG Maschinenfabrik Objemná netkaná textilie se zvýšenou stlačitelností a zlepšenou schopností regenerace
EP3812495A1 (en) 2019-10-21 2021-04-28 Paul Hartmann AG Absorbent article with acquisition component
EP3811917A1 (en) 2019-10-21 2021-04-28 Paul Hartmann AG Absorbent article with soft acquisition component
USD1004216S1 (en) 2020-06-11 2023-11-07 Annette Grignard Animal crate bumper
CN117120681A (zh) * 2021-03-30 2023-11-24 三井化学株式会社 纺粘无纺布和卫生材料
US20220356619A1 (en) * 2021-05-02 2022-11-10 John Garner Moisture absorbing fabrric blend
DE102021208606A1 (de) * 2021-08-06 2023-02-09 Friedrich-Alexander Universität Erlangen-Nürnberg, Körperschaft des öffentlichen Rechts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olymer-Vliesstoffs
USD1004215S1 (en) 2021-10-07 2023-11-07 Annette Grignard Animal crate bumper
USD1004213S1 (en) 2021-10-07 2023-11-07 Annette Grignard Animal crate bumper
USD1004214S1 (en) 2021-10-07 2023-11-07 Annette Grignard Animal crate bumper
USD1011639S1 (en) 2021-10-07 2024-01-16 Annette Grignard Animal crate bump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23666A (ja) * 2000-11-22 2004-08-05 チバ スペシャルティ ケミカルズ ホールディング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湿潤性ポリオレフィン繊維及び布
JP2006188804A (ja) * 2004-12-06 2006-07-20 Mitsui Chemicals Inc 親水性部と疎水性部を有する成形体の製造方法
KR100687391B1 (ko) * 2003-01-24 2007-02-26 미쯔이카가쿠 가부시기가이샤 신축성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80022207A (ko) * 2006-05-31 2008-03-10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부직포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50371A1 (en) * 1970-10-14 1972-04-20 Lutravil Spinnvlies GmbH & Co., 6750 Kaiserlautern Spun mat - with hydrophilic props, contg melt-spun thermoplastics - and hydroxyalkylated polyamides
US4990147A (en) * 1988-09-02 1991-02-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elastic liner for waste material isolation
JP3063074B2 (ja) * 1995-10-25 2000-07-12 東洋紡績株式会社 混繊不織布
MY117643A (en) * 1996-02-29 2004-07-31 Uni Charm Corp Liquid-permeable topsheet for body exudates absorbent article,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02069820A (ja) * 2000-06-13 2002-03-08 Idemitsu Unitech Co Ltd スパンボンド不織布および吸収性物品
CN1444673A (zh) * 2000-06-13 2003-09-24 出光统一科技株式会社 纺粘型无纺布和吸收性物品
JP4543196B2 (ja) 2000-07-06 2010-09-15 株式会社日本吸収体技術研究所 複相構造を持った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法
JP3611838B2 (ja) 2001-12-28 2005-01-19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用の表面シート
JP4127494B2 (ja) 2002-06-21 2008-07-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341325B2 (ja) * 2002-08-08 2009-10-07 チッソ株式会社 弾性不織布及びこれを用いた繊維製品
US7405171B2 (en) * 2002-08-08 2008-07-29 Chisso Corporation Elastic nonwoven fabric and fiber products manufactured therefrom
JP4332627B2 (ja) 2003-01-24 2009-09-16 三井化学株式会社 混合繊維、ならびに該混合繊維からなる伸縮性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312820B (en) * 2003-01-24 2009-08-01 Mitsui Chemicals Inc Fiber mixture, strech nonwoven fabric comprising the same, and production method for the stretch nonwoven fabric
US20050159067A1 (en) * 2003-11-07 2005-07-21 Mitsui Chemicals, Inc. Hydrophilic nonwoven fabric
JP2007029612A (ja) * 2005-07-29 2007-02-08 Oji Nepia Kk 使い捨ておむつ
JP2007262631A (ja) * 2006-03-29 2007-10-11 Japan Polypropylene Corp プロピレン系共重合体又はその組成物から成形された繊維及びその繊維製品
JP2007009403A (ja) * 2006-10-20 2007-01-18 Mitsui Chemicals Inc 混合繊維からなる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23666A (ja) * 2000-11-22 2004-08-05 チバ スペシャルティ ケミカルズ ホールディング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湿潤性ポリオレフィン繊維及び布
KR100687391B1 (ko) * 2003-01-24 2007-02-26 미쯔이카가쿠 가부시기가이샤 신축성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6188804A (ja) * 2004-12-06 2006-07-20 Mitsui Chemicals Inc 親水性部と疎水性部を有する成形体の製造方法
KR20080022207A (ko) * 2006-05-31 2008-03-10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부직포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45105A1 (ja) 2009-12-03
KR20110013436A (ko) 2011-02-09
US20110092936A1 (en) 2011-04-21
CN102046870A (zh) 2011-05-04
JP5606310B2 (ja) 2014-10-15
EP2292822A1 (en) 2011-03-09
CN104593946A (zh) 2015-05-06
JPWO2009145105A1 (ja) 2011-10-13
EP2292822A4 (en) 2011-09-21
EP2292822B1 (en) 201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8333B1 (ko)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의 용도
US10669660B2 (en) Method for producing a mixed fiber spunbonded nonwoven web
JP4472753B2 (ja) 不織布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174802B2 (ja) 不織布積層体
US8129298B2 (en) Nonwoven laminate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5534807B2 (ja) 混繊不織布積層体
JP6500083B2 (ja) 不織布積層体、伸縮性不織布積層体、繊維製品、吸収性物品及び衛生マスク
JP5606072B2 (ja) 立体ギャザー用シート
JP5127690B2 (ja) 繊維及び不織布
JP2008213282A (ja) 不織布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213284A (ja) 不織布積層体
JP7108044B2 (ja) 不織布積層体、伸縮性不織布積層体、繊維製品、吸収性物品及び衛生マスク
KR101571995B1 (ko) 섬유, 부직포 및 그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