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4841B1 - 양쪽 열림 리드장치 및 센터콘솔박스 - Google Patents

양쪽 열림 리드장치 및 센터콘솔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4841B1
KR101254841B1 KR1020087022138A KR20087022138A KR101254841B1 KR 101254841 B1 KR101254841 B1 KR 101254841B1 KR 1020087022138 A KR1020087022138 A KR 1020087022138A KR 20087022138 A KR20087022138 A KR 20087022138A KR 101254841 B1 KR101254841 B1 KR 101254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lead
opening
axis
switch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2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4300A (ko
Inventor
나오히로 시마지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80104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4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60N2/793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for use as stor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2Devices for holding in closed position, e.g. 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26Mechanisms for opening or closing, e.g. pedal-oper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 E05D15/5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for opening at either of two opposite e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 E05D15/5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for opening at either of two opposite edges
    • E05D15/507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for opening at either of two opposite edges by detachment of the hinge from the wing or the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14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only one position, e.g.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6Rods, l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8Interio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링크체(3)는 제1축(30)에 의해 개구형성체(1)에 축 지지되고, 또한, 제2축(31)에 의해 리드본체(2)에 축 지지되어 있음과 동시에, 개구형성체(1)에 구비된 래치받이(12)에 대응하는 래치체(32)를 구비하고 있다. 리드본체(2)는, 링크체(3)에 형성된 괘합구멍(34)에 끼워넣는 괘합단(201)을 구비함과 동시에, 이 괘합단(201)을 이 괘합구멍(34)을 통과하여 링크체(3)내에 최대로 끼워넣어진 전진위치와, 이 괘합구멍(34)에서 빠진 후퇴위치와, 양 위치의 사이가 되는 중간위치에 각각 위치시키는 이동가능한 전환부재(20)를 구비하고 있다. 전환부재(20)의 괘합단(201)이 전진위치에 있을 때에 래치체(32)의 래치받이(12)와의 괘합이 풀려진다.
리드장치, 링크체, 전환부재, 괘합단

Description

양쪽 열림 리드장치 및 센터콘솔박스{LID DEVICE OPENED AT BOTH SIDES AND CENTER CONSOLE BOX}
본 발명은 개구(開口)형성체의 개구를 폐색(閉塞)하는 리드(lid)본체를, 이개구에서의 대향하는 연부의 어느 측을 회동중심으로 하여도, 회동·열기 할 수 있도록 한 양쪽 열림 리드장치의 개량, 및 이것을 이용한 센터콘솔박스에 관한 것이다.
개구를 구비한 본체에서의 대향 위치에 있는 두 변에 각각 샤프트(shaft)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본체의 개구를 막는 개폐부재의 대향위치에 있는 두 변에 이 샤프트를 착탈가능하게 끼우는 계탈(係脫)기구를 갖추고, 개폐부재가 이 두 변의 어느 측에 있는 샤프트를 중심으로 해도 회동·열기 가능하도록 한 개폐장치로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있다.
또한, 개구를 구비한 본체에서의 대향위치에 있는 두 변에 각각 걸림용 수진(首振)지주에 지지된 샤프트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본체의 개구를 막는 개폐부재의 대향위치에 있는 두 변에 이 샤프트부의 감탈(嵌脫)홈을 구비한 로크부를 형성시켜, 개폐부재가 이 두 변의 어느 측에 있는 샤프트부를 중심으로 해도 회동·열기할 수 있도록 한 개폐장치로서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것이 있다.
그런데, 이들 어느 개폐장치도, 개폐동작의 매번 마다, 개폐부재의 회동축이 되는 샤프트 내지 샤프트부에 대해서 계탈기구 내지 감탈홈을 끼우기 또는 빼기 때문에,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들 끼우기, 빼기가 빈번히 일어나는 개소의 손실과 마모 등을 발생시키기 쉽고, 덜컹거림 없는 동작, 더욱이는 안정한 동작을 장기간에 걸쳐 확보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제3052153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제3052152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주된 문제점은, 이런 종류의 양쪽 열림 타입의 리드장치(개폐장치)에 있어서,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하기 쉬움과 동시에, 이러한 리드장치가 장기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점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양쪽 열림 리드장치를, 이하의(1)~(4)의 구성을 갖춘 것으로 했다.
(1)리드본체와, 링크체를 구비하고 있고,
(2)링크체는, 일단측을 제1축에 의해 리드본체에 의해 개구를 폐색할 수 있는 개구형성체에 축 지지되고, 또한, 타단측을 제1축과 평행한 제2축에 의해 리드본체에 축 지지되어 있음과 동시에, 개구형성체에 구비된 래치(latch)받이에 대응하는 래치체를 구비하고 있고, 또한, 이 래치체를 그 래치단이 래치받이에 괘합(掛合)되는 위치에 상시 있도록 부세(付勢)하는 부세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3)리드본체는, 링크체의 양단사이에 있어서 이 링크체에 형성된 괘합구멍에 끼워넣는 괘합단을 구비함과 동시에, 이 괘합단을 이 괘합구멍을 통해서 링크체내로 최대로 끼워 넣어진 전진위치와, 이 괘합구멍에서 빠진 후퇴위치와, 양위치의 사이가 되는 중간위치에 각각 위치시킬수 있는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전환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4)전환부재의 괘합단이 전진위치에 있을 때에 이 괘합단에 의해 래치체가 상기 부세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압압되어 래치받이와의 괘합이 풀리도록 되어 있다.
전환부재의 괘합단이 전진위치에 있을 때에는, 리드본체와 링크체는 제2축과 전환부재의 괘합단의 2개소에서 접합되어 있고, 한편, 링크체와 개구형성체는 제1 축에 의해서만 접합 되어 있다. 따라서, 리드본체와 링크체를 분리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이러한 리드본체를 제1축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열기 할 수 있다. (이하, 이 상태를 제1축측 회동상태라고 칭한다.)
이러한 전환부재의 괘합단이 중간위치에 있을 때에는, 래치체와 래치받이와의 괘합을 풀지않은 상태로 계합단은 링크체의 괘합구멍에 괘합되게 된다. 이때는, 리드본체와 링크체는 제2축과 전환부재의 괘합단의 2개소에서 접합되어 있고, 한편, 링크체와 개구형성체는 제1축과 래치체 및 래치받이의 2개소에서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이 때에는, 리드본체는 제1축을 중심으로 해서도 제2축을 중심으로 해서도 회동·열기는 할 수 없고, 리드본체에 의한 개구형성체의 개구를 폐색시킨 상태가 유지된다.(이하, 이 상태를 회동불능상태라고 칭한다.)
한편, 이러한 전환부재의 괘합단이 후퇴위치에 있을 때에는, 래치체와 래치받이의 괘합을 풀지않은 상태에서 괘합단은 링크체의 괘합구멍에 괘합하지 않는것이 된다. 이 때에는, 리드본체와 링크체는 제2축에 의해서만 접합되어 있고, 한편, 링크체와 개구형성체는 제1축과 래치체 및 래치받이의 2개소에서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이 때에는, 링크체와 개구형성체를 분리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이러한 리드본체를 제2축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열기를 할 수 있다.(이하, 이 상태를 제2축측 회동상태라고 칭한다.)
열려진 상태에서 닫기 조작된 리드본체는, 제1축측 회동상태 때에는 개구형성체의 래치받이에 래치체를 다시 괘합시킴에 의해, 또한, 제2축측 회동상태 때에는 개구형성체 측에 남겨진 링크체의 괘합구멍에 전환부재의 괘합단을 다시 괘합시킴에 의해, 다시 개구를 폐색시킨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링크체를, 제1링크체와, 제2링크체로 구성시켜,
리드본체의 일단측에 있어서, 제1링크체를 통해서 리드본체가 개구형성체에 조합됨과 동시에,
리드본체의 타단측에 있어서, 제2링크체를 통해서 리드본체가 개구형성체에 조합되어 있고,
또한, 제2링크체의 제2축은 제1링크체의 제1축을 통과하는 가상의 직선상에 대략 위치 되고,
제2링크체의 제1축은 제1링크체의 제2축을 통과하는 가상의 직선상에 대략 위치되어 있고,
전환부재는, 제1링크체에 대응하는 제1괘합단과, 제2링크체에 대응하는 제2 괘합단을 구비하고 있고,
전환부재의 제1괘합단이 전진위치로 이동된 때 제2 괘합단은 후퇴위치로 이동되고,
전환부재의 제2괘합단이 전진위치로 이동된 때 제1괘합단은 후퇴위치로 이동되도록 해두는 것도 있다.
전환부재의 제1괘합단이 전진위치로 이동된 때, 리드본체의 일단측은 상기 제1축측 회동상태로 된다. 이것에 대해서, 리드본체의 타단측은 상기 제2축측 회동상태로 된다. 여기서, 제2링크체의 제2축은 제1링크체의 제1축을 통과하는 가상의 직선상에 대략 위치됨으로써, 리드본체의 회동·열기가 가능하게 된다.
전환부재의 제2괘합단이 전진위치로 이동된 때, 리드본체의 타단측은 상기 제1축측 회동상태로 된다. 이것에 대해서, 리드본체의 일단측은 상기 제2축측 회동상태로 된다. 여기서, 제2링크체의 제1축은 제1링크체의 제2축을 통과하는 가상의 직선상에 대략 위치됨으로써, 전자의 경우와 반대 측을 자유단으로 한 리드본체의 회동·열기가 가능하게 된다.
전환부재의 제1괘합단 및 제2괘합단이 모두 전진위치에 없을 때는 제1괘합단 및 제2괘합단은 모두 중간위치에 있게 된다. 이 때에는, 리드본체의 일단측 및 타단측에 있어서 모두 상기 회동불능상태로 되므로 리드본체에 의한 개구형성체의 개구를 폐색시킨 상태가 유지된다.
이렇게 리드본체를 양쪽에 가진 경우, 특히, 리드본체의 회동·열기를 안정적으로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전환부재가 가상의 직선을 따른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가상의 직선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양측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가능하게 리드본체에 구비 된 이 전환부재의 조작체를 구비하고 있고,
조작체의 기준위치에 있어서 전환부재의 제1괘합단 및 제2괘합단이 모두 중심위치에 있음과 동시에,
리드본체에, 이 조작체가 기준위치에서부터 이동된 때에, 이 조작체를 기준위치로 밀어 돌려보내는 복귀수단을 구비시켜 둔 것도 있다.
이렇게 한 경우, 리드본체를 열리도록 하는 쪽에서 조작체를 압입조작하는 것에 의해, 이 리드본체를 이쪽을 자유단으로 해서 열리게 할 수 있다. 또한, 조작체의 조작에 의해 리드본체가 열린 후에는, 복귀수단에 의해 조작체를 기준위치로 되돌리고, 따라서, 전환부재의 제1괘합단 및 제2괘합단이 모두 중간위치에 있는 상태로 되돌아 갈 수 있다. 또한, 열린 리드본체를 닫을 때에는 복귀수단의 밀어 되돌림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일단 전환부재를 이동시킨 후, 리드본체의 닫힘위치에 있어서 제1링크체 및 제2링크체의 괘합구멍에 다시 제1괘합단 및 제2괘합단을 괘합시켜서 이 닫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링크체의 제2축에 감겨서 설치된 비틀림 코일 용수철에 의해, 이 제2축을 중심으로 해서 열림 회동 되는 방향으로 리드본체를 항상 부세시켜두는 것도 있다. 이렇게 한 경우, 리드본체의 회동·열기가 이 용수철의 부세에 의해 이루어지도록할 수 있다.
상기 리드본체에서의 제2축의 측방에, 이 제2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링크체 측에 구비된 기아(gear)에 맞물린 피니언(pinion)을 구비시킴과 동시에, 이 피니언의 회전에 제동을 부여하는 댐퍼장치를 구비시켜둔 것도 있다.
이렇게 한 경우, 리드본체의 상기 용수철에 의한 회동·열기가 천천히 되도록 해서, 리드장치 혹은 그것이 적용된 물품, 기기, 집기 등에 고급스러움 등을 부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이 발명에서는, 센터콘솔박스를 , 상기 각 리드장치에 있어서의 리드본체를 뚜껑으로 하고, 또한, 개구형성체를 박스로 해서 형성됨과 동시에, 제1축 및 제2축을 통과하는 가상의 직선을 자동차의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배치하도록하여 되는 것으로 했다.
이렇게 구성된 센터콘솔박스에서는, 상기 박스의 개구의 운전석 측에 있는 연부 측을 회전중심으로 해서 조수석 쪽에서 이 두껑을 기립회동시켜서 열 수 있음 과 동시에, 이러한 개구의 조수석측에 있는 연부 측을 회동중심으로 해서 운전석측에서 이 뚜껑을 기립회동시켜서 열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박스의 개구의 앞부분 좌석쪽에 있는 연부 측을 회동중심으로 해서 뒷부분 좌석 쪽에서 이 뚜껑을 기립회동시켜서 열 수 있음과 동시에, 이러한 개구의 뒷부분 좌석쪽에 있는 연부 측을 회동중심으로 해서 앞부분 좌석 쪽에서 이 뚜껑을 기립회동시켜서 열 수도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한 양쪽 열림 리드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센터콘솔박스에 있어서는, 리드본체(센터콘솔박스에 있어서는 뚜껑)를 개구형성체(센터콘솔박스에 있어서는 박스)에 대응해서, 개구형성체에 제1축에 의해 축 지지 되고, 또한, 리드본체에 제2축으로 축 지지된 링크체를 통해서 연계시켜, 링크체와 개구형성체의 괘합을 푼 때에는 제1축을 중심으로 리드본체와 링크체를 함께 회동 열기 시켜, 링크체와 리드본체의 괘합을 푼 때는 상기의 경우와 반대 쪽에서 제2축을 중심으로 리드본체만을 회동 열기 시키므로, 구조는 간소하고, 또한, 회동중심이 되는 제1축 및 제2축에 대응하는 계탈동작 등은 없이, 장기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동작한다.
도 1은 리드장치의 적용예의 사시구성도(닫힘상태)
도 2는 동 요부 평면구성도
도 3은 동 종단면구성도
도 4는 동 요부 수평 단면 구성도
도 5는 리드장치의 적용예의 사시구성도(일방측에서의 열리기 시작한 상태)
도 6은 리드장치의 적용예의 사시구성도(일방측에서의 열리기 끝난 상태)
도 7은 도 5의 방향에서의 열기를 발생시키는 조작개시 직후 요부 평면구성도
도 8은 동 종단면구성도
도 9는 동 요부 수평 단면구성도
도 10은 리드장치의 적용예의 사시구성도(타방측에서의 열리기 시작한 상태)
도 11은 리드장치의 적용예의 사시구성도(타방측에서의 열리기 끝난 상태)
도 12는 도 10의 방향에서의 열기를 발생시키는 조작개시 직후의 요부 평면구성도
도 13은 동 종단면 구성도
도 14는 동 요부 수평 단면구성도
도 15는 개구형성체와 링크체와 리드본체의 분리 사시구성도
도 16은 개구형성체와 리드본체의 분리 사시구성도
도 17은 리드본체의 분해 사시구성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도 1 내지 도 17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 도 1 ~ 도 4는, 리드장치에서의 리드본체(2)가 개구형성체(1)의 개구(10)를 닫은 상태에 있을 때의 상태를, 도 5 ~ 도 9는, 리드장치에서의 리드본체(2)가 개구(10)의 일방의 연부(11)측에서 열릴 때의 상태를, 도 10 ~ 도 14는, 리드장치에서의 리드본체(2)가 이 개구(10)의 타방의 연부(11)쪽에서 열릴 때의 상태를, 도 15 ~ 도 17은, 이러한 리드장치를 구성하는 각 부품을 분해 시킨 상태로서, 각각 나타내고 있다. 특히, 도 2, 도 7, 도 12에서는, 리드본체(2)를 구성하는 아우터 커버(outer cover)(29)를 제거한 상태로서, 이 리드본체(2)를 위쪽에서 본, 도 3, 도 8, 도 13은, 이 제거상태에 있어서의 종단면상태를, 도 4, 도 9 도 14는, 전환부재(20)의 조작체(23)와 복귀수단(24)의 관계를 이해하기 쉽도록 한 요부의 횡 단면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2의 상태에서 도 7로 처럼 조작체(23)를 조작하면, 도 5, 도 6의 순서로 리드본체(2)는 기립회동하여 열리고, 도 2의 상태에서 도 12로 처럼 조작체(23)를 조작하면, 도 10, 도 11의 순으로 리드본체(2)는 기립회동하여 열리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의 형태에 의한 양쪽 열림 리드장치는, 개구형성체(1)의 개구(10)를 폐색하는 리드본체(2)를, 이 개구에 있어서의 대향하는 연부(11),(11)중 어느 한 쪽을 회동중심으로 해도, 회동·열기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개구형성체(1)는, 리드본체(2)에 의해 개방가능하게 폐색되는 개구(10)를 형성하는 것이면,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개구형성체(1)가 된다. 전형적으로는, 이러한 개구형성체(1)로서는, 자동차나 항공기 등의 타는 것의 실내에 구비될 수 있는 수납체의 본체나, 수납부를 구비한 가구나, 가전 등의 본체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개구형성체(1)가 자동차의 센터콘솔박스를 구성하는 상면을 개구(10)시킨 박스(1') 인 경우에는, 리드본체(2)를 그 뚜껑(2')으로 해서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뚜껑(2')은 대략 수평한 상태로 이러한 박스(1')의 개구(10)를 폐색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적용에 의해, 이러한 개구(10)의 운전석 측에 있는 연부(11)측을 회동중심으로 해서 조수석 쪽에서 이 뚜껑(2')을 기립회동시켜서 열 수 있도록 됨과 동시에, 이러한 개구의 조수석쪽에 있는 연부(11)측을 회동중심으로 해서 운전석 쪽에서 이 뚜껑(2')을 기립회동시켜서 여는 것도 가능하도록 된다. 혹은, 본 발명의 적용에 의해, 이러한 개구(10)의 앞부분 좌석쪽에 있는 연부(11)측을 회동중심으로 해서 뒷부분 좌석쪽에서 이 뚜껑(2')을 기립회동시켜서 열 수 있도록 됨과 동시에, 이러한 개구(10)의 뒷부분 좌석쪽에 있는 연부(11)측을 회동중심으로 해서 앞부분 좌석쪽에서 이 뚜껑(2')을 기립회동시켜서 여는 것도 가능하도록 된다. 후술하는 도시 예에서는, 이러한 전자의 경우, 후술하는 제1축(30) 및 제2축(31)을 통과하는 가상의 직선(x)을 자동차의 전후방향에 배치하도록 해서 센터콘솔박스(1')를 구성시킨다. 또한, 이러한 후자의 경우, 후술하는 제1축(30) 및 제2축(31)을 통과하는 가상의 직선(x)을 자동차의 좌우방향으로 배치하도록 하여 센터콘솔박스(1')를 구성시킨다.(도 1, 도 5 및 도 6, 도 10 및 도 11)
이러한 리드장치는, 리드본체(2)와, 링크체(3)를 구비하고 있다.
링크체(3)는, 일단측을 제1축(30)에 의해 리드본체(2)에 의해 개구(10)를 폐색할 수 있는 개구형성체(1)에 축 지지 되고, 또한, 타단측을 제1축(30)과 평행한 제2축(31)에 의해 리드본체(2)에 축 지지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링크체(3)는, 개구형성체(1)에 구비된 래치받이(12)에 대응하는 래치체(32)를 구비하고 있고, 또한, 이 래치체(32)를 그 래치단(321)이 래치받이(12)에 괘합되는 위치에 항상 있도록 부세하는 부세수단(33)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리드본체(2)는, 링크체(3)의 양단간에 있어서 이 링크체(3)에 형성된 괘합구멍(34)에 끼워넣는 괘합단(201)을 구비함과 아울러, 이 괘합단(201)을 이 괘합구멍(34)을 통해서 링크체(3)안으로 최대로 끼워 넣어진 전진위치와, 이 괘합구멍(34)에서 빠진 후퇴위치와, 양 위치의 사이가 되는 중간위치에 각각 위치시키는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전환부재(2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환부재(20)의 괘합단(201)이 전진위치에 있는 때에 이 괘합단(201)에 의해 래치체(32)가 상기 부세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압압되어 래치받이(12)와의 괘합이 풀려지도록 되어 있다. 이 때는, 리드본체(2)와 링크체(3)는 제2축(31)과 전환부재(20)의 괘합단(201)과의 2개소에서 접합되어 있고, 한편, 링크체(3)와 개구형성체(1)와는 제1축(30)에 의해서만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이 때는, 리드본체(2)와 링크체(3)를 분리시키지 않은 상태로 이러한 리드본체(2)를 제1축(30)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열기 시킬 수 있다. (이하, 이 상태를 제1축측 회동상태라고 칭한다)
이러한 전환부재(20)의 괘합단(201)이 중간위치에 있는 때는, 래치체(32)와 래치받이(12)의 괘합을 풀지않은 상태에서 괘합단(201)은 링크체(3)의 괘합구멍(34)에 괘합되는 것이 된다. 이 때는, 리드본체(2)와 링크체(3)는 제2축(31)과 전환부재(20)의 괘합단(201)과의 2개소에서 접합되어 있고, 한편, 링크체(3)와 개구형성체(1)는 제1축(30)과 래치체(32) 및 래치받이(12)의 2개소에서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이 때는, 리드본체(2)는 제1축(30)을 중심으로 해도 제2축(31)을 중심으로 해도 회동·열기를 할 수 없고, 리드본체(2)에 의한 개구형성체(1)의 개구(10)를 폐색시킨 상태가 유지된다.(이하, 이 상태를 회동 불능상태라고 칭한다.)
한편, 이러한 전환부재(20)의 괘합단(201)이 후퇴위치에 있는 때는, 래치체(32)와 래치받이(12)의 괘합을 풀지않은 상태로 괘합단(201)은 링크체(3)의 괘합구멍(34)에 괘합 하지않게 된다. 이 때는, 리드본체(2)와 링크체(3)는 제2축(31)에 의해서만 접합되어 있고, 한편, 링크체(3)와 개구형성체(1)는 제1축(30)과 래치 체(32) 및 래치받이(12)의 2개소에서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이 때는, 링크체(3)와 개구형성체(1)를 분리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이러한 리드본체(2)를 제2축(31)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열기 할 수가 있다.(이하, 이 상태를 제2축측 회동상태라고 칭한다.)
열려진 상태에서 닫힘조작된 리드본체(2)는, 제1축측 회동상태 때는 개구형성체(1)의 래치받이(12)에 래치체(32)를 다시 괘합시키는 것에 의해, 또한, 제2축측 회동상태 때는 개구형성체(1)측에 남겨진 링크체(3)의 괘합구멍(34)에 전환부재(20)의 괘합단(201)을 다시 괘합시키는 것에 의해, 다시 개구(10)를 폐색시킨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들의 관계를 기호를 이용해서 알기 쉽게 나타내면 다음과 같이 된다.(또한, 이하에서는, 부호(+)는 이 부호의 좌우의 파트(parts)가 2개소에서 접합하여 일체화하고 있는 것을, 부호(/)는 이 부호의 좌우의 파트가 1개소에서만 접합하고 있는 것을 , 각각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하고 있다. )
「제1축측 회동상태」-> 리드본체(2)+ 링크체(3)/개구형성체(1)
「회동불능상태」-> 리드본체(2)+링크체(3)+ 개구형성체(1)
「제2축측 회동상태」-> 리드본체(2)/링크체(3)+개구형성체(1)
링크체(3)의 제1축(30)은 그 일단측에 있고, 링크체(3)의 제2축(31)은 그 타단측에 있으므로, 제1축측 회동상태에 있어서는 리드본체(2)는 제2축(31)이 위치되는 쪽을 자유단으로 하도록 열린다. 한편, 제2축측 회동상태에 있어서는 리드본체(2)는 제1축(30)이 위치되는 쪽을 자유단으로 하도록 열린다. 즉, 리드본체(2)는 양쪽열기로 된다.
여기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리드본체(2)를 양쪽으로 갖도록 하고 있다. 즉, 링크체(3)를, 제1링크체(3a)와, 제2링크체(3b)로 구성시켜, 이 두개의 링크체(3a),(3b)를 통해서, 리드본체(2)를 개구형성체(1)에 부착 하고 있다. 도시예에서는, 대략 장방형의 윤곽을 가진 개구(10)에 있어서의 폭측의 개구 연부의 일방의 측방으로 이 개구 연부를 따라 길이를 갖은 제1링크체(3a)가 배치되고, 또한, 이 폭측의 개구 연부의 타방의 측방으로 이 개구 연부를 따라 길이를 갖는 제2링크체(3b)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리드본체(2)의 일단측(Fs)(도시예에서는 상기 개구에 있어서의 폭측의 개구 연부의 일방 측에 있는 리드본체(2)의 단부)에 있어서, 제1링크체(3a)를 통해서 리드본체(2)가 개구형성체(1)에 조합됨과 동시에,
리드본체(2)의 타단측(Ss)(도시예에서는 상기 개구에 있어서의 폭측의 개구 연부의 타방측에 있는 리드본체(2)의 단부)에 있어서, 제2링크체(3a)를 통해서 리드본체(2)가 개구형성체(1)에 조합되어 있다.
또한, 그것과 동시에, 제2링크체(3b)의 제2축(31)은 제1링크체(3a)의 제1축(30)을 통과하는 가상의 직선(x)상에 대략 위치되고,
제2링크체(3b)의 제1축(30)은 제1링크체(3a)의 제2축(31)을 통과하는 가상의 직선(x)상에 대략 위치되어 있다.
또한, 전환부재(20)는, 제1링크체(3a)에 대응하는 제1괘합단(201a)과, 제2링크체(3b)에 대응하는 제2 괘합단(201b)을 구비하고 있고,
전환부재(20)의 제1괘합단(201a)이 전진위치로 이동된 때 제2괘합단(201b)은 후퇴위치로 이동되고,
전환부재(20)의 제2괘합단(201b)이 전진위치로 이동된 때 제1괘합단(201a)은 후퇴위치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전환부재(20)의 제1괘합단(201a)이 전진위치로 이동된 때, 리드본체(2)의 일단측(Fs)은 상기 제1축측 회동상태로 된다. 이것에 대해서, 리드본체(2)의 타단측(Ss)은 상기 제2축측 회동상태로 된다. 여기서, 제2링크체(3b)의 제2축(31)은 제1링크체(3a)의 제1축(30)을 통과하는 가상의 직선(x)상에 대략 위치됨으로써, 리드본체(2)의 회동·열기가 가능하게 된다.(도 6)
전환부재(20)의 제2괘합단(201b)이 전진위치로 이동된 때, 리드본체(2)의 타단측(Ss)는 상기 제1축측 회동상태가 된다. 이것에 대해서, 리드본체(2)의 일단측(Fs)은 상기 제2축측 회동상태가 된다. 여기서, 제2링크체(3b)의 제1축(30)은 제1링크체(3a)의 제2축(31)을 통과하는 가상의 직선(x)상에 대략 위치됨으로써, 전자의 경우와 반대 측을 자유단으로 한 리드본체(2)의 회동·열기가 가능하게 된다.(도 11)
전환부재(20)의 제1괘합단(201a) 및 제2 괘합단(201b)이 함께 전진위치로 될때는 제1괘합단(201a) 및 제2 괘합단(201b)은 함께 중간위치에 있는 것이 된다. 이때는, 리드본체(2)의 일단측(Fs) 및 타단측(Ss)에 있어서 모두 상기 회동불능상태로 되므로, 리드본체(2)에 의한 개구형성체(1)의 개구(10)를 폐색시킨 상태가 유지 될 수 있다.(도 1)
이렇게 리드본체(2)를 양쪽으로 갖게 한 경우, 특히, 리드본체(2)의 회동·열기를 안정적으로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링크체(3a)의 제2축(31) 및 제2링크체(3b)의 제2축(31)으로 감겨서 설치된 비틀림 코일 용수철(35)에 의해, 이 제2 축(31)을 중심으로 해서 열기 회동되는 방향으로 리드본체(2)가 항상 부세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있어서는, 이러한 코일 용수철(35)의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이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리드본체(2)의 회동·열기가 이 용수철(35)의 부세에 의해 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리드본체(2)가 어느 한 방향에서 열리는 경우이어도, 그 회동·열기가 상기 용수철(35)의 부세에 의해 되도록 할 수가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러한 리드본체(2)에 있어서의 제2축(31)의 측방에, 이 제2축(31)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링크체(3)에 구비 되어진 기어(361)에 맞물리는 피니언(212)를 구비함과 아울러, 이 피니언(212)의 회전에 제동을 부여하는 댐퍼장치(21)가 구비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리드본체(2)의 상기 용수철(35)에 의한 회동·열기가 천천히 되도록 해서, 리드장치 또는 그것이 적용되는 물품, 기기, 집기 등에 고급스러움 등을 부여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전환부재(20)가 가상의 직선(X)을 따른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과 동시에, 이 가상의 직선(x)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양측의 어느 한 방향으로도 이동가능하게 리드본체(2)에 구비된 이 전환부재(20)의 조작체(23)를 구비하고 있고,
조작체(23)의 기준위치에 있어서 전환부재(20)의 제1괘합단(201a) 및 제2괘합단(201b)이 함께 중간위치에 있음과 함께,
리드본체(2)에, 이 조작체(23)가 기준위치에서 이동된 때에, 이 조작체(23)를 기준위치로 밀어 되돌리는 복귀수단(24)이 구비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작체(23)를 기준위치에서 일방측으로 이동하면 전환부재(20)의 제1 괘합단(201a)이 전진위치로 이동되고, 조작체(23)를 기준위치에서 타방측으로 이동하면, 전환부재(20)의 제2 괘합단(201b)이 전진위치로 이동되도록, 조작체(23)와 전환부재(20)가 연계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리드본체(2)를 열려는 쪽에서 조작체(23)를 밀어넣는 조작을 함에 의해, 이 리드본체(2)를 이 쪽을 자유단으로 해서 열리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조작체(23)의 조작에 의해 리드본체(2)가 열린 후는, 복귀수단(24)에 의해 조작체(23)를 기준위치로 되돌리고, 따라서, 전환부재(20)의 제1괘합단(201a) 및 제2괘합단(201b)이 함께 중간위치에 있는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또한, 열린 리드본체(2)를 닫을 때에 복귀수단(24)의 밀어 되돌림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일단 전환부재(20)를 이동시킨 후, 리드본체(2)의 닫힘위치에 있어서 제1링크체(3a) 및 제2링크체(3b)의 괘합구멍(34)에 다시 제1괘합단(201a) 및 제2괘합단(201b)을 괘합시켜서 이 닫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조작체(23)를 기준위치에서 일방측으로 이동하면 전환부재(20)의 제1괘합단(201a)이 전진위치로 이동되고, 또한, 전환부재(20)의 제2괘합단(201b)이 후퇴위 치로 이동됨으로써, 리드본체(2)는 회동·열림 가능하게 되고, 또한, 조작체(23)를 기준위치에서 타방측으로 이동하면 전환부재(20)의 제2괘합단(201b)이 전진위치로 이동되고, 또한, 전환부재(20)의 제1괘합단(201a)이 후퇴위치로 이동됨으로써, 리드본체(2)는 전자 측과 반대 쪽을 자유단으로 하여 회동·열림가능하게 되고, 특히, 도시예에서는, 상기 용수철의 부세에 의해 리드본체(2)는 열기를 개시하지만, 상기 복귀수단(24)에 의해 조작체(23)의 조작을 멈추면, 조작체(23)는 기준위치로 되돌아가고 전환부재(20)의 제1괘합단(201a) 및 제2괘합단(201b)은 함께 중간위치에 위치된다. 리드본체(2)가 열려져 있는 한 제1괘합단(201a) 및 제2괘합단(201b)의 어느 일방은 링크체(3)에 괘합되어 있지만, 리드본체(2)를 닫힘조작하면 중간위치에 있는 제1괘합단(201a) 및 제2괘합단(201b)의 타방은 래치체(32)를 래치받이(12)에 괘합시켜서 개구형성체(1)측에 남아있는 링크체(3)의 괘합구멍(34)근방의 링크체(3)의 외면에 부딪쳐 복귀수단(24)의 밀어 되돌림에 대항하여 일단 후퇴위치로 이동된다. (이때, 제1괘합단(201a) 및 제2괘합단(201b)의 일방은 전진위치로 이동된다.) 이후, 이 제1괘합단(201a) 및 제2괘합단(201b)의 타방은, 그것이 괘합구멍(34)에 끼워넣는 위치에의 상기 밀어 되돌림에 의해 다시 중간위치로 되돌여져서 이 괘합구멍(34)에 괘합된다. 이것에 의해, 리드본체(2)가 개구(10)를 안정적으로 폐색시킨 상태를 다시 만들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시예에서는, 개구형성체(1)의 개구(10)는 폭과 길이를 갖는 대략 장방형상의 윤곽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것에 대응해서, 리드본체(2)도, 폭과 길이를 구비한 대략 장방형의 반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 중, 부호 29 는 리드 본체(2)의 아우터 커버이다.
리드본체(2)의 길이 방향 양측에는 각각, 리드본체(2)의 폭에 이르고, 또한, 리드본체(2)의 하면에 있어서 개방된 링크체(3)의 수납 오목부(25)가 형성되어 있다.
리드본체(2)의 상기 아우터 커버(29)로 막히는 상면측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른 연부에 각각, 상기 수납 오목부(25)사이에 이르는 입상벽(26)이 형성되어 있고, 수납 오목부(25)를 이루는 측벽(251)과 이 입상벽(26)의 내면에 의해 리드본체(2)의 상면개구가 상자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이 리드본체(2)의 내측으로 향하는 수납오목부(25)의 측벽(251)의 대략 중앙에는, 이 측벽(251)을 관통하는 전환부재(20)의 괘합단(201)의 통과부(252)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 중, 부호 27 는 이 통과부(252)에 통과된 전환부재(20)의 누름부재이다.(또한, 도 2, 도 3, 도 7, 도8, 도 12, 도 13에 있어서는, 이러한 누름부재(27)를 리드본체(2)의 일단측(Fs)에 있어서만 나타내고 있다.)
또한, 리드본체(2)의 4개의 모퉁이 중, 하나의 대각선상에 있는 2개의 모퉁이에는 각각, 리드본체(2)의 상면에 있어서 개방된 대략 사각형의 짜넣기 오목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모퉁이에 있는 수납오목부(25)를 이루는 내외의 측벽(251)과, 이 측벽(251)과 평행을 이루는 짜넣기 오목부(28)의 측벽에는, 제2축(31)의 고정구멍(281)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제2축(31)은 이 각 고정 구멍(281)으로 통과되어서 리드본체(2)의 길이 방향으로 축선을 따르게하는 방향으로 이 리드본체(2)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링크체(3)의 타단측으로 수납오 목부(25)내에 있어서 이 고정구멍(281)에 연통하는 축구멍(3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제2축(31)을 내측으로 받아들여 상기 짜넣기 오목부(28)안에 위치되는 슬리브체(36)의 일단이 링크체(3)의 축구멍(311)의 주연부에 멈추도록 되어 있다. 이 슬리브체(36)의 외측에는 비틀림 코일 용수철(35)이 감기어 설치되어 있다. 이 비틀림 코일 용수철(35)에 의해 링크체(3)는 리드본체(2)의 수납오목부(25)로부터 빠져나가는 방향으로 항상 부세를 받고 있다. 짜넣기 오목부(28)안에는, 통상(筒狀)본체(211)와, 이 통상본체(211)의 통일단(筒一端)에 있어서 이 통상본체(211)의 통축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이 통상본체(211)에 지지된 피니언(212)으로 구성되는 댐퍼장치(21)가, 피니언(212)의 회전축을 제2축(31)과 평행하게 배치시키도록 해서 짜맞추어져 있다. 이러한 댐퍼장치(21)의 통상본체(211)내에는 실리콘 오일 등의 점성유체가 봉입되어 있고, 통상본체(211)내에 있는 피니언(212)의 일부가 이 피니언(212)의 회전시에 봉입된 점성유체의 저항을 받도록 되어 있다. 슬리브체(36)의 타단에는 이러한 피니언(212)에 항상 맞물리는 기어(361)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 예에서는, 리드본체(2)의 어느쪽에서의 열기도 상기 용수철(35)에 의해 달성되면서, 이 어느 쪽에서의 열기에 대해서도 적당한 정도의 제동을 부여하도록 하고 있다.
리드본체(2)의 내부에 있어서, 그 길이방향의 대략 중간정도의 위치보다도 그 일단측(Fs)에 가까운 위치에는, 리드본체(2)의 폭방향에 이르는 길이를 갖는 조작체(23)가 이 폭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입상벽(26)에는 각각, 이 조작체(23)의 단부에 형성된 버튼부(231)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창구 멍(261)이 형성되어 있고, 이 창구멍(261)을 통한 버튼부(231)의 끼워넣기 조작에 의해 조작체(23)를 기준위치에서 끼워넣도록 되어 있다. 조작체(23)의 길이방향 대략 중앙에는, 이 조작체(23)의 길이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은 캠(cam)홈(23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작체(23)의 길이방향 대략 중간 정도의 위치이며, 그 이면에는, 조작체(23)의 길이방향에 대한 동일한 각도로 교차하고, 또한, 조작체(23)의 중앙에 있어서 직각으로 교차하는 좌우경사면(233a, 233a)으로부터 되는 피압압부(23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좌우경사면(233a, 233a)은 리드본체(2)의 타단측(Ss)으로 향하고 있다. 리드본체(2)의 내부에는, 이 피압압부(233)에 대응해서 리드본체(2)의 타단측(Ss)에서 용수철(242)에 의해 항상 눌려져 있는 복귀수단(24)으로서의 압압체(241)가 리드본체(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압압체(241)는 피압압부(233)의 좌우경사면(233a, 233a)에 의해 형성된 직각 이등변 삼각형상의 내곽형상을 따라 선단(243)형상을 가지고 있고, 이것에 의해 조작체(23)는 상기 눌러넣기 조작이 되지 않은 때에는 이 압압체(241)의 선단(243)을 피압압부(233)의 좌우경사면(233a, 233a)이 접해 만나는 안쪽 모퉁이(233b)로 받아들이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도 2 /조작체(23)의 기준위치)
전환부재(20)는, 도시예에 있어서는, 일방의 수납오목부(25)에 형성된 상기 통과부(252)와, 타방의 수납오목부(25)에 형성된 상기 통과부(252)에 각각, 그 단부를 항상 들어가게 하는 길이를 갖은 막대모양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단부가 상기 괘합단(201)으로써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 전환부재(20)에서의 상기 조작체(23)의 상면상에 위치되는 개소에는, 상기 캠홈(232)에 끼워지고 이것으로 안내되는 돌기(202)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체(23)가 기준위치에 있을 때, 이 돌기(202)는 캠홈(232)의 길이방향 대략 중간정도의 위치에 위치된다. (도 2) 조작체(23)가 기준위치에서 도 2에 있어서의 좌측으로 향하여 밀려들어오면, 전환부재(20)는 동 도면에 있어서의 하측으로 이동되고, 이 하측의 링크체(3)에 구비된 래치체(32)에 있어서의 그 회동축(324)을 끼워서 래치단(321)과 반대측이 되는 상단부(323)를 래치받이(12)와의 괘합을 푸는 방향으로 누르고,(도 7, 도 8)조작체(23)가 기준위치에서 도 2에 있어서의 좌측으로 향하여 밀려 들어오면, 전환부재(20)는 같은 도면에 있어서의 상측으로 이동되고, 이 상측의 링크체(3)에 구비된 래치체(32)에 있어서의 그 회동축(324)를 끼워서 래치단(321)과 반대측이 되는 상단부(323)를 래치받이(12)와의 괘합을 푸는 방향으로 민다(도 12, 도 13)
전환부재(20)의 양 괘합단(201, 201)은, 조작체(23)가 기준위치에 있는 때는, 통과부(252)에서 수납오목부(25)내에 있는 링크체(3)의 괘합구멍(34)에 약간 끼여 들어와 있다.(도 3) 괘합단(201)의 하측은, 이 괘합단(201)의 말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순서대로 이 괘합단(201)을 좁히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203)으로 되어 있다.
링크체(3)는, 타단에 상기 제2축(31)의 축 구멍(311)을 구비하고, 또한, 일단에 제1축(30)의 축구멍(301)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리드본체(2)의 닫힘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수납오목부(25)내에 완전히 받아들이는 굵기를 갖은 막대모양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링크체(3)는 상기 타단측을 제외한 개소를, 리드의 닫힘상태에 있어서 상측에 위치된 상벽(37a)과 하측에 위치된 하벽(37b) 및 이 양자 사이에 이르는 내측벽(37c)(타방의 링크체(3)로 향하여진 쪽에 있는 측벽)과 외측벽(37d)을 구비한 중공체로 구성되어 있다.
링크체(3)의 일단측의 하벽(37b)은 잘려져 있고, 개구형성체(1)의 개구(10)에 있어서의 4개의 모둥이를 통과하는 2개의 대각선 중의 하나의 대각선상에 위치되는 모퉁이의 외측으로서, 개구의 폭측의 연부의 측방에서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 브래킷(bracket)부(13)가 이 절결부(38)를 통해서 링크체(3)내로 받아들여지도록 되어 있다. 링크체(3)의 일단측의 내측벽(37c) 및 외측벽(37d)과 브래킷부(13)에는 제1축(30)의 축구멍(301, 131)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축구멍(301, 131)에 제 1축 (30)을 통과시킴으로 링크체(3)는 그 일단측에서 개구형성체(1)에 회동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링크체(3)의 길이방향 대략 중간정도의 위치에는 그 내측벽(37c)에 상기 괘합구멍(34)이 관통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 괘합구멍(34)의 윗구멍 둘레와 상벽(37a)의 사이에는 이 상벽(37a)에 가까워짐에 따라 차례로 높아지는 경사안내면(341)이 형성되어 있다. 리드본체(2)를 연 상태에서 닫힘조작 하면, 링크체(3)와의 괘합을 풀리게 할 수 있는 전환부재(20)의 괘합단(201)은, 기준위치에 있는 조작체(23)에 의해 중간위치에 위치됨으로 해서, 그 괘합단(201)의 경사면(203)을 상기 경사안내면(341)슬라이딩 접촉하여 약간 후퇴되고, 이것에 의해 리드본체(2)의 닫힘위치로의 이동이 허용된다. 리드본체(2)의 닫힘위치에서는 복귀수단(24)의 밀어 되돌림에 의해 전환부재(20)의 이 괘합단(201)은 다시 중간위치로 되돌려지고, 링크체(3)의 괘합구멍(34)에 끼워넣어 괘합된다.
래치받이(12)는, 도시예에서는 개구형성체(1)의 개구(10)의 폭측의 연부의 측방에 있어서, 그 대략 중간정도의 위치에 있어서, 그 개구형성체(1)를 구성하는 상면부(14)에 형성된 관통구멍(12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한편, 래치체(32)는, 링크체(3)의 길이방향 대략 중간정도 위치에 있어서 이 링크체(3)의 하벽(37b)에 관통상태로 형성된 창구멍(39)에서 돌출하는 래치단(321)을 구비함과 동시에, 링크체(3)의 내부에 있어서 괘합구멍(34)의 전방에 위치되는 상단부(323)를 구비하고 있고, 또한, 이 래치단(321)과 상단부(323)의 사이에 있어서, 양측부에 형성된 축돌기(325)를 가지고 링크체(3)의 길이방향으로 회동축(324)을 따르게 하는 방향으로 이 링크체(3)에 회동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래치단(321)은, 링크체(3)의 외벽측으로 돌출하는 고리체(32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축돌기(325)의 일방에는 비틀림 코일 용수철(331)이 감겨서 설치되어 있고, 이 용수철(331)에 의해 래치체(32)는 리드본체(2)의 닫힘상태에 있어서 래치받이(12)로서의 관통구멍(121)에 래치단(321)을 들어가게 해서 고리체(322)를 이 관통구멍(121)의 내측의 구멍 연부로 괘합시키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 리드본체(2)가 닫혀진 상태에 있어서 전환부재(20)의 괘합단(201)이 전진위치로 이동되면, 이 괘합단(201)이 래치체(32)의 상단부(323)을 링크체(3)의 내측벽(37c)측에서 누르고 래치체(32)는 그 래치단(321)과 래치받이(12)로서의 관통구멍(121)의 괘합을 푸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것에 의해 이러한 링크체(3)를 리드본체(2)의 수납오목부(25)로 받아들이게 한 상태에서 이 쪽에서는 제1축(30)을 중심으로 리드본체(2)는 열려진다. (이 링크체(3)와 반대측의 링크체(3)는 래치체(32)를 래치받이(12)에 괘합시킨 상태에서 개구형성체(1)상에 남겨진다.)전환부재(20)의 조작, 결국은, 조작체(23)의 조작을 멈추면 괘합단(201)은 중간위치로 되돌아가므로 리드본체(2)와 함께 들려 올라가 있는 링크체(3)에 있어서의 래치체(32)의 래치단(321)은 용수철(331)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진다. 리드본체(2)를 닫는 조작을 하면 이 래치단(321)은 래치받이(12)로서의 관통구멍(121)의 구멍 주연부에 부딪히게 되어 용수철(331)의 부세에 대항하여 약간 회동하여 이 관통구멍(121)에 끼워넣어지고, 끼워넣는 위치에서 다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 이 관통구(121)에 상기와 같이 괘합된다.
또한, 2006년 3월14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06-069875호의 설명서, 특허청구범위, 도면 및 요약서의 전 내용을 여기에서 인용하고, 본 발명의 설명서의 개시로서, 받아들이는 것이다.

Claims (6)

  1. 리드본체와, 링크체를 구비하고 있고,
    링크체는, 일단측을 제1축에 의해 리드본체에 의해 개구를 폐색할 수 있는 개구형성체에 축 지지되고, 또한, 타단측을 제1축과 평행한 제2축에 의해 리드본체에 축지지 됨과 동시에, 개구형성체에 구비된 래치받이에 대응하는 래치체를 구비하고 있고, 또한, 이 래치체를 그 래치단이 래치받이에 괘합되는 위치에 항상 있도록 부세하는 부세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리드본체는, 링크체의 양단사이에 있어서 이 링크체에 형성된 괘합구멍으로 끼워넣는 괘합단을 구비함과 동시에, 이 괘합단을 이 괘합구멍을 통해서 링크체내에서 최대로 끼워넣어진 전진위치와, 이 괘합구멍에서 빠진 후퇴위치와, 양 위치의 사이가 되는 중간위치에 각각 위치시키는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전환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전환부재의 괘합단이 전진위치에 있는 때에 이 괘합단에 의해 래치체가 상기 부세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압압되어서 래치받이와의 괘합이 풀려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쪽 열림 리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링크체가 제1링크체와, 제2링크체로 구성되어 있고,
    리드본체의 일단측에서, 제1링크체를 통해서 리드본체가 개구형성체에 조합 되어 있음과 동시에,
    리드본체의 타단측에서, 제2링크체를 통해서 리드본체가 개구형성체에 조합되어 있고,
    또한, 제2링크체의 제2축은 제1링크체의 제1축을 통과하는 가상의 직선상에 대략 위치되고,
    제2링크체의 제1축은 제1링크체의 제2축을 통과하는 가상의 직선상에 대략 위치되어 있고,
    전환부재는, 제1링크체에 대응하는 제1 괘합단과, 제2링크체에 대항하는 제2괘합단을 구비하고 있고,
    전환부재의 제1괘합단이 전진위치로 이동된 때 제2괘합단은 후퇴위치로 이동되고,
    전환부재의 제2괘합단이 전진위치로 이동된 때 제1괘합단은 후퇴위치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쪽 열림 리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전환부재가 가상의 직선을 따른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가상의 직선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양측 중의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가능하게 리드본체에 구비된 이 전환부재의 조작체를 구비하고 있고,
    조작체의 기준위치에서 전환부재의 제1괘합단 및 제2괘합단이 함께 중간위치에 있음과 동시에,
    리드본체에는, 이 조작체가 기준위치에서 이동된 때에, 이 조작체를 기준위치로 밀어 되돌리는 복귀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쪽 열림 리드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링크체의 제2축에 감기어 설치된 비틀림 코일 용수철에 의해, 이 제2축을 중심으로 해서 열림 회동되는 방향으로 리드본체가 항상 부세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쪽 열림 리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리드본체에서의 제2축의 측방에, 이 제2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링크체 측에 구비된 기어에 맞물리는 피니언을 구비함과 동시에, 이 피니언의 회전에 제동을 부여하는 댐퍼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쪽 열림 리드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리드장치에서의 리드본체를 뚜껑으로 하고, 또한, 개구형성체를 박스로 해서 구성됨과 동시에, 제1축 및 제2축을 통과하는 가상의 직선을 자동차의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배치하도록 하여 되는 센터콘솔박스.
KR1020087022138A 2006-03-14 2007-01-31 양쪽 열림 리드장치 및 센터콘솔박스 KR1012548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69875 2006-03-14
JP2006069875A JP4772541B2 (ja) 2006-03-14 2006-03-14 両開きリッド装置及びセンターコンソールボックス
PCT/JP2007/051630 WO2007105383A1 (ja) 2006-03-14 2007-01-31 両開きリッド装置及びセンターコンソールボック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4300A KR20080104300A (ko) 2008-12-02
KR101254841B1 true KR101254841B1 (ko) 2013-04-15

Family

ID=38509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2138A KR101254841B1 (ko) 2006-03-14 2007-01-31 양쪽 열림 리드장치 및 센터콘솔박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00453B2 (ko)
EP (1) EP2006478B1 (ko)
JP (1) JP4772541B2 (ko)
KR (1) KR101254841B1 (ko)
CN (1) CN101400870B (ko)
WO (1) WO200710538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4115B1 (ko) 2023-09-13 2023-12-15 주식회사 서연이화 콘솔 장치
KR102666796B1 (ko) 2023-09-13 2024-05-16 주식회사 서연이화 콘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51499B1 (en) * 2006-10-20 2017-01-24 Omni Containment Systems, Llc Hinge assembly for supporting a fan on a roof
US7810862B2 (en) * 2007-02-14 2010-10-12 89908, Inc. Dual access vehicle storage assembly
JP5108441B2 (ja) * 2007-10-05 2012-12-26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リッド開閉機構
DE102008019867B4 (de) * 2008-04-16 2012-12-20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Staufach
JP5197313B2 (ja) * 2008-11-14 2013-05-15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車両用収納装置
JP5369998B2 (ja) * 2009-03-30 2013-12-18 豊田合成株式会社 収納ボックス
JP5335119B2 (ja) * 2012-06-20 2013-11-06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リッド開閉機構
US9676340B2 (en) * 2012-06-20 2017-06-13 Faurecia Interior Systems India Pvt. Ltd. Storage device arranged to be opened in two different directions
JP5450721B2 (ja) * 2012-06-20 2014-03-26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リッド開閉機構
US20140090634A1 (en) * 2012-09-28 2014-04-03 Fan Li Reduce impact by barbecue smoke
CN103144578B (zh) * 2013-02-28 2015-05-06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用于车辆的杂物盒和具有该杂物盒的车辆
US9302628B2 (en) * 2013-04-02 2016-04-05 Lund Motion Products, Inc. Dual access vehicle storage assembly
US9470027B2 (en) * 2013-04-24 2016-10-1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Vehicle control apparatus
US9140044B2 (en) * 2013-06-07 2015-09-2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ual-opening armrest assembly and vehicle having same
CN104590070B (zh) * 2013-10-30 2017-01-18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用于车辆的多向开启扶手和车辆
DE102013019389A1 (de) 2013-11-18 2015-05-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Verschließbare Vorrichtung zur Aufbewahrung von Gegenständen in einem Fahrzeug
JP5913391B2 (ja) * 2014-01-17 2016-04-27 株式会社ジャムコ 航空機の乗客用シートの収納ユニット
JP6406183B2 (ja) * 2015-09-04 2018-10-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ッド用ロック装置
US9707899B2 (en) * 2015-10-05 2017-07-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nsole lid integrated dual pawl latching package
US10099824B2 (en) 2016-03-18 2018-10-16 Toyoda Gosei Co., Ltd. Lid mechanism
JP2018012454A (ja) 2016-07-22 2018-01-25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コンソールドア両開き構造
JP6593654B2 (ja) * 2016-09-28 2019-10-23 豊田合成株式会社 リッド機構
US10486568B2 (en) * 2017-06-14 2019-11-26 Gulfstream Aerospace Corporation Seat assemblies including an armrest with an armrest lid and a hinge arrangement
JP2019048550A (ja) 2017-09-08 2019-03-28 豊田合成株式会社 両開き収納装置
JP6850991B2 (ja) * 2017-10-17 2021-03-31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両用コンソールリッド構造
JP6996479B2 (ja) 2018-11-20 2022-01-17 豊田合成株式会社 両開きコンソールボックス
CN111251959B (zh) * 2018-11-30 2022-03-22 诺博汽车零部件(平湖)有限公司 用于车辆的扶手箱及具有其的车辆
CN111252001B (zh) * 2018-11-30 2021-12-17 诺博汽车***有限公司 用于车辆的扶手箱及具有其的车辆
CN111252002B (zh) * 2018-11-30 2021-12-21 诺博汽车零部件(平湖)有限公司 用于车辆的扶手箱及具有其的车辆
CN110670987B (zh) * 2019-06-27 2020-08-14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双向开合装置、扶手箱及车辆
EP4095436A4 (en) 2020-01-22 2023-09-27 Nifco Inc. LED LIGHTING DEVICE
JP7240342B2 (ja) 2020-02-04 2023-03-15 株式会社ニフコ リッド装置、及び、センターコンソールボックス
CN112550160B (zh) * 2020-12-17 2022-05-20 上汽通用汽车有限公司 储物盒门盖及储物盒
CN113602201B (zh) * 2021-08-30 2023-02-14 宁波井上华翔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方便取物的新型中央通道电动翻转扶手
CN114987344A (zh) * 2022-06-07 2022-09-02 上海延锋金桥汽车饰件***有限公司 一种车辆内部部件
DE102022123204B4 (de) * 2022-09-12 2024-03-21 Lisa Dräxlmaier GmbH Klappeinheit für eine Klapp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s und Klappeinrichtu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7625A (en) 1989-06-05 1991-11-26 Nifco Inc.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lid
JPH04237783A (ja) * 1991-01-16 1992-08-26 Kato Hatsujo Kaisha Ltd 自動車のコンソールボックス用等の両開き開閉装置
US5210306A (en) 1989-08-08 1993-05-11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Promoted amines catalysis
US6142333A (en) 1996-05-31 2000-11-07 Piolax Inc. Bi-directional lid open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074458A (fr) 1953-04-10 1954-10-06 élément pivotant de fermeture susceptible de s'ouvrir à volonté à droite ou à gauche
US3321100A (en) * 1965-04-02 1967-05-23 Gen Electric Reversible opening door
JPS55117568U (ko) * 1979-02-13 1980-08-19
JPS55117568A (en) 1979-03-01 1980-09-09 Dengensha Mfg Co Ltd Magnetic rotating arc welding method
JPS5835766A (ja) 1981-08-21 1983-03-02 Sony Corp Dadプレ−ヤ
JPS595460A (ja) 1982-07-02 1984-01-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記録円盤再生装置
JPS62141875A (ja) 1985-12-16 1987-06-25 Fujitsu Ltd 復号誤り伝播防止方式
JPS62141875U (ko) * 1986-02-28 1987-09-07
CN2048103U (zh) * 1989-05-06 1989-11-22 陈宝奇 左右开门机构
CN2061676U (zh) * 1989-09-11 1990-09-05 安立成 电冰箱箱门双向开关装置
JP2867513B2 (ja) 1989-12-18 1999-03-0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センター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3208453B2 (ja) * 1990-12-14 2001-09-10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自動車のコンソールボックス用等の両開き開閉装置
JP3052153B2 (ja) 1991-01-10 2000-06-12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自動車のコンソールボックス用等の両開き開閉装置
DE69312134T2 (de) * 1992-03-25 1997-12-11 Kato Hatsujo Kaisha Ltd Vorrichtung zum Öffnen und Schliessen eines Deckels
JP2664618B2 (ja) 1993-06-28 1997-10-15 池田物産株式会社 物入れ装置
JP2006069875A (ja) 2004-09-06 2006-03-16 Nitto Denko Corp 水素ガス発生装置及び水素ガス発生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7625A (en) 1989-06-05 1991-11-26 Nifco Inc.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lid
US5210306A (en) 1989-08-08 1993-05-11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Promoted amines catalysis
JPH04237783A (ja) * 1991-01-16 1992-08-26 Kato Hatsujo Kaisha Ltd 自動車のコンソールボックス用等の両開き開閉装置
US6142333A (en) 1996-05-31 2000-11-07 Piolax Inc. Bi-directional lid opening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4115B1 (ko) 2023-09-13 2023-12-15 주식회사 서연이화 콘솔 장치
KR102666796B1 (ko) 2023-09-13 2024-05-16 주식회사 서연이화 콘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100453B2 (en) 2012-01-24
EP2006478A2 (en) 2008-12-24
JP4772541B2 (ja) 2011-09-14
JP2007245838A (ja) 2007-09-27
CN101400870A (zh) 2009-04-01
EP2006478B1 (en) 2015-08-19
EP2006478A4 (en) 2009-05-06
EP2006478A9 (en) 2009-07-08
WO2007105383A1 (ja) 2007-09-20
US20090200825A1 (en) 2009-08-13
KR20080104300A (ko) 2008-12-02
CN101400870B (zh) 201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4841B1 (ko) 양쪽 열림 리드장치 및 센터콘솔박스
US7669288B2 (en) Hinge arrangement for a cover element
KR101157902B1 (ko) 리드 개폐 장치
EP3272983A1 (en) Console lid opening/closing mechanism
JP4826853B2 (ja) 自動車用ドアのインサイドハンドル装置
JP2009002143A (ja) リッド開閉装置
WO2013065593A1 (ja) ドアロック装置
WO2014030531A1 (ja) 開閉体のロック装置
WO2018047684A1 (ja) ロック装置
KR101176345B1 (ko) 차량용 글로브박스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글로브박스 조립체
JP6406183B2 (ja) リッド用ロック装置
JP4951797B2 (ja) インサイド操作装置
JP4518900B2 (ja) リッド開閉装置
JP5495166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JP2010254233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6754256B2 (ja) ヒンジ
KR101093430B1 (ko) 회동체의 로크구조, 및 수납장치
JP3987969B2 (ja) 車両用収納装置
JP4071075B2 (ja) グローブボックスリッドのサイドロック機構
KR100535766B1 (ko) 글로브 박스의 록킹 장치
CN114929521A (zh) 车辆用踏板装置
JP2017002470A (ja) 開閉体のロック装置
JP4738991B2 (ja) 扉開閉装置
JP5949685B2 (ja) サイドロック装置
JP2008196279A (ja) リッド開放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