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1786B1 - Separable blanket for roll-print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eparable blanket for roll-print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1786B1
KR101251786B1 KR1020110024986A KR20110024986A KR101251786B1 KR 101251786 B1 KR101251786 B1 KR 101251786B1 KR 1020110024986 A KR1020110024986 A KR 1020110024986A KR 20110024986 A KR20110024986 A KR 20110024986A KR 101251786 B1 KR101251786 B1 KR 101251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rinting
blanket
support
surface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49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05738A (en
Inventor
유흥식
이순열
박진영
구범모
이승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10105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57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1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17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N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FOR SURFACES USED IN PRINTING MACHINES FOR PRINTING, INKING, DAMPING, OR THE LIKE; PREPARING SUCH SURFACES FOR USE AND CONSERVING THEM
    • B41N10/00Blankets or like coverings; Coverings for wipers for intaglio printing
    • B41N10/02Blanket structure
    • B41N10/04Blanket structure multi-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AND TO STAMPS
    • B41P2200/00Printing processes
    • B41P2200/10Relief printing
    • B41P2200/13Offset printing

Landscapes

  • Printing Plates And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 블랭킷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표면 인쇄층, 지지층 및 쿠션층을 포함하는 오프셋 인쇄용 블랭킷에 있어서, 표면 인쇄층과 쿠션층을 각각 다른 지지층에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 블랭킷은 블랭킷의 평탄도를 높임으로써 작업 효율을 좋게 하고 각 기재의 재사용률을 높이며, 표면 인쇄층 또는 쿠션층만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불량율을 최소화하여 제작효율을 높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inting blanket. In the blanket for offset printing including a surface printing layer, a support layer, and a cushion layer, the surface printing layer and the cushion layer are produced on different support layers, respectively. The printing blan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work efficiency by increasing the flatness of the blanket, to increase the reuse rate of each substrate, and to replace only the surface print layer or the cushion layer, thereby minimizing the defective rate, thereby increasing the production efficiency.

Description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갖는 인쇄용 블랭킷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SEPARABLE BLANKET FOR ROLL-PRINT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Blanket for printing having a detachable structur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SEPARABLE BLANKET FOR ROLL-PRINT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쇄 블랭킷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표면 인쇄층 및 쿠션층을 각각 별도의 지지층에 제조한 후 이를 결합함으로써,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갖는 인쇄용 블랭킷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0년 3월 19일에 한국특허청에 제출된 한국 특허 출원 제10-2010-0024843호의 출원일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 전부는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inting blank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inting blanket having a detachable structur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by manufacturing a surface printing layer and a cushioning layer on separate support layers and then combining them. This application claims the benefit of the filing date of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0-0024843 filed with the Korea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on March 19, 2010, the entire content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 반도체 소자 등의 전자 소자는 기판 상에 수많은 층들의 패턴이 형성되어 제작된다. 이러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서 지금까지는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이 주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은 소정의 패턴 마스크를 제작해야 하고, 화학적 에칭, 스트립핑 과정을 반복해야 하므로 제적공정이 복잡하고, 환경에 유해한 화학 폐기물을 다량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곧 제작비용의 상승으로 연결되어 제품의 경쟁력을 떨어뜨린다. 이러한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패턴형성 방법으로서 인쇄롤을 이용한 롤 프린팅 방법이 제안되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a semiconductor device are fabricated by forming patterns of numerous layers on a substrate. In order to form such a pattern, a photolithography process has been mainly used so far. However, the photolithography process has to produce a predetermined pattern mask, and the chemical etching and stripping processes have to be repeated, so that the removal process is complicated and there is a problem of generating a large amount of chemical waste harmful to the environment. This leads to an increase in production costs, which reduces the competitiveness of the product. A roll printing method using a printing roll has been proposed as a new pattern forming method for solving the disadvantages of the photolithography process.

롤 프린팅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크게 그라비아 인쇄 및 리버스 오프셋 인쇄방법의 2가지로 대별될 수 있다.There are various methods of roll printing, but it can be roughly divided into two methods, gravure printing and reverse offset printing.

그라비아 인쇄는 오목판에 잉크를 묻혀 여분의 잉크를 긁어내고 인쇄를 하는 인쇄방식으로서, 출판용, 포장용, 셀로판용, 비닐용, 폴리에틸렌용 등의 다양한 분야의 인쇄에 적합한 방법으로서 알려져 있으며, 표시 소자에 적용되는 능동 소자나 회로 패턴의 제작에 상기 그라비아 인쇄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라비아 인쇄는 전사롤을 이용하여 기판상에 잉크를 전사하기 때문에, 원하는 표시 소자의 면적에 대응하는 전사롤을 이용함으로써, 대면적의 표시 소자의 경우에도, 1회의 전사에 의해 패턴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그라비아 인쇄는 기판상에 레지스트용인 잉크 패턴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표시 소자의 각종 패턴들,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소자의 경우, TFT 뿐만 아니라 상기 TFT와 접속되는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 화소 전극, 캐패시너용 금속 패턴을 패터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Gravure printing is a printing method that scrapes excess ink by printing ink on a concave plate and prints it. It is known as a method suitable for printing in various fields such as publishing, packaging, cellophane, vinyl, polyethylene, and the like. Research has been made to apply the gravure printing method to the fabrication of the applied active device or circuit pattern. Since gravure printing transfers ink onto a substrate using a transfer roll, by using a transfer roll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a desired display element, a pattern can be formed by one transfer even in a large area display element. Will be. Such gravure printing not only forms an ink pattern for resist on a substrate, but also various patterns of a display element,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 TFT, as well as a gate line and a data line, a pixel electrode, connected to the TFT, It can be used to pattern metal patterns for capacitors.

그러나 통상 그라비아 인쇄에 사용하는 블랭킷은 딱딱한 마스터 몰드에 실리콘계 수지를 캐스팅하여 제조되었는바, 이렇게 제조된 블랭킷은 균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제조하는데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파일럿 스케일로 양산하는 데도 어려움이 있다. 이에, 정밀한 미세 패턴 형성을 위해서는 주로 리버스 오프셋 인쇄방식이 채용된다.However, the blanket used for gravure printing is generally manufactured by casting a silicone-based resin on a rigid master mold. Thus, the blanket is not only limited in manufacturing a uniform thickness, but also difficult to mass-produce on a pilot scale. . Thus, a reverse offset printing method is mainly employed for precise fine pattern formation.

리버스 오프셋 인쇄방식 및 인쇄 장치에 관한 종래기술은,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공개된 하기 문헌 1 내지 문헌 3의 것들을 참고할 수 있다.For the prior art related to the reverse offset printing method and the printing apparatus, reference may be made to those of Documents 1 to 3, which are filed and publish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문헌 1] KR 10-2008-0090890(공개) 2008.10.09.Document 1 KR 10-2008-0090890 (published) 2008.10.09.

[문헌 2] KR 10-2009-0020076(공개) 2009.02.26.Document 2 KR 10-2009-0020076 (published) 2009.02.26.

[문헌 3] KR 10-2009-0003883(공개) 2009.01.12.Document 3 KR 10-2009-0003883 (published) 2009.01.12.

상기 문헌 1 내지 문헌 3의 명세서 내용 전부는 본 발명의 종래기술에 대한 설명으로서 본 발명의 명세서와 합체된다.All of the contents of the specification of Documents 1 to 3 are incorporated into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description of the prior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는 통상적으로 리버스 오프셋 인쇄에 사용되는 종래 블랭킷의 구조 단면을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의 블랭킷은 표면 인쇄층, 지지층, 쿠션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층들 사이에 부착력을 확보하기 위해 프라이머층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면 인쇄층은 잉크가 직접 묻어 전사가 이루어지는 층으로 주로 PDMS(Poly-Di-Methyl-Siloxane)로 제작되고, 상기 지지층은 상기 표면 인쇄층과 상기 쿠션층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주로 PET 필름으로 제작된다.Figure 1 shows a structural cross section of a conventional blanket typically used for reverse offset printing. As shown in Figure 1, the conventional blanket is composed of a surface printing layer, a support layer, a cushion layer,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primer layer to secure the adhesion between the layers. The surface printing layer is a layer in which ink is directly buried, and is mainly made of poly-di-methyl-siloxane (PDMS), and the support layer serves to support the surface printing layer and the cushion layer, and is mainly made of PET film. Is produced.

또한, 상기 쿠션층은 상기 표면 인쇄층의 표면이 균일하지 않은 경우에, 이러한 두께 차이를 보상해주는 역할을 하고 표면 인쇄층과 마찬가지로 주로 PDMS로 제작된다.In addition, the cushion layer serves to compensate for such a difference in thickness when the surface of the surface printing layer is not uniform, and is mainly made of PDMS like the surface printing layer.

리버스 오프셋 프린팅 방법은 패턴 형성에 있어서, 비용이 절감되고, 생산속도가 향상된다는 측면에서 매우 각광받는 기술이지만, 정밀한 패턴을 얻기 위해서는 양질의 블랭킷이 요구된다. 그러나, 표면 인쇄층과 쿠션층을 동일한 지지체(PET)에 제작한 일체형의 블랭킷의 경우, 인쇄층의 평탄도가 좋지 않고 블랭킷의 끝이 말리는 소위, 꼬리 말림 현상이나 블랭킷이 인쇄판의 요철에 닿는 바닥 닿음 현상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표면 인쇄층이나 쿠션층 중 하나만 불량이어도 블랭킷 전체를 사용할 수 없게 되어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불리한 문제가 있다.The reverse offset printing method is a very popular technology in terms of cost reduction and production speed in pattern formation, but a high quality blanket is required to obtain a precise pattern. However, in the case of an integrated blanket in which the surface printing layer and the cushion layer are formed on the same support (PET), the flatness of the printing layer is poor and the so-called curling phenomenon or the bottom of the blanket touches the unevenness of the printing plate. There is a problem that often occurs contact. In addition, even if only one of the surface printing layer and the cushion layer is defective, the entire blanket cannot be used, which is disadvantageous in terms of cost.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표면 인쇄층, 지지층 및 쿠션층을 포함하는 오프셋 인쇄용 블랭킷에 있어서, 상기 표면 인쇄층 및 쿠션층을 각각 분리된 지지층에 제조하고 이를 결합하여 인쇄용 블랭킷을 제조함으로써 분리 가능한 인쇄용 블랭킷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lanket for offset printing comprising a surface printing layer, a support layer and a cushion layer, wherein the surface printing layer and cushioning layer to each of the separate support layer By manufacturing and combining them to produce a printing blanket, a detachable printing blanket is provided.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표면 인쇄층이 2중층의 구조를 갖는 인쇄용 블랭킷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blanket for printing in which the surface printed layer has a double layer structur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분리 가능한 인쇄용 블랭킷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the detachable blanket for print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표면 인쇄층, 지지층, 및 쿠션층을 포함하는 오프셋 인쇄용 블랭킷에 있어서, 상기 쿠션층을 포함하는 제1 지지층과 표면 인쇄층을 포함하는 제2 지지층이 분리되어 제조된 후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셋 인쇄용 블랭킷을 제공한다.An offset printing blanket comprising a surface printing layer, a support layer, and a cushion layer, wherein the first support layer including the cushion layer and the second support layer including the surface print layer are separated and manufactured, and then offset. Provide a blanket for printing.

또한, 상기 제1 지지층과 제2 지지층의 두께의 합은 400㎛ 내지 8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layer and the second support layer The sum of the thicknesses is characterized by being 400 μm to 800 μm.

상기 제1 지지층의 두께는 200㎛ 내지 4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The first support layer has a thickness of 200 μm to 400 μm,

상기 표면 인쇄층은, 제2 지지층 위에 형성되는 제1 표면 인쇄층과 상기 제1 표면 인쇄층 상에 형성되는 제2 표면 인쇄층의 2중층의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rface printing layer is formed in a structure of a double layer of a first surface printing layer formed on the second support layer and a second surface printing layer formed on the first surface printing layer.

상기 제1 표면 인쇄층은 경도가 50 이상 65 이하인 PDMS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surface printing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ardness is made of PDMS 50 to 65 or less.

상기 제1 표면 인쇄층은 팽윤도가 0.1% 내지 0.4%인 PDMS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The first surface printing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PDMS having a swelling degree of 0.1% to 0.4%,

상기 제1 표면 인쇄층은 불소 관능기와 공중합체 된 PDMS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surface printing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PDMS copolymerized with a fluorine functional group.

상기 제1 표면 인쇄층은 실리콘 오일을 함유하는 PDMS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 표면 인쇄층은 PDMS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실리콘 오일을 1 내지 10 중량%로 함유하는 PDMS임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surface printing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PDMS containing silicone oil, wherein the first surface printing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DMS containing 1 to 10% by weight of silicone oil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PDMS.

상기 표면 인쇄층 사이에 용매의 흡수를 막는 배리어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arrier layer for preventing the absorption of the solvent between the surface printing layer.

상기 배리어층은 폴리에틸렌테리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료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The barrier layer is formed of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상기 배리어층은 두께가 5 ~ 15㎛ 범위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The barrier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within the range of 5 ~ 15㎛,

상기 배리어층은 상기 표면인쇄층의 두께를 1 : 1 ~ 1.5로 양분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The barrier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at a position for dividing the thickness of the surface printed layer to 1: 1 to 1.5.

상기 표면 인쇄층은, 상기 배리어층에 의해 양분된 두 층의 전체 두께가 10 ~ 1,200nm 범위 이내인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The surface printed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otal thickness of the two layers bisected by the barrier layer is within the range of 10 ~ 1,200nm.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쿠션층상에 슬립 코팅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셋 인쇄용 블랭킷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blanket for offset printing, further comprising a slip coating liquid on the cushion layer.

본 발명에 의한 분리 가능한 구조의 인쇄 블랭킷은, 표면 인쇄층과 쿠션층이 분리된 지지체에 제조됨에 따라, 표면 인쇄층 또는 쿠션층 중 어느 하나가 불량인 경우 해당 불량층만을 분리 및 교체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제작효율을 높이고, 인쇄용 블랭킷의 평탄도를 높임으로써, 우수한 품질의 인쇄용 블랭킷을 제공한다. 또한, 기존 일체형으로 제조된 인쇄 블랭킷의 문제점이었던 꼬리말림 현상이나 바닥 닿음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표면 인쇄층에 비해 교체 주기가 긴 쿠션층을 표면 인쇄층과 분리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비용적인 측면은 물론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바람직한 효과를 제공한다.The printing blanket of the detachab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separating and replacing only the defective layer when either the surface printing layer or the cushion layer is defective, as the surface printing layer and the cushion layer are manufactured on a support that is separated. By increasing the production efficiency and the flatness of the blanket for print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lanket for printing of excellent quality. In addition, it does not occur curling or bottom contact, which is a problem of the conventionally manufactured printing blanket, and it is possible to reuse the cushion layer, which has a long replacement cycle compared to the surface printing layer, to be reused separately from the surface printing layer. Of course, it provides a desirable effect in terms of environment.

도 1은 종래 인쇄용 블랭킷의 구조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용 블랭킷 구조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이중층의 구조를 갖는 표면 인쇄층이 형성된 제2 지지층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배리어층을 더 포함하는 표면 인쇄층이 형성된 제2 지지층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분리형 blanket)와 비교예(일체형 blanket)에 따른 인쇄용 블랭킷을 이용한 전사 테스트 결과에 대한 사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printing blanket.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lanket structure for prin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support layer having a surface printed layer having a b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support layer having a surface printed layer further comprising a barrier laye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hotograph of a transfer test result using a blanket for prin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detachable blanket) and a comparative example (an integrated blanket).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은 표면 인쇄층, 지지층 및 쿠션층을 포함하는 오프셋 인쇄용 블랭킷에 있어서, 상기 표면 인쇄층과 쿠션층을 분리된 지지층에 각각 분리하여 제조하고 이를 결합함으로서 사용시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갖는 인쇄 블랭킷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lanket for offset printing comprising a surface printing layer, a support layer and a cushion layer, wherein the surface printing layer and the cushion layer are manufactured by separating and respectively bonding the separated support layer to a printing blanket having a structure that can be separated in use. will b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 블랭킷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하, 본 발명의 구조 및 제조방법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랭킷의 각층의 형성 단계별로 설명한다.Figure 2 shows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inting blan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step by step forming each layer of the blan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인쇄 블랭킷에 사용될 기재는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재는 지지층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러한 기재로서는 표면 인쇄층과 쿠션층의 신축을 억제하고, 인쇄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신축성이 작은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온에서의 인장탄성률이 1,000MPa 이상, 특별히 2,000 ~ 5,000MPa인 수지의 필름이 적당하다. 이러한 필름의 예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등의 폴리에스터 필름,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필름 등을 들 수 있다.The substrate to be used in the printing blank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being separated. The base material plays a role as a support layer, and in order to suppress the stretching of the surface printing layer and the cushion layer and to improve the printing accuracy, it is preferable to use a film having a small stretchability as the base material. In particular, a film of a resin having a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of 1,000 MPa or more, particularly 2,000 to 5,000 MPa at room temperature is suitable. Examples of such a film include a polyester film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 polycarbonate film, and the like.

본 발명은 상기 재질의 분리된 기재에, 표면 인쇄층과 쿠션층을 각각 따로 제조한다.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ly prepares a surface printing layer and a cushion layer on separate substrates of the above materials.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쇄용 블랭킷은 쿠션층을 도포하기 위한 지지층(이하, "제1 지지층"이라 함)기재와 표면 인쇄층을 형성하기 위한 지지층(이하, "제2 지지층"이라 함)기재로 이루어진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2, the printing blan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pport lay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support layer") base for applying the cushion layer and a support layer for forming the surface printing layer (hereinafter " 2 support layer ").

상기 제1 지지층과 제2 지지층은 상기한 바와 같은 재질의 기재로서 동일하거나 또는 각각 다른 재질의 기재일 수 있다.The first support layer and the second support layer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substrates as the substrates described above.

도 2에서, 제1 지지층과 제2 지지층의 두께의 합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400㎛ 내지 800㎛인 것이 적당하고,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600㎛의 범위가 되도록 한다.In FIG. 2, the sum of the thicknesses of the first support layer and the second support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400 μm to 800 μm, preferably 500 μm to 600 μm.

제1 지지층과 제2 지지층의 두께의 합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인쇄 작업시 해당 기재가 쿠션층이나 표면 인쇄층을 보강하고 지지하는 효과가 충분하지 않으며, 반대로 전체 기재의 두께가 상기 범위 이상이 되면 블랭킷의 탄력성 또는 유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If the sum of the thicknesses of the first support layer and the second support layer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 effect of reinforcing and supporting the cushion layer or the surface printed layer during the printing operation is not sufficient, on the contrary, the thickness of the entire substrate is not less than the above range. If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lasticity or flexibility of the blanket falls.

또한, 제1 지지층 및 제2 지지층의 각 두께는 전체 지지층의 두께의 합이 상기 범위 내라면, 각 지지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을 것이나, 바람직하게는 제1 지지층은 200㎛ 내지 400㎛, 제2 지지층은 150㎛ 내지 200㎛의 범위 내인 것이 좋다. 이는 전체 지지층의 두께가 인쇄 블랭킷의 기능을 위한 지지층으로서의 기능을 만족하면서도, 표면 인쇄층의 형성 공정과 쿠션층의 형성 공정에서 각 층의 신축을 방지하고 충분한 지지효과를 줄 수 있는 범위의 최소한의 두께로서, 각 공정의 효율이 최선이 될 수 있는 두께의 범위를 한정하고 있다.In addition, the thickness of each support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sum of the thicknesses of the entire support layer is within the above range, but preferably the first support layer is 200 μm to 400 μm. 2 The support layer is good to exist in the range of 150 micrometers-200 micrometers. While the thickness of the entire support layer satisfies the function as the support layer for the function of the printing blanke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tretching of each layer in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surface printing layer and the formation of the cushion layer and to provide a sufficient supporting effect. As thickness, the range of thickness which the efficiency of each process can be best is limited.

상기 제1 지지층 위에 쿠션층을 형성하는 공정이나, 제2 지지층 위에 표면 인쇄층을 형성하는 공정은, 공정의 선후에 제한이 없으며, 동시에 행해질 수도 있다.The step of forming the cushion layer on the first support layer or the step of forming the surface printed layer on the second support layer is not limited after the step and may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쿠션층을 구성하는 액상의 혼합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다.The liquid mixture constituting the cushion layer is prepared by the following method.

상기 혼합물은, 액상 실리콘 레진과 중공미소구를 배합하고 중공미소구가 액상 실리콘 레진 중에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혼합하여 제조한다.The mixture is prepared by blending the liquid silicone resin and the hollow microspheres and mixing the hollow microspheres to be uniformly dispersed in the liquid silicone resin.

상기 중공미소구로는 미국 특허 제4,770,928호 등에 개시된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잉크에 의한 쿠션층의 스웰링 방지를 고려한다면 염화비닐리덴(vinylidene chloride), (메트(met))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 등의 중합성의 모노머의 단독 중합체, 또는 이들의 모노머를 2종 이상 포함하는 공중합체로 껍질체가 형성된 중공미소구가 바람직하다. 중공미소구의 입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쿠션층에 의한 인압을 조정하는 효과를 양호하게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그 평균 입경이 20 ~ 200㎛, 특별히 40 ~ 150㎛인 것이 바람직하다.As the hollow microspheres, those disclosed in US Pat. No. 4,770,928 may be used. In particular, in consideration of swelling prevention of the cushion layer by ink, homopolymers of polymerizable monomers such as vinylidene chloride and (meth) acrylonitrile, or two kinds of monomers thereof. Hollow microspheres in which the shell is formed of a copolymer containing the above are preferable. Although the particle diameter of a hollow microsphere is not specifically limited, In order to exhibit the effect of adjusting the phosphorus pressure by a cushion layer favorably, it is preferable that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is 20-200 micrometers, and especially 40-150 micrometers.

중공미소구는 액상 실리콘 레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 30 중량부 비율로 배합하는 것이 적당하다. 중공미소구의 배합비율이 이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쿠션층에 의한 인압을 조정하는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중공미소구의 배합 비율이 이 범위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쿠션층이 부드럽게 되어서 인쇄 정밀도가 저하된다. 또한, 혼합물의 점도가 높아서 혼합물을 원하는 두께로 균일하게 도포할 수 없게 된다.The hollow microspheres are suitably blended in an amount of 1 to 3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liquid silicone resin. When the compounding ratio of the hollow microspheres is less than this range, the effect of adjusting the phosphorous pressure by the cushion layer is not obtained. In addition, when the compounding ratio of the hollow microspheres exceeds this range, the cushion layer becomes soft and the printing accuracy is lowered. In addition, the viscosity of the mixture is high, making it impossible to uniformly apply the mixture to the desired thickness.

상기 쿠션층용 혼합물을 제1 지지체 상에 도포하는 것과 동시에 제1 지지체를 수평으로 유지한 상태로 실리콘 레진을 경화시켜 쿠션층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수평이 유지된 정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혼합물이 스스로의 무게에 의해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되어 경화됨과 동시에, 중공미소구가 두께 방향으로 구배를 갖게 된다.At the same time as applying the mixture for the cushion layer on the first support, the silicone resin is cured while the first support is kept horizontal to form a cushion layer. For this purpose, it is possible to use a surface plate and the like. In this way, the mixture is uniformly formed and cured by its own weight, and at the same time, the hollow microspheres have a gradient in the thickness direction.

제1 지지체 상에 상기 혼합물을 도포하기 위해서는 롤 코터, 바 코터, 플로우 코터, 그라비아 코터, 스프레이, 어플리케이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체는 수평이 완전히 유지된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고, 수평 대상에 상기 지지체가 밀착된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체 필름 안쪽에서 인장력(tension)을 걸고 수평대(또는 정반)의 표면에 밀착시키는 방법, 수평대에 미세한 흡인 구멍을 구비하고 이를 통해 흡기하여 밀착시키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In order to apply the mixture on the first support, a roll coater, bar coater, flow coater, gravure coater, spray, applicator, or the like may be used. 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is preferably in a state where the horizontal is completely maintained,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horizontal object. To this end, a method of applying a tensile force inside the support film and bringing i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a horizontal band (or surface plate), having a fine suction hole in the horizontal band, and inhaling it through the horizontal band may be used.

상기 실리콘 레진은 열경화형, 실온경화형, 촉매 경화형 등 모두 가능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촉매 경화형을 사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도포한 뒤 가열하지 않고 실온환경(23 ± 3℃)하에서 그대로 일정 시간 정치하고 경화 반응을 시킨다. 이는 저분자 실리콘 오일의 휘발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공미소구의 팽창이나 파괴를 막을 수 있고 경화 공정에 필요한 열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The silicone resin can be all of a thermosetting type, room temperature curing type, and a catalyst curing type, bu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talyst curing type is used. After applying the mixture, the mixture is allowed to stan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under a room temperature environment (23 ± 3 ° C.) without heating and to undergo a curing reaction. This is preferable because it can prevent volatilization of low molecular weight silicone oil, can prevent expansion or destruction of hollow microspheres, and can save thermal energy required for the curing process.

상기 쿠션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나, 0.05 ~ 2mm인 것이 바람직하고 0.3 ~ 1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쿠션층의 두께가 이 범위 미만에서는 해당 쿠션층의 인압 조절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기재의 두께가 작아 기재의 층들 간의 지지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The thickness of the cushion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0.05 to 2 mm and preferably 0.3 to 1 mm. If the thickness of the cushion layer is less than this range, the effect of adjusting the pressure of the cushion layer may not be sufficiently obtained. If the thickness of the cushion layer is exceeded,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may be relatively small, which may cause a problem that the supporting effect between the layers of the substrate is inferior. There is concern.

상기 제1 지지층 위에 형성된 쿠션층 위에는 슬립 코팅층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립 코팅층은 상기 쿠션층의 끈적임을 완화하여 인쇄 블랭킷이 롤 등에 잘 장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슬립 코팅층은 끈적이지 않아야 할 뿐만 아니라, 장착에 필요한 적당한 거칠기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A slip coating layer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cushion layer formed on the first support layer. The slip coating layer serves to alleviate the stickiness of the cushion layer so that the printing blanket is well mounted on a roll or the like. In addition, the slip coating layer should not only be non-sticky, but also have the appropriate roughness necessary for mounting.

상기 슬립 코팅층은 상기 쿠션층 상에 슬립 코팅액을 코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립 코팅액은 실리콘 레진, 실리콘 오일, 말단이 수소로 치환된 실론산, 및 실리카 입자 등을 적량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슬립 코팅액은 메이어 바(mayer bar) 또는 베이커 어플리케이터(baker applicator)에 의해 코팅될 수 있다.The slip coating layer may be formed by coating a slip coating liquid on the cushion layer. The slip coating solution may be prepared by appropriately mixing silicone resin, silicone oil, silonic acid substituted at the end of hydrogen, silica particles, and the like. The slip coating liquid may be coated by a mayer bar or a baker applicator.

표면 인쇄층은 상기 쿠션층이 형성된 제1 지지층과는 다른 기재 즉, 제2 지지층에 형성한다. 표면 인쇄층은 비다공질층이다. 표면 인쇄층은 상기 제1 지지층에 쿠션층이 형성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제2 지지층을 수평으로 유지한 상태로 제2 지지층과 일체화되는 표면 인쇄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The surface printing layer is formed on a substrate different from the first support layer on which the cushion layer is formed, that is, on the second support layer. The surface printed layer is a nonporous layer. The surface printing layer is preferably a method of forming a surface printing layer which is integrated with the second support layer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support layer is horizontally maintained in the same manner as the cushion layer is formed on the first support layer.

표면 인쇄층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하지 아니하며, 공지의 재질을 사용하여 제조하여도 무방하다. 표면 인쇄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하나 0.01 ~ 1.2mm가 바람직하고 0.1 ~ 1mm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표면 인쇄층의 두께를 이 범위 미만으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액상 실리콘 레진의 도포량을 극히 소량으로 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레벨링(leveling)성이 저하되고, 표면 인쇄층 두께의 균일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또한, 두께가 이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쿠션층에 의한 인압을 조정하는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The material of the surface printing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manufactured using a known material. The thickness of the surface printed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0.01 to 1.2 mm, more preferably 0.1 to 1 mm. In order to form the thickness of the surface printed layer below this range, the application amount of the liquid silicone resin must be made in a very small amount, so that the leveling property is lowered and the uniformity of the surface printed layer thickness may be impaired. Moreover, when thickness exceeds this range,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the effect of adjusting the pressure by a cushion layer may not fully be acquired.

한편, 롤 프린팅 공정시 표면 인쇄층은 잉크를 함침하게 되는데, 이 때, 표면 인쇄층 사이에 용매가 흡수되어 표면 인쇄층이 팽윤(swelling) 되는 바, 공정의 대기시간 및 공정 마진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during the roll printing process, the surface printing layer impregnates ink. At this time, the solvent is absorbed between the surface printing layers and the surface printing layer is swelled. Thus, there is a problem of increasing the waiting time and the process margin of the process. have.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2 지지층에 형성되는 표면 인쇄층의 구조에 있어서, 제1 표면 인쇄층과 제2 표면 인쇄층을 갖는 이중층의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이와 같이 제2 지지층 위에 제1 지지층과 제2 지지층으로 이루어진 2중층의 구조를 갖는 표면 인쇄층의 단면을 나타낸 그림이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ructure of the surface printing layer formed on the second support layer, may include a structure consisting of a double layer having a first surface printing layer and a second surface printing layer. FIG. 3 is a diagram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surface printed layer having a double layer structure composed of a first support layer and a second support layer on the second support layer.

즉, 표면 인쇄층은 종래의 기술과 같이 단일층의 PDMS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경도, 팽윤도 또는 실리콘 오일의 함유 여부에 있어서 다른 성질을 갖는 PDMS를 이용하여 복수의 층을 형성하는 표면 인쇄층일 수 있다.That is, the surface printed layer may be made of a single layer PDMS as in the prior art, but may be a surface printed layer that forms a plurality of layers using PDMS having different properties in hardness, swelling degree, or silicone oil content. .

먼저,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표면 인쇄층의 일 실시예로서, 제2 지지층 위에 도포되는 제1 표면 인쇄층은 경도가 50 이상 65 이하로서 비교적 높은 경도를 갖는 PDMS이고, 그 위에 형성되는 제2 표면 인쇄층은 30 이상 50 미만의 경도를 갖는 PDMS로 구성되는 표면 인쇄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First, as an embodiment of the surface printing layer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the first surface printing layer applied on the second support layer is PDMS having a relatively high hardness with a hardness of 50 or more and 65 or less, and a second surface formed thereon. The printed layer can be formed of a surface printed layer composed of PDMS having a hardness of 30 or more and less than 50.

상기 50 이상 65 이하의 범위의 경도를 갖는 PDMS로, 본 발명에서는 Wacker 社의 ELASTOSIL RT607을 사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표면 인쇄층은 일반적인 표면 인쇄층에 사용되는 공지의 PDMS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As the PDMS having a hardness in the range of 50 to 65, the present invention used ELASTOSIL RT607 manufactured by Wack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econd surface printed layer may be a known PDMS used for a general surface printed layer. It is okay.

이와 같이, 경도가 높은 PMDS층을 아래에 도포하고 그 표면에 상대적으로 경도가 낮은 표면 인쇄층을 도포함으로써, 표면 인쇄층의 팽윤현상은 억제하면서도 인쇄특성이 좋은 인쇄용 블랭킷의 제조가 가능하다.In this way, by applying a PMDS layer having a high hardness below and applying a surface printing layer having a relatively low hardness to the surface thereof,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blanket for printing having good printing characteristics while suppressing swelling of the surface printing layer.

또한, 상기와 같이 경도를 달리하는 2 이상의 표면 인쇄층을 포함함으로서 고온에서 경화시 PDMS가 조밀한 그물 구조를 형성하게 되어 용매가 침투되는 것을 막아준다. 또한, 경도가 높으면 PDMS의 변형이 작기 때문에 치수 변형 측면에서 유리하게 작용한다. 따라서, 제2층 위에 도포되는 PDMS는 고온 경화를 시키고 표면 인쇄층은 인쇄가 잘되는 조건을 갖는 인쇄용 블랭킷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by including two or more surface printing layer having a different hardness as described above, when curing at high temperature, PDMS forms a dense net structure to prevent the solvent from penetrating. In addition, the high hardness also advantageously in terms of dimensional deformation because the deformation of the PDMS is small. Accordingly, the PDMS applied on the second layer can provide a blanket for printing having a high temperature curing condition and the surface printed layer having a good printing condition.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경도 값은 Shore A 경도 값을 의미한다. 상기 Shore A 경도는 일반적인 고무 경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JIS K 6301(스프링 타입 A형) 규격을 따르며 시험 스프링 하중은 539 ~ 8,379 mN이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hardness value means a Shore A hardness value. The Shore A hardness is a method of measuring the general rubber hardness according to the JIS K 6301 (spring type A type) standard and the test spring load is 539 ~ 8,379 mN.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표면 인쇄층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2 지지층 위에 도포되는 제1 표면 인쇄층이 상대적으로 낮은 팽윤도를 갖는 PDMS로 제조되고 그 위에 형성되는 제2 표면 인쇄층은 상기 제1 표면 인쇄층의 PDMS보다는 팽윤도가 높은 PDMS로 이루어진 구조의 표면 인쇄층을 제공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surface printed layer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layers, the first surface printed layer applied on the second support layer is made of PDMS having a relatively low degree of swelling and is formed there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urface printed layer having a structure composed of PDMS having a higher degree of swelling than PDMS of the surface printed layer.

블랭킷은 잉크의 용매에 의해 팽윤되어 표면의 습윤 특성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변화된다. 이를 스웰링(swelling)이라 부르며, anti-swell base의 잉크나 블랭킷을 이용하면 블랭킷 표면 습윤성의 변화는 적어지지만 블랭킷에 대한 잉크의 수리성(受理性)이나 기타 인쇄 특성을 고려할 때는 약간의 팽윤과 함께 그 평형을 유지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 이러한 팽윤 평형 측정을 위해서는 가장 간단하고 측정이 편리한 중량법(gravimetric method)을 이용할 수 있다.The blanket is swollen by the solvent of the ink so that the wettability of the surface changes over time. This is called swelling, and using anti-swell base inks or blankets reduces the change in blanket surface wettability, but considers slight swelling and swelling when considering ink repairability or other print characteristics of the blanket. It is more advantageous to keep that equilibrium together. The simplest and most convenient gravimetric method can be used for such swelling balance measurement.

상기 팽윤도는, 각 종류별 샘플을 건조 오븐(dry oven)에서 완전 경화시키고 5cm × 5cm의 크기로 잘라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PGMEA, boiling point(BP): 146℃)에 침지시킨 후, 각각의 시간별로 무게 변화를 측정하여 계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팽윤도(Swelling ratio, %)는 침지 전의 샘플 무게 A와 일정시간 침지시킨 후의 샘플 무게 B의 측정치로부터 (B - A) / A × 100로 계산할 수 있다.The degree of swelling, each type of sample is completely cured in a dry oven (cut oven) and cut into a size of 5cm × 5cm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PGMEA, boiling point (BP): 146 ℃) After immersion, the weight change for each time can be measured and calculated. More specifically, the swelling ratio (%) can be calculated as (B-A) / A x 100 from the measurement of the sample weight A before immersion and the sample weight B after immersion for a certain time.

표면 인쇄층이 잉크 내지는 용제 등에 의해 팽윤이 잘 되는 경우에는 잉크가 마르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어져 공정 대기 시간이 증가하고 공정 마진이 좋지 않게 된다. 따라서, 표면 인쇄층의 팽윤 정도를 저하시킨다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다만, 상기한 바와 같이 표면 인쇄층의 최외층은 어느 정도 잉크 또는 용제 등이 충분히 흡수되어 팽윤되는 현상이 있어야 고품질의 인쇄가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When the surface printed layer swells well with ink or a solvent, the time taken for the ink to dry becomes long, so that the process waiting time increases and the process margin becomes poor. Therefore, if the degree of swelling of the surface printing layer is reduced, the above problems can be solved.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outermost layer of the surface printing layer may have a phenomenon in which the ink or the solvent is sufficiently absorbed and swollen to some extent to enable high quality print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팽윤도가 다른 복수의 PDMS로 이루어진 표면 인쇄층을 제2 지지층에 도포하는 인쇄용 블랭킷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lanket for printing to apply a surface printing layer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DMS having a different degree of swelling to the second support layer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상기 낮은 팽윤도를 갖는 제1 표면 인쇄층의 PDMS는 0.1% 내지 0.4% 범위의 팽윤도를 갖는 PDMS일 것을 요한다. 이와 같은 팽윤도에서는 오프셋 인쇄에 사용되는 잉크 또는 용제가 침투하여 표면 인쇄층을 팽윤시키기가 어렵다. 따라서, 제1 표면 인쇄층의 팽윤현상은 현저하게 감소하게 된다.The PDMS of the low surface swelling first surface printed layer is required to be a PDMS having a swelling degree in the range of 0.1% to 0.4%. At such a degree of swelling, it is difficult for the ink or solvent used for offset printing to penetrate and swell the surface printed layer. Therefore, the swelling phenomenon of the first surface printing layer is significantly reduced.

이와 같이, 제1 표면 인쇄층을 형성하는 저팽윤도의 PDMS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에서는 불소 관능기와 공중합체 된 PDMS로 Gelest 社의 vinyl terminated trifluoropropyl methylsiloxane을 사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such, the low-swelling PDMS forming the first surface printed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vinyl terminated trifluoropropyl methylsiloxane of Gelest is used as the PDMS copolymerized with the fluorine functional group,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실시예의 제2 표면 인쇄층은, 상기 제1 표면 인쇄층의 팽윤도보다 높은 팽윤도를 갖는 PDMS로 형성될 것을 요한다. 제2 표면 인쇄층의 팽윤도는 제1 표면 인쇄층의 팽윤도보다 높은 경우이면 만족되며, 특별히 한정하지 아니한다. 이와 같이 상대적으로 높은 팽윤도의 제2 표면 인쇄층에 의해 표면 인쇄층의 최외층은 인쇄용 잉크 또는 용제를 충분히 흡수하여 고품질의 인쇄 특성을 제공할 수 있을 정도로 팽윤될 수 있다.The second surface printing layer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required to be formed of PDMS having a swelling degree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surface printing layer. The swelling degree of the second surface printing layer is satisfied as long as it is higher than the swelling degree of the first surface printing layer,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such, the second outer surface printing layer having a relatively high swelling degree may swell to the extent that the outermost layer of the surface printing layer can sufficiently absorb printing inks or solvents and provide high quality printing characteristics.

본 실시예의 제2 표면 인쇄층의 PDMS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인쇄용 블랭킷의 PDMS이면 만족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한다.The PDMS of the second surface printing layer of this embodiment is satisfied as long as it is a PDMS of a blanket for printing generally used,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본 발명에 따른 복수층의 표면 인쇄층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는 PDMS와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지 않는 PDMS로 이루어진 복수의 층으로 구성된 표면 인쇄층을 제공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multilayer printed surface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urface printed layer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consisting of a PDMS containing a silicone oil and a PDMS not containing a silicone oil.

즉, 도 3에서 제1 표면 인쇄층은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는 PDMS로 구성되며, 제2 표면 인쇄층에는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지 않는 PDMS를 도포하도록 한다.That is, in FIG. 3, the first surface printing layer is composed of PDMS containing silicone oil, and the second surface printing layer is coated with PDMS not containing silicone oil.

이와 같이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는 제1 표면 인쇄층은, PDMS의 연결(chain) 사이의 공간에 오일을 포함하게 되고 이로 인해 용매가 침투되는 것을 막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용매가 과량 침투되어 표면 인쇄층이 과도하게 부풀어 올라 인쇄 품질이 저하되고 인쇄 공정 시간이 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urface printing layer including the silicone oil includes an oil in the space between the chains of the PDMS, thereby preventing the solvent from penetrating. Therefore, the solvent penetrates excessively and the surface print layer swells excessively, thereby preventing the print quality from deteriorating and the length of the print process.

그러나, 표면 인쇄층의 최외층 부분에 실리콘 오일이 포함된 PDMS를 도포하는 경우에는 반대로 인쇄시 용매가 충분히 흡수될 수 없게 되어 오히려 인쇄 품질을 저하시키는 역효과가 나타날 수 있고 인쇄시 과량의 오일이 전사될 수 있어, 인쇄 패턴의 선명도(sharpness)를 좋지 않게 한다.However, in the case of applying PDMS containing silicone oil to the outermost part of the surface printing layer, the solvent cannot be sufficiently absorbed during printing, which may adversely affect the print quality, and the excess oil is transferred during printing. This can result in poor sharpness of the printed pattern.

따라서, 제2 표면 인쇄층은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지 않는 PDMS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a 2nd surface printing layer consists of PDMS which does not contain a silicone oil.

제1 표면 인쇄층에 포함되는 실리콘 오일의 양은 전체 PDMS 대비 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mount of the silicone oil included in the first surface printing layer is preferably included in 1 to 10%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PDMS.

제1 표면 인쇄층의 실리콘 오일이 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실리콘 오일을 첨가하는 표면 인쇄층의 기대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으며, 반대로 10 중량%를 초과하여 실리콘 오일이 첨가되는 경우에는 과도하게 첨가되는 것으로서, 제1 표면 인쇄층의 건조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제2 표면 인쇄층으로 실리콘 오일이 흡수될 수 있어 인쇄 품질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발생한다.When the silicone oil of the first surface printing layer is contained in less than 1% by weight, the expected effect of the surface printing layer in which the silicone oil is added may not be sufficiently exhibited. In contrast, when the silicone oil is added in excess of 10% by weight As excessively added, the drying time of the first surface printing layer becomes long, and the silicone oil may be absorbed into the second surface printing layer, thereby causing a problem of deterioration in print quality.

본 발명에 따라 제2 지지층 위에 형성되는 표면 인쇄층은 또한, 표면 인쇄층 사이에 용매의 흡수를 막는 배리어층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rface printed layer formed on the second support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include a barrier layer that prevents absorption of the solvent between the surface printed layers.

도 4는 제2 지지층 위에 형성된 표면 인쇄층으로서 배리어층을 포함하고 있는 표면 인쇄층의 단면도를 나타낸 그림이다.4 is a diagram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a surface printed layer including a barrier layer as a surface printed layer formed on the second support layer.

도 4와 같이 표면 인쇄층 사이에 용매가 더 이상 흡수되지 못하게 막는 배리어층을 구비하여 팽윤 정도를 완화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FIG. 4, a barrier laye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urface printing layers to prevent the solvent from being absorbed any more.

상기 배리어층은 내화학성이 우수하고 팽윤성이 없는 재료인 것이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리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료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The barrier layer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is a material having excellent chemical resistance and no swelling property. For example, the barrier layer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상기 배리어층은 상기 표면 인쇄층의 전체 두께를 1 : 1 ~ 1.5 범위 이내로 양분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이면 바람직하다. 배리어층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 잉크와 닿는 표면 인쇄층이 지나치게 두껍게 되는 경우, 배리어층과 지지체 사이의 표면 인쇄층이 너무 얇게 되어 용매에 대한 팽윤 억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반대로 잉크와 닿는 인쇄층이 너무 얇고 배리어층과 지지체 사이의 표면 인쇄층이 너무 두껍게 되는 경우에는 팽윤 억제효과는 향상될 수 있으나 프린팅에 적당한 정도의 잉크를 함침할 수 없어 셋(set) 공정시 전사가 잘 이루어 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리어층은 5 ~ 15㎛ 범위가 바람직하다. 5㎛ 미만인 경우에는 용매에 대한 팽윤 억제 효과가 미비하고, 1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배리어층에 의해 표면 인쇄층의 물성이 영향을 받게 되어 결과적으로 인쇄품질의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barrier layer is formed at a position that bisects the total thickness of the surface printed layer within the range of 1: 1 to 1.5. If the barrier layer is out of the above range and the surface printed layer in contact with the ink becomes too thick, the surface printed layer between the barrier layer and the support becomes so thin that it is difficult to expect the effect of suppressing swelling of the solvent, and conversely, the printed layer in contact with the ink When too thin and the surface printing layer between the barrier layer and the support is too thick, the swelling suppression effect may be improved, but transfer may not be performed well during the set process because the ink may not be impregnated with a suitable amount for printing. . In addition, the barrier layer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5 ~ 15㎛. If the thickness is less than 5 µm, the effect of suppressing swelling of the solvent is insufficient. If the thickness is more than 15 µm,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urface printed layer may be affected by the barrier layer, resulting in a decrease in print quality.

상기 쿠션층이 형성된 제1 지지층과 단일 또는 이중층으로 이루어진 표면 인쇄층이 형성된 제2 지지층은, 탈부착이 가능한 점착필름을 이용하여 접착시킬 수 있다. 이렇게 결합된 제1 지지층과 제2 지지층에 의해 일체형의 블랭킷처럼 인쇄장비에 장착될 수 있으며, 사용시 분리를 원하는 경우 탈착이 가능하다.The first support layer having the cushion layer formed thereon and the second support layer having the surface printing layer formed of a single layer or a double layer formed thereon may be adhered using a detach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film. The combined first support layer and the second support layer may be mounted on the printing equipment as an integrated blanket, and may be detached if desired to be separated in use.

제1 지지층과 제2 지지층을 결합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는, 2개 이상의 고정 지그를 이용하여 양쪽에 텐션(tension)을 주어 당겨 접착을 함으로써 제1 지지층과 제2 지지층을 부착하고 인쇄장비에 장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양 지지층을 고정시킨 이 후, 필요한 경우에는 지그만 풀어서 쿠션층이 형성된 제1 지지층과 표면 인쇄층이 형성된 제2 지지층을 다시 분리할 수 있다.As another method of joining the first support layer and the second support layer, two or more fixing jigs are used to apply tension and pull together to attach and attach the first support layer and the second support layer to the printing equipment. You can. After fixing both support layers by this method,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first support layer on which the cushion layer is formed and the second support layer on which the surface printing layer is formed, if necessary, by unzipping.

상기 점착필름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아니하며 공지의 점착필름을 이용하여 결합시키는 것으로 만족된다. 고정 지그 또한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각 지지층을 부착하는 것으로 만족 된다.The type of the adhesive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s satisfied by bonding using a known adhesive film. The fixing jig is also satisfied by attaching each support layer using a known method.

상기 쿠션층을 포함하는 제1 지지층과 표면 인쇄층을 포함하는 제2 지지층을 접착한 인쇄 블랭킷의 전체 두께는 0.7 ~ 3mm인 것이 바람직하고, 0.9 ~ 2mm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인쇄 블랭킷의 두께가 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인쇄 블랭킷의 두께가 너무 크기 때문에 롤에 블랭킷을 감는 작업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otal thickness of the printing blanket which adhere | attached the 1st support layer containing the said cushion layer, and the 2nd support layer containing a surface printing layer is 0.7-3 mm,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0.9-2 mm. If the thickness of the printing blanket is out of this rang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rk of winding the blanket on the roll becomes difficult because the thickness of the printing blanket is too large.

상기 각 지지층과 각 층들 사이에는 기재와 상기 층들 간의 밀착성, 일체성을 높일 수 있는 프라이머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프라이머층은 제한 없이 목적에 맞게 임의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프라이머층의 재료는 실리콘 레진과 친화성이 좋은 실란 커플링제를 포함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프라이머층 없이 쿠션층 및 표면인쇄층을 형성할 경우에는 지지층의 표면을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표면처리 하여 실리콘 레진에 대한 친화성을 부여하고 각 층들을 도포하여 지지층과의 밀착성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primer layer may be formed between each support layer and each layer to increase adhesion and integrity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layers. The primer layer may be formed in any thickness to suit the purpose without limitation. As the material of the primer layer, one containing a silane coupling agent having good affinity with silicone resin can be used. In the case of forming the cushion layer and the surface printing layer without the primer lay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urface of the support layer is physically or chemically treated to impart affinity to the silicone resin and to apply the respective layers to secure adhesion to the support layer.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상의 실시예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이에 의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Embodiments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thereof.

실시예Example

액상 실리콘 레진 100 중량부, 중공미소구(마츠모토 유지사제의 MFL80CA) 10 중량부를 더하고, 이를 혼합, 균일 분산시킨 뒤, 경화제 10 중량부를 더 첨가하여 쿠션층 형성 혼합물을 제조하였다.100 parts by weight of the liquid silicone resin and 10 parts by weight of hollow microspheres (MFL80CA manufactured by Matsumoto Oil & Fat Co., Ltd.) were added, mixed and uniformly dispersed, and then 10 parts by weight of a curing agent was added to prepare a cushioning layer-forming mixture.

다음에, 수평이 유지된 정반에 약 0.188mm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리프탈레이트(PET) 기재 필름(제1 지지체)에, 양끝 말단을 잡아당기는 방식으로, 인장력을 인가한 후, 정반에 완전히 밀착시키기 위하여 PET를 진공으로 정반에 밀착시킨 후, PET에 진공 구멍자국이 남지 않게 하기 위해 코팅 후 진공을 제거하였다.Next, a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substrate film (first support) having a thickness of about 0.188 mm on the surface plate, which is kept horizontal, to apply a tensile force, and then to completely adhere the PET plate to the surface plate. Was adhered to the surface plate by vacuum, and then vacuum was removed after coating in order to leave no vacuum hole marks on the PET.

이후, 상기 기재 표면 일면에 상기 쿠션층 형성 혼합물을 약 120cm × 150cm의 영역으로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골고루 도포하였다. 이를 실온(23 ± 3℃)에 약 3일간 경화시켜 두께 0.7mm의 쿠션층을 형성하였다.Thereafter, the cushion layer forming mixture was evenly applied to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surface using an applicator in an area of about 120 cm × 150 cm. It was cured at room temperature (23 ± 3 ° C.) for about 3 days to form a cushion layer with a thickness of 0.7 mm.

다음에, 상기 기재 필름을 정반 표면에 밀착시킨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쿠션층 표면에 메이어 바(mayer bar)를 이용하여 실리카가 포함된 실리콘 레진을 도포하고 실온에서 약 24시간 건조시켜 약 5㎛ 두께의 슬립 코팅층을 형성하였다.Next, while maintaining the state in which the base film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surface plate, a silicone resin containing silica wa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cushion layer using a mayer bar, and dried at room temperature for about 24 hours to obtain a thickness of about 5 μm. The slip coating layer of was formed.

이후, 수평이 유지된 정반에 약 0.35mm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리프탈레이트(PET) 기재 필름(제2 지지체)을 상기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기재 필름에 인장력을 인가한 후, 정반에 완전히 밀착시켰다.Thereafter, about 0.35 mm thick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base film (second support) was applied to the base film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and then completely adhered to the base plate.

액상 실리콘 레진 100 중량부, 경화제 10 중량부를 혼합, 균일 분산시켜 표면 인쇄층 형성 혼합물을 제조하였다.100 parts by weight of the liquid silicone resin and 10 parts by weight of the curing agent were mixed and uniformly dispersed to prepare a surface printed layer formation mixture.

이후, 상기 제2 지지층 표면 일면에 상기 표면 인쇄층 형성 혼합물을 약 120cm × 150cm의 영역으로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골고루 도포하였다. 이 때 혼합물의 도포 두께는 약 0.4mm 정도였다.Thereafter, the surface printing layer-forming mixture was uniformly applied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layer using an applicator in an area of about 120 cm × 150 cm. At this time, the coating thickness of the mixture was about 0.4 mm.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액상 실리콘 레진 100 중량부, 중공미소구(마츠모토 유지사제의 MFL80CA) 10 중량부를 더하고, 이를 혼합, 균일 분산시킨 뒤, 경화제 10 중량부를 더 첨가하여 쿠션층 형성 혼합물을 제조하였다.100 parts by weight of the liquid silicone resin and 10 parts by weight of hollow microspheres (MFL80CA manufactured by Matsumoto Oil & Fat Co., Ltd.) were added, mixed and uniformly dispersed, and then 10 parts by weight of a curing agent was added to prepare a cushioning layer-forming mixture.

다음에, 수평이 유지된 정반에 약 0.35mm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리프탈레이트(PET) 기재 필름에, 양끝 말단을 잡아당기는 방식으로, 인장력을 인가한 후, 정반에 완전히 밀착시켰다.Next, a tensile force was applied to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substrate film having a thickness of about 0.35 mm by pulling the ends at both ends, and then completely adhered to the surface plate.

이후, 상기 기재 표면 일면에 상기 쿠션층 형성 혼합물을 약 120cm × 150cm의 영역으로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골고루 도포하였다. 이를 실온(23 ± 3℃)에 약 3일간 경화시켜 두께 0.7mm의 쿠션층을 형성하였다.Thereafter, the cushion layer forming mixture was evenly applied to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surface using an applicator in an area of about 120 cm × 150 cm. It was cured at room temperature (23 ± 3 ° C.) for about 3 days to form a cushion layer with a thickness of 0.7 mm.

다음에, 상기 기재 필름을 정반 표면에 밀착시킨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쿠션층 표면에 메이어 바(mayer bar)를 이용하여 실리카가 포함된 실리콘 레진을 도포하고 실온에서 약 24시간 건조시켜 약 5㎛ 두께의 슬립 코팅층을 형성하였다.Next, while maintaining the state in which the base film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surface plate, a silicone resin containing silica wa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cushion layer using a mayer bar, and dried at room temperature for about 24 hours to obtain a thickness of about 5 μm. The slip coating layer of was formed.

이후, 상기 기재 필름을 반전시켜 기재 필름의 반대측 일면이 위로 오게 위치한 후, 상기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기재 필름에 인장력을 인가한 후, 정반에 완전히 밀착시켰다.Thereafter, the base film was inverted so that one side of the opposite side of the base film was placed upward, and then a tensile force was applied to the base film by the same method as described above, and then completely adhered to the surface plate.

액상 실리콘 레진 100 중량부, 경화제 10 중량부를 혼합, 균일 분산시켜 표면 인쇄층 형성 혼합물을 제조하였다.100 parts by weight of the liquid silicone resin and 10 parts by weight of the curing agent were mixed and uniformly dispersed to prepare a surface printed layer formation mixture.

이후, 상기 기재 표면 나머지 일면에 상기 표면 인쇄층 형성 혼합물을 약 120cm × 150cm의 영역으로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골고루 도포하였다. 이 때 혼합물의 도포 두께는 약 0.7mm 정도이였다.Thereafter, the surface printing layer-forming mixture was evenly applied to the remaining surface of the substrate surface using an applicator in an area of about 120 cm × 150 cm. At this time, the coating thickness of the mixture was about 0.7 mm.

이후, 실온(23 ± 3℃)에 약 3일간 경화시켜 표면 인쇄층을 형성하였고, 최종적으로 인쇄 블랭킷을 완성하였다.Thereafter, curing was performed at room temperature (23 ± 3 ° C.) for about 3 days to form a surface printed layer, finally completing the printing blanket.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인쇄용 블랭킷을 인쇄장비에 장착한 후 인쇄를 하여 각각의 인쇄 블랭킷에 의한 인쇄품질을 관찰하였고, 이에 대한 사진은 도 5에 나타내었다.The printing blankets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mounted on a printing apparatus and then printed to observe print quality by each printing blanket, and a photograph thereof is shown in FIG. 5.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에 따른 일체형으로 제조된 인쇄용 블랭킷의 인쇄결과와 실시예에 따른 블랭킷의 인쇄결과를 비교한 결과, 인쇄품질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는 것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 5,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printing result of the blanket for printing integrally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with the printing result of the blank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print quality.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인쇄품질에는 변함이 없으면서도 공정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인쇄용 블랭킷의 제공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a blanket for printing that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process without changing the print quality.

Claims (15)

표면 인쇄층, 지지층, 및 쿠션층을 포함하는 오프셋 인쇄용 블랭킷에 있어서, 상기 쿠션층을 포함하는 제1 지지층과 표면 인쇄층을 포함하는 제2 지지층이 분리되어 제조된 후 결합되고,
상기 쿠션층은 실리콘 레진 및 중공미소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셋 인쇄용 블랭킷.
In the blanket for offset printing comprising a surface printing layer, a support layer, and a cushion layer, the first support layer including the cushion layer and the second support layer including the surface printed layer are separated and manufactured, and then bonded.
The cushion layer is offset printing blanke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ilicone resin and hollow microspher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층과 제2 지지층의 두께의 합은 400㎛ 내지 8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셋 인쇄용 블랭킷.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support layer and the second support layer The sum of the thickness is 400㎛ to 800㎛ blanket blanket for offset printing.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층의 두께는 200㎛ 내지 4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셋 인쇄용 블랭킷.The blanket for offset printing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support layer has a thickness of 200 μm to 400 μ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면 인쇄층은, 제2 지지층 위에 형성되는 제1 표면 인쇄층과 상기 제1 표면 인쇄층 상에 형성되는 제2 표면 인쇄층의 2중층의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셋 인쇄용 블랭킷.The surface printing layer of claim 1, wherein the surface printing layer is formed of a double layer structure of a first surface printing layer formed on the second support layer and a second surface printing layer formed on the first surface printing layer. Blanket for offset printing.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 인쇄층은 경도가 50 이상 65 이하인 PDM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셋 인쇄용 블랭킷.The blanket for offset printing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first surface printing layer comprises PDMS having a hardness of 50 to 6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 인쇄층은 팽윤도가 0.1% 내지 0.4%인 PDM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셋 인쇄용 블랭킷.The blanket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surface printing layer comprises PDMS having a swelling degree of 0.1% to 0.4%.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 인쇄층은 불소 관능기와 공중합체된 PDM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셋 인쇄용 블랭킷.7. The blanket of claim 6 wherein the first surface printing layer comprises PDMS copolymerized with a fluorine functional group.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 인쇄층은 실리콘 오일을 함유하는 PDM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셋 인쇄용 블랭킷.The blanket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surface printing layer comprises PDMS containing silicone oil.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 인쇄층은 PDMS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실리콘 오일을 1 내지 10 중량%로 함유하는 PDM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셋 인쇄용 블랭킷.The blanket for offset printing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first surface printing layer comprises PDMS containing 1 to 10% by weight of silicone oil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PDM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인쇄용 블랭킷은 배리어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셋 인쇄용 블랭킷.The blanket for offset printing of claim 1, wherein the offset printing blanket further comprises a barrier layer.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은 폴리에틸렌테리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셋 인쇄용 블랭킷.The blanket for offset printing of claim 10, wherein the barrier layer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은 두께가 5 ~ 15㎛ 범위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셋 인쇄용 블랭킷.The blanket of claim 10, wherein the barrier layer has a thickness in a range of 5 to 15 μm.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은 상기 표면 인쇄층의 두께를 1 : 1 ~ 1.5로 양분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셋 인쇄용 블랭킷.The blanket for offset printing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barrier layer is formed at a position dividing the thickness of the surface printed layer into 1: 1 to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에 의해 양분된 두 개의 표면 인쇄층의 전체 두께가 10 ~ 1,200nm 범위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셋 인쇄용 블랭킷.The blanket for offset printing of claim 13 wherein the total thickness of the two surface printing layers bisected by the barrier layer is within the range of 10-1,200 nm.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층 상에 슬립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셋 인쇄용 블랭킷.The blanket for offset printing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4, further comprising a slip coating layer on the cushion layer.
KR1020110024986A 2010-03-19 2011-03-21 Separable blanket for roll-print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25178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24843 2010-03-19
KR1020100024843 2010-03-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738A KR20110105738A (en) 2011-09-27
KR101251786B1 true KR101251786B1 (en) 2013-04-08

Family

ID=44955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4986A KR101251786B1 (en) 2010-03-19 2011-03-21 Separable blanket for roll-print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178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430Y1 (en) * 2013-04-09 2014-12-02 이건훈 Advertisement sheet used for vehicle
WO2015080424A1 (en) * 2013-11-29 2015-06-04 주식회사 엘지화학 Blanket for print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892B1 (en) * 2013-08-01 2016-10-05 주식회사 엘지화학 Blanket for offset printing and fine pattern manufactured by us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5967A (en) * 2002-04-17 2003-10-28 Sumitomo Rubber Ind Ltd Blanket for combination-type printing
JP2005111665A (en) * 2003-10-02 2005-04-28 Sumitomo Rubber Ind Ltd Offset printing blanket and printing method for electrode pattern using the same
JP2006159822A (en) * 2004-12-10 2006-06-22 Toppan Printing Co Ltd Blanket for print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90089571A (en) * 2008-02-19 2009-08-24 주식회사 엘지화학 Fabrication method of blanket for printing large spa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5967A (en) * 2002-04-17 2003-10-28 Sumitomo Rubber Ind Ltd Blanket for combination-type printing
JP2005111665A (en) * 2003-10-02 2005-04-28 Sumitomo Rubber Ind Ltd Offset printing blanket and printing method for electrode pattern using the same
JP2006159822A (en) * 2004-12-10 2006-06-22 Toppan Printing Co Ltd Blanket for print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90089571A (en) * 2008-02-19 2009-08-24 주식회사 엘지화학 Fabrication method of blanket for printing large spa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430Y1 (en) * 2013-04-09 2014-12-02 이건훈 Advertisement sheet used for vehicle
WO2015080424A1 (en) * 2013-11-29 2015-06-04 주식회사 엘지화학 Blanket for print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0150321B2 (en) 2013-11-29 2018-12-11 Lg Chem, Ltd. Blanket for print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738A (en) 201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1500B1 (en) Blanket for offset print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251786B1 (en) Separable blanket for roll-print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942675B1 (en) Bi-layer structured sheet having excellent printability when printed by hard rol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5452880B2 (en) Rubber blanket for printing
KR101652590B1 (en) Blanket for printing and manufacturing the same
JP2000255178A (en) Printing blanket and manufacture thereof
KR101376129B1 (en) Blanket for reverse off-set print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3153033B2 (en) Blanket and method for producing color filter using the blanket
KR10143145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rinting blanket
KR101810731B1 (en) Composition including silicone adhesive, manufacturing method of blanket for printing using the same and blanket for printing manufactured by the same
KR101365432B1 (en) Blanket having a slip lay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00138529A (en) Blanket for roll-printing having a barrier layer between printing layer
KR101219098B1 (en) Color filter substrate fabricat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ink-jet printing method
JP4018951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rinting blanket
KR20110004739A (en) Blanket for reverse off-set print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5125664A (en) Blanket for printing
JP4680668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printing blanket
JP5523032B2 (en) Silicone blanket
JP2011126248A (en) Silicone bracket
KR101658940B1 (en) Printing method and solvent absorber therefor
JP4523056B2 (en) Production method of transfer body
TWI526309B (en) Blanket
KR101385850B1 (en) Pattern blancket improved thickness uniformit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60037815A (en) Blanket for printing and manufacturing the same
JP2001018590A (en) Print laminate, transfered body,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