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6127B1 - 더블암식 삼단 카세트 이송 로봇 - Google Patents

더블암식 삼단 카세트 이송 로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6127B1
KR101246127B1 KR1020110066539A KR20110066539A KR101246127B1 KR 101246127 B1 KR101246127 B1 KR 101246127B1 KR 1020110066539 A KR1020110066539 A KR 1020110066539A KR 20110066539 A KR20110066539 A KR 20110066539A KR 101246127 B1 KR101246127 B1 KR 101246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ball screw
coupled
cassette
symmetric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6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5138A (ko
Inventor
최종갑
박용균
윤남일
박재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엠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엠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엠이씨
Priority to KR1020110066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6127B1/ko
Publication of KR20130005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9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into and out of processing chamber
    • H01L21/67742Mechanical parts of transfe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95Manipulators transporting waf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8/00Arms
    • B25J18/02Arms extensible
    • B25J18/025Arms extensible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2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vement of the arms, e.g. cartesian coordinate type
    • B25J9/04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vement of the arms, e.g. cartesian coordinate type by rotating at least one arm, excluding the head movement itself, e.g. cylindrical coordinate type or polar coordinate type
    • B25J9/041Cylindrical coordinate type
    • B25J9/042Cylindrical coordinate type comprising an articulated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6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with articulated lin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01L21/6870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robot blade, or gripped by a gripper for convey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심부에는 천장에 설치된 주행 대차에 결합되는 제1 회전축과 상기 제1 회전축을 회전 제어시키는 주회전 모터가 형성된 마운트 플레이트와; ㄷ형 단면의 직선 프레임으로서 개방면이 서로 대향되도록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의 양단 하방에 대칭 결합되며, 대면하는 면의 양측 모서리에 제1 슬라이딩 레일이 형성된 마운트 프레임과; 양단에 대칭으로, 상기 마운트 프레임의 ㄷ형 단면 내부에 형성되는 제1 볼스크류와; 양단에 대칭으로, 상기 마운트 프레임의 상방 외측에서 상기 제1 볼스크류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볼스크류를 회전 제어시키는 주승강 모터와; 양단에 대칭으로 상기 제1 슬라이딩 레일에 제1 슬라이딩 가이드에 의하여 대칭 결합되며, 서로 대면하는 면의 양측 모서리에는 제2 슬라이딩 레일이 형성되는 제1 슬라이더와; 양단에 대칭으로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볼스크류의 스크류 너트에 체결된 제1 슬라이더 구동부와; 양단에 대칭으로 상기 제2 슬라이딩 레일에, 상단에 형성된 제2 슬라이딩 가이드에 의하여 대칭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며, 상기 제2 슬라이딩 가이드 반대면 하단에는 제3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슬라이딩 가이드 반대면 하단에는 제3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제2 볼스크류와 제3 볼스크류가 회동 자재되도록 결합되고, 상측면에는 상기 제2 볼스크류와 제3 볼스크류를 회전 제어시키는 서브 승강모터가 동력전달장치에 의해 연결되어 형성되는 제2 슬라이더와; 양단에 대칭으로 상기 제1 슬라이더의 하단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볼스크류의 스크류 너트에 결합되는 제2 슬라이더 구동부와; 상기 제2 슬라이더에 접하는 면에 제3 슬라이딩 레일이 형성되어, 양단에 대칭으로 상기 제3 슬라이딩 가이드에 결합되는 제3 슬라이더와; 상기 제3 슬라이더의 상단 타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3 볼스크류의 스크류 너트에 결합되는 제3 슬라이더 구동부와; 양측이 상기 제3 슬라이더 하단에 결합되며 중심부에 제2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을 구동시키는 핸드 회전 모터가 형성된 핸드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회전축에 결합되는 카세트 핸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암식 삼단 카세트 이송 로봇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다관절 로봇의 자체의 크기를 최소화시키면서, 다관절의 구동을 위한 회전반경과 작동공간 여유를 최소화시키고, 천장에 설치된 이송장치로부터 카세트 까지의 승강거리를 여유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하여, 주변장치 여유공간와 공정 활용공간을 크게 축소시키는 더블암식 삼단 카세트 이송 로봇이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더블암식 삼단 카세트 이송 로봇{Double-arm type three step cassette lifting robot}
본 발명은 중심부에는 천장에 설치된 주행 대차에 결합되는 제1 회전축과 상기 제1 회전축을 회전 제어시키는 주회전 모터가 형성된 마운트 플레이트와; ㄷ형 단면의 직선 프레임으로서 개방면이 서로 대향되도록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의 양단 하방에 대칭 결합되며, 대면하는 면의 양측 모서리에 제1 슬라이딩 레일이 형성된 마운트 프레임과; 양단에 대칭으로, 상기 마운트 프레임의 ㄷ형 단면 내부에 형성되는 제1 볼스크류와; 양단에 대칭으로, 상기 마운트 프레임의 상방 외측에서 상기 제1 볼스크류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볼스크류를 회전 제어시키는 주승강 모터와; 양단에 대칭으로 상기 제1 슬라이딩 레일에 제1 슬라이딩 가이드에 의하여 대칭 결합되며, 서로 대면하는 면의 양측 모서리에는 제2 슬라이딩 레일이 형성되는 제1 슬라이더와; 양단에 대칭으로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볼스크류의 스크류 너트에 체결된 제1 슬라이더 구동부와; 양단에 대칭으로 상기 제2 슬라이딩 레일에, 상단에 형성된 제2 슬라이딩 가이드에 의하여 대칭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며, 상기 제2 슬라이딩 가이드 반대면 하단에는 제3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슬라이딩 가이드 반대면 하단에는 제3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제2 볼스크류와 제3 볼스크류가 회동 자재되도록 결합되고, 상측면에는 상기 제2 볼스크류와 제3 볼스크류를 회전 제어시키는 서브 승강모터가 동력전달장치에 의해 연결되어 형성되는 제2 슬라이더와; 양단에 대칭으로 상기 제1 슬라이더의 하단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볼스크류의 스크류 너트에 결합되는 제2 슬라이더 구동부와; 상기 제2 슬라이더에 접하는 면에 제3 슬라이딩 레일이 형성되어, 양단에 대칭으로 상기 제3 슬라이딩 가이드에 결합되는 제3 슬라이더와; 상기 제3 슬라이더의 상단 타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3 볼스크류의 스크류 너트에 결합되는 제3 슬라이더 구동부와; 양측이 상기 제3 슬라이더 하단에 결합되며 중심부에 제2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을 구동시키는 핸드 회전 모터가 형성된 핸드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회전축에 결합되는 카세트 핸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암식 삼단 카세트 이송 로봇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물체 이송용 싱글암 카세트 리프트 로봇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반도체 웨이퍼나 액정표시소자 글래스(LCD glass), 솔라셀의 제조공정 라인과 같이 고청정도를 요하는 환경에서 사용되는 로봇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제조 과정에서는, 반도체 웨이퍼를 카세트에 적재하거나 또는 한 공정에서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제조라인에서 웨이퍼를 적재한 카세트를 자동으로 반송하는 다관절 로보트가 사용된다.
상기 다관절 로보트는 전동식 핸드를 이용하여 웨이퍼 카세트를 고청정의 환경하에서 다른 로보트 및 설비 사이에 신속, 정확히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로봇은, 본체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로봇아암과, 로봇아암의 선단에 설치된 핸드를 구비하여서, 반도체 웨이퍼를 클램핑한 후, 상기 로봇아암의 승강 및 회전운동을 이용하여 이송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로봇은 다관절의 복잡한 구성으로 인하여, 로봇암 자체의 크기가 크고, 다관절의 구동을 위한 회전반경과 작동공간 여유가 크며, 천장에 설치된 이송장치로부터 카세트 까지의 승강거리를 고려하여야 하므로 주변장치 여유공간와 공정 활용공간을 크게 설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관절 로봇의 자체의 크기를 최소화시키면서, 반도체 웨이퍼나 액정표시소자 글래스(LCD glass), 솔라셀의 제조공정 라인과 같이 고청정도를 요하는 환경에서 다관절의 구동을 위한 회전반경과 작동공간 여유를 최소화시키고, 천장에 설치된 이송장치로부터 카세트 까지의 승강거리를 여유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하여, 주변장치 여유공간와 공정 활용공간을 크게 축소시키는 더블암식 삼단 카세트 이송 로봇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심부에는 천장에 설치된 주행 대차에 결합되는 제1 회전축과 상기 제1 회전축을 회전 제어시키는 주회전 모터가 형성된 마운트 플레이트와; ㄷ형 단면의 직선 프레임으로서 개방면이 서로 대향되도록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의 양단 하방에 대칭 결합되며, 대면하는 면의 양측 모서리에 제1 슬라이딩 레일이 형성된 마운트 프레임과; 양단에 대칭으로, 상기 마운트 프레임의 ㄷ형 단면 내부에 형성되는 제1 볼스크류와; 양단에 대칭으로, 상기 마운트 프레임의 상방 외측에서 상기 제1 볼스크류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볼스크류를 회전 제어시키는 주승강 모터와; 양단에 대칭으로 상기 제1 슬라이딩 레일에 제1 슬라이딩 가이드에 의하여 대칭 결합되며, 서로 대면하는 면의 양측 모서리에는 제2 슬라이딩 레일이 형성되는 제1 슬라이더와; 양단에 대칭으로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볼스크류의 스크류 너트에 체결된 제1 슬라이더 구동부와; 양단에 대칭으로 상기 제2 슬라이딩 레일에, 상단에 형성된 제2 슬라이딩 가이드에 의하여 대칭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며, 상기 제2 슬라이딩 가이드 반대면 하단에는 제3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슬라이딩 가이드 반대면 하단에는 제3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제2 볼스크류와 제3 볼스크류가 회동 자재되도록 결합되고, 상측면에는 상기 제2 볼스크류와 제3 볼스크류를 회전 제어시키는 서브 승강모터가 동력전달장치에 의해 연결되어 형성되는 제2 슬라이더와; 양단에 대칭으로 상기 제1 슬라이더의 하단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볼스크류의 스크류 너트에 결합되는 제2 슬라이더 구동부와; 상기 제2 슬라이더에 접하는 면에 제3 슬라이딩 레일이 형성되어, 양단에 대칭으로 상기 제3 슬라이딩 가이드에 결합되는 제3 슬라이더와; 상기 제3 슬라이더의 상단 타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3 볼스크류의 스크류 너트에 결합되는 제3 슬라이더 구동부와; 양측이 상기 제3 슬라이더 하단에 결합되며 중심부에 제2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을 구동시키는 핸드 회전 모터가 형성된 핸드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회전축에 결합되는 카세트 핸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암식 삼단 카세트 이송 로봇으로 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상기 제2 슬라이더와 제3 슬라이더가 동일 승강 방향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 제3 볼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밸트 또는 나사 결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암식 삼단 카세트 이송 로봇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승강 모터와 서브 승강모터는 상기 카세트 핸드의 승강시 동일 방향의 승강이 발생되도록 연동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암식 삼단 카세트 이송 로봇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더블암식 삼단 카세트 이송 로봇은 상기 카세트 핸드 최상단 상승 위치에서 상기 제1 슬라이더와 제2 슬라이더, 제3 슬라이더는 하측면이 일치되도록 길이를 정하되, 상기 카세트 핸드 최상단 상승 위치에서 상기 마운트 프레임의 내부에 상기 카세트 핸드에 결합된 카세트가 전부 수용되도록 상기 마운트 프레임의 길이와 폭를 정하고, 상기 제1 슬라이더와 제2 슬라이더, 제3 슬라이더는 하측면이 상기 카세트의 상측면에 위치되도록 길이를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암식 삼단 카세트 이송 로봇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슬라이더는 사각 통체로 형성되어 상면의 상기 서브 승강 모터를 내부에 삽입하여 설치하고 모터축과 동력전달장치만을 노출시켜 상부 장치의 설치 공간을 최소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암식 삼단 카세트 이송 로봇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는 사각 격자 프레임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카세트 핸드 최상단 상승 위치에서 상기 제1 슬라이더와 제2 슬라이더, 제3 슬라이더의 상방 공간 여유를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암식 삼단 카세트 이송 로봇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여 반도체 웨이퍼나 액정표시소자 글래스(LCD glass), 솔라셀의 제조공정 라인과 같이 고청정도를 요하는 환경에서 다관절 로봇의 자체의 크기를 최소화시키면서, 다관절의 구동을 위한 회전반경과 작동공간 여유를 최소화시키고, 천장에 설치된 이송장치로부터 카세트 까지의 승강거리를 여유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하여, 주변장치 여유공간와 공정 활용공간을 크게 축소시키는 더블암식 삼단 카세트 이송 로봇이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카세트 핸드 최상단 위치에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상태에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카세트 핸드 최하단 위치에서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부분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상태에서 카세트 핸드가 결합된 정면도
도 6은 도 1의 상태에서 측면도
도 7은 도 3의 상태에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평면도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동력전달장치 예시도
도 13은 도 3의 상태에서 사시도
도 14는 도 5의 상태에서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의 도 1은 본 발명의 카세트 핸드 최상단 위치에서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상태에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카세트 핸드 최하단 위치에서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부분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상태에서 카세트 핸드가 결합된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1의 상태에서 측면도이며, 도 7은 도 3의 상태에서 측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평면도이며,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동력전달장치 예시도이며, 도 13은 도 3의 상태에서 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5의 상태에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카세트 이송 로봇에 관한 것으로서, 크게 제1 회전축(100)과 주회전 모터(미도시)와 마운트 플레이트(10)와 제1 슬라이딩 레일(22)과 마운트 프레임(20)과 제1 볼스크류(21)와 주승강 모터(110)와 제2 슬라이딩 레일(31)과 제1 슬라이더(30)와 제1 볼스크류의 스크류 너트(210)와 제1 슬라이더 구동부(23)와 제2 볼스크류(41)와 제3 볼스크류(42)와 서브 승강모터(400)와 동력전달장치(미도시)와 제2 슬라이더(40)와 제2 볼스크류의 스크류 너트(410)와 제2 슬라이더 구동부(34)와 제3 슬라이딩 레일(51)과 제3 슬라이더(50)와 제3 볼스크류의 스크류 너트(420)와 제3 슬라이더 구동부(52)와 제2 회전축(610)과 핸드 회전 모터(61)와 핸드 플레이트(60)와 카세트 핸드(62)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1개의 고정 프레임에 3개의 슬라이더가 순차 대칭 형성되어진 카세트 이송 로봇용 승강장치가 된다.
상기 고정 프레임은 주회전 장치에 의하여 천장에 부착된 주행 대차에 결합되어 전체 장치의 회전과 주행이 결정된다.
본 발명의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에 천장에 설치된 상기 주행 대차에 결합되는 제1 회전축(100)과 상기 제1 회전축(100)을 회전 제어시키는 주회전 모터(미도시)가 형성된 지지판이다.(상기 주회전 모터는 주행 대차에 형성되어져도 된다.)
상기 주행 대차는 공장의 설비에 속하는 것으로서, 공정의 라인에 따라 미리 설계되어진다.
본 발명의 마운트 플레이트(10)는 상기 제1 회전축(100)을 매개 삼아 상기 주행대차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회전축(100)은 상기 주회전 모터(미도시)에 의하여 회전되므로 이하의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10)에 설치되는 장치가 전체적으로 회전된다.
본 발명의 마운트 프레임(20)은 상기 고정 프레임에 해당되는 장치이다.
상기 마운트 프레임(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형 단면의 직선 프레임(ㄷ형강)으로서 개방면이 서로 대향되도록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10)의 양단 하방에 대칭 결합된다.
ㄷ형 단면 구조는 본 발명의 공간 절약형 설계를 위한 것인데,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10) 양단에 대칭으로 ㄷ형 단면의 대향하는 개방면 양측 모서리부에는 제1 슬라이딩 레일(22)이 형성되며, ㄷ형 단면의 개방부 내부에는 제1 볼스크류(21)가 형성된다.
상기 마운트 프레임(20)의 상방 외측에는 상기 제1 볼스크류(21)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볼스크류(21)를 회전 제어시키는 주승강 모터(110)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 슬라이더(30)는 상기한 '1개의 고정 프레임에 순차 결합되는 3개의 슬라이더' 중에서 첫번째 슬라이더이다.
상기 제1 슬라이더(30)는 상기 마운트 프레임(20) 양단 내측에 대칭적으로 상기 제1 슬라이딩 레일(22)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직선 프레임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슬라이더(30)에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슬라이딩 레일(22)과 접하는 부분에 제1 슬라이딩 가이드(32)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한 '1개의 고정 프레임에 순차 결합되는 3개의 슬라이더'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슬라이더(30)에는 서로 대면하는 면의 양측 모서리에 제2 슬라이딩 레일(31)을 형성시킨다.
도 2의 (a)에는 상기 마운트 프레임(20) 부분 내부가 도시되어져 있는데, 상기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슬라이더(30)를 승강 제어시키는 제1 슬라이더 구동부(23)는 상기 제1 슬라이더(30)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볼스크류의 스크류 너트(210)에 체결된 연결 프레임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슬라이더 구동부(23)는 ㄷ형 단면의 마운트 프레임(20)에 설치되는 제1 슬라이딩 레일(22)과 제1 볼스크류()의 구조상 상기 제1 슬라이딩 가이드(32)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어지며, 상기 제1 슬라이더(30) 자체에 지지되어지고 상기 제1 볼스크류(21) 회전에 의해 승강된다.
상기 제1 슬라이딩 구동부(23)와 제1 슬라이딩 가이드(32) 설치부가 상단인 것은 상기 제1 슬라이더(30)의 하단 연장 길이를 최대화하기 위해서이며, 상기 제1 슬라이딩 가이드(32)와 제1 슬라이딩 구동부(23)가 동일한 상단에 위치하므로 슬라이딩 구동을 지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슬라이딩 가이드(32)를 넓게 형성시킨다.
본 발명의 제2 슬라이더(40)는 상기 제1 슬라이더(30)에 대칭으로 상기 제2 슬라이딩 레일(31)에 대칭으로 제2 슬라이딩 가이드(43)에 의해 슬라이딩 결합된다.
상기 제2 슬라이더(40)의 상기 제2 슬라이딩 가이드(43) 반대면 하단에는 제3 슬라이딩 가이드(44)가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제2 볼스크류(41)와 제3 볼스크류(42)가 회동 자재되도록 결합되고, 상측면에는 상기 제2 볼스크류(41)와 제3 볼스크류(42)를 회전 제어시키는 서브 승강모터(400)가 동력전달장치(미도시)에 의해 연결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동력전달장치(미도시)는 상기 제2 슬라이더(40)와 제3 슬라이더(50)가 동일 승강 방향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 볼스크류(41)와 제3 볼스크류(42)를 회전시키는 밸트 또는 나사 결합체로 형성시킨다.
즉, 상기 제2 슬라이더(40)는 슬라이딩 레일이 설치되지 않고 제2 볼스크류(41)와 제3 볼스크류(42)만 설치되는 특징을 가진다.
상기 제2 슬라이더 구동부(34)는 도 2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에 대칭으로 상기 제1 슬라이더(30)의 하단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볼스크류의 스크류 너트(410)에 결합된다.
즉, 상기 제2 슬라이더(40)는 상기 제1 슬라이더(30)에 의지하여 자체에 형성된 제2 볼스크류(41)의 회전에 의해 승강된다.
상기 제2 슬라이더(40)의 최대 승강거리를 확보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 슬라이더 구동부(34)는 상기 제1 슬라이더(30)의 하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슬라이딩 가이드(43)는 상기 제2 슬라이더(40)의 상단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3 슬라이더(50)는 상기한 '1개의 고정 프레임에 순차 결합되는 3개의 슬라이더' 중에서 3번째 슬라이더로서, 상기 제2 슬라이더(40)에 접하는 면에 제3 슬라이딩 레일(51)이 형성되어, 양단에 대칭으로 상기 제2 슬라이더(40)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슬라이더(40)에는 상기 제3 슬라이딩 레일(51)에 접하는 부분 하단에 슬라이딩 접속을 위한 제3 슬라이딩 가이드(44)가 형성되어져야 할 것이다.
도 2(b)는 도 2(a) 부분의 배면을 도시한 부분인데, 상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슬라이더 구동부(52)는 상기 제3 슬라이더(50)의 상단 타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3 볼스크류의 스크류 너트(420)에 결합된다.
상기 제3 슬라이더(50)의 최대 승강거리를 확보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3 슬라이더 구동부(52)는 상기 제2 슬라이더(40)의 하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3 슬라이딩 가이드(44)는 상기 제3 슬라이더(50)의 상단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핸드 플레이트(60)는 양측이 상기 제3 슬라이더(50) 하단에 결합되며 중심부에 제2 회전축(610)과 상기 제2 회전축(610)을 구동시키는 핸드 회전 모터(61)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회전축(610)에는 카세트 핸드(62)가 결합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1개의 고정 프레임인 마운트 프레임(20)에 3개의 제1 슬라이더(30), 제2 슬라이더(40), 제3 슬라이더(50)가 순차 결합된 것으로 주행 대차와 주회전 모터(미도시)에 의해 장치 전체가 주행 및 회전되고, 제2 회전축(610)에 의하여 카세트 핸드(62)가 회전되는 삼단 더블암식 카세트 이송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1 슬라이더(30), 제2 슬라이더(40), 제3 슬라이더(50)의 승강 방향은 동일하게 발생되도록 상기 주승강 모터(110)와 서브 승강모터(400)는 연동 구동되도록 하며, 상기 제2 볼스크류(41)와 제3 볼스크류(42)로 회전력을 전달시키는 동력전달장치(미도시)도 조정한다.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상기 제2 볼스크류(41)와 제3 볼스크류(42)의 상단에 상기 서브 승강모터(400) 회전축을 연결시키며 형성될 수 있는데, 제2 볼스크류(41)와 제3 볼스크류(42)의 회전 나사의 방향이 같을 경우에는 도 9의 기어 결합체나 도 11의 밸트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제2 볼스크류(41)와 제3 볼스크류(42)의 회전 나사방향이 다를 경우에는 도 10의 기어 결합체나 도 12의 밸트로 형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한편, 상기 제1 슬라이더(30)와 제2, 제3 슬라이더(50)의 슬라이딩 거리는 달리 구성되는데, 이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운트 프레임(20) 내부에 카세트(60)가 결합된 상태로 삽입되게 하여, 최소 공간을 이용하여 최대 효용성을 이루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 슬라이더(40)와 제3 슬라이더(50)의 슬라이딩 거리는 동일하게 형성시키며, 도 5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세트 핸드(62) 최상단 상승 위치에서 상기 제1 슬라이더(30)와 제2 슬라이더(40), 제3 슬라이더(50)는 하측면이 일치되도록 길이를 정한다.
또한, 상기 카세트 핸드(62) 최상단 상승 위치에서 상기 마운트 프레임(20)의 내부에 상기 카세트 핸드(62)에 결합된 카세트(60)가 전부 수용되도록 상기 마운트 프레임(20)의 길이와 폭를 정하고, 상기 제1 슬라이더(30)와 제2 슬라이더(40), 제3 슬라이더(50)는 하측면이 상기 카세트(60)의 상측면에 위치되도록 길이를 정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마운트 프레임(20) 내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는 제1 슬라이더(30), 제2 슬라이더(40), 제3 슬라이더(50) 및 카세트(60)의 구성이 이루어진다.
상기한 마운트 프레임(20) 내부의 공간 활용을 위하여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2 슬라이더(40)는 사각 통체(ㄷ자형 형강 구조도 가능하다.)로 형성되어 도 4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의 상기 서브 승강모터(400)를 내부에 삽입하여 설치하고 모터축과 동력전달장치만을 노출시켜 상부 장치의 설치 공간을 최소화시킨다.
또한,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10)는 사각 격자 프레임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카세트 핸드(62) 최상단 상승 위치에서 상기 제1 슬라이더(30)와 제2 슬라이더(40), 제3 슬라이더(50)의 상단부가 마운트 플레이트(10)와 충돌되지 않도록 한다.
즉,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10)의 사각 격자 프레임 구조는 상기 제1 슬라이더(30), 제2 슬라이더(40), 제3 슬라이더(50)의 상방 공간 여유를 확보하여 상기 동력전달장치(미도시) 등으로 인한 장치가 보호되게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천장에 설치된 주행대차에 의하여 도 1, 도 2의 상태로 카세트(60) 위치로 이송되며, 주회전 모터(미도시)로 카세트(60)의 위치를 맞추며, 하강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60)를 결합시키고. 승강시 핸드 회전 모터(61)로 카세트(60)의 승강 방향을 정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60)를 결합한 상태로 승강한 후에 이송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반도체 웨이퍼나 액정표시소자 글래스(LCD glass), 솔라셀의 제조공정 라인과 같은 환경에서 승강 전 장치가 차지한 공간과 동일 공간을 차지하는 공간 효율적 더블암식 삼단 카세트 이송 로봇이 제공된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도시된 도면은 본 발명이 구체화되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가 실현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조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마운트 플레이트 20 : 마운트 프레임
21 : 제1 볼스크류 22 : 제1 슬라이딩 레일
23 : 제1 슬라이더 구동부 30 : 제1 슬라이더
31 : 제2 슬라이딩 레일 34 : 제2 슬라이더 구동부
40 : 제2 슬라이더 41 : 제2 볼스크류
42 : 제3 볼스크류 50 : 제3 슬라이더
51 : 제3 슬라이딩 레일 52 : 제3 슬라이더 구동부
60 : 핸드 플레이트 61 : 핸드 회전 모터
62 : 카세트 핸드 100 : 제1 회전축
110 : 주승강 모터 210 : 제1 볼스크류의 스크류 너트
400 : 서브 승강모터 410 : 제2 볼스크류의 스크류 너트
420 : 제3 볼스크류의 스크류 너트 610 : 제2 회전축

Claims (6)

  1. 중심부에는 천장에 설치된 주행 대차에 결합되는 제1 회전축과 상기 제1 회전축을 회전 제어시키는 주회전 모터가 형성된 마운트 플레이트와;
    ㄷ형 단면의 직선 프레임으로서 개방면이 서로 대향되도록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의 양단 하방에 대칭 결합되며, 대면하는 면의 양측 모서리에 제1 슬라이딩 레일이 형성된 마운트 프레임과;
    양단에 대칭으로, 상기 마운트 프레임의 ㄷ형 단면 내부에 형성되는 제1 볼스크류와;
    양단에 대칭으로, 상기 마운트 프레임의 상방 외측에서 상기 제1 볼스크류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볼스크류를 회전 제어시키는 주승강 모터와;
    양단에 대칭으로 상기 제1 슬라이딩 레일에 제1 슬라이딩 가이드에 의하여 대칭 결합되며, 서로 대면하는 면의 양측 모서리에는 제2 슬라이딩 레일이 형성되는 제1 슬라이더와;
    양단에 대칭으로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볼스크류의 스크류 너트에 체결된 제1 슬라이더 구동부와;
    양단에 대칭으로 상기 제2 슬라이딩 레일에, 상단에 형성된 제2 슬라이딩 가이드에 의하여 대칭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며, 상기 제2 슬라이딩 가이드 반대면 하단에는 제3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슬라이딩 가이드 반대면 하단에는 제3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제2 볼스크류와 제3 볼스크류가 회동 자재되도록 결합되고, 상측면에는 상기 제2 볼스크류와 제3 볼스크류를 회전 제어시키는 서브 승강모터가 동력전달장치에 의해 연결되어 형성되는 제2 슬라이더와;
    양단에 대칭으로 상기 제1 슬라이더의 하단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볼스크류의 스크류 너트에 결합되는 제2 슬라이더 구동부와;
    상기 제2 슬라이더에 접하는 면에 제3 슬라이딩 레일이 형성되어, 양단에 대칭으로 상기 제3 슬라이딩 가이드에 결합되는 제3 슬라이더와;
    상기 제3 슬라이더의 상단 타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3 볼스크류의 스크류 너트에 결합되는 제3 슬라이더 구동부와;
    양측이 상기 제3 슬라이더 하단에 결합되며 중심부에 제2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을 구동시키는 핸드 회전 모터가 형성된 핸드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회전축에 결합되는 카세트 핸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암식 삼단 카세트 이송 로봇.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상기 제2 슬라이더와 제3 슬라이더가 동일 승강 방향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 제3 볼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밸트 또는 나사 결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암식 삼단 카세트 이송 로봇.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승강 모터와 서브 승강모터는
    상기 카세트 핸드의 승강시 동일 방향의 승강이 발생되도록 연동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암식 삼단 카세트 이송 로봇.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암식 삼단 카세트 이송 로봇은
    상기 카세트 핸드 최상단 상승 위치에서 상기 제1 슬라이더와 제2 슬라이더, 제3 슬라이더는 하측면이 일치되도록 길이를 정하되,
    상기 카세트 핸드 최상단 상승 위치에서 상기 마운트 프레임의 내부에 상기 카세트 핸드에 결합된 카세트가 전부 수용되도록 상기 마운트 프레임의 길이와 폭를 정하고, 상기 제1 슬라이더와 제2 슬라이더, 제3 슬라이더는 하측면이 상기 카세트의 상측면에 위치되도록 길이를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암식 삼단 카세트 이송 로봇.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라이더는 사각 통체로 형성되어 상면의 상기 서브 승강 모터를 내부에 삽입하여 설치하고 모터축과 동력전달장치만을 노출시켜 상부 장치의 설치 공간을 최소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암식 삼단 카세트 이송 로봇.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는
    사각 격자 프레임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카세트 핸드 최상단 상승 위치에서 상기 제1 슬라이더와 제2 슬라이더, 제3 슬라이더의 상방 공간 여유를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암식 삼단 카세트 이송 로봇.
KR1020110066539A 2011-07-05 2011-07-05 더블암식 삼단 카세트 이송 로봇 KR101246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539A KR101246127B1 (ko) 2011-07-05 2011-07-05 더블암식 삼단 카세트 이송 로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539A KR101246127B1 (ko) 2011-07-05 2011-07-05 더블암식 삼단 카세트 이송 로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138A KR20130005138A (ko) 2013-01-15
KR101246127B1 true KR101246127B1 (ko) 2013-03-21

Family

ID=47836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6539A KR101246127B1 (ko) 2011-07-05 2011-07-05 더블암식 삼단 카세트 이송 로봇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61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8425B1 (ko) * 2017-07-26 2023-06-01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기판 이송 장치
CN107875465B (zh) * 2017-11-21 2023-11-10 浙江理工大学 一种自动拔罐机器人
CN108453681B (zh) * 2018-04-04 2024-03-08 吉林大学 用于三维扫描仪的工件运动平台
CN108493135B (zh) * 2018-04-23 2024-01-05 无锡奥特维科技股份有限公司 硅片旋转装置和硅片分选机
CN109573150B (zh) * 2018-12-11 2023-09-26 昆明理工大学 一种多功能鲜花包装机
CN109665287A (zh) * 2019-03-02 2019-04-23 台州福耐捷自动化有限公司 一种具有可调节加工台的加工安装料过渡输送机构
CN109895069A (zh) * 2019-03-07 2019-06-18 江苏硕世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机械手、转移装置、核酸提取分离装置及样品板的转移方法
CN114770299B (zh) * 2022-06-02 2024-06-18 上海辛帕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升降装置及风电叶片的打磨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313U (ja) 1984-06-21 1986-01-22 明成車輛株式会社 交通標示装置
JP2001009765A (ja) 1999-06-28 2001-01-16 Hirata Corp 昇降ユニット及びロボット装置
KR20050120422A (ko) * 2004-06-18 2005-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기판 반송장치
JP2006043867A (ja) 2004-07-05 2006-02-16 Yachiyotekku:Kk 多段伸縮位置決め移動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313U (ja) 1984-06-21 1986-01-22 明成車輛株式会社 交通標示装置
JP2001009765A (ja) 1999-06-28 2001-01-16 Hirata Corp 昇降ユニット及びロボット装置
KR20050120422A (ko) * 2004-06-18 2005-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기판 반송장치
JP2006043867A (ja) 2004-07-05 2006-02-16 Yachiyotekku:Kk 多段伸縮位置決め移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138A (ko) 2013-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6127B1 (ko) 더블암식 삼단 카세트 이송 로봇
KR101281453B1 (ko) 싱글암 카세트 리프트 로봇
JP6621868B2 (ja) 貯蔵システム
JP6509487B2 (ja) 産業用ロボット
US8992160B2 (en) Transfer robot
CN102763210B (zh) 基板处理***及基板传送方法
US9126331B2 (en) Moving apparatus and docking method between moving apparatuses
WO2010041562A1 (ja) 基板搬送ロボットおよびシステム
TW201425189A (zh) 可同時移送並加工基板的系統,架構與方法
US20220334484A1 (en) Coating and Development Equipment
CN208775779U (zh) 一种传送装置
WO2023173799A1 (zh) 输送机
KR101204255B1 (ko) 더블암식 이단 카세트 이송 로봇
CN101459100B (zh) 紧凑式晶圆自动传输装置
KR102314362B1 (ko) 기판 반송용 로봇
JPH11301475A (ja) 搬送車
WO2020056938A1 (zh) 立体三角形铁芯的装配装置
KR102612256B1 (ko) 제조 시스템
CN108792585B (zh) 一种锭子装卸机械手
KR102314364B1 (ko) 기판 반송용 로봇
WO2015020088A1 (ja) 産業用ロボット
JP2005311287A (ja) 基板搬入出装置
CN220449096U (zh) 一种光伏组件升降旋转侧滑装置
CN109962029A (zh) 片盒旋转机构和装载腔室
CN220555628U (zh) 取放治具foup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