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0513B1 - Mdps시스템 및 mdps시스템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Mdps시스템 및 mdps시스템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0513B1
KR101240513B1 KR1020120107845A KR20120107845A KR101240513B1 KR 101240513 B1 KR101240513 B1 KR 101240513B1 KR 1020120107845 A KR1020120107845 A KR 1020120107845A KR 20120107845 A KR20120107845 A KR 20120107845A KR 101240513 B1 KR101240513 B1 KR 101240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cargo
transport
rail
shi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7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욱
김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에스피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8181304&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24051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에스피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에스피지
Priority to KR1020120107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05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65G1/1371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with data reco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92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cars adapted to travel in storage ais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26Racks equipped with a displaceable load carrying surface to facilitate loading 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6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65G1/1373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for fulfilling orders in warehouses
    • B65G1/1378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for fulfilling orders in warehouses the orders being assembled on fixed commissioning areas remote from the storage 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의 적재공간을 입고공간 및 분류공간으로 구분하고, 2개의 분리된 운송모듈로 이루어진 운송수단으로 화물의 입고 및 화물의 출고를 담당하게 함으로써 화물의 입고 및 출고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는 MDPS시스템 및 MDPS시스템 운영방법을 개시(introduce)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DPS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입고포트, 랙, 적어도 하나의 제1운송수단 및 적어도 하나의 제2운송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랙은 복수 개의 적재공간을 포함하는 입고공간, 복수 개의 적재공간을 포함하는 분류공간, 상기 입고공간의 일 면에 형성된 입고이송레일 및 상기 입고공간과 상기 분류공간 사이에 형성된 분류이송레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MDPS시스템 및 MDPS시스템 운용방법{Multi Deep Pallet Shuttle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for the system}
본 발명은 MDPS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재 공간을 구분하여 화물의 입고 및 출고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MDPS시스템 및 MDPS시스템의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물류는 물적 유통(Physical Distribution)을 줄인 말로 생산자로부터 소비자까지의 물의 흐름을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유통개념은 생산자로부터 소비자에게 재화와 서비스를 이전시키고 장소와 시간·소유의 효용을 창조하는 활동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반해 물류는 소유의 효용을 만족시켜주는 거래를 제외한 장소와 시간의 효용을 창출하는 부분으로 정의를 내리고 있다.
구체적으로 생산된 상품을 수송·하역·보관·포장하는 과정과 유통가공이나 수송기초시설 등 물자유통 과정을 모두 포함한다. 또 통신 기초시설과 정보망 등 정보유통개념도 모두 여기에 들어간다. 물류는 따라서 수송기초시설, 통신기초시설 등 국가기간산업활동과 관련된 부분과 기업이 자체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수송, 보관, 하역, 포장, 유통, 가공, 정보기능을 총체적으로 나타내는 말이다.
화물보관 창고는 일시적으로 화물을 보관하는 장소인데, 즉시 유통되지 않는 화물을 보관을 하였다가 필요한 때에 출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물을 적시에 유통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류시스템의 한 구성원이 되는 화물보관창고는, 화물을 창고에 적재하는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 및 적재된 화물을 출고하는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으로 물류시스템의 효율을 평가할 수 있다. 빠른 시간에 화물을 창고에 적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창고에 적재된 화물을 빠른 시간에 출고할 수 있다면, 이는 최상의 물류시스템이 될 것이다.
현재 지개차로 화물을 리트프 업하여 일정 거리를 이동한 후 화물을 해당 장소에 적재한다. 따라서, 화물이 적재되는 공간에 따라서 지개차가 직접 이동하여야 하는데 지개차는 속도가 느릴 뿐 아니라 사람이 직접 운용하여야 하므로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며, 화물 적재 공간 사이에 지개차가 이동하여야 하는 공간을 마련해야 하므로, 적재 공간이 그 만큼 줄어드는 단점도 있다.
또한 지개차를 이용하여 화물을 적재하는 경우, 지개차의 성능에 따라 달라지기는 하지만, 적재 장소가 2층 이상인 경우에는 화물의 적재가 불가능하거나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적재된 화물을 출고하는 경우도 화물의 적재 과정과 역순으로 이루어지므로 화물의 입고과정에서 생기는 단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화물의 적재공간을 입고공간, 출고공간 및 분류공간으로 구분하고, 2개의 분리된 운송모듈로 이루어진 운송수단으로 화물의 입고 및 화물의 출고를 담당하게 함으로써 화물의 입고 및 출고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는 MDPS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화물의 적재공간을 입고공간, 출고공간 및 분류공간으로 구분하고, 2개의 분리된 운송모듈로 이루어진 운송수단으로 화물의 입고 및 화물의 출고를 담당하게 함으로써 화물의 입고 및 출고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는 MDPS시스템의 운영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DPS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입고포트, 랙, 적어도 하나의 제1운송수단 및 적어도 하나의 제2운송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랙은 복수 개의 적재공간을 포함하는 입고공간, 복수 개의 적재공간을 포함하는 분류공간, 상기 입고공간의 일 면에 형성된 입고이송레일 및 상기 입고공간과 상기 분류공간 사이에 형성된 분류이송레일을 포함한다. 상기 제1운송수단은 상기 입고이송레일, 상기 입고포트와 상기 입고이송레일 사이에 형성된 화물주행레일 및 상기 입고공간의 하부에 형성된 화물주행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입고포트에 대기 중인 화물을 상기 입고공간으로 이송한다. 상기 제2운송수단은 상기 분류이송레일, 상기 입고공간의 하부에 형성된 화물주행레일 및 상기 분류공간의 하부에 형성된 화물주행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입고공간에 적재된 화물을 상기 분류공간으로 이송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MDPS시스템 운영방법은, 제6항에 기재된 MDPS시스템을 운영하는 방법이며, 제1운송수단을 이용하여 입고포트에 적재된 화물을 입고공간으로 이송·적재하는 MDPS입고단계 및 제2운송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입고공간에 적재된 화물을 분류공간으로 이송·적재하는 MDPS분류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MDPS입고단계 및 상기 MDPS분류단계는 동시에 또는 이시에 수행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은 화물의 적재공간을 입고공간 및 분류공간으로 구분하고, 2개의 분리된 운송모듈로 이루어진 운송수단으로 화물의 입고 및 화물의 출고를 담당하게 함으로써 화물의 입고 및 출고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MDPS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운송수단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MDPS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MDPS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MDPS시스템의 운영방법 중 제1운송수단이 입고포트에 있던 화물을 입고공간에 적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8을 복수 층으로 구현된 랙을 나타낸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MDPS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운송수단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운송수단(100)은 제1운송모듈(Shuttle, 101) 및 제2운송모듈(satellite, 102)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화물의 적재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을 MDPS(Multi Deep Pallet Shuttle) 시스템이라고 정의하고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이 되겠지만, 본 발명에서는 셔틀(shuttle)과 새틀라이트(satellite)를 이용하여 화물을 적재, 이송 및 출하를 하기 때문이다.
제2운송모듈(102)은 제1운송모듈(101)에 안착되어 사용되거나(도 1의 하부) 분리되어(도 1의 상부) 사용된다. 제1운송모듈(101)이 적재 공간 사이를 이동하게 되므로 이를 셔틀(shuttle)이라고 할 수 있으며, 제2운송모듈(102)은 제1운송모듈(101)에 안착되거나 분리된 상태로 사용되므로 이를 새틀라이트(Satellite)라고도 할 수 있다. 이들은 각각 가이드 레일(이송레일 및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화물을 운송수단(100)으로 안착하는 방식은 아래의 두 가지로 실현할 수 있다.
첫 째, 제2운송모듈(102)이 제1운송모듈(101)과 분리된 상태로 적재할 화물이 있는 곳으로 이동하여 해당화물을 제2운송모듈(102)의 상부에 적재한 후 다시 제1운송모듈(101)에 안착하여 최종적으로는 운송수단(100)에 화물을 안치하는 것이다.
둘 째, 제1운송모듈(101)이 적재할 화물이 있는 것으로 이동하여 해당화물을 자체의 컨베이어 장치(103)을 이용하여 제1운송모듈(101)에 안치하는 것이다. 이 경우, 제1운송모듈(101)에는 제2운송모듈(102)이 분리되어 있고, 분리된 제2운송모듈(102)이 따로 화물을 이송하고 있을 때에, 내장된 컨베이어 장치(103)를 이용하여, 제1운송모듈(101)도 해당화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물의 이송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제1운송모듈(101) 및 제2운송모듈(102)은 각각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바퀴를 이용하여 이동하며, 제1운송모듈(101)의 이동 방향과 제2운송모듈(102)의 운송방향은 서로 다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서로 직각으로 이동하는 실시 예에 대해서만 설명하였다.
제1운송모듈(101) 및 제2운송모듈(102)의 내부 구조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들이 이동하는데 사용되는 바퀴를 구동하는 모터, 중앙 제어시스템과 유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유닛 및 전원 공급 유닛 등이 모두 포함되어 있으며, 이 부분은 본 발명의 핵심이 아니므로 이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특히, 제2운송모듈(102)의 내부에는 상부에 있는 화물을 리프트 업 하거나 리프트 다운 할 수 있는 화물 상하 이동수단이 포함되어 있다. 제1운송모듈(101)에는 화물을 안치시킬 수 있는 컨베이어 장치(103)가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MDPS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MDPS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MDPS시스템은 입고포트(A1), 입고공간(A2), 분류공간(A3), 출고공간(A4) 및 출고포트(A5)를 포함하는 랙(Rack)과 복수 개의 운송수단(201~204)을 포함하며, 입고공간(A2), 분류공간(A3) 및 출고공간(A4)은 각각 복수 개의 적재 공간을 포함한다. 여기서 적재공간이라 함은 화물이 보관 될 장소를 의미한다.
입고포트(A1)와 입고공간(A2) 사이, 입고공간(A2)과 분류공간(A3) 사이, 분류공간(A3)과 출고공간(A4) 그리고 출고공간(A4)과 출고포트(A5) 사이에는 입고이송레일(205), 분류이송레일(206), 출고이송레일(207) 및 출하이송레일(208)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입고포트(A1), 입고공간(A2), 분류공간(A3), 출고공간(A4) 및 출고포트(A5)의 하부에 설치된 각각의 화물주행레일(209~213)은 이송레일들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입고포트(A1)와 입고공간(A2) 사이, 입고공간(A2)과 분류공간(A3) 사이, 분류공간(A3)과 출고공간(A4) 사이 그리고 출고공간(A4)과 출고포트(A5) 사이의 화물의 운송을 담당하는 운송수단을 각각 제1운송수단(201의 내부), 제2운송수단(202의 내부), 제3운송수단(203의 내부) 및 제4운송수단(204의 내부)이라고 가정하고 설명한다.
제1운송수단(201의 내부)은 입고이송레일(205), 입고포트(A1)와 입고이송레일(205) 사이에 형성된 화물주행레일(209) 및 입고공간(A2)의 하부에 형성된 화물주행레일(210)을 따라 이동하면서, 입고포트(A1)에 대기 중인 화물을 입고공간(A2)으로 이송한다. 제2운송수단(202의 내부)은 분류이송레일(206), 입고공간(A2)과 분류공간(A3)의 하부에 각각 형성된 화물주행레일(210, 211)을 따라 이동하면서, 입고공간(A2)에 적재된 화물을 분류공간(A3)으로 이송한다. 제3운송수단(203의 내부)은 출고이송레일(207), 분류공간(A3)의 하부에 형성된 화물주행레일(211) 및 출고공간(A4)의 하부에 형성된 화물주행레일(212)을 따라 이동하면서 분류공간(A3)의 화물을 출고공간(A4)으로 이송한다. 제4운송수단(204의 내부)은 출하이송레일(208), 출고공간(A4)의 하부에 형성된 화물주행레일(212) 및 출고포트(A5)의 하부에 형성된 화물주행레일(213)을 따라 이동하면서 출고공간(A4)의 화물을 출고포트(A5)로 이송한다.
4개의 운송수단 각각은 제1운송모듈 및 제2운송모듈을 구비한다는 것은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이들의 동작 특징을 설명한다.
제1운송수단에 포함된 제1운송모듈은 제2운송모듈이 안착되어 있는 상태로 또는 제2운송모듈이 안착되지 않은 상태로 입고이송레일(205)을 따라 이동하며, 제2운송모듈은 제1운송모듈로부터 분리된 후 입고포트(A1)과 입고공간(A2)의 사이에 형성된 화물주행레일(209) 및 입고공간(A2)의 하부에 형성된 화물주행레일(210)을 따라 이동한다.
제2운송수단에 포함된 제1운송모듈은 제2운송모듈이 안착되어 있는 상태로 또는 제2운송모듈이 안착되지 않은 상태로 분류이송레일(206)을 따라 이동하며, 제2운송모듈은 제1운송모듈로부터 분리된 후 입고공간(A2)과 분류공간(A3)의 하부에 각각 형성된 화물주행레일(210, 211)을 따라 이동한다.
제3운송수단에 포함된 제1운송모듈은 제2운송모듈이 안착되어 있는 상태로 또는 제2운송모듈이 안착되지 않은 상태로 출고이송레일(207)을 따라 이동하며, 제2운송모듈은 제1운송모듈로부터 분리된 후 분류공간(A3) 및 출고공간(A4)의 하부에 각각 형성된 화물주행레일(211, 212)을 따라 이동한다.
제4운송수단에 포함된 제1운송모듈은 제2운송모듈이 안착되어 있는 상태로 또는 제2운송모듈이 안착되지 않은 상태로 출하이송레일(208)을 따라 이동하며, 제2운송모듈은 제1운송모듈로부터 분리된 후 출고공간(A4) 및 출고포트(A5)의 하부에 각각 형성된 화물주행레일(212, 213)을 따라 이동한다.
도 1에는 입고포트(A1)와 출고포트(A5)가 각가 하나씩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도면의 간편 및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고, 입고포트(A1)의 수와 출고포트(A4)의 수는 필요에 따라서 설치하면 된다. 후술 하겠지만, 제1운송수단 내지 제4운송수단도 2개 이상이 존재하는 실시 예도 가능하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운송수단(201의 내부)이 입고포트(A1)에 있는 화물을 입고공간(A2)으로 이송하는 동안 제2운송수단(202의 내부)은 입고공간(A2)에 적재되어 있던 화물을 분류공간(A3)으로 이송하고 있으며 제3운송수단(203의 내부)도 분류공간(A3)에 적재되어 있던 화물을 출고공간(A4)로 이송하고 있으며, 제4운송수단(204의 내부)도 출고공간에 적재되어 있던 화물을 출고포트(A5)로 이송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MDPS시스템의 경우 입고, 분류 및 출고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으므로, 입고 및 출고의 시간이 종래의 물류보관시스템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다는 것을 쉽게 예상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MDPS시스템의 운영방법 중 제1운송수단이 입고포트에 있던 화물을 입고공간에 적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MDPS시스템의 제1운송수단은 입고포트에 적재된 화물을 적재(400)하고 입고이송레일(205)을 따라 이동중인 것을 알 수 있다. 이 때 제1운송수단은 상부에 화물을 적재한 제2운송모듈이 제1운송모듈에 안착되어 있는 상태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부에 화물을 적재한 제2운송모듈(500)이 제1운송수단에 안착된 상태로 입고이송레일(205)를 따라 이동 중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부에 화물을 적재한 제2운송모듈(602)이 입고이송레일(205)에 남겨진 제1운송모듈(601)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적재할 위치로 이동 중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운송모듈(702)이 해당 위치에 화물(701)을 적재한 후 입고이송레일(205)에 남겨진 제1운송모듈(601)로 이동중인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입고포트에는 새로운 화물(700)이 이미 대기 중인 것을 알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에 대한 설명은 제1운송수단의 이송방법에 대한 것인데, 이는 제2운송수단 내지 제4운송수단의 이송방법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하나의 제1운송수단이 입고포트(A1)에 적재된 화물을 입고공간(A2)으로 이송하는 과정에 대해서만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제1운송수단이 입고포트(A1)에 적재된 화물을 입고공간(A2)의 일정 위치로 이송하고 있을 때, 다른 하나의 제1운송수단이 입고포트(A1)에 새롭게 적재된 화물을 입고공간(A2)의 다른 일정 위치로 이송하는 실시 예도 가능하다. 이 때에는 2개의 제1운송수단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들의 운송 중 충돌하지 않도록 조정하는 알고리즘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입고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한 또 다른 실시 예는, 화물이 적재된 제2이송모듈이 해당 화물주행레일(210)을 이동 중에 있을 때, 제1이송모듈은 입고이송레일(205)에 정차해 있지 않고 입고이송레일(205)을 따라 이동하여 입고포트(A1)에 새롭게 적재된 화물을 적재한 후 적재가 완료된 제2이송모듈이 대기하고 있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대기 중인 제2이송모듈은 제1이송모듈에 안착한 다음, 새로운 화물이 적재되어야 할 위치로 이동한 후 화물주행레일(210)을 따라 화물을 적재할 위치로 이동하는 것은 위의 설명과 동일하다.
상기와 같은 동작은 제2운송수단 내지 제4운송수단의 경우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다.
상기의 설명은 이해를 돕기 위해서 단층의 랙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복수 층으로 구성된 랙에도 쉽게 적용될 수 있다.
도 8을 복수 층으로 구현된 랙을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MDPS시스템의 랙은 복수의 층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제1운송수단 내지 제3운송수단의 상하 이동을 수행하는 승강장치(미도시)는 입고이송레일 층(801), 분류이송레일 층(802), 출고이송레일 층(803) 및 출하이송레일 층(804)의 적어도 한 곳에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운송수단 101: 제1운송모듈
102: 제2운송모듈 103: 컨베이어
201: 제1운송수단 202: 제2운송수단
203: 제3운송수단 204: 제4운송수단
205: 입고이송레일 206: 분류이송레일
207: 출고이송레일 208: 출하이송레일
209~213: 화물주행레일 A1: 입고포트
A2: 입고공간 A3: 분류공간
A4: 출고공간 A5: 출고포트

Claims (11)

  1. 적어도 하나의 입고포트(A1);
    2차원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적재공간을 포함하는 입고공간(A2), 2차원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적재공간을 포함하는 분류공간(A3), 상기 입고포트(A1)와 상기 입고공간(A2) 사이에서 상기 입고공간(A2)의 일면을 따라 형성된 입고이송레일(205) 및 상기 입고공간(A2)과 상기 분류공간(A3) 사이에서 상기 입고공간(A2)과 상기 분류공간(A3)을 따라 형성된 분류이송레일(206)을 포함하는 랙;
    상기 입고포트(A1)의 하부와 상기 입고이송레일(205) 사이에 형성된 화물주행레일(209), 상기 입고이송레일(205) 및 상기 입고공간(A2)의 하부에 형성되며 동시에 상기 입고이송레일(205)과 상기 분류이송레일(206) 사이에 형성된 화물주행레일(210)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입고포트(A1)에 대기 중인 화물을 상기 입고공간(A2)으로 이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운송수단; 및
    상기 분류이송레일(206), 상기 입고공간(A2)의 하부에 형성된 화물주행레일(210) 및 상기 분류공간(A3)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분류이송레일(206)과 인접하여 형성된 화물주행레일(211)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입고공간(A2)에 적재된 화물을 상기 분류공간(A3)으로 이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운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DPS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랙은,
    상기 분류공간(A3)에 인접하여 형성된 출고공간(A4);
    상기 출고공간(A4)에 인접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출고포트(A5);
    상기 분류공간(A3)과 상기 출고공간(A4) 사이에 상기 분류공간(A3)과 상기 출고공간(A4)을 따라 형성된 출고이송레일(207);
    상기 출고공간(A4)과 상기 출고포트(A5) 사이에 상기 출고공간(A4)과 상기 출고포트(A5)를 따라 형성된 출하이송레일(208);
    상기 출고공간(A4)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분류이송레일(206)과 상기 출고이송레일(207) 사이에 형성된 화물주행레일(212); 및
    상기 출고포트(A5)의 하부와 상기 출하이송레일(208) 사이에 형성된 화물주행레일(213);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출고이송레일(207), 상기 분류공간(A3)의 하부에 형성된 화물주행레일(211) 및 상기 출고공간(A4)의 하부에 형성된 화물주행레일(212)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분류공간(A3)의 화물을 상기 출고공간(A4)으로 이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운송수단; 및
    상기 출하이송레일(208), 상기 출고공간(A5)의 하부에 형성된 화물주행레일(212) 및 상기 출고포트(A5)의 하부에 형성된 화물주행레일(213)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출고공간(A4)의 화물을 상기 출고포트(A5)로 이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4운송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DPS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운송수단은
    상기 입고이송레일(205)을 따라 상기 입고공간(A2)의 일 변을 이동하는 제1운송모듈; 및
    상기 제1운송모듈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입고공간(A2)의 일 변을 이동하며, 상기 제1운송모듈로부터 분리된 후 상기 입고포트(A1)의 하부와 상기 입고공간(A2) 사이에 형성된 화물주행레일(209) 및 상기 입고공간(A2)의 하부에 형성된 화물주행레일(210)을 따라 이동하는 제2운송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2운송수단은,
    상기 분류이송레일(206)을 따라 상기 입고공간(A2)과 상기 분류공간(A3) 사이를 이동하는 제3운송모듈; 및
    상기 제3운송모듈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분류이송레일(206)을 따라 상기 입고공간(A2) 과 상기 분류공간(A3) 사이를 이동하고, 상기 제3운송모듈로부터 분리된 후 상기 입고공간(A2)의 하부에 형성된 화물주행레일(210) 및 상기 분류공간(A3)의 하부에 형성된 화물주행레일(213)을 따라 이동하는 제4운송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3운송수단은,
    상기 출고이송레일(207)을 따라 상기 분류공간(A3)과 상기 출고공간(A4) 사이를 이동하는 제5운송모듈; 및
    상기 제5운송모듈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출고이송레일(207)을 따라 상기 분류공간(A3) 과 상기 출고공간(A4) 사이를 이동하고, 상기 제5운송모듈로부터 분리된 후 상기 분류공간(A3)의 하부에 형성된 화물주행레일(211) 및 상기 출고공간(A4)의 하부에 형성된 화물주행레일(212)을 따라 이동하는 제6운송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4운송수단은,
    상기 출하이송레일(208)을 따라 상기 출고공간(A4)과 상기 출고포트(A5) 사이를 이동하는 제7운송모듈; 및
    상기 제7운송모듈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출하이송레일(208)을 따라 상기 출고공간(A4)과 상기 출고포트(A5) 사이를 이동하고, 상기 제7운송모듈로부터 분리된 후 상기 출고공간(A4)의 하부에 형성된 화물주행레일(212) 및 상기 출고포트(A5)의 하부에 형성된 화물주행레일(213)을 따라 이동하는 제8운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DPS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운송모듈, 상기 제3운송모듈, 상기 제5운송모듈 및 상기 제7운송모듈의 상부에는 컨베이어 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운송모듈, 상기 제4운송모듈, 상기 제6운송모듈 및 상기 제8운송모듈에는, 상부에 있는 화물을 리프트 업 하거나 리프트 다운 할 수 있는 화물 상하 이동수단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DPS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고공간(A2) 하부의 화물주행레일(210)에는 상기 제1운송모듈에 안착되지 않은 제2운송모듈이 적어도 두 개 존재하고,
    상기 분류공간(A3) 하부의 화물주행레일(211)에는 상기 제3운송모듈에 안착되지 않은 제4운송모듈이 적어도 두 개 존재하며,
    상기 출고공간(A4) 하부의 화물주행레일(212)에는 상기 제5운송모듈에 안착되지 않은 제6운송모듈이 적어도 두 개 존재하고,
    상기 출고포트(A5) 하부의 화물주행레일에는 상기 제7운송모듈에 안착되지 않은 제8운송모듈이 적어도 두 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DPS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고공간, 상기 분류공간 및 상기 출고공간이 복수 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입고이송레일, 상기 분류이송레일 및 상기 출고이송레일은 각 층에 하나씩 형성되며,
    상기 제1운송수단, 상기 제2운송수단 및 상기 제3운송수단은 각각 승강수단을 이용하여 층간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DPS시스템.
  7. 제6항에 기재된 MDPS시스템을 운영하는 MDPS시스템 운용방법에 있어서,
    제1운송수단을 이용하여 입고포트에 적재된 화물을 입고공간으로 이송·적재하는 MDPS입고단계; 및
    제2운송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입고공간에 적재된 화물을 분류공간으로 이송·적재하는 MDPS분류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MDPS입고단계 및 상기 MDPS분류단계는 동시에 또는 이시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DPS시스템 운용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제3운송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분류공간에 적재되어 있는 화물을 출고공간으로 이송·적재하는 MDPS출고단계; 및
    제4운송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출고공간에 적재되어 있는 화물을 출고포트로 를 이송·적재하는 MDPS출하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MDPS입고단계, 상기 MDPS분류단계, 상기 MDPS출고단계, 상기 MDPS출하단계는 동시에 또는 이시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DPS시스템 운용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MDPS입고단계는 제2운송모듈에 적재된 화물이 상기 입고공간의 하부에 형성된 화물주행레일을 통해 적재되어야 할 장소로 이동하고 있을 때, 상기 제2운송모듈이 분리된 상태이며 상기 입고이송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1운송모듈은 상기 입고포트로 이동하여 새로운 화물을 적재한 후 상기 제2운송모듈이 있는 화물주행레일로 이동하는 한 편, 입고공간에 화물의 적재를 완료한 상기 제2운송모듈을 안착한 후 새로운 화물이 적재되어야 할 분류공간으로 이동하고,
    상기 MDPS분류단계는 제4운송모듈에 적재된 화물이 상기 분류공간의 하부에 형성된 화물주행레일을 통해 적재되어야 할 장소로 이동하고 있을 때, 상기 제4운송모듈이 분리된 상태이며 상기 분류이송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3운송모듈은, 상기 입고공간으로 이동하여 새로운 화물을 적재한 후 상기 제4운송모듈이 있는 화물주행레일로 이동하는 한 편, 분류공간에 화물의 적재를 완료한 상기 제4운송모듈을 안착한 후 새로운 화물이 적재되어야 할 분류공간으로 이동하며,
    상기 MDPS출고단계는 제6운송모듈에 적재된 화물이 화물주행레일을 통해 출고공간으로 이동하고 있을 때, 상기 제6운송모듈이 분리된 상태이며 상기 출고이송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5운송모듈은 상기 분류공간으로 이동하여 새로운 화물을 적재한 후 상기 제6운송모듈이 있는 곳으로 이동하는 한 편, 출고공간에 화물의 적재를 완료한 상기 제6운송모듈을 안착한 후 새로운 화물이 적재되어야 할 출고공간으로 이동하며,
    상기 MDPS출하단계는 제8운송모듈에 적재된 화물이 화물주행레일을 통해 출고포트로 이동하고 있을 때, 상기 제8운송모듈이 분리된 상태이며 상기 출하이송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7운송모듈은 상기 출고공간으로 이동하여 새로운 화물을 적재한 후 상기 제8운송모듈이 있는 곳으로 이동하는 한 편, 출고포트에 화물의 적재를 완료한 상기 제8운송모듈을 안착한 후 새로운 화물이 적재되어야 할 출고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DPS시스템 운용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MDPS입고단계는 제2운송모듈에 적재된 화물이 상기 입고공간의 하부에 형성된 화물주행레일을 통해 입고공간으로 이동하고 있을 때, 상기 입고이송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1운송모듈은 이미 화물을 입고공간에 적재하였으며 상기 입고공간의 하부에 형성된 다른 화물주행레일에 대기 중인 다른 제2운송모듈을 안착시킨 후 상기 입고포트로 이동하며,
    상기 MDPS분류단계는 제4운송모듈에 적재된 화물이 상기 분류공간의 하부에 형성된 화물주행레일을 통해 분류공간으로 이동하고 있을 때, 상기 분류이송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3운송모듈은 이미 화물을 분류공간에 적재하였으며 상기 분류공간의 하부에 형성된 다른 화물주행레일에 대기 중인 다른 제4운송모듈을 안착시킨 후 상기 입고공간으로 이동하고,
    상기 MDPS출고단계는 제6운송모듈에 적재된 화물이 화물주행레일을 통해 출고공간으로 이동하고 있을 때, 상기 출고이송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5운송모듈은 이미 화물을 출고공간에 적재하였으며 다른 화물주행레일에 대기 중인 다른 제6운송모듈을 안착시킨 후 상기 분류공간으로 이동하며,
    상기 MDPS출하단계는 제8운송모듈에 적재된 화물이 화물주행레일을 통해 출고포트로 이동하고 있을 때, 상기 출하이송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7운송모듈은 이미 화물을 출하공간에 적재하였으며 다른 화물주행레일에 대기 중인 다른 제8운송모듈을 안착시킨 후 상기 출고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DPS시스템 운용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MDPS입고단계는 적어도 2개의 제1운송수단이 상기 입고포트에 대기 중인 적어도 2개의 화물을 상기 입고공간 중 적재되어야 할 장소로 순차적으로 이송하고,
    상기 MDPS분류단계는 적어도 2개의 제2운송수단이 상기 입고공간에 적재된 적어도 2개의 화물을 상기 분류공간 중 적재되어야 할 장소로 순차적으로 이송하며,
    상기 MDPS출고단계는 적어도 2개의 제3운송수단이 상기 분류공간에 적재된 적어도 2개의 화물을 상기 출고공간 중 적재되어야 할 장소로 순차적으로 이송하고,
    상기 MDPS출하단계는 적어도 2개의 제3운송수단이 상기 출고공간에 적재된 적어도 2개의 화물을 상기 출고포트 중 적재되어야 할 장소로 순차적으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DPS시스템 운용방법.
KR1020120107845A 2012-09-27 2012-09-27 Mdps시스템 및 mdps시스템 운용방법 KR101240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845A KR101240513B1 (ko) 2012-09-27 2012-09-27 Mdps시스템 및 mdps시스템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845A KR101240513B1 (ko) 2012-09-27 2012-09-27 Mdps시스템 및 mdps시스템 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0513B1 true KR101240513B1 (ko) 2013-03-18

Family

ID=48181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7845A KR101240513B1 (ko) 2012-09-27 2012-09-27 Mdps시스템 및 mdps시스템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051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117B1 (ko) 2013-01-18 2014-05-28 주식회사 티에스피지 Mdps시스템용 이송수단 및 이의 운용방법
KR101482519B1 (ko) 2013-07-16 2015-01-22 주식회사 티에스피지 Mdps 제어 시스템 구성 및 운용 방법
CN107826580A (zh) * 2017-11-22 2018-03-23 江苏高科物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穿梭车式仓储以及攀爬式穿梭车
CN107840059A (zh) * 2017-11-30 2018-03-27 上海诺力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双向仓储自动取料机
KR101884232B1 (ko) 2018-07-02 2018-08-30 국무상 자율주행대차 및 대차승강시스템을 구비하는 물류시스템
KR20220090788A (ko) * 2020-12-23 2022-06-30 (주)에이텍티앤 트레이 기반의 자동화 물류창고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8639A (ja) 1998-10-19 2000-04-25 Itoki Crebio Corp 自動倉庫及びその入庫方法
JP2004131258A (ja) 2002-10-11 2004-04-30 Itoki Crebio Corp 自動倉庫
JP2008162795A (ja) 2007-01-04 2008-07-17 Murata Mach Ltd 自動倉庫システム
JP2008266011A (ja) 2007-04-19 2008-11-06 Katsuyuki Kojima 微小昇降積載台を具えたドーリと立体収納棚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8639A (ja) 1998-10-19 2000-04-25 Itoki Crebio Corp 自動倉庫及びその入庫方法
JP2004131258A (ja) 2002-10-11 2004-04-30 Itoki Crebio Corp 自動倉庫
JP2008162795A (ja) 2007-01-04 2008-07-17 Murata Mach Ltd 自動倉庫システム
JP2008266011A (ja) 2007-04-19 2008-11-06 Katsuyuki Kojima 微小昇降積載台を具えたドーリと立体収納棚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117B1 (ko) 2013-01-18 2014-05-28 주식회사 티에스피지 Mdps시스템용 이송수단 및 이의 운용방법
KR101482519B1 (ko) 2013-07-16 2015-01-22 주식회사 티에스피지 Mdps 제어 시스템 구성 및 운용 방법
CN107826580A (zh) * 2017-11-22 2018-03-23 江苏高科物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穿梭车式仓储以及攀爬式穿梭车
CN107840059A (zh) * 2017-11-30 2018-03-27 上海诺力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双向仓储自动取料机
CN107840059B (zh) * 2017-11-30 2023-11-28 上海诺力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双向仓储自动取料机
KR101884232B1 (ko) 2018-07-02 2018-08-30 국무상 자율주행대차 및 대차승강시스템을 구비하는 물류시스템
KR20220090788A (ko) * 2020-12-23 2022-06-30 (주)에이텍티앤 트레이 기반의 자동화 물류창고시스템
KR102484915B1 (ko) 2020-12-23 2023-01-09 (주)에이텍티앤 트레이 기반의 자동화 물류창고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79678B2 (ja) 保管設備からの運搬ユニット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
KR101240513B1 (ko) Mdps시스템 및 mdps시스템 운용방법
CN103171850B (zh) 转运排列在装卸设备上的货物的***
KR100855594B1 (ko) 반송 시스템
JP6315097B2 (ja) ピッキングシステムとピッキング方法
KR101329120B1 (ko) 자동 창고
JP6321794B2 (ja) 選別ステーションにおいて所望の順序で保管ユニットを保管設備から利用できるようにすることによる注文調達方法
KR102633481B1 (ko) 보관 시설 내에서 유닛을 운반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05473446B (zh) 用于能堆叠的容器的储存设备
CN104169196A (zh) 货架仓储***和用于运行货架仓储***的方法
CN107601062A (zh) 一种基于agv小车的高铁物流智能装卸***及方法
US20120282068A1 (en) Shelf storage system
CN109328371B (zh) 铁路货物运输***
CN101152905B (zh) 机场设施的货运区域
US11111077B2 (en) Logistics movement automation system and method
CN107585603A (zh) 一种高铁物流装卸***及方法
CN107572267A (zh) 一种物流智能装卸***及方法
CN109573429A (zh) 一种双层组合式双工位rgv小车和自动化立体仓储***
ES2894824T3 (es) Recogida de mercancías soportada por tecnología de transportador
JP7111256B2 (ja) 自動倉庫システム
CN107867528B (zh) 一种自动化立体仓储***
EP4230548A1 (en) Transportation system
WO2022252333A1 (zh) 立体分拣站、分拣方法及订单履行方法
CN206705047U (zh) 一种仓库用多层托盘存放装置
CN113978991A (zh) 一种高密度穿梭车存储***及存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2

Year of fee payment: 5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0370;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0215

Effective date: 20170524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30000052;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INVALIDATION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300003201;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71228

Effective date: 20180412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30000052;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80427

Effective date: 2018052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