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0889B1 - 강소성 가공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선재의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강소성 가공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선재의 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0889B1
KR101210889B1 KR1020110070133A KR20110070133A KR101210889B1 KR 101210889 B1 KR101210889 B1 KR 101210889B1 KR 1020110070133 A KR1020110070133 A KR 1020110070133A KR 20110070133 A KR20110070133 A KR 20110070133A KR 101210889 B1 KR101210889 B1 KR 101210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cap
heading
head
wir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0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용택
진영관
백현무
전병철
박남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일다이파스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일다이파스,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일다이파스
Priority to KR1020110070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08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0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0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3/00Extruding metal; Impact extrusion
    • B21C23/02Making uncoated products
    • B21C23/04Making uncoated products by direct extrusion
    • B21C23/14Making other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6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for performing particular operations
    • B21J5/08Upse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1/00Making machine elements
    • B21K1/44Making machine elements bolts, studs, or the like
    • B21K1/46Making machine elements bolts, studs, or the like with head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7/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머리를 갖는 기계요소를 가공하기 위한 강소성 가공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선재의 가공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강소성 가공장치는 등통로각압축(ECAP)유닛, 압출유닛, 업세팅유닛과 제1 헤딩유닛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강소성 가공방법은 ECAP유닛에 의하여 선재를 전단변형시켜 제1 예비가공품으로 가공하고, 제1 예비가공품을 압출유닛에 의하여 압출하여 머리를 갖는 제2 예비가공품으로 가공한다. 제2 예비가공품을 업세팅유닛에 의하여 업세팅하여 머리를 갖는 제3 예비가공품으로 가공하고, 제3 예비가공품을 제1 헤딩유닛에 의하여 1차 헤딩하여 머리를 갖는 기계요소로 가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머리붙이 스터드 및 볼트 등 머리를 갖는 기계요소를 ECAP를 포함하는 다공정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고, ECAP에 의하여 기계요소의 결정립을 미세화시켜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단 성형기의 연속 공정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강소성 가공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선재의 가공방법{SEVERE PLASTIC DEFORMATION SYSTEM AND METHOD FOR WORKING WIRE R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강소성 가공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선재의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머리붙이 스터드 등 머리를 갖는 기계요소를 가공하기 위한 강소성 가공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선재의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금속소재의 소성가공은 단조(Forging), 압연(Rolling), 압출(Extrusion), 인발(Drawing), 전조(Form rolling) 등 매우 다양하게 실시되고 있다. 선재(Wire rod)는 압출, 업세팅(Upsetting), 헤딩(Heading) 등에 의하여 머리를 갖는 다양한 기계요소(Mechanical elements), 예를 들어 스터드(Stud), 볼트(Bolt), 핀(Pin), 리벳(Rivet), 키(Key), 샤프트(Shaft) 등으로 제조되고 있다.
한편, 선재의 결정립 미세화(Grain refinement)는 강도, 인성 및 성형성의 향상, 낮은 열전도도, 초가소성(Superplasticity), 경량화 등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보유하는 특징이 있다. 강소성 가공(Severe plastic deformation)은 선재에 큰 소성변형을 가하여 초미세 결정립의 금속소재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선재를 초미세결정 또는 나노결정 미세조직으로 제조하기 위한 강소성 가공은 등통로각압축(Equal channel angular pressing, ECAP)과 등통로각신선(Equal channel angular drawing, ECAD)으로 구분되고 있다. ECAP은 선재를 일정한 각도로 꺾여 있는 다이스(Dies)의 채널(Channel)에 통과시키면서 선재에 전단변형을 가하여 가공한다. 따라서 선재의 결정립을 미세화하여 제조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ECAP는 선재의 공급과 배출에 많은 제한을 받기 때문에 머리붙이 스터드(Headed stud) 등 머리를 갖는 기계요소의 제조에 채택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머리를 갖는 기계요소를 ECAP를 포함하는 다공정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는 강소성 가공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선재의 가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ECAP에 의하여 기계요소의 결정립을 미세화하여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강소성 가공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선재의 가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단 성형기의 연속 공정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는 강소성 가공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선재의 가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ECAP유닛에 의하여 선재를 전단변형시켜 제1 예비가공품으로 가공하는 ECAP 단계와; 제1 예비가공품을 압출유닛에 의하여 압출하여 머리를 갖는 제2 예비가공품으로 가공하는 압출 단계와; 제2 예비가공품을 업세팅유닛에 의하여 업세팅하여 머리를 갖는 제3 예비가공품으로 가공하는 단계와; 제3 예비가공품을 제1 헤딩유닛에 의하여 1차 헤딩하여 머리를 갖는 기계요소로 가공하는 1차 헤딩 단계를 포함하는 강소성 가공방법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선재를 전단변형시켜 제1 예비가공품으로 가공하기 위한 ECAP유닛과; ECAP유닛의 하류에 배치되어 있고, 제1 예비가공품을 압출하여 머리를 갖는 제2 예비가공품으로 가공하기 위한 압출유닛과; 압출유닛의 하류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2 예비가공품을 업세팅하여 머리를 갖는 제3 예비가공품으로 가공하기 위한 업세팅유닛과; 업세팅유닛의 하류에 배치되어 있고, 제3 예비가공품을 1차 헤딩하여 머리를 갖는 기계요소로 가공하기 위한 1차 헤딩기를 포함하는 강소성 가공장치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강소성 가공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선재의 가공방법은 머리붙이 스터드 및 볼트 등 머리를 갖는 기계요소를 ECAP를 포함하는 다공정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고, ECAP에 의하여 기계요소의 결정립을 미세화시켜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단 성형기의 연속 공정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강소성 가공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선재의 가공방법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소성 가공장치의 제1 실시예에서 ECAP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소성 가공방법의 제1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실시예1과 비교예의 예비가공품들과 완성품을 나타낸 사진들,
도 4a와 4b는 본 발명에 따른 강소성 가공방법의 제1 실시예에서 선재와 제1 예비가공품의 미세조직을 투과전자현미경에 의하여 촬영한 사진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소성 가공방법의 제1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실시예1과 비교예의 완성품에서 머리, 목과 몸통의 미세조직을 투과전자현미경에 의하여 촬영한 사진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강소성 가공방법의 제1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실시예1과 비교예의 완성품에 대한 진변형률-진응력 선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강소성 가공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선재의 가공방법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강소성 가공방법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실시예2의 예비가공품의 예비가공품들과 완성품을 나타낸 사진들이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과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강소성 가공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선재의 가공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강소성 가공방법의 제1 실시예는 선재(10)의 절단(Cutting, S10), ECAP(S20), 압출(Extrusion, S30), 업세팅(Upsetting, S40), 1차 헤딩(Heading, S50)과 2차 헤딩(S60)의 단계를 거쳐 완성품(60)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소성 가공장치의 절단유닛(100)은 선재(10)를 소정 길이로 절단한다. 절단유닛(100)에 의하여 절단된 선재(10)는 이른 바 블랭크소재(Blank workpiece)이다. 압출유닛(300)은 다이(302)와 펀치(304)를 가지며, ECAP유닛(200)에 의하여 제조한 제1 예비가공품(20)을 제2 예비가공품(30)으로 압출한다. 제2 예비가공품(30)의 일단에 머리(32)가 형성되어 있다. 업세팅유닛(400)은 다이(402)와 펀치(404)를 가지며, 제2 예비가공품(30)을 축 방향으로 압축하여 길이를 짧게 하면서 단면을 크게 하여 제3 예비가공품(40)을 제조한다. 제3 예비가공품(40)의 일단에 머리(42)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헤딩유닛(500)은 다이(502)와 펀치(504)를 가지며, 제3 예비가공품(40)의 머리(42)를 헤딩하여 기계요소(50)의 머리(52)를 제조한다. 제2 헤딩유닛(600)은 다이(602)와 펀치(604)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5 예비가공품(50)의 머리(52)를 헤딩하여 완성품(60)의 머리(62)와 플랜지(Flange: 64)를 제조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2차 헤딩(S60)에 의한 플랜지(64)의 성형은 삭제될 수 있다. 이 경우, 머리(52)를 갖는 기계요소(50)가 완제품으로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강소성 가공장치의 절단유닛(100), ECAP유닛(200), 압출유닛(300), 업세팅유닛(400), 제1 헤딩유닛(500)과 제2 헤딩유닛(600)은 다단 성형기(Multi-stage former) 또는 다공정 프레스머신(Multi-process press machine)에 설치되어 선재(10)를 완성품(60)으로 가공한다. 다단 성형기는 길이가 긴 소재의 절단 및 다단 성형을 하는 트랜스퍼식 자동 단조기이다.
도 2의 (a)~(d)를 참조하면, 선재(10)의 전단변형을 위한 ECAP 장치(200)는 하우징(210), 슬라이딩다이(Sliding die: 220), 어퍼다이(Upper die: 230), 스프링(240)과 킥아웃핀(Kick-out pin: 250)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210)은 입구(212)가 형성되어 있는 보어(Bore: 214)를 갖는다. 슬라이딩다이(220)는 보어(214)에 슬라이딩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슬라이딩다이(220)의 중앙에 선재(10)의 삽입을 위한 보어(222)가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다이(220)의 상면에 보어(222)로부터 선재(10)의 전단변형을 위한 제1 채널(224)이 형성되어 있다. 어퍼다이(230)의 하면에 선재(10)의 전단변형을 위하여 제1 채널(224)과 정합되도록 제2 채널(232)이 형성되어 있다. 어퍼다이(230)는 다단성형기의 램(Ram) 등에 장착되어 슬라이딩다이(220)에 대하여 승강된다. 스프링(240)은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슬라이딩다이(220)를 입구(214)쪽으로 편향(Bias)시키도록 하우징(210)의 보어(212)에 장착되어 있다. 스프링(240)은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킥아웃핀(250)은 보어(222)에 끼워져 있다.
도 2의 (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다이(220)와 어퍼다이(230)의 다이 오프닝(Die opening) 상태에서 슬라이딩다이(220)의 상면은 입구(214)에 정렬되어 있고, 킥아웃핀(250)의 상단은 슬라이딩다이(220)의 상면에 정렬되어 있다. 선재(10)는 트랜스퍼피더(Transfer feeder), 그리핑유닛(Gripping unit)에 의하여 붙잡혀 킥아웃핀(250)의 상단에 정렬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선재(10)는 절단기에 의하여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어 있는 이른 바 블랭크소재(Blank workpiece)이다.
도 2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어퍼다이(230)가 하강되어 제1 채널(224)과 제2 채널(232)이 정합되는 슬라이딩다이(220)와 어퍼다이(230)의 다이 클로징(Die closing) 상태에서 선재(10)는 어퍼다이(230)에 의하여 가압되면서 보어(222)에 삽입된다. 선재(10)의 삽입에 의하여 킥아웃핀(250)은 핀액추에이터(Pin actuator), 예를 들어 에어실린더의 구동에 의하여 후퇴된다.
도 2의 (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어퍼다이(230)가 하강되어 하우징(210)의 보어(212)에 진입되면서 슬라이딩다이(220)를 가압한다. 슬라이딩다이(220)는 보어(212)를 따라 하강되면서 스프링(240)을 압축시킨다. 슬라이딩다이(220)의 하강에 의하여 선재(10)는 제1 채널(224)과 제2 채널(232)로 이송되면서 전단변형되어 제1 예비가공품(20)으로 가공된다.
도 2의 (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어퍼다이(230)가 상승되어 다이 오프닝 상태가 되면, 스프링(2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슬라이딩다이(220)가 상승된다. 킥아웃핀(250)은 핀액추에이터의 구동에 의하여 전진되어 제1 채널(224)로부터 제1 예비가공품(20)을 이젝팅(Ejecting)시킨다.
도 3에 본 발명에 따른 강소성 가공방법의 제1 실시예의 절단, ECAP, 압출, 업세팅, 1차 헤딩과 2차 헤딩에 의하여 얻은 선재, 제1 내지 제 5예비가공품과 완성품의 사진을 나타냈다. 도 3에서 비교예는 절단, 압출, 업세팅, 1차 헤딩과 2차 헤딩에 의하여 얻은 선재, 예비가공품들과 완성품의 사진이다. 실시예1과 비교예에서 완성품의 가공은 다단성형기(제품명: HBPF-530SS, 제조사 한국 효동기계공업(주)과 일본 (주)사카무라(HyoDong & Sakamura))에 의하여 실시하였다. 다단성형기의 생산속도는 30rpm으로 설정하였으며, 공정 중 마찰에 의한 소재와 다이의 소착을 방지하기 위해 냉간단조용 윤활유(제품명: Renoform 356H, 제조사: 한국훅스(Fuchs)윤활유(주))를 사용하였다. 선재는 알루미늄 합금 AA6061-T6을 인발하여 지름 10.0 mm로 교정한 후 사용하였다.
도 4a와 4b는 본 발명에 따른 강소성 가공방법의 제1 실시예에서 선재와 제1 예비가공품의 미세조직을 투과전자현미경에 의하여 촬영한 사진들을 나타낸다. 도 4a와 도 4b를 참조하면, 선재는 결정립 내부에 전위의 발생을 찾아보기 힘들고, 결정립에 석출물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ECAP을 거친 제1 예비가공품의 경우 지점3은 ECAP 중 전단변형을 거치지 않아 선재와 유사한 미세조직을 보이지만, 결정립 내부에 전위가 다소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다. ECAP 중 전단변형영역을 거친 예비가공품의 지점1, 2의 미세조직에서는 전단방향으로 연신된 아결정립으로 이루어진 전단변형대 조직과 아결정립계에 많은 양의 전위가 관찰되고, 전단변형대의 폭이 1㎛ 이하로 미세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소성 가공방법의 제1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실시예1의 완성품과 비교예의 완성품에서 머리, 목과 몸통의 미세조직을 투과전자현미경에 의하여 촬영한 사진들을 나타낸다. 도 5를 보면, 실시예1과 비교예의 완성품의 머리에서는 소재에 가해진 변형이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투과전자현미경의 제한시야전자회절(Selected area electron diffraction)을 통하여 고경각립계 결정립 발달이 관찰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완성품의 목과 몸통에서는 결정립의 발달이 크게 달라짐을 알 수 있는 데, 압출의 경우 전단변형에 의한 변형대 조직이 관찰되지 않는 대신 결정립이 일정 방향으로 연신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다. 실시예1의 완성품은 목과 몸통에서 모두 전단변형에 의한 전단변형대 조직이 관찰되었고, ECAP 이후 압출에 의하여 변형대의 폭이 더욱 좁아져 약 500nm 이하임을 알 수 있다. 특히, ECAP 이후 압출 시 실시예1의 완성품의 목 부위까지 충분한 전단변형이 유지되어 비교예의 완성품에 비하여 결정립이 미세화되고, 결정립의 간격이 좁혀져 실시예1의 완성품의 강도가 더욱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제한시야전자회절을 통하여 실시예1의 완성품의 목과 몸통에서 링패턴(Ring patten)이 나타나며, 실시예1의 완성품은 비교예의 완성품보다 링패턴이 발달하였음을 알 수 있다.
도 6은 실시예1의 완성품과 비교예의 완성품에 대한 진변형률(True strain)과 진응력(True stress)(MPa)의 관계를 나타내는 선도이다. 도 6의 진변형률-진응력 선도를 보면, 선재의 연신율은 약 10.4%로서 일반적인 냉간단조용 저탄소강에 비해 낮은 연신율을 보임을 알 수 있다. 실시예1과 비교예 모두 선재에 비하여 연신율이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1의 연신율은 7.5%로 비교예의 연신율 7.2% 보다 다소 높음을 알 수 있다. 선재의 최대 인장강도는 약 388MPa이지만 실시예1은 ECAP 및 압출 이후 460MPa까지 상승하여 약 19%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비교예의 433MPa 보다 27MPa 높은 값이다.
이와 같이 실시예1의 경우 비교예에 비하여 연신율의 감소 없이 완성품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ECAP는 선재 단면의 감소가 없어 ECAP의 반복이 가능하므로, ECAP의 공정 회수를 증강시킬 경우 완성품의 인장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투과전자현미경을 통한 미세조직 측정 중 미세한 석출물이 조직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음을 통해 실시예1의 강도 향상은 결정립 미세화와 석출경화에 의한 강도 향상임을 파악할 수 있다.
도 7에 본 발명에 따른 강소성 가공방법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강소성 가공방법의 제2 실시예는 선재(10)의 절단(S10), 1차 ECAP(S22), 2차 ECAP(S24), 압출(S30), 업세팅(S40), 1차 헤딩(S50)과 2차 헤딩(S60)의 단계를 거쳐 완성품(60)을 제조한다. 제1 및 제2 실시예의 강소성 가공방법의 절단(S10), 압출(S30), 업세팅(S40), 1차 헤딩(S50), 2차 헤딩(S60)과 동일하다. 제2 실시예의 강소성 가공방법의 1차 및 2차 ECAP(S22, S24)는 제1 실시예의 강소성 가공방법의 ECAP(S20)를 2회 반복해서 실시하는 것이다. 강소성 가공장치의 제2 실시예는 제1 및 제2 ECAP유닛(200a, 200b)을 가지며, 제1 및 제2 ECAP유닛(200a, 200b)의 구성과 작용은 앞에서 설명한 ECAP유닛(200)과 동일하다.
1차 ECAP(S22)을 거친 예비가공품은 길이 방향에 대하여 양단 부근에 필렛(Fillet)이 형성된다. 이러한 필렛은 완성품의 성형 공정 중에 제거되지 않고 머리 부근에 잔류되면서 미채움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즉, 절단된 선재의 끝단이 원기둥 형상을 가질 경우, 최종 머리붙이 스터드 또는 볼트의 머리 부근에서 미채움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강소성 가공방법의 제2 실시예에서는 1차 및 2차 ECAP(S22, 24)를 실시함으로써,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2차 ECAP 이후 예비가공품의 끝단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완성품의 머리 부근의 미채움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에 본 발명에 따른 강소성 가공방법의 제2 실시예의 절단, 1차 ECAP, 2차 ECAP, 압출, 업세팅, 1차 헤딩과 2차 헤딩에 의하여 얻은 선재, 예비가공품들과 완성품의 사진을 나타냈다. 도 8의 사진을 보면, 실시예2의 완성품은 머리 부근의 미채움 및 플랜지의 결함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선재 50: 머리붙이 기계요소
100: 절단유닛 200: ECAP유닛
200a: 제1 ECAP유닛 200b: 제2 ECAP유닛
210: 하우징 220: 슬라이딩다이
230: 어퍼다이 240: 스프링
250: 킥아웃핀 300: 압출유닛
400: 업세팅유닛 500: 제1 헤딩유닛
600: 제2 헤딩유닛

Claims (6)

  1. ECAP유닛에 의하여 선재를 전단변형시켜 제1 예비가공품으로 가공하는 ECAP 단계와;
    상기 제1 예비가공품을 압출유닛에 의하여 압출하여 머리를 갖는 제2 예비가공품으로 가공하는 압출 단계와;
    상기 제2 예비가공품을 업세팅유닛에 의하여 업세팅하여 머리를 갖는 제3 예비가공품으로 가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3 예비가공품을 제1 헤딩유닛에 의하여 1차 헤딩하여 머리를 갖는 기계요소로 가공하는 1차 헤딩 단계를 포함하는 강소성 가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는 절단유닛에 의하여 절단하여 상기 ECAP유닛에 공급하고, 상기 1차 헤딩 단계 이후에 상기 기계요소를 제2 헤딩유닛에 의하여 2차 헤딩하여 상기 기계요소의 머리에 플랜지를 형성하는 2차 헤딩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강소성 가공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ECAP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예비가공품을 제2 ECAP유닛에 의하여 전단변형시키는 2차 ECAP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강소성 가공방법.
  4. 선재를 전단변형시켜 제1 예비가공품으로 가공하기 위한 ECAP유닛과;
    상기 ECAP유닛의 하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예비가공품을 압출하여 머리를 갖는 제2 예비가공품으로 가공하기 위한 압출유닛과;
    상기 압출유닛의 하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예비가공품을 업세팅하여 머리를 갖는 제3 예비가공품으로 가공하기 위한 업세팅유닛과;
    상기 업세팅유닛의 하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3 예비가공품을 1차 헤딩하여 머리를 갖는 기계요소로 가공하기 위한 1차 헤딩기를 포함하는 강소성 가공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를 절단하는 절단유닛과, 상기 1차 헤딩기의 하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기계요소를 2차 헤딩하여 상기 기계요소의 머리에 플랜지를 형성하는 2차 헤딩유닛을 더 포함하는 강소성 가공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ECAP유닛과 상기 압출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예비가공품을 전단변형시키는 제2 ECAP유닛을 더 포함하는 강소성 가공장치.
KR1020110070133A 2011-07-14 2011-07-14 강소성 가공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선재의 가공방법 KR101210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133A KR101210889B1 (ko) 2011-07-14 2011-07-14 강소성 가공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선재의 가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133A KR101210889B1 (ko) 2011-07-14 2011-07-14 강소성 가공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선재의 가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0889B1 true KR101210889B1 (ko) 2012-12-11

Family

ID=47907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0133A KR101210889B1 (ko) 2011-07-14 2011-07-14 강소성 가공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선재의 가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088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631B1 (ko) 2011-11-17 2013-06-19 주식회사 선일다이파스 강소성 가공 장치 및 그 방법
CN103639219A (zh) * 2013-11-27 2014-03-19 山东建筑大学 一种高强度低碳钢圆头铆钉的挤压方法及模具
KR101859846B1 (ko) * 2016-11-28 2018-05-1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반용융 압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압출방법
CN108637155A (zh) * 2018-05-09 2018-10-12 合肥工业大学 一种螺栓生产用模具、生产方法及制造出的螺栓
KR20200101125A (ko) * 2019-02-19 2020-08-27 국방과학연구소 돌출부를 포함한 등통로각 압축공정 장치
KR102342881B1 (ko) 2021-09-15 2021-12-23 윤명옥 Sus 커넥터용 냉간 단조 금형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3880B1 (en) 1995-08-17 2000-05-01 Toyota Motor Co Ltd Forming method of bolt and bolt form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3880B1 (en) 1995-08-17 2000-05-01 Toyota Motor Co Ltd Forming method of bolt and bolt forming devic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631B1 (ko) 2011-11-17 2013-06-19 주식회사 선일다이파스 강소성 가공 장치 및 그 방법
CN103639219A (zh) * 2013-11-27 2014-03-19 山东建筑大学 一种高强度低碳钢圆头铆钉的挤压方法及模具
KR101859846B1 (ko) * 2016-11-28 2018-05-1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반용융 압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압출방법
CN108637155A (zh) * 2018-05-09 2018-10-12 合肥工业大学 一种螺栓生产用模具、生产方法及制造出的螺栓
CN108637155B (zh) * 2018-05-09 2020-03-17 合肥工业大学 一种螺栓生产用模具、生产方法及制造出的螺栓
KR20200101125A (ko) * 2019-02-19 2020-08-27 국방과학연구소 돌출부를 포함한 등통로각 압축공정 장치
KR102196644B1 (ko) 2019-02-19 2020-12-31 국방과학연구소 돌출부를 포함한 등통로각 압축공정 장치
KR102342881B1 (ko) 2021-09-15 2021-12-23 윤명옥 Sus 커넥터용 냉간 단조 금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0889B1 (ko) 강소성 가공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선재의 가공방법
Semiatin Metalworking: bulk forming
JP5062760B2 (ja) ボルトの製造方法、ボルト製造装置およびボルト製造用金型
KR102000859B1 (ko) 전단 가공 방법
US11614156B2 (en) Metal sleeve and method for producing it
KR20060028816A (ko) 단조 방법, 단조 제품 및 단조 장치
US20190224740A1 (en) Forging device
US3072933A (en) Method of extruding shank portions with 50% or less cross-sectional area than that of the original blanks
CN103978101A (zh) 一种保护罩零件的加工方法
CN113365752A (zh) 冲压部件的制造方法以及坯料的制造方法
JP2006305603A (ja) 押出成形方法及び押出成形装置
KR20140062390A (ko) 관형 금속재료의 결정립 미세화 방법
JP6552468B2 (ja) バーリング工具及びバーリング加工装置
Omolayo et al. A Concise Study on Shearing Operation in Metal Forming
KR101276631B1 (ko) 강소성 가공 장치 및 그 방법
JP2016117101A (ja) 流体エンドおよび他のワークピースのためのネットシェイプ鍛造
JP6795812B2 (ja) アルミニウム合金製ボルト
US9566641B2 (en) Forging apparatus
JP3097476B2 (ja) 熱間塑性加工方法
JPS63235040A (ja) 角形頭部をもつボルトの製造方法
US3089159A (en) Process for forming a fastener including the step of piercing an unworked head portion
JP6255581B2 (ja) タイロッドエンドの鍛造金型及びタイロッドエンドの製造方法
CN210208475U (zh) 一种杆部带槽螺栓加工装置
Fu et al. Review on progressive microforming of bulk metal parts directly using sheet metals (Keynote Paper)
RU2761507C2 (ru) Способ выдавливания тонкостенных стаканов с толстым дном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