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2292B1 -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2292B1
KR101202292B1 KR1020100018618A KR20100018618A KR101202292B1 KR 101202292 B1 KR101202292 B1 KR 101202292B1 KR 1020100018618 A KR1020100018618 A KR 1020100018618A KR 20100018618 A KR20100018618 A KR 20100018618A KR 101202292 B1 KR101202292 B1 KR 101202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mobile terminal
information
event
video surveill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8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9535A (ko
Inventor
주형진
강원식
윤은원
Original Assignee
강원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식 filed Critical 강원식
Priority to KR1020100018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292B1/ko
Publication of KR20110099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9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22Message structure or message content, e.g. message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기로부터의 비상호출을 수신하고, 수신된 비상호출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상응하는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위치판단 시스템 및 상기 위치판단 시스템에 의해 파악된 상기 위치에 상응하는 이벤트 발생공간의 영상을 감시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영상감시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System for security and preventing disatser based on space information using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system}
본 발명은 방범방재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응급상황에 처한 자가 보다 안전하고 간편하게 응급상황을 시스템에 통보하고, 시스템은 응급상황에 처한 자의 상황을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파악하여 응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방범방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방범방재 시스템(1)은 통제 시스템(10) 및 적어도 하나의 영상감시 장치(21-1 ~ 21-N)를 포함한다. 상기 통제 시스템(10)은 복수의 감시 디스플레이 장치(예컨대, 영상감시 서버, 11-1 ~ 11-M)와 통합 감시 디스플레이 장치(12)를 포함한다. 상기 통제 시스템(10)은 방범방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소정의 상황실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감시 장치(21-1 ~ 21-N) 각각은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영상감시 장치(21-1 ~ 21-N) 각각은 영상획득수단(예컨대, 카메라, CCTV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현 예에 따라서는 음성을 획득하기 위한 음성획득수단(예컨대, 마이크로폰 등)이 포함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감시 장치(21-1 ~ 21-N)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정보 및/또는 음성정보는 소정의 통신망(예컨대, CCTV 전용회선, 인터넷 망 등)을 통해 상기 통제 시스템(10)의 대응되는 감시 디스플레이 장치(11-1 ~ 11-M)로 전송된다. 또한, 상기 감시 디스플레이 장치(11-1 ~ 11-M)가 수신하는 영상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통제 시스템(10)에 구비되는 소정의 통합 감시 디스플레이장치(12)에 전송되어 상황실의 운영자는 한번에 다수의 구역 또는 공간에서 일어나는 상황을 한번에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영상감시 장치(21-1 ~ 21-N)에는 응급상황 또는 비상상황에 처한 자(이하, '비상주체')가 이용하기 위한 비상벨(22)이 구비되는 경우가 있다. 비상주체가 비상벨(22)을 누르게 되면 종래의 방범방재 시스템(1)은 비상상황이 일어는 구역 또는 공간의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게 세팅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비상주체의 비상상황을 해소하기 위한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다.
도 2는 종래의 방범방재 시스템이 비상상황에서 작동하는 프로세스를 간략히 설명한 플로우 챠트(flow chart)를 나타내며, 도 3은 종래의 방범방재 시스템의 작동과정을 도시화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종래의 방범방재 시스템(1)이 작동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주체가 비상상황 즉, 비상벨 이벤트에 처하게 되면(S10), 비상주체는 영상감시 장치(예컨대, 21-1)에 구비된 비상벨(22)을 눌러서 비상호출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S20). 그러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주체에 의해 눌려진 비상벨(22)이 설치된 영상감시 장치(예컨대, 21-1)는 미리 설정된 지역을 감시하기 위해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30). 즉, 상기 영상감시 장치(예컨대, 21-1)에 포함된 영상획득수단(예컨대, 카메라, CCTV)은 상기 비상주체의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 및/또는 이동하게 되며, 비상호출임을 나타내는 소정의 신호가 상기 통제 시스템(10)으로 전송된다. 상기 통제 시스템(10)이 설치된 상황실에는 비상호출(신호)에 응답하여 경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영상감시 장치(예컨대, 21-1)는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 및/또는 이동한 후에 영상을 상기 통제 시스템(10)으로 전송하게 된다(S40). 상기 통제 시스템(10)의 운영자는 상기 영상감시 장치(예컨대, 21-1)로부터 전송되어 온 영상을 확인하고, 상기 비상주체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S50). 그러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악된 상황에 따라 상기 통제 시스템(10)은 상기 영상감시 장치(예컨대, 21-1)에 포함된 소정의 부대장치(예컨대, 경광등 또는 스피커 등)를 제어하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60). 예컨대, 경광등이 점멸하도록 제어하거나, 소정의 경고음을 스피커를 통해 송출하거나 운영자에 의해 소정의 음성정보가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미리 설정된 신고기관(예컨대, 경찰청 시스템, 소방청 시스템 등)에 상황을 통보할 수 있다(S60). 물론, 구현 예에 따라서 상기 부대장치들(예컨대, 경광등 또는 스피커 등)은 비상벨(22)이 눌려지자마자 즉시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범방재 시스템(1)에 의하면 비상주체는 반드시 비상벨(22)을 눌러야만 비상벨 이벤트가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즉, 비상상황에 따라서는 비상벨(22)을 누르지 못하고 도망을 가야한다거나 비상벨(22)과 멀리 떨어져서 대피를 하여야 하는 등의 상황이 발생할 수 있지만, 종래의 방범방재 시스템(1)은 이러한 경우에 비상상황임을 감지할 수조차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비상주체가 비록 비상벨(22)을 누를 수 있는 상황이라 하더라도, 영상획득수단(예컨대, 카메라)은 미리 설정된 대로 회전 및/또는 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대로 세팅이 된 영상획득수단(예컨대, 카메라)의 감시영역에 비상주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통제 시스템(10)에서는 아무런 영상정보도 얻지 못할 수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통제 시스템(10)이 구비된 상황실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로 통합 감시 디스플레이장치(12)를 통해 영상감시를 수행하는데, 보통 하나의 통합 감시 디스플레이장치(12)에 동시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영상이 다수이므로 한정된 인원이 비상상황이 일어나는 지역 또는 현재의 상황에 대한 신속한 판단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비상주체가 반드시 비상벨을 누르지 않아도 비상호출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비상상황이 발생한 위치를 판단하고, 그 위치에 맞추어 영상감시장치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상황에서도 영상정보의 확보를 일정부분 보장할 수 있어서 다양한 상황에서도 적응적으로 방범방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에 해당하는 공간정보를 상황실의 운영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영상획득수단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정보뿐만 아니라, 해당하는 공간의 공간정보를 같이 제공할 수 있어서 신속하고 정확한 상황판단을 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비상주체의 위치를 파악하고, 그에 해당하는 공간정보를 같이 제공함으로써 신고기관에서도 정확한 상황판단을 할 수 있고 비상상황이 발생한 지역에 신속하게 접근할 수 있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영상획득수단에 의해 얻어지는 영상정보뿐만 아니라,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얻어지는 영상/음성정보(예컨대, 동영상)도 상황실 또는 신고기관에 같이 전송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영상획득수단의 감시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도 어느 정도 상황판단에 필요한 정보의 계속적인 획득이 가능하고, 비상주체가 이동하는 경우에도 정보의 획득이 용이해질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기로부터의 비상호출을 수신하고, 수신된 비상호출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상응하는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위치판단 시스템 및 상기 위치판단 시스템에 의해 파악된 상기 위치에 상응하는 이벤트 발생공간의 영상을 감시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영상감시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감시장치가 감시할 수 있는 공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감시장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영상감시장치 DB,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감시장치가 감시할 수 있는 공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공간정보 DB, 및 상기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위치에 상응하는 상기 이벤트 발생공간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감시장치 중 상기 이벤트 발생공간을 감시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 감시장치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시스템은 추출된 상기 대응 감시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이벤트 발생공간을 감시할 수 있도록 소정의 제어신호를 상기 대응 감시장치 중 적어도 일부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감시장치 중 상기 이벤트 발생공간을 감시하도록 제어되는 영상감시장치를 제외한 영상감시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이벤트 발생공간의 인근 영역을 감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감시장치 중 적어도 한 개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감시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시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통합 디스플레이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시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위치에 상응하는 이벤트 발생공간에 상응하는 공간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은 상기 비상호출을 전송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이벤트 영상/음성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이벤트 영상/음성정보를 상기 통제 시스템에 포함된 소정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은 상기 위치에 상응하는 이벤트 발생공간을 감시할 수 있는 대응감시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정보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이벤트 영상/음성정보를 동시에 재생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은 상기 위치에 대한 정보를 미리 등록된 소정의 신고기관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기로부터의 비상호출을 수신하고, 수신된 비상호출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상응하는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위치판단 시스템 및 상기 위치판단시스템에 의해 파악된 상기 위치에 상응하는 이벤트 발생공간에 대한 공간정보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이벤트 영상/음성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이벤트 영상/음성정보를 상기 공간정보와 동시에 재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기로부터의 비상호출을 수신하고, 수신된 비상호출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상응하는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위치판단 시스템 및 상기 위치판단시스템에 의해 파악된 상기 위치에 상응하는 이벤트 발생공간에 대한 공간정보를 추출하고, 적어도 하나의 영상감시장치 중 일부는 상기 이벤트 발생공간을 감시하도록 제어하고, 나머지 영상감시장치 중 일부는 상기 이벤트 발생공간의 인근 영역을 감시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 제공방법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이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비상호출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및 파악된 위치에 상응하는 이벤트 발생공간을 감시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영상감시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 제공방법은 상기 이벤트 발생공간에 상응하는 공간정보를 공간정보 DB에서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상기 공간정보를 소정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악된 위치에 상응하는 이벤트 발생공간을 감시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영상감시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 발생공간을 감시할 수 있는 대응감시장치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상기 대응감시장치로 상기 이벤트 발생공간을 감시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 제공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감시장치 중 적어도 일부로 상기 이벤트 발생공간의 인근 영역을 감시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 제공방법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이벤트 영상/음성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상기 이벤트 영상/음성정보를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상기 이벤트 영상/음성정보를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 발생공간에 상응하는 공간정보 또는 상기 이벤트 발생공간을 감시할 수 있는 대응감시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이벤트 영상/음성정보가 동시에 재생되는 순간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 제공방법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비상주체가 반드시 비상벨을 누르지 않아도 비상호출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신속한 비상호출 이벤트의 발생이 가능하고 비상벨의 위치까지 이동하는데 위험한 상황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비상호출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상상황이 발생한 위치를 판단하고, 그 위치에 맞추어 비상벨이 설치된 어떤 특정한 영상감시장치 하나를 통한 영상의 획득이 아니라 복수 개의 영상감시장치에 의한 폭넓은 구역에 대한 영상획득이 가능하고, 다양한 상황에서도 영상정보의 확보를 일정부분 보장할 수 있어서 다양한 상황에 적응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에 해당하는 공간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상황실의 운영자가 비상상황이 발생한 지역에 대해 신속히 인지하도록 할 수 있고, , 영상획득수단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정보뿐만 아니라 해당하는 공간의 공간정보를 같이 제공할 수 있어서 두 개의 정보를 종합하여 정확한 상황판단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비상주체의 위치를 파악하고, 그에 해당하는 공간정보를 같이 제공함으로써 신고기관에서도 정확한 상황판단을 할 수 있고 비상상황이 발생한 지역에 접근할 수 있는 경로 등과 같은 부가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비상상황이 발생한 지역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접근이 가능해지며, 신고기관에서도 가장 적절한 주체(예컨대, 순찰차 또는 지구대 등)에게 비상상황에 대한 대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영상획득수단에 의해 얻어지는 영상정보뿐만 아니라,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얻어지는 영상/음성정보(예컨대, 동영상)도 상황실 또는 신고기관에 같이 전송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영상획득수단의 감시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도 어느 정도 상황판단에 필요한 정보의 계속적인 획득이 가능하고, 비상주체가 이동하는 경우에도 정보의 획득이 용이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방범방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방범방재 시스템이 비상상황에서 작동하는 프로세스를 간략히 설명한 플로우 챠트(flow chart)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방범방재 시스템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화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이 작동하는 프로세스를 간략히 설명한 플로우 챠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의 작동과정으로 개략적으로 도시화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에서 센서 네트워크 기반으로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100)은 통제 시스템(110)을 포함한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100)은 영상감시장치 집합(120)을 더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될 수도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100)이 상기 영상감시 장치 집합(120)을 포함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라도,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100)은 적어도 상기 영상감시 장치 집합(120)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통제 시스템(110)은 제어 시스템(130) 및 위치판단 시스템(120)을 포함한다. 상기 통제 시스템(110)은 적어도 하나의 감시 디스플레이 장치(예컨대, 영상 감시서버, 111-1 ~ 111-M)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시 디스플레이 장치(111-1 ~ 111-M)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감시장치(121-1 ~ 121-N)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제 시스템(110)은 통합 디스플레이 장치(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합 디스플레이 장치(140)는 상기 감시 디스플레이 장치(111-1 ~ 111-M)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소정의 지역 또는 공간에 대한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통합 디스플레이 장치(140)는 상대적으로 큰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구현되어 상황실의 운영자가 다수개의 영상정보를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인식이 편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통제 시스템(110)은 방범방재서비스를 제공 및/또는 운영하는 소정의 상황실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영상감시장치 집합(120)은 적어도 하나의 영상감시장치(121-1 ~ 121-N)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영상감시장치(121-1 ~ 121-N)는 할당된 지역 또는 공간의 영상을 획득 및 감시할 수 있는 영상획득수단(예컨대, 카메라, CCTV 등)을 포함한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음성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음성획득수단(예컨대, 마이크로폰 등)이 상기 각각의 영상감시장치(121-1 ~ 121-N)에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영상감시장치(121-1 ~ 121-N)는 방범방재서비스를 위한 소정의 부대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부대장치는 경광등, 스피커 등 방범방재서비스를 위해 비상호출 이벤트가 발생한 지역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소정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감시장치(121-1 ~ 121-N)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은 상응하는 감시 디스플레이 장치(111-1 ~ 111-M)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감시 디스플레이 장치(111-1 ~ 111-M)에 대응되는 영상감시장치(121-1 ~ 121-N)의 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예컨대, 감시 디스플레이 장치(111-1)는 하나의 영상감시장치(예컨대, 121-1)로부터 영상을 획득하여 디스플레이 수단(예컨대, 모니터 등)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감시 디스플레이 장치(111-2)는 복수 개의 영상감시장치(예컨대, 121-1 ~ 121-5)로부터 영상을 획득하여 디스플레이 수단(예컨대, 모니터 등)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감시장치(121-1 ~ 121-N)에서 획득되는 영상정보는 소정의 통신망(예컨대, CCTV 전용회선, 인터넷 망 등)을 통하여 상기 통제 시스템(110)에 포함되는 감시 디스플레이 장치(111-1 ~ 111-M)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시스템(13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감시장치(121-1 ~ 121-N)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 시스템(13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감시장치(121-1 ~ 121-N) 중 적어도 하나로 소정의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영상감시장치(121-1 ~ 121-N) 중 적어도 하나는 영상획득수단을 회전 및/또는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감시장치(121-1 ~ 121-N)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부대장치(예컨대, 음성획득수단, 경광등, 스피커 등)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 상기 제어 시스템(13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비상호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감시장치(121-1 ~ 121-N)의 기존 기능 또는 성능을 제한함으로써 비상상황에 더욱더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감시장치(121-1 ~ 121-N) 중 적어도 하나는 프라이버시 존(privacy zone)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일 수 있다. 프라이버시 존 기능이라 함은, 사생활 침해가 가능한 영역 또는 영상 등을 단색(예컨대, 블랙 등)으로 마킹(marking)하여 볼 수 없도록 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거나 그 기능이 비상상황 발생시에 오히려 그 대처를 어렵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 시스템(130)은 프라이버시 존 기능 등과 같이 평상시에 활성화 또는 온(on) 되어 있는 기능이라 하더라도 비상상황 발생시에 비상상황과 관련된 영상을 획득하는데 방해가 될 수 있는 기능 또는 장치는 모두 비활성화 또는 오프(off) 시켜서 가능한 한 상황파악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감시장치(121-1 ~ 121-N)를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 시스템(13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소정의 공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시스템(13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감시장치(121-1 ~ 121-N)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시스템(130)의 개략적인 구성은 도 7에 도시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 시스템(130)은 제어모듈(131), 공간정보 DB(132), 및 영상감시장치 DB(1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DB라 함은, 각각의 DB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DB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상기 DB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링크드 리스트(linked-list), 트리(Tree), 관계형 DB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DB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공간정보 DB(132)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감시장치(121-1 ~ 121-N)에 의해 감시될 수 있는 공간에 대한 공간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감시장치(121-1 ~ 121-N)가 감시하는 공간이 실내공간인 경우에는 상기 공간정보는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정보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감시장치(121-1 ~ 121-N)가 감시하는 공간이 실외공간인 경우에는 상기 공간정보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정보로 구현될 수도 있다. 물론, BIM 정보 및 GIS 정보뿐만 아니라 실내공간 및/또는 실외공간을 표현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모델을 통하여 상기 공간정보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영상감시장치 DB(133)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감시장치(121-1 ~ 121-N)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영상감시장치(121-1 ~ 121-N)에 대한 정보는 각각의 영상감시장치의 식별번호, 감시영역, 영상획득수단의 세팅(예컨대, 위치 및 방향)에 따른 감시영역 등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제어 시스템(130)에서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필요한 소정의 네트워크 경로 등에 대한 정보도 상기 영상감시장치 DB(133)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31)은 소정의 위치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위치정보에 상응하는 공간정보를 상기 공간정보 DB(132)에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131)은 추출된 상기 공간정보를 상기 감시 디스플레이 장치(111-1 ~ 111-M)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상기 통합 디스플레이 장치(140)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공간정보는 입력된 위치정보에 정확히 대응되는 공간을 나타내는 공간정보일 수도 있지만, 상기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영역에 대응될 수도 있다. 즉, 입력된 위치정보가 특정 포인트를 나타내는 정보(예컨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치정보 등)인 경우에도 상기 공간정보는 상기 특정 포인트뿐만 아니라, 상기 특정 포인트를 포함하며 미리 설정된 영역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비상호출 이벤트가 발생한 후 비상주체가 위치를 소정 만큼 이동한 경우에도, 비상주체가 현재 위치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는 공간정보가 추출될 수 있으며, 특정 포인트뿐만 아니라 상기 특정 포인트의 주변 공간에 대한 정보가 같이 상기 제어모듈(131)에 의해 추출될 수 있으므로 상기 특정 포인트에 접근할 수 있는 경로, 주변 공간의 상황 등에 대한 정보가 같이 추출되어 상기 통제 시스템(110)에서 디스플레이되거나 신고기관에 통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모듈(131)이 특정 포인트에 상응하는 위치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특정 포인트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포인트를 중심으로 반경 100m에 상응하는 공간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공간정보에는 상기 특정 포인트로 이동할 수 있는 경로나 주변 건물, 시설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제 시스템(110)이 설치되는 상황실에서는 이러한 공간정보(예컨대, 141)가 디스플레이됨으로써 단순히 영상획득수단의 위치 또는 특정 포인트 위치정보만으로 비상호출 이벤트가 발생한 공간을 파악하는 것보다 더 직관적이며 인식이 용이하게 비상호출 이벤트가 발생한 공간을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더 신속하고 정확한 상황대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131)은 추출된 공간정보(예컨대, 141)를 상기 영상감시장치(121-1 ~ 121-N)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정보 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200)에서 획득되는 이벤트 영상/음성정보와 동시에 재생 또는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131)은 추출된 공간정보 및 비상호출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미리 등록된 신고기관(예컨대, 경찰서, 소방서, 또는 등)의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영주체가 순찰자 또는 순찰차 등을 운용하고, 순찰자 또는 순찰차의 위치를 파악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특정 위치 또는 추출된 상기 공간정보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거나 가장 접근이 용이한 곳에 위치한 순찰자 또는 순찰차에게 소정의 신고정보(예컨대, 상기 공간정보, 비상호출 이벤트에 대한 정보, 또는 상황실에 의해 파악된 상황정보 등)가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 시스템(130)은 반드시 하나의 물리적 장치로 구현될 필요는 없으며,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 및/또는 동작을 수행하는 논리적 구성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모듈(131), 공간정보 DB(132), 및 영상감시장치 DB(133)는 모두 하나의 물리적 장치에 구현될 수도 있고, 각각이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131), 공간정보 DB(132), 및 영상감시장치 DB(133) 각각도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설치되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치판단 시스템(120)은 비상호출을 수행한 모바일 단말기(20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위치판단 시스템(120)에 의해 파악된 위치정보는 상기 제어 시스템(130)으로 전송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 시스템(130)은 전송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 및/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위치판단 시스템(120)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가 위치한 공간에 따라 그 방법이 다를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의 기능 또는 성능에 따라 그 방법이 다를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에 GPS 수신 장치가 부착된 경우에는 상기 위치판단 시스템(120)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GPS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위치판단 시스템(120)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의 통신을 연결하는 기지국 및 네트워크 신호를 기초로 하여 삼각측량(정)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의 위치를 파악할 수도 있다. 이러한 삼각측량(정) 방법은 고층 건물이 많거나 상부에 장애물이 있는 등 GPS 신호를 수신하기 어려운 경우에 적용될 수 있으며, 삼각측량(정)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은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는, 상기 위치판단 시스템(120)은 소정의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센싱 방법으로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의 위치를 파악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에서 센서 네트워크 기반으로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특정 공간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노드들(예컨대, 2, 3, 4, 5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에는 상기 센서 노드들(예컨대, 2, 3, 4, 5 등) 각각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소정의 통신 장치(21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통신장치(210)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노드들(예컨대, 2, 3, 4, 5 등)과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는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노드들(예컨대, 2, 3, 4, 5 등) 중 어느 하나의 센서 노드(예컨대, 2)가 자신의 센싱 영역에 사용자의 단말기(200)가 진입한 상태에서 비상호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센서 노드(2)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를 통해 상기 센서 노드(예컨대, 2)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위치판단 시스템(1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복수의 센서 노드들(예컨대, 2, 3, 4)에 의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의 위치가 측정될 수 있다. 이때에는 각 센서 노드들(예컨대, 2, 3, 4)과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 간의 신호 세기 등에 의해 각 센서 노드들(예컨대, 2, 3, 4)과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 간의 거리들이 각각 계산되고, 계산된 거리들에 의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의 위치가 파악될 수 있다. 파악된 위치는 상기 센서 노드들(예컨대, 2, 3, 4)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에 의해 상기 위치판단 시스템(12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노드들(예컨대, 2, 3, 4, 5 등)과 상기 통신장치(210)는 근거리 통신 기술 예컨대, Wi-Fi(IEEE 802.11b), Zigbee(IEEE 802.15.4), UWB(Ultra Wide Band),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중 어느 하나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 노드들(예컨대, 2, 3, 4, 5 등)은 이러한 근거리 통신 기술을 수행할 수 있으며, 구현 예에 따라 상기 위치판단 시스템(120)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센서, 통신 및/또는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적어도 하나의 센서 노드들(예컨대, 2, 3, 4, 5 등)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의 위치를 판단하는 경우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가 실내공간에 위치한 경우에 더 적합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위치판단 시스템(120)은 이처럼 다양한 방법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치판단 시스템(120)은 비상호출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에, 비상호출 이벤트를 발생시킨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미리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의 위치를 파악하고 있다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가 비상호출 이벤트를 발생시키면 파악하고 있던 위치를 추출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위치판단 시스템(120)은 파악된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 시스템(1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 시스템(1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위치에 상응하는 공간 즉, 이벤트 발생공간을 파악한다. 상기 이벤트 발생공간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위치가 특정 포인트인 경우에는 상기 특정 포인트에 해당하는 공간을 의미할 수도 있지만, 상기 특정 포인트를 포함하는 소정의 영역을 의미할 수도 있다. 상기 특정 포인트를 포함하면서 얼마만큼의 영역을 상기 이벤트 발생공간으로 설정할지는 구현 예에 따라 다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위치판단 시스템(120)에 의해 파악된 상기 위치정보가 특정 포인트가 아닌 특정 영역에 대한 정보인 경우, 상기 이벤트 발생공간은 적어도 상기 특정 영역을 포함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상기 제어 시스템(130)은 이벤트 발생공간에 상응하는 공간정보를 상기 공간정보 DB(132)에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감시장치(121-1 ~ 121-N)들 중 상기 이벤트 발생공간을 감시할 수 있는 장치 즉, 대응 영상감시장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영상감시장치 DB(133)에서 추출할 수 있다. 추출되는 상기 대응 영상감시장치에 대한 정보는 대응 영상감시장치의 식별번호 또는 네트워크 경로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시스템(130)은 추출된 상기 대응 영상감시장치(예컨대, 12-1)가 상기 이벤트 발생공간을 감시하기 위해 상기 대응 영상감시장치(예컨대, 12-1)에 포함된 영상획득수단을 어떻게 제어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제어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정보에는 상기 이벤트 발생공간을 감시하기 위한 상기 영상획득수단의 각도, 방향,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영상감시장치 DB(133)에는 각각의 영상획득수단별 각도, 방향, 위치에 따른 감시영역에 대한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 시스템(130)은 상기 대응 영상감시장치(예컨대, 12-1)로 추출된 영상획득수단의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한 영상획득수단은 상기 이벤트 발생공간을 감시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발생공간을 감시할 수 있는 대응 영상감시장치는 반드시 한 개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이벤트 발생공간의 넓이 및 상기 영상감시장치(121-1 ~ 121-N)에 설정된 감시영역의 분할에 따라 복수의 대응 영상감시장치(예컨대, 12-1 및 12-2)가 추출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시스템(130)은 대응 영상감시장치(예컨대, 12-1)는 상기 이벤트 발생공간을 감시하도록 제어하고, 다른 소정의 영상감시장치들(예컨대, 12-2)은 상기 이벤트 발생공간의 인근 영역을 감시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의 이용주체 즉, 비상주체가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경우 또는 위치판단 시스템(120)에 의해 파악된 위치판단의 오류도 모두 커버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인근 영역은 상기 이벤트 발생공간에서 상기 제어 시스템(130)에 의해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존재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시스템(130)은 대응 영상감시장치(예컨대, 12-1 ~ 121- N 중 일부)가 복수 개인 경우에는 복수 개의 상기 대응 영상감시장치(예컨대, 12-1 ~ 121- N 중 일부)에서 일부만 상기 이벤트 발생공간을 감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이벤트 발생공간의 인근 영역을 대응 영상감시장치(예컨대, 12-1 ~ 121- N 중 나머지 일부)가 감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처럼 이벤트 발생공간뿐만 아니라, 인근 영역을 감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은 종래의 방범방재서비스와 같이 고정된 비상벨(22)을 누르는 것이 아니라, 비정형화된 위치에서 모바일 단말기(200)를 통해 비상호출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복수의 영상감시장치(121-1 ~ 121-N)에 의해 폭넓은 감시영역이 필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같이 모바일 단말기(200)의 위치에 상응하는 공간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상기 공간정보를 감시할 수 있는 상기 영상감시장치(121-1 ~ 121-N)를 정확하게 선정할 수 있고, 공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감시장치(121-1 ~ 121-N)가 감시할 수 있는 영역을 정확히 수치화할 수 있으므로, 이벤트 발생공간을 정확하게 감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인근 영역도 정확하게 감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감시장치(121-1 ~ 121-N)는 상기 영상감시장치(121-1 ~ 121-N)가 설치되는 공간의 특성에 따라 그 구성이 다를 수도 있다. 예컨대, 실외에서는 상기 영상감시장치(121-1 ~ 121-N) 각각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정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소정 만큼의 상부에 직접 연결되거나 소정의 가로방향 지지대에 연결되는 영상획득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감시장치(121-1 ~ 121-N)가 실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지지대가 포함되지 않고, 영상획득수단은 벽 또는 천장 등에 부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는 소정의 유저 입력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호출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는 상기 위치판단 시스템(120) 또는 별도의 시스템(예컨대, 통신사 시스템 등)으로 소정의 정보(예컨대, 위치정보, 비상호출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비상호출 이벤트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간편한 유저 입력(예컨대, 특정 인터페이스의 한 번 또는 몇 번의 선택 등)을 통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저가 비상호출 이벤트를 발생시키면, 상기 통제 시스템(110)으로 소정의 비상호출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비상호출 정보에는 유저의 식별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황실에서는 비상호출 이벤트를 발생시킨 유저를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더 정확한 상황파악이 가능하고, 가능한 한 대처요령을 유저에게 전송해줄 수도 있다.
또한, 비상호출 이벤트를 발생시키기 위해 반드시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에 구성된 버튼 또는 키패드 등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소정의 통신장치(미도시)가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통신장치(미도시)는 예컨대, 기존의 모바일 단말기(200)에 연결되는 유무선 헤드셋 또는 유무선 리모콘 등의 장치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소정의 통신장치(미도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별도로 구현되는 소정의 장치일 수도 있다. 상기 통신장치(미도시)에는 소정의 비상호출 버튼(또는 비상호출을 위한 소정의 UI 입력 프로세스)이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다. 유저는 상기 통신장치(미도시)에 포함된 소정의 비상호출 버튼(또는 비상호출을 위한 소정의 UI 입력 프로세스)를 통해 비상호출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는 상기 통신장치(미도시)로부터 발생된 비상호출 이벤트를 수신하고, 상기 통제 시스템(110)으로 소정의 비상호출 이벤트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장치(미도시)는 자체적으로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소정의 장치(예컨대, GPS 모듈 등)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통신장치(미도시)를 통해 유저가 비상호출 이벤트를 발생시키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는 상기 통신장치(미도시)를 통해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정보를 상기 통제 시스템(11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기(200)에 별도의 위치판단을 위한 장치(예컨대, GPS 모듈 등)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통신장치(미도시)를 통해 유저의 위치를 획득하여 상기 통제 시스템(11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통신장치(미도시)를 통해 획득하는 위치정보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를 통해 획득하는 위치정보를 같이 상기 통제 시스템(110)으로 전송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더욱 정확한 유저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왜냐하면, GPS 모듈 등과 같은 위치판단장치의 경우에는 유저가 위치하는 환경에 따라 GPS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GPS 모듈에 따라 그 성능이 다를 수도 있으므로 상기 통신장치(미도시)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에 포함된 GPS 모듈 중 어느 하나가 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다른 하나가 그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모바일 단말기(200)뿐만 아니라, 별도의 통신장치(미도시)를 통해 비상호출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또는 구현 예에 따라 상기 통신장치(미도시)를 통해 유저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함으로써, 유저는 좀 더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비상호출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자신의 위치정보를 상기 통제 시스템(200)으로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왜냐하면, 유저가 모바일 단말기(200)를 휴대하고 있더라도 주머니, 또는 가방 등에 소지한 채 비상상황을 맞이할 수도 있고 이때 반드시 모바일 단말기(200)를 꺼내서 비상호출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시간이 오래 걸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는 소정의 리모콘 또는 헤드셋과 같은 통신장치(미도시) 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별도로 마련되는 통신장치(미도시)가 유저가 작동하기 쉬운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 이를 통해 비상호출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는 소정의 이벤트 영상/음성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상기 통제 시스템(11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이벤트 영상/음성정보는 상기 통제 시스템(110)에 구비된 소정의 디스플레이 장치(예컨대, 감시 디스플레이 장치(111-1 ~ 111-M) 또는 통합 디스플레이 장치(140) 등)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제 시스템(110)에 의해 추출된 공간정보 또는 상기 대응 영상감시장치(예컨대, 12-1)에 의해 획득된 대응 영상정보와 동시에 재생될 수 있다. 재생된다고 함은, 상기 이벤트 영상/음성정보가 동영상일 경우에는 동영상의 재생, 이미지인 경우에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및/또는 음성인 경우에는 음성의 재생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 시스템(130)은 상기 대응 영상감시장치(예컨대, 12-1)에 의해 획득되는 대응 영상정보를 상기 대응 영상정보에 상응하는 위치의 상기 추출된 공간정보(예컨대, 141)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시스템(130)은 상기 이벤트 영상/음성정보도 상기 공간정보 및/또는 상기 대응 영상정보와 동시에 디스플레이하여 상황실에서 복수 개의 영상을 통해 이벤트 발생공간에서 일어나는 영상자료를 좀더 명확하게 파악할 수도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는 유저에 의해 비상호출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자동으로 카메라 또는 마이크가 작동되어 상기 이벤트 영상/음성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상기 이벤트 영상/음성정보는 상기 통제 시스템(11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통제 시스템(110)에 포함된 상기 제어 시스템(130)이 상기 이벤트 영상/음성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미도시)가 상기 통제 시스템(110)에 구비되어 상기 이벤트 영상/음성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처럼 유저는 모바일 단말기(200)를 통해 비상호출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반드시 비상벨(22)의 위치까지 가야 할 필요가 없어서 언제 어디서나 비상상황에 대처할 수 있고, 비상주체의 현재 위치와 비상벨(22) 사이에 위험요소가 있는 경우에도 비상벨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이 작동하는 프로세스를 간략히 설명한 플로우 챠트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의 작동과정으로 개략적으로 도시화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a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100)이 작동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주체가 비상상황 즉, 비상호출 이벤트에 처하게 되면(S100), 비상주체는 영상감시 장치(예컨대, 121-1)에 구비된 비상벨(22)을 누르지 않고, 비상주체가 휴대한 모바일 단말기(200)를 통해 소정의 사용자 입력을 함으로써 비상호출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S110). 그러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호출 이벤트가 발생한 이벤트 발생공간을 감시할 수 있는 대응 영상감시 장치(예컨대, 121-1)가 상기 이벤트 발생공간을 감시하도록 제어(예컨대, 회전 및/또는 이동) 될 수 있다. 상기 대응 영상감시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일 수 있고, 이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이벤트 발생공간을 감시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위치판단 시스템(120)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S120). 그러면, 상기 제어 시스템(130)은 파악된 상기 위치 또는 상기 위치에 상응하는 상기 이벤트 발생공간을 파악하고, 이에 기초하여 상기 대응 영상감시장치(예컨대, 121-1)를 상기 영상감시장치 DB(133)에서 추출할 수 있다(S130). 그러면, 상기 제어 시스템(130)은 추출된 대응 영상감시장치(예컨대, 121-1)로 소정의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이벤트 발생공간을 감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30). 상기 제어신호에는 상기 이벤트 발생공간을 감시할 수 있도록 상기 영상획득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정보(예컨대, 위치, 방향, 각도 등)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이벤트 발생공간을 감시하도록 설정된 상기 대응 영상감시장치(예컨대, 121-1)는 상기 통제 시스템(110)으로 영상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감시장치(121-1 ~ 121-N) 중 상기 이벤트 발생공간을 감시하도록 제어되는 영상감시장치를 제외한 영상감시장치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이벤트 발생공간의 인근 영역을 감시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통제 시스템(110)이 설치된 상황실에서는 상기 대응 영상감시장치(예컨대, 121-1)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정보가 소정의 디스플레이 장치(예컨대, 감시 디스플레이 장치(111-1 ~ 111-M) 또는 통합 디스플레이 장치(140))에 디스플레이되고, 이를 통해 상기 이벤트 발생공간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S150).
한편,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를 통해 비상호출 이벤트가 발생하면(S110),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는 자동으로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에 설치된 카메라 또는 마이크로폰 등이 작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를 통해 획득되는 이벤트 영상/음성정보는 상기 통제 시스템(110)으로 자동으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통제 시스템(110)으로 전송된 상기 이벤트 영상/음성정보는 상기 통제 시스템(110)에 포함된 소정의 디스플레이 장치(예컨대, 감시 디스플레이 장치(111-1 ~ 111-M) 또는 통합 디스플레이 장치(140) 등)에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상기 영상감시 장치(예컨대, 121-1)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정보와 함께 이벤트 발생공간의 상황을 파악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S150).
또한, 상기 제어 시스템(130)은 상기 위치판단 시스템(120)으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위치정보에 상응하는 공간정보를 상기 공간정보 DB(132)에서 추출할 수 있다(S121). 상기 공간정보는 상기 이벤트 발생공간의 접근경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공간정보가 상기 상황실에서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상황실의 운영자는 비교적 좁은 지역을 표현하는 실사영상(즉, 상기 대응 영상감시장치(예대, 121-1)로부터 획득되는 영상정보 및/또는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획득되는 이벤트 영상/음성정보)만으로 이벤트 발생공간을 인지할 필요없이, 상기 공간정보를 함께 인지함으로써 좀더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벤트 발생공간에 대한 인지 및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발생공간에 대한 신속한 접근, 주변 건물의 활용 등 다양한 상황대처가 상기 공간정보를 통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정보가 추출됨으로써(S121), 상기 통제 시스템(110)은 소정의 신고기관(예컨대, 경찰서, 소방서, 자체 순찰 시스템 등)으로 상기 공간정보를 포함하는 상황통보를 수행함으로써(S123), 상기 이벤트 발생공간에 가장 접근이 빠르거나 접근이 용이한 순찰자 등이 상기 이벤트 발생공간에 신속하게 도착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대응 영상감시장치(예컨대, 121-1)로부터 획득되는 대응영상정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획득되는 이벤트 영상/음성정보, 또는 상기 공간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동시에 상기 상황실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대응 영상정보(150)와 상기 이벤트 영상/음성정보(151)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상황실의 운영자는 서로 다른 채널로부터 수신되어온 두 개의 영상정보를 종합하여 정확한 상황파악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공간정보와 상기 대응 영상정보 또는 상기 이벤트 영상/음성정보가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데 이때에는 상기 대응 영상정보 또는 상기 이벤트 영상/음성정보가 상기 공간정보 상의 상응하는 위치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운영자가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제 시스템(10)이 설치된 상황실에는 비상호출(신호) 이벤트에 응답하여 경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통제 시스템(110)의 운영자는 상기 대응 영상정보, 이벤트 영상/음성정보, 또는 상기 공간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확인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공간의 상황을 파악한 후(S150), 소정의 부대장치를 제어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신고기관에 상황을 통보할 수도 있다(S160). 그러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악된 상황에 따라 상기 통제 시스템(110)은 상기 영상감시 장치(예컨대, 121-1)에 포함된 소정의 부대장치(예컨대, 경광등 또는 스피커 등)를 제어하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경광등이 점멸하도록 제어하거나, 소정의 경고음을 스피커를 통해 송출하거나 운영자에 의해 소정의 음성정보가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미리 설정된 신고기관(예컨대, 경찰청 시스템, 소방청 시스템, 자체 순찰 차량 등)에 상황을 통보할 수 있다(S160). 물론, 구현 예에 따라서 상기 부대장치들(예컨대, 경광등 또는 스피커 등)은 대응 영상감시장치(예컨대, 121-1)가 파악되자마자 즉시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 제공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3)

  1. 모바일 단말기로부터의 비상호출을 수신하고, 수신된 비상호출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상응하는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통신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위치판단 시스템; 및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영상감시장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영상감시장치 DB;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감시장치가 감시할 수 있는 공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공간정보 DB; 및
    상기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위치에 상응하는 이벤트 발생공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공간정보 DB에서 확인하고, 확인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감시장치 중 상기 이벤트 발생공간을 감시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 감시장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영상감시장치 DB에서 추출하여 상기 이벤트 발생공간의 영상을 감시할 수 있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대응 감시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추출된 상기 대응 감시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이벤트 발생공간을 감시할 수 있도록 소정의 제어신호를 상기 대응 감시장치 중 적어도 일부로 전송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감시장치 중 상기 이벤트 발생공간을 감시하도록 제어되는 상기 대응 감시장치 외의 나머지 영상감시장치들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이벤트 발생공간의 인근 영역을 감시하도록 제어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감시장치 중 적어도 한 개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감시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시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통합 디스플레이장치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통합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시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위치에 상응하는 이벤트 발생공간에 상응하는 공간정보를 출력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은 ,
    상기 비상호출을 전송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이벤트 영상/음성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이벤트 영상/음성정보를 소정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은,
    상기 위치에 상응하는 이벤트 발생공간을 감시할 수 있는 대응감시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정보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이벤트 영상/음성정보를 동시에 재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은,
    상기 위치에 대한 정보를 미리 등록된 소정의 신고기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감시장치에 의해 평상시에 수행되고 있던 기능 중 영상획득에 방해가 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
  14. 모바일 단말기로부터의 비상호출을 수신하고, 수신된 비상호출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상응하는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위치판단 시스템; 및
    상기 위치판단시스템에 의해 파악된 상기 위치에 상응하는 이벤트 발생공간에 대한 공간정보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영상감시장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영상감시장치 DB;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감시장치가 감시할 수 있는 공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공간정보 DB; 및
    상기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위치에 상응하는 상기 이벤트 발생공간에 대한 상기 공간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이벤트 영상/음성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이벤트 영상/음성정보를 상기 공간정보와 동시에 재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
  16. 모바일 단말기로부터의 비상호출을 수신하고, 수신된 비상호출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상응하는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위치판단 시스템; 및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영상감시장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영상감시장치 DB;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감시장치가 감시할 수 있는 공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공간정보 DB; 및
    상기 위치판단시스템에 의해 파악된 상기 위치에 상응하는 이벤트 발생공간에 대한 공간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감시장치 중 일부는 상기 이벤트 발생공간을 감시하도록 제어하고, 나머지 영상감시장치 중 일부는 상기 이벤트 발생공간의 인근 영역을 감시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
  17.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이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비상호출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통신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에 상응하는 이벤트 발생공간에 상응하는 공간정보를 공간정보 DB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상기 공간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이벤트 발생공간을 감시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영상감시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 제공방법.
  18. 삭제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발생공간을 감시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영상감시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 발생공간을 감시할 수 있는 대응감시장치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상기 대응감시장치로 상기 이벤트 발생공간을 감시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 제공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 제공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감시장치 중 적어도 일부로 상기 이벤트 발생공간의 인근 영역을 감시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 제공방법.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 제공방법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이벤트 영상/음성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상기 이벤트 영상/음성정보를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 제공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상기 이벤트 영상/음성정보를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 발생공간에 상응하는 상기 공간정보 또는 상기 이벤트 발생공간을 감시할 수 있는 대응감시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이벤트 영상/음성정보가 동시에 재생되는 순간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 제공방법.
  23. 제 17항, 제19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00018618A 2010-03-02 2010-03-02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202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618A KR101202292B1 (ko) 2010-03-02 2010-03-02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618A KR101202292B1 (ko) 2010-03-02 2010-03-02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9535A KR20110099535A (ko) 2011-09-08
KR101202292B1 true KR101202292B1 (ko) 2012-11-19

Family

ID=44952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8618A KR101202292B1 (ko) 2010-03-02 2010-03-02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22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2254B1 (ko) 2014-07-09 2016-01-04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Cctv 카메라와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지하주차장 보안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N111447375A (zh) * 2020-03-30 2020-07-24 西安万像电子科技有限公司 移动监控方法、装置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839B1 (ko) 2008-03-25 2008-12-18 장용학 도시조명 관리시스템을 기반으로 인명구조 및 구급 신고가가능한 유비쿼터스 방식의 네트워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839B1 (ko) 2008-03-25 2008-12-18 장용학 도시조명 관리시스템을 기반으로 인명구조 및 구급 신고가가능한 유비쿼터스 방식의 네트워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9535A (ko) 2011-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63317B2 (en) Interactive emergency visualization methods
EP3118826B1 (en) Home, office security, surveillance system using micro mobile drones and ip cameras
EP281538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emergency resources
EP3095098B1 (en) Testing system and method for fire alarm system
US8976244B2 (en) Personal mobile surveillance systems and methods
EP3033742B1 (en) System and method for video/audio and event dispatch using positioning system
CA3091332A1 (en) Gunshot detection system with location tracking
US20050275549A1 (en) Network support for emergency smoke detector/motion detector
KR101245165B1 (ko) 범죄 예방 방범 시스템
KR100982398B1 (ko) ZigBee와 CCTV를 이용한 상황관제 시스템과 어린이보호 시스템
CN109831742B (zh) 基于终端检测的监控方法及***
KR20140103859A (ko) 앱을 이용한 무인 원격 관제 시스템
KR102152123B1 (ko) 상가 화재를 감지 제어하는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지능형 휴대 단말의 영상처리시스템
US108965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rveillance using location-tracking imaging devices
KR100927581B1 (ko) 원격 방재 관리 시스템
KR101321447B1 (ko) 네트워크를 통한 현장 모니터링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KR101005568B1 (ko) 지능형 방범 시스템
JP2014044641A (ja) 犯罪情報管理装置および犯罪情報管理システム
KR101202292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N110047246A (zh) 告警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791639B1 (ko) 비콘과 휴대 단말을 이용한 비상호출 시스템
KR101994064B1 (ko) 소방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7448315B2 (ja) 位置情報システム
GB2474094A (en) Lone worker alarm system
KR20140082882A (ko) 인터넷과 dvr을 이용한 화상 및 위치정보 신고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