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4839B1 - 도시조명 관리시스템을 기반으로 인명구조 및 구급 신고가가능한 유비쿼터스 방식의 네트워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시조명 관리시스템을 기반으로 인명구조 및 구급 신고가가능한 유비쿼터스 방식의 네트워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4839B1
KR100874839B1 KR1020080027442A KR20080027442A KR100874839B1 KR 100874839 B1 KR100874839 B1 KR 100874839B1 KR 1020080027442 A KR1020080027442 A KR 1020080027442A KR 20080027442 A KR20080027442 A KR 20080027442A KR 100874839 B1 KR100874839 B1 KR 100874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odule
lamp
signal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7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용학
안영숙
Original Assignee
장용학
(주)길뱅크
안영숙
제천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용학, (주)길뱅크, 안영숙, 제천시 filed Critical 장용학
Priority to KR1020080027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48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4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4839B1/ko
Priority to PCT/KR2009/001521 priority patent/WO2009120018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앙 관제시스템을 통해 도시조명 시설물의 ON/OFF 및 고장 여부에 대한 확인을 원격에서 제어 관리하는 한편, 구급 및 응급이 요청되는 주민에 대한 신속한 구조와 응급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효율적인 신고 환경을 구축하는 도시조명 관리시스템을 기반으로 인명구조 및 구급 신고가 가능한 유비쿼터스 방식의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무선 신호를 발신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발광기구와, 발광기구의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모듈과, 제어모듈의 제어신호를 발ㆍ수신하는 발ㆍ수신모듈을 포함하되, 수신모듈은 하기 제어관리서버에서 발신한 신호와 휴대단말기에서 발신한 무선신호를 선별하는 수신호 선별수단과, 무선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는 수신호세기 감지수단을 포함하고, 조명등에 각각 설치되는 조명등 관리단말기; 조명등 관리단말기와 통신하면서 조명등의 정보데이터와 수신호 세기데이터를 수신하는 발수신모듈과, 조명등의 정보데이터와 수신호 세기데이터를 이용해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추적모듈과, 조명등 관리단말기를 제어ㆍ관리하는 조명등 관리모듈과, 조명등의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조명등 위치정보 DB를 구비한 제어관리서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휴대한 대상자의 바이탈 사인을 측정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감지센서로부터 전송된 바이탈 사인에 대한 데이터를 휴대단말기에 입력된 ID와 병합하여 결과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통신모듈로 전송하여 발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관리서버는, 대상자의 정보와 휴대단말기의 ID를 등록 저장하는 사용자정보DB와, 휴대단말기로부터 발신된 ID를 확인하여 사용자정보DB에서 대상자의 정보를 검색하는 사용자정보 검색모듈과, 유관기관의 통신망에 접속 통신하면서 대상자의 추적된 위치와 정보를 전송하는 통지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도시조명 관리시스템을 기반으로 인명구조 및 구급 신고가 가능한 유비쿼터스 방식의 네트워크 시스템{Ubiquitous network system for rescue and emergency statement based on lighting supervisory system}
본 발명은 중앙 관제시스템을 통해 도시조명 시설물의 ON/OFF 및 고장 여부에 대한 확인을 원격에서 제어 관리하는 한편, 구급 및 응급이 요청되는 주민에 대한 신속한 구조와 응급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효율적인 신고 환경을 구축하는 도시조명 관리시스템을 기반으로 인명구조 및 구급 신고가 가능한 유비쿼터스 방식의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자체에서 개별적으로 운용하는 가로등, 보안등, 신호등과 같은 도시조명 시설물에 대한 중앙 관제 내지 제어 시스템의 경우, 초기에는 중앙 관제 내지 제어 시스템에서 발생한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원격지에 위치한 조명 시설물을 일괄 제어하는 단방향 무선 원격 제어 제어방식이 적용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원격지의 조명 시설물에 VHF 무선주파수와 기간통신망을 사용한 감시단말기를 설치하여 조명 시설물의 동작 및 고장상태를 중앙통제소에서 양방향으로 감시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 보급되고 있다.
이는 날로 고도화가 되어 가는 사회적 환경변화와 시민의식 수준의 질적 향상에 따라 관공서의 SOC(사회기반시설) 시설확충 및 대민 행정서비스와 생활밀접형 사회복지 서비스에 대한 요구에 발맞춰 도시조명 시설물의 관리에 있어서도 단순제어의 개념에서 감시제어기능까지 갖도록 된 것이다.
한편, 차량도난ㆍ물품분실의 빈번함과 더불어, 인구 고령화에 따라 급증한 치매노인과 정신지체아 및 보호자의 보호가 절실한 유아 등이 길을 잃는 사고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각종 사건사고가 심심치 않게 발생하고 있다. 또한, 정상인이라도 위급한 상황에 처하거나 강력범죄의 피해자가 될 경우엔 자력구제에 한계가 있고, 특히 혼자 있을 때 이러한 위급 상황이 발생하면 아무런 도움도 받지 못한 채 피해를 입을 수 있어, 대민보호 및 봉사와 사회복지 향상을 위한 서비스를 의무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유관기관에 있어서 이러한 문제는 신속히 해결해야 할 과제였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각종 사건사고를 대비해 특정 대상자의 신속한 위치확인을 경제적이면서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네트워크 기술이 개발되었다.
본 출원인은 상기 도시조명 관리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면서, 사람 또는 물품과 같은 특정 대상자의 위치를 신속히 파악하고, 이를 보호자 또는 유관기관 등에 통지하는 상기 네트워크 기술을 개발하였고, 이 기술은 본 출원인이 특허권(등록번호: 제10-0725262호)으로 현재 보유하고 있다.
한편, 사건사고의 피해자는 자신의 위급한 상황을 타인에게 신속히 알리고, 유관기관 또는 보호자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피해자의 자력으로 현재의 위급한 상황을 벗어날 수도 없고, 누군가에게 자신의 위급한 상황을 통지할 수도 없는 경우엔, 그 피해를 그대로 받아 손해를 입게 되므로, 주민들의 보호기관인 지자체 또는 유관기관에서는 상기 특허기술을 응용하여 주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대민봉사와 생활밀접형 사회복지서비스를 수행하고, 이러한 대민봉사 및 서비스를 경제적이면서 효율적으로 진행시킬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도시조명 관리시스템이 갖는 대상자의 위치추적 기술을 응용하여 관공서의 대민봉사 및 생활밀접형 사회복지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이러한 혜택을 받는 주민 또한 각종 사건 및 사고 발생 등에 대응하여 적절한 구조 및 구급에 대한 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도시조명 관리시스템을 기반으로 인명구조 및 구급 신고가 가능한 유비쿼터스 방식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무선 신호를 발신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발광기구와, 발광기구의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모듈과, 제어모듈의 제어신호를 발ㆍ수신하는 발ㆍ수신모듈을 포함하되, 수신모듈은 하기 제어관리서버에서 발신한 신호와 휴대단말기에서 발신한 무선신호를 선별하는 수신호 선별수단과, 무선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는 수신호세기 감지수단을 포함하고, 조명등에 각각 설치되는 조명등 관리단말기; 조명등 관리단말기와 통신하면서 조명등의 정보데이터와 수신호 세기데이터를 수신하는 발수신모듈과, 조명등의 정보데이터와 수신호 세기데이터를 이용해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추적모듈과, 조명등 관리단말기를 제어ㆍ관리하는 조명등 관리모듈과, 조명등의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조명등 위치정보 DB를 구비한 제어관리서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휴대한 대상자의 바이탈 사인을 측정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감지센서로부터 전송된 바이탈 사인에 대한 데이터를 휴대단말기에 입력된 ID와 병합하여 결과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통신모듈로 전송하여 발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관리서버는, 대상자의 정보와 휴대단말기의 ID를 등록 저장하는 사용자정보DB와, 휴대단말기로부터 발신된 ID를 확인하여 사용자정보DB에서 대상자의 정보를 검색하는 사용자정보 검색모듈과, 유관기관의 통신망에 접속 통신하면서 대상자의 추적된 위치와 정보를 전송하는 통지모듈을 더 포함하는 도시조명 관리시스템을 기반으로 인명구조 및 구급 신고가 가능한 유비쿼터스 방식의 네트워크 시스템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감지기능을 갖는 발신기를 휴대한 대상자의 상황을 파악하여 해당 유관기관에 이를 신속히 통지하고, 아울러 대상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상황에 따른 긴급구조, 응급처리 및 각종 구급에 대한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서, 관공서 또는 지자체 등이 수행하는 대민봉사와 생활밀접형 사회복지 시버스에 대한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별도로 통신망이나 통신장비를 추가하지 않고도 지자체 별로 이미 구축되어 있는 가로등 또는 보안등(이하 조명등으로 통칭)의 점멸 및 고장 상태 확인을 중앙에서 제어 관리할 수 있는 양방향통신 제어시스템을 기반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도시조명 관리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초기 투입비용을 최소화하는데 그 특징이 있는 한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인 대민봉사 및 사회복지 서비스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도시조명 관리시스템의 구축 및 운영을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구역 내에 입설된 다수의 조명등(10)에 해당 조명등의 점멸은 물론 고장 여부 등을 감지하는 조명등 관리단말기(100)와, 상기 조명등 관리단말기(100)와 양방향으로 통신하면서 조명등 관리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ㆍ처리하는 한편 상기 조명등 관리단말기(100)를 제어하는 명령신호를 전송하는 제어관리서버(200)를 포함하고, 아울러 제어관리서버(200)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수단(300)을 포함한다.
상기 조명등 관리단말기(100)와 제어관리서버(200) 간의 통신은 유무선통신이 모두 가능한데, 일반적으로 VHF 무선주파수 또는 기간통신망을 이용한 무선통신과 케이블에 의한 유선통신이 적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도시조명 관리시스템의 기술적 사상은 조명등 관리단말기(100)와 제어관리서버(200) 간의 통신방법을 제한하지 않으며,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예가 실시될 수 있다. 참고로, 기간통신망의 경우 이동통신 매개로 이용되는 CDMA 방식 이 적용될 수 있고, 유선통신의 경우 광케이블이 통신매개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관리서버(200)는 다수의 조명등 관리단말기(100)들과 직접 통신하면서 신호를 주고 받을 수도 있으나, 지자체에 따라서는 상기 제어관리서버(200)와 조명등 관리단말기(100) 사이에 중계기를 두어 해당 신호를 상기 중계기를 통해 주고 받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중계기가 조명등 관리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어 온 휴대단말기(400)의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휴대단말기(400)의 위치 및 사용자를 확인하고, 그 결과만을 상기 제어관리서버(200)로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휴대단말기(400)는 보호 대상자가 휴대하는 것으로, 이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조명등 관리단말기(100)는 고유한 기능인 조명등(10)의 점멸 등을 제어하면서, 유사시에는 휴대단말기(400)에서 발신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400)는 약속된 주파수대의 신호를 일정한 세기로 지속해서 발신하는 장치로, 대상자가 휴대한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기(400)는 대상자의 각종 바이탈 사인을 측정하는 기능과, 이렇게 측정된 데이터가 포함된 신호를 능동적으로 발신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고,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을 이룬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휴대단말기(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대상자의 각종 바이탈 사인을 측정하 는 기능과 측정된 데이터를 발신하는 기능을 갖추며, 이를 위해 휴대단말기(400)는 감지센서(410)와, 감지센서(410)에서 확인된 데이터를 해당 휴대단말기(400)의 ID와 병합하여 결과데이터로 변환하는 제어모듈(420)과, 상기 결과데이터를 발신하는 통신모듈(430)을 포함한다.
상기 감지센서(410)는 인체의 각종 바이탈 사인을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바이탈 사인의 대상으로 맥박, 체온, 호흡, 혈압, 심전도, 운동량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사람은 납치 및 강도와 같은 각종 범죄의 대상이 되거나, 교통사고와 각종 안전사고 등과 같이 예상치 못한 급박한 상황에 처할 경우, 바이탈 사인에 급격한 변화를 일으킨다. 예를 들어, 두려운 상황에 처한 경우 맥박과 호흡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체온과 혈압이 상승하면서 자신의 심리적 변화가 신체적 변화로 표현되는 것이다. 또한, 심장질환, 천식, 발작 등 다양한 질병을 앓고 있는 사람의 경우엔 전술한 상황에 처하지 않더라도 신체적인 변화에 의한 바이탈 사인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즉, 사람은 위급, 위난 상태에 빠지면 심리적 요인에 의한 신체의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는 것이다.
이러한 생물학적 특성을 이용해, 본 발명은 대상자의 급격한 신체적 변화를 확인하고, 이러한 변화요인을 추정하여서, 해당 대상자에게 필요한 도움을 신속히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맥박은 심장의 박동으로 심장에서 나오는 피가 얇은 피부에 분포되어 있는 동맥의 벽에 닿아서 생기는 주기적인 파동으로, 목과 손목 등에서 쉽게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본인의 맥박을 쉽게 자가측정할 수 있는 휴대용 맥박측정기가 널리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410)는 주지된 휴대용 맥박측정기가 적용될 수 있고, 이러한 맥박측정기가 응용된 감지센서(410)를 갖는 휴대단말기(400)는 팔찌와 같이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맥박측정이 가능한 휴대단말기(400)는, 감지센서(410), 제어모듈(420) 및 통신모듈(430)을 감싸 보호하는 본체(401; 도 4 참조)와, 본체(401)를 신체에 고정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손목을 감싸면서 본체에 연결되는 벨트(404; 도 4 참조)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상기 본체(401)는 별도의 벨트(404) 없이 허리에 착용되는 벨트 또는 주머니 등에 넣어 소지할 수 있고, 맥박이 확인되는 신체의 일부에 접착부재(미도시함)를 매개로 감지센서를 부착하여 유무선으로 제어모듈(420)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400)가 팔찌 형태의 모습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팔찌 형태의 제1실시모습은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재 언급한다.
한편, 감지센서(410)의 맥박측정은 대상자가 직접 작동시켜서 실행할 수도 있으나, 제어모듈(420)에 입력된 주기로 감지센서(410)를 자동으로 실행할 수도 있다.
체온은 동물체가 가지고 있는 온도로, 체내에서 물질대사의 산화 과정 결과 발생하여 몸의 표면으로 방출되는 것이다. 이때, 신진대사의 급격한 변화는 체온 의 변화를 야기하므로, 체온변화를 확인하여 대상자의 상태를 추정할 수 있다.
체온은 겨드랑이 및 입속과 같이 사방이 신체로 둘러싸인 지점에서 측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400)의 감지센서(410)가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라면, 겨드랑이 또는 입속 부분에 부착할 수 있는 형태이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400)는 휴대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기구이므로, 신체에 이식을 하거나 착용을 위해 무리한 절차가 수반되는 것이라면 적절치 않을 것이다. 또한, 체온은 옷에 의해 가려진 부분의 피부 표면에서도 잴 수 있을 것이므로, 신체의 특정 지점에 부착할 수 있는 형태로 한정해서 제작될 필요는 없을 것이다.
호흡은 생물이 외계에서 산소를 흡수하고 이산화탄소를 몸 밖으로 내보내는 과정으로, 호흡횟수는 신체의 변화에 민감하게 변하는 바이탈 사인 중 하나이다. 따라서, 이러한 호흡횟수를 카운트하여 대상자의 심리상태를 추정할 수 있다.
혈압은 심장에서 혈액을 밀어낼 때 혈관 내에 생기는 압력으로, 심리적인 원인 또는 신체의 실질적인 원인에 의해 심장의 박동이 현저히 증가하거나 줄어들 경우, 혈액이 받는 압력에 급격한 변화를 야기하면서 혈관이 받는 압력에 변화가 발생한다. 이러한 혈압 변화는 대상자의 심리적ㆍ신체적인 변화를 추정할 수 있는 중요한 인자이므로, 상기 감지센서(410)는 대상자의 혈압을 감지하여 대상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혈압은 인체의 팔을 감싸면서 내부에 공기를 강제로 유입시키는 압박대(413; 도 5 참조)와, 압박대(413)에 의해 상완동맥이 압박되면 혈류(血流)를 변화 또는 저지하는 압박대의 압력(血壓)을 읽는 기압계(416; 도 5 참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대상자의 혈압을 측정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410)는 대상자의 팔을 감싸도록 고정되는 벨트형상의 압박대와, 압박대의 가압으로 신체의 말단에 혈류가 저지됨을 확인하고 이때의 기압을 측정하는 기압계를 포함한다. 한편, 이러한 혈압측정은 대상자 스스로 실행할 수도 있을 것이나, 감지센서(410)가 자동 실행하면서 혈압을 주기적으로 측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혈압 측정과 관련한 감지센서(41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다시 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400)에서 감지센서(410)가 혈압을 측정할 수 있는 기구라면, 제어모듈(420)은 감지센서(410)를 주기적으로 동작시키고, 기압계에서 확인된 기압 데이터를 확인하여 통신모듈(430)을 통해 결과데이터를 발신할 것이다.
이외에도, 상기 감지센서(410)는 다양한 바이탈 사인을 감지 및 측정하여서 대상자의 신체적 이상징후를 관측할 수 있고, 이러한 관측결과에 따라 심리적ㆍ신체적 변화를 추정하여서, 대상자의 급박 및 구급의 필요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감지센서(410)는 대상자의 신체적 변화 감지 이외에도, 대상자가 현재 위치한 장소의 공기조성을 감지하여서, 해당 장소의 화재 및 각종 오염 여부에 대한 추정을 가능하게 한다.
화재가 발생하면,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가 급격히 증가하고, 기타 탄화물질을 포함하는 이물질이 감지된다. 이러한 현상을 이용해 감지센서(410)는 공기의 조성변화를 확인하고, 전술한 이물질이 일정 기준치 이상 감지되면 화재로 간주하여 이를 소방서 또는 유관기관에 통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제1실시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400')는 본체(401)와 벨트(404)를 포함하고, 본체(401)는 출력수단(402)과 입력수단(403)을 더 구비한다. 따라서, 외형은 일반 팔찌(손목시계)의 형상을 이루고, 이를 통해 대상자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400')를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감지센서(410')는 맥박감지기(411)와 감지된 맥박을 확인하여 일정시간 내에 확인된 맥박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412)를 포함한다. 상기 카운터(412)는 카운트된 데이터를 제어모듈(420)로 전송하고, 제어모듈(420)은 상기 데이터를 확인하여 결과데이터로서 통신모듈(430)로 전송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모듈(420)은 당해 휴대단말기(400')의 ID를 저장하면서 감지센서(410')로부터 데이터가 전송되면 해당 데이터를 ID와 병합하고, 이렇게 병합된 결과데이터는 통신모듈(430)로 전송된다. 그런데, 상기 제어모듈(420)은 단순히 감지센서(410')의 구동 여부만을 제어하는데 그치지 않고, 감지센서(410)에서 확인된 데이터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결과데이터의 생성 여부를 결정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맥박횟수는 정상적인 성인의 경우 연령대에 따라 적 당한 기준횟수가 정해져 있다. 물론, 이러한 기준횟수는 절대적인 것은 아니지만, 이를 통해 해당 대상자의 바이탈 사인의 정상 또는 비정상 여부를 추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대상자는 입력수단(403)을 이용해 자신의 연령대와 평상시의 맥박횟수 등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제어모듈(420)은 입력된 정보를 토대로 당해 대상자의 정상적인 맥박의 기준횟수를 기록 저장한다. 따라서, 대상자가 어떠한 이유로 인해 맥박횟수가 기준횟수를 벗어나게 되면, 제어모듈(420)은 해당 데이터에 ID를 병합하여 결과데이터를 완성하고 이를 통신모듈(430)로 전송하여서, 통신모듈(430)이 상기 결과데이터를 발신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제2실시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400")는 혈압을 측정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410")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센서(410")는, 중공을 갖는 루프형상을 이루고 상기 중공으로 공기를 강제 유입시키는 가스유입기(414)와 신체의 말단에 맥박을 감지하는 맥박감지기(415)를 포함하면서 팔을 압박하는 압박대(413)와, 맥박감지기(415)로부터 맥박이 정지됨을 확인하면 압박대(413)의 중공 내 기압을 측정하는 기압계(416)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스유입기(414)는 압축공기가 충진되어서 주기적으로 압박 대(413)의 중공에 공기를 강제 유입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고, 소진된 압축공기는 재충진하여 사용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가스유입기(414)는 대상자가 직접 펌프질을 통해 중공에 공기를 유입시킬 수도 있으므로,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맥박감지기(415)는 압박대(413)가 가하는 압력에 의해 혈류가 차단되면서 압박대(413)로 감싸인 신체의 말단부분에 맥박이 현저히 저하되는 것을 감지하고, 맥박의 저하는 혈류의 차단으로 간주하여 그 신호를 기압계(416)로 전송한다. 물론, 상기 기압계(416)는 해당 신호를 받아 중공의 현재 기압을 측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기압계(416)는 측정된 기압을 제어모듈(420)로 전송하는데, 이때, 본 실시예에서 제어모듈(420) 및 통신모듈(430)은 감지센서(410")와 독립된 별도의 본체(401)에 내장되고, 이 본체(401)는 걸림대(405)를 매개로 대상자의 허리 또는 허리띠에 걸어 착용할 수 있도록 된다. 물론, 본체(401)를 대상자의 주머니에 넣어 휴대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기압계(416)와 제어모듈(420) 간 통신은 무선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감지센서는 맥박 확인 이외에도, 대상자의 체온, 호흡횟수 또는 혈압 등을 감지할 수 있고, 제어모듈(420)은 감지된 데이터를 여과없이 그대로 발신하거나 기준치를 벗어난 데이터만을 확인하여 이를 발신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바이탈 사인의 종류에는 심전도, 근육의 운동량 등 다양할 수 있으며, 해당 바이탈 사인의 측정기가 휴대가능한 것이라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400)에 장착이 가능하므로, 특정 바이탈 사인의 종류에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대상자가 위치한 장소의 공기 조성을 확인하여 대상자의 신체적 변화가 아닌 주변 환경의 변화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화재 및 각종 가스 유출에 대한 위험을 인지하여 신고하는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해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400)는 비상호출모듈(4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상호출모듈(440)은 입력수단(403)에 의한 조작으로 제어모듈(420)의 결과데이터 발신기능을 강제로 실행시키고, 제어모듈(420)은 비상호출모듈(440)의 명령에 따라 ID를 포함한 결과데이터를 통신모듈(430)로 전송하여서, 해당 대상자의 보호자 또는 경찰서 등과 같은 유관기관으로 통지할 수 있도록 된다. 참고로, 상기 통신모듈(430)은 상기 결과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반복 발신하여서, 보호자 또는 유관기관의 확인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통신모듈(430)은 제어모듈(420)에서 결과데이터를 수신하면, 이를 일반적인 데이터 발신과정에 따라 신호를 발신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400')의 실시예에서는, 휴대단말기(400')의 형상이 팔찌(손목시계) 형상인 것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경이 가능하다. 하지만, 항시 소지할 수 있는 의지를 부여하도록 시계, 모바일 또는 장신구의 형태로 다양하게 형상화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순차 도시한 플로우차트 인바,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작동모습을 설명한다.
S10 ; 휴대단말기(400)의 발신호 감지단계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400)로부터 결과데이터를 포함한 신호가 발신되면, 상기 휴대단말기(400)와 인접한 상기 조명등 관리단말기(100)의 수신모듈(150)이 이를 수신ㆍ감지한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400)의 통신모듈(430)은 상기 신호를 다수 회에 걸쳐 일정간격으로 지속해 발신하고, 수신모듈(150)은 해당 신호를 지속해 수신하면서 대상자의 이동 여부에 대한 확인을 실시간으로 진행한다.
상기 휴대단말기(400)가 발신하는 신호는 특정 주파수대를 갖는 아날로그 신호 또는 디지털 신호일 수 있으며, 아날로그 신호가 활용될 경우에는 해당 주파수를 당해 휴대단말기(400)가 독점하여 상기 휴대단말기(400)의 소유자를 확인하는데 활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휴대단말기(400)가 발신하는 신호는 결과데이터를 포함하고, 이 결과데이터를 휴대단말기(400)의 고유 ID 정보를 포함하므로, 해당 신호가 제어관리서버(200)로 수신될 경우에는 상기 제어관리서버(200)는 발신 대상자의 신원을 신속히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유아, 노인, 정신지체아 등의 보호대상자가 있는 보호자는 관할 지자체 및 유관기관에 해당하는 보호대상자를 등록한 후,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적용여 부를 신청할 수 있다. 따라서, 신청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보호대상자의 보호를 위한 ID가 부여되고, 대상자는 부여받은 ID를 휴대단말기(400)에 입력하여 활용한다. 한편, 제어관리서버(200)는 ID를 부여한 대상자 또는 보호자의 인적사항 및 연락처 등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여 관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조명등 관리단말기(100)와 제어관리서버(200) 간의 양방향 통신을 기반으로 설치되는 것이므로, 상기 조명등 관리단말기(100)는 제어관리서버(200)와의 신호 발수신을 위한 발신모듈(140)과 수신모듈(150)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관리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를 상기 수신모듈(150)이 수신한 후, 발광기구(110)를 점멸 및 제어하는 제어모듈(130)을 작동시켜 발광기구(110)를 제어한다. 한편, 상기 발광기구(110)의 고장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검사하는 검진모듈(120)이 더 포함되어서, 상기 발신모듈(140)을 통해 해당 정보를 제어관리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명등 관리단말기(100)는 발수신이 가능한 통신장비를 갖추고 있는바, 상기 수신모듈(150)을 통해 제어관리서버(200)에서 송출한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휴대단말기(400)에서 송출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조명등 관리단말기(100)의 발신모듈(140)에서 발신되는 신호의 출력은 소출력이므로, 비교적 원격지에 위치한 제어관리서버(200)까지 해당 신호를 전송할 수 없다. 물론, 특정 조명등 관리단말기(100)의 경우 제어관리서버(200)와 직접 통신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나, 조명등 관리단말기(100)와 제어관리서버(200) 간의 통신은 별도의 신호수집기(600)를 매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신호수집기(600)는 다수의 조명등 관리단말기(100)와 통신하면서 해당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증폭하여 VHF 또는 CDMA와 같은 통신매개수단을 통해 제어관리서버(200)로 발신한다. 물론, 제어관리서버(200)에서 발신한 신호는 신호수집기(600)가 수신 확인하고, 해당 조명등 관리단말기(100)로 발신할 것이다.
또한, 별도의 신호수집기(600) 없이도, 조명등 관리단말기(100)가 서로 통신하면서 전달하는 방식으로 신호를 제어관리서버(200)로 발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임의 휴대단말기(400)와 인접한 조명등 관리단말기(100)가 당해 휴대단말기(400)로부터 발신한 신호를 최초 수신하고, 이렇게 수신한 신호를 이웃하는 조명등 관리단말기에 릴레이 방식으로 전송하면서 최종적으로 제어관리서버(200)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 예시한 바와 같이, 조명등 관리단말기(100)와 제어관리서버(200) 간의 통신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따라서, 조명등 관리단말기(100)와 제어관리서버(200)가 서로 통신할 수 있다면,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조명등 관리단말기(100) 및 제어관리서버(200) 간의 통신방식은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S20 ; 수신호 선별단게
상기 수신모듈(150)은 수신호선별수단(152)을 포함한다. 상기 수신호선별수단(152)은 제어관리서버(200)로부터 전송된 무선신호와, 휴대단말기(400)로부터 전송된 무선신호를 구분하여 별도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관리서 버(200)와 조명등 관리단말기(100)가 유선통신을 할 경우에는 상기 휴대단말기(400)의 발신호와 제어관리서버(200)의 발신호가 자동으로 구분되므로, 상기 휴대단말기(40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모듈의 일 구성을 이룰 것이다.
즉, 상기 수신호선별수단(152)은 상기 휴대단말기(400)의 발신호를 제어관리서버(200)의 발신호와 구분하여 수신처리하는 기능을 갖는다 할 것이다.
S25 ; 휴대단말기의 ID확인단계
상기 수신모듈(150)은 ID확인수단(153)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발신호에 포함된 ID가 상기 ID확인수단(153)을 통해 추출되어 상기 제어관리서버(200)로 전송된다. 한편, 상기 ID는 휴대단말기(400)의 대상자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관할 지자체 및 유관기관 등에 신청하여 발급받을 수 있고, 해당 ID와 사용자정보가 연동되어 ID만 있으면 당해 휴대단말기(400)의 사용자를 신속히 검색할 수 있다.
한편, 휴대단말기(400)로부터 발신된 신호의 ID 확인은 조명등 관리단말기(100) 이외에 제어관리서버(200)에서도 진행할 수 있다.
S30 ; 수신호세기 감지단게
상기 휴대단말기(400)와 상기 조명등 관리단말기(100)의 거리가 멀수록 상기 조명등 관리단말기(100)로 수신되는 해당 신호의 세기는 약해진다. 따라서, 상기 조명등 관리단말기(100)는 수신호의 세기를 감지하여 당해 휴대단말기(400)의 위치 를 추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수신모듈(150)은 휴대단말기(4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수신호세기 감지수단(151)을 포함한다.
상기 수신호세기 감지수단(151)은 절대적인 세기감지방법과 상대적인 세기감지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이는 제어관리서버(200)에서 상기 수신호세기 감지수단(151)을 통해 입수된 정보를 어떤 방식으로 해석하는지에 따라 달라지는데, 제어관리서버(200)를 설명하면서 보다 상세히 기술하겠다.
S40 ; 당해 조명등 정보데이터, 수신호 세기데이터, ID 전송단계
상기 수신모듈(150)을 통해 수신한 휴대단말기(400)의 발신호는 그 세기에 대한 데이터 및 ID와 더불어 당해 세기데이터를 수신한 조명등 관리단말기(100), 즉 상기 세기데이터를 제어관리서버(200)로 전송하는 조명등의 정보데이터와 함께 제어관리서버(200)로 전송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관리서버(200)는 조명등 관리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함으로서, 당해 조명등 관리단말기(100)의 정보와 휴대단말기(400)의 수신호 세기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ID를 통해 휴대단말기(400)의 정보데이터 또한 확인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등(10)은 지자체별로 다수개가 관리되고 있으며, 각각의 조명등(10)에는 조명등 관리단말기(100, 100', 100")가 설치되어있다. 따라서, 휴대단말기(400)의 발신호는 인접지역에 있는 하나 이상의 조명 등 관리단말기(100, 100', 100")가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관리서버(200)는 다수의 조명등 관리단말기(100, 100', 100")로부터 발신된 신호를 각각 수신한다.
S45; 휴대단말기의 사용자확인단계
상기 제어관리서버(200)는 사용자정보 검색모듈(26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정보 검색모듈(260)은 상기 조명등 관리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어 온 ID를 확인하여, 해당 ID의 사용자정보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정보는 사용자정보DB(270)에 저장된다.
참고로, 상기 ID는 조명등 관리단말기(100)가 아닌 사용자정보 검색모듈(260)에서 확인될 수 있고, 이는 휴대단말기(400)에서 발신한 신호의 결과데이터로부터 ID를 추출함으로서 이루어진다.
상기 사용자정보DB(270)로부터 검색된 사용자정보 데이터는 상기 출력수단(300)을 통해 출력되어서, 현재 신호를 발하는 휴대단말기(100)의 사용자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S50; 정보데이터를 발신한 조명등 개수 확인단계
본 발명에 따른 제어관리서버(200)는 신호를 발수신하는 발수신모듈(210)과, 조명등(10)의 점멸 및 기타 작동을 제어하는 조명등 관리모듈(240)을 포함하면서, 상기 조명등 관리단말기(100, 100', 100")로부터 전송되어온 조명등의 정보데이터 와 수신호의 세기데이터를 이용해 당해 신호를 발신하는 휴대단말기(400)의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추적모듈(23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위치추적모듈(230)은 상기 발수신모듈(210)이 수신한 조명등 정보데이터와 수신호 세기데이터를 확인하면서, 현재 상기 데이터들을 전송한 조명등(10)의 개수를 확인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감시제어시스템은 휴대단말기(400)의 발신호를 수신한 모든 조명등 관리단말기(100, 100', 100")가 상기 제어관리서버(200)로 신호를 전송하도록 되어있다. 하지만, 제한된 범위 내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등(10)은 휴대단말기(400)가 해당 범위를 벗어나 있을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400)의 발신호를 수신하지 못할 수도 있다. 또한, 한 곳의 조명등만이 상기 휴대단말기(400)의 발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고, 둘 또는 셋 이상의 조명등이 수신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위치추적모듈(230)은 상기 조명등 관리단말기(100, 100', 100")로부터 전송되어온 데이터만을 가지고 당해 휴대단말기(400)의 위치를 추적한다. 해당 휴대단말기(400)의 발신호를 수신한 조명등 관리단말기(100)의 수가 하나인 경우, 둘인 경우 또는 셋 이상인 경우가 각각 다른 순서로 진행된다.
상기 휴대단말기(400)의 발신호를 수신한 조명등 관리단말기(100)의 개수는, 상기 제어관리서버(200)의 발수신모듈(210)을 통해 수신되어 상기 위치추적모듈(230)로 전송된 조명등 정보데이터를 통해 확인된다.(S60)
S61 ; 조명등 정보데이터를 이용해 해당 조명등의 실제위치 검색단계
하나의 조명등 관리단말기(100)로부터 조명등 정보데이터와 수신호 세기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조명등 정보데이터를 통해 당해 조명등의 위치를 조명등 위치정보DB(250)에서 검색하여 확인하고, 수신호 세기데이터를 통해 검색된 조명등의 위치로부터 얼마나 떨어진 범위 내인지를 추적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감시제어시스템의 작동모습을 예를 들어 보인 모식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대상자(21)의 발신호는 하나의 조명등(16)에서만 수신되고, 인접한 다른 조명등(13, 14)은 고장 등의 이유로 해당 발신호를 수신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조명등(16)의 조명등 관리단말기는 제1대상자(21)의 발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제1대상자(21)의 조명등 정보데이터와 수신호 세기데이터를 제어관리서버(200)로 전송한다. 물론, 다른 조명등(13, 14)은 제1대상자(21)의 조명등 정보데이터와 수신호 세기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다.
결국, 상기 위치추적모듈(230)은 상기 조명등(16)의 조명등 관리단말기가 전송한 조명등 정보데이터 및 수신호 세기데이터만을 이용해 당해 휴대단말기(400)의 위치를 추적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위치추적모듈(230)은 해당 조명등(16)의 인접지역에 휴대단말기(400)를 소지한 대상자이 위치함을 확인한다.
상기 인접지역의 범위는 상기 조명등(16)을 중심으로 하고 수신호 세기데이터를 통해 확인된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원형 내일 것이다.
S62; 수신호 세기데이터로부터 휴대단말기와 해당 조명등 간의 거리연산단계
상기 수신호 세기데이터에 포함된 휴대단말기(400)의 발신호 세기는 절대적인 세기와 상대적인 세기로 측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절대적인 세기감지방법이란, 상기 휴대단말기(400)가 발신하는 신호의 세기를 일정하게 함으로서, 상기 수신호세기 감지수단(151)은 약속된 신호의 세기를 기준으로 해당 수신호의 세기를 감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약속된 신호의 세기 대비 현재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비교하여 당해 휴대단말기(400)의 위치가 조명등 관리단말기(100)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예측할 수 있다.
상대적인 세기감지방법은, 상기 휴대단말기(400)가 발신하는 신호가 일정하지는 않으나, 둘 이상의 조명등 관리단말기(100)가 수신하는 당해 신호의 세기는 휴대단말기(400)의 거리에 따라 다르게 수신될 것이다. 따라서, 휴대단말기(400)가 매번 다른 세기의 신호를 발신하더라도, 발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둘 이상의 조명등 관리단말기(100)가 각각 해당 발신호를 수신하여 수신한 신호의 세기를 상대적으로 비교하고, 상기 위치추적모듈(230)이 해당 휴대단말기(400)의 위치를 연산해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휴대단말기(400)로부터 발신되는 신호가 항상 일정하게 할 수도 있고, 매번 다르게 할 수도 있다.
계속해서, S62는 상기 제어관리서버(200)로 두 개의 조명등 정보데이터 및 수신호 세기데이터가 수신될 경우의 위치확인단계이다. 즉, 제2대상자(22)이 소지 한 휴대단말기(400)의 발신호를 두 곳의 조명등(11, 16)만이 수신한 것이다.
상기 위치추적모듈(230)은 절대적인 세기감지방법을 통해 각 조명등 관리단말기(100)와 휴대단말기(400) 간의 이격거리를 연산한다. 즉, 해당 조명등(11, 16)을 중심으로 상기 이격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범위 내에 상기 휴대단말기(400)가 위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상대적인 세기감지방법이 적용될 경우에는 상기 조명등(11)과 남은 조명등(16)이 각각 수신한 수신호 세기데이터를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그 거리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기(400)는 최대 출력이 있으므로, 거리확인에 있어 그 범위를 제한할 수 있을 것이다.
S63 ; 조명등으로부터의 연산거리가 일치하는 지점확인단계
두 곳의 거리연산이 완료되면, 상기 조명등(11, 16) 각각으로부터 해당 거리만큼 떨어진 일치점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일치점이 휴대단말기(400)를 소지한 제2대상자(22)로 추정된다.
S64 ; 다음 수신호세기데이터 존재여부 확인단계
상기 휴대단말기(400)를 소지한 제2대상자(22)이 운행중인 차량 또는 이동중인 사람일 경우에는, 조명등 관리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조명등 정보데이터와 수신호 세기데이터가 항시 변하게 된다.
이때, 동일한 휴대단말기(400)에 의한 다음 조명등 정보데이터 및 수신호 세 기데이터를 이전 조명등 정보데이터 및 수신호 세기데이터와 비교하여 제2대상자(22)의 보다 자세한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어느 한 신호를 각각 다른 위치에 있는 두 곳에서 수신하면, 신호의 세기를 이용해 상기 신호의 발신지점을 추적할 수 있다. 그러나, 고가의 조향 안테나를 통한 수신이 아닐 경우에는 기하학적으로 발신지점의 추적위치가 두 곳 이상 발생한다. 따라서, 휴대단말기(400)의 신호를 수신하는 조명등 관리단말기가 두 곳뿐일 경우에는 발신지점의 추적이 구체화될 수 없다.
그러나, 제2대상자(22)이 이동하는 경우 첫번째 조명등 정보데이터 및 수신호 세기데이터와 두번째 조명등 정보데이터 및 수신호 세기데이터를 서로 비교하여 상기 두 곳의 조명등 관리단말기로부터 들어오는 데이터만으로도 보다 구체적인 위치추적이 가능하다. 이는 상기 제2대상자(22)이 이동하면서 당해 휴대단말기(200)의 발신호를 새로운 조명등 관리단말기가 수신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후 세번째 및 네번째의 조명등 정보데이터 및 수신호 세기데이터를 추가로 비교할 수도 있다.
S65; 새로운 데이터와 이전 데이터를 고려하여 휴대단말기의 위치확인단계
다음 수신호 세기데이터의 존재를 확인하여 수신호 세기데이터가 있다면, 이를 이전 데이터와 비교하여 제2대상자(22)의 위치를 좀더 구체화할 수 있다.
S66; 수신호 세기데이터로부터 휴대단말기와 해당 조명등 간의 거리연산단계
당해 단계는 제3대상자(23)이 소지한 휴대단말기(400)의 발신호가 세 곳 이상의 조명등(11, 12, 16)에서 수신하면, 각 조명등(11, 12, 16)의 조명등 관리단말기가 보내온 조명등 정보데이터와 수신호 세기데이터를 이용해 각 조명등(11,12,16)과 상기 제3대상자(23)간의 거리를 연산한다.
이에 대한 설명은 앞서 한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S67; 조명등으로부터의 연산거리가 일치하는 지점확인단계
조명등(11, 12, 16)의 위치와 각 조명등(11, 12, 16)으로부터의 거리를 확인하여 상기 거리가 일치하는 일지점을 찾는다.
S68; 휴대단말기 위치확인단계
상기 일지점을 당해 휴대단말기를 소지한 제3대상자의 위치로 확인한다.
S70; 해당 조명등의 위치를 지도에 표시하는 단계
해당 지자체의 관할지도에 상기 조명등이 위치한 지점을 표시한 후, 상술한 과정을 통해 추적된 대상자의 위치 또한 표시한다. 상기 제어관리서버(200)는 출력수단(300)과 연동하면서 상기 출력수단(300)을 통해 상술한 지도 및 대상자의 위치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출력수단(300)은 도시한 바와 같이 PDA, 모바일 또는 일반 모니터일 수 있다.
상기 출력수단(300)이 PDA 또는 모바일일 경우에는, 상기 제어관리서버(200) 는 PDA 및 모바일 간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미 도시됨)이 더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S80; 추적된 위치정보를 유관기관에 통지하는 단계
상술한 과정을 통해 확인된 대상자의 위치를 보호자, 경찰서, 구청, 병원 및 소방서 등과 같은 유관기관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관련 데이터를 인터넷과 같은 공동 통신망 또는 유관기관과 직접 연결되는 통신망 서버(500) 등에 업로드하거나, 전화로 통지하고, 이를 위해 제어관리서버(200)는 통지모듈(280)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업로드는 상기 제어관리서버(200)의 데이터를 인터넷을 매개로 이메일 또는 실시간 전송하는 모든 작업을 총칭한다.
따라서, 유사시에는 대상자의 별도 신청 또는 신고 없이도 해당 유관기관의 협조를 받을 수 있어, 대상자를 찾는 과정이 지연됨 없이 신속히 진행될 수 있다.
한편, 통지모듈(280)은 휴대단말기(400)로 전송된 결과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를 유관기관에 통지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400)의 제어모듈(420)이 자체적으로 결과데이터의 발신을 결정할 수 있지만, 상기 제어모듈(420)이 이러한 기능없이 대상자의 바이탈 사인을 무조건 발신할 수 있다. 따라서, 후자의 경우에는 제어관리서버(200)가 결과데이터의 내용을 근거로 유관기관으로의 통지 여부를 결정해야 하고, 이를 위해 상기 통지모듈(280)은 사용자정보DB(270)에서 관련 대상자의 사용자정보를 확인하여 이를 근거로 통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즉, 사용자정보DB(270)에는 해당 대상자의 바이탈 사인에 대한 정상치를 저장하면서, 수신된 결과데이터와 상기 정상치를 비교하고, 수신된 결과데이터의 바이탈 사인이 정상치를 벗어난 경우 대상자가 급박한 상황에 처하였음을 추정해 유관기관의 통신망 서버(500)로 대상자의 현 위치와 정보를 통지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관리서버(200)는 이미지제작모듈(22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이미지제작모듈(220)은 상기 출력수단(300)을 통해 출력되는 이미지를 제작하거나, 인터넷에 업로드하는 파일형태의 이미지를 제작한다. 즉, 네비게이터와 같이 대상자의 위치를 지도와 오버랩하여 필요한 이미지정보를 편집 및 제작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제1실시모습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제2실시모습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순차 도시한 플로우차트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감시제어시스템의 작동모습을 예를 들어 보인 모식도이다.

Claims (7)

  1. 무선 신호를 발신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발광기구와, 발광기구의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모듈과, 제어모듈의 제어신호를 발ㆍ수신하는 발ㆍ수신모듈을 포함하되, 수신모듈은 하기 제어관리서버에서 발신한 신호와 휴대단말기에서 발신한 무선신호를 선별하는 수신호 선별수단과, 무선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는 수신호세기 감지수단을 포함하고, 조명등에 각각 설치되는 조명등 관리단말기; 조명등 관리단말기와 통신하면서 조명등의 정보데이터와 수신호 세기데이터를 수신하는 발수신모듈과, 조명등의 정보데이터와 수신호 세기데이터를 이용해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추적모듈과, 조명등 관리단말기를 제어ㆍ관리하는 조명등 관리모듈과, 조명등의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조명등 위치정보 DB를 구비한 제어관리서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휴대한 대상자의 바이탈 사인을 측정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감지센서로부터 전송된 바이탈 사인에 대한 데이터를 휴대단말기에 입력된 ID와 병합하여 결과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통신모듈로 전송하여 발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감지센서는 공기의 조성비를 확인하여 해당 데이터를 제어모듈로 전송하고, 제어모듈은 정상 공기의 조성비 정보를 저장하면서 상기 데이터와 비교해 현 공기의 조성비가 정상 공기의 조성비를 벗어날 경우, 상기 데이터와 ID를 병합한 결과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관리서버는, 대상자의 정보와 휴대단말기의 ID를 등록 저장하는 사용자정보DB와, 휴대단말기로부터 발신된 ID를 확인하여 사용자정보DB에서 대상자의 정보를 검색하는 사용자정보 검색모듈과, 유관기관의 통신망에 접속 통신하면서 대상자의 위치와 정보를 전송하는 통지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조명 관리시스템을 기반으로 인명구조 및 구급 신고가 가능한 유비쿼터스 방식의 네트워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 위치정보 DB는, 해당하는 조명등들이 설치되는 지역의 지도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관리서버는, 상기 위치추적모듈을 통해 추적된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상기 지도이미지 데이터 상에 표시하는 이미지제작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조명 관리시스템을 기반으로 인명구조 및 구급 신고가 가능한 유비쿼터스 방식의 네트워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맥박, 체온, 호흡, 혈압, 심전도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바이탈 사인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조명 관리시스템을 기반으로 인명구조 및 구급 신고가 가능한 유비쿼터스 방식의 네트워크 시스템.
  4. 제 1 항에 잇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감지센서와 제어모듈과 통신모듈을 덮어 보호하면서 대상자가 ID 또는 바이탈 사인의 기준치를 입력하여 제어모듈에 저장할 수 있는 입력수단을 포함하는 본체; 본체와 연결되며 대상자의 손목을 감싸 고정되는 벨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감지센서는, 피부와 접하는 본체의 일면에 배치되는 맥박감지기와, 맥박감지기에 감지된 박동 횟수를 카운트하여 해당 데이터를 제어모듈로 전송하는 카운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조명 관리시스템을 기반으로 인명구조 및 구급 신고가 가능한 유비쿼터스 방식의 네트워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제어모듈과 통신모듈을 덮어 보호하면서 대상자가 ID 또는 바이탈 사인의 기준치를 입력하여 제어모듈에 저장할 수 있는 입력수단을 포함하는 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감지센서는, 중공을 갖는 루프형상을 이루고 상기 중공으로 공기를 강제 유입시키는 가스유입기와, 신체의 말단에 맥박을 감지하는 맥박감지기를 포함하면서 팔을 압박하는 압박대; 맥박감지기로부터 맥박이 정지됨을 확인하면 압박대의 중공 내 기압을 측정하여 해당 데이터를 제어모듈로 전송하는 기압계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조명 관리시스템을 기반으로 인명구조 및 구급 신고가 가능한 유비쿼터스 방식의 네트워크 시스템.
  6. 제 1 항, 제 4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대상자의 조작에 의해 임의로 데이터를 형성시키고, 제어모듈은 상기 데이터를 ID와 병합하여 결과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강제하는 비상호출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조명 관리시스템을 기반으로 인명구조 및 구급 신고가 가능한 유비쿼터스 방식의 네트워크 시스템.
  7. 삭제
KR1020080027442A 2008-03-25 2008-03-25 도시조명 관리시스템을 기반으로 인명구조 및 구급 신고가가능한 유비쿼터스 방식의 네트워크 시스템 KR100874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442A KR100874839B1 (ko) 2008-03-25 2008-03-25 도시조명 관리시스템을 기반으로 인명구조 및 구급 신고가가능한 유비쿼터스 방식의 네트워크 시스템
PCT/KR2009/001521 WO2009120018A2 (ko) 2008-03-25 2009-03-25 도시조명 관리시스템을 기반으로 인명구조 및 구급 신고가 가능한 유비쿼터스 방식의 네트워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442A KR100874839B1 (ko) 2008-03-25 2008-03-25 도시조명 관리시스템을 기반으로 인명구조 및 구급 신고가가능한 유비쿼터스 방식의 네트워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4839B1 true KR100874839B1 (ko) 2008-12-18

Family

ID=40372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7442A KR100874839B1 (ko) 2008-03-25 2008-03-25 도시조명 관리시스템을 기반으로 인명구조 및 구급 신고가가능한 유비쿼터스 방식의 네트워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74839B1 (ko)
WO (1) WO2009120018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150B1 (ko) * 2009-09-07 2010-08-16 주식회사 알에프테크윈 능동형 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한 긴급구조시스템
KR101202292B1 (ko) 2010-03-02 2012-11-19 강원식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46596A (zh) * 2016-05-05 2017-11-14 浙江万昇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儿童位置跟踪智能灯柱***及跟踪方法
CN107770729B (zh) * 2017-10-27 2021-03-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信号强度提示方法以及相关产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1955A (ja) 2001-02-28 2002-09-13 Toshiba Corp 緊急通報システム
KR100787148B1 (ko) * 2006-06-27 2007-12-21 이국진 신체상태 무인 송출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333A (ko) * 2001-06-11 2002-12-18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긴급 호출 장치와 이를 이용한 긴급 구조 서비스 장치 및긴급 구조 서비스 방법
KR20040020597A (ko) * 2002-08-31 2004-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응급 환자 구호 시스템 및 구호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1955A (ja) 2001-02-28 2002-09-13 Toshiba Corp 緊急通報システム
KR100787148B1 (ko) * 2006-06-27 2007-12-21 이국진 신체상태 무인 송출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150B1 (ko) * 2009-09-07 2010-08-16 주식회사 알에프테크윈 능동형 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한 긴급구조시스템
KR101202292B1 (ko) 2010-03-02 2012-11-19 강원식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20018A2 (ko) 2009-10-01
WO2009120018A3 (ko) 200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78252B2 (en) Personal monitoring and emergency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KR101090086B1 (ko) 생체신호 측정단말기, 이를 이용한 응급구호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응급구호 시스템
US7652569B2 (en) Mobile telephonic device and base station
US20090322513A1 (en) Medical emergency alert system and method
RU2642044C2 (ru) Способ содействия оказанию помощи в бедственных ситуациях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ая система
JP4706040B2 (ja) 生命危機緊急通報システム
US20160093197A1 (en) Personal Monitoring And Emergency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KR101751274B1 (ko) 착용 가능한 무선단말을 이용한 대상자 관리시스템 및 방법
CN102982654B (zh) 一种便携式智能化老人看护仪
KR101897236B1 (ko)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실시간 사고예방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스마트밴드
KR20080109371A (ko) 응급 구조구난 시스템
KR101871158B1 (ko) 신발 위치 추적을 통한 보호대상자 관리시스템
KR100874839B1 (ko) 도시조명 관리시스템을 기반으로 인명구조 및 구급 신고가가능한 유비쿼터스 방식의 네트워크 시스템
ITTO20130022A1 (it) Sistema per la segnalazione di pericolo derivante da esposizione a inquinanti atmosferici di un soggetto, relativo procedimento e dispositivo mobile
KR101485449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사용자 간의 협조에 의한 응급 상황 대응 서비스 제공 방법
CN205486660U (zh) 用于独居老人的保护装置
KR101816380B1 (ko) 빅 데이터 및 전자 발찌를 이용한 성범죄자 감시 및 알림 시스템과 그 방법
WO2019158954A1 (en) A wearable alarm device and a method of use thereof
CN103716479B (zh) 突发健康事件家庭报警***
KR101997225B1 (ko) 노약자 안심케어 시스템
CN109377718A (zh) 报警手环及报警手环***
KR101388984B1 (ko) 인명 구조용 경보 시스템
CN109716412A (zh) 用于监视至少一个用户的身体状况的***以及用于监视用户的身体状况的方法
KR20170077708A (ko) 고령 인구의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16241A (ko) 스마트 돌보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