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2583B1 - 표면 보호 필름 - Google Patents

표면 보호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2583B1
KR101162583B1 KR1020107029682A KR20107029682A KR101162583B1 KR 101162583 B1 KR101162583 B1 KR 101162583B1 KR 1020107029682 A KR1020107029682 A KR 1020107029682A KR 20107029682 A KR20107029682 A KR 20107029682A KR 101162583 B1 KR101162583 B1 KR 101162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on film
surface protection
density polyethylene
layer
olef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9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7721A (ko
Inventor
가즈노리 고바시
다카시 모리야
요시타카 사토
Original Assignee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01750A external-priority patent/JP4525811B2/ja
Application filed by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27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7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5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polyolefins obtained by a metallocene or single-site cataly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32B2250/242All polymers belonging to those covered by group B32B27/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04Crystal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D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 자재, 전기?전자 분야 등에서 사용되는 각종 수지판, 유리판, 금속판 등의 표면을 보호하는 목적에서 그 표면에 첩착하여, 보관, 운반, 후가공시에 피착체를 흠집, 오염 등으로부터 지키는 표면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표면 보호 필름의 점착층에 사용하는 수지로서, 결정성 올레핀 블록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와, 밀도가 0.880~0.938g/cm3인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특정 비율로 혼합한 수지를 주성분으로서 사용함으로써, 피착체 표면에의 오염이 극히 적고, 2차 가공 적성도 뛰어난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표면 보호 필름{SURFACE PROTECTION FILM}
본 발명은, 각종 수지판, 유리판, 금속판 등의 표면을 보호하는 목적에서 사용되는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특히, 필름 박리 후의 피착체 표면에의 풀남음 등의 오염이 극히 적고, 피착체의 2차 가공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다.
표면 보호 필름은, 건축 자재나 전기?전자 분야 등에서 사용되는 각종 수지판, 유리판, 금속판 등의 표면에 첩착(貼着)하여, 이들 피착체 표면을 흠집이나 오염 등으로부터 지키는 목적에서 사용되는 것이다. 표면 보호 필름에 대한 다양한 요구 성능을 만족시키는 목적에서, 이제까지 다수의 발명이 보고되어 왔다. 표면 보호 필름에 대한 요구 성능의 하나로, 필름 박리 후의 피착체 표면에의 풀남음에 의한 오염의 극소화가 있다. 필름 박리 후에 피착체에 인쇄 등의 2차 가공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눈으로 보아 확인이 불가능한 정도의 미세한 오염만으로도 그 가공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매우 높은 레벨의 풀남음 저감화가 요구된다. 이외의 요구 성능으로서는, 필름을 롤상으로 권취(捲取)한 후, 풀어내어 사용할 때에 필름의 접촉면끼리가 간단하게 벗겨지지 않게 되는 고착 현상, 소위 블로킹이 없는 것, 필름이 피착체에 첩착된 상태에서 가열 가공 등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피착체로부터의 들뜸이나 벗겨짐이 없는 것, 필름 첩착 후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접착 강도의 증가, 소위 접착 항진(亢進)이 없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실제로 사용되는 현장에서, 표면 보호 필름을 각종 피착체에 첩착한 상태에서 보관, 운반된 후에, 피착체로부터 당해 보호 필름을 한번 벗기고, 피착체의 표면 상태 등을 검사하고 나서, 재차 당해 표면 보호 필름을 첩착하여 후가공 등에 제공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사용 현장에서 점착면끼리가 호착(互着)하면 점착면끼리의 접착성이 강고한 경우, 당해 호착부를 박리하려고 하면 점착면에 백화, 면거칠음이 생기는 경우가 있어, 용이하게 호착부를 박리하여, 재차 피착체에 표면 보호 필름을 첩착할 수 있는 핸들링성이 떨어지는 등의 새로운 문제가 생기고 있다. 이들을 겸비하기 위해서는, 점착층의 점착 성능을 적절하게 조정하는 것은 물론, 점착층과 기재층과의 친화성을 고려하여 적당한 수지의 조합을 선택하는 등, 다양한 기술적 궁리가 필요하게 된다.
표면 보호 필름의 종래 기술로서는, 표면 보호 필름의 접착 항진의 억제를 도모한 예로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층과, 비결정성 올레핀 공중합체, 결정성 올레핀계 중합체 및 결정성 올레핀 블록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점착층을 갖는 공압출 적층 필름(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표면 보호 필름이 피착체에 첩착된 상태에서의 가열 가공성의 개량을 도모한 예로서, 결정성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기재층과, 비결정성 α-올레핀계 공중합체 및 결정성 프로필렌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점착층을 갖는 공압출 적층 필름(예를 들면, 특허문헌2 참조), 표면 보호 필름이 피착체에 첩착된 상태에서의 가열 가공성과, 필름을 롤상으로 권취한 후, 풀어내어 사용할 때의 블로킹의 억제를 도모한 예로서,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및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표면층과, 결정성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기재층과, 비결정성 α-올레핀계 공중합체 및 결정성 프로필렌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점착층을 갖는 공압출 적층 필름(예를 들면, 특허문헌3 참조)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기술에 있어서는, 확실히, 필름의 접착 항진의 억제, 필름이 피착체에 첩착된 상태에서의 가열 가공성, 필름 권취 후의 블로킹의 억제 등에 대해서는 효과가 보이지만, 어느 기술로도, 필름 박리 후의 피착체 표면에의 풀남음에 의한 오염의 극소화에 관해서는 불충분하며, 필름 박리 후의 피착체의 2차 가공성에 문제가 있었다. 또한 표면 보호 필름이 호착했을 때의 박리성에 관해서도 충분히 해결되어 있지 않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1 : 일본 특개2006-257247호 공보
특허문헌2 : 일본 특개2007-130872호 공보
특허문헌3 : 일본 특개2008-68564호 공보
[발명의 개요]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표면 보호 필름 박리 후의 피착체 표면에의 풀남음 등의 오염이 극히 적고, 피착체의 2차 가공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하는 것, 또한, 표면 보호 필름의 점착면끼리가 호착한 경우에 있어서도 박리성이 양호하고 핸들링성이 뛰어난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자 예의 연구한 결과, 표면 보호 필름이, 결정성 올레핀 블록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와, 밀도가 0.880~0.938g/cm3인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점착층을 갖는 경우, 필름 박리 후의 피착체 표면에의 오염이 극히 적고, 피착체의 2차 가공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표면 보호 필름이 되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점착층(A)과 기재층(B)을 적층한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당해 점착층(A)이, 결정성 올레핀 블록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A1)와, 밀도가 0.880~0.938g/cm3인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A2)을 당해 점착층(A)을 구성하는 성분의 전 질량에 대해 50질량% 이상 함유하고, 또한 결정성 올레핀 블록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A1)와, 밀도가 0.880~0.938g/cm3인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A2)과의 합계 질량의 5~80질량%가 결정성 올레핀 블록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A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건축 자재나 전기?전자 분야 등에서 사용되는 각종 수지판, 유리판, 금속판 등의 표면에 첩착하고, 이들 피착체 표면을 흠집이나 오염 등으로부터 지키는 목적에서 사용되는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필름을 롤상으로 권취한 후에 다시 풀어내어 사용할 때에 블로킹이 없어, 필름이 피착체에 첩착된 상태에서 가열 가공 등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피착체로부터의 들뜸이나 벗겨짐이 없는 등의 높은 내열성을 갖고, 필름 첩착 후의 접착 항진이 없고, 필름 박리 후의 피착체 표면에의 풀남음에 의한 오염이 매우 적기 때문에, 피착체의 2차 가공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용 가치가 높은 표면 보호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점착층에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병용하는 경우에는, 표면 보호 필름의 점착면끼리가 호착한 경우에도 박리성이 뛰어남과 함께, 박리 후의 점착면에 면거칠음이나 백화 등이 일어나지 않고, 다시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을 구성하는 점착층(A)은, 결정성 올레핀 블록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A1)와 밀도가 0.880~0.938g/cm3인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A2)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당해 점착층(A)을 구성하는 성분 전량에 대해, 상기 결정성 올레핀 블록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A1)와 상기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A2)과의 합계 질량이 50질량% 이상으로 함유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특히 피착체에의 풀남음의 저감 및 저오염성을 중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블록 공중합체(A1)와 상기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A2)의 합계 질량이 80질량% 이상으로 함유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서 사용하는 상기 결정성 올레핀 블록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A1)는, 결정성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블록(I)과 결정성을 갖지 않는 그 밖의 블록(Ⅱ)을 갖는 공중합체이며, 바람직하게는, 당해 그 밖의 블록(Ⅱ)으로서 공역 디엔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블록을 갖는 것이다. 또한, 당해 공중합체의 구성으로서는, 후술하는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A2)과 조합하여 점착층(A)용 수지로서 사용했을 때에 얻어지는 표면 보호 필름의 점착성과 풀남음성과의 성능 밸런스가 특히 뛰어난 점에서, (I-Ⅱ)n1 또는 (I-Ⅱ)n2-(I)(n1, n2는 1 이상의 정수이다)로 표시되는, 폴리머쇄의 적어도 하나의 말단이 결정성 올레핀 블록(I)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결정성 올레핀 블록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A1)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3-128957호 공보나 일본 특개평8-231786호에서 제공되어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1,2-비닐 결합 함유율이 낮은(예를 들면 25% 이하) 폴리부타디엔 중합체 블록과, 공역 디엔 화합물을 주체로 하는 중합체로서 1,2- 및 3,4- 결합 함유율이 높은(예를 들면 50% 이상) 중합체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를 합성하고, 이것을 수소 첨가함으로써 당해 폴리부타디엔 부분을 폴리에틸렌과 유사의 구조로 함으로써 결정성의 중합체 블록으로 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공역 디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1,3-부타디엔, 이소프렌, 2,3-디메틸-1,3-펜타디엔, 2-메틸-1,3-펜타디엔, 1,3-헥사디엔, 4,5-디에틸-1,3-옥타디엔, 3-부틸-1,3-옥타디엔, 클로로프렌 등을 들 수 있고, 공업적 입수 용이성의 관점에서, 1,3-부타디엔, 이소프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결정성 올레핀 블록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결정성 올레핀-에틸렌?부틸렌 공중합체-결정성 올레핀의 구성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이하, CEBC로 약기한다)로서 JSR가부시키가이샤제 「다이나론 6200P」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을 구성하는 점착층(A)은, 결정성 올레핀 블록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A1)에 더하여, 밀도가 0.880~0.938g/cm3인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A2)을 주성분의 하나로 한다.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A2)의 밀도가 0.898~0.925g/cm3의 것을 사용하면,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표면 보호 필름의 접착 항진의 억제 효과와 점착성과의 밸런스가 양호하게 되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그 멜트 플로우 레이트[JIS K7210:1999에 준거하여, 190℃, 21.18N으로 측정한 값. 이하 「MFR(190℃)」로 나타낸다]가, 0.5~30.0g/10분의 범위이면, 필름의 성막성이 향상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MFR이 2.0~15.0g/10분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을 구성하는 점착층(A)이, 그 주성분으로서, 결정성 올레핀 블록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A1)와, 밀도가 0.880~0.938g/cm3인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A2)을 병용함으로써, 필름 박리 후의 피착체 표면에의 오염을 극소화하여, 피착체 표면의 2차 가공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점착층(A) 중의, 결정성 올레핀 블록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A1), 밀도가 0.880~0.938g/cm3인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A2)의 사용 비율로서는, (A1)과 (A2)의 합계 질량의 5~80질량%가 결정성 올레핀 블록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A1)인 것을 필수로 한다. 사용 비율이 이 범위임으로써, 피착체 표면에의 저오염성과 점착력과의 밸런스를 유지하는 것이다. 즉, 상기 블록 공중합체(A1)의 사용 비율이 5질량% 미만에서는, 점착력이 부족하여, 첩착 후의 벗겨짐이나 들뜸이 생기기 쉬워져, 상기 블록 공중합체(A1)의 사용 비율이 80질량%를 초과하면 점착력이 강해지는 결과, 롤상으로 보관할 때의 블로킹이 일어나기 쉬워지거나, 피착체 표면에의 저오염성이 부족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의 점착층(B)에 사용하는 수지로서는, 상술한 블록 공중합체(A1)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A2)을 합계하여 50질량% 이상으로 함유하면 좋고, 그 밖의 수지류, 특히 그 밖의 올레핀계 중합체를 더 함유하여 있어도 좋다. 이 때, 또한 점착면끼리의 호착이 생긴 경우의 박리 용이성, 박리 후의 재사용 가능성의 점에서는 프로필렌계 중합체(A3)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A3)는, 예를 들면,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텐-1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부텐-1 공중합체, 메탈로센 촉매계 폴리프로필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또한, 이들 프로필렌계 중합체(A3)는, 230℃의 MFR이 0.5~30.0g/10분이고, 융점이 120~165℃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30℃의 MFR이 2.0~15.0g/10분이고, 융점이 125~162℃의 것이다. 230℃의 MFR 및 융점이 이 범위이면, 피착체에 첩착된 후의 건조, 가열 성형 등에 의해 고온 환경에 노출되어도 필름의 수축이 적기 때문에, 들뜸이나 벗겨짐이 없고, 피착체에 휨을 발생시키지도 않고, 또한, 필름의 성막성도 향상한다.
또한, 상기 점착층(A)에 사용하는 프로필렌계 중합체(A3) 중에서도, 메탈로센 촉매계 폴리프로필렌이 바람직하다. 메탈로센 촉매계 폴리프로필렌은, 종래의 치글러?나타계 촉매 대신에, 메탈로센계 촉매를 사용하여 중합한 폴리프로필렌이다. 이 메탈로센계 촉매로서는, 예를 들면, 메탈로센 화합물과 알루미녹산을 함유하는 메탈로센 균일 혼합 촉매, 미립자상의 담체(擔體) 위에 메탈로센 화합물이 담지(擔持)된 메탈로센 담지형 촉매 등을 들 수 있다. 메탈로센 담지형 촉매에 대해서는, 일본 특개평5-155931호 공보, 일본 특개평8-104691호 공보, 일본 특개평8-157515호 공보 및 일본 특개평8-231621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다. 메탈로센 촉매계 폴리프로필렌은, 분자량 분포 및 조성 분포의 균일성이 높고, 저분자량 성분의 함유량이 적기 때문에,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A3)에 메탈로센 촉매계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함으로써, 저분자량 성분의 블리드에 의한 피착체 표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메탈로센 촉매계 폴리프로필렌은,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이어도, 프로필렌과 다른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이어도 좋고, 프로필렌과 다른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의 예로서,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점착층(A)에 있어서, 결정성 올레핀 블록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A1)와, 밀도가 0.880~0.938g/cm3인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A2)과, 프로필렌계 중합체(A3)를 병용하는 경우, 그 합계 질량이 점착층(A)을 구성하는 성분의 전 질량에 대해 80질량% 이상인 것이, 얻어지는 표면 보호 필름의 성능 밸런스가 뛰어난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블록 공중합체(A1)와, 상기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A2)과,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A3)와의 합계 100질량부 중의 각 성분의 사용 비율(A1):(A2):(A3)가, 10~50:10~70:10~50의 범위인 것이, 점착력이 적정이면서, 점착면끼리의 호착시에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고, 또한 박리 후에 재사용 가능한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즉, (A1)의 사용 비율이 10질량% 이상이면 점착력이 충분하며, 50질량% 이하이면, 박리 후의 풀남음을 방지할 수 있다. (A2)의 사용 비율이 10질량% 이상이면, 호착시의 점착면의 백화나 면거칠음을 방지할 수 있고, 70질량% 이하이면, 적정한 점착력이 얻어지기 쉽다. 또한, (A3)의 사용 비율이 10질량% 이상이면, 호착시의 박리가 용이하게 되고, 50질량% 이하이면 박리 후의 백화?면거칠음을 방지하는 것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점착층(A)에 있어서, 피착체에의 저오염성, 내블로킹성,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실용적인 점착력을 겸비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성분(A1)과 성분(A3)을 병용하는 경우이어도, 그 혼합 비율을 관리함으로써 실용적인 표면 보호 필름이 얻어짐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성분(A1)과 성분(A3)만으로는, 수지 본래의 성질(유연성)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점착성의 제어가 어려워져, 공업적 생산에 있어서의 자유도가 좁고, 실용적이지 않는 점을 감안한 결과, 성분(A1)과 성분(A2)과의 병용, 또한 성분(A3)과의 병용이 바람직한 것을 알아냈다. 이 결과로서, 점착층(A)에는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그 밖의 수지나 각종 첨가제 등을 병용한 혼합물로 할 수도 있게 되었다. 그 밖의 수지류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종래, 공압출 적층법으로 필름을 얻는 경우에 사용되는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특히 올레핀계의 각종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을 구성하는 점착층(A)에 더하여 사용하는 기재층(B)을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열가소성 수지로서, 점착층(A)과의 공압출이 가능하면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을 구성하는 점착층(A)과의 친화성이 양호한 점에서 올레핀계 중합체(B1)를, 당해 기재층(B)을 구성하는 성분의 전 질량에 대해 65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B1)로서는, 에틸렌계 중합체나 결정성 프로필렌계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틸렌계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병용해도 좋다. 이들 에틸렌계 중합체를 기재층(B)으로서 사용한 경우에는, 피착체에 표면 보호 필름이 첩착된 상태에서 피착체를 절단 가공할 때에, 표면 보호 필름이 깔끔하게 절단되어, 실끌림(stringiness), 보풀 등의 외관 불량을 생기지 않는 양호한 절단성이 발현한다. 또한, 이들 중에서도, 내열성이 양호하므로,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고밀도 폴리에틸렌과의 혼합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에틸렌계 중합체는, MFR(190℃)이 0.5~30.0g/10분인 것이, 압출 성형이 용이하게 되므로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MFR이 2.0~15.0g/10분의 것이다. 또한, 이들 에틸렌계 중합체가, 융점이 90~135℃의 것이면, 피착체에 첩착된 후의 건조, 가열 성형 등에 의해 고온 환경에 노출되어도 필름의 수축이 적기 때문에, 피착체로부터의 들뜸이나 벗겨짐, 피착체의 휨 등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융점이 105~130℃의 것이다.
상기 결정성 프로필렌계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텐-1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부텐-1 공중합체, 메탈로센 촉매계 폴리프로필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병용해도 좋다. 이들 결정성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기재층(B)으로서 사용한 경우에는, 표면 보호 필름의 내열성이 향상하여, 첩착 후에 가열 가공되는 용도 등에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중에서도, 메탈로센 촉매계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메탈로센 촉매계 폴리프로필렌은 분자량 분포 및 조성 분포의 균일성이 높고, 저분자량 성분의 함유량이 적기 때문에, 상기 기재층(B)의 주성분으로서 사용한 경우, 저분자량 성분의 블리드에 의한 피착체 표면의 오염이 저감되기 때문이다. 또, 본원에 있어서 결정성이란 DSC(시차 주사 열량 측정)에 있어서 95~250℃의 범위에서 0.5J/g 이상의 피크를 갖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또, 메탈로센 촉매계 폴리프로필렌은,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이어도, 프로필렌과 다른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이어도 좋다.
또한, 이들 결정성 프로필렌계 중합체는, MFR(230℃)이 0.5~30.0g/10분이고, 융점이 120~165℃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MFR(230℃)이 2.0~15.0g/10분이고, 융점이 125~162℃의 것이다. MFR 및 융점이 이 범위이면, 피착체에 첩착된 후의 건조, 가열 성형 등에 의해 고온 환경에 노출되어도 필름의 수축이 적기 때문에, 피착체로부터의 들뜸이나 벗겨짐, 피착체의 휨 등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고, 또한, 적층 필름의 성막성도 향상한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은, 상술한 점착층(A)과 기재층(B)과의 2층으로 구성되는 것이어도 좋고, 이들에 더하여 표면층(C)을 마련해도 상관없다. 이 때, 표면층(C)은 기재층(B) 위의 점착층(A)과 반대측의 면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에 사용하는 표면층(C)의 주성분이 되는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로서, 점착층(A) 및 기재층(B)과의 공압출이 가능하면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기재층(B)과의 친화성이 양호한 점에서 올레핀계 중합체(C1)를 당해 표면층(C)을 구성하는 성분의 전 질량에 대해 65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기재층(B)의 주성분이 에틸렌계 중합체의 경우에는 에틸렌계 중합체를, 기재층(B)의 주성분이 결정성 프로필렌계 중합체인 경우에는 결정성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표면층(C)의 수지 성분으로서 사용하는 에틸렌계 중합체로서는, 상기 기재층(B)으로 사용하는 에틸렌 중합체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표면층(C)의 수지 성분으로서 에틸렌계 중합체를 선택함으로써, 기재층(B)의 수지 성분으로서 에틸렌 중합체를 사용한 경우와 같이,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표면 보호 필름의 높은 절단성이 발현한다.
상기 표면층(C)의 수지 성분으로서 사용하는 에틸렌계 중합체 중에서도,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면, 표면층(C)의 표면을 배껍질 형상으로 개질하는 것이 용이하다. 표면층(C)의 표면을 배껍질 형상으로 함으로써, 점착층(A)의 점착력을 강하게 설계한 경우이어도 블로킹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함께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병용하면, 얻어지는 표면 보호 필름의 강성을 올릴 수 있어, 첩착?박리 등의 작업성이 양호하게 된다.
또한, 상기 표면층(C)의 수지 성분으로서, 상기 에틸렌계 중합체와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와의 혼합 수지를 사용해도, 표면층(C)의 표면을 배껍질 형상으로 개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란, 프로필렌과 에틸렌을 블록 중합한 수지이면 좋고, 예를 들면,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존재 하에서, 에틸렌의 중합, 또는 에틸렌 및 프로필렌의 중합을 행하여 얻어지는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표면을 배껍질 형상으로 하는 것이 용이하므로, 에틸렌 유래 성분 함유율이 8~20질량%인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고, 에틸렌 유래 성분의 함유율이 10~15질량%의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이, 에틸렌계 중합체와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와의 혼합 수지의 MFR(230℃)은 4~12g/10분의 범위인 것이 압출 가공하기 쉬운 점에서 바람직하고, 6~10g/10분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당해 혼합 수지의 밀도는 0.890~0.910g/cm3의 범위인 것이 압출 가공하기 쉬운 점에서 바람직하고, 0.895~0.905g/cm3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표면층(C)의 수지 성분으로서 사용하는 결정성 프로필렌계 중합체로서는, 상기 기재층(B)의 수지 성분으로서 사용하는 결정성 프로필렌 중합체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표면층(C)의 수지 성분으로서 결정성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선택함으로써, 기재층(B)의 수지 성분으로서 결정성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사용한 경우와 같이,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표면 보호 필름의 높은 내열성이 발현한다.
또한, 표면층(C)의 수지 성분으로서, 상기 결정성 프로필렌계 중합체와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 엘라스토머(이하, 「EPR」이라 한다)와의 혼합 수지를 사용하면, 표면층(C)을 배껍질 형상으로 용이하게 개질할 수 있다. 이 때 사용하는 결정성 프로필렌계 중합체로서는, 범용성이 높은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이하, 「HOPP」라 한다)가 바람직하다. 한편, 이 때 사용하는 EPR로서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40만~100만의 범위인 것이 필름 표면에 요철을 형성시켜, 표면을 배껍질 형상으로 개질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고, 50~80만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혼합 수지 중의 EPR의 함유율은, 5~35질량%의 범위인 것이 필름 표면을 균질하게 배껍질 형상으로 개질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 결정성 프로필렌계 중합체와 EPR과의 혼합 수지의 MFR(230℃)은, 0.5~15g/10분의 범위인 것이 압출 가공하기 쉬운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상기 EPR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당해 혼합 수지를, 오르토디클로로벤젠을 용매로서 사용하여, 40℃에 있어서 크로스 분별법에 의해 추출한 성분을 GPC(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산출하여 구한 것이다. 또한, 상기 혼합 수지 중의 EPR의 함유율은, 당해 혼합 수지를, 오르토디클로로벤젠을 용매로서 사용하여, 40℃에 있어서 크로스 분별법에 의해 추출된 EPR의 추출량에 의해 구한 것이다.
상기 결정성 프로필렌계 중합체와 EPR과의 혼합 수지의 제조 방법은, 특히 제한은 없고, 구체예로서 예를 들면,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엘라스토머를, 각각 별도로 치글러형 촉매를 사용하여 용액 중합법, 슬러리 중합법, 기상 중합법 등에 의해 제조한 후, 양자를 혼련기로 혼합하는 방법이나, 2단 중합법에 의해, 1단째에서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생성시킨 후, 2단째에서 이 중합체의 존재 하에서 EPR을 생성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치글러형 촉매는, 소위 치글러?나타 촉매이며, 티탄 함유 화합물 등의 전이금속 화합물, 또는 마그네슘 화합물 등의 담체에 전이금속 화합물을 담지시킴으로써, 얻어지는 담체 담지 촉매와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 등의 유기 금속 화합물의 조촉매(助觸媒)를 조합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은, 전 필름 두께가 20~120㎛의 것이 바람직하다. 전 필름의 두께가 이 범위이면, 첩착?박리 등의 작업성이 양호하게 된다. 또한, 점착층(A)의 두께는, 3~3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25㎛이다. 점착층(A)의 두께가 이 범위이면, 상기 점착 특성에 더하여, 적층 필름의 성막성이 양호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에 상기 표면층(C)을 마련하는 경우는, 표면층의 두께는 3~3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20㎛이다. 표면층의 두께가 이 범위이면, 내열성 및 적층 필름의 성막성이 양호하게 된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공압출 적층법이면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2대 이상의 압출기를 사용하여 각 수지층에 사용하는 수지를 용융하여, 멀티매니폴드법, 피드 블록법 등의 공압출법에 의해 용융 상태에서 적층한 후, 임플레이션, T-다이?칠 롤법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필름상으로 가공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T-다이?칠 롤법의 경우, 고무 터치 롤이나 스틸 밸트 등과 칠 롤 사이에서, 용융 적층된 필름을 닙핑하여 냉각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을 1축 연신 필름 또는 2축 연신 필름으로 해도 상관없다. 적어도 1축 방향으로 연신함으로써 기재층이 배향 결정화되어, 열고정에 의한 구조 안정화가 도모된다. 이것에 의해, 내열성이 향상하여, 점착력의 경시 변화가 작아지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활제, 블로킹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대전 방지제, 방담제(防曇劑), 착색제 등을 적절히 첨가해도 좋다. 이들의 첨가제로서는, 올레핀계 수지용의 각종 첨가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1)
표면층용 수지로서, 프로필렌계 혼합 수지[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및 EPR로 이루어지는 수지, MFR(230℃) : 4.0g/10분, EPR의 함유율 : 11질량%, EPR의 중량평균 분자량 55만]를 사용하고, 기재층용 수지로서, 메탈로센 촉매계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밀도 : 0.900g/cm3, MFR(230℃, 21.18N) : 7.0g/10분, 에틸렌 단량체 단위의 함유율 : 3.5질량%; 이하, 「메탈로센 촉매계 COPP」라 한다〕를 사용하며, 점착층용 수지로서, JSR가부시키가이샤제 「다이나론6200P」〔밀도 : 0.88g/cm3, MFR(230℃) : 2.5g/10분: 이하 「CEBC」라 한다〕 10질량부 및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밀도 : 0.902g/cm3, MFR(190℃) : 3.0g/10분; 이하 「LLDPE(1)」라 한다〕 90질량부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표면층용 압출기(구경 30mm), 기재층용 압출기(구경 40mm) 및 점착층용 압출기(구경 30mm)에 각각 공급하여, 공압출법에 의해 압출 온도 250℃에서 T-다이로부터, 표면층의 두께가 10㎛, 기재층의 두께가 30㎛, 점착층의 두께가 10㎛가 되도록 압출하고, 40℃의 수냉 금속 냉각 롤로 냉각한 후, 롤에 권취,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은, 물리적 성질을 안정화하기 위해서, 35℃의 숙성실에서 48시간 숙성시켰다.
(실시예2)
점착층용 수지로서, CEBC를 30질량부 및 LLDPE(1) 70질량부의 혼합물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1과 같이 하여 실시예2의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3)
점착층용 수지로서, CEBC를 10질량부 및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밀도 : 0.920g/cm3, MFR(190℃) : 3.0g/10분; 이하 「LLDPE(2)」라 한다] 90질량부의 혼합물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1과 같이 하여 실시예3의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4)
점착층용 수지로서, CEBC를 30질량부 및 LLDPE(2) 70질량부의 혼합물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1과 같이 하여 실시예4의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5)
기재층용 수지로서, HOPP[밀도 : 0.900g/cm3, MFR(230℃) : 8.0g/10분]를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4와 같이 하여 실시예5의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6)
표면층용 수지로서, 프로필렌계 혼합 수지[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및 EPR로 이루어지는 수지, MFR(230℃) : 4.0g/10분, EPR의 함유율 : 30질량%, EPR의 중량평균 분자량 55만]를 사용하고, 점착층용 수지로서, CEBC를 50질량부 및 LLDPE(2) 50질량부의 혼합물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1과 같이 하여 실시예6의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7)
점착층용 수지로서, CEBC를 70질량부 및 LLDPE(2) 30질량부의 혼합물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6과 같이 하여 실시예7의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8)
기재층용 수지로서, HOPP를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7과 같이 하여 실시예8의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9)
표면층용 수지 및 기재층용 수지로서, 저밀도 폴리에틸렌[밀도 : 0.920g/cm3, MFR(190℃) : 6g/10분; 이하 「LDPE(1)」라 한다]를 사용하고, 점착층용 수지로서, CEBC를 10질량부 및 LLDPE(1) 90질량부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표면층의 두께가 14㎛, 기재층의 두께가 42㎛, 점착층의 두께가 14㎛가 되도록 압출한 이외는 실시예1과 같이 하여 실시예9의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10)
점착층용 수지로서, CEBC를 30질량부 및 LLDPE(1) 70질량부의 혼합물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9와 같이 하여 실시예10의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11)
점착층용 수지로서, CEBC를 10질량부 및 LLDPE(2) 90질량부의 혼합물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9와 같이 하여 실시예11의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12)
점착층용 수지로서, CEBC를 30질량부 및 LLDPE(2) 70질량부의 혼합물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9와 같이 하여 실시예12의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13)
표면층용 수지로서, LDPE(1)를 50질량부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밀도 : 0.960g/cm3, MFR(190℃) : 5.5g/10분; 이하 「HDPE(1)」라 한다]를 50질량부의 혼합물을 사용하고, 점착층용 수지로서, CEBC를 50질량부 및 LLDPE(2) 50질량부의 혼합물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9와 같이 하여 실시예13의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14)
표면층 수지는 사용하지 않고, 점착층용 수지로서, CEBC를 70질량부 및 LLDPE(2) 30질량부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기재층의 두께가 56㎛, 점착층의 두께가 14㎛가 되도록 압출한 이외는 실시예9와 같이 하여 실시예14의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15)
기재층용 수지로서, 저밀도 폴리에틸렌(밀도 : 0.902g/cm3, MFR(190℃, 21.18N) : 4g/10분; 이하 「LDPE(2)」)과 고밀도 폴리에틸렌(밀도 : 0.960g/cm3, MFR(190℃, 21.18N) : 13g/10분; 이하 「HDPE(2)」)을 질량비로 50/50이 되도록 혼합하고, 점착층용 수지로서, CEBC 30질량부와 LLDPE(2) 70질량부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기재층용 압출기(구경 50mm) 및 점착층용 압출기(구경 40mm)에 각각 공급하여, 공압출법에 의해 압출 온도 250℃에서 T-다이로부터 기재층의 두께가 64㎛, 점착층의 두께가 16㎛가 되도록 압출한 이외는 실시예1과 같이 하여, 실시예15의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16)
표면층용 수지로서, LDPE(2)와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를 질량비로 95/5가 되도록 혼합하고, 기재용 수지로서, LDPE(2)와 HDPE(2)를 질량비로 50/50이 되도록 혼합하여 사용하며, 점착층용 수지로서, CEBC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밀도 : 0.902g/cm3, MFR(190℃, 21.18N) : 6g/10분; 이하 「LLDPE(3)」라 한다)을 질량비로 5/95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표면층용 압출기(구경 50mm), 기재층용 압출기(구경 50mm) 및 점착층용 압출기(구경 40mm)에 각각 공급하여, 공압출법에 의해 압출 온도 250℃에서 T-다이로부터 표면층의 두께가 16㎛, 기재층의 두께가 48㎛, 점착층의 두께가 16㎛가 되도록 압출한 이외는 실시예1과 같이 하여, 실시예16의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17)
표면층용 수지로서 HOPP와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를 질량비로 95/5가 되도록 혼합하고, 기재층용 수지로서 메탈로센 촉매계 COPP를 사용하며, 점착층용 수지로서, CEBC와 LLDPE(2)를 질량비로 30/70의 혼합물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16과 같이 하여 실시예17의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18)
점착층용 수지로서, CEBC와 LLDPE(3)와 메탈로센 촉매계 COPP를 질량비로 25/70/5의 혼합물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16과 같이 하여 실시예18의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19)
점착층용 수지로서, CEBC와 LLDPE(2)와 메탈로센 촉매계 COPP를 질량비로 40/40/20의 혼합물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15와 같이 하여 실시예19의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20)
점착층용 수지로서, CEBC와 LLDPE(2)와 메탈로센 촉매계 COPP를 질량비로 40/35/25의 혼합물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16과 같이 하여, 실시예20의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21)
점착층용 수지로서, CEBC와 LLDPE(2)와 메탈로센 촉매계 COPP를 질량비로 40/30/30의 혼합물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16과 같이 하여 실시예21의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22)
점착층용 수지로서, CEBC와 LLDPE(2)와 메탈로센 촉매계 COPP를 질량비로 35/40/25의 혼합물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16과 같이 하여 실시예22의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23)
점착층용 수지로서, CEBC와 LLDPE(3)와 메탈로센 촉매계 COPP를 질량비로 25/45/30의 혼합물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16과 같이 하여 실시예23의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24)
점착층용 수지로서, CEBC와 LLDPE(3)와 메탈로센 촉매계 COPP를 질량비로 25/50/25의 혼합물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16과 같이 하여 실시예24의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25)
점착층용 수지로서, CEBC와 LLDPE(2)와 메탈로센 촉매계 COPP를 질량비로 40/10/50의 혼합물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16과 같이 하여, 실시예25의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26)
점착층용 수지로서, CEBC와 LLDPE(2)와 메탈로센 촉매계 COPP를 질량비로 40/35/25의 혼합물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17과 같이 하여, 실시예26의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27)
점착층용 수지로서, CEBC와 LLDPE(2)와 메탈로센 촉매계 COPP를 질량비로 40/30/30의 혼합물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17과 같이 하여, 실시예27의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28)
점착층용 수지로서, CEBC와 LLDPE(3)와 메탈로센 촉매계 COPP를 질량비로 25/50/25의 혼합물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17과 같이 하여, 실시예28의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29)
점착층용 수지로서, CEBC와 LLDPE(2)와 메탈로센 촉매계 COPP를 질량비로 15/65/20의 혼합물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16과 같이 하여 실시예29의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30)
점착층용 수지로서, CEBC와 LLDPE(2)와 메탈로센 촉매계 COPP를 질량비로 30/60/10의 혼합물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16과 같이 하여 실시예30의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1)
점착층용 수지로서, 비결정성 프로필렌-부텐-1 공중합체 57질량부, 결정성 프로필렌-부텐-1 공중합체 3질량부 및 CEBC 40질량부의 혼합물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6과 같이 하여 비교예1의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2)
점착층용 수지로서, 비결정성 프로필렌-부텐-1 공중합체 49.4질량부, 결정성 프로필렌-부텐-1 공중합체 10.6질량부 및 CEBC 40질량부의 혼합물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6과 같이 하여 비교예2의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3)
점착층용 수지로서,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가부시키가이샤쿠라레이제 「셉톤2063」; 이하 「SEPS」라 한다) 50질량부 및 LLDPE(2) 50질량부의 혼합물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6과 같이 하여 비교예3의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4)
점착층용 수지로서, CEBC와 LLDPE(2)와 메탈로센 촉매계 COPP를 질량비로 30/10/60의 혼합물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16과 같이 하여 비교예4의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5)
점착층용 수지로서, CEBC와 메탈로센 촉매계 COPP와 비결정성 프로필렌-부텐-1 공중합체를 질량비로 40/10/50의 혼합물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16과 같이 하여 비교예5의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6)
점착층용 수지로서, CEBC와 메탈로센 촉매계 COPP를 질량비로 70/30의 혼합물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16과 같이 하여 비교예6의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표면 보호 필름의 평가 방법)
[점착력의 측정]
23℃, 50%RH의 항온실에 있어서, JIS Z0237:2000의 점착력 평가 방법에 준거하여, 상기에서 얻어진 표면 보호 필름을 두께2mm의 아크릴판(경면(鏡面) 마무리, 미쯔비시 레이온가부시키가이샤제 「아크릴라이트」)에 첩착했다. 필름이 첩착된 아크릴판을 23℃ 항온실 중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인장 시험기(가부시키가이샤에이?앤드?디제)를 사용하여, 300mm/분의 속도로 180° 방향으로 박리하여 초기 점착력을 측정했다. 또한, 필름을 첩착한 아크릴판을 50℃의 건조기 중에서 1일 방치한 후, 마찬가지로 점착력을 측정했다.
[점착성의 평가]
상기 점착력의 측정을 행할 때에, 아크릴판에 첩착한 표면 보호 필름의 아크릴판에의 첩착 상태를 눈으로 보아 확인하여, 하기의 기준에 의해 점착성의 평가를 행했다.
○ : 아크릴판 표면에의 균일한 밀착을 유지하고 있는 것.
× : 초기 점착력이 부족하여, 균일한 밀착이 유지되지 않고, 일부에 들뜸이 생긴 것.
[풀남음성의 평가]
23℃, 50%RH의 항온실에 있어서, JIS Z0237:2000에 준거한 방법으로, 표면 보호 필름을 세로15cm×폭5cm의 아크릴판(경면 마무리, 미쯔비시 레이온가부시키가이샤제 「아크릴라이트」)의 전면에 첩착했다. 필름이 첩착된 아크릴판을 60℃의 건조기 중에서 3일간 정치 후, 23℃ 항온실 중에서 1시간 냉각했다. 냉각된 시험편으로부터, 필름을 180° 방향으로 고속으로 손벗김하여, 아크릴판 표면의 오염 상황을 눈으로 보아 확인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풀남음성의 평가를 행했다.
○ : 아크릴판 표면에 흐림, 흰줄무늬, 이물 등의 오염 없음
△ : 아크릴판 표면에 흐림, 흰줄무늬, 이물 등의 어느 오염이 있지만 실용 사용할 만한 것
× : 아크릴판 표면에 흐림, 흰줄무늬, 이물 등의 어느 오염이 있고, 실용에는 부적합한 것
[아크릴판 표면의 젖음 장력의 측정]
필름 첩착 전의 시험편(아크릴판의 표면을 알코올로 세정하고, 건조시킨 시험편) 및 상기 풀남음의 평가에서 사용한 필름 박리 후의 시험편을 사용하여, JIS K6768:1999에 준거한 방법으로 아크릴판 표면의 젖음 장력을 측정했다. 필름 첩착 전의 시험편의 젖음 장력은 40mN/m이었다.
[표면 보호 필름 박리 후의 인쇄 적정 평가]
상기 아크릴판 표면의 젖음 장력의 측정값을 사용하여, 젖음 장력의 저하폭[(필름 첩착 전의 시험편의 젖음 장력 : 40mN/m)-(필름 박리 후의 시험편의 젖음 장력)]을 보호 필름 박리 후의 인쇄 적성의 대용 평가로서 평가했다. 또,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 : 젖음 장력의 저하폭이 2mN/m 이하
× : 젖음 장력의 저하폭이 2mN/m를 초과
[내블로킹성의 평가]
얻어진 표면 보호 필름을, A4의 크기(세로297mm×가로210mm)로 잘라냈다. 이 때, 필름 성막시의 압출 방향(MD 방향)과 A4 세로 방향이 일치하도록 잘라냈다. 잘라낸 필름을 10매 겹친 후, 그 상하를 A4 사이즈, 두께3mm의 염화비닐제의 판으로 끼고, 무게5kg의 추를 올려 40℃의 건조기 중에서 14일간 보관 후, 23℃, 50%RH의 항온실 내에서 1시간 보관했다. 이어서, 그 필름을 MD 방향으로 25mm폭으로 잘라내고, 인장 시험기(가부시키가이샤에이?앤드?디제)를 사용하여, 300mm/분의 속도로 180° 방향으로 박리하여 블로킹력을 측정했다. 얻어진 블로킹력으로부터, 이하의 기준에 의해 내블로킹성을 평가했다.
○ : 블로킹력이 0.8N/25mm 미만
× : 블로킹력이 0.8N/25mm 이상
[점착면끼리의 점착력 측정]
23℃, 50%RH의 항온실에 있어서, JIS Z0237:2000에 준거한 방법으로, 세로15cm×폭25mm로 이루어지는 2매의 표면 보호 필름의 점착면끼리를 첩착했다. 첩착된 필름을 23℃ 항온실 중에서 30분간 정치한 후, 인장 시험기(가부시키가이샤에이?앤드?디사제)를 사용하여, 300mm/분의 속도로 180° 방향으로 박리하여 점착면끼리의 접착력을 측정했다.
[점착면끼리의 접착, 박리 후의 점착면 상태]
23℃, 50%RH의 항온실에 있어서, JIS Z0237:2000에 준거한 방법으로, 세로15cm×폭25mm로 이루어지는 2매의 표면 보호 필름의 점착면끼리를 첩착했다. 첩착된 필름을 23℃ 항온실 중에서 30분간 정치한 후, 고속으로 손벗김하여, 점착면의 상황을 눈으로 보아 확인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점착면 상태를 평가했다.
○ : 점착면에 백화, 면거칠음이 없는 것
△ : 점착면에 백화, 혹은 면거칠음이 생겼지만 실용 사용할 만한 것
× : 점착면에 백화 및 면거칠음이 보이고, 실용에는 부적합한 것
상기 각 평가를 행한 결과를, 이하의 표 중에 기재한다. 또, 표면층을 마련하고 있지 않은 표면 보호 필름에 대해서는 당해 개소가 공란으로 되어 있다.
[표 1]
Figure 112010087446026-pct00001
[표 2]
Figure 112010087446026-pct00002
[표 3]
Figure 112010087446026-pct00003
[표 4]
Figure 112010087446026-pct00004
[표 5]
Figure 112010087446026-pct00005
[표 6]
Figure 112010087446026-pct00006
[점착 항진에 관하여]
각 실시예에서 얻은 표면 보호 필름의 점착력의 강약은, 주로 점착층의 차이에 기인하고 있어, 점착층의 조성에 따라 다양한 값을 취할 수 있지만, 어느 경우도 초기값과 「50℃×1일 후」의 값에 큰 차가 없어 접착 항진이 적다. 이것에 대해 각 비교예에서 얻은 표면 보호 필름은, 실시예에 비해 접착 항진이 크다.
[표면 보호 필름 박리 후의 피착체 표면의 오염에 관하여]
각 실시예에서 얻은 표면 보호 필름에서는, 필름 박리 후의 피착체에의 풀남음은 눈으로 보아서는 확인할 수 없었다. 또한, 필름 첩착 전과 필름 박리 후에서의 피착체 표면의 젖음 장력의 저하도 작고, 인쇄 적성을 저하시키지 않을 정도로까지 피착체 표면의 오염을 극소화할 수 있었다. 이것에 대해 각 비교예에서 얻은 표면 보호 필름에서는, 필름 박리 후의 피착체에의 풀남음을 눈으로 보아서도 확인할 수 있고, 필름 박리 후의 피착체 표면의 인쇄 적성이 각 실시예에 비해 저하하는 평가 결과가 얻어졌다.
[점착면끼리의 호착에 관하여]
점착층에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더 병용하는 것에 있어서는, 점착면끼리가 호착한 경우에 있어서도 박리가 용이하며, 또한 점착면에 거칠음 등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없고, 제조 공정의 도중에 표면 보호 필름의 착탈이 행해지는 사용 방법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이 사용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은, 최적의 미점착~중점착 레벨의 폭넓은 점착력을 갖고, 아크릴판에의 첩착 후의 들뜸, 벗겨짐 등의 발생도 없다. 특히 첩착한 아크릴판으로부터 필름을 박리했을 때에, 눈으로 보아 확인할 수 있는 흐림이나 줄무늬, 이물 등의 오염은 인정되지 않고, 표면 보호 필름을 박리한 후의 아크릴판 표면의 젖음 장력의 저하도 극히 적으므로, 표면 보호 필름을 박리한 후, 인쇄 등의 2차 가공이 실시되는 용도에 호적하다.

Claims (20)

  1. 점착층(A)과 기재층(B)을 적층한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당해 점착층(A)이,
    결정성 올레핀 블록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A1)와, 밀도가 0.880~0.938g/cm3인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A2)을, 당해 점착층(A)을 구성하는 성분의 전 질량에 대해 50질량% 이상 함유하고, 또한,
    결정성 올레핀 블록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A1)와, 밀도가 0.880~0.938g/cm3인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A2)과의 합계 질량의 5~80질량%가 결정성 올레핀 블록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A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성 올레핀 블록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A1)가, 결정성 올레핀-에틸렌?부틸렌 공중합체-결정성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CEBC)인 표면 보호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점착층(A)에 프로필렌계 중합체(A3)를 더 함유하는 표면 보호 필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A3)가 메탈로센 촉매계 폴리프로필렌인 표면 보호 필름.
  5. 제2항에 있어서,
    점착층(A)에 프로필렌계 중합체(A3)를 더 함유하는 표면 보호 필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A3)가 메탈로센 촉매계 폴리프로필렌인 표면 보호 필름.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A1)와 상기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A2)과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A3)와의 합계 100질량부 중의 각 성분의 사용 비율(A1):(A2):(A3)가, 10~50:10~70:10~50인 표면 보호 필름.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A1)와, 상기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A2)과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A3)와의 합계 100질량부 중의 각 성분의 사용 비율(A1):(A2):(A3)가, 10~50:10~70:10~50인 표면 보호 필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B)이, 올레핀계 중합체(B1)를 당해 기재층(B)을 구성하는 성분의 전 질량에 대해 65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인 표면 보호 필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B1)가,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결정성 프로필렌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올레핀계 중합체인 표면 보호 필름.
  11. 제1항에 있어서,
    표면층(C)을, 상기 점착층(A)의 반대면의 기재층(B) 위에 마련한 표면 보호 필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C)이, 올레핀계 중합체(C1)를 당해 표면층(C)을 구성하는 성분의 전 질량에 대해 65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인 표면 보호 필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C1)가,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올레핀계 중합체인 표면 보호 필름.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C1)가,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올레핀계 중합체와,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와의 혼합 수지인 표면 보호 필름.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B)이, 올레핀계 중합체(B1)를 당해 기재층(B)을 구성하는 성분의 전 질량에 대해 65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인 표면 보호 필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B1)가,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결정성 프로필렌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올레핀계 중합체인 표면 보호 필름.
  17. 제3항에 있어서,
    표면층(C)을, 상기 점착층(A)의 반대면의 기재층(B) 위에 마련한 표면 보호 필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C)이, 올레핀계 중합체(C1)를 당해 표면층(C)을 구성하는 성분의 전 질량에 대해 65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인 표면 보호 필름.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C1)가,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올레핀계 중합체인 표면 보호 필름.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C1)가,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올레핀계 중합체와,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와의 혼합 수지인 표면 보호 필름.
KR1020107029682A 2008-08-05 2009-07-27 표면 보호 필름 KR1011625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01750A JP4525811B2 (ja) 2008-08-05 2008-08-05 表面保護フィルム
JPJP-P-2008-201750 2008-08-05
JP2008211693 2008-08-20
JPJP-P-2008-211693 2008-08-20
PCT/JP2009/063326 WO2010016403A1 (ja) 2008-08-05 2009-07-27 表面保護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7721A KR20110027721A (ko) 2011-03-16
KR101162583B1 true KR101162583B1 (ko) 2012-07-10

Family

ID=41663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9682A KR101162583B1 (ko) 2008-08-05 2009-07-27 표면 보호 필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1162583B1 (ko)
CN (1) CN102112305A (ko)
TW (1) TW201008772A (ko)
WO (1) WO20100164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28010A1 (ja) * 2011-03-23 2012-09-27 アキレス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US20150010765A1 (en) * 2012-03-30 2015-01-08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olyolefin elastomer formulations
KR101496028B1 (ko) * 2013-08-28 2015-02-25 삼성토탈 주식회사 보호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보호필름
CN106103089B (zh) * 2014-02-28 2018-10-16 东丽薄膜先端加工股份有限公司 加热工序用表面保护膜
CN104497900B (zh) * 2014-12-01 2016-09-28 张家港康得新光电材料有限公司 一种自粘保护膜及其在粘合保护光面pc板中的应用
CN104789142B (zh) * 2015-03-24 2017-09-26 昆山金华安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玻璃专用聚乙烯保护膜
CN114507486B (zh) * 2020-11-16 2024-02-20 象山激智新材料有限公司 一种耐高温保护膜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6256A (ja) 1998-12-22 2000-07-04 Sekisui Chem Co Ltd 樹脂板用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6104246A (ja) 2004-10-01 2006-04-20 Sumitomo Chemical Co Ltd 粘着用積層体
JP2007076127A (ja) 2005-09-14 2007-03-29 Tohcello Co Ltd 粘着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0216A (ja) * 1993-02-16 1994-08-30 Sekisui Chem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
US7328547B2 (en) * 2004-10-29 2008-02-12 Bostik, Inc. Process for packaging plastic materials like hot melt adhesives
JP2006257247A (ja) * 2005-03-16 2006-09-28 Tohcello Co Ltd 粘着フィルム
JP4934422B2 (ja) * 2006-12-28 2012-05-16 日本ポリエチレン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6256A (ja) 1998-12-22 2000-07-04 Sekisui Chem Co Ltd 樹脂板用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6104246A (ja) 2004-10-01 2006-04-20 Sumitomo Chemical Co Ltd 粘着用積層体
JP2007076127A (ja) 2005-09-14 2007-03-29 Tohcello Co Ltd 粘着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7721A (ko) 2011-03-16
WO2010016403A1 (ja) 2010-02-11
CN102112305A (zh) 2011-06-29
TW201008772A (en) 2010-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2583B1 (ko) 표면 보호 필름
WO2013099778A1 (ja) レーザーダイシング用フィルム基材、レーザーダイシング用フィルム、及び電子部品の製造方法
CA2580686C (en) Thermoplastic olefin polymer blend and adhesive films made therefrom
WO2009010079A1 (en) Films for label facestock
JP6506556B2 (ja) 自己粘着性表面保護フィルム
KR20130129210A (ko) 점착성 수지 조성물 및 점착 필름
JP2007185781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US8815377B2 (en) Multi-layer opaque films, articles including such films, and uses thereof
JP5738191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8246947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6323690B2 (ja) 自己粘着性表面保護フィルム
JP4529100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6508383B2 (ja) 自己粘着性表面保護フィルム
JP4525811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3124293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6515917B2 (ja) 自己粘着性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9184216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4937704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5619390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6210898A (ja) 半導工程用粘着フィルムに使用する基材フィルム
JP4855302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KR100656264B1 (ko) 폴리올레핀 수지조성물 및 필름
JP2023134934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22093019A (ja) 複層フィルム、粘着フィルム及び半導体製造工程用粘着フィルム
JP2000225674A (ja) 自己粘着性包装用多層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