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1529B1 - 냉매시스템 - Google Patents

냉매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1529B1
KR101151529B1 KR1020090112363A KR20090112363A KR101151529B1 KR 101151529 B1 KR101151529 B1 KR 101151529B1 KR 1020090112363 A KR1020090112363 A KR 1020090112363A KR 20090112363 A KR20090112363 A KR 20090112363A KR 101151529 B1 KR101151529 B1 KR 101151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cooling
unit
heat exchanger
air cond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2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5798A (ko
Inventor
최재혁
유윤호
정백영
하도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2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1529B1/ko
Priority to EP10153396A priority patent/EP2330367B1/en
Priority to US12/727,341 priority patent/US9297558B2/en
Publication of KR20110055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5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1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1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7/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cascade operation, i.e. with two or more circuits, the heat from the condenser of one circuit being absorbed by the evaporator of the next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25B41/24Arrangement of shut-off valves for disconnecting a part of the refrigerant cycle, e.g. an outdoor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6Several compression cycles arranged in parall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조부와 냉각부 사이에 냉매가 유동할 수 있도록, 공조측 냉매배관과 냉각측 냉매배관을 연결하는 연결배관을 포함하는 냉매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냉각측 압축기의 정상적인 작동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상기 냉매시스템의 냉각 성능이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냉매시스템, 압축기, 백업

Description

냉매시스템{Refrigerant system}
본 발명은 냉매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매시스템은 압축-응축-팽창-증발로 이루어지는 냉매사이클을 수행하여,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식품의 보관을 위하여 냉각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냉매시스템은,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냉매와 실내 공기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실내열교환기와,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부와, 냉매와 실외 공기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실외열교환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로 유입되는 냉매 중 액상의 냉매와 기상의 냉매를 걸리내기 위한 어큐뮬레이터과, 상기 냉매사이클을 수행하기 위한 냉매의 유동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사방밸브와, 상기 실내열교환기 또는 실외열교환기를 향하여 각각 실내 공기 또는 실외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팬과, 상기 팬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실내의 냉방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실내열교환기는 증발수단, 상기 실외열교환기는 응축수단이 된다. 실내의 난방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실내열교환기는 응축수단, 상기 실외열교환기는 증발수단이 된다. 상기 냉난방 운전의 전환은 상기 사방밸브에 의해 냉매의 유동 방향이 변경됨으로써 수행된다.
본 발명은 냉각측 압축기의 작동이 불가한 경우에도 냉각 성능이 유지될 수 있는 냉매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안되는 본 발명에 의한 냉매시스템은, 실내의 냉난방을 위하여 냉매 사이클을 수행하는, 공조측 압축기, 공조측 실외열교환기, 공조측 팽창부, 실내열교환기 및 공조측 냉매배관을 포함하는 공조부; 식품의 냉각을 위하여 냉매 사이클을 수행하는, 냉각측 압축기, 냉각측 실외열교환기, 냉각측 팽창부, 냉각열교환기 및 냉각측 냉매배관을 포함하는 냉각부; 및 상기 공조부와 냉각부 사이에 냉매가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공조측 냉매배관과 상기 냉각측 냉매배관을 연결하는 연결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냉매시스템에 의하면, 냉각측 압축기의 작동이 불가능한 상태가 발생되더라도, 연결배관을 통하여 냉각부의 냉매가 공조측 압축기로 유입됨으로써, 냉각부의 냉각 성능이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냉각측 압 축기의 작동 불가한 상태에서도, 냉매시스템의 냉각 성능이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냉각측 압축기의 오작동되는 경우에도 냉매시스템의 냉각 성능이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 신뢰성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냉매시스템의 냉각이 수행되지 못함에 따라 발생되는 추가적인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냉매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냉매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보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냉매시스템은, 실내의 공기 조화를 위하여 냉매사이클을 수행하는 공조부(1)와, 식품의 냉각을 위하여 냉매사이클을 수행하는 냉각부(2,3)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냉각부(2,3)는, 식품의 냉장 보관을 위한 냉장부(2)와, 식품의 냉동 보관을 위한 냉동부(3)를 포함한다.
상기 공조부(1)는, 상기 공조부(1)를 유동하는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공조측 압축기(11)와, 냉매와 실외 공기 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공조측 실외열교환기(14)와, 냉매를 팽창시키는 공조측 팽창부(131,132,133)와, 냉매와 실내 공기 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실내열교환기(1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공조부(1)는, 상기 공조측 압축기(11)로 유입되는 냉매 중 기상의 냉매와 액상의 냉매를 분리하기 위한 어큐뮬레이터(16)와, 상기 공조측 압축기(11)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유동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사방밸브(15)를 포함한다.
상기 냉장부(2)는, 상기 냉장부(2)를 유동하는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냉장측 압축기(21)와, 냉매와 실외 공기 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냉장측 실외열교환기(24)와, 냉매를 팽창시키는 냉장측 팽창부(231,232)와, 냉매와 식품에 인접한 공기 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냉장열교환기(2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냉동부(3)는, 상기 냉동부(3)를 유동하는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냉동측 압축기(31)와, 냉매와 실외 공기 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냉동측 실외열교환기(34)와, 상기 실외열교환기를 향하여 실외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팬모터어셈블리(35)와, 냉매를 팽창시키는 냉동측 팽창부(33)와, 냉매와 식품에 인접한 공기 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냉동열교환기(32)를 포함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냉각부(2,3)는, 상기 냉각부(2,3)를 유동하는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냉각측 압축기와, 냉매와 실외 공기 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냉각측 실외열교환기와, 냉매를 팽창시키는 냉각측 팽창부와, 냉매와 식품에 인접한 공기 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냉각열교환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냉각측 압축기는 상기 냉장측 압축기(21)와 냉동측 압축기(31)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측 실외열교환기는 상기 냉장측 실외열교환기(24)와 냉동측 실외열교환기(34)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측 팽창부는 상기 냉장측 팽창부(231,232)와 냉동측 팽창부(33)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열교환기는 상기 냉장열교환기(22)와 냉동열교환기(3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공조측 팽창부(131,132,133), 냉장측 팽창부(231,232), 냉동측 팽창부(33)는 예를 들면, 전자밸브와 같이 냉매 유동의 개폐, 냉매의 팽창 및 냉매 유동량의 조절이 가능한 다양한 장치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매시스템은, 상기 공조측 실외열교환기(14) 및 냉장측 실외열교환기(24)를 향하여 실외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기 위한 팬모터어셈블리(6)를 포함한다. 상기 공조측 실외열교환기(14)와 냉장측 실외열교환기(24)가 인접한 경우에는, 상기 팬모터어셈블리(6)가 하나로 구비되어 상기 공조측 실외열교환기(14) 및 냉장측 실외열교환기(24) 모두를 향하여 실외 공기가 강제 유동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공조측 실외열교환기(14)와 냉장측 실외열교환기(24)가 이격된 경우에는, 상기 공조측 실외열교환기(14) 및 냉장측 실외열교환기(24) 각각에 대응되는 2개의 팬모터어셈블리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냉매시스템은, 상기 공조부(1)와 냉장부(2) 또는 상기 냉장부(2)와 냉동부(3)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냉매열교환기(4,5)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냉매열교환기(4,5)는, 상기 공조부(1)의 냉매와 상기 냉장부(2)의 냉매 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제 1 냉매열교환기(4)와, 상기 냉장부(2)의 냉매와 상기 냉동부(3)의 냉매 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제 2 냉매열교환기(5)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 냉매열교환기(4)의 내부에는, 상기 공조부(1)의 냉매와 상기 냉장부(2)의 냉매가 독립적으로 유동하면서 서로 열교환 가능하도록 2개의 유로(41,4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냉매열교환기(5)의 내부에는, 상기 냉장부(2)의 냉매와 상기 냉동부(3)의 냉매가 독립적으로 유동하면서 서로 열교환 가능하도록 2개의 유로(51,52)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냉매열교환기(4)는, 상기 공조부(1) 상에서 상기 실내열교환 기(12)와 병렬로 연결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공조부(1)는, 상기 공조부(1)의 냉매 유동을 안내하기 위한 공조측 냉매배관(101,102,103)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공조측 냉매배관(101,102,103)은, 상기 압축기, 공조측 실외열교환기(14) 및 제 1 냉매열교환기(4)를 연결하는 제 1 냉매배관(101)과, 상기 공조측 압축기(11)로부터 토출되는 냉매 또는 상기 실외열교환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를 상기 실내열교환기(12)로 안내하는 제 2 냉매배관(102)과, 후술할 제 3 팽창부(131)와 병렬로 연결되는 우회배관(103)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 2 냉매배관(102)의 일단은 상기 공조측 실외열교환기(14)와 실내열교환기(12)의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제 1 냉매배관(101)의 일지점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냉매배관(102)의 타단은 상기 실내열교환기(12)와 상기 공조측 압축기(11)의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제 1 냉매배관(101)의 타지점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우회배관(103)의 일단은 상기 공조측 실외열교환기(14)와 제 3 팽창부(131)의 사이에 해당하는 제 1 냉매배관(101)에 연결되고, 상기 우회배관(103)의 타단은 상기 제 3 팽창부(131)와 상기 제 1 냉매열교환기(4) 사이에 해당하는 제 1 냉매배관(101)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우회배관(103)에는, 상기 우회배관(103)을 통한 냉매 유동이 일정한 방향을 향하도록 제한하는 유동제한부(17)가 설치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유동제한부(17)는, 상기 실내열교환기(12)로부터 상기 공조측 실외열교환기(14)를 향한 냉매가 상기 우회배관(103)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실내열교환기(12)로부터 상기 공조측 실외열교환기(14)를 향하는 냉매는 상기 제 3 팽창부(131)를 통과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유동제한부(17)는 예를 들면, 체크밸브와 같이, 냉매 방향을 일정한 방향으로 제한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조측 팽창부(131,132,133)는, 상기 실내열교환기(12)의 유입측에 해당하는 상기 제 1 냉매배관(101)에 설치되는 제 1 팽창부(132)와, 상기 냉매열교환기(4,5)의 유입측에 해당하는 상기 제 2 냉매배관(102)에 설치되는 제 2 팽창부(133)와, 상기 공조측 실외열교환기(14)에 인접하는 제 1 냉매배관(101)에 설치되는 제 3 팽창부(131)를 포함한다. 상기 공조측 팽창부(131,132,133)는, 상기 공조측 냉매배관(101,102)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공조측 냉매배관(101,102)을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제 1 팽창부(132)는 상기 실내열교환기(12)로 유입되는 냉매량을 조절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실내열교환기(12)를 향한 냉매 유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상기 제 2 팽창부(133)는 상기 냉매열교환기(4,5)로 유입되는 냉매량을 조절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냉매열교환기(4,5)를 향한 냉매 유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팽창부(131)는 상기 공조측 실외열교환기(14)로 유입되는 냉매를 팽창시키거나, 상기 공조측 실외열교환기(14)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제 3 팽창부(131)를 우회하도록 상기 제 1 냉매배관(101)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냉매열교환기(5)는, 상기 냉장부(2) 상에서 상기 냉장열교환기(22)와 병렬로 연결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냉장부(2)는, 상기 냉장부(2)를 유동하는 냉매를 안내하는 냉장측 냉매배관(104,105)을 더 포함한다. 상기 냉장측 냉매배관(104,105)은, 상기 냉장측 압축기(21), 냉장측 실외열교환기(24), 제 2 냉매열교환기(5)를 연결하는 제 3 냉매배관(104)과, 상기 제 2 냉매열교환기(5)로 유입 되는 냉매 중 일부를 상기 냉장열교환기(22)로 안내하는 제 4 냉매배관(105)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 4 냉매배관(105)의 일단은 상기 냉장측 압축기(21)와 냉장열교환기(22)의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제 3 냉매배관(104)의 일지점에 연결되고, 상기 제 4 냉매배관(105)의 타단은 상기 냉장측 실외열교환기(24)와 냉매열교환기(4,5)의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제 3 냉매배관(104)의 타지점에 연결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제 2 냉매열교환기(5)는, 상기 냉동부(3) 상에서 상기 냉동열교환기(32)와 직렬로 연결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냉동부(3)는, 상기 냉동부(3)를 유동하는 냉매를 안내하는 냉동측 냉매배관(106)을 더 포함한다. 상기 냉동측 냉매배관(106)은, 상기 냉동측 압축기(31), 냉동측 실외열교환기(34), 제 2 냉매열교환기(5), 냉동측 팽창부(33), 냉동열교환기(32)를 순차적으로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냉각부(2,3)는 상기 냉각부(2,3)를 유동하는 냉매를 안내하는 냉각측 냉매배관(104,105)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측 냉매배관(104,105)은 상기 냉장측 냉매배관(104,105)과 냉동측 냉매배관(106)을 포함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측 팽창부(231,232)는, 상기 제 2 냉매열교환기(5)의 유입측에 해당하는 상기 제 3 냉매배관(104)에 설치되는 제 4 팽창부(232)와, 상기 냉장열교환기(22)의 유입측에 해당하는 상기 제 4 냉매배관(105)에 설치되는 제 5 팽창부(231)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냉장부(2)는, 상기 냉장부(2)를 유동하는 냉매의 유동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유동전환부(251,252,253)를 포함한다. 상기 유동전환부(251,252, 253)는, 상기 냉장측 압축기(21)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유동 방향을 상기 냉매열 교환기(4,5) 또는 상기 냉장측 실외열교환기(24)를 향하도록 전환시키기 위한 제 1 유동전환부(251)와, 상기 냉장측 실외열교환기(24)를 향한 냉매 유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제 2 유동전환부(252)와, 상기 냉각부(2,3)의 냉매가 선택적으로 후술할 제 2 연결배관(72)으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제 3 유동전환부(253)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제 1 유동전환부(251)의 방향 전환에 따라, 상기 냉장측 압축기(21)로부터 토출되는 냉매가 상기 냉장측 실외열교환기(24) 및 제 1 냉매열교환기(4) 순으로 유동하거나, 상기 제 1 냉매열교환기(4) 및 냉장측 실외열교환기(24) 순으로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유동전환부(252)의 방향 전환에 따라, 상기 냉장측 압축기(21) 또는 제 1 냉매열교환기(4)로부터 토출되는 냉매가 상기 냉장측 실외열교환기(24)로 유입되거나, 상기 냉장측 실외열교환기(24)를 통과하지 않고 곧장 상기 제 1 냉매열교환기(4) 또는 냉장열교환기(22)로 유입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 3 유동전환부(253)의 방향 전환에 따라, 상기 냉장열교환기(22) 또는 제 2 냉매열교환기(5)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냉장측 압축기(21)로 유입되거나, 상기 제 2 연결배관(7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동전환부(251,252,253)는 예를 들면, 4개의 방향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사방밸브(15)와 같이, 냉매의 유동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매시스템은, 상기 공조부(1)와 냉각부(2,3) 사이에 냉매가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공조측 냉매배관(101,102,103)과 상기 냉각측 냉매배 관(104,105)을 연결하는 연결배관(71,72)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배관(71,72)은, 상기 공조부(1)의 냉매가 상기 냉각부(2,3)로 유동하기 위한 제 1 연결배관(71)과, 상기 냉각부(2,3)의 냉매가 상기 공조부(1)로 유동하기 위한 제 2 연결배관(72)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연결배관(71,72)은, 상기 공조부(1)와 냉장부(2) 사이에 냉매가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공조측 냉매배관(101)과 상기 냉장측 냉매배관(104)을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배관(71,72)은, 상기 공조부(1)의 냉매가 상기 냉장부(2)로 유동하기 위한 제 1 연결배관(71)과, 상기 냉장부(2)의 냉매가 상기 공조부(1)로 유동하기 위한 제 2 연결배관(72)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연결배관(71)의 일단은 상기 공조측 실외열교환기(14)와 실내열교환기(12)의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공조측 냉매배관(101)의 일지점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연결배관(71)의 타단은 상기 냉장열교환기(22)의 유입측에 해당하는 상기 냉장측 냉매배관(104)의 일지점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연결배관(72)의 일단은 상기 냉장열교환기(22)와 냉장측 압축기(21)의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냉장측 냉매배관(104)의 타지점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연결배관(72)의 타단은 상기 공조측 압축기(11)의 유입측에 해당하는 상기 공조측 냉매배관(101)의 타지점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배관(71,72)에는, 상기 연결배관(71,72)을 통한 냉매 유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유동차단부(711)가 설치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유동차단부(711)는 상기 제 1 연결배관(71)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유동차단 부(711)의 개폐에 따라 상기 제 1 연결배관(71)을 통한 냉매의 유동이 선택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배관(71,72)에는, 상기 연결배관(71,72)을 통한 냉매 유동을 일정한 방향으로 제한하기 위한 유동제한부(712,721)가 설치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유동제한부는, 상기 제 1 연결배관(71)에 설치되는 제 1 유동제한부(712)와, 상기 제 2 연결배관(72)에 설치되는 제 2 유동제한부(721)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유동제한부(712)는, 상기 냉장부(2)의 냉매가 상기 공조부(1)를 향하여 유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유동제한부(721)는, 상기 공조부(1)의 냉매가 상기 냉장부(2)를 향하여 유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즉, 상기 냉장부(2)의 냉매가 상기 제 1 연결배관(71)을 통하여 상기 공조부(1)로 유동하는 것이 상기 제 1 유동제한부(712)에 의하여 방지될 수 있고, 상기 공조부(1)의 냉매가 상기 제 2 연결배관(72)을 통하여 상기 냉장부(2)로 유동하는 것이 상기 제 2 유동제한부(721)에 의하여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동제한부(712,721)는 예를 들면, 체크밸브와 같이, 냉매 방향을 일정한 방향으로 제한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동전환부(253)은, 상기 냉장측 압축기(21)를 포함하는 냉매사이클 폐회로를 형성하는 제 1 상태와, 상기 공조측 압축기(11)를 포함하는 냉매사이클 폐회로를 형성하는 제 2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전환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유동전환부(253)가 상기 제 1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냉장열교환기(22) 및 제 2 냉매열교환기(5)의 토출측에 해당하는 상기 냉장측 냉매배관(104,105)과 상기 냉장측 압축기(21)의 유입측에 해당하는 상기 냉장측 냉매배관(104,105)이 연통됨으로써, 상기 냉장측 압축기(21), 냉장측 실외열교환기(24), 제 1 냉매열교환기(4), 냉장측 팽창부(231, 232), 냉장열교환기(22) 및 제 2 냉매열교환기(5)를 연결하는 냉매사이클 폐회로가 형성된다. 상기 유동전환부(253)가 상기 제 2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냉장열교환기(22) 및 제 2 냉매열교환기(5)의 토출측에 해당하는 상기 냉장측 냉매배관(104,105)과 상기 제 2 연결배관(72)이 연통됨으로써, 상기 공조측 압축기(11), 공조측 실외열교환기(14), 냉장측 팽창부(231,232), 냉장열교환기(22) 및 제 2 냉매열교환기(5)를 연결하는 냉매사이클 폐회로가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냉매시스템의 제 1 실시예가 냉방 모드로 작동되는 경우에 냉매 유동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냉매시스템의 제1실시예가 냉방 모드로 작동되는 상태의 냉매 유동을 보인 도면이다.
도 2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냉매시스템이 정상적인 냉방모드로 작동하는 경우에 공조부(1)의 냉매 유동을 살펴보면, 상기 공조측 압축기(11)로부터 토출되는 고온고압의 냉매가 상기 공조측 실외열교환기(14)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공조측 압축기(11)와 공조측 실외열교환기(14) 사이에 위치되는 사방밸브(15)는, 상기 공조측 압축기(11)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상기 공조측 실외열교환기(14)를 향하여 유동하도록, 상기 냉매의 유동 방향을 안내한다.
상기 냉매가 상기 공조측 실외열교환기(14)를 유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냉매 는 실외 공기로 열을 방출하여 저온고압의 상태로 응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조측 실외열교환기(14)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공조측 팽창부(131,132,133) 중 제 1 팽창부(132)를 통과하면서, 저온저압의 상태로 팽창된다. 이때, 상기 제 3 팽창부(131)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공조측 실외열교환기(14)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우회배관(103)을 통하여 상기 제 1 팽창부(132)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 제 1 팽창부(132)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실내열교환기(12)로 유입된다. 상기 냉매가 상기 실내열교환기(12)를 유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냉매는 실내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고온저압의 상태로 증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열교환기(12)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어큐뮬레이터(16)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실내열교환기(12)와 어큐뮬레이터(16) 사이에 위치되는 사방밸브(15)는, 상기 실내열교환기(12)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어큐뮬레이터(16)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냉매의 유동 방향을 안내한다.
상기 냉매가 상기 어큐뮬레이터(16)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냉매 중 액상의 냉매가 걸러지고 기상의 냉매만이 상기 공조측 압축기(11)로 다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냉매가 상기 공조측 압축기(1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냉매는 고온고압의 상태로 압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냉매 유동이 지속되면서, 실내의 냉방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냉장부(2)의 냉매 유동을 살펴보면, 상기 냉장측 압축기(21)로부터 토출되는 고온고압의 냉매가 상기 냉장측 실외열교환기(24) 및 제 1 냉매열교환기(4)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유동전환부(251)의 방향 전환에 따라, 상기 냉장측 압축기(21)로부터 토출되는 냉매가 상기 냉장측 실외열교환기(24) 및 제 1 냉매열교환기(4)를 순차적으로 또는 역순으로 유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유동전환부(252)의 방향 전환에 따라, 상기 냉장측 압축기(21)로부터 토출되는 냉매가 상기 냉장측 실외열교환기(24)로 유입되거나, 상기 냉장측 실외열교환기(24)를 통과하지 않고 곧장 상기 제 1 냉매열교환기(4) 또는 냉장열교환기(22)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냉매가 상기 냉장측 실외열교환기(24) 및 제 1 냉매열교환기(4) 중 적어도 하나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냉매는 저온고압의 상태로 응축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냉매가 상기 냉장측 실외열교환기(24)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냉매는 실외 공기로 열을 방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매가 상기 제 1 냉매열교환기(4)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냉장부(2)의 냉매는 상기 공조부(1)의 냉매로 열을 방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냉매가 저온고압의 상태로 응축되게 된다.
이때, 상기 냉매가 상기 냉장측 실외열교환기(24) 및 제 1 냉매열교환기(4)를 모두 통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냉장측 실외열교환기(24) 및 제 1 냉매열교환기(4) 중 어느 하나만을 통과하는 경우에 비하여, 상기 냉매가 과냉각되어 상대적으로 저온의 상태에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매가 상기 냉장측 실외열교환기(24) 및 제 1 냉매열교환기(4)를 모두 통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냉장측 실외열교환기(24)만을 통과하는 경우에 비하여, 상기 냉장부(2)의 냉각 성능 계수(COP)가 상대적으로 높아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냉장측 실외열교환기(24) 및 제 1 냉매열교환기(4) 중 적어도 하나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냉장측 팽창부(231,232)로 유입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냉장측 실외열교환기(24) 및 제 1 냉매열교환기(4) 중 적어도 하나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제 4 팽창부(232) 및 제 5 팽창부(231)로 유입된다. 상기 냉매가 상기 냉장측 팽창부(231,23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냉매는 저온저압의 상태로 팽창된다.
그리고, 상기 제 4 팽창부(232)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제 2 냉매열교환기(5)로 유입되고, 상기 제 5 팽창부(231)를 통과한 냉매는 냉장열교환기(22)로 유입된다. 즉, 상기 냉장측 팽창부(231,232)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제 2 냉매열교환기(5) 및 냉장열교환기(22)로 유입된다.
상기 냉매가 상기 제 2 냉매열교환기(5)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냉장부(2)의 냉매는 상기 냉동부(3)의 냉매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고온저압으로 증발된다. 상기 냉매가 상기 냉장열교환기(2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냉매는 상기 냉장열교환기(22)에 인접한 공기의 열을 흡수하여 고온저압으로 증발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냉매열교환기(5) 및 냉장열교환기(22)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냉장측 압축기(21)를 향하여 유동하게 된다. 상기 냉매가 상기 냉장측 압축기(2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냉매는 고온고압의 상태로 압축된다.
여기서, 상기 제 3 유동전환부(253)는, 상기 제 2 냉매열교환기(5) 및 냉장열교환기(22)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냉장측 압축기(21)를 향하여 유동하도록, 상기 냉매의 유동 방향을 안내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냉동부(3)의 냉매 유동을 살펴보면, 상기 냉동측 압축기(31)로부터 토출되는 고온고압 상태의 냉매는 상기 냉동측 실외열교환기(34)로 유입된다. 상기 냉매가 상기 냉동측 실외열교환기(34)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냉매는 실외공기로 열을 방출하여 저온고압 상태로 응축된다.
상기 냉동측 실외열교환기(34)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제 2 냉매열교환기(5)로 유입된다. 상기 냉매가 제 2 냉매열교환기(5)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냉동부(3)의 냉매는 상기 냉장부(2)의 냉매로 열을 방출하여 저온저압의 상태로 응축된다.
이때, 상기 냉매가 상기 냉동측 실외열교환기(34) 및 제 2 냉매열교환기(5)를 모두 통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냉동측 실외열교환기(34) 및 제 2 냉매열교환기(5) 중 어느 하나만을 통과하는 경우에 비하여, 상기 냉매가 과냉각되어 상대적으로 저온의 상태에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매가 상기 냉동측 실외열교환기(34) 및 제 2 냉매열교환기(5)를 모두 통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냉동측 실외열교환기(34)만을 통과하는 경우에 비하여, 상기 냉동부(3)의 냉각 성능 계수(COP)가 상대적으로 높아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제 2 냉매열교환기(5)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냉동측 팽창부(33)로 유입된다. 상기 냉매가 상기 냉동측 팽창부(33)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냉매는 저온저압의 상태로 팽창된다. 상기 냉동측 팽창부(33)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냉동열교환기(32)로 유입된다. 상기 냉매가 상기 냉동열교환기(3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냉매는 상기 냉동열교환기(32)에 인접한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고온저압의 상태로 증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열교환기(32)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냉동측 압축기(31)를 통과하면서 다시 고온고압의 상태로 압축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냉매시스템의 제 1 실시예가 난방 모드로 작동되는 경우에 냉매 유동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난방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는, 냉방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공조부(1)의 냉매 유동에서 차이가 있을 뿐, 냉장부(2) 및 냉동부(3)의 냉매 유동은 동일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냉매시스템의 제1실시예가 난방 모드로 작동되는 상태의 냉매 유동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냉매시스템이 정상적인 난방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공조측 압축기(11)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는 상기 실내열교환기(12)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사방밸브(15)는, 상기 공조측 압축기(11)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상기 실내열교환기(12)로 유동할 수 있도록, 냉매의 유동 방향을 안내한다.
그리고, 상기 냉매가 상기 실내열교환기(1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냉매는 실내 공기로 열을 방출하여 저온고압으로 응축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열교환기(12)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공조측 팽창부(131,132,133) 중 제 3 팽창부(131)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유동제한부(17)에 의하여, 상기 실내열교환기(12)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우회배관(103)을 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제 3 팽창부(131)로 유입된다. 상기 제 3 팽창부(131)는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냉매의 실질적인 팽창이 제 3 팽창부(131)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냉매가 상기 제 3 팽창부(13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냉매는 저온저압의 상태로 팽창된다.
상기 제 3 팽창부(131)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공조측 실외열교환기(14)로 유입된다. 상기 냉매가 상기 공조측 실외열교환기(14)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냉매는 실외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고온저압의 상태로 증발하게 된다.
상기 공조측 실외열교환기(14)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상기 어큐뮬레이터(16)로 유입되어, 액상의 냉매와 기상의 냉매가 걸러지게 된다. 이때, 상기 사방밸브(15)는, 상기 공조측 실외열교환기(14)에서 토출되는 냉매가 상기 어큐뮬레이터(16)로 유입되도록, 상기 냉매의 유동 방향을 안내한다. 그리고, 어큐뮬레이터(16)에서 걸러진 기상의 냉매만이 상기 공조측 압축기(11)로 유입되어, 다시 고온고압으로 압축된다.
이러한 냉매 유동이 지속되면서, 실내의 난방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매시스템이 난방모드로 작동하는 경우에 냉장부(2) 및 냉동부(3)의 냉매 유동은, 상기 냉매시스템이 냉방모드로 작동하는 경우와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냉매시스템이 백업모드로 작동하는 경우의 냉매 유동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냉매시스템의 제1실시예가 실내 냉방과 동시에 백업 모드로 작동되는 상태의 냉매 유동을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냉매시스템의 제1실시예가 실내 난방과 동시에 백업 모드로 작동되는 상태의 냉매 유동을 보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냉매시스템에서 상기 냉장측 압축기(21)가 오작동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상기 냉장측 압축기(21)가 오작동으로 인하여, 상기 냉장부(2)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냉장측 압축기(21) 대신, 상기 공조측 압축기(11)를 사용하여 상기 냉장부(2)의 작동을 정상화시키는 것을 백업모드라 칭할 수 있다. 상기 냉매시스템에 백업모드로 작동하는 경우에, 상기 냉매시스템의 냉매 유동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냉매시스템에 상기 백업모드로 작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냉매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기 유동차단부(711)가 개방되고, 상기 제 3 유동전환부(253)에 의하여 냉매 유동 방향이 전환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세히, 상기 유동차단부(711)가 개방되기 때문에, 상기 공조측 실외열교환기(14) 및 실내열교환기(12)로부터 토출되는 저온고압 상태의 냉매 중 일부가 상기 제 1 연결배관(71)으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유동차단부(711)가 개방되더라도, 상기 냉장부(2)로부터 상기 제 1 연결배관(71)을 통하여 상기 공조부(1)를 향한 냉매 유동은 상기 제 1 유동제한부(712)에 의하여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연결배관(71) 내부의 냉매 유동은, 상기 공조부(1)로부터 상기 냉장부(2)를 향한 방향으로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배관(71,72)을 통과한 냉매는, 상기 냉장부(2)로 유입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연결배관(71,72)을 통과한 냉매는, 상기 제 4 팽창부(232) 및 제 5 팽창부(231)로 유입된다. 상기 냉매가 상기 제 4 팽창부(232) 및 제 5 팽창부(23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냉매는 저온저압의 상태로 팽창된다.
그리고, 상기 제 4 팽창부(232)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제 2 냉매열교환기(5) 로 유입되고, 상기 제 5 팽창부(231)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냉장열교환기(22)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냉매가 상기 냉장열교환기(22) 및 제 2 냉매열교환기(5)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냉매가 고온저압의 상태로 증발하게 된다.
상기 냉장열교환기(22) 및 제 2 냉매열교환기(5)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제 3 유동전환부(253)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제 3 유동전환부(253)는, 상기 냉장열교환기(22) 및 제 2 냉매열교환기(5)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제 2 연결배관(72)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냉매의 유동 방향을 안내한다. 즉, 상기 냉매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기 제 3 유동전환부(253)에 의한 냉매의 유동 방향이 전환된다.
여기서, 상기 제 3 유동전환부(253)에 의하여, 상기 냉장측 냉매배관(104)과 상기 공조측 냉매배관(101)이 연통되더라도, 상기 제 2 연결배관(72) 내부의 냉매 유동은 상기 냉장부(2)로부터 상기 공조부(1)를 향한 방향을 유지하게 된다. 이는, 상기 공조부(1)로부터 상기 제 2 연결배관(72)을 통하여 상기 냉장부(2)를 향한 냉매의 유동이, 상기 제 2 유동제한부(721)에 의하여 제한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제 2 연결배관(72)으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제 2 연결배관(72)의 단부가 연결되는 상기 공조측 압축기(11)의 유입측에 해당하는 제 1 냉매배관(101)으로 유동한다.
상기 냉매는 상기 제 1 냉매배관(101)을 따라, 상기 공조측 압축기(11)를 통과하면서 다시 고온고압으로 압축된다.
한편, 상기 냉매시스템이 백업모드로 작동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공조 부(1)의 냉매 유동은, 상기 냉매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공조부(1)의 냉매 유동과 동일하다. 즉, 상기 냉매시스템이 백업모드로 작동하는 경우에도, 상기 공조부(1)는 정상적인 냉방 또는 난방 모드로 작동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공조부(1)에 의하여 실내 냉방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백업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의 냉매 유동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고, 상기 공조부(1)에 의하여 실내 난방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백업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의 냉매 유동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냉매시스템이 백업모드로 작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냉매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기 유동차단부(711) 및 제 3 유동전환부(253)에 의하여 상기 연결배관(71,72)이 개방되고, 상기 냉장부(2)의 냉매가 상기 공조측 압축기(11)로 압축 및 강제 유동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냉매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냉장측 압축기(21)가 오작동 또는 작동이 정지되는 경우에도, 상기 냉장부(2)의 냉각성능이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냉장측 압축기(21)가 오작동 또는 고장으로 인하여 작동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유동차단부(711) 및 유동전환부(253)를 조작하여 상기 연결배관(71,72)을 개방시킬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냉장부(2)의 냉매가 상기 공조측 압축기(11)로 유동할 수 있고, 상기 냉장부(2)의 냉매사이클이 상기 공조측 압축기(11)에 의하여 정상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냉매시스템의 성능이 더욱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냉매시스템의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 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 3 유동전환부(253)가 개폐밸브로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냉매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보인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냉매시스템의 제2실시예가 냉방 모드로 작동되는 상태의 냉매 유동을 보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냉매시스템의 제2실시예가 실내 냉방과 동시에 백업 모드로 작동되는 상태의 냉매 유동을 보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냉매시스템의 제 3 유동전환부(253)가 개폐밸브로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개폐밸브는, 냉장측 압축기(21)을 향한 냉매 유동을 개폐하는 제 1 개폐밸브(934)과, 제 2 연결배관(72)을 향한 냉매 유동을 개폐하는 제 2 개폐밸브(933)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개폐밸브(934)는, 냉장열교환기(22) 및 제 2 냉매열교환기(5)의 토출측에 해당하고, 상기 냉장측 압축기(21)의 유입측에 해당하는 냉장측 냉매배관(104)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개폐밸브(933)는, 상기 제 2 연결배관(72)에 설치된다.
상기 제 1 개폐밸브(934) 및 제 2 개폐밸브(933)의 개폐에 따라, 상기 냉장열교환기(22) 및 제 2 냉매열교환기(5)로부터 토출되는 냉매가 상기 냉장측 압축기(21)로 유동하거나, 상기 제 2 연결배관(72)으로 유동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냉매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개폐밸브(934)가 개방되고, 상기 제 2 개폐밸브(933)가 폐쇄되어, 상기 냉장열교환기(22) 및 제 2 냉매열교환기(5)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상기 냉장측 압축기(21)로 유동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냉매시스템이 백업모드로 작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개폐밸브(934)가 폐쇄되고, 상기 제 2 개폐밸브(933)가 개방되어, 상기 냉장열교환기(22) 및 제 2 냉매열교환기(5)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상기 제 2 연결배관(72)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냉매시스템의 제3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냉동측 압축기가 정지된 상태에서 공조측 압축기가 냉동부의 냉매사이클을 수행 및 유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9은 본 발명에 의한 냉매시스템의 제3실시예를 보인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냉매시스템의 제3실시예가 냉방 모드로 작동되는 상태의 냉매 유동을 보인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냉매시스템의 제3실시예가 실내 냉방과 동시에 백업 모드로 작동되는 상태의 냉매 유동을 보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냉매시스템에서는, 냉동측 압축기(31)가 정지된 상태에서도 공조측 압축기(11)가 냉동부(3)의 냉매를 압축 및 강제 유동시킴으로써, 냉동부(3)의 냉매사이클을 수행 및 유지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냉매시스템은, 공조부(1)와 냉각부(2,3) 사이에 냉매가 유동 가능하도록, 상기 공조부(1)와 상기 냉각부(2,3)를 연결하는 연결배관(81,82)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냉각부(2,3)는, 식품의 냉장 보관을 위하여 냉매사이클을 수행하는 냉장부(2)와, 식품의 냉동 보관을 위하여 냉매사이클을 수행하는 냉동 부(3)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배관(81,82)은, 상기 공조부(1)와 냉동부(3) 사이에 냉매가 유동 가능하도록, 상기 공조부(1)와 냉동부(3)를 연결한다. 상기 연결배관(81,82)은, 상기 공조부(1)의 냉매를 상기 냉동부(3)로 안내하는 제 1 연결배관(81)과, 상기 냉동부(3)의 냉매를 상기 공조부(1)로 안내하는 제 2 연결배관(82)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 1 연결배관(81)은, 공조측 실외열교환기(14)의 토출측에 해당하는 공조측 냉매배관(101,102)의 일지점과, 냉동열교환기(32)의 유입측에 해당하는 냉동측 냉매배관(106)의 일지점을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연결배관(82)은, 상기 냉동열교환기(32)의 토출측에 해당하는 냉동측 냉매배관(106)의 타지점과, 상기 공조측 압축기(11)의 유입측에 해당하는 상기 공조측 냉매배관(101,102)의 타지점을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1 연결배관(81,82)에는, 상기 제 1 연결배관(81) 내부의 냉매 유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유동차단부(811)와, 상기 제 1 연결배관(81) 내부의 냉매 유동 방향을 상기 냉동부(3)를 향한 방향으로 제한하기 위한 제 1 유동제한부(812)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 2 연결배관(82)에는, 상기 제 2 연결배관(82) 내부의 냉매 유동 방향을 상기 공조부(1)를 향한 방향으로 제한하기 위한 제 2 유동제한부(821)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냉동부(3)는, 상기 냉동측 압축기(31)를 향한 냉매 유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유동전환부(36)를 포함한다. 상기 유동전환부(36)는, 상기 냉동측 압축기(31)를 포함하는 냉매사이클 폐회로를 형성하는 제 1 상태와, 상기 공조측 압축기(11)를 포함하는 냉매사이클 폐회로를 형성하는 제 2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 유동전환부(36)가 상기 제 1 상태로 있는 모습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고, 상기 유동전환부(36)가 상기 제 2 상태로 있는 모습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보다 상세히, 상기 유동전환부(36)가 상기 제 1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냉동열교환기(32)의 토출측에 해당하는 상기 냉동측 냉매배관(106)과 상기 냉동측 압축기(31)의 유입측에 해당하는 상기 냉동측 냉매배관(106)이 연통됨으로써, 상기 냉동측 압축기(31), 냉동측 실외열교환기(34), 제 2 냉매열교환기(5), 냉동측 팽창부(33) 및 냉동열교환기(32)를 연결하는 냉매사이클 폐회로가 형성된다.
상기 유동전환부(36)가 상기 제 2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냉동열교환기(32)의 토출측에 해당하는 상기 냉동측 냉매배관(106)과 상기 제 2 연결배관(82)이 연통됨으로써, 상기 공조측 압축기(11), 공조측 실외열교환기(14), 냉동측 팽창부(33) 및 냉동열교환기(32)를 연결하는 냉매사이클 폐회로가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냉매시스템의 냉매 유동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냉매시스템이 냉방 모드로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냉매 유동을 살펴보면, 이러한 상태의 냉매 유동은 제 1 실시예에서 냉매시스템이 냉방 모드로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있는 상태의 냉매 유동과 동일하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냉매시스템의 작동 중에 상기 냉동측 압축기(31)의 오작동 또는 작동 정지로 인하여, 상기 냉동부(3)의 작동이 정지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공조측 압축기(11)로 상기 냉동부(3)의 냉매사이클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냉동부(3)의 냉매사이클이 지속적으로 수행 및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냉매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백업 모드라고 칭할 수 있다.
상기 냉매시스템이 백업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의 냉매 유동을 살펴보면, 상기 공조측 압축기(11)로부터 토출된 고온고압의 냉매는, 상기 공조측 실외열교환기(14)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저온고압 상태로 응축된다. 상기 공조측 실외열교환기(14)를 통과한 냉매 중 일부는, 상기 제 1 연결배관(81)을 따라 유동한다.
이때, 상기 유동차단부(811)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유동차단부(811)가 개방되더라도, 상기 제 1 유동제한부(812)가 상기 제 1 연결배관(81) 내부의 냉매 유동을 상기 냉동부(3)를 향한 방향으로 제한하기 때문에, 상기 제 1 연결배관(81) 내부의 냉매는 상기 냉동부(3)를 향한 방향으로만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배관(81)을 따라 유동하는 냉매는, 상기 냉동측 팽창부(33)로 유입된다. 상기 냉매가 상기 냉동측 팽창부(33)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냉매는 저온저압 상태로 팽창된다. 상기 냉동측 팽창부(33)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냉동열교환기(3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고온저압의 상태로 증발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열교환기(32)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제 2 연결배관(82)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유동전환부(36)는 상기 제 2 상태로 있기 때문에, 상기 냉동열교환기(32)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는 상기 제 2 연결배관(8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유동전환부(36)에 의하여, 상기 냉동열교환기(32)의 토출측에 해당하는 상기 냉동측 냉매배관(106)과, 상기 제 2 연결배관(82)이 연통되더라도, 상기 제 2 유동제한부(821)가 상기 제 2 연결배관(82) 내부의 냉매 유동을 상기 공조부(1)를 향한 방향으로 제한하기 때문에, 상기 제 2 연결배관(82) 내부의 냉매는 상기 공조부(1)를 향한 방향으로만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배관(82)을 통과한 냉매는, 상기 어큐뮬레이터(16)를 통과하여 상기 공조측 압축기(11)로 다시 유입된다.
상기 냉동측 압축기(31)가 오작동 또는 상기 냉동측 압축기(31)의 작동이 정지되는 경우에, 이러한 과정이 지속적으로 수행됨으로써, 상기 냉장부(2)의 냉각 성능 즉, 상기 냉매시스템의 냉각 성능이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냉매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보인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냉매시스템의 제1실시예가 냉방 모드로 작동되는 상태의 냉매 유동을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냉매시스템의 제1실시예가 난방 모드로 작동되는 상태의 냉매 유동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냉매시스템의 제1실시예가 실내 냉방과 동시에 백업 모드로 작동되는 상태의 냉매 유동을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냉매시스템의 제1실시예가 실내 난방과 동시에 백업 모드로 작동되는 상태의 냉매 유동을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냉매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보인 시스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냉매시스템의 제2실시예가 냉방 모드로 작동되는 상태의 냉매 유동을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냉매시스템의 제2실시예가 실내 냉방과 동시에 백업 모드로 작동되는 상태의 냉매 유동을 보인 도면.
도 9은 본 발명에 의한 냉매시스템의 제3실시예를 보인 시스템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냉매시스템의 제3실시예가 냉방 모드로 작동되는 상태의 냉매 유동을 보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냉매시스템의 제3실시예가 실내 냉방과 동시에 백업 모드로 작동되는 상태의 냉매 유동을 보인 도면.

Claims (19)

  1. 실내의 냉난방을 위하여 냉매 사이클을 수행하는, 공조측 압축기, 공조측 실외열교환기, 공조측 팽창부, 실내열교환기 및 공조측 냉매배관을 포함하는 공조부;
    식품의 냉각을 위하여 냉매 사이클을 수행하는, 냉각측 압축기, 냉각측 실외열교환기, 냉각측 팽창부, 냉각열교환기 및 냉각측 냉매배관을 포함하는 냉각부;
    상기 공조부와 냉각부 사이에 냉매가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공조측 냉매배관과 상기 냉각측 냉매배관을 연결하는 연결배관; 및
    상기 공조부의 냉매와 상기 냉각부의 냉매 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 1 냉매열교환기가 포함되는 냉매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관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유동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관은,
    상기 공조부의 냉매가 상기 냉각부로 유동하기 위한 제 1 연결배관; 및
    상기 냉각부의 냉매가 상기 공조부로 유동하기 위한 제 2 연결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배관은, 상기 공조측 실외열교환기의 토출측에 해당하는 상기 공조측 냉매배관과, 상기 냉각열교환기의 유입측에 해당하는 상기 냉각측 냉매배관을 연결하고,
    상기 제 2 연결배관은, 상기 냉각열교환기의 토출측에 해당하는 상기 냉각측 냉매배관과, 상기 공조측 압축기의 유입측에 해당하는 공조측 냉매배관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관을 통한 냉매의 흐름을 일방향으로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배관에 설치되는 유동방향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관은, 제 1 연결배관 및 제 2 연결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유동방향제한부는,
    상기 제 1 연결배관 내부의 냉매 유동 방향을 상기 냉각부를 향한 방향으로 제한하는 제 1 유동방향제한부; 및
    상기 제 2 연결배관 내부의 냉매 유동 방향을 상기 공조부를 향한 방향으로 제한하는 제 2 유동방향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측 압축기의 작동이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공조측 압축기로 상기 냉각부의 냉매가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의 냉매가 상기 연결배관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냉각부의 냉매 유동 방향을 선택적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유동전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전환부는, 상기 냉각측 냉매배관 및 상기 연결배관에 각각 설치되는 2개의 개폐밸브, 또는 사방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전환부에 의하여, 상기 냉각부의 냉매가 상기 연결배관으로 유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냉각측 압축기를 향한 상기 냉각부의 냉매 유동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시스템.
  11. 실내의 냉난방을 위하여 냉매 사이클을 수행하는, 공조측 압축기, 공조측 실외열교환기, 공조측 팽창부, 실내열교환기 및 공조측 냉매배관을 포함하는 공조부;
    식품의 냉각을 위하여 냉매 사이클을 수행하는, 냉각측 압축기, 냉각측 실외열교환기, 냉각측 팽창부, 냉각열교환기 및 냉각측 냉매배관을 포함하는 냉각부; 및
    상기 공조부의 냉매와 상기 냉각부의 냉매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 1 냉매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측 압축기로의 냉매 유동이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냉각측 냉매배관을 유동하는 냉매가 상기 공조측 압축기에 의하여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부를 기준으로, 상기 실내열교환기 및 상기 냉각열교환기가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시스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측 압축기를 향한 냉매 유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유동전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전환부는, 상기 냉각측 압축기를 포함하는 냉매사이클 폐회로를 형성하는 제 1 상태와, 상기 공조측 압축기를 포함하는 냉매사이클 폐회로를 형성하는 제 2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시스템.
  15. 삭제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냉매열교환기를 통하여, 상기 공조측 팽창부를 통과한 냉매 및 상기 냉각측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 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시스템.
  17. 제 1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식품의 냉장을 위하여 냉매사이클을 수행하는 냉장부와, 식품의 냉동을 위하여 냉매사이클을 수행하는 냉동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부의 냉매 및 상기 냉동부의 냉매 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제 2 냉매열교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측 압축기는 상기 냉동부를 유동하는 냉매를 압축할 수 있는 냉동측 압축기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측 팽창부는 상기 냉장부를 유동하는 냉매를 팽창시킬 수 있는 냉장측 팽창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냉매열교환기를 통하여, 상기 냉장측 팽창부를 통과한 냉매 및 상기 냉동측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 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시스템.
KR1020090112363A 2009-11-20 2009-11-20 냉매시스템 KR101151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363A KR101151529B1 (ko) 2009-11-20 2009-11-20 냉매시스템
EP10153396A EP2330367B1 (en) 2009-11-20 2010-02-12 Refrigerating system
US12/727,341 US9297558B2 (en) 2009-11-20 2010-03-19 Refrigerat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363A KR101151529B1 (ko) 2009-11-20 2009-11-20 냉매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5798A KR20110055798A (ko) 2011-05-26
KR101151529B1 true KR101151529B1 (ko) 2012-05-30

Family

ID=43531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2363A KR101151529B1 (ko) 2009-11-20 2009-11-20 냉매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297558B2 (ko)
EP (1) EP2330367B1 (ko)
KR (1) KR1011515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61622A1 (en) * 2010-06-18 2013-03-1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Refrigerating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WO2016112275A1 (en) * 2015-01-09 2016-07-14 Trane International Inc. Heat pump
US9845979B2 (en) * 2015-12-15 2017-12-19 WinWay Tech. Co., Ltd. Evaporator for a cascade refrigeration system
DE102016204158A1 (de) 2016-03-14 2017-09-14 Efficient Energy Gmbh Wärmepumpenanlage mit zwei Stufen,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Wärmepumpenanlag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Wärmepumpenanlag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6762A (ja) * 1981-10-19 1983-04-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セパレ−ト形空気調和機
JPS5869379A (ja) 1981-10-20 1983-04-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給湯冷暖房装置
JP2005221194A (ja) * 2004-02-09 2005-08-18 Mitsubishi Heavy Ind Ltd 空調・冷蔵・冷凍設備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4997B2 (ja) * 1998-09-30 2000-10-0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JP3112003B2 (ja) * 1998-12-25 2000-11-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JP3838130B2 (ja) 2002-03-25 2006-10-25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電源コントロール方法
US6860116B2 (en) * 2002-09-18 2005-03-01 Carrier Corporation Performance enhancement of vapor compression systems with multiple circuits
JP4169638B2 (ja) 2003-06-04 2008-10-22 三洋電機株式会社 冷凍システム
US7231774B2 (en) * 2004-04-28 2007-06-19 Carrier Corporation Multi-circuit refrigerant cycle with dehumidification improvements
JP3879762B2 (ja) * 2005-03-29 2007-02-1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JP5033337B2 (ja) 2006-03-07 2012-09-26 三洋電機株式会社 冷凍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6762A (ja) * 1981-10-19 1983-04-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セパレ−ト形空気調和機
JPS5869379A (ja) 1981-10-20 1983-04-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給湯冷暖房装置
JP2005221194A (ja) * 2004-02-09 2005-08-18 Mitsubishi Heavy Ind Ltd 空調・冷蔵・冷凍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30367A2 (en) 2011-06-08
EP2330367A3 (en) 2011-07-27
US20110120158A1 (en) 2011-05-26
EP2330367B1 (en) 2012-10-03
US9297558B2 (en) 2016-03-29
KR20110055798A (ko) 201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11177A1 (ja) 空気調和装置
KR101250100B1 (ko) 냉매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4804396B2 (ja) 冷凍空調装置
KR100511286B1 (ko) 동시 제상 및 난방 운전이 가능한 공기조화기 및 자체제상 사이클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WO2015140951A1 (ja) 空気調和装置
EP3686516B1 (en) Air conditioner
JP6161741B2 (ja) 空気調和装置
WO2018008053A1 (ja) 冷凍サイクルシステム
JP2023503192A (ja) 空気調和装置
KR101151529B1 (ko) 냉매시스템
JP2006098044A (ja) 冷凍装置
CN111919073B (zh) 制冷装置
KR20120053381A (ko) 냉동 사이클 장치
JP2010002112A (ja) 冷凍装置
KR101146783B1 (ko) 냉매시스템
WO2018003696A1 (ja) 冷凍装置
JP4169080B2 (ja) 冷凍冷蔵庫
KR100702040B1 (ko) 냉난방 동시형 멀티 공기조화기
JP4618313B2 (ja) 冷凍装置
KR101908307B1 (ko) 냉장시스템
JP2009115336A (ja) 冷凍装置
JP5194842B2 (ja) 冷凍装置
KR101908302B1 (ko) 냉장시스템
KR20110084047A (ko) 냉매시스템
JP2008175528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