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4481B1 -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케이블 - Google Patents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4481B1
KR101134481B1 KR1020100049935A KR20100049935A KR101134481B1 KR 101134481 B1 KR101134481 B1 KR 101134481B1 KR 1020100049935 A KR1020100049935 A KR 1020100049935A KR 20100049935 A KR20100049935 A KR 20100049935A KR 101134481 B1 KR101134481 B1 KR 101134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portion
wiring
handle portion
band cable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9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0552A (ko
Inventor
전성원
김문종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케이유엠 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케이유엠 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9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4481B1/ko
Publication of KR20110130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0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4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448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혹은 여러 전기 장치에서 전기를 통전하는 각종 와이어링을 고정할 때 사용하는 밴드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밴드케이블의 손잡이부와 전선 결속부를 이어주는 헤드부를 일체형에서 분리형으로 구성하여, 절단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손잡이부를 분리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케이블 고정수단을 구현함으로써, 절단도구 배제 및 절단작업 삭제 등을 통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손잡이부의 재사용이 가능하여 친환경적인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케이블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케이블{Band cable for fixing wiring}
본 발명은 자동차 혹은 여러 전기 장치에서 전기를 통전하는 각종 와이어링을 고정할 때 사용하는 밴드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링(Wiring)은 자동차 혹은 여러 전기 장치에서 전기를 통전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와이어링의 경우, 예를 들면 자동차의 각종 전기배선에 많이 사용되는데, 예를 들면 자동차의 각 전장품들과 전력 구동원인 배터리나 발전기를 연결하는데 사용되거나, 점화, 등화 및 충전 등의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된다.
상기 와이어링은 자동차의 운행 중 발생되는 심한 진동에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이를 고정시키지 않으면 심하게 흔들리게 되고, 또 어느 정도의 기간이 경과되면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처지면서 차체 내부의 부품들과 스치게 되며, 이로 인해 와이어링 내에 있는 특정의 와이어가 손상되면서 결국 관련 작동부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의 각종 전기배선에 사용되는 와이어링은 반드시 클립이나 밴드케이블 등으로 고정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케이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밴드케이블은 자동차 와이어링을 묶어서 고정시킬 수 있는 전선 결속부(10)와, 상기 전선 결속부(10)에 일체로 형성되는 헤드부(11)와, 상기 헤드부(11)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면서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12)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 2는 종래의 자동차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케이블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밴드케이블의 전선 결속부(10)로 와이어링(13)을 묶어 체결한 다음, 손잡이부(12)를 차체 판넬(14)의 홀(15)에 1차 체결하고, 계속해서 헤드부(11)측에 차체 판넬(14)을 2차 체결한 후, 절단도구(16)를 사용하여 길게 연장되어 있는 손잡이부(12)를 절단하면, 와이어링 고정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밴드케이블은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장착 후 손잡이부를 절단도구를 사용하여 절단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둘째, 작업시 마다 절단위치를 맞춰서 절단해야 하므로, 작업성이 좋지 않다.
셋째, 손잡이부가 용도 상실되기 때문에 산업폐기물화되어 환경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밴드케이블의 손잡이부와 전선 결속부를 이어주는 헤드부를 일체형에서 분리형으로 구성하여, 절단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손잡이부를 분리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케이블 고정수단을 구현함으로써, 절단도구 배제 및 절단작업 삭제 등을 통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손잡이부의 재사용이 가능하여 친환경적인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케이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케이블은 와이어링을 묶어서 고정시키는 전선 결속부, 차체 판넬측에 고정되는 헤드부,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 등을 포함하는 한편, 상기 헤드부와 손잡이부는 회전방식으로 조립 및 분리가능하게 서로 결합되므로서, 와이어링 고정 완료 후에 차체 판넬측에 고정되어 있는 헤드부로부터 손잡이부를 분리할 수 있고, 이렇게 분리한 손잡이부를 재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헤드부와 손잡이의 조립 및 분리가능한 구조는 헤드부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를 양편에 각각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부에는 헤드부의 걸림돌기에 축방향으로 걸려지는 걸림훅을 양편에 각각 형성하여, 손잡이부의 회전 위치에 따라 걸림훅이 걸림돌기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도록 하는 구조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케이블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제공한다.
첫째, 전선 결속부를 차체 패널에 고정시킨 후, 손잡이부를 돌려서 분리하는 간단한 행위만으로 와이어링 고정 작업을 마무리할 수 있으므로, 종전과 같이 도구를 사용하여 절단한다거나 하는 등의 작업을 배제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분리한 손잡이부를 재활용할 수 있으므로, 폐기물 발생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는 등 친환경적인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케이블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자동차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케이블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케이블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케이블에서 헤드부의 분리 방법을 보여주는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케이블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케이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케이블은 기본적으로 자동차의 와이어링을 묶어서 고정시키기 위한 전선 결속부(10), 밴드케이블 자체를 차체 판넬(14)에 체결시키기 위한 헤드부(11), 와이어링 고정 작업시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사용하기 위한 손잡이부(12)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전선 결속부(10)는 와이어링 둘레를 감싼 상태에서 자체 결속구조를 이용하여 와이어링을 묶는 수단으로서, 헤드부(11)의 한쪽에 일체 연장 형성되며, 공지의 밴드케이블이 갖는 전선 결속부의 형태 및 결속방식과 크게 다를 바가 없다.
상기 헤드부(11)는 차체 판넬(14)에 형성되어 있는 홀(15)의 주변에 체결되는 부분으로서, 전선 결속부(10)에 묶여 있는 와이어링을 차체 판넬측에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헤드부 몸체의 둘레부에는 탄력형의 걸림수단인 판넬 체결용 클립(22)이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의 판넬 체결용 클립(22)이 차체 판넬(14)의 홀(15)을 통과한 후에 재차 복원되면서 홀 주변에 걸려지게 되므로서, 헤드부(11)가 차체 판넬(14)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헤드부(11)에는 일정한 면적, 예를 들면 차체 판넬(14)에 있는 홀(15)의 직경보다도 큰 면적을 가지는 플랜지(23)가 구비되며, 헤드부(11)가 판넬 체결용 클립(22)을 통해 체결될 때, 클립 반대쪽에서 플랜지(23)가 판넬면을 잡아주게 되므로서, 이때의 헤드부(11)의 체결 고정상태가 견고히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손잡이부(12)는 작업자가 편히 잡고 사용할 수 있는 길다란 띠 모양의 부재로서, 와이어링 결속 후, 이 손잡이부(12)를 차체 판넬(14)에 있는 홀(15) 속으로 집어 넣은 다음, 반대쪽에서 잡아 당겨 빼내는 용도 등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11)와 차체 판넬(14)의 홀(15)이 서로 매칭되는 부분에는 기밀 유지를 위한 실(24)이 개재되며, 이때의 실(24)은 헤드부(11)에 있는 판넬 체결용 클립(22)이 차체 판넬(14)의 홀(15) 주변에 걸려질 때 함께 압착되면서 클립과 홀 주변의 틈새를 효과적으로 막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손잡이부를 분리할 수 있는 형태의 밴드케이블을 제공하며, 이렇게 손잡이부를 분리가능함에 따라 절단공수를 삭제할 수 있는 등 작업성을 높일 수 있고, 또 종전과 같이 손잡이부를 절단하여 버리지 않고 분리한 손잡이부를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원 재활용 측면에서도 친환경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밴드케이블은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조립 및 분리가능한 헤드부(11)와 손잡이부(12)의 조합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에 따라 와이어링 고정 작업을 모두 완료한 후, 차체 판넬(14)측에 고정되는 헤드부(11)로부터 손잡이부(12)를 분리하여 떼어낼 수 있게 된다.
상기 헤드부(11)와 손잡이부(12)의 조립 및 분리가능한 조합 형태의 일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상기 헤드부(11)의 단부에는 반경방향으로 수평 돌출되면서 서로 180°의 간격을 유지하는 2개의 걸림돌기(17a,17b)가 양편에 각각 형성된다.
이때의 걸림돌기(17a,17b)는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각 걸림돌기(17a,17b) 사이의 간격은 후술하는 손잡이부(12)의 걸림훅(18a,18b)이 지나다닐 수 있는 통로가 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17a,17b)의 저면, 즉 걸림훅(18a,18b)과 접촉되면서 걸려지는 면에는 대략 길이중간쯤 위치에 오목한 형태의 조립 체결용 홈(19)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조립 체결용 홈(19)에 후술하는 손잡이부(12)의 조립 체결용 돌기(20)가 걸려지게 되면, 돌기와 훅의 체결상태가 견고히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11)의 단면, 즉 걸림돌기(17a,17b)가 있는 위치의 아래쪽 단면에는 손잡이부(12)를 조립할 때, 이 손잡이부(12)에 있는 걸림훅(18a,18b)의 정확한 걸림위치를 잡아줄 수 있는 수단인 리브(21)가 구비된다.
이러한 리브(21)는 조립을 위해 손잡이부(12)를 돌릴 때, 손잡이부(12)의 걸림훅(18a,18b)과의 접촉을 통해 그 회전 진행을 구속하게 되고, 결국 이렇게 회전 진행이 구속되는 위치가 걸림훅(18a,18b)과 걸림돌기(17a,17b) 간의 정확한 걸림위치가 된다.
여기서, 상기 리브(21)는 어느 하나의 걸림훅(18a,18b), 또는 두개의 걸림훅(18a,18b) 모두를 잡아줄 수 있는 1개 또는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11)에 대응되는 손잡이부(12)에는 헤드부(11)의 걸림돌기(17a,17b)에 축방향으로 걸려지는 걸림훅(18a,18b)이 양편에 각각 형성된다.
즉, 이때의 걸림훅(18a,18b) 역시 서로 180°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훅(18a,18b)은 축방향으로 일부 연장되다가 재차 반경방향으로 꺽여 수평연장되는 형태, 예를 들면 대략 "ㄴ"자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12)의 걸림훅(18a,18b)에는 걸림돌기(17a,17b)와의 접촉 걸림면에 볼록한 조립 체결용 돌기(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의 조립 체결용 돌기(20)가 돌기와 훅 간의 체결시 걸림돌기(17a,17b)에 있는 조립 체결용 홈(19)에 걸려지게 되므로서, 돌기와 훅의 체결상태가 견고히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케이블에서 헤드부의 분리 방법을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헤드부(11)로부터 손잡이부(12)를 분리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차체 판넬(14)에 헤드부(11)가 체결 고정되어 있는 상태(물론, 와이어링 또한 전선 결속부에 묶여 있는 상태임)에서 손잡이부(12)를 어느 한쪽방향, 예를 들면 도면에서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돌려서 그 걸림훅(18a,18b)을 헤드부(11)에 있는 걸림돌기(17a,17b) 간의 빈 간격에 위치를 맞춘 다음, 위로 빼내면 손잡이부(12)를 쉽게 헤드부(11)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헤드부(11)와 손잡이부(12) 간의 조립은 위의 역순에 의해 가능하며, 이때에는 손잡이부(12)에 있는 걸림훅(18a,18b)이 헤드부(11)에 있는 리브(21)에 닿을 때까지 돌려주면, 조립 체결용 돌기(20)와 조립 체결용 홈(19)이 걸려지면서 손잡이부(12)의 조립이 완료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케이블을 사용하여 와이어링을 고정시키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케이블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밴드케이블의 헤드부(11)에 실(24)을 조립한다.
다음, 전선 결속부(10)가 있는 헤드부(11)에 손잡이부(11)를 조립한다.
즉, 헤드부(11)의 걸림돌기(17a,17b)에 손잡이부(11)의 걸림훅(18a,18b)을 걸어서 체결한다.
다음, 전선 결속부(10)를 이용하여 와이어링(13)을 묶은 다음, 손잡이부(12)의 끝을 차체 판넬(14)에 형성되어 있는 홀(15)에 끼운 다음, 손잡이부(12)를 완전히 빼낸 상태에서 차체 판넬(14)에 헤드부(11)를 고정시킨다.
다음, 와이어링(13)의 결속과 헤드부(11)의 고정을 모두 마친 상태에서 손잡이부(12)를 회전시켜 분리해내면, 와이어링 고정작업을 모두 마칠 수 있으며, 이때의 분리한 손잡이부(12)는 재사용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밴드케이블의 헤드부분을 일체형에서 분리형으로 구성하여, 절단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체결부분의 해제를 통해 분리할 수 있으므로, 간단하게 작업을 마무리할 수 있는 등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 손잡이부의 재사용도 가능하므로, 친환경적인 효과도 높일 수 있다.
10 : 전선 결속부 11 : 헤드부
12 : 손잡이부 13 : 와이어링
14 : 차체 판넬 15 : 홀
16 : 절단도구 17a,17b : 걸림돌기
18a,18b : 걸림훅 19 : 조립 체결용 홈
20 : 조립 체결용 돌기 21 : 리브
22 : 판넬 체결용 클립 23 : 플랜지
24 : 실

Claims (4)

  1. 와이어링을 묶어서 고정시키는 전선 결속부(10)와, 차체 판넬측에 고정되는 헤드부(11)와,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12)를 포함하는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1)와 손잡이부(12)는 회전방식으로 조립 및 분리가능하게 서로 결합되어, 와이어링 고정 완료 후에 차체 판넬측에 고정되어 있는 헤드부(11)로부터 손잡이부(12)를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헤드부(11)에는 단부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17a,17b)가 양편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12)에는 헤드부(11)의 걸림돌기(17a,17b)에 축방향으로 걸려지는 걸림훅(18a,18b)이 양편에 각각 형성되어, 손잡이부(12)의 회전 위치에 따라 걸림훅(18a,18b)이 걸림돌기(17a,17b)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는 구조에 의해 헤드부(11)와 손잡이부(12)가 조립 및 분리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케이블.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17a,17b)와 걸림훅(18a,18b) 간의 접촉 걸림면에는 서로 체결되면서 돌기와 훅의 체결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조립 체결용 홈(19)과 조립 체결용 돌기(20)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케이블.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1)에는 손잡이부(12)에 있는 걸림훅(18a,18b)과의 접촉을 통해 회전을 구속하여 이 걸림훅(18a,18b)의 걸림위치를 잡아줄 수 있는 리브(21)가 구비되되, 상기 리브(21)는 헤드부(11)의 걸림돌기(17a,17b)가 있는 위치의 아래쪽 단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케이블.
KR1020100049935A 2010-05-28 2010-05-28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케이블 KR101134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935A KR101134481B1 (ko) 2010-05-28 2010-05-28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935A KR101134481B1 (ko) 2010-05-28 2010-05-28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케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552A KR20110130552A (ko) 2011-12-06
KR101134481B1 true KR101134481B1 (ko) 2012-04-13

Family

ID=45499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9935A KR101134481B1 (ko) 2010-05-28 2010-05-28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44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5017A (ko) * 2016-07-05 2018-0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887B1 (ko) 2011-12-07 2013-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라디에이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8836A (ja) 2000-04-17 2001-10-26 Sumitomo Wiring Syst Ltd バンドクリップ
KR20090109308A (ko) * 2008-04-15 2009-10-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와이어 하네스 밴드클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8836A (ja) 2000-04-17 2001-10-26 Sumitomo Wiring Syst Ltd バンドクリップ
KR20090109308A (ko) * 2008-04-15 2009-10-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와이어 하네스 밴드클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5017A (ko) * 2016-07-05 2018-0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
KR102496631B1 (ko) 2016-07-05 2023-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552A (ko) 2011-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25969B2 (ja) 充電用コネクタ
KR102020315B1 (ko)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의 와이어링 고정용 플레이트
KR101134481B1 (ko)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케이블
JPWO2009050781A1 (ja) コネクタ端子保護キャップおよびハーネスアッセンブリ
US20150102692A1 (en) Terminal assembly for starter motor of vehicle
JP6090141B2 (ja) 固定部材付ワイヤーハーネス
JP6428711B2 (ja) 電装品支持構造及び建設機械
JP2012217289A (ja) クランプ固定構造及びクランプ固定方法
KR102496631B1 (ko)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
KR101879863B1 (ko) 배터리팩 장착형 와이어링 프로텍터
JP2011091905A (ja) プロテクタ
KR101326337B1 (ko) 자동차용 와이어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JP6820305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の端部の仮係止構造
KR100345232B1 (ko) 차량의 배터리 접속구조
KR200466132Y1 (ko) 밴드 케이블
KR20090005938U (ko) 밴드 케이블
KR200221298Y1 (ko) 와이어체결용 밴드 클립
KR200408583Y1 (ko) 밴드케이블 고정용 스터드 클립
KR200455339Y1 (ko) 와이어링 지그 장치
JPH09196236A (ja) バンドクリップ
KR20170086184A (ko) 장탈착이 견고한 와이어 하네스 고정구
KR20100006905U (ko)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구
KR101959910B1 (ko) 배터리팩 장착형 와이어링 프로텍터
KR101959911B1 (ko) 배터리팩 장착형 와이어링 프로텍터
KR101959913B1 (ko) 배터리팩 장착형 와이어링 프로텍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