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9265B1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9265B1
KR101119265B1 KR1020100017231A KR20100017231A KR101119265B1 KR 101119265 B1 KR101119265 B1 KR 101119265B1 KR 1020100017231 A KR1020100017231 A KR 1020100017231A KR 20100017231 A KR20100017231 A KR 20100017231A KR 101119265 B1 KR101119265 B1 KR 101119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fixture
receptacle
portions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7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8318A (ko
Inventor
사토 카주히로
카토 히로미치
다카하시 히로카주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98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8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9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9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전기커넥터는 리셉터클커넥터와 플러그커넥터를 포함한다.
제1고정구와 제2고정구는 리셉터클커넥터들과 플러그커넥터들의 길이방향의 적어도 일단 상에 각각 배열된다. 상기 제1,2고정구들은 각 기판에 연결되는 연결부들을 각각 구비한다. 제1,2고정구들은 적어도 2개의 계합부들과 적어도 세 개의 계지부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계합부들과 상기 계지부들은 서로 결합된다. 서로 결합된 계합부들 및 계지부들 중 적어도 한 세트는 전기적으로 도통하게 형성되어 전원공급단자로 이용된다. 그래서 이와 같이 구성된 전기커넥터는 결합 시 돌발적인 외부힘들을 충분히 견딜 수 있고, 또한 다수개의 단자들을 사용하지 않고도 전원공급단자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한편 커넥터들의 좁은 피치, 소형화 및 커넥터의 전체적인 높이 저감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본 발명은 휴대전화, 소형 퍼스널컴퓨터와 같은 전기 기기 또는 전자 기기에 사용하는 전기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갑작스런 힘이 인가된 경우에도 충분한 전기적 연결을 유지할 수 있고 자체 기능 이외에 전력공급 접촉단자로서 사용될 수 있는 특성을 가지는 전기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판들이 상호 연결되는 경우, 솔더링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각각의 기판과 연결되는 두 개의 커넥터가 사용되고 이 두개의 커넥터는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출원인이 제시한 연결 기판들에 대한 커넥터에 관한 예로서, 일본실용신안공개 H05-69,873호(1993)(특허문헌 1), 일본실용신안공개 H07-16381호(1995)(특허문헌 2) 및 미국특허공개공보 2007-18785호(미국특허등록 제7,374,432호)(특허문헌 3)가 있다.
일본실용신안공개 H05-69,873호(특허문헌 1)는 접착커넥터가 비스듬히 잘못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넥터를 개시한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다른 크기의 두 개의 사각 로드 형상의 결합부재들이 한 쌍의 결합커넥터로서 사용된다. 이로 인하여, 상술한 오 삽입이 방지될 수 있다. 일본실용신안공개 H07-16,381호(특허문헌 2)는 수컷 단자에 돌출부를 제공하고 암컷 단자에 오목부를 제공함으로써, 정확한 결합력을 가지고, 또한 짧은 결합거리에도 정확한 전기결합완료를 표시하는 표지를 제공하는 커넥터를 제시한다. 상기 표지는 결합 시의 딸깍 소리에 의하여 제공된다.
미국특허공개공보 2007-18,785호(미국특허등록 제7,374,432호)(특허문헌 3)는 특이한 크랭크 형상단자를 사용하는 단순한 구조로 플로팅 결합특성을 가지는 커넥터를 개시한다.
근래에는, 수요자들은 단자들의 피치를 더 좁게 형성하고, 커넥터들의 전체적인 높이를 감소시키며, 소형화할 것을 점점 더 요구하고 있다. 더욱이, 기판들 사이의 커넥터가 서로 맞추어 결합되었을 때 갑작스런 힘에 대응한 커넥터의 강인성 향상에 대한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
기판들 사이의 커넥터들의 경우, 커넥터의 정격전류는 0.4A 정도이다. 그러나, 전원으로서 1A 단위의 전류를 이송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전원공급목적을 위하여 다수개의 터미널들(단자들)을 사용하여야만 한다.
상술한 특허문헌들은 비록 단자들의 작은 피치들의 요구, 소형화의 요구 및 커넥터들의 전체적인 높이의 저감의 요구들은 만족시킬 수 있으나, 이들 특허문헌에서 개시된 구조의 커넥터들은 사용 중 갑작스런 힘에 대응한 강인성의 향상을 만족시킬 수 없다. 또한 상기 커넥터들은 하나의 전류 공급유닛으로서 복수개의 터미널을 사용하지 않고는 1A의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자들의 더 작은 피치, 소형화, 낮은 전체적인 높이의 요구를 만족시키고, 결합 시 갑작스런 힘에 대응하는 뛰어난 내구성에 의하여 전기연결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복수개의 터미널(단자)을 이용하지 아니하고도 전력공급연결부로서 작용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판들을 연결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전기커넥터에 의하여 완성된다. 본 발명의 전기커넥터는, 플러그커넥터와 리셉터클커넥터가 착탈가능하게 접합하고, 기판들 사이를 접속하는 전기커넥터로서, 상대편 커넥터와 접촉하는 제1접촉부, 블록에 고정된 제1고정부 및 상기 기판들 중 하나에 접속하는 제1접속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리셉터클단자들과, 상기 리셉터클단자들을 지지, 배열하는 블록을 구비하는 상기 리셉터클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단자와 접촉하는 제2접촉부, 하우징에 고정된 제2고정부 및 상기 기판들 중 나머지 다른 기판에 접속하는 제2접속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플러그단자와 상기 플러그단자를 지지, 배열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상기 플러그커넥터를 포함하는 전기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커넥터 및 상기 리셉터클커넥터는, 각각의 커넥터의 길이방향의 적어도 일단에 배치되며 각 커넥터의 상기 기판에 연결되는 연결부들을 각각 가지는 제1고정구 및 제2고정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고정구와 상기 제2고정구 중 어느 하나는 적어도 3개소의 계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2고정구 중 다른 하나는 적어도 3개의 계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계합부 및 상기 계지부는 서로 결합하고, 서로 결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계합부 및 계지부들 중의 한 세트는 서로 전기적으로 도통되어 전원공급단자로 사용되는 전기커넥터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전기커넥터는, 상기 계합부 및 상기 계지부가 상기 제1,2고정구의 폭 방향 양단과 폭 방향의 중앙부분에서 상기 제1,2고정구들의 3개소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청구항 3에 기재된 전기커넥터는, 상기 제1고정구가 판 형상의 편이고, 상기 계합부들로서, 상기 제1고정구의 폭방향의 양측에 돌출되어 형성하는 제2계합부들 및 상기 커넥터의 결합구내로 돌출되며 상기 제1고정구의 폭방향의 중앙에서 상기 제1고정구의 일부분을 접어 형성한 탄성편 상에 위치하는 제1계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구는 뒤집힌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계지부들로서, 상기 제2계합부에 대응하고 상기 제2고정구의 폭방향 양단 상의 U자형상으로 접혀져 형성된 판 형상편 상에 위치하는 제2계지부와 상기 제2고정구의 폭방향의 중앙에서 상기 제2고정구의 일부분을 접어서 형성된 제1계지부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청구항 4에 기재된 전기커넥터는, 상기 제1고정구의 제1계합부가 돌기로 형성되고, 상기 제2계합부들은 외측방향으로 돌출한 돌출부들로 형성되며,
상기 제2고정구의 제1계지부는 상기 돌기에 결합하는 단면이 U자 형상의 판형상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계지부들은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오목부로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청구항 5에 기재된 전기커넥터는, 상기 제1고정구의 제1계합부와 상기 제2고정구의 제2계지부들은 각각 탄성을 가지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커넥터는 다음과 같은 중요한 기능 및 효과를 가진다.
(1) 청구항 1에서 기재하고 있는, 플러그커넥터와 리셉터클커넥터가 착탈가능하게 접합하고, 기판들 사이를 접속하는 전기커넥터로서, 상대편 커넥터와 접촉하는 제1접촉부, 블록에 고정된 제1고정부 및 상기 기판들 중 하나에 접속하는 제1접속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리셉터클단자들과, 이 리셉터클단자들을 지지, 배열하는 블록을 구비하는 상기 리셉터클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단자와 접촉하는 제2접촉부, 하우징에 고정된 제2고정부 및 상기 기판들 중 나머지 다른 기판에 접속하는 제2접속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플러그단자와, 상기 플러그단자를 지지, 배열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상기 플러그커넥터를 포함하는 기판을 결합하는 전기커넥터는, 상기 플러그커넥터 및 상기 리셉터클커넥터는, 각각의 커넥터의 길이방향의 적어도 일단에 배치되며 각 커넥터의 상기 기판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각각 가지는 제1고정구 및 제2고정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고정구와 상기 제2고정구 중 어느 하나는 적어도 3개소의 계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2고정구 중 다른 하나는 적어도 3개의 계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계합부 및 상기 계지부는 서로 결합하며, 서로 결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계합부 및 계지부들 중의 한 세트는 서로 전기적으로 도통되어 전원공급단자로 사용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커넥터는 단자들의 피치를 더 좁게 하고, 소형화하며, 전체적인 높이도 더 감소시킬 수 있고, 3 개소에서 고정구들이 결합되므로 결합 시에 갑작스런 힘이 작용하여도 안정적인 전기적 결합이 확보될 수 있다. 상기 전기커넥터는, 고정구들의 결합부분의 적어도 1 개 세트를 도통시킴으로써 복수의 단자를 이용하지 않고 안정적인 전원공급 커넥터로 사용된다.
(2) 청구항 2에 기재된 전기커넥터는, 상기 계합부 및 상기 계지부가 상기 제1,2고정구의 폭 방향 양측과 폭 방향의 중앙부분에서 상기 제1,2고정구 상의 3개소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따른 전기적커넥터는 단자들의 피치를 더 좁게 하고, 소형화하며, 전체적인 높이도 더 감소시킬 수 있고, 3 개소에서 고정구들이 결합되므로 결합 시에 갑작스런 힘이 작용하여도 안정적인 전기적 결합이 확보될 수 있다. 상기 전기커넥터는, 고정구들의 결합부분의 적어도 1 개 세트를 도통시킴으로써 복수의 단자를 이용하지 않고도 안정적인 전원공급 커넥터 유닛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1,2고정구들의 제1계합부와 제1계지부가 커넥터들 또는 고정구의 폭방향의 중앙에 위치하므로, 길이방향으로 커넥터에 가해지는 갑작스런 힘이 증가하여도 이 계합부 및 계지부의 결합은 분리되지 않고, 이러한 견고한 결합부분은 전기적 도통을 발생시킴으로써 결합부분이 전원공급장치로 사용되도록 한다. 더욱이, 상기 제1,2고정구들의 상기 제1계합부 및 제2계지부가 상기 고정구들 또는 커넥터들의 폭방향의 양측단에 위치하므로, 길이방향으로 커넥터에 가해지는 갑작스런 힘이 증가하여도 이 계합부 및 계지부의 결합은 분리되지 않고, 이러한 견고한 결합부분은 전기적 도통을 발생시켜 결합부분이 전원공급장치로 사용되도록 한다.
(3) 청구항 3에 기재된 전기커넥터는, 상기 제1고정구가 판 형상의 편이고, 상기 계합부들로서, 상기 제1고정구의 폭방향의 양측에 돌출되어 형성하는 제2계합부들 및 상기 커넥터의 결합구내로 돌출되며 상기 제1고정구의 폭방향의 중앙에서 상기 제1고정구의 일부분을 접어 형성한 탄성편 상에 위치하는 제1계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구는 뒤집힌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계지부는, 상기 제2계합부에 대응하고 상기 제2고정구의 폭방향 양단 상의 U자형상으로 접혀져 형성된 판 형상편 상에 위치하는 제2계지부와 상기 제2고정구의 폭방향의 중앙에서 상기 제2고정구의 일부분을 접어서 형성한 제1계지부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전기커넥터는 단자들의 피치를 더 좁게 하고, 소형화하며, 전체적인 높이도 더 감소시킬 수 있고, 3 개소에서 고정구들이 결합되므로 결합 시에 갑작스런 힘이 작용하여도 안정적인 전기적 결합이 확보될 수 있다. 상기 전기커넥터는, 고정구들의 결합부분의 적어도 1 개 세트를 도통시킴으로써 복수의 단자를 이용하지 않고도 안정적인 전원공급 커넥터 유닛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1,2고정구들의 제1계합부와 제1계지부가 커넥터들 또는 고정구의 폭방향의 중앙에 위치하므로, 길이방향으로 커넥터에 가해지는 갑작스런 힘이 증가하여도 이 계합부 및 계지부의 결합은 분리되지 않고, 이러한 견고한 결합부분은 전기적 도통을 발생시킴으로써 결합부분이 전원공급커넥터로 사용되도록 한다. 더욱이, 상기 제1,2고정구들의 상기 제1계합부 및 제2계지부가 상기 고정구들 또는 커넥터들의 폭방향의 양측단에 위치하므로, 길이방향으로 커넥터에 가해지는 갑작스런 힘이 증가하여도 이 계합부 및 계지부의 결합은 분리되지 않고, 이러한 견고한 결합부분은 전기적 도통을 발생시켜 결합부분이 전원공급커넥터로 사용되도록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전기커넥터는, 상기 제1고정구의 제1계합부가 돌기로 형성되고, 상기 제2계합부들은 외측방향으로 돌출한 돌출부들로 형성되며, 상기 제2고정구의 제1계지부는 상기 돌기에 결합하는 단면이 U자 형상의 판형상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계지부들은 상기 돌출부들을 수용하는 오목부들로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전기커넥터는 단자들의 피치를 더 좁게 하고, 소형화하며, 전체적인 높이도 더 감소시킬 수 있고, 3 개소에서 고정구들이 결합되므로 결합 시에 갑작스런 힘이 작용하여도 안정적인 전기적 결합이 확보될 수 있다. 상기 전기커넥터는, 고정구들의 결합부분의 적어도 1 개 세트를 도통시킴으로써 복수의 단자를 이용하지 않고도 안정적인 전원공급 커넥터 유닛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1,2고정구들의 제1계합부와 제1계지부가 커넥터들 또는 고정구의 폭방향의 중앙에 위치하므로, 길이방향으로 커넥터에 가해지는 갑작스런 힘이 증가하여도 이 계합부 및 계지부의 결합은 분리되지 않고, 이러한 견고한 결합부분은 전기적 도통을 발생시킴으로써 결합부분이 전원공급커넥터로 사용되도록 한다. 더욱이, 상기 제1,2고정구들의 상기 제1계합부 및 제2계지부가 상기 고정구들 또는 커넥터들의 폭방향의 양측단에 위치하므로, 길이방향으로 커넥터에 가해지는 갑작스런 힘이 증가하여도 이 계합부 및 계지부의 결합은 분리되지 않고, 이러한 견고한 결합부분은 전기적 도통을 발생시켜 결합부분이 전원공급커넥터로도 사용되도록 한다.
(5) 청구항 5에 기재된 전기커넥터는, 상기 제1고정구의 제1계합부와 상기 제2고정구의 제2계지부가 각각 탄성을 가지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는 전기 커넥터는 단자들의 피치를 더 좁게 하고, 소형화하며, 전체적인 높이도 더 감소시킬 수 있고, 3 개소에서 고정구들이 결합되므로 결합 시에 갑작스런 힘이 작용하여도 안정적인 전기적 결합이 확보될 수 있다. 상기 전기커넥터는, 고정구들의 결합부분의 적어도 1 개 세트를 도통시킴으로써 복수의 단자를 이용하지 않고도 안정적인 전원공급 커넥터 유닛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1,2고정구들의 제1계합부와 제1계지부가 커넥터들 또는 고정구의 폭방향의 중앙에 위치하므로, 길이방향으로 커넥터에 가해지는 갑작스런 힘이 증가하여도 이 계합부 및 계지부의 결합은 분리되지 않고, 이러한 견고한 결합부분은 전기적 도통을 발생시킴으로써 결합부분이 전원공급커넥터로 사용되도록 한다. 더욱이, 상기 제1,2고정구들의 상기 제1계합부 및 제2계지부가 상기 고정구들 또는 커넥터들의 폭방향의 양측단에 위치하므로, 길이방향으로 커넥터에 가해지는 갑작스런 힘이 증가하여도 이 계합부 및 계지부의 결합은 분리되지 않고, 이러한 견고한 결합부분은 전기적 도통을 발생시켜 결합부분이 전원공급커넥터로도 사용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에 의하여 더욱 더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도 1a는 결합방향으로부터 본 플러그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접합방향으로부터 본 리셉터클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플러그커넥터와 리셉터클커넥터가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일부 단자들에서 단면한 플러그커넥터와 리셉터클커넥터를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c는 고정구부분에서 단면한 플러그커넥터와 리셉터클커넥터가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플러그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리셉터클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플러그커넥터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리셉터클커넥터의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제1고정구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제2고정구의 사시도이다.
도 5c는 전기커넥터의 길이방향의 양단에서 제1고정구와 제2고정구가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a는 플러그단자들에서 단면친 플러그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6b는 리셉터클단자들에서 단면친 리셉터클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플러그커넥터(50)와 리셉터클커넥터(20)가 착탈자유롭게 접합하고, 기판 사이를 접속하는 전기커넥터로서, 상대편 단자와 접촉하는 제1접촉부(26)와 블록에 고정된 제1고정부와 상기 기판들 중 하나에 접속하는 제1접속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리셉터클단자(24)와, 이 리셉터클단자를 지지, 배열하는 블록(22)을 구비하는 상기 리셉터클커넥터(20)와, 상기 리셉터클단자(24)와 접촉하는 제2접촉부(58)와 하우징(52)에 고정된 제2고정부(60)와 상기 기판들 중 다른 하나에 접속하는 제2접속부(64)를 구비하는 복수의 플러그단자들(56)과 이 플러그단자들(56)을 지지, 배열하는 하우징(52)을 구비하는 상기 플러그커넥터를 포함하는 전기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커넥터(50) 및 상기 리셉터클커넥터(20)는, 각각의 커넥터의 길이방향의 적어도 일단에 각각 배치되며 각 커넥터의 상기 기판에 연결되는 연결부(74)(44)를 각각 가지는 제1고정구(54) 및 제2고정구(25)를 구비하고, 상기 제1고정구(54)와 상기 제2고정구(25)들은 적어도 3개의 계합부(76)(77) 및 적어도 3개의 계지부(46)(48)를 구비하고, 상기 계합부(76)(77) 및 상기 계지부(46)(48)는 서로 결합하며, 서로 결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결합부 및 계지부들 중의 한 세트는 서로 전기적으로 도통되어 전원공급단자로 사용되는 전기커넥터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고정구(54)와 상기 제2고정구(25)는 리셉터클커넥터와 플러그커넥터들(20)(50)의 길이방향의 적어도 일단에 각각 배치되어, 각각의 고정구(54)(25)를 3개소에서 결합시키고, 적어도 1개의 결합부분은 전기적으로 통전시켜 전원공급단자로서 이용한다.
본 발명의 전기커넥터의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결합방향으로부터 본 플러그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접합방향으로부터 본 리셉터클커넥터의 사시도이며, 도 2a는 플러그커넥터와 리셉터클커넥터가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일부 단자들에서 단면한 플러그커넥터와 리셉터클커넥터를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2c는 고정구부분에서 단면한 플러그커넥터와 리셉터클커넥터가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3a는 플러그 단자의 사시도이며, 도 3b는 리셉터클단자의 사시도이고, 도 4a는 플러그커넥터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며, 도 4b는 리셉터클커넥터의 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5a는 제1고정구의 사시도이며, 도 5b는 제2고정구의 사시도이고, 도 5c는 전기커넥터의 길이방향의 양단에서 제1고정구와 제2고정구가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6a는 플러그단자들에서 단면친 플러그커넥터의 단면도이고, 도 6b는 리셉터클단자들에서 단면친 리셉터클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전기커넥터(10)는, 플러그커넥터50과 리셉터클커넥터20를 포함한다. 각각의 커넥터(20)(50)는 주로 단자들(24)(56), 플라스틱제 절연물, 고정구들(25)(54)을 포함한다.
첫 번째, 리셉터클커넥터(2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리셉터클커넥터(20)는 주로 블록(22), 리셉터클단자들(24) 및 제2고정구(25)를 포함한다.
먼저, 리셉터클단자들(24)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리셉터클단자(24)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공지기술의 프레스가공에 의하여 제작된다. 상기 리셉터클단자24의 바람직한 재질은 탄력성 및 도전성 등의 요건을 만족하는 황동, 베릴륨동 및 인청동 등이다. 상기 리셉터클단자(24)는 플러그단자(56)와 접촉하는 제1접촉부(26)와, 상기 블록(22)에 고정된 제1고정부(28)와 기판에 접속된 제1접속부(30) 및 상기 제1접촉부(26)과 상기 제1고정부(28)의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부(32)를 주로 포함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단자(24)의 각각의 부위들은 제1접촉부(26), 탄성부(32), 제1고정부(28), 제1접속부(30)의 순서로 배치된다. 이하에서, 각각의 부위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1접촉부(26)는 플러그단자(56)의 제2접촉부(58)와 접촉하도록 조정된다. 상기 제1접촉부(26)는 판형상편이며, 또한 만곡하여 형성되어 상기 제1접촉부(26)는 상기 플러그단자(56)의 제2접촉부(58)와 제1개소에서 선접촉구조로 접촉한다. 상기 제1접촉부(26)는 상기 플러그단자(56)의 제2접촉부(58)와 접촉하는 것만이 요구되고, 접합 시의 전기커넥터(10)의 공간 감소, 높이 저감화, 접촉안정성 및 가공성들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계된다.
상기 탄성부(32)는, 탄성부(32)의 탄성력에 의하여 얻어지는 접촉압력으로 상기 플러그커넥터(50)을 가압하여 상기 리셉터클단자와 플러그단자(24)(56) 사이의 안정적인 접촉을 이루고 커넥터의 소형화를 이루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 또는 구불구불한 부분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리셉터클단자(24)의 탄성부(32)는 하나의 절곡된 부분을 가지고 있다. 상기 탄성부(32)는, 상기 블록(22)의 높이에 해당하는 상기 블록의 상부에 위치한다.
접촉압에 의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50)을 가압하여 안정한 접촉을 얻는다면 절곡부의 개수는 임의로 형성되어도 된다. 그러나, 절곡부의 개수는 결합 시의 전기커넥터(10)의 높이저감, 접촉압력, 공간저감 및 가공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한다. 상기 탄성부(32)의 절곡부분의 곡률경은 결합 시의 전기커넥터(10)의 높이저감, 공간 저감, 가공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한다.
상기 리셉터클단자(24)의 상기 제1고정부(28)은 상기 블록(22)의 제1삽입공(34)에 지지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고정부가 상기 삽입공(34)으로 압입된다. 그러나, 리셉터클단자들이 단단히 고정만 될 수 있다면, 압입방법과 다른 어떠한 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 방법들은 커넥터의 소형화, 강도 및 지지력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된다.
상기 리셉터클단자(24)의 상기 제1접속부(30)는 기판에 접속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접속부(30)의 형태는 표면실장(SMT, surface mounting type)타입이다. 그러나, 상기 제1접속부(30)의 형태는 기판에 접속만 된다면, 어떠한 형태도 좋다. 예를 들면, 딥 타입(dip type)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블록(22)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블록(22)은, 2개의 제1측벽(36), 제1저벽(38), 제1플랜지(40) 및 결합부(7)로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6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블록(22)은 전기절연성의 플라스틱으로 되고, 공지기술의 사출성형에 의하여 제작된다. 상기 블록(22)의 재질은 치수안정성, 가공성, 생산비용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하고, 일반적으로는 폴리브칠렌테레프탈레이트(PBT)와 폴리아미드(66PA,46PA), 액정폴리머(LCP), 폴리카본네이트(PC), 폴리페닐렌황화물(PPS)과 같은 물질 및 이들의 합성재료를 포함한다. 상기 블록(22)의 2개의 제1측벽(36)은, 필요로 하는 다수개의 리셉터클단자(24)가 압입, 훅킹(hooking), 용접 등에 의하여 설치 또는 고정되는 제1삽입공(34)이 형성된다. 본실시예에서는 리셉터클단자들(24)은 압입에 의하여 상기 삽입공(34)에 고정된다.
상기 블록(22)의 결합부(7)는, 2개의 제1측벽(36)과 제1저벽(38)과 제1플랜지(40)에 의하여 둘러싸여져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커넥터(50)의 결합구(5)에 결합되도록 조정된다. 상기 결합부(7)은 상대 커넥터로서 상기 플러그커넥터(50)의 결합구(5)와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7)의 크기와 형상은 상기 플러그커넥터에 어울리되, 접촉안정성과 커넥터의 소형화 및 가공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한다.
상기 제1플랜지(40)는, 상기 제2고정구(25)가 압입, 훅킹(hooking), 용접 기타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삽입 고정되는 제3삽입공(35)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고정구들(25)은 압입에 의하여 상기 삽입공들(35)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중요부분인 제2고정구들(25)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2고정구(25)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공지기술인 프레스가공에 의하여 성형된다. 상기 제2고정구들(25)을 형성하는 바람직한 금속은 탄력성과 도전성 등의 요구조건을 만족시키는 황동과 베릴륨동과 인청동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제2고정구(25)는 상기 제1고정구(54)와 결합하며 적어도 3개소에 위치하는 제1,2계지부(46)(48), 상기 블록(22)에 고정된 제3고정부(42) 및 기판에 접속되는 제3접속부(44)를 주로 포함한다.
상기 제2고정구들(25)은 밸런스를 고려하여 리셉터클커넥터(20)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제2고정구(25)는 뒤집힌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의 판형상 편(49)을 포함한다. 각각의 판형상 편(49)은 일부를 접어 U자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1고정구(54)의 상기 제2결합부(77)에 대응하는 제2계지부(48)를 구비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2고정구(25)는 상기 제2고정구(25)의 폭의 중앙부분에서 일부를 절곡하여 형성한 제1계지부(46)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고정구(25)의 폭 중앙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20)의 폭 중앙과 대응된다. 제2고정구(25)의 제1계지부(46)는 상기 제1고정구(54)의 돌기(761)와 결합하는 단면이 U자 형상인 판형상부(461)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계지부들(48)은 상기 제1고정구(54)의 상기 돌출부들(771)을 수용하는 오목부(481)형상으로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2고정구(25)의 제2계지부(48)는 탄성을 가진다.
상기 판형상부(461)(상기 제1계지부(46))와 상기 오목부(481)(상기 제2계지부(48))의 형상 및 크기는, 상기 제1고정구(54)의 돌기(761)(상기 제1결합부(76))와 상기 제1고정구(54)의 돌출부(771)(상기 제2결합부(77))를 결합하여 안정한 결합력을 얻고 전기적으로 도통할 수 있다면 어떠한 것이어도 좋으므로, 커넥터의 소형화, 전기 도통성과 가공성과 결합력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된다.
상기 제3고정부(42)는 상기 블록(22)의 제3삽입공(35)에 수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3고정부(42)는 압입방법에 의하여 상기 제3삽입공에 삽입되어 수용된다. 그러나, 상기 제3고정부(42)가 견고하게 고정된다면 압입과 상이한 어떠한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이들 방법은 커넥터의 소형화, 강도와 결합력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한다.
상기 제3접속부(44)는 기판에 접속하는 부분이다. 상기 제3접속부들(44)의 형상은 기판에 접속한다면, 어떠한 형상도 허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면실장(SMT)타입이 상기 제3연결부들(44)을 위하여 제공된다. 예를 들면, 딥 타입(dip type)이 이용될 수 있다.
플러그커넥터(5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플러그커넥터(50)는 하우징(52), 플러그단자(56) 및 제1고정구(54)를 포함한다.
플러그단자(56)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플러그단자(56)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공지기술의 프레스가공에 의하여 제작된다. 상기 플러그단자(56)를 이루는 바람직한 재질은, 탄력성 및 도전성의 요건을 만족하는 황동과, 베릴륨동과 인청동 등을 포함한다. 상기 플러그단자(56)는 상기 리셉터클단자(24)에 접촉하는 제2접촉부(58), 상기 하우징(52)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60), 기판에 접속되는 제2접속부(64)를 주로 구비한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단자(56)의 각 부위는, 제2접촉부(58), 제2고정부(60), 제2접속부(64)의 순서로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각각의 부위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2접속부(58)는 리셉터클단자(24)의 제1접촉부(26)와 접촉한다. 상기 제2접촉부(58)는 상기 리셉터클단자(24)의 제1접촉부(26)와 접촉할 수 있는 것만이 요구 되고, 접촉안정성과 결합시의 전기커넥터10의 공간절감화 및 높이저감화 및 가공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결합 완료를 표시하는 클릭반응과 안정적인 제거력을 얻기 위하여 상기 제2접촉부(58)는, 판형상의 평탄한 형상부분에 오목부를 설치하였다.(미도시) 상기 오목부의 형상 및 크기는 상술한 기능, 강도, 접촉안정성 및 가공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된다.
상기 플러그단자(56)의 상기 제2접촉부(58)는, 상기 하우징(52)의 제2측벽(66)의 외측으로 절곡되어 접힌 상태로 형성된다. 이 결과 상기 제2접촉부(58)는 상기 리셉터클단자(24)와 용이하게 결합하게 된다.
상기 플러그커넥터(56)의 상기 제2고정부(60)는 상기 하우징(52)의 제2삽입공들(78) 중 하나에 수용된다. 본실시예에서, 상기 제2고정부(60)는 압입에 의하여 상기 제2삽입공(78)내로 삽입, 수용된다. 그러나, 상기 플러그단자(56)가 견고하게 결합된다면 압입방법과 다른 어떠한 방법도 이용될 수 있고, 이 방법들은 커넥터의 소형화, 강도, 결합력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한다.
상기 플러그단자(56)의 상기 제2접속부(64)는 기판에 접속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접속부(64)의 타입은 표면실장(SMT)타입이다. 그러나, 기판과 연결된다면 임의의 방법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딥 타입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2)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하우징52는 2개의 제2측벽(66), 제2플랜지(70)와 제2저벽(68)으로 형성되어 6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52)은 전기절연성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공지기술의 사출성형에 의하여 성형된다. 상기 하우징(52)의 재질은 치수안정성과 가공성과 생산 비용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되나, 일반적으로는 폴리브칠렌테레프탈레이트(PBT)와 폴리아미드(66PA,46PA), 액정폴리머(LCP), 폴리카본네이트(PC), 폴리페닐렌황화물(PPS)과 같은 물질 및 이들의 합성재료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52)의 2개의 제2측벽들(66)에는, 압입, 후킹, 용접 등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필요수량의 상기 플러그단자들(56)이 각각 설치 및 고정되는 제2삽입공들(78)이 형성된다. 상기 제2삽입공(78)의 형상, 크기는 상기 플러그단자(56)의 크기와 형상과 결합력 등을 고려하여 설계된다.
2개의 제2측벽(66)과 제2플랜지(70)과 제2저벽(68)에는, 상기 리셉터클커넥터(20)의 감합부(7)가 삽입되는 결합구(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구(5)는 단지 상대 커넥터인 상기 리셉터클커넥터(20)의 감합부(7)가 결합되면 된다. 상기 감함구(5)의 크기와 형상은 상기 리셉터클커넥터의 크기에 따르며, 또한 접촉안정성과 커넥터의 소형화와 가공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된다.
상기 제2플랜지들(70)은 각각 상기 제1고정구(54)가 삽입, 고정된 제4압입공(79)이 설치된다. 상기 제1고정구들(54)은 압입, 후킹, 용접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각각 상기 제4삽입공들(79)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고정구들(54)은 압입에 의하여 상기 제4삽입공들(79)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중요부분인 제1고정구들(54)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고정구(54)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공지기술인 프레스가공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구(54)를 형성하는 바람직한 금속재질은, 탄력성 및 도전성 등의 요건을 만족하는 황동, 베릴륨동, 인청동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제1고정구(54)는 제2고정구(25)의 계지부들과 각각 결합하는 적어도 3개소의 계합부(76)(77), 상기 하우징(52)에 고정되는 제4고정부(72), 및 상기 기판에 접속되는 제4접속부(74)를 주로 포함한다.
상기 제1고정구(54)는 균형을 고려하여 상기 플러그커넥터(50)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제1고정구(54)는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커넥터(50)의 폭 방향으로 양측단에 돌출된 제2계합부(77)를 포함한다. 상기 제1고정구(54)는 일부가 절곡되어 접혀져 형성된 탄성편(80)을 중앙부분에 포함하고, 상기 탄성편(80)은 결합구(5) 내로 돌출하는 제1결합부(76)를 포함한다. 상기 제1고정구(54)의 폭의 중앙은 상기 플러그커넥터(50)의 폭 중앙과 대응된다. 상기 제1고정구(54)의 제1계합부(76)는 돌기(761)로 형성되고, 반면에 상기 제2계합부(76)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771)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고정구(54)의 제1계합부(76)는 탄성을 가진다.
상기 돌기(761)(상기 제1계합부(76))와 상기 돌출부들(771)(상기 제2계합부(77))의 형상 및 크기는, 판형상부(461)(상기 제1계지부(46))와 오목부들(481)(상기 제2계지부(48))이 각각 결합하여, 안정한 결합력을 얻고 또한 전기적으로 도통한다면 어떻게 이루어져도 좋다. 상기 돌기(761)(상기 제1계합부(76))와 상기 돌출부들(771)(상기 제2계합부(77))의 형상 및 크기는 전도성, 가공성, 결합력 및 커넥터의 소형화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구들(54)의 상기 제4고정부들(72)은 상기 하우징(52)의 제4삽입공들(79)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4고정부들(72)은 압입에 의하여 상기 제4삽입공들(79)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그러나, 상기 제4고정부들(72)이 견고히 고정된다면 압입 이외의 어떠한 방법도 가능하고, 이들 방법은 커넥터의 소형화, 강도 및 결합력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된다.
상기 제4접속부들(74)은 기판에 접속된다. 상기 제4접속부들(74)의 형상(타입)은 기판에 접속되는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딥타입도 사용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표면실장(SMT)타입이 상기 제4연결부들(74)을 위하여 채택된다.
비록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 계합부들을 가지는 상기 제1고정구들(54)과 각각 계지부들을 가지는 상기 제2고정구들(25)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1고정구들(54)이 계지부를 가지고 상기 제2고정구들(25)이 계합부들을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활용예들로서는, 휴대전화와 소형퍼스널컴퓨터 등과 같은 전기기기 및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전기커넥터(10)이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돌발적인 외부힘들을 충분히 견딜 수 있고, 커넥터들을 고정하는 기본적인 기능 외에 전원공급단자들로서 사용할 수 있는 전기커넥터(10)에 활용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기술되고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본 개념에서 이탈됨 없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형식적이며 부분적인 다른 여러 변형 및 개량형태도 본 발명에 해당하는 것이다.

Claims (5)

  1. 플러그커넥터와 리셉터클커넥터가 착탈가능하게 접합하고, 기판들 사이를 접속하는 전기커넥터로서, 상대편 커넥터와 접촉하는 제1접촉부, 블록에 고정된 제1고정부 및 상기 기판들 중 하나에 접속하는 제1접속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리셉터클단자들과, 상기 리셉터클단자들을 지지, 배열하는 블록을 구비하는 상기 리셉터클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단자와 접촉하는 제2접촉부, 하우징에 고정된 제2고정부 및 상기 기판들 중 나머지 다른 기판에 접속하는 제2접속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플러그단자와, 상기 플러그단자들을 지지, 배열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상기 플러그커넥터를 포함하는 기판을 결합하는 전기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커넥터 및 상기 리셉터클커넥터는, 각각의 커넥터의 길이방향의 적어도 일단에 배치되며 각 커넥터의 상기 기판에 연결되는 연결부들을 각각 가지는 제1고정구 및 제2고정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2고정구들은 서로 결합되는 적어도 3개소의 계합부 및 적어도 3개의 계지부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하고,
    서로 결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계합부들 및 계지부들 중의 한 세트는 서로 전기적으로 도통되어 전원공급단자로 이용되는 전기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합부들 및 상기 계지부들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2고정구들의 폭방향 양단 및 중앙부분에서 상기 제1,2고정구들의 3개소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구가 판 형상의 편이고,
    상기 계합부들로서, 상기 제1고정구의 폭방향의 양측에 돌출되어 형성하는 제2계합부들 및 상기 커넥터의 결합구내로 돌출되며 상기 제1고정구의 폭방향의 중앙에서 상기 제1고정구의 일부분을 접어 형성한 탄성편 상에 위치하는 제1계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구는 뒤집힌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계지부들로서, 상기 제2계합부에 대응하고 상기 제2고정구의 폭방향 양단 상의 U자형상으로 접혀져 형성된 판 형상편 상에 위치하는 제2계지부들과 상기 제2고정구의 폭방향의 중앙에서 상기 제2고정구의 일부분을 접어서 형성된 제1계지부를 포함하는 전기커넥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구의 제1계합부가 돌기로 형성되고, 상기 제2계합부들은 외측방향으로 돌출한 돌출부들로 형성되며, 상기 제2고정구의 제1계지부는 상기 돌기에 결합하는 단면이 U자 형상의 판형상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계지부들은 상기 돌출부들을 수용하는 오목부들로 형성되는 전기커넥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구의 제1계합부와 상기 제2고정구의 제2계지부들은 각각 탄성을 가지는 전기커넥터.
KR1020100017231A 2009-02-27 2010-02-25 전기 커넥터 KR1011192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44980 2009-02-27
JP2009044980A JP5250450B2 (ja) 2009-02-27 2009-02-27 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8318A KR20100098318A (ko) 2010-09-06
KR101119265B1 true KR101119265B1 (ko) 2012-03-20

Family

ID=42224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7231A KR101119265B1 (ko) 2009-02-27 2010-02-25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01218B2 (ko)
EP (1) EP2224541A1 (ko)
JP (1) JP5250450B2 (ko)
KR (1) KR101119265B1 (ko)
CN (2) CN10333774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9216A (ko) * 2015-01-19 2016-07-2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접속 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90952B2 (ja) * 2010-04-15 2014-09-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付き基板
JP5498883B2 (ja) * 2010-04-27 2014-05-2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881333B2 (ja) * 2010-09-08 2016-03-09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2012089336A (ja) * 2010-10-19 2012-05-10 Panasonic Corp コネクタ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ソケット
US8292635B2 (en) * 2011-03-12 2012-10-2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onnector assembly with robust latching means
JP5815277B2 (ja) 2011-05-13 2015-11-17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908225B2 (ja) * 2011-07-06 2016-04-26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935040B2 (ja) * 2011-08-31 2016-06-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ソケットならびに当該ソケットを用いたコネクタ
JP5884036B2 (ja) * 2011-08-31 2016-03-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ヘッダならびに当該ヘッダを用いたコネクタ
JP2013101909A (ja) 2011-10-14 2013-05-23 Molex Inc コネクタ
JP5638026B2 (ja) * 2012-05-01 2014-12-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US9004953B2 (en) * 2012-09-27 2015-04-14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Llc Electrical connector
US8888506B2 (en) * 2013-01-29 2014-11-1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JP2014170726A (ja) * 2013-02-05 2014-09-18 Tyco Electronics Japan Kk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それに用いる電気コネクタ
CN105027360A (zh) * 2013-02-27 2015-11-04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连接器、及在该连接器中使用的插头件和插口件
WO2014132284A1 (ja) * 2013-02-27 2014-09-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当該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ヘッダならびにソケット
KR101809339B1 (ko) * 2013-02-27 2017-12-14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에 이용되는 헤더 및 소켓
JP6293431B2 (ja) 2013-03-05 2018-03-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148952B2 (ja) * 2013-03-14 2017-06-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112555B2 (ja) * 2013-06-05 2017-04-12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気コネクタ
JP6144122B2 (ja) * 2013-06-14 2017-06-07 宏致電子股▲ふん▼有限公司Aces Electronics Co.,Ltd. 電気コネクタ
JP6199666B2 (ja) 2013-09-04 2017-09-20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5716803B2 (ja) 2013-09-20 2015-05-13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KR101489493B1 (ko) 2013-09-27 2015-02-06 (주)우주일렉트로닉스 결합성이 향상된 보드 커넥터
JP5881666B2 (ja) 2013-11-19 2016-03-09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6245964B2 (ja) * 2013-12-02 2017-12-13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5887326B2 (ja) * 2013-12-12 2016-03-16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CN104795654B (zh) * 2014-01-17 2017-09-05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端子、电连接器、以及电连接器组件
JP6325262B2 (ja) * 2014-01-29 2018-05-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9391398B2 (en) * 2014-03-20 2016-07-1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assembly
JP6311396B2 (ja) * 2014-03-28 2018-04-1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1519284S (ko) 2014-06-18 2015-03-16
JP6327973B2 (ja) 2014-06-30 2018-05-23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6051242B2 (ja) * 2014-07-16 2016-12-2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CN105305165B (zh) * 2014-07-16 2018-10-02 广濑电机株式会社 电路板用电连接器
JP6712794B2 (ja) * 2014-08-07 2020-06-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当該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ヘッダならびにソケット
TWM497353U (zh) * 2014-08-20 2015-03-11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td 電連接器及其組合
JP6537890B2 (ja) * 2014-09-26 2019-07-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805288B2 (ja) * 2014-10-08 2015-11-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プラグコネクタ
JP6056835B2 (ja) 2014-11-14 2017-01-11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及び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装置
CN107112669B (zh) 2014-12-18 2019-04-16 第一电子工业株式会社 连接器
USD795813S1 (en) 2014-12-18 2017-08-29 Molex, Llc Electric connector
KR102019739B1 (ko) * 2014-12-23 2019-09-09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홀드다운의 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장치
KR102177486B1 (ko) * 2015-01-19 2020-11-1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홀드다운의 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장치
JP6391517B2 (ja) * 2015-03-30 2018-09-19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WO2016178356A1 (ja) * 2015-05-01 2016-11-1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多極コネクタ
JP6002297B2 (ja) * 2015-08-25 2016-10-0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CN108140969A (zh) * 2015-10-14 2018-06-08 京瓷株式会社 连接器以及连接器***
JP6117905B2 (ja) * 2015-12-18 2017-04-1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6178395B2 (ja) * 2015-12-18 2017-08-0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プラグコネクタ
JP6239582B2 (ja) * 2015-12-29 2017-11-29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KR102472688B1 (ko) * 2016-02-05 2022-11-30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플러그 커넥터, 소켓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6259003B2 (ja) * 2016-04-15 2018-01-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プラグ電気コネクタ
JP6655797B2 (ja) * 2016-04-28 2020-02-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ヘッダおよびソケット
JP2017204433A (ja) * 2016-05-13 2017-11-16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1579149S (ko) 2016-09-07 2017-06-19
JP1579150S (ko) * 2016-09-07 2017-06-19
JP1579148S (ko) 2016-09-07 2017-06-19
JP1579147S (ko) 2016-09-07 2017-06-19
CN107819221A (zh) 2016-09-13 2018-03-2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组合
TWI758340B (zh) 2016-10-21 2022-03-21 英屬開曼群島商鴻騰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插座連接器
US10014609B2 (en) * 2016-11-28 2018-07-03 Molex, Llc Connector
JP6797677B2 (ja) * 2016-12-28 2020-12-09 株式会社フジクラ 電気コネクタ
JP6806593B2 (ja) 2017-02-28 2021-01-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842359B2 (ja) 2017-05-10 2021-03-17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US10608361B2 (en) * 2017-05-19 2020-03-31 Molex, Llc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N207069118U (zh) 2017-06-08 2018-03-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合
JP6474857B2 (ja) * 2017-06-13 2019-02-2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DE102017218326A1 (de) * 2017-10-13 2019-04-18 Robert Bosch Gmbh Hochstromverbindung
JP6823195B2 (ja) 2017-10-20 2021-01-27 株式会社フジクラ 電気コネクタ
JP7009976B2 (ja) * 2017-12-21 2022-01-26 I-Pex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装置
KR102047677B1 (ko) * 2018-01-11 2019-11-22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플러그 커넥터
KR102041368B1 (ko) * 2018-05-24 2019-11-07 몰렉스 엘엘씨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JP7042711B2 (ja) 2018-07-03 2022-03-28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7077177B2 (ja) 2018-08-08 2022-05-3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209822934U (zh) * 2019-03-28 2019-12-20 东莞富强电子有限公司 弹片
CN112259990A (zh) * 2019-07-02 2021-01-22 电连技术股份有限公司 多通道连接器及其组合件
JP1682881S (ko) * 2020-09-29 2021-04-05
JP1695901S (ko) * 2021-04-20 2021-09-27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9941A (ko) * 2003-02-19 2003-03-07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전자커넥터 제조방법
KR200336106Y1 (ko) 2003-09-30 2003-12-12 수퍼 링크 일렉트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다중 접촉 마이크론 커넥터
KR20060042245A (ko) * 2004-08-31 2006-05-12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구비한 휴대단말
KR20090023142A (ko) * 2007-08-31 2009-03-04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8237A (en) * 1987-09-04 1989-04-04 Amp Incorporated Modular plug-in connection means for flexible power supply of electronic apparatus
JP2871128B2 (ja) * 1991-02-25 1999-03-17 松下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H0569873U (ja) * 1992-02-26 1993-09-21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603375Y2 (ja) * 1993-08-20 2000-03-06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5904581A (en) 1996-07-17 1999-05-1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lectrical interconnection system and device
TW380772U (en) * 1996-09-26 2000-01-21 Hon Hai Prec Ind Co Ltd Miniature connector
US6659808B2 (en) * 2000-12-21 2003-12-09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guiding means
US6869292B2 (en) * 2001-07-31 2005-03-22 Fci Americas Technology, Inc. Modular mezzanine connector
US6814590B2 (en) 2002-05-23 2004-11-09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power connector
JP2004055306A (ja) * 2002-07-18 2004-02-19 Yamaichi Electronics Co Ltd 基板接続用コネクタ
EP1523788B1 (en) * 2002-07-23 2011-03-02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Low-profile connector
JP4287825B2 (ja) 2005-01-28 2009-07-01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接続用コネクタ
JP2007018785A (ja) * 2005-07-06 2007-01-25 D D K Ltd コネクタ
JP2007018949A (ja) * 2005-07-11 2007-01-25 Yokowo Co Ltd 電気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563915B2 (ja) 2005-10-21 2010-10-2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4851510B2 (ja) * 2005-12-01 2012-01-11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2886857Y (zh) * 2006-03-06 2007-04-0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4761397B2 (ja) 2007-02-26 2011-08-3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組合せコネクタ
JP4333884B2 (ja) * 2007-03-01 2009-09-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201060978Y (zh) * 2007-05-11 2008-05-14 富港电子(东莞)有限公司 板对板连接器
CN201146266Y (zh) * 2008-01-25 2008-11-05 富港电子(东莞)有限公司 板对板连接器
US7465195B1 (en) * 2008-02-14 2008-12-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ircuit board connec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9941A (ko) * 2003-02-19 2003-03-07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전자커넥터 제조방법
KR200336106Y1 (ko) 2003-09-30 2003-12-12 수퍼 링크 일렉트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다중 접촉 마이크론 커넥터
KR20060042245A (ko) * 2004-08-31 2006-05-12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구비한 휴대단말
KR20090023142A (ko) * 2007-08-31 2009-03-04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커넥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9216A (ko) * 2015-01-19 2016-07-2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접속 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장치
KR102063296B1 (ko) 2015-01-19 2020-01-0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접속 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20114A (zh) 2010-09-01
US20100221928A1 (en) 2010-09-02
CN103337742B (zh) 2016-05-11
KR20100098318A (ko) 2010-09-06
CN101820114B (zh) 2013-11-06
JP2010198996A (ja) 2010-09-09
CN103337742A (zh) 2013-10-02
EP2224541A1 (en) 2010-09-01
JP5250450B2 (ja) 2013-07-31
US7901218B2 (en) 201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9265B1 (ko) 전기 커넥터
JP5908225B2 (ja) 電気コネクタ
US7845987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connector
JP5815277B2 (ja) 電気コネクタ
CN101090182B (zh) 连接器
JP4851510B2 (ja) 電気コネクタ
JP2007018785A (ja) コネクタ
CN212542738U (zh) 电连接器以及电连接器组装体
TW201436373A (zh) 電連接器
KR20180077069A (ko) 전기 커넥터
JP2003217710A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6006356B2 (ja) コンタクト及び該コンタクトを使用するコネクタ
JP3109782U (ja) 電気コネクタのラッチ機構
JP5203029B2 (ja) 電気コネクタ
JP2014191882A (ja) 電気コネクタ
JP5665585B2 (ja) 電気コネクタ
JP3236885U (ja) コネクタ
JP6239582B2 (ja) 電気コネクタ
CN101312273A (zh) 电连接器插头及电连接器组件
TW201841442A (zh) 安裝金屬配件、連接器、插頭及連接系統
CN201060979Y (zh) 板对板连接器
JP7441147B2 (ja) プラグコネクタ、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
CN211351042U (zh) 一种btb连接器母端及btb连接器
CN211351022U (zh) 一种btb连接器公端及btb连接器
JP2009054306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