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3998B1 -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3998B1
KR101093998B1 KR1020090025887A KR20090025887A KR101093998B1 KR 101093998 B1 KR101093998 B1 KR 101093998B1 KR 1020090025887 A KR1020090025887 A KR 1020090025887A KR 20090025887 A KR20090025887 A KR 20090025887A KR 101093998 B1 KR101093998 B1 KR 101093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functional composition
liver
hangover
liver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5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7674A (ko
Inventor
정종문
김지훈
이유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벤스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벤스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벤스랩
Priority to KR1020090025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3998B1/ko
Publication of KR20100107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7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3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3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otan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 관한 것으로 연잎 추출물, 국화 추출물, 우롱차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을 주성분으로 하고, 밀크티슬, 비타민 C, 비타민 B군을 부가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에 치료 효과가 있는 기능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세포실험, 동물실험 및 임상실험 결과 우수한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 효능을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은 독성 및 부작용이 없는 식품 및 생약성분을 배합하여 편리하게 섭취하게 함으로써 간에 필요한 영양소의 공급, 혈액순환 개선, 만성피로 개선 등을 통해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에 효과적인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간, 간기능개선, 숙취해소, 연잎, 국화, 우롱차, 기능성 조성물

Description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 {Function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f hangover and improving liver function}
본 발명은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 관한 것으로 연잎 추출물, 국화 추출물, 우롱차 추출물, 밀크티슬, 비타민 C, 비타민 B를 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에 치료 효과가 있는 기능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세포실험, 동물실험 및 임상실험 결과 우수한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 효능을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은 독성 및 부작용이 없는 식품 및 생약성분을 배합하여 편리하게 섭취하게 함으로써 간에 필요한 영양소의 공급, 혈액순환 개선, 만성피로 개선 등을 통해 간기능 개선에 효과적인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간은 우리 몸에서 가장 큰 장기로서 지질 등의 대사 작용, 해독, 담즙의 배설, 각종 영양소의 저장, 조혈이나 혈액 응고 및 순환 혈액량의 조절 등 많은 기능을 갖기 때문에 간에 장해가 발생하면 여러 가지 기능이 저하되며 최악의 경우에는 생명 유지가 곤란해질 정도로 매우 중요한 장기이다.
간의 기능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에너지 대사를 관리하는 기능이 있어 음식물에서 흡수된 모든 영양소들이 간에서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물질로 대사되어 전신에 공급되거나 저장된다. 둘째, 간은 약 2,000여종의 효소, 알부민, 응고 인자들의 혈청단백질, 담즙산, 인지질, 콜레스테롤 등의 지방 등을 합성하고 저장하며 분배하는 기능이 있다, 셋째, 해독 및 분해기능으로서 약물, 술, 독성물질 등을 해독시키므로 간세포가 손상되기 쉽고 따라서 약물성, 독성, 알코올성 간 질환 등이 흔히 발생하게 된다. 또한 각종 대사산물을 십이지장으로 배설하는 기능 및 면역기능이 있어 생명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지적되는 간 질환의 원인으로는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 독물 또는 약제에 의한 중독, 음주나 포식, 영양장해 및 순환장해에서 스트레스같은 비교적 신변의 원인 등 여러 가지를 들 수 있다.
간장 장해에 대하여 임상적으로 효과가 인정되는 약물은 소수에 불과하므로 현재까지 간장 장해에 대한 유효한 천연 약물탐색은 많은 연구자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간장 장해에 대한 유효한 천연물탐색으로 사염화탄소(CCl4)에 의한 실질적 간장해에 기인하는 혈청 중의 GOT, GPT, LDH의 급격한 증가에 대한 보호 효과를 지표로 하는 방법이 있다.
현재 간염, 간경화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약제는 우르소데옥시콜린산, 면역자극제, 항바이러스제, 실리마린, 운지다당체, 메티오닌 등이 있으나 아직까지 임상적으로 만족스러운 효과를 제공하는 약제가 없어 새로운 간질환 치료제가 강하게 요구되는 실정이다.
기존의 간 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약제들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대체체로 생약성분 및 이들의 추출물을 이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많은데, 아마씨나 들깨에 함유되어 있는 α- 리놀렌산을 이용한 간장 질환 예방 및 치료 조성물(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2-0019344호), 황기, 오미자, 감초 등의 생약조성물을 이용한 간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생약 조성물(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0061327호), 황기유래의 이소플라본을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제(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8-0048620호), 간기능 개선 및 간 질환 치료를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19591호), 숙취해소 및 알콜성 간손상 회복에 유효한 간기능 개선 손바닥 선인장 식물추출물(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078080호) 등이 있다.
또한, 회식과 접대가 잦고 스트레스가 많은 현대인들에게 음주는 필수적인 것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과다한 음주는 일시적으로 두근거림, 두통, 갈증, 멀미, 위장장애, 설사 등의 숙취현상(hangover)을 유발한다.
따라서, 예전부터 에탄올의 독성을 경감시키거나 독성의 발현을 저해할 수 있는 많은 물질에 대한 연구와 실험이 진행되어 왔으며, 그 결과, 그와 관련된 천연식품이나 한약재료로부터 추출한 성분을 함유한 다양한 건강보조식품이 개발되고 있다(김정한 등, 한국농화학회지, 38(6), pp549-553, 1995).
최근 들어, 한약제 또는 민간요법제로서 숙취해소에 유용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 인삼, 가시오가피 등의 성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각종 제제 형태의 기능성 식품들이 개발되었다. 그 중 인삼을 주성분으로 하는 자양강장 드링크제가 다수 시판되고 있으며, 기타 꿀, 비타민 등의 각종 성분들도 적당량의 함량으로 조성하여 자양강장제로 시판되고 있다. 인삼, 가시오가피(Brekhman et al., Lloydia, 32(1), pp46-51, 1969), 오씨뭄(Ocimum sanctum Linn), 티노스포라말라바리카 (tinosporamalabarica)(Sen, P. et al., Indian J. Exp . Biol ., 30, pp592-596, 1992) 등의 생약과 멜라토닌 등의 생체물질이 숙취해소 작용을 나타낸다고 보고되어 있기는 하나, 음주에 의해 유발되는 다양한 숙취증상 중에서 일부 증상에만 효과가 있거나 숙취해소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얼마 전부터는 콩나물을 주원료한 식물 엑기스를 함유한 제품과 미배아와 대두 추출물을 함유한 제품이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역시 제제의 안전성 면에서 여전히 해결해야 할 많은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이와 같이 음주 후의 숙취제거를 위하여 각종 생약제를 포함하는 드링크제가 시판되고 있으나, 일부 생약제를 함유하는 드링크제는 전신권태, 복부팽만감, 구토 또는 복통 등을 유발하는 경우가 있을 뿐 아니라, 일부 드링크제는 고가의 생약제를 사용함으로써 고가로 판매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현대인들의 음주에 대한 폐해를 해 결하여 활기찬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다양한 식품원료들을 대상으로 하여 숙취해소 및 간 질환에 유효한 복합 기능성 식품을 개발하기 위해 식품원료들을 다양한 조성으로 배합하여 그들의 효과를 규명하는 연구를 집중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 수행 결과 주성분으로 연잎 추출물, 국화 추출물, 우롱차 추출물을 사용하였고 부가성분으로 밀크티슬, 비타민 C, 비타민 B 등을 함께 사용하여 제조한 식품 조성물이 숙취해소 및 간 질환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였으며, 본 발명은 이에 기초하여 완성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에 효과적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잎 추출물, 국화 추출물, 우롱차 추출물, 밀크티슬, 비타민 C 및 비타민 B를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 효과가 있는 기능성 조성물은 세포실험, 동물실험 및 간이임상 실험 결과에서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므로,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식품첨가제 또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제품화되어 현대인의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에 유용하고 간편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효과가 있는 조성물에 있어서 인체에 무해한 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연잎추출물, 국화 추출물, 우롱차 추출물, 밀크티슬, 비타민 C 및 비타민 B를 특정 구성비로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간 기능개선 효과가 있는 기능성 식품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연잎 추출물, 국화 추출물, 우롱차 추출물, 밀크티슬, 비타민 C 및 비타민 B를 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조성물로서, 상기 기능성 조성물은 연잎 추출물 20 - 50 중량 %, 국화 추출물 15 - 35 중량 %, 우롱차 추출물 15 - 35 중량 %, 밀크티슬 0.5 - 5 중량 %, 비타민 C 0.5 - 5 중량 % 및 비타민 B 0.5 -5 중량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 효과가 있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은 물,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과 같은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물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연잎 추출물, 국화 추출물, 우롱차 추출물은 하기와 같이 수득될 수 있다.
먼저, 연잎, 국화, 우롱차는 각각 건조 후 마쇄하여 분말화 한 후, 각 건조 중량의 약 2 내지 20 배,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7 배에 달하는 부피의 물, 메탄올, 에탄올 및 부탄올과 같은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약 1:0.1 내지 1:10의 혼합비를 갖는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물로 20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 ℃의 추출 온도에서 약 0.5시간 내지 2일, 바람직하게는 1 시간 내지 1일 동안 일정시간 간격으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 바람직하게는 열수 추출로 1회 내지 5회, 바람직하게는 3회 연속 추출하여 감압여과하고 여과추출물을 진공회전농축기로 20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0 ℃에서 감압농축하여 물, 저급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가용한 각 추출물을 수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수득한 연잎 추출물, 국화 추출물과 우롱차 추출물, 밀크티슬, 비타민C, 비타민B를 특정 구성비로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 효과가 있는 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기능성 조성물의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 효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세포실험, 동물실험 및 임상실험을 실시한 결과, 그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상기 조성물 외에 기타 식품 성분을 함유하는 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식품은 과자류, 당류, 아이스크림 제품류, 유가공품, 식육제품, 어육제품, 두부류 또는 묵류, 식용유지류, 면류, 다류, 음료류, 특수영양식품, 건강기능식품, 조미식품, 얼음, 인삼제품류, 김치절임식품, 건포류 외 기타 식품류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식품의 형태는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액상 또는 음료 형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상기 조성물을 함유하 는 식품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구연산, 호박산, 아디픽산, 젖산, 사과산, 감식초 등의 유기산이나 인산나트륨, 인산칼륨, 산성피로인산염, 폴리인산염(중합인산염) 등의 인산염이나 폴리페놀, 카테킨(catechin), 알파-토코페롤, 로즈메리 추출물(rose mary extract), 감초 추출물, 키토산, 탄닌산, 피틴산 등의 천연 항산화제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조성물은 20 내지 90 % 고농축액이거나 분말이거나 과립형태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벌꿀, 과당, 올리고당, 베타싸이클로덱스트린, 포도당, 솔비톨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식품첨가제의 형태는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액상 중 임의의 어느 한 형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식품에 살균제, 향신료, 조미제, 여러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 또는 식품소재의 필수원료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첨가제의 이용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식품첨가제는 식품을 침지, 분무 또는 혼합하여 상기 식품에 첨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식품은 과일, 야채, 과일이나 야채의 건조제품이나 절단제품, 과일쥬스, 야채쥬스, 이들의 혼합쥬스이거나 칩류, 면류, 축산가공식품, 수산가공식품, 유가공식품, 발효유식품, 두류식품, 곡류식품, 미생물발효식품, 제과제빵, 양념류, 육가공류, 산성음료수, 감초류, 허브류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은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상기 조성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 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을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조성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경우는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30 중량 %,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5 중량 %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에는 100 ㎖를 기준으로 0.01 ~ 30 g, 바람직하게는 0.1 ~15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조성물을 함유하는 외에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스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 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 당 일반적으로 약 1 ~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에 사용한 연잎, 국화, 우롱차는 상점 및 경동시장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연잎, 국화, 우롱차를 각각 1 kg을 건조 후 마쇄하여 얻은 분말 각 300 내지 600 g을 집기병에 담은 후 증류수 2 ℓ를 넣고 70 ℃에서 일정시간 간격(12 h, 6h, 3h)으로 3회 반복하여 열수 추출한 후, 여지(와트만사, 미국)로 감압여과한 다음, 여과 추출물은 진공회전농축기로 40 ℃에서 증류수를 제거한 후 추출된 잔사로써 각 추출물 50 내지 200 g을 수득하였다.
각 후보물질 농축액은 4℃보관 농축시료로서 혹은 디스크타입 분무건조(spray dryer), 또는 동결건조(freezing dryer)를 이용하여 분말형태로 준비하여 시료로 준비할 수 있으며 건조된 분말시료는 수분흡수를 억제된 상태로 보관하였다.
실시예 2.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연잎 추출물 20 - 50 중량 %, 국화 추출물 15 - 35 중량 %, 우롱차 추출물 15 - 35 중량 %를 주성분으로 하고, 밀크티슬 0.5 - 5 중량 %, 비타민 C 0.5 - 5 중량 % 및 비타민 B군을 0.5 -5 중량 %를 부가성분으로 하여 이를 혼합하여 기능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천연물질군에서 알코올 분해효소( ADH ) 및 아세트알데히드 분해효소( ALDH )활성측정
1-1. 실험 방법
천연물질이 숙취해소 효능이 있는지를 탐색하기 위하여 숙취해소 효능에 가장 중요한 인자인 ADH와 ALDH의 활성을 시험관 내(in vitro)에서 측정하였다.
효소는 동결건조된 S9 rat liver homogenate (MOLTOX Co., USA)를 0.1% 소 혈청 알부민 (bovine serum albumin) 용액 8 ml에 녹여 0.45 ㎛ 주사 필터(syringe filter)로 여과한 후 사용하였다.
ADH의 활성측정은 흡광도 340nm에서 NADH의 생성속도를 지표로 사용하였으며, 반응액의 조성은 증류수 1.4 ml, 1.0 M 트리스-HCl 완충액(tris-HCl buffer)(pH 8.8) 0.75 ml, 20 mM NAD+ 0.3 ml, 에탄올(ethanol) 0.3 ml, 시료(sample) 0.1 ml의 혼합액과 효소 0.15 ml를 큐벳에 넣어 총 3ml이 되도록 하였다. 시료를 30℃에서 5분간 전처리 한 후, 340nm에서 5분 동안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때,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대조군으로 하였으며, 시료의 ADH활성은 대조군에 대한 상대활성(%)으로서 측정하였다.
ALDH의 활성측정은 흡광도 340nm에서 NADH의 생성속도를 지표로 사용하였으며, 반응액의 조성은 증류수 2.1 ml, 1.0 M 트리스-HCl 완충액(pH 8.0) 0.3 ml, 20 mM NAD+ 0.1 ml, 1.0 M 아세탈디하이드(acetaldehyde) 0.1 ml, 3.0 M KCl 0.1 ml, 0.33 M 2-메르캅토에탄올(mercaptoethanol) 0.1 ml, 시료 0.1 ml의 혼합액과 효소 0.1 ml를 큐벳에 넣어 총 3ml이 되도록 하였다. 시료를 30℃에서 5분간 전처리 한 후, 340nm에서 5분 동안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때,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대조군으로 하였으며, 시료의 ALDH활성은 대조군에 대한 상대활성(%)으로서 측정하였다.
1-2. ADH ALDH 활성도 측정 결과 ( in vitro )
표 1은 각 식물추출물 100ppm에서의 ADH와 ALDH의 활성을 나타낸 것으로 ADH의 활 성은 연잎 추출물 121.5%, 국화 추출물 117.3%, 우롱차 추출물 119.4%, 밀크티슬 추출물 107.3%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ALDH의 활성은 전체적으로 ADH에 비하여 효소활성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전체시료 가운데에서 연잎 추출물과 우롱차 추출물이 ADH와 ALDH에서 모두 높은 효소활성을 나타내어 생체 내(in vivo) 실험에서 활성이 기대된다.
No 시료 ADH 활성 (%) ALDH 활성 (%)
1 연잎 추출물 121.5 99.6
2 국화 추출물 117.3 98.1
3 우롱차 추출물 119.4 100.5
4 밀크티슬 추출물 107.3 99.3
5 비타민 C 115.1 100.5
6 비타민 B군 116.3 101.7
실험예 2. 숙취해소 효능에 대한 임상실험
기능성 조성물의 숙취해소 효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건강한 20-30대 성인남녀 40명을 대상으로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피험자는 시험개시 7일 이내에 과도한 음주를 하지 않고, 어떠한 약물도 복용하지 않은 사람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알코올 섭취 후 2시간 동안은 일체 물을 포함한 음료수를 섭취하지 못하게 하여 시험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배제하였다. 두 번에 걸쳐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cross-over design, one-blind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1차 시험과 2차 시험을 1주일 간격으로 수행하여, 충분히 알코올이 washout 될 수 있는 시간간격을 두었다. 시험방법은 먼저 15분간 소주 반병(알콜도수 22도, 참이슬, 한국) (200 ㎖)과 쏘시지 4조각을 섭취하고, 10분 후 실험군에는 기능성 조성물 20 ㎖과 대조군에는 위약(생수)를 복용하게 한 다음, 섭취가 끝난 후 30분 간격으로 2시간까지 호기중 알코올농도를 측정하였다. 호기중 알코올 농도는 TNT TECH.CO에서 판매하는 휴대용 음주측정기(CA2000)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자각증상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험 다음 날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설문지는 갈증, 졸음, 두통, 어지러움, 오심/구토, 무력감, 집중곤란의 항목에 대하여 1, 2, 3, 4, 5의 5단계 scale로 작성토록 하였다.
연령(년) 25.3 ± 5.04
성별 (남:여) 3:1
체중(kg) 65.1 ± 8.14
그 결과,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시료 섭취 30분 후 대조군의 호기중 알코올 농도는 0.073 % 였고, 기능성 조성물을 섭취한 실험군의 혈중 알코올 농도는 0.071 % 였다. 섭취 120 분 후, 대조군의 호기중 알코올 농도는 0.052 % 인 반면, 기능성 조성물을 섭취한 실험군의 혈중 알코올 농도는 0.038 %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따라서, 기능성 조성물이 대조군에 비해 뚜렷한 숙취해소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설문조사 결과 기능성 조성물이 확실한 숙취해소 효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설문조사 결과는 표 3과 같다.
자각증상 평가 설문조사 결과
(1: 효과없음, 3: 중간, 5: 효과높음)
항목 갈증 졸음 두통 어지러움 오심/구토 무력감 집중곤란
기능성 조성물(실험군) 4.24 4.31 4.13 4.68 4.45 4.44 4.23
위약 (대조군) 3.11 2.81 2.58 3.11 2.65 3.03 2.74
실험예 3.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조성물의 간세포 효능 실험
1-1.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 조성물의 간세포 독성 실험
인간 간암 세포주인 Hep G2 세포는 한국 세포주 은행으로부터 분양받아 계대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배지는 penicillin G (100IU/ml), streptomycin (100 mg/ml)이 포함된 MEM-α 로 FBS를 전체양의 10%가 되도록 혼합한 다음 pH 7.4로 조절한 뒤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Trypsin-EDTA를 처리하여 세포를 분리시키고 각 well 당 1x 105 cells/ml로 조절하여 100 μl씩 well에 넣은 다음 CO2 incubator에서 24시간 예비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한 후 간기능 개선조성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다음 CO2 incubator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MTT assay로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율의 측정을 위한 MTT assay는 Sladowski 등의 방법(Sldowski D., Steer S. J., Clothier R. H., Balls M., An improved MTT assay. J. Immun. Methods, 1993, 157, 203, 207)을 따라 행하였다. 간세포를 배양시킨 96 well plate에 PBS에 용해한 MTT 용액 (5g/ml)을 가하고, CO2 incubator에서 2시간 방치한 다음 상등액을 제거한 뒤 DMSO : EtOH (1:1 v/v)를 well 당 100 μl씩 넣고 20분간 shaking한 다음, 살아있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 있는 mitochondrial dehydrogenase에 의해 MTT dye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가 blue formazan을 형성하는 것을 ELISA reader로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 조성물의 간세포 산화적 손상 및 세포괴사에 대한 보호 효과를 관찰하기 위한 실험의 전단계로 기능성 조성물의 농도별 간세포 독성을 관찰하였다. HepG2 세포에 농도별로 기능성 조성물을 처리하고 48시간 배양한 다음, MTT assay로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은 대조군의 세포 생존율을 100%로 보았을 때 기능성 조성물을 최고농도 5,500 μg/ml 첨가시 세포 생존율이 대조군에 비해 85.5%을 보이지만, 2,750 μg/ml 이하 농도를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세포 생존율이 100 ~ 150%로 간기능 조성물에 의한 세포 괴사가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보이며 2,750 μg/ml 이하의 농도로 기능성 조성물을 전처리하면 배양 간세포에 유의성 있는 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도 2)
1-2. t- BHP 유발 독성에 대한 간세포 보호 활성
인간 간암 세포에 t-BHP(tert-butyl hydroperoxide)에 의한 산화적 손상 및 세포 괴사에 대한 기능성 조성물의 세포 보호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먼저 96 well plate에 간세포를 1x 105 cells/ml가 되도록 분주하고 CO2 incubator에서 24시간 예비 배양하였다. 농도별로 희석한 기능성 조성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다음 CO2 incubator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t-BHP (최종농도 1mM)를 첨가하고 이를 다시 CO2 incubator에서 5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MTT assay로 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율의 측정을 위한 MTT assay는 Sladowski 등의 방법(Sldowski D., Steer S. J., Clothier R. H., Balls M., An improved MTT assay. J. Immun. Methods, 1993, 157, 203, 207)을 따라 행하였다. 간세포를 배양시킨 96 well plate에 PBS에 용해한 MTT 용액 (5g/ml)을 가하고, CO2 incubator에서 2시간 방치한 다음 상등액을 제거한 뒤 DMSO : EtOH (1:1 v/v)를 well 당 100 μl씩 넣고 20분간 shaking한 다음, 살아있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 있는 mitochondrial dehydrogenase에 의해 MTT dye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가 blue formazan을 형성하는 것을 ELISA reader로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기능성 조성물의 간세포 보호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HepG2 세포에 농도별로 기능성 조성물을 전처리한 다음, t-BHP를 1mM이 되도록 첨가하고 다시 5시간 배양한 후, 세포 생존율을 MTT assay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은 대조군의 세포 생존율을 100%로 보았을 때, t-BHP만을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세포 생존율이 32.04%로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이 결과에서 t-BHP에 의하여 간세포가 산화적 손상을 받아 괴사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간기능 개선 조성물을 well당 2,750, 1,375, 687.5, 343.8, 171.9 μg/ml씩 농도별로 전처리한 다음, t-BHP를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세포 생존율이 각각 149.62, 150.57, 97.34, 52.79, 50.81 %로 특히 2,750, 1,375, 687.5 μg/ml 처리 군에서 t-BHP 단독 처리군에 비해 세포 생존율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도 3).
1-3. 혈청학적 지표에 의한 간 보호 효과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 조성물의 세포 배양액에서 GOT와 LDH 활성 측정을 측정하기 위하여 간세포는 5 x 105 cells/ml로 6 well에 3ml씩 분주하여 24시간 예비 배양한 다음 농도별로 희석한 OHEM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CO2 incubator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t-BHP (최종농도 1mM)를 첨가하고 이를 다시 CO2 incubator에서 5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각각의 세포 배양액을 취하여 아산제약의 assay kit를 이용하여 GOT와 LDH 활성을 측정하였다. 대조 약물로는 현재 간 보호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silymarin을 사용하였다.
Lactate dehydrogenase (LDH)는 lactate를 pyruvate로 전환하는 효소로 세포에 이상이 있을 경우 세포 외로 유출되어 배지 중에서 증가하게 된다. GOT는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라는 효소의 약칭으로, 간세포 안에 존재하는 효소로서 간손상에 의해 세포막이 파괴되면 세포 외로 유출되어 수치가 상승하게 된다. 간세포에 손상이 생기면 배지 중으로 유리되는 이들 효소의 양이 증가하게 되고, 간세포 보호작용이 있는 약물은 유리된 이들 효소의 양을 감소시킨다.
천연으로부터 얻은 기능성 조성물에 대한 간세포 독성 보호 효과를 t-BHP로 독성을 유도한 HepG2 세포를 이용하여 배지로 유도되는 GOT와 LDH 정도를 측정하여 조사하였다. GOT 측정에서는 기능성 조성물을 687.5 ~ 1,375 μg/ml 농도로 처리 시 10 ~ 25%의 저해 효과를 보였고, 2,750 μg/ml 농도에서는 73.39% 저해 효과를 보여 대조 약물인 silymarin보다 현저하게 우수한 저해 효과를 나타냈다. LDH에 대한 실험에서는 171.9 ~ 343.8 μg/ml 농도로 처리 시 31.3 ~ 34%의 저해 효과를 보였고, 687.5 ~ 2,750 μg/ml의 농도에서는 91.28 ~ 95.76%의 저해 효과를 보이므로, 기능성 조성물은 GOT와 LDH 모두 뚜렷한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도 4).
실험예 4.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 기능성 조성물의 사염화탄소에 의해 유발된 랫드의 간 독성에 미치는 개선 효과 측정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 기능성 조성물의 사염화탄소에 의해 유발된 랫드의 간독성에 대한 간기능 개선효과를 동물실험으로 측정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Sprague-Dawley계 흰쥐는 (주)오리엔트바이오 (Korea), 사염화탄소는 Sigma사 (USA), corn oil은 (주)CJ (Korea), glutamate-pyruvate transaminase (GPT), glutamate-oxaloacetate -transaminase (GOT), lactate dehydrogenase (LDH) 효소활성 측정용 kit는 (주)아산제약 (Korea)에서 구입하였고 그 외 시약은 특급이상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은 체중 260-280 g 내외 (7주령)의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를 1주일간 적응시키고 동물실 온도는 22-25℃와 명암 주기 12시간(07:00-19:00)이 자동 조절된 동물 사육실에서 사료와 물을 자유로이 섭취토록 하였다.
실험쥐를 10마리씩 1군으로 하여 대조군은 생리식염수를 투여하였고 기능성 조성물은 체중 kg당 1.8g을 동일한 시간에 1일 1회 10일 동안 경구투여하였다. 각 실험군은 대조군(Normal), 사염화탄소 단독 투여군(CCl4), 기능성 조성물 전처리후 사염화탄소 투여군(기능성조성물 + CCl4) 3군으로 나누었다.
사염화탄소 간독성을 유발시키기 위해서 사염화탄소를 corn oil에 1 : 1 (v/v) 비율로 용해해서 2.0ml/kg/day 용량으로 복강주사하였다. 대조군은 corn oil만을 사염화탄소 투여군과 동일한 방법으로 투여하였다.
사염화탄소 최종 투여 48시간 후 에테르 마취하에 복강 정중선을 따라 절개한 후 심장에서 채혈하고 간을 적출하였다. 적출한 간을 생리식염수로 장기 표면에 묻어 있는 혈액을 씻은 후 여지로 압박하여 남아있는 생리식염수를 제거한 다음 무게를 측량하였다. 채혈한 혈액은 실온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3.000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얻은 혈청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사염화탄소를 투여하면 간 세포막 손상으로 투과성이 증가하여 부종이 일어나고 지방변성이 일어나 간에 지질 성분이 대량 축적되므로써 간비대 현상이 일어난다. 기능성 조성물 전처리 후 사염화탄소를 투여시 간무게에 미치는 영향은 Table 1.에 나타내었다. 대조군에 비해 사염화탄소 단독 투여군에서 8.7%의 증가를 보였으며, 사염화탄소 단독 투여군에 비해 기능성 조성물 전처리후 사염화탄소 투여군은 28% 개선 경향을 보였다.
혈장 중 GOT 및 GPT 등의 효소 활성도의 상승은 간독성으로 인한 간세포의 괴사와 간 조직의 파괴가 진행됨에 따라 transaminase가 혈중으로 유리되어 높은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혈장 GOT 및 GPT 활성도는 사염화탄소 단독 투여군에 비해 기능성 조성물 전처리후 사염화탄소 투여군이 각각 53%, 58% 유의적인 개선 효능을 보였다 (표 4).
혈장 중 LDH 효소 활성도의 상승은 급성간염 초기 증상에 나타난다. 혈장 LDH 활성도는 사염화탄소 단독 투여군에 비해 기능성 조성물 전처리후 사염화탄소 투여군이 정상치의 LDH활성도까지 떨어지는 개선 효능을 보였다 (표 4).
상기 실험결과는 아래 표에 보이는 것과 같다.
사염화탄소를 처리한 랫드에서 간무게, GOT, GPT, LDH에 미치는 기능성 조성물의 간기능 개선 효능 측정
Liver wt
(g)
GOT
(Karmen/mL)
GPT (Karmen/mL) LDH
(Wroblewski unit)
Normal 8.55± 0.46 52.72± 8.00 18.24± 2.56 89.50± 22.09
CCl4 9.30± 0.52 97.68± 18.39 34.40± 10.67 140.56± 15.59
기능성조성물 + CCl4 9.09± 0.57 73.70± 9.49 24.98± 5.23 68.37± 21.52
실험예 3.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 기능성 조성물의 급성독성 실험
본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 조성물의 안전성 실험을 위해 단회경구투여 급성독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동물은 Sprague Dawley outbred 랫드를 사용하였으며, 암컷 5마리, 수컷 5마리는 실험군으로, 암컷 1마리, 수컷 1마리는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기능성 조성물을 경구투여하기 전 12시간동안 사료를 금식시켰으나, 물은 충분히 공급하였다. 기능성 조성물은 SD 랫드 체중 1kg 당 5g 되게 투여하였다. 기능성 조성물을 투여한 후 사료는 정상적으로 공급하였으며, 14일 동안 육안으로 랫드의 행동과 이상 징후를 관찰하였다.
안전성(급성독성) 실험결과
No 항목 Sex Day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 실험군 M 0* 0 0 0 0 0 0 0 0 0 0 0 0 0
2 실험군 M 0 0 0 0 0 0 0 0 0 0 0 0 0 0
3 실험군 M 0 0 0 0 0 0 0 0 0 0 0 0 0 0
4 실험군 M 0 0 0 0 0 0 0 0 0 0 0 0 0 0
5 실험군 M 0 0 0 0 0 0 0 0 0 0 0 0 0 0
6 대조군 M 0 0 0 0 0 0 0 0 0 0 0 0 0 0
7 실험군 F 0 0 0 0 0 0 0 0 0 0 0 0 0 0
8 실험군 F 0 0 0 0 0 0 0 0 0 0 0 0 0 0
9 실험군 F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0 실험군 F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1 실험군 F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2 대조군 F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 No toxic symptoms
기능성 조성물 투여 후 SD rat의 체중변화
Body Weights (g)
Day 1 Day 7 Day 14
1 실험군 M 278 293 334
2 실험군 M 269 275 315
3 실험군 M 284 308 347
4 실험군 M 280 284 321
5 실험군 M 272 263 315
6 대조군 M 279 301 330
7 실험군 F 208 219 231
8 실험군 F 203 217 227
9 실험군 F 203 224 233
10 실험군 F 213 221 227
11 실험군 F 201 212 221
12 대조군 F 205 212 220
급성독성 실험결과는 상기 표 2, 표 3과 같이 기능성 조성물 투여 후 사망은 보이지 않았고, 육안 관찰시 건강상태는 양호하였으며, 체중도 정상적이었다. 14일 후 해부시 육안 검사결과 각 조직기관에 어떠한 이상도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기능성 조성물이 안전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 기능성 조성물의 간이임상 효능실험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기능성 조성물의 간기능 개선 및 간질환 치료 효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미즈아이 내과(노원구 소재), 임인기 내과(수원소재), 지킴내과(광진구 소재)에서 간기능 수치가 높은 30대 후반 2명과 40대 후반 2명의 남자를 대상으로 기능성 조성물을 2주 또는 3주간 처방하여 간수치를 측정하였으며, 실험결과는 표 7 과 같다.
기능성 조성물의 간수치 검사 결과
번호 병원명 환자명 성별 나이 복용
기간
용법/
용량
검사
항목
1차
수치
2차
수치
결과
수치
1 미즈아이 김기봉 47 3주 tid GOT 671 36 -635
GPT 736 10 -726
2 미즈아이 황인권 47 2주 tid GOT 39 28 -9
GPT 41 37 -4
3 임인기내과 정선범 39 3주 bid GOT 56 39 -17
GPT 72 43 -29
4 지킴내과 이기현 36 2주 bid GOT 34 31 -3
GPT 65 62 -3
상기 표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간이임상 실험결과 기능성 조성물의 간기능 개선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으며, 각 병원장의 의사소견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즈아이 병원장의 환자에 대한 소견은 김기봉 환자는 수치가 높아 제픽스와 알닥톤을 기능성 조성물과 병행 처방하였으며, 수치상으로 볼 때 기능성 조성물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황인권 환자는 초음파시 전체적인 동맥경화와 지방간이 심했으나 기능성 조성물을 단독 처방하였다. 그 결과, 금주와 휴식으로 수치가 감소될 수는 있으나 GOT 수치 감소로 볼 때 기능성 조성물의 효과를 인정할 만하고 하였다.
임인기 내과 병원장의 환자에 대한 소견은 정선범 환자는 간기능 검사상 경도의 지방간 소견을 보였는데 기능성 조성물 2주 복용 후 재검한 간기능 검사상 의미있게 호전됨을 볼 수 있었다고 하였다.
제제예 1. 건강 식품의 제조
실시예 2의 기능성 조성물......................1000 ㎎
비타민 혼합물..................................20 g
비타민 A 아세테이트............................70 ㎍
비타민 E......................................1.0 ㎎
비타민 B1..........................................................0.13 ㎎
비타민 B2..........................................................0.15 ㎎
비타민 B6..........................................................0.5 ㎎
비타민 B12.........................................................0.2 ㎍
비타민 C.......................................10 ㎎
비오틴.........................................10 ㎍
니코틴산아미드.................................1.7 ㎎
엽산...........................................50 ㎍
판토텐산 칼슘.................................0.5 ㎎
무기질 혼합물.................................적 량
황산제1철.....................................1.75 ㎎
산화아연......................................0.82 ㎎
탄산마그네슘..................................25.3 ㎎
제1인산칼륨....................................15 ㎎
제2인산칼슘....................................55 ㎎
구연산칼륨.....................................90 ㎎
탄산칼슘.......................................100 ㎎
염화마그네슘..................................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2. 건강 음료의 제조
실시예 2의 기능성 조성물..................1000 ㎎
구연산....................................1000 ㎎
올리고당...................................100 g
매실농축액...................................2 g
타우린.......................................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도 1은 기능성 조성물의 숙취해소 효능에 대한 임상실험 결과도이다.
도 2는 기능성 조성물의 다양한 농도에서 간세포에 대한 독성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는 t-BHP 유발 독성에 대한 기능성 조성물의 간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
낸 그래프이다.
도 4은 기능성 조성물에 대한 간세포 독성 보호 효과를 t-BHP로 독성을
유도한 HepG2 세포를 이용하여 배지로 유도되는 GOT와 LDH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12)

  1. 삭제
  2. 연잎 추출물, 국화 추출물, 우롱차 추출물, 밀크티슬, 비타민 C 및 비타민 B를 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조성물로서,
    상기 기능성 조성물은 연잎 추출물 20 - 50 중량 %, 국화 추출물 15 - 35 중량 %, 우롱차 추출물 15 - 35 중량 %, 밀크티슬 0.5 - 5 중량 %, 비타민 C 0.5 - 5 중량 % 및 비타민 B 0.5 -5 중량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상기 청구항 2의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에 벌꿀, 감식초, 올리고당의 식품 성분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액상, 음료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형태인 식품.
  9. 상기 청구항 2의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식품첨가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식품첨가제는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액상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형태인 식품첨가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90025887A 2009-03-26 2009-03-26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 KR101093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887A KR101093998B1 (ko) 2009-03-26 2009-03-26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887A KR101093998B1 (ko) 2009-03-26 2009-03-26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674A KR20100107674A (ko) 2010-10-06
KR101093998B1 true KR101093998B1 (ko) 2011-12-15

Family

ID=43129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5887A KR101093998B1 (ko) 2009-03-26 2009-03-26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39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9146B1 (ko) * 2013-09-27 2015-07-29 상주시 감식초를 이용한 숙취해소음료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48097A (zh) * 2014-03-19 2014-07-30 桂玉平 一种果糖余甘果醋饮料及其加工方法
CN103948098B (zh) * 2014-03-19 2016-06-22 桂玉平 一种复合果醋饮料及其加工方法
CN103948096B (zh) * 2014-03-19 2015-11-18 桂玉平 一种解酒护肝保健果醋饮料及其加工方法
KR102637880B1 (ko) * 2021-07-26 2024-02-19 김인자 연줄기를 이용한 숙취해소음료의 제조방법
KR20230106065A (ko) * 2022-01-05 2023-07-12 주식회사 제핏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071B1 (ko) * 2005-09-16 2007-03-08 주식회사 벤스랩 숙취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071B1 (ko) * 2005-09-16 2007-03-08 주식회사 벤스랩 숙취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9146B1 (ko) * 2013-09-27 2015-07-29 상주시 감식초를 이용한 숙취해소음료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674A (ko) 2010-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4061B2 (en) Body fat-reducing agent
KR101433188B1 (ko) 아미노산, 활성종합비타민 및 한방생약재를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38912B1 (ko) 비만억제 및 다이어트 조성물
TWI500391B (zh) 解酒與預防宿醉的組合物及包含組合物的飲料
KR101093998B1 (ko)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
KR101687982B1 (ko) 정자수 증가와 환경호르몬 예방효과를 갖는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7455625A (zh) 一种具有抗疲劳减肥功能的植物营养素饮料及其制备工艺
CN101766274B (zh) 含竹叶黄酮的抗氧化功能食品组合物
KR100749229B1 (ko) 당 및 당알콜을 함유하는 변비개선용 조성물
KR101394358B1 (ko)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20100128941A (ko) 숙취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과 이를 함유하는 식품 및 식품첨가제
KR20130097537A (ko) 강황, 석창포, 원지의 열수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력 및 기억력 향상용 조성물
KR20160141027A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101859166B1 (ko) 인삼이 함유된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101565964B1 (ko) 아위버섯의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02378A (ko) 송화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KR100690071B1 (ko) 숙취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
KR100510253B1 (ko) 항산화, 항관절염 및 항치매 효과를 지니는 기능성 식품조성물
KR101935861B1 (ko)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용 건강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50100890A (ko) 오가피 및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0872310B1 (ko) 숙취 해소 및 흡연으로 인한 코티닌 대사 향상을 위한 기능성 조성물, 그를 함유한 식품 및 식품 첨가제
JP2010043036A (ja) 糖代謝促進剤
JP2020137496A (ja) 桑の葉加工物を含有する組成物
KR20200076185A (ko) 엉겅퀴 및 양파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함유하는 간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37954B1 (ko) 뇌기능 활성화 및 뇌기능 보호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