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5545B1 - 경질 극박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경질 극박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5545B1
KR101065545B1 KR1020087024085A KR20087024085A KR101065545B1 KR 101065545 B1 KR101065545 B1 KR 101065545B1 KR 1020087024085 A KR1020087024085 A KR 1020087024085A KR 20087024085 A KR20087024085 A KR 20087024085A KR 101065545 B1 KR101065545 B1 KR 101065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phase
average
thin steel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4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6330A (ko
Inventor
히데꾸니 무라까미
Original Assignee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06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6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06Surface hard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4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45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with diffusion of elements, e.g. decarburising, nitri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21D9/48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deep-drawing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4Very low carbon steels, i.e. having a carbon content of less than 0,01%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6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lead, selenium, tellurium, or antimony, or more than 0.04% by weight of sulf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4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foils which present special problems, e.g. because of thinnes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01/00Treatment for obtaining particular effects
    • C21D2201/05Grain orien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4Dispersions; Precipit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436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442Flattening; Dressing; Flex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Solid-Phase Diffusion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AREA)

Abstract

판 두께가 0.400 ㎜ 이하인 경질 극박 강판에 있어서, 질량%로, C : 0 % 이상이고 또한 0.800 % 이하, N : 0 % 이상이고 또한 0.600 % 이하, Si : 0 % 이상이고 또한 2.0 % 이하, Mn : 0 % 이상이고 또한 2.0 % 이하, P : 0 % 이상이고 또한 0.10 % 이하, S : 0 % 이상이고 또한 0.100 % 이하, Al : 0 % 이상이고 또한 3.0 % 이하, O : 0 % 이상이고 또한 0.200 % 이하를 함유하고, 평균 긴 직경이 0.10 ㎛ 이상이고 또한 평균 짧은 직경이 0.05 ㎛ 이상이고, 또한 평균 긴 직경/평균 짧은 직경 ≥ 2.0인 제2 상이 체적분율로, 0.05 % 이상 함유되어 있다.
경질 극박 강판, 페라이트상, 로크웰 경도, 플랜지 성형성, 결정립계

Description

경질 극박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VERY THIN HARD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 기기, 전자 부품, 건재나 금속 용기에 이용되는 표면 처리 강판을 포함한, 판 두께가 0.400 ㎜ 이하인 얇은 강판과,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일본 특허 출원 제2006-102766호를 기초 출원으로 하여, 그 내용을 도입하는 것으로 한다.
판 두께가 0.400 ㎜ 이하인 얇은 강판은 전기 기기, 전자 부품, 건재나 금속 용기 등의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있으나, 소재의 저비용화를 위해, 강판의 가일층의 박육화가 진행되고 있다. 소재가 얇아지면, 그것을 사용한 부재의 강도도 저하되어 버리므로, 일반적으로는 박육화와 동시에 소재의 경질화도 요구된다. 이와 같은 극박 경질 재료에 의해 현재화되는 문제 중 하나로, 가공성의 열화가 있다. 특히, 얇은 재료는 자동차용 등에서 사용되는 후육재와 비교하면, 수축이 발생하면 즉시 파단에 이르기 때문에, 균일한 변형을 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해진다. 이는, 강판 특성의 평가로서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인장 시험에 있어서는, 균일 연신을 유지하면서 경질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들의 얇은 재료 중에서도, 특히 드로 잉, 아이어닝, 인장 연신 등의 엄격한 가공이 행해지는 용기용 강판에서는, 가공성을 확보하기 위해, 특허 문헌 1 내지 3과 같은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은, 특별히 균일 연신에 주목한 것은 아니고, 연성(전체 연신)이 높다고는 하나, 국부 연신에 의해 연성을 높이고 있는 면이 많다. 따라서, 실용에 있어서는, 파단이나 수축(constriction)에 의한 표면 성상의 결함 등, 본원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에는 이르고 있지 않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평2-118026호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평3-257123호
특허 문헌 3 : 일본 특허 공개 평10-72640호
본 발명은 경질 극박재를 사용할 때에 문제가 되는, 균일 변형성의 부족에 의한 파단, 수축의 발생 억제를 과제로 하고 있다. 즉, 재료의 경질화에 수반하는 연신의 열화에 있어서, 국부 연신의 열화를 우선시킴으로써 균일 연신을 확보하고, 동일한 전체 연신이라고 하더도, 국부 변형(수축)의 발생을 보다 높은 왜곡 영역까지 억제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로 인한 재료 조건을 명확하게 하고, 그것을 적용한 강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강판을 경질화하기 위해, 강판 중에 다양한 제2 상을 분산시키는 연구를 행하였다. 이는, 소위 석출 강화나 조직 강화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제2 상을 분산시키면 재질이 경질화되어, 당연한 결과로서 연성을 열화시키는 것이지만, 실험을 거듭하는 동안, 특정한 형태를 갖는 제2 상을 강판 중에 분산시킨 경우에는, 균일 연신의 열화를 억제한 상태로 경질화할 수 있는 것을 지견하였다. 또한, 제2 상의 형태, 양 및 종류와, 바람직한 특성을 얻을 수 있는 강판 재질의 범위에 대해서도 상세하게 검토하여 본 발명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요지를 이하에 나타낸다.
(1) 제2 상의 형태의 제어. 이방성이 강한 침 형상의 것으로 한다.
(2) 제2 상의 사이즈의 제어. 일반적인 석출물에 비교하여 크게 한다.
(3) 제2 상의 수밀도의 제어. 비교적 드문드문하게 분산시킨다.
(4) 모상을 Fe 페라이트상으로 하고, 제2 상의 방위를 모상에 대해 특정한 배향으로 배치시킨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기술 사상을 기초로 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본 발명에 상도하였다. 그 요지로 하는 것은 하기 내용과 같다.
(1) 판 두께가 0.400 ㎜ 이하인 경질 극박 강판이며, 질량%로, C : 0 % 초과이고 또한 0.800 % 이하, N : 0 % 초과이고 또한 0.600 % 이하, Si : 0 % 초과이고 또한 2.0 % 이하, Mn : 0 % 초과이고 또한 2.0 % 이하, P : 0 % 초과이고 또한 0.10 % 이하, S : 0 % 초과이고 또한 0.100 % 이하, Al : 0 % 초과이고 또한 3.0 % 이하, O : 0 % 초과이고 또한 0.200 % 이하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이며, 평균 긴 직경이 0.10 ㎛ 이상 30 ㎛ 이하이고 또한 평균 짧은 직경이 0.05 ㎛ 이상 30 ㎛ 이하이고, 또한 평균 긴 직경/평균 짧은 직경 ≥ 2.0인 제2 상이, 체적분율로 0.05 % 이상 20 % 이하 함유되어 있다.
(2) 상기 (1)에 기재된 경질 극박 강판이며, Ti : 0 % 이상이고 또한 4.00 % 이하(0을 포함함), Nb : 0 % 이상이고 또한 4.00 % 이하(0을 포함함), REM : 0 % 이상이고 또한 4.00 % 이하(0을 포함함), B : 0 % 이상이고 또한 0.0300 % 이하(0을 포함함), Cu : 0 % 이상이고 또한 8.00 % 이하(0을 포함함), Ca : 0 % 이상이고 또한 1.00 % 이하(0을 포함함), Ni : 0 % 이상이고 또한 8.00 % 이하(0을 포함함), Cr : 0 % 이상이고 또한 20.00 % 이하(0을 포함함)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 함유한다.
(3) 상기 (1)에 기재된 경질 극박 강판이며, 평균 긴 직경이 0.5 ㎛ 이상 30 ㎛ 이하이고 또한 평균 짧은 직경이 0.1 ㎛ 이상 30 ㎛ 이하이고, 또한 평균 긴 직경/평균 짧은 직경 ≥ 2.0인 제2 상의 수밀도가 0.01개/㎛2 이상이다.
(4) 상기 (1)에 기재된 경질 극박 강판이며, 평균 긴 직경이 0.5 ㎛ 이상 30 ㎛ 이하이고 또한 평균 짧은 직경이 0.1 ㎛ 이상 30 ㎛ 이하이고, 또한 평균 긴 직경/평균 짧은 직경 ≥ 2.0인 제2 상의 수밀도가 0.001개/㎛3 이상이다.
(5) 상기 (1)에 기재된 경질 극박 강판이며, 주상이 Fe의 페라이트상이고 또한 체적률이 80 % 이상이다.
(6) 상기 (1)에 기재된 경질 극박 강판이며, 평균 긴 직경이 0.5 ㎛ 이상 30 ㎛ 이하이고 또한 평균 짧은 직경이 0.1 ㎛ 이상 30 ㎛ 이하이고, 또한 평균 긴 직경/평균 짧은 직경 ≥ 2.0인 제2 상의 평균 긴 직경의 방향이, 이 제2 상이 접하고 있는 Fe 상의 <100> 방위 또는 <110> 방위이다.
(7) 상기 (1)에 기재된 경질 극박 강판이며, 평균 긴 직경이 0.5 ㎛ 이상 30 ㎛ 이하이고 또한 평균 짧은 직경이 0.1 ㎛ 이상 30 ㎛ 이하이고, 또한 평균 긴 직경/평균 짧은 직경 ≥ 2.0인 제2 상이, 산화물, 황화물, 탄화물, 질화물, 금속간 화합물의 단일 부재 또는 복합 화합물이다.
(8) 상기 (7)에 기재된 경질 극박 강판이며, 평균 긴 직경이 0.5 ㎛ 이상 30 ㎛ 이하이고 또한 평균 짧은 직경이 0.1 ㎛ 이상 30 ㎛ 이하이고, 또한 평균 긴 직경/평균 짧은 직경 ≥ 2.0인 제2 상이, Fe, Mn, Si, Al, Cr, REM, Ti, Nb의 1종 또는 2종을 함유하는 산화물이다.
(9) 상기 (7)에 기재된 경질 극박 강판이며, 평균 긴 직경이 0.5 ㎛ 이상 30 ㎛ 이하이고 또한 평균 짧은 직경이 0.1 ㎛ 이상 30 ㎛ 이하이고, 또한 평균 긴 직경/평균 짧은 직경 ≥ 2.0인 제2 상이, Ti, Mn, Cu, Ca, REM의 1종 또는 2종을 함유하는 황화물이다.
(10) 상기 (7)에 기재된 경질 극박 강판이며, 평균 긴 직경이 0.5 ㎛ 이상 30 ㎛ 이하이고 또한 평균 짧은 직경이 0.1 ㎛ 이상 30 ㎛ 이하이고, 또한 평균 긴 직경/평균 짧은 직경 ≥ 2.0인 제2 상이, Fe, Ti, Nb, Si, Cr의 1종 또는 2종을 함유하는 탄화물이다.
(11) 상기 (7)에 기재된 경질 극박 강판이며, 평균 긴 직경이 0.5 ㎛ 이상 30 ㎛ 이하이고 또한 평균 짧은 직경이 0.1 ㎛ 이상 30 ㎛ 이하이고, 또한 평균 긴 직경/평균 짧은 직경 ≥ 2.0인 제2 상이, Fe, Ti, Nb, Al, B, Cr의 1종 또는 2종을 함유하는 질화물이다.
(12) 상기 (7)에 기재된 경질 극박 강판이며, 평균 긴 직경이 0.5 ㎛ 이상 30 ㎛ 이하이고 또한 평균 짧은 직경이 0.1 ㎛ 이상 30 ㎛ 이하이고, 또한 평균 긴 직경/평균 짧은 직경 ≥ 2.0인 제2 상이, Fe, Ti, Nb, Al, Si, Mn의 1종 또는 2종을 함유하는 금속간 화합물이다.
(13) 상기 (1)에 기재된 경질 극박 강판이며, 평균 긴 직경이 0.5 ㎛ 이상 30 ㎛ 이하이고 또한 평균 짧은 직경이 0.1 ㎛ 이상 30 ㎛ 이하이고, 또한 평균 긴 직경/평균 짧은 직경 ≥ 2.0인 제2 상의 체적률이, (판 두께 표층 1/8에서의 체적률)/(판 두께 중심층 1/4에서의 체적률) ≥ 10이다.
(14) 상기 (1)에 기재된 경질 극박 강판이며, 평균 긴 직경이 0.5 ㎛ 이상 30 ㎛ 이하이고 또한 평균 짧은 직경이 0.1 ㎛ 이상 30 ㎛ 이하이고, 또한 평균 긴 직경/평균 짧은 직경 ≥ 2.0인 제2 상의 수밀도가, (판 두께 표층 1/8에서의 수밀도)/(판 두께 중심층 1/4에서의 수밀도) ≥ 10이다.
(15) 상기 (1)에 기재된 경질 극박 강판이며, 폭 25 ㎜이고 길이 60 ㎜인 평행부를 갖는 인장 시험편을 사용하여, 평점간 거리를 50 ㎜, 변형 속도를 5 ㎜/분으로 하는 인장 시험에 있어서의 최고 강도 ≥ 350 ㎫, 또한 로크웰 경도 HR30T ≥ 54이다.
(16) 상기 (1)에 기재된 경질 극박 강판이며, 폭 25 ㎜이고 길이 60 ㎜인 평행부를 갖는 인장 시험편을 사용하여, 평점간 거리를 50 ㎜, 변형 속도를 5 ㎜/분으로 하는 인장 시험에 있어서, 균일 연신/국부 연신 ≥ 1.0이다.
(17) 상기 (1)에 기재된 경질 극박 강판이며, 폭 25 ㎜이고 길이 60 ㎜인 평행부를 갖는 인장 시험편을 사용하여, 평점간 거리를 50 ㎜, 변형 속도를 5 ㎜/분으로 하는 인장 시험에 있어서, 항복 응력/최고 강도 ≤ 0.9이다.
(18) 상기 (8)에 기재된 경질 극박 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이며, 두께 50 ㎜ 이상이고 또한 강편 중의 산화물의 평균 직경이 10 ㎛ 내지 25 ㎛인 강편을 600 ℃ 이상의 열간으로 압연 가공할 때에, 1000 ℃ 이상이고 또한 변형률 속도(strain rate) 1/초 이상의 조건에서의 진변형의 총합이 0.4 이상인 압연을 행한 후에, 1000 ℃ 이하이고 또한 변형률 속도 10/초 이상인 조건에서의 진변형(true strain)의 총합이 0.7 이상인 압연을 행한다.
(19) 상기 (9)에 기재된 경질 극박 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이며, 두께 50 ㎜ 이상이고 또한 강편 중의 황화물의 평균 직경이 10 ㎛ 내지 25 ㎛인 강편을 600 ℃ 이상의 열간으로 압연 가공할 때에, 1000 ℃ 이상이고 또한 변형률 속도 1/초 이상인 조건에서의 진변형의 총합이 0.4 이상인 압연을 행한 후에, 1000 ℃ 이하이고 또한 변형률 속도 10/초 이상의 조건에서의 진변형의 총합이 0.7 이상인 압연을 행한다.
(20) 상기 (10)에 기재된 경질 극박 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이며, 냉연 후, 재결정 어닐링과 동시에 또는 그 후에, 600 내지 700 ℃의 온도 영역에서, {[침탄 시간(초)]*(침탄 온도(℃)]}/{(침탄성 가스 농도(%)]*(침탄 처리에서의 냉각 속도(℃/초)]} ≥ 20이 되는 조건으로 침탄 처리를 행하여, C량을 0.0002 % 이상 증가시킨다.
(21) 상기 (11)에 기재된 경질 극박 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이며, 냉연 후, 재결정 어닐링과 동시에 또는 그 후에, 600 내지 700 ℃의 온도 영역에서, {[질화 시간(초)]*[질화 온도(℃)]}/{[질화성 가스 농도(%)]*[질화 처리에서의 냉각 속도(℃/초)]} ≥ 20이 되는 조건으로 질화 처리를 행하여, N량을 0.0002 % 이상 증가시킨다.
(22) 상기 (12)에 기재된 경질 극박 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이며, 강판 제조 공정에 있어서, 900 ℃ 이상의 온도로부터의 냉각 과정에 있어서 900 ℃ 내지 500 ℃까지의 냉각 속도를 20 ℃/초 이하로 냉각하여, 금속간 화합물을 체적률로 2.0배 이상 증가시킨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의 기호 "*"는 곱셈(×)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판 두께가 0.400 ㎜ 이하의 얇은 강판과,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지만, 에나멜 강판의 일부의 제법으로서, 산화물의 형태를 제어하기 위해 열연 조건을 한정하는 종래 기술이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의 산화물 연신과, 에나멜 강판에 있어서의 열연 조건의 한정으로서의 산화물 연신과는 전혀 다른 것이다. 다시 말하면, 에나멜 강판에 있어서의 열연 조건의 한정의 연장 기술로서, 본 발명 강이 대상으로 하는 얇은 강판에서 연신 산화물을 활용하는 발상을 얻는 것 자체가 매우 곤란했다. 이들에 대해,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과 같은 얇은 강판에서는, 산화물은 매우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서 그 함유가 억제되어 있다. 이는, 모재 그 자체가 얇게 되어 있으므로, 산화물 주위로의 변형 집중이 모재의 파단에 매우 민감에 작용하기 때문이다.
현저한 예로서는, 캔 제조(making can) 가공에서의 플랜지 성형성으로, 이 용도에 사용되는 강재는 산화물량이 엄밀하게 관리되어 매우 낮은 레벨에서 제조되어 있다. 얇은 재료에의 산화물의 악영향은 산화물 그 자체에 그치지 않고, 에나멜 강판과 같이 연신한 산화물이 냉간 압연 공정에서 파쇄되어 그 주위에 공극을 형성해 버리면, 공극이 절결과 같은 효과를 발휘하여, 모재의 변형능이 더욱 열화되어 버린다.
이로 인해, 본 발명 강이 대상으로 하는 얇은 재료에서는, 산화물, 더군다나 냉간 압연으로 파쇄하여 주위에 공극을 형성하는 연신 산화물을 활용하여 특성을 향상시킨다는 착상을 얻는 것 자체가 종래에는 불가능했다.
또한, 에나멜 강판의 제조 방법과 본 발명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기술적 차이점으로서, 이하와 같은 사항을 들 수 있다.
우선, 에나멜 강판의 제조에서는 열연 단계에서 일시적으로 산화물을 연신시키지만, 그것은 그 후의 냉간 압연 공정에서 산화물을 파쇄하고, 파쇄된 산화물 주위에 다량의 공극을 생성하기 위해서이고, 최종 제품에서는 각각의 산화물은 미세하게 파쇄된 등방적인 형상이 된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서는 산화물이 최종 단계에서 연신된 것일 필요가 있고, 그 하나의 방안으로서 열연 공정을 활용하고 있다. 즉, 열연에 의해 연신시킨 산화물은 냉연, 어닐링 후에도 파쇄하지 않고 연신한 상태이고, 최종 제품까지 이방성을 가진 형상을 유지시키는 것이 필요해진다. 이 차이는, 열연 조건이 동일하면, 기본적으로는 산화물의 조성의 차이에 의해 발생한다. 즉, 에나멜 강판에서는 비교적 연질인 Mn 함유의 산화물과, 경질인 Nb, B 함유의 산화물이 복합된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이 파쇄 촉진에 바람직하게 작용한다. 한편, 본 발명 강에서는 산화물이, 조성이 상이한 산화물이 복합된 것이 아니라, 균질한 것으로 함으로써 냉연 시의 변형도 균일하게 되어 파쇄를 회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나멜 강판과 같이 일시적으로 연신한 것이라고 하더라도, 그 후의 파쇄에 의해 산화물의 형상이 등방적인 것으로 되어 버리면, 본 발명에서 특징적인 가공 경화능, 결과로서의 양호한 균일 연신, 즉 국부 변형의 억제 효과가 전혀 발휘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에나멜 강판의 제조 기술을 인식하였다고 해도, 산화물을 다량으로 함유시키는 기술을 본 발명의 대상 강 및 용도에 적용하여, 그 형태의 영향을 검토하고자 하는 것은, 가령 당업자라고 해도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 강은 산화물을 특정한 형태로 연신한 상태로 유지하면, 그 가공 경화 거동이 극적으로 변화되어 국부 변형을 강하게 억제함으로써, 얇은 강판이라고 하더라도 실용적인 연성에 바람직하게 작용하는 것을 새롭게 지견하여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한 강도, 동일한 전체 연신이라도, 높은 균일 연신을 갖고, 보다 높은 왜곡 영역까지 국부 변형(수축)의 발생을 억제한 경질 극박 부재를 얻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얇은 부재를 사용할 때에 문제가 되는, 균일 변형성의 부족에 의한 파단, 수축의 발생을 억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1은 본 발명의 경질 극박 강판의, 강판 판 두께 방향의 부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성분에 대해 설명한다. 성분은 모두 질량%이다. C량은 가공성의 열 화를 회피하기 위해, C : 0.800 % 이하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10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60 % 이하이다. 특히, 탄화물을 본 발명에서 특징이 되는 제2 상으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0.0050 내지 0.040 %,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80 내지 0.030 %이다. 다양한 제2 상의 분산에 의해 재료를 강화하는 본 발명 강에서는, 강도 확보 등의 관점에서 필요로 하는 C 함유량은 낮아도 상관없다. C : 0.0050 % 이하에서도 필요한 강도 확보가 가능하고, 0.0030 % 이하에서도 상관없고, 0.0015 % 이하도 가능하다. r값을 향상시켜 교축 성형성을 높게 유지하는 의미에서는, C량은 낮은 쪽이 바람직하다.
N량도 C와 마찬가지로 가공성의 열화를 회피하기 위해, C : 0.800 % 이하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10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60 % 이하이다. 특히, 질화물을 본 발명에서 특징이 되는 제2 상으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0.0050 내지 0.040 %,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80 내지 0.030 %이다. 다양한 제2 상의 분산에 의해 재료를 강화하는 본 발명 강에서는, 강도 확보 등의 관점에서 필요로 하는 N 함유량은 낮아도 상관없다. N : 0.0050 % 이하에서도 필요한 강도 확보가 가능하고, 0.0030 % 이하에서도 상관없고, 0.0015 % 이하도 가능하다. r값을 향상시켜 교축 성형성을 높게 유지하는 의미에서는, N량은 낮은 쪽이 바람직하다.
Si는 지나치게 많으면 가공성, 도금성이 열화되므로, 2.0 % 이하로 한다. 단, 본 발명 강에 있어서, 제2 상으로서 산화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강 중으로의 산소의 잔존이 어려워지는 것이나,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 한, 연신된 산화물을 얻기 어려워진다. 또한, 제2 상의 형성에 침탄이나 질화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강 중에 침입한 C나 N이 결정립계에서 조대한 Si 탄화물이나 Si 질화물을 형성하여, 취성적인 균열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이상과 같은 폐해를 회피하기 위해서는, Si를 1.5 % 이하, 또한 1.0 % 이하로 할 필요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특히, 성형성을 높게 유지하는 의미에서는, Si량은 낮은 쪽이 바람직하고, 0.5 % 이하, 또는 0.1 % 이하, 또는 0.07 % 이하로 함으로써 성형성이 향상된다.
Mn은 지나치게 많으면 가공성, 도금성이 열화되므로, 2.0 % 이하로 한다. 한편, 본 발명 강에 있어서, 제2 상으로서 산화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한, 연신된 산화물을 얻기 쉽게 한다. 또한, 제2 상의 형성에 황화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연신된 황화물을 얻기 쉬우므로, 유용한 원소이다. 이로 인해, Mn의 바람직한 범위를 0.05 내지 1.0 %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 내지 0.8 %, 더욱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0.7 %이다.
P는 지나치게 많으면 가공성이 열화될 뿐만 아니라, 제2 상의 형성에 침탄이나 질화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강판의 침탄성, 질화성을 저해하므로, 0.10 % 이하로 한다. 성형성을 높게 유지하는 의미에서는, P량은 낮은 쪽이 바람직하고, 0.05 % 이하, 또한 0.01 % 이하로 함으로써 성형성이 향상된다.
S는 열간 연성을 열화시켜, 주조나 열간 압연의 저해 요인이 되므로, 0.100 % 이하로 한다. 단, Mn, Cu, Ti, REM 등을 다량으로 첨가시켜, 이들의 황화물을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제2 상으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열간 연성의 열화도 적 어, 유용한 원소이기도 하다. 이로 인해, S의 바람직한 범위를 0.015 내지 0.080 %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5 내지 0.070 %,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5 내지 0.060 %이다.
Al은 높으면 주조가 곤란해지는, 표면의 손상이 증가하는 등의 해가 있으므로, 3.0 % 이하로 한다. 단, Al은 강탈산 원소이므로, 본 발명 강에 있어서, 제2 상으로서 산화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강 중으로의 산소의 잔존이 어려워지므로, 0.010 % 이하, 또한 0.005 % 이하, 또한 0.002 % 이하, 또한 0.001 % 이하로 할 필요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한편, Ni3Al 등의 금속간 화합물의 형성 원소로 되어,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제2 상의 분산에 있어서 바람직한 효과를 갖는다. Al과 함께 화합물을 형성하는 금속 원소의 종류나 양에도 의하지만, 이 경우에는 1.0 % 이상, 또는 1.5 % 이상, 또는 2.0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는 본 발명에서 특징적인 제2 상으로서 산화물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Al, Si, Ti 등에 의해 탈산하여, 0.01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강 중에서의 산화물이 본 발명의 효과에 있어서 효과를 갖지 않는 등방적(구 형상)인 형태로 된 경우, 균열의 기점이 되기 쉽기 때문이다. 유용한 제2 상으로서 산화물을 이용하는 경우라도, 산화물이 과잉이 되면 균열의 기점이 되기 쉬우므로, 0.200 % 이하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010 내지 0.1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0 내지 0.080 %,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0 내지 0.050 %이다.
다음에, 필요에 따라서 첨가할 수 있는 원소에 대해 설명한다.
Ti는 강판의 재결정 온도를 올려,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극박 강판의 어닐링 통판성을 현저하게 열화시킨다. 이로 인해 4.00 % 이하로 한다. 본 발명에서 특징이 되는 제2 상으로서 Ti 화합물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Ti를 첨가할 필요는 없고, 0.04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 이하로 한다. 한편, Ti의 산화물, 황화물, 탄화물, 질화물, 금속간 화합물은 본 발명에서 특징이 되는 제2 상으로서 이용할 수 있고, 화합물을 형성하는 원소의 종류와 양에도 의하지만, 0.06 % 이상으로 하면 그 효과가 충분히 발휘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0 % 이상이다.
Mb도 Ti와 동일한 영향을 갖고 있어, 재결정 온도를 올려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극박 강판의 어닐링 통판성을 현저하게 열화시킨다. 이로 인해, 4.00 % 이하로 한다. 본 발명에서 특징이 되는 제2 상으로서 Nb 화합물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Nb를 첨가할 필요는 없고, 0.04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 이하로 한다. 한편, Nb의 산화물, 황화물, 탄화물, 질화물, 금속간 화합물은 본 발명에서 특징이 되는 제2 상으로서 이용할 수 있고, 화합물을 형성하는 원소의 종류와 양에도 의하지만, 0.06 % 이상으로 하면 그 효과가 충분히 발휘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0 % 이상이다.
REM도 Ti, Nb와 동일한 효과를 갖지만, 고가의 원소이므로, 4.00 % 이하로 한다. 본 발명에서 특징이 되는 제2 상으로서 REM 화합물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REM을 첨가할 필요는 없고, 0.04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 이하로 한다. 한편, REM의 산화물, 황화물, 탄화물, 질화물, 금속간 화합물은 본 발명에 서 특징이 되는 제2 상으로서 이용할 수 있고, 화합물을 형성하는 원소의 종류와 양에도 의하지만, 0.06 % 이상으로 하면, 그 효과가 충분히 발휘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0 % 이상이다.
B도 Ti, Nb와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단, 첨가량에도 의하지만, Ti나 Nb와 비교하면 탄질화물의 형성 능력이 작아, 제2 상으로서 탄화물이나 질화물을 형성시킬 목적으로 이들 원소와 동시에 첨가한 경우, 강판의 재결정 온도를 올려,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극박 강판의 어닐링 통판성을 현저하게 열화시킨다. 이로 인해, Ti, Nb의 함유량이 적은 경우에 유용해진다. 그러나, 과잉의 첨가는 주조 시의 주조편의 균열이 현저해지므로, 상한을 0.0300 %로 한다. 본 발명에서 특징이 되는 제2 상으로서 B 화합물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B를 첨가할 필요는 없고, 0.002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0 % 이하로 한다. 한편, B의 산화물, 탄화물, 질화물, 금속간 화합물은 본 발명에서 특징이 되는 제2 상으로서 이용할 수 있고, 화합물을 형성하는 원소의 종류와 양에도 의하지만, 0.0040 % 이상으로 하면 그 효과가 충분히 발휘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00 % 이상이다.
Cu는 지나치게 많으면 재결정 온도가 현저하게 상승할 뿐만 아니라, 표면 성상을 열화시켜 가공성, 도금성이 열화되므로, 8.00 % 이하로 한다. 한편, 본 발명 강에 있어서, 제2 상으로서 금속 Cu상이나 금속간 화합물상 등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상의 형성에 황화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연신된 황화물을 얻기 쉬우므로 유용한 원소이다. 이로 인해, 바람직한 범위를 0.10 내지 4.00 %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20 내지 3.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0.30 내지 2.50 % 이다.
Ca는 본 발명 강에 있어서, 제2 상으로서 황화물을 이용하는 경우에, 연신된 황화물을 얻기 쉬우므로 유용한 원소이다. 그러나, 반응성이 풍부하여, 일반적으로 강 중에 다량으로 함유시키는 것은 곤란하므로, 1.00 % 이하로 한다. 바람직한 범위를 0.01 내지 0.50 %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30 %이다.
Ni는 고가의 원소이므로, 8.00 % 이하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Ni3Al 등의 금속간 화합물의 형성 원소로서,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제2 상의 분산에 있어서 바람직한 효과를 갖는다. Ni와 화합물을 형성하는 금속 원소의 종류나 양에도 의하지만, 1.0 % 이상, 또는 1.5 % 이상, 또는 2.0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r도 고가의 원소이므로, 20.00 % 이하로 한다. 본 발명에서 특징이 되는 제2 상으로서 Cr 화합물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Cr을 첨가할 필요는 없고, 0.06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 % 이하로 한다. 한편, Cr의 산화물, 황화물, 탄화물, 질화물, 금속간 화합물은 본 발명에서 특징이 되는 제2 상으로서 이용할 수 있고, 화합물을 형성하는 원소의 종류와 양에도 의하지만, 0.10 % 이상으로 하면 그 효과가 충분히 발휘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5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 % 이상이다.
상기 이외의 원소에 대한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본 발명에서 규정하고 있지 않은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Sn, Sb, Mo, Ta, V, W를 각 원소에 대해 0.10 % 이하, 합계 0.50 % 이하 함유하는 것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는 것이 전혀 아니다. 단, 이들 원소가 조대한 등방적인 형태를 갖는 화합물을 형성하여 가공성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특별히 목적이 없는 한, 각 원소에 대해 0.010 % 이하, 합계 0.05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각 원소에 대해 0.0020 % 이하, 합계 0.005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각 원소에 대해 0.0010 % 이하, 합계 0.0030 % 이하이다.
다음에, 본 발명에서 가장 중요한 제2 상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제2 상의 관측 등에 관하여 기술한다. 본 발명에서 한정되는 제2 상의 관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형태는 전자 현미경 등의 마이크로 영역을 관측 가능한 물리 측정 기기에서의 직접 관측이 가능하다. 비교적 큰 것이면, 고배율의 광학 현미경에서도 관측은 가능하다. 광학 현미경이나,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이면, 강판 단면을 연마한 것, 또한 그것을 에칭한 것을 적용할 수 있고, 투과형 전자 현미경(TEM)이면, 박막이라도 좋고 SPEED법에 의해 얻어진 추출 레플리카 등을 관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해 추출에 의해 모상을 용해한 잔사를 관찰해도 좋다. 또한, 관찰된 제2 상의 동정은 EDX나 전자선 회절 패턴 등에 의해 행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들 수법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성능 향상이 현저한, 어떠한 분석 기기를 사용해도 상관없다. 요컨대, 제2 상의 형상, 사이즈 및 수밀도, 필요에 따라서 그 종류가, 타당하다고 인정되는 방법에 의해 결정할 수 있으면 된다. 종류에 따라서는, 다양한 상의 복합적인 것으로 되어 있어, 완전한 판별이 곤란한 경우도 있다고 생각되지만, 본 발명의 효과는 그 종류에 의하지 않고 제2 상을 특 정한 형태로 분산시키면 얻어지는 것이므로, 종류를 결정할 수 없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체적분율이나 수밀도는 보다 고도의 분석 기기를 사용하여 보다 미세한 질화물까지 고려하면, 이들의 값은 증가하나, 통상 레벨의 물리 기기를 사용하여 0.02 ㎛ 이상인 크기의 것을 대상으로 하면, 본 발명의 효과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관찰되는 제2 상에 대해, 평균 긴 직경이 0.10 ㎛ 이상, 평균 짧은 직경이 0.05 ㎛ 이상이고 평균 긴 직경/평균 짧은 직경 ≥ 2.0인 제2 상을 체적분율로, 0.05 % 이상 함유하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사이즈는 평균 긴 직경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2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5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 ㎛ 이상이다. 단, 너무 큰 제2 상을 존재하게 하면, 가공 초기에 있어서 파단의 기점으로 되어 버려, 연성을 현저하게 열화시키는 경우가 있어서, 3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이하이다. 단, 조대한 것이라도 개수가 매우 적은 경우에는 악영향의 정도는 작기 때문에, 이것을 초과하는 조대한 것이 존재한다고 해서 즉시 본 발명을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평균 긴 직경/평균 짧은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다. 또한, 체적분율은, 바람직하게는 0.1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이다. 단, 지나치게 제2 상의 양이 많으면, 가공 초기에 있어서 파단의 기점으로 되어 버려, 연성을 현저하게 열화시키는 경우가 있으므로, 2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이다.
이 제2 상의 수밀도에 대해서는, 강판 단면에서 관찰한 경우, 0.01개/㎛2 이상, 추출 레플리카나 투과형 전자 현미경에서의 박막 관찰 등, 공간적인 분산을 측정한 경우에는 0.001개/㎛3 이상으로 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가 현저해진다. 단면 관찰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0.03개/㎛2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1개/㎛2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3개/㎛2 이상이다. 또한, 공간적인 측정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0.003개/㎛3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개/㎛3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개/㎛3 이상이다. 이들의 수밀도는 상기한 사이즈나 체적분율과 관련되어 있고, 사이즈나 체적분율과 마찬가지로 가공성을 열화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극단적으로 크게 하거나 작게 하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제2 상의 형태를 제어함으로써 국부 변형의 발생이 억제되는 메커니즘은 명확하지 않으나, 이하에 설명을 시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상은 모상인 Fe상보다도 경질의 것이므로, 강판이 변형되는 경우, 모상의 변형이 우선하여 일어난다. 또한, 제2 상에 의해 모상의 변형이 구속되므로, 모상의 가공 경화는 현저해진다. 이로 인해, 왜곡의 전파성이 양호해져, 더욱 넓은 영역에서 변형을 담당하면서 변형이 계속되어, 균일 연신이 높아지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방성을 갖는 제2 상을 분산시킨 경우, 모상 구속 의 정도가 일반적인 등방적 제2 상에 비교하여 크게 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또는 이것과는 별도로, 이방성이 강한 제2 상은 모상과의 결합 상태가 약하게 되어 있어, 변형에 수반하여 그 계면이 미끄럼 변형되고, 나아가서는 많은 보이드를 생성함으로써 변형을 담당하고 있다고도 생각된다. 이로 인해, 보다 높은 왜곡 영역까지 모재 자체의 변형이 억제된 상태로 되어 있어, 균일 변형이 계속되는 것이라고도 생각된다. 본 발명 강은 큰 가공 경화량을 갖는 동시에, 국부 변형능은 저하되는 경우가 많으나, 이들을 포함하여 현상을 완전히 설명할 수 있는 메커니즘은 명확하게 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 강에서의 균일 변형이 제2 상이 아닌, 모상, 즉 체적적으로 가장 많은 주상의 변형에 의해 담당되어 있는 것은 분명하다. 이 주상이 Fe인 것은 당연하나, 본 발명에서는, 이 주상은 Fe의 페라이트상으로 상정하고, 그 체적률은 80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Fe를 주체로 하는 상으로서는, 펄라이트나 베이나이트, 마르텐사이트상 등이 알려져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고강도화는 제2 상의 분산에 의해 달성되어 있으므로, 주상은 연질이고 또한 균일한 상이 가공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또한, 체적률은 과잉의 제2 상의 생성에 의한 연성 열화를 회피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85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 이상으로 한다.
또한, 제2 상과 주상의 방위 관계도 중요한 요건이 된다. 상술한 메커니즘에서도 언급하였으나, 본 발명의 효과는 Fe상과 제2 상의 결합 상태에 의한다고 생각되는 것과 관계하여, 제2 상의 평균 긴 직경의 방향은 그 제2 상이 접하고 있는 Fe상의 <100> 방위 또는 <110> 방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위 관계에 대해서는 통상의 전자선 회절 등으로 검지 가능한 것이다.
다음에, 제2 상 자체의 종류에 대해 기술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2 상이 산화물, 황화물, 탄화물, 질화물, 금속간 화합물의 단일 부재 또는 복합 화합물인 경우에, 현저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산화물의 경우에는 Fe, Mn, Si, Al, Cr, REM, Ti, Nb의 1종 또는 2종을 함유하는 산화물인 것, 황화물인 경우에는 Ti, Mn, Cu, Ca, REM의 1종 또는 2종을 함유하는 황화물인 것, 탄화물인 경우에는 Fe, Ti, Nb, Si, Cr의 1종 또는 2종을 함유하는 탄화물인 것, 질화물인 경우에는 Fe, Ti, Nb, Al, B, Cr의 1종 또는 2종을 함유하는 질화물인 것, 금속간 화합물인 경우에는 Fe, Ti, Nb, Al, Si, Mn의 1종 또는 2종을 함유하는 금속간 화합물이다. 탄화물에 관해서는 일반적인 강에서 관찰되는 펄라이트 조직, 즉 고온에서의 오스테나이트상으로부터의 변태에 수반하여 생성하는 페라이트상과 시멘타이트의 층상 조직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전혀 얻을 수 없으므로 제외한다. 또한, 변태 금속간 화합물로서는, NiAl, Ni3Al, Ni3(Al, Ti), Ni2TiAl, Ni3Ti, Ni3Mo, Ni4Mo, Ni3Nb, Co3W, Fe2Mo, Fe2Ti, Fe2(Ni, Co) 등이 있다. 상술한 산화물, 황화물, 탄화물, 질화물, 금속간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철강 재료 중에서 관찰되는 화합물로, 특수한 것일 필요는 없으나, 특수한 화합물을 발명 범위 내의 형태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 종류는 상기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디까지나 대표적인 원소를 든 것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강 중에 존재하는 제2 상은 1종으로 한정된 것이 아니라, 2 종 이상이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이들은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있어도 좋고, 복합 화합물을 형성하고 있어도 상관없다. 또한, 형태적으로 본 발명에 포함되지 않는 상이 동시에 존재하고 있어도 상관없다.
요컨대, 제2 상의 형태적인 특징이 중요하다. 그렇다고 해도, 형성시킨 제2 상에 의해 그 효과의 크기에는 적지 않은 차이가 있는 것은 사실이다. 이 차이는 강판 중에 생성시킬 수 있는 제2 상의 종류와 양에 의한 것이나, 후술하는 바와 같은 제조 조건에 의해 제어할 수 있는 형태의 차이, 또는 모상과의 결합 상태와도 관련된 제2 상 자체의 종류의 영향도 고려된다.
이들의 영향은 완전하게는 분리할 수는 없으나, 현상적으로는, 이하와 같이 바람직한 제2 상의 종류 및 제2 상을 형성하는 원소를 분류할 수 있다. 종류로서는, 금속간 화합물 > 탄화물 ≒ 질화물 > 산화물 > 황화물이다. 단, 이는 형태와 양이 동일하다고 가정했을 때의 효과를 추정한 것으로, 제조법이나 제2 상의 종류에 따라서는, 양의 확보나 형태의 제어가 곤란해지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 순위는 하나의 보기에 지나지 않는다. 각 원소의 효과로서는, 이하와 같은 것을 말할 수 있다. 산화물의 경우에는 Fe, Mn, REM을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고, Si, Al, Cr, Ti, Nb는 효과가 작다. 황화물인 경우에는 Mn, Ca, REM이 바람직하고, Ti, Cu의 효과는 작다. 탄화물인 경우에는 Cr, Ti, Si가 바람직하고, Fe, Nb의 효과는 작다. 질화물인 경우에는 Fe, Ti, B, Cr이 바람직하고, Nb, Al의 효과는 작다. 금속간 화합물인 경우에는 Fe, Al, Si, Mn이 바람직하고, Ti, Nb는 효과가 작다.
여기서, 본 명세서 중에서 사용하는 강판 판 두께 방향의 부위에 대해, 도1 을 사용하여 기술한다. 「판 두께 표층 1/8」, 「판 두께 중심층 1/4」이라 함은, 도1 중의 대응 영역을 나타낸다. 또한, 「판 두께 표층 1/8」에 대응하는 영역은 강판의 양 표면에 대해 존재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그 중 어느 일면에 대해서라도 본 발명의 한정 범위에 해당하는 것을 대상으로 한다. 제조법을 연구하여, 표측과 이측의 질화물 분포를 변화시키는 것은 비교적 용이하나, 본 발명에서는 그와 같은 표리 이표층의 강판에 대해서도 대상으로 한다. 이는 편면만으로도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균일 변형성의 향상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한 체적률이나 수밀도는 측정값이 이상값이 아니라고 할 수 있을 정도의 데이터를 채취하여, 표층 1/8 내, 중심층 1/4 내 각각의 특정 개소에서 본 발명의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으면 충분하다. 또한, 「판 두께 1/8 위치」도 「판 두께 표층 1/8」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특징적인 제2 상은 강판의 판 두께 방향에서의 분포를 고려한 경우, 전체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판 두께 방향으로 편재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오히려, 판 두께 방향으로 층 형상으로, 제2 상이 많은 층과 적은 층을 교대로 하여 복층 구조를 형성시킬 수 있으면, 그렇게 하는 쪽이 본 발명의 효과에 있어서는 사정이 좋다. 이 메커니즘은 명확하지는 않으나, 제2 상이 많은 층과 적은 층이 서로 다른 쪽의 변형을 서로 구속함으로써, 가공 경화량이 증대되어, 국부 변형이 억제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는, 상술한 제2 상과 모상 사이에서의 구속 관계에 유사한 효과가, 거시적인 공간에서 발생하고 있는 것이라고도 생각된다. 특히, 제2 상을 강판 표층부에 집중적으로 분포시킴으로써, 본 발명 의 효과가 큰 부분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2 상의 체적률에 대해, (판 두께 표층 1/8에서의 체적률)/(판 두께 중심층 1/4에서의 체적률) ≥ 10, 또는 제2 상의 수밀도에 대해, (판 두께 표층 1/8에서의 수밀도)/(판 두께 중심층 1/4에서의 수밀도) ≥ 10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비는,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이다. 단, 지나치게 매우 많은 제2 상을 표층부에 형성하면, 표면 결함이 되어, 파단되기 쉬워지는 경우도 있으므로, 주의를 필요로 한다.
다음에,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강판의 특성 등에 대해 기재한다. 우선, 본 발명은 판 두께가 0.400 ㎜ 이하인 강판에 적용되는 것으로 한정한다. 이것으로부터 판 두께가 두꺼운 강판에서는 가공에 있어서는, 수축이 발생한 후에도 어느 정도까지 국부 연성에 의해 성형이 진행되므로, 본 발명 기술과 같이 균일 연신으로만 한정한 기술은 의미를 갖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본 기술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0.25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20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0 ㎜ 이하인 극박 강판에서 그 유용성이 발휘된다.
또한, 얇은 부재라도, 연질재에 있어서는 그 나름의 균일 연신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본 기술의 적용 범위는 경질재로 한다. 이는 본 발명의 특징인 제2 상에 의해 적지 않게 경질화되어 버리는 결과이도 하다. 바람직한 적용재는 JIS5호 시험편에 의한 인장 시험(즉, 폭 25 ㎜이고 길이 60 ㎜인 평행부를 갖는 인장 시험편을 사용하여, 평점간 거리를 50 ㎜, 변형 속도를 5 ㎜/분으로 하는 인장 시험)에 있어서의 최고 강도 ≥ 350 ㎫, 또한 로크웰 경도 HR30T ≥ 54인 강판이 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고 강도 ≥ 400 ㎫, 또한 로크웰 경도 HR30T ≥ 57,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고 강도 ≥ 450 ㎫, 또한 로크웰 경도 HR30T ≥ 61이다. 또한, 본 발명 강은 상기 JIS5호 시험편에 의한 인장 시험에 있어서, 균일 연신/국부 연신 ≥ 1.0이 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 비는,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강은 가공 경화량이 큰 것도 특징이다. 상기 JIS5호 시험편에 의한 인장 시험에 있어서, 항복 응력/최고 강도 ≤ 0.9,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7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6 이하이다.
이하에, 본 발명 강의 제2 상의 종류별로 바람직한 제조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우선, 특징적인 제2 상으로서 산화물을 이용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는 산화물을 열연 공정에서, 압연에 의해 연신하여 바람직한 형태로 변화시키는 것이다. 이것을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가공량이 필요하여, 주조를 완료한 강편의 두께를 50 ㎜ 이상으로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 이상이다. 또한, 산화물이 연신 후에 적당한 사이즈를 갖도록 하기 위해, 연신되기 전의 산화물의 사이즈는 10 ㎛ 내지 25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나치게 미세한 것은 연신되기 어렵고, 조대한 것은 압연 후의 공간적인 분산 상태가 직선적으로 되어, 본 발명의 효과에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열간에서의 압연 가공에 있어서 1000 ℃ 이상이고 또한 변형률 속도 1/초 이상인 조건으로 진변형의 총합이 0.4 이상인 압연을 행한 후, 1000 ℃ 이하이고 또한 변형률 속도 10/초 이상인 조건으로 진변형의 총합이 0.7 이상인 압연을 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 메커니즘은 명확하지는 않으나, 이하와 같이 생각된다. 1000 ℃ 이상의 고온 영역에서는 산화물도 연화되어 있어, 가공 경화된 지철과의 경도차가 작아지므로 압연에 의해 산화물은 연신되고,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한 침 형상의 산화물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1000 ℃보다 저온, 약 900 ℃ 이하로 되면 산화물은 연신되기 어려워져, 부분적으로 파쇄되어, 적절하게 침 형상의 형태를 갖는 산화물이 강판 중에 적당한 간격을 두고 분산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적절하게 연신 또한 분산시키기 위해서는, 열연 시의 온도 제어 및 각 온도 영역에서의 왜곡량, 또한 가공 경화된 지철의 연화를 제어하기 위해 변형률 속도의 제어도 중요해진다.
이 온도, 왜곡량 및 변형률 속도 조건을 황화물에도 적용함으로써, 산화물과 동일한 바람직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특징적인 제2 상으로서 탄화물을 이용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는, 미리 강 중에 함유시킨 C와 첨가 원소로부터, 제조 공정의 열처리 등에 의해 바람직한 형태를 갖는 탄화물을 생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나, 본 명세서에서는 더욱 바람직한 형태로서 침탄을 활용한 방법에 대해 나타낸다. 침탄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강판의 표면에만 특징적인 제2 상을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C 농도가 서서히 높아져 가기 때문에, 우선적인 방위로 성장한 이방적인 형태를 갖는 탄화물을 형성시키기 쉽다. 그 조건으로서는, 냉연 후, 재결정 어닐 링과 동시에, 또는 그 후에 600 ℃ 내지 700 ℃의 온도 영역에서, {[침탄 시간(초)]*[침탄 온도(℃)]}/{[침탄성 가스 농도(%)]*[침탄 처리에서의 냉각 속도(℃/초)]} ≥ 20이 되는 조건으로 침탄 처리를 행하여, C량을 0.0002 % 이상 증가시킨다. 온도가 이 범위를 벗어나면, 저온측에서는 침탄 효율이 저하되고, 반대로 지나치게 높으면 탄화물의 형태가 등방적인 것으로 되기 쉬워진다. {[침탄 시간(초)]*[침탄 온도(℃)]}/{[침탄성 가스 농도(%)]*[침탄 처리에서의 냉각 속도(℃/초)]가 20 이상인 경우에는 제2 상의 바람직한 형태가 달성된다. 기본적으로는, 저C 농도로 탄화물의 석출핵의 생성을 억제하면서 고온, 장시간 및 완냉각의 처리로 탄화물을 충분히 성장시킴으로써, 이방성을 갖는 제2 상의 발달이 현저해진다. 단, 고온이고 또한 장시간의 침탄을 행하면, 판의 표면으로부터 강 중에 침입한 C가 확산에 의해 판 두께의 중심까지 도달하여, 전술한 복층 구조에 의한 발명 효과의 증진 효과가 소실되어 버린다. 이로 인해, 침탄 처리 조건에 따라서, 표층부만이 침탄되도록 상기 식의 값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값은 판 두께 등에도 의하지만, 500 이하, 또는 20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침탄성 가스의 종류를 포함한 분위기의 조건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조건을 사용하면 된다. 또한, 침탄 방법은 여기에 나타낸 가스 침탄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침탄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C의 증가량, 0.0002 % 이상은 증가량으로서는 매우 작게 보이지만, 극박재에 있어서의 강판 표층에서의 증가량을 생각하면 발명의 효과의 발현에는 충분한 양이다.
또한, 이 침탄 조건은 제2 상으로서 질화에 의한 질화물을 적용하는 경우의 조건으로 함으로써, 탄화물과 동일한, 바람직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즉, 냉연 후, 재결정 어닐링과 동시에, 또는 그 후에 600 내지 700 ℃의 온도 영역에서, {[질화 시간(초)]*[질화 온도(℃)]}/{[질화성 가스 농도(%)]*[질화 처리에서의 냉각 속도(℃/초)]} ≥ 20이 되는 조건으로 질화 처리를 행하여, N량을 0.0002 % 이상 증가시킨다. 질화성 가스의 종류를 포함한 분위기의 조건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조건을 사용하면 된다. 또한, 질화 방법은 여기에 나타낸 가스질화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질화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침탄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제2 상으로서 금속간 화합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금속간 화합물의 전부 또는 대부분이 용해된 상태로부터 완냉각으로 함으로써, 주로 금속간 화합물의 성장에 의해 형성을 진행시키는 것이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제2 상 형태를 얻기 위해서는 적합하다. 이것을 위해서는, 강판 제조 공정에 있어서, 900 ℃ 이상의 온도로부터의 냉각 과정에 있어서 900 ℃ 내지 500 ℃까지의 냉각 속도를 20 ℃/초 이하로 냉각하고, 금속간 화합물을 체적률로 2.0배 이상 증가시키도록 한다. 냉각 개시 전의 온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금속간 화합물의 용해가 불충분해져, 그 후의 성장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또한, 냉각 속도가 지나치게 빠르면, 금속간 화합물의 핵생성 빈도가 높아져, 이방성을 가진 성장이 일어나지 않아, 등방적인 금속간 화합물이 고밀도로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나타낸 각종 제2 상에 대한 제조 방법은, 대상으로 하는 제2 상을 형성하는 원소나 그 양에 따라서 상이한 것은 당연하고, 상기한 범위로 한정되는 것 이 아닌 것은 물론이다. 제2 상을 형성하는 원소의 종류, 형성시키는 제2 상의 종류, 양 및 제어해야 할 형태의 방향성을 알고 있으면, 적당한 조건을 발견하는 것은 일반의 금속학의 범주이고, 당업자라면 몇 번의 시행의 후에 그것을 확정하는 것은 그다지 곤란한 것은 아니다.
얇은 강판의 제조에 있어서는, 경도 조정이나 판 두께 조정을 위해 재결정 어닐링 후에 재냉연을 행하는 경우가 있다. 이 압하율은 형상 조정을 위해 행해지는 스킨 패스에 가까운 수% 정도로부터, 냉연과 동일한 50 % 이상까지가 실용화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재냉연법을 적용하는 경우, 본 발명의 효과는 전혀 손상되는 것이 아니다. 단, 압하율이 과도하게 높으면 당연히 균일 연신의 절대값은 작아진다. 균일 연신 영역에 있어서의 가공 경화량도 작아져, 본 발명 효과를 적용하는 것을 고려하면 원래 바람직한 방법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 바람직하게는 3% 이하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성분 조정 이후, 어닐링 전의 열이력, 제조 이력에 의하지 않는다. 열연을 행하는 경우의 슬래브는 잉곳법, 연속 주조법 등의 제조법으로는 한정되지 않고, 또한 열연에 이르기까지의 열이력에도 의하지 않으므로, 슬래브 재가열법, 주조한 슬래브를 재가열하지 않고 직접 열연하는 CC-DR법, 또한 결점 압연 등을 생략한 박슬래브 주조에 의해서도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열연 조건에도 의하지 않고, 마무리 온도를 α + γ의 이상 영역으로 하는 2상 영역 압연이나, 조바(crude bar)를 접합하여 압연하는 연속 열연에 의해서도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강을, 용접부를 갖는 소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열 영향부에서의 균일 변형성을 향상시켜 수축의 발생을 억지할 수 있으므로,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 강판은 어떠한 표면 처리를 행하여 사용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이면, 적용에 의해 표면 처리에 의해 손상되는 것이 아니다. 표면 처리로서는, 금속 도금에 대해서는 통상 적용되어 있는, 주석, 크롬(틴프리), Ni, 아연, 알루미늄 등이 실시된다. 또한, 최근 사용되고 있는 유기 피막을 피복한 라미네이트 강판용 원판에 관해서도, 본 발명의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용도로서는, 전기 기기, 전자 부품, 건재나 금속 용기 전반에 사용 가능하고, 이것 외의 분야에서도 어떠한 용도에 있어서 상술한 것과 동일한 과제가 있는 경우에는 적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실시예)
표1에 나타내는 각 성분의 강에 대해, 열간 압연, 냉간 압연, 재결정 어닐링, 재냉연을 행하여 각종 강판을 제조하여, 각종 평가 시험을 행하였다. 제2 상은 SEM 및 TEM을 사용하여 강판의 단면, 강판 박막, 추출 레플리카 및 전해 추출 잔사에 의해 관찰하였다. 또한, EDX를 사용하여 제2 상에 포함되는 원소를 정성 분석하였다. 재질 특성은 압연 방향의 JIS5호 인장 시험편에 의한 인장 시험 및 로크웰 표면 경도에 의해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및 평가는 표2 내지 표5에 나타낸다. 각 표 중의 용어의 의미를 이하에 나타낸다.
「평균 긴 직경」, 「평균 짧은 직경」 : 평균 긴 직경이 0.10 ㎛ 이상, 평균 짧은 직경이 0.05 ㎛ 이상, 평균 긴 직경/평균 짧은 직경 ≥ 2.0을 만족시키는 제2 상에 대해, 치우침이 없도록 충분한 수에 대해 측정했을 때의 각각의 평균값.
「평균 긴 직경/평균 짧은 직경」 : 「평균 긴 직경」, 「평균 짧은 직경」의 비. 발명 효과의 근원으로 되어 있는 산화물의 이방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가 된다.
「함유 원소」 : 본 발명의 특징을 나타내는 제2 상으로부터 검출된 원소.
「방위」 : 제2 상의 평균 긴 직경의 방위와, 그 제2 상이 접하고 있는 주상의 결정 방위와의 관계. 방위에 관련이 있는 경우, 주상의 결정 방위를 나타낸다.
「플랜지 성형성」 : 평판을 원통 형상으로 라운딩하여 용접한 3 피스 캔의 몸통부를 10000캔분 준비한다. 그리고, 이들에 대해 금형을 사용하여 플랜지 성형을 행하고, 그 결과, 파단되지 않고 전체 캔을 플랜지 성형할 수 있었던 경우에 합격, 1캔이라도 파단된 경우에 불합격으로 한다.
「평가」 : 통상 레벨 : C, 우수함 : B, 현저하게 우수함 : A. A와 B를 본 발명으로 한다.
(제1 실시예)
제2 상을 산화물로 한 경우의 실험 결과를 표2에 나타낸다. 산화물의 형태는 주로, 주조 조건에 의한 산화물 사이즈와 열연 조건에 의한 연신량으로 제어하였다. 산화물의 「수밀도」는 SEM에서의 단면 관찰에 의해 구하였다. 산화물의 상태를 본 발명의 범위 내로 제어함으로써, 양호한 균일 연신이 얻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2 상을 황화물로 한 경우의 실험 결과를 표3에 나타낸다. 황화물의 형태는 주로, 주조 조건에 의한 황화물 사이즈와 열연 조건에 의한 연신량으로 제어하였다. 황화물의 「수밀도」는 TEM 관찰에 의해 구하였다. 황화물의 상태를 본 발명의 범위 내로 제어함으로써, 양호한 균일 연신이 얻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제2 상을 탄화물 또는 질화물로 한 경우의 실험 결과를 표4에 나타낸다. 탄화물 또는 질화물의 형태는 주로, 침탄 또는 질화 조건으로 제어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소판(素板)」은 모두 700 ℃에서 재결정 어닐링한 강판이다. 비교재로서, 침탄ㆍ질화를 행하지 않고 재냉연에 의해, 침탄 또는 질화된 판과 동일한 정도의 경도로 한 것에 대해서도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탄화물 또는 질화물은 판 두께 1/8 위치와 판 두께 중심에서 관찰하였다. 탄화물 또는 질화물의 「수밀도」는 판 두께 표층 1/8 또는 판 두께 중심층 1/4을 전해하였을 때의 잔사를 SEM 관찰하여 구하였다. 표4 중 제2 상에 관한 「체적분율」, 「수밀도」 및 주상에 관한 값은 판 두께 표층 1/8에 대한 것이다. 탄화물 또는 질화물의 상태를 본 발명의 범위 내로 제어함으로써, 양호한 균일 연신이 얻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제2 상을 금속간 화합물로 한 경우의 실험 결과를 표5에 나타낸다. 금속간 화합물을 Ni3Al로 하고, 그 형태는 주로, 재결정 어닐링 조건, 특히 어닐링 온도에 의한 용체화의 정도와 그 후의 냉각 과정에 의한 핵생성ㆍ성장으로 제어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소판」은 모두 냉연한 상태의 강판이다. Ni3Al의 「수밀도」는 TEM 관찰에 의해 구하였다. 제1 내지 제4 예에 나타낸 본 발명 외의 강판과 비교하면, 금속간 화합물의 상태를 본 발명의 범위 내로 바람직하게 제어함으로써, 양호한 특성을 얻을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112008069049268-pct00001
Figure 112008069049268-pct00002
Figure 112008069049268-pct00003
Figure 112008069049268-pct00004
Figure 112008069049268-pct00005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한 강도, 동일한 전체 연신이라도, 높은 균일 연신을 갖고, 보다 높은 왜곡 영역까지 국부 변형(수축)의 발생을 억제한 경질 극박 부재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2)

  1. 판 두께가 0.400 ㎜ 이하의 경질 극박 강판이며,
    질량%로,
    C : 0 % 초과이고 또한 0.800 % 이하,
    N : 0 % 초과이고 또한 0.600 % 이하,
    Si : 0 % 초과이고 또한 2.0 % 이하,
    Mn : 0 % 초과이고 또한 2.0 % 이하,
    P : 0 % 초과이고 또한 0.10 % 이하,
    S : 0 % 초과이고 또한 0.100 % 이하,
    Al : 0 % 초과이고 또한 3.0 % 이하,
    O : 0 % 초과이고 또한 0.200 % 이하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이며,
    평균 긴 직경이 0.10 ㎛ 이상 30 ㎛ 이하이고 또한 평균 짧은 직경이 0.05 ㎛ 이상 30 ㎛ 이하이고, 또한 평균 긴 직경/평균 짧은 직경 ≥ 2.0인 제2 상이, 체적분율로 0.05 % 이상 20 % 이하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질 극박 강판.
  2. 제1항에 있어서, Ti : 0 % 이상이고 또한 4.00 % 이하,
    Nb : 0 % 이상이고 또한 4.00 % 이하,
    REM : 0 % 이상이고 또한 4.00 % 이하,
    B : 0 % 이상이고 또한 0.0300 % 이하,
    Cu : 0 % 이상이고 또한 8.00 % 이하,
    Ca : 0 % 이상이고 또한 1.0O% 이하,
    Ni : 0 % 이상이고 또한 8.00 % 이하,
    Cr : 0 % 이상이고 또한 20.00 % 이하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 함유하는 경질 극박 강판.
  3. 제1항에 있어서, 평균 긴 직경이 0.5 ㎛ 이상 30 ㎛ 이하이고 또한 평균 짧은 직경이 0.1 ㎛ 이상 30 ㎛ 이하이고, 또한 평균 긴 직경/평균 짧은 직경 ≥ 2.0인 제2 상의 수밀도가 0.01개/㎛2 이상인 경질 극박 강판.
  4. 제1항에 있어서, 평균 긴 직경이 0.5 ㎛ 이상 30 ㎛ 이하이고 또한 평균 짧은 직경이 0.1 ㎛ 이상 30 ㎛ 이하이고, 또한 평균 긴 직경/평균 짧은 직경 ≥ 2.0인 제2 상의 수밀도가 0.001개/㎛3 이상인 경질 극박 강판.
  5. 제1항에 있어서, 주상이 Fe의 페라이트상이고 또한 체적률이 80 % 이상인 경질 극박 강판.
  6. 제1항에 있어서, 평균 긴 직경이 0.5 ㎛ 이상 30 ㎛ 이하이고 또한 평균 짧은 직경이 0.1 ㎛ 이상 30 ㎛ 이하이고, 또한 평균 긴 직경/평균 짧은 직경 ≥ 2.0인 제2 상의 평균 긴 직경의 방향이 이 제2 상이 접하고 있는 Fe상의 <100> 방위 또는 <110> 방위인 경질 극박 강판.
  7. 제1항에 있어서, 평균 긴 직경이 0.5 ㎛ 이상 30 ㎛ 이하이고 또한 평균 짧은 직경이 0.1 ㎛ 이상 30 ㎛ 이하이고, 또한 평균 긴 직경/평균 짧은 직경 ≥ 2.0인 제2 상이, 산화물, 황화물, 탄화물, 질화물, 금속간 화합물의 단일 부재 또는 복합 화합물인 경질 극박 강판.
  8. 제7항에 있어서, 평균 긴 직경이 0.5 ㎛ 이상 30 ㎛ 이하이고 또한 평균 짧은 직경이 0.1 ㎛ 이상 30 ㎛ 이하이고, 또한 평균 긴 직경/평균 짧은 직경 ≥ 2.0인 제2 상이, Fe, Mn, Si, Al, Cr, REM, Ti, Nb의 1종 또는 2종을 함유하는 산화물인 경질 극박 강판.
  9. 제7항에 있어서, 평균 긴 직경이 0.5 ㎛ 이상 30 ㎛ 이하이고 또한 평균 짧은 직경이 0.1 ㎛ 이상 30 ㎛ 이하이고, 또한 평균 긴 직경/평균 짧은 직경 ≥ 2.0인 제2 상이, Ti, Mn, Cu, Ca, REM의 1종 또는 2종을 함유하는 황화물인 경질 극박 강판.
  10. 제7항에 있어서, 평균 긴 직경이 0.5 ㎛ 이상 30 ㎛ 이하이고 또한 평균 짧은 직경이 0.1 ㎛ 이상 30 ㎛ 이하이고, 또한 평균 긴 직경/평균 짧은 직경 ≥ 2.0인 제2 상이, Fe, Ti, Nb, Si, Cr의 1종 또는 2종을 함유하는 탄화물인 경질 극박 강판.
  11. 제7항에 있어서, 평균 긴 직경이 0.5 ㎛ 이상 30 ㎛ 이하이고 또한 평균 짧은 직경이 0.1 ㎛ 이상 30 ㎛ 이하이고, 또한 평균 긴 직경/평균 짧은 직경 ≥ 2.0인 제2 상이, Fe, Ti, Nb, Al, B, Cr의 1종 또는 2종을 함유하는 질화물인 경질 극박 강판.
  12. 제7항에 있어서, 평균 긴 직경이 0.5 ㎛ 이상 30 ㎛ 이하이고 또한 평균 짧은 직경이 0.1 ㎛ 이상 30 ㎛ 이하이고, 또한 평균 긴 직경/평균 짧은 직경 ≥ 2.0인 제2 상이, Fe, Ti, Nb, Al, Si, Mn의 1종 또는 2종을 함유하는 금속간 화합물인 경질 극박 강판.
  13. 제1항에 있어서, 평균 긴 직경이 0.5 ㎛ 이상 30 ㎛ 이하이고 또한 평균 짧은 직경이 0.1 ㎛ 이상 30 ㎛ 이하이고, 또한 평균 긴 직경/평균 짧은 직경 ≥ 2.0인 제2 상의 체적률이, (판 두께 표층 1/8에서의 체적률)/(판 두께 중심층 1/4에서의 체적률) ≥ 10인 경질 극박 강판.
  14. 제1항에 있어서, 평균 긴 직경이 0.5 ㎛ 이상 30 ㎛ 이하이고 또한 평균 짧은 직경이 0.1 ㎛ 이상 30 ㎛ 이하이고, 또한 평균 긴 직경/평균 짧은 직경 ≥ 2.0인 제2 상의 수밀도가, (판 두께 표층 1/8에서의 수밀도)/(판 두께 중심층 1/4에서의 수밀도) ≥ 10인 경질 극박 강판.
  15. 제1항에 있어서, 폭 25 ㎜이고 길이 60 ㎜인 평행부를 갖는 인장 시험편을 사용하여, 평점간 거리를 50 ㎜, 변형 속도를 5 ㎜/분으로 하는 인장 시험에 있어 서의 최고 강도 ≥ 350 ㎫이고, 또한 로크웰 경도 HR30T ≥ 54인 경질 극박 강판.
  16. 제1항에 있어서, 폭 25 ㎜이고 길이 60 ㎜인 평행부를 갖는 인장 시험편을 사용하여, 평점간 거리를 50 ㎜, 변형 속도를 5 ㎜/분으로 하는 인장 시험에 있어서, 균일 연신/국부 연신 ≥ 1.0인 경질 극박 강판.
  17. 제1항에 있어서, 폭 25 ㎜이고 길이 60 ㎜인 평행부를 갖는 인장 시험편을 사용하여, 평점간 거리를 50 ㎜, 변형 속도를 5 ㎜/분으로 하는 인장 시험에 있어서, 항복 응력/최고 강도 ≤ 0.9인 경질 극박 강판.
  18. 제8항에 기재된 경질 극박 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이며,
    두께 50 ㎜ 이상이고 또한 강편 중의 산화물의 평균 직경이 10 ㎛ 내지 25 ㎛인 강편을 600 ℃ 이상의 열간으로 압연 가공할 때에,
    1000 ℃ 이상이고 또한 변형률 속도(strain rate) 1/초 이상인 조건에서의 진변형의 총합이 0.4 이상인 압연을 행한 후에,
    1000 ℃ 이하이고 또한 변형률 속도 10/초 이상인 조건에서의 진변형의 총합이 0.7 이상인 압연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질 극박 강판의 제조 방법.
  19. 제9항에 기재된 경질 극박 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이며,
    두께 50 ㎜ 이상이고 또한 강편 중의 황화물의 평균 직경이 10 ㎛ 내지 25 ㎛인 강편을 600 ℃ 이상인 열간으로 압연 가공할 때에,
    1000 ℃ 이상이고 또한 변형률 속도 1/초 이상인 조건에서의 진변형의 총합이 0.4 이상인 압연을 행한 후에,
    1000 ℃ 이하이고 또한 변형률 속도 10/초 이상인 조건에서의 진변형의 총합이 0.7 이상인 압연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질 극박 강판의 제조 방법.
  20. 제10항에 기재된 경질 극박 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이며,
    냉연 후, 재결정 어닐링과 동시에 또는 그 후에, 600 내지 700 ℃의 온도 영역에서, {[침탄 시간(초)]*[침탄 온도(℃)]}/{[침탄성 가스 농도(%)]*[침탄 처리에서의 냉각 속도(℃/초)]} ≥ 20이 되는 조건으로 침탄 처리를 행하고, C량을 0.0002 % 이상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질 극박 강판의 제조 방법.
  21. 제11항에 기재된 경질 극박 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이며,
    냉연 후, 재결정 어닐링과 동시에 또는 그 후에, 600 내지 700 ℃의 온도 영역에서, {[질화 시간(초)]*[질화 온도(℃)]}/{[질화성 가스 농도(%)]*[질화 처리에서의 냉각 속도(℃/초)]} ≥ 20이 되는 조건으로 질화 처리를 행하고, N량을 0.0002 % 이상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질 극박 강판의 제조 방법.
  22. 제12항에 기재된 경질 극박 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이며,
    강판 제조 공정에 있어서, 900 ℃ 이상의 온도로부터의 냉각 과정에 있어서 900 ℃ 내지 500 ℃까지의 냉각 속도를 20 ℃/초 이하로 냉각하고, 금속간 화합물을 체적률로 2.0배 이상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질 극박 강판의 제조 방법.
KR1020087024085A 2006-04-04 2007-04-04 경질 극박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0655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02766 2006-04-04
JP2006102766 2006-04-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6330A KR20080106330A (ko) 2008-12-04
KR101065545B1 true KR101065545B1 (ko) 2011-09-19

Family

ID=38581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4085A KR101065545B1 (ko) 2006-04-04 2007-04-04 경질 극박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003221B1 (ko)
JP (1) JP5058978B2 (ko)
KR (1) KR101065545B1 (ko)
CN (1) CN101415851B (ko)
ES (1) ES2575997T3 (ko)
WO (1) WO20071169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51255B2 (ja) * 2008-05-21 2013-07-31 新日鐵住金株式会社 局部変形能が小さい硬質極薄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412607B (zh) * 2009-03-30 2013-10-21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 滲碳鋼零件
ES2666432T3 (es) * 2009-05-18 2018-05-04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Lámina de acero ultradelgada y proceso para su fabricación
KR101286172B1 (ko) * 2009-12-04 2013-07-15 주식회사 포스코 가공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고강도의 가공용 고내열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308719B1 (ko) * 2009-12-04 2013-09-13 주식회사 포스코 가공성, 내열성 및 내변색성이 우수한 고강도의 가공용 고내열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DE102010003997A1 (de) 2010-01-04 2011-07-07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33102 Verwendung einer Stahllegierung
JP5227359B2 (ja) 2010-04-07 2013-07-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オーステナイト系耐熱鋳鋼
JP5540885B2 (ja) * 2010-05-20 2014-07-02 新日鐵住金株式会社 溶融めっき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75888B2 (ja) * 2010-07-09 2012-07-11 新日本製鐵株式会社 Ni添加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2443743A (zh) * 2010-10-09 2012-05-09 王振民 多元合金耐磨钢固定锲
KR101351944B1 (ko) * 2010-12-08 2014-01-23 주식회사 포스코 내열성 및 내변색성이 우수한 가공용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351951B1 (ko) * 2010-12-08 2014-01-23 주식회사 포스코 내열성이 우수한 가공용 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CN102071357B (zh) * 2011-01-05 2013-07-31 武钢集团昆明钢铁股份有限公司 富氮铌钒微合金化500MPa、550MPa高强度抗震钢筋的冶炼方法
CN102071358A (zh) * 2011-01-26 2011-05-25 天津钢铁集团有限公司 一种屈服强度550MPa级低合金高强度钢板及生产方法
JP5987284B2 (ja) 2011-09-07 2016-09-07 日立化成株式会社 焼結合金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3764859B (zh) 2011-09-28 2015-03-25 新日铁住金株式会社 Ni添加钢板及其制造方法
CN104321453B (zh) * 2012-05-10 2016-08-24 日立金属株式会社 被削性优异的奥氏体系耐热铸钢和由其构成的排气***零件
CN103045960B (zh) * 2012-12-21 2015-02-04 无锡市华尔泰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风力塔筒用法兰及制造工艺
CN104152811A (zh) * 2014-07-25 2014-11-19 安徽霍山科皖特种铸造有限责任公司 一种高韧性钢
CN104894472B (zh) * 2015-05-22 2017-03-08 武汉钢铁(集团)公司 高氧含量钢及其冶炼方法
CN105013833B (zh) * 2015-06-30 2017-04-05 攀钢集团西昌钢钒有限公司 极薄规格冷硬带钢板形控制方法
MX2018002854A (es) * 2015-09-11 2018-06-15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 Lamina de acero y producto esmaltado.
EP3489377A4 (en) * 2016-07-19 2020-02-26 Nippon Steel Corporation STEEL FOR INDUCTION HARDENING
JP6384628B2 (ja) * 2016-07-19 2018-09-05 新日鐵住金株式会社 高周波焼入れ用鋼
WO2018016505A1 (ja) * 2016-07-19 2018-01-25 新日鐵住金株式会社 高周波焼入れ用鋼
US20190300994A1 (en) * 2016-07-19 2019-10-03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Steel for Induction Hardening
US10801091B2 (en) * 2016-07-19 2020-10-13 Nippon Steel Corporation Steel for induction hardening
KR101918720B1 (ko) 2016-12-19 2018-11-14 주식회사 포스코 무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CN107245669A (zh) * 2017-06-22 2017-10-13 威斯卡特工业(中国)有限公司 一种铸造用母合金及其生产方法
CN108374126B (zh) * 2018-04-17 2019-12-03 东北大学 一种高强度细晶粒钢筋及其制备方法
JP6683294B1 (ja) * 2018-05-17 2020-04-15 日本製鉄株式会社 鋼板およびほうろう製品
CN108914009A (zh) * 2018-08-28 2018-11-30 宝钢湛江钢铁有限公司 Al+Ti系低成本高强船板钢及其制造方法
KR102179214B1 (ko) * 2018-11-30 2020-11-16 주식회사 포스코 법랑용 냉연 강판 및 그 제조방법
CN110029278B (zh) * 2019-03-28 2020-06-05 江苏利淮钢铁有限公司 一种高纯净度超低碳低铝钢及其生产方法
KR102348509B1 (ko) * 2019-12-20 2022-01-06 주식회사 포스코 법랑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326324B1 (ko) * 2019-12-20 2021-11-12 주식회사 포스코 고강도 주석 도금원판 및 그 제조방법
EP3875626A1 (de) * 2020-03-06 2021-09-08 ThyssenKrupp Rasselstein GmbH Verpackungsblecherzeugnis
CN111394656B (zh) * 2020-05-06 2022-03-18 合肥易知谷机械设计有限公司 一种结晶器
CN113564476A (zh) * 2021-07-28 2021-10-29 马鞍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渗氮钢用基板及生产方法、具有优良耐腐蚀渗氮钢及其渗氮方法和应用
CN115852243A (zh) * 2021-09-24 2023-03-28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高耐蚀耐热预镀镍电池壳钢及其制造方法
CN114134423B (zh) * 2021-12-02 2022-05-17 东北大学 一种超短流程稀土取向硅钢及其制备方法
CN115323269A (zh) * 2022-07-21 2022-11-11 阳春新钢铁有限责任公司 一种控制高拉速条件下q235圆钢裂纹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3245A (ja) 1999-10-21 2001-05-08 Nippon Steel Corp 溶接部靱性に優れた高靱性高張力鋼とその製造方法
JP2002003987A (ja) 2000-06-26 2002-01-09 Nippon Steel Corp 溶接性と低温靭性に優れた低降伏比高張力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162150A (ja) 2002-11-15 2004-06-10 Nippon Steel Corp 溶接熱影響部の靭性に優れた鋼材および鋼溶接部材
JP2005248281A (ja) 2004-03-05 2005-09-15 Kobe Steel Ltd 塗膜密着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8026A (ja) 1988-10-28 1990-05-02 Kawasaki Steel Corp 缶用鋼板の製造方法
JPH086143B2 (ja) 1990-03-06 1996-01-2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板取り性が優れた極薄溶接缶用鋼板の製造法
JP3726371B2 (ja) 1996-08-30 2005-12-1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時効硬化性が大きく、材質安定性に優れる缶用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276987C (zh) * 2001-10-19 2006-09-27 住友金属工业株式会社 具有优异的可加工性和成型精度的薄钢板及其制造方法
CN1292089C (zh) * 2001-10-29 2006-12-27 新日本制铁株式会社 搪瓷用钢板及其制备方法
KR100733016B1 (ko) * 2002-06-17 2007-06-27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Тi첨가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판 및 그 제조방법
EP1806420A4 (en) * 2004-09-09 2008-04-23 Nippon Steel Corp STEEL PLATE FOR EXTREMELY THIN CONTAINERS AND RELATED MANUFACTURING METHOD
JP4245540B2 (ja) 2004-10-04 2009-03-25 新光機器株式会社 ハンディ式キャップチップ取外し装置
EP2671960B1 (en) * 2005-03-31 2017-11-01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High 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and automobile components of steel having excellent properties in coating film adhesion, workability, and hydrogen embrittlement resistivity
EP1950317B1 (en) * 2005-11-09 2016-03-30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Steel sheet for continuous cast enameling with excellent resistance to fishscaling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3245A (ja) 1999-10-21 2001-05-08 Nippon Steel Corp 溶接部靱性に優れた高靱性高張力鋼とその製造方法
JP2002003987A (ja) 2000-06-26 2002-01-09 Nippon Steel Corp 溶接性と低温靭性に優れた低降伏比高張力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162150A (ja) 2002-11-15 2004-06-10 Nippon Steel Corp 溶接熱影響部の靭性に優れた鋼材および鋼溶接部材
JP2005248281A (ja) 2004-03-05 2005-09-15 Kobe Steel Ltd 塗膜密着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7116913A1 (ja) 2009-08-20
EP2003221B1 (en) 2016-05-25
EP2003221A1 (en) 2008-12-17
ES2575997T3 (es) 2016-07-04
JP5058978B2 (ja) 2012-10-24
CN101415851A (zh) 2009-04-22
WO2007116913A1 (ja) 2007-10-18
EP2003221A4 (en) 2014-12-03
CN101415851B (zh) 2011-06-08
KR20080106330A (ko) 200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5545B1 (ko) 경질 극박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EP3282031B1 (en) Heat-treated steel sheet member,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KR101617115B1 (ko) 열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EP3282030B1 (en) Heat-treated steel sheet member,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EP2246456B9 (en) High-strength steel sheet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KR100368529B1 (ko)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강판
JP4659134B2 (ja) 穴拡げ性と延性のバランスが極めて良好で、疲労耐久性にも優れた高強度鋼板及び亜鉛めっき鋼板、並びにそれらの鋼板の製造方法
CN101460647B (zh) 高强度钢板及其制造方法
EP2530180A1 (en) Steel sheet and process for producing steel sheet
WO2006106733A1 (ja) 強度と加工性のバランス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およびめっき鋼板
MX2011002559A (es) Placa de acero de alta resistencia y metodo de fabricacion de la misma.
KR20170107057A (ko) 고강도 냉연 강판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14061270A1 (ja) 高強度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29139A (ko) 굴곡 가공성 및 피로 강도가 우수한 고강도 강판
JP2010255091A (ja) 伸びと伸びフランジ性のバランス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1860205A1 (en) High strength hot 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stretch flangeability and its production method
KR20100029132A (ko) 제관용 고강도 박강판 및 그 제조 방법
EP3255162A1 (en) High-strength steel sheet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JP2007291514A (ja) 冷延−再結晶焼鈍後の面内異方性が小さい熱延鋼板、面内異方性が小さい冷延鋼板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EP3705592A1 (en)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high-strength plated steel sheet, and production methods therefor
JP2009024226A (ja) 打ち抜き穴広げ性に優れた高強度薄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2604716A1 (en) High-strength hot-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workability, and a method for producing same
JP5811725B2 (ja) 耐面歪性、焼付け硬化性および伸びフランジ性に優れた高張力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3868909A1 (en) Thin steel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5251255B2 (ja) 局部変形能が小さい硬質極薄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