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4198B1 - 파단분리성이 우수한 파단분리형 커넥팅 로드용 압연재, 파단분리성이 우수한 파단분리형 커넥팅 로드용 열간단조 부품, 및 파단분리형 커넥팅 로드 - Google Patents

파단분리성이 우수한 파단분리형 커넥팅 로드용 압연재, 파단분리성이 우수한 파단분리형 커넥팅 로드용 열간단조 부품, 및 파단분리형 커넥팅 로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4198B1
KR101054198B1 KR1020087022287A KR20087022287A KR101054198B1 KR 101054198 B1 KR101054198 B1 KR 101054198B1 KR 1020087022287 A KR1020087022287 A KR 1020087022287A KR 20087022287 A KR20087022287 A KR 20087022287A KR 101054198 B1 KR101054198 B1 KR 101054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breaking
less
steel
connecting r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2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7457A (ko
Inventor
고로 아난
게이타 시이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ublication of KR20080097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7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4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4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1/00Making machine elements
    • B21K1/06Making machine elements axles or shafts
    • B21K1/12Making machine elements axles or shafts of specially-shaped cross-s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68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particular articles not mentioned below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75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rods of limited length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5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rare earths, i.e. Sc, Y, Lanthan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6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lead, selenium, tellurium, or antimony, or more than 0.04% by weight of 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9Pearl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랭크축에 맞붙이기 위한 관통 구멍 부분이 대략 반원으로 파단분리된 커넥팅 로드의 제조에 적절한 파단분리성이 우수한 압연재를 제공한다. 규정의 성분을 만족시키고, 막대상 압연재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단면에서의 D/4부(D는 압연재의 직경)를 관찰했을 때에, 황화물계 개재물의 평균 종횡비가 10.0 이하인 동시에, 하기 수학식 1로 표시되는 Pc가 0.41 내지 0.75이고, 또한 하기 수학식 2로 표시되는 Veq가 0.18질량% 이상이다.
[수학식 1]
Pc=C/(1-α/100)
{식 1중, C는 강 중 탄소함유량(질량%)을 나타내고, α는 페라이트 분율(면적%)을 나타낸다}
[수학식 2]
Veq=V+Ti/2+Si/20
{식 2중, V, Ti, Si는 강 중의 각 원소의 함유량(질량%)을 나타낸다}

Description

파단분리성이 우수한 파단분리형 커넥팅 로드용 압연재, 파단분리성이 우수한 파단분리형 커넥팅 로드용 열간단조 부품, 및 파단분리형 커넥팅 로드{ROLLED MATERIAL FOR FRACTURE SPLIT CONNECTING ROD EXCELLING IN FRACTURE SPLITTABILITY, HOT FORGED PART FOR FRACTURE SPLIT CONNECTING ROD EXCELLING IN FRACTURE SPLITTABILITY, AND FRACTURE SPLIT CONNECTING ROD}
본 발명은, 파단분리성이 우수한 파단분리형 커넥팅 로드용 압연재, 파단분리성이 우수한 파단분리형 커넥팅 로드용 열간단조 부품, 및 파단분리형 커넥팅 로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크랭크축에 맞붙이기 위한 관통 구멍 부분이 대략 반원으로 파단분리된 커넥팅 로드의 제조에 적절한 압연재, 상기 압연재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열간단조 부품, 더나아가, 상기 열간단조 부품을 이용하여 얻어지는 파단분리형 커넥팅 로드에 관한 것이다.
가솔린 엔진이나 디젤 엔진 등의 내연기관에는, 피스톤과 크랭크축의 사이를 연결하여, 피스톤의 왕복운동을 크랭크축에 전달하여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부품으로서 커넥팅 로드(이하, 「콘 로드」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가 사용되고 있다. 콘 로드는, 크랭크축에 맞붙이기 위한 관통 구멍(대략 원형)을 구비한 부품으로, 이 맞붙이기나 보수를 위한 맞췄다 뗐다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관통 구멍 부분이 2개의 대략 반원으로 분리되어 구성되어 있다. 분리된 콘 로드중 피스톤과 직접 연결되는 쪽은 콘 로드 본체라 칭하고, 나머지는 콘 로드 캡이라 칭한다.
상기 콘 로드는, 종래, 콘 로드 본체와 콘 로드 캡을 별개로 열간단조한 후, 합친 면을 절삭 가공함으로써 제조되며, 필요에 따라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해 녹 핀 가공이 실시되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가공을 실시하면, 재료의 수율이 저하되는 외에, 다수의 공정을 거치기 때문에 비용이 상승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콘 로드를 일체로 열간단조하고, 기계가공[크랭크축에 맞붙이기 위한 관통 구멍 형성 가공(구멍 뚫기 가공)이나 볼트 구멍 가공 등]을 실시한 후, 관통 구멍 부분이 2개의 대략 반원이 되도록 냉간에서 파단 분할하는 방법이 행해지고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하면, 합친 면이 랜덤한 요철을 갖고 있기 때문에, 콘 로드 본체와 콘 로드 캡의 합친 면에 간극이 생기지 않고 정밀도 좋게 크랭크 축에 맞붙일 수 있다.
상기 파단분리 가공에 의한 콘 로드의 제조용 재료로서, 유럽에서는 DIN 규격의 C70S6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재료는, 상기 파단분리 가공에는 적합하지만, 보다 높은 레벨의 피로강도나 내력의 요구에는 부응하기 어렵고, 또한 피삭성도 충분하다고는 말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피로강도, 내력이 보다 우수하고, 더 나아가 양호한 피삭성도 확보할 수 있는 파단분리형 콘 로드용 강종의 실현이 요망되고 있다.
지금까지도 여러가지의 강재가 개발되고 있으며, 특허문헌1에는, 파단분리 가능한 고강도 비조질강 및 그 중간제품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서는, MnS를 주체로 한 황화물의 종횡비와 펄라이트의 면적율을 제어하는 것으로, 파면에 랜덤한 요철이 얻어져, 감합시켰을 때에 어긋남이 생기기 어렵게 되는 취지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펄라이트의 면적율은 40% 이하로 규정되어 있어, 펄라이트 이외가 페라이트이다고 하면 60% 이상을 페라이트가 차지하는 것이 된다. 페라이트는 연질상이기 때문에, 페라이트 면적율이 크면 파단시의 변형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고 생각된다.
한편, 특허문헌2에는, C량을 0.25 내지 0.70%로 하는 동시에 페라이트의 면적율을 10% 이하로 억제한 고강도이고, 저연성이며, 또한 피삭성이 우수한 비조질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에서는, 인성이 높은 경질층이 형성되어, 파단분리시의 하중이 높아져 변형이 커지게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특허문헌3에는, C량을 0.5 내지 0.7%로 하는 동시에 페라이트 면적율을 5 내지 15%로 하여, 콘 로드의 제조에 이용하는 열간단조용 강의 피삭성과 저연성을 확보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4에는, C량을 0.2 내지 0.6%로 하고, V나 Ti를 첨가하여 파단분리 특성을 확보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5 내지 7에는, C량을 억제하는 동시에 페라이트 분율을 억제함으로써, 피삭성과 감합성을 확보한 파단 분할형 콘 로드용 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3 내지 7의 기술에서는, MnS 등과 같은 황화물계 개재물의 형태가 제어되어 있지 않아, 파단시의 변형이 충분히 억제되어 있다고는 할 수 없다. 한편, 상기 특허문헌4 내지 7에는, MnS의 형태 제어에 유효하다고 생각되는 Ca 첨가의 기재가 있지 만, 그 구체적인 첨가 방법까지 기재되어 있지 않아, MnS를 주체로 하는 황화물계 개재물의 형태를 제어하여 파단분리성을 충분히 높였다라고는 말하기 어렵다.
한편, 특허문헌8에는, 황화물계 개재물의 종횡비를 10이하로 하는 것으로, 파단분리성을 개선한 열간 비조질 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S량이 비교적 많으면, 설령 MnS를 구상화하더라도 상기 MnS를 기점으로 한 보이드가 파단시에 다량으로 발생한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이것에 기인하여 페라이트부의 연성 파괴가 생기기 쉽게 되어, 콘 로드 본체와 콘 로드 캡의 파면이 맞지 않게 되기 때문에, 파단시의 변형이 외관상 커지게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특허문헌1: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42671호 공보
특허문헌2: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56743호 공보
특허문헌3: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5916호 공보
특허문헌4: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77817호 공보
특허문헌5: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75578호 공보
특허문헌6: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77848호 공보
특허문헌7: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93184호 공보
특허문헌8: 일본 특허 공개 제2000-73141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크랭크축 에 맞붙이기 위한 관통 구멍 부분이 대략 반원으로 파단분리된 커넥팅 로드의 제조에 적절한 압연재, 상기 압연재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열간단조 부품, 더 나아가, 상기 열간단조 부품을 이용하여 얻어지는 파단분리형 커넥팅 로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따른 파단분리성이 우수한 파단분리형 커넥팅 로드용 압연재란,
화학 성분 조성이, 질량%로(이하, 성분에 대하여 동일함)
C: 0.25 내지 0.60%,
Mn: 0.5 내지 2%,
S: 0.05 내지 0.2%,
Si: 0.05 내지 1.5%,
V: 0.05 내지 0.3%,
P: 0.010 내지 0.15%,
Al: 0.0010 내지 0.06%,
N: 0.03%이하, 및
Cr: 0.1 내지 2%를 만족시키고,
또한,
Zr: 0.005 내지 0.2%,
Ti: 0.005 내지 0.1%,
Mg: 0.0003 내지 0.01%,
Ca: 0.0005 내지 0.01%,
Te: 0.0010 내지 0.1%, 및
REM: 0.0005 내지 0.3%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며,
잔부가 철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페라이트와 펄라이트가 합계로 전체의 95면적% 이상을 차지하며,
막대 형상 압연재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단면에서의 D/4부(D는 압연재의 직경)을 관찰했을 때에, 황화물계 개재물의 평균 종횡비가 10.0이하인 동시에,
하기 수학식 1로 표시되는 Pc가 0.41 내지 0.75이고, 또한 하기 수학식 2로 표시되는 Veq가 0.18질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1]
Pc= C/(1-α/100)
{수학식 1중, C는 강중 탄소함유량(질량%)을 나타내고, α는 페라이트 분율(면적%)을 나타낸다}
[수학식 2]
Veq= V+Ti/2+Si/20
{수학식 2중, V, Ti, Si는 강중의 각 원소의 함유량(질량%)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압연재는, 하기 수학식 3으로 표시되는 Ceq가 0.80질량% 이상이 고, 또한 하기 수학식 4로 표시되는 PM이 500질량% 이하를 또한 만족시키는 것이 좋다.
[수학식 3]
Ceq= C+0.28Mn-1.0S+0.32Cr+1.7V+1.3Ti
[수학식 4]
PM= 554C+71Mn-262S+82Cr+429V
{수학식 3 및 4중, C, Mn, S, Cr, V, Ti는 강 중의 각 원소의 함유량(질량%)을 나타낸다}
상기 압연재는, 또한 다른 원소로서,
(a) Se: 0.0010 내지 0.1%, 및/또는, Bi 및 Pb: 합계로 0.01 내지 0.2%,
(b) B: 0.0005 내지 0.004%
를 포함하고 있더라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 압연재에 열간단조를 실시하여 얻어지는 파단분리성이 우수한 파단분리형 커넥팅 로드용 열간단조 부품, 더나아가, 상기 열간단조 부품을 이용하여 얻어지는 파단분리형 커넥팅 로드도 포함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황화물계 개재물의 평균 종횡비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측정한 값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팅 로드의 관통 구멍 부분을 대략 반원으로 양호하게 파단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분리 가공의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유럽에서 사용되고 있는 C70S6에 비하여 고강도이고, 또한 우수한 피삭성도 발휘하는 커넥팅 로드용 압연재, 상기 압연재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열간단조 부품, 더나아가 열간단조 부품을 이용하여 얻어지는 파단분리형 커넥팅 로드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Pc와 파단분리에 의해 생긴 변형(분리 변형)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황화물계 개재물의 평균 종횡비(L/W)와 파단분리에 의해 생긴 변형(분리변형)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Veq와 파단분리에 의해 생긴 변형(분리 변형)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황화물계 개재물의 관찰 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이다.
도 5는 파단분리성의 평가에 이용한 시험편의 형상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a)상면도 및 (b)측면도이다.
도 6은 프레스 시험기에서의 파단분리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측면도이다.
도 7은 파단분리성의 평가에 이용한 시험편의 파단분리 전후(시험 전후)의 상태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프레스
2 지지대
3, 3' 홀더
4, 5 쐐기
6 시험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자들은, 크랭크축에 맞붙이기 위한 관통 구멍 부분을 2개의 대략 반원으로 분리할 때에, 양호하게 파단분리시킬 수 있는 콘 로드용 압연재를 얻기 위해, 가공성(특히 피삭성)을 확보할 수 있는 낮은 C량이고 또한 높은 S량의 강재를 대상으로 예의 연구를 하였다. 그 결과, 페라이트 분율과 상기 C량의 관계를 제어하는 동시에, 황화물계 개재물의 종횡비를 제어하면, 파단분리에서 큰 변형이 생기기 쉬운, 상기 낮은 C량이고 또한 높은 S량의 강재에 있어서, 피삭성이 우수한 동시에 파단분리성이 충분히 높아진 콘 로드용 압연재를 실현할 수 있다라는 착상을 기초로, 그 구체적 방법을 발견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술한다.
<Pc= 0.41 내지 0.75
단, Pc= C/(1-α/100)...(1)
{식 1중, C는 강 중 탄소함유량(질량%)을 나타내고, α는 페라이트 분율(면적%)을 나타낸다}>
S량이 비교적 높은 강재에서는, MnS 등의 황화물계 개재물의 형태를 제어하더라도 파단분리시에 연성 파괴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연성 파괴가 생기면, 콘 로드 본체와 콘 로드 캡의 파면이 맞지 않게 되어, 크랭크 축에 맞붙일 때에 이들을 정밀도 좋게 감합할 수 없다. 또한, 정밀도 좋게 감합되지 않아 콘 로드 본체와 콘 로드 캡이 맞붙은 면에 간극이 생기면, 콘 로드의 강도를 확보하는 것도 어렵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성 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연성 파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하여 여러가지 검토를 행하였다. 그 결과, 규정 C량의 범위에 있어서, 전체 조직에서 차지하는 페라이트 분율과 강중 C량의 관계를 나타낸 Pc:C/(1-α/100)를 일정 범위내로 하면 좋은 것을 발견했다.
도 1은 파단분리에 의해 생긴 변형과 상기 Pc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후술하는 실시예의 실험결과(황화물계 개재물의 종횡비는 어느 것이나 규정 범위내)를 정리한 것이다(한편, 도 1에서는, C량이 0.33%인 경우에 대하여 경향을 나타내는 선을 그리고 있다). 이 도 1로부터, 황화물계 개재물을 후술하는 규정 범위내로 제어할 뿐만 아니라, Pc를 제어함으로써, 분리 변형을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어느 쪽의 C량의 경우에도 Pc가 0.5 부근에서 파단분리시의 변형이 극소값을 갖고, 분리 변형을 200㎛ 이하(상기 C70S6의 분리변형이 최대로 200㎛정도인 것에서, 200㎛ 이하를 목표로 한다)로 억제하기 위해서는, Pc의 하한을 0.41로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분리 변형을 150㎛ 이하로 보다 작게 하기 위해서는 Pc을 0.45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또한 Pc의 상한에 대해서는 0.75로 할 필요가 있다. 분리 변형을 100㎛ 이하로 보다 작게 하기 위해서는 Pc을 0.47 내지 0.60로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는, 후술하는 황화물계 개재물의 형태를 제어하여 파단분리시의 파면 진전을 촉진시키는 동시에, 상기한 바와 같이 페라이트 분율과 C량의 관계를 제어하는 것으로, 우수한 파단분리성을 확보할 수 있고, 더 나아가, 황화물계 개재물량이 증가했을 때에 생기는 노치 부근의 보이드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우수한 피삭성도 확보할 수 있다.
<막대 형상 압연재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단면에서의 D/4부(D는 압연재의 직경)을 관찰했을 때의 황화물계 개재물의 평균 종횡비: 10.0이하>
제조과정에서의 전신(展伸)에 의해 형성되는 종횡비가 큰 황화물계 개재물은, 파단분리시의 균열 진전을 저해한다. 그 결과, 분리 파단에 가해지는 부하가 커지기 때문에, 파단분리했을 때의 변형이 커진다.
도 2는, 파단분리에 의해 생긴 변형(분리 변형)과 황화물계 개재물의 평균 종횡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후술하는 실시예의 실험결과(상기 Pc는 어느 것이나 규정 범위내)를 정리한 것이다. 이 도 2로부터, 분리 변형을 200㎛ 이하로 억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황화물계 개재물의 평균 종횡비를 10.0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분리 변형을 150㎛ 이하로 보다 작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종횡비를 9.5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의「황화물계 개재물」이란, 주로 MnS를 의미하지만, Mn, Zr, Ti, Mg, Ca, Se, Te, REM 등의 각 황화물 외에, 이들의 복합 황화물이나, 산화물을 핵으로 한 상기 황화물이나 복합 황화물과의 복합 화합물도 포함된다.
<Veq≥ 0.18
단, Veq= V+Ti/2+Si/20…(2)
{식 2중, V, Ti, Si는 강중의 각 원소의 함유량(질량%)을 나타낸다}>
MnS 등과 같은 개재물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보이드가 발생하여, 파단분리시의 연성 파괴를 초래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 원인으로서, 페라이트의 경도가 지나치게 낮은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자 등은, 페라이트의 경도에 영향을 미치는 원소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V, Ti, Si가 페라이트의 경도에 영향을 미치는 원소이며, 여러 가지의 실험에서 상기 V, Ti, Si를 포함하는 상기 Veq가 페라이트의 경도와 상관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도 3는, 상기 Veq와 파단분리에 의해 생긴 변형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이며, 후술하는 실시예의 실험결과를 정리한 것인데, 이 도 3으로부터, 분리 변형을 200㎛ 이하로 억제하여 우수한 파단분리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Veq을 0.18질량%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22질량% 이상이다. 한편, Veq을 0.40질량% 이상으로 하더라도 효과가 포화되기 때문에, 비용의 관점에서 상기 Veq를 0.40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eq≥0.80
단, Ceq=C+0.28Mn-1.0S+0.32Cr+1.7V+1.3Ti ...(3)
{식 3중, C, Mn, S, Cr, V, Ti는 강 중의 각 원소의 함유량(질량%)을 나타낸다}>
Ceq는, 강재의 경도와 상관이 있는 파라미터이며, 콘 로드로서 사용가능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Ceq을 0.80질량%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0.90질량%이상)으로 제어하는 것이 좋다. 한편, Ceq가 지나치게 높더라도 피삭성이 뒤떨어지기 때문에, 그 상한은 1.50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M≤500
단, PM= 554C+71Mn-262S+82Cr+429V…(4)
{식 4중, C, Mn, S, Cr, V는 강 중의 각 원소의 함유량(질량%)을 나타낸다}>
PM은, 피삭성과 상관이 있는 파라미터이며, 양산가능한 레벨의 절삭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500질량%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400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각 화학성분 등의 한정 이유를 이하에 상술한다.
<C: 0.25 내지 0.60%>
C는, 강도의 확보와 함께 파단시의 변형을 작게 하는데 필요한 원소이다. 또한, 펄라이트 등의 조직을 형성하여, 페라이트부에서의 황화물계 개재물을 핵으로 한 보이드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도 있다. 따라서, C량은 0.25%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0.30% 이상이다. 그러나 C량이 과잉이 되면, 피삭성이 열화하기 때문에 0.60% 이하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55% 이하이다.
<Mn: 0.5 내지 2%>
Mn은, 강재의 강도를 높이는 동시에 담금질성을 향상시키고, 탄소 함유량이 높은 경우에는 레이저 가공한 노치 바닥에 부서지기 쉬운 열 영향층을 생성시켜, 파단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상기 효과를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Mn량을 0.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Mn량이 과잉이면, 단조 후에 베이나이트가 생성되어, 경도가 현저히 증가하여 피삭성이 저하된다. 또한, 베이나이트는 가동 전위를 많이 포함하기 때문에, 콘 로드에 중요한 특성인 내력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Mn량을 2% 이하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다.
<S: 0.05 내지 0.2%>
S는, Mn과 황화물(MnS)을 생성하여, 피삭성을 개선하는 데 유효한 원소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효과를 발휘시키기 위해서 S량을 0.05% 이상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08%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 이상이다. 상기 MnS가, 제조과정에서의 압연 등으로 가늘고 길게 신장한 형상이 되면, 이것이, 파단분리시의 파면 진전을 저해하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에서는, 황화물계 개재물을 구상화하는 것에 의해 상기 문제를 해결하지만, S량이 과잉이 되면 상기 황화물계 개재물도 과잉이 되어, 페라이트부에서의 보이드 발생의 기점이 증가하여, 연성 파괴가 생기기 쉽게 된다. 따라서 S량은 0.2% 이하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12% 이하이다.
<Si: 0.05 내지 1.5%>
Si는, 강 용제시의 탈산 원소로서 유용한 동시에, 페라이트중에 고용하여, 파단분리시의 소성 변형의 주된 원인인 연질상(페라이트)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내력이나 피로강도를 향상시키는 데 유효한 원소이기도 하다. 또한, 파단분리시의 변형(진원도 변화)를 억제하고, 파단면의 감합성을 향상시키는 것에도 유효하다. 이들 효과를 충분히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Si량을 0.0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 이상이다. 그러나 Si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필요 이상으로 경도가 증가하여 피삭성이 열화하기 때문에, 1.5% 이하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5% 이하이다.
<V: 0.05 내지 0.3%>
V는, Si와 같이 페라이트의 강도를 높여 파단분리시의 변형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효과를 충분히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V량을 0.0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V를 과잉으로 함유시키더라도 상기 효과는 포화되기 때문에, 그 상한을 0.3%로 한다.
<P: 0.010 내지 0.15%>
본 발명에 있어서, P는 파단시의 변형을 억제하여, 파단면의 감합성을 향상시키는 데 유효하며, 상기 효과를 발휘시키기 위해 0.010% 이상으로 적극적으로 함유시키더라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0.02% 이상이다. 그러나, P는 연속 주조시의 주조결함을 유발하기 쉬운 원소이기도 하기 때문에, 0.15% 이하(바람직하게는 0.08% 이하)로 한다.
<Al: 0.0010 내지 0.06%>
A1은, 강 용해시에 탈산작용을 발휘하는 원소로, 용강중의 산소 농도가 저하 하는 것으로 황화물계 개재물이 구상화하기 쉽게 되기 때문에, 황화물계 개재물의 구상화에도 기여하는 원소이다. 이러한 효과를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0.0010% 이상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0% 이상이다. 그러나 Al 등이 과잉이 되더라도 그 효과는 포화되고, 용강중의 산소농도가 지나치게 저하되어 황화물계 개재물의 구상화가 오히려 저해된다. 따라서 Al량은 0.06%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0.020% 이하)로 한다.
<N: 0.03% 이하>
N은, 불가피하게 강 중에 함유되는 원소로, 다량으로 포함되어 있으면 주조결함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0.03%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이하)로 억제한다.
<Cr: 0.1 내지 2%>
Cr을 첨가하면, 상기 Mn과 같이 강재의 강도를 높이는 동시에 담금질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탄소 함유량이 높은 경우에는 레이저 가공한 노치 바닥에 부서지기 쉬운 열 영향층을 생성시켜, 파단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상기 효과를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바람직하게는 0.1%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0.15% 이상)함유시키는 것이 좋다. 그러나 Cr이 다량으로 포함되면 단조 후에 베이나이트가 생성되고, 경도가 현저히 증가하여 피삭성이 저하된다. 또한 베이나이트는 가동 전위를 많이 포함하기 때문에, 콘 로드에 중요한 특성인 내력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Cr량을 2%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로 억제한다.
<Zr: 0.005 내지 0.2%,
Ti: 0.005 내지 0.1%,
Mg: 0.0003 내지 0.01%,
Ca: 0.0005 내지 0.01%,
Te: 0.0010 내지 0.1%, 및
REM: 0.0005 내지 0.3%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이들 원소는, 황화물계 개재물의 형태를 제어하여, 파단분리시의 변형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고 있다. Zr은, 황화물계 개재물의 구상화에 유효한 원소이며, 상기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Zr량을 0.00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이다. 그러나 Zr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딱딱하게 되어 피삭성이 열화하기 때문에 0.2%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0.10% 이하)로 하는 것이 좋다.
Ti는, 황화물계 개재물의 구상화에 기여하는 동시에, Si, V와 같이 페라이트의 강도를 높여 파단분리시의 변형을 억제하는 효과도 갖는다. 상기 효과를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Ti량을 0.00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이다. 그러나, Ti량이 과잉이 되면 피삭성이 저하하기 때문에 0.1%를 상한으로 하는 것이 좋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8% 이하이다.
Mg는, 황화물계 개재물을 미세화시키는데 유용한 원소이다. 황화물계 개재물이 존재하면 기계적 성질이 손상되지만, 미세화하는 것으로 기계적 성질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효과를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Mg량을 0.0003%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Mg가 다량이 되면, 산화물이 과잉으로 존재하여 기계적 성질이 오히려 손상되기 때문에, 0.01%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0.0040% 이하)로 한다.
Ca는, 황화물계 개재물을 구상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효과를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Ca를 0.0005% 이상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Ca를 첨가할 때, Ca 산화물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하고, 황화물계 개재물중에 Ca를 고용시켜 황화물계 개재물의 구상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Al 등을 Ca 첨가의 직전에 첨가하여 용강중의 산소량을 낮추고 나서 Ca를 첨가하는 것이 좋다.
한편, Ca량이 과잉이 되면, Mg와 같이 산화물이 다량으로 형성되어 기계적 성질이 오히려 손상된다. 따라서, Ca량은 0.01%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0.0030% 이하)로 하는 것이 좋다.
Te도 황화물계 개재물의 구상화 효과를 갖는 원소이며, 상기 효과를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0.0010% 이상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다량으로 포함되면 열간 변형능이 열화하기 때문에, 0.1% 이하(바람직하게는 0.01% 이하)로 하는 것이 좋다.
REM(희토류원소; 예컨대 미시 메탈(mish metal))도, Mg와 같이 황화물계 개재물을 미세화하는 효과를 갖고 있으며, 기계적 성질의 개선 효과에 기여한다. 상기 효과를 기대하여 REM을 첨가하는 경우, 0.0005%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0% 이상이다. 그러나 지나치게 다량으로 첨가하면, 산화물이 다량으로 형성되어 기계적 성질이 오히려 손상된다. 따라서 REM은 0.3%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0.010% 이하)로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함유 원소는 상기한 바와 같은 것으로, 잔부는 철 및 불가피한 불순물이며, 상기 불가피한 불순물로서, 원료, 자재, 제조설비 등의 상황에 따라 반입되는 원소의 혼입이 허용될 수 있다. 또한, 파단분리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하기 원소를 규정 범위내에서 적극적으로 함유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Se: 0.0010 내지 0.1%>, 및/또는
Bi 및 Pb: 합계로 0.01 내지 0.2%>
Se, Bi, Pb는 모두 피삭성 개선의 효과를 갖는 원소이다. 상기 효과를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Se의 경우, 0.0010% 이상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Bi 및/또는 Pb를 함유시키는 경우, 합계로 0.01%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Se를 다량으로 함유시키면 열간 변형능이 열화하기 때문에, 0.1%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0.03% 이하)로 하는 것이 좋다. 또한, Bi 및/또는 Pb를 다량으로 함유시키면, 강재의 주조 결함, 압연시의 흠을 유발하기 때문에, Bi 및/또는 Pb는 합계로 0.2%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0.15% 이하)로 하는 것이 좋다.
<B: 0.0005 내지 0.004%>
B는, 담금질성을 개선하여 페라이트 분율을 저감하고, 황화물계 개재물에 의한 보이드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고 있다. 상기 효과를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B량을 0.000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B가 다량으로 포함되고 있으면, 철과의 공융액을 생성하여 열간 변형능이 저하하기 때문에, 0.004% 이하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2% 이하이다.
본 발명의 압연재는, 조직이 페라이트 및 펄라이트의 2상 조직으로서, 페라이트와 펄라이트가 합계로 전체의 95면적% 이상을 차지한다. 페라이트와 펄라이트이외의 조직(예컨대 베이나이트)은 면적율로 5% 이하이면 허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압연재의 제조방법까지 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열간 압연시에 행하는 가열의 온도를 950℃ 이상으로 하면, 상기 황화물계 개재물의 평균 종횡비를 용이하게 규정 범위내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온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스케일(scale)에 의한 불량이나 흠이 생기기 때문에, 120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황화물계 개재물의 형태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Ca나 Zr, Te 등을 첨가하는 것이 유효하지만, 상기 원소를 첨가하기 위해서는, 용제 단계에 있어서, 상기 Ca 등을 첨가하기 직전에 Al 등의 탈산 원소를 첨가하여 용강중의 산소량을 저감시키고 나서 상기 Ca 등을 첨가하는 것이 좋다.
상기 Pc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C량을 조정하는 동시에 페라이트 분율을 제어해야 한다. 페라이트 분율은, 단조 직후의 강재 온도나 단조 후의 냉각 속도의 조정, C 이외의 합금 원소량의 조정 등의 공지수단으로 조정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은 방법을 들 수 있다. 즉, 적당한 조건에서 단조를 실시하여, 페라이트 분율을 측정하고 Pc를 산출한다. Pc가 본 발명에서 규정한 범위에 없고, 예컨대 페라이트 분율을 낮춤으로써 Pc를 규정의 범위내로 할 수 있는 경우에는, 냉각 속도를 낮추거나, 단조 직후의 강재 온도를 낮추거나, 또한 Mn 등의 합금성분을 규정의 범위 내에서 낮추는 등의 조정을 실시한다. 이렇게 Pc가 대강 0.5 부근이 되도록 시행 착오를 반복하는 것으로 Pc의 조정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압연재는, 상기 압연재를 이용한 열간단조 부품의 제조에 있어서, 단조한 후, 기계적 성질의 특성 확보를 위해, 담금질 및 템퍼링이라고 하는 열처리를 실시할 필요가 없이, 냉각한 채로 사용할 수 있는 비조질강이다. 상기 압연재의 형상은 막대 형상이면 좋고, 그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직경 25 내지 50mm 정도이다.
본 발명의 파단분리형 커넥팅 로드용 열간단조 부품은, 상기 압연재를 이용하여, 공지된 방법으로 열간단조하여 콘 로드의 외형을 형성함으로써 얻어진다. 또한, 파단분리형 커넥팅 로드를 얻기 위해서는, 상기 단조부품에 성형가공 등의 가공을 실시하여, 크랭크축에 맞붙이기 위한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그 후, 관통 구멍 부분이 2개의 대략 반원으로 분리되도록 파단분리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물론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을 받는 것이 아니며, 전·후기의 취지에 적합할 수 있는 범위로 적당히 변경을 가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것들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막대 강 제조예
표 1, 2에 나타내는 화학성분의 강을 통상의 용제방법에 따라서 용해·주조 후, 분괴, 압연을 행하여 70mmφ의 막대 강을 수득하였다. 다음으로 이것을 열간단조에 의해 25mm 두께로 단조하였다. 한편,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Pc의 조정은, 성분과 열간단조 후의 800 내지 600℃의 평균냉각 속도를 조정하여 행하였다. 또, 황화물계 개재물의 평균 종횡비는, 압연직전의 강재온도를 바꾸거나, 황화물계 개재물을 구상화시키는 Ca나 Zr, Te 등의 첨가에 의해 제어하였다. 이들의 원소는 모두 Al 첨가 후에 첨가하였다.
수득된 막대 강을 이용하여, 페라이트 분율의 측정, 황화물계 개재물의 평균 종횡비의 측정, 및 파단분리성의 평가를 하기의 요령으로 행하였다.
<페라이트 분율(α)의 측정>
수득된 막대 강의 D/4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평행한 단면으로부터 샘플을 채취하여(도 4 참조), 표면을 경면 연마한 후, 나이탈로 부식시켜 조직 관찰용 시험편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100배로 촬영하고(1시야의 사진크기: 9cm×7cm), 수득된 사진의 화상 해석하여 구했다. 상기 측정을, 샘플 표면에서의 임의의 3시야에서 동일하게 행하여, 그 평균치를 페라이트 분율(면적%)로 하였다.
또한 상기 화상 해석에 근거하여, 페라이트와 펄라이트의 면적율의 합계를 구했다.
<황화물계 개재물의 종횡비(L/W)의 측정>
막대 강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단면에서의 D/4부(도 4참조)에서의 1평방 밀리미터를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그리고, 폭이 1㎛ 이상인 개재물에 대하여, 각 개재물의 장직경 L 및 폭 W(폭은, 장직경에 대하여 가장 넓은 폭)을 측정하여, L/W를 구하고, 그 산술평균치를 산출하였다. 상기 개재물에는, 황화물계 개재물뿐만 아니라 산화물만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포함되어 수득되지만, 그 가능성은 매우 작기 때문에, 상기 방법에 의해 구한 L/W를 황화물계 개재물의 평균 종횡비라고 간주했다.
<파단분리성의 평가>
상기 70φ의 막대 강에 대하여, 막대 강의 압연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열간단조를 실시하여 25mm두께로 한 후, 도 5에 나타내는 시험편으로 가공하였다. 도 5중, (a)은 시험편의 상면도, (b)는 시험편의 측면도를 각기 나타내고 있고, a는 노치, b는 볼트 구멍, c는 압연 방향인 것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각기 나타내고 있다. 시험편은 65mm×65mm×두께 22mm의 판 형상이며, 중앙은 φ 40mm의 원통 형상으로 뚫려 있다. 뚫림부의 단부에는, 노치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시험편에는 압연방향에 따라서 볼트 구멍(b)(φ 8.3mm)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시험편을 이용하여, 도 6에 나타내는 요령으로, 프레스 시험기(1600t 프레스, 프레스 속도: 270mm/s[지그 접촉시(지그 높이 110mm)의 속도, 쐐기(4) 및 쐐기(5)의 쐐기 각이 30°이기 때문에 TP 파단속도는 약 150 mm/s])로 세팅하여 시험편의 파단분리를 행했다. 그리고 도 7에 나타내는 요령으로 파단분리 전후의 구멍 직경 차이(L2-L1)를 분리 변형으로서 측정하고, 이 분리 변형이 200mm 이하인 것을 파단분리성이 우수하다고 평가했다.
이들의 결과를 표3, 4에 나타낸다.
Figure 112008064572411-pct00001
Figure 112008064572411-pct00002
Figure 112008064572411-pct00003
Figure 112008064572411-pct00004
표 1 내지 4로부터 다음과 같이 고찰할 수 있다(한편, 하기 기호는, 표 1 내지 4의 실험기호를 나타낸다). a01 내지 a12는, 압연 후의 냉각 속도를 변화시켜서 페라이트 분율을 변동시키고, 또한 C량을 변화시켜서 Pc를 변동시킨 것이다. 이 중, Pc가 본 발명의 규정 범위내에 없는 것은, 분리 변형이 커 파단분리성이 뒤떨어지고 있다.
b01 내지 b03은, 황화물계 개재물의 평균 종횡비를 압연 직전의 강재온도 및 단조 직후의 강재온도를 변경하여 제어한 예이다. 이들의 예로부터 알 수 있듯이, Ca와 같은 황화물계 개재물을 구상화하는 원소를 첨가하더라도 종횡비는 반드시 규정 범위 내에 없으며, 압연 직전의 강재온도 및 단조 직후의 강재온도의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b03과 같이 종횡비가 10.0를 초과하면, 분리 변형이 200㎛(C70S6의 최대 파단 변형)을 초과하기 때문에, 우수한 파단분리성을 확보할 수 없다.
c01이후는, 각 화학 성분을 변동시킨 것이다. 이 중 c01 내지 c05는 C량을 변동시킨 것으로, c01은 C량이 부족하여 Pc가 하한치를 하회하고 있기 때문에, 파단분리성이 뒤떨어지고 있다. 또한 c05로 부터, 피삭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PM을 규정 범위내로 하는 것이 좋음을 알 수 있다.
e01 내지 e04는, Mn량을 변동시킨 것이지만, e01은, Mn량이 비교적 적어서 페라이트의 생성이 촉진되어 Pc가 규정 범위를 상회하고 있다. 또한 e04는, Mn량이 비교적 많아 페라이트가 그다지 생성되지 않고, Pc가 규정 범위를 하회하고 있다. 그 때문에 e01과 e04는, 파단분리성이 뒤떨어지고 있다.
g01 내지 g07은, S량을 변동시킨 예이지만, S량을 0.2%로까지 높이더라도 우수한 파단분리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g01 내지 g03로부터, 파단분리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일정량의 Cr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i01 내지 i04는, V량을 변동시킨 예이며, i01은 황화물계 개재물의 평균 종횡비가 10.0 이하로 억제되고, 또한 페라이트 분율이 규정 범위내에 있지만, Veq가 낮기 때문에 보이드가 발생하여, 파단분리성이 뒤떨어지고 있다.
m01 내지 m16은, Ti, Zr 등의 이른바 선택 원소를 첨가한 예이지만, m01은, 상기 i01과 같이 Veq가 낮기 때문에 보이드가 발생하여 파단분리성이 뒤떨어지고 있다. m04는 B를 첨가한 예이지만, 이렇게 B를 첨가하더라도 파단분리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m10은, Ca가 비교적 적고, 또한 황화물계 개재물을 구상화시키기 위한 그 밖의 원소의 첨가나 제조조건의 제어를 실시하지 않았기 때문에, 황화물계 개재물의 평균 종횡비가 커서, 분리 변형이 커졌다.
본 발명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압연재는, 분리 변형이 유럽에서 사용되어 있는 C70S6의 최대 변형 200㎛ 이하에 속해, 파단분리형 커넥팅 로드의 제조에 적합하다. 특히, C량이 상기 C70S6 보다 낮고 또한 S량을 충분하게 첨가할 수 있기 때문에,우수한 피삭성도 겸비시킬 수 있다.
콘 로드 제조예
표 1의 a01 내지 07에 나타내는 화학 성분의 강을 통상의 용제 방법에 따라서 용해·주조 후, 분괴, 압연(압연직전의 강재온도 950℃)을 행하여 32mmφ 막대 강을 수득하였다. 다음으로 이것을 표 5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열간단조하고, 또한 기계가공함으로써, 콘 로드의 외형을 갖는 열간단조 부품(두께 18mm)을 제조하였다. 이 열간단조 부품은, 피스톤과의 연결축과 크랭크축에 맞붙이기 위한 반원부를 갖는 콘 로드 본체부와, 이 콘 로드 본체부와 일체로 되어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반원부를 갖는 콘 로드 캡부가 일체로 된 형태를 하고 있고, 상기 연결축은 압연방향에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이 열간단조 부품에 레이저로 노치를 넣어, 기계력을 작용시켜 파단함으로써, 콘 로드 본체부와 콘 로드 캡부로 분리하였다. 노치는, 파단면이 압연방향과 직교하도록 형성하였다.
수득된 파단분리형 콘 로드에 대하여, 페라이트 분율과 황화물계 개재물의 평균 종횡비를 상기와 같이 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파단분리 전후의 관통 구멍의 구멍 직경 차이(L2-Ll)를 분리 변형으로서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Figure 112008064572411-pct00005
표 5로부터 분명하듯이, Pc의 값이 적절한 예(x01, x02)는, Pc의 값이 부적절인 예(x03)보다도 분리 변형이 작다.

Claims (6)

  1. 화학 성분 조성이, 질량%로(이하, 성분에 대하여 동일함),
    C: 0.25 내지 0.60%,
    Mn: 0.5 내지 2%,
    S: 0.08 내지 0.2%,
    Si: 0.05 내지 1.5%,
    V: 0.05 내지 0.3%,
    P: 0.010 내지 0.15%,
    Al: 0.0010 내지 0.06%,
    N: 0.03%이하, 및
    Cr: 0.1 내지 2%를 만족시키고,
    또한,
    Zr: 0.005 내지 0.2%,
    Ti: 0.005 내지 0.1%,
    Mg: 0.0003 내지 0.01%,
    Ca: 0.0005 내지 0.01%,
    Te: 0.0010 내지 0.1%, 및
    REM: 0.0005 내지 0.3%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며,
    잔부가 철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페라이트와 펄라이트가 합계로 전체의 95면적% 이상을 차지하며,
    막대 형상 압연재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단면에서의 D/4부(D는 압연재의 직경)를 관찰했을 때에, 황화물계 개재물의 평균 종횡비가 5.0 이상 10.0 이하인 동시에,
    하기 수학식 1로 표시되는 Pc가 0.41 내지 0.75이고, 또한 하기 수학식 2로 표시되는 Veq가 0.18질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단분리성이 우수한 파단분리형 커넥팅 로드용 압연재.
    [수학식 1]
    Pc= C/(1-α/100)
    {수학식 1중, C는 강 중 탄소함유량(질량%)을 나타내고, α는 페라이트 분율(면적%)을 나타낸다}
    [수학식 2]
    Veq= V+Ti/2+Si/20
    {수학식 2중, V, Ti, Si는 강 중의 각 원소의 함유량(질량%)을 나타낸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하기 수학식 3으로 표시되는 Ceq가 0.80질량% 이상이고, 또한 하기 수학식 4로 표시되는 PM이 500질량% 이하인 파단분리형 커넥팅 로드용 압연재.
    [수학식 3]
    Ceq=C+0.28Mn-1.0S+0.32Cr+1.7V+ 1.3Ti
    [수학식 4]
    PM=554C+71Mn-262S+82Cr+429V
    {수학식 3 및 4중, C, Mn, S, Cr, V, Ti는 강 중의 각 원소의 함유량(질량%)을 나타낸다}
  3.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Se: 0.0010 내지 0.1%와,
    Bi, Pb 또는 이들 모두: 합계로 0.01 내지 0.2%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파단분리형 커넥팅 로드용 압연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B: 0.0005 내지 0.004%를 포함하는 파단분리형 커넥팅 로드용 압연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파단분리형 커넥팅 로드용 압연재에 열간단조를 실시하여 얻어지는, 파단분리성이 우수한 파단분리형 커넥팅 로드용 열간단조 부품.
  6. 제 5 항에 기재된 열간단조 부품을 이용하여 얻어지는 파단분리형 커넥팅 로 드.
KR1020087022287A 2006-03-15 2007-03-13 파단분리성이 우수한 파단분리형 커넥팅 로드용 압연재, 파단분리성이 우수한 파단분리형 커넥팅 로드용 열간단조 부품, 및 파단분리형 커넥팅 로드 KR1010541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71599 2006-03-15
JPJP-P-2006-00071599 2006-03-15
PCT/JP2007/054937 WO2007108365A1 (ja) 2006-03-15 2007-03-13 破断分離性に優れた破断分離型コネクティングロッド用圧延材、破断分離性に優れた破断分離型コネクティングロッド用熱間鍛造部品、及び破断分離型コネクティングロッ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7457A KR20080097457A (ko) 2008-11-05
KR101054198B1 true KR101054198B1 (ko) 2011-08-03

Family

ID=38522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2287A KR101054198B1 (ko) 2006-03-15 2007-03-13 파단분리성이 우수한 파단분리형 커넥팅 로드용 압연재, 파단분리성이 우수한 파단분리형 커넥팅 로드용 열간단조 부품, 및 파단분리형 커넥팅 로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90047169A1 (ko)
EP (1) EP2000553B1 (ko)
KR (1) KR101054198B1 (ko)
CN (1) CN101405418B (ko)
WO (1) WO200710836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9074A (ko) * 2015-10-19 2018-05-10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열간 압연 강재 및 강 부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64460B1 (ja) * 2007-12-03 2009-05-2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破断分割性および被削性に優れた破断分割型コネクティングロッド用鋼
US8480821B2 (en) 2008-03-27 2013-07-09 Hitachi Metals Ltd. Piston ring materia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1892424B (zh) * 2010-08-09 2011-09-21 钢铁研究总院 一种胀断连杆用中碳非调质钢
CN103071751B (zh) * 2012-08-22 2015-07-01 昌利锻造有限公司 一种六拐曲轴的锻造方法
CN103042144A (zh) * 2012-09-11 2013-04-17 昌利锻造有限公司 一种汽车发动机曲轴的锻造方法
WO2014091738A1 (ja) * 2012-12-12 2014-06-19 新日鐵住金株式会社 鍛造クランク軸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691970B1 (ko) 2013-03-20 2017-01-02 아이치 세이코우 가부시키가이샤 단조 부품 및 그 제조 방법과 콘 로드
JP6488774B2 (ja) * 2015-03-09 2019-03-27 新日鐵住金株式会社 破断分離後の破断面同士の嵌合性に優れた鋼部品用の熱間圧延鋼材および鋼部品
JP6497450B2 (ja) * 2015-12-04 2019-04-10 新日鐵住金株式会社 冷間鍛造調質品用圧延棒線
WO2017110910A1 (ja) * 2015-12-25 2017-06-29 新日鐵住金株式会社 鋼部品
CN108474068A (zh) * 2015-12-25 2018-08-31 新日铁住金株式会社
CN106939391A (zh) * 2017-04-01 2017-07-11 江阴兴澄特种钢铁有限公司 一种Ca微合金化易切削高强度胀断连杆用钢及制造方法
WO2019203348A1 (ja) * 2018-04-20 2019-10-24 日本製鉄株式会社 鋼、機械部品及びコネクティングロッド
JP6717398B1 (ja) * 2019-03-14 2020-07-01 愛知製鋼株式会社 鍛造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コンロッド
CN112575242B (zh) * 2019-09-27 2022-06-24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合金结构用钢及其制造方法
CN111187996B (zh) * 2020-01-21 2021-07-20 鞍钢股份有限公司 一种中碳含硫硒的易切削钢用盘条及其制造方法
CN114058943A (zh) * 2021-09-14 2022-02-18 武汉钢铁有限公司 一种微合金钢及其制作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3141A (ja) 1998-08-28 2000-03-07 Kobe Steel Ltd 破断分割性に優れた熱間鍛造用非調質鋼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107740C1 (ru) * 1993-12-20 1998-03-27 Ниппон Стил Корпорейшн Рельс из перлитной стали с высокой износостойкостью и ударной вязкостью и способ е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JP3512873B2 (ja) * 1994-11-24 2004-03-31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高寿命高周波焼入れ軸受鋼
JPH1143738A (ja) * 1997-07-23 1999-02-16 Aichi Steel Works Ltd 熱間鍛造用低延性非調質鋼
JP3893889B2 (ja) 2001-03-21 2007-03-14 大同特殊鋼株式会社 破断による分離が容易な熱間鍛造用非調質鋼
JP2002356743A (ja) 2001-05-30 2002-12-13 Nkk Bars & Shapes Co Ltd 高強度で低延性且つ被削性に優れた非調質鋼
JP2003119545A (ja) * 2001-10-15 2003-04-23 Aichi Steel Works Ltd 被削性に優れた低延性非調質鋼
JP2003193184A (ja) 2001-12-28 2003-07-09 Kobe Steel Ltd 破断分割型コネクティングロッド及びそれ用の鋼
JP4115737B2 (ja) * 2002-04-12 2008-07-09 山陽特殊製鋼株式会社 微細硫化物を利用した被削性と破断分割性に優れる機械構造用鋼
JP3887271B2 (ja) * 2002-05-29 2007-02-28 大同特殊鋼株式会社 破断分離可能な高強度非調質鋼及びその中間製品
JP2004035916A (ja) 2002-06-28 2004-02-05 Sanyo Special Steel Co Ltd 熱間鍛造用低延性非調質鋼及び非調質鋼からなる自動車等用の部品
JP4314851B2 (ja) 2003-03-14 2009-08-19 大同特殊鋼株式会社 破断分離に適した高強度非調質鋼
JP4292375B2 (ja) * 2003-03-18 2009-07-08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クラッキングコンロッド用非調質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3141A (ja) 1998-08-28 2000-03-07 Kobe Steel Ltd 破断分割性に優れた熱間鍛造用非調質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9074A (ko) * 2015-10-19 2018-05-10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열간 압연 강재 및 강 부품
KR102092055B1 (ko) 2015-10-19 2020-03-23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열간 압연 강재 및 강 부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7457A (ko) 2008-11-05
EP2000553A1 (en) 2008-12-10
EP2000553A4 (en) 2010-07-14
CN101405418A (zh) 2009-04-08
EP2000553B1 (en) 2012-09-05
US20090047169A1 (en) 2009-02-19
WO2007108365A1 (ja) 2007-09-27
CN101405418B (zh) 201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4198B1 (ko) 파단분리성이 우수한 파단분리형 커넥팅 로드용 압연재, 파단분리성이 우수한 파단분리형 커넥팅 로드용 열간단조 부품, 및 파단분리형 커넥팅 로드
JP4268194B2 (ja) 破断分離性に優れた破断分離型コネクティングロッド用圧延材、破断分離性に優れた破断分離型コネクティングロッド用熱間鍛造部品、及び破断分離型コネクティングロッド
US9994943B2 (en) Rolled steel bar for hot forging, hot-forged section material, and common rai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177542B1 (ko) 파단 분리성 및 피삭성이 우수한 열간 단조용 비조질강과 열간 압연 강재 및 열간 단조 비조질강 부품
JPWO2020040190A1 (ja) 鋼材、鍛造熱処理品、及び、鍛造熱処理品の製造方法
JP2004277817A (ja) 破断分離に適した高強度非調質鋼及びこれを用いた鍛造部品
JPWO2017159738A1 (ja) 非調質棒鋼
EP3480333A1 (en) Steel for mechanical structures
US11111569B2 (en) Non-heat treated steel bar
KR101547015B1 (ko) 대형 고강도 단강품
US7670444B2 (en) Non-heat treated steel for hot forging with easy fracture splitting
US11162454B2 (en) Steel piston
US10570487B2 (en) Rolled steel material for fracture splitting connecting rod
EP3805418B1 (en) Steel material for steel piston
US11180818B2 (en) Steel bar for hot forging
JP2008144211A (ja) V含有非調質鋼
JP5354996B2 (ja) 破断分割性に優れたコネクティングロッド用熱間鍛造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515301B2 (ja) 熱間圧延鋼材および鋼部品
US20210285068A1 (en) Hot rolled steel and steel component
EP3453777A1 (en) High strength and fracture splittable micro alloyed steel
JPH11199967A (ja) 被削性に優れた高強度・低延性非調質鋼材
WO2017126407A1 (ja) 鍛造用鋼及び大型鍛鋼品
KR20180087371A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