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3530B1 - 미싱 셔틀 - Google Patents

미싱 셔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3530B1
KR101023530B1 KR1020030092878A KR20030092878A KR101023530B1 KR 101023530 B1 KR101023530 B1 KR 101023530B1 KR 1020030092878 A KR1020030092878 A KR 1020030092878A KR 20030092878 A KR20030092878 A KR 20030092878A KR 101023530 B1 KR101023530 B1 KR 101023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le
rotation
boss
ridge
re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2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7931A (ko
Inventor
가토가츠유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바루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바루단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바루단
Publication of KR20040057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7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3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3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08Loop takers, e.g. loopers for lock-stitch sewing machines
    • D05B57/10Shuttles
    • D05B57/14Shuttles with rotary hoo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천칭이 끌어올리기 전에 상사를 내측 셔틀로부터 빼내고, 빠진 후의 상사의 거동을 안정시킨다.
외측 셔틀(7)에 상사 포착부(22)를 설치하고, 내측 셔틀(8)의 전면에 회전방지 오목개소(14)를 형성한다. 회전방지 오목개소(14)에 셔틀 정지 부재(16)의 회전방지 돌기(18)를 헐겁게 끼워서 내측 셔틀(8)을 회전방지한다. 외측 셔틀(7)의 외주에 설치한 안내판(23)의 전방 가장자리에 상사 빼내기용 융기부(25)를 형성한다. 상사 포착부(22)가 상사(Ta)를 포착해서 당기고 있는 기간 동안에, 상사 빼내기용 융기부(25)는 포착부(22)로부터 약 180° 늦은 위상으로 상사(Ta)를 전방으로 밀고, 상사(Ta)를 회전방지 오목개소(14)의 외측 셔틀 회전방향의 후측과 회전방지 돌기(18)와의 맞닿음부분 사이를 빠져나오게 하여, 내측 셔틀(8)로부터 빼낸다.
셔틀 구동축, 바늘, 천칭, 상사 포착부, 안내판, 융기부, 상사, 하사.

Description

미싱 셔틀{SHUTTLE OF SEW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미싱 셔틀의 1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동 미싱 셔틀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동 미싱 셔틀의 동작 타이밍을 주축 회전각도와 관련지어 나타내는 안내판의 전개도이다.
도 4는 주축 회전각도 25°에서의 미싱 셔틀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 5는 주축 회전각도 100°에서의 미싱 셔틀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 6은 주축 회전각도 115°에서의 미싱 셔틀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 7은 주축 회전각도 140°에서의 미싱 셔틀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 8은 주축 회전각도 145°에서의 미싱 셔틀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 9는 주축 회전각도 160°에서의 미싱 셔틀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 10은 종래 기술을 도시하는 미싱 셔틀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 11은 다른 종래기술을 도시하는 미싱 셔틀의 작용 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2 셔틀 구동축 4 바늘
6 미싱 셔틀 7 외측 셔틀
8 내측 셔틀 11 천칭
14 회전방지 오목부 15 상사 안내면
16 셔틀 정지 부재 18 회전방지 돌기
20 첨단부 22 상사 포착부
23 안내판 25 상사 빼내기용 융기부
26 단차부 27 상사 전방밀어내기용 융기부
Ta 상사 Tb 하사
본 발명은, 바늘 및 천칭과 협동해서 가공 천에 바늘땀을 형성하는 미싱 셔틀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미싱 셔틀이 기재되어 있다. 이 미싱 셔틀(50)은, 셔틀 구동축(51)에 의해 회전되는 외측 셔틀(52)과, 외측 셔틀(52)의 내측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수용된 내측 셔틀(53)을 구비하고 있다. 내측 셔틀(53)의 상면에는 바늘 도입구멍(54)이 형성되고, 이 구멍(54)과 동일한 위상으로 내측 셔틀(53)의 전면에 회전방지 오목개소(55)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방지 오목개소(55)에는 셔틀 정지 부재(56)의 회전방지 돌기(57)가 헐겁게 끼워져, 회전방지 돌기(57)에 의해 내측 셔틀(53)이 회전방지되어 있다. 외측 셔틀(52)의 외주에는 상사 포착부(58)와 안내판(59)(통칭 「스프링」)이 설치되고, 외측 셔틀 회전방향의 후측에서, 안내판(59)의 전방 가장자리에 전방으로 융기하는 상사 전방밀어내기용 융기부(61)가 형성되어 있다.
바늘(62)이 하사점(下死點)으로부터 약간 상승하면, 상사 포착부(58)가 바늘(62)의 후측에서 상사(Ta)를 포착하고, 외측 셔틀(52)의 회전에 따라, 내측 셔틀(53)의 주위에 상사 루프를 형성한다.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사 루프가 확대하는 과정에서, 상사 전방밀어내기용 융기부(61)는 내측 셔틀(53)의 상방에서 상사(Ta)를 전방으로 밀고, 상사 루프를 내측 셔틀(53)의 외주면에서 전면측으로 밀어낸다.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사 포착부(58)가 내측 셔틀(53)의 최하부에 달하면, 상사(Ta)는 회전방지 오목개소(55)와 회전방지 돌기(57)의 간극에 진입한다. 도 10(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사 루프가 내측 셔틀(53)을 빠져나가, 상사 포착부(58)가 상향으로 되면, 천칭(도시 생략)이 상사(Ta)를 끌어 올린다. 이때, 천칭의 인상력(引上力)에 의해, 상사(Ta)가 외측 셔틀 회전방향의 후측에서 회전방지 오목개소(55)와 회전방지 돌기(57)와의 맞닿음부분 사이를 빠져나가고, 내측 셔틀(53)로부터 빠진다. 그리고, 상사(上絲)(Ta)가 하사(下絲)(Tb)에 얽혀, 가공 천(W)에 바늘땀을 형성한다.
특허문헌 2에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미싱 셔틀이 기재되어 있다. 이 미싱 셔틀(70)은, 내측 셔틀(71)의 외주에 맞닿음부(74)를 구비하고 있다. 셔틀 정지 부재(75)에는, 회전방지 오목개소(72)에 헐겁게 끼우는 회전방지 돌기(76)와, 맞닿음부(74)에 걸어 맞추는 스토퍼부(77)가 설치되고, 외측 셔틀(73)의 회전시에, 도 1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맞닿음부(74)가 스토퍼부(77)에 맞닿는다. 셔틀 정지 부재(75)는 셔틀 지지체(도시 생략)에 위치조정 가능하게 부착되고, 맞 닿음부(74)와 스토퍼부(77)의 맞닿음 위치를 미리 조정해 둠으로써 회전방지 오목개소(72)와 회전방지 돌기(76)의 간극이 외측 셔틀 회전방향의 전후에서 동등하게 확보된다. 그리고, 도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천칭이 상사(Ta)를 끌어 올렸을 때에는, 상사(Ta)는 회전방지 오목개소(72) 및 회전방지 돌기(76)의 간극을 외측 셔틀 회전방향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통과하여, 내측 셔틀(71)로부터 빠진다.
(특허문헌 1)
일본 특개평 6-327873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개평 11-244566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 1의 미싱 셔틀(50)에 의하면, 상사(Ta)를 회전방지 오목개소(55)와 회전방지 돌기(57)의 맞닿음 부분 사이를 빠져나가게 해서 내측 셔틀(53)로부터 빼내는데도, 천칭이 상사(Ta)를 끌어올리는 힘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상사(Ta)에 큰 저항력이 작용하여, 실의 긴장도가 나빠지거나, 때로는 과도한 텐션이 생겨서 실이 끊어지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것에 대하여, 특허문헌 2의 미싱 셔틀(70)은, 회전방지 돌기(76)의 전후에 간극이 확보되어 있으므로, 상사(Ta)에 작용하는 저항력을 작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간극은 셔틀 정지 부재(75)의 위치에 따라서 변화되기 때문에, 셔틀교환이나 청소 등을 할 때에 셔틀 정지 부재(75)를 분해할 때마다, 그 조립 위치를 미조정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 천칭의 인상력이 걸리기 전에, 이 인상력에 따르지 않고 상사를 회전방지 오목개소와 회전방지 돌기와의 맞닿음부분 사이를 빠져나가게 해서 내측 셔틀로부터 빼낼 수 있고, 따라서 천칭의 인상력이 걸릴 때에는 상사에 저항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여, 실의 긴장도의 악화나 실의 끊어짐을 방지할 수 있고, 또, 내측 셔틀로부터 빼낸 후의 상사의 거동을 안정시킬 수도 있는 미싱 셔틀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셔틀 구동축에 의해 회전되는 외측 셔틀과, 외측 셔틀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수용된 내측 셔틀을 구비하고, 외측 셔틀에 상사 포착부를 설치하고, 내측 셔틀의 전면에 회전방지 오목개소를 형성하고, 회전방지 오목개소에 셔틀 정지 부재의 회전방지 돌기를 헐겁게 끼움으로써 내측 셔틀을 회전방지한 미싱 셔틀에 있어서, 상기 외측 셔틀의 전면에 전방으로 융기하는 상사 빼내기용 융기부를 설치하고, 상기 상사 포착부가 상사를 포착해서 당기고 있는 기간 동안에, 상사 빼내기용 융기부가 회전방지 오목개소에 들어가 있는 상사를 전방으로 밀어서, 이 상사를 회전방지 오목개소의 외측 셔틀 회전방향의 후측과 회전방지 돌기와의 맞닿음부분 사이를 빠져나가게 하여 내측 셔틀로부터 빼내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미싱 셔틀에 있어서, 외측 셔틀이 회전되면, 상사 포착부가 상사를 포착하고, 내측 셔틀의 주위에 상사 루프를 형성한다. 상사 루프가 확대하는 도중에, 상사는 내측 셔틀 전면의 회전방지 오목개소에 들어간다. 그리고, 상사 빼내기용 융기부가 회전방지 오목개소와 대략 동일한 위상에 도달하면, 상기 대로 상사 빼내기용 융기부가 상사를 전방으로 밀어서 회전방지 오목개소의 외측 셔틀 회전방향의 후측과 회전방지 돌기와의 맞닿음부분 사이를 빠져나가게 한다. 이때, 이 맞닿음부분 사이를 실수 없이 빠져나가게 하기 위해서는, 상사를 이 맞닿음부분 사이의 근방 즉 회전방지 오목개소의 외측 셔틀 회전방향의 후측에서 대기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사를 회전방지 오목개소의 외측 셔틀 회전방향의 후측에서 대기시켜 두기 위해서는, 회전방지 오목개소의 외측 셔틀 회전방향의 후측을, 바늘의 상하이동 통로보다도 외측 셔틀 회전방향 전측으로 0°∼40°진행한 위상에 형성하는(도 1의 α참조) 것이 바람직하고, 3°∼30°진행한 위상에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회전방지 오목개소의 외측 셔틀 회전방향의 후측이 0°보다도 늦은 위상에 있으면, 상사가 회전방지 오목개소 중 어디에서 대기하는 것인지가 정해지지 않게 되기 때문에, 상사 빼내기용 융기부가 상사를 전방으로 밀어도, 상사가 회전방지 돌기의 정상부에 걸리는 경우 등, 상기 맞닿음부분 사이에서 빠져나가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다른 한편, 회전방지 오목개소의 외측 셔틀 회전방향의 후측이 40°를 초과한 위상에 있으면, 회전방지 오목개소의 가공이 어렵게 된다.
또, 회전방지 오목개소의 외측 셔틀 회전방향의 후측에 안쪽으로 향하는 만큼 측방으로 푹 패인 실 안내면을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상사 빼내기용 융기부가, 회전방지 오목개소에 들어간 상사를 전방으로 밀 때, 상사는 상사 안내면을 따라서 후방에서 전방으로 밀어내고, 회전방지 오목개소의 외측 셔틀 회전방향의 후측과 회전방지 돌기의 맞닿음부분 사이에 확실하게 유도된다.
상사 포착부가 상사를 포착하고 있는 기간 동안은, 상사 빼내기용 융기부가 상사에 작용하는 장력을 이용해서, 상사를 회전방지 오목개소로부터 원활하게 밀어낼 수 있다. 게다가 실의 장력을 유효하게 이용하는 관점에서는, 상사 빼내기용 융기부를 상사 포착부(상사 포착부 자체, 회전해서 위치가 변함) 보다도 외측 셔틀 회전방향의 후측에 상대각으로 160°∼190° 늦은 위상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상사가 회전방지 오목개소로부터 내측 셔틀의 외주측으로 튕겨 나가서, 회전방지 오목개소의 구석에 걸릴 우려가 없고, 빠진 뒤에는, 상사 장력을 감쇠시켜, 천칭이 끌어 올리기 전에, 미리 상사 루프의 형상을 안정시켜 둘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사 빼내기용 융기부를 특허문헌 1의 상사 전방밀어내기용 융기부와 조합시켜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상사 빼내기용 융기부보다도 외측 셔틀 회전방향이 전측에서, 외측 셔틀의 전면에 상사 전방밀어내기용 융기부를 설치하고, 상사 빼내기용 융기부가 상사를 전방으로 밀기 전에, 상사 전방밀어내기용 융기부가 상사를 전방으로 밀어서 내측 셔틀의 전면측으로 밀어내도록 구성한다. 이렇게 하면, 상사 루프가 형성되는 초기에, 내측 셔틀의 외주면상에 걸린 상사(Ta)를 상사 전방밀어내기용 융기부에서 내측 셔틀의 전면측으로 밀어내어, 회전방지 오목개소에 조기에 들어가게 하여, 계속해서 상사 빼내기용 융기부에서 회전방지 오목개소로부터 확실하게 밀어낼 수 있다. 이 경우, 상사 전방밀어내기용 융기부 및 상사 빼내기용 융기부를 타이밍 좋게 연계 동작시키기 위해서, 상사 전방밀어내기용 융기부를 상사 빼내기용 융기부(상사 빼내기용 융기부 자체, 회전해서 위치가 변함) 보다도 외측 셔틀 회전방향 전측에 상대각으로 70°∼90°진행한 위상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미싱에서는, 베드(1)의 내측에 셔틀 구동축(2)이 수평으로 지지되고, 베드(1)의 상면에 바늘판(3)이 부착되어 있다. 바늘판(3)에는 바늘(4)이 관통하는 바늘 구멍(5)이 형성되고, 바늘판(3)의 상방에 천칭(11)(도 3 참조)이 배치되고, 바늘판(3)의 하측에 미싱 셔틀(6)이 설치되어 있다. 미싱 셔틀(6)은, 셔틀 구동축(2)에 의해 회전되는 외측 셔틀(7)과, 외측 셔틀(7)의 내측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수용된 내측 셔틀(8)을 구비하고, 내측 셔틀(8)에 보빈(9)을 수납한 보빈 케이스(10)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바늘(4), 미싱 셔틀(6), 천칭(11)은, 미싱 주축(도시 생략)의 회전에 동기해서 구동되고, 바늘(4)에 통과시킨 상사(Ta)와 보빈(9)에 감긴 하사(Tb)를 사용해서, 바늘판(3)상의 가공 천(W)에 바늘땀을 형성하게 되어 있다.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 셔틀(8)의 외주에는, 바늘(4)을 내측 셔틀(8)의 내부로 도입하는 바늘도입구멍(12)이 형성되고, 바늘도입구멍(12)의 중심(바늘(4)의 상하이동 통로)과 동일한 위상으로, 내측 셔틀(8)의 전면에 하사(Tb)를 수직하게 상방으로 통과시키는 통로로서의 오목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바늘(4)의 상하이동 통로보다도 외측 셔틀(7)의 회전방향(도 1의 화살표방향)으로 진행한 위상으로, 내측 셔틀(8)의 전면에는 회전방지 오목개소(14)가 형성되고, 회전방지 오목개소(14)의 외측 셔틀 회전방향 후측은 바늘(4)의 상하이동 통로보다도 약 15°진행한 위상에 있다. 또, 회전방지 오목개소(14)의 외측 셔틀 회전 방향의 후측에, 이 오목개소(14)의 안쪽을 향하는 만큼 측방으로 경사지게 푹 패인 상사 안내면(15)이 형성되어 있다. 베드(1)에는 셔틀 정지 부재(16)가 나사(17)로 대략 수평으로 부착되고, 셔틀 정지 부재(16)의 선단부 이면에, 회전방지 오목개소(14)에 헐겁게 끼우는 회전방지 돌기(1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방지 돌기(18)와 회전방지 오목개소(14)의 끼워맞춤에 의해, 내측 셔틀(8)이 외측 셔틀(7)에 추종회전하지 않도록 회전방지되어 있다.
외측 셔틀(7)의 외주에는, 첨단부(20)와 첨예부(21)에 의해 상사 포착부(22)가 외측 셔틀 회전방향 전측으로 벌어진 평면 V자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첨예부(21)는 띠형상의 안내판(통칭 「스프링」)(23)의 외측 셔틀 회전방향 전측 부분에 형성되어, 안내판(23)의 후측 부분에 세장(細長)편(24)이 설치되어 있다. 세장편(24)의 전방 가장자리에는 전방으로 융기하는 상사 빼내기용 융기부(25)가 완만한 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상사 빼내기용 융기부(25)로부터 외측 셔틀 회전방향 전측에 계곡형상의 단차부(26)를 통하여 전방으로 융기하는 상사 전방밀어내기용 융기부(27)가 설치되어 있다. 상사 빼내기용 융기부(25) 및 상사 전방밀어내기용 융기부(27)는, 각각 내측 셔틀(8)의 전면보다 전방으로 비어져 나오도록 융기해 있는데, 적어도 내측 셔틀(8)의 전면과 거의 일치하는 위치까지 융기해 있으면 좋다(안내판(23) 전방 가장자리의 잔부는 내측 셔틀(8)의 전면보다 들어가 있다.). 또는, 양 융기부(25, 27) 중 어느 일방이 내측 셔틀(8)의 전면과 거의 일치하고, 타방이 내측 셔틀(8)의 전면보다 전방으로 비어져 나오도록 융기해도 좋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사 전방밀어내기용 융기부(27)의 정점이 상사 빼내기용 융기부(25)의 정점보다도 외측 셔틀 회전방향 전측에 상대각으로 약 80°진행한 위상에 설정되고, 외측 셔틀(7)의 회전시에, 상사 전방밀어내기용 융기부(27)가, 상사 빼내기용 융기부(25)보다도 먼저 상사(Ta)를 전방으로 밀고, 이 상사(Ta)를 내측 셔틀(8)의 전면측으로 밀어내도록 되어 있다(도 5 참조).
또, 상사 빼내기용 융기부(25)의 정상점은 상사 포착부(22)보다도 외측 셔틀 회전방향 후측에 상대각으로 약 180° 늦은 위상에 설치되고, 상사 포착부(22)가 상사(Ta)를 포착해서 당기고 있는 동안에, 상사 빼내기용 융기부(25)가 회전방지 오목개소(14)에 들어가 있는 상사(Ta)를 전방으로 밀어서, 이 상사(Ta)를 회전방지 오목개소(14)의 외측 셔틀 회전방향의 후측과 회전방지 돌기(18)의 맞닿음부분 사이를 빠져나가게 하여(안에서 밖으로 밀어내어) 내측 셔틀(8)로부터 빼내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7 참조). 또한, 도 3에서, 미싱 주축의 회전각도를, 바늘(4)이 하사점에 도달한 위상을 0°로 해서 나타냈다. 또, 외측 셔틀(7)의 회전각도를, 상기 상대각을 나타내는 편의상, 상사 포착부(22)가 상사(Ta)를 포착하는 위상을 0°(주: 이 0점자체가 회전 이동함)로서 나타냈다. 외측 셔틀(7) 및 셔틀 구동축(2)은 주축의 1회전당 2회전한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미싱 셔틀(6)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늘(4)이 하사점으로부터 약간 상승하여, 미싱 주축이 약 25°의 위상에 도달하면, 외측 셔틀(7)의 회전에 따라, 첨단부(20)가 바늘(4)의 직후를 가로지르고, 상사 포착부(22)가 상사(Ta)를 포착해서 당기기 시작한다.
포착된 상사(Ta)는,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 셔틀(8)의 외주면을 따라서 당겨 내려지고, 내측 셔틀(8)의 주위에 상사 루프가 형성된다. 주축이 약 100°의 위상에 도달하면, 상사 전방밀어내기용 융기부(27)가 회전방지 오목개소(14)의 상방에서 상사(Ta)를 전방으로 밀고,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사(Ta)를 내측 셔틀(8)의 전면측으로 밀어낸다.
이것에 의해,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주축이 약 115°인 위상), 상사(Ta)가 내측 셔틀(8)의 외주면으로부터 전면측으로 빠지고,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차부(26)가 회전방지 오목개소(14)를 통과한 직후에, 상사(Ta)는 회전방지 오목개소(14)에 들어간다. 그리고, 회전방지 오목개소(14)의 외측 셔틀 회전방향 후측이 바늘(4)의 상하이동 통로보다도 약 15°(도 1에서의 각α) 진행한 위상에 있으므로, 상사(Ta)는 바늘(4)을 향하는 장력으로 외측 셔틀 회전방향 후측으로 당겨지고, 회전방지 오목개소(14)의 외측 셔틀 회전방향의 후측에 오는 동시에, 회전방지 돌기(18)보다 후측 상사안내면(15)의 푹 패인 부분에 진입해서 대기한다.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축이 140°의 위상에 달하면, 상사 포착부(22)는 상사(Ta)를 내측 셔틀(8)의 중심을 타고 넘도록 가장 끌어 낸 상태가 되고, 이때, 상사 빼내기용 융기부(25)가 회전방지 오목개소(14)의 상방에서 상사(Ta)를 전방으로 밀고,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사(Ta)를 회전방지 오목개소(14)의 외측 셔틀 회전방향의 후측과 회전방지 돌기(18)의 후측면과의 맞닿음부분 사이를 빠져나가게 해서, 내측 셔틀(8)의 전면측으로 빠져 나가게 한다. 상사(Ta)는, 상기와 같이 회전방지 오목개소(14)의 외측 셔틀 회전방향의 후측에서 대기하고 있던 상태로부터 이 맞닿음부분 사이에 확실하게 도달할 수 있는 동시에, 경사진 안내면(15)을 따라서 후방에서 전방으로 밀어내서 이 맞닿음부분 사이에 확실하게 유도되기 때문에, 이 맞닿음부분 사이로부터 확실하게 빠져 나가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때, 회전방지 오목개소(14)의 외측 셔틀 회전방향 후측의 위상이 바늘(4)의 상하이동 통로보다도 약 15°진행한 곳에 있고, 상사 빼내기용 융기부(25)의 위상이 상사 포착부(22)보다도 180°늦어져 있으므로, 상사(Ta)는 「く」자형으로 굴곡된 상태에서 회전방지 오목개소(14)의 밖으로 튕겨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사(Ta)가 회전방지 오목개소(14)의 밖으로 튕겨내지면,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주축이 약 145°의 위상), 상사 루프의 상부는 회전방지 오목개소(14)로부터 오목부(13)측으로 멀어지고, 상사 루프의 하부가 상사 포착부(22)로부터 상방으로 멀어진다. 이 때문에, 상사(Ta)를 회전방지 오목개소(14)에 걸어 두지 않고, 내측 셔틀(8)로부터 확실하게 빼낼 수 있는 동시에, 천칭(11)이 끌어 올리기 전에, 상사 장력을 감쇠시켜, 상사 루프의 형상을 미리 안정시켜 둘 수 있다. 그 후,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사(Ta)는 오목부(13)부근에서 잠시 대기한다.
그리고, 도 9(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천칭(11)이 상사(Ta)를 끌어 올리고, 상사 루프가 축소하고, 상사(Ta)와 하사(Tb)가 서로 얽혀서, 가공 천(W)에 바늘땀을 형성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미싱 셔틀(6)에 의하면, 천칭(11)의 인상력이 걸리기 전에, 이 인상력에 의하지 않고, 상사 빼내기용 융기부(25)가 외측 셔틀(7)의 회전에 따라서 상사(Ta)를 회전방지 오목개소(14)의 외측 셔틀 회전방향 후측과 회전방지 돌기(18)의 맞닿음부분 사이를 빠져나가게 해서 내측 셔틀(8)로부터 빼낼 수 있다. 따라서, 천칭(11)의 인상력이 걸릴 때에는, 상사(Ta)에 상기 빠져나가기에 의한 저항력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실의 긴장도의 악화나 실의 끊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내측 셔틀(8)로부터 빼낸 후 상사(Ta)의 거동을 안정시킬 수도 있고, 상사 루프의 형상을 미리 갖춘 상태에서, 실의 긴장도가 좋은 바늘땀을 형성할 수 있다. 또, 회전방지 오목개소(14)의 외측 셔틀 회전방향 후측과 회전방지 돌기(18)는 맞닿아 있어도 좋으므로, 상기 특허문헌 2의 종래예에 대해, 양자 사이에 간극을 설치하거나 그 간극을 조정하거나 할 필요가 없어, 셔틀교환이나 청소 등의 작업이 간단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아래와같이, 발명의 취지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히 변경해서 구체화 할 수도 있다.
(1) 상기 실시형태 상사 빼내기용 융기부(25) 및 상사 전방밀어내기용 융기부(27)와 동일한 형상부를, 안내판(23)이 아니라, 외측 셔틀(7)의 본체의 전면에 일체 형성하는 것.
(2) 내측 셔틀(8)의 오목부(13)는, 상기와 같이 하사(Tb)의 통로로서 설치했지만, 이 오목부(13)를 생략해서 실시할 수도 있다. 그 경우, 하사(Tb)는 내측 셔틀(8)의 바로 앞을 통과한다.
(3) 회전방지 오목개소(14)의 외측 셔틀 회전방향의 후측을 바늘(4)의 상하이동 통로와 동일한 위상(0°)으로 형성하는 것.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계되는 미싱 셔틀에 의하면, 천칭의 인상력이 걸리기 전에, 이 인상력에 의하지 않고 상사를 회전방지 오목개소와 회전방지 돌기의 맞닿음부분 사이를 빠져나가게 해서 내측 셔틀로부터 빼낼 수 있고, 따라서 천칭의 인상력이 걸릴 때에는 상사에 저항력이 작용하지 않게 하여, 실의 긴장도의 악화나 실의 끊김을 방지할 수 있고, 또, 내측 셔틀로부터 빼낸 후의 상사의 거동을 안정시킬 수도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달성한다.

Claims (6)

  1. 셔틀 구동축에 의해 회전되는 외측 셔틀과, 외측 셔틀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수용된 내측 셔틀을 구비하고, 외측 셔틀에 상사 포착부를 설치하고, 내측 셔틀의 전면에 회전방지 오목개소를 형성하고, 회전방지 오목개소에 셔틀 정지 부재의 회전방지 돌기를 헐겁게 끼움으로써 내측 셔틀을 회전방지한 미싱 셔틀에 있어서, 상기 외측 셔틀의 전면에 전방으로 융기하는 상사 빼내기용 융기부를 설치하고, 상기 상사 포착부가 상사를 포착해서 당기고 있는 기간 동안에, 상사 빼내기용 융기부가 회전방지 오목개소에 들어가 있는 상사를 전방으로 밀어서, 이 상사를 회전방지 오목개소의 외측 셔틀 회전방향의 후측과 회전방지 돌기의 맞닿음부분 사이를 빠져나가게 해서 내측 셔틀로부터 빼내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셔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 오목개소의 외측 셔틀 회전방향의 후측을 바늘의 상하이동 통로보다도 외측 셔틀 회전방향 전측으로 0°∼40°진행한 위상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셔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 오목개소의 외측 셔틀 회전방향의 후측에 안쪽을 향하는 만큼 측방으로 푹 패인 상사 안내면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셔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사 빼내기용 융기부를 상사 포착부보다도 외측 셔틀 회전방향의 후측에 상대각으로 160°∼190° 늦은 위상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셔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사 빼내기용 융기부보다도 외측 셔틀 회전방향 전측에서, 외측 셔틀의 전면에 상사를 내측 셔틀의 전면측으로 밀어내는 상사 전방밀어내기용 융기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셔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사 전방밀어내기용 융기부를 상사 빼내기용 융기부보다도 외측 셔틀 회전방향 전측으로 상대각으로 70°∼90°진행한 위상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셔틀.
KR1020030092878A 2002-12-24 2003-12-18 미싱 셔틀 KR1010235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73231 2002-12-24
JP2002373231A JP3965359B2 (ja) 2002-12-24 2002-12-24 ミシン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7931A KR20040057931A (ko) 2004-07-02
KR101023530B1 true KR101023530B1 (ko) 2011-03-22

Family

ID=32652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2878A KR101023530B1 (ko) 2002-12-24 2003-12-18 미싱 셔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799527B2 (ko)
JP (1) JP3965359B2 (ko)
KR (1) KR101023530B1 (ko)
CN (1) CN100535222C (ko)
DE (1) DE10360567B4 (ko)
HK (1) HK10660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9458B2 (ja) * 2004-01-26 2007-06-13 株式会社鈴木製作所 ミシンのパッカリング防止釜装置
CN109487451B (zh) * 2018-11-15 2021-01-12 东阳市太极精密制造有限公司 一种具有储油腔的大容量旋梭及包含该旋梭的供油机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5175A (ja) * 1994-12-07 1996-06-18 Juki Corp ミシンの釜
JPH08309066A (ja) * 1995-05-22 1996-11-26 Juki Corp 右回り全回転垂直釜
JP2001246189A (ja) 2000-03-02 2001-09-11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ミシンの全回転垂直釜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56175C (de) * 1936-01-25 1938-01-31 Singer Mfg Co Doppelsteppstichnaehmaschine mit umlaufendem Greifer
US2352598A (en) * 1940-09-12 1944-07-04 Union Spfecial Machine Company Rotary hook for sewing machines
US2657658A (en) * 1951-08-28 1953-11-03 Singer Mfg Co Loop-taker for sewing machines
US2694373A (en) * 1952-06-18 1954-11-16 Union Special Machine Co Rotary hook assembly
US2941488A (en) * 1957-08-06 1960-06-21 Union Special Machine Co Rotary hook construction for sewing machines
US3074367A (en) * 1960-05-06 1963-01-22 Singer Mfg Co Rotary hook for sewing machines
US3120204A (en) * 1962-01-29 1964-02-04 Singer Co Rotary hook with thread and needle guard
US3465700A (en) * 1968-02-14 1969-09-09 Singer Co Loop takers for sewing machines
DE1911562B1 (de) * 1969-03-07 1970-01-15 Pfaff Ag G M Doppelsteppstich-Umlaufgreifer fuer Naehmaschinen
US3894499A (en) * 1974-07-05 1975-07-15 White Sewing Mach Bobbin thread guide means
US4397250A (en) * 1981-08-20 1983-08-09 The Singer Company Thread controlling arrangement for bobbin winding mechanism
DE3911134A1 (de) * 1989-04-06 1990-10-11 Kochs Adler Ag Umlaufender greifer fuer doppelsteppstich-naehmaschinen, in dem ein kernloser fadenwickel oder eine mit einem faden bewickelte spule einlagerbar ist
JPH06327873A (ja) 1993-05-26 1994-11-29 Hirose Mfg Co Ltd 本縫ミシンの内かま押え
JPH11244566A (ja) 1998-03-06 1999-09-14 Barudan Co Ltd 刺繍ミシンの釜
DE10025852A1 (de) * 2000-05-25 2001-11-29 Gerd Papajewski Öffnungsmechanismus für das Spulengehäuse einer Doppelsteppstichnähmaschine
JP2002177683A (ja) * 2000-12-15 2002-06-25 Akkusu Yamazaki:Kk ミシンの下糸準備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5175A (ja) * 1994-12-07 1996-06-18 Juki Corp ミシンの釜
JPH08309066A (ja) * 1995-05-22 1996-11-26 Juki Corp 右回り全回転垂直釜
JP2001246189A (ja) 2000-03-02 2001-09-11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ミシンの全回転垂直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10193A (zh) 2004-07-07
DE10360567A1 (de) 2004-07-29
HK1066035A1 (en) 2005-03-11
US6799527B2 (en) 2004-10-05
CN100535222C (zh) 2009-09-02
KR20040057931A (ko) 2004-07-02
JP2004201853A (ja) 2004-07-22
JP3965359B2 (ja) 2007-08-29
DE10360567B4 (de) 2013-06-06
US20040154505A1 (en) 2004-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37440B2 (ja) 横編機用編地引出し装置
EP0441564A2 (en) Movable sinker in flat knitting machine
US2866425A (en) Lockstitch sewing machines
JPH0257957B2 (ko)
KR101023530B1 (ko) 미싱 셔틀
US5769018A (en) Looper thread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a double chainstitch sewing machine
US6745712B1 (en) Fully rotatable shuttle
US8590467B2 (en) Construction of vertical full rotary hook for sewing machine
US4091753A (en) Bobbin thread pull-off for lockstitch looptaker
JPS6036313B2 (ja) 本縫いミシンのための自由回転ル−パ−
JP4189081B2 (ja) ミシンの垂直全回転釜。
JP3221605B2 (ja) 垂直全回転かま
JP2797740B2 (ja) ミシンの糸切断装置
US4316421A (en) Anti-haloing throat plate
JP2763621B2 (ja) オーバーロックミシンの針板
JPH0233752Y2 (ko)
JP3540363B2 (ja) ミシンの水平釜
JPH0268096A (ja) 本縫いミシンの全回転かま
US4266494A (en) Anti-haloing throat plate
KR20170040595A (ko)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체인형 락스티치 밑실공급장치
US4297957A (en) Anti-haloing throat plate
JP2972990B2 (ja) 模様縫ミシン
JPS631980Y2 (ko)
JPS6151915B2 (ko)
SU58958A1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к обувным прошивным машинам с двухниточным снежковым швом дл образовани напуска нит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