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3109B1 - 프린터용 카세트 - Google Patents

프린터용 카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3109B1
KR101013109B1 KR1020087016744A KR20087016744A KR101013109B1 KR 101013109 B1 KR101013109 B1 KR 101013109B1 KR 1020087016744 A KR1020087016744 A KR 1020087016744A KR 20087016744 A KR20087016744 A KR 20087016744A KR 101013109 B1 KR101013109 B1 KR 101013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paper
ink sheet
cassette
housing
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6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5912A (ko
Inventor
미노루 타나베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041768A external-priority patent/JP466940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050591A external-priority patent/JP4590360B2/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5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5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3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3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7/00Mechanisms for manipulating page-width impression-transfer material, e.g. carbon paper
    • B41J17/32Detachable carriers or holders f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3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feeding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10Cassettes, holders, bins, decks, trays, supports or magazines for sheets stack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10Cassettes, holders, bins, decks, trays, supports or magazines for sheets stack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65H2405/11Parts and details thereof

Landscapes

  • Impression-Transfer Materials And Handling Thereof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써멀 전사 프린터에 장착가능한 잉크 기록지 일체형 카세트(1)는, 기록지(13)를 배출하기 위한 개구(34)가 개재된 잉크 시트 권취부 하우징(21)와 잉크 시트 공급부 하우징(20)을 구성하는 케이싱(11)을 포함한다. 맞물림 유닛(35, 36)은 제 1 보빈(12a)의 축에 거의 수직인 케이싱(11)의 표면에 설치되어, 상기 카세트(1)가 프린터에 장착될 때 상기 카세트(1)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프린터의 맞물림부(56, 57)와 맞물린다.
카세트, 프린터, 잉크 시트, 기록지, 써멀 헤드

Description

프린터용 카세트{CASSETTE FOR A PRINTER}
본 발명은, 써멀 헤드(thermal head)를 이용해 잉크 시트에 도포된 잉크를 기록지에 전사해서 프린트하는 프린터용 카세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컴퓨터의 출력장치 및 디지털 영상의 출력장치로서의 프린터는, 기록 방식에 따라, 열전사식 프린터, 잉크젯 프린터, 레이저 프린터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열전사식 프린터는, 잉크 시트 및 기록지를 사용하여, 주 주사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발열체를 선택적으로 구동하고 잉크 시트와 기록지를 부 주사방향으로 반송함으로써, 기록지에 도트(dotted) 라인으로 인화를 행한다. 최근,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스캐너 등의 진보에 따라 화상 입력기기로서 열전사식 프린터에 대한 주목도가 높아지고 있다. 열전사식 프린터는, 정지 화상을 기록하는 디지털 카메라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의 촬상장치에 의해 촬상된 화상 정보를, 컴퓨터 또는 기록 매체를 이용해서 프린트하는데 적합하다.
잉크젯 프린터는, 2치의 프린팅, 즉 도트를 형성할 것인지 아닌지를 이용한다. 작은 도트를 기록지에 형성하고, 오차 확산 등의 수법으로 외관상의 해상도와 계조성을 제공한다. 반면, 열전사식 프린터는, 각 화소에 대하여 열의 값을 용이하 게 제어한다. 따라서, 각 화소는 넓은 계조성을 가질 수 있다. 그 때문에, 열전사식 프린터는, 잉크젯 프린터 등의 다른 프린터에 비해서 원활하게 고화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는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열전사식 프린터는, 써멀 헤드의 성능 및 기록지의 특성도 우수하기 때문에, 은염 카메라가 취득한 화상만큼 높은 완성 품위를 갖는 화상을 프린트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열전사식 프린터는 최근의 디지털 카메라의 진보와 동시에, 특히 자연 화상을 얻기 위한 프린터로서 주목받고 있다.
한층더, 촬상장치에 의해 촬상된 화상 정보를, 컴퓨터 또는 기록 매체를 사용하지 않고, 열전사식 프린터와 촬상장치를 직접 접속해 프린트하는 시스템도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 의하면, 촬상장치가 프린팅을 위한 파라미터들을 설정하기 때문에, 화상정보를 용이하게 프린트하는 것이 가능해져, 점점 열전사식 프린터에 대한 주목도가 높아지고 있다.
열전사 방식에서는, 풀 컬러(full-color) 인쇄를 행하는 경우에, 복수 색의 잉크를 반복해 기록지에 전사하다. 이하, 이 풀 컬러 인쇄를 행하기 위한 일반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종래의 열전사식 프린터의 제 1 예의 구성을 도 32a 및 32b에 나타낸다. 도 3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지 카세트(107)에 적재된 기록지 중 최상층의 기록지가 급지 롤러(108)와 분리유닛(109)에 의해 분리·공급되고, 써멀 헤드(104)와 플래튼 롤러(platen roller;105)와의 사이의 위치로 반송된다. 인쇄 동작은, 플래툰 롤러(105)의 주위에 기록지 P을 감고서 시작한다. 그 후에, 잉크 시트(106)와 기록 지 P을, 써멀 헤드(104)와 플래튼 롤러(105)로 누른다. 플래튼 롤러(105)는 기록지 P의 전체 길이보다 비교적 긴 외주를 갖는다. 써멀 헤드(104)의 발열에 의해 잉크 시트(106) 상에 인가된 잉크를 기록지 P위에 전사하면서, 플래튼 롤러(105)를 회전시킨다. 도 3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색을 인화한 후에 다음 색을 인화하기 위해서, 써멀 헤드(104)의 누르기를 해제하고, 플래튼 롤러(105)를 회전시켜서 인화 시작 위치까지 기록지 P을 운송하고, 제 1 색과 같은 방식으로 나머지 색을 연속해서 인화한다. 예를 들면, 옐로우·마젠타·시안의 3색으로 풀 컬러 인쇄를 행한다.
종래의 열전사식 프린터의 제 2 예의 구성을 도 33a 및 33b에 나타낸다. 도 3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지 카세트(201)에 적재된 기록지 P 중 최상층의 기록지는 급지 롤러(202)와 분리유닛(203)에 의해 분리·공급되고, 써멀 헤드(204)와 플래튼 롤러(205)와의 사이의 위치로 반송된다. 인쇄 동작은, 잉크 시트(206)와 기록지 P을 써멀 헤드(204)와 플래튼 롤러(205)로 눌러서 시작한다. 다음에, 써멀 헤드(204)의 발열에 의해 잉크 시트(206) 상에 인가된 잉크를 기록지 P위에 전사하면서, 인화방향 하류에 설치한 한 쌍의 롤러, 즉 캡스턴(capstan) 롤러(207)와 핀치 롤러(208)는 기록지 P을 반송한다. 도 3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색의 인화를 끝낸 후에 다음 색의 인화를 행한다. 써멀 헤드(204)의 누르기를 해제하고, 캡스턴 롤러(207)와 핀치 롤러(208)를 인쇄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인쇄 시작 위치까지 기록지 P을 되돌려 보내고, 제 1 색과 같은 방식으로 나머지 색을 순차적으로 인화한다. 옐로우·마젠타·시안의 3색으로 다시 풀 컬러 인쇄를 행한다.
도 32a, 32b, 33a, 33b에 나타낸 예들 중 하나에서, 용지 카세트 내의 기록지와 잉크 시트는 소모품이며, 사용에 따라, 교환·보급할 필요가 있다. 잉크 시트의 양단을 2개의 보빈 주위에 감고, 이 보빈과 잉크 시트를 프레임에 수용한 형태의 카트리지로 유저에게 잉크 시트를 공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도 32a의 110 또는 도 33a의 210). 카트리지는, 도 32a의 공간 110a 또는 도 33a의 공간 201a를 갖는다. 카트리지를 프린터에 삽입할 때, 프린터의 본체에 설치된 써멀 헤드 104 또는 204가 공간 110a 또는 201a에 수용되도록 카트리지가 안내되어 소정의 위치에 장착된다.
상술한 2개의 예는 일반적인 인쇄방식이다. 제 1 예는 기록지 P의 전체 길이보다 비교적 긴 외주를 갖는 플래튼 롤러가 필요하기 때문에 프린터가 대형화한다고 하는 문제점과, (도 32a 및 32b에는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프린터가 플래튼 롤러 주위에 기록지를 감아서 기록지를 홀딩하는 기구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프린터의 구성이 복잡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제 1 예는, 제 1 색의 인쇄 종료 위치 후방에 제 2 색의 인쇄 시작부가 직접 설치되어 있어, 제 2 예와 같이 기록지를 되돌려 보내는데 걸리는 시간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인쇄 시간의 고속화를 꾀할 수 있다고 하는 장점이 있다. 반대로, 제 2 예는 인쇄 시간이 증가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지만, 프린터의 소형화·간소화를 꾀하기 쉽다고 하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열전사식의 프린터는 양호한 프린트를 실현하기 위해서 잉크가 전사되기 쉬운 표면을 가진 열전사 프린팅을 위한 전용지를 기록지로서 사용한다. 그 때문에, 기록지 50장의 잉크 시트가 수납된 잉크 카트리지와 50장의 기록지를 세트 로 판매하고 있었다. 유저는 세트 판매된 기록지와 잉크 카트리지의 포장을 풀고, 잉크 카트리지를 본체에 장전하고, 기록지를 용지 카세트에 장전해서 프린터를 사용해야만 한다고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열전사 프린터의 경우, 도 34에 나타낸 바와 같은 크기의 기록지에 따라 각각 다른 잉크 시트를 준비하는 편이 잉크 시트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6 사이즈의 기록지와 A6 사이즈용의 잉크 시트가 수납된 잉크 카트리지를 한 세트의 제품으로, A7 사이즈의 기록지와 A7 사이즈용의 잉크 시트가 수납된 잉크 카트리지를 한 세트의 제품으로 판매한다. 유저는 각각의 용도에 맞춰서 세트 제품을 구입한다. A6 사이즈의 프린트를 행한 후에 A7 사이즈의 프린트를 행하기 위해서, A6 사이즈의 기록지와 A6 사이즈용의 잉크 시트를 수납한 잉크 카트리지를 떼어내고, A7 사이즈의 기록지와 A7 사이즈용의 잉크 시트를 수납한 잉크 카트리지도 장전해야 한다. 이때, 떼어낸 A6 사이즈의 기록지와 A6 사이즈용의 잉크 시트를 수납한 잉크 카트리지는 뒤에 다시 사용될 때까지 보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잉크 카트리지와 기록지가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기록지와 잉크 카트리지가 먼지 및 직사 광선에 노출되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보관 가방 등에 넣어서 보관해야만 한다고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해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2-81660, 및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0-108442에 개시된 바와 같이, 잉크 시트와 기록지가 일체형으로 설치된 카트리지도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2-81660에 개시된 바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와 용지 카세트를 일체화하고 있다. 그렇지만, 잉크 시트가 카트리지에 수납된 상태에서 인쇄 동작을 행할 수 없다. 따라서, 인쇄 동작을 행하기 위해서는, 잉크 시트를 카트리지로부터 추출해서 잉크 시트를 인쇄 위치까지 가져오는 기구가 필요하다. 이 도입되고 있는 기구에 의해 프린터의 복잡성이 증가하고, 신뢰성이 저하한다. 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2-81660에 개시된 구성의 문제점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0-108442에 개시된 구성에 의해 해결된다. 이 구성은, 일체형 카트리지를 장착한 후, 잉크 시트를 인쇄 위치까지 가져올 필요 없이 인쇄 동작을 행한다. 그 때문에, 잉크 시트와 기록지를 각각 공급하는 번거로움이나, 서로 다른 사이즈의 기록지를 공급할 때에 떼어낸 잉크 시트와 기록지를 각각 보관하는 번거로움을 유저에게 느끼게 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사진인쇄를 제 1 목적으로 할 경우, 사용하는 용지는 그 보존성, 내구성, 및 인화품질을 확보하기 위해서 소정의 두께를 필요로 한다. 그 때문에, 인쇄를 위한 반송시에 극단적으로 시트가 굴곡 등 하면, 인화면에 손상 또는 구김 등이 발생해 버린다. 또한, 예를 들면, 폴(pawl)로의 분리에 의해 카세트로부터 두꺼운 기록지를 분리시키는 경우에, 기록지를 굴곡시키는 충분한 공간이 없으면, 용지의 분리의 신뢰성이 낮아져 버린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108442호에서는, 용지의 반송경로를 카세트로 형성하고 있다. 카세트의 외형은, 용지에의 데미지를 방지하고, 또 용지 반송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용지의 극단적인 굴곡이 발생하지 않도록 비교적 큰 반경을 가진 굴곡된 부분을 갖는다. 그러나, 이 반송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카세트의 굴곡된 부분의 내측은 쓸모없는 공간이 되어 버린다. 또한, 반송경로의 굴곡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는 카세트의 두께도 어느 정도 이상 필요하기 때문에, 소형화에는 한계가 있다. 결국, 기록지의 수납은 잉크 시트에 필요한 것보다 큰 공간을 필요로 해, 프린터 본체의 대형화도 초래해 버린다.
본 발명은, 이들 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유용성(usability)이 높은 소형의 프린터용 잉크 기록지 일체형 카세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전사형 프린트 방식의 하나인 승화형 프린트에서는, 인화시에, 잉크 시트와 기록지를 함께 개재하여, 플래튼 롤러와 써멀 헤드를 누르는 것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인화시에 잉크 시트를 강하게 끌어당기면서, 들어올린다. 이때, 기록지 잉크 시트 카세트는, 일부 잉크 시트 반송경로의 근방에서 잉크 시트와 접하기 때문에, 카세트는 잉크 시트에 의한 텐션(tension)을 받아, 강성이 불충분하면 굴곡 또는 변형된다. 따라서, 잉크 시트의 반송을 불안정하게 하는 경우가 있다.
제조상의 제약 등에 의해, 잉크 기록지 일체형 카세트는, 기록지 하우징측과 잉크 시트 하우징측의 2개의 케이싱, 또는 2개 이상의 케이싱으로 구성되는 것이 많다. 그렇지만, 카세트가 기록지 배출 기능을 수반하기 때문에, 복수의 개구가 필요하게 되어, 케이싱의 강성을 떨어뜨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제조 공정을 고려하여, 2개의 프레임의 결합은, 수지재의 탄성 변형을 이용한 폴(pawl) 또는 클립과 구멍을 이용한 것이면 이 2개의 프레임은 쉽게 결합된다. 그렇지만, 카세트 전체의 필요한 강성을 유지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유용성이 높은 소형의 프린터용 잉크 기록지 일체형 카세트를 제 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쇄시의 카세트의 강성을 유지하고, 하중에 의한 변형을 막는 것이 가능한 프린터용 카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 중 적어도 1개를 해결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의 국면에 의하면, 써멀 헤드에 의해 잉크 시트에 도포된 잉크를 기록지에 전사해서 프린트하는 프린터용 카세트는, 1장 이상의 기록지를 수납하는 기록지 하우징과, 상기 기록지 하우징의 표면에 설치되고, 제 1 잉크 시트 하우징과 제 2 잉크 시트 하우징을 규정하는 케이싱 - 상기 제 1 잉크 시트 하우징이 잉크 시트(12)가 감겨 있는 제 1 보빈을 수납하고, 상기 제 2 잉크 시트 하우징이 상기 제 1 잉크 시트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된 잉크 시트를 권취하는 제 2 보빈을 수납하며 - 과, 상기 제 1 및 제 2 잉크 시트 하우징 사이의 상기 기록지 하우징에 설치된 개구와, 프린터의 맞물림부와 맞물리는 맞물림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록지 하우징은 상기 제 1 및 제 2 잉크 시트 하우징에 관하여 상기 제 1 보빈의 축을 따라 돌출하고, 상기 맞물림 수단은 상기 케이싱의 표면에 설치되며, 상기 표면은, 상기 제 1 보빈의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하며, 상기 표면은 상기 기록지 하우징이 돌출한 측에 위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2의 국면에 의하면, 써멀 헤드에 의해 잉크 시트에 도포된 잉크를 기록지에 전사해서 프린트하는 프린터용 카세트로서, 1장 이상의 기록지를 수납하는 동시에 개구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고, 잉크 시트가 감겨 있는 제 1 보빈을 지지하는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1 보빈으로부터 인출된 상기 잉크 시트를 권취하는 제 2 보빈을 지지하는 제 2 지지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카세트가 프린터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프린터에 설치된 대응하는 위치결정부와 맞물리는 위치결정 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특징으로 하는 것은, 이하에 이어지는 실시 예 및 도면의 설명으로부터 밝혀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잉크 기록지 일체형 카세트를 나타내는 사시도다.
도 2는 잉크 기록지 일체형 카세트를 나타내는 단면도다.
도 3은 잉크 기록지 일체형 카세트의 설명도다.
도 4a 및 4b는 잉크 기록지 일체형 카세트의 조립방법을 각각 나타내는 설명도다.
도 5는 잉크 기록지 일체형 카세트의 조립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다.
도 6은 잉크 기록지 일체형 카세트의 조립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다.
도 7은 잉크 기록지 일체형 카세트를 사용하는 프린터를 나타내는 설명도다.
도 8은 잉크 기록지 일체형 카세트를 사용하는 프린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잉크 기록지 일체형 카세트를 사용하는 프린터의 써멀 헤드 유닛(45)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포토 리플렉터(53)의 장착 상태의 단면도다.
도 11은 써멀 헤드 유닛(45)에 대하여 카세트(1)를 장전하는 것을 나타낸 도 면이다.
도 12는 써멀 헤드 유닛(45)에 대하여 카세트(1)를 장전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써멀 헤드 유닛(45)에 대하여 카세트(1)가 프린터(40)에 완전하게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써멀 헤드 유닛(45)에 대하여 카세트(1)가 프린터(40)에 완전하게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a 내지 15c는 기록지의 사이즈가 각각 다른 3종류의 잉크 기록지 일체형 카세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a 내지 16c는 기록지의 사이즈가 각각 다른 3종류의 잉크 기록지 일체형 카세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카세트(1)가 프린터(40)에 장전되고, 기록지(13)와 보호 시트를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프린터(4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바이어스 부재(50), 카세트(1), 및 기록지(13)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다.
도 19a 내지 19c는 바이어스 부재(50)를 채용했을 경우의 분리 폴과 기록지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a 및 20b는 바이어스 부재(50)를 채용하지 않은 경우의 분리 폴과 기록지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프린터(40)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22는 프린터(40)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23은 프린터(40)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24는 프린터(40)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25는 프린터(40)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26은 프린터(40)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27은 프린터(40)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28a 및 28b는 기록지(13)의 유무의 검출방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29는 기록지(13)의 유무의 검출방법을 설명한 사시도다.
도 30은 잉크 시트(12)의 반송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31은 잉크 시트(12)의 반송을 설명한 좀더 상세한 도면이다.
도 32a 및 32b는 종래의 열전사식 프린터의 제 1 예시적인 구성을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a 및 33b는 종래의 열전사식 프린터의 제 2 예시적인 구성을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는 잉크 시트의 전개도다.
(제 1의 실시 예)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잉크 기록지 일체형 카세트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잉크 기록지 일체형 카세트(1)를 나타 내는 개략도이다. 카세트(1)는 주로 기록지를 수납하는 상부 케이스(10)와, 잉크 시트를 수납하는 하부 케이스(11)를 포함한다. 하부 케이스(11)는 상부 케이스(10)와 맞물릴 때 잉크 시트 하우징을 형성한다. 공급부 하우징(20)은 인쇄 전의 잉크 시트를 수납하고, 권취부 하우징(21)은 인쇄 후의 잉크 시트를 권취한다.
배출구(30)는 기록지를 한 장씩 배출한다. 이 배출구(30)는 공급부 하우징(20)에 인접하고, 기록지 하우징의 단부에 기록지의 길이 방향 전역에 걸쳐서 배치된 대략 직사각형의 개구이다. 배출구(30)의 모퉁이에는 기록지를 한 장씩 분리하기 위한 분리 폴 31 및 32가 배치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10)와 하부 케이스(11)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을 사출 성형한 것이며, 그것에 의해 비용을 절감하고 있다.
도 2는 잉크 시트를 권취하기 위한 축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본 단면도다.
도 2에 나타낸 잉크 시트(12)는 스트라이프 형상이다. 잉크 시트(12)의 선단은, 제 1 보빈(12a)에, 다른 쪽의 선단은 권취용의 제 2 보빈(12b)에, 접착 등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잉크 시트(12)는 제 1 보빈(12a) 주위에 감겨 있다. 이 잉크 시트(12)와 제 1 및 제 2 보빈(12a, 12b)은 상부 케이스(10)와 하부 케이스(11)와의 사이에 형성된 잉크 시트 하우징에 수납되어 있다. 제 1 보빈(12a)은 공급부 하우징(20)에 수납되어 있고, 제 2 보빈(12b)은 권취부 하우징(21)에 수납되어 있다. 제 1 보빈(12a)은, 상부 케이스(10) 및 하부 케이스(11)에 의해 형성된 카세트 케이싱의 공급부 하우징(20)의 2개의 단면에 의해 지지된다. 제 2 보빈(12b)은, 카세트 케이싱의 권취부 하우징(21)의 2개의 단면에 의해 지지된다.
기록지(13)는 상부 케이스(10)의 기록지 하우징(22)에 수납된다. 기록지 하우징(22)에는 잉크 시트 하우징에 수납되어 있는 잉크 시트(12)를 이용해 인쇄가능한 매수의 기록지가 겹쳐 수납되어 있다. 예를 들면, 50장의 기록지(13)를 인쇄할 수 있는 잉크 시트(12)가 수납되어 있으면, 50장의 기록지(13)가 수납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50장의 기록지(13)의 인쇄가 끝나면, 기록지(13)와 잉크 시트(12)를 동시에 다 써버린다. 따라서, 기록지(13)와 잉크 시트(12) 중 어느 한쪽만을 먼저 다 써버리는 일은 없다. 그 때문에, 기록지(13)와 잉크 시트(12) 중 어느 한쪽만을 보충 또는 교환하는 일도 없다. 기록지와 잉크 시트를 동시에 다 사용했기 때문에, 유저는 다 사용한 카셋트(1)를 교환하면 되므로, 교환이 쉬워진다.
상부 개구(200)는, 기록지(13)와 보호 시트(14)를 기록지 하우징(22)에 넣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인쇄 동작을 행할 때는, 이 상부 개구(200)를 통해서 기록지(13)를 급지 롤러(도 9에서 48)쪽으로 가압한다.
보호 시트(14)는 기록지(13)가 더럽혀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이 보호 시트(14)의 외형은 기록지(13)와 거의 동일한 외형이다. 이 보호 시트(14)는 기록지(13)의 최상부에 겹쳐진 상태로 기록지 하우징(22)에 수납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잉크 시트(12)와 기록지(13)와의 사이에는 공간(33)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공간(33)은 본 카세트(1)가 프린터(40)에 장전되었을 때에 (후술하는) 써멀 헤드 유닛(45)이 위치하는 공간이다. 공급부 하우징(20)과 권취부 하우징(21)의 중간의 상부 케이스(10)에는 개구(34)가 설치된다. 이 개구(34)는 기록지 하우징(22)의 길이 방향의 전역에 걸쳐 있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0)의 측면에 설치된 측면 개구(34a)와 연결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제 1 끼워맞춤 구멍(35)은, 잉크 시트 공급부 하우징(20)을 형성하는 케이싱의 카세트 삽입 방향측의 단면, 즉, 카세트 케이싱의 제 1 보빈(12a)을 지지하기 위한 카세트 삽입 방향측의 면에 설치된다. 제 2 끼워맞춤 구멍(36)은 권취부 하우징(21)을 형성하는 케이싱의 카세트 삽입 방향측의 단면, 즉, 카세트 케이싱의 제 2 보빈(12b)을 지지하기 위한 카세트 삽입 방향측의 면에 설치된다. 이 제 1 및 제 2 끼워맞춤 구멍(35 및 36)은 카세트(1)가 프린터(40)에 장전되었을 때에 프린터(40)의 본체측에 설치된 끼워맞춤 축 56 및 57(후술)과 끼워 맞춰진다. 이 끼워맞춤에 의해, 잉크 시트(12)를 권취하기 위한 축 근방의 상부 및 하부 케이스(10, 11)의 변형을 방지하여, 잉크 시트(12)의 전달 및 권취의 안정화를 꾀할 수 있다.
카세트 판별 돌기(37)는 카세트의 종류에 따라 형상이 다르다. 카세트 판별 돌기(37)의 형상은 기록지의 사이즈 혹은 잉크 시트(12)의 타입에 대응하여 변화한다. 프린터(40)의 본체는 카세트(1)를 판별해서 기록지(13)의 사이즈 혹은 잉크 시트(12)의 타입에 따라 기록지(13)의 반송 및 인쇄 제어를 행한다.
도 15a 내지 15c와 도 16a 내지 16c를 참조하여 카세트(1)의 종류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5a 내지 15c 및 도 16a 내지 16c는 기록지(13)의 사이즈가 다른 3종류의 카세트를 나타낸 것이며, 특히 순차적으로 포스트카드 사이즈, L 사이즈, 크레딧 카드 사이즈의 기록지(13)용 카세트(1)를 나타내고 있다. 도 16a 내지 16c는 배출구(30)로부터 본, 공급부 하우징(20)의 단면도다. 도 15a 내지 15c 및 도 16a 내지 16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잉크 시트(12)를 권취하기 위한 축과 직교하는 방향에서는, 상부 케이스(10)의 기록지 하우징(22)은 하부 케이스(11)의 잉크 시트 하우징과 동일한 치수를 갖는다. 또한, 기록지(13)의 사이즈에 따라, 기록지 하우징(22)의 치수는 잉크 시트(12)를 권취하기 위한 축의 방향으로 변화한다. 그러나, 잉크 시트(12)를 권취하기 위한 축의 방향에 있어서의 잉크 시트 하우징의 치수는, 기록지(13)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동일하다. 또, 도 16a 내지 16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잉크 시트(12)의 폭은 각 기록지(13)의 사이즈에 따라 변화하지만, 잉크 시트(12)를 권취하기 위한 축의 길이는 기록지(13)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같다. 또한, 상술한 제 1 및 제 2 끼워맞춤 구멍(35, 36)은 잉크 시트 하우징의 단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 카세트 판별 돌기(37)도 하나의 잉크 시트 하우징의 단면에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도 3, 도 4a, 4b,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잉크 기록지 일체형 카세트(1)의 조립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0)의 기록지 하우징(22)을 아래에 배치한 상태로, 잉크 시트(12)의 제 1 보빈(12a)과 제 2 보빈(12b)을 각각, 상부 케이스(10)의 반원 형상의 커트(cut)부 10b와 U자형의 커트부 10c에 배치하여, 잉크 시트(12)를 수납한다. 그리고, 위로부터 하부 케이스(11)를 상부 케이스(10)에 조립한다. 상부 케이스(10)의 폴(pawl) 10a는 하부 케이스(11)의 구멍 11b와 맞물리고, 하부 케이스(11)의 폴 11a는 상부 케이스(10)의 구멍 10d와 맞물림으로써, 상부 케이스(10)가 하부 케이스(11)와 맞물린다.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지만, 도 3의 후방에 있어서도 같은 폴과 구멍이 배치되어 있어, 하부 케이스(11)의 주요한 부분은 상부 케이스(10)에 고정되게 된다. 폴 또는 구멍 그외의 소자들을 이용하는 캐치 및 리테이닝 수단을 대신 사용해도 된다. 한층 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잉크 기록지 일체형 카세트(1)에서는, 상부 케이스(10)에 설치된 용착축(80)과 하부 케이스(11)에 설치된 용착구멍(81)을 열 용착에 의해 결합하고 있다. 상부 및 하부 케이스(10, 11)를 열 코킹에 의해 결합시키지만, 초음파 코깅에 의해 결합해도 된다. 또한, 상부 및 하부 케이스(10, 11)가 확실히 고정되는 것이라면 나사 고정에 의하여 상부 및 하부 케이스(10, 11)를 결합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축과 구멍을 이용한 코깅에 의해 상부 및 하부 케이스(10, 11)가 결합되지만, 상부 및 하부 케이스(10, 11)가 확실히 고정되는 것이라면, 이 결합에 대해서는, 어떤 용착이나 고정 방법이든 이용해도 된다.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서 상술한 결합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4a는 잉크 시트(12)와 하부 케이스(11)가 상부 케이스(10)(이들 구성요소들은 도 3에 나타나 있다.)에 조립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그 상태에서, 상부 케이스(10)의 용착 축(80)은 하부 케이스(11)의 용착 구멍(81)을 관통한다. 이 상태에서, 용착 공구의 단자(82)가 용착 축(80)의 선단을 소정의 압력으로 눌러서 용착 축(80)의 선단을 변형시킨다. 그러면,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착축(80)의 부분 80a의 외경은 용착 구멍(81)의 직경보다 커진다. 또한, 부분 80a가 도면에서 위쪽으로부터 하부 케이스(11)에 밀착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확실하게 고정해서 결합되게 된다.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착 공구의 단자(82)의 선단 형상은 함몰된 곡선(즉, 오목 형상)으로 되어 있고, 용착 축(80)의 변형 후의 부분 80a의 형상은 볼록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렇지만, 단자(82)의 선단은 평면이며, 용착 축(80)은 평면 모양으로 변형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동일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단자(82)는 히터를 구비하여 열을 발생시키거나, 초음파의 진동에 의해 열을 발생시킨다. 어떤 경우든, 용착 축(80)의 선단은 점차 가늘어지고 있어(원추형으로 되어 있어), 원추형의 선단에서 변형을 일으키기 쉽다.
다음에, 도 5를 참조하여 기록지(13)와 보호 시트(14)의 조립에 관하여 설명한다. 잉크 시트(12), 하부 케이스(11) 및 상부 케이스(10)를 함께 조립한 후, 50장의 기록지(13)와 1장의 보호 시트(14)를 중첩하고, 중첩된 시트를, 상부 케이스(10)에 대하여 상면 개구(200)로부터 모퉁이에 설치된 2개의 누름부재(10e)의 배면쪽으로 경사지게 설치한다. 이때, 배출구(30)의 코너부에는 2개의 분리 폴 31 및 32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록지(13)가 배출구(30)로부터 떨어지는 일은 없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지(13) 및 보호 시트(14)가 상부 케이스(10)에 장전된 후, 누름부재 15 및 16을, 누름부재(10e)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나머지 2개의 코너부에 부착한다. 따라서, 기록지(13)의 4개의 코너부를 유지하고, 기록지(13)가 떨어지지 않게 기록지 하우징(22) 내에 수납된다. 누름부재 15 및 16은 수지 등의 탄력있는 재료로 형성되고 있고, 각각 탄성 변형을 이용하는 폴에 의해 상부 케이스(10)에 부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잉크 기록지 일체형 카세트는 주로 상부 케이스(10)와 하부 케이스(11)의 2개 부품을 포함하여 기록지와 잉크 시트를 수납하고, 그 외의 많은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아, 카세트(1)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다음에, 도 7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잉크 기록지 일체형 카세트를 사용하는 프린터(40)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측면에 설치된 도어(41)가 열려 있고, 카세트 삽입구(42)가 노출되어 있는 상태의 프린터(40)의 본체를 나타낸다. 카세트 삽입구(42)는 카세트(1)의 단면 형상과 거의 같은 형상을 갖지만, 그것의 사이즈는 카세트(1)의 단면보다 약간 크다. 카세트 삽입구(42)를 통해서 써멀 헤드 유닛(45)의 단부가 노출된다. 도 8은, 카세트 삽입구(42) 내에 카세트(1)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카세트(1)가 프린터(40)의 본체 내에 완전히 삽입되면, 카세트(1)의 개구(17)를 통해서 써멀 헤드 유닛(45)의 선단이 일부 노출되고, 써멀 헤드 유닛(45)의 선단에 있는 축 46은 카세트(1)로부터 소정량 돌출한다. 이 상태에서, 도어(41)를 닫으면, 맞물림 구멍(41a)에 도어(41)의 내면에 설치된 축(46)이 끼워지고, 써멀 헤드 유닛(45)의 선단의 위치가 규제됨으로써, 프린터(40)는 사용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잉크 기록지 일체형 카세트(1)를 사용하는 프린터(40)의 써멀 헤드 유닛(45)을 나타낸다.
써멀 헤드(47)는, 프린터(40)의 본체 내에 설치된 인쇄 제어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급지 롤러(48)는, 축 48a를 갖는다. 이 축 48a의 양단은 급지 롤러(48)가 써멀 헤드 유닛(45)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축 48a의 일단에는 기어(49)가 축 48a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장착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연동된 기어에 의해 급지 롤러(48)를 구동하여 회전시킨다.
바이어스 부재(50)는 카세트 내의 기록지를 도면에 있어서 우측 방향으로 바이어스한다. 바이어스 부재(50)는, 축 48a에 끼워지는 접촉면(50a)(도 18에 도시)과, 헤드 프레임(55)에 고정된 레일(51)에 의해 카세트의 삽입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되는 그 외의 단부를 갖는다. 바이어스 부재(50)는 스프링(52) 등으 바이어스 수단(52)로 인해 카세트 삽입 역방향으로 바이어스된다.
포토 리플렉터(53)는 카세트 내의 기록지(13)의 유무를 검출한다. 포토 리플렉터(53)는 (도 10에 나타낸) 홀더(54)에 의해 써멀 헤드 유닛(45)에 부착되어 있다. 도 10은 포토 리플렉터(53)가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포토 리플렉터(53)의 투광 및 수광부는 위를 향하도록 써멀 헤드 유닛(45)에 부착되어 있고, 그 위에서 홀더(54)를 배치한다.
제 1 및 제 2 끼워맞움 축(56과 57)(도 9에 나타냄)은 카세트(1)가 프린터(40)의 본체에 장전되었을 때에 카세트(1)의 변형을 방지한다. 카세트(1)가 장전되면, 제 1 및 제 2 끼워맞춤 축(56, 57)을 제 1 및 제 2 끼워맞춤 구멍(35과 36)에 끼워 맞춰, 프린터(40)의 본체 내에서 카세트(1)의 위치를 규제한다.
카세트 판별 스위치(58)는 카세트(1)의 종류를 판별하기 위한 것이다. 카세트(1)가 프린터(40)의 본체에 장전되면, 카세트 판별 스위치(58)는 카세트(1)에 설치된 돌기의 형상에 따라 카세트(1)의 종류를 판별한다. 그 외의 판별수단, 예를 들면, 광학 또는 자기 메모리 또는 칩, 및 프린터에 장착된 리더를 이용할 수도 있다.
감아올림 축(59)은 카세트(1)가 프린터(40)의 본체에 장전되었을 때에 제 2 보빈(12b)과 맞물려, 인쇄시에 잉크 시트(12)를 권취한다. 감아올림 축(59)은 기어 59a 및 59b에 연결되어, 인쇄 동작시에 소정의 속도로 회전한다. 구동축(60)은 잉크 시트 시트(12)가 권취될 때에 회전한다. 예를 들면, 구동축(6)은 잉크 시트(12)의 회전 동작을 검출하고, 확실하게 잉크 시트(12)가 공급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써멀 헤드 유닛(45)은 프린터(40)의 본체 내에 설치되어 있다. 현재, 그 써멀 헤드 유닛(45)에 대하여 카세트(1)를 장전하는 스텝을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카세트(1)는, 도 11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프린터(40)에 삽입되어, 프린터(40)에 해제가능하게 장전된다. 그때, 써멀 헤드 유닛(45)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잉크 시트 공급부 하우징(20)과 잉크 시트 권취부 하우징(21)과의 사이에서 노출되어 있는 잉크 시트(12)와 기록지(13)와의 사이에 설치된 공간(33)에 설치되게 된다.
도 12는 카세트(1)의 배면에서 본 장착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써멀 헤드 유닛(45)은 잉크 시트(12)보다 상측, 기록지(13)보다 하측에 있는 공간(33)에 설치되어 있다. 도 13은 카세트(1)가 완전하게 장전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4는 장전된 상태의 상세를 나타낸 단면도다. 도 13 및 도 14에 있어서, 제 1 끼워맞춤 축(56)은 제 1 끼워맞춤 구멍(35)에 끼워 맞춰지고, 제 2 끼워맞춤 축(57)은 제 2 끼워맞춤 구멍(36)에 끼워 맞춰진다. 또, 감아올림 축(59)은, 제 2 보빈(12b)에 끼워 맞춰지고, 구동축(60)은 제 1 보빈(12a)에 끼워 맞춰진다. 한층 더, 카세트 판별 스위치(58)를 카세트 판별 돌기(37)로 누른다.
제 1 및 제 2 끼워맞춤 구멍(35, 36) 및 카세트 판별 돌기(37)는, 기록지(13)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소정의 치수를 갖는 잉크 시트 하우징의 단면에 설치된다. 그 때문에, 프린터(40)의 본체측에 제 1 및 제 2 끼워맞춤 축(56, 57) 및 카세트 판별 스위치(58)를 복수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제 1 보빈(12a) 및 제 2 보빈(12b)의 전체 길이도 동일하기 때문에, 감아올림 축(59) 및 구동축(60)의 전체 길이와 위치 등을 가변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카세트(1)가 다양한 기록지(13)의 사이즈를 갖거나, 또는 다양한 잉크 시트(12)의 사이즈를 갖더라도, 카세트(1)는 표준화된 외형의 잉크 시트 하우징을 갖고, 제 1 및 제 2 끼워맞춤 구멍(35, 36)과 카세트 판별 돌기(37)를 잉크 시트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한다. 한층 더, 제 1 보빈(12a) 및 제 2 보빈(12b)의 전체 길이도 동일하다. 따라서, 프린터(40)의 본체 내부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도 17은 카세트(1)가 프린터(40)에 완전하게 장전된 상태를 나타내고, 쉽게 이해하기 위해 기록지(13)와 보호 시트(14)를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0)의 개구(34) 내에 급지 롤러(48) 및 포토 리플렉터(53)가 위치하고 있다. 또, 바이어스 부재(50)는 측면 개구(34a)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18은 바이어스 부재(50), 카세트(1), 및 기록지(13)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다. 도 18에 있어서, 바이어스 부재(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바이어스 수단(52)에 의해 도면에서 우측 방향으로 바이어스된다. 접촉면(50a)은 측면 개구(34a)로부터 상부 케이스(10)의 내부쪽으로 돌출하고, 기록지(13)의 에지와 접촉하고 있다. 이때, 상부 케이스(10)의 외측 측면과 기록지(13)와의 사이에 간극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록지(13)가 확실하게 도면 중의 우측 방향으로, 즉, 카세트 삽입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한쪽으로 이동해 간다. 바이어스 부재(50)에 설치된 경사면(50b)은, 기록지(13)가 누름판(75)에 의해 눌러지고 도면 중의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해 갈 때에, 기록지(13)를 걸림 없이 접촉면(50a)으로 안내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접촉(50a)측의 기록지(13)가 한 장씩 급지된다.
도 20a 및 20b는 바이어스 부재(50)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의 분리 폴과 기록지와의 관계를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간략화한 도면이다. 도 20a에 있어서, 참조번호 100은 상부 케이스이며, 101 및 102는 각각 분리 폴이다. 기록지(103)는, 배출 방향의 선단 코너부에 있는 분리 폴 101 및 102에 걸려 있다. 일반적으로, 기록지는 기록지를 재단 가공할 때 오차가 생기기 때문에 길이와 폭에 대해 공차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이, 상부 케이스(100)의 기록지 하우징의 내측 치수 L1은 공차 상한(Lmax)의 길이를 갖는 기록지에 대하여도 간극을 가질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기록지가 공차 하한의 길이 L을 갖는 경우에는, 간극이 커져 버린다. 도 20b는 상부 케이스(100) 내에서 도면의 오른쪽으로 이동한 공차 하한(Lmin)의 길이 L을 갖는 기록지의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 기록지(103)의 우측의 분리 폴(101)에의 걸림량 X1은, 기록지(103)의 좌측의 분리 폴(102)에의 걸림량 X2과는 크게 달라진다. 예를 들면, 도 20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길이 L의 공차가 ±0.5mm일 때, 공차상한(Lmax)을 갖는 기록지와 공차 하한(Lmin)을 갖는 기록지의 차는 1.0mm이다. 한층 더, 상부 케이스(100)의 내측 치수 L1에 대하여 기록지의 각 측에 0.1mm의 간극을 둔 경우, 공차 하한(Lmin)을 갖는 기록지의 경우에는 간극이 1.2mm이 된 다. 따라서, 분리 폴 101 및 102에의 걸림량 X1 및 X2의 차는 1.2mm이 된다.
기록지의 분리 폴에의 걸림량이 이 걸림량의 차를 무시할 수 있는 정도로 크면, 그 차는 심각한 문제가 아니다. 그렇지만, 사진을 인쇄할 수 있는 크기 및 종이 품질의 기록지를 사용할 경우, 분리 구동의 부하, 기록지에의 데미지를 생각하면 그것 정도의 큰 분리 폴을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1.2mm의 차를 무시할 수 있는 크기의 큰 분리 폴을 사용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러한 분리 폴을 사용하면, 기록지가 폴 분리 동작을 행할 때에 분리 타이밍의 차가 커져, 최악의 경우, 기록지를 분리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긴다.
이하, 도 19a, 19b, 및 19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이어스 부재(50)에 적용한 카세트(1)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 이들 도면을 간략화한다. 도 19a, 19b, 및 19c는 카세트(1)의 배출구(30)측에서 본 도면이며, 기록지(13)와 분리 폴 31, 32 간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9a는 기록지의 길이 L이 공차 상한(Lmax)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기록지 하우징(22)의 치수 L1은 기록지(13)의 길이 L이 공차 상한인 경우에도 기록지(13)를 충분히 수납하도록 넓게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기록지(13)가 공차 상한의 길이 L을 갖는 경우에, 도 1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측에 0.2mm의 간극을 갖도록 치수 L1이 설정되어 있다.
도 19b는 기록지(13)의 길이 L이 호칭 치수과 같은 경우를 나타낸다. 도 19c는 기록지(13)의 길이 L이 공차 하한(Lmin)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 19a 내지 19c의 어느 쪽이든, 왼쪽 방향은 카세트의 장전 방향이며, 오른쪽 방향은 카세트의 제거 방향이다. 따라서, 바이어스 부재(50)는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기록지(13)를 기울게 하여, 기록지(13)가 상부 케이스(10)의 오른쪽의 내벽과 접촉하고 있다.
분리 폴 31 및 32의 크기는, 도 1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지(13)의 길이 L이 호칭 치수일 때에, 분리 폴 31 및 32과 기록지(13)의 걸림량 X1 및 X2이 같아지도록, 분리 폴 31이 분리 폴 32보다 더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렇게 분리 폴 31, 32의 크기를 설정하면, 기록지(13)는 바이어스 부재(50)에 의해 분리 폴 32 쪽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길이 L이 공차 범위 내에서 변동했을 때의 걸림량 X1, X2 간의 차는 길이 L의 공차 이하가 된다.
도 1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지(13)의 길이 L이 공차 상한(Lmax)인 경우, 분리 폴 31에의 걸림량 X2max가 분리 폴 32에의 걸림량 X1보다 기록지(13)의 길이 L의 공차분만큼 크다. 예를 들면, 길이의 공차가 ±0.5mm이면, 걸림량 X2max는 걸림량 X1보다 0.5mm만큼 크다.
한편, 길이 L이 공차하한(Lmin)인 경우에는, 분리 폴 32에의 걸림량 X1보다, 분리 폴 31에의 걸림량 X2min이 기록지(13)의 길이 L의 공차분만큼 작다. 따라서, 걸림량 X2min은 걸림량 X1보다 0.5mm만큼 작다.
따라서, 바이어스 부재(50)를 채용하지 않는 경우에, 분리 폴에의 걸림량의 차가 좌우측에서 12m가 된다. 그렇지만, 바이어스 부재(50)를 카세트(1)에 채용한 경우에는, 기록지(13)의 치수 공차에 대응하는 0.5mm로 걸림량의 차를 제한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좌우의 분리 폴의 걸림량의 차를 최소한으로 누를 수 있고, 기록지(13)를 분리할 때에 분리 타이밍 간의 차를 저감하여, 분리할 수 없는 등의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설명한 카세트(1)의 치수의 수치에 관해서는, 단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이며, 이 값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 유념한다. 이 치수에 관해서는, 카세트를 장착하는 프린터에 따라 설정하면 된다.
다음에, 도 21∼27을 참조해서 프린터(4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1은 카세트(1)가 프린터(40)에 장전된 인쇄 전의 대기위치를 나타낸다. 가압판(75)은, 급지를 행할 때에 기록지(13)를 급지 롤러(48)측으로 누르는 것이다. 도 21은 대기위치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가압판(75)은 기록지(13)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다. 이 상태에서, 가압판(75)은 도면에서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상면 개구(200)를 통해서 소정의 압력으로 기록지(13)를 누른다. 급지 롤러(48)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급지 롤러(48)와 접하고 있는 기록지(13) 중 한 장만, 도면에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폴 분리가 행해지고, 배출구(30)로부터 기록지(13)가 배출된다.
도 22는 배출된 기록지(13)가 카세트(1)로부터 소정량 송출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지(13)는 잉크 시트(12)의 공급부 하우징(20)을 따라 굴곡되도록, 배출구(30)로부터 배출된다. 기록지(13)는, 열전사 인쇄용의 사진용지이다. 극단적으로 그러한 용지를 굴곡시키면, 인화면에 손상 또는 주름 등이 발생해 버린다. 그렇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린터(40)에서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지(13)가 잉크 시트 공급부 하우징(20)에 인접하여 배출구(30)의 하측에 설치된 공간 D에서 완만하게 굴곡될 수도 있다. 급지 롤 러(48)는, 기록지(13)의 대략 중앙을 구동할 수 있기 때문에, 기록지(13)의 충분한 길이를 굴곡시킬 수 있어, 분리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또, 기록지(13)가 극단적인 굴곡을 일으키는 일이 없어, 기록지(13)에의 데미지를 최소한으로 누를 수 있다. 잉크 시트의 권취부 하우징(21)을 기록지 하우징(22)단을 따라 배열하기 때문에, 상기 공간 D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급지 롤러(48)를 써멀 헤드 유닛(45)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프린터의 소형화가 달성된다. 또, 써멀 헤드 유닛(45)과 대향하는 측에 기록지(13)를 장전 및 가압하기 위한 상면 개구(200)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가압이 가능해진다.
기록지(13)를 소정량 인출한 후, (도 23에 나타낸) 롤러판(61)은 제 1 롤러(62)쪽으로 기록지(13)를 누르고, 기록지(13)는 제 1 롤러(62)의 회전에 의해 더 인출된다. 도 24는 기록지(13)가 카세트(1)로부터 완전하게 인출되고, 소정량 수송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기록지(13)를 기록지(13)의 면에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도 25는 회전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기록지(13)의 회전 구동은 2개의 제 1 롤러 62(62a 및 62b)를 쌍방 역회전시키는 것으로 행한다. 제 1 롤러 62a를, 기록지(13)가 프린터(40)로 인입되도록 회전시키고, 제 1 롤러 62b을, 기록지(13)가 프린터(40)의 밖으로 송출되도록 회전시킨다. 도 26은 회전이 완료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 기록지(13)를 프린터(40)의 안쪽으로 보내고, 인쇄 동작으로 이행한다.
이상의 기록지(13)의 반송에 사용한 롤러판 61과 제 1 롤러 61a, 62b가, 잉 크 시트 권취부 하우징(21)을 기록지 하우징(22)을 따라 도면에서 우측에 배치함으로써 정의된 공간 D에 적합하게 배치됨으로써, 프린터(40)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배출구(30)는 인쇄시 반송경로의 상류측인 잉크 시트 공급부 하우징(20)의 외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기록지(13)는 스무스하게 인쇄 시에 반송될 수 있지만, 불필요하게 반송되지는 않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잉크 시트 하우징 부근의 기록지 하우징(22)의 면에 배출구(30)가 설치되고, 잉크 시트 권취부 하우징(21)과 배출구(30)의 사이에 잉크 시트 공급부 하우징(20)이 배치되어 있다. 이 배출구(30)로부터 기록지(13)를 배출함으로써, 인화시의 잉크 시트 반송 방향의 상류측에 기록지가 배출된다. 따라서, 기록지를 복잡하게 반송시키지 않아도 그대로 써멀 헤드(47)측에 기록지(13)를 반송시키는 것만으로, 인쇄가 가능해진다. 또한, 잉크 시트 하우징 부근의 면으로부터 기록지(13)가 배출되므로, 인화부의 부근에 기록지가 배출된다. 그 때문에, 프린터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도 27은 용지 인쇄 상태를 나타낸다. 인쇄 동작 시에는, 잉크 시트(12)와 기록지(13)를 써멀 헤드 유닛(45)과 플래튼 롤러(64)로 누르고, 써멀 헤드 유닛(45)의 발열에 의해 잉크 시트(12) 상에 인가된 잉크를 기록지(13)에 열 전사한다. 이때, 인화방향하류에 설치된 캡스턴 롤러(65)와 핀치 롤러(66)로 이루어진 한 쌍의 롤러는 기록지(13)를 수송한다. 제 1 색의 인쇄가 끝나면, 써멀 헤드 유닛(45)을 잉크 시트(12)로부터 퇴피시켜서 누름을 해제하고, 캡스턴 롤러(65)와 핀치 롤러(66)를 인쇄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인쇄 시작 위치까지 기록지(13) 를 복귀시킨다. 그 다음, 제 1 색과 같은 방식으로 나머지 색을 순차적으로 인화한다. 이렇게 하여, 옐로우·마젠타·시안의 3색으로 풀 컬러 인쇄를 행한다.
인쇄가 완료하면, 기록지(13)는 프린터(40)의 반송경로 하류측, 즉 외부로 배출된다. 유저가 인쇄 조작을 행하면 이상의 동작을 반복해 행하고, 카세트(1) 내에 수납된 기록지(13)와 잉크 시트(12)가 없어질 때까지 인쇄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록지(13)와 잉크 시트(12)는 동일 인화매수를 수납하고 있기 때문에, 어느 쪽인가 한쪽이 먼저 없어지는 일은 기본적으로는 없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린터(40)에서는 기록지(13)가 없어진 것을 검출해 인쇄 동작을 행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기록지(13)의 유무의 검출방법에 대해서 도 28a, 도 28b, 및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8b는 기록지(13)가 아직 충분히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토 리플렉터(53)는 기록지(13)에 대략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인쇄 조작이 시작되면, 가압판(75)이 기록지(13)를 누름으로써, 기록지(13)가 포토 리플렉터(53)측으로 눌러진다. 포토 리플렉터(53)가 적외광을 방출하고, 이 적외광을 기록지(13)의 이면에서 반사하며, 그 반사광을 포토 리플렉터(53)가 검출한다. 그 후, 프린터(40)는, 반사광을 검출하면 기록지가 있다고 판단한다. 기록지(13)는 일반적으로 백색이기 때문에, 비교적 반사율이 높고, 기록지 검출이 용이하다. 또한, 가압판(75)이 가압 위치에 있을 때에만 검출동작을 행한다. 따라서, 기록지(13)와 포토 리플렉터(53)와의 거리가 좁아져, 신뢰성이 높은 검출을 행할 수 있다.
도 28a는 기록지(13)가 없고, 보호 시트(14)만이 남아 있는 경우의 상태와, 가압판(75)이 가압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호 시트(14)의 포토 리플렉터(53)에 대향하는 부분에는 적외광의 반사율이 낮은 잉크, 예를 들면 흑색의 인쇄 14a가 실시되고 있다. 이 때문에, 포토 리플렉터(53)는 반사광을 검출할 수 없어, 기록지(13)가 없다고 판정한다. 이 실시 예에서는 반사율이 낮은 인쇄 잉크를 사용했지만, 대신 포토 리플렉터(53)와 대향하는 위치에 구멍을 설치해도 된다. 그러한 경우에도, 포토 리플렉터(53)는 반사광을 검출할 수 없기 때문에 기록지(13)가 없다는 것의 검출을 달성할 수 있다.
다음에, 인쇄시의 잉크 시트(12)의 반송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0은 인쇄시의 잉크 시트(12)의 반송경로를 프린터(40)의 본체측에서 본 도면이다. 여기에서 반송경로란, 제 1 보빈(12a)에 잉크 시트(12)가 감긴 부분으로부터, 제 2 보빈(12b)에 의해 잉크 시트(12)가 권취되어 있는 부분까지 연장되는 잉크 시크(12)의 반송경로다. 이 반송경로는, 잉크 시트(12)의 반송을 안내하기 위해서, 안내 부재(제 1 내지 제 3 가이드) 70, 72, 73, 박리판(71) 등에 의해 형성된다. 우선, 제 1 보빈(12a)에 감긴 잉크 시트(12)는 제 1 가이드(70)에 의해 써멀 헤드(47)쪽으로 턴한다. 써멀 헤드(47)에 의해 인쇄를 행한 후, 박리판(71)에 의해 기록지(13)로부터 잉크 시트(12)가 박리되고, 그 후에 하부 케이스(11)에 설치된 제 2 가이드(72) 및 제 3 가이드(73)에 의해 턴되고, 제 2 보빈(12b)에 의해 권취된다. 인쇄중 잉크 시트(12)가 소정의 텐션(tension)을 가질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제 1 보빈(12a)에는 프릭션 스프링(friction spring) 등에 의해 소정 토크가 인가된다. 또한, 기록 지(13)로부터 박리판(71)에 의해 박리될 때에도 잉크 시트(12)에 텐션이 인가된다. 따라서, 상부 케이스(10)에는 화살표 d로 표시된 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지고, 하부 케이스(11)에는 화살표 e로 표시된 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진다. 그러한 하중은 제 1 보빈(12a) 및 제 2 보빈(12b)을 중심으로 한 모멘트로서 상부 케이스(10) 및 하부 케이스(11)에 대하여 토션(torsion) 하중을 일으킨다. 상부 케이스(10) 및 하부 케이스(11)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의 사출성형품이며, 한층 더 상부 케이스(10)는 기록지(13)를 배출하는 배출구(10)와 급지 롤러(48) 및 포토 리플렉터(53)를 위한 개구(34)를 구비한다. 그 때문에, 개구(34) 및 배출구(30) 근방에 설치된 공급부 하우징(20)의 주변은 특히 강성이 낮아, 변형을 일으키기 쉽다. 또한, 권취부 하우징(21) 주변에 있어서도, 하부 케이스(11)에 설치된 제 2 가이드(72) 및 제 3 가이드(73)는 상기 텐션과 잉크 시트(12)를 권취할 때에 인가된 토크에 의한 큰 하중을 받는다. 도 30의 A부의 상세를 도 31에 나타낸다.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가이드(72) 및 제 3 가이드(73)는 화살표 g 및 f로 표시된 방향으로 하중을 받아, 제 2 가이드(72) 및 제 3 가이드(73) 주변에는 하부 케이스(11)의 부분 74로부터 굴곡되도록 화살표 h로 표시된 방향의 힘이 작용한다. 이렇게 제 1 보빈(12a)과 제 2 보빈(12b)의 사이에서 잉크 시트(12)와 접하는 가이드 부재 70, 72, 73가 큰 하중을 받아, 변형하기 쉬워져 버린다.
상부 케이스(10) 및 하부 케이스(11)가 변형을 일으키면, 잉크 시트(12)의 반송경로가 일그러져, 잉크 시트(12)는 그 경로에서 안정적인 반송을 할 수 없다. 안정적인 반송을 할 수 없으면, 제 2 보빈(12b)으로 권취할 때에 잉크 시크(12)가 구불구불 휘어지거나 또는 구겨지게 된다. 구겨짐이 인쇄 경로까지 넓혀지면, 인쇄 화상에 구겨짐이 나타나, 프린터(40)에 있어서는 심각한 문제가 된다. 그 때문에, 잉크 시트(12)의 반송경로의 안정화를 꾀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린터(40)에서는, 카세트(1)가 삽입되면, 잉크 시트 공급부 하우징(20)(제 1 잉크 시트 하우징)과 잉크 시트 권취부 하우징(21)(제 2 잉크 시트 하우징)과의 사이의 하우징(22)에서 잉크 시트(12)와 기록지(13)와의 사이에 있는 공간에 써멀 헤드 유닛(45)이 설치된다. 이 써멀 헤드 유닛(45)은, 기록지(13)의 배출을 구동하기 위한 급지 롤러(48)를 구비하고 있다. 써멀 헤드(47)와 급지 롤러(48)를, 써멀 헤드 유닛(45)으로서 이 공간에 배치하고, 잉크 기록지 일체형 카세트(1)의 하우징(22)의, 공급부 하우징(20)(제 1 잉크 시트 하우징)과 권취부 하우징(21)(제 2 잉크 시트 하우징)과의 사이의 면에 기록지 하우징(22)으로부터의 기록지(13) 배출 구동용의 개구(34)를 설치한다. 그 때문에, 써멀 헤드(47)와 급지 롤러(48)에 대한 공간을 각각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프린터(40)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린터(40)에 있어서는, 잉크 시트 하우징의 외측이 아니라, 공급부 하우징(20)과 권취부 하우징(21)과의 사이에 급지 롤러(48)를 배치한다. 그 때문에, 잉크 시트 하우징의 외측으로 기록지(13)를 굴곡시켜 기록지(13)를 급지하는데도 충분한 공간을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세트(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케이스(10, 11)에, 제 1 및 제 2 끼워맞춤 구멍(35, 36)을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카세트(1)가 프린터(40)에 장전되고, 제 1 및 제 2 끼워맞춤 구멍(35, 36)에 각각 제 1 및 제 2 끼워맞춤 축(56, 57)이 끼워 맞춰지면, 상기의 토션 하중에 의해 변형하는 일없이 잉크 시트(12)의 반송경로의 안정화를 꾀할 수 있다.
그러한 제 1 및 제 2 끼워맞춤 구멍(끼워맞춤부)(35, 36)은, 상부 및 하부 케이스(10, 11)의 어떤 부분에든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그렇지만, 제 1 및 제 2 보빈(12a, 12b)의 내측에, 또 잉크 시트(12)의 반송경로의 근방에 끼워맞춤부를 설치하면, 한층 더 잉크 시트(12)의 반송경로의 안정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서는, 잉크 시트 공급부 하우징(20)을 형성하는 상부 케이스(10)에 제 1 끼워맞춤 구멍(35)을 설치하고, 잉크 시트 권취부 하우징(21)을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11)에 제 2 끼워맞춤 구멍(36)을 설치하고 있다. 이렇게, 상부 및 하부 케이스(10, 11)에 각각 제 1 및 제 2 끼워맞춤 구멍(35, 36)을 설치함으로써, 양쪽의 케이스(10, 11)를 안정시킬 수 있다. 특히, 두 개의 개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강성이 매우 낮은 잉크 시트 공급부 하우징(20)을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에 제 1 끼워맞춤 구멍(35)을 설치함으로써, 강성이 낮아 변형을 일으키기 쉬운 부분을 보강할 수 있다. 한층 더, 제 1 및 제 2 끼워맞춤 구멍(35, 36)을, 잉크 시트(12)의 반송에 의한 텐션이나 잉크 시트(12)의 권취에 의한 하중을 받는 위치의 근방에 설치함으로써, 하중을 줄일 수 있고, 상부 및 하부 케이스(10, 11)에 작용하는 모멘트를 감소시켜, 변형을 막을 수 있으므로 보다 효과적이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카세트(1)측에 제 1 및 제 2 끼워맞춤 구멍(35, 36)을 설치하고, 프린터(40)측에 제 1 및 제 2 끼워맞춤 축(56, 57)을 설치했지만, 카 세트측에 끼워맞춤 축을 설치해도 되고, 프린터측에 끼워맞춤 구멍을 설치해도 된다.
또한, 프린터(40)와 끼워 맞춰진 제 1 및 제 2 끼워맞춤 구멍(35, 36)은, 잉크 시트(12)의 반송 근방의 잉크 시트 하우징을 형성하는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어, 프레임은 잉크 시트(12)의 반송에 의한 텐션과 잉크 시트(12)의 권취에 의한 하중을 받기 때문에 변형하기 쉽다. 그 때문에, 하중을 저감시킬 수 있어, 하중에 의한 프레임의 변형을 막을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카세트(1)의 강성을 유지하고 카세트(1)의 하중을 경감시킴으로써, 잉크 시트(12)의 반송경로가 왜곡되는 것을 막아, 잉크 시트(12)의 반송경로의 안정화를 꾀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상부 케이스(10)에 설치된 용접 축(80)과 하부 케이스(11)에 설치된 용접 구멍(81)을 열 용착에 의해 결합한다. 그 때문에, 하부 케이스(11)의 제 2 가이드(72) 및 제 3 가이드(73)의 주변이 상부 케이스(10)와 일체감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더욱 카세트(1)의 강성을 상승시킬 수 있어, 카세트(1)가 인쇄시 충격 또는 진동을 받아도, 2개의 케이싱이 분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잉크 시트(12)의 텐션에 의한 하중과 잉크 시트(12)의 권취에 의한 모멘트를 받기 쉬운 잉크 시트(12)의 반송경로 근방에 용접 축(80)과 용접 구멍(81)을 설치하기 때문에, 하중에 의하여 상부 케이스(10)와 하부 케이스(11)가 변형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더욱 잉크 시트(12)의 반송경로의 안정화를 꾀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와 같이, 상부 케이스(10)와 하부 케이스(11)를, 수지재 의 탄성 변형을 이용한 폴(10a, 11a)과 구멍(10b, 11b)을 이용한 결합 등에 의해 결합한 경우에는, 하중에 의해 결합이 해제될 수도 있기 때문에, 용접 축(80)과 용접 구멍(81)을 설치하는 것이 특히 유효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 내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를 공공연히 알리기 위해 이하의 청구항들을 작성했다.
본 출원은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고로 통합되어 있는 2006년 2월 20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번호 제2006-041768호와, 2006년 2월 27일자로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번호 제2006-050590로부터 우선권을 주장한다.

Claims (12)

  1. 써멀 헤드에 의해 잉크 시트에 도포된 잉크를 기록지에 전사해서 프린트하는 프린터용 카세트(1)로서,
    1장 이상의 기록지를 수납하는 기록지 하우징(22)과,
    상기 기록지 하우징(22)의 표면에 설치되고, 제 1 잉크 시트 하우징(20)과 제 2 잉크 시트 하우징(21)을 구성하는 케이싱(11) - 상기 제 1 잉크 시트 하우징(20)이 잉크 시트(12)가 감겨 있는 제 1 보빈(12a)을 수납하고, 상기 제 2 잉크 시트 하우징(21)이 상기 제 1 잉크 시트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된 잉크 시트를 권취하는 제 2 보빈(12b)을 수납하며 - 과,
    상기 제 1 및 제 2 잉크 시트 하우징 사이의 기록지 하우징에 설치된 개구(34)와,
    프린터의 맞물림부(56, 57)와 맞물리는 맞물림 수단(35, 36)을 구비하고,
    상기 기록지 하우징은 상기 제 1 및 제 2 잉크 시트 하우징에 관하여 상기 제 1 보빈의 축을 따라 돌출하고,
    상기 맞물림 수단은 상기 케이싱(11)의 표면에 설치되며, 상기 표면은, 상기 제 1 보빈의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하며, 상기 표면은 상기 기록지 하우징이 돌출한 측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수단은 상기 제 1 잉크 시트 하우징에 설치된 제 1 맞물림 유닛(35)과, 상기 제 2 잉크 시트 하우징에 설치된 제 2 맞물림 유닛(36)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는 상기 기록지 하우징을 구성하는 제 1 케이싱(10)과, 상기 제 1 잉크 시트 하우징과 제 2 잉크 시트 하우징을 구성하는 제 2 케이싱(11)을 포함하고,
    상기 맞물림 수단은, 상기 제 1 케이싱에 설치된 제 1 맞물림 유닛(35)과, 상기 제 2 케이싱에 설치된 제 2 맞물림 유닛(36)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수단은 잉크 시트의 반송경로 근방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는 상기 제 1 보빈의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삽입되고,
    상기 맞물림 수단은 프린트에의 삽입 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된 축(56, 57)과 구멍(35, 36)을 끼워맞춤으로써 프린터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87016744A 2006-02-20 2007-02-15 프린터용 카세트 KR1010131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41768A JP4669406B2 (ja) 2006-02-20 2006-02-20 カセット
JPJP-P-2006-00041768 2006-02-20
JP2006050591A JP4590360B2 (ja) 2006-02-27 2006-02-27 カセット
JPJP-P-2006-00050591 2006-0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5912A KR20080075912A (ko) 2008-08-19
KR101013109B1 true KR101013109B1 (ko) 2011-02-14

Family

ID=37998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6744A KR101013109B1 (ko) 2006-02-20 2007-02-15 프린터용 카세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56974B2 (ko)
EP (1) EP1989056B1 (ko)
KR (1) KR101013109B1 (ko)
DE (1) DE102007000102A1 (ko)
RU (1) RU2370374C1 (ko)
WO (1) WO20070973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370374C1 (ru) 2006-02-20 2009-10-20 Кэнон Кабусики Кайся Кассета для печатающего устройства
KR101056677B1 (ko) * 2006-02-20 2011-08-22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프린터용 카세트
JP6901352B2 (ja) * 2017-09-07 2021-07-14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記録紙カセット及び印刷装置
CN107776218A (zh) * 2017-10-26 2018-03-09 厦门汉印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碳带盒及其打印设备
US11034174B2 (en) * 2018-10-22 2021-06-15 Prinics Co., Ltd. Integrated cartridge and printer us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1882A (ja) * 1990-07-13 1992-03-06 Canon Inc インクシートカートリッジ及び前記インクシートカートリッジを用いる記録装置
JP2005335292A (ja) 2004-05-28 2005-12-08 Canon Inc カートリッジ及びプリン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2655A (ja) * 1984-03-15 1985-10-01 Oki Electric Ind Co Ltd サ−マルプリンタ
NL8501541A (nl) 1985-05-30 1986-12-16 Philips Nv Drukker met een geleiding voor een insteekbare cassette.
JPH0712723B2 (ja) 1985-12-25 1995-02-15 株式会社ニコン 熱転写プリンタ用の記録材カセツト
JPS62211221A (ja) 1986-03-08 1987-09-17 Canon Inc シ−ト給送装置
JPH0756201Y2 (ja) * 1986-10-29 1995-12-25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印刷媒体カセット
JP2533515B2 (ja) 1987-02-13 1996-09-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熱転写記録装置およびインク紙カセツト
US4892425A (en) 1987-01-09 1990-01-09 Hitachi, Ltd. Thermal transfer recording apparatus and ink sheet cassette therefor
JPH0757550B2 (ja) * 1987-03-31 1995-06-21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プリンタ
US4901090A (en) 1987-04-13 1990-02-13 Hitachi, Ltd. Inked sheet cassette and thermal transfer-type recording apparatus
US4914452A (en) 1987-05-08 1990-04-03 Ricoh Company, Ltd. Ink sheet/recording paper cassette
JPS63197159U (ko) 1987-06-09 1988-12-19
DE8816589U1 (de) 1988-03-10 1989-12-28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Bildaufzeichnungseinrichtung
JPH0274378A (ja) 1988-09-09 1990-03-14 Sony Corp リボンカートリッジ
JP2523355B2 (ja) 1988-09-20 1996-08-07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転写紙カ―トリッジ
JP2749075B2 (ja) * 1988-10-03 1998-05-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熱転写記録装置及びインク紙カセット
JPH04126276A (ja) * 1989-07-21 1992-04-27 Canon Inc インクシートカートリツジ及び前記インクシートカートリツジを装填可能な記録装置
JPH03173665A (ja) 1989-12-04 1991-07-26 Ricoh Co Ltd 記録装置
US5277502A (en) * 1990-02-24 1994-01-11 Goldstar Co., Ltd. Device for loading ink film and printing papers in color video printer
ES2108020T3 (es) 1990-07-13 1997-12-16 Canon Kk Cartucho de banda de entintado para aparato de registro.
JPH04122669A (ja) 1990-09-13 1992-04-23 Canon Inc カセット及び前記カセットを用いる記録装置
JPH06183088A (ja) 1992-12-17 1994-07-05 Canon Inc 記録装置
JPH07309453A (ja) 1994-05-13 1995-11-28 Nec Corp 自動給紙装置
JP3104540B2 (ja) 1994-09-01 2000-10-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インクカセット
US5584587A (en) 1994-09-01 1996-12-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ibbon cassette and video printer for use therewith
DE69822044T2 (de) 1997-07-15 2005-03-03 Alps Electric Co., Ltd. Druckkassette
JP3549370B2 (ja) 1997-07-15 2004-08-0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およびこのカートリッジを用いた記録装置
JP3776243B2 (ja) 1998-10-06 2006-05-17 株式会社沖データ インクリボン・印刷用紙カセ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プリンタ
JP2001205906A (ja) 2000-01-28 2001-07-31 Alps Electric Co Ltd リボンカセット
JP2001205905A (ja) * 2000-01-28 2001-07-31 Alps Electric Co Ltd リボンカセット
JP2002029127A (ja) 2000-07-13 2002-01-29 Mitsubishi Electric Corp インクカセット、インクリボン供給容器及びインクリボンのインクカセットへの取り付け方法
JP2002096516A (ja) 2000-09-22 2002-04-02 Brother Ind Ltd リボンカセット及びテープ印刷装置
JP2002273994A (ja) * 2001-01-09 2002-09-25 Nidec Copal Corp 記録シート・熱記録リボン一体化カートリッジ
JP2003029939A (ja) 2001-07-13 2003-01-31 Ricoh Co Ltd 印刷システム
JP2003072210A (ja) 2001-09-05 2003-03-12 Nidec Copal Corp 記録シート・熱記録リボン一体化カートリッジ
JP2005024793A (ja) 2003-06-30 2005-01-27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JP4537230B2 (ja) 2004-03-23 2010-09-0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KR101056677B1 (ko) 2006-02-20 2011-08-22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프린터용 카세트
RU2370374C1 (ru) 2006-02-20 2009-10-20 Кэнон Кабусики Кайся Кассета для печатающего устройства
US7926934B2 (en) 2006-02-20 2011-04-19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sheet containing cassette and printer apparatus using the same cassett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1882A (ja) * 1990-07-13 1992-03-06 Canon Inc インクシートカートリッジ及び前記インクシートカートリッジを用いる記録装置
JP2005335292A (ja) 2004-05-28 2005-12-08 Canon Inc カートリッジ及びプリン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5912A (ko) 2008-08-19
EP1989056B1 (en) 2016-06-22
RU2008107722A (ru) 2009-09-10
EP1989056A1 (en) 2008-11-12
DE102007000102A1 (de) 2007-09-13
RU2370374C1 (ru) 2009-10-20
WO2007097384A1 (en) 2007-08-30
US20090087244A1 (en) 2009-04-02
US8256974B2 (en) 2012-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69406B2 (ja) カセット
KR100858171B1 (ko) 기록 시트/잉크 시트 일체형 카트리지, 이 카트리지가장착된 프린터 장치, 기록 시트 수납 카세트, 급송 장치 및기록 장치
KR101056677B1 (ko) 프린터용 카세트
JP2008044180A (ja) インクカセット、ボビン保持構造、及びプリンタ
JP2010253846A (ja) インクリボンカートリッジ
KR101013109B1 (ko) 프린터용 카세트
JP4683643B2 (ja) 被記録材インクシート一体型カセット群
JP4590360B2 (ja) カセット
JP4827555B2 (ja) カセット及びプリンタ装置
JP4818155B2 (ja) 記録紙収納カセ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プリンタ装置
JP2008036876A (ja) カセット
RU2369486C1 (ru) Кассета для печатающего устройства
JP3897112B2 (ja) 補助トレイ及び記録装置
JP2007245401A (ja) 記録装置
JP2004217327A (ja) 補助トレイ及び記録装置
JP2010158797A (ja) インクシートのロック構造、プリンタ装置及びインクカ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