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8056B1 -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8056B1
KR100988056B1 KR1020090084277A KR20090084277A KR100988056B1 KR 100988056 B1 KR100988056 B1 KR 100988056B1 KR 1020090084277 A KR1020090084277 A KR 1020090084277A KR 20090084277 A KR20090084277 A KR 20090084277A KR 100988056 B1 KR100988056 B1 KR 100988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branch
nut
cas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4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환
Original Assignee
태인전력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인전력시스템(주) filed Critical 태인전력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090084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80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8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8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6Rails or bus-bar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rete connecting locations for counterparts
    • H01R25/161Det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규격화가 가능하므로 분전반 등의 용량에 무관하게 적용할 수 있고, 격벽 구조를 채택하여 합선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체결 구조 개선을 통하여 강력한 체결이 가능함과 동시에 방열이 우수한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는, 메인차단기, 및 적어도 둘 이상의 보조차단기를 포함하는 분전반 혹은 배전반용 부스바 연결 구조에 있어서, 막대형상의 주모선부스바; 및 상기 주모선부스바와 상기 보조차단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분기모선부스바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주모선부스바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허용전류 조절홈부의 깊이에 따라 상기 주모선부스바의 허용전류값이 조절될 수 있다.
분전반, 배전반, 버스바, 부스바, 규격, 표준

Description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STANDARD BUS BAR CONNECTING STRUCTURE}
본 발명은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분전반 등에서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전반은 베이스패널에 주배선차단기와 보조배선차단기 및 누전차단기 등의 각종 차단기가 설치되고 그 차단기들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장치로서, 건물 등의 배선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배분하여 건물의 각 요소로 재공급함과 동시에 전력공급을 개폐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또한, 분전반에는 단자와 단자 사이를 접속하기 위하여 동판과 같은 두꺼운 판재로 이루어진 부스바(Bus bar)가 사용된다.
부스바 이외에도 배전반이나 제어반 등에서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는 매개체로서, 이전에는 케이블(Cable)이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현재는 부스바의 많은 장점으로 인하여 케이블을 대체하여 폭넓게 사용되는 실정이다. 부스바와 케이블은 구조상으로 도체와 절연체를 가진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나, 부스바는 같은 부피의 도체로 더욱 많은 전기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대용량 시스템에서의 장점과, 점점 크고, 다양한 용량의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현대 건축물의 시스템의 추세에 따라 안전하고 에너지의 손실이 적은 부스바의 사용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공장, 빌딩, 아파트, 대형 할인마트, 오피스텔, 연구단지, 백화점, 터널 반도체, LCD공장, 초고층빌딩, 초고압변전소, 신공항, 항만 등에 다양한 분야의 건축물에 다각도로 공급되고 있다.
부스바는 분전반에 구성되는 각각의 차단기들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분배하기 위하여 다수개가 설치되며, 일측이 주배선차단기의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전력을 유도하는 주모선부스바와, 주모선부스바에 연결되어 분배받은 전력을 각각의 보조배선차단기 및 누전차단기에 공급하는 분기모선부스바로 구성된다. 또한, 분기모선부스바에는 주모선부스바에 접속하여 전력을 분배받기 위한 연결장치가 구비되는데, 일반적으로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주모선부스바와 분기모선부스바가 조립 연결된다.
하지만, 종래의 분전반 또는 배전반의 설계 및 제작방식이 각각의 전력수요에 적합하게 설계 및 제작을 하여야 하므로 각 업체마다 다른 형태의 설계 및 제작을 함으로써 제품의 규격화가 불가능하고, 주모선부스바는 특정한 위치를 선정하여 홀 가공 및 탭 가공을 한 후 분기모선부스바를 연결하여야 하므로 대량 생산이 어렵다. 또한, 특정 장비를 갖추어야만 제작이 가능하여 그 제작비용이 과다하게 소 요되고 수용가에서 사용 중이던 분전반 또는 배전반에 변경사항(회로추가, 삭제, 용량변경 등)이 발생할 경우에도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해 변경이 매우 어렵다.
즉, 분전반은 수용가의 수요전력에 따라 다르게 설계되는데, 보조차단기는 수요전력에 따라 그에 적합한 용량의 제품을 사용해야 하고, 통상적으로 보조차단기는 용량에 따라 케이스의 크기 및 출력단자 사이의 간격이 서로 상이한 특성을 갖는다. 그로 인해, 분전반 설계 시 출력단자 사이의 간격, 또는 용량에 따른 주모선부스바 폭의 변경에 따라 주모선부스바 사이의 간격도 변경되며, 이는 분기모선부스바에 구비된 연결구의 위치변경, 주모선부스바와 분기모선부스바 사이의 거리변경 등을 초래함으로써, 각기 다른 분기모선부스바를 사용하여야 하고, 주모선부스바 및 분기모선부스바의 규격화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용량이 커지고, 보조차단기, 및 분기모선부스바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발열이 심해지고, 이는 분전반의 안전에 심각한 위험과 성능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규격화된 주모선부스바, 및 분기모선부스바를 이용함으로써 분전반 등의 제작 및 설계변경이 용이한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규격화된 케이스를 사용함으로써 분전반 등의 제작 및 설계변경이 용이한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확장성이 우수하여 부하 증설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차단기 용량에 따라 1가지로 통일하여 분기모선의 규격화가 및 단순화가 가능한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메인차단기의 용량 변경시에 분기모선의 전체적인 수정작업 없이 메인 차단기만 교체할 수 있는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나사 연결 구조의 개선을 통하여 주모선부스바, 분기모선부스바, 및 케이스의 연결시에 나사 체결로 인한 케이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및 제2 케이스에 의해 주모선부스바와 분기모선부스바가 전기적으로 보호됨으로써 합선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의 방열 효과가 우수한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를 제 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모선부스바와 분기모선부스바 간의 강력한 체결이 가능한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화를 통한 제작이 가능하여 제작공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는, 메인차단기, 및 적어도 둘 이상의 보조차단기를 포함하는 분전반 혹은 배전반용 부스바 연결 구조에 있어서, 막대형상의 주모선부스바; 및 상기 주모선부스바와 상기 보조차단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분기모선부스바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주모선부스바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허용전류 조절홈부의 깊이에 따라 상기 주모선부스바의 허용전류값이 조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모선부스바에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분기모선부스바(300)에는 막대형상의 일부가 '┗┛'형상으로 굴곡진 굴곡부를 가지며, 상기 굴곡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과 상기 관통공이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 돌출되는 둘 이상의 제1 격벽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격벽 사이에 복수의 너트체결공이 형성되는 판형상의 제1 케이스; 및 수직으로 돌출되는 둘 이상의 제2 격벽이 형성되며, 이웃하는 상기 제2 격벽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분기모선관통공이 형성되는 판형상의 제2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굴곡부 가 상기 분기모선관통공을 관통하며, 상기 체결공, 상기 관통공, 및 상기 너트체결공이 상기 볼트, 및 상기 너트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허용전류 조절홈부의 양 측면에 서로 대칭으로 마주하는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너트체결공의 양 측부에는 상기 주모선부스바를 향하여 수직으로 돌출되는 돌출기둥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기둥의 단부에는 상기 너트체결공의 중심을 향하여 수직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너트의 상부면 양측에는 상기 돌출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함몰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단턱과 맞닿고, 상기 너트는 상기 걸림부가 상기 돌출부에 의해 걸림으로써 상기 너트체결공으로의 통과가 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부의 수직 깊이는 상기 돌출부의 두께 이상이고, 주모선부스바의 홈부 측면과 너트의 결합면간의 유격이 너트의 걸림부와 제1 케이스의 돌출부간의 유격보다 작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기모선관통공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판; 및 상기 분기모선관통공과 상기 차단판을 연결하고, 상기 차단판을 상기 분기모선관통공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키기 위한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격벽의 일단에는 고정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격벽의 타단에는 고정요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철부가 상기 고정요부에 삽입됨으로써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제1케이스가 연결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는, 규격화된 주모선부스바와 케이스 를 사용함으로써 분전반 등의 제작 및 설계변경, 및 기 설치된 분전반의 용량 변경이 용이하여 우수한 확장성, 및 자동화가 가능하고, 격벽과 케이스를 통하여 합선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주모선부스바, 분기모선부스바, 및 케이스의 나사 연결시에 케이스의 파손 방지와 강력한 체결이 가능함과 더불어 케이스의 방열 효과가 우수하여 과열 위험 및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를 적용한 분전반의 사시도, 및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를 적용한 분전반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를 적용한 분전반은 메인 차단기(100), 보조차단기(101), 커버(103), 주연결부스바(102), 주모선부스바(200), 제1케이스(400), 제2케이스(500), 및 분기모선부스바(300)를 포함한다.
메인차단기(100)는 외부의 전력케이블과 연결되고, 주연결부스바(102)의 일단 및 타단은 각각 메인차단기(100) 및 주모선부스바(200)에 연결되며, 주모선부스바(200)는 분기모선부스바(300)에 의해 보조차단기(101)와 연결된다. 또한, 커버(103)에 의해 분기모선부스바(300) 등이 외부로부터 보호되고, 사용자의 접촉으로 인한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데, 커버(103)는 내부의 관찰이 가능하도록 투명하고 절연성을 가지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일실시예에 따르면 폴리카보네이트일 수 있다.
한편, 메인차단기(100) 및 보조차단기(101)는 과부하시 자동으로 오프되는 스위치로서, 이미 널리 주지된 관용기술에 불과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를 적용한 분전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4를 참조하여, 주모선부스바(200)와 분기모선부스바(300)가 결합되는 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3상 4선식인 경우에 4개가 사용되는 주모선부스바(200)는 제1 케이스(400)의 이웃하는 제1 격벽(410) 사이에 각기 위치하고, 분기모선부스바(300)는 요구되는 갯수만큼 제2 케이스(500)의 이웃하는 제2 격벽(510) 사이에 위치한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주모선부스바(200)와 분기모선부스바(300)를 하나씩만 도시한다.
이 때, 주모선부스바(200)와 분기모선부스바(300)가 너트(600)와 볼트(700)에 의해서 고정결합되는데, 분기모선부스바(300)는 분기모선부스바(300)의 굴곡부가 제2 케이스(500)의 분기모선관통공(520)을 통하여 삽입되고, 볼트(700)는 분기모선부스바(300)의 관통공(301)과 주모선부스바(200)의 체결공(203)을 관통하여 너트(600)의 나사공(601)과 고정결합된다.
분기모선부스바(300)는 도4에서와 같이 소정의 폭을 가지고, 일부가 '┗┛'형상으로 굴곡진 굴곡부를 가지는 막대형으로서, 양 단부와 굴곡부에 체결을 위한 관통공(301)이 형성된다. 또한, 주모선부스바(200)와 분기모선부스바(300)의 재질은 일실시예에 따르면, 구리, 및 알루미늄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전기가 통할 수 있는 전도체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의 주모선부스바의 사시도이다.
주모선부스바(200)는 기둥 형상을 가지고, 도5와 같이 주모선부스바(200)의 하면에 길이 방향으로 소정 폭과 깊이로 형성된 홈부(201)와, 홈부(201)의 내측으로는 주모선부스바(200)의 허용전류 조절을 위하여 형성된 허용전류 조절홈부(202) 그리고, 주모선부스바(200)와 분기모선부스바(300)의 체결을 위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203)을 포함한다.
도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의 제1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의 제1 케이스의 A-A' 단면을 나타낸는 측단면도이다.
제1 케이스(400)는 복수의 주모선부스바(200)를 상호 물리적으로 분리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제1 격벽(410)과, 중앙부에 형성된 두개의 고정공(430)을 포함한다. 각각의 제1 격벽(410)의 일단부에는 고정철부(440)가, 각각의 제1 격벽(410)의 타단부에는 고정요부(441)가 형성된다. 또한, 제1 격벽(410) 사이에는 복수의 너트체결공(420), 및 하부방열공(423)이 형성되고, 너트체결공(420)의 양측부에는 돌출기둥(421)이 수직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며, 각각의 돌출기둥(421) 상단에는 직각으로 돌출되는 돌출부(422)가 형성되는데, 도6b의 A-A' 측단면도와 같이 돌출부(422)는 한 쌍씩 서로 마주보고 위치하도록 돌출 형성된다.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의 제2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제2 케이스(500)는 복수의 분기모선부스바(300)를 상호 물리적으로 분리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제2 격벽(510)과, 하부에는 제1 케이스(400)의 고정공(430)에 삽입되어 배전반 함체에 나사결합되도록 두개의 중공 원통형상을 가지는 고정부(530)가 형성되며, 이웃하는 제2 격벽(510) 사이에는 복수의 분기모선관통공(520)이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분기모선관통공(520)에 형성된 차단판(521)은 연결부(523)에 의해 제2 케이스(500)와 연결됨으로써 분기모선부스바(300)가 하부의 주모선부 스바(200)와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단판(521)은 가늘게 형성되는 연결부(523)가 절단됨으로써 제2 케이스(500)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케이스(500)의 설계 및 제조시에 요구 조건에 따라 복수의 차단판(521)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단판(521)에는 방열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방열공(522)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케이스(500)는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내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규격 부스바 연결용 너트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너트(600)는 중앙에 나사공(601)이 형성되고, 상측 양단에 걸림부(602)가 형성되며, 분기모선부스바(300)의 관통공(301), 및 주모선부스바(200)의 체결공(203)을 관통한 볼트(700)와 제1 케이스(400)의 너트체결공(420) 하부로부터 결합된다.
도9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의 측단면의 부분확대도, 및 도9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의 정단면의 부분확대도이다.
사각형상으로 된 너트(600)의 상부면(604)이 홈부(201)의 상면(205)에, 그리고, 너트(600)의 결합면(603)이 홈부(201)의 측면(204)에 결착되면, 볼트(700)와 너트(600) 간의 결합으로 인한 힘이 제1 케이스(400)에는 거의 미치지 않아 제1 케이스(400)의 돌출부(422) 및 돌출기둥(421)이 파괴될 위험이 없다.
이를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르면, Y축방향으로는, 주모선부스바(200) 홈부(201)의 깊이(d1)는 제1 케이스(400) 돌출기둥(421)의 높이(h1)를 넘어서지 않고, 너트(600) 걸림부(602)의 수직 깊이(d2)는 제1 케이스(400) 돌출부(422)의 두께(h2)보다 작지 않아야 하며, X축방향으로는, 주모선부스바(200)의 홈부(201) 측면(204)과 너트(600)의 결합면(603)간의 유격이 너트(600)의 걸림부(602)와 제1 케이스(400)의 돌출부(422)간의 유격보다 작을 것을 요한다. 따라서, 제1 케이스(400)의 파손을 고려할 필요가 없으므로 볼트(700)와 너트(600)를 강하게 조일수 있으므로, 강력한 체결이 가능하다.
한편, 덮개(430)는 고정되는 너트(600)의 외부 노출을 차단하기 위하여 제1 케이스(400) 후면으로부터 결합된다.
도10a, 및 도10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의 주모선부스바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에서는 주모선부스바(200)의 허용전류값을 허용전류 조절홈부(202)를 통하여 조절할 수 있으며, 주모선부스바(200)의 허용전류 조절홈부(202)의 깊이에 따라 주모선부스바(200)의 허용전류값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도10a와 도10b를 비교하면, 도10b의 허용전류 조절홈부(202)가 더 깊이 형성됨으로써 도10b의 주모선부스바(200)는 도10a의 주모선부스바(200)에 비하여 단면적이 작게 되고, 이에 따라 도10a의 주모선부스바(200) 에 비하여 도10b의 주모선부스바(200)의 허용전류값이 더 작은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에서는 제1 케이스(400), 제2 케이스, 분기모선부스바(300), 메인차단기(100), 보조차단기(101), 주연결부스바(102) 등의 모든 구성요소들을 변경없이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고, 주모선부스바(200) 내측의 허용전류 조절홈부(202)의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주모선부스바(200)의 허용전류값을 간단히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는 허용전류 조절홈부(202)의 깊이 조절을 통하여 다양한 용량의 분전반 및 배전반 등에 구조변경 없이 적용이 가능하므로 제1 케이스(400), 제2 케이스(500), 및 분기모선부스바(300)의 구조 변경이 불필요하여 규격화가 가능하다.
한편, 일실시예에 따르면, 허용전류 조절홈부(202)의 폭은 홈부(201)의 폭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너트(600)와 볼트(700)가 결합할 때 너트(600)의 상면이 홈부(201)에 걸려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제1 케이스(400)의 너트체결공(420), 및 하부방열공(423), 제2케이스(500) 차단판(521)의 방열공(522), 및 차단판(521)과 제2 케이스(500) 사이는 외부와 통하도록 관통되어 있는데, 이에 따라 제1 케이스(400) 및 제2 케이스(500) 내측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한편, 제1 케이스(400)는 복수개가 서로 결합되어 연장될 수 있는데, 도6a를 참고하면, 고정철부(440)가 다른 제1 케이스(400)의 고정요부(441)에 삽입되고, 제1 케이스(400) 일단부의 돌출기둥(441) 하측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는 지지부(442)가 다른 제1 케이스(400)의 타단부를 지지함으로써 서로 확실하게 지지 될 수 있다.
종래의 부스바의 연결 구조는 적용되는 분전반 및 배전반 등의 수요전력의 크기에 따라 보조차단기(101), 주모선부스바(200), 분기모선부스바(300), 및 케이스 등이 변경되어야 한다. 즉, 각각의 요구 허용전류에 조건에 따라 구성 요소들을 제작하여야 하므로 규격화가 불가능하고, 제작 시간 및 노력이 증가하며, 이미 설치된 분전반의 설계 변경이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방열 성능이 떨어지므로 고온 발열시에 분전반의 안전에 심각한 위험과 성능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는 규격화된 주모선부스바(200), 즉 외측의 폭과 높이가 일정한 주모선부스바(200)를 사용함으로써, 분기모선부스바(300), 제1케이스(400), 및 제2케이스(500)의 규격화가 가능하므로 분전반 등의 제작, 및 설계변경이 대단히 용이하고, 너트체결공(420), 하부방열공(423), 및 방열공(522)을 통하여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발산할 수 있으므로 방열 성능이 뛰어나다.
또한, 주모선부스바(200), 및 분기모선부스바(300) 연결시에 볼트(700)와 너트(600)의 과도한 조임으로 인한 제1 케이스(4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복수의 주모선부스바(200)는 제1 격벽(410)에 의해 전기적으로 서로 확실하게 분리되고, 복수의 분기모선부스바(300)가 제2 격벽(510)에 의해 전기적으 로 서로 확실하게 분리되며, 주모선부스바(200)와 분기모선부스바(300)는 제2 케이스(500)에 의해 전기적으로 서로 확실하게 분리되므로 안전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었다. 즉 예를 들어 주모선부스바(200)와 분기모선부스바(300)의 사이, 또는 복수의 주모선부스바(200) 상호간에 이물질이 유입되어 합선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격벽(410), 제2 격벽(510), 및 제2 케이스(500) 등에 의해 상기와 같은 합선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미 설치된 분전반의 용량을 증가시키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케이스(400, 500)를 확장 연결하고, 필요한 길이와 용량의 주모선부스바(200)와 기 설치된 주모선부스바(200)의 사이를 도시되지 않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분전반의 용량 증가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메인차단기(100)의 용량 변경시에 분기모선부스바(300)의 전체적인 수정 없이 간단히 주차단기만 교체할 수 있다.
더하여, 종래에는 규격화가 불가능하여 각각의 분전반 용량에 따라 각종 부품을 맞춤 제작하여야 하고, 이에 따라 수작업에 의존할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주모선부스바(200), 및 분기모선부스바(300)가 규격화되고, 더하여 규격화된 제1 및 제2 케이스(400, 500)가 사용됨으로써 자동화를 통한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제작 시간, 및 제작 비용이 획기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 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를 적용한 분전반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를 적용한 분전반의 분해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를 적용한 분전반의 분해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의 주모선부스바의 사시도,
도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의 제1케이스의 사시도,
도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의 제1케이스의 A-A' 단면을 나타낸는 측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의 제2케이스의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의 너트의 사시도,
도9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의 측단면의 부분확대도,
도9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의 정단면의 부분확대도, 및
도10a, 및 도10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의 주모선부스바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0: 메인차단기 101: 보조차단기
102: 주연결부스바 103: 커버
200: 주모선부스바 201: 홈부
202: 용량조절홈부 203: 체결공
204: 상면 205: 측면
300: 분기모선부스바 301: 관통공
400: 제 1케이스 410: 제 1격벽
420: 너트체결공 421: 돌출기둥
422: 돌출부 423: 하부방열공
430: 고정공 440: 고정철부
441: 고정요부 442: 지지부
500: 제 2케이스 510: 제 2격벽
520: 분기모선관통공 521: 차단판
522: 방열공 523: 연결부
530: 고정부 600: 너트
601: 나사공 602: 걸림부
603: 결합면 604: 상부면
700: 볼트

Claims (7)

  1. 메인차단기, 및 적어도 둘 이상의 보조차단기를 포함하는 분전반 혹은 배전반용 부스바 연결 구조에 있어서,
    막대형상의 주모선부스바(200);
    상기 주모선부스바(200)와 상기 보조차단기(10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분기모선부스바(300);
    수직으로 돌출되는 둘 이상의 제1 격벽(410)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격벽(410) 사이에 복수의 너트체결공(420)이 형성되는 판형상의 제1 케이스(400); 및
    수직으로 돌출되는 둘 이상의 제2 격벽(510)이 형성되며, 이웃하는 상기 제2 격벽(510)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분기모선관통공(520)이 형성되는 판형상의 제2 케이스(500)
    를 포함하고,
    상기 주모선부스바(200)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허용전류 조절홈부(202)의 깊이에 따라 상기 주모선부스바(200)의 허용전류값이 조절되며,
    상기 주모선부스바(200)에는 체결공(203)이 형성되고, 상기 분기모선부스바(300)에는 막대형상의 일부가 '┗┛'형상으로 굴곡진 굴곡부를 가지며, 상기 굴곡부에는 관통공(301)이 형성되고,
    상기 굴곡부가 상기 분기모선관통공(520)을 관통하며, 상기 체결공(203), 상기 관통공(301), 및 상기 너트체결공(420)이 볼트(700), 및 너트(600)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용전류 조절홈부(202)의 양 측면(204)에 서로 대칭으로 마주하는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너트체결공(420)의 양 측부에는 상기 주모선부스바(200)를 향하여 수직으로 돌출되는 돌출기둥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기둥(421)의 단부에는 상기 너트체결공(420)의 중심을 향하여 수직으로 돌출되는 돌출부(422)가 형성되고,
    상기 너트(600)의 상부면(604) 양측에는 상기 돌출부(422)의 형상에 대응하여 함몰되는 걸림부(602)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422)는 상기 단턱과 맞닿고, 상기 너트(600)는 상기 걸림부(602)가 상기 돌출부(422)에 의해 걸림으로써 상기 너트체결공(420)으로의 통과가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602)의 수직 깊이는 상기 돌출부(422)의 두께 이상이고, 주모선부스바(200)의 홈부(201) 측면(204)과 너트(600)의 결합면(603)간의 유격이 너트(600)의 걸림부(602)와 제1 케이스(400)의 돌출부(422)간의 유격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모선관통공(520)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판(521); 및
    상기 분기모선관통공(520)과 상기 차단판(521)을 연결하고, 상기 차단판(521)을 상기 분기모선관통공(52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키기 위한 연결부(523)
    를 더 포함하는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격벽(410)의 일단에는 고정철부(440)가 형성되고, 상기 제1격벽(410)의 타단에는 고정요부(441)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철부(440)가 상기 고정요부(441)에 삽입됨으로써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제1케이스(400)가 연결 결합되는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
KR1020090084277A 2009-09-08 2009-09-08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 KR100988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277A KR100988056B1 (ko) 2009-09-08 2009-09-08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277A KR100988056B1 (ko) 2009-09-08 2009-09-08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8056B1 true KR100988056B1 (ko) 2010-10-18

Family

ID=43135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4277A KR100988056B1 (ko) 2009-09-08 2009-09-08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8056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6761B1 (ko) 2009-12-30 2011-12-21 주식회사 에이엔티일렉트릭 분배전반의 전원분배기
KR101130309B1 (ko) * 2011-09-30 2012-03-26 주식회사 청석엔지니어링 분전반
KR102114328B1 (ko) * 2019-02-14 2020-05-22 (주)금강콘트롤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WO2020167004A1 (ko) * 2019-02-14 2020-08-20 주식회사 금강콘트롤 콘센트형 분전반 유니트,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KR20200099411A (ko) * 2019-02-14 2020-08-24 서연희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KR20200099409A (ko) * 2019-02-14 2020-08-24 서연희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KR20200099480A (ko) * 2019-02-14 2020-08-24 (주)금강콘트롤 콘센트형 분전반 유니트,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KR20200099412A (ko) * 2019-02-14 2020-08-24 서연희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KR20200099413A (ko) * 2019-02-14 2020-08-24 서연희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KR20200099407A (ko) * 2019-02-14 2020-08-24 서연희 콘센트형 분전반 유니트,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KR102295147B1 (ko) * 2020-12-24 2021-08-27 김인영 절연 모듈 및 너트 캐리어를 구비한 분전반
KR20230006377A (ko) * 2021-07-02 2023-01-10 한영이엘씨 주식회사 분전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0126A (ja) * 2001-08-28 2003-03-07 Sumitomo Wiring Syst Ltd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
KR200331163Y1 (ko) 2003-05-30 2003-10-23 김영봉 배전반
KR200344746Y1 (ko) * 2003-10-21 2004-03-11 김선배 배전반
JP2009095194A (ja) 2007-10-11 2009-04-30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0126A (ja) * 2001-08-28 2003-03-07 Sumitomo Wiring Syst Ltd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
KR200331163Y1 (ko) 2003-05-30 2003-10-23 김영봉 배전반
KR200344746Y1 (ko) * 2003-10-21 2004-03-11 김선배 배전반
JP2009095194A (ja) 2007-10-11 2009-04-30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箱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6761B1 (ko) 2009-12-30 2011-12-21 주식회사 에이엔티일렉트릭 분배전반의 전원분배기
KR101130309B1 (ko) * 2011-09-30 2012-03-26 주식회사 청석엔지니어링 분전반
KR102114328B1 (ko) * 2019-02-14 2020-05-22 (주)금강콘트롤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WO2020167003A1 (ko) * 2019-02-14 2020-08-20 주식회사 금강콘트롤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WO2020167004A1 (ko) * 2019-02-14 2020-08-20 주식회사 금강콘트롤 콘센트형 분전반 유니트,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KR20200099411A (ko) * 2019-02-14 2020-08-24 서연희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KR20200099409A (ko) * 2019-02-14 2020-08-24 서연희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KR20200099480A (ko) * 2019-02-14 2020-08-24 (주)금강콘트롤 콘센트형 분전반 유니트,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KR20200099412A (ko) * 2019-02-14 2020-08-24 서연희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KR20200099413A (ko) * 2019-02-14 2020-08-24 서연희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KR20200099407A (ko) * 2019-02-14 2020-08-24 서연희 콘센트형 분전반 유니트,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KR102203122B1 (ko) 2019-02-14 2021-01-14 서연희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KR102203124B1 (ko) 2019-02-14 2021-01-14 서연희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KR102273792B1 (ko) 2019-02-14 2021-07-06 서연희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KR102273791B1 (ko) * 2019-02-14 2021-07-06 서연희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KR102273790B1 (ko) * 2019-02-14 2021-07-06 서연희 콘센트형 분전반 유니트,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KR102273714B1 (ko) * 2019-02-14 2021-07-06 (주)금강콘트롤 콘센트형 분전반 유니트,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KR102295147B1 (ko) * 2020-12-24 2021-08-27 김인영 절연 모듈 및 너트 캐리어를 구비한 분전반
KR20230006377A (ko) * 2021-07-02 2023-01-10 한영이엘씨 주식회사 분전반
KR102527373B1 (ko) 2021-07-02 2023-04-28 한영이엘씨 주식회사 분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8056B1 (ko)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
US9391413B2 (en) Bus bar arrangement and a shroud for the same
US7091417B1 (en) Busway fitting having a stacked bus bar with an extruded support
US8625256B2 (en) Closed busbar system for low-voltage distribution
EP2181487B1 (en) Panelboard
US3793564A (en) Metal enclosed switchgear with s-shaped vertically disposed conductors
US20130114185A1 (en) Switchgear bus assembly having reduced power loss, material and temperature
KR101209892B1 (ko) 분기 부스바,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및 분기 부스바 키트
EP3163695B1 (en) Fixed vertical distribution bus bar
US5627720A (en) Power distribution box with surge suppressor
KR101176626B1 (ko) 컴팩트 분전반
KR100543964B1 (ko)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의 접속방법 및 측면 결합 구조를갖는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
US9667051B2 (en) Power terminal enclosure for power conductors
EP2400610B1 (en) Supporting bars and an electrical distribution module comprising said bars.
KR101301964B1 (ko) 다각형 부스바와 이의 유동방지 지지대를 구비한 배전반
US4739441A (en) Switchgear assembly
KR200331163Y1 (ko) 배전반
KR102246825B1 (ko) 접속클립 및 이를 구비하는 mcc
KR102173310B1 (ko) 원터치 결합형 버스바 키트
KR102083420B1 (ko) 분전반
KR200395590Y1 (ko) 저압 배전반용 부스바접속부재
KR200395579Y1 (ko) 저압 배전반용 조립식 부스바커넥터
US7358441B1 (en) Electrical enclosure assembly and electrical enclosure
KR101885709B1 (ko) 전원 분배장치
KR102010870B1 (ko) 교차배열 버스바 연결용 버스바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