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3792B1 -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 Google Patents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3792B1
KR102273792B1 KR1020190017374A KR20190017374A KR102273792B1 KR 102273792 B1 KR102273792 B1 KR 102273792B1 KR 1020190017374 A KR1020190017374 A KR 1020190017374A KR 20190017374 A KR20190017374 A KR 20190017374A KR 102273792 B1 KR102273792 B1 KR 102273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board
outlet
type distribution
branch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7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9411A (ko
Inventor
서연희
Original Assignee
서연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연희 filed Critical 서연희
Priority to KR1020190017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792B1/ko
Publication of KR20200099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02B1/207Cross-bar layou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18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inductive devices, e.g. transform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1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AC or DC current with one threshold, e.g. load current, over-current, surge current or fault curr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수평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주 모선부를 구비한 콘센트형 분전반 유니트, 및 상기 콘센트형 분전반 유니트의 양 단부에 각각 체결되는 한 쌍의 분기 차단기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분기 차단기의 각각은 분기 차단기 접점부를 구비하며, 상기 분기 차단기 접점부가 상기 콘센트형 분전반 유니트의 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분기 차단기 접점부는 통공이 마련된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판 형상의 체결부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ASSEMBLY FOR CABINET PANEL, AND CABINET PANEL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 모선부, 분기 모선부, 접점부, 누설전류 검지부가 하나의 유니트 형태로 구비되어 있고, 이러한 콘센트형 분전반 유니트와 분기 차단기의 연결 및 분리가 용이하여 분전반의 설치와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고 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분야의 비전문가도 손쉽게 분전반을 설치할 수 있어 비용절감의 효과를 도모하고, 누설전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전반은 배전반으로부터 각 간선에서 소요의 부하에 배선을 분기하는 개소에 설치하며, 주 차단기, 분기 차단기, 주 차단기와 연결되는 주 모선부, 분기 차단기와 연결되고 주 모선부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분기 모선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주 모선부, 분기 모선부를 서로 연결하고, 분기 모선부에 분기 차단기를 연결하고, 주 모선부에 주 차단기를 일일이 연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분기 모선부의 연결은 분기 모선부의 단부를 분기 차단기와의 연결 부분에 위치시킨 후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이루어졌다.
이 경우, 일일히 볼트를 체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 작업에 많는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분기 차단기 교체시 다시 볼트를 푼 후 새로운 분기 차단기를 분기 모선부와 볼트 체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더욱이, 이러한 분기 차단기와 분기 모선부의 연결과 분리는 전기 분야의 비전문가들이 손쉽게 할 수 없는 것이어서 분전반 설치와 유치 보수에 전문가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분기 차단기와 분기 모선부의 볼트 체결의 경우, 볼트 풀림에 의한 단락 사고 발생이 빈번하여 화재 위험성 등 안전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분전반에서의 누설전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요구가 계속되어 왔으나 이러한 요구를 만족할 만한 제품이 없었다.
한국특허 제10-036858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 모선부, 분기 모선부, 누설전류 검지부, 접점부가 하나의 유니트 형태로 구비되어 있고, 이러한 콘센트형 분전반 유니트와 분기 차단기의 연결 및 분리가 용이하여 분전반 설치나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는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전반에서의 누설전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는, 수평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주 모선부를 구비한 콘센트형 분전반 유니트, 및 상기 콘센트형 분전반 유니트의 양 단부에 각각 체결되는 한 쌍의 분기 차단기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분기 차단기의 각각은 분기 차단기 접점부를 구비하며, 상기 분기 차단기 접점부가 상기 콘센트형 분전반 유니트의 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분기 차단기 접점부는 통공이 마련된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판 형상의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센트형 분전반 유니트는, 상기 주 모선부와 연결되는 한 쌍의 분기 모선부, 상기 분기 모선부와 연결되는 누설전류 검지부, 및 상기 누설전류 검지부와 연결되는 접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주 모선부의 각각은, 복수의 홀을 구비한 판상일 수 있다.
상기 판상의 주 모선부는 일 단부가 상부방향으로 단차져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분기 모선부의 각각은, 판상부, 및 상기 판상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에는 상기 주 모선부와의 연결을 위한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누설전류 검지부는, 상기 한 쌍의 분기 모선부 중 일 분기 모선부의 양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케이블, 상기 한 쌍의 분기 모선부 중 다른 분기 모선부의 양 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2 케이블, 상기 제1 케이블 및 상기 제2 케이블이 통과되며, 영상 전류를 검출하는 한쌍의 영상변류기(ZCT), 상기 제1 케이블이 통과되는 한 쌍의 변류기(CT), 및 검지된 누설전류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점부는, 통공이 마련되어 있는 접점판, 및 상기 접점판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되어 있고, 상부판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1차 절곡되고, 다시 상부방향으로 2차 절곡되어 있는 절곡형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점판과 상기 절곡형 탄성부 사이로 상기 분기 차단기 접점부가 착탈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절공형 탄성부에 끼워지는 스프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분기 차단기 접점부가 상기 접점판과 상기 절곡형 탄성부 사이로 체결되는 경우, 상기 분기 차단기 접점부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형 분전반은, 주 차단기, 및 상기 주 차단기의 2차 측에 연결되어 상기 주 차단기 측으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센트형 분전반에 상기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가 복수 개 설치되는 경우, 각각의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의 주 모선부를 상호 체결함으로써 복수의 상기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 모선부, 분기 모선부, 누설전류 검지부, 접점부를 하나의 유니트 형태로 구비하고 있어서 분전반 설치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콘센트형 분전반 유니트의 접점부와 분기 차단기의 분기 차단기 접점부를 통해서 분기 차단기의 연결 및 분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 결과 분전반 설치작업과, 분기 차단기 교체 등 유지 보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안전성도 제고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누설전류 검지부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분전반에서의 누설전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주 모선부, 분기 모선부, 누설전류 검지부, 접접부가 절연 케이스와 절연 커버로 둘러싸여 있어서 전기 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에서 커버가 제거되어 있는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기 차단기 접점부가 부착되어 있는 분기 차단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 모선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기 모선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의 하측 외관을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점부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기 차단기 접점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점부에 분기 차단기 접점부가 연결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형 분전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형 분전반에서 복수의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지만, 하기 예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에서 커버가 제거되어 있는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기 차단기 접점부가 부착되어 있는 분기 차단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 모선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기 모선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1000)는 콘센트형 분전반 유니트(100) 및 분기 차단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기 차단기(200)는 상기 콘센트형 분전반 유니트(100)의 양 단부에 각각 체결되어 있다.
한 쌍의 분기 차단기(200)의 각각은 분기 차단기 접점부(210)를 구비한다.
상기 분기 차단기 접점부(210)가 상기 콘센트형 분전반 유니트(100)의 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분기 차단기 접점부(210)가 상기 콘센트형 분전반 유니트(100)의 접점부(400)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된다.
상기 콘센트형 분전반 유니트(100)는 주 모선부(110), 분기 모선부(120), 접점부(400), 누설전류 검지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 모선부(110)는 R상 주 모선부(110a), S상 주 모선부(110b), T상 주 모선부(110c), N상 주 모선부(110d)를 포함할 수 있다.
R상 주 모선부(110a), S상 주 모선부(110b), T상 주 모선부(110c), N상 주 모선부(110d)는 수평으로 배열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주 모선부(110)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주 모선부(110)는 판(112) 형상이며, 상기 판(112)에는 홀(114, 116, 118)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주 모선부(110)의 일 단부는 상부 방향으로 단차져 형성되어 있다. 상부 방향으로 단차져 형성되어 있는 부분은 후술할 주 차단기(도 10, 2000)와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주 차단기(도 10, 2000)와의 볼트 체결을 위한 홀(11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가 분전반에 복수 개 설치되는 경우, 상기 홀(116)은 다른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의 주 모선부(110)의 홀(118)과의 볼트 체결에 사용되는 구멍이기도 하다.
복수의 홀(114, 116, 118) 중 홀(114)은 분기 모선부(120)와의 볼트 체결을 위한 구멍이다.
복수의 홀(114, 116, 118) 중 홀(118)은 분기 모선부(120)와의 연결에 사용되는 구멍이기도 하고,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가 분전반에 복수 개 설치되는 경우 다른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의 주 모선부(110)의 홀(116)과의 볼트 체결에도 사용되는 구멍이다. 이에 대해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주 모선부(110)의 일 단부는 상부 방향으로 단차져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주 모선부(110)의 일 단부는 단차져 있지 않은 평평한 형상일 수 있다.
다시 도 2 및 5를 참조하면, 상기 분기 모선부(120)는 제1 분기 분기 모선부(120a) 및 제2 분기 분기 모선부(12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기 모선부(120)는 상기 주 모선부(110)와 연결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 분기 모선부(120a)는 R상 주 모선부(110a), S상 주 모선부(110b), T상 주 모선부(110c)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제2 분기 모선부(120b)는 N상 주 모선부(110d)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분기 모선부(120a)는 R상 주 모선부(110a)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분기 모선부(120)는 판상부(122) 및 절곡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상부(122)에는 후술할 누설전류 검지부(140)와의 볼트 체결을 위한 홀(12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곡부(124)는 상기 판상부(122)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부분으로서, 주 모선부(110)와의 볼트 체결을 위한 체결공(126)이 형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분기 모선부(120)는 상기 절곡부(124)를 중심으로 좌우측으로 판상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좌측에 있는 판상부(122)의 길이가 짧고, 우측에 있는 판상부(122)의 길이가 긴 형태이나, 분기 모선부(120)가 어느 주 모선과 체결되는 가에 따라서 좌측에 있는 판상부(122)의 길이와 우측에 있는 판상부(122)의 길이는 변경가능하다.
주 모선부(110)와의 연결시, 상기 분기 모선부(120)의 절곡부(124)의 상기 체결공(126)과 상기 주 모선부(110)의 홀에 볼트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분기 모선부(120)와 상기 주 모선부(110)는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누설전류 검지부(140)는 변류기(CT, 141), 영상변류기(ZCT, 143), 제1 케이블(145), 제2 케이블(147), 및 디스플레이(14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류기(141)와 상기 영상변류기(143)는 인접하여 위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케이블(145)은 상기 변류기(141) 및 상기 영상변류기(143)를 모두 통과한다.
상기 제2 케이블(147)은 상기 영상변류기(143)만을 통과한다. 즉, 상기 영상변류기(143)에는 상기 제1 케이블(145)과 상기 제2 케이블(147) 모두가 통과하고, 상기 변류기(141)에는 상기 제1 케이블(145)만 통과한다.
상기 제1 케이블(145)의 일단에는 제1 분기 모선부(120a)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케이블(147)의 일단에는 제2 분기 모선부(120b)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 케이블(145)의 타단과 상기 제2 케이블(147)의 타단에는 접점부(400)가 연결되어 있다.
디스플레이(149)는 커버(160의 상부면에 노출되도록 위치되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49)에는 누설전류 검지부(140)를 통해 검지된 누설전류가 표시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누설전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의 하측 외관을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누설전류 검지부(140)의 인쇄회로기판(PCB)는 콘센트형 분전반 유니트(100)의 하단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쇄회로기판(PCB)이 콘센트형 분전반 유니트(100)의 하단 내측에 설치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PCB) 상의 회로 구성은 다음과 같다.
피측정 전선로로부터 전선로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회로, 전압검출회로로부터의 출력신호인 정현파를 구형파로 변환하는 구형파변환회로, 피측정 전선로로부터 합성 누설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회로, 전류검출회로로부터의 합성 누설전류를 이에 상응하는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류전압변환회로, 전류전압변환회로로부터의 출력신호를 극성변환하여 출력하는 극성변환회로, 구형파변환회로로부터의 출력신호와 전류전압변환회로로부터의 출력신호 및 극성변환회로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서 구형파변환회로로부터의 출력신호 극성에 따라 전류전압변환회로로부터의 출력신호와 극성변환회로로부터의 출력신호 중 어느 한쪽 출력신호만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선택유닛, 및 선택유닛으로부터의 출력신호에서 저주파 성분만을 필터링하는 저주파통과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누설전류 검지부의 작동 상태를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대지절연선 누설전류 실효치(Ir)는 피측정 전선로 전압 실효치(V)와 위상이 같고, 대지용량성 누설전류 실효치(Ic)는 전선로 전압 실효치(V)보다 위상이 90°앞서며, 합성 누설전류 실효치(Ig)는 대지저항성 누설전류 실효치(Ir)와 대지용량성 누설전류 실효치(Ic)의 합으로서 피측정 전선로 전압 실효치(V)보다 위상이 θ만큼 앞선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피측정 전선로의 전원이 고조파가 없는 정현파라면, 피측정 전선로 전압 순시치(v)와, 전압검출회로로부터의 출력신호(v1)는 아래의 수학식 1 및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112019015831888-pat00001
여기서, ω=2πf이고, f는 피측정 전선로의 전원 주파수이다.
Figure 112019015831888-pat00002
여기서, K1은 전압검출회로의 이득이다.
또한, 구형파변환회로의 출력신호(v2)는, v1의 극성이 정(+)이면, 즉 0 < ωt < π 이면, v2는 + K2이고, v1의 극성이 부(-)이면, 즉 π < ωt < 2π 이면, v2는 - K2이다.
한편, 피측정 전선로의 합성 누설전류가 고조파 없는 정현파라면, 피측정 전선로의 합성 누설전류순시치(ig)와, 전류검출회로의 2차측 출력신호(ih)와, 전류전압변환회로의 출력신호(v3)는 아래의 수학식 3, 수학식 4, 수학식 5와 같다.
Figure 112019015831888-pat00003
여기서, Ig는 합성 누설전류 실효치이고, θ는 피측정 전선로 전압 순시치(v)와 합성 누설전류 순시치(ig)와의위상각이다.
Figure 112019015831888-pat00004
여기서, K3는 전류검출회로의 변류비이다.
Figure 112019015831888-pat00005
여기서, K4는 전류전압변환회로의 이득이다.
선택유닛은 구형파변환회로의 출력신호의 극성에 따라서 전류전압변환회로의 출력신호(v3)와 극성변환회로의 출력신호(-v3)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므로, 선택유닛의 출력신호(p)는 구형파변환회로의 출력신호(v2) 극성이 정(+)인 경우에는 아래의 수학식 6으로, 부(-)인 경우에는 아래의 수학식 7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9015831888-pat00006
Figure 112019015831888-pat00007
상기 저주파통과필터는 승산회로의 출력신호(p)에 포함된 모든 고조파 신호를 걸러내기 때문에, 저주파통과필터의 출력신호(S)는 출력신호(p)의 평균치에 해당하는 직류신호가 된다.
따라서, 상기 저주파통과필터의 출력신호(S)는 아래의 수학식 8과 같다.
Figure 112019015831888-pat00008
Figure 112019015831888-pat00009
Figure 112019015831888-pat00010
따라서, 상기 전압검출회로를 피측정 전선로에 접속하고, 상기 전류검출회로으로 피측정 전선로를 감싸면, 저주파통과필터를 통해서 대지저항성 누설전류(Ir)가 출력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점부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기 차단기 접점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점부에 분기 차단기 접점부가 연결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 내지 9를 참조하면, 상기 접점부(400)는 접점판(410), 절곡형 탄성부(420) 및 스프링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점판(410)은 판 형상으로 일단에 통공(412)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통공(412)에 볼트가 체결됨으로써 제1 및 제2 케이블(145, 147)과 연결된다.
상기 절곡형 탄성부(420)는 상기 접점판(410)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되어 있다.
상기 절곡형 탄성부(420)는 상부판(422), 상기 상부판(422)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1차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는 제1 절곡판(424), 상기 제1 절곡판(424)로부터 다시 상부방향으로 2차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는 제2 절곡판(426), 상기 제2 절곡판(426)의 단부로부터 상부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있는 끼움판(4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판(422)에는 통공(421)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통공(421)에 볼트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절곡형 탄성부(420)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부(430)는 상기 절곡형 탄성부(420)의 끼움판(428)에 끼워져 체결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스프링부(43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차 절곡된 제2 절곡판(426)과 상기 상부판(422) 사이(즉, 끼움판(428))에 끼워져 체결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스프링부(430)는 상기 절곡형 탄성부(420)가 상기 접점판(410)에 대하여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왕복 운동을 수행하는 데 원동력이 되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절곡형 탄성부(420)는, 상기 스프링부(430)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접점판(410)에 대하여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왕복 운동의 수행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접점판(410)과 상기 절곡형 탄성부(420) 사이로 상기 분기 차단기 접점부(210)가 착탈가능하게 체결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접점판(410)과 상기 절곡형 탄성부(420) 사이로 상기 분기 차단기 접점부(210)의 체결판(214)이 끼워지게 되면 분기 차단기 접점부(210)와 접점부(400)가 연결된다.
이 때, 상기 스프링부(430)는 상기 분기 차단기 접점부(210)의 체결판(214)을 가압함으로써 분기 차단기 접점부(210)와 접점부(400)의 연결을 견고하게 한다.
반대로, 상기 접점판(410)과 상기 절곡형 탄성부(420) 사이로부터 상기 분기 차단기 접점부(210)의 체결판(214)이 빠지게 되면 분기 차단기 접점부(210)와 접점부(400)가 분리된다.
도 3 및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기 차단기 접점부(210)는 플레이트부(212) 및 체결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부(212)에는 분기 차단기(200)와의 연결을 위한 통공(216)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통공(216)을 분기 차단기(200)와의 연결 부위에 위치시킨 후 볼트 체결을 하면 분기 차단기 접점부(210)가 분기 차단기(200)에 연결된다.
상기 체결부(214)는 상기 플레이트부(212)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판 형상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기 차단기 접점부(210)를 접점부(400)에 끼웠다 빼었다 함으로써 분기 차단기(200)와 콘센트형 분전반 유니트(100)의 연결 및 분리가 용이한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분기 차단기(200)와 콘센트형 분전반 유니트(100)의 연결 및 분리를 위해 일일히 볼트를 체결하거나 볼트를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져 분전반 설치와 유지보수 작업이 신속해지고, 전기 분야의 비전문가들도 분전반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단락 사고 등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주 차단기, 분기 차단기, 누설전류 검지부, 접점부가 하나의 유니트 형태로 구비되어 있어서, 분전반에의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누설전류 검지부의 디스플레이를 통한 누설전류의 확인도 용이한 효과가 있다.
다시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상기 콘센트형 분전반 유니트(100)는 케이스(1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150)에는 상기 주 모선부(110), 상기 분기 모선부(120), 상기 누설전류 검지부(140), 및 상기 접점부(4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50)는 절연 재질로 이루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150)에는 분전반(도 10, 3000)에의 설치를 위한 설치공(152)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설치공(152)에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가 분전반(3000)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50)에는 커버(160)가 덮힐 수 있다. 상기 커버(160)는 주 모선부(110)와 분기 모선부(120) 등이 노출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전기 사고 등의 위험을 예방하는 효과를 도모한다. 상기 커버(160) 역시 절연 재질로 이루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60)에는 상기 누설전류 검지부(140)의 디스플레이(149)가 노출될 수 있도록 개구부(16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커버(160)에 노출되어 있는 디스플레이(149)를 통해 작업자는 누설전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형 분전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형 분전반(3000)은 주 차단기(2000), 상기 주 차단기(2000)의 2차 측에 연결되어 상기 주 차단기(2000) 측으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1000a), 상기 제1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1000a)에 연결되는 제2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1000b), 및 상기 제2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1000b)에 연결되는 제3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1000c)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는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1000)가 세 개 설치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1000)는 한 개, 두 개 또는 네 개 이상일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형 분전반에서 복수의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형 분전반(3000)에 설치된 제1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1000a)와 제2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1000b)는 각각의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의 주 모선부(110)를 볼트 체결함으로써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1000a, 1000b)의 주 모선부(110)가 연결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1000a)의 주 모선부(110)의 하단부 위로 제2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1000b)의 주 모선부(110)의 상부방향으로 단차진 부분(상단부)을 위치시키고, 제1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1000a)의 주 모선부(110)의 홀(118)과 제2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1000b)의 주 모선부(110)의 홀(116)에 볼트(미도시)를 체결하게 되면 제1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1000a)와 제2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1000b)를 상호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복수의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는 순차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주 모선부(110)의 일단부가 상부 방향으로 단차쳐 형성되는 있는 특징으로 인해 복수의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가 상호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하다.
도 11에는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1000a, 1000b)에는 커버가 덮혀져 있는 않으나 안전성 제고를 위해서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1000a, 1000b)에 커버가 덮혀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콘센트형 분전반 유니트
110 주 모선부
120 분기 모선부
140 누설전류 검지부
200 분기 차단기
210 분기 차단기 접점부
400 접점부
1000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2000 주 차단기
3000 콘센트형 분전반

Claims (10)

  1. 수평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주 모선부를 구비한 콘센트형 분전반 유니트; 및
    상기 콘센트형 분전반 유니트의 양 단부에 각각 체결되는 한 쌍의 분기 차단기;를 포함하고,
    상기 콘센트형 분전반 유니트는,
    상기 주 모선부와 연결되는 한 쌍의 분기 모선부;
    상기 분기 모선부와 연결되는 누설전류 검지부; 및
    상기 누설전류 검지부와 연결되는 접점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접점부는,
    통공이 마련되어 있는 접점판; 으로서 상기 통공과 상기 누설전류 검지부의 일단부가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됨,
    상기 접점판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되어 있고,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접점판에 대하여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왕복 운동을 수행하는 절곡형 탄성부; 로서, 상기 절곡형 탄성부는, 상부판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1차 절곡되고, 다시 상부방향으로 2차 절곡된 형상을 가짐, 및
    상기 2차 절곡된 부분과 상기 상부판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분기 차단기의 각각은 분기 차단기 접점부를 구비하며,
    상기 분기 차단기 접점부는 통공이 마련된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판 형상의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기 차단기 접점부의 체결부가 상기 접점판과 상기 절곡형 탄성부 사이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분기 차단기 접점부가 상기 콘센트형 분전반 유니트의 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 모선부의 각각은,
    복수의 홀을 구비한 판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의 주 모선부는 일 단부가 상부방향으로 단차져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분기 모선부의 각각은,
    판상부; 및
    상기 판상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에는 상기 주 모선부와의 연결을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전류 검지부는,
    상기 한 쌍의 분기 모선부 중 일 분기 모선부의 양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케이블;
    상기 한 쌍의 분기 모선부 중 다른 분기 모선부의 양 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2 케이블;
    상기 제1 케이블 및 상기 제2 케이블이 통과되며, 영상 전류를 검출하는 한쌍의 영상변류기(ZCT);
    상기 제1 케이블이 통과되는 한 쌍의 변류기(CT); 및
    검지된 누설전류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판의 통공이 상기 제1 또는 제2 케이블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과 볼트 체결됨으로써 상기 접점부와 상기 누설전류 검지부가 연결되는,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8. 삭제
  9. 주 차단기; 및
    상기 주 차단기의 2차 측에 연결되어 상기 주 차단기 측으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 항, 제3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형 분전반에 상기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가 복수 개 설치되는 경우, 각각의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의 주 모선부를 상호 체결함으로써 복수의 상기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KR1020190017374A 2019-02-14 2019-02-14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KR102273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374A KR102273792B1 (ko) 2019-02-14 2019-02-14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374A KR102273792B1 (ko) 2019-02-14 2019-02-14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411A KR20200099411A (ko) 2020-08-24
KR102273792B1 true KR102273792B1 (ko) 2021-07-06

Family

ID=72235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7374A KR102273792B1 (ko) 2019-02-14 2019-02-14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379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388B1 (ko) * 2007-10-04 2008-12-18 엘씨파워코리아(주) 모듈화된 블록식 전원분배장치의 연결구조
KR100988056B1 (ko) 2009-09-08 2010-10-18 태인전력시스템(주)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
KR101039313B1 (ko) * 2008-06-04 2011-06-08 권영민 모니터링이 가능한 조립식 전원분배장치
KR101062854B1 (ko) * 2010-07-16 2011-09-07 일성이앤지(주) 인출형 핸디툴 및 이를 구비한 분전반
KR101120950B1 (ko) 2010-06-01 2012-03-06 삼익티에이치케이 주식회사 분전반
KR101859083B1 (ko) 2016-09-06 2018-06-28 주식회사 가보테크 가로등 분전함의 모듈형 분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8583B1 (en) 2001-08-31 2003-01-24 Bestec Co Ltd Bus connection structure of cabinet and distribution panel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388B1 (ko) * 2007-10-04 2008-12-18 엘씨파워코리아(주) 모듈화된 블록식 전원분배장치의 연결구조
KR101039313B1 (ko) * 2008-06-04 2011-06-08 권영민 모니터링이 가능한 조립식 전원분배장치
KR100988056B1 (ko) 2009-09-08 2010-10-18 태인전력시스템(주)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
KR101120950B1 (ko) 2010-06-01 2012-03-06 삼익티에이치케이 주식회사 분전반
KR101062854B1 (ko) * 2010-07-16 2011-09-07 일성이앤지(주) 인출형 핸디툴 및 이를 구비한 분전반
KR101859083B1 (ko) 2016-09-06 2018-06-28 주식회사 가보테크 가로등 분전함의 모듈형 분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411A (ko) 2020-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7861B2 (en) Utility meter bypass systems, methods, and devices
CN207472938U (zh) 一种电表计量板
CN203811662U (zh) 一种高压开关柜的电力仪表
CN209169079U (zh) 组合式断路器连接器
KR102273714B1 (ko) 콘센트형 분전반 유니트,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KR102273792B1 (ko)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CN105940579B (zh) 具有分布式节距的汇流条上的混合中性插头
KR102273791B1 (ko)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KR102273790B1 (ko) 콘센트형 분전반 유니트,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KR102203122B1 (ko)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KR102114328B1 (ko)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CN103701060A (zh) 铠装移开式交流金属封闭开关柜
WO2015147731A1 (en) Electric connection device for connection of a ground wire to a safety ground
KR102203124B1 (ko)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CN109509686A (zh) 组合式断路器连接器
CN213341408U (zh) 一种新型抽出式开关柜接地装置
CN205543818U (zh) 能实现直流侧通断的家庭光伏电站用交直流防雷箱
CN209328780U (zh) 一种变压器低压侧刀闸
CN203085987U (zh) 一进多出电源分支器
CN203760868U (zh) 一种低压配电箱
CN209233187U (zh) 配电柜
CN205752614U (zh) 开关设备配线通用装置b型
CN103390807A (zh) 可变通用接地线组件
CN218995523U (zh) 一种适用于发电机同期并网的高可靠性核相装置
CN1127187C (zh) 电力电缆分接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