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7065B1 - 승강기 도어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승강기 도어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7065B1
KR100967065B1 KR1020100015546A KR20100015546A KR100967065B1 KR 100967065 B1 KR100967065 B1 KR 100967065B1 KR 1020100015546 A KR1020100015546 A KR 1020100015546A KR 20100015546 A KR20100015546 A KR 20100015546A KR 100967065 B1 KR100967065 B1 KR 100967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car
bracket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5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재진
Original Assignee
양재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진 filed Critical 양재진
Priority to KR1020100015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70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7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7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2Arrangements for effecting simultaneous opening or closing of cage and landing doors
    • B66B13/125Arrangements for effecting simultaneous opening or closing of cage and landing doors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 또는 사람을 각층으로 운반할 수 있는 승강기의 카 도어와 건물 각층에 구비된 홀 도어를 동시에 개폐할 수 있는 승강기 도어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여 잔고장의 발생률이 현저히 낮으면서도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여 안전사고의 발생률이 낮은 승강기 도어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브라켓의 방향 전환에 의해서 카 도어와 홀 도어가 동시에 개폐되도록 구성되므로 그 구성이 비교적 간단하여 잔고장 발생률이 낮아 유지관리에 장점이 있고, 브라켓의 방향 전환을 센싱하여 작동 신호를 인가하게 되므로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여 안전사고의 발생률이 낮음과 동시에 카 도어와 홀 도어의 충돌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승강기 도어 개폐 장치{A opening and shutting device of elevator door}
본 발명은 화물 또는 사람을 각층으로 운반할 수 있는 승강기의 카 도어와 건물 각층에 구비된 홀 도어를 동시에 개폐할 수 있는 승강기 도어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여 잔고장의 발생률이 현저히 낮으면서도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여 안전사고의 발생률이 낮은 승강기 도어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강기 즉, 엘리베이터는 건물에 형성된 수직 방향의 통로 내부에 사람 또는 화물이 탑승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되 도어를 구비한 카와, 상기 카를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 시킬 수 있는 권양기를 포함한 구동기구 및 카의 승하강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반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구동기구의 작동으로 카를 원하는 층으로 승하강 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도어는 카 측에 구비된 카 도어와 건물의 각 층 탑승장에 구비된 홀 도어로 구성되며, 카가 원하는 층에 멈추게 되면 승강기 도어 개폐 장치에 의해서 카 도어가 열리면서 홀 도어를 같이 열어 사람이나 화물이 탑승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승강기 도어 개폐 장치는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0927651호에 개시되어 있는데, 이를 살펴보면 상하로 이동되는 카 도어와 홀 도어 사이에는 링크수단을 구비해두고 카 도어가 열릴 때 그 링크수단이 이동 절곡되면서 홀 도어를 같이 열릴 수 있도록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즉, 카 도어의 전면에 링크수단을 설치하고, 홀 도어에는 돌출부를 구비하여 카 도어의 개폐시 링크수단이 돌출부에 결합되어 홀 도어와 카 도어가 같이 작동되도록 구현되어 있으며, 카 도어가 닫히게 되면 링크수단과 돌출부가 서로 분리되어 카의 승하강 작동시에는 서로 충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링크수단은 제1링크, 한 쌍의 연결링크 및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1링크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되면서 한 쌍의 연결링크가 돌출부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면서 도어를 개폐하게 되는데 이런 과정에서, 제1링크가 가이드 레일을 이탈하거나 한 쌍의 연결링크가 돌출부에 정확하게 결합되지 않게 되면 홀 도어의 개폐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뿐 아니라 개폐 작동 도중에 상기와 같이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홀 도어가 추락하는 등의 안전사고 발생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수단의 구성이 비교적 복잡하여 상기 제1링크나 연결링크 등이 장시간 사용하는 도중 제 위치에서 조금만 이탈되어도 카의 승하강 작동시 홀 도어의 돌출부와 서로 충돌하는 등의 유지관리에 있어서도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잔고장의 발생률이 현저히 낮으면서도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여 안전사고의 발생률이 낮음과 동시에 카 도어와 홀 도어의 충돌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승강기 도어 개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 내부에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카에 설치된 카 도어와, 건물 각층에 설치된 홀 도어를 동시에 개폐하는 승강기 도어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에 설치되어 상기 카 도어를 개폐하도록 작동되는 개폐수단; 상기 홀 도어의 후면에 설치되는 돌출부; 상기 카 도어의 전면에 설치되어 회동 작동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회동축에 설치되어 카의 상하 이동시에는 상하로 개방된 형상을 가져 상기 홀 도어에 설치된 돌출부와 충돌하지 않고 이동되며, 상기 카 도어와 홀 도어의 동시 개폐시에는 구동모터의 회동 작동에 의해 방향 전환되어 상하측이 막힌 형상을 가져 상기 돌출부를 지지한 채 상기 개폐수단의 동작에 따라 홀 도어를 개폐시키는 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구동모터에는 상기 브라켓의 방향 전환시 정확한 방향 전환이 이루어졌는지를 센싱하여 작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는 한 쌍의 센서부재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브라켓 내부에는 홀 도어의 개폐시 돌출부를 자력에 의해 부착하여 더욱 안전하게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브라켓이 홀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방향 전환되었을 때에만 자력이 발생되는 전자석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카에 설치되는 회동모터; 상기 회동모터와 체인을 매개로 연결되며, 외주연에 제1홈과 제2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드럼; 상기 드럼의 제1홈과 제2홈을 각각 경유하여 일단이 상기 카 도어에 부착되는 한 쌍의 와이어; 및 상기 한 쌍의 와이어 타단에 부착되어 카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중량의 웨이터;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브라켓의 방향 전환에 의해서 카 도어와 홀 도어가 동시에 개폐되도록 구성되므로 그 구성이 비교적 간단하여 잔고장 발생률이 낮아 유지관리에 장점이 있고, 브라켓의 방향 전환을 센싱하여 작동 신호를 인가하게 되므로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여 안전사고의 발생률이 낮음과 동시에 카 도어와 홀 도어의 충돌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도어 개폐 장치가 설치된 승강기를 도시한 개략적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a선 단면에 의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개폐수단을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돌출부, 구동모터 및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5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돌출부, 구동모터 및 브라켓의 작동관계를 보인 개략적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구동모터 및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의 "가"와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도어 개폐 장치의 작동관계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승강기 도어 개폐 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도어 개폐 장치가 설치된 승강기를 도시한 개략적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a선 단면에 의한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승강기 도어 개폐 장치(100)는 크게 개폐수단(110), 돌출부(120), 구동모터(130) 및 브라켓(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개폐수단(110)은 승강기(1)의 카(10)에 설치되어 카 도어(20)를 개폐하도록 작동되는 것으로, 상기 카(10)의 프레임(12) 일측에 설치되는 회동모터(112)와, 상기 회동모터(112)와 체인(c)을 매개로 연결되는 드럼(114)과, 상기 드럼(114)을 경유하여 일단이 상기 카 도어(20)에 부착되는 한 쌍의 와이어(116) 및 상기 한 쌍의 와이어(116) 타단에 부착되어 드럼(114)의 회전시 카 도어(20)가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중량의 웨이터(118)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카(10)의 프레임(12)에 설치된 채 한 쌍의 와이어(116)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면서 지지하게 되는 도르래(119)를 더 포함하는데, 이의 상세한 구성관계는 하기에서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
한편, 상기 승강기(1)는 일반적으로 널리 공지되어 있음은 물론이고 종래기술에서도 소개되고 있는 바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건물에 형성된 수직 방향의 통로 내부에 사람 또는 화물이 탑승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며 여기서는 미도시된 승하강수단에 의해 승하강 작동되되 상측에는 소정 길이로 연장된 프레임(12)이 구비된 카(10)와, 상기 카(10)의 전면에 설치되는 카 도어(20)와, 상기 건물의 각 탑승장에 설치되어 상기 카 도어(20)의 개폐 작동시 같이 개폐되는 홀 도어(30) 및 승강기(1) 전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반(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 발명에서 예시한 승강기(1)는 카 도어(20)와 홀 도어(30)가 상하로 개폐 작동되는 화물용 승강기를 도시하고 있음을 인지해야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2)에는 카 도어(20)의 상측 개폐시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하는 방진고무(50)가 추가로 설치된다.
계속해서, 상기 돌출부(120)는 상기 홀 도어(30)의 후면에서 카 도어(20) 쪽으로 돌출 설치되는 것으로, 원통형 형상의 금속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작동시 충돌로 인한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외주연으로 패킹을 구비하는 것도 고려해볼만 하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모터(130)는 상기 카 도어(20)의 전면에 설치되어 회동 작동되는 것으로, 여기서는 미도시 되었으나 구동모터(130)의 회전력을 감속시키는 감속기가 미부호 설명인 케이싱 내에 내장되고, 구동모터(130)는 이 감속기와 연결된 회동축(132)을 통해서 출력하게 되는데, 상기 회동축(132)과 상기 돌출부(120)의 중심은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브라켓(140)은 상기 구동모터(130)의 회동축(132)에 설치되어 카(10)의 상하 이동시에는 상하로 개방된 형상을 가져 상기 홀 도어(30)에 설치된 돌출부(120)와 충돌하지 않고 이동되며, 상기 카 도어(20)와 홀 도어(30)의 동시 개폐시에는 구동모터(130)의 회동 작동에 의해 방향 전환되어 상하측이 막힌 형상을 가져 상기 돌출부(120)를 지지하여 상기 개폐수단(110)의 동작에 따라 홀 도어(30)를 개폐시키게 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승강기 도어 개폐 장치(100)인 개폐수단(110)은 카(10)의 상측에 설치되어 카 도어(20)와 연결되고, 돌출부(120), 구동모터(130) 및 브라켓(140)은 카 도어(20)와 홀 도어(30)의 사이에 설치됨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폐수단(110)의 회동모터(112)와 구동모터(130)는 승강기(1)의 제어반(40)과 연동해서 작동되도록 구성하여 카(10) 이동과 도어(20,30) 열림 등의 작동을 전체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의 상세한 구성과 작용관계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개폐수단을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돌출부, 구동모터 및 브라켓을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돌출부, 구동모터 및 브라켓의 작동관계를 보인 개략적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구동모터 및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개폐수단(11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동모터(112)와, 상기 회동모터(112)와 체인(c)을 매개로 연결되는 드럼(114)과, 상기 드럼(114)을 경유하여 일단이 카 도어(20)에 부착되는 한 쌍의 와이어(116) 및 상기 한 쌍의 와이어(116) 타단에 부착되어 카 도어(20)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중량의 웨이터(118)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도르래(119)를 더 포함하게 되는데, 상기 드럼(114)의 외주연에는 제1홈(115a)과 제2홈(115b)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와이어(116)는 상기 제1홈(115a)과 제2홈(115b)에 각각 삽입된 채 드럼(114)을 경유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회동모터(112)가 시계 방향인 실선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이와 체인(c)을 매개로 연결된 드럼(114)이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드럼(114)을 경유하고 있는 한 쌍의 와이어(116)의 끝단에 부착된 중량의 웨이터(118)가 하향 작동하면서 카 도어(20)를 상승시켜 개폐 하게 된다. 반대로, 회동모터(112)가 시계 반대방향인 파선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드럼(114) 또한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드럼(114)을 경유하고 있는 한 쌍의 와이어(116) 끝단에 부착된 카 도어(20)가 하향됨과 아울러 웨이터(118)가 상승 작동하면서 밀폐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카 도어(20)의 승하강시 중량의 웨이터(118)가 지지하게 되므로 카 도어(20)는 안정적으로 작동될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카 도어(20)가 회동모터(112)와 체인(c)을 통해서 직접 연결된 것이 아니라 드럼(114)을 경유하고 있는 와이어(116)에 연결된 구성을 가지므로 만약 카 도어(20)의 하향 작동시 그 사이에 화물이나 사람이 위치하게 되어도 카 도어(20)가 체인(c)을 통해서 직접 연결된 종래에 비해 비교적 안전하다. 즉, 카 도어(20)가 체인(c)을 통해서 회동모터(112)와 직접 연결되면 회동모터(112)의 회전수가 카 도어(20)에 직접 전달되어 카 도어(20)를 하향시키게 되므로 오작동시 카 도어(20) 하측에 화물이나 사람이 위치하게 되면 회동모터(112)의 회전력을 직접 전달 받아 하향되는 카 도어(20)에 의해서 상당한 위험이 초래되나 드럼(114)을 경유하는 와이어(116)를 통해서 카 도어(20)를 승하강 시키게 되면 동일한 오작동이 발생되더라도 와이어(116)가 경유하고 있는 드럼(114)에서 헛돌게 되므로 카 도어(20)의 하중만이 전달되므로 비교적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카(10)에 설치된 카 도어(20)는 상기 개폐수단(110)에 의해서 개폐 작동됨을 알 수 있으며, 홀 도어(30)는 후술할 돌출부(120), 구동모터(130) 및 브라켓(140)에 의해서 카 도어(20) 개폐시 같이 개폐 작동되는데,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도 4를 참조로 하면, 파선으로 도시된 홀 도어(30)와 카 도어(20) 사이에는 돌출부(120), 구동모터(130) 및 브라켓(140)이 위치되는데, 상기 돌출부(120)는 상기 홀 도어(30) 후면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130)는 카 도어(20)의 전면에 설치되고, 브라켓(140)은 상기 구동모터(130)의 회동축(132)에 설치된다. 물론, 도면에는 이해를 돕기 위해 상기 홀 도어(30)와 카 도어(20)를 이격시켜서 돌출부(120)와 브라켓(140)이 서로 분리되어 있으나 상기 돌출부(120)는 브라켓(140) 내부에 위치된 상태로 결합하게 됨을 인지해야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130)의 회동축(132)을 중심으로 좌상귀 부분과 우하귀 부분에는 센서부재(150)의 제1센서(152) 및 제2센서(154)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회동축(132)에 부착된 브라켓(140)은 평면상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동축(132)의 회전 방향을 따라 방향 전환되는데, 상기 구동모터(130)는 회동축(132)에 설치된 브라켓(140)이 상하로 개방된 형상을 유지하도록 최초 셋팅된 후 90도 회전되어 좌우로 개방된 형상을 가지도록 하거나 다시 최초 셋팅된 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반복 회전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상태에서, 도 5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130)의 회동축(132)에 설치된 브라켓(140)은 상하로 개방된 형상을 가지게 되므로 비록 그 내부에 돌출부(120)가 구비되어도 카(10)는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되므로 그 승하강 동작시에 서로 충돌이 발생되지 않게 될 것이다. 여기서는 미도시 되었으나 상기 구동모터(130) 및 브라켓(140)은 카(10)에 설치된 카 도어(20)측에 설치되고, 돌출부(120)는 홀 도어(30)측에 설치되어 있음은 자명하다.
그리고,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130)의 회전에 의해 브라켓(140)이 90도 각도로 전환되면 상하로 막히고, 좌우로 개방된 형상을 가지게 됨을 알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개폐수단(110)의 작동에 의해서 카 도어(20)가 상승하게 되면 브라켓(140) 내부에 위치된 돌출부(120)가 브라켓(140)에 지지되어 홀 도어(30) 또한 같이 상승 가능한 것이고, 반대로 카 도어(20)가 하강하게 되면 홀 도어(30) 또한 결합된 채 같이 하강하게 가능한 것이다.
이렇게 상기 브라켓(140)이 방향 전환되는 과정에서, 센서부재(15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하다. 즉, 브라켓(140)이 최초 셋팅된 위치(상하로 개방된 형상)에서 회전되어 제2센서(154)를 터치하게 되면 카 도어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개폐수단(110)의 회동모터(112)로 작동 신호를 인가하게 되고, 브라켓(140)이 다시 최초 위치로 복원되면서 제1센서(152)를 터치하게 되면 여기서는 미도시 하였으나 카(10)가 승하강될 수 있도록 신호를 인가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제2센서(154)로부터 센싱되면 홀 도어(30)와 카 도어(20)가 브라켓(140)을 매개로 서로 결합된 상태이고, 제1센서(152)로부터 센싱되면 홀 도어(30)와 카 도어(20)가 분리된 상태임을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만약, 브라켓(140)이 제1센서(152)나 제2센서(154)를 터치하지 않게 되면 모든 다음 작동이 중지되도록 하여 오작동에 의해 브라켓(140)이 완전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카 도어(20)의 개방이나 카(10) 자체의 승하강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브라켓(140)과 돌출부(140)가 충돌되는 그런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게 되는 것이므로 센서부재(15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40)에는 전자석(160)이 매설되어 보다 안전한 작동이 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즉, 브라켓(140)이 좌우로 개방된 형상으로 방향전환 되면서 제2센서(154)를 터치하게 되면 전류를 공급하여 자력이 발생토록 하여 홀 도어(30)측에 부착된 돌출부(120)를 부착하여서 개폐 작동시 돌출부(120)와 브라켓(140)이 무단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인 작동이 되도록 하며, 브라켓(140)이 다시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제1센서(152)를 터치하게 되면 전류를 차단하여 더 이상 자력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카(10) 승하강 작동시에는 간섭하지 않도록 구성하여 보다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제,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서 작동되는 본 발명의 승강기 도어 개폐 장치(100)의 전체적인 작동관계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의 "가"와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도어 개폐 장치의 작동관계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이다.
먼저, "가"를 참조로 하면, 카(10)에는 카 도어(20)가 설치되어 있고, 프레임(12)에는 상기 카 도어(20)를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수단(110)인 회동모터(112)가 설치되어 있으며, 와이어(116)의 일단은 여기서는 미도시된 드럼(114)을 경유하여 카 도어(20)의 상측에 설치된다. 물론, 상기 와이어(116)의 타단은 여기서는 미도시된 웨이터(118)에 설치됨은 당연하다.
이때, 일부 확대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카 도어(20)에 설치된 구동모터(130)의 회동축(132)에 구비된 브라켓(140)은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형상을 가지게 되므로 카(10)와 함께 카 도어(20)는 건물의 높이를 따라 승하강되어도 홀 도어(30)측에 구비된 돌출부(120)와 서로 충돌하지 않으면서 이동된다.
여기서, 카 도어(20) 및 홀 도어(30)를 동시에 개폐하고자 하면 "나"의 일부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130)를 작동시켜 그 회동축(132)에 구비된 브라켓(140)을 90도 방향 전환시켜 브라켓(140)이 상하는 막히고 좌우로 개방되도록 한 뒤 개폐수단(110)인 회동모터(112)를 작동시켜서 카 도어(20)를 상승시키게 되면 브라켓(140)에 홀 도어(30)측에 구비된 돌출부(120)가 걸려 같이 상승하면서 카 도어(20)와 홀 도어(30)가 동시에 개폐하게 된다. 그리고, 회동모터(112)를 반대로 작동시키게 되면 카 도어(20)와 홀 도어(30)가 하강하여 폐쇄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130)의 회동축(132) 일측에는 여기서는 미도시 되었으나 제1센서(152) 및 제2센서(154)가 구비되어 브라켓(140)의 정확한 방향 전환을 센싱하여 작동 신호를 인가하게 되므로 오작동에 의한 훼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카 도어(20) 및 홀 도어(30)를 동시에 개폐코자 할 때 브라켓(140)이 방향 전환되면서 제2센서(154)를 터치하게 되어야 카 도어(20)를 개폐하는 회동모터(112)가 작동할 수 있게 되고, 반대로 브라켓(140)이 제1센서(152)를 터치해야 카(10) 자체가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카(10)의 승하강시 카 도어(20)측에 구비된 브라켓(140)과 홀 도어(30)측에 구비된 돌출부(120)와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고, 도어 개폐시에도 정확하게 방향 전환된 후 개폐되므로 보다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승강기 도어 개폐 장치(100)에 의하면, 브라켓(140)의 방향 전환에 의해서 카 도어(20)와 홀 도어(30)가 동시에 개폐되도록 구성되므로 그 구성이 비교적 간단하여 잔고장 발생률이 낮아 유지관리에 장점이 있고, 브라켓(140)의 방향 전환을 센싱하여 작동 신호를 인가하게 되므로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여 안전사고의 발생률이 낮음과 동시에 카 도어와 홀 도어의 충돌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1 : 승강기 10 : 카
12 : 프레임 20 : 카 도어
30 : 홀 도어 40 : 제어반
50 : 방진고무 100 : 승강기 도어 개폐 장치
110 : 개폐수단 112 : 회동모터
114 : 드럼 116 : 와이어
118 : 웨이터 119 : 도르래
120 : 돌출부 130 : 구동모터
132 : 회동축 140 : 브라켓
150 : 센서부재 160 : 전자석

Claims (4)

  1. 건물 내부에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카에 설치된 카 도어와, 건물 각층에 설치된 홀 도어를 동시에 개폐하는 승강기 도어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에 설치되어 상기 카 도어를 개폐하도록 작동되는 개폐수단;
    상기 홀 도어의 후면에 설치되는 돌출부;
    상기 카 도어의 전면에 설치되어 회동 작동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회동축에 설치되어 카의 상하 이동시에는 상하로 개방된 형상을 가져 상기 홀 도어에 설치된 돌출부와 충돌하지 않고 이동되며, 상기 카 도어와 홀 도어의 동시 개폐시에는 구동모터의 회동 작동에 의해 방향 전환되어 상하측이 막힌 형상을 가져 상기 돌출부를 지지한 채 상기 개폐수단의 동작에 따라 홀 도어를 개폐시키는 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구동모터에는 상기 브라켓의 방향 전환시 정확한 방향 전환이 이루어졌는지를 센싱하여 작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는 한 쌍의 센서부재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도어 개폐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내부에는 홀 도어의 개폐시 돌출부를 자력에 의해 부착하여 더욱 안전하게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브라켓이 홀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방향 전환되었을 때에만 자력이 발생되는 전자석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도어 개폐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카에 설치되는 회동모터;
    상기 회동모터와 체인을 매개로 연결되며, 외주연에 제1홈과 제2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드럼;
    상기 드럼의 제1홈과 제2홈을 각각 경유하여 일단이 상기 카 도어에 부착되는 한 쌍의 와이어; 및
    상기 한 쌍의 와이어 타단에 부착되어 카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중량의 웨이터;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도어 개폐 장치.
KR1020100015546A 2010-02-22 2010-02-22 승강기 도어 개폐 장치 KR100967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546A KR100967065B1 (ko) 2010-02-22 2010-02-22 승강기 도어 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546A KR100967065B1 (ko) 2010-02-22 2010-02-22 승강기 도어 개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7065B1 true KR100967065B1 (ko) 2010-06-29

Family

ID=42370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5546A KR100967065B1 (ko) 2010-02-22 2010-02-22 승강기 도어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70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22075A (zh) * 2017-09-11 2017-12-29 广西建工集团第三建筑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施工电梯门的自动启闭装置
KR101960932B1 (ko) * 2017-10-31 2019-03-21 누리엔지 엔지니어링(주) 화물용 승강기의 도어 연동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39820U (ko) * 1971-09-13 1973-05-18
JPS4982042A (ko) * 1972-12-13 1974-08-07
KR100462453B1 (ko) 2004-06-18 2004-12-17 유병배 엘리베이터 출입문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39820U (ko) * 1971-09-13 1973-05-18
JPS4982042A (ko) * 1972-12-13 1974-08-07
KR100462453B1 (ko) 2004-06-18 2004-12-17 유병배 엘리베이터 출입문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22075A (zh) * 2017-09-11 2017-12-29 广西建工集团第三建筑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施工电梯门的自动启闭装置
KR101960932B1 (ko) * 2017-10-31 2019-03-21 누리엔지 엔지니어링(주) 화물용 승강기의 도어 연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27347B2 (ja) 電動車プラットフォーム安全装置
JP2006199404A (ja) エレベータの終端安全装置
CN109476456B (zh) 电梯装置和电梯
KR20170058417A (ko)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
JP5755033B2 (ja) ドア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装置
CN109476458B (zh) 用以打开电梯轿厢的轿厢顶的电梯装置
KR20090026402A (ko) 카도어 잠금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클러치 구조
JP2012180209A (ja) エレベータのドラフト風対策ドア装置
JP5616195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1036020B1 (ko) 산업용 리프트의 추락방지장치
JP5571130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967065B1 (ko) 승강기 도어 개폐 장치
JP2626398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7131402A (ja)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
JP5683900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5931003B2 (ja) エレベータ装置および戸開走行挟まれ防止方法
JP2010030725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20140003918A (ko) 중추 리미트 장치
JP5541372B2 (ja) エレベーターの終端階強制減速装置
JP2005008383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791857B1 (ko) 엘리베이터용 하부체대구조
JP6197705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3049974A (ja) 立体駐車装置
KR102247668B1 (ko) 건설 리프트 개폐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 리프트 장치
JPH06345367A (ja) 二階用簡易エレベ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