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8417A -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8417A
KR20170058417A KR1020177010711A KR20177010711A KR20170058417A KR 20170058417 A KR20170058417 A KR 20170058417A KR 1020177010711 A KR1020177010711 A KR 1020177010711A KR 20177010711 A KR20177010711 A KR 20177010711A KR 20170058417 A KR20170058417 A KR 20170058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r
door
blade
car door
la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0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8911B1 (ko
Inventor
마사야 기타자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58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8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 B66B13/18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without manually-operable devices for completing locking or unlocking of doors
    • B66B13/20Lock mechanisms actuated mechanically by abutments or projections on the c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2Arrangements for effecting simultaneous opening or closing of cage and land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에 있어서, 블레이드 탑재 엘리베이터 칸 도어(12)에는,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해정 위치와 시정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한 시정 부재(48)가 마련되어 있다. 시정 부재(48)에는, 안내부(41)가 마련되어 있다. 블레이드 탑재 엘리베이터 칸 도어(12)의 외부에는, 고정 시정자(42) 및 안내 캠(49)이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이 적정한 착상 위치 이외에 위치할 때에, 블레이드 탑재 엘리베이터 칸 도어(12)가 개방 방향으로 이동하고, 안내부(41)가 안내 캠(49)을 따라서 움직여, 시정 부재(48)가 시정 위치로 변위하고, 시정 부재(48)가 고정 시정자(42)에 걸려, 블레이드 탑재 엘리베이터 칸 도어(12)의 개방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ELEVATOR CAR DOOR DEVIC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개방 방지 기능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에서는, 엘리베이터 칸이 층 사이에 정지한 경우에, 엘리베이터 칸 내의 승객이 엘리베이터 칸 도어를 억지로 열어 승강로 내에 전락(轉落)하지 않도록, 엘리베이터 칸 도어를 시정(施錠)하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락 장치가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되어 있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 락 장치에서는, 승강장측에 해정(解錠)용 캠이 설치되어 있고, 해정용 캠이 있는 개소에 엘리베이터 칸이 착상한 경우만 기계적으로 해정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표 제2008-528399호 공보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록 장치에서는, 모든 층에 해정용 캠을 설치할 필요가 있고, 층 수가 많은 경우에는, 제조 코스트가 비싸짐과 아울러, 설치 부하가 커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간단한 구성에 의해, 층 사이에서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개방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는, 수평으로 슬라이드하여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를 개폐하는 블레이드(blade) 탑재 엘리베이터 칸 도어, 블레이드 탑재 엘리베이터 칸 도어에 마련되어 있고, 또한, 해정(解錠) 대응 위치와, 해정 대응 위치보다도 도어 포켓측의 시정 대응 위치와의 사이에서 블레이드 탑재 엘리베이터 칸 도어에 대해서 수평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는 도어 스톱(stop)측 블레이드, 블레이드 탑재 엘리베이터 칸 도어에 마련되어 있고,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해정 위치와 시정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한 시정(施錠) 부재, 블레이드 탑재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외부에 마련되어 있고, 시정 부재가 시정 위치에 있을 때에 시정 부재가 걸리는 것에 의해 블레이드 탑재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개방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고정 시정자(施錠子), 블레이드 탑재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외부에 마련되어 있는 안내 캠, 및 시정 부재에 마련되어 있는 안내부를 구비하며,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는, 시정 대응 위치측으로의 힘을 상시 받고 있고, 블레이드 탑재 엘리베이터 칸 도어가 전폐(全閉) 상태에 있을 때, 안내부가 안내 캠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시정 부재가 해정 위치에 유지됨과 아울러,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가 해정 대응 위치에 유지되고, 엘리베이터 칸이 적정한 착상 위치에 위치할 때에, 블레이드 탑재 엘리베이터 칸 도어가 개방 방향으로 이동하면, 승강장 도어에 마련된 승강장측 걸림부가 닿아,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의 시정 대응 위치로의 변위가 저지되고, 시정 부재의 시정 위치로의 변위도 저지되며, 엘리베이터 칸이 적정한 착상 위치 이외에 위치할 때에, 블레이드 탑재 엘리베이터 칸 도어가 개방 방향으로 이동하고, 안내부가 안내 캠을 따라서 움직여, 시정 부재가 시정 위치로 변위함과 아울러,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가 시정 대응 위치로 변위하고, 시정 부재가 고정 시정자에 걸려, 블레이드 탑재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개방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이 적정한 착상 위치 이외에 위치할 때에, 블레이드 탑재 엘리베이터 칸 도어가 개방 방향으로 이동하고, 안내부가 안내 캠을 따라서 움직여, 시정 부재가 시정 위치로 변위함과 아울러,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가 시정 대응 위치로 변위하고, 시정 부재가 고정 시정자에게 걸려, 블레이드 탑재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개방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에 의해, 층 사이에서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개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개략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승강장 도어를 승강로측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를 승강장측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V-V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가 개방 방향으로 조금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VII-V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가 개방 방향으로 더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IX-IX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3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를 도어 존(zone) 밖에서 열려고 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개략의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승강로(1)의 상부에는, 기계실(2)이 마련되어 있다. 기계실(2)에는, 권상기(구동 장치)(3), 디플렉팅 쉬브(deflecting sheave)(4), 및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제어반(制御盤))(5)이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3)는, 구동 쉬브(6)와, 구동 쉬브(6)를 회전시키는 권상기 모터(도시하지 않음)와, 구동 쉬브(6)의 회전을 제동하는 권상기 브레이크(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구동 쉬브(6) 및 디플렉팅 쉬브(4)에는, 현가체(7)가 감겨져 있다. 현가체(7)로서는, 복수개의 로프 또는 복수개의 벨트가 이용되어 있다. 현가체(7)의 제1 단부에는, 엘리베이터 칸(8)이 접속되어 있다. 현가체(7)의 제2 단부에는, 균형추(9)가 접속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8) 및 균형추(9)는, 현가체(7)에 의해 승강로(1) 내에 매달려져 있고, 권상기(3)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는, 권상기(3)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8)의 운행을 제어한다.
승강로(1)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8)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과, 균형추(9)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8)은, 현가체(7)가 접속된 엘리베이터 칸 프레임(10)과, 엘리베이터 칸 프레임(10)에 지지된 엘리베이터 칸 실(室)(11)을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 실(11)의 전면(前面)에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수평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를 개폐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12)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8) 상에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12)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도어 컨트롤러(13)가 마련되어 있다.
복수층의 승강장에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수평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에 의해 승강장 출입구를 개폐하는 한 쌍의 승강장 도어(14)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승강장 도어(14)는, 엘리베이터 칸(8)의 착상시에 엘리베이터 칸 도어(12)에 연동하여 개폐 동작한다.
도 2는 도 1의 승강장 도어(14)를 승강로(1)측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승강장 출입구 상부에는, 승강장 도어 프레임(15)이 고정되어 있다. 승강장 도어 프레임(15)에는, 승강장 출입구의 폭방향에 평행한 승강장 도어 레일(16)이 마련되어 있다.
승강장 도어 프레임(15)의 길이 방향의 제1 단부에는, 제1 승강장 도어 풀리(17)가 마련되어 있다. 승강장 도어 프레임(15)의 길이 방향의 제2 단부에는, 제2 승강장 도어 풀리(18)가 마련되어 있다. 제1 및 제2 승강장 도어 풀리(17, 18)에는, 무단(無端) 모양의 연동 로프(19)가 감겨져 있다.
각 승강장 도어(14)는, 승강장 도어 패널(20)과, 승강장 도어 패널(20)의 상부에 고정된 승강장 도어 행거(21)를 가지고 있다. 각 승강장 도어 행거(21)에는, 승강장 도어 레일(16) 상을 구르면서 이동하는 복수의 승강장 도어 롤러(22)가 마련되어 있다. 각 승강장 도어(14)는, 승강장 도어 레일(16)에 매달려져 있고, 승강장 도어 레일(16)을 따라서 개폐 동작한다.
일방의 승강장 도어(14)인 제1 승강장 도어(14a)는, 제1 승강장 도어 연결 브라켓(23)을 매개로 하여 연동 로프(19)에 접속되어 있다. 타방의 승강장 도어(14)인 제2 승강장 도어(14b)는, 제2 승강장 도어 연결 브라켓(24)을 매개로 하여 연동 로프(19)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승강장 도어(14a)의 개폐 동작에 의해 연동 로프(19)가 순환하면, 제2 승강장 도어(14b)는, 제1 승강장 도어(14a)와는 역방향으로 이동한다. 승강장 도어 연동 기구(25)는, 승강장 도어 풀리(17, 18), 연동 로프(19) 및 승강장 도어 연결 브라켓(23, 24)을 가지고 있고, 제1 승강장 도어(14a)의 개폐 동작으로 제2 승강장 도어(14b)를 연동시킨다.
제1 승강장 도어(14a)와 승강장 도어 프레임(15)과의 사이에는, 엘리베이터 칸(8)이 착상하고 있지 않을 때에 승강장측으로부터 승강장 도어(14)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인터락(interlock) 장치(26)가 마련되어 있다. 인터락 장치(26)는, 캐치(catch)(27), 인터락 래칫(latch)(28), 고정측 인터락 롤러(29), 및 가동측 인터락 롤러(30)를 가지고 있다. 실시 형태 1의 승강장측 걸림부는, 인터락 롤러(29, 30)이다.
캐치(27)는, 승강장 도어 프레임(15)에 고정되어 있다. 인터락 래칫(28)은, 제1 승강장 도어(14a)의 승강장 도어 행거(2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승강장 도어(14)가 전폐 상태일 때, 인터락 래칫(28)의 선단부가 캐치(27)에 걸리는 것에 의해, 승강장 도어(14)의 개방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고정측 인터락 롤러(29)는, 인터락 래칫(28)의 회전축과 동축에 배치되어 있다. 가동측 인터락 롤러(30)는, 인터락 래칫(28)에 장착되고, 인터락 래칫(28)과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3은 도 1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12)를 승강장측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 상부에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프레임(31)이 고정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 프레임(31)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의 폭방향으로 평행한 엘리베이터 칸 도어 레일(32)이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 프레임(31)의 길이 방향의 제1 단부에는, 구동 풀리(33)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 프레임(31)의 길이 방향의 제2 단부에는, 종동 풀리(34)가 마련되어 있다. 구동 풀리(33) 및 종동 풀리(34)에는, 무단 모양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 구동 로프(35)가 감겨져 있다.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12)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36)과,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36)의 상부에 고정된 도어 행거(37)를 가지고 있다.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12)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레일(32)에 매달려져 있고, 엘리베이터 칸 도어 레일(32)을 따라서 개폐 동작한다.
일방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12)인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12a)는,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 연결 브라켓(38)을 매개로 하여 엘리베이터 칸 도어 구동 로프(35)에 접속되어 있다. 타방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12)인 제2 엘리베이터 칸 도어(12b)는, 제2 엘리베이터 칸 도어 연결 브라켓(39)을 매개로 하여 엘리베이터 칸 도어 구동 로프(35)에 접속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 프레임(31) 상에는, 도어 모터(40)가 고정되어 있다. 도어 모터(40)의 회전은, 구동 풀리(33)로 전달된다. 도어 모터(40)에 의해 구동 풀리(33)가 회전하면, 엘리베이터 칸 도어 구동 로프(35)가 순환함과 아울러, 종동 풀리(34)가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도어(12a, 12b)가 개폐 동작한다.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12a)에는, 지지판(44)이 고정되어 있다. 지지판(44)에는, 제1 평행 링크 기구(45)를 매개로 하여 단면 L자형의 도어 스톱(stop)측 블레이드(46)가 장착되어 있다. 즉, 실시 형태 1의 블레이드 탑재 엘리베이터 칸 도어는,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12a)이다.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는, 연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 평행 링크 기구(45)는, 막대 모양의 제1 상부 링크(47)와, L자형의 제1 하부 링크(48)를 가지고 있다.
제1 상부 링크(47)의 제1 단부(상단부)는, 회전축(47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판(44)에 장착되어 있다. 제1 상부 링크(47)의 제2 단부(하단부)는,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의 중간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1 하부 링크(48)의 중간부는, 회전축(48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판(44)에 장착되어 있다. 제1 하부 링크(48)의 제1 단부는,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1 하부 링크(48)의 중간부로부터 제2 단부까지의 부분은,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와 교차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하부 링크(48)의 제2 단부는,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에 대해서 회전축(48a)과는 반대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 하부 링크(48)의 제2 단부에는, 훅(hook) 모양의 시정 부분(48b)이 마련되어 있다. 또, 제1 하부 링크(48)의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와 교차하고 있는 부분과 시정 부분(48b)과의 사이에는, 안내 롤러(41)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 하부 링크(48)는,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해정 위치(도 3)와 시정 위치(도 10)와의 사이에서 회전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 엘리베이터 칸 도어(12b)에는, 고정 시정자(42) 및 안내 캠(49)이 고정되어 있다. 즉, 실시 형태 1에서는, 고정 시정자(42) 및 안내 캠(49)은, 블레이드 탑재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외부인 제2 엘리베이터 칸 도어(12b)에 고정되어 있다. 또, 실시 형태 1의 안내 캠 탑재 엘리베이터 칸 도어는, 제2 엘리베이터 칸 도어(12b)이다.  
안내 캠(49)의 상면에는, 수평인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12)가 전폐 상태에 있을 때, 안내 롤러(41)는 안내 캠(49)의 안내면 상에 위치하고 있고, 시정 부분(48b)은 도 3에 나타내는 해정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링크(48)에 외력을 부여하지 않고 엘리베이터 칸 도어(12)를 열려고 하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내 롤러(41)가 안내 캠(49)으로부터 떨어져, 시정 부분(48b)이 시정 위치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는, 시정 부분(48b)이 고정 시정자(42)에 걸려, 엘리베이터 칸 도어(12)의 개방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즉, 실시 형태 1에서는, 제1 하부 링크(48)가 시정 부재를 겸하고 있다.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는, 링크(47, 48)의 회전에 의해, 해정 대응 위치(도 3)와, 해정 대응 위치보다도 도어 포켓측의 시정 대응 위치(도 10)와의 사이에서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12a)에 대해서 수평 방향(엘리베이터 칸 도어(12)의 개폐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는, 중력 또는 스프링력의 작용에 의해, 도어 포켓측, 즉 시정 대응 위치측으로의 힘을 상시 받고 있다. 그러나, 엘리베이터 칸 도어(12)가 전폐 상태에 있을 때에는, 안내 롤러(41)가 안내 캠(49) 상에 위치하고 있는 것에 의해, 제1 하부 링크(48)가 해정 위치에 유지됨과 아울러,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가 도어 스톱측, 즉 해정 대응 위치측에 유지되어 있다.
지지판(44)에는,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의 도어 스톱측으로의 가동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50)가 마련되어 있다. 스토퍼(50)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12)가 전폐 상태에 있을 때,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와 사이에 다소의 간격이 확보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를 스토퍼(50)에 접촉시키면, 안내 캠(49)과 안내 롤러(41)와의 사이에 약간의 간격이 발생한다.
지지판(44)에는, 제2 평행 링크 기구(52)를 매개로 하여 단면 L자형의 도어 포켓측 블레이드(53)가 장착되어 있다. 제2 평행 링크 기구(52)는, 제2 상부 링크(54) 및 제2 하부 링크(55)를 가지고 있다.
제2 상부 링크(54)의 중간부는, 회전축(54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판(44)에 장착되어 있다. 제2 상부 링크(54)의 제1 단부는, 도어 포켓측 블레이드(53)의 중간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2 하부 링크(55)의 제1 단부는, 회전축(55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판(44)에 장착되어 있다. 제2 하부 링크(55)의 제2 단부는, 도어 포켓측 블레이드(53)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어 포켓측 블레이드(53)는,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에 평행, 즉 연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도어 포켓측 블레이드(53)는, 링크(54, 55)의 회전에 의해, 수평 방향(엘리베이터 칸 도어(12)의 개폐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12a)의 상부에는, 회전축(56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레버(56)가 마련되어 있다. 회전축(56a)은, 레버(56)의 중간부에 배치되어 있다. 레버(56)의 제1 단부에는, 레버용 롤러(57)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 프레임(31)에는,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12a)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 레버용 롤러(57)가 닿는 가이드 부재(58)가 고정되어 있다.
레버(56)의 제2 단부와 제2 상부 링크(54)의 제2 단부와의 사이에는, 연결봉(59)이 연결되어 있다. 도어 포켓측 블레이드(53)는, 중력 또는 스프링력의 작용에 의해 도어 스톱측으로 상시 가압되어 있다.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12a)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는, 레버용 롤러(57)가 가이드 부재(58)에 닿고 있으며, 도어 포켓측 블레이드(53)는 인터락 롤러(29, 30)로부터 떨어져 있다.
이것에 대해서,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12a)가 개방 방향으로 이동하면, 레버(56)가 도 3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과 아울러, 도어 포켓측 블레이드(53)가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측으로 변위하여, 블레이드(46, 53)의 간격이 작게 되어, 인터락 롤러(29, 30)가 블레이드(46, 53) 사이에 파지된다.
또, 도어 포켓측 블레이드(53)를 수평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은 필수는 아니고, 도어 포켓측 블레이드(53)를 엘리베이터 칸 도어(12)에 고정해도 괜찮다.
도 4는 도 3의 IV-IV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5는 도 3의 V-V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엘리베이터 칸(8)이 착상했을 때,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는, 인터락 롤러(29, 30)보다도 도어 스톱측에 배치되어 있고, 도어 포켓측 블레이드(53)는, 인터락 롤러(29, 30)보다도 도어 포켓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 인터락 롤러(29, 30)는, 바로 위로부터 보아, 엘리베이터 칸 문턱선(엘리베이터 칸 문턱의 승강장측 단면(端面))(L1)과 승강장 문턱선(승강장 문턱의 엘리베이터 칸측 단면)(L2)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게다가, 링크(47, 48, 54, 55),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의 링크(47, 48)와의 연결부, 및 도어 포켓측 블레이드(53)의 링크(54, 55)와의 연결부는, 바로 위로부터 보아, 엘리베이터 칸 문턱선(L1)의 내측(엘리베이터 칸(8)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8)이 적정한 착상 위치에 위치할 때에,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12a)가 개방 방향으로 이동하면, 인터락 롤러(29, 30)가 맞닿아,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의 시정 대응 위치로의 변위가 저지되고, 제1 하부 링크(48)의 시정 위치로의 변위도 저지된다.
또, 엘리베이터 칸(8)이 적정한 착상 위치 이외에 위치할 때에,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12a)가 개방 방향으로 이동하고, 안내 롤러(41)가 안내 캠(49)을 따라서 움직여, 안내 캠(49)으로부터 안내 롤러(41)가 떨어지고, 제1 하부 링크(48)가 시정 위치로 변위함과 아울러,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가 시정 대응 위치로 변위하여, 시정 부분(48b)이 고정 시정자(42)에 걸려,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12a)의 개방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12)가 전폐 위치에 있을 때에는, 도 3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크(48)에 고정된 안내 롤러(41)가 안내 캠(49)에 닿아 있다. 또, 시정 부분(48b) 및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는 해정측에 위치하고 있다. 게다가,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 및 도어 포켓측 블레이드(53)는, 인터락 롤러(29, 30)로부터 떨어져 있다.
도 6은 도 3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12)가 개방 방향으로 조금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도 6의 VII-V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12)가 개방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하고, 안내 롤러(41)가 안내 캠(49)의 단부까지 이동하면, 제1 링크(48)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가 도어 포켓 방향으로 동작하려고 한다. 그러나,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의 롤러 접촉면(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12a)의 정면(正面)에 직각인 면)이 인터락 롤러(29, 30)와 접촉하고,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의 도어 포켓 방향으로의 동작이 저해된다. 이것에 의해, 제1 하부 링크(48)의 시정 부분(48b)이 시정 위치까지 동작하지는 않는다. 또, 인터락 래칫(28)이 회전하고, 승강장 도어(14)의 인터락 장치(26)도 해정 상태가 된다.
도 8은 도 6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12)가 개방 방향으로 더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도 8의 IX-IX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12)가 개방 방향으로 더 이동하면, 도어 포켓측 블레이드(53)가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12a)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도어 스톱 방향으로 이동하여, 인터락 롤러(29, 30)를 매개로 하여,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를 도어 스톱 방향으로 동작시킨다. 이것에 의해,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는, 스토퍼(50)에 닿는다.
제1 하부 링크(48)는, 도 8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시정 부분(48b)은, 시정 위치로부터 더 떨어진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또, 인터락 롤러(29, 30)는 블레이드(46, 53) 사이에 파지되어 있고,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12a)와 제1 승강장 도어(14a)가 일체로 개방 동작한다. 또, 제2 엘리베이터 칸 도어(12b) 및 제2 승강장 도어(14b)도 동기(同期)하여 폐쇄 동작한다.
한편, 어떠한 이상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8)이 도어 존 밖에 정지(停止)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칸 실(11) 내의 승객이 엘리베이터 칸 도어(12)를 억지로 열려고 한 경우,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에 인터락 롤러(29, 30)가 닿지 않기 때문에,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의 도어 포켓 방향으로의 동작은 저해되지는 않는다. 이 때문에, 안내 롤러(41)가 안내 캠(49)의 단부까지 이동하면, 제1 하부 링크(48)가 도 10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시정 부분(48b)이 시정 위치까지 변위하여, 고정 시정자(42)에 걸려, 엘리베이터 칸 도어(12)의 개방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에서는,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의 상하 방향의 범위 내에 인터락 롤러(29, 30)가 없는 경우에만 도어 개방 정지 기능이 작용하므로, 승강장측에 해정용 캠을 별도 준비하는 것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에 의해, 층 사이에서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12)의 개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시정 부재인 제1 하부 링크(48)가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12a)에 마련되어 있고, 고정 시정자(42) 및 안내 캠(49)이 제2 엘리베이터 칸 도어(12b)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제1 하부 링크(48)와 안내 캠(49)과의 상대 위치가 도어 개방 속도의 2배로 변화한다. 이 때문에, 억지로 열 수 있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도어(12a, 12b)의 간격 치수가 작게 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제1 하부 링크(48)에 시정 부분(48b)을 형성하고, 제1 하부 링크(48)가 시정 부재를 겸하도록 했으므로, 부품수가 적어도 된다.
게다가 또, 시정 부분(48b) 및 안내 롤러(41)를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보다도 도어 스톱측에 배치했으므로, 안내 롤러(41)가 안내 캠(49)에 접하는 위치, 및 시정 부분(48b)이 고정 시정자(42)에 걸리는 위치를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다음으로,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실시 형태 1의 도 3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실시 형태 2에서는, 제1 하부 링크(48)가 막대 모양이며, 제1 하부 링크(48)에 시정 부분(48b)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대신에,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12a)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 행거(37)에 고정된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 연결 브라켓(38)에, 시정 부재로서의 시정 레버(63)가 마련되어 있다.
시정 레버(63)의 중간부는, 회전축(63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 연결 브라켓(38)에 장착되어 있다. 시정 레버(63)의 제1 단부에는, 실시 형태 1의 시정 부분(48b)과 동일한 시정 부분(63b)이 형성되어 있다. 또, 시정 레버(63)의 회전축(63a)과 시정 부분(63b)과의 사이에는, 실시 형태 1와 동일한 안내 롤러(41)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2 엘리베이터 칸 도어(12b)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 행거(37)에는,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안내 캠(49)이 고정되어 있다. 안내 캠(49)에는, 고정 시정자(42)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12)가 전폐 상태에 있을 때, 안내 롤러(41)는 안내 캠(49)의 안내면 상에 위치하고 있고, 시정 부분(48b)은 도 11에 나타내는 해정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제1 상부 링크(47)의 중간부는, 회전축(47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판(44)에 장착되어 있다. 제1 상부 링크(47)의 제1 단부(하단부)는,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1 상부 링크(47)의 제2 단부는, 연결 부재로서의 연결봉(61)을 매개로 하여 시정 레버(63)의 제2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시정 레버(63)의 제2 단부는, 회전축(63a)보다도 도어 포켓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1 상부 링크(47), 연결봉(61) 및 시정 레버(63)에 의해, 평행 링크가 구성되어 있고, 제1 상부 링크(47)와 시정 레버(63)는 항상 동일 각도를 유지한 채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시정 레버(63)는,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해정 위치와 시정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링크(47)에 외력을 부여하지 않고 엘리베이터 칸 도어(12)를 열려고 하면, 안내 롤러(41)가 안내 캠(49)으로부터 떨어져, 시정 부분(63b)이 시정 위치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는, 시정 부분(63b)이 고정 시정자(42)에 걸려, 엘리베이터 칸 도어(12)의 개방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간단한 구성에 의해, 층 사이에서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12)의 개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 실(11)의 천정이 높은 경우, 엘리베이터 칸 실(11)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서,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에 대해서 엘리베이터 칸 도어(12)를 세로로 길게 하고, 엘리베이터 칸 도어 개폐 장치를 상부에 배치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에 대해서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는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와 엘리베이터 칸 도어 개폐 장치와의 거리가 떨어지게 되지만, 그 경우에도, 연결봉(61)의 길이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대응이 가능해진다.
또, 이러한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12)의 개방 동작에 의한 도어 개방 방향의 가속도에 의해,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에 도어 스톱 방향의 관성력이 발생한다. 이 관성력은,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가 중력 및 스프링력의 작용에 의해 도어 포켓 방향으로 동작하려고 하는 힘을 없애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시정을 위한 장치 전체의 동작을 저해한다.
이것에 대해서,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를 비중이 철보다도 작은 비철 금속,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46)에 걸리는 관성력이 억제된다. 이것에 의해, 장난 등에 의한 억지로 여는 힘 및 충격에 대해서 오동작(정상적이지 않은 해정 동작)을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중앙 열림식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편(片)열림식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 시정자(42) 및 안내 캠(49)은, 블레이드 탑재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외부인 엘리베이터 칸(8)의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의 주위의 일부에 마련하면 좋다.
게다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의 타입은, 도 1의 타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2: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멀티 카 방식의 엘리베이터, 또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등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Claims (6)

  1. 수평으로 슬라이드하여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를 개폐하는 블레이드(blade) 탑재 엘리베이터 칸 도어,
    상기 블레이드 탑재 엘리베이터 칸 도어에 마련되어 있고, 또한, 해정(解錠) 대응 위치와, 상기 해정 대응 위치보다도 도어 포켓(pocket)측의 시정(施錠) 대응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블레이드 탑재 엘리베이터 칸 도어에 대해서 수평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는 도어 스톱(stop)측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 탑재 엘리베이터 칸 도어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해정 위치와 시정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한 시정 부재,
    상기 블레이드 탑재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외부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시정 부재가 상기 시정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시정 부재가 걸리는 것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 탑재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개방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고정 시정자(施錠子),
    상기 블레이드 탑재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외부에 마련되어 있는 안내 캠, 및
    상기 시정 부재에 마련되어 있는 안내부를 구비하며,
    상기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는, 상기 시정 대응 위치측으로의 힘을 상시 받고 있고,
    상기 블레이드 탑재 엘리베이터 칸 도어가 전폐(全閉)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안내부가 상기 안내 캠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상기 시정 부재가 상기 해정 위치에 유지됨과 아울러, 상기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가 상기 해정 대응 위치에 유지되고,
    엘리베이터 칸이 적정한 착상(着床) 위치에 위치할 때에, 상기 블레이드 탑재 엘리베이터 칸 도어가 개방 방향으로 이동하면, 승강장 도어에 마련된 승강장측 걸림부가 닿아, 상기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의 상기 시정 대응 위치로의 변위가 저지되어, 상기 시정 부재의 시정 위치로의 변위도 저지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적정한 착상 위치 이외에 위치할 때에, 상기 블레이드 탑재 엘리베이터 칸 도어가 개방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안내부가 상기 안내 캠을 따라서 움직여, 상기 시정 부재가 상기 시정 위치로 변위함과 아울러, 상기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가 상기 시정 대응 위치로 변위하고, 상기 시정 부재가 상기 고정 시정자에 걸려, 상기 블레이드 탑재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개방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탑재 엘리베이터 칸 도어와는 반대 방향으로 수평으로 슬라이드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를 개폐하는 안내 캠 탑재 엘리베이터 칸 도어를 더 구비하며,
    상기 고정 시정자 및 상기 안내 캠은, 상기 안내 캠 탑재 엘리베이터 칸 도어에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시정자 및 상기 안내 캠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상기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의 주위의 일부에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는, 비중이 철보다도 작은 비철 금속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는, 복수의 링크를 매개로 하여 상기 블레이드 탑재 엘리베이터 칸 도어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링크 중 하나가 상기 시정 부재를 겸하고 있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는, 복수의 링크를 매개로 하여 상기 블레이드 탑재 엘리베이터 칸 도어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시정 부재는, 상기 도어 스톱측 블레이드보다도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링크 중 하나와 상기 시정 부재가 연결 부재를 매개로 하여 연결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
KR1020177010711A 2014-10-15 2014-10-15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 KR1018589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77445 WO2016059685A1 (ja) 2014-10-15 2014-10-15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8417A true KR20170058417A (ko) 2017-05-26
KR101858911B1 KR101858911B1 (ko) 2018-05-16

Family

ID=55746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0711A KR101858911B1 (ko) 2014-10-15 2014-10-15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07900B2 (ko)
JP (1) JP6250190B2 (ko)
KR (1) KR101858911B1 (ko)
CN (1) CN107074502B (ko)
DE (1) DE112014007061T5 (ko)
WO (1) WO20160596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30918A (ja) * 2014-08-22 2017-10-19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Otis Elevator Company 昇降路ドアのロック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ーシャフトへのアクセスを制御する方法
DE112014007061T5 (de) * 2014-10-15 2017-06-2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ufzugkabinentürvorrichtung
CN104787651B (zh) * 2015-02-13 2016-06-22 西子奥的斯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同步门刀
CN110191857B (zh) * 2017-01-30 2021-06-01 株式会社日立制作所 电梯装置
CN110799440B (zh) * 2017-07-03 2021-11-16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轿厢门装置
CN109720972B (zh) * 2017-10-27 2020-05-01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电梯轿厢门机装置
WO2019096755A1 (de) * 2017-11-17 2019-05-23 Inventio Ag Aufzug mit aktiv zu steuerndem betätigungsmechanismus zum entriegeln von schachttüren
US11254542B2 (en) 2018-08-20 2022-02-22 Otis Elevator Company Car door interlock
WO2020049684A1 (ja) * 2018-09-06 2020-03-1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US11247872B2 (en) 2018-10-17 2022-02-15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door interlock
CN109160408A (zh) * 2018-11-13 2019-01-08 苏州德奥电梯有限公司 一种轿厢门的卡合装置
CN111377338B (zh) * 2018-12-29 2021-10-08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轿厢减振装置
JP6694608B1 (ja) * 2019-03-07 2020-05-20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ドア用係合装置
CN113544076B (zh) * 2019-03-18 2023-01-03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轿厢门装置
CN115697879A (zh) * 2020-06-09 2023-02-03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轿厢门装置
US11623846B2 (en) * 2020-07-30 2023-04-11 G.A.L. Manufacturing Company, Llc Elevator door roller and track replacement
WO2022259507A1 (ja) 2021-06-11 2022-12-1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CN113682933B (zh) * 2021-08-13 2023-04-07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一种电梯轿门上下锁定装置
JP7388598B2 (ja) * 2021-09-27 2023-11-2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ドア装置
WO2023195165A1 (ja) * 2022-04-08 2023-10-1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WO2024134726A1 (ja) * 2022-12-19 2024-06-27 三菱電機ビ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23199A (de) * 1970-12-30 1972-05-31 Inventio Ag Türantriebsvorrichtung mit Verriegelungsmechanismus für Aufzüge
JPS5930638B2 (ja) 1978-04-17 1984-07-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ドア−装置
JPS55544Y2 (ko) 1979-03-19 1980-01-09
JPH01162696A (ja) 1987-12-17 1989-06-27 Fujitec Co Ltd エレベータドア装置
ATE75458T1 (de) * 1988-03-18 1992-05-15 Inventio Ag Tuerantriebsvorrichtung mit verriegelungsmechanismus fuer aufzuege.
ES2083012T3 (es) * 1991-05-14 1996-04-01 Inventio Ag Ascensor.
JPH107353A (ja) 1996-06-19 1998-01-13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乗場ドアの施錠装置
DE59710778D1 (de) * 1996-10-29 2003-10-30 Inventio Ag Vorrichtung zum Öffnen und Schliessen einer Kabinentür und einer Schachttür einer Aufzugsanlage
US5894911A (en) * 1997-07-11 1999-04-20 Otis Elevator Company Car door locking system
ZA200406978B (en) * 2003-09-17 2005-06-20 Inventio Ag Device for connecting a cage door with a shaft door and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doors, a device for emergency unlocking of a cage door and a method for emergency unlocking of a cage door.
JP2005119878A (ja) * 2003-10-14 2005-05-12 Inventio Ag エレベータかごのかご扉をエレベータシステムの階床扉に結合させるためのクラッチ
JP4708005B2 (ja) * 2003-12-08 2011-06-22 インベンテイオ・アクテイエンゲゼルシヤフト ケージドアリーフを昇降路ドアリーフに一時的に連結し、かつケージドアロック解除手段を作動させるための、エレベータケージにおける装置
JP4879477B2 (ja) * 2003-12-08 2012-02-22 インベンテイオ・アクテイエンゲゼルシヤフト エレベータドア駆動装置
ITMI20042249A1 (it) * 2004-11-19 2005-02-19 Sematic Italia Spa Scivolo attivo per porte di cabina di ascensori
CN100593505C (zh) 2005-03-15 2010-03-10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轿厢门联锁装置
JP2006290566A (ja) * 2005-04-12 2006-10-26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用ドア装置
EP1820766A1 (de) * 2006-02-21 2007-08-22 Inventio Ag Verfahren zur Modernisierung des Kabinentürsystems eines Aufzugs und Modernisierungsbausatz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S8820485B2 (en) * 2007-12-18 2014-09-02 Inventio Ag Locking system for a lift door
EP2138442A1 (de) * 2008-06-25 2009-12-30 Inventio Ag Aufzugtürsystem mit Kabinentürverriegelung
CN201309790Y (zh) 2008-08-20 2009-09-16 宁波欣达曳引机科技有限公司 电梯门刀装置
CN102414113B (zh) * 2009-04-28 2014-06-11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门装置
WO2011043378A1 (ja) * 2009-10-09 2011-04-1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ドア係合装置
JP5804695B2 (ja) * 2010-11-30 2015-11-04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かご振動抑制装置
CN103030050B (zh) * 2011-09-29 2015-01-07 快速电梯有限公司 三片式防扒门刀
JP5334025B2 (ja) 2011-11-10 2013-11-0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US9663329B2 (en) * 2012-06-18 2017-05-30 Sematic S.P.A. Lift cages with improved blocking/releasing devices
CN203021148U (zh) * 2012-12-21 2013-06-26 宁波欣达电梯配件厂 电梯异步门刀装置
JP5940220B2 (ja) 2013-07-19 2016-06-2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ロック装置
CN103723605B (zh) * 2013-09-23 2015-08-26 西子奥的斯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集成轿门锁的异步门刀
TR201903994T4 (tr) * 2014-03-19 2019-04-22 Wittur Holding Gmbh Asansör kapıları için bloklama sistemi ve grubu.
DE202014102533U1 (de) * 2014-05-13 2015-08-20 Wittur Holding Gmbh Türkuppler mit einer ihre flexible Positionierung ermöglichenden Betätigung
DE112014007061T5 (de) * 2014-10-15 2017-06-2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ufzugkabinentür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4007061T5 (de) 2017-06-29
CN107074502B (zh) 2021-12-03
JP6250190B2 (ja) 2017-12-20
CN107074502A (zh) 2017-08-18
US10207900B2 (en) 2019-02-19
KR101858911B1 (ko) 2018-05-16
WO2016059685A1 (ja) 2016-04-21
JPWO2016059685A1 (ja) 2017-04-27
US20170217732A1 (en) 2017-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8911B1 (ko)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
JP5940220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ロック装置
JP6270962B1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ロック機構付き係合装置
JP2011148635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2015037995A (ja) エレベータの係合装置
WO2018138896A1 (ja) エレベーター装置
CN109071179B (zh) 电梯装置
JP5579159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ロック機構
JP6758539B1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JP6881520B2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装置
JP7204051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JP7425528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WO2024134727A1 (ja) エレベータ装置
CN110799440B (zh) 电梯的轿厢门装置
WO2023195165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6626932B1 (ja) 戸開走行制限装置
JP6881521B2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装置
WO2024134726A1 (ja) 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