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0932B1 - 화물용 승강기의 도어 연동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용 승강기의 도어 연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0932B1
KR101960932B1 KR1020170143593A KR20170143593A KR101960932B1 KR 101960932 B1 KR101960932 B1 KR 101960932B1 KR 1020170143593 A KR1020170143593 A KR 1020170143593A KR 20170143593 A KR20170143593 A KR 20170143593A KR 101960932 B1 KR101960932 B1 KR 101960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uide block
hall
pulley
inter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3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석
전종백
Original Assignee
누리엔지 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누리엔지 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누리엔지 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70143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09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0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0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2Arrangements for effecting simultaneous opening or closing of cage and land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용 승강기의 카도어에 설치되어 홀도어를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본 발명 연동장치는, 수직 상태의 와이어로프가 아이들롤러(2)를 거쳐 수평 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한 방향전환풀리(3), 상기 방향전환풀리(3)에 의하여 수평방향으로 전환된 와이어로프가 연결되고 가이드레일(42)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수평방향으로 운동하는 가이드블럭(4B)을 각각 구비하여, 가이드블럭의 수평 방향 운동에 의하여 각각 개폐되는 홀도어 및 카도어; 홀도어의 가이드블럭과 카도어의 가이드블럭이 같은 수평 위치에 이르면 서로 결합되어 수평 방향으로 연동시킬 수 있도록, 카도어에 설치되는 제1연동수단과 홀도어에 설치되는 제2연동수단으로 구성되는 연동수단; 상기 카도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카도어의 제1연동수단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동력전달수단의 체인(31)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카도어 및 홀도어의 개폐시 균형을 맞추기 위한 웨이트(18)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물용 승강기의 도어 연동장치{Device for clutch doors of a freight elevator}
본 발명은 화물용 승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 방향으로 개폐되는 화물용 승강기 도어를 수평 방향의 연동기구를 통하여 카도어와 홀도어를 서로 연동시킴으로써 간단한 구조 및 동작 신뢰도를 가지는 화물용 승강기의 카도어와 홀도어 연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물용 승강기(Elevator)의 출입을 위한 도어는, 엘리베이터 카에 설치되는 카도어와 엘리베이터의 탑승측 건물에 설치되는 홀도어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카도어 및 홀도어는, 상하 방향으로 개폐되고,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도어와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도어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각각의 하부도어는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이동하기 때문에 고속도어라고 하기도 하고, 상부도어는 저속도어라고 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각각 고속 및 저속도어로 구성되는 카도어 및 홀도어는 실제로 별도로 설치되는 것이어서, 이들 카도어 및 홀도어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각각 별도의 구동장치를 필요로 하게 된다.
그러나 승강기의 내부 및 외부에 각각 별도의 구동장치를 설치하는 것은, 고가의 모터 등의 부품에 기인하는 원가 상승 및 조립 과정의 복잡성 등과 같은 문제가 있음은 당연하다. 예를 들면, 한국 특허 공개 제10-2009-0084587호 및 한국 특허 출원 제10-2017-0003070호에서 제안하고 있는 내용도 위와 같은 문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구적으로 간단한 구성을 가지면서 카도어와 홀도어를 연동시킬 수 있는 신뢰성이 높은 화물용 승강기의 도어 연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기간 사용에도 내구성이 충분히 유지될 수 있는 화물용 승강기의 도어 연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장치는, 각각 상부도어와 하부도어로 구성되고, 하부도어의 상승에 따라서 상부도어가 상승하면서 열리는 홀도어 및 카도어를 구비하는 화물용 승강기에 대한 도어 연동장치이다. 본 발명 연동장치는, 수직 상태의 와이어로프가 아이들롤러를 거쳐 수평 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한 방향전환풀리, 상기 방향전환풀리에 의하여 수평방향으로 전환된 와이어로프가 연결되고 가이드레일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수평방향으로 운동하는 가이드블럭을 각각 구비하여, 가이드블럭의 수평 방향 운동에 의하여 각각 개폐되는 홀도어 및 카도어; 홀도어의 가이드블럭과 카도어의 가이드블럭이 같은 위치에 이르면 서로 결합되어 수평 방향으로 연동시킬 수 있도록, 카도어에 설치되는 제1연동수단과 홀도어에 설치되는 제2연동수단으로 구성되는 연동수단; 카도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카도어의 제1연동수단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 그리고 상기 홀도어 및 카도어의 개폐시 균형을 맞추기 위한 웨이트로 구성된다.
실시 예에 의하면, 제1연동수단은 상하방향 수납홈을 구비하는 도어캠이고, 제2연동수단은 상기 카도어와 홀도어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면 상하방향 수납홈에 수납되는 캐치롤러로 구성된다. 그리고 카도어와 홀도어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면, 상기 캐치롤러가 도어캠의 상하방향 수납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어느 일측의 좌우 이동에 따라서 카도어가 홀도어와 연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동력전달수단에 대한 실시 예에 의하면,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드라이브풀리와, 상기 드라이브풀리와 동축상으로 설치되어 연동하는 구동스프라켓, 그리고 상기 구동스프라켓과 가이드블럭을 연결하는 체인으로 구성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기본적으로 화물용 승강기에서 홀도어와 카도어를 서로 연동시켜서 개폐할 수 있기 때문에, 상부도어와 하부도어를 연동시켜 개폐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개폐장치를 하나만 설치하면 되는 구조상의 잇점 및 조립, 시공상의 잇점을 기대할 수 있으며 하나의 모터만 제어하므로 제어의 단순화로 기계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도어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상하 방향으로 힘을 전달받는 연동기구의 구성은 복잡하고 동작 신뢰성이 높아지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좌우 방향 움직임을 가질 수 있는 연동장치가 카도어와 홀도어를 연동시키는 것을 기본적인 착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카도어는 항상 정해진 위치에서 멈추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는 위치의 홀도어에 연동 기구의 일측을 부착하면 항상 정확한 위치에서 연동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는 점을 이용함으로써, 실질적으로 간단하면서도 정확한 동작을 담보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도 1은 본 발명 홀도어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카도어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연동장치의 결합 상태 평면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연동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홀도어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카도어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홀도어(HD)는, 하부측에 설치되어 상대적으로 고속으로 승하강하는 하부홀도어(HDa)와 상기 하부홀도어(HDa)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홀도어(HDb)로 구성된다. 그리고 카도어(CD)는, 하부측에 설치되어 상대적으로 고속으로 승하강하는 하부카도어(CDa)와, 상기 하부카도어(CDa)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카도어(CDb)로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여기서 하부카도어(CDa) 및 상부카도어(CDb)의 연결관계 및 승하강 구조는 실질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지된 것이어서, 하부카도어(CDa)와 상부카도어(CDb)의 연결 및 승하강을 위한 연동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부홀도어(HDb) 및 하부홀도어(HDa)의 구성 및 연동 관계에 대해서도 자세한 구성 및 동작 설명도 동일한 이유로 생략하기로 한다. 예를 들면 도 1 및 도 3에 각각 도시한 바와 같이, 홀도어(HD) 및 카도어(CD)의 각각의 와이어로프(12,12A), 체인(9,9A), 그리고 체인롤러(19,19A)에 의한 카도어(CD)와 홀도어(HD)의 연동 구성은 공지된 것이어서, 이러한 부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구동장치(모터)를 이용하여 카도어(CD) 및 홀도어(HD)를 동시에 구동시키도록 하는 것에 착안하고 있다. 예를 들면 카도어(CD) 및 홀더어(HD)에 연동장치을 설치하고, 이러한 연동장치의 동작에 의하여 홀도어(HD)가 카도어(CD)와 같이 연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은, 카도어(CD) 및 홀도어(HD)의 개폐가 상하 방향으로 개폐되는 것을 고려하여, 수평 방향인 좌우 방향으로 서로 연동할 수 있는 연동부재를 설치하고, 이러한 연동부재의 수평 방향 이동에 의하여 카도어(CD) 및 홀도어(HD)가 각각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에 기술적으로 착안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연동장치는 실질적으로 홀도어와 카도어를 연동시키기 위한 것인데, 더욱 구체적으로는 하부카도어 및 하부홀도어에 설치되는 것인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카도어 및 홀도어라고 칭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도어(HD) 상부의 도어 헤더(101) 상에는 가이드블럭(4B)이 수평방향(좌우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는 가이드레일(4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42)은 가이드블럭(4B)의 좌우 이동을 지지하면서 안내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고,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블럭(4B)이 그 사이에서 안내되는 상면 및 하면을 가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블럭(4B)의 상면 및 하면에는 다수(4 개)의 가이드롤러(41)가 설치되어 있어서 좌우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블럭(4B)에는 리턴풀리(4)가 설치되어 있다.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방향전환풀리(3)에는, 한 쌍의 아이들풀리(2) 및 가이드블럭(4B)와 연결되는 와이어로프(11,12)가 감아걸려 있다.
본 발명에서, 방향전환풀리(3)의 반대측에는 스프라켓(30)이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스프라켓(30)에는, 웨이트(18)와 가이드블럭(4B)를 연결하는 체인(31)이 걸려 있다. 그리고 홀도어(HD)의 방향전환풀리(3)에 감긴 와이어로프(11,12)는 리턴풀리(4)에 반바퀴 감긴 후 가이드블럭(4B)에 설치되어 있는 로프스토퍼(14)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블럭(4B)의 좌우 이동에 의하여 홀도어(HD)가 열리거나 닫히고 이와 같이 웨이트(18)도 같이 승하강한다.
또한 로프스토퍼(14)의 구성에 의하여 클러치 장치의 행정을 2:1로 하여 클러치 장치 움직임은 최소화하고도 도어의 상하방향 이동의 행정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에서 리턴풀리(4)가 웨이트 또는 쇽업쇼바 방향으로 위치하게 되면 도어가 열린 상태이고 멀이지면 닫힌 상태가 된다. 본 발명에서의 웨이트(18)는 실질적으로 도어의 하중에 대응하여 개폐시 균형을 잡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종래부터 사용되어 온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 의하면, 방향전환풀리(3)는 실질적으로 아이들풀리(2)에 의한 수직 상태의 와이어로프(11)를 수평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고, 리턴풀리(4)를 구비하는 가이드블럭(4B)은 가이드레일(42)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리턴풀리(4)와 동축으로 캐치롤러(23)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캐치롤러(23)는 본 발명의 연동장치를 구성하는 하나의 부품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홀도어(HD)의 상하 이동은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레일(6)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는데, 본 발명에서 이와 같이 종래의 구성 및 동작과 같은 경우에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있다.
다음에는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서 카도어(CD)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에 도시한 카도어(CD)의 구성도 홀도어(HD)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할 수 있고, 상이한 것은 카도어(CD)는 구동을 위한 구동모터(7)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카도어(CD)의 상부에도 도어 헤더(301) 상에는 가이드레일(42)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레일(42)에는 가이드블럭(4B)이 수평방향(좌우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블럭(4B)의 상면 및 하면에는 다수(4 개)의 가이드롤러(41)가 설치되어 있고, 가이드블럭(4B)에는 리턴풀리(4)가 설치되어 있다. 카도어(CD)의 상부에는 구동모터(7)가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구동모터(7)의 출력은 드라이브벨트(22)를 통하여 드라이브풀리(21)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드라이브풀리(21)와 동축으로 구동스프라켓(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고, 구동스프라켓에 걸려 있는 체인(31)은, 도어 웨이트(18) 및 가이드블럭(4B)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상기 구동모터(7)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는 방향전환풀리(3)는 한 쌍의 아이들풀리(2)를 통하여 한 쌍의 와이어로프(12A)를 수직 상태에서 수평상태로 전환하면서 가이드블럭(4B)과 연결하고 있다. 여기서도 상기 와이어로프(12A)는 가이드블럭(4B)의 리턴풀리(4)를 반바퀴 감은 후, 리턴풀리(4)에 설치된 와이어스토퍼(14)에 연결,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와이어스토퍼(14)를 사용하는 것은 클러치 장치의 행정을 2:1로 하여 클러치 장치 움직임을 최소화하고 도어의 상하방향 이동의 행정을 충분히 확보할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구동모터(7)의 구동에 의하여 드라이브풀리(21)에 동축상으로 설치된 스프로켓이 동작하게 되면, 상기 가이드블럭(4B) 또는 리턴풀리(4)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도 3에서 리턴풀리(4)가 중앙에 위치하게 되면 도어가 열린 상태이고, 좌측에 위치하게 되면 도어가 닫힌 상태이다.
그리고 방향전환풀리(3)는 실질적으로 아이들풀리(2)에 의한 수직 상태의 와이어로프(11)를 수평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고, 리턴풀리(4)를 구비하는 가이드블럭(4B)은 가이드레일(42)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도어를 개폐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가이드블럭(4B)의 좌우 이동은 체인(31)을 통하여 웨이트(18)도 연동시키고 있다.
상기 카도어(CD)의 상부에 있는 가이드레일(42)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좌우 이동하는 가이드블럭(4B)의 리턴풀리(4)에는, 홀도어(HD)의 캐치롤러(23)와 같이 이동하기 위한 도어캠(24)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카도어(CD)의 상부에 설치되는 도어캠(24)은, 카도어(CD)가 각 층의 정확한 높이에 멈추면 상기 홀도어(HD)의 캐치롤러(23)를 중앙부분(상하 방향의 중앙 부분)에 수납시킨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도어캠(24)이 좌우 이동하면, 홀도어의 캐치롤러(23)도 연동하여 좌우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도어캠(24)은,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캐치롤러(23)가 중앙 부분에 수납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제1부재(24b) 및 제2부재(24c)를 구비하고 있어서, 캐치롤러(23)가 그 사이에 수납되는 상하방향 수납홈(24a)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캐치롤러(23)는 카도어(CD)의 가이드레일(42)의 일정 위치에 멈춤 상태에서, 카도어(CD)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카도어(CD)가 정해진 층에 멈추게 되면, 카도어(CD)의 도어캠(24)은 홀도어(HD)의 캐치롤러(23)와 동일한 높이에서 멈추도록 설계되어 있다. 즉, 도어캠(24)이 정해진 높이에서 멈추게 되면, 캐치롤러(23)는 도어캠(24)의 상하방향 수납홈(24a)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캠(24)을 구성하는 제1부재(24b) 및 제2부재(24c)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캐치롤러(23)가 보다 원활하게 내부의 상하방향 수납홈(24a)으로 들어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부 또는 하부 끝단부에는 나팔형상의 가이드부를 성형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도어캠(24)은 상하 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길이의 수납홈(24a)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상하 이동하는 카도어(CD)의 도어캠(24)이 홀도어(HD)의 캐치롤러(23)와 동일한 높이에서 정합한 상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서도 도어캠(24)이 웨이트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실질적으로 홀도어(HD)가 카도어(CD)는 열린 상태이고, 홀도어(HD)도 카도어(CD)와 연동하여 열린 상태이다.
그리고 도 3에서 도어캠(24) 및 가이드블럭(4B)이 웨이트 방향으로 멀어지면 도어가 하방으로 이동한 닫힌 상태이다. 이와 같이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구동모터(7)가 구동하게 되면 그 회전력이 드라이버풀리(21)로 전달되어 드라이버풀리(21)가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풀리(21)의 회전에 의하여, 같이 동축상으로 결합되어 연동하는 구동스프라켓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체인(31)을 구동시켜, 가이드블럭(4B)이 가이드레일(42)의 열림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함과 같이 웨이트(18)를 하강시킨다.
따라서 웨이트(18)는 하강하고 가이드블럭(4B)은 가이드레일(42)에 의하여 안내되면서 웨이트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가이드블럭(4B)이 웨이트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CD,HD)가 열린 상태로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도 3의 닫힌 상태로 동작하는 것은, 구동모터(7)의 반대 방향 회전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위에서 설명한 바와는 반대 방향의 움직임에 의하여 일어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동일한 상하 높이에서, 서로 수평 방향으로 연동할 수 있는 연동장치를 이용하고, 상하 방향으로 개폐되는 도어를 각각 수직방향의 와이어로프의 구동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본적인 착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여러 가지 다른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도 자명한 사실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3 ..... 방향전환풀리
4 ..... 리턴풀리
4B ..... 가이드블럭
9 ..... 체인
11, 12 ..... 와이어로프
18 ..... 웨이트
23 .... 캐치롤러
24 ..... 도어캠
24a ..... 상하방향 수납홈
24b ..... 제1부재
24c ..... 제2부재
30 ..... 스프라켓
41 ..... 가이드롤러
42 ..... 가이드레일
101, 301 ..... 도어헤더

Claims (3)

  1. 각각 상부도어와 하부도어로 구성되고, 하부도어의 상승에 따라서 상부도어가 상승하면서 열리는 홀도어 및 카도어를 구비하는 화물용 승강기에 대한 도어 연동장치이고;
    상기 카도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드라이브풀리(21)와, 상기 드라이브풀리(21)와 동축상으로 설치되어 연동하고, 동력전달을 위한 체인이 설치되어 있는 구동스프라켓으로 구성되는 동력전달장치;
    홀도어 및 카도어의 개폐를 위한 수직 상태의 와이어로프를 수평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아이들롤러(2)와, 아이들롤러(2)에서의 와이어로프를 감아 걸어서 수평상태의 와이어로프를 지지하기 위하여, 홀도어 및 카도어에 각각 설치되는 방향전환풀리(3);
    상기 방향전환풀리(3)에 의하여 수평방향으로 전환된 와이어로프가 연결되고, 홀도어 및 카도어 상부에 각각 설치된 가이드레일(42)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동력전달장치에 의하여 수평방향으로 운동하며, 홀도어 및 카도어에 각각 설치되는 가이드블럭(4B);
    홀도어의 가이드블럭과 카도어의 가이드블럭이 같은 위치에 이르면 서로 결합되어 수평 방향으로 연동하도록, 카도어에 설치되는 상하방향 수납홈을 구비하는 도어캠과, 홀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상하방향 수납홈에 수납되는 캐치롤러로 구성되어, 홀더오와 카도어를 연동시키는 연동장치; 그리고
    상기 홀도어 및 카도어의 개폐시 균형을 맞추기 위한 웨이트로 구성되고;
    카도어의 가이드블럭은 동력전달장치의 체인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수평이동하고, 방향전환풀리(3)에 의하여 수평상태로 전환된 와이어로프는 가이드블럭의 리턴풀리(4)에 반바퀴 감긴 후 로프스토퍼(14)에 고정되는 것에 의하여 가이드블럭과 연결되며, 동력전달장치의 체인의 타단부는 상기 웨이트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승강기의 도어 연동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70143593A 2017-10-31 2017-10-31 화물용 승강기의 도어 연동장치 KR101960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593A KR101960932B1 (ko) 2017-10-31 2017-10-31 화물용 승강기의 도어 연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593A KR101960932B1 (ko) 2017-10-31 2017-10-31 화물용 승강기의 도어 연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0932B1 true KR101960932B1 (ko) 2019-03-21

Family

ID=66036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593A KR101960932B1 (ko) 2017-10-31 2017-10-31 화물용 승강기의 도어 연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09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88783A (zh) * 2023-07-18 2023-08-15 大汉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施工用垂直升降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4657B1 (ko) * 1996-01-27 1999-04-15 이종수 엘리베이터용 승강장 도어
US20050045430A1 (en) * 2003-08-12 2005-03-03 Nijs Wernas Safety closing system for shaft door panel of an elevator installation, and elevator installation with shaft door panel, which comprises such a safety closing system
KR100967065B1 (ko) * 2010-02-22 2010-06-29 양재진 승강기 도어 개폐 장치
KR101039633B1 (ko) * 2011-03-28 2011-06-08 주식회사 세명엘리베이터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수평 구동형 도어개폐장치
JP5047281B2 (ja) * 2007-06-08 2012-10-1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KR101261586B1 (ko) * 2012-04-23 2013-05-14 남기열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자동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4657B1 (ko) * 1996-01-27 1999-04-15 이종수 엘리베이터용 승강장 도어
US20050045430A1 (en) * 2003-08-12 2005-03-03 Nijs Wernas Safety closing system for shaft door panel of an elevator installation, and elevator installation with shaft door panel, which comprises such a safety closing system
JP5047281B2 (ja) * 2007-06-08 2012-10-1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KR100967065B1 (ko) * 2010-02-22 2010-06-29 양재진 승강기 도어 개폐 장치
KR101039633B1 (ko) * 2011-03-28 2011-06-08 주식회사 세명엘리베이터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수평 구동형 도어개폐장치
KR101261586B1 (ko) * 2012-04-23 2013-05-14 남기열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자동개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88783A (zh) * 2023-07-18 2023-08-15 大汉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施工用垂直升降机
CN116588783B (zh) * 2023-07-18 2023-09-08 大汉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施工用垂直升降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44887B2 (ja) エレベータ用ドア装置
JP2018523031A (ja) ゲートパネル付き垂直移動型ゲート
KR101111163B1 (ko) 엘리베이터 출입구 폭 이내 구간에 설치되는 카도어 자동개폐장치
JP4425705B2 (ja) 可動式ホーム柵装置
TWI697609B (zh) 分割門構造
US7596907B2 (en) Force transmission element, window lifter and motor vehicle door with a window lifter
KR101960932B1 (ko) 화물용 승강기의 도어 연동장치
KR100240960B1 (ko)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닫힘장치
KR101960931B1 (ko) 화물용 승강기의 도어 연동장치
CN112173921A (zh) 用于限制电梯行进线缆中的摆动的装置
JP6605729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8063018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2001207667A (ja) 立体駐車装置
JP2013122145A (ja) エレベータのドアロック機構
KR20100091821A (ko) 전동 개폐형 차고문
CN1792759B (zh) 具有竖井门和门关闭装置的电梯设备
US11326385B2 (en) Sliding door arrangement
JPH06329375A (ja) かごドア駆動装置
US11384579B2 (en) Sliding door arrangement
JP4618628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472877Y1 (ko) 엘리베이터의 하부구동형 도어개폐장치
JPWO2019211900A1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CN221051309U (zh) 一种电梯内外同步开门结构
CN219652601U (zh) 用于提升机中的提升架
CN219296924U (zh) 电梯门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