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6765B1 - 복합영농을 위한 논 구조 - Google Patents

복합영농을 위한 논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6765B1
KR100966765B1 KR1020070126432A KR20070126432A KR100966765B1 KR 100966765 B1 KR100966765 B1 KR 100966765B1 KR 1020070126432 A KR1020070126432 A KR 1020070126432A KR 20070126432 A KR20070126432 A KR 20070126432A KR 100966765 B1 KR100966765 B1 KR 100966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rimp
rice
paddy
depth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6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9535A (ko
Inventor
이영상
마채우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126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6765B1/ko
Publication of KR20090059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9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6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6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20Cereals
    • A01G22/22Ri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2Shades or blinds for greenhous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9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crustaceans, e.g. lobsters or shri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11/00Planting
    • Y10S111/906Specialized commodity
    • Y10S111/911Ri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적인 벼 재배를 위하여 논에 새우를 투입하여 벼의 재배와 새우의 생장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한 논 구조에 관한 것으로, 오염 물질에 민감하여 청정 환경에서만 생장이 가능한 새우와 친환경적인 벼 재배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생장된 새우를 안전하게 회수할 수 있는 복합영농을 위한 논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발명이다.

Description

복합영농을 위한 논 구조{Paddy field structure for complex farming system}
본 발명은 친환경적인 벼 재배를 위하여 논에 새우를 투입하여 벼의 재배와 새우의 생장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한 논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농산물 시장의 개방 압력은 국제 경쟁력이 우월치 못한 우리나라 농업에 큰 어려움과 위기의식을 가져다주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농약의 사용과 다량의 화학비료 투여를 전제로 개발되어온 관행의 생산량 중심의 농산물 재배법은 식량의 절대량이 부족했던 한국 사회에 그동안 크게 기여해온 공로에도 불구하고 토양과 수질의 오염원으로 인식되면서 안전치 못한 농산물을 생산한다는 소비자 불신까지 떠안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국민 소득의 향상은 기존의 배불리 먹는 식생활로부터 잘 먹는(well-being) 식생활 시대로의 전환을 가져 왔고, 그 결과 상대적으로 비싼 가격에도 불구하고 기능성, 안전 농산물들은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농약 및 화학비료를 최소로 사용하여 안전하게 농산물을 재배하기 위하여 벼가 자라는 논에 미꾸라지, 우렁이, 잉어, 참게, 오리, 붕어 등 다양한 기타 생물을 함께 생육하는 복합영농방법을 도입하는 시도가 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새우가 논에 도입된 보고는 국내/외에서 이루어진 바 없다. 특히 새우 중에서도 새뱅이는 생육하는 것이 매우 까다로우며 오염물질에 민감한데, 농약 성분이 미량이라도 있다면 생육되지 않는다.
따라서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도 식미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벼를 재배할 수 있으면서도, 새뱅이 등의 새우를 안전하게 생육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새우를 투입하여 벼와 새우를 동시에 생육시킨 후 많은 양을 수확하는 것이 중요한데, 새우는 논에서 튀어 나갈 수도 있으며, 크기가 작아 수풀에 걸려있거나 벼 수확 과정에서 함께 이탈될 수도 있어 새우의 회수량을 늘릴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오염 물질에 민감하여 청청 환경에서만 생장이 가능한 새우를 환경 친화적인 벼 재배와 결합시킨 복합영농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논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장된 새우를 안전하게 회수할 수 있는 논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현예에서는 가로 50~100cm, 세로 50~100cm, 깊이 20~50cm의 웅덩이와, 깊이가 30~50cm이며, 너비가 30~50cm인 배수로를 포함하는 경작지대; 및 상기 경작지대 사방 측면에 형성되며, 지지대가 설치되고 새우 유출방지를 위한 보호망이 형성된 논둑을 포함하고, 상기 웅덩이 및 배수로는 각각의 상부에 그늘 형성을 위하여 차광망이 설치된 논 구조를 제공한다.
삭제
상기 구현예에 의한 논 구조는 논둑 주변에 높이 90~120㎝의 지지대가 설치되고 경작지대 전체를 덮는 방조망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은 오염 물질에 민감하여 청청 환경에서만 생장이 가능한 새우와 친환경적인 벼 재배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논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생장된 새우를 안전하게 회수할 수 있는 논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논에 사용되는 복합영농방법은 모내기한 논에 새우를 투입하여 벼의 재배와 새우의 생장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새우로는 줄새우 또는 새뱅이가 바람직하다.
줄새우(Palaemon paucidens)는 몸길이 약 6cm이며, 하천이나 호수 또는 민물과 바닷물이 섞이는 기수에 살고, 4월 하순∼8월 중순에 알을 품은 개체들을 볼 수 있는 것으로 살은 맛이 좋아 식용하며, 양식 어류의 천연사료용으로 양식하며 낚시용 미끼로도 쓴다.
새뱅이(Neocaridina denticulata denticulata., 토하)는 한국 전역의 산골이나 계곡, 연못 등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물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길이 2~3cm의 민물새우로, 천일염에 절였다가 숙성 발효시킨 후 쌀밥, 마늘, 생강, 고춧가루 등으로 맛을 낸 토하젓의 원료가 되며 매우 높은 가격에 소비되고 있다.
이러한 줄새우 및 새뱅이는 용존산소량 및 농약에 민감하여 생육이 쉽지 않 다. 또한 줄새우 및 새뱅이는 생활사가 짧고(1년 이내), 적절한 그늘 및 부착 대상체가 필요한 생물로 생태학적 측면에서 볼 때 본답 이앙 이후 수확기까지 담수 상태로 재배되는 벼와 최적의 공생관계를 가질 수 있다. 줄새우 및 새뱅이는 부화초기부터 담수산 Diatom, rotifer 등 다양한 담수플랑크톤과 부착 규조류 뿐만 아니라 벼멸구나 미소 박테리아와 같은 해적생물도 먹이로 사용하므로 벼와는 양분경합 없이 오히려 벼의 성장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는 바, 논은 별도의 사료 공급 노력이 없이도 매우 우수한 새우의 서식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새우 생장을 위하여 상기와 같이 해적생물도 먹이로 사용하므로 별도의 사료 공급은 필요없으나, 수온의 저하, 일조의 부족 등이 우려될 경우 새우 초기생장에 필요한 클로렐라를 공급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복합영농방법은 새우를 이앙 초기의 논에 투입하되, 논 1,000㎡당 10~30㎏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논의 수심은 10~3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벼의 생장보다는 새우의 생장에 요구되는 수심을 고려한 것이다. 한편, 이 때 투입되는 새우는 모하(어미 새우) 또는 부화된 유생을 넣는 것이 적절하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따른 논 구조의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따른 논 구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친환경적인 벼 재배를 위하여 논에 새우를 투입하여 벼의 재배와 새우의 생장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한 논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논 구조는 경작지대(10)와, 상기 경작지대(10) 사방 측면에 형성된 논둑(20) 및 상기 경작지대(10) 내에 형성되고, 새우 회수를 위하여 형성된 배수로(30)를 포함하고 있다.
이앙 초기의 논 상태는 새우가 스트레스를 받는 조건이므로 별도의 그늘을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하절기 수온의 상승 조건하에서는 깊은 수심이 요구되나, 복합영농답 전체의 수심을 항상 깊게 유지하기보다 일부 면적을 경작지대(10)보다 30~50㎝정도 더 깊이 파고, 그 위에 활대 등으로 구조물(65)을 설치한 후 그 위를 차광망(60)으로 덮어 주는 것이 새우 생장에 보다 효과적이다. 상기 배수로(30)를 따라 구조물(65)를 설치한 후 차광망(60)으로 덮어줄 수도 있으며, 경작지대(10)에 웅덩이를 형성한 경우 그 주변에 구조물을 설치한 후 차광망(60)으로 덮어줄 수도 있다.
이 때 바람직한 본 발명의 구현예는 새우가 논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논둑(20)에 지지대(40)를 설치하여 보호망(45)을 형성한다.
상기 논둑(20)에 설치된 지지대는 그 길이를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40~50㎝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재배되는 벼의 키를 고려한 것이다.
한편, 논둑(20) 주변에는 황새 등의 조류가 새우를 먹이로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90~120㎝의 지지대(50)를 더 설치하고 경작지대(10) 전체를 덮을 수 있는 방조망(55)을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그늘과 답수심을 제공하는 논 구조물은 논둑(20) 안쪽을 이용함이 논둑(20) 성형과 작업의 편리성에서 유리하나, 논의 폭이 넓을 경우는 논 가운데를 길이방향으로 조성함이 보다 효율적일 수 있다.
그리고 새우의 효율적 회수를 위하여 충분한 깊이의 배수로(3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깊이가 30~50㎝이며, 너비가 30~50㎝인 배수로(3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새우 회수는 출수 후 45일의 벼 수확일을 기준하여 콤바인 작업에 요구되는 논바닥 굳히기에 소요되는 기간을 고려하여 가능한 늦은 시기에 회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새우는 생태 습성상 빠른 유속의 물에는 이동하지 않고 오히려 대상체에 부착하고 있으므로 논둑(20)을 통해 서서히 수위를 낮춤으로써 새우가 배수되는 물을 따라 자의적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새우를 1회 회수한 후에는 논둑(20)을 막고 지하수를 관수한 후, 2차로 회수할 경우 1차에 회수되지 못한 새우 대부분이 회수된다.
상기 논둑(20)은 그 높이를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40~60㎝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경작지대(10)의 수심을 고려한 것이다.
한편, 상기 경작지대(10) 내에 웅덩이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모내기 전에 형성할 수도 있으며, 벼를 수확한 후 새우 회수 전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 크기는 가로 50~100㎝ × 세로 50~100㎝ × 깊이 20~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논의 구조는 벼와 새우의 생육을 도우면서, 특히 회수를 보다 용이하게 하고, 그 회수량을 늘리기 위한 것인데, 새우를 회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① 배수로에 새우 밀대를 거치시키고 논둑을 무너뜨려 수압을 이용하여 회수.
② 논물이 있는 상태에서 먹이를 넣은 통발을 설치하고 24시간 후 회수.
③ 경작지대 내에 웅덩이를 형성하고 논물의 수심을 낮춘 후 웅덩이 안에 먹이를 넣은 통발을 설치하고 24시간 후 회수.
④ 경작지대 내에 웅덩이를 형성하고 경작지대의 논물을 모두 없애어 웅덩이와 배수로에만 물이 남아있도록 한 후 24시간 후 새우 밀대로 회수.
⑤ 경작지대 내에 웅덩이를 형성하지 않고 수심을 낮춘 상태에서 배수로에서 새우밀대를 이용하여 회수.
이와 같은 회수방법은 일례에 불과한 것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입식을 위한 새우를 자가 공급하는 체계를 구축함에는 새우의 월동이 가장 경제적인 방법이다. 이를 위하여는 10a(1,000㎡)의 경지 면적당 15㎡(가로 3m× 세로 5m × 깊이 2m)의 저수지를 확보하고, 가을에 회수된 새우 일부를 상기 확보된 저수지로 옮긴 후, 저수지 상부 공간에 비닐하우스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월동기간 중에는 새우의 활동성이 극히 저하되는 시기이므로 별도의 사료 공급은 필요치 않으며, 지하 2m의 깊이인 경우 새우의 자연 생태계에서의 월동 가능온도인 약 4~5℃의 수온이 유지되어 월동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논에 새우를 투입하는 본 발명의 복합영농방법을 이용하여 재배하 는 벼는 백미, 흑미, 발아현미, 적미, 녹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앙 초기 새우의 생장에 필요한 그늘의 형성과 수심의 확보를 위해서는 빠른 기간 내에 초형이 형성되고 절간 신장이 빠른 품종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한 품종의 종자를 우선 소독하는데, 유기농 재배 조건에 합당한 온탕침지법 또는 친환경 자재를 이용한 종자의 소독이 요구되며, 특히 종자 선별시 염수선에 의한 선별하도록 한다.
모내기용 상토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지된 유기농 재배를 위한 상토를 이용하면 충분하다.
파종은 이앙 초기 수심의 확보가 요구됨에 따라 40~45일 이상 육묘된 성묘가 필요하므로, 이앙 예정일을 고려하여 파종이 수행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복합영농방법에서 잡초의 발생이 새우에게 있어서는 새우 서식에 유익한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판단되나, 새우의 회수과정에서 배수와 함께 따라나오는 새우를 회수해야 하는 만큼, 논에 존재하는 다양한 잡초는 새우 회수에 매우 불리한 여건을 조성하게 되므로, 잡초 방제는 새우의 생육이 아닌, 회수을 위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중 친환경적인 잡초방제방법 중 오리를 이용하는 방법은 새우가 오리의 먹이로 이용될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하며, 미강을 이용한 잡초 방제는 미강 투여 후 발생하는 논물의 부영양화와 산소고갈 등 불량 환경으로 새우에 피해가 우려된다. 단, 깊은 수심의 논에 미강을 투여한 경우 벼의 분얼수가 증가된 것이 관찰되었으므로, 벼에 있어서는 미강농법을 병행하는 것도 바람직하 다. 한편, 우렁이는 새우와 포식관계가 없음을 고려할 때 가장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관수는 농업기반공사에서 공급되는 일반 농업용수는 저수지 또는 호수의 물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 바, 여기에는 각종 어류 등 새우를 먹이로 하는 해적생물이 다수 존재할 위험이 매우 높아 사용이 불가능하며, 또한 가능한 많은 새우의 생육기간 확보를 위해서는 벼 수확 직전에 새우를 수확해야 하므로, 결국 벼의 전 생육기간 동안 상시담수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영농방법에서는 관정을 이용한 지하수의 상시 공급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복합 영농을 위한 포장의 조성 및 벼 재배 방법
가. 년차별 정및 및 농가실증시험 포장의 조성
새우 복합영농에 따르는 벼 및 새우의 생장반응을 집중적으로 조사하기 위한 정밀시험용 포장과 농가단위에서의 적용을 위한 예비 단계인 농가실증용 포장 등 2개소에서 2005년(1년차), 2006년(2년차) 등 2년간에 걸쳐 수행되었다.
1) 정밀시험 포장
- 포장 전체 면적 : 55 m x 20 m (1,100 m2)
- 실험구(plot) 면적
* 1년차: 각 시험구(5 m x 10 m: 50 m2) 단위로 강화 FRP (80cm x 120 cm)를 연결하여 제작한 썬라이트(구획간 물 이동 완전차단용) 및 모기장망(논 물은 자유 이동 가능)을 설치하여 격리함.
* 2년차: 각 시험구(9 m x 10 m: 90 m2) 단위로 썬라이트를 설치하되, 썬라이트의 하단부에 모기장망을 이용한 논 물 이동 가능 공간을 설치하여 구획을 격리하였음.
- 관수 : PVC pipe line(지름 80 mm)을 이용하여 각 시험구 별로 지하수를 공급.
- 목표 수심
* 1년차: 저수심(20cm) 및 고수심 (30cm)로 2가지 처리
* 2년차: 수심 20 cm 유지함.
- 수심 조절 : 논둑에 목표 수심에 일치하는 높이의 물고를 만든 후 2일 1회 관수
* 과량의 관수는 overflow 되도록 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수심을 유지
- 실제 조절된 수심 :
* 1년차: 18cm ± 2cm, 27cm ± 3 cm
* 년차: 18cm ± 2cm
- 논둑 높이기 및 방수 작업 :
* 1년차: 논흙으로 둑 높이를 40cm 수준으로 높인 후, 합판(두께 10mm)을 깔고, 그 위에 방수 타포린 덮개를 덮음.
* 2년차: 논흙으로 둑 높이를 30cm 수준으로 높인 후, 일부는 성형된 플라스틱 논둑덮개를 사용하고, 일부는 못자리용 플라스틱 필름을 덮음.
- 새우 보호망 설치:
* 1년차: 논눅과 인접한 논바닥 부위에 나무 각목과 모기장망을 이용하여 논 내부의 새우가 튀어 논 밖으로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망 설치함.
* 2년차: 1년차 실험의 결과에 기초할 때, 정밀포장의 경우 별도의 보호망 설치가 필요 없다 판단되어 2년차에는 설치하지 않음.
- 방조망 설치 : 논 둑 주위에는 80cm 높이의 지지대를 고정하고, 논 중앙 부위 3개소에는 높이 5m의 지지대를 추가로 설치하여 텐트형으로 시험포장 전체를 덮는 과수원 방조망을 설치함.
2) 농가실증 포장
- 포장 전체 면적 : 35 m x 20 m (700 m2)
- 실험구(plot): 별도의 실험구 plot이 없이, 전체 포장을 1개의 plot으로 활용함.
- 관수 : 자동타이머를 부착하여 지하수를 1일 1회 공급
- 수심 : 1, 2년차 공통으로 15 cm (새우처리구), 및 5 cm (대조구)
- 수심 조절 : 논둑에 목표 수심에 일치하는 높이의 물고를 만들어 overflow 시킴.
- 실제 조절된 수심 : 13cm ± 2cm,
- 논둑 높이기 및 방수 작업 : 흙으로 논둑 높이를 40cm 수준으로 높임. 별도의 방수 작업은 수행치 않음.
- 새우 보호망 설치:
* 1년차: 논눅과 인접한 논바닥 부위에 나무 각목과 모기장망을 이용하여 논 내부의 새우가 튀어 논 밖으로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망 설치함.
* 2년차: 논둑 위에 높이 50cm의 나무각목을 설치하고 모기장을 이용하여 새우의 유출 방지를 위한 보호망을 설치하였음.
- 방조망 설치 : 논 둑 주위에는 90cm 높이의 지지대를 고정하고, 계단식 논 윗측 지지대에 걸쳐 시험포장 전체를 덮는 과수원 방조망 설치하였음.
나. 년차별 벼 재배 방법
시험에 사용된 벼 품종 및 파종, 이앙 기타 일반 재배 사항은 표 1 및 표 2와 같다. 표 1은 1년차 정밀시험 및 농가실증시험 포장에서의 조건 요약표이고, 표 2는 2년차 정밀시험 및 농가실증시험 포장에서의 조건 요약표이다.
정밀시험 포장 농가 실증 시험 포장
소재지 충남 예산군 충남 아산시
품종 새추청, 남평 새추청
파종일 2005.4.22 2005.4.13
이앙일 2005.5.20 2005.5.23
이앙 방법 손 이앙 기계 이앙
제초 쌀겨농법 및 손 제초 1회 우렁이 (5.25 투입)
병해충 관리 무방제 유기농 친환경 자재 사용
관수 지하수 관정 이용 지하수 관정 이용
수심 20 cm, 30 cm 15 cm, 5 cm (대조)
담수조건 상시 담수 상시 담수
시 비 돈분 퇴비 퇴비
새우 투입일 2005.7.1. 2005.7.3.
미강 투입일 5.22 (200kg/10a) -
정밀시험 포장 농가 실증 시험 포장
소재지 충남 예산군 충남 아산시
품종 남평 새추청
파종일 2006.4.20 2006.4.15
이앙일 2006.5.27 2006.6.2
이앙 방법 손 이앙 기계 이앙
제초 손 제초 2회 우렁이 (6.5 투입)
병해충 관리 손방제 2회 유기농 친환경 자재 사용
관수 지하수 관정 이용 지하수 관정 이용
수심 20 cm 15 cm
담수조건 상시 담수 상시 담수
다. 새우 관찰구 및 생장구의 조성
1) 새우 관찰구의 설치
1년차 실험 수행시 논에 입식한 새우 sample의 수집 및 중간 생장 관찰이 불가능하였던 바, 2년차 실험에서는 새우의 중간 생육 관찰을 위한 관찰구를 각 구당 4개씩 설치하여 새우 입식 후 1개원 간격으로 관찰구 내의 새우 시료를 채취하여 생장량을 평가하였다. 관찰구는 1 m x 1 m 의 크기로 모기장으로 새우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디자인한 후, 이앙후 10일, 새우 입식 이전에 설치하였다.
2) 새우 생장구의 설치
1년차 실험의 결과에 기초하여, 2년차 실험에서는 이앙초기 새우의 생장에 필요한 그늘 및 수심의 확보를 위하여 별도의 생장구를 설치하였다. 생장구는 각 plot 내에 1개, 2개, 3개 등 3수준을 설치하였다. 생장구는 가로 1.2 X 세로 1.2 m 크기로 써래질 후 이앙 전에 깊이 30cm 가 되도록 논을 파고, 형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4면에 플라스틱 배수관을 묻은 후 플라스틱 파이프를 박아 고정하였다. 생장구의 네 귀퉁이에는 파이프를 세우고 강선을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한 후, 그 위에 90% 차광망을 피복하여 그늘을 형성하였다.
2. 벼의 생육, 수량 및 미질의 조사 방법
- 생육량 관련 평가 : 벼의 생장 및 발육 상태의 평가를 위하여 초장, 분얼수, 엽록소 함량(SPAD값), 출수기, 수장, 간장 등을 조사하였다.
- 수량 관련 평가: 주당수수, 수당영화수, 등숙율, 천립중, 정현비율, 정조중, 현미중, 백미중 등을 조사하였다.
- 미질 관련 평가: 현미/백미의 단백질, 아밀로즈, 지방산 함량 및 식미치를 평가.
- 상기 벼의 생육 및 수량 조사는 농촌진흥청의 표준조사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3. 실험용 새우의 특성, 표본 채집 방법 및 새우 표본의 분석 방법
① 줄새우
본 실험에 사용된 줄새우 (Palaemon paucidens)는 징거미새우과에 속하는 줄새우속의 한 종으로 경북 문경시 산양면 평지리에 소재한 평지저수지에서 새우망 (망목크기 : 0.5× 0.5 cm)으로 채집하고 활어차로 이송하여 1년차 실험의 경우 2005년 6월 30일 예산군 충남농업기술원 시험구와 2005년 7월 1일 아산시 송악면 현장 논에, 2년차 실험의 경우 2006년 7월 12일, 8월 23일 그리고 8월 30일 예산군 충남농업기술원 정밀 시험포장 시험구와 아산시 송악면 농가 실증 시험포장에 입식하였다.
② 새뱅이
새뱅이 (Caridina denticulata denticulata)는 새뱅이과 얼룩생이속의 한 종으로 경북 문경시 산양면 평지리에 소재한 계곡에서 새우망 (망목크기 : 0.5× 0.5 cm)으로 채집하였다. 2년차 실험의 경우 2006년 7월 9일 관련 연구소의 협조를 받아 어린개체를 분양받은 후 입식하였다.
<새우 표본의 채집>
소형 새우 채집망 및 뜰망으로 2005년 10월 7일에서 동년 10월 29일까지 22일 동안 채집하였다. 그물의 망목 크기는 0.1 cm이며 채집된 시료는 채집 후 실험실로 옮겨져 전체 표본을 포르말린 10%로 고정하여 subsampling 24시간 후에 70% 알콜로 고정한 후 분석에 사용하였다.
<새우 표본의 분석방법>
표본 개체를 무작위 추출하여 갑각장 (Carapace Length : CL)을 이미지 분석시스템 (Olympus SZX12, Image analysis software ; Image-Pro Plus Version 4.1)을 이용하여 눈구멍 기저에서 갑각의 정중선 뒷가장자리까지 가장 짧은 거리를 0.001 mm까지 측정하였다. 체장빈도 분포는 갑각장 0.5 mm 간격으로 각 체장별 개체수를 표시하였으며, 무게의 측정은 전자식 저울 (Sartorius, CP64)을 이용하여 0.0001 g까지 계측하였다. 성 (sex)구분은 해부현미경하 (Olympus, SD30)에서 실시하였으며, 암수의 구분은 두 번째 배다리 안다리의 숫돌기 유무에 의해 암수가 결정하였고, 안부속지만 존재하거나 포란했으면 암컷으로 구분하였다. 월별 성비는 전체 개체의 출현수에 대한 암컷 개체의 출현수의 비율로 표시하였다.
4. 새우의 회수 방법
가. 정밀포장에서의 회수 방법
1) 1년차 회수 방법
① 배수로에 새우 밀대를 거치시키고 논둑을 무너뜨려 수압을 이용하여 회수.
② 논물이 있는 상태에서 먹이를 넣은 통발(망목 0.1× 0.1 cm)을 설치하고 24시간 후 회수.
③ 경작지대 내에 웅덩이(90× 90× 30 cm)를 형성하고 논물의 수심을 낮춘 후 웅덩이 안에 먹이를 넣은 통발(망목 0.1× 0.1 cm)을 설치하고 24시간 후 회수.
④ 경작지대 내에 웅덩이(90× 90× 30 cm)를 형성하고 경작지대의 논물을 모두 없애어 웅덩이와 배수로(1000× 40× 30 cm)에만 물이 남아있도록 한 후 24시간 후 새우 밀대로 회수.
⑤ 경작지대 내에 웅덩이를 형성하지 않고 수심을 낮춘 상태에서 배수로(1000× 40× 30 cm)에서 새우밀대를 이용하여 회수.
2) 2년차 회수 방법
정밀시험포장에서의 2년차 수확은, 1년차의 회수 방법 결과에 기초하여, 논둑을 개방하되, 매우 늦은 유속으로 논물을 방출시키며 진행되었다. 논둑이 개방된 곳(배수구)의 논 안쪽으로 새우밀대를 거치시켜 새우의 유출을 방지하였으며, 상기 회수 방법을 각 구획별로 실시하되, 1회 회수 후에는, 다시 관정물을 관수하여 수심을 10cm 이상 유지한 후, 24시간 경과한 뒤 제 2차 회수를 실시.
나. 농가실증포장에서의 회수 방법
송악면 현장 논은 수로를 이용한 5가지를 통한 수확방법을 시험하였다. 숫자와 알파벳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① 논 안에 십자형의 배수로 (5000× 30× 30 cm)를 낸 후 배수구에 새우밀대를 거치시키고 둑을 무너트려 수압으로 수확하였다.
② 2명이서 1→a, 2→b, 3→c 그리고 4→d로 새우밀대를 이동시켜 수확하였다.
③ b와 c를 막고 물을 유입한 후 1→a→d→4로 새우밀대를 이동시켜 수확하였다.
④ c와 d를 막고 1→a→b→2로 새우밀대를 이동시켜 수확하였다.
⑤ b와 d를 막고 1→a→c→3으로 새우밀대를 이동시켜 수확하였다.
5. 새우의 월동 실험 방법
줄새우 및 토하의 월동 방법을 검토코자 동절기 동안 실험실내 사육조 및 일반 건물 내부 플라스틱 수조 (2,000 L)에 정밀 시험포장과 농가 실증 시험포장에서 채집된 새우를 수온 15℃∼18℃로 유지시켜주고 공식 방지를 위해 사료를 1일 1회 투입하여 약 1달간 사육하며 사망개체수를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에 대한 각 항목의 평가 및 측정 결과는 하기와 같다.
1. 복합영농에 따른 벼 생장 및 발육의 변화
가. 새우 투입 이전 수심 및 미강처리에 따른 이앙초기 벼 생장량 변화
- 본 발명은 새우를 키우기 위한 유기농법의 수행이 전제조건이었으며, 유기논에서의 잡초방제를 위하여 쌀겨(미강)농법을 도입하였다. 쌀겨농법은 수도의 이앙 초기 생육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바, 새우가 투입되기 이전의 수도 생장상태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 특히 새우의 투입을 위해서는 30 cm 까지 유지되는 수심에 잠기지 않을 정도의 초장의 확보와 투입된 새우가 머물기에 충분한 그늘을 제공하는 차광망의 확보, 그리고 분얼의 확보가 필요하며, 이러한 벼의 이앙초기 생장량이 새우 투입 시기의 결정적 요인이 되었다.
- 쌀겨농법(미강처리)에 따른 벼 이앙 초기 초장을 평가한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으며, 새추청의 경우 저수심, 혹은 고수심 모두에서 미강 처리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남평의 경우 저수심에서는 미강처리에 의하여 대조(49.2 cm)보다 약 8%의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고수심에서도 미강처리구(52.5 cm)가 대조구 초장이 약 8%의 증가하였다. 새우의 투입을 위해서는 단기간의 높은 초장의 확보가 유리한 바, 쌀겨농법을 도입할 경우 새추청보다는 남평벼가 새우 투입 일을 앞당기어 논에서의 새우 생장기간을 확보함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미강처리에 따른 벼 이앙 초기 분얼수를 평가한 결과는 도 5와 같으며, 새추청의 경우 저수심과 고수심 모두에서 미강 처리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남평의 경우 저수심에서는 미강처리에 의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고수심의 경우 미강처리(16.8개)가 대조(14.7개)보다 2개의 분얼수 증가가 관찰되어 약 13%의 증가를 나타냈다. 그늘을 선호하는 새우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할 때, 많은 분얼수의 조기 확보가 새우 생장에 유리하므로, 높은 수심에서의 쌀겨농법의 도입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 벼 이앙 초기 엽록소 함량을 평가한 결과는 도 6과 같으며, 새추청의 경우 저수심에서는 미강처리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고수심의 경우 미강처리(34.8)가 대조(37.0)보다 약 8%낮은 엽록소함량을 나타내고 있고, 남평의 경우 고수심에서는 미강처리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나 저수심에서는 미강처리(38.2)가 대조(35.8)보다 약 5% 높은 엽록소함량을 나타내었다.
나. 새우 투입이후 복합영농에 따른 생육 후기 벼 생장량 변화
1) 1년차 시험 결과
- 새우와의 복합 영농은 상시 담수, 관행보다 높은 수심의 유지 등 특이한 조건을 부여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포장 상태가 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기 위하여 논에 새우를 투입한 후, 생육 후기 벼 생장량을 (8월 24일) 평가하였다.
- 새우 투입 이후 벼 생육 후기의 초장 변화를 도 7에 나타내었다. 새추청의 경우 수심에 따른 초장의 차이가 있었는데, 고수심이 저수심보다 초장이 낮게 나타나 대조는 6.2cm, 새우 1kg처리는 8.1cm, 새우 2kg처리는 6.1cm,미강+새우 1kg처리는 5.6cm 낮은 초장이 나타났다. 반면에 남평의 경우 수심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이상의 결과를 미루어 볼 때, 남평은 추청 보다 수심에 대한 초장 반응성이 낮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새우 투입 이후 생장 후기의 엽록소 함량을 SPAD로 조사한 결과는 도 8과 같으며, 고수심에서는 품종에 상관 없이 새우처리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새추청, 남평 모두 저수심에서 새우처리 효과가 나타났다. 새추청의 저수심의 경우 새우 1kg구와 미강+새우 1kg구의 SPAD값은 각각 31.7과 30.7으로 대조(29.8)보다 각각 6%, 3% 높은 엽록소함량이 나타났으며, 새우 2kg을 넣은 구의 경우는 대조와 차이가 없었다. 남평의 경우 저수심에서는 새우 1kg 넣은 구와 새우 2kg 넣은 구가 각가 32.6, 33.1으로 대조(30.2)보다 약 6%, 10% 높은 엽록소함량이 나타났다. 이상의 경과를 볼 때, 새우의 투입은 다소 벼의 엽록소 함량 증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새우 투입량에 비례적이지 않았음을 고려할 때, 그 기작과 재현성에 대한 년차별 추가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한편 농가 실증 포장에서의 새우 투입 이후 초장 및 엽록소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도 9와 같으며, 엽록소 함량은 대조(34.1)보다 새우처리(36.9)가 약 5% 높게 나타나 정밀시험포장과 유사한 결과였다.
-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실험이 수행된 조건하에서 새우의 투입은 벼의 생육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2) 2년차 시험 결과
- 2년차 정밀시험포장에서 새우의 투입 후 초장, 분얼수, 엽록소 함량 등 생장지표를 비교 평가한 결과, 표 3에서 볼 수 있듯이, 1년차 실험에서 나타난 바와 유사하게, 새우의 투입 여부는 벼의 생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육 후기의 간장과 수장 등에서도 새우 투입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초장 분얼수 SPAD 수장 간장
무처리 47.1±0.67 14.1±0.81 35.3±0.80 66.8±2.53 21.0±2.11
줄새우 1kg 46.9±0.73 14.1±0.67 35.0±0.88 67.1±3.16 20.8±2.32
줄새우 2kg 47.0±0.70 14.1±0.72 35.3±0.97 66.8±2.55 21.6±1.67
토하 1kg 47.0±0.73 14.0±0.76 34.9±0.50 66.8±2.03 21.0±2.31
- 농가실증 포장에서의 관찰 결과도 무처리구와 줄새우 투입구의 초장은 각각 51.15 ± 0.88, 51.28 ± 1.21로 유사하였고, 분얼수도 각각 17.1 ± 0.97, 17.1 ± 0.79로 동일하였으며, SPAD로 측정된 엽록소 함량도 각각 37.3 ± 0.98, 37.3 ± 0.87로 동일하였다.
2. 복합 영농에 따른 수량 및 품질의 변화
가. 수량구성요소의 변화
1) 1년차 실험 결과 (표 4)
- 새우 처리에 의한 수량 구성 요소중 주당 수수에서 새추청은 새우처리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남평은 저수심은 새우처리 효과가 없는 반면, 고수심 조건하에서는 새우 2kg 투입구(15.6개)는 무처리구(15.0개)보다 4% 증가된 주당 수수가 관찰되었으나, 미강+새우1kg(12.2개)는 오히려 낮은 주당 수수가 관찰되었다.
- 새우 처리에 의한 이삭당 영화수는 품종에 관계 없이 고수심에서는 새우처리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저수심에서는 새추청의 경우 새우1kg(61.1개)와 새우2kg(65.5개) 및 미강+새우1kg(88.7개)구에서 무처리(68.8개)보다 증가하였으며, 남평은 무처리(79.2개)보다 새우2kg(87.5개)에서 10% 높았다.
- 등숙율에서 새추청은 저수심, 고수심 모두에서 새우 처리에 의하여 등숙율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남평은 수심에 따라 반응이 상이하여 저수심에서는 처리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고수심에서는 새우처리효과가 인정되었다. 새추청의 경우 저수심에서는 새우1kg(88.9%)가 무처리(96.6%)보다 8%가 낮은 등숙율이 나타났다. 새추청 고수심에서는 새우1kg(92.8%), 새우2kg(91.2%), 미강+새우1kg(93.9%)가 무처리(95.6%)보다 각각 3%, 4%, 1% 낮은 등숙율이 조사되었다. 남평 고수심에서는 미강+새우1kg(92.0%)가 무처리(91.1%)보다 1% 높은 등숙율이 나타났고 새우1kg(86.4%)와 새우2kg(88.2%)는 각각 5%, 3% 낮은 등숙율이 나타났다.
Figure 112007088025611-pat00001
2) 2년차 실험 결과 (표 5)
2년차 정밀포장에서의 실험 결과, 새우의 종류와 새우 투입량에 따라 무처리 대비 수량구성요소의 변화가 있었으나, 이삭당 영화수와 천립중, 등숙율 등이 새우 입식에 의하여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주당 이삭수 이삭당 영화수 천립중(g) 등숙율(%)
무처리 12.6 73.1 23.0 85.6
줄새우 1kg 11.5 85.1 24.0 91.3
줄새우 2kg 12.8 70.7 24.2 92.0
토하 1kg 11.5 82.8 23.1 88.1
나. 수량의 변화
1) 1년차 실험 결과 (표 6)
- 새우 처리에 의한 정밀 시험 포장의 수량에서 정현비율은 새우처리 효과가 새추청 저수심에서 나타나지 않았으나 새추청 고수심과 남평의 모든 수심에서 처리 효과가 나타났는데, 새추청의 경우 고수심에서 모든 새우 투입구(83.2%)에서 무처리(82.8%)보다 1% 높은 정현비율의 나타났고, 남평 저수심에서는 새우1kg(83%)과 새우2kg(82.6%)이 무처리(82.4%)보다 1% 높은 정현비율이, 남평 고수심에서는 새우1kg(82.8%) 처리가 무처리(82.1%)보다 1% 높은 정현비율이 나타났다.
- 정밀 시험 포장에서 정조중은 새추청의 경우 저수심에서는 무처리(509.7kg/10a)보다 새우 2kg (543.7kg/10a)과 미강+새우1kg(570.3kg/10a) 처리구에서 각각 6%, 11% 높은 정조중이 관찰되었다. 새추청 고수심에서는 무처리(435.7kg/10a)보다 새우1kg(460kg/10a), 새우2kg(471.7kg/10a), 미강+새우1kg (463kg /10a) 처리구에서 각각 5%, 8%, 6% 높은 정조중이 관찰되었다. 한편 남평은 저수심에서는 무처리(423kg/10a)보다 새우1kg(499kg/10a) 새우 2kg (466kg/ 10a)가 각각 17%, 10%높은 정조중이, 고수심에서는 무처리(411kg /10a)보다 새우1kg(488kg/10a)가 18% 높은 정조중이 나타났다.
- 새우 처리에 의한 정밀 시험 포장의 수량에서 현미중은 새추청, 남평 모두 새우처리효과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새추청 저수심에서는 무처리(423kg/10a)보다 새우2kg(454kg/10a)과 미강+새우1kg(477/10a)이 각각 7%, 12% 높은 현미중이 수확되어 처리효과가 나타났다. 새추청 고수심에서는 무처리(361kg/10a)보다 새우1kg(382kg/10a), 새우2kg(392kg/10a), 미강+새우1kg(385kg/10a)가 각각 5%, 8%, 6% 높은 현미중이 수화되어 새우 처리 효과가 나타났다. 남평 저수심에서는 무처리(348kg/10a)보다 새우1kg(414kg/10a) 새우 2kg(385kg/10a)가 각각 18%, 10%높은 현미중이 수확되었다. 남평 고수심에서는 무처리(337kg/10a)보다 새우1kg(405kg/10a)가 20% 높은 현미중이 수화되어 새우처리 효과가 나타났다.
- 백미중 역시 복합영농에 의한 증대가 관찰되었는데, 새추청의 경우 저수심에서는 무처리(390kg/10a)보다 새우2kg(418kg/10a)과 미강+새우1kg(439kg/10a)이 각각 7%, 12% 높은 백미중이, 고수심에서는 무처리(332kg/10a)보다 새우1kg(352kg/10a), 새우2kg(361kg/10a), 미강+새우1kg(355kg/10a)가 각각 6%, 8%, 6% 높은 백미중이 수확되었다. 남평의 경우도 새추청과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는데, 저수심에서는 무처리(321kg/10a)보다 새우1kg(381kg/10a) 새우 2kg(354kg/10a)가 각각 18%, 10%높은 백미중이, 고수심에서는 무처리(338kg/10a)보다 새우1kg (405kg/10a)가 20% 높은 백미중이 수확되어 새우처리 효과가 나타났다.
Figure 112007088025611-pat00002
2) 2년차 실험 결과 (표 7)
2년차 실험 포장의 경우, 1년차와 유사한 경향으로 새우의 투입에 의하여 수량이 다소 증가하는 것으로 타나났는데, 백미중을 기준으로 볼 때 무처리 328kg/10a에 비해 줄새우 1kg/50m2 투입시는 369kg/10a로 13%, 토하 1kg/50m2 투입의 경우는 346 kg/10a로 5.4% 증가하였다. 그러나 줄새우 2kg/10a 입식의 경우는 오히려 1kg/10a 입식 보다 감소한 323kg/10a로 나타나 새우 투입량에 벼 수량이 비례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우 처리 정현비율
(%)
정조중
(kg/10a)
현미중
(kg/10a)
백미중
(kg/10a)
무처리 80.3 443.5 356.5 328.0
줄새우 1kg 81.0 501.4 402.1 369.9
줄새우 2kg 81.2 433.3 352.0 323.9
토하 1kg 80.3 467.0 376.0 346.0
다. 쌀 식미치 등 품질의 변화 (표 8)
- 새우 처리에 의한 식미 품질을 평가한 결과, 현미 단백질함량이 새우처리구가 무처리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는데, 남평 저수심 새우2kg(6.83%)구에서 무처리(6.9%)구보다 약 1% 낮은 단백질함량이 나타났다.
- 현미 아밀로스함량에서 새우 처리 시 낮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는데, 새추청 저수심의 미강+새우1kg구와 새추청 고수심 새우1kg, 남평 고수심 새우1kg가 무처리구보다 아밀로스함량이 1% 낮게 나타났다.
- 새우 처리에 의한 미질 분석 결과 현미 지방산함량에서 새우처리 효과가 무처리보다 높은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새추청 고수심 새우1kg와 남평 고수심 새우 1kg가 무처리보다 낮은 함량이 나타났다.
- 백미 단백질함량은 새우 처리 시 무처리보다 높은 경향이 나타났으며, 특히 남평 고수심 새우 2kg 처리구 경우 단백질함량이 약 0.1% 낮게 나타났다.
- 백미 아밀로스함량은 새우처리 시 무처리보다 높은 경향이 있었다. 특히 새추청 저수심 새우1kg와 미강+새우1kg, 남평 저수심 새우1kg, 남평 고수심 새우2kg의 아밀로스함량이 낮게 나타났다.
- 새우 처리에 의한 미질 분석 결과 식미치는 무처리와 새우처리구 간에는 뚜렷한 차이가 인정되지는 않았다.
- 2년차 실험에서 수확된 쌀의 식미치를 평가한 결과, 1년차와 유사하게 처리간 차이가 인정되지 않아 새우 입식은 식미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도 10).
Figure 112007088025611-pat00003
3. 포장 상태에서의 새우 성장
2차년도 실험시 설치된 각 시험구별 관찰구 내부에서 1개월 간격으로 채취된 새우 sample의 생장량을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포장 관찰구 줄새우 성장
① 일반모하구
관찰기간 3개월 중 관찰구모하구1kg에서는 3.21∼7.63㎜로 평균 5.7㎜를 관찰구모하구2kg에서는 최소 3.21에서 최대 7.63㎜로 평균은 5.6㎜로 측정되었다.
② 사료모하구
일반모하구와 같은 실험방법으로 3개월 중 사료모하구1kg에서는 3.21∼8.28㎜로 평균 5.68㎜를 사료모하구2kg에서는 3.21∼8.28㎜로 평균은 5.71㎜를 나타내었다.
나. 포장 관찰구 토하 성장
정밀시험포장에서 토하성장을 보면 처음 입식때 갑각장(C.L.)의 길이는 3.12∼4.79㎜로 평균 3.84㎜를 나타내었으며 8월 2일에는 3.46∼6㎜로 평균은 5.71㎜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채집인 9월 13일에는 최소 2.01㎜에서 최대 5.52㎜를 나타내며 평균 3.85㎜를 측정하였다.
4. 수확 방법에 따른 새우 수확 효율 비교
가. 정밀시험포장 시험구의 5가지 방법에 따른 수확량 비교
① 수압에 의한 수확량은 0∼15%로 수확률이 매우 낮았다. 배수 속도가 많이 느리고 논 밖 배수로와 높이가 거의 같아 배수가 잘 되지 않았다.
② 먹이유인에 의한 수확량은 0∼5%로 수확률이 매우 낮았다. 먹이 유인에 인한 수확은 거의 미미하다고 사료된다.
③ 웅덩이를 형성하고 먹이로 유인한 수확량은 0∼5%로 수확률이 매우 낮았다. 수심이 낮아짐으로 인해 새우들이 수로로 이동하여 웅덩이와 먹이 유인에 인한 수확도 거의 미미하다고 사료된다.
④ 수심에 의한 수확량은 5.5∼80%로 평균 31.8% (± 28.6)의 수확률을 보였다.
⑤ 배수로에 의한 수확량은 0.5∼60%로 평균 20.3% (± 22.1)의 수확률을 보였다.
나. 송악면 현장농가의 수로를 이용한 5가지 단계 수확
5단계에 따른 수확량은 2.8∼63.6%로 평균 20% (± 24.8)로 나타내었다.
① 첫 번째 배수구에 새우밀대를 거치시키고 둑을 무너트려 수압으로 수확한 양은 2.8%로 매우 미미하였다.
② 2명이서 전 구획을 한 번씩 수확한 구간은 63.6%로 가장 높은 수확량을 보였다.
③ b와 c를 막고 물을 유입한 후 수확한 단계는 15.4%로 나타났다.
④ c와 d를 막고 수확한 단계는 10.5%로 다른 단계와 비슷한 값을 나타냈다.
⑤ b와 d를 막고 수확한 단계도 7.7%로 미미한 수확 수치를 보였다.
다. 새우 수확량
수심차에 의한 수확으로 줄새우 1 ㎏구간에서는 총 1.15 ㎏을 줄새우 2 ㎏구간에서는 1.65 ㎏을 수확하였으며, 토하구에서는 약 7.2 ㎏을 수확하였다. 실증농가 포장에서는 정밀포장과 같은 방식으로 약 7 ㎏을 수확하였다.
라. 논에서의 새우 부착의 문제점
새우를 수확하는데 있어 문제점은 새우류가 수심이 낮아질 때 습한 물풀의 부착기질과 진흙 속에서 기어 다니며 배수로로 나오지 않는 것에 있었다. 보다 효율적인 수확을 위해서 수확 전에 물풀 제거와 수확용 수로나 웅덩이를 구비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마. 채취된 표본 새우의 분석
① 줄새우
암수의 개체수는 암컷이 49%를 차지하였고, 수컷이 51%를 차지하여 수컷의 출현 비율이 암컷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Chi-square test 결과 수컷이 암컷보다 성비에 있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χ2 = 216.49, d.f. = 11, P < 0.001). 갑각장에 따른 성비의 분포는 0.5 mm 간격으로 구분하여 3.0∼4.5 mm와 10.0∼12.0 mm에서 암컷이 우점적으로 나타났고, 7.5∼9.0 mm에서 수컷이 우점적으로 나타났다. 채집된 암·수컷의 최대최소 갑각장은 암컷의 경우 각각 11.73 mm 및 2.53 mm이였고, 수컷은 각각 10.65 mm 및 3.07 mm이였다.
② 새뱅이
조사기간 동안 새뱅이의 크기빈도 분포는 정규분포를 하지 않았다 (Anderson- Daring normality test : P < 0.01). 그러나 오른쪽은 비대칭도를 나타내었다 (비대칭도 = 0.3819). 미숙한 새뱅이 (< 2 mm CL) 수컷과 암컷 그리고 전체 개체수 크기는 각각 5.2%, 42.7% 그리고 52.1%로 나타내었다. 수컷과 암컷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Kolmogorov-Smirnov two-sample test ; dmax = 0.250, P > 0.6).
5. 새우의 월동 가능성 평가
실험실 내 약 1달간 줄새우(Palaemon paucidens)와 새뱅이(Caridina denticulata denticulata)의 사망개체수를 보면 줄새우 일 평균 최대 사망개채수는 15마리로 평균 5.4마리가 사망하였으며 새뱅이의 경우 일 평균 최대 4마리로 평균 1.5마리가 사망하였다. 일반 건물 내에서 간이식 월동 수조를 설치하여 토하를 월동시킨 결과 새뱅이는 약 90% 정도의 월동이 가능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따른 논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따른 논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따른 논에서 미강처리 유무에 따른 벼 이앙 초기 초장을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따른 논에서 미강처리 유무에 따른 벼 이앙 초기 분얼수를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따른 논에서 미강처리 유무에 따른 벼 이앙 초기 엽록소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따른 논에서 새우투입 유무 및 함량에 따른 벼의 초장을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따른 논에서 새우투입 유무 및 함량에 따른 벼의 엽록소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따른 논에서 실증 포장에서의 새우투입 유무 및 함량에 따른 벼의 초장 및 엽록소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따른 논에서 수확된 쌀의 식미치를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4)

  1. 가로 50~100cm, 세로 50~100cm, 깊이 20~50cm의 웅덩이와, 깊이가 30~50cm이며, 너비가 30~50cm인 배수로를 포함하는 경작지대; 및
    상기 경작지대 사방 측면에 형성되며, 지지대가 설치되고 새우 유출방지를 위한 보호망이 형성된 논둑을 포함하고,
    상기 웅덩이 및 배수로는 각각의 상부에 그늘 형성을 위하여 차광망이 설치된 논 구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논둑 주변에는 높이 90~120㎝의 지지대가 설치되고 경작지대 전체를 덮는 방조망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 구조.
  4. 삭제
KR1020070126432A 2007-12-06 2007-12-06 복합영농을 위한 논 구조 KR100966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432A KR100966765B1 (ko) 2007-12-06 2007-12-06 복합영농을 위한 논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432A KR100966765B1 (ko) 2007-12-06 2007-12-06 복합영농을 위한 논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9535A KR20090059535A (ko) 2009-06-11
KR100966765B1 true KR100966765B1 (ko) 2010-06-30

Family

ID=40989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6432A KR100966765B1 (ko) 2007-12-06 2007-12-06 복합영농을 위한 논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67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18026B (zh) * 2016-04-07 2019-09-03 安庆市义云农业有限责任公司 稻虾共生防天敌绿色立体种养方法
CN106386609A (zh) * 2016-10-13 2017-02-15 盘锦光合蟹业有限公司 一种水稻中华小长臂虾繁育的方法
CN107047413A (zh) * 2017-05-15 2017-08-18 马鞍山农腾生态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虾、水稻、早熟白菜连作生态循环种养新模式
CN108718965B (zh) * 2018-06-04 2021-05-28 华中农业大学 一种稻虾共作的稻虾生态种养方法
CN109452211A (zh) * 2018-12-30 2019-03-12 盐城工学院 一种稻田中混合养殖小龙虾的方法
CN109526828A (zh) * 2019-01-16 2019-03-29 张魁 一种莲藕田套养小龙虾的养殖方法
CN109757322A (zh) * 2019-03-15 2019-05-17 江苏省淡水水产研究所 一种稻渔虾循环种养***及稻渔虾种养方法
CN110249773B (zh) * 2019-07-24 2024-04-02 四川农业大学 具有液体肥料施用功能的水田田坎装置
CN110583547B (zh) * 2019-09-18 2021-11-26 华中农业大学 一种稻虾共作的水分管理方法
CN110537465A (zh) * 2019-09-29 2019-12-06 湖南农业大学 一种稻田立体综合种养方法
CN110839579A (zh) * 2019-11-20 2020-02-28 中国水产科学研究院淡水渔业研究中心 稻-鱼生态种养***及方法
KR102407705B1 (ko) * 2020-02-28 2022-06-10 유병화 틸라피아 및 참게의 복합 논 생태 양식 시스템
CN111631096A (zh) * 2020-05-20 2020-09-08 潘典进 一种虾稻全田生态种养方法
CN112021109A (zh) * 2020-09-14 2020-12-04 湖北省农业科学院植保土肥研究所 一种繁养分离的稻虾共作方法
CN113099988A (zh) * 2021-03-29 2021-07-13 海南归耘田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虾、水稻、莲藕组合生态种养方法
CN113229079A (zh) * 2021-05-08 2021-08-10 湖州市植保检疫与耕肥管理站 一种适用于大面积稻渔鸭三元非对称共作的生态防治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8582A (ja) * 1996-03-06 1997-09-16 Nittetsu Boshoku Kk 蓮田用防風・防鳥ネット棚の構造
KR20060091130A (ko) * 2005-02-14 2006-08-18 김현철 연못을 갖는 논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8582A (ja) * 1996-03-06 1997-09-16 Nittetsu Boshoku Kk 蓮田用防風・防鳥ネット棚の構造
KR20060091130A (ko) * 2005-02-14 2006-08-18 김현철 연못을 갖는 논구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한국유기농업학회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9535A (ko) 200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6765B1 (ko) 복합영농을 위한 논 구조
KR100941744B1 (ko) 복합영농방법
CN103348890B (zh) 一种在稻田中综合进行多种水产动物养殖及水稻种植的方法
CN105379646B (zh) 一种小龙虾养殖池塘种植水稻的方法
CN103891659B (zh) 池塘鱼稻共生饲养塘鳢鱼的方法
CN103348889B (zh) 一种稻田生态种养方法
Maar et al. Fish culture in central East Africa
CN103733929B (zh) 一种高产有机稻的生产方法
CN210900695U (zh) 一种仙草、小龙虾、水稻共生养殖***
CN110476753B (zh) 一种仙草、小龙虾、水稻共生养殖***
CN108739159A (zh) 一种稻-鳖-鱼共作模式的生态养殖方法
CN107182657A (zh) 一种稻田养鱼的方法
CN102369906A (zh) 生态型稻田养鳖方法
Carballo et al. Small-scale freshwater fish farming
KR20200069039A (ko) 틸라피아 논 생태 양식 시스템
CN103125328A (zh) 蛙稻米生态种养技术
KR20210109957A (ko) 틸라피아 및 참게의 복합 논 생태 양식 시스템
CN112219660A (zh) 一种稻蟹生态种养方法
CN110859114A (zh) 一种稻田生态综合养殖方法
CN107466754A (zh) 一种水稻‑泥鳅‑蔬菜结合的立体生态种养方法
CN107836271A (zh) 鱼、虾、鹅、林、藕生态养殖方法
CN112493188A (zh) 一种稻虾轮作生态养殖方法
CN107466622A (zh) 一种莲田养鱼的养殖方法
CN105532521B (zh) 一种甲鱼/水芹立体生态种养方法
MARTIN et al. Agroforestry princip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