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6546B1 - 적층필름, 디스플레이용 필터 및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적층필름, 디스플레이용 필터 및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6546B1
KR100966546B1 KR1020047015111A KR20047015111A KR100966546B1 KR 100966546 B1 KR100966546 B1 KR 100966546B1 KR 1020047015111 A KR1020047015111 A KR 1020047015111A KR 20047015111 A KR20047015111 A KR 20047015111A KR 100966546 B1 KR100966546 B1 KR 100966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laminated film
layer
film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5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5315A (ko
Inventor
카와노마히토
마에다키요시게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47015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6546B1/ko
Publication of KR20040095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5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6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6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3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inorganic layer materials only
    • G02B1/115Multilayers
    • G02B1/116Multilayers including electrically conduct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6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having an anti-static effect, e.g. electrically conducting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or lenses
    • H01J2211/446Electromagnetic shielding means; Antistatic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10T428/24372Particulate mat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저굴절율과 고굴절율의 박막을 적층한 반사방지필름에 있어서, 저굴절율층의 표면경도를 높임으로써 표면의 내찰과성을 개선하고, 저반사이며 또한 투명성도 우수한 반사방지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적층필름과 그 적층필름을 이용한 디스플레이용 필터 및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기재필름(a)의 적어도 한쪽 면에,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함유하는 하드코트층(b), 도전성 입자를 함유하는 도전층(c), 불소화합물을 함유하는 수지층(d)을 적층해서 이루어지는 적층필름에 있어서, 수지층(d)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갖고, 상기 요철의 산술 평균 조도(Ra)값이, 0.003㎛이상, 0.025㎛이하이며 또한 상기 적층필름 표면의 반사율이 2%미만인 적층필름, 그 적층필름을 이용한 디스플레이용 필터 및 디스플레이이다.

Description

적층필름, 디스플레이용 필터 및 디스플레이{LAMINATED FILM, FILTER FOR DISPLAY, AND DISPLAY}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브라운관(CRT), 액정표시소자(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등의 디스플레이 표시면에 배치되는 반사방지 필름용으로서, 특히 내찰과성, 투명성이 우수한 적층필름 및 디스플레이용 필터에 관한 것이다.
TV, PC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표시장치에서는, 태양광이나 형광등 등의 외광이 표면에 반사 및 비춰지기 때문에, 표시화상이 잘 보이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일본특허공개 평12-329905호공보나 일본특허공개 평13-264508호공보에서 제안한 바와 같이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외광을 난반사시키거나, 저굴절율과 고굴절율의 박막을 교대로 적층해서 빛의 반사를 방지하는 방법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외광을 난반사시키는 방법에서는, 디스플레이상의 화상이 부옇게 보이기 때문에, 새로운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일본특허공개 평4-355401호공보, 일본특허공개 평11-92750호공보나 일본특허공개 평11-174971호공보에서 제안한 바와 같이, 표층에 저굴절율의 함불소 화합물을 형성하는 방법에서는, 불소 화합물의 표면경도가 낮아서 내찰과성이 없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조립시 혹은 표면의 청소시 에 상처가 생겨 화상이 부옇게 보이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굴절율층의 표면경도를 높임으로써 표면의 내찰과성을 개선하고, 저반사이며 또한 투명성도 우수한 반사방지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적층필름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적층필름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주로 다음의 구성을 갖는다. 즉, 기재필름(a)의 적어도 한쪽 면에,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함유하는 하드코트층(b), 도전성 입자를 함유하는 도전층(c), 불소화합물을 함유하는 수지층(d)을 적층해서 이루어지는 적층필름에 있어서, 수지층(d)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갖고, 상기 요철의 산술 평균 조도(Ra)값이 0.003㎛이상, 0.025㎛이하, 또한 상기 수지층(d)측의 적층필름 표면의 반사율이 2%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필름이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용 필름은, 주로 다음의 구성을 갖는다. 즉, 상기 적층필름의 수지층(d)의 반대면의 기재필름측에 점착층 또는 접착제층을 형성하고, 점착층 또는 접착제층면에 보호필름을 접착해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용 필름이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용 필터는, 주로 다음의 구성을 갖는다. 즉, 상기 적층필름을 점착층 또는 접착제층을 개재해서 디스플레이면의 표면에 접착해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용 필터이다.
또한,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전면 보호판은, 주로 다음의 구성을 갖는다. 즉, 상기 적층필름을, 점착층 또는 접착제층을 개재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전면판의 표면에 접착해서 이루어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 보호판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적층필름의 적층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필름 단면도의 일례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적층필름을 사용한 PDP 전면판의 형태도의 일례이다.
(부호의 설명)
1:적층필름 2:기재필름
3:하드코트층 4:도전층
5:수지층 6:도전성 입자
7:실리카 미립자 8: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 보호판
9:전자파 실드기능을 가진 유리 10:점착층
본 발명의 적층필름은, 기재필름(a)의 적어도 한쪽 면에,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함유하는 하드코트층(b), 도전성 입자를 함유하는 도전층(c), 불소화합물을 함유하는 수지층(d)을 적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층필름에 있어서, (1)수지층(d) 표면의 요철의 산술 평균 조도(Ra)값이 0.003㎛이상, 0.025㎛이하, 또한 상기 수지층(d)측의 적층필름 표면의 반사율이 2%미만이며, 또한 (2)적층필름의 헤이즈가 3%미만인 것, (3)기재필름(a)이 에스테르, 올레핀, 아세테이트, 스티렌, 카보네이트, 술폰, 에테르에틸케톤, 이미드, 불소, 나일론, 아크릴레이트, 지환족 올레핀에서 선택되는 1개를 구성단위로 하는 폴리머로 구성되는 것, (4)기재필름(a)이 에스테르, 아세테이트, 아크릴레이트에서 선택되는 1개를 구성단위로 하는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것, (5)도전층(c)의 층두께가 0.01㎛∼1.0㎛로 구성되는 것, (6)도전층(c)의 도전성 입자의 함유량이 70중량%∼90중량%로 구성되는 것, (7)수지층(d)이 입경 0.001㎛∼0.2㎛의 실리카 미립자를 함유하는 조성물로 구성되는 것, (8)실리카 미립자가 2성분이상의 입경분포를 갖는 조성물로 구성되는 것, (9)수지층(d)이 (일반식) R(1)aR(2)bSiX4-(a+b) 로 나타내어지는 실란커플링제 또는 그 가수분해물 또는 그 반응물을 함유해서 이루어지는 조성물로 구성되는 것. (여기서, R (1), R(2)는 각각 알킬기, 알케닐기, 알릴기, 또는 할로겐기, 에폭시기, 아미노기, 메르캅토기, 메타크릴옥시기, 내지 시아노기 등을 갖는 탄화수소기이다. X는 알콕실기, 알콕시알콕실기, 할로겐기 내지 아실옥시기에서 선택된 가수분해 가능한 치환기이며, a, b는 각각 0, 1 또는 2이며, 또한 a+b가 1, 2 또는 3이다.) (10)수지층(d)의 불소화합물이 알콕시실릴기를 함유하는 조성물로 구성되는 것, (11)상기 적층필름을 사용한 디스플레이용 필름, (12)상기 디스플레이용 필름을 사용한 디스플레이, (13)상기 적층필름을 사용한 디스플레이용 필터, (14)상기 적층필름을 사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전면 보호판, (15)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전면 보호판을 사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지는 것은 각각 바람직한 형태이며, 본 발명의 목적효과를 한층 발휘할 수 있다.
이하,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기재필름(a)은, 표시장치용 부재(이하 표시부재라고 함)로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광선투과율이 높고, 헤이즈값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파장 400∼800nm에서의 광선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40%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이상이며, 또한, 헤이즈값은 바람직하게는 5%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이하이다. 이들 조건의 하나 또는 둘다를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표시부재로서 사용했을 때에, 화상의 선명성이 결여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이러한 효과를 발휘하는 점에서, 광선투과율의 상한치는 99.5%정도까지, 또 헤이즈값의 하한값은 0.1%정도까지가 제작할 수 있는 가능한 범위이다.
기재필름(a)을 구성하는 수지소재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지의 플라스틱 기재필름에 이용되는 수지소재 중에서 적절히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재필름(a)용 수지소재로서, 예를 들면, 에스테르, 에틸렌, 프로필렌, 디 아세테이트, 트리아세테이트, 스티렌, 카보네이트, 메틸펜텐, 술폰, 에테르에틸케톤, 이미드, 불소, 나일론, 아크릴레이트, 지환족 올레핀계 등에서 선택되는 1개를 구성단위로 하는 폴리머 또는 공중합 폴리머를 들 수 있다.
이들 수지 중에서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에스테르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아세테이트계,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레이트계에서 선택되는 1개를 구성단위로 하는 폴리머 또는 공중합 폴리머가, 투명성 강도 및 두께의 균일성이 우수하여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특히, 투명성, 헤이즈값, 기계 특성의 점에서, 에스테르계를 구성단위로 하는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기재필름(a)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α,β-비스(2-클로로페녹시)에탄-4,4'-디카르복실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폴리에스테르에는 또한 다른 디카르복실산성분이나 디올성분이 20몰%이하이면 공중합되어 있어도 좋다. 그 중에서도 품질, 경제성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구성 수지성분은 1종만 사용해도, 2종이상 병용해도 어느 것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기재필름(a)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투명성, 헤이즈값, 기계특성의 점에서, 통상 5∼800㎛, 바람직하게는 10∼250㎛이다. 또한, 2장이상의 필름을 공지의 방법으로 접합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이 기재필름(a)은, 하드코트층(b)을 형성하기 전에, 각종 표면처리(예를 들면, 코로나 방전처리, 글로우 방전처리, 화염처리, 에칭처리, 또는 조면화처리 등)를 실시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접착촉진을 위해서 기재필름(a)의 표면에 프라이머층으로서 코팅(예를 들면 폴리우레탄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계,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폴리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티타네이트계 화합물 등의 코팅)을 행한 후에, 하드코트층(b)을 형성해도 좋다. 특히, 친수기함유 폴리에스테르수지에 아크릴계 화합물을 그래프트화시킨 공중합체와 가교 결합 제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프라이머 도포한 것은 접착성이 향상되고, 내열성, 내수성 등의 내구성이 우수하므로 기재필름(a)으로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하드코트층(b)은, 기재필름(a)위에 형성되고,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활성광선 조사에 의해 라디칼중합되고, 형성되는 막의 내용제성이나 경도를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단관능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메타)아크릴로일기가 분자내에 2개이상인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내용제성 등이 향상되므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특히 바람직하다.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의 구체예에는,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티롤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단량체는, 1종 또는 2종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하드코트층(b)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 수지성분에는, 하드코트층(b)의 경도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고, 또한, 알킬실리케이트류 및 그 가수분해물, 콜로이달 실리카, 건식 실리카, 습식 실리카, 산화티타늄 등의 무기입자, 콜로이드상으로 분산된 실리카 미립자 등을 함유시켜도 좋다.
하드코트층(b)의 두께는, 용도에 따라서 적당히 선택되지만, 통상 1㎛∼50㎛, 바람직하게는 2㎛∼30㎛이다. 하드코트층(b)의 두께가 2㎛미만에서는, 표면경도가 불충분해서 상처가 생기기 쉬워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50㎛를 넘는 경우는, 투명성이 저하해서 헤이즈값이 높아지기 쉽고, 또 경화막이 약해지며, 필름을 접어 구부렸을 때에 하드코트층(b)에 크랙이 생기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도전층(c)은, 하드코트층(b)위에 형성되고, 도전성 입자(B)와 바인더성분(A)을 함유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발명에서의 도전성 입자란, 금속미립자, 혹은 금속산화물 미립자를 가리킨다. 그 중에서도 금속산화물 미립자는 투명성이 높아 바람직하다. 금속산화물 미립자로서는 주석함유 산화안티몬입자(ATO), 아연함유 산화안티몬입자, 주석함유 산화인듐입자(ITO), 산화아연/산화알루미늄입자, 산화안티몬입자 등이 특히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주석함유 산화인듐입자(ITO), 주석함유 산화안티몬입자(ATO)이다.
도전성을 구성하는 입자는, 평균 1차입경(BET법에 의해 측정되는 구(球)상당 지름)이 0.5㎛이하인 입자가 바람직하게 사용되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0.3㎛,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5∼0.2㎛의 입경의 것이 이용된다. 상기 평균 입경이, 이 범위를 초과하면 생성되는 피막(도전층(c))의 투명성을 저하시키고, 이 범위미만에서는, 상기 입자가 응집되기 쉬워 생성피막(도전층(c))의 헤이즈값이 증대되어, 어느쪽의 경우나 소망의 헤이즈값을 얻는 것이 곤란해진다.
도전층(c)을 구성하는 바인더 성분(A)은,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이 이용된다.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활성광선 조사에 의해 라디칼 중합되고, 형성되는 막의 내용제성이나 경도를 향상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또한, (메타)아크릴로일기가 분자내에 2개이상인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내용제성 등이 향상되므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특히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나, 트리메티롤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 변성 트리메티롤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눌산에스테르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3관능(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4관능이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도전층(c)을 구성하는 바인더 성분(A)은, 입자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카르복실기나, 인산기, 술폰산기 등의 산성 관능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산성 관능기함유 모노머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프탈산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모노(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애시드포스페이트, 디페닐-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페이트 등의 인산(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2-술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 아미드결합, 우레탄결합, 에테르결합 등의 극성을 가진 결합을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 등의 우레탄결합을 갖고 있는 수지이면, 극성도 높고 입자의 분산성이 좋아지므로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하드코트층(b) 및 도전층(c)을 형성할 때, 도포한 바인더성분의 경화를 진행시키기 위해서 개시제를 사용해도 좋다. 상기 개시제로서는, 도포한 바인더 성분을, 라디칼반응, 음이온반응, 양이온반응 등에 의한 중합 및/또는 가교반응을 개시 또는 촉진시키는 것이며, 종래부터 공지의 각종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소듐메틸디티오카바메이트설파이드, 디페닐모노설파이드, 디벤조티아조일모노설파이드 및 디설파이드 등의 설파이드류; 티옥산톤, 2-에틸티옥산톤, 2-클로로티옥산톤, 2,4-디에틸티옥산톤 등의 티옥산톤 유도체; 히드라존,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등의 아조 화합물; 벤젠디아조늄염 등의 디아조 화합물;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페논, 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미힐러케톤, 벤질안트라퀴논, t-부틸안트라퀴논, 2-메틸안트라퀴논, 2-에틸안트라퀴논, 2-아미노안트라퀴논, 2-클로로안트라퀴논 등의 방향족 카르보닐 화합물; p-디메틸아미노 안식향산메틸, p-디메틸아미노 안식향산에틸, D-디메틸아미노 안식향산부틸, p-디에틸아미노 안식향산이소프로필 등의 디알킬아미노 안식향산에스테르; 벤조일퍼옥사이드, 디-t-부틸퍼옥사이드, 디쿠밀퍼옥사이드, 쿠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등의 과산화물; 9-페닐아크리딘, 9-p-메톡시페닐아크리딘, 9-아세틸아미노아크리딘, 벤즈아크리딘 등의 아크리딘 유도체; 9,10-디메틸벤즈페나진, 9-메틸벤즈페나진, 10-메톡시벤즈페나진 등의 페나진 유도체; 6,4',4"-트리메톡시-2,3-디페닐퀴녹살린 등의 퀴녹살린 유도체; 2,4,5-트리페닐이미다조일 2량체, 2-니트로플루오렌, 2,4,6-트리페닐피릴리움 4불화 붕소염, 2,4,6-트리스(트리클로로메틸)-1,3,5- 트리아진, 3,3'-카르보닐비스쿠말린, 티오미힐러케톤,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시드, 올리고(2-히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페닐)프로판온,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몰포리노페닐)-부탄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하드코트층(b) 및 도전층(c)을 형성할 때, 상기 개시제의, 산소저해에 의한 감도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 광중합 개시제에 아민 화합물을 공존시켜도 좋다. 이러한 아민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지방족 아민 화합물이나, 방향족 아민 화합물 등의 불휘발성의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트리에탄올아민, 메틸디에탄올아민 등이 적절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전층(c)의 구성성분의 배합비율은, 바인더 성분(A)과 입자(B)의 중량비율〔(A)/(B)〕이 10/90∼30/70인 것이 필요하며, 바람직하게는 15/85∼25/75이다. 입자(B)가 상기 범위보다 적으면, 얻어지는 막은 투명성이 충분해도 도전성이 나빠지고, 반대로 지나치게 많으면 얻어지는 막의 각종 물리적, 화학적 강도가 나빠지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광중합 개시제의 양은, 바인더 성분(A) 100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0.1∼2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15.0중량부의 범위로 첨가된다. 0.1중량부미만에서는, 광중합이 늦어지고, 경도 및 내찰과성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장시간의 광조사를 필요로 하는 경향이 있고, 때로는 미경화로 되기 쉽다. 한편, 20중량부를 초과해서 첨가하면, 도막의 도전성, 내마모성, 내후성 등의 기능이 저하되기 쉽다.
본 발명의 도전층(c)의 구성성분은, 이상 설명한 바인더 성분(A), 입자(B), 광중합 개시제를 필수 구성성분으로 하며, 또한 필요에 따라, 예를 들면, 중합금지 제나, 경화촉매, 산화방지제, 분산제, 레벨링제, 실란커플링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함유해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이 도전층(c)의 구성성분에, 도전성의 부여를 목적으로 해서 폴리피롤 및 폴리아닐린 등의 도전성 폴리머, 금속 알콜레이트 및 킬레이트 화합물 등의 유기금속 화합물을 더 함유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도전층(c)의 구성성분에, 표면경도의 향상을 목적으로 해서, 알킬실리케이트류 및 그 가수분해물, 콜로이달 실리카, 건식 실리카, 습식 실리카, 산화티타늄 등의 무기입자, 콜로이드상으로 분산된 실리카 미립자 등을 더 함유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도전층(c)에 의해 원하는 수준의 대전방지성이 부여되기 위해서는, 상기 도전층(c)의 표면저항치가 1×1011Ω/□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10Ω/□이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도전층(c)은, 선명성, 투명성의 점에서, 전광선 투과율이 바람직하게는 40%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0%이상의 층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지층(d)은, 도전층(c)위에 형성되고, 불소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불소화합물은 열 또는 전리 방사선에 의해 가교되는 불소화합물이 바람직하다. 가교되는 불소화합물로서는, 불포화기를 갖는 함불소 모노머나 가교성기를 갖는 불소 폴리머 혹은, 함불소 모노머와 가교성기 부여를 위한 모노머를 구성단위로 하는 함불소계 공중합체를 사용해도 좋다.
특히 주쇄중에 비닐에테르구조를 갖는 함불소계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불소계 공중합체는, 불소함량이 30중량%이상이며, 폴리스티렌환산에 의한 수평균 분자량이 500이상, 바람직하게는 5000이상인 불소함유 올레핀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함불소계 공중합체는, 함불소 화합물 및 비닐에테르함유 화합물을 함유하는 경화성 조성물을 중합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불소함유 올레핀 화합물, 이 불소함유 올레핀 화합물과 공중합가능한 비닐에테르함유 화합물, 및 필요에 따라 배합되는 반응성 유화제로 이루어지는 경화성 조성물을 중합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함불소계 공중합체를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경화성 조성물에는, 반응성 유화제를 1성분으로서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반응성 유화제성분을 사용함으로써, 도포액중에 함유되는 함불소계 공중합체를, 양호한 도포성 및 레벨링성으로 도포할 수 있다. 이 반응성 유화제로서는, 특히 비이온성 반응성 유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층(d)을 구성하는 함불소계 공중합체에 있어서, 불소함유 올레핀 화합물성분에 유래하는 구조단위는 20∼70몰%, 바람직하게는 25∼65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60몰%이다. 불소함유 올레핀 화합물성분에 유래하는 구조단위의 비율이 20몰%미만에서는, 얻어지는 함불소계 공중합체중의 불소함량이 과소로 되기 쉬우므로, 얻어지는 수지층(d)은 굴절율이 충분히 낮은 것으로 되지 않는다. 한편, 불소함유 올레핀 화합물성분에 유래하는 구조단위의 비율이 70몰%를 초과하면, 도포액의 균일성이 악화되어 균질의 도포피막의 형성이 어렵게 되고, 또한, 투명성 및 기 재에의 밀착성이 낮아져 바람직하지 못하다.
함불소계 공중합체에 있어서, 비닐에테르구조함유 화합물성분에 유래하는 구조단위는 10∼70몰%, 바람직하게는 15∼65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60몰%이다. 비닐에테르구조함유 화합물성분에 유래하는 구조단위의 비율이 10몰%미만에서는, 도포액의 균일성이 악화되어 균질의 도포피막의 형성이 어렵게 되고, 70몰%를 초과하면 얻어지는 수지층(d)은 투명성 및 저반사율의 광학특성이 악화된 것으로 되기 쉬워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이 비닐에테르구조함유 화합물성분으로서, 수산기 또는 에폭시기 등의 반응성 관능기를 함유하는 단량체를 사용함으로써, 얻어지는 경화성 수지조성물을 도포제로서 사용한 경우의 경화막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수산기 또는 에폭시기를 함유하는 단량체의 전단량체에 있어서의 비율은 0∼20몰%이며, 바람직하게는 1∼20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3∼15몰%이다. 이 비율이 20몰%를 초과하면, 얻어지는 수지층(d)은 광학적 특성이 악화되기 쉽고, 또한, 경화막이 취약한 것으로 되기 쉽다.
반응성 유화제를 함유하는 함불소계 공중합체에 있어서, 반응성 유화제성분유래의 구성단위의 비율은, 통상 0∼10몰%이며, 바람직하게는 0.1∼5몰%이다. 이 비율이 10몰%를 초과하면, 얻어지는 수지층(d)이 점착성을 띤 것으로 되기 때문에 취급이 곤란하게 되고, 또한, 도포제의 내습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지층(d)에는, 함불소계 공중합체 외에 또한, 가교성 화합물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소정의 경화성을 부여하여, 경화특성을 개선하기 때문에 효과적이다.
상기 가교성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각종 아미노 화합물이나, 펜타에리스리톨, 폴리페놀, 글리콜, 알킬실리케이트류 및 그 가수분해물 등의 각종 수산기함유 화합물, 기타를 들 수 있다. 상기 가교성 화합물로서 이용되는 아미노 화합물은 불소화합물중에 존재하는 수산기 또는 에폭시기와 반응가능한 아미노기, 예를 들면 히드록시알킬아미노기 및 알콕시알킬아미노기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합계로 2개이상 함유하는 화합물이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멜라민계 화합물, 요소계 화합물, 벤조구아나민계 화합물, 글리콜우릴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멜라민계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트리아진환에 질소원자가 결합된 골격을 갖는 화합물로서 알려져 있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멜라민, 알킬화 멜라민, 메티롤멜라민, 알콕시화 메틸멜라민 등을 들 수 있지만, 1분자중에 메티롤기 및 알콕시화 메틸기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합계로 2개이상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멜라민과 포름알데히드를 염기성 조건하에서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메티롤화 멜라민, 알콕시화 메틸멜라민, 또는 이들의 유도체가 바람직하고, 특히 경화성 수지조성물에 양호한 보존안정성이 얻어지는 점, 및 양호한 반응성이 얻어지는 점에서 알콕시화 메틸멜라민이 바람직하다. 가교성 화합물로서 이용되는 메티롤화 멜라민 및 알콕시화 메틸멜라민에는 특별히 제약은 없고, 예를 들면 문헌 「플라스틱재료 강좌 [8] 유리아 멜라민 수지」(닛간고교신문사)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으로 얻어지는 각종의 수지형상물의 사용도 가능하다. 또한, 요소화합물로서는, 요소 외에, 폴리메티롤화 요소 그 유도체인 알콕시화 메틸요소, 우론환을 갖는 메티롤화 우론 및 알콕시화 메틸우론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요소유도체 등의 화합물에 대해서도 상기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각종 수지형상물의 사용이 가능하다.
이 가교성 화합물의 사용량은, 함불소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70 중량부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3∼50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5∼30중량부이다. 가교성 화합물의 사용량이 3중량부미만에서는, 도포·경화에 의해 형성되는 박막의 내구성이 불충분하게 되는 경우가 있고, 70중량부를 넘으면, 함불소계 공중합체와의 반응에 있어서 겔화를 회피하는 것이 곤란하며, 또한 경화막이 저굴절율의 것으로 되지 않아 경화물이 약한 것으로 되는 경우가 있다.
수지층(d)에는, 내찰과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실리카 미립자, 또는/및 실란커플링제, 또는/및 알콕시실릴기를 갖는 불소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카 미립자성분은, 건식 실리카, 습식 실리카, 콜로이드상으로 분산된 실리카 미립자 등을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콜로이드상으로 분산된 실리카 미립자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카 미립자의 입경은 평균 1차입경(구상당 지름:BET법)이 0.001∼0.2㎛의 것을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0.005∼0.15㎛의 입경의 것이 이용된다. 상기 평균 입경이, 이러한 바람직한 범위이면 생성 피막(수지층(d))의 투명성이 저하되는 일은 없고, 한편, 표면경도를 향상시키기 어려워지는 일도 없다. 또한, 상기 실리카 미립자의 형상은 구상, 수주(數珠)상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상기 실리카입자는 평균 입경이 다른 2성분이상의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리카 미립자는, 표면처리를 실시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표면처리방법으로서는 플라즈마 방전처리나 코로나 방전처리 등의 물리적 표면처리와 커플링제를 사용한 화학적 표면처리가 있지만, 화학적 처리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화학적 처리에 이용되는 커플링제로서는, 실란커플링제가 특히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실리카 미립자 유래의 성분은 고형분비로 5∼50%, 또한 5∼40%, 특히 5∼3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카 미립자 유래의 성분이 이러한 바람직한 범위이면, 얻어지는 수지층(d)의 표면경도가 충분하며, 한편, 투명성 및 저반사율 등의 광학특성도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실란커플링제 성분은, 일반식 R(1)aR(2)bSiX4-(a+b)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내지는 그 가수분해 생성물이다. 여기서, R(1)aR(2)b는 각각 알킬기, 알케닐기, 알릴기, 또는 할로겐기, 에폭시기, 아미노기, 메르캅토기, 메타크릴옥시기, 내지 시아노기 등을 갖는 탄화수소기이다. X는 알콕실기, 알콕시알콕실기, 할로겐기 내지 아실옥시기에서 선택된 가수분해 가능한 치환기이다. a,b는 각각 0, 1 또는 2이며 또한 a+b가 1, 2 또는 3이다.
실란커플링제 유래의 성분은 고형분비로 5∼70%, 또한 15∼65%, 특히 20∼6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란커플링제 유래의 성분이 이러한 바람직한 범위이면, 얻어지는 수지층(d)의 표면경도가 충분하며, 한편, 투명성 및 저반사율 등의 광학특성도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알콕시실릴기를 갖는 불소수지는, 일반식 R(3)cR(4)dSiX4-(c+d)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내지는 그 가수분해물 생성물이다. 여기에서, R(3)cR(4)d는 각각 불소치환된 알킬기, 알케닐기, 알릴기, 메타크릴옥시기, 내지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탄화수소기이다. X는 알콕실기, 알콕시알콕실기, 할로겐기 또는 아실옥시기에서 선택된 가수분해 가능한 치환기이다. c, d는 각각 0, 1, 2 또는 3이며 또한 a+b가 1, 2 또는 3이다.
알콕시실릴기를 갖는 불소수지 유래의 성분은 고형분비로 20∼90%, 또한 25∼80%, 특히 30∼7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콕시실릴기를 갖는 불소수지 유래의 성분이 이러한 바람직한 범위이면, 얻어지는 수지층(d)의 투명성 및 저반사율의 광학특성이 양호하며 한편 수지층(d)의 표면경도도 좋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수지층(d)을 형성할 때, 도포액의 경화를 진행시키기 위해서 경화촉매를 사용해도 좋다. 경화촉매로서는, 실란커플링제의 축합반응을 촉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것으로서 산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루이스산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루이스산 화합물의 예로서, 아세트아세톡시알루미늄 등의 금속 알콕시드나 금속 킬레이트를 들 수 있다. 이 경화촉매의 양은, 적절히 결정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실란커플링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0.1∼10중량부이다.
본 발명에서는 수지층(d)을 형성할 때에, 또한 필요에 따라, 예를 들면 중합금지제, 산화방지제, 분산제, 레벨링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함유해도 좋다.
본 발명의 적층필름이 고투명성으로 되기 위해서는, 헤이즈를 3%미만으로 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2.7%미만이다. 헤이즈가 3%이상이면, 투명성이 불충분해지기 쉽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지층(d) 표면이 양호한 내찰과성으로 되기 위해서는, 수지층(d)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요철에 의한 표면조도와 내찰과성의 관계는, 다음과 같은 작용기구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즉 미세요철면에 있어서는, 이 요철면을 스틸울 등으로 슬라이딩하면, 스틸울부분은 볼록부분과만 접해서 슬라이딩되는 것으로 되어, 수지층(d) 표면과의 접촉면적이 필요최소한으로 억제되며, 그 결과, 특히 내찰과성이 향상하게 된다.
상기 수지층(d) 표면의 상기 요철의 산술 평균 조도(Ra)값의 범위는 0.003㎛ 이상, 0.025㎛이하가 필수적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4㎛이상, 0.022㎛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4㎛이상, 0.020㎛이하이다. 상기 요철의 평균산술 조도(Ra)값이 이 범위를 초과하면, 수지층(d)의 헤이즈가 높아져서 투명성을 저하시킨다. 또 상기 요철의 산술 평균 조도(Ra)값이 이 범위미만에서는, 내찰과성을 향상시키기 어렵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지층(d) 표면에 미세요철을 형성하기 위해서, 콜로이달 실리카, 건식 실리카, 습식 실리카, 산화티타늄, 유리비드, 산화 알루미늄, 탄화 규소, 질화규소 등의 무기입자, 콜로이드상으로 분산된 실리카 미립자 등을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콜로이드상으로 분산된 실리카 미립자를 함유시킨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실리카 미립자가 2성분이상의 입경분포를 갖 는 것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리카 미립자의 평균 입경이 0.001∼0.02㎛인 입자와 평균 입경이 0.02∼0.2㎛인 입자가 혼재하는 것에 의해 미세한 요철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층(d)측의 상기 적층필름 표면이 저반사성으로 되기 위해서는, 상기 표면의 반사율을 2%미만으로 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1.7%미만이다. 반사율이 이 범위를 초과하면, 외광이 비춰지는 것이 발생하기 쉬워지며, 그 적층필름 표면이 저반사성으로는 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수지층(d)측의 상기 적층필름 표면이 저반사성으로 되기 위해서는, 도전층(c) 및 수지층(d)의 굴절율과 두께의 곱이 대상광선(통상 가시광선)의 파장의 1/4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전층(c) 및 수지층(d)에 있어서는, 각 층의 두께(d)와 굴절율(n)의 곱의 4배가 380∼780nm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도전층(c) 및 수지층(d)에 있어서의 굴절율(n)과 두께(d)의 관계는 하기의 식(1)을 만족하는 범위내의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다.
n·d=λ/4 …식(1)
(여기서, λ는 가시광선의 파장범위이며, 통상 380nm≤λ≤780nm의 범위로 된다.)
본 발명의 적층필름에 저반사성이 부여되기 위해서는, 도전층(c)의 두께는 0.01∼1.0㎛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6∼0.12㎛이다. 또한, 수지층(d)의 바람직한 두께 범위는 0.01∼1.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7∼0.12㎛이다. 도전층(c) 및 수지층(d)의 두께가 이 범위 외로 되면, 상기 식(1)을 만족할 수 없고, 수지층(d)측의 상기 적층필름 표면이 저반사성으로 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층(d)측의 상기 적층필름 표면이 저반사성으로 되기 위해서는, 수지층(d)의 굴절율은 도전층(c)의 굴절율보다 작은 것, 즉, 수지층(d)/도전층(c)이 1.0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6∼0.95이다. 또한, 수지층(d)의 굴절율은 1.47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35∼1.45이다. 굴절율이 1.35미만인 수지는 형성되는 것이 현상황에서 어렵고, 또한, 굴절율이 1.47보다 높으면 반사율이 높아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적층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적층필름은, 기재필름(a)의 적어도 한쪽 면에,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함유하는 하드코트층(b), 도전성 입자를 함유하는 도전층(c), 불소화합물을 함유하는 수지층(d)을 적층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전층(c) 및 수지층(d)은, 각 구성성분을, 바람직하게는 용매로 분산시킨 도포액을 조정하고, 그 도포액을 기재필름(a)상에 도포한 후, 건조·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전층(c) 형성에 있어서 사용되는 용제로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도포 또는 인쇄 작업성을 개선하고, 또 입자의 분산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배합하는 것이며, 바인더 성분(A)을 용해하는 것이면, 종래부터 공지의 각종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조성물의 점도의 안정성, 건조성의 관점에서 비점이 60∼180℃의 유기용매가 바람직하고, 또한, 그 중 산소원자를 갖는 유기용매가 금속입자와의 친화성이 좋으므로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기용매로서 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메탄올이나,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n-부탄올, tert-부탄올,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1-메톡시-2-프로판올,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시클로헥사논, 초산부틸, 이소프로필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디아세틸아세톤, 아세틸아세톤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이들은 단일로 사용해도 좋고, 2종류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또한, 유기용매의 양은, 도포수단이나, 인쇄수단에 따라 작업성이 좋은 상태의 점도의 조성물로 되도록 임의의 배합량으로 하면 좋지만, 통상 조성물의 고형분농도가 60중량%이하, 바람직하게는, 50중량%이하로 되는 정도가 적당하다. 통상 바인더 성분(A)을 유기용매로 용해시킨 용액중에, 입자(B)를 첨가하고, 페인트 쉐이커나, 볼밀, 샌드밀, 3개롤, 아트라이터, 호모믹서 등의 분산기에 의해 분산시키고, 그런 후에, 광중합 개시제(C)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용해시키는 방법이 적당하다.
또한, 수지층(d)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불소화합물로 주로 이루어지는 경화성 조성물을 메탄올이나,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n-부탄올, tert-부탄올,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1-메톡시-2-프로판올,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시클로헥사논, 초산부틸, 이소프로필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디아세틸아세톤, 아세틸아세톤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상의 용제에 분산시킨 액을 도포한 후, 건조·경화시켜 수지층(d)을 형성하는 방법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용제의 양도 필요로 하는 조성물의 점도, 목적으로 하는 경화 피막의 두께, 건조온도 조건 등에 따라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필름의 층구성은, 기재필름(a)의 적어도 한쪽 면에,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함유하는 하드코트층(b), 도전성 입자를 함유하는 도전층(c), 불소화합물을 함유하는 수지층(d)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의 층구성의 구체예로서는, 기재필름(a)의 표리 양쪽에 도전층(c)을 형성해도 좋지만, 이 경우, 양 도전층(c) 중 적어도 한 쪽의 도전층(c)위에 수지층(d)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재필름(a)의 한쪽 면측에 복수의 도전층(c)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기재필름(a)의 같은 측에, 최표면이 수지층(d)이 되도록 해서 복수의 수지층(d)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기재필름(a)에 대하여 하드코트층(b)과는 반대측의 면에, 프라이머층, 투명도전층(c)을 형성해도 좋다. 또는, 수지층(d)의 표면에, 방습층, 보호층을 형성해도 좋다. 상기 방습층, 상기 보호층의 두께는 반사방지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20nm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용 필름은, 상기 적층필름의 수지층(d)의 반대면의 기재필름(a)측에 점착층 또는 접착층을 형성하고, 점착층 또는 접착층면에 보호필름을 접착한 것이다.
점착층 또는 접착층으로서는, 2개의 것을 그 점착 또는 접착작용에 의해 접착시키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점착층 또는 접착층을 형성하는 점착제 또는 접착제로서는, 고무계, 비닐중합계, 축합중합계, 열경화성 수지계 및 실리콘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 고무계의 점착제 또는 접착제로서는, 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계(SBR), 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계(NBR), 클로로플렌 중합체계, 이소부티렌-이소플렌 공중합체계(부틸고무) 등을 들 수 있다. 비닐 중합계의 점착제 또는 접착제로서는, 아크릴 수지계, 스티렌 수지계, 초산비닐-에틸렌 공중합체계 및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계 등을 들 수 있다. 축합중합계의 점착제 또는 접착제로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계를 들 수 있다. 열경화 수지계의 점착제로서는, 에폭시 수지계, 우레탄 수지계, 포르말린 수지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또 2종이상 혼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또한, 점착제 또는 접착제는, 용제형과 무용제형 중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점착층 또는 접착층의 형성은, 상기와 같은 점착제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도포 등 통상 행해지고 있는 기술을 사용해서 실시된다. 또한, 점착층 또는 접착층에 착색제를 함유시켜도 좋다. 이것은, 점착제 또는 접착제에, 예를 들면, 안료나 염료 등의 색소를 함유한 착색제를 혼합해서 사용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달성된다. 착색제를 함유하고 있는 경우, 적층필름으로서 550nm에서의 광선투과율이 40∼80%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특히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으로서 이용되는 경우, 투과광이 뉴트럴 그레이 또는 블루 그레이인 것, 디스플레이의 발광색의 색순도 및 콘트라스트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으므로, 색소를 함유한 점착층 또는 접착층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보호필름을 구성하는 수지소재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지의 플라스틱 기재필름에 이용되는 수지소재 중에서 적절히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보호필름용 수지소재로서, 예를 들면, 에스테르, 에틸렌, 프로필렌, 디아세테이트, 트리아세테이트, 스티렌, 카보네이트, 메틸펜텐, 술폰, 에테르에틸케톤, 나일론, 아크릴레이트, 지환족 올레핀계 등에서 선택되는 1개를 구성단위로 하는 폴리 머 또는 공중합 폴리머를 들 수 있다.
이들 수지소재 중에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에틸렌, 프로필렌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에스테르계에서 선택되는 1개를 구성단위로 하는 폴리머 또는 공중합 폴리머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특히, 투명성, 기계특성의 점에서 에스테르계를 구성단위로 하는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기재필름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용 필터는, 상기 디스플레이용 필름의 점착층 또는 접착층을 개재해서, 액정표시장치(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디스플레이(ELD)나 음극선관 표시장치(CRT), 포터블 디지털 어시스턴트(PDA) 등의 디스플레이면의 표시면 및/또는 그 전면판의 표면에 접착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용 필름의 점착층 또는 접착층을 개재해서 액정표시장치(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디스플레이(ELD)나 음극선관 표시장치(CRT), 포터블 디지털 어시스턴트(PDA) 등의 디스플레이면의 표시면에 접착하는 것에 의해 디스플레이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해서 제작된 적층필름과 디스플레이 표시면 및/또는 그 전면판의 표면을 밀착시키는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표시부재 혹은 기재필름(a)에 점착층 또는 접착층을 도포 건조시켜, 적층필름의 수지층(d)이 표층으로 되도록 압착 롤러 등으로 접합시켜, 점착층 또는 접착층을 개재해서 디스플레이 표시부재와 기재필름(a)을 접착시키는 것에 의해, 적층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용 필터 또는 디스플레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을 사용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전면 보호판(PDP 전면판)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해서 설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2는, 본 발명의 PDP 전면판의 개략 단면도이다. 적층필름(1)을 기재필름(2)면측에 점착층 또는 접착층(10)을 개재해서, 유리,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투명기판(9)의 양면에 라미네이트한 것이다.
또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전면 보호판의 투명기판(9)과 점착층(10) 사이에 전자파 차폐층, 근적외 차폐층, 자외선 차폐층 등의 층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평가방법, 측정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틸울 경도평가]
#0000의 스틸울을 사용하여, 250gf/㎠의 하중을 가해서 10회 왕복했을 때의 상처의 개수를 관찰했다. 상처의 레벨에 따라서 경도를 다음 5단계로 분류했다(레벨5:상처없음, 레벨4:1∼5개의 상처, 레벨3:5∼10개의 상처, 레벨2:10개이상의 상처, 레벨1:전체면 상처).
[헤이즈 측정]
스가시켄키 제품의 직독 헤이즈 컴퓨터를 사용해서 측정을 행했다.
[표면저항치(대전방지성)평가]
미쓰비시유카 제품의 HIRESTA를 사용해서 표면저항치의 측정을 행했다.
[반사율 측정]
히타치 케이소쿠 제품의 분광 광도계 U-3410을 사용해서 측정을 행했다. 샘 플필름은 320∼400의 내수 샌드페이퍼로 이면에 균일하게 상처를 내고, 흑색도료를 도포하여, 이면으로부터의 반사를 완전히 없앤 상태로 하고, 수지층(d)측 표면에 대하여 입사광 각도 6∼10°로 측정을 행했다. 또, 여기에서의 반사율은 파장영역 380nm≤λ≤780nm에 있어서의 최소값을 나타낸다.
[표면 평균 조도 측정]
Digital Instruments사 제품의 원자간력 현미경으로 필름 표면형상을 관찰하여, 표면 조도의 산출을 행했다.
실시예
다음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 내용중 「부」 및 「%」는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한 중량기준이다.
도1은, 적층필름의 모식 단면도이며, 적층필름(1)은, 기재필름(2)상에 하드코트층(3)과 도전층(4)과 수지층(5)이 적층되어 있다.
실시예1
도1에 나타낸 구성의 적층필름을 하기 방법에 의해 제작했다.
(하드코트층(3)의 형성)
다관능 아크릴계 수지를 함유하는 도료(고형분 50%)(JSR(주) 제품, KZ7224)를 두께 188㎛의 폴리에스테르필름(도레이(주) 제품, 루미러)로 이루어지는 기재필름(2)의 면상에 롤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하고, 80℃에서 건조후, 자외선 1.0J/㎠를 조사해서 도포층을 경화시키고, 두께 약 10.0㎛의 하드코트층(3)을 형성했다.
(도전층(4)의 형성)
주석함유 산화인듐입자(ITO)를 함유하는 도료(고형분 35.7%, 다관능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ITO입자(평균 1차입경 30nm)=18/82)(다이니폰도료(주) 제품, EI-3) 3부를 10부의 n-부틸알코올, 7부의 이소프로필알콜에 용해했다. 혼합물을 교반해서 얻은 도포액을 하드코트층(3)의 면상에 그라비어코터를 사용해서 도포하고, 80℃에서 건조후, 자외선 1.0J/㎠를 조사해서 도포층을 경화시켜, 두께 약 0.1㎛, 굴절율(n)=1.682의 도전층(4)을 형성했다.
(수지층(5)의 형성)
함불소계 공중합체(플루오로올레핀/비닐에테르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도료(고형분 3%)(JSR(주) 제품, JN-7215) 40부, 콜로이달 실리카 분산액(평균 1차입경 13nm, 고형분 30%, 메틸이소부틸케톤 분산액) 1부, 콜로이달 실리카 분산액(평균 1차입경 100nm, 고형분 30%, 메틸이소부틸케톤 분산액) 0.1부를 교반함으로써 도포액을 조정했다. 이 도포액을, 도전층(4)위에 그라비어코터를 사용해서 도포하고, 150℃에서 건조, 경화시켜, 두께 약 0.1㎛, 굴절율(n)=1.42의 수지층(5)을 형성하여, 도1에 나타내는 적층구성을 갖는 적층필름을 제작했다.
얻어진 적층필름(1)의 수지층(5)의 표면에 있어서의 반사율, 표면저항치, 스틸울 경도를 측정했다. 결과는 표1에 나타냈다.
Figure 112004043402775-pct00001
실시예2
도1에 나타낸 구성의 적층필름에 대해서, 기재필름(2), 하드코트층(3), 도전층(4)까지는 실시예1과 같은 방법으로 형성했다. 계속해서, 함불소계 공중합체(플루오로올레핀/비닐에테르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도료(고형분 3%)(JSR(주) 제품, JN-7215) 40부, 콜로이달 실리카 분산액(평균 1차입경 13nm, 고형분 30%, 메틸이소부틸케톤 분산액) 1부, 콜로이달 실리카 분산액(평균 1차입경 50nm, 고형분 30%, 메틸이소부틸케톤 분산액) 0.1부를 교반함으로써 도포액을 조정했다. 이 도포액을 도전층(4)위에 그라비어코터를 사용해서 도포하고, 150℃에서 건조, 경화시켜, 두께 약 0.1㎛, 굴절율(n)=1.42의 수지층(5)을 형성했다. 평가 결과를 표1에 함께 나타낸다.
실시예3
콜로이달 실리카 분산액(평균 1차입경 13nm, 고형분 30%, 이소프로필알콜 분산액) 13부, 콜로이달 실리카 분산액(평균 1차입경 50nm, 고형분 30%, 메틸이소부틸케톤 분산액) 3부, 실란커플링제(테트라에톡시실란, 고형분 100%) 11부, 알콕시실릴기를 갖는 불소수지(신에츠카가쿠사 제품 KBM7803) 27.28부, 메탄올 6.82부, 0.01N 염산 2.25부, 아세트아세톡시알루미늄 0.2부, 이소프로필알콜 230부를 첨가해서 교반함으로써 도포액을 조정했다. 이 도포액을 24시간 실온에서 방치후, 도전층(4)위에 그라비어코터를 사용해서 도포하고, 150℃에서 건조, 경화시켜, 두께 약 0.1㎛, 굴절율(n)=1.42의 수지층(5)을 형성시켜서, 도1에 나타내는 적층구성을 갖는 적층필름을 제작했다.
실시예4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성의 적층필름에 대해서, 기재필름(2), 하드코트층(3)까지는 실시예1과 같은 방법으로 형성했다. 계속해서, 주석함유 산화안티몬입자(ATO)를 함유하는 도료(고형분 10%, 다관능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ATO입자)(JSR(주) 제품, TU-4005) 3부를, 7부의 메틸이소부틸케톤에 용해했다. 혼합물을 교반해서 얻은 도포액을 하드코트층(2)의 면상에 그라비어코터를 사용해서 도포하고, 80℃에서 건조후, 자외선 1.0J/㎠를 조사하여 도포층을 경화시켜, 두께 약 0.1㎛, 굴절율(n)=1.65의 도전층(4)을 형성했다. 계속해서, 실시예3과 같은 방법으로 도전층(4)위에 그라비어코터를 사용해서 수지층(5)을 형성했다. 평가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비교예1
도1에 나타내는 구성의 적층필름에 대해서, 기재필름(2), 하드코트층(3), 도전층(4)까지는 실시예1과 같은 방법으로 형성했다. 계속해서, 함불소계 공중합체(플루오로올레핀/비닐에테르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도료(고형분 3%)(JSR(주) 제품, JN-7215) 40부, 실리카입자(평균 1차입경 1.4㎛) 0.3부를 첨가해서, 교반함으로써 도포액을 조정했다. 이 도포액을, 도전층(4)위에 그라비어코터를 사용해서 도포하고, 150℃에서 건조, 경화시켜, 두께 약 0.1㎛, 굴절율(n)=1.42의 수지층(5)을 형성했다. 평가 결과를 표1에 함께 나타낸다.
비교예2
도1에 나타내는 구성의 적층필름에 대해서, 기재필름(2), 하드코트층(3), 도전층(4)까지는 실시예1과 같은 방법으로 형성했다. 계속해서, 함불소계 공중합체(플루오로올레핀/비닐에테르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도료(고형분 3%)(JSR(주) 제품, JN-7215) 40부를, 도전층(4)위에 그라비어코터를 사용해서 도포하고, 150℃에서 건조, 경화시켜, 두께 약 0.1㎛, 굴절율(n)=1.42의 수지층(5)을 형성했다. 평가 결과를 표1에 함께 나타낸다.
비교예3
도1에 나타내는 구성의 적층필름에 대해서, 기재필름(2), 하드코트층(3)까지는 실시예1과 같은 방법으로 형성했다. 계속해서, ITO졸(평균 1차입경 30nm, 고형분 30%, 메틸에틸케톤 분산액) 23부,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몰포리프로판-1-온 0.5부를 310부의 1-메톡시-2-프로판올에 용해하고, 교반함으로써 도포액을 조정했다. 이 도포액을, 하드코트층(3)의 면상에 그라비어코터를 사용해서 도포하고, 80℃에서 건조후, 자외선을 조사해서 도포층을 고화시켜서, 두께 약 0.1㎛, 굴절율(n)=2.0의 도전층(4)을 형성시켰다. 계속해서, 실시예1과 같은 방법으로 도전층(4)위에 그라비어코터를 사용해서 수지층(5)을 형성했다. 평가 결과를 표1에 함께 나타낸다.
실시예5
실시예1에서 얻어진 적층필름을 유리에 접합시키기 위해서, 수지층(d)을 형성하지 않은 면에, 점착제로서 AGR-100(니혼카야쿠(주) 제품)을 사용하여 유리와 접합시킨 후, 1,000mj/㎠의 자외선 조사량으로 경화시켰다. 시험결과를 표1에 함께 나타낸다.
실시예1∼4, 5는 평가항목 모두에 있어서 양호한 결과였다. 이것에 대하여 비교예1은 수지층 실리카입자의 입경이 지나치게 크기 때문에, 평균 표면조도가 높아져, 투명성과 반사방지성이 불충분했다. 비교예2는 수지층에 실리카입자를 첨가하지 않으므로, 표면에 요철을 형성할 수 없어 스틸울 경도가 불충분했다. 비교예3은 도전층에 아크릴수지를 배합하지 않은 것에 의해, 도전층이 경화부족으로 되고, 스틸울 경도가 불충분했다.
실시예6
실시예1에서 얻어진 적층필름을 유리의 양면에 각각 접합시키기 위해서, 기재필름(a)면측에, 파장 595nm로 흡수 극대를 갖는 색소 및 백색광의 색도를 보정하는 색소를 함유하는 점착제를 사용해서 유리에 접합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전면 보호판을 얻었다.
실시예7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실시예6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전면 보호판을 세트한 결과, 반사가 적은 양호한 화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가 얻어졌다.
본 발명의 적층필름은 표면의 반사율이 낮고, 내찰과성이 우수하고, 반사방지필름으로서 바람직한 특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적층필름은 대전방지성이 높고, 적층필름의 가요성도 우수하므로 디스플레이 표면에 적용되는 반사방지필름으로서 바람직하다.

Claims (17)

  1. 기재필름(a)의 적어도 한쪽 면에,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함유하는 하드코트층(b), 도전성 입자를 함유하는 도전층(c), 불소화합물과 입경 0.001㎛∼0.2㎛의 실리카 미립자를 함유하는 수지층(d)을 적층해서 이루어지는 적층필름에 있어서, 수지층(d)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갖고, 상기 요철의 산술 평균 조도(Ra)값이 0.003㎛이상, 0.025㎛이하, 또한 상기 수지층(d)측의 적층필름 표면의 반사율이 2%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적층필름의 헤이즈가 3%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기재필름(a)이 에스테르, 올레핀, 아세테이트, 스티렌, 카보네이트, 술폰, 에테르에틸케톤, 이미드, 불소, 나일론, 아크릴레이트, 지환족 올레핀에서 선택되는 1개를 구성단위로 하는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필름.
  4. 제3항에 있어서, 기재필름(a)이 에스테르, 아세테이트, 아크릴레이트에서 선택되는 1개를 구성단위로 하는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도전층(c)의 층두께가 0.0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도전층(c)의 도전성 입자가 금속 산화물 미립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도전층(c)의 도전성 입자의 함유량이 70중량%∼9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수지층(d)이 주쇄중에 비닐에테르구조를 갖는 함불소계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필름.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실리카 미립자가 2성분 이상의 입경분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필름.
  11. 제1항에 있어서, 수지층(d)이 다음 일반식으로 나타내어지는 실란커플링제 또는 그 가수분해물 또는 그 반응물을 함유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필름.
    (일반식) R(1)aR(2)bSiX4-(a+b)
    여기에서, R(1), R(2)는 각각 알킬기, 알케닐기, 알릴기, 또는 할로겐기, 에폭시기, 아미노기, 메르캅토기, 메타크릴옥시기, 내지 시아노기를 갖는 탄화수소기이다. X는 알콕실기, 알콕시알콕실기, 할로겐기 내지 아실옥시기에서 선택된 가수분해 가능한 치환기이다. a, b는 각각 0, 1 또는 2이며, 또한, a+b가 1, 2 또는 3이다.
  12. 제1항에 있어서, 수지층(d)의 불소화합물이 알콕시실릴기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필름.
  13. 제1항에 기재된 적층필름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필름.
  14. 제13항에 기재된 디스플레이용 필름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15. 제1항에 기재된 적층필름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필터.
  16. 제15항에 기재된 디스플레이용 필터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전면 보호판.
  17. 제16항에 기재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전면 보호판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KR1020047015111A 2002-03-29 2003-03-28 적층필름, 디스플레이용 필터 및 디스플레이 KR100966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7015111A KR100966546B1 (ko) 2002-03-29 2003-03-28 적층필름, 디스플레이용 필터 및 디스플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96917 2002-03-29
JPJP-P-2002-00202655 2002-07-11
KR1020047015111A KR100966546B1 (ko) 2002-03-29 2003-03-28 적층필름, 디스플레이용 필터 및 디스플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5315A KR20040095315A (ko) 2004-11-12
KR100966546B1 true KR100966546B1 (ko) 2010-06-29

Family

ID=44242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5111A KR100966546B1 (ko) 2002-03-29 2003-03-28 적층필름, 디스플레이용 필터 및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65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5220A (ko) * 2013-12-04 2015-06-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어레이기판
US10804334B2 (en) 2018-05-14 2020-10-13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including color conversion pane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431B1 (ko) * 2005-08-01 2007-1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필름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2007234424A (ja) * 2006-03-01 2007-09-13 Nitto Denko Corp 透明導電性フィルムおよびタッチパネル
KR100880348B1 (ko) * 2006-08-07 2009-01-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반사입자를 함유하는 불소수지층을 포함하는 전사용 시트,반사입자를 함유하는 불소수지층을 포함하는 외장용적층시트 및 그 제조방법
CN103946324B (zh) 2011-11-17 2016-09-14 Lg化学株式会社 水分散组合物、生态友好的光伏模块的背板和制造该背板的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6104A (ja) * 1999-09-28 2001-06-22 Fuji Photo Film Co Ltd 反射防止膜、偏光板、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02036457A (ja) * 2000-05-19 2002-02-05 Toray Ind Inc 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751379B2 (en) * 2000-11-01 2004-06-15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llimating and redirecting beams in a fiber optic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6104A (ja) * 1999-09-28 2001-06-22 Fuji Photo Film Co Ltd 反射防止膜、偏光板、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02036457A (ja) * 2000-05-19 2002-02-05 Toray Ind Inc 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751379B2 (en) * 2000-11-01 2004-06-15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llimating and redirecting beams in a fiber optic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5220A (ko) * 2013-12-04 2015-06-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어레이기판
KR102207941B1 (ko) * 2013-12-04 2021-01-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어레이기판
US10804334B2 (en) 2018-05-14 2020-10-13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including color conversion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5315A (ko) 2004-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39823B2 (ja) 積層フィルム、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ター、およびディスプレイ
KR100918916B1 (ko) 광학용 적층필름
KR20090118724A (ko) 내찰상성 및 표면 슬립성이 우수한 반사방지필름
TWI408406B (zh) 低反射薄膜
JP4475016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反射防止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6220906A (ja) 光学フィルム
KR101271284B1 (ko) 표시 화면용 기능 필름 및 그 제조법
JP2003145689A (ja) 積層フィルム、画像表示保護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10231212A (ja) 光学フィルム用の基材フィルムおよび光学フィルム
JP5004065B2 (ja) 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148383A (ja) 反射防止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0966546B1 (ko) 적층필름, 디스플레이용 필터 및 디스플레이
KR101283452B1 (ko) 터치스크린 패널용 반사방지 필름,산화방지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패널
JP2006272588A (ja) 反射防止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1271469B1 (ko) 터치스크린 패널용 산화방지 필름 및 이를 채용한 터치스크린 패널
KR20080104481A (ko) 반사외관이 우수한 반사방지필름
JP4618550B2 (ja) 光学フィルム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光学フィルター
KR20130054314A (ko) 대전 방지층용 경화성 수지 조성물, 광학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패널
JP2006201650A (ja) 反射防止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543659B2 (ja) 積層フィルム
JP2002283509A (ja) 積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58841B1 (ko) 터치스크린 패널용 보호필름 및 이를 채용한 터치스크린 패널
KR20150107969A (ko) 투명전극용 고굴절 대전방지 하드코팅 필름
KR20120077017A (ko) 터치스크린 패널용 보호필름 및 이를 채용한 터치스크린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