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6505B1 - 탄소계 입자/구리로 된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탄소계 입자/구리로 된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6505B1
KR100956505B1 KR1020100010860A KR20100010860A KR100956505B1 KR 100956505 B1 KR100956505 B1 KR 100956505B1 KR 1020100010860 A KR1020100010860 A KR 1020100010860A KR 20100010860 A KR20100010860 A KR 20100010860A KR 100956505 B1 KR100956505 B1 KR 100956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per
particles
carbon
mixture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0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람
김상호
박종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EP10738764.9A priority Critical patent/EP2394973B1/en
Priority to PCT/KR2010/000730 priority patent/WO2010090480A2/ko
Priority to JP2011549069A priority patent/JP5554787B2/ja
Priority to CN201080006596.6A priority patent/CN102307826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6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6505B1/ko
Priority to US13/197,637 priority patent/US977692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28Coating the powders or the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 C04B35/62892Coating the powders or the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with a coating layer consisting of p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92Holders used for protection, repair or reinforcement of the post or p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7/00Methods preventing fouling
    • B08B17/02Preventing deposition of fouling or of dust
    • B08B17/06Preventing deposition of fouling or of dust by giving articles subject to fouling a special shape or arrang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05Preparation or purification of carbon not covered by groups C01B32/15, C01B32/20, C01B32/25, C01B32/30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58Carbon nanotubes
    • C01B32/168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82Graphene
    • C01B32/194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20Graphite
    • C01B32/21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25Diamond
    • C01B32/28After-treatment, e.g. purification, irradiation, separation or recovery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3/00Compounds of copper
    • C01G3/02Oxides; Hyd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28Coating the powders or the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 C04B35/62802Powder coating materials
    • C04B35/62805Oxide ceram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28Coating the powders or the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 C04B35/62889Coating the powders or the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with a discontinuous coating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2/00Non-ferrous alloys containing at least 5% by weight but less than 50% by weight of oxides, carbides, borides, nitrides, silicides or other metal compounds, e.g. oxynitrides, sulfides, whether added as such or formed in situ
    • C22C32/0094Non-ferrous alloys containing at least 5% by weight but less than 50% by weight of oxides, carbides, borides, nitrides, silicides or other metal compounds, e.g. oxynitrides, sulfides, whether added as such or formed in situ with organic materials as the main non-metallic constituent, e.g. res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1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bayonet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12Fastening strips or bars to sheets or plates, e.g. rubber strips, decorative strips for motor vehicles, by means of 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998/00Supplementary information concerning processes or compositions relating to powder metallu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998/00Supplementary information concerning processes or compositions relating to powder metallurgy
    • B22F2998/10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sequence of their step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42Non metallic elements added as constituents or additives, e.g. sulfur, phosphor, selenium or tellurium
    • C04B2235/422Carbon
    • C04B2235/425Graphi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Abstract

본 발명은 그래파이트와 같은 탄소계 입자와 구리가 서로 혼합된 탄소계 입자/구리 복합재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스텝. 1) 주사슬이 탄소로 이루어진 고분자 유기 화합물과 구리 전구체를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을, 탄소계 입자들을 제1 분산매에 분산시킨 분산액과 혼합하여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스텝. 2) 상기 혼합물에 제1 환원제를 투입하여, 탄소계 입자의 표면에 산화제일구리 입자들이 부착된 복합입자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스텝. 3) 상기 복합입자들을 비산화성 분위기에서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탄소계 입자와 구리가 잘 혼합된 복합재료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탄소계 입자/구리로 된 복합재료의 제조방법{Method of fabricating carbon particle/copper composites}
본 발명은 그래파이트와 같은 탄소계 입자와 구리가 서로 혼합된 탄소계 입자/구리 복합재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리는 열전도성, 전기전도성이 좋고 가격이 저렴하여, 다양한 분야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구리는 그 자체 재료만으로 이용되는 경우도 많으나,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하여 그래파이트, SiC, 탄소나노튜브와 같이 탄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탄소계 입자와 혼합하여 복합재료로 형성된 후, 특히 히트 싱크(heat sink)로 사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탄소계 입자/구리로 된 복합재료에 있어서, 탄소계 입자와 구리의 혼합 상태는 매우 중요하다. 양 재료의 혼합 상태가 불량하여 각 성분이 따로 존재하게 되면, 양 재료를 복합화함에 따른 물성을 얻을 수 없으며, 기계적 성질도 저하된다.
그런데, 탄소계 입자와 구리는 그 재료적 특성이 서로 상이하므로 혼화성(compatibility)이 불량하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액상 소결법, 단순 함침법 등 일반적인 탄소계 입자/구리의 복합재료 제조방법으로는 탄소계 입자와 구리가 잘 혼합된 복합재료를 얻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탄소계 입자와 구리가 잘 혼합된 복합재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탄소계 입자/구리로 된 복합재료의 제조방법은,
(스텝. 1) 주사슬이 탄소로 이루어진 고분자 유기 화합물과 구리 전구체를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을, 탄소계 입자들을 제1 분산매에 분산시킨 분산액과 혼합하여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스텝. 2) 상기 혼합물에 제1 환원제를 투입하여, 탄소계 입자의 표면에 산화제일구리 입자들이 부착된 복합입자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스텝. 3) 상기 복합입자들을 비산화성 분위기에서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탄소계 입자/구리로 된 복합재료의 제조방법은,
(스텝. 1) 주사슬이 탄소로 이루어진 고분자 유기 화합물과 구리 전구체를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을, 탄소계 입자들을 제1 분산매에 분산시킨 분산액과 혼합하여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스텝. 2) 상기 혼합물에 제1 환원제를 투입하여, 탄소계 입자의 표면에 산화제일구리 입자들이 부착된 복합입자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스텝. 3) 상기 복합입자들을 제2 분산매에 분산시킨 다음, 과량의 제2 환원제를 투입하여 상기 산화제일구리 입자들을 구리로 환원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 탄소계 입자/구리로 된 복합재료의 제조방법은,
(스텝. 1) 주사슬이 탄소로 이루어진 고분자 유기 화합물과 구리 전구체를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을, 탄소계 입자들을 제1 분산매에 분산시킨 분산액과 혼합하여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스텝. 2) 상기 혼합물에 과량의 제1 환원제를 투입하여, 탄소계 입자의 표면에 구리가 피복된 복합입자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재료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고분자 유기 화합물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를 각각 단독으로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리 전구체로는 i) 하기 화학식 1의 구리카르복실 화합물을 사용하거나, 또는 ii) 하기 화학식 2의 카르복실기 함유 화합물과 구리염을 사용할 수 있다.
Figure 112010007991090-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탄소수가 1 내지 18인 알킬기임.
Figure 112010007991090-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은 탄소수가 1 내지 18인 알킬기임.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재료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고분자 유기 화합물과 구리 전구체를 용해시키기 위한 용매, 제1 분산매 및 제2 분산매로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물, C1-C6 저급 알코올,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사이드, 테트라히드로푸란, 아세토니트릴 등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제1 분산매에 분산되는 탄소계 입자로는 그래파이트, 그래펜, 비정질 탄소, 탄소나노튜브, 다이아몬드, SiC 등, 탄소가 주성분으로 함유된 것이라면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복합재료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환원제 및 제2 환원제로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NaBH4, 히드라진, 아스콜빈산, 글루코오스, 에틸렌 글리콜 등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탄소계 입자/구리로 된 복합재료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고분자 유기 화합물이 산화제일구리 입자들과 탄소계 입자와의 혼화성을 증대시켜, 산화제일구리 입자들이 탄소계 입자의 표면에 부착된 복합재료 중간체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복합재료 중간체를 환원시킴에 따라, 탄소계 입자와 구리가 잘 혼합된 복합재료를 얻을 수 있으므로, 히트 싱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 사용된 그래파이트 입자의 SEM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1) 및 (2) 단계에 따라 얻은 그래파이트/산화제일구리 복합입자의 SEM 사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따라 최종적으로 얻은 그래파이트/구리 복합입자의 SEM 사진이다.
도 4는 실시예 2에 따라 최종적으로 얻은 그래파이트/구리 복합입자의 SEM 사진이다.
도 5는 비교예 1에 따라 얻은 그래파이트 입자와 산화제일구리 입자의 SEM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재료의 제1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주사슬이 탄소로 이루어진 고분자 유기 화합물과 구리 전구체를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을, 탄소계 입자들을 제1 분산매에 분산시킨 분산액과 혼합하여 혼합물을 생성한다(스텝. 1).
고분자 유기 화합물은 주사슬이 탄소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용매에 용해될 수 있는 것이라면 사용이 가능한데, 특히 폴리비닐피롤리돈 또는 폴리비닐알코올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을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리 전구체로는 후술하는 환원제에 의해 산화제일구리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이 가능한데, 예를 들어 i) 하기 화학식 1의 구리카르복실 화합물을 사용하거나, 또는 ii) 하기 화학식 2의 카르복실기 함유 화합물과 구리염을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0007991090-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탄소수가 1 내지 18인 알킬기임.
<화학식 2>
Figure 112010007991090-pat00004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은 탄소수가 1 내지 18인 알킬기임.
화학식 1의 구리카르복실 화합물로는 (CH3COO)2Cu를 예시할 수 있고, 화학식 2의 카르복실기 함유 화합물로는 CH3COOH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구리염으로는 구리의 질산화물, 구리의 할로겐화물, 구리의 수산화물, 구리의 황산화물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이들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유기 화합물과 구리 전구체를 용해시키기 위한 용매로는 비한정적으로 물, C1-C6 저급 알코올,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사이드, 테트라히드로푸란, 아세토니트릴 등을 예시할 수 있는데,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을 포함하는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계 입자로는 그래파이트, 그래펜, 비정질 탄소, 탄소나노튜브, 다이아몬드, SiC등 탄소가 주성분으로 함유된 것이라면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탄소계 입자들을 분산시키기 위한 제1 분산매는 전술한 용매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액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전술한 용매의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탄소계 입자들을 제1 분산매에 투입한 후,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산처리하는 등의 화학적 방법, 초음파 처리 등의 기계적 방법 등을 이용하므로서, 제1 분산매에 탄소계 입자들이 잘 분산된 분산액을 제조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에 제1 환원제를 투입하여, 탄소계 입자의 표면에 산화제일구리 입자들이 부착된 복합입자들을 형성한다(스텝. 2).
투입된 제1 환원제는 구리 전구체에 작용하여 산화제일구리 입자들을 형성한다. 이 때, 형성되는 산화제일구리 입자들은 탄소계 입자의 표면에 물리적으로 부착되는 형태로 형성되므로서, 탄소계 입자와 구리가 잘 혼합된 복합재료를 형성할 수 있는 중간체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이 산화제일구리 입자들이 탄소계 표면에 부착되는 형태로 복합입자가 형성되는 이유는 혼합된 결과물에 용해되어 있는 고분자 유기 화합물 때문으로 추정된다. 고분자 유기 화합물은 주사슬이 탄소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탄소계 입자와의 혼화성(compatibility)이 양호하다. 특히 폴리비닐피롤리돈 또는 폴리비닐알코올이 이와 같은 혼화성 측면에서 바람직하게 선택된다. 혼합된 결과물 내에 용해되어 있는 고분자 유기 화합물은 형성되는 산화제일구리 입자의 표면을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감싸게 되므로, 이에 따라 산화제일구리 입자들이 탄소계 입자 표면에 쉽게 부착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제1 환원제는 구리 전구체에 작용하여 산화제일구리 입자들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이 가능한데, 예를 들어 NaBH4, 히드라진, 아스콜빈산, 글루코오스, 에틸렌 글리콜 등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10-0869026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환원제 및 구리 전구체에 따라 산화제일구리 입자는 산화제일구리 초미립자들이 응집되어 형성된 응집체 입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위 특허는 레퍼런스로서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전술한 스텝. 2의 결과물로부터 원심분리, 필터링 등의 방법으로 분리된 복합입자들을 비산화성 분위기에서 소성하면, 산화제일구리 입자가 구리로 환원되면서 탄소계 입자/구리로 된 복합재료를 얻는다(스텝. 3). 산화제일구리 입자들이 탄소계 입자의 표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구리로 환원되므로, 얻어지는 탄소계 입자/구리로 된 복합재료는 탄소계 입자들과 구리들이 잘 혼합되어 있다.
비산화성 분위기는 질소와 같은 불활성 기체 분위기, 진공 분위기, 수소와 같은 환원성 기체 분위기 등, 산화제일구리 입자가 환원되어 구리로 될 수 있는 분위기라면 모두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재료의 제2 제조방법에 의하면, 전술한 스텝. 3는 다음의 방법으로 대체할 수 있다. 즉, 스텝. 2에 따라 얻어진 복합입자들을 제2 분산매에 분산시킨 다음, 과량의 제2 환원제를 투입하여 상기 산화제일구리 입자들을 구리로 환원시키면, 산화제일구리 입자가 과량의 환원제에 의해 구리로 환원되면서 탄소계 입자/구리로 된 복합재료를 얻게 된다.
제2 분산매는 제1 분산매와 같이 물, C1-C6 저급 알코올,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사이드, 테트라히드로푸란, 아세토니트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분산매는 제1 분산매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종류의 액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제조방법에 따르면, 전술한 제2 제조방법의 스텝. 2와 스텝 3을 통합하여 복합재료를 제조할 수 있다. 즉, 스텝. 1에 따라 혼합된 결과물에 과량의 환원제를 투입하면, 전술한 제2 제조방법의 스텝. 2와 스텝. 3.에 따른 반응이 연이어 진행되어 탄소계 입자/구리로 된 복합재료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실시예 1>
(1) 평균입경 7μm의 그래파이트 3mg을 에틸렌 글리콜 10ml에 투입하고, 1시간 동안 초음파 처리하여 분산시켜 분산액을 준비하였다. Copper(II) acetate 50mg과 폴리비닐피롤리돈(PVP) 200mg을 물 5ml에 용해시킨 다음, 앞서 준비한 분산액에 첨가하고 교반하였다.
(2) N2H5OH 15mg을 물 5ml에 용해시킨 다음, (1)에 따라 얻은 혼합액에 dropping하였다. 혼합액에서 입자들을 분리한 후, 물로 2회 와싱하고 건조시켰다.
(3) 전술한 (2)에 따라 얻은 입자들을 질소 분위기에서 40도/분의 속도로 700도까지 승온시킨 다음 5분간 소성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1) 및 (2)에 따라 얻은 입자들을 물에 재분산시킨 다음, NaBH4 수용액을 과량 첨가하였다. 분산액에서 입자들을 분리한 후, 물로 2회 와싱하고 건조시켰다.
<비교예 1>
폴리비닐피롤리돈(PVP)을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1) 및 (2)에 따라 실시하였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 사용된 그래파이트 입자의 SEM 사진이다. 실시예 1의 (1) 및 (2) 단계를 거쳐 얻어진 입자는 도 2의 SEM 사진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래파이트 입자 표면에 산화제일구리 입자들이 부착된 복합입자의 형태이다. 산화제일구리 입자들이 그래파이트 입자 표면에 대체로 잘 붙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복합입자들을 실시예 1에 따라 불활성 기체 분위기에서 소성한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산화제일구리 입자가 환원되면서 구리가 그래파이트 입자를 완전히 뒤덮은 복합입자를 형성하였다. 또한, 도 2의 복합입자들을 실시예 3에 따라 과량의 환원제로 처리한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산화제일구리 입자가 환원되면서 구리 입자가 그래파이트 입자를 마치 스펀지 모양처럼 완전히 뒤덮은 복합입자를 형성하였다. 도 3 및 도 4에서 입자의 복합입자의 크기가 도 2의 복합입자보다 커진 것은 소성이나 환원 과정에서 탄소/구리 복합입자끼리 뭉쳐진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한편, 도 5는 비교예 1에 따라 얻어진 입자의 SEM 사진이다. 실시예 1에 따른 도 2와는 달리 도 5의 산화제일구리 입자는 그래파이트 입자 표면에 부착되지 않은 채 따로 분리되어 생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3)

  1. (스텝. 1) 주사슬이 탄소로 이루어진 고분자 유기 화합물과 구리 전구체를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을, 탄소계 입자들을 제1 분산매에 분산시킨 분산액과 혼합하여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스텝. 2) 상기 혼합물에 제1 환원제를 투입하여, 탄소계 입자의 표면에 산화제일구리 입자들이 부착된 복합입자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스텝. 3) 상기 복합입자들을 비산화성 분위기에서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탄소계 입자/구리로 된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2. (스텝. 1) 주사슬이 탄소로 이루어진 고분자 유기 화합물과 구리 전구체를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을, 탄소계 입자들을 제1 분산매에 분산시킨 분산액과 혼합하여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스텝. 2) 상기 혼합물에 제1 환원제를 투입하여, 탄소계 입자의 표면에 산화제일구리 입자들이 부착된 복합입자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스텝. 3) 상기 복합입자들을 제2 분산매에 분산시킨 다음, 과량의 제2 환원제를 투입하여 상기 산화제일구리 입자들을 구리로 환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탄소계 입자/구리로 된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3. (스텝. 1) 주사슬이 탄소로 이루어진 고분자 유기 화합물과 구리 전구체를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을, 탄소계 입자들을 제1 분산매에 분산시킨 분산액과 혼합하여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스텝. 2) 상기 혼합물에 과량의 제1 환원제를 투입하여, 탄소계 입자의 표면에 구리가 피복된 복합입자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탄소계 입자/구리로 된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유기 화합물은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계 입자/구리로 된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 전구체는 i)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리카르복실 화합물 또는 ii)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카르복실기 함유 화합물과 구리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계 입자/구리로 된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10007991090-pat00005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탄소수가 1 내지 18인 알킬기임.
    <화학식 2>
    Figure 112010007991090-pat00006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은 탄소수가 1 내지 18인 알킬기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염은 구리의 질산화물, 구리의 할로겐화물, 구리의 수산화물, 구리의 황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계 입자/구리로 된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물, C1-C6 저급 알코올,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사이드,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아세토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계 입자/구리로 된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산매는 물, C1-C6 저급 알코올,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사이드,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아세토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계 입자/구리로 된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산매는 물, C1-C6 저급 알코올,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사이드,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아세토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계 입자/구리로 된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계 입자는 그래파이트, 그래펜, 비정질 탄소, 탄소나노튜브, 다이아몬드 및 Si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계 입자/구리로 된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환원제는 NaBH4, 히드라진, 아스콜빈산, 글루코오스 및 에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계 입자/구리로 된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환원제는 NaBH4, 히드라진, 아스콜빈산, 글루코오스 및 에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계 입자/구리로 된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화성 분위기는 불활성 기체 분위기, 진공 분위기 및 환원성 기체 분위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계 입자/구리로 된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KR1020100010860A 2009-02-05 2010-02-05 탄소계 입자/구리로 된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KR100956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738764.9A EP2394973B1 (en) 2009-02-05 2010-02-05 Method for preparing graphite particle/copper composite material
PCT/KR2010/000730 WO2010090480A2 (ko) 2009-02-05 2010-02-05 탄소계 입자/구리로 된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JP2011549069A JP5554787B2 (ja) 2009-02-05 2010-02-05 炭素系粒子/銅からなる複合材料の製造方法
CN201080006596.6A CN102307826B (zh) 2009-02-05 2010-02-05 制备碳系粒子/铜复合材料的方法
US13/197,637 US9776928B2 (en) 2009-02-05 2011-08-03 Method for preparing carbon-based particle/copper composite materi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287 2009-02-05
KR20090009287 2009-02-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6505B1 true KR100956505B1 (ko) 2010-05-07

Family

ID=42281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0860A KR100956505B1 (ko) 2009-02-05 2010-02-05 탄소계 입자/구리로 된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76928B2 (ko)
EP (1) EP2394973B1 (ko)
JP (1) JP5554787B2 (ko)
KR (1) KR100956505B1 (ko)
CN (1) CN102307826B (ko)
WO (1) WO2010090480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38040A1 (ko) * 2011-04-07 2012-10-11 광주과학기술원 나노다이아몬드-고분자 나노입자 복합체 및 이의 박막 필름
CN103862062A (zh) * 2014-04-11 2014-06-18 南京大学 铜纳米粒子均匀掺杂亚微米碳球复合材料及其一步合成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77322A1 (en) * 2010-01-16 2011-07-21 Douglas Charles Ogrin Ceramic articles and methods
US9273398B2 (en) 2010-01-16 2016-03-01 Nanoridge Materials, Inc. Metallized nanotubes
KR101310094B1 (ko) * 2010-10-26 2013-09-2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구리 입자를 포함하는 탄소나노섬유, 나노입자, 분산용액 및 그 제조방법
CN102064311B (zh) 2010-12-08 2013-08-21 清华大学 碳纳米管金属粒子复合物的制备方法
CN102436862B (zh) * 2011-09-08 2013-04-24 西北师范大学 石墨烯/纳米铜导电复合材料的制备方法
CN103521750B (zh) * 2012-07-05 2016-04-13 清华大学 碳纳米管金属粒子复合物以及包含该复合物的催化剂材料
WO2014069698A1 (ko) * 2012-11-02 2014-05-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내산화성 구리 나노 입자의 제조방법 및 내산화성 구리 나노 입자
CN103030170A (zh) * 2013-01-16 2013-04-10 哈尔滨工业大学 一种氧化亚铜/还原氧化石墨烯复合功能材料的制备方法
CN103253656B (zh) * 2013-05-02 2016-01-20 南京科孚纳米技术有限公司 一种石墨烯分散液制备方法
CN103789063B (zh) * 2014-01-23 2015-05-06 聊城大学 一种片状硼酸钙/氧化石墨烯复合微粒的制备方法
JP2018104251A (ja) * 2016-12-28 2018-07-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炭素・金属複合材とそれが添加されたゴム組成物および樹脂組成物
CN107389767B (zh) * 2017-06-09 2019-09-27 上海交通大学 基于纳米银-氧化铜颗粒/石墨烯的无酶电化学葡萄糖传感器的制备方法
ES2724214B2 (es) * 2018-03-01 2020-01-15 Business Res And Diamonds S L Procedimiento para la obtencion de diamantes sinteticos a partir de la sacarosa y equipo para llevar a cabo dicho procedimiento
CN108906048B (zh) * 2018-06-08 2021-04-23 华南农业大学 一种具有核壳结构的碳包铜纳米粒子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170317B (zh) * 2018-11-12 2022-02-22 有研工程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石墨烯改性金刚石/铜复合材料的制备方法
CN109666915B (zh) * 2019-01-30 2020-08-18 中南大学 一种复合金属层镀覆碳纳米管/石墨烯复合材料的制备方法
CN112439371A (zh) * 2019-08-31 2021-03-05 北京化工大学 一种核壳结构亚微米氧化铜-聚合物碳骨架材料制备方法
CN110713176B (zh) * 2019-11-27 2021-10-22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三维分级多孔碳材料的制备及其孔径调控的方法
CN113023812B (zh) * 2021-03-02 2022-03-11 中国矿业大学 一种含铜碳基复合高效光热转换材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6304A (en) * 1995-04-25 1998-06-16 Kawasaki Steel Corporation Iron-base powder mixture for powder metallurg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050084099A (ko) * 2002-12-03 2005-08-26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산화구리 초미립자
JP2006096655A (ja) * 2004-09-06 2006-04-13 Fuji Photo Film Co Ltd 酸化第一銅粒子の製造方法及び酸化第一銅粒子
KR20090012028A (ko) * 2007-07-26 2009-02-02 주식회사 엘지화학 구리 입자 조성물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3658A (en) * 1967-04-14 1978-09-12 Stamicarbon, N.V. Process for homogeneous deposition precipitation of metal compounds on support or carrier materials
US4157315A (en) * 1973-12-21 1979-06-05 The International Nickel Company, Inc. Method of preparing a supported catalyst and the catalyst prepared by the method
JPS6330310A (ja) * 1986-07-23 1988-02-09 Sumitomo Metal Ind Ltd 一酸化炭素分離用吸着剤の製造方法
JP3326072B2 (ja) * 1995-04-25 2002-09-17 川崎製鉄株式会社 粉末冶金用鉄基混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053407A (ja) * 1996-08-06 1998-02-24 Hitachi Chem Co Ltd フィラー材の製造法及び該製造法で得られたフィラー材
US6306795B1 (en) * 1999-09-07 2001-10-23 Cytec Technology Corp. Stable highly active supported copper based catalysts
JP4526270B2 (ja) * 2004-01-19 2010-08-18 国立大学法人信州大学 複合材の製造方法
WO2006043431A1 (ja) * 2004-10-21 2006-04-27 Shinano Kenshi Kabushiki Kaisha 複合金属体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6082962A1 (ja) * 2005-02-07 2006-08-10 Shinano Kenshi Kabushiki Kaisha 複合粒子の製造方法
WO2006103798A1 (ja) * 2005-03-29 2006-10-05 Hitachi Metals, Ltd. 高熱伝導性黒鉛粒子分散型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7895504B2 (en) 2005-06-16 2011-02-22 Qualcomm Incorporated NAK-to-ACK error detection and recovery
US20070144305A1 (en) * 2005-12-20 2007-06-28 Jablonski Gregory A Synthesis of Metallic Nanoparticle Dispersions
CN100463745C (zh) * 2007-06-13 2009-02-25 湖南大学 一种制备内嵌碳纳米管铜基复合颗粒的方法
KR101095840B1 (ko) * 2007-07-20 2011-12-21 한국과학기술원 탄소나노구조체 및 금속으로 이루어진 나노복합체의제조방법
KR100869026B1 (ko) * 2007-07-25 2008-11-17 주식회사 엘지화학 구형의 산화제일구리 응집체 입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10860A (ko) 2008-07-23 2010-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이벤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6304A (en) * 1995-04-25 1998-06-16 Kawasaki Steel Corporation Iron-base powder mixture for powder metallurg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050084099A (ko) * 2002-12-03 2005-08-26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산화구리 초미립자
JP2006096655A (ja) * 2004-09-06 2006-04-13 Fuji Photo Film Co Ltd 酸化第一銅粒子の製造方法及び酸化第一銅粒子
KR20090012028A (ko) * 2007-07-26 2009-02-02 주식회사 엘지화학 구리 입자 조성물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38040A1 (ko) * 2011-04-07 2012-10-11 광주과학기술원 나노다이아몬드-고분자 나노입자 복합체 및 이의 박막 필름
CN103862062A (zh) * 2014-04-11 2014-06-18 南京大学 铜纳米粒子均匀掺杂亚微米碳球复合材料及其一步合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07826A (zh) 2012-01-04
US9776928B2 (en) 2017-10-03
JP2012516829A (ja) 2012-07-26
CN102307826B (zh) 2014-06-11
US20120027934A1 (en) 2012-02-02
WO2010090480A3 (ko) 2010-11-25
WO2010090480A2 (ko) 2010-08-12
JP5554787B2 (ja) 2014-07-23
EP2394973B1 (en) 2017-11-15
EP2394973A2 (en) 2011-12-14
EP2394973A4 (en) 2016-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6505B1 (ko) 탄소계 입자/구리로 된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He et al. Review on nanoscale Bi-based photocatalysts
CN111132533B (zh) 一种MXene/银纳米线复合电磁屏蔽膜
Portehault et al. A general solution route toward metal boride nanocrystals
JP4978242B2 (ja) 銀超微粒子の製造方法
KR101202405B1 (ko) 탄소나노튜브 및 금속으로 이루어진 나노복합체 및 이의제조방법
KR101583916B1 (ko) 나노카본 강화 알루미늄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Tong et al. Generalized green synthesis and formation mechanism of sponge-like ferrite micro-polyhedra with tunable structure and composition
JP2009270146A (ja) 銀超微粒子の製造方法
KR20140044919A (ko) 다공질 실리카 내포 입자의 제조 방법 및 다공질 실리카, 다공질 실리카 내포 입자
US10131544B2 (en) Graphene/porous iron oxide nanorod composi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8532686A (ja) 酸素含有量が異なるグラフェン量子ドットの製造方法、グラフェン量子ドット、及び蛍光材料
US9761346B2 (en) Method of preparing copper-based composite conductive powder
CN108910960B (zh) 一种β-FeOOH纳米胶囊的制备方法
CN112920001A (zh) P4vp自组装制备纳米铝/多孔氧化铜纳米铝热剂的方法
CN102371358A (zh) 一种可再分散的纳米铜粒子的水相制备方法
CN103754878A (zh) 一种碳化硅颗粒表面原位自生碳纳米管的方法
KR20130022358A (ko)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로 피복된 탄소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JP2010133015A (ja) 銅微粒子分散水溶液の製造方法、及び銅微粒子分散水溶液の保管方法
JP4484043B2 (ja) Agナノ粒子の製造法
KR101357145B1 (ko) 탄소나노튜브 및 플라티늄으로 이루어진 나노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01468B1 (ko) 냉각효율이 향상된 나노유체
KR101738505B1 (ko) 은-카본계 복합물질 및 그 제조방법
CN109622947B (zh) 一种金属-石墨烯复合材料的制备方法
KR101935273B1 (ko) 구리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