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2661B1 - 금속산화물 박막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금속산화물 박막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2661B1
KR100922661B1 KR1020047004818A KR20047004818A KR100922661B1 KR 100922661 B1 KR100922661 B1 KR 100922661B1 KR 1020047004818 A KR1020047004818 A KR 1020047004818A KR 20047004818 A KR20047004818 A KR 20047004818A KR 100922661 B1 KR100922661 B1 KR 100922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oxide
film
thin film
plasma
oxide th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4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1679A (ko
Inventor
후쿠히사고지
나카지마아키라
시노하라겐지
와타나베도시야
오사키히사시
세리카와다다시
Original Assignee
도꾸리쯔교세이호진상교기쥬쯔소고겡뀨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꾸리쯔교세이호진상교기쥬쯔소고겡뀨죠 filed Critical 도꾸리쯔교세이호진상교기쥬쯔소고겡뀨죠
Publication of KR20040071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1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2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2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3/00Oxygen; Ozone;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 C01B13/14Methods for preparing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 C01B13/145After-treatment of oxides or hydroxides, e.g. pulverising, drying, decreasing the acidity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08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08Oxides
    • C23C14/083Oxides of refractory metals or yttr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08Oxides
    • C23C14/086Oxides of zinc, germanium, cadmium, indium, tin, thallium or bismuth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58After-treatment
    • C23C14/5826Treatment with charged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8/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 C23C18/14Decomposition by irradiation, e.g. photolysis, particle radiation or by mixed irradiation sources
    • C23C18/143Radiation by light, e.g. photolysis or pyro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6/00Coat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C23C2/00 - C23C24/00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8/00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8/02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8/00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8/06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gases
    • C23C8/36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gases using ionised gases, e.g. ionitri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10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 H01L21/0211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 H01L21/0217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at least one metal element, e.g. metal oxides, metal nitrides, metal oxynitrides or metal carbides
    • H01L21/0217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at least one metal element, e.g. metal oxides, metal nitrides, metal oxynitrides or metal carbides characterised by the met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10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 H01L21/0211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 H01L21/0217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at least one metal element, e.g. metal oxides, metal nitrides, metal oxynitrides or metal carbides
    • H01L21/0217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at least one metal element, e.g. metal oxides, metal nitrides, metal oxynitrides or metal carbides characterised by the metal
    • H01L21/0218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at least one metal element, e.g. metal oxides, metal nitrides, metal oxynitrides or metal carbides characterised by the metal the material containing titanium, e.g. TiO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10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 H01L21/0211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 H01L21/0217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at least one metal element, e.g. metal oxides, metal nitrides, metal oxynitrides or metal carbides
    • H01L21/0219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at least one metal element, e.g. metal oxides, metal nitrides, metal oxynitrides or metal carbides the material having a perovskite structure, e.g. BaTiO3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2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 H01L21/022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 H01L21/0226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deposition from the gas or vapour phase
    • H01L21/0226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deposition from the gas or vapour phase deposition by physical ablation of a target, e.g. sputtering, reactive sputter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or pulsed laser de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2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 H01L21/022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 H01L21/0228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liquid deposition, e.g. spin-coating, sol-gel techniques, spray co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9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 H01L21/02318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post-treatment
    • H01L21/0233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post-treatment treatment by exposure to a gas or vapou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9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 H01L21/02318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post-treatment
    • H01L21/0233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post-treatment treatment by exposure to a gas or vapour
    • H01L21/0234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post-treatment treatment by exposure to a gas or vapour treatment by exposure to a plasm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9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 H01L21/02318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post-treatment
    • H01L21/0234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post-treatment treatment by exposure to radiation, e.g. visible light
    • H01L21/02348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post-treatment treatment by exposure to radiation, e.g. visible light treatment by exposure to UV ligh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9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 H01L21/02318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post-treatment
    • H01L21/0235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post-treatment treatment to change the morphology of the insulating layer, e.g. transformation of an amorphous layer into a crystalline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4Inorganic layers
    • H01L21/316Inorganic layers composed of oxides or glassy oxides or oxide based glass
    • H01L21/31604Deposition from a gas or vapou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4Inorganic layers
    • H01L21/316Inorganic layers composed of oxides or glassy oxides or oxide based glass
    • H01L21/31604Deposition from a gas or vapour
    • H01L21/31616Deposition of Al2O3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4Inorganic layers
    • H01L21/316Inorganic layers composed of oxides or glassy oxides or oxide based glass
    • H01L21/31691Inorganic layers composed of oxides or glassy oxides or oxide based glass with perovskite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01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picted by a TEM-im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01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 C01P2004/03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obtained by S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24Electrodes
    • H01L31/022466Electrodes made of transparent conductive layers, e.g. TCO, ITO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31/1884Manufacture of transparent electrodes, e.g. TCO, ITO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xygen, Ozone, And Oxides In General (AREA)
  • Formation Of Insulating Films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로 비결정질로 된 금속산화물 막을 성막한 후, 포스트 처리로서 온도 180℃ 이하에서 고주파 전계 중에서 저온 플라스마에 폭로함으로써 결정성의 금속산화물 박막을 제조하는 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결정성 금속산화물 박막을 제공한다. 이 제조방법에 의하면, 적극적인 가열 처리를 동반하지 않고, 저온에서 기재에 치밀하고 균질한 결정질의 금속산화물 박막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 내열성이 낮은 기재에 대해서도 기재의 특성을 손상하지 않고 바람직한 특성의 금속산화물 박막을 형성할 수 있다.
성막, 금속산화물 박막, 플라스마, 비결정질, 결정질

Description

금속산화물 박막 및 그 제조방법{Thin metal oxide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금속산화물 박막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본적으로 가열 처리를 동반하지 않고 기재에 결정성 금속산화물 박막을 형성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스퍼터나 진공증착에 의해 유리나 폴리머, 반도체 등의 기재에 금속산화물의 막을 형성하는 것은 종래 행해지고 있다. 최근, 성막(成膜) 비용의 저감과 대형의 제품제조를 목적으로 하여 한번에 성막할 수 있는 면적이 대형화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유리를 대신하는 기재로서의 수지 재료의 사용(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나 아크릴의 사용)도 점점 증가하는 경향에 있다. 이들 성막 면적의 확대화 및 비내열성 기재로의 성막에 대해서는, 기판 가열을 동반하는 성막 기술로는 막의 균열 발생이나 기재의 손상 등이 발생하기 때문에 기판 가열을 동반하지 않는 성막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가열 프로세스에 있어서는, 금속산화물 막의 결정화를 위한 구동력이나 이동도가 충분히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얻어지는 막이 비결정질이 되기 쉬워 충분한 결정성을 얻는 것이 곤란하다. 그 때문에, 표면의 결정성이 제품 의 특성을 크게 좌우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가스 도입 등의 프로세스 조건을 엄밀하게 제어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엄밀한 프로세스 조건의 제어가 요구되면 비교적 성공했다고 생각되는 상태에 있어서도, 얻어지는 막의 특성은 기판 가열을 동반하는 프로세스에 의해 제조된 것과 비교하여 열등한 경우가 많다.
또한, 기판 가열의 정도를 저감시키는 시도로서, 금속원소를 포함하는 이온을 함유한 전구체용액을 사용하여 산화물 막을 작성하는 것도 널리 행해지고 있다. 대표적인 전구체용액으로서 금속 알콕시드, 금속 아세테이트, 유기금속 착체, 금속염, 금속비누 등이 알려져 있고, 그들을 이용한 대표적인 성막방법으로서 금속 알콕시드용액을 사용한 졸겔법 등이 알려져 있다. 이들 성막방법에 있어서는, 금속원소를 포함하는 이온을 함유한 용액에 대해서 산 등의 촉매와 물을 사용하여 이들 금속원소를 포함하는 이온을 단분자(短分子) 상태로부터, 무질서하지만 분자끼리 결합된 고분자 상태로 전이(遷移)시키고(이 상태를 겔화라고 호칭한다), 이 단계에서 가열함으로써 비교적 저온에서 유기물의 분해 제거를 행하여 금속산화물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방법은 설비 비용이 싸고 복잡한 형상의 것에 대해서도 딥 코팅(dip coating) 등에 의해 전체로의 균일 성막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품종 소량생산이나 비교적 소형의 것으로의 산화물 박막의 코팅에 적합하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는, 원액에 포함되는 유기물의 연소나 얻어지는 막 내부에서의 탈수 중축합 또는 결정화 촉진을 위해, 일반적으로는 적어도 400℃ 정도의 가열을 필요로 하게 되기 때문에 내열성이 있는 기재에밖에 적용할 수 없다는 결점이 있었다.
졸겔법 등으로 얻어지는 막에 관해서는, 가열을 동반하지 않고 결정화나 치밀화를 촉진하기 위한 기술로서 자외선 조사나 수증기 첨가, 전자선 조사 등의 방법이 검토되고 있다. 또한 최근, 도야마대학의 렌가쿠지 등은 금속 알콕시드에 벤젠 등의 방향족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알콕시드 중의 분자를 벤젠으로 샌드위치하도록 구조를 제어하고, 그것을 성막함으로써 결정화에 유리한 구조를 막 중에 실현하여 저온에서 결정화되기 쉽게 할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에 있어서도, 상술한 비가열 프로세스와 동일하게 엄밀한 프로세스 조건의 제어가 필요하여 재현성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고, 결정화가 충분히 발생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남겨져 있다.
이상과 같은 배경에서, 수지 재료로 대표되는 내열성이 낮은 기재 상에 비결정질의 금속산화물 막을 형성하고, 그것을 기재의 열화(劣化)를 동반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결정화시키는 기술은 극히 한정되어 있었다. 특히, 단시간 내에 전체에 걸쳐서 동시에 또한 균질하게 비결정질의 막을 충분히 결정화시키는 기술은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종래기술로서, 특히 플라스마를 사용한 박막의 고기능화 기술로서,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제(평)4-149090호 공보, 미국특허 제6432725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평)7-294861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평)4-199828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1-148377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1-31681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1-133466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평)9-64307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평)10-233489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0-200899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평)9-153491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평)9-246477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1-152339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평)10-273317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평)9-262466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1-85639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0-86242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평)2-283022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평)11-145148호 공보 등이 알려져 있지만, 이들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과 본 발명의 기본적인 차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발명의 개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적극적인 가열 처리를 동반하지 않고, 저온에서 기재에 치밀하고 균질한 결정질의 금속산화물 막을 효과적으로 형성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적극적인 가열을 동반하지 않고, 또한 막의 온도가 비교적 저온으로 유지된 채로 형성된 막에 대해서 결함을 수복하는 수단이 강구되면, 종래 이상으로 대면적이고 치밀하며 균질한, 또한 우수한 표면활성, 또는 강도를 겸비한 막이 얻어지게 된다. 더욱이, 집적회로로 대표되는 미세가공 기술이 발달됨에 따라 전극이나 산화막의 결함이 발생하기 쉽게 되어 있어 열이력이 적은 프로세스가 중요해져 오고 있다. 본 발명자 등은 이러한 결점을 극복하고 이러한 요구를 만족하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행한 결과, 이들 결점을 극복하는 수단으로서, 상온에서 제작된 주로 비결정질인 금속산화물 막을 적극적인 가열을 행하지 않고 특정 조건하 에서 저온 플라스마에 폭로한다는 방법이 효과적인 것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의 금속산화물 박막의 제조방법은, 주로 비결정질로 된 금속산화물 막을 온도 180℃ 이하에서 고주파 전계(電界) 중에서 저온 플라스마에 폭로함으로써, 결정성의 금속산화물 박막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으로 된다. 바꾸어 말하면, 주로 비결정질로 된 금속산화물 막을 먼저 성막하고, 비가열로, 특히 180℃ 이하의 온도에서 상기 성막과는 따로 포스트 처리(post-treatment)로서 고주파 전계 중에서 저온 플라스마 처리함으로써 결정성 금속산화물 박막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다.
이 금속산화물 박막의 제조방법은 상기 결정성 금속산화물 박막이 주로 결정성의 금속산화물 박막으로 된 경우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주로 결정성의 금속산화물 박막」이란, 막 중에 비결정질 부분도 포함되지만, 박막 X선회절 패턴으로부터는 결정성을 갖는다고 판단될 정도로 결정성을 갖는 부분이 존재하는 상태를 가리킨다.
또한, 상기 금속산화물 박막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결정성 금속산화물 박막의 이론밀도와 비교한 상대밀도가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치밀성이 높은 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온 플라스마로서는 고주파 플라스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저온 고주파 플라스마의 발생조건으로서는 예를 들면, 인가(印加) 주파수 1 kHz~300 MHz, 압력 5 Pa 이상, 투입전력 300 W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온 플라스마는 적어도 산소가스 또는 산소원소를 포함하는 가 스를 여기(勵起)함으로써 발생하는 플라스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금속산화물 막이 산소 결손에 의해 특성이 부여되는 막인 경우, 상기 저온 플라스마는 적어도 아르곤가스 또는 질소가스 또는 그들을 포함하는 가스를 여기함으로써 발생하는 플라스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로 비결정질로 된 금속산화물 막의 성막방법으로서는 각종 방법을 채용할 수 있고, 특히 스퍼터법, 이온 플레이팅(Ion Plating)법, 진공증착법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주로 비결정질로 된 금속산화물 막을 전구체용액의 도포에 의해, 즉 젖은 성막에 의해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후자인 경우, 전구체용액의 도포에 의해 형성된 주로 비결정질로 된 금속산화물 막에 플라스마에 폭로되기 전에 미리, 수증기 존재하에서 자외선을 조사하는 전처리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주로 비결정질로 된 금속산화물 막으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티탄을 포함하는 막, ITO를 포함하는 막, 티탄산 지르콘산납(PZT)을 포함하는 막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금속산화물 박막은 상기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된 결정성의(결정질의) 금속산화물 박막으로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금속산화물 박막은 각종 구조체나 재료, 부품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내열성 기재(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은 내열성이 비교적 낮은 수지 기재)에 열 배리어층을 개재시키지 않고, 상기와 같은 결정성 금속산화물 박막을 형성시킨 구조체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표면층 또는/및 내부층 으로서 상기와 같은 결정성 금속산화물 박막을 형성시킨 화상표시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표면층 또는/및 내부층으로서 상기와 같은 결정성 금속산화물 박막을 형성시킨 광촉매 재료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표면층 또는/및 내부층으로서 상기와 같은 결정성 금속산화물 박막을 형성시킨 전자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스퍼터막에 산소 플라스마 처리를 행했을 때의 친수화(親水化)의 효과를 나타내는, 자외선 조사시간과 접촉각의 관계도이다.
도 2는 알콕시드막에 산소 플라스마 처리를 행했을 때의 친수화의 효과를 나타내는, 자외선 조사시간과 접촉각의 관계도이다.
도 3은 알콕시드막에 산소 플라스마 처리를 행했을 때의 막의 X선회절 도형을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도 4 (A)-(C)는 스퍼터막에 산소 플라스마 처리를 행했을 때의 친수화의 효과를 나타내는, 조사시간과 접촉각의 관계도이다.
도 5 (A)-(C)는 알콕시드막에 산소 플라스마 처리를 행했을 때의 막의 X선회절 도형을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도 6은 실시예 4의 주사형 전자현미경에 의한 관찰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A)-(C)는 실시예 5에 있어서의 X선회절 도형을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도 8 (A)-(C)는 실시예 6에 있어서의 X선회절 도형을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도 9 (A)-(C)는 실시예 6에 있어서의 주사형 전자현미경에 의한 관찰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A), (B)는 실시예 6에 있어서 플라스마 처리와 소성(燒成)의 효과를 비교한 경우의 주사형 전자현미경에 의한 관찰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A)-(D)는 실시예 8에 있어서의 X선회절 도형을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9에 있어서의 저항변화 특성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에, 본 발명에 대해서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와 함께 설명한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금속산화물 박막의 제조방법은 기재에, 주로 비결정질의 금속산화물 막을 형성하여 적극적인 기판 가열을 행하지 않고, 온도 180℃ 이하에서 고주파 전계 중에서 저온 플라스마 중에 폭로함으로써 상기 막을 결정성의 금속산화물 막으로 변화시키는 방법으로 된다. 즉, 기본적으로 비교적 내열성이 낮은 기재로의 결정성 금속산화물 박막의 성막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 180℃ 이하의 온도에서의 플라스마 처리를 전제로 한 것이다. 기판을 고온으로 가열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고온 가열에 동반되는 문제 발생이 완전히 회피된다.
본 발명의 금속산화물 박막의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조건을 상세하게 검토한 바, 고주파 전계 중에서 적절한 주파수, 투입전력, 가스압력으로 발생시킨 저온 플라스마 중에, 주로 비결정질로 된 산화물 막을 폭로함으로써 많은 물질에서 충분한 결정성과 치밀화가 극히 균질하게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비결정질로 된 금속산화물 막이란, X선에 의해 검출 가능한 결정구조의 질서가 발생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는 막을 가리킨다. 구체적으로는 X선회절 패턴에 있어서 유의한 피크를 갖지 않는 산화물 막을 가리킨다. 또한, 주로 비결정질로 된 금속산화물 막이란, 막 중에 어느 정도의 결정구조를 가진 미립자를 함유한 산화물 막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결정성 금속산화물 박막도 또한 X선회절 패턴으로부터 판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결정화란, 비결정질 및 주로 비결정질의 상태로부터 X선에 의해 유의한 결정구조 질서의 형성 및 성장이 행해지는 것을 가리킨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주로 결정성의 금속산화물 박막」이란, 막 중에 비결정질 부분이 포함되지만, 박막 X선회절 패턴으로부터는 결정성을 갖는다고 판단될 정도로 결정성을 갖는 부분이 존재하는 상태를 가리킨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치밀화는 산화물 물성으로서 일반적으로 부여되는 이론밀도에 대해서, 얻어진 산화물 막의 밀도가 90% 이상의 값이 됨으로써 달성이 판단되는 것이다. 이 상대밀도는 막 중량이나 굴절률로부터 판단되고, 엘립소메트리(Ellipsometry), UV-VIS-IR 스펙트럼 등을 기준으로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제조기술은 보다 저온에서의 결정성 금속산화물의 형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특히 기재의 열에 의한 열화, 파괴, 기재와 막과의 반응, 또는 기재와 막에 포함되는 원소의 상호 확산이 문제가 되는 재료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대면적의 일괄 처리에 의해서도 후술하는 실시예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극 히 균질하고 핀홀 등의 결함이 없는 막의 형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대면적에 미세한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는 각종 장치부재의 제조로의 응용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나 반도체 디바이스 내부의 미소 콘덴서를 대표로 하는 박층 커패시터(capacitor), 플라스마 디스플레이나 액정표시장치로 대표되는 화상표시장치의 투명전극의 형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실시예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극히 저온에서 광촉매 활성을 갖는 결정성 산화티탄이 형성 가능하기 때문에 대면적 고속 성막된 산화티탄 막의 후처리 방법으로서도 응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되는 결정성 금속산화물 박막의 응용이 기대되는 제품 또는 기술분야로서는, 필터, 딜레이 라인(delay line), 콘덴서, 써미스터(thermistor), 발진자(發振子), 압전(壓電) 부품, 박막 기판, 메모리, 회로의 오버코팅재, VCO(전압제어 발진기), 하이브리드 IC, EMC 장치, 휴대전화, 차재(車載)기기(ETC, 오디오, 네비게이션 등), LAN, PDP(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액정 디스플레이, 각종 오디오 플레이어(CD, MD 등), DVD, 전극재료, 창 유리, 안경, 고글, 헬멧, 스키, 서프보드, 현미경, 프레파라트, 커버글라스, 다층 기판, 태양전지, 형광등, 램프, 조명, 텐트, 타일, 투명 필름, 카드, 거울, 전화, 간판, PC, 새시(sash), 팬, 환기선(換氣扇), 위생도기, 비디오 카메라, 의료기구, 위 카메라, 선글라스, 신호, 자전거, 스피커, 안테나, 식기류, 에어콘, 세탁기, 오토바이, 보트, 회중전등 등 광범위한 분야에 걸친다고 생각된다.
이어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저온 플라스마 처리의 조건에 대해서 상세하게 기재한다. 저온 플라스마란 전자온도가 이온이나 중성입자의 온도보다 매우 높은 열적으로 비평형인 플라스마로, 일반적으로 수백 Pa 이하의 가스압으로 생성한다. 인가하는 교류 전계의 주파수는 기체 방전이 발생하고, 또한 열 플라스마를 발생시키지 않게 하기 위해서 1 kHz~300 MHz가 바람직하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공업적 사용에 할당되어 기존 장치에서 사용되고 있는 13.56 MHz가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고주파 전계는 플라스마의 발생에 사용되는 고주파에 의해 겸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입전력으로서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사이즈의 장치에 있어서는 300 W 이상이 적절하다. 그러나, 적절한 투입전력은 플라스마를 발생시키는 장치의 사이즈에 의해 변화하기 때문에, 보다 용적이 작은 챔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보다 낮은 투입전력에 의한 처리도 적절하다. 또한, 후술하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챔버 용적을 사용하여 플라스마 발생이 행해지고 있는 공간의 단위체적당 투입 전력 밀도로 환산하면, 300 W는 약 1.97×104 Wm-3이다. 필요하게 되는 투입전력의 결정은 이 단위체적당 전력을 사용해도 판단 가능하다.
플라스마의 발생에 사용하는 가스는 산소, 아르곤, 질소 또는 그들의 혼합체로, 전체압력 5 Pa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Pa 이상이 적합하다.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많은 산화물에 있어서는 순도 99.9% 이상의 산소가스를 사용한 플라스마에 의한 처리가 특성이 안정하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저온 플라스마로서는, 적어도 산소가스 또는 산소원소를 포함하는 가스를 여기함으로써 발생하는 플라스마를 사용할 수 있다. 단, 산소의 결손에 의해 각종 특성이 부여되거나 또는 제어되는 산화물 막의 경우에는 산소 이외의 가스, 예를 들면 아르곤이나 질소를 사용할 수도 있고, 저온 플라스마로서는 적어도 아르곤가스 또는 질소가스 또는 그들을 포함하는 가스를 여기함으로써 발생하는 플라스마를 사용할 수 있다.
플라스마 처리시간에 관해서는, 주로 비결정질로 된 금속산화물 막의 플라스마로의 폭로는 0이 아닌 X선회절 패턴을 나타낼 정도의 결정성을 갖거나, 또는 미세결정이 내포된 막을 얻기 위해서는 3분 이내의 폭로로 충분하지만, X선회절 패턴의 피크 반치폭 0.5 이하의 양호한 결정성을 갖는 산화물 막의 형성에는 10분 이내의 폭로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프로세스는 언뜻 보기에는 스퍼터와 유사하지만, 사용 가능한 장치로서는 마그네트를 사용하지 않고 플라스마 내의 하전입자를 가속하지 않는 용량결합형의 대향전극간에 고주파 전력을 인가함으로써 플라스마를 생성할 수 있는 진공설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전장(電場)을 인가하는 전극은 플라스마를 발생시키는 챔버 안에 양쪽 또는 한쪽이 노출되어 있거나 또는 챔버 밖에 설치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이 설비와 통상의 스퍼터 장치와의 차는, 대향전극(스퍼터 장치라면 타겟쪽의 전극)에 수속(收束) 마그네트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대향전극에 대해서 고밀도의 플라스마가 집중하지 않아 균일한 플라스마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스퍼터링 현상과 같은 물리적인 에로션현상(physical erosion phenomena)은 일어나기 어려워 반응성이 높은 산소 이온을 용이하게 입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용량결합형 보다 플라스마 밀도가 높은 유도결합형 장치도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설비적으로는 플라스마 리액터, 리액티브 이온 에칭 장치라는 시판의 장치를 사용해도 된다.
이들 설비는 전극에 자기장을 사용하고 있지 않아, 상술한 바와 같은 반응성이 높은 균일한 플라스마를 생성할 수 있다. 이 플라스마 조사의 효과는 앰프 파워, 가스 유량 등의 조건에 의존한다. 이 처리에 의해 결정성, 기재로의 밀착성, 막의 경도(硬度)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금속산화물 박막을 적당한 비결정질의 산화물 막으로부터 비가열로 균질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플라스마에 폭로하는 주로 비결정질로 된 금속산화물 막을 형성하는 기재는, 주로 비결정질로 된 금속산화물 막을 형성할 수 있다면 어떠한 것이더라도 상관없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 9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수지 기판 상에 성막된 주로 비결정질의 금속산화물 막을 결정화할 때에는 기재 및 산화물 막의 온도는 90℃를 웃돌지 않기 때문에 내열성이 낮은 수지 기재의 사용이 가능하다.
주로 비결정질로 된 금속산화물 막의 코팅방법은 특정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시하자면, 스퍼터법, 증착법 또는 금속 알콕시드, 금속 아세테이트, 금속유기산염, 금속염, 금속비누 등, 금속원소를 갖는 이온을 포함하는 전구체용액의 스핀 코팅, 딥 코팅, 플로우 코팅, 바 코팅법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형상(異形狀)의 것이어도 딥 코팅 등에 의해 주로 비결정질로 된 금속산화물 막을 코팅하여 소정의 플라스마 중으로 폭로함으로써 결정성의 금속산화물 박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구체용액은 알콕시드 외에 각종 금속성분을 함유한 무기산, 유기산용액이어도 되고, 상술한 렌가쿠지 등이 제안하고 있는 용액구조의 사전 제어 등도 특별히 필요로 하지 않는다. 단, 유기물을 많이 포함하는 알콕시드와 같은 전구체용액에서는 1회에 형성하는 막의 막 두께가 두꺼워지면 막의 균열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성막 후의 막 두께가 200 nm 이하가 되도록 프로세스 조건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이상의 두께의 막을 형성할 때에는 프로세스를 반복하는 것이 좋다.
전구체의 도포에 의한 코팅에 있어서는 형성된 막 중에는 유기물이 혼입되어 있다. 플라스마로의 폭로에 의해 유기물은 자동적으로 분해되지만, 보다 양호한 결정성을 갖는 균질한 금속산화물 박막을 단시간의 처리로 얻기 위해서는 사전에 유기물의 제거 및 전구체의 가수분해를 충분히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플라스마로 폭로하기 전에 수증기를 포함한 분위기에서 파장 300 nm 이하의 자외선을 소정 시간 조사하면 플라스마로의 폭로 효과가 더욱 우수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프로세스 중에 기판의 적극적인 가열은 전혀 행해지지 않는다. 또한, 저온 플라스마로의 폭로 중에 플라스마 분위기로부터의 열교환에 의해 기재가 승온되는 경우는 있을 수 있지만, 이것은 앰프 파워나 기재에도 의존한다. 후술하는 실시예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를 통해 기재 온도는 처리시간이 3분 이내라면 80℃ 정도, 10분간의 처리를 행해도 180℃를 초과하는 경우는 없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또한, 특히 비내열성 기판인 PET 기판을 사용한 실시예(실시예 9)에서는 처리 중의 온도는 명백하게 90℃를 초과하고 있지 않다. 그 때문 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기재에 금속산화물 박막을 형성할 때 열충격 등에 의한 막의 손상 또는 산화물 막과 기재와의 반응을 방지하기 위해 배리어층을 형성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체가 균일하게 처리된다. 본 발명에서는 플라스마 및 고주파 전계가 금속산화물 막 전체에 걸쳐 동시에 작용하기 때문에, 레이저 어닐링으로 대표되는 바와 같은 주사형 처리에 비교하여 극히 균질하게 결정화가 진행된다. 그 때문에, 후술하는 실시예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00 nm 정도의 극히 얇은 막을 대면적으로 균질하고 고품질로 결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램프 어닐 등과 같은 열분포를 유발하는 경우도 없기 때문에 열응력에 의한 균열도 생기기 어렵다. 그 때문에 응력 완화를 위한 중간층 형성 등에 대해서 공정 감소·비용 저감을 예상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은 소위 플라스마에 의한 가열효과가 가져오는 현상을 이용한 것은 아니다. 플라스마를 사용한 박막의 고기능화 기술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이외에도 유사 선행기술이 다수 존재하기 때문에 상술한 선행기술과 본 발명과의 기본적인 차이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이하에 선행기술을 본 발명과 대비하여 설명한다.
일본국 특허공개 제(평)4-149090호 공보는 리튬알콕시드와 니오브알콕시드 또는 리튬알콕시드와 탄탈알콕시드를 사용한 졸겔법으로 성막한 비결정질 박막을 고주파 플라스마 또는 전자 빔으로 어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결정질 유전체 박막의 작성방법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제안기술에서는 소둔(燒鈍)을 의 미하는 「어닐(anneal)」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고, 명세서 중에서 「발열체에 의한 통상의 가열 처리가 일반적이지만, 이것에 의하면 박막의 가열시 박막의 기판도 동일하게 가열되어 그 결과, 기판의 재질이 내열성으로 제한되거나 조성의 일부가 확산되는 문제점이 있다.」라고 언급하고 있다. 그들의 기술이 의미하는 것은 고주파 플라스마나 전자 빔을 사용한 국부 가열의 기술로, 본 발명과는 본질적으로 다르다. 또한, 가스압 등 플라스마를 특징짓는 실험조건이 실시예에도 기재되어 있지 않아 조건의 기재가 불충분하다.
미국특허 제6432725호 공보는 비결정질 금속산화물을 성막 후 결정화를 위한 플라스마 처리를 400℃ 이하의 온도하에서 행하는 결정성 유전막 생성법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실시예에서는 플라스마 처리시의 온도는 400℃의 것밖에 나타내어져 있지 않고, 프로세스의 하한 온도로서 약 200℃가 나타내어져 있지만, 이것은 수지로 대표되는 내열성이 낮은 기재에 대해서는 적용이 불가능하다. 또한, 명세서 중에는 anneal이라는 표현으로 "열처리"의 개념이 기술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400℃에서 35초간의 플라스마 처리를 행하고 있지만, 이 온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저온 플라스마에서는 35초라는 단시간으로는 도달할 수 없어, 시료를 히터로 가열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고 있거나 또는 고온 플라스마를 사용하고 있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이 기술은 열의 어시스트(assist)를 전제로 하고 있어 본 발명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일본국 특허공개 제(평)7-294861호 공보는 기판에 전구체를 도포하고, 적어도 산소원소를 함유하는 가스의 플라스마 분위기 중에서 가열하는 것에 의한 산화 물 유전체 박막 제조법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제안기술도 기판을 의도적으로 가열하는 프로세스를 전제로 하고 있어 본 발명과는 본질적으로 다르다.
일본국 특허공개 제(평)4-199828호 공보는 산화물 피막에 대해서 마이크로파를 사용한 플라스마 분해에 의한 플라스마 처리장치로 발생시킨 산소 이온 또는 산소 플라스마를 조사함으로써 산화물의 고유전율 박막을 얻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제안에서는 처리하는 막이 비결정질로 결정화를 달성한다는 기재는 없고, 단지 절연내압이 높아지는 효과만을 언급하고 있는 것에 불과하다. 더욱이 실시예는 300℃에서의 것으로, 열에 의한 어시스트 효과를 시사하고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1-148377호 공보는 유전체 박막을 오존 발생기 또는 플라스마 발생기로 어닐함으로써 특성 개선을 행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제안에서는 막의 누설전류특성(漏泄電流特性; leakage current characteristics)이 개선되어 있는 것을 기재하고 있을 뿐, 비결정질의 결정화가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은 확인되어 있지 않다. 또한, 플라스마로의 유전체 박막의 폭로는 플라스마의 발생이 행해지고 있는 장소로부터 떨어진, 따라서 고주파 전계가 인가되어 있지 않은 공간에 있어서 행해지고 있어 본 발명과는 다른 것이다.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1-31681호 공보는 기판 상에 전극물질로서 리튬 전이금속 산화물을 증착한 후, 그 막을 플라스마 처리함으로써 결정화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이 제안에서는 비결정질의 정의가 애매할 뿐만 아니라 리튬 전이금속 산화물로 한정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플라스마 조사에 의해 플라스마 처리된 물질의 온도(temperature of plasma-treated material)가 391℃까지 상승하고 있고,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 중에서 「플라스마 내에서 고에너지의 이온이…박막 표면에 충돌함으로써 열에너지를 전달한다」고 기재하고 있기 때문에, 플라스마에 의한 가열 효과가 기구의 주체라는 사고방식에 입각하고 있어 본 발명과는 본질적으로 다르다.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1-133466호 공보는 ITO의 물리적인 표면 형상(표면 거칠기)나 결정면의 ITO 막의 일함수를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10-80 eV의 에너지 범위에 있는 산소 이온 또는 전자를 ITO 막에 조사하여 표면개질을 실시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발명에서는 ITO로 한정하고 있어 출발 ITO 막이 대부분 비결정질이고 그것을 결정화시키는 기술이라는 내용의 기재가 없다.
일본국 특허공개 제(평)9-64307호 공보는 산화탄탈의 산소 결손을 보충하여 리크 전류를 저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탄탈산화막을 산화성 분위기에서 열처리(300℃-700℃)하는 방법으로서, 그 열처리에 있어서 원자형상 산소를 탄탈산화물 막에 조사하는 발명을 개시하고 있다. 물질로서 탄탈산화물로 한정하고 있어, 가열에 의한 반응의 어시스트가 있는 점에서 본 발명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또한 비결정질의 결정화 기술이라는 기재가 없다.
일본국 특허공개 제(평)10-233489호 공보는 반도체 기판 상에 커패시터를 형성하는 단계와, 이 커패시터를 플라스마에 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다. 이 발명에 있어서도 출발막이 대부분 비결정질이고 그것을 결정화시키는 기술이라는 내용의 기재가 없다.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0-200899호 공보는 탄탈 전구체에 2단계의 온도에서 증착하여 산소 분위기에서 열처리하고, 이 열처리시에 플라스마를 공급하는 프로세 스를 포함하는 탄탈산화막을 구비한 커패시터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 발명에 있어서도 출발막이 대부분 비결정질이고 그것을 결정화시키는 기술이라는 내용의 기재가 없다.
일본국 특허공개 제(평)9-153491호 공보는 산화탄탈의 유전율 상승과 리크 전류의 저감을 목적으로서, 탄탈산화막을 증착한 후 그보다 낮은 온도에서 어닐할 때에 플라스마-산소 어닐을 행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이 발명에 있어서도 출발막이 대부분 비결정질이고 그것을 결정화시키는 기술이라는 내용의 기재가 없다.
일본국 특허공개 제(평)9-246477호 공보는 커패시터 전극의 자연산화막 제거를 목적으로서, 전극 형성 후 질소 및 산소를 함유하는 가스를 사용하여 플라스마 처리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이 발명에 있어서도 출발막이 대부분 비결정질이고 그것을 결정화시키는 기술이라는 내용의 기재가 없다.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1-152339호 공보는 기판을 포함하는 반응 챔버에 박막을 이루는 원소 및 리간드를 포함하는 제1 반응물을 주입하여 기판 상에 화학흡착시킨 후 활성화된 산화제를 첨가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며, 산화제는 오존, 플라스마 산소, 플라스마 산화질소로 하고 있다. 이것은 Atomic Layer Deposition(ALD)의 기술로, 본 발명과는 본질적으로 다르다. 또한, 성막과 산화제 처리를 동일한 챔버 안에서 행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어, 이 산화제 처리에 의해 대부분 비결정질인 출발막을 결정화시키는 기술이라는 내용의 기재가 없다.
일본국 특허공개 제(평)10-273317호 공보는 초전도성을 나타내지 않는 두께 1 μ 이하의 산화물 박막에 대해서 오존 또는 원자형상 산소 또는 산소 라디칼 또 는 산소 이온 또는 산소 플라스마 등, 분자형상 산소보다 강력한 산화력을 갖는 산화가스를 1분 이상, 1시간 이내의 단시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물 초전도체 박막의 제작방법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다. 이 발명에 있어서도 출발막이 대부분 비결정질이고 그것을 결정화시키는 기술이라는 내용의 기재가 없다.
일본국 특허공개 제(평)9-262466호 공보는 산화티탄을 함유하는 담체의 표면에 대해서 활성화하여 제조하는 광촉매 재료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활성화하는 방법이 100-280℃에서 플라스마 처리를 행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 발명에서는 플라스마 처리에 의해 루틸(rutile)이나 브루카이트(brookite)로부터 아나타제(anatase)로 결정계의 상전이(相轉移)가 일어났기 때문이라고 기재하고 있고, 출발막이 대부분 비결정질이고 그것을 결정화시키는 기술이라는 내용의 기재가 없다. 본 발명 기술과는 명확하게 다르다.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1-85639호 공보는 유전체에 산소 플라스마 처리를 행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이 발명은 댕글링 본드(dangling bond)의 종단(終端) 처리가 목적으로, 450℃ 이상의 가열이 전제로 되어 있어, 막을 열로 결정화한 후에 플라스마 처리하기 때문에 본 발명 기술과는 명확하게 다르다.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0-86242호 공보는 결정화된 페롭스카이트(perovskite) 박막을 얻기 위해 원료 졸을 공급하면서 플라스마 조사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이 발명은 성막과 동시에 플라스마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포스트 처리인 본 발명 기술과는 명확하게 다르다.
일본국 특허공개 제(평)2-283022호 공보는 오존을 포함하는 가스 분위기에서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산화막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 기술은 가열이 전제로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출발막이 대부분 비결정질이고 그것을 결정화시키는 기술이라는 내용의 기재가 없다. 또한 반드시 플라스마 조사의 기술이라고는 할 수 없기 때문에 본 발명 기술과는 명확하게 다르다.
일본국 특허공개 제(평)11-145148호 공보는 기판에 성막된 박막 상에 열 플라스마를 조사하는 어닐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 기술에서 사용하는 것은 고온 플라스마로, 본 발명이 의도하고 있는 저온 플라스마가 아니며 이 점에서 본 발명 기술과는 명확하게 다르다.
실시예 1
RF(Radio Frequency) 마그네트론 스퍼터로 유리 상에 제작한 TiO2 박막에 주파수 13.56 MHz, 앰프 파워 300 W, 산소 유량 100 cc/분의 산소 플라스마를 1시간 조사하여 결정성 TiO2 박막을 얻었다. 특히, 고주파 전계 중에서의 산소 플라스마로의 폭로는 상온에서 개시하고 비가열 상태에서 상기 시간 플라스마 처리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수법으로 제작된 막에 대해서 마지막의 산소 플라스마 처리를 행하지 않고 막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1, 비교예 1에서 얻어진 TiO2 박막에 대해서 블랙 라이트를 사용하여 1 mW 강도의 자외선 조사하에서의 접촉각 변화를 도 1에 나타낸다. 자외선 조사에 의해 접촉각이 감소하고 있어 산소 플라스마 조사로 광유기 친수성이 촉진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티탄산화물 박막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서 닛폰소다(주)(NIPPON SODA CO., LTD.)제 티탄알콕시드(NDH-510C)를 사용하여 5000 rpm, 20초의 조건에서의 스핀 코팅법에 의해 실리콘 웨이퍼((100)면)) 상에 성막하고(젖은 TIO2 막), 공기 중에서 120℃에서 건조한 후 파장 253.7 nm의 자외선에 의해 유량 300 cc/분의 조건에서 60℃의 물에 버블링한 산소를 플로우(flow)하여 1시간 처리하였다. 그 후, 주파수 13.56 MHz, 앰프 파워 300 W, 산소 유량 100 cc/분(용기내압 약 50 Pa)의 산소 플라스마를 1시간 조사하였다. 이 고주파 전계 중에서의 산소 플라스마로의 폭로도 상온에서 개시하고, 비가열 상태에서 상기 시간 플라스마 처리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2와 동일한 수법으로 제작된 막에 대해서 마지막의 산소 플라스마 처리를 행하지 않고 막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2, 비교예 2에서 얻어진 TiO2 막에 대해서 블랙 라이트를 사용하여 1 mW 강도의 자외선 조사하에서의 접촉각 변화를 도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 비교예 1의 경우와 동일하게 산소 플라스마 조사로 광유기 친수성이 촉진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더욱이 도 3에 동일하게 성막한 알콕시드막에 산소 유량을 200 cc/분(용기내압 약 100 Pa)으로 산소 플라스마 처리를 행했을 때의 막의 X선회절 도형을 나타낸다. 산소 플라스마 처리에 의해 결정화를 나타내는 피크가 관찰되고, 이 처리에 의해 결정화된 TiO2 막이 알콕시드로부터 상온에서 달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스는 모두 상온이기 때문에 공정은 간소, 단순하다. 가스 유량, 버블링 조건, 투입전력, 처리시간 등은 설비에 의해 변화한다. 막 구조로서는 초친수 특성과 같이 표면물성을 평가하는 경우라면, 상기 성막 공정 이후를 한번 거치는 것 만으로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지만, 결정화되었는지의 여부가 문제가 되는 용도, 예를 들면 표면경화 막 용도 등에서 결정화를 확인해야 하는 경우에는 공정을 복수회 반복함으로써 적층막으로 하여 두꺼운 막을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3
티탄산화물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서, 닛폰소다(주)제 티탄알콕시드(NDH-510C)를 사용하여 5000 rpm, 20초의 조건에서의 스핀 코팅법에 의해 실리콘 웨이퍼((100)면)) 상에 성막하고(젖은 TiO2 막), 공기 중에서 120℃에서 건조한 후 파장 253.7 nm의 자외선에 의해 유량 300 cc/분의 조건에서 60℃의 물에 버블링한 산소를 플로우하여 1시간 처리하였다. 그 후, 주파수 13.56 MHz, 앰프 파워 400 W, 내압 100 Pa의 조건으로 산소 플라스마를 10분 조사하였다.
실시예 4
티탄산화물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서, 닛폰소다(주)제 티탄알콕시드(NDH-510C)를 사용하여 5000 rpm, 20초의 조건에서의 스핀 코팅법에 의해 실리콘 웨이퍼((100)면)) 상에 성막하고(젖은 TiO2 막), 공기 중에서 120℃에서 건조한 후 파장 253.7 nm의 자외선에 의해 유량 300 cc/분의 조건에서 60℃의 물에 버블링한 산소를 플로우하여 1시간 처리하였다. 그 후, 주파수 13.56 MHz, 앰프 파워 500 W, 내압 100 Pa의 조건으로 산소 플라스마를 10분 조사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3, 4와 동일한 수법으로 제작된 막에 대해서 마지막의 산소 플라스마 처리를 행하지 않고 막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TiO2 막에 대한 블랙 라이트를 사용한 1 mW 강도의 자외선 조사하에서의 접촉각 변화를 도 4 ((A)-(C)), X선회절 도형을 도 5 ((A)-(C))에 나타낸다. 자외선 조사에 의해 접촉각이 감소하고 있어 산소 플라스마 조사로 광유기 친수성이 촉진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산소 플라스마 처리에 의해 결정화를 나 타내는 피크가 관찰되고, 이 처리에 의해 결정화된 TiO2 막이 알콕시드로부터 상온에서 달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에 실시예 4에서 얻어진 TiO2 막을 주사형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도면을 나타낸다. 10 nm 정도의 입자가 극히 균일하고 또한 치밀하게 충전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4(참고 비교예 4)
실시예 3, 4와 동일한 수법으로 제작된 막에 대해서 파장 253.7 nm의 자외선에 의해 유량 300 cc/분의 조건에서 60℃의 물에 버블링한 산소를 플로우하여 1시간 처리하지 않고, 실시예 3, 4와 동일한 조건으로 산소 플라스마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막은 결정화나 경화되지 않고 균열이 한 면에 들어가 있었다. 이 결과, 실시예 3, 4의 성막조건에서는 자외선에 의한 전처리가 유효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젖은 TiO2 막으로부터 결정성 TiO2 박막을 작성하는 경우의 하지(下地) 의존성, 적층의 효과에 대해서 확인하였다. 티탄산화물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서, 닛폰소다(주)제 티탄알콕시드(NDH-510C)를 사용하여 5000 rpm, 20초의 조건에서의 스핀 코팅법에 의해 실리콘 웨이퍼((100)면), (110)면), (111)면)) 상에 성막하고, 공기 중에서 120℃에서 건조한 후 파장 253.7 nm의 자외선에 의해 유량 300 cc/분의 조 건에서 60℃의 물에 버블링한 산소를 플로우하여 1시간 처리하였다. 그 후, 주파수 13.56 MHz, 앰프 파워 300 W, 내압 50 Pa의 조건으로 산소 플라스마를 60분 조사하는 프로세스를 3회 반복하였다. 실시예 5의 X선회절 도형을 도 7 ((A)-(C))에 나타낸다. 결정화의 정도는 실리콘 웨이퍼의 면 지수에 의존한다. 또한 3층 적층한 막의 막 두께는 합계 약 200 nm였지만, 적층계면으로부터의 균열이나 박리는 전혀 보이지 않아 적층을 반복함으로써 두꺼운 막을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6
플라스마 처리시간의 효과에 대해서 확인하였다. 티탄산화물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서, 닛폰소다(주)제 티탄알콕시드(NDH-510C)를 사용하여 3000 rpm, 20초의 조건에서의 스핀 코팅법에 의해 실리콘 웨이퍼((100)면) 상에 성막하고, 공기 중에서 120℃에서 건조한 후 파장 253.7 nm의 자외선에 의해 유량 300 cc/분의 조건에서 60℃의 물에 버블링한 산소를 플로우하여 1시간 처리하였다. 그 후, 주파수 13.56 MHz, 앰프 파워 550 W, 내압 100 Pa의 조건으로 산소 플라스마를 3분, 5분, 10분의 각 시간 처리를 하였다. 실시예 6의 X선회절 도형을 도 8 ((A)-(C))에 나타낸다. 또한, 막의 단면을 주사형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도면을 도 9 ((A)-(C))에 나타낸다. X선회절 도형과 막 두께의 변화로부터 결정화는 겨우 3분의 단계에서 대부분이 완료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서모라벨로 계측한 바 플라스마 조사 3분의 단계에서는 아직 시료의 표면온도는 아직 80℃ 정도이고, 10분 경과시에도 약 180℃였다. 이러한 사실은 이 결정화가 자기 발열이나 외부 가열 등에 의한 열로 발생한 것이 아님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6의 10분 처리의 막에 대해서 엘립소메트리에 의해 막의 굴절률을 평가한 바, 플라스마 처리 전이 1.88이었던 것에 대해서 처리 후는 2.33이 되었다. 한편, 실시예 6의 막을 플라스마 조사를 행하지 않고 대기 중에서 500℃, 1시간 소성한 것에서는 굴절률이 2.24였다. 이 막을 주사형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도면을 도 10 ((A), (B))에 나타낸다. 열적으로 결정화된 막 (A)는 균열이 많이 들어가 있는 것에 대해서, 플라스마 처리로 얻어진 막 (B)는 치밀하고 균질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아나타제의 굴절률(2.46)로부터, 실시예 6의 플라스마 처리를 10분간 행한 막에서는 상대밀도가 90% 이상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7
젖은 TiO2 막으로부터 작성한 결정성 TiO2 박막을 전기물성, 균질성에 대해서 확인하였다. 실리콘 웨이퍼((100)면) 상에 백금을 성막하고, 그 위로부터 티탄산화물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서, 닛폰소다(주)제 티탄알콕시드(NDH-510C)를 사용하여 3000 rpm, 20초의 조건에서의 스핀 코팅법에 의해 성막하고 공기 중에서 120℃에서 건조한 후 파장 253.7 nm의 자외선에 의해 유량 300 cc/분의 조건에서 60℃의 물에 버블링한 산소를 플로우하여 1시간 처리하였다. 그 후, 주파수 13.56 MHz, 앰프 파워 550 W, 내압 100 Pa의 조건으로 산소 플라스마를 10분 처리하였다. 그 위에 5 mm 각에서 약 200개의 독립된 금속티탄 전극을 형성하여 얻어진 티탄산화물 박막의 유전율을 측정한 바 측정 주파수 1 MHz에서 약 37이었다. 이 값은 일반적으 로 알려져 있는 아나타제의 유전율과 일치한다. 또한, 소자는 5 mm 각에서 제작하였지만, 극히 얇은 막 두께(약 100 nm)에도 불구하고 제작한 200 남짓의 소자에서 전극간 리크가 인정된 것은 전혀 없었다. 이러한 사실은 막이 극히 균질하게 결정화, 치밀화된 것을 나타내고 있어 실시예 6에서의 전자현미경 관찰결과와도 잘 일치한다.
실시예 8
스퍼터 ITO로부터 작성한 금속산화물 박막의 플라스마 의존성, 하지 의존성에 대해서 확인하였다. 상온에서 파이렉스와 실리콘 웨이퍼((100)면) 상에 ITO를 약 150 nm 성막한 후 주파수 13.56 MHz, 앰프 파워 550 W, 내압 100 Pa의 조건에서 산소 또는 질소 플라스마로 10분 처리하였다. 실시예 8의 X선회절 도형을 도 11 ((A)-(D))에 나타낸다. 결정화의 정도는 다르지만 산소, 질소 어느 플라스마에서도 결정화가 발생하고, 결정도는 플라스마 종류와 기재에 의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9
상온에서 50 ㎛ 두께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상에 ITO 비결정질 박막을 아르곤가스 295 CCM, 산소가스 5 CCM의 혼합가스로 전체압력을 0.6 Pa로 하여 주파수 13.56 MHz, 앰프 파워 1.5 KW로 스퍼터 성막하여 산소 플라스마 처리를 행하였다. 처리조건은 주파수 13.56 MHz, 산소가스 400 CCM, 앰프 파워 400 W, 내압 33 Pa로 행하였다. 실시예 9의 저항변화 그래프를 도 12에 나타낸다. 거의 직선적으로 저항값이 감소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지만, 기재가 열에 극히 약한 재료(유리전이온도: 90℃)임에도 불구하고 변형, 백탁 등은 인정되지 않아 처리 전과 동일한 외관을 유지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 프로세스가 열부하가 작은 프로세스이더라도 높은 저항값 저감효과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프로세스로 결정화를 검토한 시료, 조건, 결과를 정리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프로세스는 모두 상온이기 때문에 공정은 간소·단순하다. 막 구조로서는 초친수 특성과 같이 표면물성을 평가하는 경우라면 상기 성막 공정 이후를 한번 거치는 것 만으로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지만, 프로세스를 복수회 반복함으로써 적층막으로 하여 두꺼운 막을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Figure 112004013549910-pct00001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금속산화물 박막 제조 프로세스에 의하면, 가열 처리를 동반하지 않고 여러가지 기재에 결정질 금속산화물 박막을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종래의 금속산화물 박막 제조 프로세스의 결점을 극복할 수 있어 박막 제조 프로세스에 신규한 길을 열었다.
본 발명의 금속산화물 박막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적극적인 가열처리를 동반하지 않고 저온에서 기재에 치밀하고 균질한 결정질의 금속산화물 박막을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 내열성이 낮은 기재에 대해서도 기재의 특성을 손상하지 않고 바람직한 특성의 금속산화물 박막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히, 수지로 대표되는 내열성이 낮은 기재 상에 금속산화물 박막을 형성하는 것이 요구되는 모든 용도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8)

  1. 비결정질로 된 금속산화물 막, 또는 결정질을 포함하는 비결정질로 된 금속산화물 막을 온도 180℃ 이하에서, 주파수가 1 kHz∼300 MHz인 고주파 전계 중에서, 5 Pa 이상의 압력 및 300 W 이상의 투입전력의 조건에서 발생한 저온 플라스마에 폭로함으로써, 상기 금속산화물 막 중의 비결정질을 결정화하는 것에 의해, 상기 금속산화물 막 보다도 결정화가 진행된, 결정성의 금속산화물 박막 또는 비결정질을 포함하는 결정성의 금속산화물 박막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산화물 박막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성의 금속산화물 박막의 이론밀도와 비교한 상대밀도가 90% 이상인 금속산화물 박막의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 플라스마가 적어도 산소가스 또는 산소원소를 포 함하는 가스를 여기함으로써 발생하는 플라스마인 금속산화물 박막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산화물 막이 산소 결손에 의해 특성이 부여되는 막으로, 상기 저온 플라스마가 적어도 아르곤가스 또는 질소가스 또는 그들을 포함하는 가스를 여기함으로써 발생하는 플라스마인 금속산화물 박막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산화물 막을 스퍼터법, 이온 플레이팅법, 진공증착법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하는 금속산화물 박막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산화물 막을 전구체용액의 도포에 의해 형성하는 금속산화물 박막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구체용액의 도포에 의해 형성한 금속산화물 막에 플라스마에 폭로되기 전에 미리, 수증기 존재하에서 자외선을 조사하는 금속산화물 박막의 제조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산화물 막이 산화티탄을 포함하는 막인 금속산화물 박막의 제조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산화물 막이 ITO를 포함하는 막인 금속산화물 박막의 제조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산화물 막이 티탄산 지르콘산납을 포함하는 막인 금속산화물 박막의 제조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047004818A 2001-10-02 2002-09-30 금속산화물 박막 및 그 제조방법 KR1009226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06174 2001-10-02
JP2001306174 2001-10-02
JP2002077919 2002-03-20
JPJP-P-2002-00077919 2002-03-20
PCT/JP2002/010181 WO2003031673A1 (fr) 2001-10-02 2002-09-30 Film mince d'oxyde metalliqu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7042A Division KR20090091831A (ko) 2001-10-02 2002-09-30 금속산화물 박막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1679A KR20040071679A (ko) 2004-08-12
KR100922661B1 true KR100922661B1 (ko) 2009-10-19

Family

ID=2662358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4818A KR100922661B1 (ko) 2001-10-02 2002-09-30 금속산화물 박막 및 그 제조방법
KR1020097017042A KR20090091831A (ko) 2001-10-02 2002-09-30 금속산화물 박막 및 그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7042A KR20090091831A (ko) 2001-10-02 2002-09-30 금속산화물 박막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132373B2 (ko)
EP (1) EP1452619B1 (ko)
JP (2) JP4235551B2 (ko)
KR (2) KR100922661B1 (ko)
CN (1) CN100347333C (ko)
AT (1) ATE524574T1 (ko)
TW (1) TWI225105B (ko)
WO (1) WO20030316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790B1 (ko) * 2003-05-23 2008-03-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질소 플라즈마 처리된 ito 필름 및 이를 양극으로사용한 유기 발광 소자
EP1675972A2 (de) * 2003-09-22 2006-07-05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Verfahren zur plasmabehandlung einer oberfl che
WO2005077525A1 (ja) * 2004-02-12 2005-08-25 The University Of Tokyo 結晶薄膜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096577A (ja) * 2004-09-28 2006-04-13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金属酸化物膜、金属酸化物膜の製造方法および成形品
US7829444B2 (en) * 2004-11-10 2010-11-09 Canon Kabushiki Kaisha Field effect transistor manufacturing method
DE112005002796T5 (de) * 2004-11-10 2007-10-11 Dai Nippon Printing Co., Lt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etalloxidfilms
JP2006179599A (ja) * 2004-12-21 2006-07-06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6088062A1 (ja) 2005-02-17 2006-08-24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半導体デバイスの製造方法および基板処理装置
JP2007039270A (ja) * 2005-08-02 2007-02-15 Bridgestone Corp 金属ドープTiO2薄膜の結晶化方法及び金属ドープTiO2薄膜を有する積層体
JP4967272B2 (ja) * 2005-08-02 2012-07-0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Cu2O薄膜の結晶化方法及びCu2O薄膜を有する積層体
US20070259127A1 (en) * 2006-05-02 2007-11-08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 for densifying sol-gel films to form microlens structures
JP4789700B2 (ja) * 2006-05-25 2011-10-12 株式会社シンクロン 親水性薄膜の製造方法
JP2008081344A (ja) * 2006-09-27 2008-04-10 Sekisui Chem Co Ltd 酸化亜鉛の結晶化方法及び結晶膜形成装置
JP2008255373A (ja) * 2007-03-30 2008-10-23 Univ Of Tokyo 結晶薄膜及びその製造方法
EP2011898B1 (en) * 2007-07-03 2021-04-07 Beneq Oy Method in depositing metal oxide materials
JP5256694B2 (ja) * 2007-10-31 2013-08-07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酸化チタン系光触媒薄膜の製造法
EP2107133A1 (en) 2008-04-04 2009-10-07 Nederlandse Organisatie voor toegepast- natuurwetenschappelijk onderzoek TNO Method for treating a metal oxide layer
TWI365562B (en) * 2008-10-03 2012-06-01 Ind Tech Res Inst Positive electr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lithium battery utilizing the same
US8709681B2 (en) * 2009-04-16 2014-04-29 Hoya Corporation Mask blank, transfer mask, and film denseness evaluation method
US8426763B2 (en) 2009-04-23 2013-04-23 Micron Technology, Inc. Rapid thermal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microelectronic substrates
WO2011007682A1 (en) * 2009-07-17 2011-01-2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WO2011027872A1 (ja) * 2009-09-04 2011-03-10 国立大学法人東京大学 無機構造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無機薄膜の製造方法
JP5403293B2 (ja) * 2009-11-05 2014-01-29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透明導電膜の製造方法及び透明導電膜、それを用いた素子、透明導電基板並びにそれを用いたデバイス
US8528224B2 (en) * 2009-11-12 2013-09-10 Novellus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t least partially converting films to silicon oxide and/or improving film quality using ultraviolet curing in steam and densification of films using UV curing in ammonia
JP5257372B2 (ja) * 2009-11-30 2013-08-07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酸化物蒸着材と透明導電膜および太陽電池
US20120028011A1 (en) * 2010-07-27 2012-02-02 Chong Pyung An Self-passivating mechanically stable hermetic thin film
US20120167971A1 (en) * 2010-12-30 2012-07-05 Alexey Krasnov Textured coating for thin-film solar cells and/or methods of making the same
GB201110117D0 (en) 2011-06-16 2011-07-27 Fujifilm Mfg Europe Bv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a barrie layer on a flexible substrate
US8288297B1 (en) * 2011-09-01 2012-10-16 Intermolecular, Inc. Atomic layer deposition of metal oxide materials for memory applications
EP2754170A4 (en) * 2011-09-09 2015-04-29 Panorama Synergy Ltd METHOD FOR CRYSTALLIZING THIN FILMS
JP6028961B2 (ja) * 2012-03-22 2016-11-24 国立研究開発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トランジスタ用酸化物半導体膜の製造方法
JP6043506B2 (ja) * 2012-05-16 2016-12-14 株式会社アルバック 硬質化装置及び金属酸化物膜の硬質化方法
CN105408244B (zh) * 2013-08-07 2019-04-12 株式会社尼康 金属氧化物膜的制造方法和晶体管的制造方法
US20160138182A1 (en) * 2014-11-18 2016-05-19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Methods for forming mixed metal oxide epitaxial films
JP6449026B2 (ja) * 2015-01-23 2019-01-09 国立研究開発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半導体製造装置および半導体製造方法
KR20160092699A (ko) * 2015-01-28 2016-08-05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저항변화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CN104843771A (zh) * 2015-04-24 2015-08-19 柳州百韧特先进材料有限公司 从废ito靶材中回收制备纳米ito粉体的方法
CN107541724A (zh) * 2016-06-27 2018-01-05 中国科学院金属研究所 一种形貌和成分可控的金属氧化物薄膜的制备方法
JP6920656B2 (ja) * 2017-06-07 2021-08-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半導体電極及びそれを備えたデバイス、並びに、半導体電極の製造方法
CN108110134B (zh) * 2017-12-27 2021-04-23 佛山市卓膜科技有限公司 一种多取向氧化物压电薄膜的制备方法及压电薄膜
CN108039407B (zh) * 2017-12-27 2021-10-26 佛山市卓膜科技有限公司 一种高取向的氧化物压电薄膜的制备方法及压电薄膜
CA3097600A1 (en) * 2018-04-20 2019-10-24 Socovar Societe En Commandite An amorphous titanium dioxide precursor material. method of producing thereof and method of controlling crystalline phases thereof
KR20200061879A (ko) * 2018-11-26 2020-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전체, 이를 포함하는 캐패시터 및 반도체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863600A (zh) * 2019-04-30 2020-10-30 联芯集成电路制造(厦门)有限公司 增加固体材料层和流体材料层之间贴附性的方法
WO2020241714A1 (ja) * 2019-05-29 2020-12-03 国立研究開発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含浸性を有する高密度脆性材料構造体
EP3998482A4 (en) 2019-07-10 2023-07-26 Hitachi High-Tech Corporation AUTOMATIC ANALYZER AND METHOD OF OPERATING AN AUTOMATIC ANALYZER
KR20210047118A (ko) 2019-10-21 2021-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전체, 이를 포함하는 커패시터, 반도체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410055B (zh) * 2021-05-21 2022-10-25 嘉兴学院 一种低漏导高耐压固态电介质薄膜电容器及其制备方法
WO2024077481A1 (en) * 2022-10-11 2024-04-18 Schott Ag Plasma induced crystallization and densification of amorphous coating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5219A (ja) * 1993-02-10 1994-08-23 Tone Corp 多軸掘削方法及びその装置
WO2001038599A1 (fr) * 1999-11-25 2001-05-31 Idemitsu Kosan Co., Ltd. Cible de pulverisation cathodique, oxyde electro-conducteur transparent, et procede d'elaboration d'une cible de pulverisation cathodique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6773A (ja) * 1985-11-15 1987-05-28 Ricoh Co Ltd 透明導電膜
JPH089767B2 (ja) * 1987-03-31 1996-01-31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低抵抗透明導電膜の製造方法
JP2593883B2 (ja) * 1987-09-07 1997-03-26 岩尾磁器工業株式会社 アルミナ−ジルコニア複合粉体とその焼結体の製造方法
JPH02283022A (ja) 1989-01-25 1990-11-20 Hitachi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429783A (ja) * 1990-05-24 1992-01-31 Sekisui Chem Co Ltd 防曇プラスチックの製造方法
JPH04149090A (ja) 1990-10-09 1992-05-22 Onoda Cement Co Ltd 結晶質誘電体薄膜の作成方法
JPH04199828A (ja) 1990-11-29 1992-07-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酸化物高誘電率薄膜の製造方法
JPH04308616A (ja) * 1991-04-08 1992-10-30 Ricoh Co Ltd 透明導電膜の製法
US5631664A (en) * 1992-09-18 1997-05-20 Olympus Optical Co., Ltd. Display system utilizing electron emission by polarization reversal of ferroelectric material
JP3293912B2 (ja) * 1992-12-10 2002-06-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酸化物薄膜の形成方法
JP3397214B2 (ja) * 1993-09-17 2003-04-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薄膜の形成方法
JP3288515B2 (ja) * 1994-02-15 2002-06-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透明導電性基板の製造方法
JPH07294861A (ja) 1994-04-21 1995-11-10 Sumitomo Electric Ind Ltd 酸化物誘電体薄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593737A (en) * 1995-05-23 1997-01-14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Photocatalytic semiconductor coating process
JPH0964307A (ja) 1995-08-29 1997-03-07 Hitachi Ltd 酸化物薄膜の熱処理方法
KR0165484B1 (ko) 1995-11-28 1999-02-01 김광호 탄탈륨산화막 증착 형성방법 및 그 장치
KR100207467B1 (ko) 1996-02-29 1999-07-15 윤종용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 방법
JP3704792B2 (ja) * 1996-03-29 2005-10-12 松下電工株式会社 光触媒材料の製造方法
KR100269314B1 (ko) 1997-02-17 2000-10-16 윤종용 플라즈마처리를이용한반도체장치의커패시터제조방법
JP3753204B2 (ja) 1997-03-27 2006-03-0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酸化物超伝導体薄膜の作製方法
JPH10291885A (ja) * 1997-04-15 1998-11-04 Seiko Epson Corp 酸化物セラミックス薄膜の製造方法
JPH11145148A (ja) 1997-11-06 1999-05-28 Tdk Corp 熱プラズマアニール装置およびアニール方法
JP2000086242A (ja) 1998-09-11 2000-03-28 Seiko Epson Corp 薄膜及びその作製方法
US6278153B1 (en) * 1998-10-19 2001-08-21 Nec Corporation Thin film capacitor formed in via
TW473459B (en) * 1998-12-10 2002-01-21 Ibm Method for forming transparent conductive film using chemically amplified resist
JP3296312B2 (ja) 1999-01-06 2002-06-24 日本電気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031681A (ja) 1999-07-16 2001-02-06 Noritake Co Ltd 金属有機化合物および金属酸化物膜形成方法
JP2001085639A (ja) 1999-08-31 2001-03-30 Vanguard Internatl Semiconductor Corp 誘電体層の形成方法
KR100363081B1 (ko) 1999-09-16 2002-11-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박막 형성장치
DE10049257B4 (de) 1999-10-06 2015-05-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Verfahren zur Dünnfilmerzeugung mittels atomarer Schichtdeposition
JP2001133466A (ja) 1999-11-05 2001-05-18 Toshiba Corp 自動分析装置
JP2001139313A (ja) * 1999-11-11 2001-05-22 Nec Corp 酸化物膜の製造方法と強誘電体メモリの製造方法
KR100494322B1 (ko) * 1999-12-22 2005-06-1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KR100341407B1 (ko) * 2000-05-01 2002-06-22 윤덕용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리튬전이금속 산화물 박막의 결정화방법
US6378153B1 (en) * 2000-08-31 2002-04-30 Richey Morgan Multifunctional shovel attachment for an ice axe
US6441554B1 (en) * 2000-11-28 2002-08-27 Se Plasma Inc. Apparatus for generating low temperature plasma at atmospheric pressure
US6432725B1 (en) * 2001-09-28 2002-08-13 Infineon Technologies Ag Methods for crystallizing metallic oxide dielectric films at low temperature
KR100505536B1 (ko) * 2002-03-27 2005-08-04 스미토모 긴조쿠 고잔 가부시키가이샤 투명한 도전성 박막, 그것의 제조방법, 그것의 제조를위한 소결 타겟, 디스플레이 패널용의 투명한 전기전도성기재, 및 유기 전기루미네선스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5219A (ja) * 1993-02-10 1994-08-23 Tone Corp 多軸掘削方法及びその装置
WO2001038599A1 (fr) * 1999-11-25 2001-05-31 Idemitsu Kosan Co., Ltd. Cible de pulverisation cathodique, oxyde electro-conducteur transparent, et procede d'elaboration d'une cible de pulverisation cathodiq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52619B1 (en) 2011-09-14
JP2009074178A (ja) 2009-04-09
JP4235551B2 (ja) 2009-03-11
EP1452619A1 (en) 2004-09-01
JPWO2003031673A1 (ja) 2005-01-27
CN100347333C (zh) 2007-11-07
US7132373B2 (en) 2006-11-07
KR20040071679A (ko) 2004-08-12
KR20090091831A (ko) 2009-08-28
CN1564876A (zh) 2005-01-12
EP1452619A4 (en) 2007-04-04
TWI225105B (en) 2004-12-11
US20040241976A1 (en) 2004-12-02
WO2003031673A1 (fr) 2003-04-17
ATE524574T1 (de) 201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2661B1 (ko) 금속산화물 박막 및 그 제조방법
US20030003304A1 (en) Method of forming photo-catalytic film made of titanium oxide on base material and laminated material thereof
EP1617467A1 (en) Process for producing dielectric insulating thin film, and dielectric insulating material
CN1179231A (zh) 一种制备具有低漏电流和低极化疲劳性能的电器件的方法
JP5798747B2 (ja) 積層体の製造方法
JP2014157816A (ja) 透明導電フィルムの製造方法
WO2008044474A1 (fr) Procédé de formation de film transparent électroconducteur
JP6887770B2 (ja) Pzt強誘電体膜の形成方法
JP3427362B2 (ja) 誘電体薄膜堆積方法
Boyd et al. Low temperature photoformation of tantalum oxide
JP2001046884A (ja) 光触媒酸化チタン膜の製造方法
KR20070048723A (ko) 광촉매성 산화티타늄 층의 데포지션 방법
Naoyama et al. A Low Temperature Preparation of BaTiO3 Thin Film by Sol-Gel-Hydrothermal Treatment below 210° C
JPH10226535A (ja) 高電導性の透明導電膜の製造方法
JPH02200782A (ja) チタン酸鉛薄膜の形成方法
JP2006216774A (ja) 絶縁膜の成膜方法
JP2006346173A (ja) 浴室鏡、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219462A (ja) 酸化物の成膜方法
Bhatt et al. Porous silicon & titanium dioxide coatings prepared by atmospheric pressure plasma jet chemical vapour deposition technique-a novel coating technology for photovoltaic modules
Ruiz-Molina et al. Chemical characteristics via quantitative photoelectron analysis of chemical-solution-deposited yttrium oxide thin films for Metal-Insulator-Metal Capacitor applications
JPH0869809A (ja) 真空紫外光を用いたysz薄膜の合成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059597B2 (ja) 薄膜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JPH02191640A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プラズマ表面処理方法
JP2000212747A (ja) 窒化珪素薄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301798A (ja) チタン酸ジルコン酸鉛薄膜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