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0631B1 - 스위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0631B1
KR100920631B1 KR1020070060463A KR20070060463A KR100920631B1 KR 100920631 B1 KR100920631 B1 KR 100920631B1 KR 1020070060463 A KR1020070060463 A KR 1020070060463A KR 20070060463 A KR20070060463 A KR 20070060463A KR 100920631 B1 KR100920631 B1 KR 100920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fixed contact
fixed
contacts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0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21546A (ko
Inventor
히데요 카쿠노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21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1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0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0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6Driving mechanisms
    • H01H23/164Driving mechanisms with rectilinearly movable member carrying th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03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with more than one electrically distinguishable condition in one or both posi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 H01H9/24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two or more parts of the mechanism for operat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4Stationary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01H2021/225Operating parts, e.g. handle with push-pull operation, e.g. which can be pivoted in both directions by pushing or pulling on the same extremity of the operat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1Application power window

Landscapes

  • Tumbler Switches (AREA)
  • Contacts (AREA)
  • Slide Switche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과제
고정 접점의 절연성의 감손을 방지하고, 설계·제조·조립의 작업이 용이하고,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스위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가동편의 좌우에의 왕복 운동에 의해, 해당 가동편에 마련된 가동 접점이 활주하는 기판상의 고정 접점으로서, 중앙에 어스용 고정 접점(6e)을 마련하고, 해당 접점(6e)의 좌우에 매뉴얼 업용 고정 접점(6a), 오토 업용 고정 접점(6b), 매뉴얼 다운용 고정 접점(6c), 및 오토 다운용 고정 접점(6d)을 좌우에 병렬로 마련하고, 매뉴얼 업/다운용 고정 접점(6a, 6c)이 오토 업/다운용 고정 접점(6b, 6d)보다 어스용 고정 접점(6e)의 근처에 있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에 있어서, 어스용 고정 접점(6e)의 매뉴얼 업/다운용 고정 접점(6a, 6c)에 가까운 변부분(E1)이 오토 업/다운용 고정 접점(6b, 6d)에 가까운 변부분(E2)보다 오목하도록, 어스용 고정 접점(6e)을 마련한다.

Description

스위치{SWITCH}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한 파워 윈도우 스위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의 A-A 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의 B-B 단면도.
도 4는 도 1에서의 C-C 단면도.
도 5는 실시 형태에 관한 가동편과 가동 접점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실시 형태에 관한 기판상의 고정 접점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실시 형태에 관한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의 접촉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기판상의 고정 접점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의 접촉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기판상의 고정 접점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의 접촉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기판상의 고정 접점을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의 접촉 상태를 도시 하는 도면.
도 14는 차량탑재용의 스위치 모듈의 사시도.
도 15는 종래의 파워 윈도우 스위치의 사시도.
도 16은 종래의 기판상의 고정 접점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파워 윈도우 스위치
5 : 가동편
5a 내지 5d : 가동 접점
6 : 기판
6a, 16a, 26a, 36a : 매뉴얼 업용 고정 접점
6b, 16b, 26b, 36b : 오토 업용 고정 접점
6c, 16c, 26c, 36c : 매뉴얼 다운용 고정 접점
6d, 16d, 26d, 36d : 오토 다운용 고정 접점
6e, 16e, 26e, 36e : 어스용 고정 접점
E1 : 어스용 고정 접점의 매뉴얼 업/다운용 고정 접점에 가까운 변부분
E2 : 어스용 고정 접점의 오토 업/다운용 고정 접점에 가까운 변부분
기술 분야
본 발명은, 가동편의 직선적 왕복 운동에 의해 전기적 접속 상태가 전환되는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 기술
차량탑재용의 파워 윈도우 스위치 등으로서 이용되는 스위치에서는,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이 마련되고, 가동편의 직선적 왕복 운동에 의해,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상을 활주하여, 고정 접점과 접촉 또는 이간하고, 닫힌상태 또는 열린상태(도통 상태 또는 비도통 상태)가 된다.
도 15는, 종래의 파워 윈도우 스위치의 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파워 윈도우 스위치(51)는, 자동차의 운전석 옆에 있는 파워 윈도우를 조작하는 것이고,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 모듈에 마련된다. 노브(52)는, 양측면에 형성된 구멍(52a)에 도시하지 않은 축이 통과됨에 의해, U, D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노브(52)의 내측에는, 조작자(53)가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조작자(53)의 선단에는, 슬라이더(54)가 계합되어 있다. 슬라이더(54)에는, 가동편(55)이 인서트 성형에 의해 마련되어 있다. 가동편(55)은, 도전성을 갖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방에서 보면 H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탄성을 갖고 있다. 가동편(55)의 각 단부는, 슬라이더(54)의 좌우의 측면으로부터 비스듬히 하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해당 각 단부의 선단에는, 가동 접점(55a 내지 55d)이 마련되어 있다. 슬라이더(54)는, 가동편(55)의 각 가동 접점(55a 내지 55d)이 기판(56)상에 소정의 압력으로 접촉하도록, 도시하지 않은 벽에 의해 윗면이 꽉눌려서, 기판(56)과 평행하 게 좌우로만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기판(56)상에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 접점(56a 내지 56e)이 마련되어 있다. 고정 접점(56a 내지 56e)은, 도전성을 갖는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어스용 고정 접점(56e)은 접지되어 있고, 중앙에 폭넓게 마련되어 있다. 어스용 고정 접점(56e)의 좌우에는, 매뉴얼 업용 고정 접점(56a), 오토 업용 고정 접점(56b), 매뉴얼 다운용 고정 접점(56c), 및 오토 다운용 고정 접점(56d)이 각각 폭좁게 슬라이더(54)의 이동 방향으로 병렬로 마련되어 있다. 매뉴얼용 고정 접점(56a, 56c)은, 오토용 고정 접점(56b, 56d)보다 어스용 고정 접점(56e)의 근처에 마련되어 있다. 이 외에, 예를 들면 하기한 특허문헌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위치 셀의 케이스에 상기 5개의 고정 접점을 좌우에 직렬로 소정의 간격으로 마련하고 있는 것도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하기한 특허문헌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케이스의 내저면(內底面)이 되는 웨이퍼에 3개의 고정 접점을 좌우에 직렬로 소정의 간격으로 마련하고 있는 것도 있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브(52)가 미(未)회전의 중립 위치에 있는 때는, 가동편(55)의 각 가동 접점(55a 내지 55d)이 기판(56)상의 각 고정 접점(56a 내지 56e)으로부터 이간하고, 어스용 고정 접점(56e)과 다른 고정 접점(56a 내지 56d)의 모두가 비도통 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파워 윈도우용의 제어 회로가 구동원인 모터를 회전 구동하지 않고, 파워 윈도우가 승강하지 않는다. 노브(52)를 U방향으로 작게 회전시키면, 조작자(53)와 슬라이더(54)를 통하여 가동편(55)이 왼쪽으로 이동하여, 가동 접점(55c, 55d)이 어스용 고정 접 점(56e)과 접속하고, 가동 접점(55a)이 매뉴얼 업용 고정 접점(56a)과 접속한다. 이로써, 매뉴얼 업용 고정 접점(56a)과 어스용 고정 접점(56e)이 가동편(55)을 통하여 도통하고, 제어 회로가 그 도통이 있는 동안만, 모터를 역전 구동하여, 파워 윈도우를 상승시켜간다. 또한, 노브(52)를 U방향으로 크게 회전시키면, 가동편(55)이 보다 왼쪽으로 이동하여, 가동 접점(55b)도 오토 업용 고정 접점(56b)과 접속한다. 이로써, 오토 업용 고정 접점(56b)과 매뉴얼 업용 고정 접점(56a)과 어스용 고정 접점(56e)이 도통하고, 제어 회로가 파워 윈도우를 완전히 닫을 때까지, 모터를 역전 구동하여, 파워 윈도우를 상승시킨다.
역으로, 노브(52)를 D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동편(55)이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가동 접점(55a, 55b)이 어스용 고정 접점(56e)과 접속하고, 가동 접점(55c)이 매뉴얼 다운용 고정 접점(56c)과 접속하고, 그 후 해당 접촉 상태가 계속되면서, 가동 접점(55d)이 오토 다운용 고정 접점(56d)과 접속한다. 이로써, 매뉴얼 다운용 고정 접점(56c)과 어스용 고정 접점(56e)이 도통하고, 또는 오토 다운용 고정 접점(56d)도 도통하고, 제어 회로가 접점(56c, 56e)의 도통이 있는 동안만, 또는 파워 윈도우를 완전히 열 때까지, 모터를 정전 구동하여, 파워 윈도우를 하강시킨다.
특허문헌1 : 일본 특허 제3183813호 공보
특허문헌2 : 일본 특허 제2740384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접점 구조에서는, 중앙의 어스용 고정 접점(56e)과 좌우의 매뉴얼용 고정 접점(56a, 56c)이 접근하여 있어서, 그 접점(56a, 56c, 56e) 의 절연 간격이 좁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고정 접점(56e)과 고정 접점(56a, 56c)의 개폐시, 즉 고정 접점(56a, 56c, 56e)에 대한 가동 접점(55a 내지 55d)의 이접(離接)시에 발생하는 아크 방전에 의해, 접점(55a 내지 55d, 56a, 56c, 56e)이 마모하여, 생성되는 도전성을 갖는 분체(粉體)가 고정 접점(56a, 56c, 56e) 사이의 절연체 표면에 부착하여, 절연성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수적(水滴) 등의 도전성을 갖는 그 밖의 이물이 고정 접점(56a, 56c, 56e) 사이의 절연체 표면에 부착하여, 절연성을 손상시킬 우려도 상당히 있다. 또한, 접점(55a 내지 55d, 56a, 56c, 56e) 등과 가동편이나 기판 등의 각 부품의 설계·제조·조립할 때에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어, 해당 작업이 곤란해진다. 한편, 접점(56a 내지 56d)을 접점(56e)의 좌우의 보다 멀리 떨어진 위치에 마련하면, 접점(56a, 56c, 56e)의 절연 간격은 넓어지지만, 그만큼 기판(56)에서의 접점(56a 내지 56e)의 점유 면적이 확대하여, 파워 윈도우 스위치(51)가 대형화하여 버린다. 이와 같은 문제는, 특허문헌1, 2의 접점 구조에서도 마찬가지로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서, 그 과제로 하는 점은, 고정 접점의 절연성의 감손(減損)을 방지하고, 설계·제조·조립의 작업이 용이하고,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스위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판에 고정 접점이 마련되고, 좌우로 왕복 운동 가능한 가동편에 상기 고정 접점상을 활주하는 가동 접점이 마련되고, 고정 접점은, 중앙에 마련된 제 1의 고정 접점과, 해당 제 1의 고정 접점의 좌우의 한쪽에 마련된 제 2 및 제 3의 고정 접점 및 다른쪽에 마련된 제 4 및 제 5의 고정 접점으로 구성되고, 제 2 내지 제 5의 고정 접점은, 가동 접점의 활주 방향으로 병렬로 마련되고, 제 2의 고정 접점은, 제 3의 고정 접점이 제 1의 고정 접점과 가장 인접하는 제 1의 고정 접점의 변부분(邊部分)에 대해, 제 3의 고정 접점보다 활주 방향으로 가깝게 마련되고, 제 4의 고정 접점은, 제 5의 고정 접점이 제 1의 고정 접점과 가장 인접하는 제 1의 고정 접점의 변부분에 대해, 제 5의 고정 접점보다 활주 방향으로 가깝게 마련되어 있는 스위치에 있어서, 제 1의 고정 접점은, 제 2 및 제 4의 고정 접점에 가까운 변부분이 제 3 및 제 5의 고정 접점에 가까운 변부분보다 오목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제 2 내지 제 5의 고정 접점을 제 1의 고정 접점의 좌우의 멀리 떨어진 위치에 마련하지 않아도, 제 3 및 제 5의 고정 접점보다 제 1의 고정 접점에 가까운 제 2 및 제 4의 고정 접점과 제 1의 고정 접점의 절연 간격을 넓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 1의 고정 접점과 제 2 또는 제 4의 고정 접점의 개폐시에 발생하는 아크 방전에 의해, 해당 접점이 마모하여 생성되는 도전성을 갖는 분체의, 제 1의 고정 접점과 제 2 또는 제 4의 고정 접점 사이의 절연체 표면에의 부착에 의한 절연성의 감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전성을 갖는 그 밖의 이물의 제 1의 고정 접점과 제 2 또는 제 4의 고정 접점 사이의 절연체 표면에의 부착에 의한 절연성의 감손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가동 접점이나 고정 접점과 가동편이나 기판 등의 각 부품의 설계·제조·조립할 때에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지 않게 되어, 해당 작업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기판에서의 고정 접점의 점유 면적의 확대를 억제하여, 스위치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 2 및 제 5의 고정 접점은, 제 1의 고정 접점을 끼우고 가동 접점의 활주 방향으로 나열하도록 마련되고, 제 3 및 제 4의 고정 접점은, 제 1의 고정 접점을 끼우고 가동 접점의 활주 방향으로 나열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제 2 및 제 4의 고정 접점 및 제 1의 고정 접점과 제 2 또는 제 4의 고정 접점 사이의 절연체가, 가동 접점의 활주 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나열하여, 해당 간격을 보다 넓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 1의 고정 접점과 제 2 또는 제 4의 고정 접점 사이의 절연체 표면에 도전성 또는 비도전성의 이물이 부착하여도, 해당 이물이 가동 접점의 활주에 의해 한쪽의 절연체 표면으로부터 다른쪽의 절연체 표면으로 이동하지 않게 되고, 제 1의 고정 접점과 제 2 또는 제 4의 고정 접점 사이의 절연성이나,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의 접촉 신뢰성의 감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 2 및 제 3의 고정 접점은, 가동 접점이 제 3의 고정 접점과 접속할 때에 제 2의 고정 접점과도 접촉하도록 마련되고, 제 4 및 제 5의 고정 접점은, 가동 접점이 제 5의 고정 접점과 접속할 때에 제 4의 고정 접점과도 접촉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가동편의 왕복 운동에 의해, 가동 접점이 제 2 내지 제 5의 고정 접점으로부터 이간하여 해당 접점이 도통하지 않는 상태, 가동 접점이 제 1 및 제 2의 고정 접점에 접촉하여 해당 접점이 도통하는 상태, 가동 접점이 제 1, 제 2, 및 제 3의 고정 접점에 접촉하여 해당 접점이 도통하는 상태, 가동 접점이 제 1 및 제 4의 고정 접점에 접촉하여 해당 고정 접점이 도통하는 상태, 및 가동 접점이 제 1, 제 4, 및 제 5의 고정 접점에 접촉하여 해당 접점이 도통하는 상태의 5개의 전기적 접속 상태로의 전환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 2 및 제 3의 고정 접점은, 가동 접점이 제 3의 고정 접점과 접속할 때에 제 2의 고정 접점과 비접촉이 되도록 마련되고, 제 4 및 제 5의 고정 접점은, 가동 접점이 제 5의 고정 접점과 접속할 때에 제 4의 고정 접점과 비접촉이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가동편의 왕복 운동에 의해, 가동 접점이 제 2 내지 제 5의 고정 접점으로부터 이간하여 해당 접점이 도통하지 않는 상태, 가동 접점이 제 1 및 제 2의 고정 접점에 접촉하여 해당 접점이 도통하는 상태, 가동 접점이 제 1 및 제 3의 고정 접점에 접촉하여 해당 접점이 도통하는 상태, 가동 접점이 제 1 및 제 4의 고정 접점에 접촉하여 해당 접점이 도통하는 상태, 및 가동 접점이 제 1 및 제 5의 고정 접점에 접촉하여 해당 접점이 도통하는 상태의 5개의 전기적 접속 상태로의 전환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스위치는, 차량탑재용의 파워 윈도우를 조작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로 이루어지고, 제 1의 고정 접점은, 접지된 어스용 고정 접점으로 이루어지고, 제 2의 고정 접점은, 파워 윈도우를 수동으로 상승시키기 위한 매뉴얼 업용 고정 접점으로 이루어지고, 제 3의 고정 접점 은, 파워 윈도우를 자동으로 상승시키기 위한 오토 업용 고정 접점으로 이루어지고, 제 4의 고정 접점은, 파워 윈도우를 수동으로 하강시키기 위한 매뉴얼 다운용 고정 접점으로 이루어지고, 제 5의 고정 접점은, 파워 윈도우를 자동으로 하강시키기 위한 오토 다운용 고정 접점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하면, 어스용 고정 접점의 좌우의 멀리 떨어진 위치에 다른 고정 접점을 마련하지 않아도, 오토 업/다운용 고정 접점보다 어스용 고정 접점에 가까운 매뉴얼 업/다운용 고정 접점과 어스용 고정 접점의 절연 간격을 넓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도전성을 갖는 이물의 어스용 고정 접점과 매뉴얼 업/다운용 고정 접점 사이의 절연체 표면에의 부착에 의한 절연성의 감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가동 접점이나 고정 접점과 가동편이나 기판 등의 각 부품의 설계·제조·조립할 때에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지 않게 되고, 해당 작업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기판에서의 고정 접점의 점유 면적의 확대를 억제하여, 파워 윈도우 스위치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파워 윈도우 스위치(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1)의 도 1에서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파워 윈도우 스위치(1)의 도 1에서의 B-B 단면도이다. 도 4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1)의 도 1에서의 C-C 단면도이다. 파워 윈도우 스위치(1)는 예를 들면 자동차의 운전석의 옆에 있는 파워 윈도우를 조작하는 것으로,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차량탑재용의 스위치 모듈(100)에 마련된다. 스위치 모듈(100)은, 운전석의 도어의 암 레스트 등 에 부착된다. 파워 윈도우 스위치(1)의 노브(2) 이외의 부품은, 스위치 모듈(100)의 로크 감합된 상하케이스(20, 30) 내에 배치된다.
노브(2)는, 양측면에 마련된 구멍(2a)과, 상케이스(20)의 통부(筒部)(20b)의 양측면에 마련된 축(20a)을 감합시킴에 의해, 상케이스(20)의 상부에 축(20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노브(2)의 내측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부(7)가 노브(2)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통부(7)는, 상케이스(20)의 통부(20b)를 관통하고 있다. 통부(7)의 내측에는, 절도자(節度子)(8)와 스프링(10)이 장착되어 있다. 통부(7)의 하방에는, 안내대(案內臺)(9)가 상케이스(20)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안내대(9)에는, 개략 V자형의 패임부(9k)가 마련되어 있다. 패임부(9k)의 좌우의 경사면에는, 단차(段差)(9a 내지 9d)가 마련되어 있다. 절도자(8)는, 스프링(10)에 의해 안내대(9)의 패임부(9k)에 꽉눌려져 있고, 노브(2)의 회전에 추종하여 좌우로 요동한다. 그때, 절도자(8)의 요동은 패임부(9k)의 좌우의 경사면에 의해 안내된다. 또한, 절도자(8)가 단차(9a 내지 9d)를 넘으면, 절도자(8)와 안내대(9)의 접촉력의 급격한 변화에 의해, 클릭감(절도감)이 발생한다.
또한, 노브(2)의 내측에는, 도 3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자(操作子)(3)가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노브(2)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조작자(3)는, 상케이스(20)의 통부(20b)를 관통하고 있다. 조작자(3)는, 노브(2)의 회전에 추종하여, 좌우로 요동한다. 조작자(3)의 선단에는, 오목부(3a)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3a)는, 슬라이더(4)의 내측에 마련된 크로스빔(橫棧)(4a)과 계합되어 있다. 크로스빔(4a)은, 슬라이더(4)의 양측벽(4b, 4c)(도 1) 사이에 걸쳐 있고, 양측벽(4b, 4c) 을 연결하고 있다. 슬라이더(4)의 내측에는, 가동편(5)이 부착되어 있다. 가동편(5)은, 도전성을 갖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두께가 얇고, 탄성을 갖고 있다.
도 5는, 가동편(5)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이다. 가동편(5)의 중앙부(5e)로부터 도 5(a)에서 상방으로 늘어나는 단부(端部)(5f)는,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부(5e)와 평행하게 돌출하고 있다. 중앙부(5e)로부터 도 5(a)에서 좌우로 2개씩 늘어나는 단부(5g, 5h, 5i, 5j)는, 도중에서 2갈래로 되어 있고,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스듬히 하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단부(5g, 5h, 5i, 5j)의 선단에는, 원호형상으로 구부림에 의해 가동 접점(5a 내지 5d)이 마련되어 있다. 가동편(5)은, 단부(5f)를 슬라이더(4)의 측벽(4b)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구멍에 압입하고, 중앙부(5e)를 도 3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4)의 크로스빔(4a)과 양측부(4b, 4c)에 마련된 돌기(4d)에 상하로부터 지지됨에 의해, 슬라이더(4)에 지지되어 고정되어 있다. 슬라이더(4)는, 상케이스(20)에 일체적으로 마련된 도시하지 않은 벽에 의해 윗면이 꽉눌려 있어서, 기판(6)과 평행하게 좌우로만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때문에, 가동편(5)의 각 단부(5g, 5h, 5i, 5j)는 탄성 변형하고, 각 가동 접점(5a 내지 5d)은 기판(6)상에 소정의 압력으로 접촉하고 있다. 슬라이더(4)는, 노브(2)의 회전과 조작자(3)의 요동에 추종하여, 기판(6)과 평행하게 좌우로 이동한다.
기판(6)은, 상하케이스(20, 30)에 끼워져서 고정되어 있다. 기판(6)에는, 도시하지 않은 전자 부품이 실장되며 또한 도시하지 않은 전기 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기판(6)의 전기 회로는, 도시하지 않은 케이블이나 커넥터 등을 통하여, 도시 하지 않은 파워 윈도우용의 제어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 회로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1)의 조작에 따라, 도시하지 않은 파워 윈도우 작동용의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고, 파워 윈도우를 승강시켜서 개폐한다. 기판(6)상에는, 고정 접점(6a 내지 6e)이 마련되어 있다. 고정 접점(6a 내지 6e)은, 도전성을 갖는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가동편(5)의 가동 접점(5a 내지 5d)은, 노브(2)의 회전, 조작자(3)의 요동, 및 슬라이더(4)의 좌우로의 평행 이동에 추종하여, 고정 접점(6a 내지 6e)상을 활주한다.
도 6은, 기판(6)상의 고정 접점(6a 내지 6e)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어스용 고정 접점(6e)은 접지되어 있고, 중앙에 마련되어 있다. 어스용 고정 접점(6e)의 왼쪽에는, 매뉴얼 업용 고정 접점(6a)과 오토 업용 고정 접점(6b)이 마련되어 있다. 어스용 고정 접점(6e)의 오른쪽에는, 매뉴얼 다운용 고정 접점(6c)과 오토 다운용 고정 접점(6d)이 마련되어 있다. 고정 접점(6a 내지 6d)의 짧은변 방향의 폭(가동편(5)의 활주 방향(좌우)에 대해 수직한 방향의 폭)은, 어스용 고정 접점(6e)의 짧은변 방향의 폭보다 좁게 되어 있고, 어스용 고정 접점(6e)의 짧은변 방향의 폭은, 고정 접점(6a 내지 6d)의 짧은변 방향의 폭보다 넓게 되어 있다. 매뉴얼 업용 고정 접점(6a)은, 파워 윈도우를 수동으로 상승시키기 위한 것이다. 오토 업용 고정 접점(6b)은, 파워 윈도우를 자동으로 상승시키기 위한 것이다. 매뉴얼 다운용 고정 접점(6c)은, 파워 윈도우를 수동으로 하강시키기 위한 것이다. 오토 다운용 고정 접점(6d)은, 파워 윈도우를 자동으로 하강시키기 위한 것이다. 고정 접점(6a 내지 6d)은, 가동편(5)의 가동 접점(5a 내지 5d)의 활주 방향(좌우)으로 병렬로 마련되어 있다. 매뉴얼 업용 고정 접점(6a)은, 오토 업용 고정 접점(6b)이 어스용 고정 접점(6e)과 가장 인접하는 어스용 고정 접점(6e)의 좌측의 변부분(E2)에 대해, 오토 업용 고정 접점(6b)보다 활주 방향으로 가깝게 마련되어 있다. 매뉴얼 다운용 고정 접점(6c)은, 오토 다운용 고정 접점(6d)이 어스용 고정 접점(6e)과 가장 인접하는 어스용 고정 접점(6e)의 우측의 변부분(E2)에 대해, 오토 다운용 고정 접점(6d)보다 활주 방향으로 가깝게 마련되어 있다. 어스용 고정 접점(6e)은, 매뉴얼 업용 고정 접점(6a)과 매뉴얼 다운용 고정 접점(6c)에 가까운 변부분(E1)이 오토 업용 고정 접점(6b)과 오토 다운용 고정 접점(6d)에 가까운 변부분(E2)보다 고정 접점(6a, 6c)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오목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매뉴얼 업용 고정 접점(6a)과 오토 다운용 고정 접점(6d), 및 오토 업용 고정 접점(6b)과 매뉴얼 다운용 고정 접점(6c)은, 어스용 고정 접점(6e)을 끼우고 가동 접점(5a 내지 5d)의 활주 방향으로 나열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매뉴얼 업용 고정 접점(6a)과 오토 업용 고정 접점(6b), 및 매뉴얼 다운용 고정 접점(6c)과 오토 다운용 고정 접점(6d)은, 가동 접점(5a 내지 5d)이 오토 업용 고정 접점(6b) 또는 오토 다운용 고정 접점(6d)과 접속할 때에 매뉴얼 업용 고정 접점(6a) 또는 매뉴얼 다운용 고정 접점(6c)과도 접촉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도 7은 가동편(5)의 가동 접점(5a 내지 5d)과 기판(6)의 고정 접점(6a 내지 6e)의 접촉 상태를 표 형식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서, 상단에는 가동 접점(5a, 5d)과 고정 접점(6a, 6d, 6e)을 가로지르는 B-B 단면을 도시하고, 하단에는 가동 접점(5b, 5c)과 고정 접점(6b, 6c, 6e)을 가로지르는 C-C 단면을 도시하고 있 다. 노브(2)를 손가락으로 조작하지 않는 때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도자(8)가 스프링(10)의 탄성력에 의해 패임부(9k)의 바닥(9t)에 꽉 눌린다. 이 때문에,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브(2)가 미회전의 중립 위치(N)(도 2에 실선으로 도시)에서 정지한다. 또한, 조작자(3)가 기판(6)에 대해 수직한 미요동의 자세로 정지하고, 도 3 및 도 4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4) 및 가동편(5)이 기판(6)의 어스용 고정 접점(6e)의 중앙에 위치한다. 이로써, 도 7의 왼쪽부터 3열째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든 가동 접점(5a 내지 5d)과 고정 접점(6a 내지 6e)이 이간하고, 모든 고정 접점(6a 내지 6e)이 비도통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는, 파워 윈도우용의 제어 회로가 모터를 회전 구동하지 않고, 파워 윈도우가 승강하지 않는다.
노브(2)의 선단부(2b)(도 2 등)를 손가락으로 끌어올려서, 노브(2)를 중립 위치(N)로부터 U방향으로 작게 회전시키면, 절도자(8)가 패임부(9k)의 왼쪽의 경사면에 따라 왼쪽으로 요동하여, 좌하의 단차(9a)를 넘어 정지한다. 이 때문에, 노브(2)에 클릭감이 전해지고, 노브(2)가 도 2에 1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매뉴얼 업 위치(MU)에서 정지한다. 또한, 조작자(3)가 왼쪽으로 작게 요동하여 정지하고, 슬라이더(4) 및 가동편(5)이 왼쪽으로 작게 평행 이동하여 정지한다. 이로써, 도 7의 왼쪽부터 2열째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 접점(5d)이 어스용 고정 접점(6e)과 접속하고, 가동 접점(5a)이 매뉴얼 업용 고정 접점(6a)과 접속하고, 고정 접점(6a, 6e)이 가동편(5)을 통하여 도통한다. 이 상태가 되면, 제어 회로가 고정 접점(6a, 6e)의 도통이 있는 동안만, 모터를 역전 구동하여, 파워 윈도우를 상승시켜 간다.
또한, 노브(2)를 중립 위치(N)로부터 U방향으로 크게 회전시키면, 절도자(8)가 왼쪽으로 크게 요동하고, 패임부(9k)의 좌상의 단차(9b)를 넘어 정지한다. 이 때문에, 노브(2)에 클릭감이 전해지고, 노브(2)가 도 2에 2점쇄선으로 도시하는 오토 업 위치(AU)에서 정지한다. 또한, 조작자(3)가 왼쪽으로 크게 요동하여 정지하고, 슬라이더(4) 및 가동편(5)이 왼쪽으로 크게 평행 이동하여 정지한다. 이로써, 도 7의 왼쪽부터 1열째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 접점(5a) 및 가동 접점(5d)이 매뉴얼 업용 고정 접점(6a) 및 어스용 고정 접점(6e)과의 접촉을 계속하면서, 가동 접점(5b)이 오토 업용 고정 접점(6b)과 접속하고, 가동 접점(5c)이 어스용 고정 접점(6e)과 접속하고, 고정 접점(6a, 6b, 6e)이 가동편(5)을 통하여 도통한다. 이 상태가 되면, 제어 회로가 파워 윈도우를 완전히 닫을 때까지, 모터를 역전 구동하여, 파워 윈도우를 상승시킨다.
역으로, 노브(2)의 선단부(2b)를 손가락으로 압하하여, 노브(2)를 중립 위치(N)로부터 D방향으로 작게 회전시키면, 절도자(8)가 패임부(9k)의 오른쪽 경사면에 따라 오른쪽으로 요동하고, 우하의 단차(9c)를 넘어 정지한다. 이 때문에, 노브(2)에 클릭감이 전해지고, 노브(2)가 도 2에 1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매뉴얼 다운 위치(MD)에서 정지한다. 또한, 조작자(3)가 오른쪽으로 요동하여 정지하고, 슬라이더(4) 및 가동편(5)이 오른쪽으로 평행 이동하여 정지한다. 이로써, 도 7의 오른쪽부터 2열째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 접점(5c)이 매뉴얼 다운용 고정 접점(6c)과 접속하고, 가동 접점(5b)이 어스용 고정 접점(6e)과 접속하고, 고정 접점(6c, 6e)이 가동편(5)을 통하여 도통한다. 이 상태가 되면, 제어 회로가 고정 접점(6c, 6e) 의 도통이 있는 동안만, 모터를 정전 구동하여, 파워 윈도우를 하강시켜 간다.
또한, 노브(2)를 중립 위치(N)로부터 D방향으로 크게 회전시키면, 절도자(8)가 오른쪽으로 크게 요동하고, 패임부(9k)의 우상의 단차(9d)를 넘어 정지한다. 이 때문에, 노브(2)에 클릭감이 전해지고, 노브(2)가 도 2에 2점쇄선으로 도시하는 오토 다운 위치(AD)에서 정지한다. 또한, 조작자(3)가 오른쪽으로 크게 요동하여 정지하고, 슬라이더(4) 및 가동편(5)이 오른쪽으로 크게 평행 이동하여 정지한다. 이로써, 도 7의 오른쪽부터 1열째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 접점(5c) 및 가동 접점(5b)이 매뉴얼 다운용 고정 접점(6c) 및 어스용 고정 접점(6e)과의 접촉을 계속하면서, 가동 접점(5d)이 오토 다운용 고정 접점(6d)과 접속하고, 가동 접점(5a)이 어스용 고정 접점(6e)과 접속하고, 고정 접점(6c, 6d, 6e)이 가동편(5)을 통하여 도통한다. 이 상태가 되면, 제어 회로가 파워 윈도우를 완전하게 열 때까지, 모터를 정전 구동하여, 파워 윈도우를 하강시킨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노브(2)를 회전 조작한 후, 노브(2)로부터 손가락을 떼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도자(8)가 스프링(10)의 탄성력에 의해 패임부(9k)의 바닥(9t)에 꽉눌린다. 이 때문에,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브(2)가 중립 위치(N)로 되돌아와 정지하고, 조작자(3)가 기판(6)에 대해 수직한 자세로 되돌아와 정지하고, 슬라이더(4) 및 가동편(5)이 어스용 고정 접점(6e)의 중앙으로 되돌아와 정지한다. 이로써, 도 7의 왼쪽부터 3열째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든 가동 접점(5a 내지 5d)과 고정 접점(6a 내지 6e)이 이간하고, 모든 고정 접점(6a 내지 6e)이 비도통 상태로 된다.
도 6 등에 도시한 고정 접점(6a 내지 6e)에 대신하여,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고정 접점(16a 내지 16e)을 기판(6)상에 마련하여도 좋다. 도 8의 매뉴얼 업용 고정 접점(16a), 오토 업용 고정 접점(16b), 매뉴얼 다운용 고정 접점(16c), 오토 다운용 고정 접점(16d), 및 어스용 고정 접점(16e)은, 동일 명칭의 고정 접점(6a 내지 6e)과 기능 및 용도가 동일하다. 따라서, 각 고정 접점(16a 내지 16d)이 고정 접점(16e)과 도통한 때의 파워 윈도우의 동작은, 각 고정 접점(6a 내지 6d)이 고정 접점(6e)과 도통한 때와 마찬가지이다. 고정 접점(16a 내지 16e)의 고정 접점(6a 내지 6e)과의 상위점은, 가동편(5)의 가동 접점(5a 내지 5d)이 오토 업용 고정 접점(16b) 또는 오토 다운용 고정 접점(16d)과 접속할 때에 매뉴얼 업용 고정 접점(16a) 또는 매뉴얼 다운용 고정 접점(16c)과 비접촉이 되도록, 매뉴얼 업용 고정 접점(16a)과 오토 업용 고정 접점(16b), 및 매뉴얼 다운용 고정 접점(16c)과 오토 다운용 고정 접점(16d)이 마련되어 있는 점이다.
도 9는, 가동 접점(5a 내지 5d)과 고정 접점(16a 내지 16e)의 접촉 상태를 표 형식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에서, 상단에는 가동 접점(5a, 5d)과 고정 접점(16a, 16d, 16e)을 가로지르는 F-F 단면을 도시하고, 하단에는 가동 접점(5b, 5c)과 고정 접점(16b, 16c, 16e)을 가로지르는 G-G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노브(2)가 중립 위치(N)에 있는 때는, 도 9의 왼쪽부터 3열째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편(5)이 어스용 고정 접점(16e)의 중앙에 위치하여, 모든 가동 접점(5a 내지 5d)과 고정 접점(16a 내지 16e)이 이간하고, 고정 접점(16a 내지 16e)이 비도통 상태로 된다. 노브(2)가 매뉴얼 업 위치(MU)까지 회전하면, 도 9의 왼쪽부터 2열째에 도시 하는 바와 같이 가동편(5)이 왼쪽으로 평행 이동하여, 가동 접점(5d)이 어스용 고정 접점(16e)과 접속하고, 가동 접점(5a)이 매뉴얼 업용 고정 접점(16a)과 접속하고, 해당 고정 접점(16a, 16e)이 도통한다. 노브(2)가 오토 업 위치(AU)까지 회전하면, 도 9의 왼쪽부터 1열째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편(5)이 왼쪽으로 더욱 평행 이동하여, 가동 접점(5a)이 매뉴얼 업용 고정 접점(16a)으로부터 이간하고, 가동 접점(5b)이 오토 업용 고정 접점(16b)과 접속하고, 가동 접점(5c, 5d)이 고정 접점(16e)과 접속하고, 고정 접점(16b, 16e)이 도통한다. 노브(2)가 매뉴얼 다운 위치(MD)까지 회전하면, 도 9의 오른쪽부터 2열째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편(5)이 오른쪽으로 평행 이동하여, 가동 접점(5b)이 어스용 고정 접점(16e)과 접속하고, 가동 접점(5c)이 매뉴얼 다운용 고정 접점(16c)과 접속하고, 고정 접점(16c, 16e)이 도통한다. 노브(2)가 오토 다운 위치(AD)까지 회전하면, 도 9의 오른쪽부터 1열째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편(5)이 오른쪽으로 더욱 평행 이동하여, 가동 접점(5c)이 매뉴얼 다운용 고정 접점(16c)으로부터 이간하고, 가동 접점(5d)이 오토 다운용 고정 접점(16d)과 접속하고, 가동 접점(5a, 5b)이 어스용 고정 접점(16e)과 접속하고, 고정 접점(16d, 16e)이 도통한다.
또한,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고정 접점(26a 내지 26e)을 기판(6)상에 마련하여도 좋다. 도 10의 매뉴얼 업용 고정 접점(26a), 오토 업용 고정 접점(26b), 매뉴얼 다운용 고정 접점(26c), 오토 다운용 고정 접점(26d), 및 어스용 고정 접점(26e)은, 동일 명칭의 고정 접점(6a 내지 6e)과 기능 및 용도가 동일하다. 따라서, 각 고정 접점(26a 내지 26d)이 고정 접점(26e)과 도통한 때의 파워 윈도우의 동작은, 각 고정 접점(6a 내지 6d)이 고정 접점(6e)과 도통한 때와 마찬가지이다. 고정 접점(26a 내지 26e)의 고정 접점(6a 내지 6e)과의 상위점은, 매뉴얼 업용 고정 접점(26a)과 매뉴얼 다운용 고정 접점(26c), 및 오토 업용 고정 접점(26b)과 오토 다운용 고정 접점(26d)이, 어스용 고정 접점(26e)을 끼우고 가동 접점(5a 내지 5d)의 활주 방향(좌우)으로 나열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점이다. 또한, 매뉴얼 업용 고정 접점(26a)과 매뉴얼 다운용 고정 접점(26c)에 가까운 변부분(E1)이 오토 업용 고정 접점(26b)과 오토 다운용 고정 접점(26d)에 가까운 변부분(E2)보다 고정 접점(26a, 26c)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오목하도록, 어스용 고정 접점(26e)이 마련되어 있는 점이다.
도 11은 가동 접점(5a 내지 5d)과 고정 접점(26a 내지 26e)의 접촉 상태를 표 형식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에서, 상단에는 가동 접점(5a, 5d)과 고정 접점(26a, 26c, 26e)을 가로지르는 H-H 단면을 도시하고, 하단에는 가동 접점(5b, 5c)과 고정 접점(26b, 26d, 26e)을 가로지르는 I-I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노브(2)가 중립 위치(N)에 있는 때는, 도 11의 왼쪽부터 3열째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편(5)이 어스용 고정 접점(26e)의 중앙에 위치하여, 모든 가동 접점(5a 내지 5d)과 고정 접점(26a 내지 26e)이 이간하고, 고정 접점(26a 내지 26e)이 비도통 상태로 된다. 노브(2)가 매뉴얼 업 위치(MU)까지 회전하면, 도 11의 왼쪽부터 2열째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편(5)이 왼쪽으로 평행 이동하여, 가동 접점(5c)이 어스용 고정 접점(26e)과 접속하고, 가동 접점(5a)이 매뉴얼 업용 고정 접점(26a)과 접속하고, 고정 접점(26a, 26e)이 도통한다. 노브(2)가 오토 업 위치(AU)까지 회전하 면, 도 11의 왼쪽부터 1열째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편(5)이 왼쪽으로 더욱 평행 이동하여, 가동 접점(5a) 및 가동 접점(5c)이 매뉴얼 업용 고정 접점(26a) 및 어스용 고정 접점(26e)과의 접촉을 계속하면서, 가동 접점(5b)이 오토 업용 고정 접점(26b)과 접속하고, 가동 접점(5d)이 어스용 고정 접점(26e)과 접속하고, 고정 접점(26a, 26b, 26e)이 도통한다. 노브(2)가 매뉴얼 다운 위치(MD)까지 회전하면, 도 11의 오른쪽부터 2열째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편(5)이 오른쪽으로 평행 이동하여, 가동 접점(5b)이 어스용 고정 접점(26e)과 접속하고, 가동 접점(5d)이 매뉴얼 다운용 고정 접점(26c)과 접속하고, 고정 접점(26c, 26e)이 도통한다. 노브(2)가 오토 다운 위치(AD)까지 회전하면, 도 11의 오른쪽부터 1열째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편(5)이 오른쪽으로 더욱 평행 이동하여, 가동 접점(5d) 및 가동 접점(5b)이 매뉴얼 다운용 고정 접점(26c) 및 어스용 고정 접점(26e)과의 접촉을 계속하면서, 가동 접점(5c)이 오토 다운용 고정 접점(26d)과 접속하고, 가동 접점(5a)이 어스용 고정 접점(26e)과 접속하고, 고정 접점(26c, 26d, 26e)이 도통한다.
또한,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고정 접점(36a 내지 36e)을 기판(6)상에 마련하여도 좋다. 도 12의 매뉴얼 업용 고정 접점(36a), 오토 업용 고정 접점(36b), 매뉴얼 다운용 고정 접점(36c), 오토 다운용 고정 접점(36d), 및 어스용 고정 접점(36e)은, 동일 명칭의 고정 접점(6a 내지 6e)과 기능 및 용도가 동일하다. 따라서, 각 고정 접점(36a 내지 36d)이 고정 접점(36e)과 도통한 때의 파워 윈도우의 동작은, 각 고정 접점(6a 내지 6d)이 고정 접점(6e)과 도통한 때와 마찬가지이다. 고정 접점(36a 내지 36e)의 고정 접점(6a 내지 6e)과의 상위점은, 매뉴얼 업용 고정 접점(36a)과 매뉴얼 다운용 고정 접점(36c), 및 오토 업용 고정 접점(36b)과 오토 다운용 고정 접점(36d)이, 어스용 고정 접점(36e)을 끼우고 가동 접점(5a 내지 5d)의 활주 방향으로 나열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점이다. 또한, 매뉴얼 업용 고정 접점(36a)과 매뉴얼 다운용 고정 접점(36c)에 가까운 변부분(E1)이 오토 업용 고정 접점(36b)과 오토 다운용 고정 접점(36d)에 가까운 변부분(E2)보다 고정 접점(36a, 36c)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오목하도록, 어스용 고정 접점(36e)이 마련되어 있는 점이다. 또한, 가동편(5)의 가동 접점(5a 내지 5d)이 오토 업용 고정 접점(36b) 또는 오토 다운용 고정 접점(36d)과 접속할 때에 매뉴얼 업용 고정 접점(36a) 또는 매뉴얼 다운용 고정 접점(36c)으로부터 이간하도록, 매뉴얼 업용 고정 접점(36a)과 오토 업용 고정 접점(36b), 및 매뉴얼 다운용 고정 접점(36c)과 오토 다운용 고정 접점(36d)이 마련되어 있는 점이다.
도 13은 가동 접점(5a 내지 5d)과 고정 접점(36a 내지 36e)의 접촉 상태를 표 형식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에서, 상단에는 가동 접점(5a, 5d)과 고정 접점(36a, 36c, 36e)을 가로지르는 J-J 단면을 도시하고, 하단에는 가동 접점(5b, 5c)과 고정 접점(36b, 36d, 36e)을 가로지르는 K-K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노브(2)가 중립 위치(N)에 있는 때는, 도 13의 왼쪽부터 3열째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편(5)이 어스용 고정 접점(36e)의 중앙에 위치하여, 모든 가동 접점(5a 내지 5d)과 고정 접점(36a 내지 36e)이 이간하고, 고정 접점(36a 내지 36e)이 비도통 상태로 된다. 노브(2)가 매뉴얼 업 위치(MU)까지 회전하면, 도 13의 왼쪽부터 2열째에 도 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편(5)이 왼쪽으로 평행 이동하여, 가동 접점(5c)이 어스용 고정 접점(36e)과 접속하고, 가동 접점(5a)이 매뉴얼 업용 고정 접점(36a)과 접속하고, 고정 접점(36a, 36e)이 도통한다. 노브(2)가 오토 업 위치(AU)까지 회전하면, 도 13의 왼쪽부터 1열째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편(5)이 왼쪽으로 더욱 평행 이동하여, 가동 접점(5a)이 매뉴얼 업용 고정 접점(36a)으로부터 이간하고, 가동 접점(5b)이 오토 업용 고정 접점(36b)과 접속하고, 가동 접점(5c, 5d)이 고정 접점(36e)과 접속하고, 고정 접점(36b, 36e)이 도통한다. 노브(2)가 매뉴얼 다운 위치(MD)까지 회전하면, 도 13의 오른쪽부터 2열째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편(5)이 오른쪽으로 평행 이동하여, 가동 접점(5d)이 매뉴얼 다운용 고정 접점(36c)과 접속하고, 가동 접점(5b)이 어스용 고정 접점(36e)과 접속하고, 고정 접점(36c, 36e)이 도통한다. 노브(2)가 오토 다운 위치(AD)까지 회전하면, 도 13의 오른쪽부터 1열째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편(5)이 오른쪽으로 더욱 평행 이동하여, 가동 접점(5d)이 매뉴얼 다운용 고정 접점(36c)으로부터 이간하고, 가동 접점(5c)이 오토 다운용 고정 접점(36d)과 접속하고, 가동 접점(5a, 5b)이 어스용 고정 접점(36e)과 접속하고, 고정 접점(36d, 36e)이 도통한다.
이상과 같이 하면, 어스용 고정 접점(6e, 16e, 26e, 36e)의 좌우가 멀리 떨어진 위치에 다른 고정 접점(6a 내지 6d, 16a 내지 16d, 26a 내지 26d, 36a 내지 36d)을 마련하지 않아도, 매뉴얼 업/다운용 고정 접점(6a, 6c, 16a, 16c, 26a, 26c, 36a, 36c)과 어스용 고정 접점(6e, 16e, 26e, 36e)의 절연 간격을 넓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어스용 고정 접점(6e, 16e, 26e, 36e)과 매뉴얼 업/다운용 고정 접점(6a, 6c, 16a, 16c, 26a, 26c, 36a, 36c)의 개폐시(즉, 고정 접점(6a, 6c, 6e, 16a, 16c, 16e, 26a, 26c, 26e, 36a, 36c, 36e)에 대한 가동 접점(5a 내지 5d)의 이접시)에 발생하는 아크 방전에 의해, 해당 접점(6a, 6c, 6e, 16a, 16c, 16e, 26a, 26c, 26e, 36a, 36c, 36e, 5a 내지 5d)이 마모하여 생성되는 도전성을 갖는 분체의, 어스용 고정 접점(6e, 16e, 26e, 36e)과 매뉴얼 업/다운용 고정 접점(6a, 6c, 16a, 16c, 26a, 26c, 36a, 36c) 사이의 절연체 표면에의 부착에 의한 절연성의 감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전성을 갖는 그 밖의 이물의 어스용 고정 접점(6e, 16e, 26e, 36e)과 매뉴얼 업/다운용 고정 접점(6a, 6c, 16a, 16c, 26a, 26c, 36a, 36c) 사이의 절연체 표면에의 부착에 의한 절연성의 감손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가동 접점(5a 내지 5d)이나 고정 접점(6a 내지 6e, 16a 내지 16e, 26a 내지 26e, 36a 내지 36e)과 가동편(5)이나 기판(6) 등의 각 부품의 설계·제조·조립할 때에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지 않게 되어, 해당 작업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기판(6)에서의 고정 접점(6a 내지 6e, 16a 내지 16e, 26a 내지 26e, 36a 내지 36e)의 점유 면적의 확대를 억제하여, 파워 윈도우 스위치(1)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6 및 도 7 또는 도 8 및 도 9와 같이 하면, 매뉴얼 업/다운용 고정 접점(6a, 6c, 16a, 16c) 및 어스용 고정 접점(6e, 16e)과 매뉴얼 업/다운용 고정 접점(6a, 6c, 16a, 16c) 사이의 절연체가, 가동 접점(5a 내지 5d)의 활주 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나열하기 때문에, 해당 간격을 보다 넓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어스용 고정 접점(6e, 16e)과 매뉴얼 업/다운용 고정 접점(6a, 6c, 16a, 16c) 사이 의 절연체 표면에 도전성 또는 비도전성의 이물이 부착하여도, 해당 이물이 가동 접점(5a 내지 5d)의 활주에 의해 한쪽의 절연체 표면으로부터 다른쪽의 절연체 표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어스용 고정 접점(6e, 16e)과 매뉴얼 업/다운용 고정 접점(6a, 6c, 16a, 16c) 사이의 절연성이나, 고정 접점(6a, 6c, 6e, 16a, 16c, 16e)과 가동 접점(5a 내지 5d)의 접촉 신뢰성의 감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6 및 도 7 또는 도 10 및 도 11과 같이 하면, 가동편(5)의 직선적 왕복 운동에 의해, 모든 가동 접점(5a 내지 5d)이 고정 접점(6a 내지 6e, 26a 내지 26e)으로부터 이간하여, 해당 접점(6a 내지 6e, 26a 내지 26e)이 도통하지 않는 상태, 가동 접점(5a와 5d 또는 5c)이 매뉴얼 업용 고정 접점(6a, 26a) 및 어스용 고정 접점(6e, 26e)에 접촉하여, 해당 접점(6a, 6e, 26a, 26e)이 도통하는 상태, 가동 접점(5a 내지 5d)이 매뉴얼 업용 고정 접점(6a, 26a), 오토 업용 고정 접점(6b, 26b), 및 어스용 고정 접점(6e, 26e)에 접촉하여, 해당 접점(6a, 6b, 6e, 26a, 26b, 26e)이 도통하는 상태, 가동 접점(5c 또는 5d와 5b)이 매뉴얼 다운용 고정 접점(6c, 26c) 및 어스용 고정 접점(6e, 26e)에 접촉하여, 해당 접점(6c, 6e, 26c, 26e)이 도통하는 상태, 가동 접점(5a 내지 5d)이 매뉴얼 다운용 고정 접점(6c, 26c), 오토 다운용 고정 접점(6d, 26d), 및 어스용 고정 접점(6e, 26e)에 접촉하여, 해당 접점(6c, 6d, 6e, 26c, 26d, 26e)이 도통하는 상태의 5개의 전기적 접속 상태로의 전환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8 및 도 9 또는 도 12 및 도 13과 같이 하면, 가동편(5)의 직선적 왕복 운동에 의해, 모든 가동 접점(5a 내지 5d)이 고정 접점(16a 내지 16e, 36a 내지 36e)으로부터 이간하여, 해당 접점(16a 내지 16e, 36a 내지 36e)이 도통하지 않는 상태, 가동 접점(5a와 5d 또는 5c)이 매뉴얼 업용 고정 접점(16a, 36a) 및 어스용 고정 접점(16e, 36e)에 접촉하여, 해당 접점(16a, 16e, 36a, 36e)이 도통하는 상태, 가동 접점(5b 내지 5d)이 오토 업용 고정 접점(16b, 36b) 및 어스용 고정 접점(16e, 36e)에 접촉하여, 해당 접점(16b, 16e, 36b, 36e)이 도통하는 상태, 가동 접점(5c 또는 5d와 5b)이 매뉴얼 다운용 고정 접점(16c, 36c) 및 어스용 고정 접점(16e, 36e)에 접촉하여, 해당 접점(16c, 16e, 36c, 36e)이 도통하는 상태, 가동 접점(5a 및 5b와 5c 또는 5d)이 어스용 고정 접점(16e, 36e) 및 오토 다운용 고정 접점(16d, 36d)에 접촉하여, 해당 접점(16d, 16e, 36d, 36e)이 도통하는 상태의 5개의 전기적 접속 상태로의 전환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이상 기술한 실시 형태 이외에도 여러가지의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가동편(5) 및 가동 접점(5a 내지 5d)을 기판(6)의 상방(노브(2)측)에 마련하고, 고정 접점(6a 내지 6e, 16a 내지 16e, 26a 내지 26e, 36a 내지 36e)을 기판(6)의 윗면에 마련한 예를 들고 있지만, 이 외에, 가동편 및 가동 접점을 기판의 하방(반노브측)에 마련하고, 고정 접점을 기판의 하면에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가동편을 지지하는 슬라이더를 기판의 하방에 마련하고, 가동편을 직선적 왕복 운동시키는 조작력을 전하는 조작자를 기판에 관통시키도록 마련하면 좋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파워 윈도우 스위치(1)에 적용한 예를 들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하지 않고, 조작 대상에 어떠한 동작을 행하게 하기 위해 조작한 텀블러 스위치나 슬라이드 스위치의 전반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2 내지 제 5의 고정 접점을 제 1의 고정 접점의 좌우의 멀리 떨어진 위치에 마련하지 않아도, 제 3 및 제 5의 고정 접점보다 제 1의 고정 접점에 가까운 제 2 및 제 4의 고정 접점과 제 1의 고정 접점의 절연 간격을 넓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의 고정 접점과 제 2 또는 제 4의 고정 접점 사이의 절연성의 감손을 방지하는 것, 각 접점과 각 부품의 설계·제조·조립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 및 기판에서의 고정 접점의 점유 면적의 확대를 억제하여 스위치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각각 가능해진다.

Claims (5)

  1. 기판에 고정 접점이 마련되고, 좌우로 왕복 운동 가능한 가동편에 상기 고정 접점상을 활주하는 가동 접점이 마련되고, 상기 고정 접점은, 중앙에 마련된 제 1의 고정 접점과, 상기 제 1의 고정 접점의 좌우의 한쪽에 마련된 제 2 및 제 3의 고정 접점 및 다른쪽에 마련된 제 4 및 제 5의 고정 접점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내지 제 5의 고정 접점은, 상기 가동 접점의 활주 방향으로 병렬로 마련되고, 상기 제 2의 고정 접점은, 상기 제 3의 고정 접점이 상기 제 1의 고정 접점과 가장 인접하는 상기 제 1의 고정 접점의 변부분에 대해, 상기 제 3의 고정 접점보다 활주 방향으로 가깝게 마련되고, 상기 제 4의 고정 접점은, 상기 제 5의 고정 접점이 상기 제 1의 고정 접점과 가장 인접하는 상기 제 1의 고정 접점의 변부분에 대해, 상기 제 5의 고정 접점보다 활주 방향으로 가깝게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 1의 고정 접점은, 상기 제 2 및 제 4의 고정 접점에 가까운 변부분이 상기 제 3 및 제 5의 고정 접점에 가까운 변부분보다 오목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가동 접점은 상기 제 2 또는 제 4의 고정 접점보다도 상기 제 1의 고정 접점에 먼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및 제 5의 고정 접점은, 상기 제 1의 고정 접점을 끼우고 상기 가동 접점의 활주 방향으로 나열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3 및 제 4의 고정 접점은, 상기 제 1의 고정 접점을 끼우고 상기 가 동 접점의 활주 방향으로 나열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및 제 3의 고정 접점은, 상기 가동 접점이 제 3의 고정 접점과 접속할 때에 제 2의 고정 접점과도 접촉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4 및 제 5의 고정 접점은, 상기 가동 접점이 제 5의 고정 접점과 접속할 때에 제 4의 고정 접점과도 접촉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및 제 3의 고정 접점은, 상기 가동 접점이 제 3의 고정 접점과 접속할 때에 제 2의 고정 접점과 비접촉이 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4 및 제 5의 고정 접점은, 상기 가동 접점이 제 5의 고정 접점과 접속할 때에 제 4의 고정 접점과 비접촉이 되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차량탑재용의 파워 윈도우를 조작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의 고정 접점은, 접지된 어스용 고정 접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의 고정 접점은, 파워 윈도우를 수동으로 상승시키기 위한 매뉴얼 업용 고정 접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3의 고정 접점은, 파워 윈도우를 자동으로 상승시키기 위한 오토 업용 고정 접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4의 고정 접점은, 파워 윈도우를 수동으로 하강시키기 위한 매뉴얼 다운용 고정 접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5의 고정 접점은, 파워 윈도우를 자동으로 하강시키기 위한 오토 다운용 고정 접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KR1020070060463A 2006-06-21 2007-06-20 스위치 KR1009206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70984A JP2008004322A (ja) 2006-06-21 2006-06-21 スイッチ
JPJP-P-2006-00170984 2006-06-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1546A KR20070121546A (ko) 2007-12-27
KR100920631B1 true KR100920631B1 (ko) 2009-10-08

Family

ID=38477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0463A KR100920631B1 (ko) 2006-06-21 2007-06-20 스위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851714B2 (ko)
EP (1) EP1870915A3 (ko)
JP (1) JP2008004322A (ko)
KR (1) KR100920631B1 (ko)
CN (1) CN10054389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35714B2 (ja) 2010-02-23 2013-11-0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US20110232051A1 (en) * 2010-03-23 2011-09-29 Tk Holdings Inc. Seat belt buckle mechanism
JP6370654B2 (ja) * 2014-03-03 2018-08-08 矢崎総業株式会社 多接点スイッチ、及びそれを備えた電気接続箱
CN104505295B (zh) * 2014-12-15 2017-01-04 国威科技有限公司 一种翘板开关
JP6304770B2 (ja) * 2015-05-25 2018-04-04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CN106923882A (zh) * 2017-03-09 2017-07-07 北京派尔特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吻合器开关控制组件、钉仓组件旋转控制***及控制电路
EP4000732A1 (en) 2020-11-16 2022-05-25 Tecan Trading Ag Robotic arm of an automated pipetting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5568A (ja) * 1996-03-01 1997-09-19 Niles Parts Co Ltd 2段階操作スイッチ装置
JP2740384B2 (ja) * 1992-01-16 1998-04-1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JP3183813B2 (ja) * 1995-11-27 2001-07-09 矢崎総業株式会社 パワーウインドースイッチ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963B1 (ko) * 1988-05-13 1992-04-11 석윤기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JPS6182321U (ko) * 1984-11-05 1986-05-31
JPS61256527A (ja) * 1985-05-07 1986-11-1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イツチ収容体
JPH071708Y2 (ja) * 1989-12-11 1995-01-1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シーソー式照光スイッチ装置
JP2628819B2 (ja) * 1992-04-01 1997-07-09 河西工業株式会社 ドアトリム用ユニットパネル
JP2603481Y2 (ja) * 1993-10-14 2000-03-1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イッチ装置
JP3064801B2 (ja) * 1994-03-29 2000-07-1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ロックスイッチ
US5821483A (en) * 1995-01-11 1998-10-13 Omron Corporation Modular array of switches, switch actuators, printed circuit boards, housing and electrical connector
US5598918A (en) * 1995-05-18 1997-02-04 Trw Inc. Switch for vehicle power window
JP3269940B2 (ja) * 1995-06-23 2002-04-0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車両用スイッチのキートップ取付構造
US5824977A (en) * 1995-09-04 1998-10-20 Kabushiki Kaisha T An T Slide switch
JP3834862B2 (ja) 1996-03-07 2006-10-1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機械式電気スイッチ素子
JPH09265854A (ja) * 1996-03-28 1997-10-07 Niles Parts Co Ltd スイッチのストッパー構造
JP3967430B2 (ja) * 1997-09-02 2007-08-29 東洋電装株式会社 パワーウインド用モータ制御装置
EP0957498B1 (de) * 1998-05-11 2006-08-23 Delphi Technologies Inc. Fensterheberschalter
US6657316B1 (en) * 1998-12-23 2003-12-02 Johnson Contols Interiors Technology Corporation Window control apparatus
US6091038A (en) * 1999-05-27 2000-07-18 Trw Inc. Electrical switch with sliding terminal contacts
CA2381084C (en) * 1999-08-02 2005-10-18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Power window switch circuit
US6447301B1 (en) * 1999-09-24 2002-09-10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Electrically equipped part for automobile, automotive interior unit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JP3623141B2 (ja) * 1999-12-03 2005-02-2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パワーウインド装置
JP2001243850A (ja) * 1999-12-21 2001-09-07 Niles Parts Co Ltd 複合スイッチ装置
JP2002157940A (ja) * 2000-11-17 2002-05-31 Yazaki Corp スイッチユニット
JP2002160591A (ja) * 2000-11-27 2002-06-04 Yazaki Corp 車両用配線回路体
JP3889940B2 (ja) * 2001-06-13 2007-03-0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金型装置、金型装置の使用方法、及び金型装置の共用方法
JP4694047B2 (ja) * 2001-06-15 2011-06-01 ナイルス株式会社 シーソー型スイッチ
JP4583675B2 (ja) * 2001-08-30 2010-11-17 ナイルス株式会社 スイッチ
DE60227751D1 (de) * 2001-09-04 2008-09-04 Lear Corp Bedientafel für ein Fahrzeug
JP4047034B2 (ja) * 2002-02-27 2008-02-13 ナイルス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JP2004096918A (ja) * 2002-09-02 2004-03-25 Omron Corp スイッチ装置
JP4111798B2 (ja) * 2002-10-21 2008-07-0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2段動作シーソースイッチ装置
JP2005158492A (ja) * 2003-11-26 2005-06-16 Tokai Rika Co Ltd パワーウインドスイッチ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0384B2 (ja) * 1992-01-16 1998-04-1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JP3183813B2 (ja) * 1995-11-27 2001-07-09 矢崎総業株式会社 パワーウインドースイッチ
JPH09245568A (ja) * 1996-03-01 1997-09-19 Niles Parts Co Ltd 2段階操作スイッ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1546A (ko) 2007-12-27
EP1870915A2 (en) 2007-12-26
JP2008004322A (ja) 2008-01-10
CN101093761A (zh) 2007-12-26
US7851714B2 (en) 2010-12-14
US20080017490A1 (en) 2008-01-24
CN100543896C (zh) 2009-09-23
EP1870915A3 (en) 200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0631B1 (ko) 스위치
US6756553B1 (en) Switch unit
CA2140225C (en) Switch assembly
KR100937817B1 (ko) 스위치 및 접점 모듈
KR100299019B1 (ko) 스위치액츄에이터조립체
DE102006051028B4 (de) Mit Wippschaltern bedienbare Schaltereinrichtung für Steuer- und Regeleinrichtungen
US6861604B2 (en) Push button switch
US6753489B2 (en) Switch, push-button switch and rotary-lever switch
US4121069A (en) Snap-action electric switch with fulcrum means for limited contact sliding and positive-off torque
KR970076138A (ko) 캠 작동식 타이머의 블레이드 스위치
US7397006B2 (en) Operation mechanism for electric apparatus
US5568860A (en) Pivot point contact with scrubbing action switch
JPH08264075A (ja) 多機能スイッチ
US6756556B2 (en) Oscillating switch
KR20190135030A (ko) 스위치
GB2391708A (en) Rocker switch
EP2916337B1 (en) High load switch for vehicle
EP3166119B1 (en) Switch
CN1230854C (zh) 用于断路器的附属开关装置
CN1179385C (zh) 按钮开关
CN1719563A (zh) 平动式开关按键装置
KR100718570B1 (ko) 자동차 와이퍼 스위치 장치
JPH06260059A (ja) 切換えスイッチ
WO2022102707A1 (ja) マイクロスイッチ
CN109994333B (zh) 用于按钮开关的按钮组件、按钮开关以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