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1818B1 - 기판 절단시스템 - Google Patents

기판 절단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1818B1
KR100901818B1 KR1020070108196A KR20070108196A KR100901818B1 KR 100901818 B1 KR100901818 B1 KR 100901818B1 KR 1020070108196 A KR1020070108196 A KR 1020070108196A KR 20070108196 A KR20070108196 A KR 20070108196A KR 100901818 B1 KR100901818 B1 KR 100901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ubstrate
belt
roller
scri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8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2439A (ko
Inventor
김용운
김학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070108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1818B1/ko
Publication of KR20090042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2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1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1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4Mechanical treatment, e.g. grinding, polishing,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92Apparatus for mechanical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6Mechanical details, e.g. roller, be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기판 절단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기판 절단시스템은, 원기판을 다수의 단위기판으로 절단하는 절단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라인을 형성하며, 원기판을 이송하는 기판이송 유닛; 및 기판이송 유닛의 어느 일 영역에 마련되어 원기판 상에 스크라이브 라인(scribe line)을 형성하는 스크라이브 유닛(scribe unit)을 포함하며, 기판이송 유닛은, 실질적으로 원기판이 접촉되어 이송되는 폐루프 형상의 벨트를 구비한 벨트 컨베이어 유닛(Belt Conveyor Type); 기판이송 유닛의 하부 구조를 형성하되 벨트 컨베이어 유닛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컨베이어 프레임 구조체; 및 컨베이어 프레임 구조체에 마련되며, 벨트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모터와, 구동 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되고 실질적으로 벨트와 접촉되어 벨트를 회전시키되 벨트가 벨트의 하부 영역에서 외접되는 구동 롤러를 갖는 동력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판이송 유닛으로서 벨트 컨베이어 타입(Belt Conveyor Type)을 적용함에 있어 벨트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판 절단시스템{Glass cutting system}
본 발명은, 기판 절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판이송 유닛으로서 벨트 컨베이어 타입(Belt Conveyor Type)을 적용함에 있어 벨트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기판 절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반도체 산업 중 전자 디스플레이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평면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FPD)가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평면디스플레이는 TV나 컴퓨터의 모니터, 혹은 핸드폰(mobile phone), PDA,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은 기기의 표시장치로 사용된다. 평면디스플레이의 종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기판, PDP(Plasma Display Panel) 기판 및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기판 등이 있다.
한편, 대표적인 평면디스플레이로서의 LCD 기판은, 내부에 액정이 주입된 상태에서 상호 부분적으로 접면하여 합착되는 유리재질의 상판(CF, Color Filter) 및 하판(TFT, Thin Film Transistor)과, 상판 및 하판의 노출면에 각각 결합되어 해당 위치에서 광학적인 특성을 부여하는 상부 및 하부 편광판을 구비한다.
칼라의 화상을 형성하는 상판은 하판에 비해 그 면적이 작게 형성된다. 따라 서 상판과 하판이 합착되고 나면, 하판의 상면에는 상판이 중첩되지 않는 부분인 패드 부분이 마련된다. 이러한 패드 부분에는 단위기판을 제어하는 IC 드라이버와, IC 드라이버를 인쇄회로기판에 연결하는 FPC 등이 결합된다.
현재 출시되어 사용되고 있는 LCD 기판은 17 인치, 21 인치, 50 인치 등으로 그 크기가 다양한데, 이러한 LCD 기판은, 상판 및 하판이 합착된 상태로 형성되고 그 면적이 거대한 대면적 원기판을 절단 공정을 통해 수 내지 수십 등분으로 절단하여 단위기판으로 제작한 후, 모듈 공정에서 단위기판들의 패드 부분에 IC 드라이버 등을 실장함으로써 각각 하나씩의 완제품으로 출시된다.
이 때, 원기판을 다수의 단위기판으로 절단하는 절단 공정은 별도의 절단시스템, 즉 소위 스크라이버 혹은 스크라이브 장치라고도 불리는 기판 절단시스템을 통해 수행된다.
공지된 통상의 기판 절단시스템에는, 원기판을 이송시키는 기판이송 유닛과, 원기판에 절단의 기준선인 스크라이브 라인(scribe line)을 형성하는 스크라이브 유닛(scribe unit)과, 스크라이브 라인을 따라 원기판을 실질적으로 절단하여 다수의 단위기판으로 형성하는 브레이크 유닛(break unit)이 구비된다.
기판이송 유닛은, 원기판을 지지하는 타입(Type)에 따라 크게, 벨트 컨베이어 타입(Belt Conveyor Type) 및 스테이지 타입(Stage Type)으로 나뉠 수 있다.
벨트 컨베이어 타입이 적용된 절단시스템에서는, 원기판을 이송시키면서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되 원기판을 완전하게 절단하지 않고 우선 반만 절단한 후, 가열 또는 냉각 공정을 거쳐 크랙(Crack)을 진전시켜 가면서 최종적으로 원기판을 절단하여 다수의 단위기판을 형성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데, 택트 타임(tact time)이 짧은 장점을 갖는다.
기판이송 유닛으로서 벨트 컨베이어 타입을 적용한 이러한 기판 절단시스템에 있어서는 일정 주기로 벨트의 교체 작업이 필요할 수 있기 때문에 벨트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이 용이해야 교체 작업 시간을 단축시키고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어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벨트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벨트 컨베이어 타입의 기판이송 유닛을 갖는 기판 절단시스템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판이송 유닛으로서 벨트 컨베이어 타입(Belt Conveyor Type)을 적용함에 있어 벨트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기판 절단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원기판을 다수의 단위기판으로 절단하는 절단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라인을 형성하며, 상기 원기판을 이송하는 기판이송 유닛; 및 상기 기판이송 유닛의 어느 일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원기판 상에 스크라이브 라인(scribe line)을 형성하는 스크라이브 유닛(scribe unit)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이송 유닛은, 실질적으로 상기 원기판이 접촉되어 이송되는 폐루프 형상의 벨트를 구비한 벨트 컨베이어 유닛(Belt Conveyor Type); 상기 기판이송 유닛의 하부 구조 를 형성하되 상기 벨트 컨베이어 유닛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컨베이어 프레임 구조체; 및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 구조체에 마련되며, 상기 벨트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되고 실질적으로 상기 벨트와 접촉되어 상기 벨트를 회전시키되 상기 벨트가 상기 벨트의 하부 영역에서 외접되는 구동 롤러를 갖는 동력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절단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롤러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구동 롤러와 함께 상기 벨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들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아이들 롤러는 상기 벨트의 일 영역에서 상기 벨트와 내접될 수 있다.
상기 아이들 롤러는 상기 구동 롤러를 사이에 두고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벨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벨트 컨베이어 유닛은,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 구조체 상에서 상기 작업라인 및 상기 작업라인에 가로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벨트 컨베이어 유닛에 의해 상기 작업라인에 가로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선은 직선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기판이송 유닛의 어느 일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원기판 상에 스크라이브 라인(scribe line)을 형성하는 스크라이브 유닛(scribe unit); 및 상기 원기판이 이송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스크라이브 유닛의 후방에 마련되며, 상기 스크라이브 라인을 따라 상기 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된 원기판이 상기 단위기판으로 절단 하는 브레이크 유닛(break unit)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라이브 유닛과 상기 브레이크 유닛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다수의 벨트 컨베이어 유닛에 의해 상기 작업라인에 가로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선은 상호 엇갈리는 지그재그(zigzag)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벨트 컨베이어 유닛은, 일 영역에서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 구조체와 부분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닛 중앙몸체; 및 상기 유닛 중앙몸체의 양 단부 영역에서 상기 유닛 중앙몸체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할 단위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할 단위몸체는, 상기 벨트가 폐루프 형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벨트의 내부에서 상기 벨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의 텐션 롤러; 및 상기 다수의 텐션 롤러를 지지하는 롤러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벨트의 적어도 어느 일 영역에 접촉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원기판이 상기 복수의 단위기판으로 절단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파티클(particle)을 제거하는 청소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소 유닛은, 상기 기판이송 유닛의 하부 영역에서 상기 작업라인에 가로로 배치되며,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측벽부를 갖는 본체 프레임; 상기 한 쌍의 측벽부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벨트의 일 영역에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청소 롤러; 및 상기 청소 롤러를 회전구동시키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파티클이 상기 본체 프레임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저지되도록, 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상단은 상기 청소 롤러의 회전축보다 높고 상기 청소 롤러의 상 부 표면보다 낮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청소 롤러는, 상기 본체 프레임 상에서 상기 작업라인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회전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롤러; 및 상기 구동 롤러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구동 롤러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구동 롤러와의 사이에 상기 파티클이 낙하하는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종동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구동부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온/오프(on/off) 동작되는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는 모터 기어; 상기 구동 롤러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모터 기어와 상호 치형 맞물림되는 구동 기어; 및 상기 종동 롤러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 기어와 치형 맞물림되는 종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판이송 유닛으로서 벨트 컨베이어 타입(Belt Conveyor Type)을 적용함에 있어 벨트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참고로, 이하에서 설명할 기판이란, LCD(Liquid Crystal Display) 기판, PDP(Plasma Display Panel) 기판 및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기판 등을 포함하는 평면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FPD)를 가리키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들을 구분하지 않고 기판이라 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절단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기판이송 유닛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청소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스크라이브 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7은 클램프 유닛에 대한 요부 확대도이고, 도 8은 브레이크 유닛 영역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요부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기판 절단시스템은, 다수의 단위기판(G2)으로 절단될 원기판(G1)이 로딩되는 로딩 유닛(100, loading unit)과, 원기판(G1)에 대한 절단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라인을 형성하는 기판이송 유닛(200)과, 기판이송 유닛(200)의 어느 일 영역에 마련되어 원기판(G1) 상에 스크라이브 라인(scribe line)을 형성하는 스크라이브 유닛(300, scribe unit)과, 스크라이브 유닛(300)으로 향하는 원기판(G1)을 클램핑하는 클램프 유닛(400, clamp unit)과, 원기판(G1)이 이송되는 방향을 따라 스크라이브 유닛(300)의 후방에 마련되되 작업라인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스크라이브 라인을 따라 원기판(G1)이 다수의 단위기판(G2)으로 절단될 수 있도록 원기판(G1)을 가열하는 브레이크 유닛(500, break unit)을 구비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로딩 유닛(100)은, 절단 작업대상의 원기판(G1)이 최초로 놓여지는 부분이다. 원기판(G1)은 별도의 로봇(robot)에 의해 로딩 유닛(100)에 로딩될 수 있다. 로딩 유닛(100)에 로딩된 원기판(G1)은 기판이송 유닛(200) 쪽으로 이송된 후 실질적인 절단 작업이 진행되므로 로딩 유닛(100)의 구조는 예컨대 단순한 롤러컨베이어 타입(roller conveyor type)일 수도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원기판(G1)을 기판이송 유닛(200)으로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로딩 유닛(100)을 타이밍 벨트타입(timing belt type)으로 적용하고 있다. 즉, 자세히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로딩 유닛(100)에는 다수의 벨트 컨베이어(미도시)가 마련되어 로봇으로부터 전해진 원기판(G1)을 기판이송 유닛(20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다만, 로봇으로부터 원기판(G1)이 전달될 때, 원기판(G1)이 그대로 벨트에 접촉되어서는 아니 되므로 로딩 유닛(100)에는 다수의 리프트 핀(미도시, lift pin)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로봇으로부터 원기판(G1)이 로딩 유닛(100)에 전달될 때는 리프트 핀들이 상승하여 원기판(G1)을 지지하고, 로봇이 취출되면 리프트 핀들이 하강하면서 원기판(G1)이 다수의 벨트 컨베이어에 접촉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그 뿐 아니라 로딩 유닛(100)에는 로딩된 원기판(G1)을 얼라인(align)시키는 얼라인부(11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얼라인부(110)는 원기판(G1)의 양측 모서리 영역에 마련되어 이송되는 원기판(G1)의 코너 영역을 지지함으로써 원기판(G1)을 얼라인시키는 역할을 한다. 참고로, 원기판(G1)은 유리 재질이므로 도 1의 경우, 원기판(G1)을 통해 로딩 유닛(100)의 내부 구조가 일부 보여야 할 것이나 도 1에서는 로딩 유닛(100)의 내부 구조를 생략하고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기판이송 유닛(200)은, 원기판(G1)을 이송시키는 부분으로서 본 기판 절단시스템에서 대부분의 면적을 차지한다. 즉, 도 1에서 로딩 유닛(100)을 제외하고 원기판(G1)이 도 1의 X축 방향으로 이송되거나 최종적으로 단위기판(G2)이 놓여진 모든 부분이 기판이송 유닛(200)이다. 이처럼 기판이송 유닛(200)에 의해 원기판(G1)이 이송되면서 최종적으로 다수의 단위기판(G2)으로 절단되기 때문에 원기판(G1)에 대한 인라인화(In-Line)를 구축할 수 있으므로 택트 타임(Tact Time)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기판이송 유닛(200)은 벨트 컨베이어 타입(Belt Conveyor Type)으로 적용되고 있다.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기판 절단시스템에 기판이송 유닛(200)으로서 벨트 컨베이어 타입이 적용될 경우에는 원기판(G1)을 다수의 단위기판(G2)으로 절단하는 작업의 택트 타임(tact time)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만, 기판이송 유닛(200)으로서 벨트 컨베이어 타입이 적용되려면 기판이송 유닛(200)의 한 요소인 벨트(211)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이 용이해져야 할 것인데, 이는 아래와 같은 단순하고 간단한 구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기판이송 유닛(200)은, 벨트(211)를 구비한 다수의 벨트 컨베이어 유닛(210, Belt Conveyor Type)과, 기판이송 유닛(200)의 하부 구조를 형성하되 벨트 컨베이어 유닛(21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컨베이어 프레임 구조체(220)와, 컨베이어 프레임 구조체(220)에 마련되며, 벨트(211)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230)를 포함한다.
벨트 컨베이어 유닛(210)은, 컨베이어 프레임 구조체(220)로부터 하나씩 혹은 개별적, 독립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구조로 마련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벨트 컨베이어 유닛(210)은, 일 영역에서 컨베이어 프레임 구조체(220)와 부분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닛 중앙몸체(210a)와, 유닛 중앙몸체(210a)의 양 단부 영역에서 유닛 중앙몸체(210a)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할 단위몸체(210b)를 포함한다.
참고로, 도 2에 보면, 벨트(211), 다수의 텐션 롤러(212) 및 롤러 지지부(213)를 구비한 벨트 컨베이어 유닛(210) 몇 개가 컨베이어 프레임 구조체(220)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물론, 이 경우, 벨트(211), 다수의 텐션 롤러(212) 및 롤러 지지부(213)를 구비한 벨트 컨베이어 유닛(210)이 프레임 구조체(220)로부터 그대로 분리되어도 좋고, 혹은 벨트 컨베이어 유닛(210) 상에서 벨트(211)만이 단독으로 분리되어도 좋다. 뿐만 아니라 유닛 중앙몸체(210a)와 분할 단위몸체(210b)의 상호 분리 가능한 구조로 인해서, 벨트 컨베이어 유닛(210)이 컨베이어 프레임 구조체(220)에 결합되어 있더라도 유닛 중앙몸체(210a)로부터 분할 단위몸체(210b)를 분리할 수도 있는 것이다. 어떠한 경우일지라도, 벨트(211)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게 되므로 본 실시예의 효과를 달성하기에 충분하다.
이러한 벨트 컨베이어 유닛(210)에서 분할 단위몸체(210b)는, 실질적으로 원기판(G1)이 접촉되어 이송되는 폐루프 형상의 벨트(211)와, 벨트(211)가 폐루프 형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벨트(211)의 내부에서 벨트(21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 는 다수의 텐션 롤러(212)와, 다수의 텐션 롤러(212)를 지지하는 롤러 지지부(213)를 구비한다.
이러한 벨트 컨베이어 유닛(2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프레임 구조체(220) 상에서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 배열되어 있다.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X축 방향으로는 3개씩 혹은 4개씩의 벨트 컨베이어 유닛(210)이 상호 이격되게 배열되어 있고, Y축 방향으로는 7개씩의 벨트 컨베이어 유닛(210)이 상호 이격되게 배열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벨트 컨베이어 유닛(210)의 X축 및 Y축 방향으로의 배열 형태 및 개수는 적절하게 변경될 수도 있다.
한편, 컨베이어 프레임 구조체(220) 상에 X축 및 Y축 방향을 따라 벨트 컨베이어 유닛(210)을 배열함에 있어, 다수의 벨트 컨베이어 유닛(210)에 의해 Y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선은 일자형(-)인 직선 형상을 갖는다. 특히, 스크라이브 유닛(300)이 마련된 영역에서 다수의 벨트 컨베이어 유닛(210)에 의해 Y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선은 직선 형상을 갖는다.
하지만, 스크라이브 유닛(300)과 브레이크 유닛(500) 사이에 위치되는 컨베이어 유닛(210)들은 Y축 방향으로의 결합선이 상호 엇갈리도록 지그재그(zigzag) 형상을 갖도록 배열된다. 즉, 컨베이어 유닛(210)은 X축 방향으로 이어져야 하는데 그 길이가 긴 경우 분할되어 X축 방향으로 연결되며, 이 때 Y축 방향으로의 결합선이 지그재그식으로 배열되게 한다. 이는 컨베이어 유닛(210)들 사이의 공간으로 원기판(G1)에서 잘려 나간 유리 파편이나 더미기판(dummy glass)들의 파티 클(particle)이 후공정의 배출부(미도시)로 모아져서 배출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컨베이어 유닛(210)들 사이의 이격 간격으로 낙하하여 파티클(particle)을 발생시키거나 혹은 청소 작업을 어렵게 하는 등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스크라이브 유닛(300)과 브레이크 유닛(500) 사이의 영역에서 컨베이어 유닛(210)들에 의해 형성되는 Y축 방향으로의 결합선이 상호 엇갈리도록 컨베이어 유닛(210)들을 배열함으로써, 원기판(G1)에서 잘려 나간 유리 파편이나 더미기판들은 컨베이어 유닛(210)들 사이의 이격 간격으로 낙하하지 않고 후공정으로 이송되어 최종적으로 모아져 수거될 수 있게 된다.
유리 파편이나 더미기판을 모아 수거할 수 있도록, X축 방향을 따라 컨베이어 유닛(210)의 후단 영역에는 유리 파편이나 더미기판이 배출되는 배출부(미도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부에는 기판을 파쇄하기 위한 파쇄부(미도시)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컨베이어 프레임 구조체(220)는 컨베이어 유닛(210)들을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기판이송 유닛(200)의 하부 구조를 형성한다. 하중에 대한 변형 방지를 위해 대부분은 금속 재질로 제작된다. 이러한 컨베이어 프레임 구조체(220)의 하단에는 지면에 대해 컨베이어 프레임 구조체(220)를 지지하는 다수의 푸트부재(221)가 마련되어 있다. 푸트부재(221)는 고정 타입으로서 지면에 대해 컨베이어 프레임 구조체(220)를 단순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하면 충분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푸트부재(221)를 높이 조절용 푸트부재(221)로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높이 조절용 푸트부재(221)로 인해 지면에 대한 컨베이어 프레임 구조체(220)의 높이 및 평탄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동력발생부(230)는, 벨트(211)를 회전구동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모터(231)와, 구동 모터(231)의 모터축(미도시)에 연결되며, 실질적으로 벨트(211)와 접촉되어 벨트(211)를 회전시키는 구동 롤러(232)를 포함한다.
한편, 이러한 동력발생부(230)의 구조에서, 벨트(211)와 구동 롤러(232)는 벨트(211)의 하부 영역에서 상호 외접된다. 즉, 구동 롤러(232)는 컨베이어 프레임 구조체(220) 영역에 고정되어 있는 부분이므로, 컨베이어 유닛(210)을 컨베이어 프레임 구조체(220)에 설치하려 할 때, 벨트(211)의 하부 영역 외측 표면이 구동 롤러(232)의 상부에 접촉되도록 한다. 이처럼 벨트(211)와 구동 롤러(232)가 외접하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구조가 복잡한 구동 모터(231) 및 구동 롤러(232)를 분해하거나 제거하지 않더라도 벨트(211)를 용이하게 설치하거나 해체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기판 절단시스템에 적용되는 원기판(G1)은 가로/세로의 길이가 대략 2 미터(m) 내외의 대면적이므로 이를 지지하여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유닛(210)들 역시 거대할 수밖에 없는데, 거대한 컨베이어 유닛(210)들에 구비된 벨트(211)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용량 및 부피가 거대한 구동 모터(231) 및 구동 롤러(232)가 사용될 수밖에 없다. 그런데, 단순히 벨트(211)를 교체하거나 설치하기 위해 이처럼 거대한 구동 모터(231) 및 구동 롤러(232)를 수시로 분해하거나 제거하는 일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 모터(231) 및 구동 롤러(232)를 분해하거나 제거하지 않고서 벨트(211)를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는 구조 를 제안하고 있는 것이다.
구동 롤러(232)의 주변에는 구동 롤러(232)를 사이에 두고 한 쌍으로 마련되어 벨트(21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아이들 롤러(233)가 더 마련되어 있다. 구동 롤러(232)는 구동 모터(231)에 의해 독립적으로 회전되는데 반해 아이들 롤러(233)는 단순히 해당 위치에서 자유 회전한다. 자유 회전하면서 벨트(21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 때, 한 쌍의 아이들 롤러(233)는, 전술한 구조와는 달리 벨트(211)의 일 영역에서 벨트(211)와 내접된다. 이처럼 한 쌍의 아이들 롤러(233)는 벨트(211)와 내접되고, 구동 롤러(232)는 벨트(211)와 외접됨에 따라 벨트(211)는 팽팽하게 당겨지면서 회전할 수 있다. 다만, 한 쌍의 아이들 롤러(233)가 벨트(211)와 내접되어 있기 때문에 벨트(211)를 설치 및 해체하려 하면, 한 쌍의 아이들 롤러(233)를 제거해야 한다. 하지만, 아이들 롤러(233)는 구동 롤러(232)와는 달리 별도의 동력원에 연결되지 않고 자유 회전하는,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은 롤러이므로 아이들 롤러(233)를 제거하는 작업은 그다지 어렵지 않다. 물론, 아이들 롤러(233)를 마련하지 않는 방법이 고려될 수도 있지만, 아이들 롤러(233)가 마련되지 않을 경우에는 벨트(211)가 팽팽하게 당겨지면서 회전되기 힘들기 때문에 그다지 바람직하다고 볼 수는 없다.
한편,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프레임 구조체(220)에는 원기판(G1)이 복수의 단위기판(G2)으로 절단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파티클인 유리 파편이나 더미기판을 제거하는 청소유닛(250)이 더 마련되어 있다.
주로 도 5를 참조하면, 청소 유닛(250)은, 기판이송 유닛(200)의 하부 영역 에서 작업라인에 가로로 배치되는, 즉 도 1의 Y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본체 프레임(260)과, 벨트(211)에 접촉되도록 본체 프레임(26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청소 롤러(270)와, 청소 롤러(270)를 회전구동시키는 회전구동부(280)를 포함한다.
본체 프레임(260)은 청소 유닛(250)의 외관을 형성하면서 청소 롤러(270)를 지지하는 구조체이다. 이러한 본체 프레임(260)에는 청소 롤러(270)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청소 롤러(270)의 외측벽을 형성하는 한 쌍의 측벽부(261)가 마련되어 있다. 이 때, 파티클이 본체 프레임(26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저지되도록, 한 쌍의 측벽부(261)의 상단은 청소 롤러(270)의 회전축보다 높고 청소 롤러(270)의 상부 표면보다 낮게 마련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청소 롤러(270)는 실질적으로 벨트(211)에 접촉되어 벨트(211)에 묻은 파티클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청소 롤러(270)는 본체 프레임(260) 상에서 X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회전구동부(280)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롤러(271)와, 구동 롤러(271)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구동 롤러(271)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며, 구동 롤러(271)와의 사이에 파티클이 낙하하는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종동 롤러(273)를 포함한다.
구동 롤러(271)와 종동 롤러(273)는 단일의 롤러(roller)에 의해 각각 형성해도 무방하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기판 절단시스템에서는 구동 롤러(271)와 종동 롤러(273) 각각이, X축 방향을 따라 롤러 회전축(274)에 의해 연결된 다수의 단위롤러(미도시)에 의해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이 때, 다수의 단위롤러는 브러쉬 롤러로 적용될 수 있다. 즉, 브러쉬 롤러로서 적용된 구동 롤러(271)와 종동 롤러(273)가 직접 벨트(211)에 접촉됨으로써 벨트(211)에 묻은 파티클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브러쉬 롤러 대신에 점착성 롤러를 적용할 수도 있다.
회전구동부(280)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온/오프(on/off) 동작되는 모터(282)의 회전축(미도시)에 연결되어 있는 모터 기어(282)와, 구동 롤러(271)의 일단에 연결되고 모터 기어(282)와 상호 치형 맞물림되는 구동 기어(283)와, 종동 롤러(273)의 일단에 연결되고 구동 기어(283)와 치형 맞물림되는 종동 기어(284)를 포함한다. 상호 치형 맞물림되는 구동 기어(283) 및 종동 기어(284)에 의해 구동 롤러(271) 및 종동 롤러(273)는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모터(282)에 전원이 인가되어 모터(282)의 회전축에 연결된 모터 기어(282)가 회전하면 이에 연동하여 구동 기어(283) 및 종동 기어(284)가 회전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구동 롤러(271) 및 종동 롤러(273)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구동 롤러(271) 및 종동 롤러(273)가 회전함으로써 벨트(211)에 묻은 파티클은 구동 롤러(271) 및 종동 롤러(273)에 의해 제거되어 구동 롤러(271) 및 종동 롤러(273)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해 낙하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구동 롤러(271) 및 종동 롤러(273)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해 낙하된 파티클을 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기판 절단시스템에서 청소 유닛(250)에는 도시 않은 집하부와, 구동 롤러(271) 및 종동 롤러(273)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해 낙하된 파티클을 본체 프레임(260)으로부터 집하부로 이동시키는 이동관(290)을 더 구비한다. 이 때, 단순히 이동관(290)만을 갖추더라도 구동 롤러(271) 및 종동 롤러(273)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해 낙하된 파티클이 집하부로 집하되는 데에는 무리가 없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파티클을 집하부 측으로 강제 흡입하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 구동부(미도시)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처럼 흡입 구동부를 더 마련하는 경우, 흡입 구동부의 흡입력에 의해 구동 롤러(271) 및 종동 롤러(273)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해 낙하된 파티클이 이동관(290)을 따라 집하부로 집하되기가 용이하기 때문에 파티클의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스크라이브 유닛(300)은, 원기판(G1) 상에 절단의 기준선이 되는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라이브 유닛(300)은 원기판(G1)을 사이에 두고 원기판(G1)의 상부 영역에 마련되어 원기판(G1)의 상면을 이루는 상판(CF, Color Filter)에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시키는 상부 스크라이브 헤드(310)와, 원기판(G1)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어 원기판(G1)의 하면을 이루는 하판(TFT, Thin Film Transistor)에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시키는 하부 스크라이브 헤드(320)를 구비한다.
이처럼 원기판(G1)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되게 마련된 상부 및 하부 스크라이브 헤드(310,320)로 인해 원기판(G1)의 상면 및 하면에는 상부 및 하부 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원기판(G1)의 표면에 스크라이브가 시작되기 전에, 상부 스크라이브 헤드(310) 및 하부 스크라이브 헤드(320)는, 각각에 대응되도록 마련된 로드 셀(311,321)로 이동하여 하강(상부 스크라이브 헤드(310a)의 경우) 압력 및 상승(하부 스크라이브 헤드(320)의 경우) 압력이 측정되고, 별도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 압력으로 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 및 하부 스크라이브 헤드(310,320)로 원기판(G1)의 상면 및 하면에 스크라이브 라인을 각각 형성하는 것은, 본 실시예의 원기판(G1)인 LCD 기판과 같이 두 장의 기판이 접합된 접합 기판의 경우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접합 기판의 경우 하나의 스크라이브 헤드로 일면을 스크라이브하고 그 접합 기판을 반전시켜 다시 동일한 스크라이브 헤드로 타면을 스크라이브하면 작업 공정 시간이 길어지고 접합 기판을 반전시키기 위한 장치(반전 장치)가 별도로 필요하였지만, 이와 같이 두 개의 상부 및 하부 스크라이브 헤드(310,320)로 접합 기판인 원기판(G1)의 상면 및 하면에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면, 작업 공정 시간을 감소시키고 별도의 반전 장치가 불필요해지는 장점이 있다.
상부 및 하부 스크라이브 헤드(310,320)는, 도 1의 Y축 방향으로 배치된 상부 및 하부 가로축(310a,320a)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상부 및 하부 스크라이브 헤드(310,320)는 상부 및 하부 스크라이브 헤드(310,320) 상에서 각각 Y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에, 상부 및 하부 가로축(310a,320a)에 상부 및 하부 스크라이브 헤드(310,320)가 고정된 상태에서 기판이송 유닛(200)이 원기판(G1)을 이송시킴으로써 원기판(G1)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X축 방향으로의 상부 및 하부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기판이송 유닛(200)이 정지한 상태에서 상부 및 하부 가로축(310a,320a)을 따라 상부 및 하부 스크라이브 헤드(310,320)가 이동됨으로써 원기판(G1)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Y축 방향으로의 상부 및 하부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시킬 수 있다.
한편, 상부 및 하부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함에 있어 상부 및 하부 스크라이브 라인의 위치를 결정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상부 및 하부 스크라이브 헤드(310,320)에 근접되게 마련된 상부 및 하부 카메라(미도시)가 그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즉, 상부 및 하부 카메라에 의해 관찰된 영상에 기초한 제어를 통해서 상부 가로축(310a) 상의 상부 스크라이브 헤드(310)의 위치, 그리고 하부 가로축(320a) 상의 하부 스크라이브 헤드(320)의 위치가 결정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클램프 유닛(400)은, 스크라이브 유닛(300)으로 향하는 원기판(G1)을 클램핑하는 역할을 한다. 기판이송 유닛(200) 상에서 스크라이브 유닛(300)에 의해 원기판(G1)에 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될 때, 원기판(G1)을 클램핑하는(잡아 지지하는) 수단이 없다면 기판이송 유닛(200) 상에서 원기판(G1)이 흔들릴 수 있는데, 만약 원기판(G1)이 흔들리게 되면 원기판(G1) 상에 정확한 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될 수 없다. 이러한 현상을 예방하기 위해 클램프 유닛(400)이 마련된다.
클램프 유닛(400)은 기판이송 유닛(200)의 상부 영역에서 Y축 방향으로 배치된 클램프 유닛 본체(410)와, 클램프 유닛 본체(410) 상에 마련되고 실질적으로 원기판(G1)의 일 영역을 클램핑하는 클램프(420)와, 클램프 유닛 본체(410)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클램프 유닛 이동부(430)를 구비한다.
클램프 유닛 본체(410)는 실질적으로 원기판(G1)의 일 영역을 클램핑하는 다수의 클램프(42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클램프 유닛 본체(410)는 도 1의 Y축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있으며, 클램프 유닛 이동부(430)와 연결되어 있다.
클램프(420)는 클램프 유닛 본체(410) 상에 상호 이격되게 다수 개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클램프(420)는 집게 형상의 맞물림 구조를 갖는 한 쌍의 척(421,422)에 의해 원기판(G1)의 일 영역을 실질적으로 클램핑하는 역할을 한다. 즉, 고정척(421)에 대해 회동척(422)이 회동축(422a)을 중심으로 상호 접근 및 이격됨에 따라 고정척(421)과 회동척(422) 사이에서 원기판(G1)은 클램핑될 수 있다. 이 때, 회동척(422)은 회동척(422)에 결합된 회동척 구동부(423)에 의해 회동 구동된다. 그리고 회동척 구동부(423)를 비롯하여 고정척(421)과 회동척(422) 등은 클램프 승하강 구동부(424)에 의해 승하강 구동될 수 있다.
이에, 별도의 제어신호에 의해 클램프 승하강 구동부(424)가 동작되어 회동척 구동부(423)를 비롯하여 고정척(421)과 회동척(422)을 하강시킨다. 고정척(421)과 회동척(422)이 하강되는 위치는 고정척(421)과 회동척(422)이 원기판(G1)의 일 영역을 클램핑할 수 있는 위치가 된다. 이 위치에 도달되면 클램프 승하강 구동부(424)의 동작이 정지되고, 회동척 구동부(423)가 동작되어 회동축(422a)을 중심으로 회동척(422)을 회동시킨다. 이처럼 회동척(422)이 회동함에 따라 고정척(421)과 회동척(422) 사이에서 원기판(G1)의 일 영역은 클램핑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원기판(G1)의 일 영역은 집게 형상의 맞물림 구조를 갖는 한 쌍의 척(421,422)에 의해 클램핑되기 때문에 적어도 회동척(422)만큼은 컨베이어 유닛(210)의 표면보다 낮은 하부 영역에 위치되어야 한다. 그래야만 회동척(422)이 회동하면서 고정척(421)과 함께 원기판(G1)의 일 영역을 클램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고정척(421)과 회동척(422)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유닛(210)들 사이의 이격 간격에 배치되도록 하고 있다. 도 1에는 7개의 컨베이어 유닛(210)이 측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데, 이러한 경우, 총 6개의 클램프(420)가 마련되고 6개의 클램프(420)에 각각 구비된 고정척(421)과 회동척(422)은 컨베이어 유닛(210)들 사이의 이격 간격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고 있다.
클램프 유닛 이동부(430)는 원기판(G1)을 클램핑한 클램프(420)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클램프 유닛 이동부(430)는 리니어 모터(linear motor)로 구현되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클램프 유닛 이동부(430)는 기판이송 유닛(200)의 속도 등과 함께 일련적으로 제어된다.
이와 같이 클램프 유닛(400)으로 원기판(G1)을 클램핑한 상태에서 원기판(G1)에 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원기판(G1)이 흔들리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되어 원기판(G1) 상에 정확한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클램프 유닛(400)은 기판이송 유닛(200)의 상부 영역에 마련되어 해당 위치에서 원기판(G1)을 클램핑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클램프 유닛 본체(410)에 클램프(42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해 클램프 유닛(400)에 대한 전반적인 평탄도 유지 작업, 또한 유지 보수 작업 및 세팅 작업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원기판(G1)이 스크라이브 라인을 따라 절단되기 위해서는 스크라이브 라인 영역을 가압하거나 혹은 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된 부분을 가열하여 원기 판(G1)의 두께 방향으로 수직 크랙이 확산되도록 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브레이크 유닛(500)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브레이크 유닛(500)은 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된 부분을 가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브레이크 유닛(500)은, 원기판(G1)이 스크라이브 라인을 따라 절단되어 다수의 단위기판(G2)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원기판(G1)을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원기판(G1)의 스크라이브 라인으로 가열유체를 분사하는 타입의 브레이크 유닛(미도시)의 경우, 절단 작업이 완료된 단위기판(G2)에 수분 등의 이물이 잔존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특히 가열유체를 분사하기 위한 다소 복잡한 배관 구조를 갖추어야 하므로 시스템의 구조가 복잡해질 수밖에 없다. 이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기판 절단시스템에서는 아래와 같은 단순한 구조의 브레이크 유닛(500)을 제안하고 있는 것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브레이크 유닛(500)은, 기판이송 유닛(200)의 양측에 작업라인과 나란하게, 즉 도 1의 X축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유닛구동부(510)와, 유닛구동부(510)에 결합되며 유닛구동부(510)에 의해 도 1의 X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유닛본체부(520)와, 원기판(G1)을 실질적으로 가열하는 히터(531, heater)를 구비한 기판가열부(530)와, 유닛본체부(520)와 기판가열부(530)를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부(540)를 포함한다.
유닛구동부(510)는, 앞서 기술한 클램프 유닛 이동부(430)와 마찬가지로 리니어 모터(linear motor)로 적용될 수 있다. 즉, 별도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함으로써 유닛본체부(520), 다수의 연결부(540) 및 기판가열부(530)를 도 1의 X축 방향 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유닛본체부(520)는, 다수의 연결부(540)를 통해 기판가열부(530)를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그 일측은 한 쌍의 유닛구동부(510)에 결합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할 때 유닛본체부(520)가 대략 사각 블록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기판가열부(530)는, 앞서 기술한 히터(531)와, 원기판(G1)의 판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히터(531)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어 히터(531)로부터의 열을 원기판(G1)으로 전달하는 하부 플레이트(532)와, 히터(531)를 사이에 두고 하부 플레이트(532)와 나란하도록 히터(531)의 상부 영역에 마련되는 상부 플레이트(533)를 구비한다.
히터(531)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실질적으로 열을 발생시키는 부분이다. 어떠한 구조, 종류 및 형태의 히터(531)가 적용되어도 좋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원기판(G1)의 판면과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발열하는 격자 구조의 메쉬 히터(531, mesh heater)를 적용하고 있다.
하부 플레이트(532)는 히터(531)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며, 히터(531)로부터의 열을 원기판(G1)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하부 플레이트(532)는 상대적으로 열전도성이 좋은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플레이트(532)를 열전도성이 좋은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하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열전도성이 좋은 재질이라면 반드시 알루미늄 재질이 사용될 필요는 없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하부 플레이트(532)는 상부 플레이트(533)의 두께보다 작게 제작된다. 이는 열전도성을 높이기 위한 수단일 수 있는데,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부 플레이트(532)와 상부 플레이트(533)의 두께는 동일해도 무방하다.
상부 플레이트(533)는 하부 플레이트(532)와 함께 기판가열부(530)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부 플레이트(533)와 하부 플레이트(532)의 면적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마련된다. 히터(531)로부터의 열은 상부 플레이트(533) 쪽으로 향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533)는 하부 플레이트(532)에 비해 그 두께가 두껍게 제작된다. 이러한 상부 플레이트(533)의 상면에는 보강리브(536)가 더 마련되어 있다. 보강리브(536)는 상부 플레이트(533)에 강성을 부여함으로써 상부 플레이트(533)를 비롯하여 기판가열부(530) 전체가 변형되는 것을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하부 및 상부 플레이트(532,533)가 내부에 히터(531)를 고정 지지하면서 기판가열부(530)의 외관을 형성하기 위해 하부 및 상부 플레이트(532,533)는 상호 결합된다. 하부 및 상부 플레이트(532,533)를 상호 결합시키기 위해 결합부재(537)가 더 구비된다. 결합부재(537)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서스 핀(537, SUS pin)을 사용하고 있다. 즉, 다수의 서스 핀(537)을 군데군데 체결하여 하부 및 상부 플레이트(532,533)를 상호 결합시킴으로써, 하부 및 상부 플레이트(532,533) 사이에서 히터(531), 상부 단열부재(534) 및 측부 단열부재(535)가 고정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재(537)와 상부 플레이트(533) 사이의 이격 간격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크 컬러(538, peek color)가 더 마련된다.
한편,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히터(531)로부터의 열은 상부 플레이트(533) 쪽이나 혹은 하부 및 상부 플레이트(532,533)의 측부 쪽으로 향할 필요가 없다. 만약, 히터(531)로부터의 열이 하부 플레이트(532) 쪽 외에도 상부나 측부 쪽으로 동일하게 향한다면 원기판(G1)을 가열하기 위해 사용된 열의 손실이 예상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기판가열부(530)에는 상부 단열부재(534) 및 측부 단열부재(535)가 더 구비되어 히터(531)를 중심으로 상부 및 측부 쪽으로 열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저지하고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부 단열부재(534)는, 히터(531)와 상부 플레이트(533) 사이에 마련되되 상부 플레이트(533)와 나란하게 설치되어 히터(531)로부터의 열이 상부 플레이트(533)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측부 단열부재(535)는, 하부 및 상부 플레이트(532,533) 사이의 측부에 마련된다. 이 때, 측부 단열부재(535)는 결합부재(537)에 의해 하부 및 상부 플레이트(532,533)와 함께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다수의 연결부(540)는, 유닛본체부(520)에 대해 기판가열부(530)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역할 외에도 유닛본체부(520)에 기판가열부(530)를 승하강시키는 역할을 겸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연결부(540)로서 승하강 가능한 액추에이터(540)를 적용하고 있다. 액추에이터(540)에 의해 기판가열부(530)의 하부 플레이트(532)는 원기판(G1)에 더욱 근접할 수 있기 때문에 원기판(G1)을 가열하는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기판 절단시스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로봇에 의해 절단 작업대상의 원기판(G1)이 로딩 유닛(100) 상으로 전달된다. 이처럼 로봇에 의해 원기판(G1)이 로딩 유닛(100)에 전달될 때는 리프트 핀들이 상승하여 원기판(G1)을 지지하고, 로봇이 취출되면 리프트 핀들이 1차 하강하여 로딩 유닛(100)에 구비된 얼라인부(110)에 의해 원기판(G1)에 대한 프리 얼라인(pre_align) 작업이 진행된다.
프리 얼라인 작업이 완료된 원기판(G1)은, 리프트 핀들이 2차 하강하여 다수의 벨트 컨베이어에 접촉지지되어진 후 벨트 컨베이어의 회전에 의해 기판이송 유닛(200) 상으로 전달된다. 기판이송 유닛(200) 상에 지지된 원기판(G1)은 기판이송 유닛(200)의 회전에 의해 도 1의 X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크라이브 유닛(300) 쪽으로 향한다. 즉,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 모터(231)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구동 롤러(232)가 회전함에 따라 구동 롤러(232)와는 외접되어 있고, 아이들 롤러(233)와는 내접되어 있는 벨트(211)가 회전하게 됨으로써, 원기판(G1)은 도 1의 X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크라이브 유닛(300) 쪽으로 향하게 된다. 스크라이브 유닛(300) 영역에 도달된 원기판(G1)은 기판이송 유닛(200)과 스크라이브 유닛(300)의 상호작용에 의해 원기판(G1)의 표면에는 각각 상부 및 하부 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원기판(G1)의 표면에 스크라이브가 시작되기 전, 상부 스크라이브 헤드(310) 및 하부 스크라이브 헤드(320)는, 각각에 대응되도록 마련된 로드 셀(311,321)로 이동하여 하강(상부 스크라이브 헤드(310a)의 경우) 압력 및 상승(하부 스크라이브 헤드(320)의 경우)압력이 측정되고, 별도의 제어신호에 의하 여 미리 설정된 기준 압력으로 조정된다. 이어 상부 및 하부 스크라이브 헤드(310,320)에 의해 원기판(G1)의 상면 및 하면에 X축 방향의 상부 및 하부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고자 할 때는 상부 및 하부 가로축(310a,320a)에 상부 및 하부 스크라이브 헤드(310,320)가 고정된 상태에서 기판이송 유닛(200)이 원기판(G1)을 이송시킴으로써 원기판(G1)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X축 방향으로의 상부 및 하부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원기판(G1)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Y축 방향의 상부 및 하부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고자 할 때는 기판이송 유닛(200)이 정지한 상태에서 상부 및 하부 가로축(310a,320a)을 따라 상부 및 하부 스크라이브 헤드(310,320)가 이동됨으로써 원기판(G1)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Y축 방향으로의 상부 및 하부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처럼 원기판(G1)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상부 및 하부 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될 때는 원기판(G1)이 흔들리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클램프 유닛(400)의 고정척(421) 및 회동척(422)이 집게 방식으로 원기판(G1)의 일 영역을 클램핑한 상태에서 진행된다. 결국, 원기판(G1)에 대한 스크라이브 라인은, 기판이송 유닛(200), 스크라이브 유닛(300) 및 클램프 유닛(400)의 상호 유기적인 메커니즘에 의해 형성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 양측 표면에 스크라이브 라인이 모두 형성된 원기판(G1)은 기판이송 유닛(200)의 동작을 따라 X축 방향으로 계속 이동하여 브레이크 유닛(500) 영역에 도달된다. 원기판(G1)이 브레이크 유닛(500) 영역에 도달되면 액추에이터(540)에 의해 기판가열부(530)가 원기판(G1)의 표면에 근접하도록 하강한다.
이어 제어신호에 의해 히터(531)가 온(on)되어 히터(531)가 발열된다. 히터(531)로부터의 열은 하부 플레이트(532)로 전달된 후, 하부 플레이트(532)를 통해 원기판(G1)을 가열하게 된다. 이처럼 원기판(G1)이 가열되면 유리 재질의 취성에 의해 스크라이브 라인에 원기판(G1)의 두께 방향으로 수직 크랙이 확산되면서 원기판(G1)이 절단되어 다수의 단위기판(G2)으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브레이크 유닛(500)의 동작은 브레이크 유닛(500)이 해당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기판이송 유닛(200)이 X축 방향을 따라 원기판(G1)을 이송시키면서 진행될 수도 있고, 혹은 기판이송 유닛(200)의 동작이 정지된 상태에서 유닛구동부(510)에 의해 기판가열부(530)가 원기판(G1)을 향해 X축 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진행될 수도 있다.
한편, 원기판(G1)에 대한 절단 작업이 수회 진행되어 벨트(211)의 표면에 이물질이 존재하거나 혹은 벨트(211)가 손상되어 벨트(211)를 교체할 필요가 발생하면, 우선, 라인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아이들 롤러(233)를 분리하여 제거한다.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아이들 롤러(233)는 단순히 자유 회전 가능한 롤러에 불과하기 때문에 제거 작업은 쉽다. 아이들 롤러(233)를 제거하게 되면, 벨트(211)가 구동 롤러(232)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해체가 복잡한 구동 모터(231)나 구동 롤러(232)를 건드리지 않더라도 손쉽게 벨트(211)를 해체하여 새로운 것으로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즉, 이 상태에서 유닛 중앙몸체(210a)에 대해 분할 단위몸체(210b)를 분리한 후에 손쉽게 벨트(211)를 해체하여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이송 유닛(200)으로서 벨트 컨베이어 타입을 적용함에 있어 벨트(211)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였지만, 히터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히터로부터의 열을 확산시키는 열 확산부재를 더 마련할 수 있다. 이처럼 열 확산부재가 마련되는 경우, 히터로부터의 열이 확산된 후에 하부 플레이트로 향할 수 있게 됨으로써 단위 시간당 보다 많은 열을 하부 플레이트로 전달할 수 있어 최종적으로 원기판을 가열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절단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기판이송 유닛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청소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스크라이브 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클램프 유닛에 대한 요부 확대도이다.
도 8은 브레이크 유닛 영역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요부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G1 : 원기판 G2 : 단위기판
100 : 로딩 유닛 200 : 기판이송 유닛
210 : 벨트 컨베이어 유닛 211 : 벨트
212 : 텐션 롤러 213 : 롤러 지지부
230 : 동력발생부 231 : 구동 모터
232 : 구동 롤러 233 : 아이들 롤러
300 : 스크라이브 유닛 400 : 클램프 유닛
500 : 브레이크 유닛 510 : 유닛구동부
520 : 유닛본체부 530 : 기판가열부
540 : 연결부

Claims (12)

  1. 원기판을 다수의 단위기판으로 절단하는 절단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라인을 형성하며, 상기 원기판을 이송하는 기판이송 유닛; 및
    상기 기판이송 유닛의 어느 일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원기판 상에 스크라이브 라인(scribe line)을 형성하는 스크라이브 유닛(scribe unit)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이송 유닛은,
    상기 원기판이 접촉되어 이송되는 폐루프 형상의 벨트를 구비한 벨트 컨베이어 유닛(Belt Conveyor Type);
    상기 기판이송 유닛의 하부 구조를 형성하되 상기 벨트 컨베이어 유닛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컨베이어 프레임 구조체; 및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 구조체에 마련되며, 상기 벨트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되고 상기 벨트와 접촉되어 상기 벨트를 회전시키되 상기 벨트가 상기 벨트의 하부 영역에서 외접되는 구동 롤러를 갖는 동력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절단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롤러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구동 롤러와 함께 상기 벨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들 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아이들 롤러는 상기 벨트의 일 영역에서 상기 벨트와 내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절단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 롤러는 상기 구동 롤러를 사이에 두고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벨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절단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컨베이어 유닛은,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 구조체 상에서 상기 작업라인 및 상기 작업라인에 가로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절단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벨트 컨베이어 유닛에 의해 상기 작업라인에 가로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선은 직선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절단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기판이 이송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스크라이브 유닛의 후방에 마련되며, 상기 스크라이브 라인을 따라 상기 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된 원기판이 상기 단위기판으로 절단하는 브레이크 유닛(break unit)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크라이브 유닛과 상기 브레이크 유닛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다수의 벨트 컨베이어 유닛에 의해 상기 작업라인에 가로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선은 상호 엇갈리는 지그재그(zigzag)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절단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컨베이어 유닛은,
    일 영역에서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 구조체와 부분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닛 중앙몸체; 및
    상기 유닛 중앙몸체의 양 단부 영역에서 상기 유닛 중앙몸체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할 단위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절단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단위몸체는,
    상기 벨트가 폐루프 형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벨트의 내부에서 상기 벨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의 텐션 롤러; 및
    상기 다수의 텐션 롤러를 지지하는 롤러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절단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의 적어도 어느 일 영역에 접촉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원기판이 상 기 복수의 단위기판으로 절단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파티클(particle)을 제거하는 청소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절단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유닛은,
    상기 기판이송 유닛의 하부 영역에서 상기 작업라인에 가로로 배치되며,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측벽부를 갖는 본체 프레임;
    상기 한 쌍의 측벽부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벨트의 일 영역에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청소 롤러; 및
    상기 청소 롤러를 회전구동시키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티클이 상기 본체 프레임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저지되도록, 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상단은 상기 청소 롤러의 회전축보다 높고 상기 청소 롤러의 상부 표면보다 낮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절단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롤러는,
    상기 본체 프레임 상에서 상기 작업라인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회전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롤러; 및
    상기 구동 롤러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구동 롤러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구동 롤러와의 사이에 상기 파티클이 낙하하는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종동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절단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부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온/오프(on/off) 동작되는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는 모터 기어;
    상기 구동 롤러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모터 기어와 상호 치형 맞물림되는 구동 기어; 및
    상기 종동 롤러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 기어와 치형 맞물림되는 종동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절단 시스템.
KR1020070108196A 2007-10-26 2007-10-26 기판 절단시스템 KR100901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8196A KR100901818B1 (ko) 2007-10-26 2007-10-26 기판 절단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8196A KR100901818B1 (ko) 2007-10-26 2007-10-26 기판 절단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2439A KR20090042439A (ko) 2009-04-30
KR100901818B1 true KR100901818B1 (ko) 2009-06-09

Family

ID=40765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8196A KR100901818B1 (ko) 2007-10-26 2007-10-26 기판 절단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18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27016A (zh) * 2017-03-18 2017-06-13 佛山市永盛达机械有限公司 一种切割机用传输装置
CN111332798A (zh) * 2020-05-20 2020-06-26 山东万物生机械技术有限公司 一种可转弯的建筑玻璃输送装置及其工作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0480A (ko) * 2003-06-27 2005-01-05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평판표시장치 제조용 기판 절단장치
JP2006315901A (ja) 2005-05-12 2006-11-24 Shiraitekku:Kk ガラス基板の切断、分断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649941B1 (ko) 2005-08-24 2006-11-27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취성재료 기판의 반송 시스템
KR100699077B1 (ko) 2004-11-03 2007-03-27 (주)와이티에스 대형 tft-lcd 패널 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0480A (ko) * 2003-06-27 2005-01-05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평판표시장치 제조용 기판 절단장치
KR100699077B1 (ko) 2004-11-03 2007-03-27 (주)와이티에스 대형 tft-lcd 패널 절단장치
JP2006315901A (ja) 2005-05-12 2006-11-24 Shiraitekku:Kk ガラス基板の切断、分断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649941B1 (ko) 2005-08-24 2006-11-27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취성재료 기판의 반송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27016A (zh) * 2017-03-18 2017-06-13 佛山市永盛达机械有限公司 一种切割机用传输装置
CN111332798A (zh) * 2020-05-20 2020-06-26 山东万物生机械技术有限公司 一种可转弯的建筑玻璃输送装置及其工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2439A (ko) 2009-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7415B1 (ko) 기판 절단시스템
KR101042627B1 (ko) 기판 절단시스템
JP4053517B2 (ja) 基板の水平及び上下移送装置
KR100788199B1 (ko) 기판 절단시스템 및 그 방법
JP4972749B2 (ja) 基板支持装置及びこれを利用したlcdセルのシールパターン検査装置
TWI325973B (ko)
KR100901818B1 (ko) 기판 절단시스템
KR100962337B1 (ko) 기판 절단시스템
KR100824253B1 (ko) 기판 절단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94837B1 (ko) 기판 절단시스템
KR100913581B1 (ko) 기판 절단 시스템
KR20120032822A (ko) 기판 이송 장치
KR100901820B1 (ko) 기판 절단 시스템
KR100796447B1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연마장치
KR100904036B1 (ko) 기판 절단시스템
KR100913582B1 (ko) 기판 절단시스템
KR100771006B1 (ko) 오토클레이브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41589A (ko) 기판 절단 시스템
TW200409723A (en) Polarizer bonding device(I)
KR20080007834A (ko) 기판 절단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62454B1 (ko) 편광판 부착장치
KR100849090B1 (ko) 기판 절단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03391B1 (ko) 기판 절단시스템
KR100710079B1 (ko) 편광필름부착장치
KR101058834B1 (ko) 점착척 클리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1